KR20230123936A - 스크린 콘텐츠 캡처 관리 - Google Patents

스크린 콘텐츠 캡처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936A
KR20230123936A KR1020237018594A KR20237018594A KR20230123936A KR 20230123936 A KR20230123936 A KR 20230123936A KR 1020237018594 A KR1020237018594 A KR 1020237018594A KR 20237018594 A KR20237018594 A KR 20237018594A KR 20230123936 A KR20230123936 A KR 2023012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screen
mode
content
captur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브리엘 자디나
팬 장
아흐메드 파흐리
개리 현진 김
시위안 시아
Original Assignee
구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엘엘씨 filed Critical 구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2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9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스크린 콘텐츠 캡처의 운영 시스템 레벨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 호출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생성된다. 스크린 캡처 UI는 정지 영상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는 스크린샷 모드 및 동영상 콘텐츠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단독으로 또는 오디오 콘텐츠와 함께 캡처할 수 있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를 포함하는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제공한다. 스크린 캡처 UI는 전체 스크린 캡처 영역, 탭 또는 윈도우 스크린 캡처 영역 또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커스텀 스크린 캡처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콘텐츠 캡처 관리
본 출원은 2020년 12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7/247,914의 계속 출원이며 이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종래의 스크린 콘텐츠 캡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콘텐츠의 캡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 일련의 입력 등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콘텐츠 캡처 기능 또는 스크린샷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파일 관리 시스템 내 저장 위치에서 캡처된 스크린샷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 콘텐츠 캡처를 용이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이점 없이 이러한 유형의 종래의 스크린 콘텐츠 캡처 및 관리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캡처 후 스크린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및 관리가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기존 시스템보다 더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스크린 캡처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컴퓨팅 디바이스의 시스템 메뉴들,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용 물리적 키, 컴퓨팅 디바이스의 런처 검색, 선반 포드(shelf pod) 또는 트레이 등을 통해 스크린 캡처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스크린 캡처 모드가 호출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UI는 정지 영상 콘텐츠가 캡처되는 스크린샷 모드 및 동영상 콘텐츠 또는 비디오 콘텐츠가 레코딩되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를 포함하는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UI는 스크린샷 모드 또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와 함께, 사용자 지정(또는 커스텀(custom)) 스크린 캡처 영역, 캡처를 위한 윈도우 또는 탭, 캡처를 위한 페이지/전체 페이지 또는 전체 스크린 캡처의 사용자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는 또한 스크린샷 모드 또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와 함께, 사용자 지정 스크린 캡처 영역의 조정, 사용자 지정 스크린 캡처 영역 내에서 캡처된 콘텐츠의 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는 또한 스크린샷 모드에서 스크롤링, 예를 들어 수동 스크롤링 또는 자동 스크롤링을 통해 긴 형식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는 스크롤링 스크린샷 모드의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스크린 캡처 UI는 기존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스크린 캡처 기능 내의 확장된 기능에 대한 단순화된 사용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캡처 후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사용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스크린 콘텐츠 캡처 완료 시 퀵 액션 UI가 생성되게 할 수 있다. 퀵 액션 UI는 스크린 캡처 완료 시, 캡처된 컨텐츠(스크린샷 또는 스크린 레코딩)를 지정된 위치로 복사, 캡처된 컨텐츠 미리보기, 캡처된 컨텐츠 편집, 캡처된 컨텐츠 공유, 캡처된 컨텐츠 삭제 및 기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퀵 액션 UI는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즉시 사용하거나 단일 사용을 위해 종종 캡처하는 스크린샷 및/또는 스크린 레코딩에 대한 사용자 상호 작용 및 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샷 및/또는 스크린 레코딩을 관리하거나 사용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입력의 시간과 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계산 리소스의 감소를 촉진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다수의 인스턴스들을 그룹화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스태킹 그룹화는 일괄 공유, 편집, 삭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로 구성된 시스템은 동작 시 시스템으로 하여금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짐으로써 특정 동작들 또는 액션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액션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함으로써 특정 동작들 또는 액션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일반적인 양태에서, 컴퓨터 구현 방법은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 제1 캡처 모드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정지 영상(still image)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샷 모드이고; 및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캡처 모드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moving image)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 레코딩 모드이다. 일부 예들에서 ,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로의 운영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고 스크린 캡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제1 캡처 모드로의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제2 캡처 모드로의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동영상 콘텐츠만을 포함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동영상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및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트리거하고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및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되는 오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비디오 콘텐츠에 포함되거나 비디오 콘텐츠에 내재된 오디오 콘텐츠의 캡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캡처 모드 또는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제공하는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하는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전체 스크린 캡처 기능, 커스텀 캡처 기능 또는 윈도우 캡처 기능의 선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는 커스텀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법은 추가로 콘텐츠의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는,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초기 캡처 포인트와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는 또한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경계의 모서리 또는 캡처 영역의 경계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조정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1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캡처 영역의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는 또한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서 제2 조정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2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레코딩 캡처 영역에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단계;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고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동안 스크린샷을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크린 레코딩 내의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커스텀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커스텀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초기 캡처 포인트와 상기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1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추가로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 캡처 영역에 포함된 스크린 콘텐츠의 스크린샷을 캡처하는 단계; 및 캡처된 스크린샷을 컴퓨팅 디바이스의 클립보드 스토리지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GPU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GPU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을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반적인 양태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게 하고;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것은 제1 캡쳐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게 하고, 상기 제1 캡처 모드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정지 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샷 모드이며; 그리고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2 캡처 모드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 레코딩 모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시스템의 운영 시스템이 위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시스템이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것은 컴퓨팅 시스템의 운영 시스템이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로 운영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자를 동작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명령어들은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 및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게 할 수 있다. 제2 캡처 모드에서, 명령어들은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레코딩하는 비디오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캡처 모드 또는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섹션; 및 전체 스크린 캡처 영역, 커스텀 캡처 영역 또는 윈도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섹션을 포함하는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커스텀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며, 커스텀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는 것은 스크린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스크린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게 하며; 그리고 초기 캡처 포인트와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 캡처 영역을 정의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영역을 추가로 정의하게 하며, 스크린 캡처 영역을 정의하게 하는 것은 스크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경계의 모서리 또는 스크린 캡처 영역의 경계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조정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검출된 제1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영역의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영역 내에서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를 추가로 정의하게 하며,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를 추가로 정의하게 하는 것은 스크린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서 제2 조정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제2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콘텐츠를 조정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것은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여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레코딩 캡처 영역에 출력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게 하고;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며; 그리고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고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고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동안 스크린샷을 캡처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스크린 레코딩 캡처 영역 내의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커스텀 스크린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고,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는 것은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게 하며; 그리고 초기 캡처 포인트와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술한 특징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 대한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들과 아래 설명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특징들은 설명, 도면들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퀵 액션 UI의 예시적인 구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라, 스크린 캡처 UI 및 퀵 액션 UI를 생성하고 사용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베이스 부분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도 3c-3e는 도 3a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a-3e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부분의 평면도이며,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를 포함한다.
도 5a-5g는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스크린 레코딩의 예시적인 캡처를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6a-6c는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스크린샷의 예시적인 캡처를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3a-3e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부분의 평면도이며,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퀵 액션 UI를 포함한다.
도 8은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라 스크린 콘텐츠를 캡처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 및 모바일 컴퓨터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하는 것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요소 또는 특징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 문서는 스크린 콘텐츠 캡처 모드가 호출되고 스크린 캡처 영역이 지정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을 설명한다. 스크린 캡처 기능을 통해 정지 영상 콘텐츠를 캡처하는 스크린샷 캡처 모드 또는 동영상 콘텐츠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스크린 레코딩 캡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기능은 전체 스크린 캡처 영역 선택, 캡처할 윈도우 또는 탭 선택 또는 커스터마이징된(customized) 캡처 영역 선택을 포함하여, 스크린 캡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기능은 캡처 영역 및/또는 캡처 영역의 경계들 내에서 캡처된 콘텐츠를 정의하는 경계들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커스텀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캡처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체 화면 캡처와 비교할 때) 스크린 캡처에 필요한 계산 리소스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캡처에 대한 캡처 후 편집 동작들의 필요성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여, 계산 리소스들의 사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스크린 캡처 기능은 또한 스크린 콘텐츠 캡처 완료에 응답하여 미리 보기, 편집, 공유, 저장, 삭제 및 기타 후속 액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기능을 사용하면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다수의 인스턴스들을 일괄 공유, 일괄 편집, 일괄 삭제 및/또는 일괄 저장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들이 생성되고 트리거되어 스크린 캡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UI들이 생성 및 트리거되어 스크린 캡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캡처된 화면 콘텐츠의 공유, 편집, 저장, 삭제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UI들이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중에,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기능에 빠른 액세스를 제공하는 스크린 캡처 UI 및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 관리를 위한 도구들에 빠른 액세스를 제공하는 퀵 액션 UI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 레벨 UI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레벨 UI들은 스크린 캡처 기능에 액세스하고 호출하는 데 필요한 여러 단계들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시스템들에 비해 스크린 캡처 능력의 특징들 및 기능들을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레벨 UI들은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와 관련하여 액션을 취하는 데 필요한 여러 단계들을 줄일 수 있으며 시스템 리소스를 보존하기 위해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 레벨 스크린 캡처를 사용하면, 스크린 캡처의 캡처 및 저장이 시스템 내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타사 애플리케이션들이나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여 스크린 캡처를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의 검색 가능성 및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관리에 대한 기술적 과제(들)(예: 문제(들))를 해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크린 캡처 기능을 빠르고 쉽게 찾아 실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쉽게 검색하고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스크린 캡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의 시스템들은 종종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기 위해 이전의 사용자 지식 및 경험에 의존하여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없고 및/또는 쉽게 액세스할 수 없는 버튼 누름, 단축키 등의 복잡한 조합을 사용한다. 유사하게, 종래의 시스템들은 종종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편집, 공유, 저장 및 관리를 위해 다양한 시스템 메뉴, 기능 등에 대한 사용자의 친숙성에 의존한다.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여기에 설명된 스크린 캡처 UI 및 퀵 액션 UI를 생성하도록 컴퓨터 O/S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기술적 문제들에 대한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OS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UI를 렌더링하여 스크린 캡처 모드를 빠르게 선택하고 스크린 콘텐츠 캡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OS는 다수의 상이한 시스템 메뉴들, 시스템 애플리케이션들, 시스템 스토리지 영역들 등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빠른 편집, 공유, 저장, 삭제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크린 콘텐츠 캡처 완료에 대한 응답으로 퀵 액션 UI를 렌더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은 웨어러블,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태블릿, 랩탑, 데스크탑 등을 포함하는 대형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 있는 스크린 캡처 UI 및 퀵 액션 UI를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러한 유형의 스크린 캡처 UI 및/또는 퀵 액션 UI는 운영 시스템 레벨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대해, 본 명세서에 기술된 UI들은 스크린 콘텐츠 캡처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기능 및 특징들을 제공하고, 스크린 콘텐츠 캡처 완료 후 후속 액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UI들은 스크린 콘텐츠 캡처 및 관리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많은 상이한 시스템 메뉴들, 애플리케이션들, 스토리지 영역들 등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에 의존하는 종래의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사용자 개입 없이(즉, 스크린 캡처 기능 호출에 대한 응답 및 스크린 콘텐츠 캡처 완료에 대한 응답으로, 자동으로) 스크린 캡처 옵션 및 기능에 대한 더 빠른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샷 및/또는 스크린 레코딩을 관리하거나 사용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입력의 시간과 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계산 리소스의 감소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시스템 레벨에서의 구현은 스크린 캡처의 캡처 및 저장이 시스템 내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타사 애플리케이션들이나 프로그램들을 사용하여 스크린 캡처를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스크린 캡처 UI(100) 및 퀵 액션 UI(150)의 예시적인 구현의 개략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예시적인 개략도는 디스플레이의 전체 스크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 및 다수의 브라우저 탭들을 포함한다. 스크린 콘텐츠 캡처 기능 호출에 응답하여,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스크린 콘텐츠 캡처와 연관된 기능 및 특징들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캡처 UI(100)를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UI(100)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 및 특징들은 정지 영상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즉, 비디오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등을 포함하는 스크린 컨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스크린 캡처 UI(100)는 스크린샷 모드(선택된 정지 영상 콘텐츠가 캡처됨) 또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오디오 콘텐츠가 있거나 없는 동영상 콘텐츠가 캡처됨)의 사용자 선택을 제공한다. 이 예에서 스크린 캡처 UI(10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스크린 캡처, 선택된 윈도우 또는 탭 캡처 또는 커스텀 캡처의 선택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커스텀 캡처 영역은 단일 윈도우, 다중 윈도우 및/또는 탭, 특정 애플리케이션 등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콘텐츠의 캡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윈도우의 정지 영상 캡처를 위해 스크린샷 모드로의 동작을 선택하면 선택된 윈도우의 경계들 내에 포함된 스크린 콘텐츠가 캡처된다. 스크린샷 캡처의 완료에 응답하여,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를 위해 퀵 액션 UI(150)를 렌더링한다. 퀵 액션 UI(150)는 예를 들어, 캡쳐된 스크린 콘텐츠의 미리보기, 캡처된 스크린샷의 편집, 공유, 저장, 삭제 등을 위한 다양한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캡처된 스크린샷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활동의 완료에 응답하여, 시스템은 도 1(f)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활동 이전의 배열로 스크린 콘텐츠를 반환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라, 스크린 캡처 UI 및 퀵 액션 UI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 서버 컴퓨팅 시스템(204)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도 2에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구성하여 스크린 캡처 UI를 생성하고, 스크린 캡처 UI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콘텐츠를 캡처하고, 퀵 액션 UI를 생성하고, 그리고 퀵 액션 UI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에 대한 액션을 실행한다. 일부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네트워크(240)를 통해 통신 모듈(248)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외부 리소스들(246) 및/또는 외부 서비스들(246)은 네트워크(24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팅 디바이스(202) 및/또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204)에서 이용가능하다. 외부 리소스들은 예를 들어 온라인 스토리지, 컴퓨팅 디바이스(202)를 통해 사용자가 소비할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데이터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외부 리소스들(246)은 서버 컴퓨팅 시스템(204)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복제하거나 대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운영 시스템(O/S)(216)을 포함한다. O/S(216)는 애플리케이션들(218)을 실행 및/또는 달리 관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258) 및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260)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들(258)은 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 입력 디바이스, 마이크로폰, 제스처 인식 디바이스, 컨트롤러 또는 마우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기타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예: 스피커), 물리적 출력 디바이스, 외부 출력 디바이스들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기타 이러한 출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예: 카메라), 오디오 센서(예: 마이크로폰), 위치 센서(예: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자력계 등을 포함하는 관성 측정 유닛)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싱 시스템(250)을 포함한다. O/S(216)는 메모리(244) 및 CPU/GPU(252)에 액세스할 수 있다. O/S(216)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연관된 정책들 및 권한들(254) 및 선호도들(256)을 포함하거나 그에 액세스할 수 있다.
O/S(216)는 애플리케이션들, UI 상호작용들, 액세스된 서비스들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 디바이스 통신들을 실행 및/또는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218)은 컴퓨팅 디바이스(202)(또는 서버 컴퓨팅 시스템(204) 또는 외부 서비스를 통해)에 의해 실행/전달될 수 있는 모든 유형의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18)은 사용자가 각 애플리케이션(218)의 기능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218)의 애플리케이션 윈도우는 메뉴(들), 아이콘들, 위젯들 등과 같은 모든 유형의 컨트롤과 함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218)은 콘텐츠 및/또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콘텐츠/또는 데이터를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260)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들 및/또는 OS(216)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앱 정보(226) 및 세션 데이터(228)를 포함하거나 그에 대한 액세스를 가질 수 있다. 앱 정보(226)는 특정 애플리케이션(218)에 의해 실행되거나 액세스되는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 정보(226)는 텍스트, 이미지들, 오디오 콘텐츠, 입력, 출력 또는 애플리케이션(218)과의 상호작용과 연관된 제어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앱 정보(226)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들(208)과 연관된 저장소(210)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앱 정보(226)는 메타데이터, 테이블 태그들, 이미지 태그들, 타임스탬프 데이터, URL 데이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특정 애플리케이션(218)과 연관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들(218)은 브라우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218)은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사용자들이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샷 또는 스크린 레코딩의 형태로 스크린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게 하는 캡처 명령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218)은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편집, 공유, 저장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UI 생성기(206)는 O/S(216)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UI 생성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캡쳐 UI(100) 및 퀵 액션 UI(150)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콘텐츠 관리자(214)는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UI(100) 및/또는 퀵 액션 UI(150)와 관련된 입력 디바이스들(258) 중 하나에서 수신된 입력들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해 O/S(216)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 구현예들에서, 콘텐츠 관리자(214)는 캡처 후 공유, 편집, 저장 등을 위해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를 준비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특정 정책들 및 권한들(254) 및 선호도들(256)을 생성 및/또는 배포할 수 있다. 정책들 및 권한들(254) 및 선호도들(256)은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디바이스 제조업체 및/또는 디바이스(202)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정책들(254) 및 선호도들(256)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캡처 모드의 호출 및/또는 스크린 캡처 완료의 검출과 같은 이벤트 기반 명령, 오디오 명령, 시각적 명령, 스케쥴 기반 명령 또는 다른 구성 가능한 명령의 검출과 같이 특정 액션 또는 명령에 기반하여 트리거하는 루틴들(즉, 일련의 액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책들(254) 및 선호도들(256)은 정책들 및 권한들(254) 및/또는 선호도들(256)로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202)와 연관된 콘텐츠를 수정 및/또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된 캡처 모드로의 동작은 정책들 및 권한들(254)에 따라 트리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선택된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것은 액세스된, 미리 정의된 권한 데이터에 따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권한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것은 권한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캡처 모드로의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버 컴퓨팅 시스템(204)은 예를 들어 표준 서버, 그러한 서버 그룹, 또는 랙 서버 시스템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디바이스들의 형태를 취하는 임의의 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서버 컴퓨팅 시스템(204)은 프로세서들, 메모리, 통신 모듈들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공유하는 단일 시스템일 수 있다.
네트워크(240)는 인터넷 및/또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셀룰러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형의 데이터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40)는 또한 네트워크(240) 내에서 및/또는 네트워크(240) 외부에서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개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예: 컴퓨터,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스위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40)는 임의의 수의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랩탑 구성에서 도 2와 관련하여 전술된 컴퓨팅 디바이스(202)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베이스 부분(304)의 상면도이다. 도 3c 내지 도 3e는 태블릿 구성의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정면도이다. 도 3a-3e에 도시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는 단순히 논의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원리들은 예를 들어,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들, 스마트폰들과 같은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스크린 캡처 기능을 갖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같은 스크린 캡처 기능을 갖는 다른 유형의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는 베이스 부분(304)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부분(30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부분(302)은 디스플레이(305) 형태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304)은 예시적인 키보드(306) 및 예시적인 터치패드(308)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305)는 디스플레이(305)가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 모두로서 기능하도록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3a-3e에 도시된 예시적인 디바이스(300)에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들(307) 또는 스피커들(307) 및 하나 이상의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들(309) 또는 마이크로폰들(309)이 베이스 부분(304)에 제공된다. 도 3a-3e에 도시된 예시적인 디바이스(300)에서, 베이스 부분(304)에는 전원 제어 버튼(310) 및 하나 이상의 볼륨 제어 버튼들(312)이 또한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들에서 스크린 캡처 기능의 검색 가능성은 사용자가 검색하고 액세스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시스템들은 특정 키들의 조합 및/또는 키들의 조합의 순차적 입력에 의존하여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는 키보드 단축키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랩탑 모드의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에서,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도 3b에 도시된 기능 키들 중 하나와 함께 <Ctrl> 또는 <Alt> 키의 누름 및/또는 전체 스크린 캡처 모드 대 윈도우 캡처 모드 등을 호출하기 위한 다른 키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키들의 조합은 쉽게 잊어버리거나 잘못 입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에서, 또는 도 3c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300)의 태블릿 모드에서, 이는 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312) 중 하나와 함께 전원 제어 버튼(310)과 같은 다수의 버튼들을 동시에 누르고 홀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디바이스를 홀딩하는 동안 어색하고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의도하지 않은 디바이스 종료, 의도하지 않은 볼륨 변경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다수의 제어 버튼들을 동시에 눌러야 하는 필요성은 하나 이상의 신체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스크린 캡처 기능에 대한 개선된 사용자 검색 및 액세스(또는 액세스 가능성)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 개선된 사용자 검색 및 액세스는 (다목적 키들의 조합이 아닌) 전용 물리적 스크린 캡처 키(315)의 눌림이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300)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고 및/또는 스크린 캡처 모드로 들어가게 할 수 있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용 물리적 키(315)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 개선된 사용자 검색 및 액세스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300)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UI 요소(314)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기능을 및/또는 스크린 캡처 모드로 들어가게 할 수 있는, 지속적(persistent) 스크린 캡처 아이콘(314) 또는 지속적 스크린 캡처 UI 요소(314)를 포함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스크린 캡처 키(315) 및/또는 지속적 스크린 캡처 아이콘(314)의 위치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스크린 캡처 키(315) 및/또는 지속적 스크린 캡처 아이콘(314)은 상이한 위치들에 있을 수 있고, 다른 요소들과 상이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상이한 모양 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기능은 도 3d에 도시된 스크린 캡처 UI 요소(314)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도 3c에 도시된 시스템 메뉴(316)의 확장으로부터 호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기능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모드에 매핑할 수 있는 런처 검색 아이콘(318)의 선택에 의해 개시되는 런처 검색을 통해 호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기능은 전원 제어 버튼(310)을 길게 눌러 호출할 수 있다. 전원 제어 버튼(310)을 길게 누르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전원 관련 옵션들에 더하여, 스크린 캡처 UI 요소(314)의 사용자 선택을 제공하는 전원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트리거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에서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위에서 설명한 O/S(216)와 같은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운영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캡처 UI(400)를 생성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216)는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는 액션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UI(400)를 생성하도록 UI 생성기(206)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스크린 캡처 모드에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는 컴퓨팅 디바이스(300) 상에 스크린 캡처 UI(400)가 플로팅되도록 디스플레이(305)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에 대한 쉬운 액세스를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가시성/액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는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가시성/액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숨겨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복수의 상이한 탭들(460)이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05)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가능하다. 열린 윈도우(450)는 복수의 탭들(46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진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450) 및 탭들(460)은 디스플레이(305)의 전체 스크린 영역의 일부를 차지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한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는 제1 섹션(410), 제2 섹션(420), 제3 섹션(430) 및 제4 섹션(44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섹션(410)은 아이콘들 또는 요소들 중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를 트리거하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 또는 UI 요소들 또는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섹션(420)은 아이콘들 중 하나의 선택에 응답하여 특정 스크린 캡처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선택가능한 아이템들 또는 아이콘들 또는 UI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3 섹션(430)은 스크린 캡처 동안(특히, 스크린 레코딩 동안) 오디오 설정의 사용자 선택을 허용하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 또는 아이콘들 또는 UI 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4 섹션(440)은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모드로부터의 종료 및/또는 스크린 캡처 기능의 종료 및/또는 스크린 레코딩 세션의 종료를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배열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배열된 더 많거나 더 적은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는 선택가능한 아이템들 또는 아이콘들 또는 UI 요소들을 더 많거나 적게 포함할 수 있으며, 상이하게 그룹화 및/또는 상이하게 배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1 섹션(410)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된 정지 영상 콘텐츠가 캡처될 수 있는 스크린 캡처 모드 또는 스크린샷 모드(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제공하는 제1 아이콘(411), 또는 제1 UI 요소(411), 및 오디오 콘텐츠가 있거나 없는 동영상 콘텐츠가 캡처될 수 있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제공하는 제2 아이콘(412), 또는 제2 UI 요소를 포함한다. 스크린샷 모드에서, O/S(216)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된 정지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샷을 캡처하는 기능을 한다. 스크린 레코딩 모드에서, O/S(218)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된 동영상 콘텐츠 또는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기능을 한다. 스크린 레코딩 모드에서, O/S(218)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설정에 기초하여 오디오 콘텐츠를 캡처하지 않고,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스크린 레코딩 모드에서, O/S(216)는 또한 스크린 레코딩 세션 동안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오디오 콘텐츠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마이크로폰(309)에 의해 스크린 캡처 레코딩 세션 동안 캡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309)에 의한 레코딩을 위해 캡처된 오디오 콘텐츠는 마이크로폰(309)의 검출 범위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근접성 내에서 검출된 주변 오디오 콘텐츠 또는 주변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피커(307)에 의해 출력되고 마이크로폰(390)에 의해 검출되는 오디오 콘텐츠, 마이크로폰(309)에 의해 검출되는 음성 출력, 및 마이크로폰(309)의 검출 범위 내에서 검출 가능한 기타 주변 사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마이크(309)가 대기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스크린 레코딩 세션 동안 캡처되는 비디오 콘텐츠에 내장된 오디오 콘텐츠(동영상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 또는 고유한 오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비디오 콘텐츠에 내장되거나 고유한 오디오 콘텐츠 및 마이크로폰(309)에 의해 검출된 주변 오디오 콘텐츠 모두를 캡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2 섹션(420)은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하는, 제1, 제2 및 제3 아이콘들(421, 422, 423) 또는 제1, 제2 및 제3 UI 요소들(421, 422, 423)을 포함한다. 제1 UI 요소(421)는 전체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한다. 제2 UI 요소(422)는 커스텀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한다. 제3 UI 요소(423)는 윈도우 또는 탭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한다. 커스텀 스크린 캡처 영역 또는 윈도우 또는 탭 캡처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캡처할 컴퓨팅 디바이스(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3 섹션(430)은 특히 스크린 레코딩 모드에서 스크린 콘텐츠의 캡처와 연관된 오디오 설정의 사용자 선택을 제공하는 아이콘(431) 또는 UI 요소(43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UI 요소(431)를 선택하면 스크린 레코딩 동안 오디오 콘텐츠(예: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오디오 콘텐츠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에 내장되거나 내재된 오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4 섹션(440)은 예를 들어, 스크린 콘텐츠 캡처 완료 및/또는 스크린 캡처 세션 종료 시, 스크린 레코딩 세션의 종료 및 스크린 캡처 모드 종료를 위해 선택가능한 아이콘(441) 또는 UI 요소(441)를 포함한다.
도 5a-5g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스크린 레코딩 세션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g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징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되는 정지 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해 스크린 캡처 모드 또는 스크린샷 모드가 선택되는 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5a는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1 섹션(410)에서 제2 UI 요소(412)(또는 스크린 레코딩 UI 요소(412))의 선택이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스크린 레코딩 모드(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도시한다. 동영상 컨텐츠의 스크린 캡처는 제2 UI 요소(412)의 선택에 응답하여 트리거될 수 있다. 즉,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은 제2 캡처 모드 또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도 5b에서,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위한 커스텀 스크린 캡처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제2 UI 요소(423)가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영역(540)은 디스플레이(305)의 터치 감응형 요소에 의해 검출된 제스처 입력들에 응답하여 지정될 수 있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원하는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경계들을 나타내기 위한 탭 입력 또는 일련의 탭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스처 입력들은 디스플레이(305)의 터치 감응형 요소에 의해 검출된 터치 및 드래그 유형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 내의 특정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지정하기 위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캡처할 디스플레이(305) 영역을 클릭 또는 터치한 다음, 예를 들어, 제1 포인트(510) 또는 초기 포인트(510)에서 제2 포인트(520) 또는 종료 포인트(520)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설정할 수 있다. 제2 포인트(520)에서 터치 또는 클릭의 해제는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경계(550)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커스텀 스크린 캡쳐 영역(540)은 예를 들어, 제1 포인트(510)과 제2 포인트(520)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 지정 스크린 캡처 영역(54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305)의 전체 스크린 (440)의 스크린 레코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체 스크린 UI 요소(421)를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선택된 윈도우 또는 탭의 스크린 레코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윈도우/탭 UI 요소(423)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드래그가 구현되는 동안 드래그된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디멘션(dimension)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드래그된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디멘션이 픽셀 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는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모서리와 같은,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특정 부분 위에 호버링이 검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드래그된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디멘션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정확한 크기의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지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선택된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눈에 띄게 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선택된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강조하고/하거나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05)의 선택되지 않은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거나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스크린 캡처 UI(400)가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와 같이 스크린 캡처 영역(540)이 설정된 상태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를 숨기거나 스크린 캡처 UI(400)의 디스플레이 포지션을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스크린 캡처 영역(540)이 선택 및 조정됨에 따라 스크린 캡처 UI(400)를 자동으로 숨기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UI(400)를 숨기거나 사용자 선호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캡처 UI(400)는 디스플레이(305)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포지션들로 드래그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스크린 캡처 UI(400)를 사용할 수 있지만,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가리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스크린 캡처 영역(540)을 선택한 후,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경계들(550)은 도 5d에 도시된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모서리들 및/또는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가장자리들을 드래그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도 5e의 화살표들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크린 캡처 영역(540) 내부를 클릭하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드래그함으로써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경계들(550) 내에서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영역(540)이 완성되면, O/S(216)는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처 UI 요소(560)를 제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스크린 레코딩 모드가 선택된 경우, 캡처 UI 요소(560)를 선택하면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경계들(550)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콘텐츠가 레코딩되는 스크린 레코딩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들에서, 스크린 레코딩 세션 동안 오디오 콘텐츠가 또한 레코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것은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레코딩하는 것과 선택적으로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 및/또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오디오 콘텐츠, 즉 두 가지 유형의 오디오 콘텐츠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동시에 캡처될 수 있음)를 레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카운트다운 타이머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하여 스크린 레코딩이 개시될 때까지 남은 시간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크린 레코딩을 시작하기 전에 스크린 캡처 영역(540) 등을 더 세분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O/S(216)는 경과된 레코딩 시간의 양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실행 타이머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사용자는 스크린 레코딩 세션 중에 스크린샷을 캡처하기를 원할 수 있다. 도 5g에 도시된 예에서,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1 섹션(410)에서 제1 UI 요소(411)를 선택하여 스크린샷 모드(제1 캡처 모드)를 활성화하고, 스크린샷을 위한 스크린 캡처 영역(580)을 지정함으로써 스크린 레코딩 세션 동안 스크린샷이 캡처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영역(580) 내의 컨텐츠의 스크린 캡처는 캡처 UI 요소(590)의 선택에 응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즉, 제1 캡처 모드를 선택하면 제1 캡처 모드 또는 스크린샷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사용자는 스크린 레코딩이 진행되는 동안 스크린 캡처 영역(540) 안팎으로 콘텐츠를 이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O/S(216)는 스크린 캡처 영역(540)의 경계들(550)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것을 레코딩하는 기능을 하므로, 스크린 캡처 영역(540)으로의 콘텐츠 이동(예: 사용자에 의해 스크린 캡처 영역(540)으로 드래그됨)은 드래그된 콘텐츠가 스크린 캡처 영역(540) 내에 남아 있는 한 스크린 레코딩에서 캡처될 것이다. 스크린 레코딩을 위해 스크린 캡처 영역(540)으로 드래그되는 콘텐츠는 정지 영상 콘텐츠, 동영상 콘텐츠, 윈도우, 탭 및 기타 이러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크린 캡처 영역에서 제거된 콘텐츠는 더 이상 스크린 레코딩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스크린 캡처 영역(540) 내의 커서 이동, 마우스 이동 및 기타 이러한 아이템들의 이동, 스크린 캡처 영역(540) 내의 아이템들의 변경 등이 스크린 레코딩에 포함될 것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UI(400)에서 UI 요소(441)를 선택하여 스크린 레코딩 세션을 종료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UI(400)는 사용자가 더 적은 단계들과 더 적은 사용자 입력들로 스크린 콘텐츠를 선택하고 캡처할 수 있게 하여 전력 소비 및 계산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상황들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스크린 콘텐츠의 레코딩은 예를 들어, 스크린 레코딩의 길이, 영상 품질, 수반되는 오디오 콘텐츠 등에 따라 계산 집약적이고 메모리 집약적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시스템 레벨 리소스를 관리하기 위해 메모리 덮어쓰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비디오 프레임 캐시에 대한 상한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스크린 레코딩 로직은 예를 들어, GPU(252) 내에서 메인 O/S(216) 및 연관된 운영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브라우저 렌더링 등 외부의 자체 독립 프로세스 내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캡처 모드에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것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GPU에 액세스하는 것과 GPU로부터 동영상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을 레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운영 시스템 유틸리티에서 스크린 레코딩 기능을 분리하면 종래의 시스템들보다 더 안전한 캡처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디오 스크린 콘텐츠를 레코딩하는 데 비교적 높은 성능과 메모리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허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g에 대하여 전술한 예시적인 스크린 콘텐츠 캡처는 예를 들어, 지정된 스크린 캡처 영역 내에서 캡처된 동영상 콘텐츠가 단독으로 또는 오디오 콘텐츠와 함께 레코딩되는 스크린 레코딩의 캡처에 대해 설명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원칙은 지정된 스크린 콘텐츠 영역 내의 정지 영상 콘텐츠가 캡처되는 스크린샷 모드에서의 스크린 콘텐츠 캡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5a-5g에 도시된 스크린 레코딩 모드에서 스크린 콘텐츠 캡처의 예시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원칙들은 일반적으로 스크린샷 모드(제1 캡처 모드)에서 동작할 때의 스크린 콘텐츠 캡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a-6c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예들에 따라 스크린샷 모드에서의 스크린 콘텐츠 캡처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1)에서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1 섹션(410)에 있는 제1 UI 요소(411)를 선택하여 스크린샷 모드로의 동작을 호출하고, (2)에서 스크린 캡처 UI(400)의 제2 섹션(420)에 있는 제3 UI 요소(423)를 선택하여 (3)에서 디스플레이(305)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탭들(460) 중에서 문서 탭(650)을 선택한다. 도 6a의 (3)에서 문서 탭(650)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O/S(216)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탭(650)에서 (정지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샷 캡처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 예에서, 문서 탭(650)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캡처 영역에는 아젠다(Agenda) 문서의 일부만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든 콘텐츠가 디스플레이(305)에 보이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윈도우 또는 탭에 포함된 모든 콘텐츠 또는 전체 문서의 스크린샷을 캡처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예를 들어 커서가 윈도우/탭/문서에 의해 정의된 캡처 영역 위에서 호버링하고, 윈도우/탭/문서에 의해 정의된 캡처 영역을 터치/홀딩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체 캡처 UI(600)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체 캡처 UI(6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롤링 캡처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수동으로 긴 형식 콘텐츠를 캡처하도록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스크롤링 캡처 모드는 사용자가 문서를 스크롤하고 스크린샷에서 캡처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끝에 대응하는 문서의 일부를 표시할 수 있게 하는 스크롤링 스크린샷을 캡처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전체 캡처 UI(600)는 사용자가 전체 페이지 캡처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긴 형식 콘텐츠를 자동으로 캡처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스템은 스크린샷에서 캡처하기 위해 식별된 문서의 모든 콘텐츠를 표시한다. 도 6b 도시된 예에서, 캡처를 위해 선택된 탭의 범위 내에서 콘텐츠의 일부만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스크롤링 캡처 모드 또는 전체 페이지 캡처 모드를 선택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및/또는 페이지의 전체 콘텐츠를 포함하고 및/또는 윈도우/탭의 초기 선택 시 스크린에 보이지 않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스크린샷(620)이 생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스크린 레코딩 및 스크린샷 포함)는 종종 캡처 후 곧 또는 캡처 직후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캡처 후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에 대한 개선되고 빠른 액세스를 포함하는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관리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시스템 리소스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스크린 콘텐츠의 캡처와 연관된 시스템 레벨 리소스 관리 및 캡처 후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사용 및 배치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계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기능에 대한 접근성도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캡처된 콘텐츠를 지정된 위치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처된 스크린샷은 빠른 사용자 액세스를 위해 클립보드 유틸리티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캡처된 스크린 레코딩은 예를 들어 파일 크기, 시스템 능력, 사용자 선호도 등에 따라 지정된 스토리지 유틸리티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O/S(21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콘텐츠(스크린샷 또는 스크린 레코딩)의 캡처 완료에 응답하여 퀵 액션 UI(700)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퀵 액션 UI(700)는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미리 보기에 대한 섬네일 또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퀵 액션 UI(700)는 캡쳐된 스크린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퀵 액션 UI(700)는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퀵 액션 UI(700)는 캡쳐된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퀵 액션 UI(700)는 캡처된 콘텐츠의 삭제를 제공할 수 있다. 퀵 액션 UI(700)는 사용자가 더 적은 단계와 더 적은 사용자 입력으로 캡처된 화면 콘텐츠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전력 소비 및 계산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접근 방식은 윈도우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스위칭 필요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은 디스플레이 크기(예: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하나 이상의 제한들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하나 이상의 신체적 장애들이 있는 사용자들의 경우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다수의 콘텐츠 캡처 영역들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다수의 콘텐츠 캡처 영역의 지정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및/또는 연속적인 스크린 콘텐츠의 캡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2개 이상의 동영상 캡처 영역들이 스크린 콘텐츠 캡처를 위해 지정될 수 있고/있거나 2개 이상의 정지 영상 캡처 영역들이 스크린 콘텐츠 캡처를 위해 지정될 수 있으며 및/또는 2개 이상의 캡처 영역들이 정지 영상들과 동영상들의 조합의 캡처를 위해 지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 캡처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동영상 캡처 영역(들) 내에 지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정지 영상 캡처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동영상 캡처 영역(들) 외부에 지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콘텐츠 캡처 영역들에서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는 개별적으로 볼 수 있도록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콘텐츠 캡처 영역들에서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는 서로 조합되어 저장되거나,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이 함께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및/또는 재생될 수 있도록 서로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들에 따른 스크린 콘텐츠를 캡처하는 예시적인 방법(800)의 흐름도이다. 예시적인 방법(800)은 스크린 캡처 정지 영상 스크린 콘텐츠 및 오디오 콘텐츠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동영상 스크린 콘텐츠(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스크린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는 상술한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300)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300)가 활성화 상태(블록 810)에서,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이 호출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은 도 3b 내지 도 3e와 관련하여 전술한 예시적인 방법들 중 하나에 의해 호출될 수 있다. 즉, 일부 구현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은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키보드(물리적 키보드 또는 가상 키보드)의 전용 키(315)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지속적 스크린 캡처 UI 요소(314)와의 사용자 상호 작용을 통해 호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은 시스템 메뉴(316)를 통해 및/또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에 의해 구현된 런처 검색(318)을 통해 검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은 예를 들어 전원 제어 버튼(310)과 같은 지정된 키 또는 버튼을 길게 눌러 검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검색 및 실행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캡처 기능이 호출되었다는 O/S(216)에 의한 검출에 응답하여(블록 820), O/S(216)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스크린 캡처 UI(400)와 같은 스크린 캡처 UI를 생성한다(블록 825). 그런 다음 스크린 캡처 모드 선택이 검출된다. O/S(216)는 스크린샷 모드의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UI의 스크린샷 UI 요소의 검출된 선택을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300)를 스크린샷 모드(제1 캡처 모드)에서 동작시키거나(블록 830, 840) 또는 스크린 캡처 UI의 스크린 레코딩 UI 요소의 검출된 선택에 응답하여 스크린 레코딩 모드(제2 캡처 모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300)를 동작시킨다(블록 835, 840). 제1 캡쳐 모드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정지 영상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한 스크린샷 모드이고, 제2 캡쳐 모드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캡쳐하기 위한 스크린 레코딩 모드이다.
스크린 캡처 모드가 설정되면,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블록 840), 스크린 캡처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O/S(216)는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UI의 전체 스크린 캡처 UI 요소의 검출된 선택을 통해, 전체 스크린 캡처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전체 스크린 캡처 영역에 포함된 스크린 콘텐츠를 캡처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300)를 동작시키거나(블록 845, 860) 또는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UI의 탭/윈도우 UI 요소의 검출된 선택을 통해, 탭/윈도우 캡처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선택된 탭 또는 윈도우에 포함된 스크린 콘텐츠를 캡처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300)를 동작시키거나(블록 850, 860), 또는 예를 들어, 스크린 캡처 UI의 커스텀 캡처 UI 요소의 검출된 선택을 통해, 커스텀 캡처 선택의 검출에 응답하여 커스텀 캡처 영역에 포함된 스크린 콘텐츠를 캡처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를 동작시킨다(블록 855, 860). 커스텀 캡처 영역은 예를 들어 도 5c-5g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스크린 캡처 모드와 스크린 캡처 영역이 설정되면(블록 840, 860), O/S(216)는 설정된 스크린 캡처 모드 및 설정된 스크린 화면 캡처 영역에 기초하여 스크린 콘텐츠를 레코딩(또는 캡처)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300)를 동작시킨다(블록 865). 스크린 캡처의 완료가 검출된 것에 응답하여(블록 870), O/S(216)는 컴퓨팅 디바이스(300)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퀵 액션 UI(650)와 같은 퀵 액션 UI를 생성한다(블록 875). O/S(216)는 퀵 액션 UI를 통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입력들에 응답하여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에 대해 추가 액션을 수행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300)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블록 880). 일부 구현예들에서, 추가 액션은 예를 들어,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의 미리보기, 편집, 저장, 공유, 삭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현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운영 시스템은 런처 검색 등으로부터 시스템 메뉴, 전용 물리적 키 또는 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작은 폼 팩터 디바이스(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서, 운영 시스템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전원 키를 길게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스크린 캡처 기능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영 시스템은 스크린 캡처 모드를 활성화하고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스크린샷 모드 또는 스크린 레코딩 모드를 선택하고, 스크린의 커스텀 부분 또는 특정 윈도우 또는 캡처할 전체 스크린을 선택하고, 스크린 캡처 모드를 종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캡처할 스크린의 커스텀 부분 선택에 응답하여, 운영 시스템은 캡처할 스크린 부분을 선택 및 편집/수정하고, 캡처를 위해 지정된 스크린 부분 안팎으로 콘텐츠를 이동하며, 그리고 캡처 중에 전체 페이지 캡처 및/또는 캡처 중 스크롤링을 허용하여 현재 스크린에 보이지 않는 콘텐츠를 캡처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영 시스템은 정지 영상 콘텐츠의 스크린샷 외에도 비디오 콘텐츠(오디오 콘텐츠 포함)의 스크린 레코딩을 제공하고, 스크린 레코딩 기능 내에서 스크린샷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운영 시스템은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 및 공유, 복사, 편집 및 삭제 옵션들을 포함하여 공유 시트 또는 퀵 액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캡처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의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에 액세스하여 스크린 레코딩을 수행하는 것은 기존의 콘텐츠 캡처 시스템들보다 더 안전하도록 운영 시스템 내에서 격리된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고성능, 메모리 효율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태블릿, 랩탑, 데스크탑 등을 포함하는 더 큰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경우, 여기에 설명된 운영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스크린 캡처 기능을 쉽게 검색하고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의 스크린 캡처 기능을 호출하기 위해 단축키들을 설정/사용할 필요가 없다. 스크린 캡처 기능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입력들이 적어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운영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기존 시스템들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 디바이스들에서 스크린 레코딩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 설명된 운영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캡처를 위한 스크린 영역의 선택을 제공하고 캡처 전 및 캡처 후 편집을 확장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기능을 확장한다. 여기에 설명된 운영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스크린 캡처 콘텐츠의 관리를 제공하고 스크린 캡처 콘텐츠의 저장 및 공유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시스템들에 필요한 단계 수를 단축하고 스크린 캡처 콘텐츠의 시간 소모적인 관리를 방지한다.
도 9는 여기에 설명된 기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디바이스(900) 및 모바일 컴퓨터 디바이스(950)의 예를 도시한다. 컴퓨팅 디바이스(900)는 랩탑, 데스크탑, 태블릿, 워크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 스마트 디바이스, 가전 제품, 전자 센서 기반 디바이스, 텔레비전,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프레임 및 기타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들을 나타내도록 고안된다.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및 기타 유사한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도록 고안된다. 여기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연결 및 관계, 기능은 예시일 뿐이며 이 문서에서 설명 및/또는 청구된 발명의 구현예들을 제한하지 않는다.
컴퓨팅 디바이스(900)는 프로세서(902), 메모리(904), 스토리지 디바이스(906), 메모리(904) 및 고속 확장 포트(910)에 연결되는 고속 인터페이스(908), 및 저속 버스(914) 및 스토리지 디바이스(906)에 연결되는 저속 인터페이스(91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02)는 반도체 기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904)는 반도체 기반 메모리일 수 있다. 구성요소들(902, 904, 906, 908, 910, 912) 각각은 다양한 버스들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며, 공통 마더보드 또는 적절한 다른 방식들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902)는 고속 인터페이스(908)에 결합된 디스플레이(916)와 같은 외부 입력/출력 디바이스에 GUI에 대한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메모리(904) 또는 스토리지 디바이스(906)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900) 내에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다중 프로세서 및/또는 다중 버스는 다중 메모리 및 메모리 유형과 함께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9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디바이스는 필요한 동작들(예: 서버 뱅크, 블레이드 서버 그룹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의 일부를 제공한다.
메모리(904)는 컴퓨팅 디바이스(900) 내에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904)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유닛들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메모리(904)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유닛들이다. 메모리(904)는 또한 자기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스토리지 디바이스(906)는 컴퓨팅 디바이스 900)를 위한 대용량 스토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스토리지 디바이스(906)는 플로피 디스크 디바이스, 하드 디스크 디바이스, 광학 디스크 디바이스 또는 테이프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유사한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또는 기타 구성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의 어레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정보 캐리어에 가시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또한 실행될 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 및/또는 컴퓨터 구현 방법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캐리어는 메모리(904), 스토리지 디바이스(906) 또는 프로세서(902) 상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또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이다.
고속 컨트롤러(908)는 컴퓨팅 디바이스(900)에 대한 대역폭 집약적 동작들을 관리하는 반면, 저속 컨트롤러(912)는 낮은 대역폭 집약적 동작들을 관리한다. 이러한 기능의 할당은 단지 예시일 뿐입니다. 일 구현예에서, 고속 컨트롤러(908)는 메모리(904), 디스플레이(916)(예: 그래픽 프로세서 또는 가속기를 통해) 및 다양한 확장 카드(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고속 확장 포트(910)에 결합된다. 구현예에서, 저속 컨트롤러(912)는 스토리지 디바이스(906) 및 저속 확장 포트(914)에 결합된다. 다양한 통신 포트들(예: USB, 블루투스, 이더넷, 무선 이더넷)을 포함할 수 있는 저속 확장 포트는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스캐너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디바이스 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를 통해 스위치 또는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킹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9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서버(920)로 구현되거나 이러한 서버 그룹에서 여러 번 구현될 수 있다. 랙 서버 시스템(924)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랩탑 컴퓨터(922)와 같은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900)의 구성요소들은 디바이스(950)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미도시)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900, 950)를 포함할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은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컴퓨팅 디바이스들(900, 950)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 프로세서(952), 메모리(964), 디스플레이(954)와 같은 입력/출력 디바이스, 통신 인터페이스(966) 및 트랜시버(968)를 포함한다. 디바이스(950)에는 추가 스토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로드라이브 또는 기타 디바이스와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950, 952, 964, 954, 966 및 968) 각각은 다양한 버스들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며, 여러 구성요소들은 공통 마더보드 또는 적절한 다른 방식들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952)는 메모리(964)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여 컴퓨팅 디바이스(950) 내의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별도의 다중 아날로그 및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세트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디바이스(95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디바이스(950)에 의한 무선 통신과 같은 디바이스(950)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952)는 제어 인터페이스(958) 및 디스플레이(954)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56)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54)는 예를 들어 TFT LCD(박막-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적절한 디스플레이 기술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956)는 디스플레이(954)를 구동하여 그래픽 및 기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958)는 사용자로부터 명령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서(952)에 제출하기 위해 명령들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962)는 프로세서(952)와 통신하도록 제공되어 다른 디바이스들과 디바이스(950)의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962)는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들에서는 유선 통신을 위해, 또는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무선 통신을 위해 제공할 수 있고, 다수의 인터페이스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964)는 컴퓨팅 디바이스(950) 내에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964)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미디어,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유닛들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유닛들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확장 메모리(974)는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IMM(단일 인라인 메모리 모듈) 카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확장 인터페이스(972)를 통해 디바이스(9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메모리(974)는 디바이스(950)에 추가 저장 공간을 제공하거나 디바이스(95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기타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 메모리(974)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안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확장 메모리(974)는 디바이스(950)를 위한 보안 모듈로서 제공될 수 있고 디바이스(950)의 안전한 사용을 허용하는 명령어들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보안 애플리케이션들은 SIMM 카드를 통해 해킹 불가능한 방식으로 SIMM 카드에 식별 정보를 배치하는 것과 같은 추가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NVRAM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정보 캐리어에 유형적으로 구현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실행될 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정보 캐리어는 예를 들어 트랜시버(968)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962)를 통해 수신될 수 있는 메모리(964), 확장 메모리(974) 또는 프로세서(952) 상의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 또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이다.
디바이스(950)는 필요한 경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966)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966)는 특히 GSM 보이스 콜, SMS, EMS 또는 MMS 메시징, CDMA, TDMA, PDC, WCDMA, CDMA2000 또는 GPRS와 같은 다양한 모드 또는 프로토콜 하에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968)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Wi-Fi 또는 기타 트랜시버(미도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단거리 통신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수신기 모듈(970)은 디바이스(95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내비게이션 및 위치 관련 무선 데이터를 디바이스(950)에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 (950)는 또한 오디오 코덱(960)을 사용하여 청각적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 가능한 디지털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코덱(960)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950)의 핸드셋에서와 같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가청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사운드는 보이스 전화 통화들로부터의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레코딩된 사운드(예: 보이스 메시지, 음악 파일 등)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디바이스(950)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생성된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98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982),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 또는 기타 유사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특별히 설계된 ASICs(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스토리지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된 특수 또는 범용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가능한 시스템에서 실행가능 및/또는 해석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서의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라고도 함)은 프로그래밍가능한 프로세서를 위한 기계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고급 절차 및/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용어들은 기계 명령어들을 기계 판독가능 신호로 수신하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여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에 기계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장치 및/또는 디바이스(예: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PLDs))를 의미한다. "기계 판독가능 신호"라는 용어는 프로그램가능한 프로세서에 기계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기법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 및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예: 마우스 또는 트랙볼)를 갖는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은 감각 피드백(예: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의 모든 형태일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음향, 스피치 또는 촉각적 입력을 포함한 모든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기법들은 백 엔드 구성요소(예: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거나 미들웨어 구성요소(예: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거나 프런트 엔드 구성요소(예: 사용자가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구현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가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하거나 이러한 백 엔드, 미들웨어 또는 프런트 엔드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모든 형태 또는 매체(예: 통신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에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및 인터넷이 포함된다.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들과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작용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각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인해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9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가상 현실 또는 헤드셋(VR 헤드셋/AR 헤드셋/HMD 디바이스(990))과 인터페이스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950)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AR/VR 헤드셋(990)에 입력을 제공하거나, 일반적으로 AR/VR 공간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들은 터치스크린,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압력 센서, 생체 인식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주변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센서들을 사용하여 AR/VR 공간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AR/VR 공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절대 포지션 및/또는 검출된 회전을 결정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컨트롤러, 레이저 포인터, 키보드, 무기 등과 같은 가상 객체로서 AR/VR 공간에 통합될 수 있다. AR/VR 공간에 통합될 때 사용자에 의한 컴퓨팅 디바이스/가상 객체의 포지셔닝은 사용자가 AR/VR 공간에서 특정 방식으로 가상 객체를 뷰잉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지셔닝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50)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이 AR/VR 공간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에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하나 이상의 버튼들, 트랙패드, 터치패드, 포인팅 디바이스,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카메라, 마이크로폰, 입력 기능이 있는 이어폰 또는 버드, 게임 컨트롤러 또는 기타 연결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팅 디바이스가 AR/VR 공간에 통합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950)에 포함된 입력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는 AR/VR 공간에서 특정 액션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5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은 AR/VR 공간에서 AR/VR 헤드셋(990)의 사용자에게 출력 및/또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 및 피드백은 시각적, 촉각적 또는 오디오일 수 있다. 출력 및/또는 피드백에는 AR/VR 공간 또는 가상 환경 렌더링, 진동, 하나 이상의 조명 또는 스트로브를 켜고 끄거나 깜박임 및/또는 번쩍임, 알람 소리, 차임 재생, 노래 재생 및 오디오 파일 재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 디바이스들은 진동 모터, 진동 코일, 압전 디바이스, 정전기 디바이스, 발광 다이오드(LED), 스트로브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AR/VR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 AR/VR 헤드셋(99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AR/VR 헤드셋(990)은 스마트폰(982)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950)를 AR/VR 헤드셋(990) 내의 적절한 포지션에 배치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포지셔닝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982)의 디스플레이는 AR/VR 공간 또는 가상 환경을 나타내는 입체 이미지들을 렌더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컴퓨터 생성 3D 환경에서 또 다른 객체로 나타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950)와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예: 회전, 흔들기, 터치스크린 터치,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 스와이프)은 AR/VR 공간에서 객체와의 상호작용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레이저 포인터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컴퓨터 생성 3D 환경에서 가상 레이저 포인터로 나타난다.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950)를 조작함에 따라, AR/VR 공간의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의 움직임을 보게 된다.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950) 또는 AR/VR 헤드셋(990) 상의 AR/VR 환경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50)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5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서 일어나는 일과 AR/VR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을 모방할 수 있는 특정 방식으로 터치스크린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확대/축소하기 위해 핀칭 타입의 모션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서 핀칭 타입의 모션으로 AR/VR 공간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확대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터 생성 3D 환경에서 가상 책으로 렌더링될 수 있다. AR/VR 공간에서, 책의 페이지가 AR/VR 공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스와이핑하면 가상 책의 페이지를 넘기거나 뒤집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각 페이지를 넘기거나 뒤집을 때 페이지 내용이 변경되는 것을 보는 것 외에도, 사용자는 책에서 페이지를 넘기는 소리와 같은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예: 마우스, 키보드) 외에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이 컴퓨터 생성 3D 환경에서 렌더링될 수 있다. 렌더링된 입력 디바이스들(예: 렌더링된 마우스, 렌더링된 키보드)은 AR/VR 공간에서 렌더링된 대로 객체들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 묘사된 논리 흐름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 표시된 특정 순서나 순차적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된 흐름으로부터 다른 단계가 제공되거나 단계가 제거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시스템에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들은 다음 청구범위 내에 있다.
위의 설명에 더하여, 사용자는 여기에 설명된 시스템들, 프로그램들, 디바이스들, 네트워크들 또는 특징들이 사용자 정보(예: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소셜 액션들 또는 활동들, 직업, 사용자의 선호도들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수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 여부와 사용자가 서버에서 콘텐츠 또는 통신을 수신하는지 여부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을 제공받는다. 또한, 특정 데이터는 저장되거나 사용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방식들로 처리되어 사용자 정보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원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결정할 수 없도록 처리될 수 있거나, 위치 정보가 획득된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일반화되어(예: 도시, 우편 번호 또는 주 레벨) 사용자의 특정 위치가 결정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에 대해 수집되는 정보, 해당 정보가 사용되는 방법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예: 컴퓨팅 디바이스)은 무선 주파수(RF), 마이크로웨이브 주파수(MWF) 및/또는 적외선 주파수(IRF) 무선 통신 기술 및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임의의 알려진 무선 통신 기술 및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서버와 설정된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의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예들은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예: 프로그래밍가능한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에 의해 프로세싱하거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정보 캐리어, 기계 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유형적으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 실행형 프로그램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타 유닛을 포함하여 임의의 형태로 배포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또는 한 사이트의 다수의 컴퓨터들에서 프로세싱되도록 배치되거나 다수의 사이트들에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들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표적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형 "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구성되다", "구비하는",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단계들, 동작들, 포함하다, 구성요소들 및/또는 그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결합된", "연결된" 또는 "응답하는" 또는 "위에" 있는 것으로 언급될 때, 그것은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거나, 응답하거나, 또는 위에 있을 수 있거나, 다른 요소 또는 중간 요소들 또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결합된", "직접 연결된" 또는 "직접 응답하는 " 또는 "직접 위"라고 언급될 때, 중간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나열된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과 관련하여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을 다른 요소와 관련하여 설명하기 위해, "밑에", "아래", "하부", "위", "상부"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이 본 명세서에서 용이한 설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 묘사된 방향에 더하여 사용 또는 동작 중인 디바이스의 상이한 방향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 내 디바이스가 뒤집힌 경우,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아래" 또는 "밑에"로 설명되는 요소들은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위"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용어는 위 및 아래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다른 방향(70도 회전 또는 다른 방향)으로 향할 수 있으며 여기에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자는 그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개념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상화된 실시예들(및 중간 구조들)의 개략적 예시들인 단면도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의 결과적으로 그림의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기술된 개념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영역의 특정 모양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예를 들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양들의 편차들도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들은 본질적으로 개략적이며, 그 모양들은 디바이스 영역의 실제 모양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들이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들이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 포함)은 이러한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들에 정의된 용어들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 및/또는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그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기술된 구현예들의 특정 특징들이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설명되었지만, 이제는 당업자들에게 많은 수정, 대체, 변경 및 등가물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구현예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제시된 것이며, 형태 및 세부 사항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장치 및/또는 방법의 일부는 상호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예들은 설명된 상이한 구현예들의 기능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의 다양한 조합 및/또는 하위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6)

  1. 컴퓨터 구현 방법으로서,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캡처 모드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정지 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샷 모드이며; 및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처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 레코딩 모드인, 컴퓨터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콘텐츠 및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및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오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캡처 모드 또는 상기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제공하는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하는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플로팅(flo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섹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전체 스크린 캡처 기능, 커스텀(custom) 캡처 기능 또는 윈도우 캡처 기능의 선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커스텀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콘텐츠의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캡처 포인트와 상기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경계의 모서리 또는 상기 캡처 영역의 경계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조정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캡처 영역의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는 또한:
    상기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서 제2 조정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레코딩 캡처 영역에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단계;
    상기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고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동안 스크린샷을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는 스크린 레코딩 내의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커스텀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커스텀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캡처 포인트와 상기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추가로: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 캡처 영역에 포함된 스크린 콘텐츠의 스크린샷을 캡처하는 단계; 및
    상기 캡처된 스크린샷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클립보드 스토리지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GPU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GPU로부터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을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린 캡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는:
    미리 정의된 권한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권한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린 캡처 동작의 완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 캡처 동작의 완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퀵 액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해 생성 및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퀵 액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액션들 중 하나의 선택을 제공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운영 시스템에 의해,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로의 운영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스크린 캡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캡처 모드로의 상기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캡처 모드로의 상기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6. 시스템으로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상기 선택된 캡처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것은: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게 하고, 상기 제1 캡처 모드는 상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정지 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샷 모드이며; 그리고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처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 레코딩 모드인,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처 모드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비디오 콘텐츠와 연관된 오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트리거하게 하는,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캡처 모드 또는 상기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제공하는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섹션;
    전체 스크린 캡처 영역, 커스텀 캡처 영역 또는 윈도우 캡처 영역의 선택을 제공하는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섹션;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스크린 캡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플로팅을 포함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커스텀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며, 상기 커스텀 캡처 영역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는 것은: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초기 캡처 포인트와 상기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을 정의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을 추가로 정의하게 하며,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을 추가로 정의하게 하는 것은: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경계의 모서리 또는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의 경계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조정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된 제1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의 크기 또는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서 제2 조정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조정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캡처 영역의 경계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콘텐츠를 조정하게 하는, 시스템.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선택된 캡처 모드로 시스템을 동작하게 하고, 상기 선택된 캡처 모드로 상기 시스템을 동작하게 하는 것은:
    상기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레코딩 캡처 영역에 출력되는 비디오 콘텐츠의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게 하고;
    상기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고 상기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고 스크린 레코딩을 캡처하는 동안 스크린샷을 캡처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스크린 레코딩 캡처 영역 내의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는 커스텀 스크린 캡처 기능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2 캡처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는 것은:
    상기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초기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포인트 입력에서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스크린샷 캡처 영역의 최종 캡처 포인트를 식별하는 포인트 입력의 해제를 검출하게 하며; 그리고
    상기 초기 캡처 포인트와 상기 최종 캡처 포인트 사이의 궤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샷 캡처 영역을 정의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미리 정의된 권한 데이터에 액세스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권한 데이터에 따라 선택된 캡처 모드로의 동작을 트리거하게 하는, 시스템.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에서의 동작의 완료를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에서의 동작의 완료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퀵 액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하기 위해 생성 및 트리거하게 하고, 상기 퀵 액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캡처된 스크린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액션들 중 하나의 선택을 제공하는, 시스템.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컴퓨팅 시스템이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의 운영 시스템으로 하여금: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스크린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크린 캡처 모드로 상기 운영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자를 동작하게 하고, 상기 운영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자를 동작하게 하는 것은,
    상기 제1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캡처 모드로의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게 하고, 상기 제1 캡처 모드는 상기 컴퓨팅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정지 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샷 모드이며; 및
    상기 제2 캡처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캡처 모드로의 콘텐츠 관리자의 동작을 트리거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처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캡처를 위한 스크린 레코딩 모드인, 시스템.
KR1020237018594A 2020-12-30 2021-10-06 스크린 콘텐츠 캡처 관리 KR20230123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47,914 US20220206645A1 (en) 2020-12-30 2020-12-30 Management of screen content capture
US17/247,914 2020-12-30
PCT/US2021/071733 WO2022147377A1 (en) 2020-12-30 2021-10-06 Management of screen content cap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936A true KR20230123936A (ko) 2023-08-24

Family

ID=7861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594A KR20230123936A (ko) 2020-12-30 2021-10-06 스크린 콘텐츠 캡처 관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06645A1 (ko)
EP (1) EP4217842A1 (ko)
KR (1) KR20230123936A (ko)
WO (1) WO2022147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0240B2 (en) 2020-11-11 2024-03-12 Motorola Mobility Llc Media content recording with sensor data
CN114691061A (zh) 2020-12-29 2022-07-01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在扩展显示屏幕记录期间管理的个人内容
CN114691060A (zh) 2020-12-29 2022-07-01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在设备屏幕记录期间管理的个人内容
CN114915744A (zh) * 2021-02-09 2022-08-16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为受限屏幕记录而管理的记录内容
US11755192B1 (en) 2022-07-05 2023-09-12 Loo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itiating a recording sess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by dragging a drag-to-record element
US11836337B1 (en) * 2023-01-06 2023-12-05 Motorola Mobility Llc Automated static or dynamic format selection of screen shot capture responsive to size of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7595A1 (en) * 2003-11-05 2005-05-05 Matti Lipsan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content
JP4473256B2 (ja) * 2006-12-27 2010-06-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によるリソース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7123B2 (ja) * 2011-12-13 2016-03-1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第1電子機器、第2電子機器、画像ファイル再生方法および提供方法
CN108449625B (zh) * 2018-01-30 2020-08-07 深圳市创梦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截图方法、装置及终端
US10943018B2 (en) * 2018-11-08 2021-03-09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shot mediation based on poli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7377A1 (en) 2022-07-07
US20220206645A1 (en) 2022-06-30
EP4217842A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52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nd interacting with a companion-display mode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11402968B2 (en) Reduced size user in interface
US10606540B2 (en) Device having a screen region on a hinge coupled between other screen regions
US20220206645A1 (en) Management of screen content capture
US10416789B2 (en) Automatic selection of a wireless connectivity protocol for an input device
US10013098B2 (en)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990105B2 (en) Accessible contextual controls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606469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multiple display windows
US95294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one-handed operation of a large smartphone or a small tablet computer
US8842082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annotating an electronic document
JP5675997B2 (ja) フォーカスに基づいて起動されるハードウェアボタン
EP2521022A2 (en) Method for finely controlling conten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249579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embedded interactive content
US11979656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ssisted photo- taking
KR20140128208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513157A (ja) 携帯用装置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US2023001261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Data Stored on a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