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792A -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 - Google Patents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792A
KR20230123792A KR1020220021012A KR20220021012A KR20230123792A KR 20230123792 A KR20230123792 A KR 20230123792A KR 1020220021012 A KR1020220021012 A KR 1020220021012A KR 20220021012 A KR20220021012 A KR 20220021012A KR 20230123792 A KR20230123792 A KR 2023012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ir bubble
micrometer
discrimin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완
이용제
신유리미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2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792A/ko
Publication of KR2023012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15/143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using an analys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optical arrangement
    • G01N15/1436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using an analys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optical arrangement the optical arrangement forming an integrated apparatus with the sample container, e.g. a flow c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07Investigating dispersion of gas
    • G01N2015/0011Investigating dispersion of gas in liquids, e.g. bub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53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liquids, e.g. trou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A method of discrimination between a micrometer-sized impurity particle and air bubble in a liquid using dual photodiodes}
본 발명은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에 관한 것이다.
액체 파티클 카운터 장비 사용시, 액체 내에 존재하는 μm 정도 크기의 메탈 입자 불순물과 공기 방울(bubble)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액체 내의 불순물(보통 메탈 입자)과 공기 방울의 구분 확률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여 액체 파티클 카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공기 방울 구별법을 제공한다.
공기 방울을 구별하여 불순물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도 1.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입자 계수기 개략도
도 2. 불순물 입자가 지나갈 때 광전변환소자에 측정되는 신호.
도 3. 공기 방울 입자가 지나갈 때 광전변환소자에 측정되는 신호.
도 4. 폭이 좁은 타원체 형태의 불순물 입자가 길이 방향으로 지나갈 때 광전변환소자에 측정되는 신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과 같이 플로우 셀(flow cell, 위치1)에 액체가 흐르고 있을 때 불순물로써 메탈 입자가 섞여 있거나 주변의 마찰 및 와류로 인하여 공기 방울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검출하기 위하여 레이저(위치2)를 플로우 셀 밖에 위치시켜 렌즈(위치3)로 약 수 μm 크기로 집속시키고 입자 및 공기방울(위치4)에서 반사 및 산란된 빛을 광전변환소자(위치5,6)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측정하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 레이저에서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빛을 제거하기 위해서 빛의 방향과 90도 방향인 곳에 광전변환소자를 위치시키고 입자에서 반사 및 산란된 빛만 검출하게 되는데, 불순물 입자 뿐 아니라 공기 방울 역시 반사 및 산란이 일어나므로 두 입자를 구별하기 어렵게 된다.
불순물 입자는 보통 메탈로 이루어져 있고, 사용되는 레이저의 자외선부터 근적외선 파장 영역까지 흡수되어 광학적으로 불투명하므로 투과하는 광량이 적은 반면, 공기 방울 입자는 빛을 굴절시키나 흡수하지는 않으므로 반사로 인해 소실되는 광량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투과하게 된다.
광전변환소자를 레이저 산란각 90도(위치 5)와 투과방향(위치 6)에 각각 위치시키고 레이저를 조사할 때, 불순물 입자가 지나가는 경우 위치 5의 소자에서는 도 2의 신호 2처럼 반사 및 산란에 의한 신호가 증가하게 되며, 도 1의 위치 6 소자에서는 도 2의 신호 1과 같이 흡수, 반사, 산란에 의해 최대값에서 감소하는 신호가 얻어진다. 이에 비해, 공기 방울이 지나가는 경우는 도 3의 신호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산란각 90도 방향에서 도 2의 신호 2와 비슷한 양상으로 신호가 얻어지나 훨씬 작은 신호가 측정되며, 투과 방향에서는 도 3의 신호 1과 같이 최대 신호에서 감소하는 양상이나 흡수가 없으므로 감소 폭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도 2와 도 3의 차이는 불순물 입자에 의한 흡수가 주요 원인이며, 이는 신호 1, 3의 차이를 나타낸다. 만약 불순물 입자와 공기 방울의 입자 크기가 동일하며 구 형태라고 가정한다면 신호의 반측폭(가로 점선으로 표기)으로 입자의 크기를 알 수 있고 신호 3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어 불순물인지 공기 방울인지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나 구 형태가 아닌 폭은 좁으나 길이는 유지되는 타원체 불순물이 길이 방향으로 지나갈 경우, 좁은 폭에 의하여 도 4의 신호 1에 나타낸 것처럼 반측폭은 유지된 채로 흡수, 반사 및 산란 신호 크기는 도 2와 도 3의 신호 1의 사이 값에, 반사 및 산란 신호는 도 2와 도 3의 신호 2의 사이 값에 존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입자가 구 형태로만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산란각 90도 측정만으로 불순물과 공기 방울을 구별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존재하므로 오판독이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산란각 90도 뿐 아니라 투과방향도 측정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공기 방울 구별법.
KR1020220021012A 2022-02-17 2022-02-17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 KR20230123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12A KR20230123792A (ko) 2022-02-17 2022-02-17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012A KR20230123792A (ko) 2022-02-17 2022-02-17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92A true KR20230123792A (ko) 2023-08-24

Family

ID=8784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12A KR20230123792A (ko) 2022-02-17 2022-02-17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620B2 (en) Automatic power control liquid particle counter with flow and bubble detection systems
CA1130604A (en) Oil-in-water method and detector
Schäfer et al. Time-shift technique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ize, velocity, and relative refractive index of transparent droplets or particles in a flow
JPH02134540A (ja) 微粒子測定装置
EP35469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roperties of a liquid
CN104677789B (zh) 一种纳米颗粒计数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30123792A (ko) 듀얼 광전변환소자를 사용한 액체 내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불순물 메탈 입자와 공기 방울의 구분법
EP3319057A1 (en) Integrated smoke detection device
Durst et al. A review of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planar phase-Doppler anemometry
CA2879488C (en) Coin and method for testing the coin
CN104833820A (zh) 一种基于荧光示踪技术的流速测量系统及方法
US6465802B1 (en) Particle measurement apparatus flow cell useful for sample fluid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JP3530078B2 (ja) フローセル及びこのフローセルを用いた粒子測定装置
CN103267744B (zh) 基于直角棱镜的浊度光学检测装置
US9952150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scattering of a sample
US20200249159A1 (en) Optical vortex transmissometer
EP4062153B1 (en) Optical based particulate matter sensing
JP2006317270A (ja) 濁度計
JP3530061B2 (ja) フローセル及びこのフローセルを用いた粒子測定装置
AU2023201469A1 (en) Crystalline Particle Detection
KR200320686Y1 (ko) 유체 검출장치
JPH02168138A (ja) 微粒子測定装置
JPH0438279Y2 (ko)
JPH0758256B2 (ja) 微粒子計測装置
Fandrey et al. A phase Doppler system for high concentration spr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