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764A -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764A
KR20230123764A KR1020220020944A KR20220020944A KR20230123764A KR 20230123764 A KR20230123764 A KR 20230123764A KR 1020220020944 A KR1020220020944 A KR 1020220020944A KR 20220020944 A KR20220020944 A KR 20220020944A KR 20230123764 A KR20230123764 A KR 2023012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assembly
bar housing
battery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수
김기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764A/en
Priority to EP22215995.6A priority patent/EP4235910A1/en
Priority to US18/087,245 priority patent/US20230261329A1/en
Priority to CN202211682255.1A priority patent/CN116666866A/en
Publication of KR2023012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배터리가 적층되는 배터리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부를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온도센싱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전압센싱부; 상기 온도센싱부와 상기 전압센싱부에 각각 결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면을 감싸며, 좌우 방향 양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측면을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stacked; and a bus bar housing assembly surrou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assembly, wherein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unit hav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aving a first fixing hole formed at a portion thereof; a voltage sensing unit having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pressure and having a second fixing hole formed at a portion; bus ba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And a bus bar housing to which the bus bar is coupled,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and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Description

배터리모듈{BATTERY MODULE}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최근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전력 저장 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are commonly used not only in portable devices but also in electric vehicles (EVs) or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driven by an electric driving source, energy storage systems (ESSs), and the like.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6V이다.Types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e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the like. The unit secondary battery cell, that is,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unit battery cell is about 2.5V to 4.6V.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refore, when an output voltage higher than this is required, a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In addition, a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parallel according to a charge/discharge capacity required for the battery pack. Accordingl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or charge/discharge capacity.

다수의 이차전지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미리 정해진 개수의 이차전지 셀들을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 구성하고,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 및 기타 구성요소를 조립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이차전지 셀들은 일반적이다.When configuring a battery pack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y cells in series/parallel, a predetermined number of secondary battery cells are configured as one battery module, and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nd other components are assembled to configure the battery pack. How to do it is common. Here, secondary battery cells constituting a battery module or a battery pack are common.

한편, 이차전지는 충방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다. 배터리 모듈에는 이러한 이차전지들이 좁은 공간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은 운용 중에 온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이 적정 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폭발이나 발화의 위험도 있다.On the other hand, hea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pea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secondary battery. Since these secondary cells are concentrated in a small space in the battery modul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may increase significantly during operation. If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is higher than the proper temperature, the performance may deteriorate, and in severe cases,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or ignition.

따라서, 배터리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냉각 수단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배터리 모듈의 냉각 방식에는 대표적으로 공냉식과 수냉식,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누전이나 방수 문제 등으로 인해 공냉식이 수냉식보다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a cooling means in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There are typically two cooling methods of the battery module, air cooling and water cooling, and air cooling is more widely used than water cooling due to leakage or waterproof problems.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공냉식 배터리 모듈은, 일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배터리 셀들 사이 사이에 갭을 두어 유로를 확보하고, 상기 유로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구조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air-cooled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often design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is secured by leaving gaps between battery cells stacked and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air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공냉식 배터리 모듈은 중대형 배터리 모듈 내지 배터리 팩의 경우, 공기 유로 확보를 위한 단위 셀과 단위 셀 사이의 간격들 때문에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ir-cooled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of low energy density per unit volume due to gaps between unit cells for securing an air flow path in the case of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modules or battery packs.

또한, 배터리 모듈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 경우, 단위 셀과 단위 셀이 밀착되어 유로가 없어지거나, 좁은 유로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유로가 막힐 염려가 있어 구조적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shock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battery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nit cel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nit cell and the flow path is lost or the flow path is clogged due to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narrow flow path, resulting in insufficient structural st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 모듈의 하단을 통해 배터리 셀을 직접 냉각함으로써 냉각 성능 증대 및 냉각 레이아웃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increases cooling performance and improves the degree of freedom of cooling layout arrangement by directly cooling battery cell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modul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의 냉각을 위해 별도의 열교환 장치 등을 추가하지 않고도 배터리 셀을 직접냉각 할 수 있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directly cooling battery cells without adding a separate heat exchanger or the like to cool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은, 복수 개의 배터리가 적층되는 배터리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부를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온도센싱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전압센싱부; 상기 온도센싱부와 상기 전압센싱부에 각각 결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면을 감싸며, 좌우 방향 양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측면을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stacked; and a bus bar housing assembly surrou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assembly, wherein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includes a temperature sensing unit hav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aving a first fixing hole formed at a portion thereof; a voltage sensing unit having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pressure and having a second fixing hole formed at a portion; bus ba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and a bus bar housing to which the bus bar is coupled, surrounds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and extends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상기 버스바는, 판 형상을 갖는 버스바 몸체; 상기 버스바 몸체의 죄우 방향 일 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단절곡부; 및 상기 버스바 몸체의 좌우 방향 타 측 단부에서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온도센싱부 및 상기 전압센싱부가 밀착되는 접속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may include a bus bar body having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side end-bent parts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us bar body in the right-lef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bus ba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버스바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면을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 몸체;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좌우 방향 양끝에 형성되고 상기 측단절곡부가 수용되는 절곡부수용부;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 끝부분을 향해 절곡된 상태로 상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면 및 측면에 밀착 구비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housing may include a bus bar housing body to which the bus bar is coupled and surround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Ben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ccommodating the side end bent portions; and a hook portion protruding upward in a bent state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bus bar housing body toward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and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body.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온도센싱부와 상기 전압센싱부의 상기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홀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배터리 조립체에서 발산되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가스 배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us bar housing body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hole and the second fixing hol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gas discharge holes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top of the bus bar housing body to discharge the gas emitted from the battery assembly, and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전압센싱부와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레이저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The voltage sensing unit and the bus bar housing may be joined by laser welding.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좌우 방향 끝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partition walls protruding upward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전후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를 가압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배터리 조립체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attery assemb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and pressing the battery assembly; further comprising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and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to bind the battery assembly and the side plate assembly to each other. A band member provided to surround the battery assembly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밴드 부재는, 상기 배터리 조립체,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결속시키도록 상기 배터리 조립체, 한쌍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부 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nd member is an upper band member provided to surround the battery assembly,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and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to bind the battery assembly,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and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 can be included.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웃터 부재 몸체 및 상기 아웃터 부재 몸체의 좌우방향의 양단이 각각 전후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영역을 포함하는 아웃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 부재는, 상기 아웃터 부재 몸체의 상부 영역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 영역; 및 상기 제1 돌출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좌우 방향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밴드 부재는, 상기 아웃터 부재 중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측면 중 상기 하우징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되는 영역을 각각 둘러싸면서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plate assembly includes an outer member body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n outer member including a bending area in which both ends of the outer memb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bent in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spectively, wherein the outer member includes the a first protruding area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area of the outer member body; And a second protruding area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ding area and protruding outwardly, wherein the bus bar housing further includes a housing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a side surfac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herein the upper part The band member may be provided while surrounding an area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area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of the outer member and an area formed above the housing flange among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housing.

상기 상부 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 플랜지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band member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housing flange.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는,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구비된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면 영역 및 상기 상면 영역의 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몸체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커버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housing assembly includes a bus bar housing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having an indented shape, and the upper cover includes a body of the upper cover and a cover body including an upper surface area and a side area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upper surface area, wherein the cover body is formed on the left-right side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protrudes in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cover hook;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온도센싱부가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전압센싱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상기 밴드 부재의 소재는 금속이나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band member may be metal or polymer resin.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조립체 하단을 직접 냉각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냉각 성능 증대 및 냉각 레이아웃 배치의 자유도 향상을 통한 설계 표준화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ndardize design by changing the method of directly cooling the bottom of the battery assembly to increase cooling performance and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of cooling layout arrangement.

또한, 배터리 조립체의 냉각을 위해서 히트 플레이트 등의 열교환 추가 부재의 적용없이 배터리 조립체의 하단을 직접 냉각하여 배터리 조립체의 중량, 원가 및 부피를 줄이고, 중량대비 에너지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ol the battery assembly,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assembly is directly cooled without applying an additional heat exchanging member such as a heat plate to reduce the weight, cost and volume of the battery assembly, and improve the energy density per weight.

또한, 배터리 조립체에 수용되는 배터리 개수의 직렬 또는 병렬 적층의 자유도 확보를 통해 표준화가 가능하여 배터리 조립체 모양의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andardize the degree of freedom of series or parallel stacking of the number of batterie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assembly, so that scalability of the shape of the battery assembly can be secured.

또한, 밴드 부재의 적용을 통해 배터리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스웰링을 방지하면서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ile stably fixing the battery assembl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and member and preventing swelling,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weight and cost.

또한, 일부의 부품을 알루미늄 압출에서 프레스 공법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적용을 통한 경량화 및 절연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lightweight and insulating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by changing some parts from aluminum extrusion to press method or by applying plasti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아웃터 부재와 아웃터 부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와 로어 가이드 브라켓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조립체에 로어 가이드 브라켓,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밴드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와 버스바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부분상세도이다.
도 11의 (a) 내지 (c)는 도 10의 A-A부분, B-B부분 및 C-C부분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부가 냉각유로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부재가 결합된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부재가 결합된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id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uter member and an outer bushing of the sid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d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ttery assembly and a lower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wer guide bracket, a side plate assembly, and a band member are coupled to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bar hou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bar hou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partial detailed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us bar and a bus ba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portions AA, BB, and CC of FIG. 10, respectively.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oling passage.
14 is a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in which a ban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1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in which a ban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배터리모듈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아웃터 부재와 아웃터 부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와 로어 가이드 브라켓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조립체에 로어 가이드 브라켓,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밴드 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와 버스바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부분상세도이며, 도 11의 (a) 내지 (c)는 도 10의 A-A부분, B-B부분 및 C-C부분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하부가 냉각유로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id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attery assembly and the lower guid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lower guide bracket, side plate assembly and band member coupled to the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bar hou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s bar hou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partial detailed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us bar and a bus ba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a) to (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ortions A-A, B-B and C-C of FIG. 1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ooling passag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being in contact with.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10)은 배터리 조립체(100),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 상부커버(400) 및 밴드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3,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assembly 100, a side plate assembly 200, a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an upper cover 400, and a band member. (500).

배터리 조립체(100)에는 복수 개의 배터리가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배터리 조립체(100)는 전기차에 사용될 수 있으나, 배터리 조립체(100)의 사용처는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 조립체(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는 각형 배터리일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 않고 원통형 배터리 또는 파우치형 배터리일 수도 있다.A plurality of batteries may be stacked in the battery assembly 100 . For example, the battery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n electric vehicle, but the us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battery provided in the battery assembly 100 may be a prismatic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or a pouch type battery.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side plate assembly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는 한 쌍을 이루면서 배터리 조립체(100)의 전후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는 배터리 조립체(100)에 밀착되어 배터리 조립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조립체(100)에 구비되는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5 , the side plate assemblies 200 may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battery assembly 1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ile forming a pair. More specifically, the side plate assembly 200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ttery assembly 100 and press the battery assembly 1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elling phenomenon o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battery assembly 100 can be suppressed.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는 아웃터 부재(210), 이너부재(220) 및 아웃터 부싱(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late assembly 200 may include an outer member 210 , an inner member 220 and an outer bushing 230 .

아웃터 부재(21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웃터 부재 몸체(216) 및 아웃터 부재 몸체(216)의 좌우방향의 양단이 각각 전후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영역(2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member 210 may include an outer member body 216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bending area 218 in which both ends of the outer member body 216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bent in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spectively.

아웃터 부재(210)는 제1 돌출 영역(212), 제2 돌출 영역(214) 및 제3 돌출영역(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영역(212)은 아웃터 부재 몸체(216)의 상부 영역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 영역(214)은 제1 돌출 영역(212)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출 영역(216)은 제2 돌출 영역(214)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member 210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area 212 , a second protruding area 214 , and a third protruding area 216 . The first protruding area 212 is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outer member body 216 and may protrude out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second protruding area 214 may be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ding area 212 and protrude out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third protruding area 216 may be spaced downward from the second protruding area 214 and protrude outward in the front-back direction.

아웃터 부재(210)의 절곡영역(218)에는 홀(30a)이 형성되고, 아웃터 부싱(230)에는 홀(30b)이 형성되며, 아웃터 부재(210)에 형성되는 홀(30a)과 아웃터 부싱(230)에 형성되는 홀(30b)을 통해 아웃터 부재(210) 및 아웃터 부싱(230)은 서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아웃터 부재(210)는 프레스 공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고분자 수지 계열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A hole 30a is formed in the bending area 218 of the outer member 210, a hole 30b is formed in the outer bushing 230, and the hole 30a formed in the outer member 210 and the outer bushing ( The outer member 210 and the outer bushing 23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le 30b formed in the 230 . Meanwhile, the outer member 21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ress method and may be made of polymer resin-based plastic.

이너부재(220)는 전후방향으로 아웃터 부재(2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배터리 조립체(100)에 밀착될 수 있다.The inner member 220 is located inside the outer member 2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ttery assembly 100 .

이너부재(220)는 이너부재 몸체(221), 인서트 너트(222), 조립돌기(224), 이너부재 보강리브(2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member 220 may include an inner member body 221 , an insert nut 222 , an assembly protrusion 224 , and an inner member reinforcing rib 226 .

인서트 너트(222)는 배터리 조립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너부재 몸체(221)에 삽입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바(330)의 양극단자(335)와 음극단자(336)는 인서트 너트(222)를 통해 배터리 조립체(100)를 전력 수요부(예를 들어,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insert nut 2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ssembly 100 and inserted into the inner member body 221 . Specifically, the positive terminal 335 and the negative terminal 336 of the bus bar 33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assembly 100 to a power demand unit (eg, a motor) through an insert nut 222. .

조립돌기(224)는 아웃터 부싱(230)에 형성된 조립홀(232)에 결합되도록 조립홀(232)에 대응하여 이너부재 몸체(221)의 좌우 방향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assembling protrusions 224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inner member body 221 in the left-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ing holes 232 so as to be coupled to the assembling holes 232 formed in the outer bushing 230 .

이너부재 보강리브(226)는 이너부재 몸체(22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부재 보강리브(226)는 배터리 조립체(1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배터리의 지속적인 충방전 등으로 인한 셀 두께 변화 발생으로부터 배터리 조립체(100)의 완충을 위해 이너부재 몸체(221)의 내부에 허니컴(honeycomb, 벌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너부재 보강리브(226)의 형상은 허니컴 형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inner member reinforcing rib 226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ner member body 221 . Specifically, the inner member reinforcing rib 226 protects the battery assembly 100 from external impact or the inner member body ( 221) may be formed in a honeycomb (honeycomb)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inner member reinforcing rib 226 is not limited to the honeycomb shape.

아웃터 부싱(230)은 이너부재(220)의 좌우방향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아웃터 부재(210)의 절곡영역(218)에 고정될 수 있다. 아웃터 부재(210)에 형성되는 홀(30a)과 아웃터 부싱(230)에 형성되는 홀(30b)에서 용접 결합에 의해 아웃터 부싱(230)과 아웃터 부재(210)가 서로 고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The outer bushings 230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ner member 2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fixed to the bending area 218 of the outer member 210 . The outer bushing 230 and the outer member 210 can be fixed to each other by welding in the hole 30a formed in the outer member 210 and the hole 30b formed in the outer bushing 230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bar

한편, 아웃터 부싱(230)은 내측의 일부분에 이너부재(220)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조립홀(23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uter bushing 230 may include an assembly hole 232 provided to insert the inner member 220 into a portion of the inner side.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Busbar housing assembly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는 배터리 조립체(100)의 상부를 감쌀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to 11 ,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may cover the top of the battery assembly 100 .

보다 상세하게,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는 온도센싱부(310), 전압센싱부(320), 버스바(330), 버스바 하우징(340) 및 커넥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 a voltage sensing unit 320 , a bus bar 330 , a bus bar housing 340 and a connector 360 .

온도센싱부(31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1 고정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싱부(310)는 배터리 조립체(100) 및 그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온도센싱부(310)를 통해서 감지된 배터리나 주변 온도를 통해서 배터리 조립체(100)의 배터리의 이상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may have a first fixing hole 312 formed in a portion there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may be a componen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and its surroundings. That i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battery of the battery assembly 100 has an abnormality through the battery or the ambient temperature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

전압센싱부(320)에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2 고정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제적으로, 전압센싱부(320)의 전압센서를 통해서 배터리 조립체(100) 내 배터리들의 부피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압센싱부(320)를 통해 배터리 조립체(100)의 부피 변화에 따른 배터리 조립체(100)의 변형이나 뒤틀림의 정도를 감지하여 전술한 온도센싱부(310)와 함께 배터리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배터리들의 방전이나 이상 여부 등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다.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pressure may be provided in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and a second fixing hole 322 may be formed in a portion thereof. Specifically, a volume change of the batteries in the battery assembly 100 may be sensed through the voltage sensor of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 That is, the degree of deformation or twist of the battery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is detected through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and the battery assembly 100 is operated together wit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ct in advance whether the constituting batteries are discharged or abnormal.

구체적으로, 온도센싱부(310)와 전압센싱부(320)는 인쇄회로기판(PC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싱부(310)와 전압센싱부(320)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은 유연성이 구비된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flexibility.

전압센싱부(320)와 버스바 하우징(340)은 레이저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용접은 에너지 밀도가 높고 고융점 금속의 용접이 가능하며, 용접입열이 대단히 적고, 열 방향 범위가 좁으며, 열원이 빛의 빔이기 때문에 투명 재료를 통해서 어떤 환경 속에서나 용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용접 방식은 레이저용접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voltage sensing unit 320 and the bus bar housing 340 may be joined by laser welding. Specifically, laser welding can weld high-melting metals with high energy density, very little welding heat input, narrow heat direction range, and since the heat source is a beam of light, welding is possible in any environment through transparent materials.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However, the welding method is not limited to laser welding.

버스바(330)는 온도센싱부(310)와 전압센싱부(3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버스바(330)는 버스바 몸체(331), 측단절곡부(332) 및 접속돌출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몸체(331)의 상부에는 온도센싱부(310)가 결합되고, 버스바 몸체(331)의 하부에는 전압센싱부(32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버스바 몸체(331)의 상부에는 전압센싱부(320)가 결합되고, 버스바 몸체(331)의 하부에는 온도센싱부(310)가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The bus bar 330 may be coupl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respectively. The bus bar 330 may include a bus bar body 331, a side end bent portion 332, and a connection protrusion 334. A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331, and a voltage sensing unit 320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331, respectively. Or, conversely,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331, and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331, respectively.

버스바 몸체(331)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단절곡부(332)는 복수 개가 버스바 몸체(331)의 죄우 방향 일 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절곡 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측단절곡부(332)를 통해 버스바(330)는 버스바 하우징(340)에 고정될 수 있다. 접속돌출부(334)는 버스바 몸체(331)의 좌우 방향 타 측 단부에서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속돌출부(334)에는 온도센싱부(310) 및 전압센싱부(320)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싱부(310)와 전압센싱부(320)에서 감지된 온도 및 압력에 대한 신호는 버스바(330)에 전달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331 may have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side end-bent portions 332 may have a shape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us bar body 331 in the right-left dire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us bar 330 may be fixed to the bus bar housing 340 through the side bending portion 332 . The connection protrusion 334 may protrude in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us bar body 331 .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rotrusion 334 . Accordingly, signals for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bus bar 330 .

버스바 하우징(340)에는 버스바(330)가 결합될 수 있고, 배터리 조립체(100)의 상면을 감싸며, 좌우 방향 양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배터리 조립체(10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The bus bar 330 may be coupled to the bus bar housing 340,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and may extend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버스바 하우징(340)은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 절곡부수용부(341) 및 갈고리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는 버스바(330)가 결합되고 배터리 조립체(100)의 상면을 감쌀 수 있다. 절곡부수용부(341)는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의 좌우 방향 양끝에 형성되고 측단절곡부(332)가 수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절곡부수용부(341)에는 측단절곡부(332)가 삽입되는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갈고리부(342)는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의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 끝부분을 향해 절곡된 상태로 상방 돌출 형성되고 버스바 몸체(331)의 상면 및 측면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즉, 갈고리부(342)는 버스바 몸체(331)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bus bar housing 340 may include a bus bar housing body 340-1, a ben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341, and a hook portion 342. The bus bar housing body 340-1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to which the bus bar 330 is coupled. The ben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341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340-1, and the side end bent portion 332 may be accommodated. In more detail, a hole or groove into which the side-end bent portion 332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ben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341 . The hook portion 342 may protrude upward in a state of being bent from the center of the bus bar housing body 340-1 toward the left and right ends, and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body 331. That is, the hook part 342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bus bar body 331.

즉, 버스바 몸체(331)에 형성된 측단절곡부(332)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과 위치에 버스바 하우징(340)에 형성되는 절곡부수용부(34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면서 버스바(330)가 버스바 하우징(3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버스바 몸체(331)의 상면은 버스바 하우징(3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갈고리부(342)를 통해서 밀착되면서 지지됨으로써, 버스바(330)의 이탈이 방지되어 버스바 하우징(3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side end bent portion 332 formed on the bus bar body 331 is stably accommodated in the ben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341 formed in the bus bar housing 340 in a corresponding shape and position, so that the bus bar 330 It may be coupled to the bus bar housing 340.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body 331 is suppor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hook portion 34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housing 340, thereby preventing the bus bar 330 from leaving, thereby preventing the bus bar housing 340 can be stably fixed on

버스바 하우징(340)은 고정돌기(344), 가스 배출홀(345), 격벽(347) 및 하우징 플랜지(3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344)는 온도센싱부(310)와 전압센싱부(320)의 제1 고정홀(312)과 제2 고정홀(322)에 각각 결합되도록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bus bar housing 34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rotrusion 344, a gas discharge hole 345, a partition wall 347, and a housing flange 348. The fixing protrusion 344 is upward from the bus bar housing body 340-1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hole 312 and the second fixing hole 322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respectively. It can be protruded into.

가스 배출홀(345)은 배터리 조립체(100)에서 발산되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배출홀(345)은 배터리 조립체(100)의 사용으로 인해서 발산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배터리 조립체(100)의 과열로 인한 방전 등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가스 배출홀(345)은 배터리 조립체(100)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적층되는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gas discharge hole 345 is provid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top of the bus bar housing body 340-1 to discharge the gas emitted from the battery assembly 100, but may be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Specifically, the gas discharge hole 345 quickly discharges heat generated by us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to the outside to prevent discharge due to overheating of the battery assembly 100 to prolong the life of the battery and prevent ignition. can prevent More specifically, the gas discharge hole 345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ies included in the battery assembly 100 are stacked.

격벽(347)은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의 좌우 방향 끝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플랜지(348)는 좌우 방향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347)은 온도센싱부(310), 전압센싱부(320) 및 버스바(3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버스바 하우징 몸체(340-1)의 좌우 방향 끝부에서 상방으로 설정된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bulkhead 347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340-1. Also, the housing flange 348 may protrude outward from a side surface in a left-right direction.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347 is a configuration for protecting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and the bus bar 330 from the outside, and is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340-1. It may protrude to a height set upward.

버스바 하우징(340)은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결합홈(346)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는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결합홈(345)이 구비된 버스바 하우징(340)과 후술할 커버몸체(410)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결합홈(345)에 삽입 결합되는 커버후크(450)가 구비된 상부커버(400) 간의 결합에 의해 상부커버(4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가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조립체(100)와 외부의 구성 간의 불필요한 전기적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s bar housing 34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346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and having a shape recessed inward. Specifically,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includes a bus bar housing 340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345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and having a recessed shape and a cover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ixed to the upper cover 400 by coupling between upper covers 400 provided with cover hooks 450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body 4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protruding in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45. It can be. Therefore, since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can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unnecessar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assembly 100 and external components can be prevented.

한편, 커넥터(360)는 관통홈(430)에 관통하여 버스바 하우징(34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360)은 온도센싱부(310), 전압센싱부(320)로부터 측정된 신호값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36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430 and be fixed to the bus bar housing 340 . Specifically, the connector 360 may be configured to transfer signal values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310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320 to the outside.

상부커버top cover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400)는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400)는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upper cover 400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over 400 may be configured to protect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from the outside.

상부커버(400)는 커버몸체(410), 보강리브(420) 및 관통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410)는 상부커버(400)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면 영역 및 상면 영역의 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몸체(410)의 상면 영역은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상부를 감싸고, 측면 영역은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격벽(347)을 포함한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측면 영역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400 may include a cover body 410 , reinforcing ribs 420 and through grooves 430 . The cover body 410 forms the body of the upper cover 400 and may include a top area and a side area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top area.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cover body 410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and the side area includes the side surface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including the partition wall 347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It can be combined while enclosing the area.

보강리브(420)는 커버몸체(410)의 상면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강리브(422) 및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보강리브(4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리브(420)는 커버몸체(410)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되어 커버몸체(410)를 전후 방향으로 보강하는 제1 보강리브(422)와 제1 보강리브(42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커버몸체(410)를 보강하는 제2 보강리브(424)를 통해 배터리 조립체(100)를 전후 및 교차방향으로 모두 보강하여 배터리 조립체(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 42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cover body 410 and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rib 422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rib 424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ront-back direction. can do.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ribs 420 are formed while crossing each other on the inside of the cover body 410 and cross the first reinforcing rib 422 and the first reinforcing rib 422 reinforcing the cover body 4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Deformation of the battery assembly 100 can be prevented by reinforcing the battery assembly 100 in both the front and rear and crossing directions through the second reinforcing rib 424 reinforcing the cover body 410 in the direction of.

관통홈(430)은 커버몸체(410)의 상면 영역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360)는 관통홈(430)을 관통하여 버스바 하우징(340)에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조립체(100)의 전압이나 온도 등의 각종 신호 등을 외부와 연결시킬 수 있다.The through hole 430 may have a shap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410 and recessed inwar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36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30 and is fixed to the bus bar housing 340 so that various signals such as voltage or temperatur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상부커버(400)는 커버후크(450), 양극 각인부(460) 및 음극 각인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후크(450)는 커버몸체(410)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버스바 하우징(340)에 형성된 결합홈(346)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양극 각인부(460)는 커버몸체(410)에서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양극단자(335)와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고 플러스(+) 형상이 각인될 수 있다. 음극 각인부(470)는 커버몸체(410)에서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의 음극단자(336)와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고 마이너스(-) 형상이 각인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양극 각인부(460)와 음극 각인부(470)는 외부에서 사용자 등이 단자의 극성을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upper cover 4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hook 450 , a positively engraved portion 460 and a negatively engraved portion 470 . The cover hook 450 is formed on the left-right side of the cover body 410 and protrudes in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346 formed in the bus bar housing 340. The anode engraved portion 460 is formed in an area facing the anode terminal 335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in the cover body 410, and a plus (+) shape may be engraved thereon. The negative marking portion 470 may be formed in a region facing the negative terminal 336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in the cover body 410 and may have a minus (-) shape engraved thereon. The anode marking part 460 and the cathode marking part 47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easily recognize the polarity of the terminal by a user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로어 가이드 브라켓Lower guide bracket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은 로어 가이드 브라켓(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guide bracket 600 .

로어 가이드 브라켓(600)은 한 쌍을 이루면서 배터리 조립체(100)의 좌우 방향 양측 하단이 각각 내측에 안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guide brackets 600 may form a pair and be coupled whil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attery assembly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respectively seated inside.

로어 가이드 브라켓(600)은 제1 영역(610), 제2 영역(620) 및 제3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610)은 배터리 조립체(10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영역(620)은 제1 영역(610)으로부터 절곡되어 배터리 조립체(100)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3 영역(630)은 제1 영역(610)의 상하 방향 양 끝부에서 각각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lower guide bracket 600 may include a first area 610 , a second area 620 and a third area 630 . The first region 610 may adhere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 The second region 620 may be bent from the first region 610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100 . The third region 630 may protrude out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egion 610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밴드 부재no band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부재(500)는 배터리 조립체(100)와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와 배터리 조립체(1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band member 500 binds the battery assembly 100 and the side plate assembly 200 to each other so as to bind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200 and the battery assembly 100 together. It may be provided to enclose.

밴드 부재(500)는 상부 밴드 부재(510) 및 하부 밴드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nd member 500 may include an upper band member 510 and a lower band member 520 .

상부 밴드 부재(510)는 배터리 조립체(100),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 및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를 결속시키도록 배터리 조립체(100),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 및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30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band member 510 connects the battery assembly 100,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200 and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to the battery assembly 100,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200, and It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300.

상부 밴드 부재(510)는 아웃터 부재(210) 중 제1 돌출 영역(212)과 제2 돌출 영역(214)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 및 버스바 하우징(340)의 측면 중 하우징 플랜지(348)의 상부에 형성되는 영역을 각각 둘러싸면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밴드 부재(510)는 하우징 플랜지(348)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band member 510 includes an area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area 212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214 of the outer member 210 and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flange 348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housing 340. It may be provided while enclosing the area formed in each. Upper band member 510 may be provided to contact housing flange 348 .

밴드 부재(500)의 소재는 금속이나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 부재(500)는 내구성과 탄력성이 구비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등의 경금속이나 또한, 내구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의 종류로는 페놀수지, 폴리 우레탄수지, 폴리 아미드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아/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The material of the band member 500 may be metal or polymer resin. Specifically, the band member 5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light meta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having durability and elasticity, or a polymer resi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elasticity. Types of polymer resins include phenol resins, polyurethane resins, polyamide resins, acrylic resins, urea/melamine resins, and silicone resins.

하부 밴드 부재(520)는 배터리 조립체(100),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 및 로어 가이드 브라켓(600)을 결속시키도록 배터리 조립체(100),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200) 및 로어 가이드 브라켓(60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band member 520 binds the battery assembly 100,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200, and the lower guide bracket 600 to the battery assembly 100,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200, and the lower It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guide bracket 600.

하부 밴드 부재(520)는 아웃터 부재(210) 중 제2 돌출 영역(214)과 제3 돌출 영역(215)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 및 로어 가이드 브라켓(600)의 제1 영역(610) 중 한 쌍의 제3 영역(630) 사이에 위치한 영역을 감쌀 수 있다.The lower band member 520 is one pair of the outer member 210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area 214 and the third protruding area 215 and the first area 610 of the lower guide bracket 600 A region located between the third region 630 of the may be wrapp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밴드 부재(510)와 하부 밴드 부재(520)를 이용하여 배터리 조립체(100)의 측면을 배터리모듈(10)의 상하 영역에서 각각 결속시킴으로써 배터리모듈(10) 내 구성들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배터리 조립체(100)가 수용되는 케이스나 하우징 같은 부자재가 필요없이 배터리 조립체(100)의 결속이 가능하여 제작성이 우수하며 제작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10 by binding the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assembly 100 in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battery module 10 using the upper band member 510 and the lower band member 520, respectively. ) to solidly anchor my configurations. Therefore, the battery assembly 100 can be bound without the need for auxiliary materials such as a case or a housing in which the battery assembly 100 is accommodated, so that manufacturability is excellent and manufacturing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부재(500)가 적용된 배터리 조립체(100)는 일부분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조립체(100)의 열 발산이 유리하여 열에 의한 배터리의 변형이나 뒤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발열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portion of the battery assembly 100 to which the band memb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the heat dissipation of the battery assembly 100 is advantageous,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r twisting of the battery due to heat. In addition, since fire or explosion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can be prevented, the durability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and its lifespan can be extended.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모듈(10)에 구비되는 배터리 조립체(100)의 하부 영역이 냉각유로(20)를 유동하는 냉매와 직접 접촉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면서 효과적으로 배터리 조립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region of the battery assembly 100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10 can directly contact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cooling passage 20, heat is rapidly and effectively dissipated from the battery assembly. can be cooled.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부재가 결합된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부재가 결합된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in which the ban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in which the ban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10)에서 밴드 부재(50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일 끝부분에는 홀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타 끝부분은 홀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10)에서 밴드 부재(500)의 타 끝부분은 절곡되거나 롤링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 부재(500)는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일 끝부분에는 홀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타 끝부분은 홀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데, 타 끝부분은 일 끝부분의 홀을 관통하고 관통된 타 끝부분은 절곡시키거나 롤링하면서 밴드 부재(500)의 양단을 결합시키면서 마감할 수 있다. 이때. 밴드 부재(500)의 타 끝부분이 절곡되는 경우에는 한 번만 절곡되거나 두번 이상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a hol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band member 500 extends in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to be coupled. can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5, the other end of the band member 500 in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ent or rolled shape. Specifically, the band member 500 has a hole formed at one end in the extending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The other end portion may be closed while combining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500 while bending or rolling. At this time. When the other end of the band member 500 is bent, it may be bent only once or bent two or more times to be comb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모듈(10)은 밴드 부재(50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일 끝부분 및 타 끝부분은 서로 밀착되되 절곡되거나 롤링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 부재(500)는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일 끝부분 및 타 끝부분은 서로 밀착되면서 절곡되거나 롤링 결합되는데, 이 경우에는 서로 밀착되는 타 끝부분과 일 끝부분을 같이 절곡시키거나 롤링하면서 밴드 부재(500)의 양단을 결합시키면서 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때. 밴드 부재(500)의 서로 밀착된 일 끝부분 및 타 끝부분이 절곡되는 경우에는 한 번만 절곡되거나 두번 이상 절곡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attery modu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and member 5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may have a bent or rolled shape. Specificall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ding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member 500 are bent or roll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ther end and one end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bent or rolled together. While combining both ends of the band member 500 can be finished. As mentioned above, at this time. Wh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and member 500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re bent, they may be bent only once or bent two or more times to be comb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scribed below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made.

10 : 배터리모듈
20 : 냉각유로
30a, 30b : 홀
100 : 배터리 조립체
200 :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210 : 아웃터 부재
212 : 제1 돌출영역
214 : 제2 돌출영역
215 : 제3 돌출영역
216 ; 아웃터 부재 몸체
218 : 절곡영역
220 : 이너부재
221 : 이너부재 몸체
222 : 인서트 너트
224 : 조립돌기
226 : 이너부재 보강리브
230 : 아웃터 부싱
232 : 조립홀
300 :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
310 : 온도센싱부
312 : 제1 고정홀
320 : 전압센싱부
322 : 제2 고정홀
330 : 버스바
331 : 버스바 몸체
332 : 측단절곡부
334 : 접속돌출부
335 : 양극단자
336 : 음극단자
340 : 버스바 하우징
340-1 : 버스바 하우징 몸체
341 : 절곡부수용부
342 : 갈고리부
344 : 고정돌기
345 : 가스 배출홀
346 : 결합홈
347 : 격벽
348 : 하우징 플랜지
360 : 커넥터
400 : 상부커버
410 : 커버몸체
420 : 보강리브
422 : 제1 보강리브
424 : 제2 보강리브
430 : 관통홈
450 : 커버후크
460 : 양극 각인부
470 : 음극 각인부
500 : 밴드 부재
510 : 상부 밴드 부재
520 : 하부 밴드 부재
600 : 로어 가이드 브라켓
610 : 제1 영역
620 : 제2 영역
630 : 제3 영역
10: battery module
20: cooling oil
30a, 30b: Hall
100: battery assembly
200: side plate assembly
210: outer member
212: first protrusion area
214: second protrusion area
215: third protrusion area
216; Outer member body
218: bending area
220: inner member
221: inner member body
222: insert nut
224: assembly protrusion
226: inner member reinforcing rib
230: outer bushing
232: assembly hole
300: busbar housing assembly
310: temperature sensing unit
312: first fixing hole
320: voltage sensing unit
322: second fixing hole
330: bus bar
331: bus bar body
332: side bend
334: connection protrusion
335: positive terminal
336: negative terminal
340: bus bar housing
340-1: Busbar housing body
341: bending portion receiving portion
342: hook part
344: fixed protrusion
345: gas discharge hole
346: coupling groove
347: bulkhead
348: housing flange
360: connector
400: upper cover
410: cover body
420: reinforcement rib
422: first reinforcing rib
424: second reinforcing rib
430: through groove
450: cover hook
460: anode stamping part
470: cathode stamping unit
500: no band
510: upper band member
520: lower band member
600: lower guide bracket
610: first area
620: second area
630: third area

Claims (14)

복수 개의 배터리가 적층되는 배터리 조립체; 및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부를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온도센싱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고 일부분에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전압센싱부;
상기 온도센싱부와 상기 전압센싱부에 각각 결합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면을 감싸며, 좌우 방향 양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측면을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a batter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stacked; and
Including; a bus bar housing assembly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assembly,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a temperature sensing unit hav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aving a first fixing hole formed at a portion thereof;
a voltage sensing unit having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pressure and having a second fixing hole formed at a portion;
bus ba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and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s bar housing coupled to the bus ba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청구항 1에서,
상기 버스바는,
판 형상을 갖는 버스바 몸체;
상기 버스바 몸체의 죄우 방향 일 측 단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단절곡부; 및
상기 버스바 몸체의 좌우 방향 타 측 단부에서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온도센싱부 및 상기 전압센싱부가 밀착되는 접속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1,
The bus bar,
A bus bar body having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side end-bent parts bent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us bar body in the right-left direction; and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bus bar body and to whic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are in close contact.
청구항 2에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버스바가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상면을 감싸는 버스바 하우징 몸체;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좌우 방향 양끝에 형성되고 상기 측단절곡부가 수용되는 절곡부수용부;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중앙부에서 좌우 방향 끝부분을 향해 절곡된 상태로 상방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면 및 측면에 밀착 구비되는 갈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2,
The bus bar housing,
a bus bar housing body coupled to the bus bar and surround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ssembly;
Ben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ccommodating the side end bent portions; and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ok portion protruding upward in a bent state from the center of the bus bar housing body toward the left and right ends and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body.
청구항 3에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온도센싱부와 상기 전압센싱부의 상기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홀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배터리 조립체에서 발산되는 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는 가스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3,
The bus bar housing,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us bar housing body to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hole and the second fixing hole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respectively; and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as discharge holes provid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top of the bus bar housing body to discharge the gas emitted from the battery assembly, and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압센싱부와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레이저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1,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sensing unit and the bus bar housing are bonded by laser welding.
청구항 3에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좌우 방향 끝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3,
The bus bar housing,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rtition wall protruding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청구항 1에서,
상기 배터리 조립체의 전후 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를 가압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조립체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와 상기 배터리 조립체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1,
A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attery assemb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pressing the battery assembly; further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ing a band member provided to surround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and the battery assembly to bind the battery assembly and the side plate assembly to each other.
청구항 7에서,
상기 밴드 부재는,
상기 배터리 조립체, 한 쌍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결속시키도록 상기 배터리 조립체, 한쌍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부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7,
The band member,
An upper band member provided to surround the battery assembly,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and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to bind the battery assembly, the pair of side plate assemblies, and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including A characterized battery module.
청구항 8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웃터 부재 몸체 및 상기 아웃터 부재 몸체의 좌우방향의 양단이 각각 전후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영역을 포함하는 아웃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 부재는,
상기 아웃터 부재 몸체의 상부 영역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 영역; 및
상기 제1 돌출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하우징은,
좌우 방향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우징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밴드 부재는,
상기 아웃터 부재 중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 및 상기 버스바 하우징의 측면 중 상기 하우징 플랜지의 상부에 형성되는 영역을 각각 둘러싸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8,
The side plate assembly,
An outer member body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n outer member including a bending area in which both ends of the outer memb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bent in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spectively,
The outer member,
a first protruding area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area of the outer member body; and
A second protruding area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rotruding area and protruding outward;
The bus bar housing,
It further includes; a housing flang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upper band member,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hile surrounding an area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area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of the outer member and an area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flange among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housing.
청구항 9에서,
상기 상부 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 플랜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9,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and member is provided to contact the housing flange.
청구항 3에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3,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청구항 11에서,
상기 버스바 하우징 어셈블리는,
상기 버스바 하우징 몸체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결합홈이 구비된 버스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면 영역 및 상기 상면 영역의 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몸체의 좌우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커버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11,
The bus bar housing assembly,
Including; a bus bar housing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bus bar housing body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having an indented shape;
The upper cover,
A cover body forming the body of the upper cover and including an upper surface area and a side area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upper surface area;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es a cover hook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protruding inwar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청구항 2에서,
상기 버스바 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온도센싱부가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전압센싱부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2,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s bar body.
청구항 7에서,
상기 밴드 부재의 소재는 금속이나 고분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claim 7,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band member is a metal or polymer resin.
KR1020220020944A 2022-02-17 2022-02-17 Battery module KR20230123764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44A KR20230123764A (en) 2022-02-17 2022-02-17 Battery module
EP22215995.6A EP4235910A1 (en) 2022-02-17 2022-12-22 Battery module
US18/087,245 US20230261329A1 (en) 2022-02-17 2022-12-22 Battery module
CN202211682255.1A CN116666866A (en) 2022-02-17 2022-12-26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44A KR20230123764A (en) 2022-02-17 2022-02-17 Battery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64A true KR20230123764A (en) 2023-08-24

Family

ID=8771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944A KR20230123764A (en) 2022-02-17 2022-02-17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3764A (en)
CN (1) CN116666866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66866A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197B2 (en) Medium or large battery module
JP5154454B2 (en) Battery module
US11139515B2 (en) Battery module having heat conduction pad
CN110100351B (en) Battery pack including heat transfer medium having louver blade shape
JP7066095B2 (en) Battery pack containing mounting structure
JP7062175B2 (en) Battery pack with degassing flow path
KR101953362B1 (en) Battery Module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JP5344932B2 (en) Medium or large battery module
JP5037537B2 (e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battery module and battery system
JP7354405B2 (en) automotive underbody
KR20170053429A (en) Battery Module improved impact resistance
JP2022545267A (en) Battery packs and automobiles containing them
KR20070110565A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20070112489A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20230123764A (en) Battery module
KR20230123765A (en) Battery module
KR20230123766A (en) Battery module
KR20210156240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CN112042004B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a module housing
EP4235910A1 (en) Battery module
JP2020155340A (en) On-vehicle battery
CN114747067A (en) Battery module including cooling member,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JP2018137193A (en) Battery p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