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756A -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756A
KR20230123756A KR1020220020926A KR20220020926A KR20230123756A KR 20230123756 A KR20230123756 A KR 20230123756A KR 1020220020926 A KR1020220020926 A KR 1020220020926A KR 20220020926 A KR20220020926 A KR 20220020926A KR 20230123756 A KR20230123756 A KR 2023012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ing
management server
air conditioning
refrigera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아이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아이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아이오티
Priority to KR102022002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756A/en
Publication of KR2023012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0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 H04L41/0627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by acting on the notification or alarm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공조 시스템의 제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비교분석 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직접 제어하는 제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시스템은, 적어도 온도계를 포함하는 제상에 필요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
냉동공조의 제상에 필요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분류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경우 어느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에 해당하는지 파악하여 제상주기 설정 조건의 알고리즘을 형성하고, 이 알고리즘에 따라 제상신호를 출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의 제상신호에 따라 히터를 가열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온도조절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rost system and method for directly controlling various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by using an algorithm after comparative analysis.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detecting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including at least a thermometer;
Collect and analyze the big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of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classify and store th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 and determine which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 corresponds to the defrost cycle setting condition when the detection data of the sensor unit is not normal A management server that forms an algorithm of and outputs a defrosting signal according to the algorithm; and
a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that removes frost by heating a heater according to a defrosting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It is composed of.

Description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및 방법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공조 시스템의 제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비교분석 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직접 제어하는 제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rost system and method for directly controlling various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of a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by using an algorithm after comparative analysis.

농축수산물, 식료품부터 화학제품, 의약품, 전자제품, 화훼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품목에서 콜드체인시스템에 냉장, 냉동 저장고를 운영하고 있으며, 점차 광범위한 곳으로 냉동 공조시스템의 적용이 예상된다.We operate refrigerated and frozen storages in the cold chain system for a wide range of items, from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foodstuffs to chemicals, medicines, electronic products, and flowers, and the application of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냉동 및 냉장과 관련된 기술은 날로 발전하고 그 적용 분야도 넓어지고 있으나 압축과 응축 그리고 팽창과 증발의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그 기본적인 원리는 거의 동일한 방식에 따라 제작되고 있다.Although technologies related to refrigeration and refrigeration are developing day by day and their fields of application are widening, the basic principles achieved by a series of processes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a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lmost the same method.

종래 냉동을 위한 시스템은 압축기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응축기로 보내어 액화시킨 냉매는 팽창변을 통과하여 증발기로 보내져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보내 압축시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Conventional refrigeration systems have a principle in which refrigerant is compressed in a compressor, sent to a condenser, and liquefied refrigerant passes through an expansion valve and is sent to an evaporator, and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is sent back to the compressor for compression.

식품이나 가공 제품들을 저장하는 냉동창고/냉장창고, 냉동평대, 냉장 쇼케이스 등('냉동창고')에서는 냉동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서리(성에)를 제거하는 제상동작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In frozen warehouses/refrigerated warehouses, frozen flats, and refrigerated showcases ('cold warehouses') that store food or processed products, defrosting operation to remove frost (frost) is essential to increase refrigeration efficiency.

상기 식품 등을 대량으로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냉동창고의 경우 그 용량이 크기 때문에 모든 장치가 대형이고 넓은 냉동창고의 내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증발기는 더욱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야만 한다.In the case of a freezer for storing a large amount of food for a long time, since the capacity is large, the evaporator must prevent more frost from occurring in order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large and wide freezer.

이때 제상 즉 성에의 제거를 위해서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저온이 외는 증발기에 발생하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전기히터를 위한 방법과 물로 녹이는 방법의 두 가지가 사용된다.At this time, for defrosting, that is, removing frost, two methods are used: a method for an electric heater and a method for melting with water to remove frost generated in an evaporator other than a low temperature while the refrigerant evaporates.

종래 제상동작은 대부분 주기적 시간제상으로 불리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방법은 주위의 습도와 온도상태를 고려하여 소정 시간(예를 들면, 4시간에서 6시간)마다 내부에 장착된 히터(전기봉)를 가열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방식이다.Most of the conventional defrosting operations are performed by a method called periodic time defrosting, which uses a heater (electric bar) installed insid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4 to 6 hours)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humidity and temperature. It is a method to remove frost by heating.

하지만, 주기적 시간제상은 냉동고나 냉동창고에 잦은 온도변화를 가져와 히터 근처에 있는 식품이나 제품의 손상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제상시 온도를 올렸다가(30℃ 이상) 다시 온도를 내려야(-20℃ 이하) 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므로 열손실과 전기사용량이 많아진다.However, periodic time defrosting causes frequent temperature changes in the freezer or freezer, which may damage food or products near the heater. Since the operation must be repeated, heat los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

이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냉동 공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기술이 접목되어 상품이 개발되어 운용 중이다.As such, research on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is constantly being conducted all over the world, and products are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by grafting numerous technologies at this time.

현재 냉동 공조 부분 중 저장고안의 증발기(유닛쿨러) 부분의 제상은 거의 99.9%가 아날로그식으로 운영 중이다.Currently, almost 99.9% of the defrosting of the evaporator (unit cooler) part of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part in the storage is operated in an analog manner.

즉, 적상이 생기지도 않은 증발기(유닛쿨러)를 제상하기 위해 아날로그 방식으로 1일 8회 30분씩, 240분 동안 강제로 고용량 히터를 가동하여 저장고 온도를 수 십 도씩 올렸다가 다시 냉각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에너지(전기)를 낭비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defrost the evaporator (unit cooler) where no frost has occurred, a high-capacity heater is forcibly operated for 240 minutes, 8 times a day for 30 minutes in an analog manne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by several tens of degrees and then using excessive energy to cool it again.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wasting (electricity).

공개번호 제10-2016-0103857호(공개일자 2016년09월02일)Publication No. 10-2016-0103857 (Public date September 2, 20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빅데이터 분석 및 에너지효율 최적화 알고리즘을 접목하여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에너지 효율 최적화로 전력 사용량을 종래보다 약 15% 감소시킬 수 있고, 실시간 저장되는 데이터와 이벤트(고장) 발생시 패턴을 비교 분석 진단하여 그 대응방안을 알려줄 수 있는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combining big data analysis and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algorithm, 24-hour real-time monitoring and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bout 15% compared to the prior art, compare and analyze data stored in real time and patterns when events (failures) occur, and inform countermeasur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시스템은, 적어도 온도계를 포함하는 제상에 필요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detecting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including at least a thermometer;

냉동공조의 제상에 필요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분류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경우 어느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에 해당하는지 파악하여 제상주기 설정 조건의 알고리즘을 형성하고, 이 알고리즘에 따라 제상신호를 출력하는 관리 서버; 및Collects and analyzes the big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of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classifies and stores th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 and determines which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 corresponds to the defrost cycle setting condition when the detection data of the sensor unit is not normal A management server that forms an algorithm of and outputs a defrosting signal according to the algorithm; and

상기 관리 서버의 제상신호에 따라 히터를 가열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온도조절 제어기;a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that removes frost by heating a heater according to a defrosting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mposed of.

또한,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부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전송하되,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각 그룹의 센서부는 해당 그룹의 수신부와 일대 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transmits detected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receiver and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composed of one or more groups, and the sensor units of each group are connected to the receiver of the corresponding group one-to-one. do.

또한, 상기 센서부는 온도조절 제어기 내부에 구비되되,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provided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상기 수신부는 제상신호를 온도조절 제어기에 출력하는 역할을 겸하는 양방향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지거나, 한 방향일 경우 제상제어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해당 온도조절 제어기에 제상신호를 출력하는 양방향 송수신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er is composed of a bi-directional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that serves to output a defrost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or in one direction, a defrost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to output a defros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do.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온도계 리스트를 메인 화면에 출력하되, 온도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경우 해당 온도계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outputs a list of thermometers on the main screen, and change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thermometer when the temperature data is not normal.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감지 데이터가 속한 이벤트 발생 유형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찾아 사용자 단말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nalyzes the cause of the event occurrence type to which the sensed data belongs, finds a solution, and presents it to the user terminal.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는 제상에 필요한 빅데이터에서 문이 개방되지 않은 밀폐상태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도어(문) 개방 작업 중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우기(장마철)와 비(눈) 오는 날의 작업중과 도어(문) 개방 작업 중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기존 제상시간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실시간 기상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data on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in a sealed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t opened from big data required for defros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during door (door) opening work, during work in the rainy season (rainy season) and on rainy (snow) days, and door ( Q) It is characterized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during opening work,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of an existing defrosting time, and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방법은, 관리 서버에서 냉동공조의 제상에 필요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big data required for defrosting of air conditioning in a management server;

상기 관리 서버에서 빅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단계;Classifying and storing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ig data in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관리 서버에서 센서부에서 보내온 적어도 온도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t the management server sensing data including at least temperature sent from a sensor unit;

상기 관리 서버에서 감지 데이터로 정상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sensing data is normal or not in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정상이 아닌 경우 메인 화면에 출력된 센서부 리스트 중 해당 센서부 리스트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changing a color of a corresponding sensor unit list among sensor unit lists output on a main screen if the abnormality is not normal;

상기 정상이 아닌 경우 기존에 분류된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파악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ich type corresponds to which of th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classified in the past when the abnormality is not normal; and

상기 이벤트 발생 유형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찾아 사용자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Analyzing the cause of the event occurrence type and finding a solution and presenting it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mposed of.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빅데이터 분석 및 에너지효율 최적화 알고리즘을 접목하여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에너지 효율 최적화로 전력 사용량을 종래보다 약 15% 감소시킬 수 있고, 실시간 저장되는 데이터와 이벤트(고장) 발생시 패턴을 비교 분석 진단하여 그 대응방안을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ig data analysis and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algorithm are combined to provide 24-hour real-time monitoring and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about 15%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and countermeasures can be informed by comparing, analyzing, and diagnosing data stored in real time and patterns when an event (failure)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관리 서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진단 유형의 일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a와 도 5b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시스템의 전력사용량을 보여주는 도면대용 사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s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
3 is a flow chart showing a freezing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fault diagnosis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is a drawing substitute picture show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fros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시스템은, 센서부((110a,110b),(110c,110d)), 수신부(120a,120b),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140), 사용자 단말(150a,150b) 및 온도조절 제어기(160,1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nsor units ((110a, 110b), (110c, 110d)), receivers (120a, 120b), management server 100, manag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140,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and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160 and 160b.

상기 관리 서버(100)는 수신부(120a,120b)와 관리자 단말(140), 사용자 단말(150a,150b) 및 온도조절 제어기(160a,160b)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receivers 120a and 120b, the manager terminal 140, 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and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160a and 160b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상기 센서부((110a,110b),(110c,110d))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를 기본으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계, 전력을 적산하여 계량을 하는 적산전력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or units (110a, 110b, 110c, 110d) may be composed of a thermometer for detecting temperature, a hygrometer for detecting humidity as a basis, and an integrated wattmeter for integrating and measuring power.

상기 센서부((110a,110b),(110c,110d))는 다수의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각 그룹의 센서부는 다수의 센서부를 이루어져, 각 그룹은 그 그룹에 일대 일로 연결된 해당 그룹의 수신부(120a)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감지 데이터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The sensor units (110a, 110b, 110c, 110d)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oups, and the sensor units of each group consist of a plurality of sensor units, and each group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group in a one-to-one receiving unit (120a). and transmits the sensing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이를 위해 상기 수신부(120a,120b)는 관리 서버(100)의 도메인과 해당 그룹에 속한 각 센서부((110a,110b),(110c,110d))의 포트 번호를 저장한다.To this end, the receivers 120a and 120b store the domain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port number of each sensor unit (110a, 110b, 110c and 110d)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group.

상기 센서부((110a,110b),(110c,110d))는 후술하는 온도조절 제어기(160a,160b)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이때 수신부(120a,120b)는 제어 신호를 온도조절 제어기에 송신하는 역할을 겸하는 양방향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ensor units (110a, 110b), (110c, 110d) may be provided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160a and 16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t this time, the receivers 120a and 120b transmit control signals to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It may also be composed of a bi-directional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that also serves to play a role.

또는 상기 수신부(120a,120b)가 한 방향일 경우 제상제어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해당 온도조절 제어기에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양방향 송수신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receivers 120a and 120b are unidirectional, a defrosting control program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receiver 120a or 120b may play a bidirectional transmission/reception role of performing a control command to a corresponding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상기 관리 서버(100)는 상기 다수의 센서부로부터 온도, 습도, 전력량 등의 데이터((110a,110b),(110c,110d))를 수신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data ((110a, 110b), (110c, 110d))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power amount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상기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고객)와 온도계와 같은 센서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인 DB(132)와 온도, 습도, 전력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브 DB(134)를 운영하고 관리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operates and manages a main DB 132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a user (customer) and a sensor unit such as a thermometer, and a sub DB 134 that stores temperature, humidity, and energy data.

상기 관리 서버(100)는 이와 같은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비교분석 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온도조절 제어기(160a,160b)를 직접 제어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directly controls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160a and 160b by using an algorithm after collecting and comparing various types of data and analyzing them.

더욱 상세하게 상기 관리 서버(100)는 각종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분류 저장하고 저장된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새로운 이벤트(고장) 케이스와 비교하여 고장 발생 유형을 파악해서 제상주기 설정 조건의 알고리즘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온도조절 제어기(160a,160b)를 제어한다.In more detail, the management server 100 compares and analyzes various data to classify and stor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compares stored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with new event (failure) cases, identifies failure occurrence types, and defrosts An algorithm of period setting conditions is formed, and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160a and 160b are controlled accordingly.

상기 관리 서버(100)는 이와 같이 실시간 관리를 통해 온습도 데이터를 저장하되, 여러 가지 조건 예를 들어 문이 개방되지 않은 밀폐상태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도어(문) 개방 작업 중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우기(장마철)와 비(눈) 오는 날의 작업중과 도어(문) 개방 작업 중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기존 제상시간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실시간 기상정보 데이터 등을 분석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stores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through real-time management as described above, but under various conditions, for example,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in a closed state with the door not opened,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during door opening work, and rainy season ( It analyzes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during work during rainy (rainy season) and rainy (snowy) days and door opening work,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during the existing defrost time, and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data.

이와 같이 축적된 온습도 변화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새로운 온습도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어느 조건에 해당하는지 파악하여 문(도어)이 열리고 외부공기가 들어와서 실제 제상이 필요한 조건에서만 제상신호를 온도조절 제어기(160a,160b)에 전송하여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the accumulated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is stored. When new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are input, which condition corresponds to which condition is identified, and a defrost signal is sent only under conditions in which actual defrosting is requir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outside air enters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160a). , 160b) so that the heater can be operated.

또한, 상기 분석에 의해 계절별, 우기시 등에 적합한 제상주기를 설정하여 이에 따라 제상신호를 온도조절 제어기(160a,160b)에 전송하여 히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전력)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기 효율을 30% 이상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energy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setting a defrosting cycle suitable for each season, rainy season, etc.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transmitting a defrosting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160a and 160b to operate the heater, Electrical efficiency of 30% or more can be expected.

도 5a와 도 5b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상시스템의 전력사용량을 보여주는 도면대용 사진이다.Figures 5a and 5b is a drawing substitute picture show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fros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서 기존 제상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2022년 1월 22일 16시17분부터 1월 23일 15시19분까지 시간당 2.287Kw를 사용하고, 본 발명의 제상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1.946Kw를 사용하여 약 15% 전력 소비를 절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5a, when the existing defrost system is applied as it is, 2.287 Kw per hour is used from 16:17 on January 22, 2022 to 15:19 on January 23, and 1.946 Kw is used when the defros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can be seen that about 15% power consumption is saved by using it.

상기 관리 서버(100)는 각종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분류 저장하고, 이를 새로운 이벤트(고장) 케이스와 비교하여 고장 발생 유형을 파악해서 고장 원인 분석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사용자(소비자나 고객) 단말(150a,150b)에 통보한다.The management server 100 compares and analyzes various data to classify and stor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compares them with new event (failure) cases, identifies failure occurrence types, analyzes causes of failure, and proposes solutions, This is notified to the user (consumer or customer) terminals 150a and 150b.

즉, 실시간 저장되는 데이터와 이벤트 발생시 패턴을 비교 분석 진단하여, 사용자(소비자나 고객)에게 대응방안을 알려준다.That is, it compares, analyzes, and diagnoses data stored in real time and patterns when events occur, and informs users (consumers or customers) of countermeasure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진단 유형의 일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fault diagnosis ty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온도패턴을 유지하다가 온도상승과 함께 계단식 동일 그래프 패턴이 발생하는 경우 가스 누설로 진단하고, 그 대응방안으로 사용자 단말에 "냉매가스 누설이 의심됩니다. 누설하는 곳을 막고 적정량의 가스를 보충 요합니다."라는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50a,150b)에 전송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f the same cascading graph pattern occurs with the temperature ris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temperature pattern, gas leakage is diagnosed, and as a countermeasure, the user terminal displays "refrigerant gas leakage is suspected. Block the leakage and replenish an appropriate amount of ga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상기 사용자 단말(150a,150b)은 냉동공조시스템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관리 서버(100)는 메인 DB(132)에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카카오 톡 ID, 성명 같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이 정보를 토대로 이벤트(고장) 발생시 사용자 단말(150a,150b)에 해결방안을 제시한다.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are terminals possessed by users of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management server 100 stores user information such as phone numbers, e-mail addresses, KakaoTalk IDs, and names in the main DB 132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when an event (failure) occurs, a solution is presented to 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상기 사용자 단말(150a,150b)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may be implemented as portable terminals or portable computers.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Personal Digital Communication (PDA). Assistan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etc.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Portable computers may include notebooks, laptops,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단말(150a,150b)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may be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note, a tablet PC, and a wearable computer.

상기 온도조절 제어기(150a,150b)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서버(100)의 제상신호에 의해 히터를 가열하여 냉동공조 시스템에 발생한 성에를 제거한다.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s 150a and 150b remove frost generated in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by heating a heater in response to a defrost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상기 관리자 단말(140)은 상기 관리 서버가 운영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와 온도계 정보를 불러와 확인하고 생성 및 삭제할 수 있고, 온도계 사용자 이전과 온도계 교체시 고유번호 변경으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폰인 경우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카카오톡 메시지의 발송을 설정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140 accesses the webpage op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retrieves, checks, creates, and deletes member information and thermometer information, and can change data by changing a unique number when transferring a thermometer user or replacing a thermometer, , If the user terminal is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set the sending of push messages, e-mail messages, and KakaoTalk messages.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관리 서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functions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

상기 관리 서버(100)는 자신이 운영하는 웹페이지에 메인 화면과 로그인 화면을 출력하고, 메인 화면에 예를 들어 원도우즈 환경인 경우 센서부 즉, 온도계 개수만큼 MDI(Microsoft Document Imaging Format) 폼을 디스플레이하여 정상이 아니어서 알림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황에 따른 개별 온도계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00 outputs a main screen and a login screen on a web page op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displays MDI (Microsoft Document Imaging Format) forms as many as the number of sensors, that is, thermometers, in the case of a Windows environment, for example, on the main screen. When a notification situation occurs due to abnormal display, the color of individual thermometer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비밀 번호 변경, 알림 설정(알림에 필요한 이메일과 전화번호 등록), 로그 데이터 검색, 안드로이드 앱 링크 기능을 수생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00 performs user password change, notification setting (registration of e-mail and phone number required for notification), log data search, and Android app link functions.

이 알림 설정에 따라 관리 서버(100)는 알림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구글 토큰을 이용한 스마트폰 푸시 자동 전송(Fire Base; 구글이 소유주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 등록된 이메일 주소로의 알림 자동 전송(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카카오 알림톡 자동 전송(카카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150a,150b)에 자동으로 전송한다.According to this notification setting, the management server 100 automatically transmits smartphone push using Google tokens (Fire Base;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 owned by Google), and automatically transmits notifications to registered email addresses (SMTP) when a notification situation occurs. I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through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Kakao AlimTalk automatic transmission (Kakao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the like.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개별 온도계 관리 정보 예를 들어 차트(데이터) 보기, 정상 온도 범위, 4단계 알림 온도 범위, 제상예측 무통 등을 설정할 수 있고, 데이터 파일의 엑셀 추출, 일일 보고서 인쇄, HACCP 보고서와 같은 다양한 보고서 인쇄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00 can set individual thermometer manag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chart (data) view, normal temperature range, 4-step notification temperature range, defrost prediction painless, etc., extract data files to Excel, and print daily reports. , it performs various report printing functions such as HACCP reports.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안드로이드 앱 환경에서 경우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경우 스마트폰 푸시를 위한 구글 토큰을 발행하여 메인 DB에 저장하고, 로그아웃하는 경우 구글 토큰을 삭제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00 issues a Google token for smartphone push when a user logs in in the Android app environment, stores it in the main DB, and deletes the Google token when logging ou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제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 chart showing a freezing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리 서버(100)는 제상에 필요한 이전의 온도, 습도, 전력량과 그 당시의 이벤트(고장) 상황과 같은 빅데이터를 수집한다(S30).The management server 100 collects big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power amount required for defrosting, and event (failure) conditions at that time (S30).

상기 관리 서버(100)는 수집된 빅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케이스)를 분류하고 이를 저장한다(S31).The management server 100 compares and analyzes the collected big data, classifies th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 (case), and stores it (S31).

상기 관리 서버는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보내온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32).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sensing data sensed and transmitted by the sensor unit (S32).

다음 상기 감지 데이터가 예를 들어 온도인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감지 온도값이 기설정된 정상 온도 범위인지, 또 정상 온도 범위가 아닌 경우 기설정된 4단계 알림 온도 범위 중 어느 단계의 알림 온도 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S33).Next, if the detected data is, for example, temperature,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temperature value is within a predetermined normal temperature range, and if it is not withi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which of the four preset notification temperature ranges corresponds to which stage of the notification temperature range. It is judged (S33).

상기 정상 온도 범위가 아닌 경우 메인 화면에 출력된 온도계 중에서 정상이 아닌 온도계의 색상을 변경한다(S34).If the temperature is not withi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the color of the abnormal thermometer among the thermometer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is changed (S34).

또한, 상기 정상 온도 범위가 아닌 경우 기존에 분류된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파악한다(S35).In addition, if the temperature is not within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it is determined which of the previously classified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corresponds to (S35).

또한, 상기 이벤트 발생 유형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한다(S36).In addition, the cause of the event occurrence type is analyzed and a solution is suggested (S36).

예를 들어 도 4와 같은 경우 일정 온도패턴을 유지하다가 정상 온도 범위를 벗어나되, 온도상승과 함께 계단식 동일 그래프 패턴이 발생하는 경우 '가스 누설'로 원인을 분석하고, '냉매가스의 누설이 의심되니 누설하는 곳을 막고 적정량의 가스를 보충하라'는 대응(해결)방안을 제시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4, if the same cascading graph pattern occurs with a rise in temperatur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temperature pattern, but outside the normal temperature range, the cause is analyzed as 'gas leakage' and 'suspicion of leakage of refrigerant gas' Therefore, we propose a countermeasure (solution) to prevent leakage and replenish the appropriate amount of gas.

다음 해당 온도계가 속한 사용자 단말(150a,150b)에 푸시, 이벤트, 카카오톡 등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상황과 해결방안을 통보한다.(S37)Next, the user terminals 150a and 150b to which the corresponding thermometer belongs are notified of the event occurrence situation and solution using push, event, KakaoTalk, etc. (S37).

그리고 필요한 경우 보고서를 작성하여 화면이나 인쇄지 등에 출력한다(S38).Then, if necessary, a report is prepared and output to a screen or printed paper (S38).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an illustrative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관리 서버 110a,110b,110c,110d: 센서부
120a,120b: 수신부 132,134: DB
140: 관리자 단말 150a,150b: 관리자 단말
160,160b: 온도조절 제어기
100: management server 110a, 110b, 110c, 110d: sensor unit
120a, 120b: receiver 132, 134: DB
140: manager terminal 150a, 150b: manager terminal
160, 160b: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Claims (7)

적어도 온도계를 포함하는 제상에 필요한 데이터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
냉동공조의 제상에 필요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분류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경우 어느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에 해당하는지 파악하여 제상주기 설정 조건의 알고리즘을 형성하고, 이 알고리즘에 따라 제상신호를 출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의 제상신호에 따라 히터를 가열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온도조절 제어기;
를 포함하는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A plurality of sensor units for sensing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including at least a thermometer;
Collects and analyzes the big data necessary for defrosting of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classifies and stores th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 and determines which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 corresponds to the defrost cycle setting condition when the detection data of the sensor unit is not normal A management server that forms an algorithm of and outputs a defrosting signal according to the algorithm; and
a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that removes frost by heating a heater according to a defrosting signal from the management server;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부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전송하되, 상기 다수의 센서부는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이루어지고 각 그룹의 센서부는 해당 그룹의 수신부와 일대 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ensors transmits detected data to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 receiver and a wired/wireless network,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composed of one or more groups, and the sensor units of each group are connected to the receiver of the corresponding group one-to-one.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조절 제어기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수신부는 제상신호를 온도조절 제어기에 출력하는 역할을 겸하는 양방향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지거나, 한 방향일 경우 제상제어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해당 온도조절 제어기에 제상신호를 출력하는 양방향 송수신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or unit is provided inside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The receiver is composed of a bi-directional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that serves to output a defrost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 controller, or in one direction, a defrost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to output a defros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온도계 리스트를 메인 화면에 출력하되, 온도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경우 해당 온도계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outputs a list of thermometers on the main screen, but if the temperature data is not normal, the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color of the thermo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감지 데이터가 속한 이벤트 발생 유형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찾아 사용자 단말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nalyzing the cause of the event occurrence type to which the detection data belongs, finding a solution and presenting it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제상에 필요한 빅데이터에서 문이 개방되지 않은 밀폐상태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도어(문) 개방 작업 중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우기(장마철)와 비(눈) 오는 날의 작업중과 도어(문) 개방 작업 중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기존 제상시간의 온습도 변화 데이터, 실시간 기상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공조 제상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big data required for defros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in an airtight state where the door is not opened,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during door (door) opening work, during work in the rainy season (rainy season) and on rainy (snow) days, and door (door )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analyzes any one or mor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during opening ope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 data of an existing defrosting time, and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data.
관리 서버에서 냉동공조의 제상에 필요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빅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센서부에서 보내온 적어도 온도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에서 감지 데이터로 정상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상이 아닌 경우 메인 화면에 출력된 센서부 리스트 중 해당 센서부 리스트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정상이 아닌 경우 기존에 분류된 이벤트(고장) 발생 유형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유형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찾아 사용자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동공조 제상방법.
Collecting big data required for defrosting of air conditioning in a management server;
Classifying and storing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ig data i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at the management server sensing data including at least temperature sent from a sensor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sensing data is normal or not in the management server;
changing a color of a corresponding sensor unit list among sensor unit lists output on a main screen if the abnormality is not normal;
determining which type corresponds to which of the event (failure) occurrence types classified in the past when the abnormality is not normal; and
Analyzing the cause of the event occurrence type and finding a solution and presenting it to the user terminal;
Refrigeration air conditioning defrost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20020926A 2022-02-17 2022-02-17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KR202301237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26A KR20230123756A (en) 2022-02-17 2022-02-17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26A KR20230123756A (en) 2022-02-17 2022-02-17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56A true KR20230123756A (en) 2023-08-24

Family

ID=8784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926A KR20230123756A (en) 2022-02-17 2022-02-17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75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9918A (en) * 2023-11-01 2024-01-30 广东鑫焱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refriger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57A (en)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리프코리아 Automatic defrosting system, method, and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57A (en)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리프코리아 Automatic defrosting system, method, and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9918A (en) * 2023-11-01 2024-01-30 广东鑫焱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refriger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90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high temperature detection in electric meters
US11204287B2 (en) Environmental condition surveillance and methods thereof
US11739963B2 (en) HVAC analytics
US11668521B2 (en) Refrigerator and cloud server of diagnosing cause of abnormal state
CN105473949B (en) Diagnostic system, air condition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ir conditioner
US6892546B2 (en) System for remote refrigeration monitoring and diagnostics
US20190078833A1 (en) Cloud-based energy saving method for walk-in refrigerators
US20020193970A1 (en) Food quality and safety model for refrigerated food
Behfar et al. Automat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methods for supermarket equipment (RP-1615)
US11305294B2 (en) Food processor
KR20230123756A (en)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Defrosting System and Method
US20190258237A1 (en) Detection of efficiency degradation in hvac&r systems
CN1059347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 service using user state recognition information in electronic apparatus
US10330378B2 (en) Freezer with remote management
Srinivasan et al. Bugs in the freezer: Detecting faults in supermarket refrigeration systems using energy signals
KR102540400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reezer/fridge
CN208537947U (en) A kind of refrigeration equipment cold chain management system
CN102035871A (en) Remote temperature-monitoring system
US20240036539A1 (en) Asset Management and IOT Device for Refrigerated Appliances
KR101412384B1 (en) Optimum management system of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by preceding diagnosis
WO2024026120A2 (en) Asset management and iot device for refrigerated appliances
KR20100024788A (en)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air conditioner
Haque et al. IoT based smart refrigerator monitoring system
Maass et al. A Control Platfor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For Commercial Refrigeration
FR2774749A1 (en) Refrigeration system cooling control and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