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572A -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572A
KR20230123572A KR1020220020372A KR20220020372A KR20230123572A KR 20230123572 A KR20230123572 A KR 20230123572A KR 1020220020372 A KR1020220020372 A KR 1020220020372A KR 20220020372 A KR20220020372 A KR 20220020372A KR 20230123572 A KR20230123572 A KR 20230123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load
power conversion
pow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두
강정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572A/ko
Priority to US18/049,745 priority patent/US20230261224A1/en
Priority to CN202211483686.5A priority patent/CN116613352A/zh
Publication of KR2023012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32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tart-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2Voltage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1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9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65Voltage
    • H01M8/0488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95Current
    • H01M8/04902Current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95Current
    • H01M8/0491Current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955Shut-off or shut-down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e.g. by masking incorrect turn-on or turn-off signals, e.g. due to current spikes in current mod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30The power source being a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30State monitoring, e.g. fault, temperature monitoring, insulator monitoring, corona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을 제거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고, 전력 변환부가,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연료전지 스택의 개방 회로 전압을 제거하여 연료전지의 성능 및 수명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VERTING POWER OF FUEL CELL FOR POWER GENERATION AND METHOD THEREOF}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의 구동 시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을 제거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수소 등을 사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복수의 연료전지 셀들을 적층시킨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스택의 구동 시 개방 회로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이 존재하는 경우, 연료전지의 성능 및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종래의 연료전지 개방 회로 전압 제거 방식은 저항으로 전압을 감압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저항을 이용한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수동 소자가 사용되어, 저항의 용량이 크고 발열이 발생하며, 스택의 성능 감소에 따라 감압 정도를 조절하기 힘들었다. 또한, 스위칭을 통해 저항으로 유입되는 전압을 조절하게 되는 경우 스택, DC/DC 컨버터 또는 DC/AC 인버터에 리플 전류가 유입되어 전압 품질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또한, 연료전지 차량에서는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기능을 활용하여, 개방 회로 전압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고전압 배터리를 활용하는 경우, 별도의 배터리 및 충방전 장치가 필요하고, 그 제어 과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게다가, 발전용 연료전지에는 스택과 부하(계통)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어, 개방 회로 전압의 제어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을 제거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발전용 연료전지에 스택과 부하(계통)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어, 개방 전압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별도의 배터리 없이 연료전지 스택의 개방 회로 전압을 제어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저항으로 인한 발열을 최소화하며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을 제거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연료전지의 성능 및 수명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기 전,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상기 전류를 연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되도록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연계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단과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제 1 초충전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과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로의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제 2 초충전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시켜,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된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전자 접촉기(MC, Magnetic conta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은 제어부가,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전력 변환부가,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기 전,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의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상기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되도록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연계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단과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초충전 회로가,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과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초충전 회로가,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로의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시켜,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가,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변환부가, DC/AC 인버터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필터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된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전자 접촉기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을 제거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발전용 연료전지에 스택과 부하(계통)가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어, 개방 전압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배터리 없이 연료전지 스택의 개방 회로 전압을 제어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항으로 인한 발열을 최소화하며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을 제거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연료전지의 성능 및 수명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에 따른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에 따른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10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100)는 전력 변환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10)는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변환부(110)는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로부터 생성되는 직류 전력이 생성되므로, 생성된 직류 전력을 계통 또는 부하에 송전하기 위해,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은 연료전지와 연결되고, 전력 변환부(110)의 출력단은 계통 또는 부하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변환부(110)와 연료전지 사이의 연결 및 전력 변환부(110)와 계통 또는 부하와의 연결이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 또는 후술될 제 1 초충전 회로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는 전자 접촉기(MC, Magnetic conta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 또는 후술될 제 1 초충전 회로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는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또는 다른 종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100)는 연료전지의 출력단과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연료전지로부터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제 1 초충전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초충전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저항 소자 및 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초충전 회로는 회로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초충전 회로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는 제어부(12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100)는 전력 변환부(110)의 출력단과 계통 또는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계통 또는 부하로의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제 2 초충전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초충전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저항 소자 및 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초충전 회로는 전력 변환부(110)의 출력단과 계통 또는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므로, 전력 변환부(1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가 온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계통 또는 부하로의 돌입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100)는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력 변환부(110)에서 출력된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부는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후술되는 데이터 처리 및/또는 계산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데이터 처리 및/또는 계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 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20)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또는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또는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전력 변환부(110), 제 1 초충전 회로, 제 2 초충전 회로, 필터부 등과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 및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 및 제 1 초충전 회로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계통 또는 부하에 연결되면, 계통 또는 부하를 통한 전압 강하로 인해,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계통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기 전, 계통 또는 부하의 상태를 점검하고, 계통 또는 부하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할 수 있다.
계통 또는 부하의 상태의 점검이 완료되어, 계통 또는 부하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료전지의 본 발전을 개시하기 전에 미리 연료전지의 전류가 계통 또는 부하에 연계되어도 안전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계통 또는 부하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계통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120)는 계통 또는 부하의 상태를 자체적으로 점검하는 구성으로부터, 계통 또는 부하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되도록 계통 또는 부하에 연계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연료전지의 출력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120)는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에 탑재되어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측정하는 구성으로부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계통 또는 부하에 연계되는 전류가 증가되면, 계통 또는 부하를 통한 전압 강하가 증가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더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전압은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정도로 작은 값으로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연료전지로부터 계통 또는 부하로 전류가 연계되기 시작한 후, 연계되는 전류가 증가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되는 경우, 개방 회로 전압의 제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연료전지를 통한 본 발전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전력 변환부(110)의 입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시켜,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되는 경우, 제 1 초충전 회로에 포함되는 저항 소자 또는 축전 소자에 의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제 1 초충전 회로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하여,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시켜,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료전지(201)의 출력단에 제 1 초충전 회로(20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초충전 회로(202)는 연료전지(201)를 통해 출력된 DC 전력이 전력 변환부(205)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돌입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205)의 입력단과 연료전지(201) 사이에 연결되는 DC 입력 차단기(203)는 전력 변환부(205)의 입력을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DC 입력 차단기(203)는 전자 접촉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과 다른 일 예로, DC 입력 차단기(203)가 제 1 초충전 회로(202)보다 연료전지(201) 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 연료전지(201)와 전력 변환부(205) 사이에 DC/DC 컨버터가 연결되어, DC/DC 컨버터가 연료전지 출력을 변환할 수 있다.
DC 링크 전압은 전력 변환부(205)의 입력단과 DC 입력 차단기(203)가 이어지는 부분(204)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205)는 연료전지(201) 측의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209)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205)의 출력단에 연결된 필터부(206)는 출력단에서 출력된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205)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AC 계통 차단기(207)는 계통(209)으로 변환된 AC 전력의 공급을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AC 계통 차단기(207)는 전자 접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변환부(205)의 출력단에 제 2 초충전 회로(208)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초충전 회로(208)는 저항 소자 및 축전 소자를 포함하고, 전력 변환부(205)를 통해 출력된 AC 전력이 계통(209)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돌입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 계통(209)에 고장 또는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계통 감시부가 계통(209)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S301).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S302).
일 예로,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된 전력이 변환되어 공급되는 대상이 되는 계통 또는 부하에 고장 또는 이상이 없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에 이상이 있는 경우, 다시 S301로 돌아가 계통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에 이상이 없는 경우, 연료전지를 시동할 수 있다(S303).
연료전지가 시동되면 개방 회로 전압이 발생하여, 연료전지 스택이 손상될 수 있다.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확인할 수 있다(S304).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시스템 점검을 완료할 수 있다(S305).
S304 및 S305의 과정에서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이 발생하지만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개방 전압을 제거하는 동작 없이 전력 변환을 수행한다.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목표 발전량까지 부하를 상승시킬 수 있다(S306).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가 목표 발전량까지 부하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연료전지와 계통 또는 부하가 연계되기 전까지 연료전지의 개방 전압이 존재할 수 있다.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의 본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S307).
일 예로,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목표 발전량까지 부하가 상승되면, 연료전지에서 출력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S401).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S402).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에 이상이 없는 경우, 연료전지를 시동할 수 있다(S403).
S401 내지 S403에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은 도 3의 S301 내지 S303에서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점검할 수 있다(S404).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에 유입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S405).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전력 변환부의 양단의 스위칭 소자를 연결하여, 연료전지로부터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가 연계되도록 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유입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406).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계통 또는 부하에 유입되는 전류를 증가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07).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개방 회로 전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아닌 경우, 다시 S405로 돌아가 계통에 유입되는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목표 발전량까지 부하를 상승시킬 수 있다(S408).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것이 확인된 후, 목표 발전량까지 부하가 상승하므로, 연료전지의 본 발전이 수행되기 전 개방 회로 전압이 제거될 수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연료전지의 본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S409).
일 예로,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는 목표 발전량까지 부하가 상승되면, 연료전지에서 출력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a는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에 따른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이 먼저 증가한 후, 발전 기동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 기동 신호는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며, 연료전지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발전 기동 신호에 대응하여, 연료전지의 본 발전이 개시될 수 있다.
발전 기동 신호가 발생된 후, DC 초충전이 수행되며, DC 링크 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DC 링크 전압은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과 DC 초충전 회로 또는 D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이어지는 부분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에 의하면, DC 초충전이 수행된 후, D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되어, 연료전지 측과 전력 변환부가 연결될 수 있다.
DC 메인 전자 접촉기는 전력 변환부와 연료전지 사이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에 의하면, D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된 후, AC 초충전이 수행되고, 이어서 차례로, A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되고, 계통이 연계되며, 입력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입력 전류는 계통에 전달되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AC 메인 전자 접촉기는 전력 변환부와 계통 사이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DC 초충전, DC 메인 전자 접촉기, AC 초충전 및 AC 메인 전자 접촉기에 대한 제어는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토폴로지 및 제어 순서에 따르면, 연료전지의 본 발전이 개시된 후 계통에 전류가 연계되어, 본 발전이 개시되기 전에 발생하는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제거되지 않는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에 따른 각종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에 의하면, 입력 전압이 먼저 증가한 후, D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되며, DC 링크 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입력 전압은 연료전지의 출력단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DC 링크 전압은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과 DC 초충전 회로 또는 D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이어지는 부분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DC 메인 전자 접촉기는 전력 변환부와 연료전지 사이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에 의하면, D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된 후, DC 초충전이 수행되고, 이어서 차례로, AC 초충전이 수행되고, A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되고, 계통이 연계되며, 입력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AC 메인 전자 접촉기는 전력 변환부와 계통 사이의 연결을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칭 소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입력 전류는 계통에 전달되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그래프에 나타난 것과 다르게, DC 초충전이 먼저 수행되고 D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되거나, DC 초충전과 DC 메인 전자 접촉기의 온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그래프에 나타난 것과 다르게, AC 초충전이 먼저 수행되고 AC 메인 전자 접촉기가 온 되거나, AC 초충전과 AC 메인 전자 접촉기의 온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계통에 전류가 연계되면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감소할 수 있다.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감소된 후, 발전 기동 신호가 생성되어, 연료전지의 본 발전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 기동 신호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며, 연료전지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DC 초충전, DC 메인 전자 접촉기, AC 초충전 및 AC 메인 전자 접촉기에 대한 제어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토폴로지 및 제어 순서에 따르면, 계통에 전류가 연계된 후, 연료전지의 본 발전이 개시되어, 본 발전이 개시되기 전에 발생하는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의 하드웨어, 토폴로지를 수정하지 않고, 제어 순서만을 변경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은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S610) 및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S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S610)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S610)는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기 전, 계통 또는 부하의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S610)는 제어부가,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되도록 계통 또는 부하에 연계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S610)는 제어부가,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가,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전자 접촉기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S620)는 전력 변환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S620)는 전력 변환부가, DC/AC 인버터를 통해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은 연료전지의 출력단과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초충전 회로가, 연료전지로부터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은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과 계통 또는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초충전 회로가, 계통 또는 부하로의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은 제어부가,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시켜,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은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필터부가,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된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계통 또는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을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기 전,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상기 전류를 연계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되도록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연계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단과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제 1 초충전 회로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과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로의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제 2 초충전 회로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시켜,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DC/AC 인버터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된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10.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전자 접촉기(MC, Magnetic contactor)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11. 제어부가, 연료전지가 시동된 후,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이 시작되기 전에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전력 변환부가,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기 전,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의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상기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이 되도록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연계되는 전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계통 또는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여,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단과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초충전 회로가,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과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초충전 회로가,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로의 돌입 전류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 1 초충전 회로를 작동시켜, 상기 연료전지의 개방 회로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가,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변환부가, DC/AC 인버터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를 통해 생성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필터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에서 출력된 전력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의 입력단 및 출력단에 연결된 전자 접촉기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계통 또는 상기 부하에 전류를 연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방법.
KR1020220020372A 2022-02-16 2022-02-16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23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372A KR20230123572A (ko) 2022-02-16 2022-02-16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US18/049,745 US20230261224A1 (en) 2022-02-16 2022-10-26 Apparatus for Converting Power of Fuel Cell for Power Generation and Method Thereof
CN202211483686.5A CN116613352A (zh) 2022-02-16 2022-11-24 用于转换用于发电的燃料电池的电力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372A KR20230123572A (ko) 2022-02-16 2022-02-16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572A true KR20230123572A (ko) 2023-08-24

Family

ID=8755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372A KR20230123572A (ko) 2022-02-16 2022-02-16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61224A1 (ko)
KR (1) KR20230123572A (ko)
CN (1) CN11661335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61224A1 (en) 2023-08-17
CN116613352A (zh)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7624B2 (en) Power storage system
US9112247B2 (en) Battery system
US7768237B2 (en) Simplified automatic discharge function for vehicles
EP2814132B1 (en) Parallel accumulato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JPWO2018020675A1 (ja) 車両システム
JP6141442B2 (ja) バッテリをインバータに組み込むための安全概念
JP5709601B2 (ja) 蓄電装置および蓄電装置の電圧均等化方法
CN113078714A (zh) 一种储能系统及储能系统控制方法
JP2017163749A (ja) 二次電池システム
JP4758196B2 (ja) 電力貯蔵装置
KR20230123572A (ko)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N116599201A (zh) 储能系统、电池子系统及其电源电路和内部供电方法
CN116683559A (zh) 储能系统、储能设备和储能管理系统
KR20230123571A (ko)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JP6668210B2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KR20230123573A (ko) 발전용 연료전지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EP4293867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ounding structure of energy storage system
CN115149558B (zh) 具有智能化控制架构的高压大容量电池储能功率转换系统
CN112366781B (zh) 充电机输出电压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216390801U (zh) 功率控制器及车辆
US20240106254A1 (en) Power Storage System
CN117999723A (zh) 能量存储系统及用于控制能量存储系统的接地配置的装置
CN114679054A (zh) 移动设备电源、移动设备及其供电控制方法
CN117081127A (zh) 一种储能集装箱及其控制方法
CN117169706A (zh) 一种三相逆变器的继电器自检电路及方法、三相逆变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