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171A -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 Google Patents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171A
KR20230123171A KR1020220019963A KR20220019963A KR20230123171A KR 20230123171 A KR20230123171 A KR 20230123171A KR 1020220019963 A KR1020220019963 A KR 1020220019963A KR 20220019963 A KR20220019963 A KR 20220019963A KR 20230123171 A KR20230123171 A KR 20230123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attern structure
arc shape
magnetic field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말릭 자가나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19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171A/ko
Priority to PCT/KR2023/002120 priority patent/WO2023158181A1/ko
Publication of KR2023012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1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Landscapes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를 개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직사각형 나선을 형성하는 금속 패턴의 네 개의 면 각각의 일부가 안테나의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러진 호 형태를 형성하는 패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READER ANTENNA FOR BIOIMPLANTS}
아래의 설명은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생체 내에 삽입된 바이오 임플란트와의 정렬에 둔감한(insensitive) 리더 안테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Electromagnetic, EM) 기반 유전율 감지 바이오센서는 이미 신체의 종양 및 악성 조직 감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생체 내 다양한 장기 및 생체 조직의 유전 특성은 넓은 EM 스펙트럼에 걸쳐 미리 특성화되었다.
전자기 기반 센서 개발에 있어 지난 몇 년 동안 글루코스 감지 및 측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 방법은 혈액 또는 간질액의 글루코스 농도 변화에 따른 유전율 변화의 특성화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루코스 변화에 따른 유전율의 변화가 EM 센서의 공진 주파수 변화에 반영된다.
바이오 센서로서의 전자기 공진기는 글루코스 변화로 인한 혈액 및 간질액(ISF)의 유전율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기준 공진은 또한 그것이 내장된 바이오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혈당 측정을 위한 EM 기반 센서는 이미 시도되었으며 고무적인 결과가 다양한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번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85556호
소형 바이오 임플란트와의 정렬에 둔감한(insensitive) 리더 안테나를 제공한다.
직사각형 나선을 형성하는 금속 패턴의 네 개의 면 각각의 일부가 안테나의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러진 호 형태를 형성하는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호 형태는 상기 네 개의 면 각각의 중앙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러지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네 개의 면 각각에서 형성된 호 형태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호 형태를 구현하는 금속선들간의 간격을 통해 결합 계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로 마주하는 호 형태들간의 간격을 통해 결합 계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턴 구조에서의 상기 호 형태의 위치, 상기 패턴 구조 또는 상기 호 형태의 크기, 상기 패턴 구조를 형성하는 금속선들간의 간격 및 상기 금속선들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자기장 필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턴 구조를 통해 자기장이 안테나의 중앙에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패턴 구조는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패턴 구조의 일단은 제1 급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1 급전 포인트를 통해 제1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패턴 구조의 타단은 제2 급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 급전 포인트를 통해 제2 포트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형 바이오 임플란트와의 정렬에 둔감한(insensitive) 리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내부에 캡슐화된 소형 안테나를 사용한 바이오 임플란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바이오 임플란트와 외부의 리더 안테나간의 정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생체 환경 내의 임플란트 센서의 방향성의 예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표면으로부터 30mm 높이에서의 자기장 세기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도 8은 기존의 인쇄 NFC 리더 안테나(reference)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proposed)를 비교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자기장 분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기존의 인쇄 NFC 리더 안테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X축 및 Y축을 통한 대칭 자기장 필드 분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청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기(Electromagnetic, EM) 기반 공진기의 장점은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설계할 수 있고 다양한 작동 주파수 대역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EM 침투 깊이와 감도에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글루코스와 같은 분석물 수준을 나타내는 EM 센서의 측정 가능한 파라미터는 반사기반(S11) 또는 전송기반(S21)일 수 있으며 "크기 및 위상" 특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 신체 외부로부터의 비침습적 분석물 측정은 피부층에서 신호의 높은 반사율, 신호의 낮은 침투 깊이로 인해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이것은 생체 조직과의 EM 상호 작용을 제한하고 감도를 낮춘다. 또한, 체외(피부)에 비해 체내 온도가 안정적이다. 온도 변화는 유전율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임플란트 형 EM 센서는 분석물 수준을 감지하는 데 더 안정적이고 더 민감하다.
체내 생체 센서(in-body bio sensor)는 침습형 생체 센서, 삽입형 생체 센서, 이식형 생체 센서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체내 생체 센서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대상 피분석물(target analyte)을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내 생체 센서는 대상 피분석물과 연관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대상 피분석물은 생체(living body)와 연관된 물질(material)로서, 생체 물질 또는 분석물(analyte)이라고도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대상 피분석물은 주로 혈당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생체 정보는 대상자의 생체 성분과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피분석물의 농도, 수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분석물이 혈당인 경우, 생체 정보는 혈당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체내 생체 센서는 상술한 생체 성분과 연관된 생체 파라미터(이하,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파라미터로부터 생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는 생체 센서를 해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망 파라미터(circuit network parameter)를 나타낼 수 있고,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산란 파라미터(scattering parameter)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어, 어드미턴스 파라미터, 임피던스 파라미터, 하이브리드 파라미터, 및 전송 파라미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산란 파라미터의 경우 투과계수 및 반사계수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산란 파라미터로부터 산출되는 공진 주파수는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와 관련될 수 있고, 생체 센서는 투과계수 및/또는 반사계수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혈당을 예측할 수 있다.
체내 생체 센서는 공진기 조립체(resonator assembly)(예를 들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공진기 조립체는 안테나인 예시를 주로 설명한다.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커패시턴스 성분 및 인덕턴스 성분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상술한 수학식 1에서 f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생체 센서에 포함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 L은 안테나의 인덕턴스, C는 안테나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안테나의 커패시턴스 C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상대 유전율(relative dielectric constant) 에 비례할 수 있다.
[수학식 2]
안테나의 상대 유전율 은 주변의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파가 임의의 유전율을 가지는 물질을 통과하는 경우, 전파 반사 및 산란으로 인해 투과된 전자기파에서 진폭과 위상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생체 센서 주변에 존재하는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에 따라 전자기파의 반사 정도 및/또는 산란 정도가 달라지므로, 상대 유전율 도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생체 센서에 의해 방사된 전자기파에 의한 주변 장(fringing field)로 인해, 생체 센서와 대상 피분석물 간에 생체 커패시턴스가 형성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 변화에 따라 안테나의 상대 유전율 이 변하므로,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도 함께 변화한다. 다시 말해, 대상 피분석물의 농도는 공진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생체 센서는 주파수를 스윕하면서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방사된 전자기파에 따른 산란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체내 생체 센서는 측정된 산란 파라미터로부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며, 결정된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혈당 수치를 추정할 수 있다. 체내 생체 센서는 피하층에 삽입될 수 있고, 혈관으로부터 간질액으로 확산된 혈당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매우 작은 생체의학 임플란트 및/또는 센서의 경우 무선 전력 수신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크기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생체 임플란트의 크기는 매우 작기 때문에 안테나를 초소형화해야 한다. 13.56MHz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작동 파장을 고려할 때, 임플란트 안테나의 크기는 몇 밀리미터 크기이다. 따라서 최대 성능을 달성하도록 외부 판독기 안테나를 임플란트 안테나와 완벽하게 정렬하기가 어렵다. 안테나가 자기장 축에 대해 잘못 정렬되고 방향이 잘못된 경우 전력 수신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으며, 이는 이것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제한한다.
도 1은 내부에 캡슐화된 소형 안테나를 사용한 바이오 임플란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부분의 경우 바이오 임플란트의 재료(일례로, 페라이트) 주위에 휘어진 코일이 임플란트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 임플란트의 안테나는 파장 및 통신 표준(NFC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따라 특정 인덕턴스 값을 달성하기 위해 총 코일 길이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정합 커패시턴스를 사용하여 원하는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안테나가 조정될 수 있다.
도 2는 바이오 임플란트와 외부의 리더 안테나간의 정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의 리더 안테나는 전력 수신(또는 에너지 수확) 및 통신 측면에서 최상의 성능을 위해 임플란트 안테나와 자기적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그러나 임플란트 안테나와 완벽하게 정렬하기가 어렵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잘못된 정렬은 종종 낮은 전력 수신과 통신 실패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생체 내에 삽입된 소형 바이오 임플란트와의 정렬에 둔감한(insensitive) 리더 안테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는 생체 내에 삽입된 임플란트 안테나와 정렬하여 전력 송신 및/또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안테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는 작동을 위한 임플란트 안테나와의 오정렬에 민감하지 않도록 최대 자기장이 안테나 중앙에 집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리더 안테나는 금속선들이 직사각형 나선을 형성하는 금속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패턴의 4면(일례로, 도 3의 (a), (b), (c), (d)의 4면)은 4면 각각의 일부가 안테나의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러진 호 형태(일례로, 도 4의 점선박스(310 내지 340)에 나타난 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호 형태는 네 개의 면 각각의 중앙에서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러지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면 각각에서 형성된 호 형태는 내부 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금속 패턴을 형성하는 금속선들은 구리 금속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호 형태를 구현하는 금속선들간의 간격 및/또는 하나의 호 형태와 반대편의 호 형태의 사이의 간격(다시 말해, 서로 마주하는 호 형태들간의 간격)을 통해 결합 계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보강 결합을 통해 안테나 중앙에서 자기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직사각형 나선의 4면 사이의 건설적인 결합으로 총 자기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필드 라인은 360°를 포함하는 모든 방향에서 축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안테나의 4면을 형성하는 패턴 구조에서의 호 형태의 위치, 패턴 구조 및/또는 호 형태의 크기, 패턴 구조를 형성하는 금속선들간의 간격 및 트레이스 폭(패턴 구조를 형성하는 금속선의 폭)에 따라 건설적 또는 파괴적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미세 조정 및 최적화된 안테나 치수를 사용하면 안테나 중심에서 축 방향으로 구조적 필드 수렴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는 임플란트 안테나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리더 안테나와 유사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리더 안테나의 패턴과 연결되는 급전선(feeding line, 450, 460)을 도시하고 있으며, 급전 포인트(feeding point)는 기판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더 안테나의 패턴 구조는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패턴 구조의 일단은 제1 급전선(450)과 연결되어 급전 포인트를 통해 제1포트와 연결될 수 있고, 패턴 구조의 타단은 제2 급전선(460)과 연결되어 급전 포인트를 통해 제2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생체 환경 내의 임플란트 센서의 방향성의 예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임플란트 센서(510)가 생체 환경 내에서 임의 방향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52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테나 중앙에 집중된 자기장을 가지며, 리더 안테나(520)의 표면과 다른 높이에서 안테나 표면에 평행한 자기장 세기는 널-포인트(null-point)가 없는 균일한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리더 안테나(520)는 임플란트 센서(510)의 임의 방향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임플란트 센서(510)의 임플란트 안테나와의 정렬에 대한 민감성을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표면으로부터 30mm 높이에서의 자기장 세기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들이다. 이때, 도 6의 그래프는 리더 안테나의 X축(가로축)을 따라 리더 안테나의 표면으로부터 30mm 높이에서의 자기장 세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의 그래프는 리더 안테나의 Y축(세로축)을 따라 리더 안테나의 표면으로부터 30mm 높이에서의 자기장 세기를 나타내고 있다. 임플란트 안테나와 기존의 리더 안테나가 서로 커플링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를 이용한 건설적인 필드 커플링의 경우 필드 강도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리더 안테나의 직사각형 나선의 4면은 안테나 중앙에서 강한 전계 강도에 맞게 조정되고 최적화될 수 있다.
도 8은 기존의 인쇄 NFC 리더 안테나(reference antenna)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proposed antenna)를 비교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두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은 비슷(~ 0.9μH)하며, 안테나 평면에 대한 수직 단면의 각 그림을 통해 자기장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자기장 분포에 따르면, 기존의 인쇄 NFC 리더 안테나는 안테나 중앙에 널-포인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는 중심에 널-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전 섹션에서 설명한 건설적인 결합으로 인해 필드가 증폭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안테나들간의 인덕턴스 값은 비슷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가 기존의 인쇄 NFC 리더 안테나에 비해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자기장 분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중앙에서 자기장이 최대화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기존의 인쇄 NFC 리더 안테나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의 X축 및 Y축을 통한 대칭 자기장 필드 분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인쇄 NFC 리더 안테나인 일반 직사각형 안테나에서는 안테나 중앙의 널-포인트가 나타나는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더 안테나에서는 중앙에서 자기장이 최대화되기 때문에 널-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형 바이오 임플란트와의 정렬에 둔감한(insensitive) 리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직사각형 나선을 형성하는 금속 패턴의 네 개의 면 각각의 일부가 안테나의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러진 호 형태를 형성하는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형태는 상기 네 개의 면 각각의 중앙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구부러지는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면 각각에서 형성된 호 형태는 상기 내부 공간에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형태를 구현하는 금속선들간의 간격을 통해 결합 계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호 형태들간의 간격을 통해 결합 계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구조에서의 상기 호 형태의 위치, 상기 패턴 구조 또는 상기 호 형태의 크기, 상기 패턴 구조를 형성하는 금속선들간의 간격 및 상기 금속선들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자기장 필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구조를 통해 자기장이 안테나의 중앙에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구조는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패턴 구조의 일단은 제1 급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1 급전 포인트를 통해 제1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패턴 구조의 타단은 제2 급전선과 연결되어 상기 기판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2 급전 포인트를 통해 제2 포트를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KR1020220019963A 2022-02-16 2022-02-16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KR20230123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963A KR20230123171A (ko) 2022-02-16 2022-02-16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PCT/KR2023/002120 WO2023158181A1 (ko) 2022-02-16 2023-02-14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963A KR20230123171A (ko) 2022-02-16 2022-02-16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171A true KR20230123171A (ko) 2023-08-23

Family

ID=8757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963A KR20230123171A (ko) 2022-02-16 2022-02-16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3171A (ko)
WO (1) WO20231581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687B2 (en) * 2004-03-23 2007-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with compensating elements
US8253555B2 (en) * 2006-01-25 2012-08-28 Greatbatch Ltd. Miniature hermetically sealed RFID microelectronic chip connected to a biocompatible RFID antenna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n AIMD
DE102008017490B4 (de) * 2008-03-28 2013-02-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aderantenne für einen Einsatz mit RFID-Transpondern
US8902119B2 (en) * 2009-07-09 2014-12-02 Tagstar Systems Gmbh Dual polarized UHF antenna
JP6687182B1 (ja) * 2018-08-28 2020-04-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181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6767B2 (en) 300 MHz to 3 THz electromagnetic wave sensor for determining an interstitial fluid parameter in vivo
KR102381650B1 (ko)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폴디드 암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US88826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stituent concentrations within a biological tissue structure
JP5993372B2 (ja) 埋込み式誘電測定装置
US8430327B2 (en) Wireless sensing system using open-circuit, electrically-conductive spiral-trace sensor
WO2009103042A2 (en) Passive wireless antenna sensor for strain, temperature, crack and fatigue measurement
US20220147788A1 (en) Improved implantable passive rfid tag
US20220071504A1 (en) Antenna device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by using magnetic dipole resonance
US10910701B2 (en) Low-profile, impedance-robust radio antenna
CN112964936B (zh) 一种对周围环境介电常数敏感的微型天线传感器
KR20230123171A (ko) 바이오 임플란트를 위한 리더 안테나
CN113950286A (zh) 使用阵列天线的生物传感器
KR20210146795A (ko) 얼라인먼트 키로 동작하는 임플란트 센서, 임플란트 센서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디바이스 및 임플란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
CN115666383A (zh) 基于对准键进行工作的植入传感器、包括该植入传感器的植入设备及包括该植入设备的活体信息测定系统
US20230052649A1 (en) External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implant sensor and implant device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US20230048490A1 (en) Antenna device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by using leaky wave
KR20230081634A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rfid 및/또는 nfc의 인식 거리를 확장할 수 있는 액세서리 형태의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2474119B1 (ko) 슈퍼스트레이트를 통해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바이오 센서
KR20230027469A (ko) 분석물 검출용 센서로서의 전자기 근거리 공진기
KR20230077666A (ko) 실린더 형상 및 하이브리드 구조를 적용한 임플란트 안테나
KR102337891B1 (ko) 생체 측정기 내부 압력 모니터링 장치로 무선 전원을 전송하는 시스템
KR100970009B1 (ko) 불법 배선을 방지하는 배전 설비 관리용 rfid 태그장치
KR20100134888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 안테나
WO2024011255A1 (en) Passive micro-rfid tag antenna with ionic encasement that extends read-distance-to-size ratio
KR20230092753A (ko) 유전율 센싱에 기초하여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스마트 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