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3150A -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 Google Patents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3150A
KR20230123150A KR1020220019932A KR20220019932A KR20230123150A KR 20230123150 A KR20230123150 A KR 20230123150A KR 1020220019932 A KR1020220019932 A KR 1020220019932A KR 20220019932 A KR20220019932 A KR 20220019932A KR 20230123150 A KR20230123150 A KR 20230123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topper
pipe
copel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의희
Original Assignee
한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의희 filed Critical 한의희
Priority to KR102022001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3150A/en
Publication of KR2023012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1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코펠에 있어서, 상기 코펠의 옆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마개; 및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제2 마개를 포함하는, 코펠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pel interlocking with the hot water mat, the flange coupled to the through-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pel; A first stopper screwed to the flange and includ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copel to the outside; And it is screwed to the flange, and includes a second stopper including a plurality of pipes for circulating water inside the copel, provided with a copel.

Figure P1020220019932
Figure P1020220019932

Description

온수매트와 연동하는 코펠{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Coppell linked with hot water mat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본 발명은 온수매트와 연동하는 코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기능, 가열된 물을 통해 온수매트와 연동하는 기능 등을 제공하는 코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el that interlocks with a hot water m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pel that provides a heating function, a function that interlocks with a hot water mat through heated water, and the like.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및 주 5일 근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여가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말이나 휴가 시 야외에서 야영을 하거나 등산, 낚시 등의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위해 야외활동에 편리함을 주는 다양한 형태의 장비 개발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Due to the recent improvement in income level and the 5-day work week, various types of leisure activities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equipment that provides convenience for outdoor activities is rapidly increasing.

야외에서 야영을 하거나 등산, 낚시를 할 때는 인근에 음식점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여행경비를 절약하기 위해 버너나 가스레인지, 코펠 등의 취사도구를 휴대하여 각종 음식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먹는 실정이다.When camping outdoors, hiking, or fishing, there are most cases where there are no restaurants nearby, and in order to save travel expenses, cookware such as a burner, gas range, or Kopel is carried to make various foods by itself.

이와 같이 야외취사 후 텐트에서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지면으로부터 냉기가 올라와서 편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해 야외활동에 불편한 점이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의 경우에는 야외 취침을 하더라도 감기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온기가 있는 곳에서 취침을 해야 하지만 야외에서는 특별한 난방수단을 갖추지 못해 야영지에서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In this way, when sleeping or resting in a tent after outdoor cooking, cold air rises from the ground, making it difficult to sleep comfortably, which is inconvenient for outdoor activities. In order to prevent diseases, people should sleep in a warm place, but they are experiencing inconvenience at campsites because they do not have special heating means outdoors.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휴대용 난방기구들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온수가 순환하도록 구성되고 바닥에 깔도록 된 온수매트와 상기 온수매트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난방기구는 별도로 지참하여야 하고,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고가인 문제점 등이 존재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number of portable heating devices have recently been proposed, which consist of a hot water mat configured to circulate hot water and laid on the floor, and a heating device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hot water mat. Heating devices had to be brought separately, and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heating hot water was very complicated and expensiv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코펠을 이용하여 데워진 물을 제1 마개를 이용하여 코펠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요리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마개 및 전력을 이용하여 데워진 물을 매트에 순환시킴으로써 간소화된 구성으로 온수매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the water heated using the copel from the copel using the first stopper so that it can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cooking, and simplified by circulating the water heated using the second stopper and power to the mat. It is to enable the implementation of the hot water mat with th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용도의 제품, 구체적으로, 코펠, 온수매트 등의 제품을 하나의 단일 제품으로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carry a product for various purposes, specifically, a product such as a Kopel or a hot water mat as a single produ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코펠 및 온수매트를 구동시킴으로써 탄소 배출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arbon emissions to be reduced by driving the coil and the hot water mat using electrical energy.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코펠에 있어서, 상기 코펠의 옆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마개; 및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제2 마개를 포함하는, 코펠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pel interlocking with the hot water mat, the flange coupled to the through-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pel; A first stopper screwed to the flange and includ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copel to the outside; And it is screwed to the flange, and includes a second stopper including a plurality of pipes for circulating water inside the copel, provided with a copel.

상기 제1 마개는, 중앙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형의 지지부; 및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외면은 상기 플랜지의 관통홀 내면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topper may include a circular support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region; and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edge of the through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orti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may be screw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flange.

상기 제2 마개에는, 4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4개의 관통홀 중 2개의 관통홀에는,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 4개의 관통홀 중 나머지 2개의 관통홀에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를 통과하는 물을 데우기 위한 코일이 연결될 수 있다. Four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stopper, and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for circulating water inside the corpel are connected to two of the four through-holes, and the four through-holes are connected. Coils for heat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remaining two through holes among the holes.

상기 제1 파이프는 물을 공급하고,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온수매트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may be connected to a pump that supplies water and power to circulate the water, and the second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mat.

상기 플랜지에는 링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마개에는 상기 플랜지와 결합 시,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A ring-shaped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lange, and a convex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irst stopper when coupled to the flan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펠을 이용하여 데워진 물을 제1 마개를 이용하여 코펠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요리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제2 마개 및 전력을 이용하여 데워진 물을 매트에 순환시킴으로써 간소화된 구성으로 온수매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charging water heated using a coppel from the coppel using a first stopper, it can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cooking, and simplified by circulating water heated using a second stopper and electric power to the m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ot water mat with the configured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용도의 제품, 구체적으로, 코펠, 온수매트 등의 제품이 하나의 제품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제품을 단일 제품으로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roducts for various purposes, specifically, products such as Kopel and hot water mats are implemented as one produc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a product having various functions as a singl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코펠 및 온수매트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탄소 배출이 저감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rbon emissions can be reduced because electric energy is used to drive the copel and the hot water ma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코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코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mat and interlocking Copp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mat and interlocking Copp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on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equivalents as claimed by thos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코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mat and interlocking Copp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코펠(100)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옆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원하면, 일반적인 냄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코펠(100)의 열면 적어도 일부에는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0)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뚫려있는 형상일 수 있으나, 사각형 또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Coppell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into a general pot structure. When opening the Coppell 100, a through hole 110 is formed at least in part. The through hole 110 may preferably have a circular shape, but may also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other shape.

관통홀(110)에는 플랜지(200)가 삽입 결합되어 용접될 수 있다.A flange 200 may be inserted into and welded to the through hole 110 .

플랜지(200)는 중앙 영역에 원형의 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지지부(220), 상기 관통홀(210)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부(22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230)는 상기 지지부(220)로부터 연장되되 소정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는 플랜지(200)가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관통홀(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족하다. The flange 200 includes a circular support portion 220 in which a circular through hole 210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and a protrus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220 along an outer edge of the through hole 2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230). The protrusion 230 extends from the support 220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though the flange 200 is illustrated as having a circular shape in FIG. 1 , i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and it is sufficient if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0 .

상기 돌출부(230)는 관통홀(210)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또는 링형상을 띨 수 있는데, 돌출부(230)는 코펠(100)의 관통홀(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230)의 외경은 관통홀(11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protrusion 230 is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through hole 210, it may have a circular or ring shape, and the protrusion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0 of the copell 100 . To this e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sion 23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0 .

플랜지(200)에는 제1 마개(3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마개(300)는 중앙 영역이 뚫려있는 원형의 지지부(310), 상기 지지부(3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링 형태의 돌출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플랜지(200)의 관통홀(2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320)의 외면과 상기 플랜지(200)의 돌출부(230) 내면 간 나사 결합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The first stopper 300 is coupled to the flange 200 . Specifically, the first stopper 300 may include a circular support portion 310 having a central area pierced, and a ring-shaped protrusion 320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310 . The protrusion 32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10 of the flange 20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3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30 of the flange 200 may be screwed together, and may be detached by a user.

도 1에는 제1 마개(300)가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펠(100)의 관통홀(110) 및 플랜지(2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족하다.Although the first stopper 300 is illustrated as having a circular shape in FIG. 1 , i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0 and the flange 200 of the Coppell 100. enough

제1 마개(300)의 중앙 영역에는 코펠(100)에서 데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30), 예를 들면, 주전자 주동이 모양의 배출구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A discharge port 330 for discharging the water heated in the copel 100 to the outside may be coupl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topper 300, for example, a kettle mouth-shaped discharge port.

한편, 플랜지(200)의 지지부(220)에 있어서, 코펠(100)에 결합 시 코펠(100) 외부를 향하는 면에는 원형의 링형상을 띠는 오목부(24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마개(300)의 지지부(310)에는 플랜지(200)와 결합될 시, 상기 오목부(240)와 대응되어 상호 맞닿는 볼록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펠(100)의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이 더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upport part 220 of the flange 200, when coupled to the copel 100, a concave portion 240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copel 100, the first When combined with the flange 200, the support portion 310 of the stopper 300 may be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340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240 and contacting each other. Thereby, it can be more efficiently prevented from leaking the water of the Coppel 100 to the outsid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코펠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mat and interlocking Copp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펠(100)에 있어서는, 플랜지(200)에 제2 마개(400)가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ure 2, in the Coppe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topper 400 is coupled to the flange 200.

제2 마개(400) 또한 원형의 지지부(410), 지지부(4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돌출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1 마개(300)와 동일하게, 플랜지(200)와 결합 시 방수를 위한 볼록부(미도시됨)도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second stopper 400 also includes a circular support portion 410 and a protrusion 420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410 . Also, like the first stopper 300, a convex portion (not shown) for waterproofing when coupled with the flange 200 may be formed.

도 2에는 제2 마개(400)가 원형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코펠(100)의 관통홀(110) 및 플랜지(2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족하다.Although the second stopper 400 is illustrated as having a circular shape in FIG. 2 , it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0 and the flange 200 of the Coppell 100. enough

돌출부(420)는 상기 플랜지(200)의 돌출부(230) 내면과 나사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part 420 is screw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230 of the flange 200 and can be detached by a user.

한편, 제2 마개(400)에는 4개의 관통홀(430)이 형성된다. 제2 마개(400)가 플랜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4개의 관통홀(430)은 모두 플랜지(200)를 통해 코펠(100)의 내부까지 관통된다. Meanwhile, four through holes 430 are formed in the second stopper 400 .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topper 400 is coupled with the flange 200, all four through holes 430 penetrate through the flange 200 to the inside of the Coppell 100.

4개의 관통홀(430)은 제2 마개(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 및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관통홀(430), 바람직하게는, 상호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430)에는 코펠(100) 내부에서 데워진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510, 52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2개의 관통홀(430)에는 코일(530, 54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four through holes 43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and horizontally symmetrical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 stopper 400 . Two through-holes 430, preferably, pipes 510 and 520 formed so that water heated inside the Coppell 100 can move can be connected to the through-holes 430 form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respectively. there is. In addition, coils 530 and 54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emaining two through holes 430 .

제1 파이프(510)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60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파이프(520)는 온수매트(7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코일(530, 540)은 외부 전력을 인가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코펠(100) 내의 물 또는 파이프(510, 520)를 통해 순환하는 물을 데우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일(530, 540)은 펌프(600), 외부 전력 또는 보조배터리 등을 통해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first pipe 510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600 for supplying water, and the second pipe 520 may be connected to the hot water mat 700. On the other hand, the coils 530 and 540 receive external power and generate thermal energy to heat the water in the Coppell 100 or the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pipes 510 and 520. The coils 530 and 54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pump 600, external power, or an auxiliary battery.

한편, 코일(530, 540)은 상기 펌프(600) 또는 보조배터리 등에 내장된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한 제어에 의해 열에너지 발생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대한 제어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통신(ex. 블루투스 통신 등)을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상기 코일(530, 5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간 통신 연결을 시키고,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희망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여, 코일(530, 540)의 동작 정도, 즉, 열에너지 발생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ils 530 and 540 can adjust the degree of heat energy generation by control by a controller (not shown) built into the pump 600 or an auxiliary battery. Control of the control unit may be performed by a user,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a smart phon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eg, Bluetooth communication, etc.). That is, the user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smartphone and the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ils 530 and 540, and sets the desired water temperature through the smartphone to determine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coils 530 and 540, that is, , the degree of thermal energy generation can be controlled.

펌프(600)는 물을 공급하고, 물의 순환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펌프(600)에 의해 공급된 물이 제1 파이프(510), 코펠(100), 제2 파이프(520)를 거치는 동안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데워질 수 있고, 데워진 물이 제2 파이프(520)를 통해 온수매트(70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온수매트(700) 내부에도 물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가 내장되어 있는데, 온수매트(700)를 순환한 물은 별도의 파이프(미도시됨)를 통해 펌프(600)로 흘러들어갈 수 있으며, 다시 펌프(600)로부터 제1 파이프(510), 코펠(100), 제2 파이프(520), 온수매트(700)의 방향으로 물이 순환된다. The pump 600 supplies water and provides power for circulation of water. The water supplied by the pump 600 passes through the first pipe 510, the coil 100, and the second pipe 520. It can be heated to the temperature set by the user during the process, and the heated water flows into the hot water mat 700 through the second pipe 520. There is a built-in tube that allows water to circulate inside the hot water mat 700, and the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hot water mat 700 can flow into the pump 600 through a separate pipe (not shown), Again, water is circulated from the pump 60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ipe 510, the copel 100, the second pipe 520, and the hot water mat 7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펠을 이용하여 데워진 물을 제1 마개를 이용하여 코펠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요리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제2 마개 및 전력을 이용하여 데워진 물을 매트에 순환시킴으로써 간소화된 구성으로 온수매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discharging the water heated using the copel from the copel using the first stopper, it can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cooking, and a simplified configuration by circulating the heated water to the mat using the second stopper and electric pow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ot water ma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동물상 테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지칭하는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Meanwhile, in the following claims, “animal test service providing system” should be interpreted as a term referring to a user terminal or a service providing serve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100: 코펠
110: 관통홀
200: 플랜지
210: 관통홀
220: 지지부
230: 돌출부
240: 오목부
300: 제1 마개
310: 지지부
320: 돌출부
330: 배출구
340: 볼록부
400: 제2 마개
410: 지지부
420: 돌출부
430: 관통홀
510, 520: 파이프
530, 540: 코일
600: 펌프
700: 온수매트
100: Coppel
110: through hole
200: flange
210: through hole
220: support
230: protrusion
240: recess
300: first stopper
310: support
320: protrusion
330: outlet
340: convex part
400: second stopper
410: support
420: protrusion
430: through hole
510, 520: pipe
530, 540: coil
600: pump
700: hot water mat

Claims (5)

온수매트와 연동되는 코펠에 있어서,
상기 코펠의 옆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마개; 및
상기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제2 마개를 포함하는, 코펠.
In the Coppel interlocking with the hot water mat,
A flange coupled to a through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il;
A first stopper screwed to the flange and includ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copel to the outside; and
It is screwed to the flange and includes a second stopper including a plurality of pipes for circulating water inside the cop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개는,
중앙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형의 지지부;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외면은 상기 플랜지의 관통홀 내면과 나사 결합되는, 코펠.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opper,
a circular support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region;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edge of the through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or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screw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flange, Kopp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개에는, 4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4개의 관통홀 중 2개의 관통홀에는, 상기 코펠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 4개의 관통홀 중 나머지 2개의 관통홀에는, 상기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를 통과하는 물을 데우기 위한 코일이 연결되는, 코펠.
According to claim 1,
Four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stopper,
Two of the four through-holes are connected to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for circulating water inside the Coppel,
A coil for heat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is connected to the other two through holes of the four through ho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는 물을 공급하고,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온수매트와 연결되는, 코펠.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pipe is connected to a pump that supplies water and supplies power to circulate the water,
The second pip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mat, Kop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링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마개에는 상기 플랜지와 결합 시, 상기 오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코펠.
According to claim 1,
A ring-shaped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flange,
When coupled with the flange, the first stopper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Kopel.
KR1020220019932A 2022-02-16 2022-02-16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KR202301231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932A KR20230123150A (en) 2022-02-16 2022-02-16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932A KR20230123150A (en) 2022-02-16 2022-02-16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150A true KR20230123150A (en) 2023-08-23

Family

ID=8784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932A KR20230123150A (en) 2022-02-16 2022-02-16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31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05761A (en) Gas burner for cooker
US10443844B2 (en) Ignition device of burner
KR20230123150A (en) Portable cooker connected with heating pad
KR101637100B1 (en) Chair for Heating
CN205026739U (en) Picnic stove with prevent scalding structure
KR101770039B1 (en) Portable hot water boiler
CN208652633U (en) Outdoor stove and integral type open air heating device
CN210165464U (en) Infrared ceramic plate radiation furnace end assembly
CN208139345U (en) Cooker racks and gas-cooker
KR102246390B1 (en) Hot Wind Stove for Camping
CN205690398U (en) A kind of furnace end of gas cooker that can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KR20190124886A (en) Air curtain generator for cooking and cooking equipment intergrated with air curtain generator for cooking
CN204923101U (en) Energy -concerving and environment -protective a kind of deep pot hot water, congee stove
KR101778880B1 (en) Electric roaster with high efficiency sructure
CN219199315U (en) Electric heating stove
CN219613660U (en) Air fryer
KR101503052B1 (en) Combat kitchen
CN214048568U (en) Cooking utensil
KR102354459B1 (en) Gas burner support bracket height adjustment device to control the flame distance between the heating and cooking vessel
CN210197356U (en) Double-end energy-saving stir-fry pan
KR101744274B1 (en) Movable wellbeing fomentation house
KR102578161B1 (en) System for heating air and mat using gas fuel and method thereof
CN215175011U (en) Fire lid structure and gas-cooker
CN213309188U (en) Air fryer with good heat insulation effect
CN105972599A (en) Gas oven burner capable of improving heat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