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411A -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411A
KR20230122411A KR1020220019051A KR20220019051A KR20230122411A KR 20230122411 A KR20230122411 A KR 20230122411A KR 1020220019051 A KR1020220019051 A KR 1020220019051A KR 20220019051 A KR20220019051 A KR 20220019051A KR 20230122411 A KR20230122411 A KR 20230122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housing
antenna
direc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김호생
박성진
윤수민
장우민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411A/ko
Priority to PCT/KR2023/002069 priority patent/WO2023153895A1/ko
Publication of KR2023012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힌지 구조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을 디렉팅하는 디렉터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ANTENNA}
본 개시(disclosure)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화면(large screen)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휴대용 PC, 테블릿 PC,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는 2개의 하우징(예: 바디)과 적어도 하나의 힌지 구조체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하나의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하우징(예: 메인 하우징) 상에 폴딩되거나, 언폴딩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모바일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및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모바일 트래픽의 향상 및 빔 커버리를 ?┍貪? 위해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휴대용 PC, 테블릿 PC, 또는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는 힌지 구조체에 의해서 제1 하우징(예: 메인 하우징)과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폴딩/언폴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폴딩 시 디스플레이에 의해서 전자 장치의 배면 방향(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는 빔 커버리지가 형성되지 않거나, 빔 커버리지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배변 방향에서 빔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적은 수의 안테나 모듈로 빔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힌지 구조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을 디렉팅하는 디렉터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힌지 구조체에 디렉터 구조체가 배치되어, 디렉터(director) 구조체가 반원 또는 원통 형태로 말리어 배치될 수 있다. 디렉터 구조체에 의해서,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폴딩/언폴딩 각도에 상관없이, 전자 장치의 배면 방향으로 빔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렉터 구조체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빔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어, 적은 수의 안테나로 보다 넓은 빔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b는 전자 장치의 빔 커버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디렉터 구조체(director)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디렉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디렉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힌지 구조체의 외부에 디렉터 구조체가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디렉터 구조체의 배치에 따른 빔 커버리지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디렉터 구조체의 배치에 따른 빔 커버리지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안테나 구조체에 싱글 디렉터 구조체 또는 멀티 디렉터 구조체를 배치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내지 20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빔 커버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안테나의 파장에 따른 디렉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안테나의 파장에 따른 디렉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전자 장치의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배면에 안테나 구조체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전자 장치의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배면에 안테나 구조체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07) 및 제2 하우징(10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107)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복수의 전자 부품들(예: 프로세서, 통신 모듈, 안테나 구조체, 메모리, 센서 모듈, 입력 장치(예: 키보드), 인터페이스, 오디오 모듈,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인디케이터)이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외부에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108)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디스플레이(109), 및/또는 카메라 모듈(111)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9)는 외부에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07)과 제2 하우징(108)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힌지 구조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구조체(110)에 의해서 제1 하우징(107)과 연결되는 제2 하우징(108)이 폴딩되거나, 언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프로세서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으며,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메모리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SSD),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프로세서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통신 모듈은 RF(radio frequency) 모듈, 셀룰러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셀룰러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0)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키보드, 및/또는 디지털 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인터페이스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및/또는 D-sub(D-subminia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는 전자 장치(100)의 빔 커버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구조체를 통해서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 배치된 안테나 구조체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서 빔의 커버리지가 달라질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측 방향(101, top), 하측 방향(102, bottom), 좌측 방향(103, left), 우측 방향(104, right), 정면 방향(105, front)(예: 디스플레이(1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 및 배면 방향(106, rear)(예: 디스플레이(109)의 반대 면)에 대해서 빔 커버리지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100)의 하측 방향(102, bottom)으로는 빔이 방사 및 수신되지 않음으로, 전자 장치(100)의 상반구에 대해서 빔 커버리가 형성되고, 하반구에 대해서는 빔 커버리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로서, 제1 하우징(107)으로부터 제2 하우징(108)이 펼쳐지는 경우, 디스플레이(109)에 의한 간섭에 의해서 전자 장치(100)의 배면 방향(106, rear)(예: 디스플레이(109)의 반대 면)으로는 빔이 방사되지 않거나, 빔 커버리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제1 하우징(4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 제2 하우징(408)(예: 도 1의 제2 하우징(108)), 디스플레이(409)(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9)), 및/또는 복수의 안테나 구제체(430, 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4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제1 측면(431)(예: 좌측)(예: x축 방향)에 제1 안테나 구조체(4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430)는 x축 방향(예: 디스플레이(4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 방향)으로 빔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하우징(4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제2 측면(451)(예: 우측)(예: -x축 방향)에 제2 안테나 구조체(4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구조체(450)는 -x축 방향(예: 디스플레이(4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을 바라보았을 때 우측 방향)으로 빔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 구조체(430)는 다이폴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구조체(450)는 다이폴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 구조체(430) 및 제2 안테나 구조체(450)는 동일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 구조체(430) 및 제2 안테나 구조체(450)는 서로 다른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 하우징(4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제1 측면(431)(예: 디스플레이(4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면)에 제1 안테나 구조체(430)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4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 방향(403)(예: x축 방향) 및 정면 방향(405)(예: -y축 방향)으로 빔(432)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4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 하우징(4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제2 측면(451)(예: 디스플레이(4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을 바라보았을 때 우측면)에 제2 안테나 구조체(450)가 배치되어, 우측 방향(404)(예: -x축 방향) 및 정면 방향(405)(예: -y축 방향)으로 빔(432)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5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500)는 제1 하우징(5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 도 4의 제1 하우징(407)), 제2 하우징(508)(예: 도 1의 제2 하우징(108), 도 4의 제2 하우징(408)), 디스플레이(509)(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9), 도 4의 디스플레이(409)), 힌지 구조체(예: 도 1의 힌지 구조체(110))및/또는 안테나 구조체(520)(예: 도 4의 안테나 구제체(430, 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흰지 구조체(110)와 인접한 위치의 제1 하우징(507)의 측면에 안테나 구조체(52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500)의 상측 방향(501)(예: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505)(예: -y축 방향)으로 빔(52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테나 구조체(5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520)는 다이폴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5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 하우징(507)의 내부에 안테나 구조체(520)가 배치되어, 전자 장치(500)의 좌측 방향(예: 디스플레이(5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측 방향)(예: 도 1의 좌측 방향(103), 도 4의 x축 방향)으로 빔(522)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또한, 전자 장치(500)의 우측 방향(예: 디스플레이(5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을 바라보았을 때 우측 방향)(예: 도 1의 우측 방향(104), 도 4의 -x축 방향)으로 빔(5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500)의 상측 방향(501)(예: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505)(예: -y축 방향)으로 빔(522)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600)는 제1 하우징(6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 도 4의 제1 하우징(407)), 제2 하우징(608)(예: 도 1의 제2 하우징(108), 도 4의 제2 하우징(408)), 디스플레이(609)(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9)), 힌지 구조체(예: 도 1의 힌지 구조체(110)) 및/또는 안테나 구조체(620)(예: 도 4의 안테나 구제체(430, 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흰지 구조체(110)와 인접한 위치의 제1 하우징(6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측면에 안테나 구조체(62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0)의 상측 방향(601)(예: 도 4의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605)으로 빔(62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테나 구조체(6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제2 하우징(608)의 배면 방향(606)(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6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 빔(62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테나 구조체(620)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620)에 의해서 전자 장치(600)의 상측 방향(601)(예: z축 방향), 정면 방향(605)(예: -y축 방향) 및 제2 하우징(608)의 배면 방향(606)(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6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 빔(62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620)는 다이폴 안테나 및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600)의 제1 하우징(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내부에 안테나 구조체(620)가 배치되어, 전자 장치(6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좌측 방향(예: 도 1의 좌측 방향(103), 도 4의 좌측 방향(403)), 우측 방향(예: 도 1의 우측 방향(104), 도 4의 우측 방향(404)), 상측 방향(601)(예: z축 방향), 정면 방향(605)(예: -y축 방향) 및 배면 방향(606)(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609)의 반대 면)에 빔(622)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600)의 빔 커버리지를 넓힐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7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700)는 제1 하우징(7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 도 4의 제1 하우징(407)), 제2 하우징(708)(예: 도 1의 제2 하우징(108), 도 4의 제2 하우징(408)), 디스플레이(709)(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9)), 힌지 구조체(예: 도 1의 힌지 구조체(110)), 디렉터 구조체(740)(또는 제2 안테나) 및 안테나 구조체(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구조체(720)는 기판(721) 및 상기 기판(721)에 배치되는 제1 안테나(722)를 포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렉터 구조체(740)(또는 제2 안테나)는 안테나 구조체(720)의 기판(7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700)의 상측 방향(701)(예: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705)(예: -y축 방향)으로 빔(73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테나 구조체(7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722)는 다이폴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전자 장치(700)의 배면 방향(706)(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7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 빔(742)을 형성할 수 있도록 디렉터 구조체(740)(또는 제2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700)의 배면 방향(706)(예: y축 방향)으로 빔(742) 커버리지를 형성하기 위해서, 디렉터 구조체(740)(또는 제2 안테나)는 제1 안테나(722) 보다 전자 장치(700)의 배면 방향(706)(예: 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740)(또는 제2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722)와 디렉터 구조체(740)(또는 제2 안테나)는 서로 다른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700)의 제1 하우징(7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 도 4의 제1 하우징(407))의 내부에 제1 안테나(722)가 배치되어, 전자 장치(700))의 좌측 방향(예: 도 1의 좌측 방향(103)(예: 도 4의 x축 방향), 우측 방향(예: 도 1의 우측 방향(104)(예: 도 4의 -x축 방향), 상측 방향(701)(예: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705)(예: -y축 방향)으로 빔(732)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722)가 배치된 위치보다 전자 장치(700)의 배면 방향(706)에 디렉터 구조체(740)가 배치되어, 전자 장치(700)의 배면 방향(706)(예: 디스플레이(7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에 빔(742)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8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801) 및 디렉터 구조체(840)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800)는 제1 하우징(8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 도 4의 제1 하우징(407)), 및 제2 하우징(808)(예: 도 1의 제2 하우징(108), 도 4의 제2 하우징(40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807)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복수의 전자 부품들(예: 프로세서, 통신 모듈, 메모리, 센서 모듈, 입력 장치(예: 키보드), 인터페이스, 오디오 모듈,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및/또는 인디케이터)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808)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디스플레이(809)(예: 도 1의 디스플레이(109), 도 4의 디스플레이(409)), 및/또는 카메라 모듈(811)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09)는 외부에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는 제1 하우징(807)과 제2 하우징(808)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힌지 구조체(802)(예: 도 1의 힌지 구조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힌지 구조체(802)에 의해서 제1 하우징(807)과 연결되는 제2 하우징(808)이 폴딩되거나, 언폴딩될 수 있다. 예로서, 힌지 구조체(802)에 의해서 제2 하우징(808)과 연결되는 제1 하우징(807)이 폴딩되거나, 언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구조체(8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는 복수의 디렉터(841)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디렉터 구조체(8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안테나 구조체(801) 및 디렉터 구조체(84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빔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전자 장치(800)가 2개의 힌지 구조체(802)를 포함하고, 2개의 안테나 구조체(801) 및 2개의 디렉터 구조체(84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구조체(801)에 의해서 전자 장치(800)의 상측 방향(803, top)(예: z축 방향), 좌/우측 방향(804)(예: x축 방향/-x축 방향), 정면 방향(805, front)(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8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으로 빔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0)의 제2 하우징(808)이 언폴딩된 상태를 기준으로, 디렉터 구조체(840)에 의해서 제2 하우징(808)의 배면 방향(806, rear)(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8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 빔 커버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801)는 기판(820), 복수의 안테나(8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820)에 복수의 안테나(830)가 배치되고, 기판(820)과 복수의 안테나(830)가 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830)는 이중 편파(예: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기판(820)은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840)는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예: 도 12의 연성회로기판(1131)) 및 연성회로기판(1131) 상에 배치된 복수의 디렉터(8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디렉터(841)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예: 도 12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840)의 연성회로기판(1131)은 안테나 구조체(801)의 기판(8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830)는 제1 하우징(8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상측 방향(803)(예: z축 방향), 좌/우측 방향(804)(예: x축 방향/-x축 방향), 정면 방향(805, front)(예: -y축 방향)을 향하여 빔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830)는 다이폴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8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 하우징(8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내부에 복수의 안테나(830)가 배치되어, 전자 장치(800)의 좌/우측 방향(804)(예: x축 방향/-x축 방향), 상측 방향(803)(예: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805)(예: -y축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840)의 적어도 일부는 원통 형상의 힌지 구조체(802)의 형태를 따라, 반원 또는 원통 형태(예: 도 13의 원통 형태(802-1))로 말리어 힌지 구조체(80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힌지 구조체(802)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구조체(802)에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여 디렉터 구조체(840)의 일부가 힌지 구조체(802)의 외부로 인출되어, 기판(8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렉터 구조체(840)에 포함된 복수의 도전성 패턴(예: 도 12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 중 일부는 기판(8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디렉터 구조체(840)에 포함된 복수의 도전성 패턴(예: 도 12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 중 일부는 안테나(830)와 커플링이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디렉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 및 디렉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힌지 구조체의 외부에 디렉터 구조체가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의 전자 장치(예: 도 8의 전자 장치(800)는 안테나 구조체(1100)(예: 도 8의 안테나 구조체(801)) 및 디렉터 구조체(1130)(예: 도 8의 디렉터 구조체(8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1100)는 기판(1110), 및 복수의 안테나(11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판(1110)에 복수의 안테나(1120)들이 배치되고, 기판(1110)과 안테나(1120)가 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1120)들은 전자 장치(800)의 좌/우측 방향(804)(예: x축 방향, -x축 방향), 상측 방향(803)(예: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805)(예: -y축 방향)을 향하여 빔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1120)들은 다이폴 안테나 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1120)들은 이중 편파(예: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기판(1110)은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8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 하우징(807)(예: 도 1의 제1 하우징(107))의 내부에 복수의 안테나(1120)들이 배치되어, 전자 장치(800)의 좌/우측 방향(804)(예: x축 방향, -x축 방향), 상측 방향(803)(예: z축 방향) 및 정면 방향(805)(예: -y축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1130)는 연성회로기판(1131) 및 복수의 디렉터(113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연성회로기판(1131)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에 의해 복수의 디렉터(1130a)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디렉터 구조체(1130)는 패치 이중 편파 안테나 디렉터(patch dual polarization antenna directo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복수의 안테나(1120)들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가 전자 장치(800)의 하측 방향(예: 도 1의 하측 방향(102), -z축 방향)으로 향하던 것을 복수의 디렉터(1130a)들에 의해 상측 방향(803)(예: z축 방향), 정면 방향(805)(예: -y축 방향), 및 배면 방향(806)(예: y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디렉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1130)의 적어도 일부는 원통 형태의 힌지 구조체(예: 도 8 및 도 10의 힌지 구조체(802))의 형태를 따라, 반원 또는 원통 형태(802-1)로 말리어 힌지 구조체(802)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1130)가 반원 또는 원통 형태(802-1)로 말리어 배치됨으로, 복수의 디렉터(1130a)들(예: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 중 일부의 일면은 반원 또는 원통 형상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반원 또는 원통 형상을 따라서 배치된 일부의 디렉터(1130a)들(예: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은 y축 방향(예: 전자 장치(800)의 제2 하우징(808)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808)의 배면 방향(806))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렉터(1130a)들(예: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 중 다른 일부의 일면은 반원 또는 원통 형상을 따라서 전자 장치(800)의 상측 방향(803)(예: z축 방향)(예: 도 1의 상측 방향(101))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렉터(1130a)들(예: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 중 일부의 타면은 전자 장치(800)의 정면 방향(805)(예: 도 1의 정면 방향(105))(예: -y축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8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힌지 구조체(802)에 디렉터 구조체(1130)(예: 도 8의 디렉터 구조체(8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안테나(1120)(예: 도 10의 안테나(830))에서 방사되는 빔이 디렉터 구조체(1130)에 의해 지정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1130)를 대체하여 복수의 안테나(1120)들과 상이한 안테나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디렉터 구조체(1130)에 의해서, 전자 장치(800)의 하측 방향(예: 도 1의 하측 방향(102))으로 항하던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를 상측 방향(803)(예: z축 방향), 정면 방향(805)(-y축 방향), 및 배면 방향(806)(예: y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빔 커버리가 넓게 형성되도록할 수 있다.
도 14는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디렉터 구조체의 배치에 따른 빔 커버리지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401)에 제1 안테나(1410)만 배치한 경우와, 전자 장치(1402)에 제1 안테나(1410) 및 디렉터 구조체(1420)(또는 제2 안테나)를 함께 배치한 경우에 빔 커버리지(1501, 1502)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1410)는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안테나(1410)는 전자 장치(예: 도 8의 전자 장치(800))의 배면(예: 도 8의 y축 방향)을 향하여 빔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제1 안테나(1410)보나 -z축 방향으로 아래에 디렉터 구조체(1420)(또는 제2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디렉터 구조체(1420)(또는 제2 안테나)는 제1 안테나(1410)보다 전자 장치(1402)의 배면(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예: y축 방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1401)에 안테나(1410)만 배치한 경우의 빔 커버리지(1502)보다 전자 장치(1402)에 안테나(1410) 및 디렉터 구조체(1420)를 함께 배치한 경우의 빔 커버리지(1501)가 전자 장치(1402)의 y축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1402)에 안테나(1410) 및 디렉터 구조체(1420)를 함께 배치한 경우에, 빔 커버리지(1501)가 60°~180°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디렉터 구조체의 배치에 따른 빔 커버리지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8의 전자 장치(800))는 안테나 구조체(1600) 및 디렉터 구조체(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1600)와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는 동일한 기판에 형성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1600)와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는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1600)는 기판(1610), 및 상기 기판(1610)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안테나(16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에 복수의 안테나(1620)들만 배치한 경우와, 전자 장치(800)에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 및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를 함께 배치한 경우에 빔 커버리지(1701~1706)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은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의 높이(h1)보다 높은 위치(h2)(예: z축 방향으로 높은 위치)에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는 전자 장치(800)의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예: 도 8의 y축 방향)으로 빔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만 배치되고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 없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800)의 상측면(예: z축)기준으로 좌/우(예: x축 방향, -x축) 방향으로 빔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800)에 제1 안테나(1620)들만 배치한 경우의 빔 커버리지보다 전자 장치(800)에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 및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를 함께 배치한 경우의 빔 커버리지가 전자 장치(800)의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예: 도 8의 y축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1630)(또는 제2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수직 편파에 대한 빔 커버리지(1701, 1702, 1703) 및 수평 편파에 대한 빔 커버리지(1704, 1705, 1706)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에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만 배치한 경우의 수직 편파에 대한 빔 커버리지(1701)보다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 및 디렉터 구조체(1630)를 함께 배치한 경우의 수직 편파에 대한 빔 커버리지(1702, 1703)가 전자 장치(800)의 y축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800)에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만 배치한 경우의 수평 편파에 대한 빔 커버리지(1704)보다 복수의 제1 안테나(1620)들 및 디렉터 구조체(1630)를 함께 배치한 경우의 수평 편파에 대한 빔 커버리지(1706)가 전자 장치(800)의 y축 방향으로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안테나 구조체에 싱글 디렉터 구조체 또는 멀티 디렉터 구조체를 배치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8의 전자 장치(800))는 안테나 구조체(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1800)는 기판(1810) 및 안테나 어레이(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1820)는 복수의 안테나(182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1800)는 기판(1810) 및 안테나 어레이(1820)와 함께 싱글 디렉터 구조체(1830) 또는 멀티 디렉터 구조체(18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싱글 디렉터 구조체(1830)는 어레이 형태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8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멀티 디렉터 구조체(1840)는 어레이 형태이 복수의 제1 도전성 패턴(1841)들 및 복수의 제2 도전성 패턴(18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제1 도전성 패턴(1841)들이 제1 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도전성 패턴(1842)들이 제2 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9에서는 멀티 디렉터 구조체(1840)가 2열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1841, 184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멀티 디렉터 구조체(1840)는 3열 이상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싱글 디렉터 구조체(1830) 또는 멀티 디렉터 구조체를(1840)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1800)는 전자 장치(800)의 제1 하우징(예: 도 8의 제1 하우징(807))의 내부 또는 힌지 구조체(예: 도 8의 힌지 구조체(80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가 안테나 어레이(1820) 및 싱글 디렉터 구조체(1830)를 포함하거나, 안테나 어레이(1820) 및 멀티 디렉터 구조체를(1840)를 포함하면 다양한 각도에서 빔 커버리를 확보할 수 있고, 빔 커버리지를 넓힐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f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빔 커버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도 20b, 도 20d, 및 도 20e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0)는 제1 하우징(807)(예: 도 8의 제1 하우징(807)), 제2 하우징(808)(예: 도 8의 제2 하우징(808), 디스플레이(2040)(예: 도 8의 디스플레이(809)), 힌지 구조체(예: 도 8의 힌지 구조체(802), 안테나 구조체(2001), 및 디렉터 구조체(20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2001)(예: 도 8 및 도 10의 안테나 구조체(801))는 기판(2010)(예: 도 8 및 도 10의 기판(820)), 제1 안테나(2020)(예: 도 8 및 도 10의 안테나(830)), 및 제2 안테나(20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2020)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안테나(2025)는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2 안테나(2025)는 제1 안테나(2020)의 위치보다 제2 하우징(808)에 인접하도록 y축 방향으로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c 및 도 20f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0)는 제1 하우징(807)(예: 도 8의 제1 하우징(807)), 제2 하우징(808)(예: 도 8의 제2 하우징(808), 디스플레이(2040)(예: 도 8의 디스플레이(809)), 힌지 구조체(예: 도 8의 힌지 구조체(802)), 안테나 구조체(2002), 및 디렉터 구조체(20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안테나 구조체(2002)(예: 도 8 및 도 10의 안테나 구조체(801))는 기판(2010)(예: 도 8 및 도 10의 기판(820)), 제1 안테나(2022)(예: 도 8 및 도 10의 안테나(8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2022)는 패치 안테나 또는 다이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체(2002)는 제1 하우징(807)의 내에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체(200)는 제1 하우징(807) 내에서 일정 각도(θ)만큼 틸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200)가 일정 각도(θ)만큼 틸트되어 배치되면 y축 방향의 빔 커버리지를 넓힐 수 있다.
도 20a 내지 도 20f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2030)(또는 제2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는 원통 형태의 힌지 구조체(예: 도 8의 힌지 구조체(802))의 형태를 따라, 반원 또는 원통 형태(예: 도 13의 원통 형태(802-1))로 말리어 힌지 구조체(예: 도 8의 힌지 구조체(802))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2030)(또는 제2 안테나)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예: 도 12 및 도 13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패턴(예: 도 12 및 도 13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은 안테나(2020)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를 전자 장치(2000)의 상측 방향(예: z축 방향)(예: 도 1의 상측 방향(101), 도 8의 z축 방향), 하측 방향(예: -z축 방향)(예: 도 1의 하측 방향(102), 도 8의 -z축 방향), 정면 방향(예: 도 1의 정면 방향(105), 도 8의 -y축 방향), 및/또는 배면 방향(예: y축 방향)(예: 도 1의 배면 방향(106), 도 8의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 휘어지도록 디렉팅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도 20a, 도 20c, 및 도 2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808)이 수직 라인(VL)의 바깥쪽(예: y축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예로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808)이 수직 라인(VL)의 안쪽(예: -y축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예로서,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808)이 수직 라인(VL)에 맞춰 펼쳐질 수 있다. 예로서, 도 2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808)이 수직 라인(VL)에 수직한 방향으로 닫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제2 하우징(808)의 폴딩/언폴?? 되는 각도에 상관없이 디렉터 구조체(2030)(또는 제2 안테나)가 반원 또는 원통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40)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예: 도 8의 제2 하우징(808)의 폴딩 각도에 따라서, 디렉터 구조체(2030)(또는 제2 안테나)에 의해서 제1 안테나(2020)에서 방사되는 빔의 방향이 휘어질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2030)가 반원 또는 원통 형태(802-1)로 말리어 배치됨으로, 제2 하우징(예: 도 1의 제2 하우징(108))의 폴딩/언폴딩 각도에 상관없이 y축 방향으로 빔 커버리지(2060a~2060f)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디렉터 구조체(2030)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빔 커버리지(2060a~2060f)를 확보할 수 있어, 적은 수의 안테나로 넓은 빔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1은 안테나의 파장에 따른 디렉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2100)는 기판(2110), 복수의 제1 안테나(2120)들 및 디렉터 구조체(2130)(또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2130)는 반원 또는 원통형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21에서는 하나의 기판(2110)에 복수의 제1 안테나(2120)들 및 디렉터 구조체(2130)(또는 제2 안테나)가 함께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1 안테나(2120)들 및 디렉터 구조체(2130)(또는 제2 안테나)는 각각 별도의 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디렉터(2130)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2132)(예: 도 12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패턴(2132)들은 복수의 제1 안테나(2120)들의 파장의 약1/2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안테나의 파장에 따른 디렉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안테나 구조체(2200)는 기판(2210), 복수의 제1 안테나(2220) 및 디렉터 구조체(2230)(또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2230)(또는 제2 안테나)는 반원 또는 원통형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디렉터 구조체(2230)(또는 제2 아?럼?)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2232)(예: 도 12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패턴(2232)들은 안테나(2220)의 파장의 1/2 미만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전자 장치(2300)의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배면에 안테나 구조체(2310)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300)는 제1 하우징(2330), 제2 하우징(2340), 디스플레이(예: 도 8의 디스플레이(809)), 및 복수의 안테나 구조체(2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 구조체(2310)는 제1 안테나 구조체(23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3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312)는 제2 하우징(2340)의 배면에서 y 축, x축, -x축, z축 및 -z축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테나 구조체(23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312)는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 구조체(23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312)는 제1 방향(예: 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3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312)는 제2 하우징(2340)의 제1 방향(예: x축 방향)(예: 가로 방향)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3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312)에 의해서 전자 장치(2300)의 배면 방향(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 빔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제1 하우징(2330)의 내부 공간(2320)에 제3 안테나 구조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체에 의해서 전자 장치(2300)의 상측 방향(예: z축 방향)(예: 도 8의 상측 방향(803)), 정면 방향(예: -y축 방향)(예: 도 8의 정면 방향(805)), 좌측 방향(예: x축 방향)/우측 방향(예: -x축 방향)(예: 도 8의 좌/우측 방향(804))으로 빔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4는 전자 장치(2400)의 제2 하우징(예: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배면에 안테나 구조체(2410)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400)는 제1 하우징(2430), 제2 하우징(2440), 디스플레이(예: 도 8의 디스플레이(809)), 및 복수의 안테나 구조체(2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복수의 안테나 구조체(2410)는 제1 안테나 구조체(24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4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412)는 제2 하우징(2440)의 배면에서 y 축, x축, -x축, z축 및 -z축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안테나 구조체(24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412)는 제2 방향(예: z축 방향)(예: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4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412)는 제2 하우징(2440)의 제2 방향(예: z축 방향)(예: 세로 방향)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411)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412)에 의해서 전자 장치(2400)의 배면 방향(예: y축 방향)(예: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으로 빔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제1 하우징(2430)의 내부 공간(2420)에 제3 안테나 구조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체에 의해서 전자 장치(2400)의 상측 방향(예: z축 방향)(예: 도 8의 상측 방향(803)), 정면 방향(예: -y축 방향)(예: 도 8의 정면 방향(805)), 좌측 방향(예: x축 방향)/우측 방향(예: -x축 방향)(예: 도 8의 좌/우측 방향(804))으로 빔 커버리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7의 전자 장치(700), 도 8의 전자 장치(800))는,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 하우징(예: 도 7의 제1 하우징(707), 도 8의 제1 하우징(807)), 디스플레이(예: 도 7의 디스플레이(709), 도 8의 디스플레이(809))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708, 808), 상기 제2 하우징(708, 808)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707, 807) 및 제2 하우징(예: 도 7의 제2 하우징(708), 예: 도 8의 제2 하우징(808))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힌지 구조체(예: 도 8의 힌지 구조체(802)), 상기 제1 하우징(707, 807)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안테나(예: 도 8의 복수의 제1 안테나(830))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예: 도 8의 안테나 구조체(801)),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구조체(80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801)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을 디렉팅하는 디렉터 구조체(예: 도 8의 디렉터 구조체(840), 도 11의 디렉터 구조체(1130), 도 14의 디렉터 구조체(1420), 도 16의 디렉터 구조체(1630), 도 20a 내지 도 20f의 디렉터 구조체(20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801)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을 변경하는 안테나 디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801)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를 상기 디스플레이(709, 809)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 방향으로 디렉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예: 도 13의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830)들의 파장의 약1/2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830)들의 파장의 약1/2 미만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힌지 구조체(802)는 반원 또는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의 일부가 상기 힌지 구조체(802)의 외부로 빠져나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이 상기 안테나 구조체(801)의 기판(예: 도 9의 기판(820))에 본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 구조체(802)의 형태를 따라 반원 또는 원통 형태로 말리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708, 808)의 폴딩 또는 언폴딩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801)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 중 일부는 상기 전자 장치(700, 800)의 하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700, 800)의 하측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 중 일부는 상기 전자 장치(700, 800)의 상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700, 800)의 상측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 중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708, 808)의 배면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708, 808)의 배면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 중 일부는 정면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700, 800)의 정면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830)들은, 다이폴 안테나 및/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830)들은, 상기 제1 하우징(707, 807)의 상측 방향에 대해 수평하고, 상기 제1 하우징(707, 807)의 좌/우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보나 낮은 위치에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이 1라인으로 배열된 싱글 디렉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렉터 구조체(840, 1130, 1420, 1630, 2030)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1132)들이 복수의 라인으로 배열된 멀티 디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힌지 구조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을 디렉팅하는 디렉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 구조체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을 변경하는 안테나 디렉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 구조체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표시되는 반대 면 방향으로 디렉팅하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 구조체는,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의 파장의 약1/2의 크기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의 파장의 약1/2 미만의 크기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체는 반원 또는 원통형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디렉터 구조체의 일부가 상기 힌지 구조체의 외부로 빠져나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이 상기 안테나 구조체의 기판에 본딩되는,
    전자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 구조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 구조체의 형태를 따라 반원 또는 원통 형태로 말리어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폴딩 또는 언폴딩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체에서 방사되는 수직 편파 및 수평 편파의 방향이 변경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 중 일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하측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 중 일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상측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상측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 중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배면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배면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되는,
    전자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 중 일부는 정면 방향을 항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정면 방향으로 빔 커버리가 형성되는,
    전자 장치.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은,
    다이폴 안테나 및/또는 패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들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측 방향에 대해 수평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좌/우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자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보나 낮은 위치에 상기 디렉터 구조체가 배치되는,
    전자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안테나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디렉터 구조체가 배치되는,
    전자 장치.
  19. 제17 항 또는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 구조체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이 1라인으로 배열된 싱글 디렉터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7 항 또는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터 구조체는,
    복수의 도전성 패턴들이 복수의 라인으로 배열된 멀티 디렉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19051A 2022-02-14 2022-02-14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22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51A KR20230122411A (ko) 2022-02-14 2022-02-14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3/002069 WO2023153895A1 (ko) 2022-02-14 2023-02-13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51A KR20230122411A (ko) 2022-02-14 2022-02-14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411A true KR20230122411A (ko) 2023-08-22

Family

ID=8756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051A KR20230122411A (ko) 2022-02-14 2022-02-14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2411A (ko)
WO (1) WO20231538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512566A (en) * 2003-09-19 2005-04-01 Quanta Comp Inc Concealed antenna used in a notebook
KR102444553B1 (ko) * 2016-02-26 2022-09-20 주식회사 기가레인 노트북 컴퓨터
WO2021188094A1 (en) * 2020-03-17 2021-09-23 Google Llc Antenna excitation through laptop hinge
KR20210125346A (ko) *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와 연관된 출력 제어 방법
KR20210157226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895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947B1 (ko) 5g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353853B1 (en) Antenna of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US1130303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US11942690B2 (en) Antenna having radiation structure of given direc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415591B1 (ko)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U2021205050B2 (en) Dual polarized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75444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antenna
US11532879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69167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77556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028256A (ko) 5g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942653B1 (en) Antenna module comprising dipole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4583446A (zh) 超带宽天线阵列及电子设备
KR20230122411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19018B2 (en) Conductive structure disposed to correspond to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09403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US20230110601A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502393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100675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nd cabl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