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274A -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274A
KR20230122274A KR1020220018737A KR20220018737A KR20230122274A KR 20230122274 A KR20230122274 A KR 20230122274A KR 1020220018737 A KR1020220018737 A KR 1020220018737A KR 20220018737 A KR20220018737 A KR 20220018737A KR 20230122274 A KR20230122274 A KR 2023012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nt cultivation
exhaust duct
spac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상
박재성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274A/ko
Publication of KR2023012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되, 내부에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재배공간 내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공조장치를 포함한 기계실유닛이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에 의해 공조되거나 상기 재배공간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덕트, 및 상기 식물재배장치 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한 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회로기판과 인접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재배장치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물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재배장치는 내부에 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재배실을 갖되, 재배실 내 수용된 식물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치로서,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양분과 빛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2020-0100497호 등에서 개시하고 있는 식물재배장치는 재배공간을 가진 캐비넷과, 재배공간에 마련된 다단의 트레이와, 트레이에 재배되는 식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모듈과, 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탱크와, 재배실 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조화모듈 등을 포함하여, 재배실 내 식물의 성장을 제어하고 있다.
식물재배장치는 식물의 생장을 위해 요구되는 성장환경을 구현하여야 하며, 재배공간 내 식물의 생장을 위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재배공간에 공기조화모듈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도입하거나, 재배공간 내 식물에 물이나 영양액을 공급하여야 하는 기술 등이 개시되고 있다.
한편, 식물재배장치 내에는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회로기판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회로기판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된 전원을 강압하는 등 변환하는 과정 등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식물재배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재배공간을 냉각시킬 때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KR 10-2020-0100497 A1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 내 발열이 발생하는 회로기판 등에 대하여 방열을 위한 추가장치 없이 열을 식히거나, 발열이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되, 내부에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재배공간 내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공조장치를 포함한 기계실유닛이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에 의해 공조되거나 상기 재배공간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덕트, 및 상기 식물재배장치 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한 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회로기판과 인접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저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캐비넷의 상측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가 마련된 배기실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기실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복수의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기덕트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실에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위에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케이스와, 상기 기판케이스에 안착된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판케이스는, 저면에 상기 배기덕트가 인입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된 저면오목부와, 상면에 상기 저면오목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판안착부는, 상기 저면오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각각에 마련된 제1 및 제2 기판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가 위에 마련된 상기 배기실의 저면은, 상기 기판케이스와 그 사이에 소정의 제1 이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실의 저면은, 상기 내상과 그 사이에 소정의 제2 이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는 상기 댐퍼모듈의 구동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재배장치 내 발열이 발생하는 회로기판 등에 대하여 방열을 위한 추가장치 없이 열을 식히거나, 발열이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식물재배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식물재배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단열플레이트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실 내 마련된 구성요소들의 조립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실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 및 댐퍼모듈의 조립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모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식물재배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시스템(1000)은 식물재배장치(100), 캡슐(200), 사용자단말기(300) 및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시스템(1000)에서는 사물인터넷기술(Internet of Things, IoT)이 적용되어, 식물재배장치(100)는 캡슐(200)을 센싱하여 획득한 제어데이터를 근거로 식물의 재배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식물의 재배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재배기록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사용자단말기(30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300)를 통해 식물재배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식물의 재배 환경을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200)은 씨드(seed)(150)가 패키징(packaging)된 용기일 수 있다. 여기서, 씨드(250)는 씨, 씨앗, 종자 등을 가리킬 뿐만 아니라, 씨드가 발아한 모종(nursery plants)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씨드의 품종에 따라 캡슐(200)의 모양이나 색상 등과 같은 외관은 다를 수 있다. 사용자는 시장(market place)에서 자신의 기호에 맞게 캡슐(200)의 품종을 취사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200)은 식물재배장치(100)의 트레이(120)에 안착될 수 있고, 트레이(120)에 안착된 캡슐(200)의 씨드는 식물재배장치(100)의 재배공간(S)에서 배양되어 성장할 수 있다.
캡슐(200)의 품종은 식물재배장치(100)의 센서모듈(17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도 7 등 참조). 센서모듈(170)이 캡슐(200)에 대한 안착 여부, 품종, 제어데이터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슐(200)은 QR코드(Quick response code)와 같은 스마트코드(Smart code)가 마련되고, 카메라모듈을 포함한 센서모듈(170)은 캡슐(200)의 QR코드를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 및 처리함으로써,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임의로 배치된 캡슐(200)을 식별하여 캡슐(200)의 개수, 식별된 각 캡슐(200)의 품종, 각 캡슐(200)의 배치위치, 배치시기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모듈(17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캡슐(200)로부터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이외에, 광학식 인식 방식 또는 전자기적 인식 방식이나 특징점을 이용한 정보 획득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200)에 대한 품종은 센서모듈(170)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모듈은 센서모듈(170)에 의해 식별된 캡슐(200)의 종류와 배치 등에 따라 식물재배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캡슐(200)은 캡슐프레임(210), 캡슐커버(220) 및 씨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캡슐프레임(210)은 캡슐(200)의 골격을 이루어 내부에 씨드수용부(240)를 수용하기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이때, 캡슐프레임(210)의 재질은 합성수지 등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성형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캡슐프레임(210)의 상면과 하면은 개방될 수 있고, 측면에도 적어도 일부분에 개방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캡슐프레임(210)의 상면의 개방 부분을 통해 성숙한 식물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캡슐프레임(210)의 하면의 개방 부분과 측면의 복수의 개방 부분을 통해 씨드수용부(240)에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공기와 배양액 등이 공급될 수 있다.
캡슐프레임(210)의 상면에는 개방된 부분을 덮어 캡슐프레임(210) 내부의 씨드(250)를 보존하기 위한 캡슐커버(2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슐커버(220)의 개봉시 캡슐프레임(210)의 상면 개방부분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씨드(250)의 생장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캡슐커버(220)에 마련된 인식부(230)는 캡슐(2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캡슐커버(220)는 캡 형태로 적어도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캡슐커버(220)는 잔존부(221)와 제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잔존부(221)는 캡슐커버(220)가 개봉될 때 잔존하는 부분일 수 있고, 제거부(222)는 캡슐커버(220)가 개봉될 때 제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거부(222)는 대략 캡슐프레임(210)의 상면의 개방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캡슐커버(220)의 개봉을 위해 제거부(222)와 잔존부(221)의 사이에는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취선 중 일부가 분리 또는 절취된 이지컷(Easy-cut)이 형성될 수 있다.
인식부(230)는 식물재배장치(100)의 센서모듈(170)에 의해 인식되는 부분으로서, 인식부(230)는 인식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QR코드(Quick response code), RFID 칩, 자성체 및 특징점 등일 수 있다.
인식부(230)가 QR코드(Quick response code)와 같은 스마트 코드 형태로 마련된 경우, 캡슐커버(220)의 잔존부(221)에 배치 및/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인식부(23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씨드수용부(240)는 자연 상태에서의 토양과 같이, 씨드(250)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씨드수용부(24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성과, 수분을 흡수하여 머금을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씨드수용부(240)의 재질은 다공성의 스펀지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나의 캡슐(200)에 단일 품종의 씨드(250)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하지 않고, 하나의 캡슐(200)에 다품종의 복수의 씨드(250)가 존재할 수도 있다.
식물재배장치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식물재배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식물재배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캐비넷(110), 트레이(120), 광원모듈(160), 공조장치(151~153) 및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넷(110)은 식물재배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되, 캐비넷(110)은 내부에 재배공간(S)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상(130)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기계실(M)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넷(110)은 전방에 개폐가능한 도어(11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1)의 개방시 재배공간(S)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도어(111)를 개방하여 트레이(120)에 캡슐(200)을 안착시키거나, 트레이(120)에서 성숙된 식물을 수확할 수 있다.
반대로, 도어(111)의 폐쇄시 재배공간(S)은 외부와 차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도어(111)를 폐쇄하여 재배공간(S)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외부와 독립된 재배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도어(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1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윈도우(1111)를 통해 캐비넷(110) 내부의 재배공간(S)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1111)는 재배공간(S)를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재배공간(S) 내 조도는 광원모듈(160)에 의해 식물의 재배 환경에 맞추어 밝게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눈부심이나 안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윈도우(1111)에는 재배공간(S) 내 빛을 차단하거나 흡수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윈도우(1111) 중 적어도 일부에는 광흡수 및/또는 광반사를 위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식물재배장치(100)는 사용자입력을 받거나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자패널(112)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11)나 윈도우(1111)를 통해 전자패널(112)로부터 출력된 식물재배환경 등과 관련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사용자는 전자패널(112)을 통한 터치입력이나 누름입력 등으로 식물재배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어(111)에는 재배공간(S)과 외기를 교환하기 위한 제1 채널(C1) 및/또는 제2 채널(C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널(C1)을 통해 외기는 재배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 채널(C2)을 통해 재배공간(S)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111)의 내측면에는 가위나 트레이 따위와 같은 수확 도구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가져, 사용자는 거치된 도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성숙된 식물을 수확하고 수확된 식물을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비넷(110) 내에는 재배공간(S)을 형성하는 내상(130)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내상(130)에 의해 재배공간(S)은 독립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도면부호 Sa~Sc). 즉, 내상(130)과 재배공간(S)은 일대일로 대응되어, 1개의 내상(130)에는 1개의 재배공간(S)이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재배공간(S)은 내상(130)의 내부 공간을 가리킬 수 있다.
이때, 캐비넷(110) 내 복수의 내상(130)은 상하로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배치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재배공간(Sa~Sc)은 각 재배공간(Sa~Sc)마다 트레이(120a~120c), 광원모듈(160a~160c) 및 센서모듈(170)(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재배공간(Sa~Sc)의 하부에는 트레이(120)가 마련될 수 있고, 재배공간(Sa~Sc)의 천정에는 광원모듈(160) 및 센서모듈(170)이 배치될 수 있다.
캐비넷(110)은 캐비넷(1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넷프레임(101, 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넷프레임(101, 102)은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수직프레임(101)과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복수의 수평프레임(102)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직프레임(101)과 복수의 수평프레임(102)은 격자로 연결되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도어(111)가 마련되는 전방에 마련된 복수의 수평프레임(102) 중 적어도 일부는 생략되어 개방될 수 있다.
캐비넷프레임(101, 102)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상(13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상(130)은 캐비넷(110) 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넷(110)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수평프레임(102) 중 적어도 일부에는 복수의 내상(130)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내상(130)은 캐비넷프레임(101, 102)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내상(130)의 천정에는 광원모듈(160)과 센서모듈(170)이 마련될 수 있고, 내상(130)의 하부에는 트레이(1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트레이(12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상(130)의 좌우측 내벽에는 한 쌍의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120)는 내상(130)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내상(130) 내부로 인입되거나 내상(13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트레이(120)는 내상(130)의 내부로 인입하여 장착되면, 물과 영양액이 혼합된 배양액을 저장한 배양액탱크(191)와 연결된 배양액유로(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120)에는 내부 수용 공간에 배양액이 공급되는 유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배양액탱크(191)에 저장된 배양액은 트레이(120)의 유입구를 통해 트레이(120)의 내부 수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배양액탱크(191)에 저장된 배양액은 밸브 따위에 의해 제어된 유량으로 펌프나 액추에이터 따위에 의한 동력을 제공받아 트레이(120)의 내부 수용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트레이(120)에는 내부 수용 공간에 배양액이 공급되는 유입구 이외에 내부 수용 공간에 저장된 배양액을 배출되는 유출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120)에 마련된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해 트레이(120)의 내부 수용 공간의 배양액은 배양액탱크(191)와 순환할 수 있다. 즉, 배양액탱크(191)에 저장된 배양액은 밸브 따위에 의해 제어된 유량으로 펌프나 액추에이터 따위에 의한 동력을 제공받아 트레이(120)의 내부 수용 공간을 경유하여 순환할 수 있다.
결국, 트레이(120)의 상측면은 재배공간(S)과 접하여 복수의 캡슐(200)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의 스팟(spot)이 마련될 수 있고, 스팟에 안착된 캡슐(200) 내 식물은 트레이(12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저장된 배양액에 의해 성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배양액의 공급량 또는 순환량을 제어하되, 이때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마련된 캡슐(200)을 센싱하여 제어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캡슐(200)의 개수, 품종, 배치 위치 및 배치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배양액의 공급량 또는 순환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성숙된 식물을 캡슐(200) 단위로 하나씩 채취할 수도 있고, 트레이(120)를 내상(13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성숙된 식물을 모판 단위로 한 번에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식물을 모판 단위로 수확하는 경우, 트레이(120)를 식탁으로 바로 옮겨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트레이(120)는 식탁 위에 안정적(수평 유지)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저면에 돌출 형성된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상(130) 내 광원모듈(160)은 재배공간(S)에 광을 출사하여 식물재배를 위한 조명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모듈(160)은 빛을 재배공간(S)에 제공함으로써 재배공간(S)의 조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복수의 광원모듈(160a~160c)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광원모듈(160)의 개수는 내상(130) 또는 재배공간(S)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원모듈(160a~160c)과 복수의 재배공간(Sa~Sc)은 일대일로 대응되어, 1개의 재배공간(S)에 1개의 광원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광원모듈(160)로부터의 출사광은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입사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모듈(160)은 재배공간(S)의 천정(또는 상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원모듈(160)은 내상(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내상(13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광원모듈(160)은, 복수의 램프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고, 복수의 램프는 LED 어레이(Light Emitting Diode array)일 수 있다.
램프의 출사광은 파장 대역이 백색 파장 대역, 적색 파장 대역 및 청색 파장 대역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램프는 자연광의 파장 대역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램프 중 백색 파장 대역의 램프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적색 파장 대역의 램프가 차지하는 비율이 그 다음으로 높으며, 청색 파장 대역의 램프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랜덤으로 배치된 캡슐(200)을 센싱하여 제어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캡슐(200)의 개수, 품종, 배치 위치 및 배치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광원모듈(160)의 복수의 램프를 이용하여 영역별 조닝(zoning)제어, 광량제어, 파장대역제어 등을 할 수 있다.
광원모듈(1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기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두 개의 기판은 대략 가운데에 위치한 센서모듈(17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 각각에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기판의 개수나 배치 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광원모듈(160)은 하부를 향하도록 마련된 램프를 실장한 기판의 전방에 마련되어 기판이 재배공간(S)의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판을 덮는 기판커버(16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커버(161)는 램프에 의해 발생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면, 그 소재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판커버(161)는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베이스(미도시)와 결합됨으로써, 기판과 기판베이스 그리고 기판커버(161)를 포함한 광원모듈(160)은 모듈화될 수 있다. 이렇게 모듈화된 광원모듈(160)은 모듈 단위로, 내상(130)의 상부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커버(161)는 센서모듈(170)의 전방을 가리지 않고 센서모듈(170)이 관통홀을 통해 재배공간(S)을 향하여 노출됨으로써, 기판커버(161)에 의한 램프의 빛반사나 빛굴절 따위에 센서모듈(170)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관통홀과 이에 끼워진 센서모듈(17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재배공간(S) 내 습기가 기판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센서모듈(170)의 외주면과 관통홀 사이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개재되어 광원모듈(160)의 내부를 기밀 또는 수밀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원모듈(160)의 대략 중심에 위치한 센서모듈(170)은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랜덤으로 배치된 캡슐(200)을 센싱(인식)하여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데이터는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랜덤으로 배치된 캡슐(200)의 개수, 품종, 배치 위치 및 배치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랜덤으로 배치된 캡슐(200)에 대한 정보에 따라, 광원모듈(160), 순환팬(141), 공조장치(151~153), 히터(180) 및 배양액의 순환량, 농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캡슐(200)을 취사 선택하여 배치하더라도 최적의 재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을 온/오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트레이(200)의 복수의 스팟에 캡슐(200)을 셋팅 완료한 다음, 센서모듈(170)을 온(on)시킴으로써, 센서모듈(170)이 작동을 시작한 시점에 셋팅된 캡슐(200)을 기준으로 획득한 제어데이터에 따라 재배공간(S)의 환경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모듈(170)은 캡슐(200)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예로,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캡슐(200)의 인식부(230)가 QR코드(Quick response code)와 같은 스마트 코드(Smart code)를 포함한 경우, 센서모듈(170)은 QR코드를 촬상한 이미지를 분석 및 처리함으로써, 캡슐(200)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 캡슐(200)의 인식 방식으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및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이 이용되는 경우, 센서모듈(170)은 캡슐(200)의 인식부(23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리더기 및 수신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캡슐(200)의 인식 방식으로서 캡슐(200)의 인식부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자기장이 이용되는 경우, 센서모듈(170)은 홀 센서(Hall-senso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캡슐(200)의 인식 방식으로서 캡슐(200)의 인식부에서 방출하는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이 이용되는 경우, 센서모듈(170)은 광 감지 센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캡슐(200)의 인식 방식으로서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센서모듈(170)로서 캡슐(200)을 인식하는 방식에 매칭되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센서모듈(170)을 이용하여, 캡슐(200)을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식물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식물의 잎이 차지하는 면적이나 면적비율을 근거로 식물의 생장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센서모듈(1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상(130)의 일측면(일 예로 후방면)에는, 재배공간(S) 내 공기를 제1 덕트(142)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O)와, 제2 덕트(143)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재배공간(S)으로 유입되는 유입구(I)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배공간(S) 내 공기는 배출구(O)를 통해 배출되고, 기계실(M) 내 공조장치(151~153)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다음 유입구(I)를 통해 유입되어, 재배공간(S) 내 공기는 조화(conditioning)될 수 있다.
내상(130)에 형성된 유입구(I)와 배출구(O)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레이(120) 상의 식물 주변 공기를 간접적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배출구(O)는 내상(130)의 후방면 하측, 즉, 트레이(120)의 위치와 근거리에 위치하고, 이와 상반되는 유입구(I)는 내상(130)의 후방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공조장치(151~153)는 압축기(151), 응축기(152), 증발기(153), 및 유량조절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는 압축기(151), 응축기(152), 증발기(153), 및 유량조절밸브(미도시)를 순환할 수 있고, 재배공간(S) 내부에서 인출되어 재배공간(S)으로 재공급되는 순환공기는 열교환기인 응축기(152)와 증발기(153)를 통과함으로써 열교환이 이루어져, 공기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공조장치(151~153)는, 냉매와 공기 간의 열교환 능력을 높이기 위해, 열교환기인 응축기(152)의 전방에 마련되어, 구동에 의해 외기를 흡입하여 응축기(152)에 제공할 수 있는 방열팬(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채널(C1)을 통해 외기는 재배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 반대로 제2 채널(C2)을 통해 재배공간(S) 내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채널(C1)은 외기를 재배공간(S)으로 유입시킨다는 측면에서 유입채널로 호칭될 수 있고, 제2 채널(C2)은 재배공간(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는 측면에서 배출채널로 호칭될 수 있다.
이때, 제1 채널(C1)과 제2 채널(C2)은 기계실(M), 특히 공조장치(151~153)나 이에 연결된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경유함으로써, 외부와 재배공간(S)을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기는 제1 채널(C1)과 공조장치(151~153) 및/또는 제1 및 제2 유로(P1, P2)의 공기와 혼합되어 재배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 또 재배공간(S)의 공기는 공조장치(151~153) 및/또는 제1 및 제2 유로(P1, P2)의 공기와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외부와 재배공간(S)이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공조장치(151~153) 및/또는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외기와 재배공간(S) 내 공기를 공조시스템의 동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재배공간(S)으로 유입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필요시 공조장치(151~153)를 가동하지 않고도 재배공간(S)으로 외기를 도입하거나 재배공간(S)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재배공간(S) 내 공조환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기계실(M) 내 순환팬(141)은 재배공간(S)의 공기가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따라 기류를 형성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 내 압력은 순환팬(14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순환팬(141)는 일 예로, 원심형 팬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순환팬(141)의 구동으로 제1 유로(P1)는 음압(진공 상태를 포함)이 형성되어 제1 유로(P1)는 연통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제2 유로(P2)는 순환팬(141)에 의해 양압이 형성되어 제2 유로(P2)는 연통된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공조장치(151~153)는 열교환기(152, 153)를 통해 제1 및 제2 유로(P1, P2)의 공기와 냉매 간에 열교환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재배공간(S) 내 공기는 순환되어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유로(P1)는 말단부가 순환팬(141)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유로(P1)에는 재배공간(S)의 배출구(O)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터미널(T11~T13)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P2)는 말단부가 순환팬(141)과 연결되되, 제2 유로(P2)는 재배공간(S)의 유입구(I)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터미널(T21~T23)을 마련할 수 있다.
결국, 순환팬(141)의 구동으로 재배공간(S)의 공기는 제1 유로(P1)의 음압에 의해 배출구(O)를 통해 제1 유로(P1)로 배출될 수 있고, 열교환기(152, 153)를 거쳐 공조장치(151~153)의 냉매와 열교환한 다음, 제2 유로(P2)의 양압에 의해 유입구(I)를 통해 다시 재배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의 도면부호 Oa ~ Oc 및 Ia ~ Ic는, 복수의 재배공간(Sa ~ Sc) 각각에 마련된 배출구와 유입구를 가리킨다.
제1 및 제2 유로(P1, P2)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및 제2 유로(P1, P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판 형상의 단열부재(5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열부재(500)는 단열성이 우수한 스티로폼(polystyrene foam) 및/또는 팽창질석(expanded vermiculite)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내포한 단열부재(500)가 내상(130)의 배면에 위치하였을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단열부재(500)는 식물재배장치(100)의 기계실(M)을 제외한 대부분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이때, 단열부재(500)의 전면(前面)에는 재배공간(S)의 배출구(O)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터미널(T11~T13)과, 재배공간(S)의 유입구(I)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터미널(T21~T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부재(500) 내부에 형성된 제1 유로(P1)는 상기 제1 터미널(T11~T13)을 통해 내상(130)의 배출구(O)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유로(P2)는 상기 제2 터미널(T21~T22)을 통해 내상(130)의 유입구(I)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순환팬(141)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통한 기류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유로(P1, P2)의 말단부는 순환팬(14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열부재(500)의 일측면에는 제1 유로(P1)의 말단부인 도출구(OL)와, 제2 유로(P2)의 말단부인 도입구(IL)가 마련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도입구(IL)는 순환팬(141)의 제2 연결단(141b)과 연결되고, 도출구(OL)는 순환팬(141)의 제1 연결단(141a)과 연결되어, 순환팬(141)의 구동으로 도출구(OL) 및 제1 연결단(141a)을 통해 제1 유로(P1)로부터 공기를 인출할 수 있고, 제2 연결단(141b) 및 도입구(IL)를 통해 제2 유로(P2)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입구(IL)와 도출구(OL)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출구(OL)와 도입구(IL)는 단열부재(500)의 저면(底面)에 마련되어, 각각은 하부에 위치한 순환팬(141)의 제1 및 제2 연결단(141a, 141b)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다만, 순환팬(141)과 연결되는 단열부재(500)의 도입구(IL) 및 도출구(OL) 부분에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밀성을 확보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내포한 단열부재(50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재(500)는 제1 및 제2 단열플레이트(510, 520)가 서로 대향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단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재(500)는, 대략 판상의 제1 단열플레이트(510)와 제2 단열플레이트(520)가 서로 대향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열플레이트(510)는 식물재배장치(100)의 후방측에, 그리고 제2 단열플레이트(520)는 식물재배장치(100)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 및 제2 단열플레이트(510, 52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단열플레이트(510, 520) 중 적어도 하나는 또 다른 하나를 향한 대향면에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유로홈을 각각 갖을 수 있으며, 유로홈(512, 521, 522)이 내측을 향하도록 제1 및 제2 단열플레이트(510, 520)가 대향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 유로(P1, P2)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로(P1, P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외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채널(C1, C2)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를 통해, 외기는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따라 유동하여 재배공간(S)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재배공간(S) 내부의 공기가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따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 중 먼저, 외기가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따라 유동하여 재배공간(S)으로 유입되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외기가 제1 및 제2 유로(P1, P2)를 통해 재배공간(S)으로 유입되는 경로는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유로(P1)는 제1 채널(C1)과 흡기덕트(미도시)를 매개로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로(P1)와 제1 채널(C1)은 직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순환팬(141)의 구동력에 의해 형성되는 음압에 의해 외기는 흡기덕트를 통해 제1 유로(P1)로 유입되어, 제1 유로(P1)의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외기가 흡기덕트를 통해 제1 유로(P1)로 유입될 때, 열교환기(152, 153), 구체적으로 증발기(153)를 거쳐 온도가 조절될 수 있고, 이후, 제2 유로(P2)에 형성된 양압에 의해 유입구(I)를 통해 재배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재배공간(S) 내부의 공기가 제2 유로(P2)를 통해 제2 유로(P2)의 공기와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재배공간(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로는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유로(P2)에는 제2 채널(C2)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4 터미널(T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채널(C2)과 제4 터미널(T4)은 배기덕트(350)를 매개로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로(P2)에 제4 터미널(T4)이 마련된 경우, 재배공간(S)의 공기는 제1 유로(P1)의 음압에 의해 배출구(O)를 통해 제1 유로(P1)로 유입되어, 제1 유로(P1)의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유로(P1)의 혼합된 공기는 제2 유로(P2)의 양압에 의해 제2 채널(C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재배공간(S)의 공기는 제1 유로(P1), 그리고 제2 유로(P2)를 거쳐 제2 채널(C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채널(C1)과 제2 채널(C2)은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재배공간(S)의 공조환경(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에 따라, 제어모듈은 외기의 도입 여부 및 재배공간(S)의 공기의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재배공간(S)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재배공간(S)의 공기 배출량이나 배출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재배공간(S)의 공조환경을 센싱하기 위해 온/습도기(미도시)와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기(미도시) 등이 재배공간(S)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랜덤으로 배치된 캡슐(200)을 센싱하여 제어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캡슐(200)의 개수, 품종, 배치 위치 및 배치 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재배공간(S)에 외기의 도입 여부, 재배공간(S) 내 공기의 외부 배출 여부 및 공조모듈(240)을 통해 재배공간(S)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공급량, 공급주기, 공급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은 재배공간(S)의 공조환경에 대한 데이터와 외부의 공조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근거로, 재배공간(S)의 공조환경(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적정공조환경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1 채널(C1)을 개방하여 재배공간(S)으로 외기를 유입하거나, 제2 채널(C2)을 개방하여 재배공간(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제1 채널(C1)과 제2 채널(C2)을 모두 개방하여 재배공간(S)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동시에 재배공간(S)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재배공간(S)의 적정공조환경은 센서모듈(170)로부터 수신받은 제어데이터(캡슐의 개수, 품종, 배치 위치, 배치 시점 등)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트레이(120)의 복수의 스팟에 램덤으로 배치된 캡슐(200)의 개수와 품종 등에 따라 재배공간(S)의 적정공조환경이 기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재배공간(S)의 현재 공조환경에 따라, 재배공간(S)으로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거나 재배공간(S)의 공기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재배공간(S)의 공조환경을 적정공조환경으로 조정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재배공간(S)의 습도를 제어하기 위해, 재배공간(S)에 별도로 가습을 하기 위해 물 따위를 분무하거나, 트레이(120) 내 배양액이 저장된 내부 수용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트레이(120) 내 배양액을 증발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재배공간(S) 내 가습 또는 제습을 위한 방식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실 내 마련된 구성요소들의 조립도이며,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실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 즉 캐비넷(110)의 상측에는 내부에 소정 수용공간을 가진 배기실이 마련될 수 있다.
배기실에는 제2 유로(P2) 상에 마련된 제4 터미널(T4)와 제2 채널(C2) 간에, 서로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배기덕트(3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채널(C2)은 식물재배장치(10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로서, 일 실시예에 따라 배기덕트(350)의 전방 또는 식물재배장치(1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팬(141)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제1 유로(P1)의 음압 및/또는 제2 유로(P2)의 양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재배공간(S) 내 공기와, 제1 및/또는 제2 유로(P1, P2) 상의 공기는 제4 터미널(T4), 배기덕트(350) 및 제2 채널(C2)을 순차로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덕트(3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증발기(153)를 통과함으로써 냉각된 냉기일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350)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면,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 하지 않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덕트(350)의 내외부 온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로 부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실에는 배기덕트(350) 이외에, 식물재배장치(100) 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한 회로기판(331~333)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재배장치(100) 내 회로기판은 기능에 따라 여러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일부는 배기실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배기실에 마련된 회로기판(331~333)은, 외부에서 입력된 전원을 강압하는 등 변환하는 과정 등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는 회로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배기실에는 배기덕트(350)와 회로기판(331~333)이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350)와 회로기판(331~333)은 서로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기덕트(350)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회로기판(331~333)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회로기판(331~333)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기 위해 별도의 추가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식물재배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킴으로써, 회로기판(331~333)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식물재배장치(100) 내 저류함으로써 재배공간(S)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발열이 생기는 회로기판(331~333)과 냉기가 통과하는 배기덕트(350)는 서로 직접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00)는, 회로기판(331~333)과 배기덕트(350)을 분리할 수 있는 회로기판(331~333)이 안착되는 트레이 형태의 기판케이스(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케이스(320) 상에는 회로기판(331~333)이 안착될 수 있고, 기판케이스(320)의 하부에는 배기덕트(35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회로기판(331~333)과 배기덕트(350)는 기판케이스(320)에 의해 서로 직접 접하지 않고 서로 다른 공간에 나누어 배치됨으로써, 열기가 발생하는 회로기판(331~333)과 냉기가 유동하는 배기덕트(350)가 직접 접하여 발생하는 결로를 최소화하고, 이러한 결로로부터 회로기판(331~333)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배기실에 마련된 배기덕트(350)와 회로기판(331~333) 사이에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면에 기판케이스(320)이 안착되는 기판케이스(320)는 저면에 배기덕트(350)가 인입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된 저면오목부(3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기덕트(350) 상에 안착된 기판케이스(320)는, 기판케이스(320)의 저면오목부(324)에 배기덕트(3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기판케이스(320) 상에 안착된 회로기판(331~333)과 상기 배기덕트(350)는 서로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저면오목부(324)는 배기덕트(350)의 형상과 상응하게 전후방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배기덕트(350)는 도어(111)측인 전방의 높이가 높고 제4 터미널(T4)측인 후방의 높이가 낮은 전고후저(前高後低)의 형태로 굽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저면오목부(324) 역시 전고후저의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회로기판(331~333)이 안착되는 기판케이스(320) 상의 기판안착부(321~323)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기판안착부(321~323)는 저면오목부(324)의 위치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안착부(321~323) 각각에는 복수 개의 회로기판(331~333)이 나누어 안착됨으로써, 복수 개의 회로기판(331~333) 모두는 배기덕트(350)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배기덕트(350)의 위치를 중심으로 회로기판(331~333)이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도록, 회로기판(331~333)과 기판안착부(321~323)는 모두 복수이되, 복수의 회로기판(331~333)과 복수의 기판안착부(321~323)는 저면오목부(324)를 중심으로 각각 나누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기판안착부(321~323)는 전후방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저면오목부(324)를 중심으로 좌우측 각각에 제1 기판안착부(321)와, 제2 기판안착부(322~3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기판안착부(321~323)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케이스(320)의 상면에 회로기판(331~333)이 안착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판케이스(320)는 배기덕트(35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기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기판케이스(320)의 상부에는 기판안착부(321~323)를 덮을 수 있는 기판커버(310)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판커버(310)는 기판케이스(320) 위에 안착된 회로기판(331~333)을 덮어짐으로써, 외부로부터 회로기판(331~333)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케이스(320)는 배기덕트(35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판케이스(32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실의 저면(B)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마련된 소정의 제1 이격공간(G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배기덕트(350)를 따라 식물재배장치(100)의 전후방으로 유동하는 냉기는, 배기덕트(350)가 내부에 수용된 제1 이격공간(G1)을 따라 확산될 수 있고, 이는 발열이 이루어지는 회로기판(331~333)과의 접하는 면적을 확대시켜, 회로기판(331~333)에 대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실의 저면(B)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상(130)(또는 내상(130)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마련된 소정의 제2 이격공간(G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이격공간(G2)은, 상기 내상(130)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의 내상(130) 중 최상위에 있는 내상(130a)의 상면과, 배기실 저면(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격공간(G1)은 배기실 저면(B)을 기준으로 제2 이격공간(G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상(130)의 천정에는 광원모듈(160)이 마련될 수 있고, 이때 광원모듈(160)은 식물을 향한 광출력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광원모듈(160)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열을 광원모듈(160)의 후방 또는 내상(130)의 상부로 방열시키기 위해, 제2 이격공간(G2)은 상기 광원모듈(16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이격공간(G2)에는 광원모듈(16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사시키기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의 방열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나, 배기덕트(350)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는 제1 이격공간(G1)에 부수적으로 제2 이격공간(G2)을 따라 확산될 수 있고, 이는 발열이 이루어지는 광원모듈(160)과의 접하는 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광원모듈(160)에 대한 냉각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채널(C2)은 제어모듈의 제어명령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채널(C2)이 개방되면 재배공간(S)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반대로 제2 채널(C2)이 폐쇄되면 공조장치(151~153)에 의해 조화된 공기는 재배공간(S)으로 제공되거나 재배공간(S) 내 공기가 식물재배장치(100) 내에서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채널(C2)을 개폐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350)에는 배기덕트(35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개폐하기 위한 댐퍼모듈(351)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 및 댐퍼모듈의 조립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350)에 댐퍼모듈(351)은 직렬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댐퍼모듈(351)은 배기덕트(350)의 상류측단(3501)이나, 또는 하류측단(3502)에 직렬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덕트(350)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낮추기 위해, 상류측보다 하류측의 단면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댐퍼모듈(351)은 배기덕트(350)의 상류측단(3501)에 직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기덕트(350)의 상류측단(3501)은 댐퍼모듈(351)의 하류측단(351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댐퍼모듈(351)의 하류측단(3512)은 댐퍼판(3514)이 유로의 개방을 위해 젖혀지는 방향의 전방을 가리킬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댐퍼모듈(351)의 상류측단(3511)은 댐퍼판(3514)이 유로의 폐쇄를 위해 젖혀지는 방향의 전방을 가리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모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댐퍼모듈(351)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덕트(350)를 따라 유동하는 기류가 통과하도록 대략 관형의 댐퍼하우징(3510)과, 상기 댐퍼하우징(3510) 내에 마련되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댐퍼판(3514)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하우징(3510)은 배기덕트(350)와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대략 판상의 댐퍼판(3514)은 댐퍼하우징(3510) 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댐퍼판(3514)의 회동에 따라 댐퍼하우징(3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류를 개폐할 수 있다.
댐퍼판(3514)은 일측단부, 일 예로 하측단부에 가로로 마련된 회전축을 가질 수 있으며, 댐퍼구동장치(3515)의 구동에 의해 댐퍼판(3514)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댐퍼판(3514)의 회전축은 댐퍼구동장치(3515)의 구동축(431)에 직간접적으로 축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댐퍼판(3514)은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댐퍼구동장치(3515)의 구동으로 회동함으로써, 댐퍼하우징(3510) 내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하우징(3510)은, 댐퍼판(3514)이 댐퍼하우징(3510) 내 유로를 개폐하기 위해 회동할 때, 댐퍼판(3514)에 회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의 내부에서 댐퍼판(3514)이 회동할 때, 댐퍼판(3514)의 자유단부는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회동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댐퍼판(3514)이 회동할 때 그 자유단부와 접할 수 있다. 즉, 댐퍼판(3514)의 회전각도 중 소정범위의 회전각도에서는 댐퍼판(3514)이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로, 기밀을 유지하면서 회동하기 때문에, 댐퍼판(3514)의 회동으로 댐퍼하우징(3510) 내 유로를 폐쇄할 수 있는 회전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댐퍼판(3514)이 댐퍼하우징(3510) 내 유로를 차단하도록 완전히 회동하지 않고 상기 회전범위 내의 각도만큼만 회동하더라도, 댐퍼판(3514)은 댐퍼하우징(351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의 내측면 중 일단부에는 댐퍼판(3514)의 추가 회동을 저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걸림턱(3513b)이 마련될 수 있다.
댐퍼하우징(3510)의 내측면, 또는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턱(3513b)은, 댐퍼판(3514)이 댐퍼하우징(3510) 내 유로를 폐쇄할 수 있는 회전각도인 대략 90°만큼 회동하였을 때, 댐퍼판(3514)이 그 각도를 초과한만큼 젖혀지지 않도록 댐퍼판(3514)의 추가 회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즉, 댐퍼구동장치(3515)가 댐퍼판(3514)을 회동시킬 때, 제어모듈이 회동댐퍼판수용부(3513a)에 댐퍼판(3514)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지령을 전송할 때, 해당 제어지령이 댐퍼판(3514)의 회동으로 댐퍼하우징(3510) 내 유로를 폐쇄할 수 있는 상기 회전범위를 초과하더라도, 댐퍼판(3514)은 걸림턱(3513b)의 위치만큼만 회동함으로써 댐퍼하우징(3510) 내 유로가 개방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댐퍼하우징(3510)은 댐퍼하우징(35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나 습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은 댐퍼하우징(3510)에 장착된 센서에 의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내상(130) 내 온도나 습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즉, 내상(130)의 재배공간(S) 내에 온도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직접 마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공조장치(151~153)를 거쳐 재배공간(S)으로 공급되는 냉기가 기 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또는 정산습도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배기덕트(35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재배공간(S)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일 수 있기 때문에, 재배공간(S) 내 공기의 온도나 습도가 기 설정된 정상온도범위 또는 정산습도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모듈(351)에는 배기연결덕트(352)가 직렬로 결합될 수 있다.
냉기의 흐름에 따라 배기연결덕트(352), 댐퍼모듈(351), 그리고 배기덕트(350)가 순차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배기연결덕트(352)는 제4 터미널(T4)과 배기덕트(350)가 서로 연통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냉기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배기연결덕트(352)의 상류측단(3521)은 제4 터미널(T4)과 결합될 수 있고, 배기연결덕트(352)의 하상류측단(3522)은 댐퍼모듈(351)의 상류측단(3511)과 결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식물재배시스템 200: 캡슐
100: 식물재배장치 300: 사용자단말기
400: 서버 110: 캐비넷
101: 수직프레임 102: 수평프레임
111: 도어 1111: 윈도우
120: 트레이 130: 내상
141: 순환팬 141a: 제1 연결단
141b: 제2 연결단 144: 제3 덕트
151: 압축기 152: 응축기
153: 증발기 154: 방열팬
155: 팽창밸브 151~153: 공조장치
156: 회로기판 160: 광원모듈
161: 기판커버 170: 센서모듈
180: 히터 191: 배양액탱크
192: 영양액탱크 194: 워터탱크
195: 응축수탱크 S: 재배공간
310: 기판커버 320: 기판케이스
321~323: 기판안착부 324: 저면오목부
331~333: 회로기판 350: 배기덕트
351: 댐퍼모듈 3510: 댐퍼하우징
3513a: 회동댐퍼판수용부 3514: 댐퍼판
3515: 댐퍼구동장치 352: 배기연결덕트
G1: 제1 이격공간 G2: 제2 이격공간
210: 캡슐프레임 220: 커버
221: 잔존부 222: 제거부
230: 인식부 240: 씨드수용부
250: 씨드 500: 단열부재
510: 제1 단열플레이트 520: 제2 단열플레이트
P1: 제1 유로 P2: 제2 유로
C1: 제1 채널 C2: 제2 채널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 내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되, 내부에 재배공간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재배공간 내 공기를 조화시키기 위한 공조장치를 포함한 기계실유닛이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에 의해 공조되거나 상기 재배공간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냉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기덕트; 및
    상기 식물재배장치 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한 회로기판;
    을 포함하되,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회로기판과 인접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를 통과하는 냉기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상측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가 마련된 배기실;
    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기실 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복수의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배기덕트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실에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위에 마련되어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케이스와, 상기 기판케이스에 안착된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케이스는, 저면에 상기 배기덕트가 인입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된 저면오목부와, 상면에 상기 저면오목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로기판이 안착 가능하도록 함몰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안착부는, 상기 저면오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각각에 마련된 제1 및 제2 기판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가 위에 마련된 상기 배기실의 저면은, 상기 기판케이스와 그 사이에 소정의 제1 이격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실의 저면은, 상기 내상과 그 사이에 소정의 제2 이격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를 따라 유동하는 냉기는 상기 댐퍼모듈의 구동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KR1020220018737A 2022-02-14 2022-02-14 식물재배장치 KR20230122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37A KR20230122274A (ko) 2022-02-14 2022-02-14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737A KR20230122274A (ko) 2022-02-14 2022-02-14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274A true KR20230122274A (ko) 2023-08-22

Family

ID=8779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737A KR20230122274A (ko) 2022-02-14 2022-02-14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2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97A (ko) 2019-02-18 202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497A (ko) 2019-02-18 2020-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578B1 (ko) 모판 단위로 식물 채취가 가능하며 배양액의 누수가 방지되는 IoT 기반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US202100848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ggestive lighting in an indoor gardening appliance
WO2022117006A1 (zh) 室内花园中心的照明系统操作方法
US11766000B2 (en) Gas sensing assembly for an indoor garden center
KR20230122274A (ko) 식물재배장치
CN113545234A (zh) 园艺电器及模块化照明系统
KR102035326B1 (ko) 식물의 개수와 품종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IoT 기반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662039B1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69995A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65023A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01237A (ko) 식물재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122276A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65022A (ko) 식물재배장치
KR20230122275A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65024A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69997A (ko) 식물재배장치
KR102021573B1 (ko) 배양액에 의해 자연발생된 습공기를 이용하여 공조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662041B1 (ko) 식물재배장치
KR102571336B1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169996A (ko) 식물재배장치
KR20230108386A (ko) 식물재배장치
KR20230014301A (ko) 식물재배장치
KR20230108385A (ko) 식물재배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29701A (ko) 식물재배장치
KR20230073802A (ko) 식물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