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042A - board to board connector - Google Patents

board to boar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042A
KR20230122042A KR1020237022408A KR20237022408A KR20230122042A KR 20230122042 A KR20230122042 A KR 20230122042A KR 1020237022408 A KR1020237022408 A KR 1020237022408A KR 20237022408 A KR20237022408 A KR 20237022408A KR 20230122042 A KR20230122042 A KR 20230122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ard
elastic arm
insulating body
joi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아화 장
Original Assignee
쿤산 지아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583902.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636035A/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586001.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2636036A/en
Application filed by 쿤산 지아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쿤산 지아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2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04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절연 본체(1)와 복수의 전기전도 단자(2) 및 보호 프레임(3)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2)는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절연 본체(1)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프레임(3)은 절연 본체(1) 길이방향의 양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2)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프레임(3)은 제1 보호 프레임(301) 및 제2 보호 프레임(3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 및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상호 독립된다. 상기 보드 투 보드 커넥터는 더 우수한 구조 안정성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to-board connector, which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up to a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es an insulating body (1)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and a protective frame ( 3),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and disposed on the insulating body 1, and the protective frame 3 is arranged along the length of the insulating body 1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irection and located at a point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the protection frame 3 includes a first protection frame 301 and a second protection frame 302,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and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board-to-board connector has better structural stability.

Description

보드 투 보드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20년 12월 28일이고 출원번호가 202011583902.4이고 발명 명칭이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of a Chinese patent application with an application date of December 28, 2020, an application number of 202011583902.4, and an invention title of “board-to-board connector”, the content of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corporated into the application.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20년 12월 28일이고 출원번호가 202011586001.0이고 발명 명칭이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of a Chinese patent application with an application date of December 28, 2020, an application number of 202011586001.0, and an invention title of “Board-to-board connector”,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lectrical connector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board-to-board connectors.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2개의 부분, 즉, 플러그와 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와 소켓은 모두 플라스틱바디 및 플라스틱바디에 고정해 유지되는 전기전도 단자로 구성되며, 플라스틱바디는 주로 절연 및 전기전도 단자 위치고정 역할을 하며, 전기전도 단자는 주로 신호 전송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상황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플러그와 소켓은 보호 지지대를 추가해 자체의 강도를 향상하기도 하며, 이와 동시에, 보호 지지대는 또한 플러그와 소켓이 이음 연결될 때의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일부 종래기술에서는 보호 지지대가 전류 단자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지지대와 플라스틱바디의 결합 강도, 보호 지지대의 탄성 완력 및 암 길이, 보호 지지대가 결합된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전체 구조 강도 및 안정성 등에 대한 요구가 모두 비교적 높으며, 특히, 오늘날 보드 투 보드 커넥터는 점점 소형화 설계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A board-to-board connector usually consists of two parts, namely a plug and a socket, both of which consist of a plastic body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 fixedly held in the plastic body; The plastic body mainly serves to fix the location of the insulated and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nd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mainly serve to transmit signals.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 plug and socke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also enhance its strength by adding a protective support,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ective support can also provide a holding force when the plug and socket are splice-connected. Here, in some prior art, the protective support can also be used as a current terminal. Therefore, the requirements for the bonding strength of the protective support and the plastic body, the elastic force and arm length of the protective support, and the overall structural strength and stability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combined with the protective support are all relatively high. In particular, today's board-to-board connectors shows a trend towards miniaturization.

따라서, 소형화 제품에 대해 새로운 설계 형태를 제출하여 제품 조립 효율과 장착 성능 안정성이 높은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bmit a new design form for miniaturized products to create board-to-board connectors with high product assembly efficiency and mounting performance stability.

따라서, 새로운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창출하여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려 한다.Therefore, a new board-to-board connector is created to satisfy the above demand.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함을 극복해 더 우수한 구조 안전성을 구비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superior structural safety by overcoming at least one defect existing in the prior art board-to-board connector.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방안을 이용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ollowing technical solutions.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절연 본체, 복수의 전기전도 단자 및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는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절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프레임은 절연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단 벽부,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이음 연결 다리부 및 절연 본체와 고정되는 메인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벽부는 절연 본체 길이방향 양단의 상부 표면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에서부터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이음 연결 커넥터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암부를 더 포함한다.A board-to-board connector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a joint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es an insulating body,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nd a protective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re of an insulating bod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on the insulating body, the protective frame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sulating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ocated at a point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nd the protective frame is printed on the upper wall portion and the joint connection It includes a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used for fixing with the circuit board and a main body portion fixed with the insulation body, and the upper wall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on body to provide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Located at the fulcrum, the protection frame further includes an elastic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joint leg portion and elastically contacting the joint connector.

바람직하게,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는 상기 탄성 암부와 메인바디부에 대한 일체형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상단 벽부와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한다.Preferably,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realizes integral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arm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nd the main body part integrally connects the upper wall part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 본체는 삽입 연결 공간이 형성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접착된 바닥벽 및 바닥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벽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한 2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는 각각 2개의 상기 측벽에 배열해 배치된다.Preferably, the insulating body includes an insertion connection space, a bottom wall bond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two side wall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 a plurality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re disposed in an array on the two side walls,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암부는 상기 측벽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삽입 연결 공간 내부까지 돌출되도록 뻗어나간 접촉부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elastic arm portion is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wall,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arm portion may be elastically displ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elastic arm portion may be elastically dis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extending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connection space is formed along the.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바디부는 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는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부의 외벽면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운 외벽부의 가장자리가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는 이음 연결 다리부의 가장자리가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n outer wall portion, the outer wall portion is coupled to an outer wall surface point of an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and an edge of the outer wall portion close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is bent and extended. It is formed by extending, and the elastic arm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the edge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 암부는 외벽부에 서 멀리 떨어진 이음 연결 다리부의 일측이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와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한다.Preferab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elastic arm part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side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far from the outer wall part, and the outer wall part and the elastic arm part are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install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암부는 이음 연결 다리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1 탄성 암부, 굴곡 암부 및 제2 탄성 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 암부는 제1 탄성 암부와 제2 탄성 암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탄성 암부와 제2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탄성 암부와 외벽부 사이의 간격은 제2 탄성 암부와 외벽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탄성 암부는 측벽의 단부에 가깝고, 상기 제2 탄성 암부는 측벽의 단부에서 멀리 떨어지고, 상기 접촉부는 제2 탄성 암부에 형성된다.Preferably, the elastic arm portion includes a first elastic arm portion, a bend arm portion, and a second elastic arm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and the bend arm portion integrally connects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and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The first elastic arm part and the second elastic arm part form a step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astic arm part and the outer wall par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lastic arm part and the outer wall part, and the insulating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 the first elastic arm part is close to the end of the side wall, the second elastic arm part is far from the end of the side wall, and the contact part is formed on the second elastic arm part.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음 연결 다리부의 일단이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는 탄성 암과 굴곡 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과 외벽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하고, 상기 굴곡 암은 탄성 암과 이음 연결 다리부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 암에 형성된다.Preferably, the elastic arm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end of the joint connecting leg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elastic arm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arm and a bending arm, and the elastic arm and the outer 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body. Installed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flexural arm is used to connect the elastic arm and the joint connecting leg, 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elastic arm.

바람직하게, 상기 굴곡 암은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端) 가장자리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굴곡 암의 연장해 뻗어나간 평면은 탄성 암의 연장해 뻗어나간 평면과 수직된다.Preferably, the flexion arm is located at an end edge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extending plane of the flexion arm i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lane of the elastic arm.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음 연결 다리부의 일단이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는 굴곡 암, 가로대 암 및 탄성 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과 외벽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로대 암은 상기 상단 벽부와 측벽 상부 표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로대 암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이음 연결 다리부와 상대되게 설치한다.Preferably, the elastic arm part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end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elastic arm part includes a bending arm, a crosspiece arm and an elastic arm, and the elastic arm and the outer wall part are formed. Installed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crossbar arm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crossbar arm is installed relative to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along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direction of the joint connector .

바람직하게,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대 암과 상단 벽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암과 측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암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Preferably,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ross bar arm and the upper wall portion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ross bar arm and the side wall, and the cross bar arm is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can be elastically displaced along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 벽부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측벽 상부 벽부와 단벽 상부 벽부를 포함하고,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단벽 상부 벽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 가장자리는 하향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단벽 차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벽 차폐부는 단벽의 외부 표면 및/또는 내부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단벽 차폐부의 하측 가장자리는 이음 연결 다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는 대응되게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고정된다.Preferably, the upper wall portion includes an upper side wall portion and an upper end wall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and at least one end edge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end wall portion is bent downward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o form an end wall shielding portion, , The end wall shiel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and/or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the lower edge of the end wall shield forms a joint connection leg,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is correspondingly fix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 프레임은 제1 보호 프레임과 제2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과 제2 보호 프레임은 상호 독립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일체식 성형을 통해 절연 본체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보호 프레임은 조립을 통해 상기 절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 벽부, 이음 연결 다리부 및 메인바디부와 상기 탄성 암부는 상기 제2 보호 프레임에 형성된다.Preferably, the protection frame includes a first protection frame and a second protection frame, the first protection frame and the second protection frame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the first protection frame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body through integral molding. and the second protective frame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body through assembly, and the upper wall portion, the joint connecting leg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elastic arm portion are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ve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절연 본체는 바닥벽의 중간 지점이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 블록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에는 블록벽 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벽 보호부는 상기 블록벽의 길이방향의 단부 표면에 매설된다.Preferably, the insulating body further includes a block wall formed by extending upwardly at a midpoint of the bottom wall, a block wall protection part is formed in the first protection frame, and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wall. is embedded in the end surface of

바람직하게, 상기 블록벽 보호부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 일단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멀리 떨어지고, 더 나아가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리턴해 굽혀지면서 연장해 뻗어나가 매설부가 형성되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블록벽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단 내에 대응되게 매설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운 상기 매설부의 일단에는 더 연장해 뻗어나가 바닥벽의 하부 표면 외부까지 돌출된 매설식 이음 연결부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is far from the upper edge of one end of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rther returns toward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extends while bending to form a buried portion, and the buried portion is the length of the block wall. It is buried correspondingly in both ends along the direction, and at one end of the buried portion close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 buried joint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urther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is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상기 블록벽 보호부의 하단 가장자리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바닥벽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는 상기 바닥벽의 길이방향의 양단 지점에 매설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는 삽입 연결 공간 내부까지 상향 노출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는 바닥벽이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밀착한 하부 표면까지 하향 노출된다.Preferably, the first protection frame includes a bottom wall support unit integrally connected to a lower edge of the block wall protection unit, the bottom wall support unit is buri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wal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ottom wall support unit is It is upwardly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connection space, and the bottom wall support portion is downwardly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in close contact with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측벽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 보호부는 상기 바닥벽 지지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벽 보호부는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의 양단의 내벽면에 매설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한다.Preferably, the first protection frame includes a sidewall protection unit, the sidewall protection un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wall support unit, and the sidewall protection unit is embedded in inner wall surfaces at both ends of the side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electric power lines. It is located at a point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conducting terminals.

바람직하게,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측벽 보호부의 일단에는 굴곡되어 위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측벽의 상부 표면 지점에 대응되게 매설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측벽의 상부 표면 외부까지 노출되어 위치고정 상부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하부 표면에서 상향 함몰되어 위치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고정 홈을 지나 절연 본체의 외부로 하향 노출되어 위치고정 하부 표면을 형성한다.Preferably, one end of the sidewall protection part far from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is bent to form a position fixing part, and the position fixing part is buri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point of the side wall far from one side of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 At least a part of the position fixing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 form a position fixing upper surface, an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 position fixing groove is formed by being recess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ortion is downward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body through the positioning groove to form a positioning lower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상기 단벽의 내벽면에 대응되게 매설된 단벽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단벽 보호부의 일단은 더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단벽 외부까지 돌출된 단벽 이음 연결부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rst protection frame further includes an end wall protection part buri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nd wall, and one end of the end wall protection part far from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is further bent and exten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nd wall. A single-wall joint connection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는 제품 조립 효율과 장착 성능 안정을 증가할 수 있다.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product assembly efficiency and mounting performance stability.

아래 문장은 도면을 결합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장점과 특징을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text below describes in detail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ore clearly understand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 문장은 도면을 참조해 예시적이고 비(非)제한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의일부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재한다. 도면은 동일한 도면 표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 또는 부분을 표기하였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이런 도면 이런 도면이 반드시 비례에 의해 그려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입체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일부 입체 분해도로서, 그 중 하나의 보호 프레임과 절연 본체가 분리된 후의 입체 설명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일부 입체 분해도로서, 그 중 하나의 보호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과 절연 본체가 분리된 후의 입체 설명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입체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1 중 A-A라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면도에 있어서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보호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의 입체 설명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호 프레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입체 설명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호 프레임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입체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10 중 B-B라인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의 일부 입체 분해도로서, 그 중 하나의 보호 프레임과 절연 본체가 분리된 후의 입체 설명도이고;
도 13은 도 1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입체 설명도이다.
The text below describes in detail som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mann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r parts are marked with the same drawing design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these figure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in the drawing,
1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 partial three-dimensional exploded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ally showing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of one of them after the protective frame and the insulating body are separated;
Figure 3 is a partial three-dimensional exploded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ally showing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after one of the protection frame and support frame and the insulating body are separated;
Fig. 4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angl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6 is a front vie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in the sectional view shown in Fig. 5;
7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protection frame of a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 8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of the protective frame shown in Fig. 7 viewed from another angle;
Fig. 9 is a bottom view of the protective frame shown in Fig. 7;
Fig. 10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in Fig. 10;
Fig. 12 is a partial three-dimensional exploded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after one protective frame and an insulating body are separated;
Fig. 13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of Fig. 12 viewed from another angl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이 공개한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드 투 보드 커넥터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보드 투 보드 커넥터는 절연 본체(1)와 복수의 전기전도 단자(2) 및 보호 프레임(3)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2)는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절연 본체(1)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프레임(3)은 절연 본체(1) 길이방향의 양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2)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한다.1 to 6,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oard-to-board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The board-to-board connector includes an insulating body (1),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and a protective frame (3), and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is formed in an insulating body (1).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and the protective frame 3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insulating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oint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located i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본체(1)는 삽입 연결 공간(10)이 형성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접착된 바닥벽(11), 바닥벽(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벽(1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 2개의 측벽(12), 바닥벽(11)의 폭 방향을 따라 바닥벽(1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 2개의 단벽(13) 및 바닥벽(11)의 중간 지점이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 블록벽(14)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2)는 각각 2개의 상기 측벽(12)에 배열해 배치된다. 상기 바닥벽(11), 2개의 상기 측벽(12), 2개의 상기 단벽(13) 및 블록벽(14)은 개구가 상향되는 삽입 연결 공간(10)을 공동으로 확정해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insulating body 1 has an insertion connection space 10 formed, a bottom wall 11 bond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11. Two side walls 12 formed by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11 along the bottom wall 11, two end walls formed by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11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11 (13) and a block wall (14) formed by extending upwardly at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bottom wall (11), and a plurality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two side walls (12). do. The bottom wall 11, the two side walls 12, the two end walls 13 and the block wall 14 jointly define and form an insertion connection space 10 with an upward openin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시피, 각각의 상기 보호 프레임(3)은 제1 보호 프레임(301)과 제2 보호 프레임(3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과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상호 독립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절연 본체(1)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조립되어 상기 절연 본체(1)에 결합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each of the protective frames 3 includes a first protective frame 301 and a second protective frame 302, and the first protective frame 301 and The second protection frames 302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first protection frames 301 are integrally molded and combined with the insulating body 1, and the second protection frames 302 are assembled to the insulating body 1 ) is bound to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에는 블록벽 보호부(3011)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벽 보호부(3011)는 상기 블록벽(14)의 길이방향의 단부 표면에 매설된다. 상기 블록벽 보호부(3011)는 블록벽(14)의 구조 강도를 보호하는 데 사용하는 동시에, 블록벽(14)이 이음 연결 커넥터에 삽입될 때 긁혀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상기 블록벽 보호부(3011)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 일단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멀리 떨어지고, 더 나아가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리턴해 굽혀지면서 연장해 뻗어나가 매설부(3014)를 형성하고, 상기 매설부(3014)는 상기 블록벽(14)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단 내에 대응되게 매설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운 상기 매설부(3014)의 일단이 더 연장해 뻗어나가 바닥벽(11)의 하부 표면 외부까지 돌출된 매설식 이음 연결부(3015)가 형성된다. 상기 매설부(3014)는 제1 보호 프레임(301)과 절연 본체(1)의 결합 강도를 증가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매설식 이음 연결부(3015)는 일체형으로 성형할 때 몰드 코어(mold core)가 제1 보호 프레임(301)에 대해 위치고정을 실시하는 데 사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매설식 이음 연결부(3015)는 이음 연결 커넥터와 용접해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to 6, a block wall protection part 3011 is formed in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and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301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wall 14. embedded in the end surface. The block wall protector 3011 is used to protect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block wall 14 and at the same time protects the block wall 14 from being scratched and damaged when inserted into the joint connector.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3011 is far from the upper edge of one end of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rther returns toward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extends while being bent to form a buried portion 3014, the buried portion 3014 is buried correspondingly in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wall 14, and one end of the buried portion 3014 close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extends further and exte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11 A buried joint connection portion 3015 protruding to the outside is formed. The buried portion 3014 is used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and the insulating body 1, and the buried joint connection portion 3015 is mold core when integrally molded. is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and at the same time, the buried joint 3015 can be used to weld and fix the joint connector.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은 상기 블록벽 보호부(3011)의 하단 가장자리와 일체형으로 연결한 바닥벽 지지부(30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3012)는 상기 바닥벽(11)의 길이방향의 양단 지점에 매설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3012)는 삽입 연결 공간(10) 내부까지 상향 노출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3012)는 바닥벽(11)이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밀착된 하부 표면까지 하향 노출되어, 일체형 성형 시의 몰드 코어 위치고정에 사용한다. 상기 바닥벽 지지부(3012)는 바닥벽의 구조 강도를 증가하는 데 사용한다.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further includes a bottom wall support part 3012 integrally connected to a lower edge of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3011, and the bottom wall support part 3012 is connected to the bottom wall 11 is buri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ttom wall support part 3012 is exposed upward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connection space 10, and the bottom wall support part 3012 has the bottom wall 11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It is exposed downward to the closely attached lower surface and is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ld core during integral molding. The bottom wall support 3012 is us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bottom wall.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은 측벽 보호부(3013)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 보호부(3013)는 상기 바닥벽 지지부(3012)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벽 보호부(3013)는 상기 측벽(12)의 길이방향의 양단의 내벽면에 매설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2)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측벽 보호부(3013)의 일단이 굴곡되어 위치고정부(3016)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3016)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측벽(12)의 상부 표면 지점에 대응되게 매설되고, 상기 위치고정부(3016)는 적어도 일부가 측벽(12)의 상부 표면 외부까지 노출되어 위치고정 상부 표면(30161)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의 양단은 하부 표면에서 상향으로 함몰되어 위치고정 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고정부(3016)는 적어도 일부가 위치고정 홈(111)을 지나 절연 본체(1)의 외부로 하향 노출되어 위치고정 하부 표면(30162)을 형성한다. 상기 위치고정 상부 표면(30161)과 위치고정 하부 표면(30162)은 일체형 성형 시의 몰드 코어 위치고정에 사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위치고정부(3016)는 이음 연결 커넥터를 유도해 삽입 연결 공간(10)에 삽입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측벽 보호부(3013)는 측벽의 구조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includes a sidewall protection unit 3013, the sidewall protection unit 301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wall support unit 3012, and the sidewall protection unit 301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wall support unit 3012. One end of the side wall protector 3013 buried in the inner wall surface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2), located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and far from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It is bent to form a position fixing part 3016, and the position fixing part 3016 is buri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point of the side wall 12 far from one side of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osition fixing part ( 3016) is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to form a position fixing upper surface 30161,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are recess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to form a position fixing groove. 11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3016 is downward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body 1 through the position fixing groove 111 to form a position fixing lower surface 30162. The position fixing upper surface 30161 and the positioning lower surface 30162 are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ld core during integral mol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fixing part 3016 guides the joint connection connector to insert the connection space ( 10), and in addition, the side wall protector 3013 can reinforc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ide wall.

더 나아가,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은 상기 단벽(13)의 내벽면에 대응되게 매설된 단벽 보호부(30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벽 보호부(3017)는 바닥벽 지지부(3012)와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단벽 보호부(3017)의 일단에는 더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단벽(13) 외부까지 돌출된 단벽 이음 연결부(3018)가 형성된다. 상기 단벽 보호부(3017)는 단벽(13)의 구조 강도를 증가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단벽 이음 연결부(3018)는 일체형 성형 시의 몰드 코어 위치고정에 사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단벽 이음 연결부(3018)는 원료 수송 벨트의 원료 연결 지점이기도 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벽 이음 연결부(3018)는 제2 보호 프레임(30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데 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보호 프레임(301)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은 방향을 따라 제2 보호 프레임(302)과 일부 중첩되며, 본 출원에서는 상세하게, 상기 보호부(3017) 및 단벽 이음 연결부(3018)와 이하 문장에 기재된 단벽 상부 벽부(312)는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은 방향을 따라 일부 중첩된다.Furthermore,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further includes an end wall protection part 3017 buri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nd wall 13, and the end wall protection part 3017 is a bottom wall support part 3012 An end wall joint connection portion 3018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nd wall protection unit 3017, which is connected integrally with and is far from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further bent and extended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end wall 13. The end wall protection portion 3017 is us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end wall 13, the end wall joint connection portion 3018 is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mold core during integral mol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wall joint connection portion ( 3018) is also the raw material connection point of the raw material transport belt. In some embodiments, the single wall joint connector 3018 may be applied to electrically contact the second protective frame 302 .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partially overlaps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ion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an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detail, the protection part 3017 and the single wall joint connection part 3018 And the upper wall portion 312 of the single wall described in the following sentence partially overlap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본 출원은 제1 보호 프레임(301)을 설치하고 제1 보호 프레임(301)을 통해 절연 본체(1)의 강도, 특히,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의 양단 지점의 구조 강도를 강화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보호 프레임(301)을 바닥벽(11), 측벽(12), 단벽(13) 및 블록벽(13)과 모두 매칭된 결합구조로 설계하여 바닥벽(11), 측벽(12), 단벽(13) 및 블록벽(13) 간의 전체 구조 강도가 보장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바닥벽(11), 측벽(12), 단벽(13) 및 블록벽(13)에 대응되는 지점의 내벽면이 강화되도록 하고, 이음 연결 커넥터가 삽입되고 걸려 절연 본체(1)를 손상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installs a first protective frame 301 and enhances the strength of the insulating body 1 through the first protective frame 301, in particular, the structural strength of both end poi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At the same time,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is designed as a combined structure matched with the bottom wall 11, the side wall 12, the end wall 13 and the block wall 13, so that the bottom wall 11, the side wall 12 ), the overall structural strength between the end wall 13 and the block wall 13 is ensured, and at the same time,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11, the side wall 12, the end wall 13 and the block wall 13 The inner wall surface can be strengthened, and the joint connecto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and caught to damage the insulating body 1.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상기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상단 벽부(31), 이음 연결 다리부(32) 및 메인바디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벽부(31)는 절연 본체(1) 길이방향 양단의 상부 표면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2)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32)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고정시키는 데 사용한다. 상기 메인바디부는 절연 본체(1)와 고정한다. 상기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이음 연결 다리부(32)가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한 탄성 암부(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부(34)는 이음 연결 커넥터(미도시)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데 사용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 the second protective frame 302 includes an upper wall portion 31 , joint connection leg portions 32 and a main body portion (not shown). The upper wall part 3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insulating body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ocated at a point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2 .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32 is used to fix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The main body part is fixed to the insulating body (1).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further includes an elastic arm portion 34 formed by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32 extending, and the elastic arm portion 34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ion connector (not shown). used to contac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상세하게,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32)는 상기 탄성 암부(34)와 메인바디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상단 벽부(31)와 이음 연결 다리부(32)를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상기 탄성 암부(34)는 상기 측벽(12)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암부(34)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암부(34)는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삽입 연결 공간(10) 내부까지 돌출되도록 뻗어나간 접촉부(3404)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404)는 이음 연결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는 데 사용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in detail,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32 integrally connects the elastic arm part 34 and the main body part, and the main body part connects the top wall part 31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32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elastic arm part 34 is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12, and at least a part of the elastic arm part 34 can be elastically displ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The elastic arm portion 34 is formed with a contact portion 3404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into the insertion connection space 10 . The contact portion 3404 is used to implement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joint connecto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상기 메인바디부는 외벽부(331)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331)는 상기 측벽(12)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부의 외벽면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32)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운 외벽부(331)의 가장자리가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34)는 이음 연결 다리부(32)의 가장자리가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다.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 암부(34)는 외벽부(331)에서 멀리 떨어진 이음 연결 다리부(32)의 일측이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34)는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해 뻗어나가고, 상기 외벽부(331)와 탄성 암부(34)는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n outer wall portion 331, and the outer wall portion 331 is coupled to a point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end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12.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32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the edge of the outer wall portion 331 close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elastic arm portion 34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32. is formed by bending and elongat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the elastic arm portion 34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side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32 far from the outer wall portion 331, and the elastic arm portion 34 I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and the outer wall portion 331 and the elastic arm portion 34 are installed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암부(34)는 이음 연결 다리부(32)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1 탄성 암부(3401), 굴곡 암부(3403) 및 제2 탄성 암부(3402)를 포함한다. 상기 굴곡 암부(3403)는 제1 탄성 암부(3401)와 제2 탄성 암부(3402)를 일체형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 탄성 암부(3401)와 제2 탄성 암부(3402)는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을 따라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탄성 암부(3401)와 외벽부(331) 간의 간격은 제2 탄성 암부(3402)와 외벽부(331) 간의 간격보다 작다.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1 탄성 암부(3401)는 측벽(12)의 단부에 가깝고, 상기 제2 탄성 암부(3402)는 측벽(12)의 단부에서 멀리 떨어지고, 상기 접촉부(3404)는 제2 탄성 암부(3402)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 the elastic arm part 34 includes a first elastic arm part 3401, a bending arm part 3403 and a second elastic arm part 3402 integrally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32. . The bent arm part 3403 connects the first elastic arm part 3401 and the second elastic arm part 3402 integrally. The first elastic arm part 3401 and the second elastic arm part 3402 form a step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astic arm part 3401 and the outer wall part 33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lastic arm part 3402 and the outer wall part 331 . The first elastic arm portion 340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is close to the end of the side wall 12,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3402 is far from the end of the side wall 12, and the contact portion ( 3404 is formed on the second elastic arm portion 3402.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벽부(31)는 일체형으로 연결한 측벽 상부 벽부(311)와 단벽 상부 벽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 상부 벽부(311)는 측벽(12)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부의 상부 표면에 결합된다. 상기 단벽 상부 벽부(312)는 단벽(13)의 상부 표면에 결합된다.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상기 단벽 상부 벽부(312)의 적어도 하나의 단(端) 가장자리는 하향으로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단벽 차폐부(3121)를 형성한다. 상기 단벽 차폐부(3121)는 단벽(13)의 외부 표면 및/또는 내부 표면에 결합된다. 상기 단벽 차폐부(3121)의 하측 가장자리는 이음 연결 다리부(31211)를 형성한다.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31211)는 대응되게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upper wall portion 31 includes an upper side wall portion 311 and an upper end wall portion 312 integrally connected. The upper wall portion 311 of the side wall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d wall upper wall portion 312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wall 13 . At least one end edge of the end wall upper wall portion 3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is bent downward and extended to form an end wall shield 3121. The end wall shield 3121 is coupled to the outer and/or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13 . The lower edge of the short wall shield 3121 forms a joint bridge 31211.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31211 is correspondingly fix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더 나아가, 상기 제2 보호 프레임(302)의 상단 벽부(31)의 상부 표면이 제1 보호 프레임(301)보다 높고 측벽(12)의 상부 표면보다 높아 단차를 형성하고, 삽입 연결 공간(10)에 가까운 상기 상단 벽부(31)의 내측에는 드래프트공정(draft process)을 거쳐 아치형 가이드면(310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제1 보호 프레임(301)은 제1층 방호로 사용되어 보드 투 보드 커넥터를 보호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가능한 이음 연결 커넥터가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삽입되어 이음 연결을 실시할 때 먼저 제1 보호 프레임(301)과 접촉하고 제1 보호 프레임(301)에 의해 유도되도록 한다. 제2 보호 프레임(302)은 2차 유도 및 방호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보호 프레임(3)을 투피스식(two piece type)으로 설계하고, 여기에서, 제1 보호 프레임(301)은 일체형 성형을 통해 절연 본체(1)와 결합해 고정하고,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조립을 통해 절연 본체(1)와 결합해 고정하여 제조과정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한 단개의 부재(보호 프레임(3))는 일 측면에서 가공 제작에 불리하고, 다른 측면에서 절연 본체(1)와의 매칭 및 조립에 불리하고, 기능의 구현에도 불리하며, 하나의 비교적 복잡한 부재를 투피스식으로 설계하고, 상이한 지점에 위치하는 보호 프레임(3)의 기능 수요에 근거해 분해하고 조립하고 설계하여 전체적인 성능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키는 동시에, 가공 난이도를 낮추고 제조과정의 공정을 줄일 수 있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furthermor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portion 31 of the second protective frame 302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protective frame 3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An arcuate guide surface 310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wall portion 31 closer to the insertion connection space 10 through a draft process. In this design,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can be used as the first layer of protection to protect the board-to-board connector, and at the same time, a possible joint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board-to-board connector to perform the joint connection. When doing so, it first contacts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and is guided by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serves as secondary induction and protection. In addition, the protection frame 3 is designed as a two-piece type, where the first protection frame 301 is combined and fixed with the insulating body 1 through integral molding, and the second protection frame ( 302) can be combined with and fixed to the insulating body 1 through assembly to lower the difficul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a single member (protective frame 3) having an excessively complex structure is disadvantageous to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on one side, disadvantageous to matching and assembling with the insulating body 1 on the other side, disadvantageous to the realization of functions, and one The relatively complex members of the two-piece design are disassembled, assembled, and design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protective frame 3 located at different points to better satisfy the overall performance requirements, while reducing the processing difficulty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process can be reduced.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2 보호 프레임(302)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아래의 차이점이 있다. 즉, 탄성 암부(34)의 구조 및 탄성 암부(34)와 이음 연결 다리부(32)의 연결 위치가 다르며, 상세하게, 상기 탄성 암부(34)는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음 연결 다리부(32)의 일단이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34)는 탄성 암(341)과 굴곡 암(342)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341)과 외벽부(331)는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되고, 상기 굴곡 암(342)은 탄성 암(341)과 이음 연결 다리부(32)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접촉부(3404)는 상기 탄성 암(341)에 형성된다. 이외에도, 상기 굴곡 암(342)은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端) 가장자리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굴곡 암(342)이 연장해 뻗어나간 평면은 탄성 암(341)이 연장해 뻗어나간 평면과 수직된다. 이외에도, 제2 보호 프레임(302)의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제1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조와 도면 부호를 공동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가 공개한 제2 보호 프레임(302)은 제1 실시예에 기재된 절연 본체(1)에 결합할 수도 있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7, 8 and 9,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protection of the above and first embodiments The frame 302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arm part 34 and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elastic arm part 34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32 are different. In detail, the elastic arm part 34 is a j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One end of the connecting leg part 32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and the elastic arm part 34 includes an elastic arm 341 and a bending arm 342, and the elastic arm 341 and the outer wall part 331 ) is installed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the flexion arm 342 is used to connect the elastic arm 341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32, and the contact portion 3404 is It is formed on the elastic arm 341. In addition, the bending arm 342 is located at the end edge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and the plane where the bending arm 342 extends is the plane where the elastic arm 341 extends. is perpendicular to In addition, the other structure of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gether, and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disclosed by the above embodiment is It can also be coupled to the insulating body 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보드 투 보드 커넥터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제2 보호 프레임(302)의 구조에 있고, 더 나아가, 제2 보호 프레임(302)의 차이점은 주로 탄성 암부(34)의 구조 및 탄성 암부(34)와 이음 연결 다리부(32)의 연결 위치가 다른 데 있으며, 상세하게, 상기 탄성 암부(34)는 굴곡 암(342), 가로대 암(343) 및 탄성 암(341)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암(342)은 절연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음 연결 다리부(32)의 하나의 단(端) 가장자리가 상향으로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다. 상기 가로대 암(343)은 굴곡 암(342)이 더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암(343)은 상기 상단 벽부(31)와 측벽(12)의 상부 표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대 암(343)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이음 연결 다리부(32)와 상대되게 설치되고 상단 벽부(31)와 상대되게 설치되며, 상기 탄성 암(341)은 삽입 연결 공간(10)에 가까운 가로대 암(343)의 일측 가장자리가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341)과 외벽부(331)는 절연 본체(1)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된다.10 to 13,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is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Fur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is mainly in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arm 34 and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elastic arm 34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32, and in detail, the elastic arm 34 34 includes a bending arm 342, a crosspiece arm 343 and an elastic arm 341, the bending arm 342 of the joint connecting leg 3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It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end edge upward. The cross bar arm 343 is formed by further bending and extending the bending arm 342, the cross bar arm 343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and the cross bar arm 343 is The arm 343 is installed relative to the joint connection leg 32 along the direction of inserting and pulling out the joint connection connector and is installed to face the upper wall portion 31, and the elastic arm 34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0 ), one edge of the crossbar arm 343 is bent and extended, and the elastic arm 341 and the outer wall portion 331 are installed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1.

제2 실시예는 더 나아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대 암(343)과 상단 벽부(31) 사이가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대 암(343)과 측벽(12) 사이가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가로대 암(343)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위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ross bar arm 343 and the upper wall portion 31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ross bar arm 343 and the side wall 12. A gap is formed, and the crossbar arm 343 can be elastically displaced along the direction of inserting and pulling out the joint connector.

제2 실시예의 상기 절연 본체(1)는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탄성 암부(34)에 대응되는 지점에 대해서만 일부 구조가 충돌하지 않도록 조정하였으며, 이외에도,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여 제1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조와 도면 부호를 공동 사용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반복해 기재하지 않는다.The insulating body 1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only a part of the structure is adjusted so as not to collide with respect to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arm 34. In addition, other structure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Since structures and reference numer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embodiment, they are not repeated here.

본 출원이 공개한 복수의 실시예에서, 제2 보호 프레임(302)의 이음 연결 다리부(32)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의 용접기와 고정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탄성 암부(34)를 이음 연결 다리부(32)가 직접 굴곡되어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계하며, 이 경우, 상기 탄성 암부(34)의 탄성 변위가 다른 구조의 영향 또는 간섭을 받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음 연결 커넥터와 보드 투 보드 커넥터가 이음 연결을 실시할 경우, 이음 연결 커넥터는 제2 보호 프레임(302)의 압력, 충격 등을 탄성 암부(34)로 전달하지 않는다. 특히, 이음 연결 커넥터가 상단 벽부(31)에 밀착되거나 충격을 가할 경우, 상단 벽부(31)의 탄성 변형 또는 가소성 변형은 외벽부(331)에 의해 탄성 암부(34)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탄성 암부(34)의 위치는 상당히 안정적으로 하나의 제어 가능한 범위 내에 유지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음 연결 커넥터와 보드 투 보드 커넥터에 대해 이음 연결을 실시할 때의 접촉 안정성, 특히, 제2 보호 프레임(302)의 탄성 암부(34)와 이음 연결 커넥터에 대해 이음 연결을 실시하는 이음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 plurality of embodiments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32 of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is used to fix the joint connection to the welding machin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elastic arm portion 34 is used for joint connection. The leg portion 32 is designed to be formed by directly bending and extending,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elastic arm portion 34 is not influenced or interfered with by other structures. When the joint connector and the board-to-board connector perform a joint connection, the joint connector does not transfer pressure, shock, etc. of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to the elastic arm 34 . In particular, when the joint connector adheres to or applies an impact to the upper wall portion 31, the elastic deformation or plastic deformation of the upper wall portion 31 is not transmitted to the elastic arm portion 34 by the outer wall portion 331.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elastic arm portion 34 can be maintained within one controllable range with considerable stability, and furthermore, the contact stability when performing the joint connection for the joint connector and the board-to-board connector, particularly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joint connection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elastic arm portion 34 of the second protection frame 302 and the joint connection connector.

상기 차이점 외에도, 제2 실시예의 다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여 다시 반복해 기재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의 구조 설명과 도면에서의 구조 부호는 동등하게 적용한다.Besides the above differences, other structure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will not be described again. Structure descriptions in the specification and structure symbols in the drawings apply equal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문이 본 발명의 복수의 예시성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여전히 본 발명이 공개한 내용에 근거해 본 발명의 원리에 부합되는 다양한 기타 변형 또는 수정을 직접 확정하거나 도출해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모든 이런 기타 변형 또는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인정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described a plurality of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ut still based on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ircumstanc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various other variations or modification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may be directly determined or derived.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and appreciat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such and other variations or modifications.

Claims (19)

보드 투 보드(board-to-board) 커넥터에 있어서,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절연 본체, 복수의 전기전도 단자 및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는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절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프레임은 절연 본체 길이방향의 양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단 벽부,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이음 연결 다리부 및 절연 본체와 고정되는 메인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벽부는 절연 본체 길이방향 양단의 상부 표면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 프레임은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에서부터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이음 연결 커넥터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In a board-to-board connector,
It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es an insulating body,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nd a protective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disposed on the insulating body, The protection frame is coupled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is located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nd the protection frame is a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used to fix the upper wall portion and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a main body portion fixed to the insulation body, wherein the upper wall portion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insulation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ocated at a point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nd the protective frame is the joint connection bridge.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arm portion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portion and elastically contacting the splic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는 상기 탄성 암부와 메인바디부에 대한 일체형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메인바디부는 상기 상단 벽부와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realizes integral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arm part and the main body part, and the main body part integrally connects the upper wall part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본체는 삽입 연결 공간이 형성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접착된 바닥벽 및 바닥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벽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 2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는 각각 2개의 상기 측벽에 배열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2,
The insulating body includes a bottom wall in which an insertion connection space is formed, bond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two side wall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wal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re disposed in an array on the two side walls, respectiv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암부는 상기 측벽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암부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삽입 연결 공간 내부까지 돌출되도록 뻗어나간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elastic arm portion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idewall,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arm portion may be elastically displ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elastic arm portion may be at leas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contact part is formed so that a part of it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connection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부는 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부는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부의 외벽면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운 외벽부의 가장자리가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는 이음 연결 다리부의 가장자리가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n outer wall portion, the outer wall portion is coupled to a point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an end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an edge of the outer wall portion close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elastic arm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an edge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 암부는 외벽부에서 멀리 떨어진 이음 연결 다리부의 일측이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 형성되고, 상기 외벽부와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5,
The elastic arm 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side of the joint connecting leg part far from the outer wall part, and the outer wall part and the elastic arm part are installed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board-to-board conne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암부는 이음 연결 다리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제1 탄성 암부, 굴곡 암부 및 제2 탄성 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 암부는 제1 탄성 암부와 제2 탄성 암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탄성 암부와 제2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탄성 암부와 외벽부 사이의 간격은 제2 탄성 암부와 외벽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탄성 암부는 측벽의 단부에 가깝고, 상기 제2 탄성 암부는 측벽의 단부에서 멀리 떨어지고, 상기 접촉부는 제2 탄성 암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6,
The elastic arm unit includes a first elastic arm unit, a flexion arm unit, and a second elastic arm uni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ion leg unit, the flexure arm unit integrally connects the first elastic arm unit and the second elastic arm unit, and the first elastic arm unit integrally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arm units. The elastic arm part and the second elastic arm part form a step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astic arm part and the outer wall par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lastic arm part and the outer wall part, and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wherein the first elastic arm part is close to the end of the side wall, the second elastic arm part is far from the end of the side wall, and the contact part is formed on the second elastic arm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음 연결 다리부의 일단이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는 탄성 암과 굴곡 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과 외벽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하고, 상기 굴곡 암은 탄성 암과 이음 연결 다리부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탄성 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5,
The elastic arm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end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elastic arm portion includes an elastic arm and a bending arm, and the elastic arm and the outer wall portion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lexible arm is used to connect the elastic arm and the joint connecting leg, 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elastic ar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암은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端) 가장자리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굴곡 암의 연장해 뻗어나간 평면은 탄성 암의 연장해 뻗어나간 평면과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8,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lexion arm is located at an end edge poi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and the extending plane of the flexion arm i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lane of the elastic ar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암부는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음 연결 다리부의 일단이 굽혀지고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암부는 굴곡 암, 가로대 암 및 탄성 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암과 외벽부는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대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로대 암은 상기 상단 벽부와 측벽 상부 표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가로대 암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이음 연결 다리부와 상대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9,
The elastic arm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one end of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he elastic arm portion includes a bending arm, a crosspiece arm, and an elastic arm, and the elastic arm and the outer wall portion of the insulating body. It is installed relative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crossbar arm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crossbar arm is installed relative to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ion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board-to-board connector.
제10항에 있어서,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대 암과 상단 벽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암과 측벽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 암은 이음 연결 커넥터를 삽입하고 뽑는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0,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ross bar arm and the upper wall por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ross bar arm and the side wall, and the cross bar arm is ta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or is inserted and pulled out.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xually displac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벽부는 일체형으로 연결된 측벽 상부 벽부와 단벽 상부 벽부를 포함하고, 절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단벽 상부 벽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 가장자리는 하향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단벽 차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벽 차폐부는 단벽의 외부 표면 및/또는 내부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단벽 차폐부의 하측 가장자리는 이음 연결 다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음 연결 다리부는 대응되게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wall portion includes an upper side wall portion and an upper end wall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and at least one end edge of the upper wall portion of the end wall portion is bent downward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ody to form an end wall shielding portion, The board-to-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and / or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the lower edge of the end wall shield forms a joint connection leg, and the joint connection leg is correspondingly fixed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board connec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프레임은 제1 보호 프레임과 제2 보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과 제2 보호 프레임은 상호 독립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일체식 성형을 통해 절연 본체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보호 프레임은 조립을 통해 상기 절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상단 벽부, 이음 연결 다리부 및 메인바디부와 상기 탄성 암부는 상기 제2 보호 프레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protection frame includes a first protection frame and a second protection frame, the first protection frame and the second protection frame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e first protection frame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body through integral molding,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econd protection frame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body through assembly, and the upper wall portion, the joint connection leg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elastic arm portion are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on fram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본체는 바닥벽의 중간 지점이 상향으로 연장해 뻗어나가 형성된 블록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에는 블록벽 보호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벽 보호부는 상기 블록벽의 길이방향의 단부 표면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3,
The insulating body further includes a block wall formed by extending upwardly at a midpoint of the bottom wall, a block wall protection part is formed on the first protection frame, and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is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block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buried i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벽 보호부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 일단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멀리 떨어지고, 더 나아가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리턴해 굽혀지면서 연장해 뻗어나가 매설부가 형성되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블록벽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단 내에 대응되게 매설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가까운 상기 매설부의 일단에는 더 연장해 뻗어나가 바닥벽의 하부 표면 외부까지 돌출된 매설식 이음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4,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is far from the upper edge of one end of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further returns toward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nd extends while bending to form a buried portion, wherein the buried portion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ck wall.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buried joint joint is buried correspondingly in both ends and at one end of the buried portion close to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a further extension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상기 블록벽 보호부의 하단 가장자리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바닥벽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는 상기 바닥벽의 길이방향의 양단 지점에 매설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는 삽입 연결 공간 내부까지 상향 노출되고, 상기 바닥벽 지지부는 바닥벽이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 밀착한 하부 표면까지 하향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5,
The first protection frame includes a bottom wall support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a lower edge of the block wall protection part, the bottom wall support part is buri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wal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ottom wall support part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space. The board-to-board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bottom wall support part is exposed downward to a low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측벽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 보호부는 상기 바닥벽 지지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벽 보호부는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의 양단의 내벽면에 매설되어 복수의 상기 전기전도 단자의 배치 범위 이외의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6,
The first protection frame includes a sidewall protection unit, the sidewall protection un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wall support unit, and the sidewall protection unit is embedded in inner wall surfaces at both ends of the side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s.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at a point outside the placement range.
제17항에 있어서,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측벽 보호부의 일단에는 굴곡되어 위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측벽의 상부 표면 지점에 대응되게 매설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측벽의 상부 표면 외부까지 노출되어 위치고정 상부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본체의 폭 방향의 양단에는 하부 표면에서 상향 함몰되어 위치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고정 홈을 지나 절연 본체의 외부로 하향 노출되어 위치고정 하부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7,
One end of the sidewall protection part far from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is bent to form a position fixing part, and the position fixing part is buried to correspond to a poi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far from one side of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ing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 form a position fixing upper surface, an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 position fixing groove is formed by being recess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at least a part of the position fixing part is formed.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thereof is downward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body through the positioning groove to form a positioning lower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프레임은 상기 단벽의 내벽면에 대응되게 매설된 단벽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이음 연결 인쇄회로기판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단벽 보호부의 일단은 더 굴곡되고 연장해 뻗어나가 단벽 외부까지 돌출된 단벽 이음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투 보드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protection frame further includes an end wall protection part buri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nd wall, and one end of the end wall protection part far from the joint connection printed circuit board is further bent and extend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nd wall joint. A board-to-board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KR1020237022408A 2020-12-28 2021-06-25 board to board connector KR202301220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583902.4A CN112636035A (en) 2020-12-28 2020-12-28 Board-to-board connector
CN202011586001.0 2020-12-28
CN202011583902.4 2020-12-28
CN202011586001.0A CN112636036A (en) 2020-12-28 2020-12-28 Board-to-board connector
PCT/CN2021/102393 WO2022142200A1 (en) 2020-12-28 2021-06-25 Board-to-board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042A true KR20230122042A (en) 2023-08-22

Family

ID=8225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408A KR20230122042A (en) 2020-12-28 2021-06-25 board to board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2042A (en)
WO (1) WO2022142200A1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0344B2 (en) * 2018-12-21 2020-04-15 Smk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CN211530239U (en) * 2020-03-20 2020-09-18 昆山惠乐精密工业有限公司 Electrical connector
CN111564717A (en) * 2020-05-14 2020-08-21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CN213845578U (en) * 2020-12-23 2021-07-30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Board-to-board connector
CN213845615U (en) * 2020-12-24 2021-07-30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Electrical connector
CN112636036A (en) * 2020-12-28 2021-04-0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Board-to-board connector
CN112636035A (en) * 2020-12-28 2021-04-0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Board-to-bo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2200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52767B (en) Connector assembly
US10886649B1 (en) 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0883950B1 (en) Connector with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accumulated on a mating connector
JP4705102B2 (en) Connectors, circuit boards and electronic devices
JP439197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WO2018025873A1 (en) connector
KR101157672B1 (en) Connector
WO2008044324A1 (en) Connector
JP7388901B2 (en) connector
CN109155491A (en)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s
JPWO2018025875A1 (en) contact
JP2018060818A (en) Connector and connector pair
KR20230019919A (en) receptacle connector
CN112636035A (en) Board-to-board connector
CN202817242U (en) Loop connector and closed-circuit forming connector
JP4726019B2 (en) Connector device
KR20230122042A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O2021071676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2636036A (en) Board-to-board connector
JP414146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004145A (en) Cable-to-board arrangements for enhanced RF shielding
CN114336115B (en) Connector for substrate
US20240128686A1 (en) Connector
JP7129462B2 (en) Connectors and Connector Pairs
CN219286817U (en) Network socket, circuit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