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570A -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570A
KR20230121570A KR1020230017702A KR20230017702A KR20230121570A KR 20230121570 A KR20230121570 A KR 20230121570A KR 1020230017702 A KR1020230017702 A KR 1020230017702A KR 20230017702 A KR20230017702 A KR 20230017702A KR 20230121570 A KR20230121570 A KR 20230121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ulture
chamber
cell
crosslinking agent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태
이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23/0019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53849A1/ko
Publication of KR2023012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6Plates; Walls; Drawers; Multilayer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0Materia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8Reaction vessels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8Skeletal muscle cells, e.g. myocytes, myotubes, myobl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30Synthetic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Immu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배양용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실리콘층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표면이 실리콘층으로 코팅된 세포 배양용 기기를 배양액과 함께 챔버 내부에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CELL CULTURE DEVICE, CELL CULTURE SYSTEM COMPRISING IT AND CELL CUL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양육은 가축의 최소한의 희생으로 얻은 세포를 대량 배양 후, 이를 이용하여 다량의 육고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양육 개발의 목적은 증가하는 육류 소비량을 충족시키고, 축산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오염, 가축 복지 문제 및 축산업에 필요한 토지 부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2021년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0.5Ⅹ0.5 ㎠ 크기의 배양육을 생산하기 위해서 2.5×108 개 근세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근세포 (myocytes)는 근섬유(myofiber) 형성능은 가지고 있지만 증식 능력이 소멸된 체세포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 이를 대체할 세포자원으로 근원세포(myoblasts)가 주목받고 있다. 근원세포의 경우, 모두 근세포로의 분화를 거쳐 최종적으로 근섬유 형성능을 지녔으며 증식 가능한 세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근원세포의 특성은 배양육 개발을 위해 필요한 세포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만 구축된다면 최소한의 가축 희생으로 지속적으로 세포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근원세포 체외 대량 배양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의 부재로 인해 주기적으로 도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한계에 부딪혀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아직까지는 배양육 개발 단계에서 배양육 생산을 위해 도축되는 가축의 수가 많고, 더불어 배양육 생산 단가가 높다는 문제도 초래되고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평면 배양시스템의 경우, 세포배양면적, pH, 가스 및 대사 산물 농도 제어 등 다방면의 조건을 최적으로 적용하여 배양 및 생산할 수 있는 세포 규모는 최대 1×1011 개로 다량의 배양육을 생산하기에는 세포생산효율이 낮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배양육 개발에 필요한 세포 수를 충족하기위해 근원세포 대량생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503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포생산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표면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기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세포 배양 기기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면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는 실리콘 자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실리콘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가교 PDMS(Polydimethylsiloxan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근원세포(myoblasts)일 수 있다.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판재 형태의 슬라이드, 접시 형태, 비이커 형태 등 어느 형태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시나 비이커 형태의 경우에는 내부 표면에 실리콘 코팅을 하고 배양액을 직접 담지하여 배양이 가능할 것이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 및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 및 상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을 담지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는 복수의 기기가 서로 이격하는 상태로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측면에 상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타측면에 상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을 회수하는 배양액 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양액 공급부는 상기 배양액 회수부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면에 가스(gas)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실리콘에 가교제를 혼합하는 단계;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기재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표면에 도포된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실리콘에 가교제를 혼합하는 단계;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세포가 부착된 세포 배양용 기기를 챔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챔버 내부에 배양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가 부착된 세포 배양용 기기를 챔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세포가 부착된 세포 배양용 기기를 서로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용 기기를 사용하면 근원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배양육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험예 1의 세포 부착 여부를 확인한 현미경 촬영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2의 세포 증식 여부를 확인한 현미경 촬영 사진이다.
도 3은 실험예 3의 근원세포 특성 유지 여부를 확인을 위하여 MyoD 발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PDMS(Polydimethylsiloxane)와 열경화제를 10:1 중량비로 혼합하고 챔버에서 기포를 제거한다. 테슬라 코일(Tesla coil)로 슬라이드 글라스 표면을 산화 처리 하고, 기포를 제거한 PDMS를 표면이 산화된 슬라이드 글라스 표면에 얇게 도포한다. 이후, 85 ℃로 가열하여 PDMS를 경화시켰다.
이후, 반대편 표면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PDMS 코팅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의 슬라이드를 100 mm petri dish에 넣고, 1×106 개의 근원세포를 하기 표 1에 개시된 배양액 15 ml와 혼합하여 제조예 1의 슬라이드가 들어있는 100 mm petri dish에 접종하여 24 시간 동안 37 ℃, 5% CO2 환경에서 세포 부착을 유도하였다.
조성 용량
High-glucose DMEM 45 ml
5 ng/ml human basic FGF 2.5 ㎕
10% fetal bovine serum(FBS) 5 ml
1% antibiotics 0.5 ml
<실험예 1>
실시예 1의 세포 부착 여부를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슬라이드 표면에 근원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 사진은 좌측 사진의 빨간색 구역을 확대한 것으로, 근원세포가 실시예 1의 슬라이드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슬라이드 글라스의 배양 중에 3일, 7일 두 차례에 걸쳐 세포 증식 여부를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3일차 및 7일차 동일 구역의 사진을 비교해 보면 동일 구역 내의 근원세포가 증식되어 밀집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1의 슬라이드 위에서 증식된 근원세포가 근원세포로서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근원세포에서 발현되는 특이적 단백질인 MyoD를 형광 염색하여 확인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슬라이드 위에서 배양된 근원세포 대부분에서 MyoD 발현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근원세포 특성을 유지하며 증식 유도가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PDMS(Polydimethylsiloxane)와 열경화제를 10:1 중량비로 혼합하고 챔버에서 기포를 제거한다. 테슬라 코일(Tesla coil)로 100 mm culture dish의 내부 표면을 산화 처리 하고, 기포를 제거한 PDMS를 표면이 산화된 100 mm culture dish의 내부 표면에 얇게 도포한다. 이후, 85 ℃로 가열하여 PDMS를 경화시켰다.
제조한 PDMS로 코팅된 100 mm culture dish에 15 ml 배양액과 1×105 개의 근원세포를 접종하여 37 ℃, 5% CO2 환경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3>
PDMS(Polydimethylsiloxane)와 열경화제를 10:1 중량비로 혼합하고 챔버에서 기포를 제거한다. 100 mm culture dish와 동일한 몰드에 기포를 제거한 PDMS를 투입하여 성형한다. 이후, 85 ℃로 가열하여 PDMS를 경화시켰다.
제조한 PDMS 100 mm culture dish에 15 ml 배양액과 1×105 개의 근원세포를 접종하여 37 ℃, 5% CO2 환경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비교예 1>
아무 처리되지 않은 100 mm culture dish에 15 ml 배양액과 1×105 개의 근원세포를 접종하여 37 ℃, 5% CO2 환경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실험예 4>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서 배양된 세포를 trypan blue assay를 통해 세포 수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배양면적 회수된 세포 수 세포 수/㎠ 상대 비율
비교예 1 57.5 ㎠ 2.16×106 3.75×104 1
실시예 2 57.5 ㎠ 10.85×106 18.86×104 5.03
실시예 3 57.5 ㎠ 11.02×106 19.00×104 5.07
표 2를 참조하면, 표면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배양 시스템이 표면에 실리콘이 없는 기존 culture dish를 사용한 비교예 1의 배양 시스템 대비 배양 면적당 세포 수가 약 5배 정도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세포 대량생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도면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도면 또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배양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포 배양 시스템(100)은 세포 배양용 기기(110)를 내부에 포함하는 챔버(120)를 포함한다. 도면 상으로 구분이 되지 않지만, 챔버 내부에는 배양액(미도시)이 세포 배양용 기기(110)를 담지하고 있다.
세포 배양용 기기(110)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하여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세포 배양용 기기(110) 사이에 배양액이 위치하여 양면 배양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세포 배양 시스템(100)의 면적 및 체적을 최소화하면서 근원세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배양액(미도시)을 순환시키거나 교환하는 경우, 신규 배양액(New medium)이 투입되는 배양액 공급부(121)와 배양 후 배양액(Cultured medium)이 배출되는 배양액 회수부(122)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배양액 공급부(121)은 챔버(12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배양액 회수부(122)는 챔버(120)의 타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배양액 공급부(121)가 배양액 회수부(122)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챔버(120)는 배양에 필요한 가스(gas)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면에 가스 투입구(12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투입구(123)는 가스 발생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고, 가스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시스템(100)을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세포 배양용 기기(110) 각각에 실시예 1과 같이 세포를 부착시키고, 세포가 부착된 세포 배양용 기기(110)를 챔버(120) 내부에 배치하고 챔버(120) 내부에 배양액(미도시)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세포 배양 시스템
110 : 세포 배양용 기기 120 : 챔버
121 : 배양액 공급부 122 : 배양액 회수부
123 : 가스 투입구

Claims (14)

  1. 표면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표면에 코팅되는 실리콘층;
    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가교 PDMS(Polydimethylsilo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근원세포(myoblas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배양용 기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 및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 및 상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을 담지하는 챔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용 기기는 복수의 기기가 서로 이격하는 상태로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측면에 상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의 타측면에 상기 세포 배양용 배양액을 회수하는 배양액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공급부는 상기 배양액 회수부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일면에 가스(gas) 투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10. 실리콘에 가교제를 혼합하는 단계;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기재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표면에 도포된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의 제조방법.
  11. 실리콘에 가교제를 혼합하는 단계;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가교제가 혼합된 실리콘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의 제조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열가교제 및 광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용 기기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 배양용 기기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세포가 부착된 세포 배양용 기기를 챔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챔버 내부에 배양액을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가 부착된 세포 배양용 기기를 챔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세포가 부착된 세포 배양용 기기를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배양 방법.
KR1020230017702A 2022-02-11 2023-02-10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 KR20230121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1956 WO2023153849A1 (ko) 2022-02-11 2023-02-10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7871 2022-02-11
KR1020220017871 2022-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570A true KR20230121570A (ko) 2023-08-18

Family

ID=8780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702A KR20230121570A (ko) 2022-02-11 2023-02-10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5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32B1 (ko) 2010-02-26 2011-10-21 한국과학기술원 세포 배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32B1 (ko) 2010-02-26 2011-10-21 한국과학기술원 세포 배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pałczyńska et al. 2D and 3D cell cultures–a comparison of different types of cancer cell cultures
Kobayashi et al. Preparation of stripe-patterned heterogeneous hydrogel sheets using microfluidic devices for high-density coculture of hepatocytes and fibroblasts
Yamada et al. Cell-sized condensed collagen microparticles for preparing microengineered composite spheroids of primary hepatocytes
US8906684B2 (en) Three dimensional cell patterned biopolymer scaffold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Yeh et al. Micromolding of shape-controlled, harvestable cell-laden hydrogels
US11807844B2 (en) Microfluid device and three-dimensional microculture method for cell
Albrecht et al. Multiphase electropatterning of cells and biomaterials
KR101983486B1 (ko) 폴리이미드 다공질막을 이용하는 세포의 대량 배양 방법, 장치 및 키트
CN112940940B (zh) 细胞的培养方法及试剂盒
JPS6251984A (ja) 発酵槽内で人及び動物の細胞を培養するためのキヤリヤ
Ahn et al. Functional cell-laden alginate scaffolds consisting of core/shell struts for tissue regeneration
WO2020231191A1 (ko) 이중 가교 가능한 2액형 바이오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직 유사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9517793A (zh) 一种NK细胞和γδT细胞共培养的建立方法
WO2022001631A1 (zh) 用于制备细胞团簇的装置及其构建方法及应用
US20240034976A1 (en) Rolled scaffold for large scale cell culture in monolayer
US20210348103A1 (en) Mesh rolled scaffold and advanced bioreactor
Nilsson Microcarrier cell culture
Kreutzer et al. Structured PDMS chambers for enhanced human neuronal cell activity on MEA platforms
Lagowala et al. Human microphysiological models of airway and alveolar epithelia
Kennedy et al. Engineered channels enhance cellular density in perfused scaffolds
KR20230121570A (ko) 세포 배양 기기,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및 세포 배양 방법
Knedlitschek et al. A tissue-like culture system using microstructures: influence of extracellular matrix material on cell adhesion and aggregation
Chou et al. Application of open porous poly (D, L‐lactide‐co‐glycolide) microspheres and the strategy of hydrophobic seeding in hepatic tissue cultivation
CN106606804B (zh) 一种制备复合结构的方法
Udomluck et al. Three-dimensional cartilage tissue regeneration system harnessing goblet-shaped microwells containing biocompatible hydrog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