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462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462A
KR20230121462A KR1020220018386A KR20220018386A KR20230121462A KR 20230121462 A KR20230121462 A KR 20230121462A KR 1020220018386 A KR1020220018386 A KR 1020220018386A KR 20220018386 A KR20220018386 A KR 20220018386A KR 20230121462 A KR20230121462 A KR 2023012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ntainer
trap
heat pump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1714B1 (en
Inventor
정주식
안승표
박비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714B1/en
Publication of KR2023012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7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 처리 장치로서, 세탁과 건조가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와,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에서 건조를 마친 공기를 상기 히트 펌프로 회수하는 회수 덕트와, 상기 회수 덕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서 비산되어 상기 회수 덕트를 타고 넘어오는 물을 포집하는 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덕트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1 덕트부와, 상기 제1 덕트부를 지난 공기가 상기 히트 펌프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2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랩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A laundry handl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both washing and drying, comprising: a contain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nd air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and supplied to the drum. a heat pump that heats the container; a recovery duct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recovering air that has been dried in the drum to the heat pump; A trap for collecting incoming water, wherein the recovery duc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an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a first duct part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rt moves downward, and the first duct part. A clothes handl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duct part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duct part moves in parallel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heat pump, and the trap being formed in a container shape an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Provided.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Garment handling device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세탁과 건조가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both washing and drying.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의 의성을 위해 세탁과 건조가 하나의 드럼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가 소개되고 있다.In general, a laundry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washing machine, a dryer, a device for refreshing clothes, and the like. Recently, for ease of use,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and drying in one drum has been introduced.

건조 겸용 세탁기에서는 세탁 행정과 건조 행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탁 행정이 우선적으로 수행되고, 그 다음 이어서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washing machine for drying, a washing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For example, after laundry is loaded into the drum, a 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first, and then a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건조 행정을 위해서는 고온의 공기를 드럼 내부로 공급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히트 펌프를 이용하는 건조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증발기, 응축기, 팽창 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구성을 필요로 한다.For the drying process, high-temperature air must be supplied into the drum, and recently, a drying method using a heat pump has been widely used. A heat pump can be understood as using the cooling cycle of an air conditioner in reverse, and requires components such as an evaporator, condenser, expansion valve, and compressor.

이러한 건조 겸용 세탁기에는 기존의 세탁기와는 달리 히트 펌프로부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 덕트와 건조를 마친 공기를 회수할 수 있는 회수 덕트가 구비된다. 공급 덕트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 쪽에 마련되는 가스켓에 연결되고, 회수 덕트는 내측에 드럼을 수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또는, 터브라고 지칭하기도 함)에 연결될 수 있다.Unlik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such washing machines for drying are equipped with a supply duct for supplying air from a heat pump to a drum and a recovery duct for recovering air that has been dried. The supply duct may be connected to a gasket provided on the side of an inlet through which laundry may be input, and the recovery duct may be connected to a container (or referred to as a tub) capable of accommodating a drum therein.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17214호(이하,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clothes treatment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172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는, 탈수 과정에서 드럼의 회전에 의해 드럼의 통공으로 비산되는 물이 회수 덕트로 유입되어 덕트 내에 물이 고이게 되는 현상을 야기하였으며, 이로 인해 건조 성능이 저하되고, 위생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이 조성되며, 히트 펌프까지 물이 침투하여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water scattere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drum due to rotation of the drum flows into the recovery duct, causing water to accumulate in the duct, thereby deteriorating drying performance. , a sanitary environment is cre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penetrates to the heat pump and causes a malfunction.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수 덕트로 넘어오는 물을 포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고, 덕트 내의 환경을 위생적으로 개선시키며, 물의 침투로 인한 히트 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collecting water flowing into the recovery duct, thereby improving drying performance, improving the sanitary environment in the duct, and preventing failure of the heat pump due to water infiltration. It is to provide a clothes handling device that can do thi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과 건조가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에서 건조를 마친 공기를 상기 히트 펌프로 회수(回收)하는 회수 덕트; 및 상기 회수 덕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서 비산되어 상기 회수 덕트를 타고 넘어오는 물을 포집하는 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includes a contain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 heat pump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and heating air supplied to the drum; a recovery duct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recovering air dried in the drum to the heat pump; and a trap formed on the recovery duct and collecting water scattered from the drum and passing through the recovery duct.

이 때, 상기 회수 덕트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1 덕트부와, 상기 제1 덕트부를 지난 공기가 상기 히트 펌프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2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랩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overy duc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a first duct part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rt moves downward,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duct part is used to heat the heat. A second duct part providing a passage movable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and the trap may be formed in a container shape an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이를 통해,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고, 덕트 내의 환경을 위생적으로 개선시키며, 물의 침투로 인한 히트 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drying performance may be improved, the environment in the duct may be hygienically improved, and failure of the heat pump due to water penetration may be prevented.

또한,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은 상기 트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ls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trap.

또한,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 중 공기 흐름 상 상류 부분은 공기 흐름을 따라 내리막으로 형성되고, 공기 흐름 상 하류 부분은 공기 흐름을 따라 오르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stream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may form a downward slope along the air flow, and a down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may form an upward slope along the air flow.

또한, 상기 트랩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공기 흐름 방향 상 상류 측 가장자리인 제1 가장자리는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form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trap may be included, and a first edge, which is an upstream edge of the cover in an air flow direction, may be continuously formed with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adjacent thereto.

또한, 상기 트랩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공기 흐름 방향 상 하류 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cover formed to cover the top of the trap, and at least a portion of a second edge, which is an edge on a downstream side of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cover, is disposed higher tha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adjacent thereto, so that the second edge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an edg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the cover may include a side portion formed by the step, an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또한, 상기 트랩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덕트부에서 상기 트랩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덕트부와 상기 트랩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form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trap may be included, and the cover may includ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second duct unit communicates with the trap so that water may flow into the trap from the second duct unit. there is.

또한, 상기 개구부는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홀들이 상기 공기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may b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holes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air flow direction.

또한, 상기 트랩은 내측에 포집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p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therein may be discharged.

또한, 상기 배출 포트는 상기 트랩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trap.

또한, 상기 트랩의 하부면은 상기 배출 포트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펌프의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포집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와, 상기 배수 펌프와 상기 배출 포트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ump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and discharging water condensed and collected in the evaporator of the heat pump,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rain pump and the discharge por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면(aspect)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과 건조가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캐비닛과, 상기 상부 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모듈; 하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는 히트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처리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히트 펌프 모듈;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에서 건조를 마친 공기를 상기 히트 펌프로 회수하는 회수 덕트; 및 상기 회수 덕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서 비산되어 상기 회수 덕트를 타고 넘어오는 물을 포집하는 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both washing and drying, including an upper cabinet, a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upper cabinet, and the like. , Clothes treatment module including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 heat pump module including a lower cabinet and a heat pump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and disposed below the laundry treatment module; a recovery duct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recovering air dried in the drum to the heat pump; and a trap formed on the recovery duct and collecting water scattered from the drum and passing through the recovery duct.

이 때, 상기 회수 덕트는 상기 상부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상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의 후면에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덕트부와, 상기 하부 캐비닛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덕트부와 연결되는 제2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랩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overy duct includes a connection part disposed inside the upper cabinet and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and a first duct part extending vertically from rear surfaces of the upper cabinet and the lower cabine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 A second duct part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cabinet and connected to the first duct part, and the trap may be formed in a container shape an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또한, 상기 트랩은 내측에 포집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하부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펌프의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포집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와, 상기 배출 포트와 상기 배수 펌프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p include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therein is discharged,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a drain pump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and discharges water condensed and collected in the evaporator of the heat pump.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drain pump.

본 명세서를 통해,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고, 덕트 내의 환경을 위생적으로 개선시키며, 물의 침투로 인한 히트 펌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specification, dry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e environment in the duct can be hygienically improved, and failure of the heat pump due to water penetration can be prevented.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 5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 5의 B-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 5의 P 지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 구성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n enlarged manner.
6 is a sid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ut along line AA′ of FIG. 5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
FIG. 9 illustrates some component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viewed from point P in FIG. 5 .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configuration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various shapes that one component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have.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are also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Therefor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에 포함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The expression of "at least one of a, b, and c" describ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a alone', 'b alone', 'c alone', 'a and b', 'a and c', 'b and c' ', or 'all a, b, and c'.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지의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는 의류 처리 모듈(110)과 히트 펌프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를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의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the laundry treatment module 110 and the heat pump module 120, bu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m,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even excluded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 및 건조 행정이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 행정 이후에 마른 의류를 열풍, 냉풍 또는 스팀 등을 이용하여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쉬 행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capable of performing both washing and drying process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refresh process of refreshing dry clothes by using hot air, cool air, or steam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the drying process.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 처리 모듈(110)에 건조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의류 처리 모듈(110)의 하부에 히트 펌프 모듈(120)을 결합하고, 캐비닛(111, 121)의 외부에서 덕트에 의해 의류 처리 모듈(110)과 히트 펌프 모듈(120)이 연결되는 의류 처리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류 처리 장치(100)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고 덕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 pump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to add a drying function to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and the clothes are re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s 111 and 121 by a duct.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to which the treatment module 110 and the heat pump module 120 are connec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be formed as a single module and the duct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 캐비닛(111)에서 도어(102)가 형성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과 측방이 정의될 수 있다.Hereinafter,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02 is formed in the upper cabinet 111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based on this, the rear and the side may be defin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의류 처리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모듈(110)은 실질적으로 세탁물이 투입되고, 세탁 및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laundry treatment module 110 . The laundry treatment module 110 may be understood as a part in which laundry is actually input and washing and drying processes are performed.

의류 처리 모듈(110)은 상부 캐비닛(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캐비닛(111)의 내측에는 컨테이너(112), 드럼(114)과 같이 실질적으로 세탁물이 투입되어 세탁 행정이나 건조 행정이 수행되는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n upper cabinet 111 . Inside the upper cabinet 111, components such as the container 112 and the drum 114, in which laundry is substantially put in and a washing operation or a drying operation is performed, may be accommodated.

상부 캐비닛(111)에는 투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물을 투입구(101)를 통해 드럼(114)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An input port 101 may be formed in the upper cabinet 111 . Laundry may be supplied into the drum 114 through the inlet 101 .

의류 처리 모듈(110)은 도어(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2)는 상부 캐비닛(11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2)는 투입구(101)를 개폐할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door 102 . The door 10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1 . The door 102 may open and close the inlet 101 .

의류 처리 모듈(110)은 컨트롤 패널(103)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03)은 상부 캐비닛(111)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0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03)을 통해 사용자가 각종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의류 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control panel 103 . The control panel 10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1 . The control panel 103 may be provided for a user interface. A user may perform various inputs through the control panel 103, and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00 may be displayed.

의류 처리 모듈(110)은 세제 박스(104)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박스(104)는 의류 처리 모듈(1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세제 박스(104)를 전방으로 인출한 뒤 세제 및/또는 섬유 유연제 등을 의류 처리 장치(10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제 박스(104)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세제 박스(104)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detergent box 104 . The detergent box 10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 After the detergent box 104 is drawn forward, detergent and/or fabric softener may be supplied into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 The detergent box 104 is provided with a handle, and the user can slide the detergent box 104 forward through the handle.

의류 처리 장치(100)는 히트 펌프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펌프 모듈(120)은 의류 처리 모듈(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device 100 may include a heat pump module 120 . The heat pump module 120 may be disposed below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

히트 펌프 모듈(120)은 하부 캐비닛(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캐비닛(121)의 내측에는 히트 펌프(122)와 송풍 유닛(123)과 같이 건조 행정을 위해 공기를 가열하는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The heat pump module 120 may include a lower cabinet 121 . Inside the lower cabinet 121, components for heating air for a drying process, such as a heat pump 122 and a blowing unit 123, may be accommodated.

히트 펌프 모듈(120)은 필터 장착구(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장착구(105)는 하부 캐비닛(121)으로부터 개폐될 수 있다. 필터 장착구(105)를 개방하여 후술할 회수 덕트(14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터(146)를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The heat pump module 120 may include a filter mounting hole 105 . The filter mounting hole 105 can be opened and closed from the lower cabinet 121 . By opening the filter mounting port 105, the filter 146 disposed inside the recovery duc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withdrawn or insert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의 의류 처리 모듈(110)은 세탁 행정만 수행하는 종래의 세탁기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류 처리 모듈(110)에 건조 행정을 위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히트 펌프 모듈(120)이 결합됨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는 세탁 기능 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까지 갖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류 처리 모듈(110)은 기존의 세탁기 생산 라인에서 제조될 수 있으면서, 이에 히트 펌프 모듈(120)은 결합함으로서 세탁 및 건조 기능을 모두 가질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laundry treatment module 110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that only performs a washing operation, and the laundry treatment module 110 As the heat pump module 120 capable of supplying high-temperature air for the drying process is couple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have a drying function as well as a washing function. In this way, since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can be manufactured in an existing washing machine production line and combined with the heat pump module 120 to have both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 처리 모듈(110)에 히트 펌프 모듈(120)을 설치함에 따라, 의류 처리 모듈(110)과 히트 펌프 모듈(120)의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 덕트(130)와 회수 덕트(1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때, 도 2를 참조하면, 의류 처리 모듈(110)과 히트 펌프 모듈(120)의 결합할 때 덕트의 설치 용이성을 위해, 공급 덕트(130)의 일부와, 회수 덕트(140)의 일부는 상부 캐비닛(111)과 하부 캐비닛(121)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heat pump module 120 is installed in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the supply duct 130 connecting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and the heat pump module 120 and the recovery A duct 140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2 , when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and the heat pump module 120 are coupled, for ease of installation of the duct, a part of the supply duct 130 And, a part of the recovery duct 140 may be exposed to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1 and the lower cabinet 121.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some components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는 의류 처리 모듈(110)과, 히트 펌프 모듈(120)과, 공급 덕트(130)와, 회수 덕트(140)와, 트랩(15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를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laundry treatment module 110, a heat pump module 120, a supply duct 130, a recovery duct 140, and a trap 150. It may include, bu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m, and does not exclude other additional configuration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의류 처리 모듈(110)은 컨테이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12)는 상부 캐비닛(1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컨테이너(112)의 내측에는 세탁 행정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컨테이너(112)는 일반적으로 터브(tub)로 지칭되는 구성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container 112 . The container 1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upper cabinet 111 . Water for washing operation may be stored inside the container 112 . The container 112 can be understood to be a configuration commonly referred to as a tub.

컨테이너(1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12)는 길이 방향으로 의류 처리 장치(100)의 바닥면과 나란하거나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112)의 전방에는 상부 캐비닛(111)의 투입구(101)와 연통될 수 있는 컨테이너 개구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11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ntainer 112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aundry handling devic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t a predetermined angle. A container opening 112a communicating with the input port 101 of the upper cabinet 111 may be formed at the front of the container 112 .

의류 처리 모듈(110)은 지지 댐퍼(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댐퍼(113)는 컨테이너(11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댐퍼(113)는 컨테이너(112)를 상부 캐비닛(111)의 내측의 구조체에 대해 중력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컨테이너 지지 댐퍼(113)는 그 길이가 탄력적으로 변할 수 있는 댐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럼(114) 회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support damper 113 . The support damper 113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112 . The support damper 113 may support the container 112 with respect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upper cabinet 111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container support damper 113 may be formed of a damper structure whose length can be elastically changed. Through this, vibration generated from rotation of the drum 114 may be attenuated.

의류 처리 모듈(110)은 드럼(11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114)은 컨테이너(11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114)의 내측에는 상부 캐비닛(111)의 투입구(101)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drum 114 . The drum 114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112 . Laundry may be put into the drum 114 through the inlet 101 of the upper cabinet 111 .

드럼(11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114)은 길이 방향으로 의류 처리 장치(100)의 바닥면과 나란하거나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드럼(114)은 그 축이 컨테이너(112)의 축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드럼(114)의 전방에는 내측에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는 드럼 개구부(114a)가 형성될 수 있다.The drum 11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rum 114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drum 114 may be arranged so that its axis 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container 112 . In front of the drum 114, a drum opening 114a into which laundry can be put may be formed.

드럼(11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통공(114b)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114b)을 통해 드럼(114)의 내부와 컨테이너(112)의 내부 사이의 공기와 세탁수의 출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수 과정에서 세탁물이 머금고 있는 세탁수는 드럼(114)의 회전 운동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세탈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세탁수는 통공(114b)을 통해 드럼(114)의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4b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14 . Air and washing water may be moved in and out between the inside of the drum 114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12 through the through hole 114b. For example, during the spin-drying process,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may be separated from the washed water by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um 114, and the separated wash water may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114 b to the drum 114. may scatter to the outside of the

드럼(114)은 컨테이너(1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114)은 컨테이너(112)의 후방에 구비된 구동부(11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The drum 114 may be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112 . The drum 114 may be rotated by a drive unit 115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tainer 112 .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115)는 컨테이너(112)의 후면에 고정된 스테이터(115a)와, 스테이터(115a)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15b)와, 컨테이너(112)의 후면을 관통하여 드럼(114)과 로터(115b)를 연결하는 회전축(115c)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riving unit 115 includes a stator 115a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ainer 112, a rotor 115b rotating by electromagnetic action with the stator 115a, and a rear surface of the container 112. It may include a rotational shaft 115c that passes through and connects the drum 114 and the rotor 115b.

스테이터(115a)는 컨테이너(112)의 후면에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115d)에 고정될 수 있고, 로터(115b)는 스테이터(115a)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로터 자석(115ba)과, 회전축(115c)을 연결하는 로터 하우징(115b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or 115a may be fixed to the bearing housing 115d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ainer 112, and the rotor 115b includes a rotor magnet 115ba provided on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stator 115a, and a rotation shaft ( 115c) may include a rotor housing 115bb connecting the rotor housing 115bb.

드럼(114)은 리프터(114c)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114c)는 드럼(114)의 내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리프터(114c)는 드럼(114)의 회전 시 세탁물을 교반시킬 수 있다.The drum 114 may include a lifter 114c. The lifter 114c may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14 . The lifter 114c may agitate laundry when the drum 114 rotates.

의류 처리 모듈(110)은 급수 호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호스(116)는 컨테이너(112)에 결합될 수 있다. 급수 호스(116)는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컨테이너(112)의 내부로 세탁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water supply hose 116 . Water supply hose 116 may be coupled to container 112 . The water supply hose 116 may supply water for washing from the out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112 .

의류 처리 모듈(110)은 배수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17)는 컨테이너(112)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부(117)는 컨테이너(112)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수부(117)는 컨테이너(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탁기 배수 펌프(117a)와, 컨테이너(112)와 세탁기 배수 펌프(117a)를 연결하는 제1 배수관(117b)과, 배수 펌프@로부터 외부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수관(117c)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may include a drainage part 117 . The drainage part 117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112 . The drainage unit 117 may perform a function of draining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12 . The drainage unit 117 includes a washing machine drain pump 117a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112, a first drain pipe 117b connecting the container 112 and the washing machine drain pump 117a, and the drain pump @ to the outside. It may include a second drain pipe (117c) to allow water to escape.

의류 처리 모듈(110)은 가스켓(118)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118)은 상부 캐비닛(111)의 투입구(101)와 컨테이너 개구부(11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118)은 상부 캐비닛(111)의 투입구(101)와 컨테이너 개구부(112a)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18)은 컨테이너(112)로부터 상부 캐비닛(11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The clothes handling module 110 may include a gasket 118 . The gasket 11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let 101 of the upper cabinet 111 and the container opening 112a. The gasket 118 may seal between the inlet 101 of the upper cabinet 111 and the container opening 112a. In addition, the gasket 118 may absorb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ainer 112 to the upper cabinet 111 .

히트 펌프 모듈(120)은 히트 펌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펌프(122)는 컨테이너(112)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 펌프(122)는 히트 펌프 모듈(120)의 하부 캐비닛(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트 펌프(122)는 드럼(114)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The heat pump module 120 may include a heat pump 122 . The heat pump 122 may be disposed in a lower area of the container 112 . Specifically, the heat pump 1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1 of the heat pump module 120 . The heat pump 122 may heat air supplied to the drum 114 .

히트 펌프(122)는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히트 펌프(122)는 증발기, 응축기, 팽장 밸브 및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pump 122 can be understood as using the cooling cycle in reverse. Thus, heat pump 122 may include an evaporator, condenser, expansion valve, and compressor.

히트 펌프 모듈(120)은 송풍 유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유닛(123)은 하부 캐비닛(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유닛(123)은 히트 펌프(12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유닛(123)은 히트 펌프(122)의 후방에 인접할 수 있다. 송풍 유닛(123)은 히트 펌프(122)에서 가열된 공기를 회수 덕트(140)로 불어낼 수 있다. The heat pump module 120 may include a blowing unit 123 . The blowing unit 123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1 . The blowing unit 12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 pump 122 . For example, the blowing unit 123 may be adjacent to the rear of the heat pump 122 . The blowing unit 123 may blow air heated by the heat pump 122 to the recovery duct 140 .

히트 펌프 모듈(120)은 배수 펌프(12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124)는 컨테이너(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펌프(124)는 하부 캐비닛(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펌프(124)는 히트 펌프(122)의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포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heat pump module 120 may include a drain pump 124 . A drain pump 124 may be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112 . The drain pump 1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1 . The drain pump 124 may discharge water collected by being condensed in the evaporator of the heat pump 122 to the outside.

의류 처리 장치(100)는 공급 덕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덕트(130)의 일단은 송풍 유닛(123)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급 덕트(130)의 타단은 가스켓(118)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급 덕트(130)의 중간 부분은 하부 캐비닛(121)와 상부 캐비닛(111)의 후면에서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supply duct 130 . One end of the supply duct 130 may be coupled to the blowing unit 123 . The other end of the supply duct 130 may be coupled to the gasket 118 . A middle portion of the supply duct 130 may extend upward and downward from rear surfaces of the lower cabinet 121 and the upper cabinet 111 .

공급 덕트(130)는 송풍 유닛(123)에서 불어나오는 고온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유닛(123)으로부터 불어나온 고온의 공기는 공급 덕트(130)를 통해 가스켓(118)까지 이동할 수 있고, 가스켓(118)에 형성된 공급 홀을 통해 컨테이너(112)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supply duct 130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air blowing from the blowing unit 123 can move. Specifically, the high-temperature air blown from the blowing unit 123 can move to the gasket 118 through the supply duct 130 and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112 through a supply hole formed in the gasket 118. It can be.

의류 처리 장치(100)는 회수 덕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덕트(140)는 컨테이너(112)에 연결될 수 있다. 회수 덕트(140)는 드럼(114)에서 건조를 마친 공기를 히트 펌프(122)로 회수할 수 있다.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collection duct 140 . The recovery duc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ainer 112 . The recovery duct 140 may recover air that has been dried in the drum 114 to the heat pump 122 .

회수 덕트(140)는 건조를 마친 공기가 드럼(114)으로부터 히트 펌프(122)까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114)으로부터 불어나온 건조를 마친 공기는 회수 덕트(140)를 통해 히트 펌프(122)로 회수될 수 있다.The recovery duct 140 may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dried air may flow from the drum 114 to the heat pump 122 . Specifically, the dried air blown out from the drum 114 may be recovered by the heat pump 122 through the recovery duct 140 .

회수 덕트(140)는 연결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41)는 컨테이너(112)의 상부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탈수 과정 등에서 드럼(114)으로부터 비산되는 물이 회수 덕트(14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부(141)는 상부 캐비닛(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recovery duct 140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141 . The connection part 141 may be coupled to an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112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ow of water splashed from the drum 114 into the recovery duct 140 during a dehydration process or the like. The connection part 141 may be understood as a part disposed inside the upper cabinet 111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회수 덕트(140)는 제1 덕트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부(142)는 연결부(14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부(142)는 상부 캐비닛(111)과 하부 캐비닛(121)의 후면에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덕트부(142)는 의류 처리 모듈(110)과 히트 펌프 모듈(120)의 외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recovery duct 140 may include a first duct unit 142 . The first duct unit 14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41 . The first duct unit 142 may extend vertically from rear surfaces of the upper cabinet 111 and the lower cabinet 121 . The first duct unit 142 may be understood as a part formed outside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and the heat pump module 120 .

제1 덕트부(142)는 연결부(141)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테이너(112) 및/또는 드럼(114)에서 건조를 마치고 연결부(141)를 통해 불어나온 공기는 제1 덕트부(142)를 통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덕트부(142)는 의류 처리 모듈(110)에서 건조를 마치고 불어나온 공기를 히트 펌프 모듈(120)이 배치되는 부분까지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duct unit 142 may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unit 141 moves downward. After drying in the container 112 and/or the drum 114, the air b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41 may move downward through the first duct part 142. That is, the first duct unit 142 may guide air blown out after drying in the clothes treatment module 110 to a portion where the heat pump module 120 is disposed.

회수 덕트(140)는 제2 덕트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부(143)는 제1 덕트부(14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덕트부(143)는 히트 펌프 모듈(12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덕트부(143)는 하부 캐비닛(121)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recovery duct 140 may include a second duct unit 143 .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uct unit 142 .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extend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heat pump module 120 .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be understood as a portion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1 .

제2 덕트부(143)는 제1 덕트부(142)를 지난 공기가 히트 펌프(122)의 상부 면과 평행하게 (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덕트부(142)를 따라 히트 펌프 모듈(120)이 배치된 부분까지 안내된 공기는 제2 덕트부(143)를 따라 히트 펌프 모듈(12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duct unit 142 move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heat pump 122 (eg, in a horizontal direction). Air guided along the first duct unit 142 to a portion where the heat pump module 120 is disposed may flow into the heat pump module 120 along the second duct unit 143 .

회수 덕트(140)는 제3 덕트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덕트부(144)는 제2 덕트부(14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덕트부(144)는 제2 덕트부(143)로부터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3 덕트부(144)는 하부 캐비닛(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covery duct 140 may include a third duct unit 144 . The third duct unit 14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uct unit 143 . The third duct part 144 may be a part that is bent and extended laterally from the second duct part 143 . The third duct unit 144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1 .

제3 덕트부(144)는 제2 덕트부(143)를 지난 공기가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덕트부(143)를 지난 공기는 제3 덕트부(144)를 통해 히트 펌프(122)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third duct unit 144 may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duct unit 143 moves laterally.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be guided toward the heat pump 122 through the third duct unit 144 .

제3 덕트부(144)는 하부 캐비닛(121)의 전면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덕트부(144) 중 하부 캐비닛(121)의 전면과 인접하는 면에는 필터(146)가 인출 및 설치될 수 있는 필터 장착구(10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필터 장착구(105)는 하부 캐비닛(121)의 전면 측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터 장착구(105)를 개방하면, 제3 덕트부(144)의 내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third duct unit 144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1 . A filter mounting hole 105 through which the filter 146 can be drawn out and installed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third duct unit 144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1 . Referring to FIG. 1 , the filter mounting hole 10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abinet 121, and when the user opens the filter mounting hole 105, the inside of the third duct unit 14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제3 덕트부(144)의 내측에는 필터(146)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146)는 제3 덕트부(144)의 유로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146)는 제3 덕트부(144)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덕트부(144)를 지나는 공기과 필터(146)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A filter 146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ird duct unit 144 . The filter 146 may be formed to block the passage of the third duct unit 144 . The filter 146 may be disposed at an angle to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duct portion 144 . Through this,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duct unit 144 and the filter 146 can be increased, foreign substances can be more effectively filtered out of the air.

필터 장착구(105)가 개방됨에 따라 제3 덕트부(144)의 내부 공간과 함께 필터(146)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필터(146)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As the filter mounting hole 105 is opened, the filter 146 together with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duct unit 14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filter 146.

회수 덕트(140)는 회수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부(145)는 제3 덕트부(144)와 히트 펌프(122)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덕트부(144)를 지나온 공기는 회수부(145)를 통해 히트 펌프(122)로 회수될 수 있다. The recovery duct 140 may include a recovery part 145 . The recovery unit 145 may connect the third duct unit 144 and the heat pump 122 .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duct unit 144 may be recovered to the heat pump 122 through the recovery unit 145 .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건조 행정 시 공기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 air flow during the dry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의류 처리 모듈(110)에서 탈수 과정을 포함한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곧바로 이어서 건조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washing process including the spin-drying process is completed in the laundry treatment module 110, the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thereafter.

히트 펌프(122)에서는 공기가 가열될 수 있으며, 히트 펌프(122)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송풍 유닛(123)에 의해 공급 덕트(130)로 불어나갈 수 있다.Air may be heated by the heat pump 122 , and high-temperature air heated by the heat pump 122 may be blown to the supply duct 130 by the blowing unit 123 .

송풍 유닛(123)에 의해 불어나온 공기는 공급 덕트(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하부 캐비닛(121)의 후방으로 나온 뒤, 하부 캐비닛(121)과 상부 캐비닛(111)의 후면을 타고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air blown by the blower unit 123 comes out to the rear of the lower cabinet 121 along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supply duct 130, and then rides on the back of the lower cabinet 121 and the upper cabinet 111. can move upwards.

공급 덕트(130)를 타고 상부 캐비닛(111)의 상부 영역까지 안내된 고온의 공기는, 공급 덕트(130) 중 상부 캐비닛(111)의 내측에서 컨테이너(112)의 상부 영역을 따라 가스켓(118)이 있는 곳까지 연장되는 부분을 따라 가스켓(118)까지 안내될 수 있다. The high-temperature air guid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cabinet 111 along the supply duct 130 passes through the gasket 118 along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112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cabinet 111 of the supply duct 130. It may be guided to the gasket 118 along a portion extending to the place where there is.

고온의 공기는 가스켓(118)을 통해 컨테이너(112)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공기는 세탁물을 건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High-temperatur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112 through the gasket 118, and the introduced air may be used to dry laundry.

건조를 마친 공기는 컨테이너(112)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회수 덕트(140)의 연결부(141)를 따라 상부 캐비닛(111)의 후방으로 나온 뒤, 제1 덕트부(142)를 따라 상부 캐비닛(111)과 하부 캐비닛(121)의 후면을 타고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dried air comes out to the rear of the upper cabinet 111 along the connection part 141 of the recovery duct 140 coupled to the upper area of the container 112, and then along the first duct part 142 to the upper cabinet ( 11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1 to move downward.

제1 덕트부(142)를 타고 하부 캐비닛(121)이 배치된 높이까지 안내된 공기는 다시 제2 덕트부(143)를 타고 하부 캐비닛(121)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를 제2 덕트부(143)와 제3 덕트부(144)를 지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제3 덕트부(144)에 설치되는 필터(146)를 지나면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The air guided to the height where the lower cabinet 121 is disposed through the first duct part 142 may flow into the lower cabinet 121 again through the second duct part 143, and the air is removed. It can pass through the second duct part 143 and the third duct part 144. In this process, as the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146 installed in the third duct unit 144,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may be filtered out.

제3 덕트부(144) 및/또는 필터(146)를 통과한 공기는 회수부(145)를 통해 히트 펌프(122)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는 히트 펌프(122)에 의해 다시 가열된 수 송풍 유닛(123)에 의해 공급 덕트(130)로 불어나갈 수 있다.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duct unit 144 and/or filter 146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 pump 122 through the recovery unit 145, and the air is heated again by the heat pump 122. It can be blown into the supply duct 130 by the water blowing unit 123 .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 5의 A-A'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 5의 B-B'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 5의 P 지점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 구성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표시한 평면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some configurations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sid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5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ut along line BB′ of FIG. 5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some component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viewed from point P in FIG. 5 .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configuration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that one component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have.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트랩(15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랩(150)은 회수 덕트(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트랩(150)은 포집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랩(150)은 회수 덕트(140)의 유로 상에서 필터(146)보다 상류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to 9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trap 150 . The trap 150 may be formed on the recovery duct 140 . The trap 150 may be formed in a container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llected water an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 The trap 150 may be formed upstream of the filter 146 on the flow path of the recovery duct 140 .

도 7을 참조하면, 드럼(114)에서 비산되어 회수 덕트(140)를 타고 넘어오는 물은 트랩(150)에 포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드럼(114)에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통공(114b)이 형성되는데, 탈수 과정에서 드럼(114)이 회전하면 세탁물에 함유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후, 통공(114b)을 통해 컨테이너(112)의 내부 공간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비산된 물은 컨테이너(112)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부(141)를 통해 회수 덕트(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트랩(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수 덕트(140)로 넘어오는 물을 포집할 수 있으므로, 회수 덕트(140) 내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회수 덕트(140) 내부에 더욱 위생적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히트 펌프(122)로 물이 침투하여 히트 펌프(122)까 고장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water scattered from the drum 114 and passed through the recovery duct 140 may be collected in the trap 150 .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 a through hole 114b through which water can escape is formed in the drum 114. When the drum 114 rotates during the spin-drying process, the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is separated from the laundry by centrifugal force. After being formed, it may be scatter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112 through the through hole 114b. Water scattered in this process may flow into the recovery duct 14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41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112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p 150 can collect the water passing into the recovery duct 140, the air flow in the recovery duct 140 becomes smooth, thereby improving the drying performance and further increasing the inside of the recovery duct 140. It is possible to create a hygienic environmen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heat pump 122 due to water penetration into the heat pump 122 .

도 6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은 트랩(150)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 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trap 150 .

예를 들어,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은 트랩(150)과 접하는 위치 상에서 상기 트랩(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은 상기 트랩(15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거나, 경사진 면(예: 트랩 내의 특정 축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되도록 기울어진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least partially in a direction toward the trap 150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trap 150 .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143 forms a curve in a direc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trap 150, or an inclined surface (eg,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it protrudes relative to a specific axial direction within the trap).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may be formed.

구체적으로, 제2 덕트부(143)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중 공기 흐름 상 상류 부분(예: 제1경사면)은 공기 흐름을 따라 내리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중 공기 흐름 상 하류 부분(예: 제2 경사면)은 공기 흐름을 따라 내리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ba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the upstream part (eg, the first inclined surface) on the air flow among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be formed downhill along the air flow. In addition, a downstream portion (eg, a second inclined surface) on the air flow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be formed downward along the air flow.

이와 같이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이 트랩(150)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제2 덕트부(143)를 통과하는 물을 보다 용이하게 트랩(150) 측으로 포집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덕트부(143)로 넘어온 물은, 제1 경사면을 통과하는 동안 곧바로 트랩(150)으로 포집되지 못하더라도, 제2 경사면을 지나는 동안 트랩(150)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to be inclined toward the trap 150, 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duct unit 143 can be collected toward the trap 150 more easily. For example, water passed through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flow into the trap 150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even if it is not immediately collected in the trap 15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inclined surface.

트랩(150)은 배출 포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랩(150)의 내측에 포집된 물은 배출 포트(151)를 통해 트랩(15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Trap 15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151 . Water collected inside the trap 150 may be discharged from the trap 15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1 .

배출 포트(151)는 트랩(15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포트(151)는 트랩(150)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랩(150)의 내측에 포집된 물은 잔여하지 않고 모두 트랩(15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갈리, 배출 포트(151)는 트랩(15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discharge port 151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rap 150 . For example, the discharge port 151 may protrude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rap 150 . Through this, all of the water collected inside the trap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rap 150 without remaining. As shown in FIGS. 5 to 7 , the discharge port 151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trap 150 .

배출 포트(151)는 배수 펌프(124)에 가장 인접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랩(150)에 포집된 물은 응축기에서 포집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124)를 이용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배출 포트(151)가 배수 펌프(124)에 가장 가까운 면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51 may be formed on a surface closest to the drain pump 124 . Specifically, since the water collected in the trap 15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using the drain pump 124 that discharges the water collected in the condenser, the discharge port 151 is the drain pump. It may be advantageous to form on the side closest to (124).

도 6을 참조하면, 트랩(150)의 하부면은 배출 포트(151)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랩(150)에 포집된 물은 트랩(150)의 하부면의 구배로 인해 배출 포트(151)로 흘러갈 수 있으므로, 트랩(150)에 포집된 물이 효과적으로 배출 포트(15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 150 may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151 . Through this, since the water collected in the trap 150 can flow to the discharge port 151 due to the gradie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 150, the water collected in the trap 150 effectively drains the discharge port 151. can be released through

의류 처리 장치(100)는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60)는 트랩(15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160)는 트랩(150)에 인접하는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과 대략적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60) 구조를 통해 제2 덕트부(143)의 내부 유로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트랩(150)의 내부 공간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clothes handling device 100 may include a cover 160 . The cover 160 may be formed to cover the top of the trap 150 . The cover 160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adjacent to the trap 150 .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ver 160, it is possible to prevent vortexes from being formed by the internal passag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trap 150 discontinuously formed, and thus the drying efficiency is improved. can

도 7을 참조하면, 커버(160)의 공기 흐름 방향 상 상류측 가장자리인 제1 가장자리(161)는 이에 인접하는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덕트부(143)의 내측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커버(160)의 윗면을 타고 트랩(150)의 다음 영역으로 부드럽게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edge 161, which is an upstream edge of the cover 160 in the air flow direction, may be continuously form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adjacent thereto. Through this, the air flowing inside the second duct unit 143 can smoothly flow to the next area of the trap 150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160 .

한편 일 실시예에서 커버(160)의 공기 흐름 방향 상 하류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제2 가장자리(162)의 적어도 일부는 이에 인접하는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장자리(162)와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edge 162 corresponding to the downstream edge of the cover 160 in the air flow direction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adjacent thereto. Accordingly,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edge 16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

예를 들어트랩(150)의 상단 가장자리는 공기 흐름 방향 상 상류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하류측 가장자리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커버(160)의 제1 가장자리(161)는 이에 인접하는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과 연속되게 형성되면서 커버(160)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커버(160)의 제2 가장자리(162)와 접하는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upper edge of the trap 150,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edge in the air flow direction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downstream edge, and the first edge 161 of the cover 160 is the second duct adjacent thereto. Since the cover 160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while being continuously form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143, there is a step between the second edge 162 of the cover 16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ortion 143 in contact. can be formed.

커버(160)는 복수의 홀(167)들로 구성된 개구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66)는 제2 덕트부(143)와. 트랩(150)을 연통할 수 있다. 제2 덕트부(143)로 유입된 물은 개구부(166)를 통해 제2 덕트부(143)에서 트랩(1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개구부(166)의 다양한 형상은 도 11과 관련하여 후술한다.The cover 160 may include an opening 166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les 167 . The opening 166 and the second duct portion 143. The trap 150 can communicat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duct unit 143 may flow from the second duct unit 143 to the trap 150 through the opening 166 . Various shapes of the opening 166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1 .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160)는 측면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163)는 커버(160)의 제2 가장자리(162)와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부(163)는 단차에 의해 제2 덕트부(143)의 내부 유로로 노출되는 커버(160)의 측벽 부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to 10 , the cover 160 may include a side portion 163 . The side portion 163 may be formed by a step formed between the second edge 162 of the cover 16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ortion 143 .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ide part 163 is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cover 160 exposed to the internal passage of the second duct part 143 by a step.

측면부(163)와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사이에는 틈(16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덕트부(143)로 넘어온 물 중 트랩(150) 부분을 지나친 물은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의 경사로 인해 다시 트랩(150) 방향(즉, 상류 방향)으로 흘러내려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을 타고 흘러내려온 물은 측면부(163)와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164)을 통해 트랩(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 gap 164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portion 16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ortion 143 . 7 and 9,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trap 150 amo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duct unit 143 is returned to the trap 150 direction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143 (i.e., , upstream direction). In this way, the water flowing dow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143 passes through the gap 164 formed between the side part 16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143 to the inside of the trap 150. can be introduced into

커버(160)는 지지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65)는 측면부(163)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65)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165)는 틈(164)을 복수로 분할할 수 있다. 지지부(165)는 커버(160)의 제2 가장자리와 제2 덕트부(143)의 하부면 사이 틈(164)이 형성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조적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The cover 160 may include a support part 165 . The support part 165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side part 163 . The support part 165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The support part 165 may divide the gap 164 into a plurality. The support part 165 may compensate for a structural weakness caused by the formation of the gap 164 between the second edge of the cover 16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143 .

도 5를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배출관(17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170)은 배수 펌프(124)와 배출 포트(151)를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랩(150)에 포집된 물은 응축기에서 포집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124)를 공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배출관(170)은 트랩(150)에 형성되는 배출 포트(151)와 배수 펌프(124)를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170 . The discharge pipe 170 may connect the drain pump 124 and the discharge port 151 .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collected in the trap 150 may share the drainage pump 124 for discharging the water collected in the condenser, and for this purpose, the discharge pipe 170 is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trap 150 ( 151) and the drainage pump 124 may be connected.

도 11은 커버(160)에 형성되는 개구부(166)의 다양한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11 illustrates various aspects of an opening 166 formed in cover 160 .

도 11을 참조하면, 개구부(166)는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홀(167)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167)들은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2 덕트부(143)로 넘어온 물은 공기 흐름 방향으로 진행할 때 트랩(150)으로 더욱 잘 포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opening 166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167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 plurality of holes 167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air flow. Through this structure, water passed through the second duct unit 143 can be better collected by the trap 150 when it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예를 들어,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개구부(166)는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홀(167)들이 공기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 11 , the opening 166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holes 167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air flow direction.

또한, 도11의 (B)를 참조하면, 개구부(166)는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홀(167)들이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나열되고, 이러한 복수의 홀(167)들이 공기 흐름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lso, referring to (B) of FIG. 11, the opening 166 has at least one plurality of holes 167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nd The holes 167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holes 167 are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in the air flow direction.

또한, 도 11의 (C)를 참조하면, 개구부(166)는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홀(167)들이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나열되고, 이러한 홀(167)들이 공기 흐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C) of FIG. 11, the opening 166 has at least one plurality of holes 167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such a hole ( 167)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air flow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66)는 도 11에 도시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 11의 (a) 내지 (c)에 도시된 형상들의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도 11에서 도시하지 않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opening 166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11, and is formed in a combination of the shapes shown in (a) to (c) of FIG. 11, or not shown in FIG. It can also be formed in other shapes.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herei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or combination of respective configurations or functions.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or drawing may be combined with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and/or drawing. That is, even i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mponents is not directly explained, it means that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is specifica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100 : 의류 처리 장치 101 : 투입구
102 : 도어 103 : 컨트롤 패널
104 : 세제 박스 105 : 필터 장착구
110 : 의류 처리 모듈 111 : 상부 캐비닛
112 : 컨테이너 112a : 컨테이너 개구부
113 : 지지 댐퍼 114 : 드럼
114a : 드럼 개구부 114b : 통공
114c : 리프터 115 : 구동부
115a : 스테이터 115b : 로터
115ba : 로터 자석 115bb : 로터 하우징
115c : 회전축 115d : 베어링 하우징
116 : 급수 호스 117 : 배수부
117a : 세탁기 배수 펌프 117b : 제1 배수관
117c : 제2 배수관 118 : 가스켓
120 : 히트 펌프 모듈 121 : 하부 캐비닛
122 : 히트 펌프 123 : 송풍 유닛
124 : 배수 펌프 130 : 공급 덕트
140 : 회수 덕트 141 : 연결부
142 : 제1 덕트부 143 : 제2 덕트부
144 : 제3 덕트부 145 : 회수부
146 : 필터 150 : 트랩
151 : 배출 포트 160 : 커버
161 : 제1 가장자리 162 : 제2 가장자리
163 : 측면부 164 : 틈
165 : 지지부 166 : 개구부
167 : 홀 170 : 배출관
100: clothes handling device 101: inlet
102: door 103: control panel
104: detergent box 105: filter mounting hole
110: clothes handling module 111: upper cabinet
112: container 112a: container opening
113: support damper 114: drum
114a: drum opening 114b: through hole
114c: lifter 115: driving unit
115a: stator 115b: rotor
115ba: rotor magnet 115bb: rotor housing
115c: rotation shaft 115d: bearing housing
116: water supply hose 117: drain
117a: washing machine drain pump 117b: first drain pipe
117c: second drain pipe 118: gasket
120: heat pump module 121: lower cabinet
122: heat pump 123: blowing unit
124: drainage pump 130: supply duct
140: recovery duct 141: connection
142: first duct part 143: second duct part
144: third duct unit 145: recovery unit
146: filter 150: trap
151: discharge port 160: cover
161: first edge 162: second edge
163: side part 164: gap
165: support 166: opening
167: hole 170: discharge pipe

Claims (13)

세탁과 건조가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에서 건조를 마친 공기를 상기 히트 펌프로 회수(回收)하는 회수 덕트; 및
상기 회수 덕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서 비산되어 상기 회수 덕트를 타고 넘어오는 물을 포집하는 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덕트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1 덕트부와, 상기 제1 덕트부를 지난 공기가 상기 히트 펌프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2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랩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In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both washing and drying,
container;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 heat pump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and heating air supplied to the drum;
a recovery duct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recovering air dried in the drum to the heat pump; and
A trap formed on the recovery duct and collecting water scattered from the drum and passing through the recovery duct;
The recovery duc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a first duct part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rt moves downward, and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duct part is pass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heat pump. A second duct part providing a flow path movable in parallel with the surface,
The trap is formed in a container shape an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은 상기 트랩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tr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 중 공기 흐름 상 상류 부분은 공기 흐름을 따라 내리막으로 형성되고, 공기 흐름 상 하류 부분은 공기 흐름을 따라 오르막으로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2,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an up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is formed downward along the air flow, and a downstream portion of the air flow is formed upward along the air f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공기 흐름 방향 상 상류 측 가장자리인 제1 가장자리는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과 연속되게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formed to cover the top of the trap,
A first edge, which is an upstream edge of the cover in the air flow direction,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adjacent there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공기 흐름 방향 상 하류 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제2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formed to cover the top of the t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dge, which is a downstream edge in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cover, is disposed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adjacent thereto, so that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d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The cover includes a side portion formed by the step,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ide pa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덕트부에서 상기 트랩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덕트부와 상기 트랩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formed to cover the top of the trap,
The cover includes an opening communicating the second duct part and the trap so that water flows from the second duct part to the tra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공기 흐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홀들이 상기 공기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holes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ir flow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air flow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내측에 포집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포트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p include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therein can be discharg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는 상기 트랩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tra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의 하부면은 상기 배출 포트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lower surface of the trap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펌프의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포집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와, 상기 배수 펌프와 상기 배출 포트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and a drain pump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and discharging collected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of the heat pump,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rain pump and the discharge port.
세탁과 건조가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부 캐비닛과, 상부 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모듈;
하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는 히트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처리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히트 펌프 모듈;
상기 컨테이너에 연결되고, 상기 드럼에서 건조를 마친 공기를 상기 히트 펌프로 회수하는 회수 덕트; 및
상기 회수 덕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드럼에서 비산되어 상기 회수 덕트를 타고 넘어오는 물을 포집하는 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 덕트는 상기 상부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상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의 후면에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덕트부와, 상기 하부 캐비닛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덕트부와 연결되는 제2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랩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덕트부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In a laundry treatment device capable of both washing and drying,
a clothes handling module including an upper cabinet, a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upper cabinet, and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a heat pump module including a lower cabinet and a heat pump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and disposed below the laundry treatment module;
a recovery duct connected to the container and recovering air dried in the drum to the heat pump; and
A trap formed on the recovery duct and collecting water scattered from the drum and passing through the recovery duct;
The recovery duct includes a connection part disposed inside the upper cabinet and coupled to an upper region of the container, a first duct part extending vertically from rear surfaces of the upper cabinet and the lower cabine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 second duct part extending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connected to the first duct part,
The trap is formed in a container shape an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uct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은 내측에 포집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하부 캐비닛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펌프의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포집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 펌프와, 상기 배출 포트와 상기 배수 펌프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trap include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collected therein can be discharg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rain pump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and discharging collected water condensed in the evaporator of the heat pump, and a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drain pump.
KR1020220018386A 2022-02-11 2022-02-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317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386A KR102631714B1 (en) 2022-02-11 2022-02-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386A KR102631714B1 (en) 2022-02-11 2022-02-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462A true KR20230121462A (en) 2023-08-18
KR102631714B1 KR102631714B1 (en) 2024-02-01

Family

ID=8780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386A KR102631714B1 (en) 2022-02-11 2022-02-11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71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0997A (en) * 2013-02-08 2014-08-25 Toshiba Corp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210103105A (en) * 2020-02-13 202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114723A (en) * 2020-03-11 2021-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dnry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0997A (en) * 2013-02-08 2014-08-25 Toshiba Corp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210103105A (en) * 2020-02-13 202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114723A (en) * 2020-03-11 2021-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dnry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714B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CN104204336B (en) Laundry machine
KR10234326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707858B2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US9416475B2 (en) Air flow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US2011027751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JP2006015118A (en) Cyclone condensing unit and washing/drying machine equipped with cyclone condensing unit
JP6023976B2 (en) Clothes dryer
KR2017008193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5948608B2 (en) Clothes dryer
KR20230121462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4286847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140095740A (en) Laundry Machine
JP6111412B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1387544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CN113322633A (en) Clothes treating device
JP5868292B2 (en) Washing machine
KR102017695B1 (en) Laundry Machine
CN112746427B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7106506B2 (en) washing machine
JP3990325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5990776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2667329B1 (en) Drying devic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63654A (en) Washer dryer
KR101683114B1 (en) cloth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