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301A -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301A
KR20230121301A KR1020220017993A KR20220017993A KR20230121301A KR 20230121301 A KR20230121301 A KR 20230121301A KR 1020220017993 A KR1020220017993 A KR 1020220017993A KR 20220017993 A KR20220017993 A KR 20220017993A KR 20230121301 A KR20230121301 A KR 2023012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late
sole member
sole
mod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리
Original Assignee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301A/en
Publication of KR2023012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30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2Electrically powered or heated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는, 사용자가 신은 신발 바닥창의 뒤꿈치 부분이 올려지는 후방 플레이트와,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이 올려지는 제 1, 제 2, 제 3 전방 플레이트를 가지는 착용수단; 전방 휠 및 후방 휠을 가지되, 전방 휠 및 후방 휠은 각각 제 1 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 및 후방 플레이트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수단; 및 착용수단 및 주행수단을 주행 모드 또는 보행 모드로 전환시키되, 상기 주행 모드 시 착용수단이 지면으로 이격되도록 전방 휠 및 후방 휠을 지면 측으로 선회시키고, 보행 모드 시 착용수단의 하부 측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전방 휠 및 후방 휠을 제 1 전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 및 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키는 모드 전환수단;을 포함한다.The disclosed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includes a wearing means having a rear plate on which a heel portion of a shoe sole worn by a user is lifted, and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on which a middle portion and a forefoot portion of the shoe sole are lifted; Driving means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being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rear side of the rear plate to be pivo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verting the wearing means and the driving means to the driving mode or the walking mode, turn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ward the ground so that the wearing means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in the driving mode, and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means contacts the ground in the walking mode and a mode switching means for turn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room plate.

Description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본 발명(Disclosure)은,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착용한 상태에서 주행 및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that enables driving and walking while worn.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backgroun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y do not necessarily mean prior art (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들어, 개인용 이동수단은 여러 종류가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상품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various types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have been developed and actually commercialized and used.

일례로, 세그웨이 타입의 이동수단은 전기를 사용하여 달리기 때문에 매연이나 기타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소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친환경 이동수단일 뿐만 아니라 최대 속도 30km 이상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효율성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For example, Segway-type means of transportation is not only an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does not generate smoke or other environmental pollutants because it runs using electricity, but also has a certain level of efficiency in terms of mobility because it can travel at a maximum speed of 30 km or more. It has great advantages.

그러나, 세그웨이 타입의 이동 수단은 부피와 무게가 충분하고 손잡이도 있어 주행하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그 부피와 무게로 인해 운반이 불편하고 아울러 보관도 쉽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Segway-type means of transportation has sufficient volume and weight and has a handle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driving user.

한편, 개인용 이동수단으로서 전동 스케이트 보드 및 전동 인라인 스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electric skateboards and electric inline skates may be used.

전술한 전동 스케이트 보드 및 전동 인라인 스케이트 등의 경우 휠에 모터가 탑재되고 이 모터를 컨트롤러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활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forementioned electric skateboards and electric inline skates, a motor is mounted on a wheel and the user controls the motor through a controller so that the user can move smoothly.

하지만,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경우 보행 시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동 인라인 스케이트의 경우 보행을 위해서는 신발을 별도로 휴대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electric skatebo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carry by hand while walking, and in the case of an electric inline sk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hoes must be separately carried for walking.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8266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4826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281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32814.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248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0248.

본 발명(Disclosure)은, 신발을 신은 상태로 착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해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that can be worn while wearing shoes and can be driven using electric energy.

본 발명(Disclosure)은, 주행 뿐만 아니라 착용한 상태로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that enables walking while wearing as well as driving.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could be.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는, 사용자가 신은 신발 바닥창의 뒤꿈치 부분이 올려지는 후방 플레이트와,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이 올려지는 제 1, 제 2, 제 3 전방 플레이트를 가지는 착용수단; 전방 휠 및 후방 휠을 가지되, 전방 휠 및 후방 휠은 각각 제 1 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 및 후방 플레이트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수단; 및 착용수단 및 주행수단을 주행 모드 또는 보행 모드로 전환시키되, 상기 주행 모드 시 착용수단이 지면으로 이격되도록 전방 휠 및 후방 휠을 지면 측으로 선회시키고, 보행 모드 시 착용수단의 하부 측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전방 휠 및 후방 휠을 제 1 전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 및 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키는 모드 전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various aspect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plate on which a heel portion of a shoe sole worn by a user is raised,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hoe sole. a wearing means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on which the forefoot portion and the forefoot portion are raised; Driving means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being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rear side of the rear plate to be pivo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verting the wearing means and the driving means to the driving mode or the walking mode, turn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ward the ground so that the wearing means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in the driving mode, and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means contacts the ground in the walking mode and a mode switching means for turn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room plate to do so.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제 3 전방 플레이트는 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 2 전방 플레이트는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며, 제 1 전방 플레이트는 제 2 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되,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에는 보행 모드 시 지면에 접촉하는 후방 밑창 부재가 설치되되, 후방 밑창 부재의 상부 측은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과 이격되고,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에는 각각 보행 모드 시 지면에 접촉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가 설치되되,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상부 측은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과 이격되며, 후방 플레이트에는 신발 뒷부분이 밀착되는 힐 컵이 설치되고, 힐 컵의 전방 측으로는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주는 앵클 스트랩이 설치되며, 제 2 전방 플레이트에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감싸주는 토우 스트랩이 설치될 수 있다. 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fro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rear plate, the second fro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third front plate, and the first The fro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and a rear sole member contacting the ground in walking mod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rear sol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contacting the ground in walking mode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respectively, and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are respectively It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and a heel cup that adheres to the rear part of the shoe is installed on the rear plate, and an ankle strap that wraps around the user's ankle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el cup. A toe strap covering the instep of the user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front plat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후방 밑창 부재는 전방 측, 후방 측 및 상부 측이 열린 "?? "자 단면 형상을 제공되고, 후방 밑창 부재의 내부에는 후방 플레이트와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후방 밑창 부재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납착한 육면체 형상의 길이 조절 부재가 수용되되, 길이 조절 부재는 일측 상부에는 간격 조절공들이 길이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길이 조절 부재의 양측면 측에는 가이드 장공들이 길이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후방 밑창 부재의 일측면 상부 측에는 어느 하나의 간격 조절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스톱퍼가 설치되며, 후방 밑창 부재의 전방에 인접한 양측 내부면 상에는 가이드 장공들에 끼워지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ole member is provided with a "??" cross-sectional shape with open front, rear and upper sides, and a rear plate and a rear plate inside the rear sole member. A hexahedron-shaped length adjusting member is accommodated so as to be slidable 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rear sole member so a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third front plates, and the length adjusting member has space adjusting holes at the top of one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guide slots are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on both sides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and are elastically inserted into any one spacing adjusting hole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rear sole member. A stopper is installed, and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s fitted into the long guide holes may b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rear sole member.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길이 조절 부재의 전방 측과 이어지는 양측면 상에는 길이 조절 부재의 전방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제 3 연결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후방 링크가 설치되고,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양측에는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들이 설치되되, 제 1 전방 링크들의 후방 측은 제 1 전방 밀창 부재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 2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은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측은 제 2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며, 제 3 전방 링크들은 제 3 전방 밑창 부재들의 전방 측은 제 2 전방 밑창 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측은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 2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은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1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1 연결핀을 매개로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3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은 제 2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2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2 연결핀을 매개로 제 2 전방 밑창 링크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전방 링크의 후방 측으로는 후방 링크들이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3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3 연결핀의 매개로 제 3 전방 밑창 링크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both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the length adjusting member extends horizontally outward in front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through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ng pin. Connected rear links are installed, and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respectively, and the rear sides of the first front links are installed o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front links are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the rear side is shorter tha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and the third front links are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The front side of them is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and the rear side is formed shorter than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front links ar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It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outsole member to be ben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a first connecting pin penetrating the ball, and the front side of the third front links are second through-hole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outsole member.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ole link to be ben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a second connecting pin penetrating through, an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link, rear links ar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sole member. 3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sole link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by means of a third connection pin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은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단되며, 제 1, 제 2, 제 3 관통공들은 모드 전환수단의 작동에 의한 주행 모드 전환 시 제 2, 제 3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 및 후방 링크의 전방 측이 각각 제 1 ,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의 후방 측에 밀착되고, 모드 전환수단의 작동에 의한 보행 모드 전환 시 제 2, 제 3 전방 링크들이 전방 측 및 후방 링크의 전방 측이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의 후방 측에서 이격되도록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are sheared so that por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ins are exposed, and the first , the second and third through-hole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are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respectively.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respectively,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unit.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전방 휠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전방 레그 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 휠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후방 레그 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전방 레그 프레임의 상단 측은 전방 선회축을 매개로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상부 상에 설치되는 전방 마운팅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레그 프레임의 상단 측은 후방 선회축을 매개로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설치되는 후방 마운팅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방 선회축 및 후방 선회축에는 각각 전방 휠 및 상기 후방 휠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비틀림 스프링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이 끼워지되, 전방 비틀림 스프링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은 각각 주행 모드 전환 시 지면 측으로 선회하는 전방 레그 프레임 및 후방 레그 프레임에 의해 압축되고, 보행 모드 전환 시 복원되면서 전방 레그 프레임 및 후방 레그 프레임을 각각 제 1 전방 플레이트 및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wheels are rotatably support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front leg frames, and the rear wheels are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rear leg frames. The upper end of the front leg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mounting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via the front pivot shaf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leg frame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rear leg frame. It is pivotably connec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the rear mounting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late via a pivot shaft, and the front pivot shaft and the rear pivot shaft respectively have a front wheel and a front torsion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and A rear torsion spring is inserted, but the front torsion spring and the rear torsion spring are compressed by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that turn toward the ground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nd are restored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thereby moving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It can pivo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rear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주행수단은, 후방 레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휠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며, 구동모터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ans further includes a drive motor installed between the rear leg frames and a battery that provides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e motor,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wheel is connected via a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can be controll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s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모드 전환 수단은, 모드 전환 버튼과, 모드 전환 버튼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드 전환 바디를 가지는 모드 전환 뭉치;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 버튼의 작동에 의해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이 당겨지게 하며, 보행 모드 전환 시 탄력적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을 복귀시키는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 버튼의 작동에 의해 전방 휠을 지면 측으로 선회시키는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 및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 버튼의 작동에 의해 후방 휠을 지면 측으로 선회시키는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switching means includes: a mode switching bundle having a mode switching button and a mode switching body support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in an elevating manner;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are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and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elastically return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 A second mode conversion wire for turning the front wheel toward the groun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conversion button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nd a second mode switching wire for turning the rear wheel toward the groun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conversion button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모드 전환 바디의 배면 측은 힐 컵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모드 전환 바디의 전면 측에는 모드 전환 버튼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승강홈이 모드 전환 바디의 하단에서 상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모드 전환 바디의 상단 측에는 승강홈을 차폐하는 격벽 및 주행 모드 전환 시 상승하는 모드 전환 버튼을 탄력적으로 파지하는 고정쇠가 격벽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되, 고정쇠는 격벽의 상부 측에 인접한 양측이 모드 전환 바디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고정쇠의 상단 측과 모드 전환 바디의 상단 측 사이에는 고정쇠의 하단 측이 탄력적으로 모드 전환 버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압축 코일스프링이 개재되며, 고정쇠의 하단 측에는 모드 전환 버튼을 파지하는 파지공이 형성되고, 모드 전환 버튼의 상단 측에는 파지공에 끼워지는 파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one side of the heel cup, and the front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has a lifting groove for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I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de switching body to the upper side, and on the upper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a bulkhead for shielding the elevating groove and a clamp for elastically gripping the mode conversion button that rises during driving mode conversion ar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ulkhead, Both sides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bulkhead are pivo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mode switching body, an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metal and the upper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can flexibly hold the mode switching button. A compression coil spring may be interposed, a gripping hole for gripp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may b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clamp, and a gripping protrusion fitted into the gripping hole may b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는 후방 밑창 부재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서부터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제 2 전방 밑창 부재와 제 2 전방 플레이트 사이 및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를 경유해 다시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 제 2 전방 밑창 부재와 제 2 전방 플레이트 사이,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및 후방 밑창 부재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를 지나 모드 전환 바디의 상기 승강홈 내부로 연장되되,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의 시작단 측은 후방 밑창 부재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 측이 후방 밑창 부재의 내부에는 수용된 길이 조절 부재에 고정 설치된 인장 코일스프링의 타단 측에 연결되고, 후방 밑창 부재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서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로 연장되는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는 와이어 고정 클램프를 매개로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extends from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to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third front plate, and between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and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Between the front plates and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again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between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and the second front plate, and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second front plate. 3 Passing between the front plates an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and extending into the lifting groove of the mode switching body, the starting end of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and one end side is the rear sole. A first mode switching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tension coil spring fixed to the length adjusting member accommodated inside the member and extending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is wire fixed. It may be fix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respectively, via a clamp.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승강홈 내부로 연장된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은 모드 전환 버튼을 관통하며, 모드 전환 버튼을 관통한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은 격벽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로드에 연결되되, 연결로드의 상단 측에는 격벽의 상부면 상에 걸쳐지는 환형의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격벽의 하부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로드는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 버튼에 의해 격벽의 상부 측으로 밀어 올리지면서 제 1, 제 2 및 상기 제 3 연결핀을 잡아당기며,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와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은 보행 모드 전환 시 인장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mode change wire extending into the lifting groove passes through the mode change button, and the first mode change wire passing through the mode change button The extension end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rod that is supported on the bulkhea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n annular flange span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ulkhead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travels When the mode is switch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are pulled while being pushed up to the upper side of the bulkhead by the mode switching button, and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are walking mode. When switching, it can be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격벽의 하부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로드는 주행 모드 전환 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이 이동하는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ro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protrudes with the same length as the moving lengt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It can be.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에서,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의 시작단 측은 전방 레그 프레임에 형성된 전방 선회 작동핀에 연결되며,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 측은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 제 2 전방 밑창 부재와 제 2 전방 플레이트 사이,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및 후방 밑창 부재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를 지나 모드 전환 바디의 승강홈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의 시작단 측은 후방 레그 프레임에 형성된 후방 선회 작동핀에 연결되며,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 측은 후방 밑창 부재와 후방 플레이트 사이를 지나 모드 전환 바디의 승강홈 내부로 연장되어 모드 전환 버튼의 하단에 연결되되, 제 2 및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는 주행 모드 전환 시 격벽 측으로 상승하는 모드 전환 버튼은 당겨지면서 전방 휠 및 후방 휠은 지면에 접촉시켜 착용수단의 하부 측은 주행이 가능하도록 지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I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 end of the second mode conversion wire is connected to the forward pivot actuating pin formed on the front leg frame, and the extended end of the second mode conversion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end. Passing between the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between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and the second front plate,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third front plate, an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to the inside of the lifting groove of the mode switching body It extends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de conversion button, the starting end of the third mode conversion wire is connected to the rear pivot actuating pin formed on the rear leg frame, and the extended end of the third mode conversion wire is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2 and 3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by extending into the lifting groove of the mode switching body through the , and the second and third mode switching wires rise toward the bulkhead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mode conversion button is pulled while the front and rear wheels move. By contacting the ground,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means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enable driving.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한 상태에서 주행 및 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 후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를 들고 다니거나 보행을 위해 신발을 갈아 신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travel and walk while wearing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not having to change shoes for walking or carrying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use as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용한 사용자의 신발 사이즈에 맞춰 그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hoe siz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securing the us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방전 시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enables use as a normal inline skate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가 주행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가 보행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착용부를 제 1, 제 2, 제 3 전방 밑창 부재 및 후방 밑창 부재의 연결관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드 전환 뭉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to a driving mode.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to a walking mode.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and a rear sole member of the worn part shown in FIG. 1;
Figur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ode switching bundle shown in Figure 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However, the essential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based on the essential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below It is reveal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include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proposed as a method of substitution or change.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grasping the essential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are appropriately interpreted in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1 내지 도 5에는 2개가 한 조를 이뤄 제공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 중 사용자의 좌측 발에 착용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1 to 5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A powered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is shown.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양쪽 발에 착용되는 것으로,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는 2개가 한 조를 이뤄 제공된다.In other words,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both feet of the user, so two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s a pair.

여기서, 사용자의 좌측 발 및 사용자의 우측 발에 착용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는 그 구성이 동일하기에, 하기에는 도 1에 도시된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Here, since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worn on the user's left foot and the user's right foot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shown in FIG. do.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는 사용자가 신은 신발(도시되지 않음)에 착용되며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착용수단(110)과, 착용수단(110)을 주행 가능하게 하는 주행수단(130)과, 착용수단(110) 및 주행수단(130)을 주행 모드 또는 보행 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 전환수단(140)을 포함한다.1 to 5,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means 110 that is worn on shoes (not shown) worn by a user and enables walking, and a wearing means 110 It includes a driving means 130 enabling driving, and a mode switching means 140 converting the wearing means 110 and the driving means 130 into a driving mode or a walking mode.

먼저, 착용수단(110)은 후방 플레이트(111)와, 후방 플레이트(111)의 전방 측으로 배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c)를 포함한다.First, the wearing means 110 includes a rear plate 111 and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121a, 121b, and 121c dispos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rear plate 111.

후방 플레이트(111)는 신발 바닥창의 뒤꿈치 부분이 올려지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The rear plate 111 is a heel portion of the shoe outsole raised, and is provided in a horizontal plate shape as shown.

이때, 후방 플레이트(111)에는 신발 뒷부분이 밀착되는 힐 컵(112; heel cup)이 설치되며, 힐 컵(112)의 전방 측으로는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주는 앵클 스트랩(113; ankle strap)이 설치된다.At this time, a heel cup 112 is installed on the rear plate 111, and an ankle strap 113 that wraps around the user's ankle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el cup 112. installed

여기서, 앵클 스트랩(113)의 구성을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앵클 스트랩(113)은 통상의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앵클 스트랩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ankle strap 11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ankle strap 113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nkle strap of a normal snowboard binding, and since this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방 플레이트(111)의 하부 측에는 보행 모드 시 지면에 접촉하는 후방 밑창 부재(114)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rear sole member 114 contacting the ground in walking mod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111 .

후방 밑창 부재(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측 및 후방 측 그리고 상부 측이 열린(개구) 대략 "?? "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데, 이때 후방 밑창 부재(114)의 상부 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후방 플레이트(111)가 볼트 및 원통형 스페이서 등을 매개로 설치되어 지지된다.As shown, the rear sole member 114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pproximately "??" with front, rear, and upper sides open (open), and 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rear sole member 114 i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paced apart, the rear plate 111 is installed and supported via bolts and cylindrical spacers.

한편, 후방 밑창 부재(114)의 내부에는 착용수단(110)의 길이를 다용한 사용자의 신발 사이즈에 맞출 수 있도록 후방 플레이트(111)와 후방 플레이트(110)에 인접한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 조절 부재(115)가 후방 밑창 부재(114)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rear sole member 114, between the rear plate 111 and the third front plate 121c adjacent to the rear plate 110 so that the length of the wearing means 110 can be adjusted to the shoe size of the user who uses it a lot. Length adjustment members 115 for adjusting the distance are slidably accommoda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ar sole member 114 .

길이 조절 부재(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밑창 부재(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되, 일측 상부에는 간격 조절공(116)들이 길이 조절 부재(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길이 조절 부재(115)의 양측면 측에는 가이드 장공(117)들이 길이 조절 부재(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As show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on shap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space adjusting holes 116 are provided at the top of one sid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and on both sides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guide long holes 117 are formed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이때, 후방 밑창 부재(114)의 일측면 상부 측에는 어느 하나의 간격 조절공(116)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스톱퍼(118)가 설치되며, 후방 밑창 부재(114)의 전방에 인접한 양측 내부면 상에는 가이드 장공(117)들에 끼워지는 이탈 방지 돌기(119)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stopper 118 that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any one gap adjusting hole 116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guides are provided on both inner surfaces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rear sole member 114.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s 119 fitted into the long holes 117 are formed.

즉, 이탈 방지 돌기(119)들은 후방 플레이트(111)와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 사이의 간격 조절 시 길이 조절 부재(115)가 후방 밑창 부재(114)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며, 스톱퍼(118)는 후방 플레이트(111)와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 사이의 간격 조절 시 어느 하나의 간격 조절공(116)에서 이탈되었다가 후방 플레이트(111)와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 사이의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또 다른 간격 조절공(116)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길이 조절 부재(115)를 후방 밑창 부재(114)에 고정시킨다.That is, the detachment prevention protrusions 119 prevent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from escaping from the rear sole member 114 when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late 111 and the third front plate 121c, and the stopper 118 When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plate 111 and the third front plate 121c, the gap control between the rear plate 111 and the third front plate 121c is separated from one of the distance control holes 116. When completed, it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another gap adjusting hole 116 to fix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to the rear sole member 114.

일례로, 스톱퍼(118)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스프링이 내장된 일명 "오도시 잠금장치"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pper 118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a commercially available spring-embedded so-called "Oshi lock device".

그리고 길이 조절 부재(115)의 전방 측과 이어지는 양측면 상에는 간격 조절공(116)들 및 가이드 장공(117)들에 간섭되지 않게 길이 조절 부재(115)의 전방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와 제 3 연결핀(P3)을 매개로 연결되는 후방 링크(120)가 설치된다.An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it extends horizontally outward in front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pacing adjusting holes 116 and the guide long holes 117, and the third front plate A third front sole member 123c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121c and a rear link 120 connected via a third connection pin P3 are installed.

바람직하게는, 후방 밑창 부재(114)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마모에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유지하는 통상의 가황 고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ar sole member 114 may be made of ordinary vulcanized rubber, which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can withstand abrasion, and maintains elasticity.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 121b, 121c)는 후방 플레이트(111)에 지지되지 않은 신발 바닥창의 나머지 부분, 즉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121c, 121b, and 121c support the rest of the outsole of the shoe that is not supported by the rear plate 111, that is, the middle portion and the forefoot portion of the outsole of the shoe, as shown. As such, each is provided in a horizontal plate shape.

여기서,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는 후방 플레이트(111)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 2 전방 플레이트(121b)는 제 3 전방 플레이트(121c)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며,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는 제 2 전방 플레이트(121b)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된다.Here, the third front plate 121c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rear plate 111, the second front plate 121b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third front plate 121c, and the first front plate (121a)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121b).

이때, 제 2 전방 플레이트(121b)에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감싸주는 토우 스트랩(122; toe strap)이 설치되는데, 토우 스트랩(122)의 구성을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토우 스트랩(122)은 통상의 스노우보드 바인딩의 토우 스트랩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a toe strap 122 is installed on the second front plate 121b to cover the instep of the user,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toe strap 1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oe strap 122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a toe strap of a normal snowboard binding, and since this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c)의 하부 측에는 각각 보행 모드 시 지면에 접촉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가 설치된다.In addition,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that contact the ground in walking mode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121a, 121b, and 121c, respectively. .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의 상부 측에는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c)가 볼트 및 원통형 스페이서 등을 매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지지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ar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flattened hexahedral shape as shown,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On the upper sid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121a, 121b, and 121c are installed and suppo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via bolts and cylindrical spacers, respectively.

한편,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밀창 부재(123a, 123b, 123c)에는 주행 모드 시 제 1, 제 2, 제 3 전방 밀창 부재(123a, 123b, 123c) 및 후방 밑창 부재(114)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밀착시키며, 보행 모드 시 보행 시 신발 바닥창의 곡률을 따라 제 1, 제 2,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 및 후방 밑창 부재(114)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이격시키는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들이 설치된다.Meanwhi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inclu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and the rear sole member 114 in the driving mod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out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and the rear outsole member 114 are spaced apart so that they can be bent along the curvature of the sole of the shoe while walking in walking mod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are installed.

제 1 전방 링크(124a)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방 밀창 부재(12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전방 밀창 부재(123a)의 양측에 설치되되 제 1 전방 링크(124a)들의 후방 측은 제 1 전방 밀창 부재(123a)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 2 전방 링크(124b)들은 제 2 전방 밀창 부재(12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전방 밀창 부재(123b)의 양측에 설치되되 전방 측은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측은 제 2 전방 밑창 부재(123b)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며, 제 3 전방 링크(124c)들은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의 양측에 설치되되 전방 측은 제 2 전방 밑창 부재(123b)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측은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된다.As shown, the first front links 124a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dense insulating member 123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ont dense insulating member 123a, but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links 124a is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rear side of the front window 123a, and the second front links 124b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ront window 123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ront window 123b. 1 is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ole member 123a, and at the same time, the rear side is formed shorter tha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123b, and the third front links 124c are the length of the third front sole member 123c.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front outsole member 123c along the direction, but the front side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ront outsole member 123b and the rear side is formed shorter than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outsole member 123c. .

이렇게 설치된 제 2 전방 링크(124b)들의 전방 측은 제 1 전방 링크(124a)의 후방 측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1 관통공(125a)을 관통하는 제 1 연결핀(P1)을 매개로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3 전방 링크(124c)들의 전방 측은 제 2 전방 링크(124b)들의 후방 측에 간섭되지 않게 제 2 전방 밑창 부재(123b)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2 관통공(125b)을 관통하는 제 2 연결핀(P2)을 매개로 제 2 전방 밑창 링크(124b)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3 전방 링크(124c)의 후방 측으로는 길이 조절 부재(115)에 설치된 후방 링크(120)들이 제 3 전방 링크(124C)의 후방 측에 간섭되지 않게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3 관통공(125c)을 관통하는 제 3 연결핀(P3)의 매개로 제 3 전방 밑창 링크(124c)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front sides of the thus installed second front links 124b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s 125a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links 124a. 1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to be ben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a connecting pin P1, and the front side of the third front links 124c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links 124b.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ole link 124b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in P2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125b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123b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t is connected to be bendable in the direction, an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link 124c, the rear links 120 installed o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do not interfere with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link 124C. It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sole link 124c to be ben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edium of the third connecting pin P3 penetrating the third through hole 125c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ole member 123c. .

이때,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이 끼워지는 제 1, 제 2 및 제 3 관통공(125a, 125b, 125c)들은 모드 전환수단(140)의 작동에 의한 주행 모드 전환 시 제 2, 제 3 전방 링크(124b, 124c)들의 전방 측 및 후방 링크(120)의 전방 측이 각각 제 1 ,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의 후방 측에 밀착되고, 모드 전환수단(140)의 작동에 의한 보행 모드 전환 시 제 2, 제 3 전방 링크(124b, 124c)들이 전방 측 및 후방 링크(120)의 전방 측이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의 후방 측에서 이격되도록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c)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ough holes 125a, 125b and 125c into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ins P1, P2 and P3 are inserted are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b and 124c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120 are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respectively. and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b and 124c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120 are respective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b and 124c.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121a, 121b and 121c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즉, 모드 전환수단(140)은 주행 모드 전환 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들을 전방 측으로 잡아 당기는데, 이때 제 2, 제 3 전방 링크(124b, 124c)들의 전방 측 및 후방 링크(120)의 전방 측은 각각 제 1 ,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의 후방 측에 밀착되고, 이에 의해 제 1, 제 2,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b) 및 후방 플레이트(111)는 주행 시 상하로 구부러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mode switching unit 140 pull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P1, P2, and P3 toward the front side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t this time,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b and 124c The front side of them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respectively, and there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 121a, 121b, 121b) and the rear plate 111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thout bending up and down during driving.

반대로, 모드 전환수단(140)에 의한 보행 모드 전환 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들은 탄력적으로 후방 측으로 복귀되는데, 이때 제 2, 제 3 전방 링크(124b, 124c)들이 전방 측 및 후방 링크(120)의 전방 측은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의 후방 측에서 이격되고, 이에 의해 제 1, 제 2,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b) 및 후방 플레이트(111)는 보행 시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은 신발 바닥창이 형성하는 곡률을 따라 절곡된다.Conversely,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by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P1, P2, and P3 are elastically returned to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b, 124c)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respectively, where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The plates 121a, 121b, and 121b and the rear plate 111 are bent along the curvature formed by the soles of the shoes worn by the user so that there is no sense of heterogeneity during walking.

바람직하게는, 제 1, 제 2,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 및 후방 링크(12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각각 수직면으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and the rear link 120 are formed in vertical planes, respectively.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마모에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유지하는 통상의 가황 고무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out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may be made of ordinary vulcanized rubber, etc., which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can withstand abrasion, and maintains elasticity. .

주행수단(130)은 구름 운동을 하는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과, 전방 마운팅 프레임(133a) 및 후방 마운팅 프레임(133b)을 포함한다.The traveling means 130 includes a front wheel 131a and a rear wheel 131b performing rolling motion, and a front mounting frame 133a and a rear mounting frame 133b.

전방 휠(13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고, 후방 휠(131b)은 후방 플레이트(111)의 후방 측에 이격 배치된다.As shown, the front wheel 131a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121a, and the rear wheel 131b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rear plate 111.

이때,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은 각각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전방 레그 프레임(132a)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b)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are supported by a pair of front leg frames 132a and rear leg frames 132b to enable rolling motion.

즉, 전방 휠(131a)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전방 레그 프레임(132a)의 하단 측 사이에 개재되되 회전 중심부 양측이 전방 레그 프레임(132a)의 하단 측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마찬가지로 후방 휠(131b)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후방 레그 프레임(132a)의 하단 측 사이에 개재되되 회전 중심부 양측이 후방 레그 프레임(132a)의 하단 측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That is, the front wheel 131a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leg frame 132a provided as a pair, but both sides of the rotation center are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leg frame 132a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and similarly, the rear wheel (131b)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rear leg frame (132a) provided as a pair, but both sides of the rotation center are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leg frame (132a) so as to be able to roll.

그리고 전방 레그 프레임(132a) 사이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b) 사이에는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의 구름운동에 간섭되지 않게 각각 전방 선회 작동핀(138a) 및 후방 선회 작동핀(138b)이 개재되는데, 전방 선회 작동핀(138a) 및 후방 선회 작동핀(138b)은 모드 전환수단(140)과 연결되며 모드 전환수단(140)의 작동에 의한 주행 모드 전환 시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이 지면 측으로 선회되게 한다.And between the front leg frames 132a and between the rear leg frames 132b, there are front swing actuating pins 138a and rear pivot actuating pins 138b, respectivel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lling motions of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 is interposed, the front swing operation pin 138a and the rear swing operation pin 138b are connected to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and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is turned toward the ground.

여기서,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의 구성을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례로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은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wheel)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a wheel of a typical inline skate, and since this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방 마운팅 프레임(133a) 및 후방 마운팅 프레임(133b)은 각각 전방 레그 프레임(132a)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b)을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 및 후방 플레이트(110)에 연결시키며, 동시에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을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front mounting frame 133a and the rear mounting frame 133b respectively connect the front leg frame 132a and the rear leg frame 132b to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and the rear plate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are pivotab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전방 마운팅 프레임(133a)은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의 전방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의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전방 바닥부(134a)와, 전방 바닥부(134a)의 양측에서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방 힌지부(135a)를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후방 마운팅 프레임(133b)은 후방 밑창 부재(114)에 간섭되지 않게 후방 플레이트(111)의 하부면 상에 설치되는 후방 바닥부(134b)와, 후방 바닥부(134b)의 양측에서 후방 플레이트(111)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후방 힌지부(135b)를 포함한다.The front mounting frame 133a is a front bottom pa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extending outward in front of the first front plate 121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front plate 121a ( 134a), and a pair of front hinge parts 135a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bottom part 134a to the outside of the top of the first front plate 121a, and similarly, the rear mounting frame 133b is a rear sole A rear bottom part 134b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late 11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ember 114, and a pair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ar bottom part 134b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rear plate 111. Includes a rear hinge portion (135b) of.

이때, 전방 레그 프레임(132a)의 상단 측은 전방 선회축(136a)을 매개로 전방 힌지부(135a)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후방 레그 프레임(132b)의 상단 측은 후방 선회축(136a)을 매개로 후방 힌지부(135b)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ront leg frame 132a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front hinge part 135a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the front pivot 136a, and similarly, the upper end of the rear leg frame 132b is connected to the rear pivot ( 136a)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rear hinge part 135b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전방 선회축(136a) 및 후방 선회축(136a)에는 각각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비틀림 스프링(137a)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137b)이 끼워진다. 이렇게 전방 선회축(136a) 및 후방 선회축(136a)에 끼워진 전방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137a, 137b)은 각각 주행 모드 전환 시 지면 측으로 선회하는 전방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a, 132b)에 의해 압축되고, 보행 모드 전환 시 복원되면서 전방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a, 132b)을 각각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 및 후방 플레이트(111)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킨다.In addition, a front torsion spring 137a and a rear torsion spring 137b that elastically support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are inserted into the front pivot shaft 136a and the rear pivot shaft 136a, respectively. The front and rear torsion springs 137a and 137b inserted into the front pivot shaft 136a and the rear pivot shaft 136a are compressed by the front and rear leg frames 132a and 132b that pivot toward the ground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respectively. , while being restored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the front and rear leg frames 132a and 132b are pivot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121a and the rear plate 111, respectively.

한편, 주행수단(1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가 자동 주행이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139) 및 구동모터(139)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means 130 includes a driving motor 139 that enables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to automatically dr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ttery (not shown) that provides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ing motor 139. contains more

구동모터(139) 및 배터리는 후방 휠(131b) 및 후방 작동핀(138b)에 간섭되지 않게 후방 레그 프레임(132b) 사이에 설치되며, 구동모터(139)의 구동축(도시되지 않음)과 후방 휠(131b)은 통상의 동력전달수단(도시되지 않음), 일례로 벨트와 벨트풀리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139 and the battery are installed between the rear leg frame 132b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ear wheel 131b and the rear operating pin 138b, and the driving shaft (not shown) of the driving motor 139 and the rear wheel (131b) may be connected via a normal power transmission means (not shown), for example, a belt and a belt pulley.

그리고, 구동모터(139)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데, 이를 위해서 구동모터(139)에 인접하게는 구동모터(139)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근거리 통신모듈이 탑재된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And, the driving motor 139 is controll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not shown). A control means (not shown)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enabl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may be installed.

그리고 배터리는 충전을 통해 여러차례 재사용이 가능한 통상의 2차 전지(secondary battery)일 수 있으며, 배터리 방전 시 주행수단(130)은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And, the battery may be a normal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reused several times through charging, and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the traveling means 130 can be used like a normal inline skate.

즉, 모드 전환수단(140)의 작동에 의한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수단(140)은 전방 및 후방 선회 작동핀(138a, 138b)을 잡아 당기는데, 이때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은 전방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137a, 137b)을 압축시키며 지면(하부) 측으로 하강하는 전방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a, 132b)에 의해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이 지면에 접촉함에 따라 착용수단(110)의 하부, 다시 말해 제 1, 제 2,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 및 후방 밑창 부재(114)의 하부 측은 주행이 가능하도록 지면에서 이격된다.That i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pulls the front and rear turning operation pins 138a and 138b, and at this time,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 compresses the front and rear torsion springs 137a and 137b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front and rear leg frames 132a and 132b descending to the ground (lower) side, and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lower part of the wearing means 110,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and the rear sole member 114 is placed on the ground so that driving is possible. distanced from

반대로, 모드 전환수단(140)의 작동에 의한 보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수단(140)은 전방 및 후방 선회 작동핀(138a, 138b)을 잡아 당김을 해제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전방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137a, 137b)은 복원되면서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과 함께 전방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a, 132b)을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 및 후방 플레이트(111)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착용수단(110)의 하부, 다시 말해 제 1, 제 2,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 및 후방 밑창 부재(114)의 하부 측은 보행이 가능하도록 지면에서 접촉된다.Conversely,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the mode switching means 140 releases the pulling of the forward and backward swing actuating pins 138a and 138b, and at this time, the compressed front and rear torsion springs (137a, 137b) rotates the front and rear leg frames 132a, 132b together with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121a and the rear plate 111 while being restored. . At the same time,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means 110,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and the rear sole member 114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walking is possible.

모드 전환수단(140)은 모드 전환 뭉치(141), 제 1, 제 2 및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151, 155, 156)를 포함한다. The mode switching unit 140 includes a mode switching bundle 141, first, second and third mode switching wires 151, 155 and 156.

모드 전환 뭉치(141)는 모드 전환 버튼(149)과, 모드 전환 버튼(149)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드 전환 바디(142)를 포함한다.The mode change bundle 141 includes a mode change button 149 and a mode change body 142 supporting the mode change button 149 to be liftable.

모드 전환 바디(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측이 힐 컵(112)의 일측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되며, 모드 전환 바디(142)의 전면 측에는 모드 전환 버튼(149)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승강홈(143)이 모드 전환 바디(142)의 하단에서 상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As shown, the rear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142 is install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heel cup 112, and the front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142 guide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149. A groove 143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mode switching body 142 to the upper end.

이때, 승강홈(143)의 양측에는 모드 전환 버튼(149)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44)이 승강홈(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이탈방지홈(144)들에는 모드 전환 버튼(149)의 양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At this time, on both sides of the elevation groove 143, separation prevention grooves 144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149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ion groove 143,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grooves 144 Both sides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149 are slidably fitted.

그리고 모드 전환 바디(142)의 상단 측에는 승강홈(143)을 차폐하는 격벽(145) 및 주행 모드 전환 시 상승하는 모드 전환 버튼(149)을 탄력적으로 파지하는 고정쇠(146)가 격벽(145)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다.And, on the upper side of the mode switching body 142, a bulkhead 145 for shielding the elevating groove 143 and a clamp 146 for elastically gripping the mode conversion button 149 that rise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re attached to the bulkhead 145. formed without interference.

고정쇠(14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45)의 상부 측에 인접한 양측이 모드 전환 바디(142)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때 고정쇠(146)의 상단 측과 모드 전환 바디(142)의 상단 측 사이에는 고정쇠(146)의 하단 측이 탄력적으로 모드 전환 버튼(149)을 파지할 수 있도록 압축 코일스프링(147)이 개재된다.As shown, both sides of the fixture 146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bulkhead 145 are pivotal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mode conversion body 142, and 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146 and the mode conversion body 142 A compression coil spring 147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ixing member 146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member 146 can elastically grip the mode change button 149 .

그리고 고정쇠(146)의 하단 측에는 모드 전환 버튼(149)을 파지하는 파지공(148)이 형성되며, 모드 전환 버튼(149)의 상단 측에는 파지공(148)에 끼워지는 파지돌기(150)가 형성된다.Further, a gripping hole 148 for gripp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149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lamp 146, and a gripping protrusion 150 inserted into the gripping hole 148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149. do.

즉,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 버튼(149)은 승강홈(143)을 따라 격벽(145) 측으로 상승하는데, 이때 모드 전환 버튼(149)의 파지돌기(150)는 압축 코일스프링(147)을 압축시키며 고정쇠(146)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파지공(148)은 압축 코일스프링(147)의 복원력에 의해 파지돌기(150)에 탄력적으로 끼워진다. That i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mode conversion button 149 ascends along the elevating groove 143 toward the bulkhead 145, and at this time, the holding protrusion 150 of the mode conversion button 149 compresses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47. At the same time, the gripping hole 148 is elastically fitted into the gripping protrusion 15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47.

이렇게 파지공(148)에 끼워진 파지돌기(150)에 의해 모드 전환 버튼(149)은 주행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The mode change button 149 maintains the driving mode by the gripping protrusion 150 inserted into the gripping hole 148 as described above.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는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 버튼(149)의 작동에 의해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이 당겨지게 하며, 보행 모드 전환 시 탄력적으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을 복귀시킨다.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151 ca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P1, P2, and P3 to be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149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nd is flexible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ins P1, P2, and P3 are returned as .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는 후방 밑창 부재(114)와 후방 플레이트(111) 사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와 제 3 전방 플레이트(121b) 사이, 제 2 전방 밑창 부재(123b)와 제 2 전방 플레이트(121b) 사이 및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와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 사이를 경유해 다시 역으로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와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 사이, 제 2 전방 밑창 부재(123b)와 제 2 전방 플레이트(121b) 사이,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와 제 3 전방 플레이트(121b) 사이 및 후방 밑창 부재(114)와 후방 플레이트(111) 사이를 지나 모드 전환 바디(142)의 승강홈(143) 내부로 연장된다.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151 is sequentially connected from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the rear plate 111 to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123c and the third front plate 121b, and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123b. ) and the second front plate 121b and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and the first front plate 121a, and vice versa,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and the first front plate 121a between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123b and the second front plate 121b,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123c and the third front plate 121b, an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the rear plate 111 It extends into the inside of the elevating groove 143 of the mode switching body 142 passing between them.

이때,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의 시작단 측은 후방 밑창 부재(114)와 후방 플레이트(111)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 측이 길이 조절 부재(115)에 고정 설치된 인장 코일스프링(152)의 타단 측에 연결되고,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의 상부면 상에는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의 방향을 180도 전환시키는 제 1 와이어 풀리(W1)가 설치되며, 후방 밑창 부재(111)의 상부면 상에는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의 방향을 90도 전환시켜 모드 전환 바디(142)의 승강홈(143) 내부로 안내하는 제 2 와이어 풀리(W2)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tarting end of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151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the rear plate 111, and one end is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coil spring 152 fixed to the length adjusting member 115. A first wire pulley W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and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151 by 180 degrees. A second wire pulley W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irst mode change wire 151 by 90 degrees and guide it into the elevating groove 143 of the mode change body 142 .

그리고 후방 밑창 부재(114)와 후방 플레이트(111) 사이에서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와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 사이로 연장되는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는 통상의 와이어 고정 클램프(C1, C2, C3)를 매개로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의 후방 측은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단된다. And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151 extending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the rear plate 111 and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and the first front plate 121a is a conventional wire fixing clamp (C1 , C2, C3)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P1, P2, and P3, and for this purpo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The rear side of is sheared so that por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ins P1, P2 and P3 are exposed.

한편, 승강홈(143) 내부로 연장된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의 연장단은 모드 전환 버튼(149)을 관통하며, 모드 전환 버튼(149)을 관통한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의 연장단은 격벽(145)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로드(153)에 연결된다. Meanwhile,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mode changeover wire 151 extending into the lifting groove 143 passes through the mode changeover button 149, and the first mode changeover wire 151 passing through the mode changeover button 149 The extended end of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153 supported on the partition wall 145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이때, 연결로드(153)의 상단 측에는 격벽(145)의 상부면 상에 걸쳐지는 환형의 플랜지(154)가 일체로 형성되며, 격벽(145)의 하부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로드(153)는 주행 모드 전환 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이 이동하는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된다.At this time, an annular flange 154 span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45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153, and the connecting rod 153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45.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P1, P2, and P3 protrude with the same length as the moving length.

즉, 주행 모드 전환 시 격벽(145) 측으로 상승하는 모드 전환 버튼(149)은 격벽(145)의 하부면 측으로 돌출된 연결로드(153)를 격벽(1450의 상부 측으로 밀어 올리는데, 이에 의해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는 연결로드(153) 및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하는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는 인장 코일스프링(152)을 신장시키면서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을 잡아당기는데, 이에 의해 제 2, 제 3 전방 링크(124b, 124c)들의 전방 측 및 후방 링크(120)의 전방 측은 각각 제 1 ,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의 후방 측에 밀착되고, 그 결과 제 1, 제 2,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b) 및 후방 플레이트(111)는 주행 시 상하로 구부러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mode conversion button 149 that rises to the side of the bulkhead 145 pushes the connection rod 153 protruding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145 to the upper side of the bulkhead 1450, whereby the first mode In the switching wire 151, the connecting rod 153 and the first mode conversion wire 151 rise, and the first mode conversion wire 151, which rises, extends the tension coil spring 152 while moving the first and second modes.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P1, P2, and P3 are pulled, whereby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b and 124c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120 respectively and adhere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and as a result,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121a, 121b, and 121b and the rear plate 111 are bent up and down during driving. It stays horizontal without tipping over.

반대로, 보행 모드 전환 시 고정쇠(146)의 상단 측을 가압하면 고정쇠(146)는 모드 전환 버튼(149)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는데, 이때 신장되어 있던 인장 코일스프링(152)은 복원되면서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를 복귀시키고, 인장 코일스프링(152)에 의해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가 복귀됨에 따라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P1, P2, P3)도 복귀된다. 이때 제 2, 제 3 전방 링크(124b, 124c)들이 전방 측 및 후방 링크(120)의 전방 측은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124a, 124b, 124c)의 후방 측에서 이격되고, 이에 의해 제 1, 제 2, 제 3 전방 플레이트(121a, 121b, 121b) 및 후방 플레이트(111)는 보행 시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은 신발 바닥창이 형성하는 곡률을 따라 절곡된다.Conversely, whe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metal 146 is pressed during the walking mode conversion, the fixing metal 146 releases the holding of the mode changeover button 149. As the conversion wire 151 is returned and the first mode conversion wire 151 is returned by the tension coil spring 152,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ins (P1, P2, P3) are also returned. 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link 120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b and 124c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124a, 124b and 124c,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121a, 121b, and 121b and the rear plate 111 are bent along the curvature formed by the soles of the shoes worn by the user so that there is no sense of difference during walking.

한편, 제 2 및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155, 156)는 주행 모드 전환 시 모드 전환 버튼(149)의 작동에 의해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이 지면 측으로 선회되게 한다.Meanwhile, the second and third mode switching wires 155 and 156 turn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toward the groun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conversion button 149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이를 위해서,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155)의 시작단 측은 전방 선회 작동핀(138a)에 연결되며,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155)의 연장단 측은 제 1 전방 밑창 부재(123a)와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 사이, 제 2 전방 밑창 부재(123b)와 제 2 전방 플레이트(121b) 사이,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c)와 제 3 전방 플레이트(121b) 사이 및 후방 밑창 부재(114)와 후방 플레이트(111) 사이를 지나 모드 전환 바디(142)의 승강홈(143) 내부로 연장되어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151)에 간섭되지 않게 모드 전환 버튼(149)의 하단에 연결된다.To this end, the start end of the second mode conversion wire 155 is connected to the front pivoting pin 138a, and the extended end of the second mode conversion wire 155 connects to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and the first front sole member 123a. Between the plates 121a, between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123b and the second front plate 121b,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123c and the third front plate 121b, an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the rear It passes between the plates 111 and extends into the elevation groove 143 of the mode change body 142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de change button 149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mode change wire 151 .

이때, 후방 밑창 부재(111)의 상부면 상에는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155)의 방향을 90도 전환시켜 모드 전환 바디(142)의 승강홈(143) 내부로 안내하는 제 3 와이어 풀리(W3)가 제 2 와이어 풀리(W2)에 간섭되지 않게 설치된다.At this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ole member 111, a third wire pulley (W3)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econd mode change wire 155 by 90 degrees and guiding it into the elevating groove 143 of the mode change body 142 is provided. Is instal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cond wire pulley (W2).

그리고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156)의 시작단 측은 후방 선회 작동핀(138b)에 연결되고,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156)의 연장단 측은 후방 밑창 부재(114)와 후방 플레이트(111) 사이를 지나 모드 전환 바디(142)의 승강홈(143) 내부로 연장되어 모드 전환 버튼(149)의 하단에 연결된다. Also, the starting end of the third mode conversion wire 156 is connected to the rear pivot actuating pin 138b, and the extended end of the third mode conversion wire 156 extends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114 and the rear plate 111. Gina extends into the elevation groove 143 of the mode change body 142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de change button 149.

이때, 후방 밑창 부재(111)의 상부면 상에는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156)의 방향을 90도 전환시켜 모드 전환 바디(142)의 승강홈(143) 내부로 안내하는 제 4 와이어 풀리(W4)가 제 2 와이어 풀리(W2) 및 제 3 와이어 풀리(W3)에 간섭되지 않게 설치된다.At this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ole member 111, a fourth wire pulley (W4)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hird mode switching wire 156 by 90 degrees and guiding it into the elevating groove 143 of the mode switching body 142 is provided. is install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cond wire pulley (W2) and the third wire pulley (W3).

즉, 주행 모드 전환 시 제 2 및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156)는 격벽(145) 측으로 상승하는 모드 전환 버튼(149)은 당겨지는데, 이에 의해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은 전방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137a, 137b)을 압축시키며 지면(하부) 측으로 하강하는 전방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a, 132b)에 의해 지면에 접촉하게 되고,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이 지면에 접촉함에 따라 착용수단(110)의 하부, 다시 말해 제 1, 제 2,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 및 후방 밑창 부재(114)의 하부 측은 주행이 가능하도록 지면에서 이격된다.That i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second and third mode conversion wires 156 rise toward the bulkhead 145 and the mode conversion button 149 is pulled, whereby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move forward. and the front and rear leg frames 132a and 132b lowering to the ground (lower) side while compressing the rear torsion springs 137a and 137b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s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wearing means 110,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and the rear sole member 114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o allow running. .

반대로, 보행 모드 전환 시 고정쇠(146)의 상단 측을 가압하면 고정쇠(146)는 모드 전환 버튼(149)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는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전방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137a, 137b)은 복원되면서 전방 휠(131a) 및 후방 휠(131b)과 함께 전방 및 후방 레그 프레임(132a, 132b)을 제 1 전방 플레이트(121a) 및 후방 플레이트(111)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착용수단(110)의 하부, 다시 말해 제 1, 제 2, 제 3 전방 밑창 부재(123a, 123b, 123c) 및 후방 밑창 부재(114)의 하부 측은 보행이 가능하도록 지면에서 접촉된다.Conversely, whe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metal 146 is pressed during the walking mode conversion, the fixing metal 146 releases the holding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149, and at this time, the compressed front and rear torsion springs 137a and 137b are restored. While being rotated, the front and rear leg frames 132a and 132b together with the front wheel 131a and the rear wheel 131b are turn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121a and the rear plate 111. At the same time,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means 110,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123a, 123b, and 123c and the rear sole member 114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walking is possible.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는 착용한 상태에서 주행 및 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 후 들고 다니거나 보행을 위해 신발을 갈아 신지 않아도 되게 한다.Since the motorized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can be driven and walked while worn,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it after use or change shoes for walking as in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는 다용한 사용자의 신발 사이즈에 맞춰 그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Since the length of 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hoe size of the user who uses it frequently,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us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100)는 배터리 방전 시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normal inline skate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Claims (13)

사용자가 신은 신발 바닥창의 뒤꿈치 부분이 올려지는 후방 플레이트와, 상기 신발 바닥창의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이 올려지는 제 1, 제 2, 제 3 전방 플레이트를 가지는 착용수단;
전방 휠 및 후방 휠을 가지되, 상기 전방 휠 및 상기 후방 휠은 각각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 및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수단; 및
상기 착용수단 및 상기 주행수단을 주행 모드 또는 보행 모드로 전환시키되, 상기 주행 모드 시 상기 착용수단이 지면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전방 휠 및 상기 후방 휠을 지면 측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보행 모드 시 상기 착용수단의 하부 측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상기 전방 휠 및 상기 후방 휠을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 및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키는 모드 전환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Wearing means having a rear plate on which a heel portion of a shoe sole worn by a user is lifted, and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on which a middle portion and a forefoot portion of the shoe sole are lifted;
a driving means hav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wherei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rear side of the rear plate to be pivotabl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wearing means and the driving means are switched to a driving mode or a walking mode, and in the driving mode,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turned toward the ground so that the wearing mean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in the walking mode, the wearing means and a mode switching means for turn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rear plate so that the lower side contacts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방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방 플레이트는 상기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전방 플레이트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에는 상기 보행 모드 시 지면에 접촉하는 후방 밑창 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후방 밑창 부재의 상부 측은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과 이격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에는 각각 상기 보행 모드 시 지면에 접촉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상부 측은 각각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하부 측과 이격되며,
상기 후방 플레이트에는 상기 신발 뒷부분이 밀착되는 힐 컵이 설치되고, 상기 힐 컵의 전방 측으로는 사용자의 발목 부분을 감싸주는 앵클 스트랩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전방 플레이트에는 사용자의 발등 부분을 감싸주는 토우 스트랩이 설치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fro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rear plate,
The second fro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third front plate,
The first front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front plate,
A rear sole member contacting the ground in the walking mod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and the upper side of the rear sole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contacting the ground in the walking mode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The upper side of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respectively,
A heel cup to which the rear part of the shoe is in close contact is installed on the rear plate, and an ankle strap that wraps around the user's ankle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el cup.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in which a toe strap is installed on the second front plate to cover the instep of the us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방 밑창 부재는 전방 측, 후방 측 및 상부 측이 열린 "?? "자 단면 형상을 제공되고,
상기 후방 밑창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밑창 부재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납착한 육면체 형상의 길이 조절 부재가 수용되되,
상기 길이 조절 부재는 일측 상부에는 간격 조절공들이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양측면 측에는 가이드 장공들이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후방 밑창 부재의 일측면 상부 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간격 조절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스톱퍼가 설치되며, 상기 후방 밑창 부재의 전방에 인접한 양측 내부면 상에는 상기 가이드 장공들에 끼워지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r sole member is provided with a "??" cross-sectional shape with open front, rear and upper sides,
Inside the rear sole member, a hexahedron-shaped length adjusting member slidably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ar sole member is accommodated so a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rear plate and the third front plate,
In the length adjusting member, spacing adjusting hol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and guide slots are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on both sides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
A stopper that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ap adjusting holes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surface of the rear sole member, and on both inner surfaces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rear sole member, departure prevention protrusions fitted into the long guide holes are formed. powered personal mobility devic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전방 측과 이어지는 양측면 상에는 상기 길이 조절 부재의 전방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제 3 연결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후방 링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양측에는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들이 설치되되,
상기 제 1 전방 링크들의 후방 측은 상기 제 1 전방 밀창 부재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은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측은 상기 제 2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 3 전방 링크들은 상기 제 3 전방 밑창 부재들의 전방 측은 상기 제 2 전방 밑창 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후방 측은 상기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은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1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1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3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은 상기 제 2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형성된 제 2 관통공을 관통하는 제 2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제 2 전방 밑창 링크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3 전방 링크의 후방 측으로는 상기 후방 링크들이 상기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에 형성된 상기 제 3 관통공을 관통하는 상기 제 3 연결핀의 매개로 상기 제 3 전방 밑창 링크의 후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On both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a rear link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front of the length adjust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third front sole member through a third connecting pin is installed,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respectively,
The rear sides of the first front links are formed shorter than the rear sides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ront sides of the second front links are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rear sides are formed to extend to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The third front sole members are formed shorter than the rear side of the member, and the front sides of the third front outsole members are formed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ront outsole member, and the rear side is formed shorter than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outsole member. become,
The front sides of the second front links ar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via a first connecting pin passing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rear side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ront side of the third front sole link can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ole link via a second connecting pin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The third front sole link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sole member through the third connecting pin passing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to be ben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밑창 부재의 후방 측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단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관통공들은 상기 모드 전환수단의 작동에 의한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상기 제 2, 제 3 전방 링크들의 전방 측 및 상기 후방 링크의 전방 측이 각각 상기 제 1 ,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의 후방 측에 밀착되고, 상기 모드 전환수단의 작동에 의한 상기 보행 모드 전환 시 상기 제 2, 제 3 전방 링크들이 전방 측 및 상기 후방 링크의 전방 측이 각각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링크의 후방 측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방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 sid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sole members are sheared so that por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are expos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rough hole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 are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respectively.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s of the front links, and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means, the front sides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ink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front links. An electric personal transfer devic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ront plate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ide of the second and third front link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방 휠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전방 레그 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후방 휠은 한 쌍으로 제공되는 후방 레그 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전방 레그 프레임의 상단 측은 전방 선회축을 매개로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의 상부 상에 설치되는 전방 마운팅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의 상단 측은 후방 선회축을 매개로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하부면 상에 설치되는 후방 마운팅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방 선회축 및 상기 후방 선회축에는 각각 상기 전방 휠 및 상기 후방 휠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전방 비틀림 스프링 및 후방 비틀림 스프링이 끼워지되,
상기 전방 비틀림 스프링 및 상기 후방 비틀림 스프링은 각각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지면 측으로 선회하는 상기 전방 레그 프레임 및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보행 모드 전환 시 복원되면서 상기 전방 레그 프레임 및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을 각각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 플레이트의 상부 측으로 선회시키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wheels are rotatably supported between lower ends of front leg frames provided as a pair, and the rear wheels are rotatably supported between lower ends of rear leg frames provided as a pair,
The upper end of the front leg frame is pivotab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front mounting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ont sole member via a front pivot,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leg frame is pivotally connected via a rear pivot. It is pivotal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rear mounting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late,
A front torsion spring and a rear torsion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fitted to the front pivot and the rear pivot, respectively.
The front torsion spring and the rear torsion spring are compressed by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which turn toward the ground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nd are restored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thereby forming the front leg frame and the rear leg frame. A motorized personal transfer device for turn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respective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휠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ing means,
Further comprising a drive motor installed between the rear leg frames and a battery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the drive motor,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he wheel are connected via a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driving motor is an electric personal mobility device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through an application mounted on a user's portable termi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수단은,
모드 전환 버튼과,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모드 전환 바디를 가지는 모드 전환 뭉치;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이 당겨지게 하며, 상기 보행 모드 전환 시 탄력적으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을 복귀시키는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전방 휠을 지면 측으로 선회시키는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 및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방 휠을 지면 측으로 선회시키는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mode switching means,
a mode changeover bundle having a mode changeover button and a mode changeover body supporting the mode changeover button in an ascending and descending manner;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are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are elastically returned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a first mode switching wire;
a second mode conversion wire for turning the front wheel toward the ground by an operation of the mode conversion button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nd
and a second mode switching wire for turning the rear wheel toward the ground by the operation of the mode conversion button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배면 측은 상기 힐 컵의 일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전면 측에는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승강홈이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하단에서 상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상단 측에는 상기 승강홈을 차폐하는 격벽 및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상승하는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을 탄력적으로 파지하는 고정쇠가 상기 격벽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쇠는 상기 격벽의 상부 측에 인접한 양측이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고정쇠의 상단 측과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상단 측 사이에는 상기 고정쇠의 하단 측이 탄력적으로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압축 코일스프링이 개재되며,
상기 고정쇠의 하단 측에는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을 파지하는 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상단 측에는 상기 파지공에 끼워지는 파지돌기가 형성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rear side of the mode change body i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one side of the heel cup, and on the front side of the mode change body, a lifting groove guid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mode change butt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mode change body. become,
On the upper side of the mode change body, a partition wall for shielding the elevating groove and a clamp for elastically gripping the mode change button that rises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ar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artition wall,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bulkhead are pivo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mode switching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mode switching body. A compression coil spring is interposed so that the switching button can be gripped,
A gripping hole for gripp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and a gripping protrusion fitted into the gripping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ode shifting butt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는 상기 후방 밑창 부재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서부터 상기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상기 제 2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2 전방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를 경유해 다시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 상기 제 2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2 전방 플레이트 사이, 상기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후방 밑창 부재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를 지나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상기 승강홈 내부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의 시작단 측은 상기 후방 밑창 부재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되 일단 측이 상기 후방 밑창 부재의 내부에는 수용된 길이 조절 부재에 고정 설치된 인장 코일스프링의 타단 측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밑창 부재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는 와이어 고정 클램프를 매개로 각각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에 고정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extends from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third front plate, between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and the second front plate, and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sole member.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again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between the second front sole member and the second front plate, and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third front plate. It passes between the front plates an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and extends into the elevating groove of the mode switching body,
The starting end of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a tension coil spring fixed to a length adjusting member accommodated inside the rear sole member,
The first mode conversion wire extending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and extending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via a wire fixing clamp, respectively. A motorized personal mobility device that is anchored to th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승강홈 내부로 연장된 상기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은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을 관통하며,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을 관통한 상기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은 상기 격벽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로드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로드의 상단 측에는 상기 격벽의 상부면 상에 걸쳐지는 환형의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하부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상기 모드 전환 버튼에 의해 상기 격벽의 상부 측으로 밀어 올리지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을 잡아당기며,
상기 제 1 모드 전환 와이어와 상기 제 1, 제 2 및 상기 제 3 연결핀은 상기 보행 모드 전환 시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 extended end of the first mode change wire extending into the lifting groove passes through the mode change button,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mode change wire penetrating the mode change button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rod movably supported by the bulkhead,
An annular flange span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ulkhead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the connecting rod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is connected to the bulkhead by the mode switching button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Pull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while pushing up to the upper side of the,
The first mode switching wir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on pins are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when the walking mode is switch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부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주행 모드 전환 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연결핀이 이동하는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ng ro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lkhead protrudes to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to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ins move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의 시작단 측은 상기 전방 레그 프레임에 형성된 전방 선회 작동핀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 측은 상기 제 1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1 전방 플레이트 사이, 상기 제 2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2 전방 플레이트 사이, 상기 제 3 전방 밑창 부재와 상기 제 3 전방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후방 밑창 부재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를 지나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상기 승강홈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의 시작단 측은 상기 후방 레그 프레임에 형성된 후방 선회 작동핀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의 연장단 측은 상기 후방 밑창 부재와 상기 후방 플레이트 사이를 지나 상기 모드 전환 바디의 상기 승강홈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의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 2 및 제 3 모드 전환 와이어는 주행 모드 전환 시 상기 격벽 측으로 상승하는 상기 모드 전환 버튼은 당겨지면서 상기 전방 휠 및 상기 후방 휠은 지면에 접촉시켜 상기 착용수단의 하부 측은 주행이 가능하도록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전동식 개인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 starting end of the second mode conversion wire is connected to a front pivot actuating pin formed on the front leg frame, and an extension end of the second mode conversion wire is between the first front sole member and the first front plate, the first front plate. 2 passes between the front sole member and the second front plate, between the third front sole member and the third front plate, and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and extends into the lifting groove of the mode switching bod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The starting end of the third mode conversion wire is connected to a rear pivot actuating pin formed on the rear leg frame, and the extended end of the third mode conversion wire passes between the rear sole member and the rear plate to extend the mode conversion body. It extends into the elevating groov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the second and third mode conversion wires raise the mode conversion button toward the bulkhead while pull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wearing means is on the ground so that driving is possible. A motorized personal mobility device that separates.
KR1020220017993A 2022-02-11 2022-02-11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KR202301213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93A KR20230121301A (en) 2022-02-11 2022-02-11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93A KR20230121301A (en) 2022-02-11 2022-02-11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301A true KR20230121301A (en) 2023-08-18

Family

ID=8780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993A KR20230121301A (en) 2022-02-11 2022-02-11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30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14A (en) 2000-10-27 2002-05-04 김세웅 Traveling device for roller-blade
KR200330248Y1 (en) 2003-07-22 2003-10-17 이규상 An in-line skate with attachable walking device
KR101248266B1 (en) 2010-11-16 2013-03-27 김종필 Motorized wal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14A (en) 2000-10-27 2002-05-04 김세웅 Traveling device for roller-blade
KR200330248Y1 (en) 2003-07-22 2003-10-17 이규상 An in-line skate with attachable walking device
KR101248266B1 (en) 2010-11-16 2013-03-27 김종필 Motorized wal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12104A (en) Articles for footwear
CN101094640B (en) Body weight support device and body weight support program
WO2017152536A1 (en) Electric powered skateboard
US4534124A (en) Spring-action running and jumping shoe
CN108295457A (en) Electric roller blades and electric roller skating equipment
KR20230121301A (en) Moto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CN113950361A (en) Automatic walking skis
CN211961098U (en) Anti-skid mechanism for shoe sole with electric control magnetic attraction
CN215653670U (en) Functional floor mat for gait training
CN112274876B (en) Auxiliary climbing tool for insulating porcelain insulator
CN110975271A (en) Electric roller skate
WO2022262994A1 (en) Powered device for propelling a surface on snow
CN2262353Y (en) Springboard shoes for playing
CN2449523Y (en) Shoes with springs
CN201299957Y (en) Electric roller skates
CN215874217U (en) Auxiliary shoe wearing device and seat
CN2211728Y (en) Force aiding shoe
CN212913598U (en) Stretcher capable of walking in coal mine
CN219001936U (en) Electric roller skate and assembled combined skateboard
CN2340219Y (en) Metal shoes for exercises
CN216674874U (en) Multifunctional short boot
US11890529B2 (en) Individual movement equipment constituted by a pair of motorized skates
CN211223751U (en) Backpack wearing combined electric skateboard roller skates
CN215653714U (en) Handle and golf bag applying same
CN218500105U (en) Enhancement mode puffed rice 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