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276A -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276A
KR20230121276A KR1020220017931A KR20220017931A KR20230121276A KR 20230121276 A KR20230121276 A KR 20230121276A KR 1020220017931 A KR1020220017931 A KR 1020220017931A KR 20220017931 A KR20220017931 A KR 20220017931A KR 20230121276 A KR20230121276 A KR 20230121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ourier
information
data
log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무두
김상윤
서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린씨
Priority to KR102022001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276A/ko
Publication of KR2023012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2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로부터 출고된 다수의 택배 물품을 하나의 물류 지점으로 입고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입고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 택배 물품의 송장 정보(배송정보)를 하나의 지점 단말기에서 검출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여기서 생성된 배송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택배 물품을 배송 위치별(또는 지역별)로 분류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분류된 택배 물품을 이전의 배송과정에서 수집된 배송원의 능률에 따라 배송지와 배송물품을 지정한 후 배송원 차량으로 출고시켜 출고정보를 생성하는 제 4단계, 해당 배송지로 택배 물품 배송이 완료되면 각각의 택배사 물품 배송 완료에 따른 배송 완료 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배송원 단말기에서 생성된 배송 완료 정보를 각각의 택배사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How to operate delivery data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of logistics by courier companies}
본 발명은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택배사 배송에 따른 거점 통합화를 통해 동일 지점에 대한 택배 물류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배송을 구현하기 위한 택배사 물류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과 인터넷 사용자의 확산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글로벌 소싱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시장은 괄목한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이다. 전자상거래 시장은 새로운 형태의 유통업으로서 성장 잠재력이 크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상거래 시장은 전화 및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구매된 상품의 운송을 위해 택배서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택배의 역사는 1992년 6월부터 시작되는데, 사람이나 업체가 포장된 상품이나 물품 등을 요구하는 장소까지 직접 배달해 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국가 내에 한정되지만, 국제 물류 회사의 경우 국제 택배를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택배 시스템이란, 이용자들의 욕구에 맞추어 등장한 수하물 등의 운송시스템으로서, 송달자를 방문하여 배송할 물건이나 서류 등을 인수한 후 이를 수령자의 댁내까지 방문하여 전달하는 배달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택배시스템의 예로서는, DHL과 같은 국가 간 또는 대도시간 항공 택배서비스와 국내의 지역 간 또는 대도시권역의 택배서비스를 들 수 있으며, 국내의 지역 간 택배시스템은 수하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화물차량과 같은 육상운송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뢰된 물품을 배송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3단계로 되어 있는데, 통상 의뢰인이 물품을 의뢰하게 되면 택배기사가 상기 의뢰인을 찾아가 물품을 픽업하는 과정과, 상기 물품이 본사의 터미널에 도착하여 목적지 별로 분류되는 과정과, 분류된 물품들이 하위 터미널이나 지점에 도착하여 각각의 영업소장(택배기사)에 의해 상기 물품들이 수하인에게 전달되는 배송과정으로 쉽게 설명될 수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으로 인하여 택배 대란이 일어날 만큼 택배 물류시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한 상공회의소가 발간한 2013년도 "택배서비스 이용실태"에 의하면 택배 서비스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배송 속도 및 정확도(42.9%)", "배송 상태(16.6%), "파손 및 분실 발생 시 처리 태도(13.8%), "택배 기사의 친절도(11.4%) 등을 꼽았다.
여기서 "배송 속도 및 정확도"는 쇼핑몰의 시스템 및 택배 서비스 회사가 구축한 물류 시스템에 의하여 결정되는 요소이나, "배송 상태", "파손 및 분실 발생 시 처리 태도", "친절도" 등은 소비자와 최종적으로 접촉하는 배송 기사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배송 기사가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송 서비스는 소비자의 만족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중요한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온라인 쇼핑 과정에서의 배송 서비스는 소비자에 의한 선택권한 없이 판매자와 계약된 택배 회사 및 택배 회사가 지정한 택배 기사가 일방적으로 물품 배송을 담당한다. 따라서 택배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고 효율성이 제고되는 택배 물류 배송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택배 물류의 폭발적으로 증가로 인하여 배송원(택배기사)의 업무 부담이 매우 크게 증대되고 있으며, 지점에서 출고된 택배 물품을 배송원이 일일이 배송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오배송의 문제나 분실 등 종합적으로 택배 물류 배송의 효율적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약 16개사의 택배사가 존재하고 있는데, 택배사마다 독립적으로 해당 배송원이 배송을 담당하기 때문에 동일한 배송일자, 동일자 배송지(또는 동일한 아파트, 근접 배송지)에 배송 택배가 존재할 경우 각각의 택배사 배송원이 동일한 배송지에 각각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중적인 물류 동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21-0147760호, 발명의 명칭 : 택배사 물류 통합화를 위한 택배 물류 배송 시스템 및 방법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출원된 발명은 복수의 택배사 물류를 일원화하여 동일 배송지점이나 근접 위치의 배송지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택배 배송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를 통해 배송 업무의 효율성과 기존의 배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배송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배송 데이터의 생성과 전송, 관리 절차를 개선하여 시스템 장애 시에도 운영이 가능하도록 절차를 개선하고, 발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송원 배송능률측정, 배송원 배송물품 분배, 배송 시간 단축, 배송현황 통계, 배송량 예측 등과 같은 배송 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배송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735276호 KR 10-1573218호 KR 10-1658690호 KR 10-1902055호 KR 10-2064294호 KR 10-2018-002901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택배사별 개별 배송으로 인한 분산된 택배 업무를 통합화하여 배송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통합화된 물류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장애 시에도 시스템을 운영하여 정확한 택배 물류 배송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택배 업무 통합화에 따른 배송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송업무 전반에 걸친 업무 효율과 통계, 예측 등의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택배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합화된 택배 물류를 기반으로 구축된 배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송 시점의 조건과 상황에 따른 배송원의 배송시간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송정보 생성 및 택배 물품 출고를 통해 배송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물류 배송 방법을 구현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로부터 출고된 다수의 택배 물품을 하나의 물류 지점으로 입고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입고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 택배 물품의 송장 정보(배송정보)를 하나의 지점 단말기에서 검출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여기서 생성된 배송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택배 물품을 배송 위치별(또는 지역별)로 분류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분류된 택배 물품을 이전의 배송과정에서 수집된 배송원의 능률에 따라 배송지와 배송물품을 지정한 후 배송원 차량으로 출고시켜 출고정보를 생성하는 제 4단계, 해당 배송지로 택배 물품 배송이 완료되면 각각의 택배사 물품 배송 완료에 따른 배송 완료 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배송원 단말기에서 생성된 배송 완료 정보를 각각의 택배사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단계는, 배송지별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배송지별에 따른 기상정보 및 월별, 요일별, 일별 배송량과 택배사별 배송량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제 1-2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단계는, 배송지별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되, 해당 택배 물품의 물품 카테고리별로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를 월별, 요일별, 일별 배송량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제 1-3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단계는, 입고된 상기 택배 물품에 대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동일한 아파트별(동일한 동, 동일한 단지)로 생성하거나, 동일한 주소지별, 근접 주소지별 택배 물품에 대한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3단계 후에는, 검출된 배송정보를 기반으로 배송원의 배송능률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배송능률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송지별 택배량과 물품정보 통계값을 검출하는 제 1-4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해당 택배 물품 배송 완료 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배송정보 데이터에서 개인정보(수령자 이름, 전화번호)를 삭제한 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배송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배송되는 하루 총 배송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여기서 산출된 상기 배송시간 정보와 배송원에게 할당되는 배송지별 하루 배송량을 기준으로 배송시간 정보를 반복 계산하여 배송원별 배송량에 따른 최단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제 1-5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5단계는, 해당 배송지로 택배 물품 배송이 완료되면, 각각의 택배사 물품 배송 완료에 따른 배송 완료 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생성하고 배송원의 배송 처리 성공률과 능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우선 택배사별 통합화된 배송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배송 정확성과 신속성을 통해 물품을 수령하는 소비자 측면에서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화된 택배 물류 시스템을 통해 배송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송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구축과 통계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인 배송 업무를 수행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상정보, 배송지별 배송량 정보, 물품 정보를 통계화하고 이를 기초로 최적화된 배송업무와 배송원의 배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합화된 택배 물류를 기반으로 구축된 배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송 시점의 조건과 상황에 따른 배송원의 배송시간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송정보 생성 및 택배 물품 출고를 통해 배송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택배 업무 통합화에 따른 배송 데이터를 활용하여 배송원의 배송 능률측정, 배송원 배송물품 분배, 배송 시간 단축, 배송현황 통계, 배송량 예측 등 배송업무 전반에 걸친 업무 효율과 통계, 예측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택배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의 세부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로부터 출고된 다수의 택배 물품을 하나의 물류 지점으로 입고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입고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 택배 물품의 송장 정보(배송정보)를 하나의 지점 단말기에서 검출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여기서 생성된 배송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택배 물품을 배송 위치별(또는 지역별)로 분류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분류된 택배 물품을 이전의 배송과정에서 수집된 배송원의 능률에 따라 배송지와 배송물품을 지정한 후 배송원 차량으로 출고시켜 출고정보를 생성하는 제 4단계, 해당 배송지로 택배 물품 배송이 완료되면 각각의 택배사 물품 배송 완료에 따른 배송 완료 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배송원 단말기에서 생성된 배송 완료 정보를 각각의 택배사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은 다수의 택배사를 통해 택배 물품을 배송하고 배송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지점(근접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 등을 기준)에서 배송정보를 일원화함으로써 배송 정보(배송시작, 배송중, 배송완료 등의 배송 전 과정)를 통합화하여 운영하고 관리함으로써 다수의 택배사 물류 정보를 일원화하고, 시스템의 장애 발생 시에도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 체계적인 배송정보 관리와 배송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기여하고자 하는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다수의 택배사로부터 출고된 다수의 택배 물품을 하나의 물류 지점으로 입고시켜 택배 물품의 입고 정보를 수집하는 제 1단계(S100)이다.
다수의 택배사로부터 수거되는 택배 물품은 동일한 배송지역(시, 구, 동 등의 배송지 주소 기준)에 위치한 물류 지점으로 입고되며, 여기서 입고된 택배 물품은 송장 정보에 따라 분류하면 배송원을 통해 배송지별로 배송된다. 이때, 상기 물류 지점에 구성되는 지점 관리 단말기를 통해 송장 정보를 인식하여 배송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게 되는데, 송장정보는 비젼카메라 방식이나 스캐닝 방식, 분류 작업자의 수작업 등을 거쳐 송장정보에 기초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S110).
여기서,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여러 택배사를 통해 입고된 물품 정보 뿐만 아니라, 송장정보에 포함된 배송지 주소, 수령자, 전화번호, 물품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지점을 전산적으로 관리하는 지점 관리 단말기에 저장된 후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동일한 배송지 또는 근접한 배송지에 따른 배송 위치별로 분류하여 분류 정보를 생성한다(S120).
상기 분류 정보는 동일한 배송지 또는 근접한 배송지에 따라 하나의 배송원이 해당 택배 물품을 일괄 배송하기 위한 것으로써, 동일한 배송지나 근접한 배송지에 해당하는 택배 물품은 하나의 배송원을 통해 출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택배 물품을 출고시키는 제 4단계(S130)를 수행하며, 여기서 출고된 택배 물품은 배송원이 차량에 탑재한 후 배송지로 배송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송원은 배송 작업에 사용되는 배송원 단말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분류 정보에 따라 해당 배송원이 출고한 택배 물품 리스트가 배송원 단말기에 업로드되어 배송 자료로 활용된다.
해당 배송원이 배송 작업을 수행하면서 배송이 완료된 택배 물품이 발생하면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제 5단계이다(S140). 배송완료 작업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배송완료 후 사진 촬영을 통해 완료 정보를 입력시킬 수도 있고, 배송리스트 현황에서 배송완료 후 완료 정보를 생성시킴에 따라 전산적으로 배송완료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배송원이 단말기를 통해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시키면 배송완료 정보는 지점 단말기와 택배 운영 서버로 제공하는 제 6단계이다(S150). 여기서 해당 신호는 지점 단말기를 거쳐 택배 운영 서버로 제공되거나 택배 운영서버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택배사 물품이 통합화된 택배 물류 배송과정에서 배송원이 배송하는 택배 물품에 배송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이를 각각의 택배사 택배 물품에 따른 택배사별 운영 서버로 배송완료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배송완료 정보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의 세부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화된 택배 물류 배송 시스템에서 배송 정보에 해당하는 배송 데이터 운영의 기술적 요지에 따라 통합화된 택배 물류 배송 데이터를 운영하기 위하여 보다 구체적인 기술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택배사로부터 입고된 택배 물품 정보에서 송장정보를 식별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구체적인 기술을 적용한다. 제 1-1단계(또는 제 1단계(S100))에서 입고된 택배 물품에 따른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한 후 여기서 배송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송지별(여기서 배송지는 동일한 배송자, 배송주소, 또는 근접한 배송지에 해당될 수 있음)에 따른 월별, 요일별, 일별 배송량과 이와 해당 배송량에 따른 택배사별 배송량 정보를 검출 및 저장하는 제 1-2단계(S210)를 포함한다.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물류 빅데이터 구축과 함께 배송량 정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배송의 효율성과 배송의 정확성, 또는 배송량 예측 정보를 구축하여 배송원의 배송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배송지별 배송량은 임의의 배송자에 대해 기상정보, 월별 배송량, 요일별 배송량, 일별 배송량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배송지에 배송량 특성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배송원의 배송 물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배송지에 대하여 주말인 토요일이나 일요일 배송량이 평소 배송량 보다 많을 경우 사전에 배송원을 통해 출고 시 배송 시간을 고려하여 출고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출고량에 따라 복수의 배송원을 선정하여 분산 배송시킬 수 있다. 이는 근접한 배송지별, 동일한 배송지별의 경우 배송원이 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송경로에 따른 배송량을 고려하여 배송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송정보 데이터 생성 과정에서 배송지별 배송량 정보를 분석하여 배송량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배송원을 통해 출고되는 택배 물품의 출고 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택배 물품의 물품 카테고리 정보를 분석하고 카테고리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 1-3단계(S220)를 구현한다.
상기 택배 물품의 카테고리별 정보는 물품의 종류와 물품의 크기, 물품의 무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도 상기 제 1-2단계의 목적과 마찬가지로 해당 배송지의 물품 특성 정보(물품 카테고리)를 분석함에 따라 배송원의 배송량이나 배송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배송지에 월말마다 생수나 쌀과 같은 비교적 무거운 제품 배송이 많을 경우 월말 해당 배송원의 배송 무게에 따른 배송업무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송량을 분산하여 다수의 배송원에게 출고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3단계(S220) 후에는 배송지별 택배량과 물품통계값을 검출하는 제 1-4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제 1-2단계(S210)와 제 1-3단계(S220)를 통해 배송량 정보와 물품 카테고리별 배송정보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를 기초로 배송지별 택배량과 물품 통계값을 검출하는 제 1-4단계(S230)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배송지별 택배량과 물품 통계값을 검출하는 것은 배송원의 출고량과 배송원의 피로도 개선, 이에 따른 업무 효율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택배량과 물품 통계값을 검출한다.
이를 통해 마지막으로 상기 배송지별 배송량과 물품 통계값을 반복적으로 계산하여 다음의 배송원에게 출고될 택배 물품 출고량과 함께 배송지별 배송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최적화된 출고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배송지별 배송시간 최적화를 위하여 배송원의 일일 배송시간 검출을 위하여 앞서 배송원이 해당 택배 물품을 완료한 후 배송완료 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자동으로 배송완료 시간을 생성하게 되고 이는 최초 배송 시작 시간과 최종 배송 완료 시간을 통해 배송원의 배송지별 배송 시간을 획득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송지별 배송량을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이를 기초로 배송원의 출고량을 결정함에 따라 배송시간 단축, 배송업무 효율화, 배송원의 업무량 조절을 통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위한 배송 시스템은, 크게, 판매자로부터 출고된 택배 물품을 배송지까지 배송되는 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 및 운영하는 택배 운영서버(100)와 각 센터로부터 입고된 택배물품을 최종 배송지까지 배송을 수행하는 지점에 대한 택배물품 관리를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지점 관리 단말기(200) 및 택배물품의 최종 배송지로 배송하는 배송원이 휴대하면서 출고(배송시작), 배송중, 배송완료 등 배송현황 전체를 관리하는 배송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택배 운영서버(100)는 택배물품에 대한 배송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관리 및 운영하는 것으로, 하나의 택배사에 대한 중앙 서버로써 역할을 수행한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온라인망을 통해 택배 물품의 흐름, 데이터베이스 운영, 타택배사의 연동 솔루션, 지점 데이터 수신, 데이터 조회, 통계, 분류 등 택배 물류 운영을 전반적으로 관리한다.
상기 지점 운영 단말기(200)는 거점별 입고되는 택배물품의 배송을 책임지는 지점에 위치한 단말기로써, 입고에서부터 배송원을 통해 출고되는 과정까지의 전과정을 운영 및 관리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존 복수의 택배사 물류를 거점에서 일원화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의 핵심적 기술 요지에 따라 하기 지점 운영 단말기(200)는 별도의 택배 물품들이 배송되는 거점에 해당될 수 있으며, 복수의 택배사가 통합화된 지점(거점)의 운영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위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점으로 택배물품이 입고되는 과정에서 배송원을 통해 해당 배송지까지 최종적으로 배송되는 전과정을 상기 지점 운영 단말기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한편, 배송원 단말기(300)는 배송원이 휴대하는 단말기에 해당하며, 택배 물품을 배송지까지 배송할 때 물품 관리를 위한 단말기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위한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택배사 물류 배송을 거점에서 통합화하여 동일한 배송지나 근접 배송지에 한명의 배송원이 일괄적으로 배송할 수 있는 물류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택배 운영서버A ~ 택배 운영서버Z(100)는 복수의 택배사가 운영하는 운영서버에 해당한다. 현재는 동일한 배송지에 대하여 택배사가 마다 각각의 배송원이 별도로 택배 물류를 배송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택배사 물류를 하나의 거점에서 일원화하여 한명의 배송원이 배송하기 위하여 거점 관리 단말기(200)에서 복수의 택배사로부터 입고되는 물류를 배송지별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출고를 실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명의 배송원이 다수의 택배 물품을 일괄적으로 배송하기 때문에 택배사마다 독립적으로 배송하는 방식보다 중복 배송 동선을 방지하고 배송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지점 관리 단말기(200)는 복수의 택배사 물품에 관한 배송 정보를 일괄 관리 및 저장하게 되며, 여기서 관리되는 정보는 상기 택배 운영서버(100)로 제공함으로써 물류 현황을 종합적으로 관리 및 운영한다.
한편,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지점 DB(210)에 일괄 관리되며, 상기 지점 관리 단말기는 배송량 정보, 물품 통계값, 배송 시간 관리 및 예측을 위하여 구동하며, 이를 위하여 내부적으로 데이터 관리 및 구축, 예측을 위한 시스템을 포함한다.
단,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 운영이 불가능할 경우 배송원 단말기(300)는 독립 운영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배송정보 데이터는 단말 DB(310)에 저장될 수 있고, 한 지점에서 다수의 배송원 단말기를 운영할 경우 배송원 단말기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DB(310) 데이터를 서로 동기화 하여 배송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시스템 장애가 복구될 경우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을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현재 복수의 택배사마다 지점 물류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거점 물류 센터에는 택배 지점 단말기(120)를 통해 출고 물품들을 관리하게 된다. 앞서 도 3과 도 4에서는 택배 지점이 없이 일괄적으로 지점을 통합화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택배사들과 지점 통합에 어려움이 있거나 또는 물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택배사 지점과 배송 통합화를 위한 지점이 분리된 형태가 도 5의 설명이다.
즉, 상기 택배 지점 단말기(120)는 택배사마다 지점을 두고 있는 위치에 구성되는 단말기에 해당하며, 상기 지점 관리 단말기(200)는 물류 통합화를 위한 별도의 지점에 구성되는 단말기에 해당되는 것이다.
상기 택배 지점 단말기(120)와 지점 관리 단말기(200)는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통합화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택배사 물류를 배송지에 따른 일률적 배송을 위한 통합화 모델을 구축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하여 하나의 거점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배송지에 한명의 배송원에게 출고되도록 택배 물류를 운영 및 관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점 관리 단말기(200)는 아파트별 또는 배송지 구역별, 근접 지역별, 주소별 등 다양한 형태로 거점 구역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배송원 지정을 통해 해당 지역을 보다 전문적이고 정확하게 배송될 수 있도록 택배 물류의 정확성을 제고한다.
이때, 동일한 아파트별(동일한 동, 동일한 단지)로 생성하거나, 동일한 주소지별, 근접 주소지별 택배 물품을 분류하면 배송원은 해당 아파트나 해당 지역에만 집중으로 택배 물품을 배송하기 때문에 시간 단축, 업무 효율성, 정확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고, 시간 단축에 따른 근무 환경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운영서버의 장애 또는 네트워크의 장애 시 배송원 단말기만으로 전 과정을 자체 수행하는 독립 운영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장애 발생시에 상기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배송에 관한 전 과정을 운영 및 저장한 후 장애 복구시 해당 데이터를 업로드(백업)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장애 시 배송원 단말기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배송 데이터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며, 장애 복구 시 처리된 데이터가 운영서버와 다시 동기화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통합화된 택배 물류 시스템을 통해 배송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배송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구축과 통계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인 배송 업무를 수행 및 관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배송지별 배송량 정보, 물품 정보를 통계화하고 이를 기초로 최적화된 배송업무와 배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통합화된 택배 물류를 기반으로 구축된 배송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배송시간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배송정보 생성 및 택배 물품 출고를 통해 배송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택배 운영서버
120 : 택배 지점 단말기
130 : 택배 지점 DB
200 : 지점 관리 단말기
210 : 지점 DB
300 : 배송원 단말기
310 : 단말 DB

Claims (8)

  1.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로부터 출고된 다수의 택배 물품을 하나의 물류 지점으로 입고시키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입고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택배사 택배 물품의 송장 정보(배송정보)를 하나의 지점 단말기에서 검출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여기서 생성된 배송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단계;
    상기 택배 물품을 배송 위치별(또는 지역별)로 분류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분류된 택배 물품을 이전의 배송과정에서 수집된 배송원의 능률에 따라 배송지와 배송물품을 지정한 후 배송원 차량으로 출고시켜 출고정보를 생성하는 제 4단계;
    해당 배송지로 택배 물품 배송이 완료되면 각각의 택배사 물품 배송 완료에 따른 배송 완료 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배송원 단말기에서 생성된 배송 완료 정보를 각각의 택배사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배송지별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배송지별에 따른 기상정보 및 월별, 요일별, 일별 배송량과 택배사별 배송량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제 1-2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배송지별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되,
    해당 택배 물품의 물품 카테고리별로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를 월별, 요일별, 일별 배송량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제 1-3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입고된 상기 택배 물품에 대하여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동일한 아파트별(동일한 동, 동일한 단지)로 생성하거나, 동일한 주소지별, 근접 주소지별 택배 물품에 대한 배송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단계 후에는,
    검출된 배송정보를 기반으로 배송원의 배송능률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배송능률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송지별 택배량과 물품정보 통계값을 검출하는 제 1-4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정보 데이터는,
    해당 택배 물품 배송 완료 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배송정보 데이터에서 개인정보(수령자 이름, 전화번호)를 삭제한 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상기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배송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배송되는 하루 총 배송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여기서 산출된 상기 배송시간 정보와 배송원에게 할당되는 배송지별 하루 배송량을 기준으로 배송시간 정보를 반복 계산하여 배송원별 배송량에 따른 최단시간 정보를 산출하는 제 1-5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해당 배송지로 택배 물품 배송이 완료되면, 각각의 택배사 물품 배송 완료에 따른 배송 완료 정보를 배송원 단말기를 통해 생성하고 배송원의 배송 처리 성공률과 능률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KR1020220017931A 2022-02-11 2022-02-11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KR20230121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31A KR20230121276A (ko) 2022-02-11 2022-02-11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31A KR20230121276A (ko) 2022-02-11 2022-02-11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276A true KR20230121276A (ko) 2023-08-18

Family

ID=8780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931A KR20230121276A (ko) 2022-02-11 2022-02-11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27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18B1 (ko) 2014-01-20 2015-12-01 주식회사 필룩스 이동식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690B1 (ko) 2012-10-19 2016-09-22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원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휴대용 배송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735276B1 (ko) 2015-08-31 2017-06-02 택배서비스 주식회사 택배 배송 시스템 및 택배 배송 방법
KR20180029012A (ko) 2018-03-08 2018-03-19 카페24 주식회사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KR101902055B1 (ko) 2015-12-21 2018-09-27 박준용 택배업체의 입출고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064294B1 (ko) 2018-02-21 2020-02-11 정효은 택배화물 분류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90B1 (ko) 2012-10-19 2016-09-22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원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휴대용 배송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573218B1 (ko) 2014-01-20 2015-12-01 주식회사 필룩스 이동식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5276B1 (ko) 2015-08-31 2017-06-02 택배서비스 주식회사 택배 배송 시스템 및 택배 배송 방법
KR101902055B1 (ko) 2015-12-21 2018-09-27 박준용 택배업체의 입출고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2064294B1 (ko) 2018-02-21 2020-02-11 정효은 택배화물 분류시스템
KR20180029012A (ko) 2018-03-08 2018-03-19 카페24 주식회사 택배 서비스 운영 방법 및 장치, 통합 택배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061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locating and selling items at attended delivery/pickup locations
US9126235B2 (en) Enhanced postal data modeling framework
US10636079B2 (en) Demand-based product sourcing
US84290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ed delivery of shipments with multiple shipment carriers
US9378479B2 (en) Last mile logistics
US11823117B2 (en) Delivery mode optimization in supply chain architecture
JP2010039961A (ja) 配送業務支援システム、配送予測時間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67126B2 (en) Out-of-store purchase routing systems, methods, and media
KR20230121276A (ko) 택배사 물류 통합에 따른 배송 데이터 운영방법
KR20240039457A (ko) 택배사 물류 통합 배송 시스템에 따른 물류 분류 방법
AU2019200581A1 (en) Last mile logistics
KR20230063000A (ko) 택배사 물류 통합화를 위한 택배 물류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9454A (ko) 물류 통합형 택배 배송 시스템을 활용한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JP3095674B2 (ja) 物流パレット管理装置
JP2023090094A (ja) 計画立案支援方法、計画立案支援プログラム及び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
JP2022136503A (ja) 資材供給システム及び資材供給方法
Ankalagi et al. ONLINE DOORSTEP COURIERS USING PH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