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227A - 시료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시료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227A
KR20230121227A KR1020220017716A KR20220017716A KR20230121227A KR 20230121227 A KR20230121227 A KR 20230121227A KR 1020220017716 A KR1020220017716 A KR 1020220017716A KR 20220017716 A KR20220017716 A KR 20220017716A KR 20230121227 A KR20230121227 A KR 20230121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ample
accommodating
accommodating tub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민
윤길제
Original Assignee
인탑스 주식회사
윤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탑스 주식회사, 윤길제 filed Critical 인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1227A/ko
Publication of KR2023012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2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9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 B01L3/0293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 G01N2001/005Packages for mailing or similar transport of samp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료 수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시료 수집 장치는, 시료가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 영역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추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측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상기 추출부로 토출시키는 시료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 수집 장치{SAMPLE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시료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 검진, 임신 중, 입원 혹은 수술 전 검사 등과 같이 검사 대상자의 건강 상태 등을 체크할 때의 한 방법으로 검사 대상자의 소변을 채취 및 제공하여 분석하는 소변 검사를 활용한다. 소변 검사는 요로 감염 등의 신장 및 비뇨기계 질환, 내분비 질환, 대사성 질환 및 전해질 이상 등을 비롯한 각종 질환을 선별할 수 있는 검사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부담이 적고 검사 방법 또한 간단하여 기본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소변 검사를 위해서는 보통 소변을 담기 위한 컵 등의 용기에 검사 대상자의 소변을 수집한 후, 추출부 등으로 검사를 위한 소량의 소변을 옮기고 원심분리 등을 통해 침전된 소변을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컵과 같은 용기에 소변 등을 담아서 이동 또는 추출부로 옮기게 될 경우, 소변이 액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컵 또는 추출부 외부로 배출되는 등 위생적으로 문제점이 있으며, 추출부로 옮기는 과정에서 검사에 필요한 소변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컵 등에 담긴 소변을 추출부로 옮기는 과정에서 소변이 외부에 노출될 경우, 검사 대상자로부터 수집한 소변의 성분이 변화하는 등, 검사를 위한 시료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료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료 수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시료 수집 장치는, 시료가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 영역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추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측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상기 추출부로 토출시키는 시료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이동부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료를 흡입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 내의 상기 시료를 토출하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을 감싸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용관; 상기 제 1 수용관보다 좁은 내경의 제 2 수용관; 상기 제 2 수용관보다 좁은 내경의 제 3 수용관; 상기 제 1 수용관과 상기 제 2 수용관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수용관과 상기 제 3 수용관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 1 수용관의 내측으로 수용되되, 상기 추출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뉼라는 상기 제 2 수용관 및 상기 제 3 수용관 각각과 결합하면서, 상기 제 2 수용관 및 상기 제 3 수용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캐뉼라의 일 영역이 상기 제 2 연결부에 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수용관은 내측으로 상기 캐뉼라를 수용하되, 상기 캐뉼라 보다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저면이 하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수렴부; 및 상기 수렴부를 둘러싸되 상기 수렴부 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의 내벽으로부터 이격하되, 상기 커버부의 중심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나사산 각각의 상측 단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가 다른 용기부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용기부는 상기 지지 돌기에 의해 상기 다른 용기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부를 수용부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용기부에 수용된 시료를 추출부로 수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시료를 추출부로 수집할 수 있어 외부 환경에 의해 시료가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 이동부가 수용부에 2중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료 수집 장치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3 수용관이 캐뉼라 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도치 않게 시료 이동부가 수용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 저면에 하측으로 경사지는 수렴부를 형성함으로써, 소량의 시료도 용이하게 추출부로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테두리부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시료 수집 장치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부의 외주면에 복수의 지지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부에 다른 용기부를 삽입하여 보관하되 용기부와 다른 용기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가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용기부가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100)는 용기부(110), 커버부(120), 수용부(130) 및 시료 이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10)는 시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용기부(110)에 수용된 시료는 시료 이동부(140)를 통해 흡입 및 토출되어 추출부(20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시료는 인체로부터 유래한 물질로서, 예를 들어, 소변, 혈액, 타액 등의 체액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료 이동부(140)를 통해 흡입 및 토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괄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10)가 원통형으로 표시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모양의 형상이 용기부(110)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각각의 상측 단부가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하는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20)의 내주면에는 용기부(110)의 복수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커버부(120)와 용기부(110)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부(110)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제 1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제 1 나사산(111)의 시작 지점과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제 2 나사산(112)이 형성되되 제 1 나사산(111)의 상측 단부와 제 2 나사산(112)의 상측 단부가 서로 이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20)에는 제 1 나사산(111) 및 제 2 나사산(112)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나사산이 용기부(110)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보다 작은 각도로 커버부(120)를 회전시켜 용기부(110)와 커버부(120)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돌기(113)는 용기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산의 하측에 2개 이상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돌기(113)는 용기부(110)의 상단 테두리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용기부(110)가 다른 용기부(110) 내에 삽입될 때, 지지 돌기(113)에 의해 다른 용기부(110)의 내면으로부터 용기부(110)가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10)는 저면이 하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수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부(110)에 수용된 시료는 수렴부(114)의 최하단을 향해 모일 수 있다. 이때, 캐뉼라(141)가 수렴부(114)의 최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소량의 시료가 용기부(110)에 수용되어 있더라도 용이하게 시료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용기부(110)는 하단 테두리가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테두리부(115)는 수렴부(114)를 둘러싸되 수렴부(114)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10)를 바닥면에 내려놓을 경우, 수렴부(114)가 바닥면과 이격하게 되어, 용기부(110)가 기울지 않고 바닥면에 안착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용기부(110)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용기부(110)와의 결합을 위하여, 커버부(120)의 내주면에는 제 1 나사산(111) 및 제 2 나사산(112)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끼움 결합, 걸림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커버부(120)와 용기부(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버부(120)의 상면에는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115)에 대응하는 안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121)에 다른 시료 수집 장치의 테두리부가 삽입되어, 복수의 시료 수집 장치(100)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시료 수집 장치(100)를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적층된 시료 수집 장치(100)가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안착홈(12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돌기(122)는 안착홈(121)의 내벽으로부터 이격하되, 커버부(120)의 중심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22)의 경사면을 통하여, 테두리부(115)가 보다 용이하게 안착홈(12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시료 수집 장치(100)를 적층할 때, 테두리부(115)를 안착홈(121)의 영역안에 삽입하기만 하더라도, 가이드 돌기(122)의 경사면을 통하여 테두리부(115)가 자연스럽게 안착홈(121)의 바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1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파지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10)와 커버부(120)를 결합 및/또는 분리할 때,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커버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수용부(130)는 추출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커버부(120)의 일 영역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 1 수용관(131), 제 2 수용관(132), 제 3 수용관(133), 제 1 연결부(134) 및 제 2 연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수용관(131)은 추출부(200)가 삽입될 때, 내측에 추출부(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부(12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수용관(131)은 커버부(120)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즉, 용기부(11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수용관(131)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수용관(131)의 내경은 추출부(200)의 외경에 대응하거나, 소폭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수용관(131)의 길이는 추출부(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되, 추출부(200)의 상당 정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부(200)를 용이하게 수용부(130)에 삽입할 수 있으며, 수용부(130)에 추출부(200)가 삽입된 후, 추출부(200)를 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추출부(200)의 측면을 제 1 수용관(131)이 지지할 수 있어 추출부(200)가 크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200)가 수용부(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움직이게 되어 니들(142)이 휘어지는 등, 시료 이동부(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수용관(132)은 제 1 연결부(13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제 1 수용관(131)보다 좁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시료 이동부(140), 특히, 캐뉼라(141)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 수용관(133)은 제 2 연결부(13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제 2 수용관(132)보다 좁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시료 이동부(140), 특히, 캐뉼라(141)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3 수용관(133)은 내측으로 캐뉼라(141)를 수용하되, 캐뉼라(141)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30)에 시료 이동부(140)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 3 수용관(133)의 하측으로 캐뉼라(141)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료 이동부(140)가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30)에 시료 이동부(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120)를 따로 보관하거나, 또는, 커버부(120)를 용기부(110)와 결합할 때, 제 3 수용관(133)의 하단이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다른 구조물에 부딪히거나 손으로 눌리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캐뉼라(141)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시료 이동부(140)가 결합 상태에서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3 수용관(133)은 수렴부(114)의 최하단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료가 용기부(110)에 소량이 수용되어 있더라도, 용이하게 시료를 흡입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3 수용관(133)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3 수용관(133)에 삽입되는 캐뉼라(141)는 외경이 일정할 수 있다. 즉, 캐뉼라(141)가 삽입될 때, 제 3 수용관(133)이 점점 좁아지도록 하여, 시료 이동부(140)가 안정적으로 제 3 수용관(133)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 3 수용관(133)에서 상대적으로 내경이 넓은 상단 영역에 제 3 결합부(137)로서 결합돌기가 위치하도록 하여, 캐뉼라(141)의 안정적인 삽입과 견고한 결합 및 밀폐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3 수용관(133)의 하단부와 캐뉼라(141)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여, 시료가 캐뉼라(141)와 제 3 수용관(133)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34)는 제 1 수용관(131)과 제 2 수용관(132)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결부(134)는 제 1 수용관(131)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수용관(131)에 추출부(200)가 삽입될 때, 추출부(200)의 일 단부는 제 1 연결부(134)에 안착함으로써, 추출부(20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135)는 제 2 수용관(132)과 제 3 수용관(133)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용부(130)에 시료 이동부(140)가 결합할 때, 캐뉼라(141)의 일 영역이 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연결부(135)는 제 2 수용관(132)의 하단으로부터 직경이 점점 감소하면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캐뉼라(141)에 형성된 안착 돌기(146)가 제 2 연결부(135)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200)가 수용부(130)에 삽입될 때, 시료 이동부(140)가 추출부(200)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연결부(135)의 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시료 이동부(140)는 수용부(130)의 하측 단부에 결합하여 용기부(110)에 수용된 시료를 추출부(200)로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캐뉼라(141), 니들(142) 및 실링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141)는 시료를 흡입하는 부분으로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는 시료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캐뉼라(141)는 제 2 수용관(132) 및 제 3 수용관(133) 내측에 구비되되, 제 2 수용관(132) 및 제 3 수용관(133) 각각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뉼라(141)의 상측 일 영역이 제 2 수용관(132)과 결합하고, 캐뉼라(141)의 하측 일 영역이 제 3 수용관(133)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수용관(132)의 내주면을 따라 제 1 결합부(136)가 형성되고, 캐뉼라(141)의 외주면을 따라 제 2 결합부(144)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제 3 수용관(133)의 내주면을 따라 제 3 결합부(137)가 형성되고, 캐뉼라(141)의 외주면을 따라 제 4 결합부(145)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부(136)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 2 결합부(144)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결합부(136)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제 2 결합부(144)에 결합홈이 형성되거나, 제 1 결합부(136) 또는 제 2 결합부(144)에는 결합홈 대신에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평탄면에 대한 결합돌기의 가압에 의해 캐뉼라(141)가 제 2 수용관(132)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제 2 수용관(132)의 적어도 일부는 PP, PE, 엘라스토머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3 결합부(137)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제 4 결합부(145)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 3 결합부(137)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 4 결합부(145)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거나, 제 3 결합부(137) 또는 제 4 결합부(145)에는 결합홈 대신에 평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평탄면에 대한 결합돌기의 가압에 의해 캐뉼라(141)가 제 3 수용관(133)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제 3 수용관(133)의 적어도 일부는 PP, PE, 엘라스토머 등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뉼라(141)가 제 2 수용관(132) 및 제 3 수용관(133)에 2중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시료 이동부(140)와 수용부(13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시료가 시료 이동부(140)와 수용부(130) 사이의 틈 등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나사 결합 구조 등을 적용할 경우, 나사 풀림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캐뉼라(141)와 수용부(130)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거나, 결합력의 약화로 인하여 캐뉼라(141)와 수용부(130) 사이의 공간으로 시료 등이 누출될 수 있으나, 캐뉼라(141)와 제 2 수용관(132) 및 제 3 수용관(133)이 홈-돌기 등의 결합 방식을 통하여 2중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캐뉼라(141)가 제 2 수용관(132) 및 제 3 수용관(133) 내측에 수용되고, 제 3 수용관(133)이 캐뉼라(141)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캐뉼라(141)를 직접 제 1 결합부(136) 및 제 3 결합부(137)와 결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시료 이동부(140)를 가압함으로써 캐뉼라(141)를 수용부(130) 내측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시료 이동부(140)를 결합시키는 경우, 캐뉼라(141)와 제 2 수용관 및 제 3 수용관(133)의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홈-돌기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끼움 결합, 걸림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캐뉼라(141)와 제 2 수용관(132) 및 제 3 수용관(133)이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캐뉼라(141)의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14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결합부(144)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146)가 형성되어, 캐뉼라(141)가 제 2 수용관(132) 및 제 3 수용관(133)과 결합한 상태에서 안착 돌기(146)가 제 2 연결부(135)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출부(200)가 수용부(130)에 삽입될 때, 시료 이동부(140)가 추출부(200)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니들(142)은 캐뉼라(141) 내의 시료를 토출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니들(142)의 적어도 일부는 캐뉼라(141) 내측으로 삽입 및 고정되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시료 이동부(140)가 수용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니들(142)의 상측 단부는 제 1 수용관(13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부(200)를 제 1 수용관(131)에 삽입하여 제 1 연결부(134)에 안착시키면, 니들(142)이 추출부(200)의 패킹부(220)를 관통함으로써 시료를 추출부(200)의 내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니들(142)이 캐뉼라(141)에 따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니들(142)은 캐뉼라(14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링 부재(143)는 니들(142)을 감싸서 밀폐하는 부분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200)를 제 1 수용관(131)에 삽입하여 제 1 연결부(134)에 안착시키면, 니들(142)에 의해 실링 부재(143)가 관통되어, 니들(142)과 추출부(200)가 연통할 수 있다. 이때, 실링 부재(143)는 추출부(200)에 의해 하측으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추출부(200)를 분리하면, 실링 부재(143)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니들(142) 내부에 남아 있는 시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추출부(200)는 수용부(130)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시료를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서, 추출관(210), 패킹부(220) 및 마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관(210)은 시료 이동부(140)를 통해 전달받은 시료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유리,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부(220)는 추출관(210)의 개방된 일 측에 결합되어 추출관(210)을 밀폐할 수 있다. 이때, 패킹부(220)는 니들(142)이 관통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230)는 패킹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추출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출부(200)를 수용부(130)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패킹부(220)가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출관(210)의 내측으로 시료를 수집한 후에 마개(230) 및 패킹부(220)를 분리하여 시료를 검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추출관(210)은 시료를 수집하기 전에, 마개(230) 및 패킹부(220)로 밀폐되되 내측에 음압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200)를 수용부(130)에 삽입함에 따라 니들(142)이 패킹부(220)를 관통하게 되면, 추출관(210)의 내측과 용기부(110) 내측과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시료가 용기부(110)로부터 추출부(20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관(210)이 패킹부(220) 및 마개(230)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료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추출부 및/또는 시험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세트의 단면도이다.
시료 수집 세트(300)는 적어도 하나의 시료 수집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추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 수집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의 시료 수집 장치(100)와 동일하게 설명되고, 추출부(200)는 도 4의 추출부(200)와 동일하게 설명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추출부(200)를 패킹부(220) 및 마개(230)가 제 1 연결부(134)를 향하도록 수용부(130)에 삽입할 수 있다. 수용부(130)에 삽입된 추출부(200)가 하강함에 따라 패킹부(220)가 실링 부재(143)를 가압하게 되고, 니들(142)이 실링 부재(143)를 관통하여 패킹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뚫고 삽입되게 된다. 이후, 추출부(200)의 일 단부(즉, 패킹부(220) 및/또는 마개(230))가 제 1 연결부(134)에 안착하게 되면, 니들(142)이 패킹부(220)를 완전히 관통하게 되어 니들(142)의 상측 단부가 추출관(210)의 내측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추출관(210)의 내측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료가 캐뉼라(141)를 통해 흡입되고, 캐뉼라(141)로 흡입된 시료는 니들(142)을 통하여 추출관(210)의 내측으로 토출됨으로써 용기부(110)의 시료를 추출부(200)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가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2 이상의 시료 수집 장치(100-1, 100-2)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시료 수집 장치(100-1, 100-2)는, 도 1 내지 도 3의 시료 수집 장치(100)와 동일하게 설명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시료 수집 장치(100-1)의 테두리부(115-1)가 커버부(120-1)의 안착홈(121-1)과 대응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안착홈(121-1)에 다른 시료 수집 장치(100-2)의 테두리부(115-2)가 삽입되어, 복수의 시료 수집 장치(100-1, 100-2)가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시료 수집 장치(100-1, 100-2)를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적층된 시료 수집 장치(100-1, 100-2)가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홈(121-1)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2-1)의 경사면을 통하여, 테두리부(115-2)가 보다 용이하게 안착홈(121-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이상의 시료 수집 장치(100-1, 100-2)를 적층할 때, 테두리부(115-2)를 안착홈(121-1)의 영역안에 삽입하기만 하더라도, 가이드 돌기(122-1)의 경사면을 통하여 테두리부(115-2)가 자연스럽게 안착홈(121-1)의 바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수집 장치의 용기부가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2 이상의 용기부(110-1, 110-2)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부(110-1, 110-2)는, 도 1 내지 도 3의 용기부(110)와 동일하게 설명되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용기부(110-1, 110-2)를 따로 보관할 때, 용기부(110-1)를 다른 용기부(110-2) 내에 삽입함으로써 2 이상의 용기부(110-1, 110-2)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돌기(113-1)가 다른 용기부(110-2)의 상단을 하방 지지함으로써 용기부(110-1)가 다른 용기부(110-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10-1)가 다른 용기부(110-2)의 내면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부(110-1, 110-2)의 외벽은 내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층된 2 이상의 서로 다른 용기부(110-1, 110-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1, 100-2: 시료 수집 장치
110, 110-1, 110-2: 용기부 111: 제 1 나사산
112: 제 2 나사산 113, 113-1: 지지 돌기
114: 수렴부 115, 115-1, 115-2: 테두리부
120, 120-1, 120-2: 커버부 121, 121-1, 121-2: 안착홈
122, 122-1, 122-2: 가이드 돌기 123: 파지 돌기
130: 수용부 131: 제 1 수용관
132: 제 2 수용관 133: 제 3 수용관
134: 제 1 연결부 135: 제 2 연결부
136: 제 1 결합부 137: 제 3 결합부
140: 시료 이동부 141: 캐뉼라
142: 니들 143: 실링 부재
144: 제 2 결합부 145: 제 4 결합부
146: 안착 돌기 200: 추출부
210: 추출관 220: 패킹부
230: 마개 300: 시료 수집 세트

Claims (11)

  1. 시료 수집 장치로서,
    시료가 수용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 영역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추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측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시료를 상기 추출부로 토출시키는 시료 이동부를 포함하는, 시료 수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이동부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료를 흡입하는 캐뉼라; 상기 캐뉼라 내의 상기 시료를 토출하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을 감싸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시료 수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용관; 상기 제 1 수용관보다 좁은 내경의 제 2 수용관; 상기 제 2 수용관보다 좁은 내경의 제 3 수용관; 상기 제 1 수용관과 상기 제 2 수용관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수용관과 상기 제 3 수용관을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시료 수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제 1 수용관의 내측으로 수용되되, 상기 추출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안착하는, 시료 수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는 상기 제 2 수용관 및 상기 제 3 수용관 각각과 결합하면서, 상기 제 2 수용관 및 상기 제 3 수용관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캐뉼라의 일 영역이 상기 제 2 연결부에 안착하는, 시료 수집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용관은 내측으로 상기 캐뉼라를 수용하되, 상기 캐뉼라 보다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시료 수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저면이 하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수렴부; 및 상기 수렴부를 둘러싸되 상기 수렴부 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시료 수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시료 수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의 내벽으로부터 이격하되, 상기 커버부의 중심을 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시료 수집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나사산 각각의 상측 단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하는, 시료 수집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가 다른 용기부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용기부는 상기 지지 돌기에 의해 상기 다른 용기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하는, 시료 수집 장치.
KR1020220017716A 2022-02-10 2022-02-10 시료 수집 장치 KR20230121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16A KR20230121227A (ko) 2022-02-10 2022-02-10 시료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716A KR20230121227A (ko) 2022-02-10 2022-02-10 시료 수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227A true KR20230121227A (ko) 2023-08-18

Family

ID=8780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716A KR20230121227A (ko) 2022-02-10 2022-02-10 시료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12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9398B2 (ja) 毛管作用採集装置および容器アセンブリ
US10935475B2 (en) Biological fluids concentration assembly
CN108601565B (zh) 用于从全血分离血清或血浆的样品容器和方法
US5202093A (en) Sealing cap with a one way valve having semi-cylindrical valve closure springs
JP4191372B2 (ja) 注射器用先端キャップ
KR20010041666A (ko) 소변 표본 용기와 그 사용 방법
RU2485033C9 (ru) Колпачок пробирки 187
CN111918824B (zh) 液体容器用定量排出装置
KR20230121227A (ko) 시료 수집 장치
EP0901822A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