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1135A -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1135A
KR20230121135A KR1020237024894A KR20237024894A KR20230121135A KR 20230121135 A KR20230121135 A KR 20230121135A KR 1020237024894 A KR1020237024894 A KR 1020237024894A KR 20237024894 A KR20237024894 A KR 20237024894A KR 20230121135 A KR20230121135 A KR 20230121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wake
terminal device
no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팅위 신
빙자오 리
레이 천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1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비-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지를 결정한다.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고,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제1 정보를 직접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Description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는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통해, 서비스가 도착하는 것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할 수 있다.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가 후속 서비스 처리를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검출할 수 있고, 여기서 DCI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라디오 리소스 및 이용된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같은 정보를 표시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DCI에 기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내용에 기반하여,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되는지,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가 관심이 있는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된다고 결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후속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Multicast Broadcast Service, MBS)가 있다는 것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할 때, 전술한 페이징 메커니즘과 유사한 메커니즘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MBS 표시가 DCI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MBS와 관련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임시 모바일 그룹 아이덴티티(temporary mobile group identity, TMGI)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페이징 메시지가 MBS만을 페이징하더라도, MBS에 관심이 없는 단말 디바이스는 여전히 DCI를 판독할 필요가 있고, DCI 내의 MBS 표시에 기반하여, 페이징이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하다고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심지어 DCI 및 페이징 메시지를 판독할 필요가 있고,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식별 정보 등에 기반하여, 페이징이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하다고 결정한다.
따라서, 전술한 페이징 메커니즘에서, MBS에 관심이 없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증가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이용되고, 웨이크-업 신호는 유니캐스트 서비스에만 관련되어, 다른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웨이크-업 신호가 이용되고, 웨이크-업 신호는 유니캐스트 서비스에만 관련되어,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서비스 상태와 연관된 웨이크-업 신호는 그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데 이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3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웨이크-업 신호들이 추가로 정밀화되어, 상이한 서비스 상태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제1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 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에 속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을 포함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표시하는데 이용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는,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신호들이 추가로 정밀화되고 그룹화되어, 상이한 서비스 상태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제1 정보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이 방법은,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조건은 서비스 상태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과 매칭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의 양태들 및 가능한 설계들의 유익한 효과들에 대해서는, 제1 양태를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세들은 설명되지 않는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 제1 웨이크-업 정보는 제1 정보에 대응함 - 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제1 정보에 대응함 - 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 방법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에 속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을 포함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제1 정보를 표시하는데 이용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는,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제1 정보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수신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것을 결정하고;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및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은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은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은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은 검출된 제3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제1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은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 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에 속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을 포함하며,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표시하는데 이용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것; 및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제1 정보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트랜시버 유닛은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조건은 서비스 상태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과 매칭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제1 웨이크-업 정보는 제1 정보에 대응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이 장치는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유닛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제1 정보에 대응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처리 유닛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에 속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을 포함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제1 정보를 표시하는데 이용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처리 유닛은,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제1 정보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제1 양태 및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메모리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제2 양태 및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명령어들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및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명령어들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2 양태 및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처리 회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스템을 제공한다. 처리 회로 및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양태, 제1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3 양태 또는 그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장치 또는 제5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제4 양태 또는 그 가능한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 장치 또는 제6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검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검출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신호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검출하는 또 다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항들, 및 첨부 도면들에서, 용어들 "포함하는", "갖는",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들 또는 유닛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열거된 단계들 또는 유닛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열거되지 않은 단계 또는 유닛을 선택적으로 추가로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유닛을 선택적으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항들, 및 첨부 도면들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은 상이한 대상들을 구별하도록 단지 의도되고 특정 순서를 설명하지 않는다.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실행 시퀀스들을 의미하지 않는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시퀀스들은 프로세스들의 기능들 및 내부 로직에 기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프로세스들에서의 번호들 또는 시퀀스 번호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구별을 위한 것에 불과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구성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에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은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의"는 2개 이상을 의미하고, "적어도 2개의 (항목들)"은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고, "및/또는"은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되고 3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의 3개의 경우들을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함, B만 존재함, 및 A 및 B 양자 모두 존재함, 여기서 A 및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 항목들(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유사한 표현은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실시예"는 이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위치들에 나타내진 문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부터 배타적인 독립적 또는 선택적 실시예가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이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와 적절히 조합될 수 있고, 실시예들에서의 용어들의 설명들 또는 서술들이 실시예들에서 상호 참조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그리고 암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 예를 들어, 4세대(4th generation, 4G) 통신 시스템, 4.5G 통신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 복수의 통신 시스템이 통합되는 시스템, 또는 미래의 진화된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6G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시스템, 무선 자기-조직화 시스템, 디바이스-대-디바이스 직접 통신 시스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관련된 통신 시스템, 및 다른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방법이 소개되기 전에,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용어들이 먼저 소개된다.
1: 서비스 상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서비스 상태는 다음의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 서비스 상태는 단말 디바이스가 유니캐스트 서비스만을 지원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유니캐스트 서비스에만 관심이 있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만을 수신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상태는 단말 디바이스가 MBS 능력을 갖지 않거나, MBS에 관심이 없거나, MBS를 수신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2.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서비스 상태는 단말 디바이스가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관심이 있거나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예상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3.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 서비스 상태는 단말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 관심이 있거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예상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2: 페이징(paging)
단말 디바이스는 각각의 페이징 사이클에서의 페이징 시기(paging occasion, PO)에서 슬립 상태로부터 웨이크-업하고,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지를 검출하고,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서비스 처리 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검출할 수 있다. DCI는 페이징 메시지를 운반하는 라디오 리소스 및 이용된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같은 정보를 표시한다. 그 후,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DCI에 기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내용에 기반하여,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되는지,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또는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가 관심이 있는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다고 결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후속하여 페이징 메시지에 기반하여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3: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 WUS)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웨이크-업 신호는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약하도록 설계된다. 웨이크-업 신호는 절전 신호 또는 WUS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전력을 추가로 절약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에서 DCI를 검출하기 전에 먼저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DCI 및 페이징 메시지를 추가로 검출한다.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DCI를 검출하지 않고, 페이징 사이클에서 슬립 상태를 계속하고, 다음 페이징 사이클의 PO에서 DCI를 검출하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고,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는지에 기반하여 대응하는 액션을 수행한다.
DCI를 직접 검출하거나 페이징 메시지를 직접 검출하는 것과 비교하여, UE가 웨이크-업 신호를 먼저 검출할 때 전력 소비 오버헤드가 더 낮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웨이크-업 신호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절전에 적용될 수 있거나,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절전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을 수신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절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장치가 아래에 설명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실행 주체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인 예만이 이용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으로 대체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1에는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만이 도시됨),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111) 및 단말 디바이스(11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와 통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통신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셀룰러 폰, 무선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미래의 진화된 공용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base station), 진화된 NodeB(evolved NodeB, eNodeB), 전송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5G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의 차세대 NodeB(next generation NodeB, gNB), 미래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또는 Wi-Fi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기지국의 일부 기능들을 완료하는 모듈 또는 유닛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또는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클라우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라디오 제어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다른 미래의 진화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특정 기술 및 특정 디바이스 형태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계층, 및 운영 체제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 및 메모리(메인 메모리라고도 지칭됨)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process)를 통해 서비스 처리를 구현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운영 체제, 예를 들어, Linux 운영 체제, Unix 운영 체제, Android 운영 체제, iOS 운영 체제, 또는 Windows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브라우저, 주소록, 워드 처리 소프트웨어, 및 인스턴트 메시징 소프트웨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코드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실행 주체의 특정 구조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실행 주체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양태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이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구성요소,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 구성요소(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구성요소(예를 들어,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라디오 채널, 및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00)는 트랜시버 유닛(1100) 및 처리 유닛(12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1000)는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 또는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처리 유닛(1100)은 수신된 신호 또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거나, 신호 또는 정보가 전송되기 전에 신호 또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유닛(1100)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속할 때, 처리 유닛(1100)은 트랜시버 유닛(1200)에 의해 수신된 신호 또는 정보에 대해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저대역 처리가 수행된 정보가 추가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유닛(1200)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라디오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 요청 메시지일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처리 유닛(1100)은 액세스 제어의 수행, 예를 들어, 시스템 부하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우선순위와 같은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허용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처리 유닛(1100)이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에 속할 때, 처리 유닛(1100)은 트랜시버 유닛(1200)에 의해 수신된 신호 또는 정보에 대해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유닛(1200)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 유닛(1100)은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DCI를 추가로 검출하기로 결정하고, 트랜시버 유닛(1200)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페이징 메시지가 처리 유닛(1100)과 관련되는지를 결정한다.
트랜시버 유닛(1200)은 신호를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유닛(1200)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속할 때, 트랜시버 유닛(1200)은 신호 또는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에 전송할 수 있다. 신호 또는 정보는 WUS, DCI, 페이징 메시지,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MCCH, 다운링크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트랜시버 유닛(1200)이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에 속할 때, 트랜시버 유닛(12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술한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트랜시버 유닛(1200)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속할 때, 트랜시버 유닛(1200)은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의 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또는 정보는 측정 보고, 업링크 데이터, 업링크 기준 신호, 다운링크 데이터의 수신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트랜시버 유닛(1200)이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에 속할 때, 트랜시버 유닛(1200)은 전술한 신호 또는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0)는 통신 유닛(130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 및/또는 전송은 통신 유닛(1300)과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300)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 속할 때, 통신 유닛(1300)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1에 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기지국이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도 기지국이다. 이 경우, 통신 유닛(1300)은 다른 기지국과 통신(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기지국이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이다. 이 경우, 통신 유닛(1300)은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신호 또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2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20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0)(도 3에는 하나의 프로세서만이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고, 트랜시버(2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2000)는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 또는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000) 내의 처리 유닛(1100)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장치(1000) 내의 트랜시버 유닛(1200)의 기능은 트랜시버(2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2000)의 다양한 구현들에서, 트랜시버는 수신기 및 전송기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는 수신 기능(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전송기는 전송 기능(또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시버는 전송 매체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2000)는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23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0)는 프로세서(2100)에 결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결합은 전기적 형태, 기계적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고,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정보 교환에 이용된다. 프로세서(2100)는 메모리(2300)와 협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메모리(23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0), 트랜시버(2200) 및 메모리(2300) 사이의 특정 접속 매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프로세서(2100), 트랜시버(2200), 및 메모리(2300)는 버스(2400)를 통해 접속된다. 버스는 굵은 선으로 표현된다.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의 접속 방식은 단지 설명을 위한 예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버스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단지 하나의 굵은 선이 도 3에서 버스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지만, 이것은 단지 하나의 버스 또는 단지 하나의 유형의 버스만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것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 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것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 등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시스템(3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3100) 및 인터페이스 회로(32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시스템(30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회로 시스템(3000)은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 또는 단말 디바이스(111) 또는 단말 디바이스(112)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처리 유닛(1100)은 처리 회로(310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트랜시버 유닛(1200)은 인터페이스 회로(320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회로(3100)는 칩, 로직 회로, 집적 회로,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칩 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32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100) 또는 처리 회로(3100)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구성요소 등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들, 단계들, 및 논리적 블록도들을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고 달성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행되고 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통신 장치 및 시스템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방법 실시예들에서, 실행 주체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디바이스인 예만이 이용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으로 대체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배치된 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보통, 페이징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서비스가 도착하는 것을 단말 디바이스에 통지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여, 후속하여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고, 다른 시간에는 휴면 상태에 있다(예를 들어, 수신기를 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DCI를 검출(또는 수신)하기 위해 각각의 페이징 사이클에서의 페이징 시기(PO)에서 웨이크-업하고, 그 후 검출된(또는 수신된) DCI에 기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페이징 메시지에서의 내용에 기반하여,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DCI 내의 SMS 메시지(단문 메시지)의 표시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추가로 판독할 수 있다(여기서, 예를 들어, SMS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표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단문 메시지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판독한다). 전력을 추가로 절약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각각의 PO에서 DCI를 청취하기 위해 웨이크-업하기 전에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고,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 후에만 DCI 및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현재의 페이징 사이클에서 DCI 및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다.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전송되기 때문에(여기서,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를 운반하거나,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서비스 식별 정보를 운반할 수 있음), 페이징된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하고 수신한 후에만 페이징 메시지가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되는지를 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의 서비스 상태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이지만, 페이징 메시지는 MBS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1)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만 페이징이 단말 디바이스(1)와 무관하다는 것을 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DCI(또는 웨이크-업 신호 및 DCI)를 검출하고,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을 낭비하고,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한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함으로써 야기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배터리 수명을 용이하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은 실행 주체들이 단말 디바이스(111)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인 예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111)는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웨이크-업 신호는 정밀화되고,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서비스 상태들에서의 상이한 웨이크-업 신호들을 검출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한 서비스 통지 정보를 검출 및 수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를 웨이크-업함으로써 야기되는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1a: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개시될 특정 서비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특정 서비스, 또는 데이터가 전송될 필요가 있는 단말의 서비스를 통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유니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유니캐스트 서비스 또는 MB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구체적으로, 멀티캐스트 서비스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구별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획득하는 방식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하나의 부분의 서비스 통지 정보를 먼저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의 페이징 또는 다른 정보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가 관련된 MBS 서비스의 통지, 예를 들어, 전송될 필요가 있는 MBS 또는 MBS 데이터의 시작을 가질 때, 코어 네트워크는 통지를 트리거링한다. 대응적으로, 서비스 통지 정보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아이덴티티(service identity, Service ID), TMGI, MBS 표시자, 서비스 유형(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UE ID)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을 요청하고,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하나의 부분의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통지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신호를 지원하는지의 능력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능력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에 미리 보고된다. 구체적으로, 능력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신호를 지원하는지, 웨이크-업 신호와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 사이의 시간 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와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 사이의 시간 갭은 웨이크-업 신호와 PO 사이의 최소 시간 갭을 나타내고, 최소 시간 갭은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능력과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로컬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아이덴티티(Service ID), TMGI, MBS 표시자, 또는 서비스 유형들(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로컬로 저장된다.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을 획득하는 방식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102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10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유니캐스트 서비스이거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유니캐스트 서비스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유니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10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서비스 통지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신호를 지원하는 능력 정보를 나타내면, S10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추가로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을 지원한다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페이징될 유니캐스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102를 수행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지 않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102를 수행하는 대신에 S103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페이징될 유니캐스트 서비스에 대응하는 단말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S102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 S101a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처리 유닛(1100), 프로세서(2100), 또는 처리 회로(3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01b: 단말 디바이스(111)는 서비스 상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상태의 설명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반복된 설명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제공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S102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102를 스킵하고 S103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들의 하나의 그룹을 동시에 페이징한다.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은 단말 디바이스(111) 및 단말 디바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임시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들(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ies, TMSI들)에 기반하여 단말 디바이스들을 상이한 그룹들로 그룹화할 수 있다. 동일한 그룹 내의 단말 디바이스들은 페이징 메시지를 검출 또는 수신하기 위해 동일한 페이징 시기(PO)에서 웨이크-업한다. 본 출원은 어느 단말 디바이스들이 그룹으로 그룹화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에서,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들의 서비스 상태들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112)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더라도(여기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그룹에 대한 서비스 통지 정보가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함), 단말 디바이스(111)는 S102를 수행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거나,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무시한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이면, 단말 디바이스(111)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지에 관계없이,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단계 S101b에서, 단말 디바이스(111)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단말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처리 유닛(1100), 프로세서(2100), 또는 처리 회로(3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02: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111)에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단계 S201a는 선택적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명시적으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것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이 경우, 단계 101b는 선택적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것을 명시적으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웨이크-업 신호는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단말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때,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려고 시도하지만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수신)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고, 다음 페이징 사이클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 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시기에서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도 6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A)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이고, 서비스 통지 정보가 페이징이고, 제1 정보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인 예가 설명을 위해 이용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페이징 사이클에서의 페이징 시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에 대응하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먼저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페이징 시기 1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웨이크-업하지만,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1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더 이상 검출하지 않지만, 다음 페이징 사이클(페이징 시기 2)까지 슬립 상태로 유지된다. 페이징 시기 2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다시 웨이크-업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2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추가로 수신하고, 페이징에서의 내용에 기반하여 후속 처리,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수행한다. 페이징 시기 3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다시 검출하려고 시도하지만,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3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더 이상 검출하지 않지만, 다음 페이징 사이클까지 슬립 상태로 유지된다. 상세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6의 (B)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고, 서비스 통지 정보가 페이징이고, 제1 정보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인 예가 설명을 위해 이용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는 각각의 페이징 사이클에서의 페이징 시기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검출 또는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페이징 시기 1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페이징 시기 1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수신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 페이징 사이클(페이징 시기 2)까지 슬립 상태로 유지된다. 페이징 시기 2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검출 또는 수신하기 위해 다시 웨이크-업한다. 페이징을 수신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에서의 내용에 기반하여 후속 처리,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것을 수행한다. 페이징 시기 3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다시 검출하려고 시도한다. 상세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정보에서 운반될 수 있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정보, 예를 들어, 라디오 리소스 제어 해제(RRC Release) 메시지와 같은 전용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WUS의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위치(WUS의 주파수 위치), WUS의 시간 도메인 리소스 위치, 구성된 최대 WUS 지속기간(Maximum WUS duration), 구성된 최대 WUS 지속기간의 끝으로부터 제1 연관된 PO까지의 최소 시간 갭(Minimum time gap from the end of the configured maximum WUS duration to the first associated P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트랜시버 유닛(1200), 트랜시버(2200),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3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111)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단말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트랜시버 유닛(1200), 트랜시버(2200),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3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03: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1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1 정보를 검출 또는 수신한다.
제1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일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가 페이징일 때, 제1 정보는 P-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가 시스템 정보일 때, 제1 정보는 시스템 정보-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아이덴티티(system information-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SI-RNTI) 또는 페이징-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아이덴티티(paging-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P-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가 MCCH일 때, 제1 정보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라디오 네트워크 임시 아이덴티티(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RNTI, M-RNTI) 또는 P-RNTI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제1 정보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통지 정보의 전송에 이용되는 라디오 리소스(예를 들어, 물리적 리소스 블록)를 포함하고, 변조 및 코딩 방식과 같은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S104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검출하거나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페이징 시기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직접 검출한다. 제1 정보를 검출하면(또는 제1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S104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
단계 S103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트랜시버 유닛(1200), 트랜시버(2200),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3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111)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단말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트랜시버 유닛(1200), 트랜시버(2200),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3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S104: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서비스 통지 정보는 페이징, 시스템 정보, 또는 MCCH 상에서 운반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은 통지될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및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가 페이징일 때,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는 TMSI일 수 있고,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는 TMGI일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는 대안적으로 시스템 정보 및/또는 MCCH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는 TMGI일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통지 정보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통지 정보가 페이징 또는 시스템 정보일 때, 서비스 통지 정보는 PDSCH 상에서 전송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에 기반하여 후속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통지 정보는 페이징이다. 페이징에서의 내용이 단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이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된다고 결정하고, 페이징에 응답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RRC 접속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대안적으로, 페이징에서의 내용이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페이징이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것, 즉,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가 관심이 있는 서비스인지를 결정하고, 페이징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RRC 접속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서비스 통지 정보는 대안적으로 시스템 정보 및/또는 MCCH 정보를 판독하도록 단말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및/또는 MCCH 정보는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해결책과 유사하게, 단말 디바이스는, 통지될 서비스의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페이징이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된다고 결정하고, 통지 정보에 응답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RRC 접속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것,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구성을 획득하는 것 등을 한다.
단계 S104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트랜시버 유닛(1200), 트랜시버(2200),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3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111)의 액션은 전술한 통신 장치(단말 디바이스로서 이용됨)에서의 트랜시버 유닛(1200), 트랜시버(2200),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3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는 선택적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이용되고, 웨이크-업 신호는 유니캐스트 서비스에만 관련되어, 단말 디바이스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경우에만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더 이상 검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 통지 정보에서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만을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도 추가로 수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을 절약하는데 유익하다. 시스템에서, 그 서비스 상태들이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단말 디바이스들의 비율이 더 높을 때, 또는 서비스 통지 정보에서의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만을 빈번하게 포함할 때, 더 나은 절전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웨이크-업 신호들이 상이한 서비스 상태들에 대해 설계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제1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다. 또한,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추가로 검출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이점들에 더하여, 그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201a: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1a를 참조한다.
또한, 단계 S201a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202a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202a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202b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202b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202a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 및 S202b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S201b: 단말 디바이스(111)는 서비스 상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1b를 참조한다.
단계 S201b와 단계 S101b 사이의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단계 S202a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한다는 점에 있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202b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202a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S202a: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111)에 전송한다.
구현에서, S201a 및 S202a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01a는 선택적이라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명시적으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구현에서, S201b 및 S202a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들은 단말 디바이스(111)가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것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01b는 선택적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2를 참조한다.
S202b: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111)에 전송한다.
구현에서, S201a 및 S202b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01a는 선택적이라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명시적으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구현에서, S201b 및 S202b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들은 단말 디바이스(111)가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201b는 선택적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2를 참조한다.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단말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때,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려고 시도하지만,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수신)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고, 다음 페이징 사이클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에서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상이한 시퀀스들을 이용할 수 있고/있거나, 상이한 라디오 리소스들(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는 또한 상이한 사이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신호의 사이클은 페이징 사이클과 동일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의 사이클은 페이징 사이클의 N배이고, 여기서 N은 1보다 크다.
도 8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검출하는 예를 도시한다. 서비스 통지 정보가 페이징이고 제1 정보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인 예가 설명을 위해 이용된다.
도 8의 (A)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라고 가정하면, 도 6의 (A)를 참조한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상세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제1 웨이크-업 신호 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는지에 관계없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 중 하나를 검출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의 전력 소비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웨이크-업 신호를 더 이상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시기 1 이전에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1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수신한다. 페이징 시기 2 이전에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2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페이징 시기 3 이전에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3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더 이상 수신하지 않고, 다음 페이징 사이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까지 슬립 상태로 유지된다.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서 운반될 수 있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정보, 예를 들어, 라디오 리소스 제어 해제(RRC Release) 메시지와 같은 전용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1 웨이크-업 신호의 라디오 리소스(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코드 도메인 리소스, 또는 공간 도메인 리소스 중 하나 이상)를 나타낼 수 있다. 구성 정보는 구성 정보가 제1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된다는 것 또는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라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의 라디오 리소스(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코드 도메인 리소스, 또는 공간 도메인 리소스 중 하나 이상)를 나타낼 수 있다. 구성 정보는 구성 정보가 제2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되거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라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 및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된 웨이크-업 신호를 결정한다.
S203: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1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1 정보를 검출 또는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3을 참조한다.
S204: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4를 참조한다.
이 단계는 선택적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니캐스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2 웨이크-업 신호가 이용된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고, 제1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후에만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 제1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유사하게,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신호(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후에만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되고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가 포함되는 실시예에 기반하여, 유니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제3 웨이크-업 신호가 추가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제1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다. 또한,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추가로 검출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제3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다. 또한, 제1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상이한 서비스 상태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301a: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1a 또는 S201a를 참조한다.
또한, 단계 S301a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302a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302a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302b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302b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302c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또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302c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302a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 S302b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 및 S302c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S301b: 단말 디바이스(111)는 서비스 상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1b 또는 S201b를 참조한다.
단계 S301b와 단계 S201b 사이의 차이는,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단계 S302a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한다는 점에 있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302b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302a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302c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S302a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 및/또는 S302b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S302a: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111)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2 또는 S202a를 참조한다.
S302b: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111)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2 또는 S202b를 참조한다.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단말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할 때,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려고 시도하지만,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수신)하지 않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고, 다음 페이징 사이클에 대응하는 페이징 시기에서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S302c: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3 웨이크-업 신호를 단말 디바이스(111)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202b를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는 상이한 시퀀스들을 이용할 수 있고/있거나, 상이한 라디오 리소스들(시간 도메인 리소스들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는 또한 상이한 사이클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이크-업 신호의 사이클은 페이징 사이클과 동일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의 사이클은 페이징 사이클의 M배이고, 여기서 M은 1보다 크고; 제3 웨이크-업 신호의 사이클은 페이징 사이클의 N배이고, 여기서 N은 1보다 크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제3 웨이크-업 신호,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검출하는 예를 제공한다. 서비스 통지 정보가 페이징이고 제1 정보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인 예가 설명을 위해 이용된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상세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 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상세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 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이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 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는 프로세스와 유사하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 중 어느 하나를 검출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의 전력 소비를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2개의 웨이크-업 신호들을 더 이상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시기 1 이전에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1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수신한다. 페이징 시기 2 이전에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2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수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페이징 시기 3 이전에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페이징 시기 3에서 다운링크 제어 정보 및 페이징을 더 이상 수신하지 않고, 다음 페이징 사이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까지 슬립 상태로 유지된다.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먼저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에서 운반될 수 있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정보, 예를 들어, 라디오 리소스 제어 해제(RRC Release) 메시지와 같은 전용 메시지에서 운반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1 웨이크-업 신호의 라디오 리소스(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코드 도메인 리소스, 또는 공간 도메인 리소스 중 하나 이상)를 나타낼 수 있다. 구성 정보는 구성 정보가 제1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된다는 것 또는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라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의 라디오 리소스(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코드 도메인 리소스, 또는 공간 도메인 리소스 중 하나 이상)를 나타낼 수 있다. 구성 정보는 구성 정보가 제2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되거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라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제3 웨이크-업 신호의 라디오 리소스(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코드 도메인 리소스, 또는 공간 도메인 리소스 중 하나 이상)를 나타낼 수 있다. 구성 정보는 구성 정보가 제3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되거나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라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와, 제1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 또는 제3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검출된 웨이크-업 신호를 결정한다.
S303: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제1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는 제1 정보를 검출 또는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3 또는 S203을 참조한다.
S304: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111)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S104 또는 S204를 참조한다.
이 단계는 선택적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유니캐스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 대응하는 제3 웨이크-업 신호가 이용되어,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고, 제1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후에만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 제1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유사하게,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웨이크-업 신호(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후에만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 및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유사하게,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웨이크-업 신호(또는 제3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고, 제3 웨이크-업 신호(또는 제3 웨이크-업 신호 및 제1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된 후에만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 제3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또는 제1 웨이크-업 신호, 제2 웨이크-업 신호, 및 제3 웨이크-업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웨이크-업 신호들이 추가로 정밀화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에 속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을 포함한다.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1 정보를 표시한다.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먼저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의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의 구성 정보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신호의 구성 정보는 대응하는 제2 웨이크-업 신호의 라디오 리소스(시간 도메인 리소스,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 코드 도메인 리소스, 또는 공간 도메인 리소스 중 하나 이상)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된 서비스 상태가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라는 것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 및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의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결정한다.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의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도 5, 도 7, 및 도 9의 프로세스들과 유사하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지 않은 내용만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세트를 포함한다.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또는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하나 이상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를 포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아이덴티티들, 예를 들어 TMGI들의 적어도 2개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TMGI들은 그룹들로 그룹화되고, TMGI들의 각각의 그룹은 하나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나타낸다. TMGI들의 각각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TMGI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TMGI는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몇몇 TMGI들은 TMGI들의 값들에 기반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예를 들어, TMGI 0 내지 5는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TMGI 6 내지 10은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TMGI들은 TMGI Mod X의 값들에 기반하여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여기서 Mod는 모듈로 연산을 나타내고, X는 양의 정수이다. 멀티캐스트 서비스 아이덴티티들의 각각의 그룹은 하나의 제2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한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하나 이상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서비스 속성 정보 TMGI 0 내지 5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 TMGI 0 내지 5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그 서비스 속성 정보 TMGI Mod 10이 0인 TMGI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그 서비스 속성 정보 TMGI Mod 10이 0인 TMGI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는 공공 안전(public safety), 차량-대-사물(vehicle-to-everything, V2X) 통신, 무선을 통한 소프트웨어 전달(software delivery over wireless), 그룹 통신(group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비스 유형은 하나의 제2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된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하나 이상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공공 안전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공공 안전 서비스 유형과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V2X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V2X 서비스 유형과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QoS 요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QoS 요건 정보 세트는 낮은 QoS 요건 정보 및 높은 QoS 요건 정보를 포함한다. 낮은 QoS 요건 정보는 하나의 제2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되고, 높은 QoS 요건 정보는 다른 제2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된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하나 이상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낮은 QoS 요건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낮은 QoS 요건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높은 QoS 요건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높은 QoS 요건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다른 구현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 QoS 요건 정보 세트 내의 각각의 부분의 QoS 요건 정보는 상이한 5QI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하나 이상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5QI=1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5QI=1과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통지 빈도가 제1 임계치 이하라는 정보,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이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하나의 제2 웨이크-업 신호와 연관된다. 서비스 통지 빈도는 요건에 기반하여 더 많은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상이한 서비스들이 상이한 서비스 통지 빈도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는 하나 이상의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현재 서비스 상태는 제1 임계치 이하인 서비스 통지 빈도 레벨에 대응하는 서비스 상태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통지 빈도 레벨이 제1 임계치 이하라는 정보와 연관된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3 웨이크-업 신호로 대체될 수 있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는 제3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2 웨이크-업 신호들 및 제3 웨이크-업 신호들은 개별적으로 정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에 속하고, 제2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신호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된다. 제3 웨이크-업 신호는 제3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에 속하고, 제3 웨이크-업 신호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3 웨이크-업 신호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된다. 상세들에 대해서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내용을 참조한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웨이크-업 신호들은 추가로 정밀화되고 그룹화되어, 상이한 서비스 상태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게 한다.
구현 해결책에서, 서비스 통지 정보(예를 들어, 페이징)를 나타내는 제1 정보(예를 들어, 페이징을 스케줄링하는데 이용되는 DCI)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한 후,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는 경우, 그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통지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하다고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해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유사하게, 그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단말 디바이스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한 후, 서비스 통지 정보의 내용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통지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하다고 결정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 및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해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이를 고려하여,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제1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되는지를 신속하게 획득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한 서비스 통지 정보의 수신에 의해 야기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정보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한다.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를 위해 제1 정보에서 1 비트가 이용된다. 1 비트의 값이 1인 경우, 서비스 통지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에만 관련된다. 이 경우, 그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단말 디바이스는, 1 비트의 값에 기반하여,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된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1 비트의 값이 0일 때, 서비스 통지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와 관련될 뿐만 아니라, 임의의 서비스 상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된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1 비트의 값과 통지될 서비스 유형 사이의 대응관계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것은 또한 이하의 설명에 적용된다.
다른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를 위해 제1 정보에서 2 비트가 이용되고, 1 비트의 값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 "1"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 것을 나타내고, 값 "0"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1 비트의 값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 "1"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 것을 나타내고, 값 "0"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대응적으로, 2 비트의 값이 "01"인 경우, 이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지만,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값 "10"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만,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다는 것임을 나타낸다. 값 "11"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고,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또한 통지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 및 제1 정보에서의 2 비트의 값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2 비트의 값이 "10"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된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2 비트의 값이 "01" 또는 "11"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된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기로 결정한다.
다른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를 위해 제1 정보에서 3 비트가 이용되고, 1 비트의 값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 "1"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값 "0"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2 비트의 값은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 "1"은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값 "0"은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3 비트의 값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 "1"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값 "0"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에 대응하여, 3 비트의 값이 "001"인 경우, 이는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고, 멀티캐스트 서비스도 통지되지 않지만,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값 "110"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만, 유니캐스트 서비스는 통지되지 않는다는 것임을 나타낸다. 값 "111"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 및 제1 정보에서의 3 비트의 값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일 때, 3 비트의 값이 "110"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된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3 비트의 값이 "001", "011", 또는 "111"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의해 표시된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기로 결정한다.
다른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표시를 위해 제1 정보에서 복수의 비트가 이용되고, 제1 비트의 값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 "1"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값 "0"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2 비트의 값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 "1"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값 "0"은 유니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비트들의 값은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비스 속성 세트가 2개의 서비스 속성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복수의 비트는 2 비트이고, 각각의 비트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은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제1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만,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제2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11"은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제1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 제2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통지됨을 나타낸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 및 제1 정보에서의 복수의 비트의 값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지를 결정한다. 구현 방법은 전술한 설명들과 유사하다. 상세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상태 및 제1 정보에서의 복수의 비트의 값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할지를 결정한다. 구현 방법은 전술한 설명들과 유사하다. 상세들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웨이크-업 신호, 제1 정보, 또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전송하는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설명을 참조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정보 또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설명을 참조한다. 상세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제1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통지 정보가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되는지를 신속하게 획득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무관한 서비스 통지 정보의 수신에 의해 야기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장치 실시예들은 단지 예들이다. 예를 들어, 유닛들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 분할이고, 실제 구현 동안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들 또는 구성요소들이 다른 시스템에 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들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일부 인터페이스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 또는 전기적 접속들, 기계적 접속들, 또는 다른 형태들의 접속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들로서 설명되는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표시되는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고, 하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해결책들의 기술적 효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들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이용될 때,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질적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 또는 기여들을 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이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수개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및/또는 처리를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및/또는 처리를 구현하는데 이용된다.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및/또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한다.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및/또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한다.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코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코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및/또는 처리가 수행된다.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코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코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정보 수신 및 전송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및/또는 처리가 수행된다.
전술한 설명들은 본 출원의 특정한 구현들에 불과하고,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35)

  1. 정보 수신 방법으로서,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정보(wake-up information)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검출된 제3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정보 또는 제2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에 속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표시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상기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정보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과 매칭되는 것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정보 전송 방법으로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정보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함 -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에 속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는데 이용되고,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는, 방법.
  17. 정보 수신 장치로서,
    서비스 상태가 유니캐스트 서비스 상태인 것을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및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지 않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멀티캐스트 서비스 상태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검출된 제3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 및/또는 제2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상기 검출된 제1 웨이크-업 정보 또는 제2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3.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에 속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상태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를 검출하기로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상기 검출된 제2 웨이크-업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검출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정보가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서비스 통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서비스 상태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과 매칭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6. 정보 전송 장치로서,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1 웨이크-업 정보 및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웨이크-업 정보를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트랜시버 유닛이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2 웨이크-업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대응하는,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제3 웨이크-업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에 속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는 적어도 2개의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제2 웨이크-업 정보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고 상기 제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서비스 아이덴티티 정보의 세트, 서비스 유형 정보의 세트, 서비스 품질 QoS 요건 정보의 세트, 또는 서비스 통지 빈도 정보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는 적어도 두 부분의 서비스 속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비스 속성 정보와 연관된 상기 제2 웨이크-업 정보 및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1.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서비스 통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또는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통지될 서비스 유형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 서비스, 또는 상기 유니캐스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의 세트 내의 각각의 서비스는 서비스 속성 정보의 세트 내의 하나의 서비스 속성과 연관되는, 장치.
  33.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명령어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통신 장치.
  34.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명령어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통신 장치.
  35.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24894A 2020-12-29 2020-12-29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230121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40992 WO2022141090A1 (zh) 2020-12-29 2020-12-29 一种信息接收方法,信息发送方法,以及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135A true KR20230121135A (ko) 2023-08-17

Family

ID=8225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894A KR20230121135A (ko) 2020-12-29 2020-12-29 정보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45371A1 (ko)
EP (1) EP4274329A4 (ko)
KR (1) KR20230121135A (ko)
CN (1) CN116671197A (ko)
WO (1) WO20221410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57408B (zh) * 2008-04-11 2012-11-21 中国人民解放军信息工程大学 一种无线传感器网络主动式休眠调度方法
CN104704895A (zh) * 2012-10-03 2015-06-10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m2m和mtc通信的广播/多播的使用
WO2019009683A1 (ko) * 2017-07-07 2019-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에서 프레임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95331A1 (en) * 2017-11-17 2019-05-23 Nokia Shanghai Bell Co., Ltd. Using wake up signal to skip paging dci
CN110753387B (zh) * 2018-07-24 2022-05-17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下行控制信道的监控方法及下行控制信道监控的控制方法
CN111225433B (zh) * 2018-11-26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CN113243128A (zh) * 2019-04-30 2021-08-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接收信息的方法及装置、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4329A4 (en) 2024-03-20
WO2022141090A1 (zh) 2022-07-07
EP4274329A1 (en) 2023-11-08
CN116671197A (zh) 2023-08-29
US20230345371A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47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1415147B (zh) 一种用户设备寻呼方法及设备
EP3619960A1 (en) Communication system
WO2018177431A1 (zh) 一种用户终端省电方法、装置
CN105307203A (zh) 寻呼消息的自适应监测方法及通信装置
US10999796B2 (en) System information sending method, system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device
US20220303900A1 (en) Wake-up signal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s
CN109104756B (zh) 唤醒方法、接入点和站点
KR20140022387A (ko) 아이들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 및 m2m기기
CN115209531A (zh) 寻呼消息的接收方法、终端设备及电子设备
US20230232328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node and network side device
EP4274329A1 (en)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2215136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aging
CN114982319B (zh) 寻呼处理方法及装置、用户设备、网络侧设备
CN113875292B (zh) 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CN115474161A (zh) 集群寻呼方法、装置、集群终端、网络设备及存储介质
CN115604664A (zh) 一种多播业务修改通知方法及通信装置
CN116746170A (zh) 基于短消息的mbs控制信道配置的更新方法
CN117528777B (zh) 一种寻呼方法以及相关设备
CN117641577B (zh) 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5474160B (zh) 集群系统消息更新的指示方法和装置
EP4346290A1 (en) Time window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WO2022188155A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21259250A1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设备
US2024014742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