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935A -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935A
KR20230120935A KR1020220017802A KR20220017802A KR20230120935A KR 20230120935 A KR20230120935 A KR 20230120935A KR 1020220017802 A KR1020220017802 A KR 1020220017802A KR 20220017802 A KR20220017802 A KR 20220017802A KR 20230120935 A KR20230120935 A KR 2023012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and
band antenna
antenna system
patch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567B1 (ko
Inventor
조정민
임태흥
추호성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567B1/ko
Publication of KR2023012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개구면을 공유하는 X 밴드 안테나와 S 밴드 안테나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 시스템이 개시된다. X 밴드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자파가 S 밴드 안테나에 가로막히지 않도록 S 밴드 안테나에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다. X 밴드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자파는 S 밴드 안테나의 슬롯을 통과해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개구면으로 방사되므로 X 밴드 안테나의 성능은 하락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SHARED APERTURE ANTENNA SYSTEM HAVING A MESH NET}
하기의 실시예들은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패치 안테나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와 메시 구조를 가진 다이폴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레이더는 항공기, 선박 등에서 주변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이다. 레이더는 전파를 방사하고, 주변 환경 등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전파를 다시 수신해 주변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주변 환경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파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하여 전송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지향성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한다.
안테나의 지향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이더의 탐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들을 모두 포함하여 배열 안테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가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방출되는 전자파의 경로를 가려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X밴드 및 S밴드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공통 개구면을 가지는 서로 다른 안테나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패치 안테나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된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패치 안테나들 사이의 슬롯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부 상기 제1 안테나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패치 안테나들의 편파 방향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슬롯을 구비한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패치 안테나들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제2 안테나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제3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안테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3 안테나로부터 간접 급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테나는 X밴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S밴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 상기 제1 안테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안테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밸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와 연결된 부분은 좁고 상기 수직부와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연장되며 직사각형 형상인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X밴드 및 S밴드에서 동작하는 광대역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된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통 개구면을 가지는 서로 다른 안테나들 간의 간섭이 감소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예 따른 S 밴드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반사 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최대복사방향에서의 이득(Bore-sight Gain)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방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 안테나(120)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2 안테나(131, 132)로 구성된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120)는 복수의 제1 패치 안테나들(121, 124)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평면상에 배열된 평면 배열 안테나일 수 있다. 제1 패치 안테나들(121, 124)은 유전체 기판(122, 123)상에 배치되며,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12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제2 패치 안테나(111, 112, 113, 114, 115)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평면상에 배열된 평면 배열 안테나인 제3 안테나(1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안테나(120)와 제3 안테나(110)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X 밴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3 안테나(110)를 구성하는 제2 패치 안테나(11, 112, 113, 114, 115)들의 크기는 제1 패치 안테나(121, 124)와 상이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3 안테나(110)를 구성하는 제2 패치 안테나(11, 112, 113, 114, 115)들의 크기는 제1 패치 안테나(121, 124)의 크기 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에서, 제3 안테나(110)는 급전 포트(미도시)에 직접 연결되어 급전 포트(미도시)로부터 직접 급전될 수 있다. 반면, 제1 안테나(120)는 제3 안테나(110)로부터 간접 급전 될 수 있다.
제2 안테나(131, 132, 144)는 패치 안테나들(121, 124) 사이의 슬롯(126)으로부터 제1 안테나(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144)와 제1 안테나(120)와 평행한 방향으로 수직부(144)와 연결되는 수평부(131, 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부(131, 132)는 패치 안테나들(111, 112, 113, 114, 115, 121, 124)의 편파 방향에 따라 형성된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안테나(131, 132, 144)는 제1 안테나(120) 또는 제3 안테나(110)와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S 밴드)에서 동작하는 다이폴 안테나 일 수 있으며, 두개의 수평부(131, 132) 및 수평부(131, 132)와 각각 연결되는 수직부(144, 미도시)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수직부(144, 미도시)들 사이에는 유전체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131, 133)의 상단에도 유전체 기판(140)이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군사용 레이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군사용 레이다 시스템은 적의 기체를 S 밴드 안테나를 이용해 탐지하고, X 밴드 안테나를 이용해 정밀하게 추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군사용 레이다 시스템이 적용되는 함정, 전투기 등은 설치 공간이 제한되므로 S 밴드 안테나와 X 밴드 안테나가 개구면을 공유하는 공통 개구면 안테나를 이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제1 안테나(120)와 제2 안테나(131, 132, 144)가 개구면을 공유한다. 또한, 제2 안테나(131, 132, 144)의 수평부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어 제2 안테나(131, 132, 144)는 제1 안테나(120)가 방사하는 전자파를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배열 안테나 시스템이 군사용 레이다 시스템에 적용된 경우 공통 개구면 안테나를 제한된 공간에 집적하면서도 각 안테나의 성능은 유지할 수 있어 소형 레이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안테나는 상단에 위치하는 패치 안테나(240) 및 하단에 위치하는 패치 안테나(220)를 포함한다. 각 패치 안테나(220, 240)는 유전체 기판(210, 23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각 패치 안테나(220, 240)의 크기는 상이하며, 그에 따라 동작 주파수는 상이하다. 도 2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패치 안테나(220)의 동작 주파수는 이고, 패치 안테나(240)의 동작 주파수는 일 수 있다.
도 2의 (b)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각 패치안테나(220, 240)의 동작 주파수인 (250), (260)는 X 밴드 내에 포함되며, 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X 밴드 안테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작 주파수 (250), (260)를 가진 패치 안테나(220, 240)들로 구성되어 광대역 특성이 우수하다.
패치 안테나(220, 240)가 동작하면, 전기장(221, 241) 및 자기장(211, 231)이 형성된다. 각 패치 안테나(220, 240)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전기장(221, 241) 및 자기장(211, 231)을 형성하도록 급전된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예 따른 S 밴드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S 밴드 안테나는 수직부(310, 330) 및 수평부(320, 340)로 구성된다. 수직부(310, 330)는 밸런(balun, 351, 352)을 통해 직접 급전 된다. 수직부(310, 330)는 X 밴드 안테나 위에 X 밴드 안테나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밸런(351, 352)는 X 밴드 안테나를 관통하여 X 밴드 안테나 하부에서 급전한다.
수평부(320, 340)는 수직부(310, 330)와 연결된 부분은 좁고, 수직부(310, 330)와 멀어지는 부분은 넓어지며(제1 수평부), 수직부(310, 330)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직사각형 형태로 연장된다(제2 수평부).
수평부(320, 340)에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X 밴드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자파가 통과하여 X 밴드 안테나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S 밴드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는 수평부(320, 340)의 폭 및 수직부(310, 33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평부(320, 340)의 폭에 따라 제1 동작 주파수 이 결정되고, 수직부(310, 330)의 높이에 따라 제2 동작 주파수 이 결정된다. 여기서, 제1 동작 주파수 과 제2 동작 주파수 는 상이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S 밴드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인 (360), (370)는 S 밴드 내에 포함되며, 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안테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작 주파수 (360), (370)를 가진 것과 유사하여 광대역 특성이 우수하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개구면을 공유하는 S 밴드 안테나와 X 밴드 안테나를 개구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X 밴드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411, 421, 431) 및 유전체(410, 420, 430)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이며, S 밴드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440, 450)이다. S 밴드 안테나는 유전체(410, 420, 430)들 사이의 슬롯(460)을 이용하여 X 밴드 안테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패치 안테나(411, 421, 431)로 구성된 X 밴드 안테나와 S 밴드 안테나(440, 450)가 개구면을 공유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X 밴드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치 안테나(411, 421, 431)의 일부는 S 밴드 안테나(440, 450)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패치 안테나(411, 421, 431)가 방사한 전자파는 S 밴드 안테나(440, 450)에 의해 차단되어 X 밴드 안테나의 성능을 크게 하락한다.
도 4의 (b)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 밴드 안테나는 수평부(470, 480)에 복수의 슬롯(472, 482)이 형성된다. S 밴드 안테나와 개구면을 공유하는 X 밴드 안테나가 방사한 전자파는 복수의 슬롯(472, 482)을 통과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X 밴드 안테나가 방사한 전자파는 선형 편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슬롯(472, 482)의 방향은 X 밴드 안테나가 방사한 전자파의 편파 특성을 고려하여, 전자파가 슬롯(472, 482)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X 밴드 안테나는 패치 안테나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가 사용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배열 안테나를 위아래로 배치하여 광대역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S 밴드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S 밴드 안테나와 개구면을 공유하는 X 밴드 안테나의 성능 하락은 S 밴드 안테나의 수평 부분에 슬롯을 형성하여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된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각 파라미터의 값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도 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반사 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X 밴드 안테나의 반사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선은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점선은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10dB를 기준으로 대역폭을 결정한다면, X 대역 안테나의 대역폭은 8.5GHz ~ 10.3GHz이며,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19%를 대역폭으로 확보할 수 있다.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경우에도 X 대역 안테나의 대역폭에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6의 (b)는 S 밴드 안테나의 반사 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선은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점선은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10dB를 기준으로 대역폭을 결정한다면, S 대역 안테나의 대역폭은 2.6GHz ~ 4.7GHz이며,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57%를 대역폭으로 확보할 수 있다.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경우에도 X 대역 안테나의 대역폭에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최대복사방향에서의 이득(Bore-sight Gain)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X 밴드 안테나의 최대복사방향에서의 이득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선은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점선은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X 밴드 안테나의 최대복사방향에서의 이득은 9.5GHz에서 형성되며,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경우에는 2.7dBi,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6.4dBi로 큰 폭의 성능 향상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도 7의 (b)는 S 밴드 안테나의 최대복사방향에서의 이득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선은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점선은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S 밴드 안테나의 최대복사방향에서의 이득은 2.7GHz에서 약 6.4dBi로, 슬롯의 유무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전자파 방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X 밴드 안테나의 전자파 방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X 밴드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자파는 S 밴드 안테나에 가로 막혀 S 밴드 안테나의 상단 부분으로는 거의 방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8의 (b)는 S 밴드 안테나에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X 밴드 안테나의 전자파 방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X 밴드 안테나에서 방사된 전자파는 S 밴드 안테나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할 수 있어 S 밴드 안테나의 상단 부분으로도 방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제3 안테나
111, 112, 113, 114, 115, 121: 패치 안테나
116: 슬롯
120: 제1 안테나
122, 123: 유전체 기판
131, 132, 제2 안테나
133, 140: 유전체

Claims (6)

  1. 복수의 제1 패치 안테나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된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패치 안테나들 사이의 슬롯으로부터 연장된 수직부;
    상기 제1 안테나와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패치 안테나들의 편파 방향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슬롯을 구비한 수평부를 포함하는 제2 안테나
    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치 안테나들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제2 패치 안테나들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되는 제3 안테나
    를 더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안테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포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는 상기 제3 안테나로부터 간접 급전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X밴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2 안테나는 S밴드에서 동작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하부에서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 상기 제1 안테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안테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밸런
    을 더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직부와 연결된 부분은 좁고 상기 수직부와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1 수평부로부터 연장되며 직사각형 형상인 제2 수평부
    를 포함하는 배열 안테나 시스템.
KR1020220017802A 2022-02-10 2022-02-10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KR102597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802A KR102597567B1 (ko) 2022-02-10 2022-02-10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802A KR102597567B1 (ko) 2022-02-10 2022-02-10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935A true KR20230120935A (ko) 2023-08-17
KR102597567B1 KR102597567B1 (ko) 2023-11-01

Family

ID=8780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802A KR102597567B1 (ko) 2022-02-10 2022-02-10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877B1 (ko) * 2023-10-12 2024-04-05 국방과학연구소 금속 3d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고출력 재밍시스템용 이중 편파 금속 비발디 배열 안테나 및 배열 안테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870A (ko) * 2011-11-01 2013-05-0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슬롯이 형성된 초크 박스를 가지는 안테나
KR20200121153A (ko) * 2019-04-15 2020-10-2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870A (ko) * 2011-11-01 2013-05-09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슬롯이 형성된 초크 박스를 가지는 안테나
KR20200121153A (ko) * 2019-04-15 2020-10-2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877B1 (ko) * 2023-10-12 2024-04-05 국방과학연구소 금속 3d 프린팅 방법을 이용한 고출력 재밍시스템용 이중 편파 금속 비발디 배열 안테나 및 배열 안테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567B1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087B2 (en) Wideband, low profile, small area, circular polarized UHF antenna
US10854994B2 (en) Broadband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hybrid radiating elements
US7109928B1 (en) Conformal microstrip leaky wave antenna
US9806419B2 (en) Array antenna device
US8044862B2 (en) Antenna system having electromagnetic bandgap
US9653801B2 (en) Selectable low-gain/high-gain beam implementation for VICTS antenna arrays
KR101954819B1 (ko) 1차원 강한 결합 다이폴 배열 안테나
US10886977B2 (en) Integrated end-fire MM-wave antenna array with low frequency metal-framed antenna
US11245197B2 (en)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JP5650409B2 (ja) トリプレート型平面アンテナ
KR102597567B1 (ko) 메시 구조를 가지는 공통개구면 안테나 시스템
CN114094318A (zh) 一种实现微带天线宽带宽角扫描的结构及微带天线单元
Maurya et al. CPW-fed dual-band compact Yagi-type pattern diversity antenna for LTE and WiFi
KR101891562B1 (ko) 이중대역 루프 안테나를 이용한 배열 안테나
KR102465297B1 (ko) 단락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장치
KR101988172B1 (ko) 이중 원형 편파 안테나 장치
KR101812315B1 (ko) 비접촉 접지 구조를 기반으로 안테나의 격리도를 개선하는 방법 및 비접촉 접지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WO2021100307A1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情報機器
CN109586014A (zh) 一种开口矩形腔内的单极子天线
KR20190002035A (ko) 힌지를 이용하여 편파 특성을 변경할 수 있는 안테나
KR102596948B1 (ko) 메시 구조를 가지는 적층형 공통개구면 배열 안테나 시스템
KR102308344B1 (ko) 상호 결합 특성이 개선된 유전체 안테나
KR102297437B1 (ko) 광대역 재밍신호 송신안테나
US20230019219A1 (en) Antenna device and array antenna device
CN220492202U (zh) 一种应用于x频段的宽带端射天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