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499A -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499A
KR20230120499A KR1020220017148A KR20220017148A KR20230120499A KR 20230120499 A KR20230120499 A KR 20230120499A KR 1020220017148 A KR1020220017148 A KR 1020220017148A KR 20220017148 A KR20220017148 A KR 20220017148A KR 20230120499 A KR20230120499 A KR 2023012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mmunication
operator
plmn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499A/ko
Priority to PCT/KR2023/001702 priority patent/WO2023153755A1/ko
Publication of KR2023012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using NAS message to support UE mobility managemen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mobility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mobility)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mobility를 관리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mobility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과 네트워크 환경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의 mobility를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 혹은 이를 기반으로 변형한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술된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관리 엔티티인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와 세션을 관리하는 엔티티인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가 분리 되었다. 이에 따라 4G LTE 통신 시스템에서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가 이동성 관리와 세션 관리를 함께 수행하던 것과 달리,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이동성 관리와, 세션 관리를 수행하는 엔티티가 분리되어 있어, 단말과 네트워크 엔티티 간에 통신 방법 및 통신 관리 방법이 변경이 되었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non 3GPP access에 대해서, N3IWF(Non-3GPP Inter-Working Function)를 거쳐 AMF를 통해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하고, SMF를 통해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AMF를 통해서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보안 관련 정보도 처리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4G LTE 시스템에서는 MME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를 같이 담당한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4G LTE 시스템의 네트워크 엔티티를 같이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non standalone architecture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이 한 사업자(operator) A의 통신망에 가입을 하고, 한 통신망에서 서비스를 받던 단말이 통신 사업자의 통신망이 일시적으로 장애가 생겨, 다른 통신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이다.
특히 통신 사업자가 바뀌고, 바뀐 통신 사업자의 non public network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사업자 A의 통신망에 가입한 단말이 A 통신망이 통신 기지국 화재 등으로 인하여 사업자 B의 non public network에서 서비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통신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mobility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과 네트워크 환경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5G 또는 NR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는 UPF(User Plane Function, 131),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121),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111), 5G RAN(Radio Access Network, base station, gNB, 103), UDM(User Data Management, 151), PCF(Policy Control Function, 161) 등의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엔티티들의 인증을 위하여,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141),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171) 등의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UE(User Equipment, Terminal, 101)는 기지국(5G RAN, Radio Access Network, base station, BS, gNB 103)을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non 3GPP access를 통해서 UE(101)가 통신하는 경우를 위해서 N3IWF( N3 interworking function)이 존재하고, non3GPP access를 통하는 경우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는 UE(101), non 3GPP access, N3IWF, SMF(121)에서 control하고,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위해서는 UE(101), non 3GPP access, N3IWF, AMF(111)를 통해서 control이 일어난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를 수행하는 엔티티가 AMF(111), SMF(121)로 분리 되어 있다. 한편, 5G 또는 NR 시스템은 5G 또는 NR 엔티티들로만 통신을 수행하는 stand alone deployment 구조와 4G 엔티티와 5G 또는 NR 엔티티들을 함께 사용하는 non stand alone deployment 구조가 고려되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UE(101)가 network와 통신함에 있어서 제어(control)는 기지국(103)에 의해 수행되고,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5G entity가 사용되는 형태의 deployment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E(101)와 AMF(111) 간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및 UE(101)와 SMF(121) 간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는 layer 3 인 NAS(Non Access Stratum)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layer 2인 AS(Access Stratum)는 UE(101)와 기지국(103)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가 기초하고 있는 통신망은 5G, 4G LTE 의 망을 가정하고 있으나, 통상의 기술력을 가진 자가 이해 할 수 있는 범주 안에서 다른 시스템에서도 같은 개념이 적용되는 경우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UE(101)는 사업자 A(operator A)에 가입하고, operator A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었다. 만일 operator A의 망이 통신 장비, 통신망 화재, 혹은 통신 장비의 통신 두절 상태가 일시, 혹은 몇 시간 동안 지속되어, 일시적으로 operator B, 혹은 operator B의 non public network의 통신망 B를 사용하는 것이 operator A와 operator B, 혹은 operator B의 non public network 사이에 협약이 되어 있는 경우라면, 단말(101)은 operator A의 망에서 장애 발생 시 operator B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configure)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로 단말(101)은 operator A의 통신 장애 시에, operator B의 통신망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단말(101)은 operator A 의 통신 장애 시에, operator B non public network의 통신망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의 이동성(mobility)을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5G 네트워크에서 통신망 이상 발생 시 서비스 단절 없이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로 (case 1),
201 단계에서 UDM(151)은 UE(101)가 통신 사업자 A(operator A) 망에 문제가 생긴 경우 UE(101)가 통신 사업자 B(operator B)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라도, 통신 사업자 A와 통신 사업자 B의 협약(agreement )에 기반하여 이러한 일시적인 service disruption이 발생한 경우 UE(101)는 통신 사업자 B의 망에서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UE(101)의 capability를 update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UE capability update 메시지는 AFM(111)를 통해 UE(101)에게 전송될 수 있다.
203 단계에서 UE(101)는 UDM(151)에게 UE capability update에 대한 respons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response 메시지는 AFM(111)를 통해 UDM(151)에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case2)
UE(101)는 registration request와 registration accept를 받는 과정에서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subscribed SNPN(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 preferred SNPN, high priority SNPN 등의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즉 UE(101)가 registration request를 AMF(111)에게 보내고, AMF(111)로부터 registration accept를 받으면서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subscribed SNPN(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 preferred SNPN, high priority SNPN 등의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case 3)
UE(101)는 RRC connection setup 과정에서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subscribed SNPN(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 preferred SNPN, high priority SNPN 등의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즉 UE(101)가 RRC connection request 를 NR(5G RAN)(103)에게 보내고, RAN(103)으로부터 RRC connection setup을 받으면서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subscribed SNPN(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 preferred SNPN, high priority SNPN 등의 정보를 받을 수 있다.
211 단계를 참조하면 UE(101)는 통신 operator A 망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혹은 UE(101)는 통신 operator A 망에 가입한 가입자로서 A 망에서 통신을 수행하려고 하는 중이다.
221-1, 221-3 단계를 참조하면, UE(101)가 통신 사업자 A 망에서 통신을 수행하던 중 사업자 A 망에 통신 장비에 이상이 발행하여, 통신 수행이 불가능하거나, 통신에 문제가 생겨 service가 disruption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service disruption되는 상황은 통신 국사, 기지국, 혹은 장비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231 단계를 참조하면 상기의 예와 같이, 통신 사업자 A 망에 문제가 생긴 경우 UE(101)가 통신 사업자 B의 가입자가 아닌 경우라도, 통신 사업자 A와 통신 사업자 B 의 협약(agreement )에 기반하여 이러한 일시적인 service disruption이 발생한 경우 UE(101)는 통신 사업자 B의 망에서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하 211 단계 이후부터는 UE(101)가 자신이 가입한 망이 아니나 자신이 가입한 통신사와 협약이 되어 있거나, 혹은 국가 regulation에 의해서 UE(101)가 가입한 통신 망이 두절된 경우, service가 허용되도록 협약이 되어 있거나, 지정이 되어 있는 통신망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사업자 망 B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업자 B의 non public network 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동작을 기술한다.
231 단계를 참조하면 UE(101)는 통신 사업자 B 망에 속하는 5G RAN에게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idle 상태의 UE(101)가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혹은 paging 에 대한 응답하고자, RRC 연결을 맺고자 시도하는 것이다. 상기 5G RAN은 operator B에 속하는 것일 수도 있고(103-04) 혹은 operator B의 non public network에 속하는 것(103-03)일 수도 있다.
233 단계를 참조하면 UE(101)는 5G RAN(103-03)으로부터 응답 메시지인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5G RAN(103-03)이 UE(101)의 연결 요청을 수락한 경우이다. UE(101)로부터 disaster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5G RAN(103-03)은 비롯 UE(101)가 해당 사업자 망에 가입한 UE가 아닐지라도 UE(101)가 접속을 시도한 사업자(예를 들면 여기서는 사업자 B)가 UE(101)가 가입한 사업자(예를 들면 여기서는 사업자 A)와 협약이 되어 있거나, regulation 이나 국가 정책 등에 의해서 UE(101)에게 일시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사업자라면 disaster 상황이라는 정보를 가지고 5G 에 접속을 시도한 UE(101)에 대해서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 예로 UE(101)는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subscribed SNPN(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 preferred SNPN, high priority SNPN 등의 정보를 받을 수 있다.
241-1 단계에서 UE(101)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스캔(scan)할 수 있다. UE(101)가 PLMN 을 scan 할 때에는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subscribed SNPN, preferred SNPN, high priority SNPN 등을 scan 할 수 있다. 이러한 PLMN scan 과정에는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PLMN 뿐 아니라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non public network도 스캔하게 된다.
241-3 단계에서 UE(101)는 PLMN 선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NPN, PLMN은 MCC(mobile country code)와 MNC(mobile network code)로 식별될 수 있다.
SNPN 관련 정보는 subscribed SNPN, preferred SNPN, high priority SNPN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Subscribed SNPN은 UE(101)가 가입한 SNPN, 혹은 UE(101)가 disaster 상황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허용된 subscribed SNPN 정보가 있을 수 있다.
Preferred SNPN은 UE(101)가 선호하는 SNPN, 혹은 network이 UE(101)가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기를 선호하는 SNPN 정보가 될 수 있다.
High priority SNPN은 SNPN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SNPN 의 정보일 수 있다.
셀의 PLMN 정보는 system 정보에 포함되어 broadcast 된다.
UE(101)는 초기에 전원을 켜면 사용 가능한 PLMN을 검색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적절한 PLMN을 선택한다. UE(101)의 NAS layer는 AS layer에게 PLMN selec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린다. UE(101)의 AS layer는 해당 band를 search 해서 PLMN list를 NAS layer에게 알려준다.
UE(101)의 NAS layer는 USIM(user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PLMN/RAT 선택의 우선 순위(priority) 순서에 따라 UE(101)를 등록하기 위한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UE(101)는 PLMN이 속할 셀 중 정규 셀(suitable cell)을 찾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을 선택한다. 정규 셀은 단말(101)이 정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셀로서 이 셀은 수용 가능한 셀이면서 동시에, 해당 단말(101)이 접속할 수 있는 PLMN에 속해야 하고, 단말(101)의 registration 등록 절차 수행이 금지 되지 않은 셀이어야 한다.
한편, 단말(101)이 제한된(limited)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셀은 수용 가능한 셀(acceptable cell)이라고 한다. 수용 가능한 셀은 단말(101)이 수용 가능한 셀에 camp on 하는 것이 금지(barring)되지 않고, 단말(101)의 셀 선택 기준을 만족시키는 셀이다. 즉 수용 가능한 셀은 신호 세기나 신호 품질 등이 만족되는 셀이다. 단말(101)이 limited service를 받는 경우는 응급 호출(emergency call)이나, 재해 경보 시스템(예를 들면, ETWS : earthquake and tsuami warning system)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이며, 이러한 서비스는 수용 가능한 셀(acceptable cell)에서 제공할 수 있다.
Case 1)
다음은 automatic PLMN 선택 방식이며, PLMN 선택 방식의 priority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UE(101)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PLMN을 선택한다.
1) RPLMN(registered PLMN) 또는 EPLMN(equivalent PLMN) 또는 DPLMN(disaster PLMN)
여기서 DPLMN 이란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등록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PLMN일 수 있다. 이러한 DPLMN은 UE가 HPLMN(home PLMN)에 등록에 성공하면,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AMF로부터 UE에게 전송될 수 있다.
Case 1-1)
일 실시 예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의 DPLMN 리스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subscribed된 subscrib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preferred 즉 선호도를 가진 preferred SNPN이 있을 수 있다.
Case 1-2)
일 실시 예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의 EPLMN 리스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는 disaster 상황에서 UE가 등록할 수 있는 PLMN 즉 disaster 상황에서 등록이 가능한 PLMN 즉 DPLMN을 EPLMN을 전송하는 list 즉 information element를 사용하여 AMF에서 UE에게 전송하는 경우이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subscribed된 subscrib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preferred 즉 선호도를 가진 preferred SNPN이 있을 수 있다.
2) user controlled PLMN과 access technology
3) operator controlled PLMN과 access technology
4) AS에 의해 high quality PLMN이라고 보고된 PLMN
Case 2)
다음은 automatic PLMN 선택 방식이며, PLMN 선택 방식의 priority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UE 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PLMN을 선택한다.
1) RPLMN 또는 EPLMN
2) user controlled PLMN와 access technology
3) operator controlled PLMN과 access technology
Operator controlled PLMN의 경우, operator가 UE에게 주는 정보이다. 이러한 operator controlled PLMN의 경우, USIM에 operator에 의해 configure되는 PLMN 정보일 수 있다.
혹은 operator controlled PLMN에 disaster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DPLMN 정보를 줄 수 있다.
Case 2-1)
일 실시 예로 operator controlled PLMN 리스트에 pre-configure되어 USIM에 저장된 형태로 UE에 configure될 수 있다.
혹은 Case 2-2) 경우, DPLMN을 AMF에서 UE에게 configure해주되 operator controlled PLMN에 저장하도록 하여, PLMN을 선택하는 우선 순위에서 operator controlled PLMN에서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DPLMN 이란 disaster 상황에서 UE 가 접속, 등록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PLMN일 수 있다. 이러한 DPLMN은 UE 가 HPLMN에 등록에 성공하면,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AMF로부터 UE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subscribed된 subscrib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preferred 즉 선호도를 가진 preferred SNPN이 있을 수 있다.
Case 2-2-1)
일 실시 예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의 DPLMN 리스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수신한 UE는 이를 operator controlled PLMN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subscribed된 subscrib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preferred 즉 선호도를 가진 preferred SNPN이 있을 수 있다.
Case 2-2-2)
일 실시 예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는 disaster 상황에서 UE가 등록할 수 있는 PLMN 즉 disaster 상황에서 등록이 가능한 PLMN 즉 DPLMN을 information element를 사용하여 AMF에서 UE에게 전송하는 경우이다. UE는 이 정보를 수신하면 Operator controlled PLMN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subscribed된 subscrib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preferred 즉 선호도를 가진 preferred SNPN이 있을 수 있다.
Case 3)
다음은 automatic PLMN 선택 방식이며, PLMN 선택 방식의 priority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UE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PLMN을 선택한다.
1) RPLMN, EPLMN
2) user controlled PLMN 와 access technology
3) operator controlled PLMN 과 access technology
4) AS 에 의해 high quality PLMN 이라고 보고된 PLMN
혹은 AS 에 의해 high quality PLMN 이라고 보고된 PLMN 중에서
사업자가 agreement 가 있는 경우에는 DPLMN 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Case 3-1)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 쓸 수 있는 PLMN 리스트에 pre-configure되어 USIM에 저장된 형태로 UE에 configure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subscribed된 subscrib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preferred 즉 선호도를 가진 preferr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high priority가 부여된 high priority SNPN이 있을 수 있다.
혹은 Case 3-2) 경우,
UE가 신호의 세기, 신호 품질을 만족하는 high quality PLMN 중에서 사업자가 agreement가 있어서 접속이 허용된 경우 DPLMN list에 저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DPLMN 이란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등록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PLMN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subscribed된 subscrib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preferred 즉 선호도를 가진 preferred SNPN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disaster 상황에서 UE가 접속 가능한 PLMN 중에는 UE가 disaster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high priority가 부여된 high priority SNPN이 있을 수 있다.
Case 4)
또 다른 방법으로는 manual PLMN 선택 방식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UE의 AS layer가 제공하는 PLMN list로부터 하나의 PLMN 선택하는 방식이다.
한편 UE(101)가 위치 등록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선택된 PLMN은 RPLMN 즉 registered PLMN(RPLMN)으로 되며, RPLMN은 위치 등록이 성공적으로 마쳐진 PLMN이 된다. 한편 Equivalent PLMN(EPLMN)은 RPLMN과 등가로 취급되는 PLMN이다. 또한 visited PLMN(VPLMN)은 UE(101)가 로밍 상태에 있어 UE(101)로 서비스가 제공될 때의 PLMN 을 말한다.
이하 251-1, 253-3 단계의 경우에 251-1 단계는 UE(101)와 5G RAN(103-03) 구간의 RRC 메시지이고, 이 RRC 메시지에 253-3 단계의 NAS 메시지가 UE(101)로부터 AMF(111-03)로 UE(101)와 AMF(111-03) 사이 구간에 전송될 수 있다.
251-1 단계를 참조하면 UE(101)는 5G RAN(103-03)에게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고 RRC connection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251-1, 253-3 단계에서 전송되는 RRC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는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실려가거나, 혹은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포함되거나, 혹은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piggy back 혹은 concatenate 되어서 실려갈 수 있다.
253-3 단계에서 UE(101)는 AMF(111-03)에게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 때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는 disaster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disaster 지시자를 설정하여 전송될 수 있다.
혹은 253-3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의 경우,
Case A) UE(101)가 disaster 상황에서 disaster roaming information update 혹은 disaster roaming을 지원하고 추가적인 정보나 policy 등의 upda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UE parameter update support information element, 혹은 UE disaster roaming information update support information ele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이러한 정보는 일반적인 information element 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이러한 정보는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element 일 수 있다.
Case A-1)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transparent container information element의 경우 보안화 예를 들면 암호화 되어 실려갈 수 있다.
Case A-2) 혹은 일 실시 예로 transparent information element의 경우 network 의 일부 node는 해당 정보를 볼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해당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entity, 일 예로 UDM, 혹은 공동의 검증할 수 있는 entity 등이 해당 정보에 대해 검증, 판단을 할 수도 있다.
Case A-3) 한편 일 실시 예로 UE(101)는 disaster 상황이 되어 UE(101)에 서비스해주는 사업자는, 자신이 가입한 사업자와 disaster 상황 시 roaming 형태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므로, network에서 해당 정보에 대한 보안 검증이 없이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transparent information element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Case A-4) 혹은 일 실시 예로 UE(101)는 disaster 상황이 되어 UE(101)에 서비스해주는 사업자는, 자신이 가입한 사업자와 disaster 상황 시 roaming 형태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므로, network에서 해당 정보에 대한 보안 검증을 임시 상황의 UE에 대한 roaming 형태로 제공되는 subscription에 근거하여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Case A-5) 혹은 일 실시 예로 UE(101)는 disaster 상황이 되어 UE(101)에 서비스해주는 사업자는, 자신이 가입한 사업자와 disaster 상황 시 roaming 형태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므로, network에서 사업자 간 공동으로 해당 정보를 관리하는 entity에서 해당 정보에 대한 검증 후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transparent information element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Case B. Case C)
한편 일 실시 예로 이러한 disaster roaming information update 관련 정보는 상기와 같이 UE(101)로부터 network으로 별도의 information element를 쓰지 않고,
Case B) UE parameter update support information element나
Case C) UE policy container information element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255 과정에서 AMF(111-03)는 UE(101)에게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로 case 1) AMF(111-03)에서 UE(101)에게 전송되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는 UE(101)가 해당 사업자 망에 임시로 등록한 것이므로 UE(101)가 해당 사업자 망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duration을 설정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처럼 AMF(111-03)가 disaster 상황에서 임시로 등록을 허용한 UE(101)의 경우 AMF(111-03)에서 UE(101)에게 보내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UE(101)에게 서비스가 허용되는 duration에 서비스 duration에 관한 timer를 설정하여 보낼 수 있다.
혹은 AMF(111-03)는 disaster 상황을 알리는 식별자 혹은 bit 를 설정해서 UE(101)에게 보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단말은 송수신부(310), 메모리(320), 프로세서(제어부,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단말의 프로세서(330), 송수신부(310) 및 메모리(3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330), 송수신부(310) 및 메모리(32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310)는 단말의 수신부와 단말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기지국 혹은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31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3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송수신부(310)는 송신부, 수신부, 통신부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310)는 유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3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3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310)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출력하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30)와 상기 송수신부(310)는 연결되어서 상기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부(310)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는 송수신부(410), 메모리(420), 프로세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통신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의 프로세서(430), 송수신부(410) 및 메모리(4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430), 송수신부(410) 및 메모리(42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PCF(Policy and Charging Function),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UDM(Unified Data Management), UPF(User Plane Function) 등의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41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수신부와 네트워크 엔티티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단말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4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41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4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부(410)는 유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410)는 송신부, 수신부, 통신부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410)는 통신 채널(예를 들어,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4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4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410)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출력하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망을 통해 단말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20)는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30)와 상기 송수신부(410)는 연결되어서 상기 프로세서(430)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부(410)가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220017148A 2022-02-09 2022-02-09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120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48A KR20230120499A (ko) 2022-02-09 2022-02-09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PCT/KR2023/001702 WO2023153755A1 (ko) 2022-02-09 2023-02-07 Nas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48A KR20230120499A (ko) 2022-02-09 2022-02-09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499A true KR20230120499A (ko) 2023-08-17

Family

ID=8756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48A KR20230120499A (ko) 2022-02-09 2022-02-09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0499A (ko)
WO (1) WO2023153755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755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667765B (zh) 无线通信系统中选择网络切片的方法和装置
US11930442B2 (en) Reducing wireless device service interruptions
US202301333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2010614B2 (en) Non-terrestrial networks for international areas
US202401217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y using satelli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417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재난 로밍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단말의 등록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040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n attack of false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20499A (ko) Nas 를 활용한 단말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1534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중단 최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040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for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546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for roam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2843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in satellite ran and cellular wireless ran communication environment
US202400317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ity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982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62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riority of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403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sion key for base station ver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62597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to acquire voice services in 5g sa deployment
KR202301205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에 대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40150295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65839B2 (en) Avoid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validation
US202403407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slice replacement based on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39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 and prior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40293A (ko) 위성 ran과 통신하는 단말과 amf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1425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efficient network sli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62804A1 (en) Network selec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