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04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제어 및 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제어 및 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049A
KR20230120049A KR1020220026277A KR20220026277A KR20230120049A KR 20230120049 A KR20230120049 A KR 20230120049A KR 1020220026277 A KR1020220026277 A KR 1020220026277A KR 20220026277 A KR20220026277 A KR 20220026277A KR 20230120049 A KR20230120049 A KR 2023012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ce
ric
control
message
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혁
강승원
고영성
이충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18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53809A1/ko
Priority to US18/310,783 priority patent/US20230337268A1/en
Publication of KR2023012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distributed unit)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DU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Near-RT(real time)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Near-RT(real time) RIC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제어 및 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S CONTROL AND CELL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에서 RIC에 의한 E2 노드, 셀(Cell)/슬라이스(Slice)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규격에 따르는 E2 메시지를 통해 E2 노드, Cell/Slice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5G 시스템, NR(new radio 또는 next radio)이 상용화가 되어서, 4G와 같이 5G 시스템을 통해 높은 데이터 전송률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고 또한 사물 인터넷 및 특정한 목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서비스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진 무선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4세대 통신 시스템 5세대 시스템 등과 혼용된 시스템에서 사업자들과 장비제공 업체에서 모여서 설립한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은 기존 3GPP 규격 기반으로 신규 NE(network element)와 인터페이스(interface) 규격을 정의하고, O-RAN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가 E2 노드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E2 노드, 셀(Cell), 슬라이스(slice)의 자원이 사업자에 의해 설정된 Service Level Agreement(SLA)를 충족하기 위한 RIC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SLA를 충족하기 위한 RIC 제어를 통해, E2 노드, 셀(Cell), 슬라이스(slice)의 자원 관리를 수행하도록 E2 노드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distributed unit)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DU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Near-RT(real time)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Near-RT(real time) RIC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Near-RT(real time)-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DU(distributed unit)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DU(distributed unit)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DU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distributed unit)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DU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Near-RT(real time)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게 전송하고,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Near-RT(real time) RIC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Near-RT(real time)-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DU(distributed unit)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DU(distributed unit)에게 전송하고,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DU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가 E2 노드, 셀(Cell), 슬라이스(Slice)의 자원을 제어(control)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4G(4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코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5G(5th generation) NSA(non-standard alone)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O-RAN을 위한 아키텍쳐(architecture)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접속 망에서 E2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메시지(application protocol message)의 프로토콜 스택(stack)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접속 망에서 기지국 및 RIC(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ce controller) 간 연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접속 망에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접속 망에서 E2 노드 및 RIC의 E2 메시지에 관련된 논리적 기능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E2 노드와 RIC간 기능 분리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E2 노드와 RIC의 구현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CU(centralized unit)와 RIC 간 기능 분리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로 다른 벤더(vendor)들을 위한 MLB(mobility load balancing)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서로 다른 벤더(vendor)들을 위한 MLB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near-RT RIC의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제어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도 12a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셀 제어(cell control) 메시지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셀 제어를 위한 E2 서비스 모델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c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셀 제어 기반의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a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코어망 및 E2 노드에서, PDU(protocol data unit) 세션(Session)DRB(data radio bearer), QoS(quality of service) 플로우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부분(slice portion)의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유 자원(shared resources), 우선 자원(prioritized resources), 전용 자원(dedicated resources)의 용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SMO(service management orchestrator)의 O1 설정(configuration)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O1 설정에서 슬라이스 설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O1 설정 절차의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Near-RT RIC로의 O1 설정의 전달을 위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부분 기반 자원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AN(radio access network) 내의 장치 및 RAN을 제어하는 장치 간 가입(subscription)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에서 E2 인터페이스 상에서 단말 별 성능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및, 기지국의 슬라이스 별 자원 관리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E2 메시지를 이용한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 규격에 따르는 기지국에 대한 서비스 이벤트(event) 발생시 Container 기반의 Measurement 메시지 전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테이블의 'M'은 필수적으로(mandatory) 포함되는 IE(information element)를 나타내고, 'O'는 선택적으로(optional) 포함되는 IE를 나타낸다.
4세대(4th generation, 4G)/5세대(5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 (예: NR(new radio))이 상용화됨에 따라, 가상화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 지원이 요구되게 되었다. 3GPP는 이동통신 관련 단체들 간의 공동 연구 프로젝트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IMT-2000 프로젝트의 범위 내에서 - 전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규격의 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3GPP는 1998년 12월에 개설되었으며, 3GPP 규격은 진보된 GSM 규격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무선(radio)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서비스 구조(service architecture)를 모두 표준화 범위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에, O-RAN(open radio access network)은 3GPP NE(network entity) 및 기지국을 구성하는 노드(node)들인 RU(radio unit), DU(digital unit), CU(central unit)-CP(control plane), CU-UP(user plane)를 각각 O(O-RAN)-RU, O-DU, O-CU-CP, O-CU-UP라고 새로이 정의하고, 그 외 추가로 NRT(near-real-time) RIC(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 규격화하였다. 본 개시는 RIC가 O-DU, O-CU-CP 또는 O-CU-UP에게 서비스를 요청하는 E2 인터페이스에서 사업자 특정 서비스 모델(operator specific service model)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O-RU, O-DU, O-CU-CP, O-CU-UP은 O-RAN 규격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RAN을 구성하는 객체들로 이해될 수 있고, E2 노드(node)로 지칭될 수 있다. RIC 및 E2 노드들 간 O-RAN 규격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RAN을 구성하는 객체들과의 인터페이스는 E2AP(application protocol)을 사용한다.
RIC는 단말과 O-DU, O-CU-CP 또는 O-CU-UP가 송수신하는 셀 사이트(cell site)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논리적 노드이다. RIC는 하나의 물리적 장소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O-DU와 RIC 간, O-CU-CP와 RIC 간, O-CU-UP와 RIC 간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O-DU와 RIC 간, O-CU-CP와 RIC 간, O-CU-UP와 RIC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 필요해졌으며, E2-DU, E2-CU-CP, E2-CU-UP 등의 메시지 규격 및 O-DU, O-CU-CP, O-CU-UP와 RIC 간 절차의 정의가 요구된다. 특히, 가상화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 지원이 요구되며, O-RAN에서 발생한 호 처리 메시지/기능을 RIC에 집중시킴으로써, 광범위한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E2-DU, E2-CU-CP, E2-CU-UP의 메시지의 기능 정의가 필요하다.
RIC는 O-DU, O-CU-CP, O-CU-UP에게 E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가입 메시지(subscription message)를 생성 및 송신함으로써 이벤트(event) 발생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IC은 E2 가입 요청(subscription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하고, E2 노드(node)(예: O-CU-CP, O-CU-UP, O-DU)에게 전달함으로써 호 처리 EVENT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EVENT 설정 후, E2 노드는 RIC에게 전달한 가입 요청 응답(Subscription Request Response) 메시지를 전달한다.
E2 노드는 E2 지시/보고(indication/report)를 통해 RIC에게 현재 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RIC는 O-DU, O-CU-CP, O-CU-UP에 대한 제어를 E2 제어(control)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O-DU에서 가입 이벤트(subscription event) 조건에서 설정된 주기별로, UE 단위의 측정 정보를 전송되는 E2 지시(indication) 메시지를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RIC에서 O-DU 로 전송되는 자원(resource)를 제어(control) 하기 위한 메시지를 제안한다.
도 1은 4G(4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코어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LTE 코어 시스템은 기지국(110), 단말(120), S-GW(serving gateway)(13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14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50), HSS(home subscriber server)(160),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170)를 포함한다.
기지국(110)은 단말(12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단말(110)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채널 상태 등 상태 정보를 취합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기지국(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110)은 MME(150)와 S1-MME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연결된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120)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120) 및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120)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고객 댁내 장치(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며, MME(1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어한다. 예를 들어, S-GW(130)는 기지국(110)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기지국(110)로 포워딩할 패킷을 처리한다. 또한, S-GW(130)는 단말(120)의 기지국들 간 핸드오버 시 앵커(anchoring)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P-GW(140)는 외부 망(예: 인터넷 망)과의 연결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P-GW(140)는 단말(120)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S-GW(130)에 대한 앵커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P-GW(140)는 단말(120)의 QoS(Quality of Service) 정책을 적용하며, 과금 데이터(account data)를 관리할 수 있다.
MME(150)는 단말(120)의 이동성(mobility)을 관리한다. 또한, MME(150)는 단말(120)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MME(150)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및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 MME(150)은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과 연동할 수 있다.
HSS(160)은 단말(120)의 인증을 위한 키 정보 및 가입자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키 정보 및 가입자 프로파일은 단말(120)이 망에 접속할 때 HSS(160)에서 MME(150)로 전달된다.
PCRF(170)은 정책(policy) 및 과금(charging)에 대한 룰(rule)을 정의한다. 저장된 정보는 PCRF(180)에서 P-GW(140)로 전달되고, P-GW(140)는 PCRF(18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20)에 대한 제어(예: QoS 관리, 과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이하 'CA') 기술은 복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들을 결합하고, 하나의 단말이 이와 같은 복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 또는 기지국 관점에서의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CA 기술에 따르면 단말과 기지국은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 각각 복수개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해 광대역을 이용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요소 반송파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다. 이하 상향링크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링크를 의미하며,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이 때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중/다중 연결 기술(dual connectivity or multi connectivity)은 하나의 단말이 복수의 서로 다른 기지국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복수의 각 기지국 내 반송파를 동시에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 또는 기지국 관점에서의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단말은 제1 기지국(예: LTE 기술 또는 4세대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제2 기지국(예: NR(new radio) 기술 또는 5G(5th 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동시에 연결되어 트래픽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각 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자원은 서로 다른 대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TE와 NR의 이중 연결 방식에 근간해 동작하는 방식을 5G NSA(non-standalone) 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2a는 5G NSA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고하면, 5G NSA 시스템은 NR RAN(210a), LTE RAN(210b), 단말(220), EPC(250)를 포함한다. EPC(150)에 NR RAN(210a), LTE RAN(210b) 이 연결되고 단말(220)은 NR RAN(210a), LTE RAN(210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로부터 동시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NR RAN(210a)은 적어도 하나의 NR 기지국을 포함하고, LTE RAN(210b)는 적어도 하나의 LTE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NR 기지국은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지노드비(next generation nodeB, gNB)'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NR 기지국은 CU(central unit) 및 DU(digital unit)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한, CU는 CU-CP(control plane) 유닛 및 CU-UP(user plane) 유닛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와 같은 구조에서, 단말(220)은 제1 기지국(예: LTE RAN(210b)에 속한 기지국)을 통해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을 수행하고,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서 제공되는 기능(예: 연결 관리, 이동성 관리 등)을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220)은 제2 기지국(예: NR RAN(210a)에 속한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LTE 및 NR을 이용한 이중 연결 기술은 EN-DC(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 NR dual connectivity)로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기지국이 NR 기술을 이용하고 제2 기지국이 LTE 기술을 이용하는 이중 연결 기술은 NE-DC(NR - E-UTRA dual connectivity)로 지칭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 외 다양한 형태의 다중 연결 및 반송파 집성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하나의 장치에 제1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제1 시스템과 제2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제2 시스템이 구현된 경우 또는 같은 지리적 위치에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이 위치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b는 O-RAN을 위한 아키텍쳐(architecture)의 예를 도시한다. E2 서비스 모델의 E2-SM-KPIMON(KPI(key performance indicator) monitoring)의 목적을 위해, E-UTRA 및 NR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를 이용하는 다중-연결(multi-connectivity) 동작 내의 O-RAN 비-독립형 모드(Non-stand alone)가 고려되는 한편, E2 노드는 O-RAN 독립형(Stand Alone) 모드에 있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O-RAN 비 독립형 모드의 배치(deployment)에서, eNB는 EPC와 S1-C/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O-CU-CP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O-RAN 독립형 모드의 배치(deployment)를 위한 O-CU-CP는 N2/N3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5G core)와 연결될 수 있다.
O-RAN은 RAN에 개방성, 민첩성, 확장성을 제공한다. RAN 진화를 위해 O-RAN은 개방적이고 상호 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RAN 가상화, 빅 데이터 및 AI 지원 RAN 인텔리전스 등을 지원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용 하드웨어 및 상용 실리콘의 사용을 극대화하고 전용 하드웨어 사용을 지양한다. 임베디드 또는 백엔드 AI(Artificial Intelligence)/ML(machine learning)시스템은 NRT(near realtime), non-NRT(non-realtime) 해석(analytics)을 통하여 네트워크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O-RAN은 표준화된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갖춘 가상화된 지능형 네트워크를 구성 가능하도록 한다.
Near-RT RIC와 E2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는 E2 인터페이스로 정의된다. E2 인터페이스에서 무선 네트워크 계층(radio network layer)은 E2AP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E2AP 절차는 E2AP Near-RT RIC functional procedure와 E2AP Global procedure로 구성된다. E2AP Near-RT RIC functional procedure는 xApp (Near-RT RIC applications)과 E2 노드의 target function 간에 application specific message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2AP Global procedure는 E2 interface management와 service update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접속 망에서 E2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메시지(application protocol message)의 프로토콜 스택(stack)을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 평면은 전송 망 계층(transport network layer) 및 무선 망 계층(radio network layer)을 포함한다. 전송 망 계층은 물리 계층(310), 데이터 링크 계층(320), IP(internet protocol)(330),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340)을 포함한다.
무선 망 계층은 E2AP(350)을 포함한다. E2AP(350)는 가입 메시지(subscription message), 지시 메시지(indication message),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 서비스 갱신 메시지(service update message), 서비스 쿼리 메시지(service query message)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SCTP(340) 및 IP(330)의 상위 계층(higher layer)에서 전송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접속 망에서 기지국 및 RIC(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ce controller) 간 연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RIC(440)는 O-CU-CP(420), O-CU-UP(410), O-DU(430)와 연결된다. RIC(440)는 새로운 서비스 또는 지역적 자원 최적화(regional resource optimization)를 위한 RAN 기능성(functionality)를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장치이다. RIC(440)는 망 지능화(network intelligence)(예: 정책 강제(policy enforcement), 핸드오버 최적화(handover optimization)), 자원 보증(resource assurance)(예: 무선 링크 관리(radio-link management), 개선된 SON(advanced self-organized-network)), 자원 제어(resource control)(예: 부하 균형(load balancing), 슬라이싱 정책(slicing policy))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RIC(440)는 O-CU-CP(420), O-CU-UP(410), O-DU(4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IC(440)는 각 노드와 E2-CP, E2-UP, E2-DU 인터페이스로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O-CU-CP와 DU 사이, O-CU-UP와 DU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F1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DU와 O-DU, CU-CP와 O-CU-CP, CU-UP와 O-CU-UP는 혼용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RIC(440)를 예시하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RIC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복수의 RIC들은 동일한 물리적 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의 하드웨어를 이용한 가상화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에 예시된 구조는 도 5의 RIC, O-CU-CP, O-CU-UP, O-DU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코어 망 장치는 통신부(510), 저장부(520), 제어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510)는 네트워크 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통신부(510)는 코어 망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즉, 통신부(510)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510)는 모뎀(modem),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510)는 코어 망 장치가 백홀 연결(예: 유선 백홀 또는 무선 백홀)을 거쳐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 다른 장치들 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520)는 코어 망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5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520)는 제어부(5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530)는 코어 망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30)는 통신부(5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530)는 저장부(5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5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530)는 장치가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접속 망에서 E2 노드 및 RIC의 E2 메시지에 관련된 논리적 기능을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RIC(640) 및 E2 노드(node)(610)는 상호 간 E2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2 노드(610)는 O-CU-CP, O-CU-UP, O-DU,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E2 노드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E2 노드(610)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2 노드(610)는 E1 인터페이스 혹은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E2 노드(616)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E2 노드(610)는 X2 인터페이스 혹은 XN인터페이스를 통해 E2 노드(616)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E2 노드(610)은 S1 인터페이스 혹은 NGAP(next generation application protocol) 인터페이스(즉, NG(next generation) RAN 노드와 AMF 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E2 노드(610)는 E2 노드 기능(E2 node function)(612)을 포함할 수 있다. E2 노드 기능(612)은 RIC(640)에 설치된 특정 xApp(application S/W)(646)에 상응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KPI 모니터(monitor) 경우, RIC(640)에 KPI 모니터 수집 S/W가 설치되어 있고, E2 노드(610)는 KPI 파라미터들을 생성한 후, KPI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E2 메시지를 RIC(640)에 위치한 E2 종단(termination)(642)에 전달하는 E2 노드 기능(612)을 포함할 수 있다. E2 노드(610)는 RRM(radio resource management)(614)를 포함할 수 있다. E2 노드(610)는 단말을 위한 무선 망에게 제공되는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RIC(640)에 위치한 E2 종단(642)은 E2 메시지에 대한 RIC(640)의 종단으로서, E2 노드(610)에 의해 전달된 E2 메시지를 해석한 후, xApp(646)에게 전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RIC(640)에 위치한 DB(database)(644)가 E2 종단(624) 혹은 xApp(616)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E2 노드(610)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종단으로서, 단말, 주위 기지국, 코어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메시지들의 종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E2 노드와 RIC간 기능 분리의 예들을 도시한다. O-RAN 규격은 E2 노드와 RIC 간의 기능 분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E2 노드는 CU일 수 있다. RIC는 Near RT RIC일 수 있다. RIC는 A1 인터페이스를 통해 ONAP(open network automation platform)/MANO(managmenet and orchestration)/NMS(network management system)와 연결될 수 있다. RIC는 E2 노드와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E2 인터페이스는 명령(commands)을 전달할 수 있다. 기능 분리 옵션은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전체를 near-RT RIC에서 관리하는 기능 분리(700), RRM을 선택적으로 near-RT RIC에서 관리하는 기능 분리(750)이 존재할 수 있다.
2019/01/16 회의의 WG3 결정에 따라 Near-RT RIC은 nRT-RIC에 위치한 특정 RRC-RRM 알고리즘 구현과 관계없이 다중 공급 업체 환경을 목표로하는 개방형 논리적 인터페이스로 E2를 지원할 예정이다. 본 개시에서 우리는 각 I/F 및 NE(network entity)에 대한 Per UE RRC 메시지를 삽입(inject)/수정(modify)/구성(configuration)을 수행할 수 있는 E2SM-NI와 쌍을 이루는 E2SM-RIC (E2 Service Model Radio Interface Control)이 제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능 분리(750)에서 점진적으로 기능 분리(700)의 방향으로 Near RT RIC는 개선될 수 있다. E2는 nRT-RIC에있는 특정 RRC-RRM 알고리즘 구현과는 독립적이고 다중 공급 업체 환경을 목표로하는 개방형 논리적 인터페이스로 발전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E2 노드와 RIC의 구현 예를 도시한다. 구현 예(800)의 시나리오에서, E2 노드(예: O-DU, O-CU)와 RIC는 클라우드 플랫폼(예: 개방형 섀시 및 블레이드 사양 에지 클라우드)에 가상화되어, 장치(예: 서버)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O-DU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에 충분히 낮은 지연 시간(latency)으로, 중앙 위치에 풀링되는 BBU 기능을 허용하는 풍부한 프런트홀(fronthaul) 용량으로 밀집된 도시 지역에서의 배포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O-DU 기능을 중앙 집중화 할 수있는 한계 이상으로 RT에 가까운 RIC을 중앙 집중화하려고 시도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E2SM-RIC은 O-Cloud Platform에서 Near-RT RIC, O-CU 및 O-DU가 구현되는 O-RAN 배포 시나리오에 최적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CU(centralized unit)와 RIC 간 기능 분리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기능 분리들은 배치 시나리오 #1(900) 또는 기능 배치 시나리오 #2(950)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배치 시나리오 #1(900): RIC가 별도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다른 NE로만 존재하며, 몇 가지 인텔리전스 필수 기능을 대체하거나 권장된다.
배치 시나리오 #2(950): RIC는 3GPP I/F 관리를 제외한 CU의 거의 모든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두 가지의 시나리오들을 도시하나, 그 외에 다른 시나리오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배치 시나리오 #1(900)에서 Mobility 기능이 CU가 아닌 RIC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배치 시나리오 #1(900)에서 UE 컨텍스트 기능이 CU가 아닌 RIC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배치 시나리오 #1(900)에서 세션 설정 기능이 CU가 아닌 RIC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로 다른 벤더(vendor)들을 위한 MLB(mobility load balancing) 제어의 예를 도시하다. 이러한 MLB는 RRM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CU와 제1 DU는 벤더 A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CU와 제2 DU는 벤더 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 DU는 벤더 A의 서비스 영역(area)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DU와 연결되는 RU들은 벤더 A의 서비스 영역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DU는 벤더 B의 서비스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DU와 연결되는 RU들은 벤더 B의 서비스 영역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이 이동 시, 어떠한 셀이 최적인지에 대하여는 부하 분산(load balancing))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부하 분산이 서로 다른 벤더에 의해 수행된다면, 벤더들의 서비스 영역들이 겹치는 공간에서는 부하 분산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벤더 간 영역(inter vendoer zone) 혹은 CU-CP 간 영역(inter CU-CP area))에는 벤더들 간의 인터워킹(interworking)을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벤더들 간 인터워킹을 위해, RRM 제어는 중앙 집중 형태로 수행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RIC는 RRM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IC는 각 E2 노드로부터 단순히 측정을 수신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 E2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RIC는 각 E2 노드(예: DU 또는 CU-CP, CU-UP)에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로 다른 벤더(vendor)들을 위한 MLB 제어의 예를 도시하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단일 벤더(single vendor)로 동작한다면, RAN 컨텍스트는 Near-RT RIC에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이벤트/REPORT, INSERT, POLICY 조건들이 작동할 수 있다. 제어 동작(control action) 또한 작동하고, 일반적인 하위 기능 정의 접근 방식 또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벤더들로 동작하게 되면, RAN 컨텍스트는 Near-RT RIC에서 확인될 수 없다. 또한, 트리거 이벤트/REPORT, INSERT, POLICY 조건들이 작동하지 않는다. 제어 동작(control action)은 국소(local) RRM의 충돌로 인해, 작동하지 않거나 구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단일 E2SM-RAN 컨트롤(control)은 다중 벤더 환경의 O-RAN 상황에서 제대로 동작하기 어렵다. 모든 RAN 특징(feature)들을 고려할 때, 기능 패리티(function parity)와 동작 패래티(operation parity)가 있기 때문이다. RAN 기능 패리티는 RRM 기능들과 관련된 특징들의 차이를 의미한다(예: QoS(quality of service) 핸드오버, LB(load balancing) 핸드오버 등). RAN 동작 패리티는 RAN 동작들과 관련된 특징들의 차이를 의미한다 (예: EN-DC SCG 베어러 변경 절차). 뿐만 아니라, REPORT/INSERT/CONTROL/POLICY에 대한 동작들은 정확한 RAN CONTEXT를 식별할 수 없다. 또한, REPORT/INSERT/CONTROL/POLICY 동작들은 REPORT/INSERT/ POLICY에 따른 트리거 이벤트/조건들을 식별할 수 없다. 또한, 해당 동작에서는 특정 배치에서는 RAN 컨텍스트를 참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11a를 참고하면, 무선 통신 환경(1100)은 총 3개의 벤더들을 통해 구성되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도시한다. 벤더 A는 NR 공급자일 수 있다. 벤더 B는 LTE 공급자일 수 있다. 벤더 C는 RIC 공급자일 수 있다. 상술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어떠한 벤더의 E2 노드가 연결되더라도, 이들을 모두 관리할 수 있는 하나의 엔티티가 요구된다. 서로 다른 벤더들이더라도, near-RT RIC는 이들의 측정 정보를 모두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near-RT RIC는 관리 및 제어를 다른 엔티티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near-RT RIC가 중앙 집중형으로 RRM을 수행함으로써, 벤더들 간의 차이 및 호환성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RAT일지라도, 벤더들 간의 차이 및 호환성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near-RT RIC에 의한 집중형 방식의 RRM은, RIC 기반 RRM 제어 혹은 E2 노드의 좀비 모드(zombie mode), E2SM-RIC의 좀비 모드, E2SM-RIC 전용 모드 등의 용어로 지칭되어 서술될 수 있다. RIC에 의해 각 E2 노드의 기능이 대신 수행되는 기술적 의미가 상기 예시된 용어들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near-RT RIC의 RRM 제어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도 11b는 E2 노드와 RIC 간 시그널링 절차의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1b에서는 E2 노드와 RIC간의 E2 I/F의 Setup 절차와 RIC subscription 메시지 전달 절차가 도시된다. 또한, 도 11b에서는 RIC 지시 메시지와 RIC 제어 메시지의 전달 절차가 도시된다.
도 11b를 참고하면, E2 노드는 RIC로 E2 설정 요청(SET UP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E2 노드에 위치한 E2 NODE FUNCTION 기능은 OAM(operation-administration-maintenance)으로 설정된 RIC의 IP 주소(Address)를 이용하여 RIC를 찾아서 E2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E2 노드는 RIC 기반 RRM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E2 노드는 상기 E2 노드가 좀비 모드 동작이 가능한 점을 포함하는 E2 설정 요청(SET UP REQUEST) 메시지를 RIC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계에서, RIC는 E2 노드로부터 E2 설정 응답(E2 SETUP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RIC는 E2 노드로부터, 상기 E2 노드가 좀비 모드의 지원, 다시 말해 RIC에 의한 Full RRM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RIC는 E2 노드에게 가입(subscription) 요청(RIC SUBSCRIP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IC에 위치한 특정 xApp은 RIC E2 종단 기능에게 E2에서 지원하는 특정 RAN Function Definition 기능에 대해서 가입(혹은 구독)(subscription)을 요청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입 요청 메시지는 상기 RIC가 RIC 기반 RRM 제어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 요청 메시지는 상기 RIC가 E2SM-RIC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RIC는 좀비 모드 지시자를 포함하는 가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RIC 기반 RRM 제어는, 단말 혹은 단말이 포함되는 단말 그룹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RIC 기반 RRM 제어는, 도 10 및 도 11a와 같이, 벤더들 간의 영역 혹은 CU-UP들의 공통된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단말 혹은 그 단말을 포함하는 그룹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가입 요청 메시지는 그룹을 나타내는 ID(이하, 그룹 식별자) 혹은 특정 단말을 지시하기 위한 ID(이하, 단말 ID/UE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 요청 메시지의 전송과 E2 설정 응답 메시지는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의 가입 요청 메시지는 단계의 E2 SETUP RESPONSE 메시지에 포함되어서 같이 전송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에서, E2 노드는 RIC에게 가입 요청 응답(RIC SUBSCRIPTION RESPONSE)을 전송할 수 있다. E2 노드의 E2 노드 기능은 가입 요청 메세지를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다. E2 노드는 RIC가 E2SM RIC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E2 노드는 RIC가 좀비 모드로 동작하는 지 혹은 E2 노드의 좀비 모드의 동작 가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b를 참고하면, E2 노드는 E2 RIC 지시 메시지를 RIC에게 전송할 수 있다. E2 노드와 RIC는 RIC 지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RIC 지시 메시지는 UE 단위의 KPI 보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RIC 지시 메시지의 메시지 컨테이너(message container)는 UE 단위의 KPI 보고 서비스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RIC는 해당 UE에 대하여 RRM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RIC는 RRM을 수행하고, 자원 할당 절차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RIC는 각 E2 노드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E2 노드(610)에게 E2SM RIC 제어(CONTROL)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E2 노드(610)와 RIC(640)는 RIC 제어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RIC(640)는 E2 노드의 제어 절차(control procedure)를 위해, E2SM-RIC RIC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E2SM-RIC RIC 제어 메시지는, 메시지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컨테이너는 인터페이스 별 RRC 메시지(예: X2 SgNB 추가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UE 단위로 서술되었으나, UE의 그룹/네트워크 슬라이스 등의 다양한 단위로 측정이 수행 및 보고되고, RIC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SET UP 절차, RIC subscription 절차, RIC 지시(indication) 메시지 전송 절차, RIC 제어(control) 메시지 전송 절차를 순차적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술된 순서, 절차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부 실시 예들에서, E2 노드와 RIC는 E2 설정 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E2 노드와 RIC는 가입 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E2 설정 응답 메시지는 가입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E2 노드와 RIC는 RIC 지시(indication) 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E2 노드와 RIC는 RIC 제어(control) 절차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외, E2 노드와 RIC는 상술된 절차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수행하거나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현재 E2SM-RC 규격은 UE 단위의 RAN control을 위해 설계되었다. 그러나, RAN control을 수행함에 있어, 셀 단위/혹은 E2 노드 단위로 수행될 필요가 있는 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셀 단위/E2 노드 단위의 제어를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셀 단위만 아니라, 해다 셀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단위의 제어 방안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에너지 절감(energy saving)을 위해 셀 단위/슬라이드 단위/E2 노드 단위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Assurance)/RAN 슬라이싱(slicing), 에너지 절감(energy saving)을 위한 셀 단위/슬라이드 단위/E2 노드 단위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유휴 모드 이동성(idle mode mobility)을 위해 셀 단위/슬라이드 단위/E2 노드 단위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셀 바링(cell barring)을 위해 셀 단위/슬라이드 단위/E2 노드 단위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셀 기반(cell-based) E2 노드의 서비스 모델의 제어가 도 12a 내지 도 12c를 통해 서술된다.
도 12a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셀 제어 메시지의 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서는 E2SM-CC (Cell Control)에서 사용하는, O-RAN E2 Service Model에서 지원하는 E2SM-CC Control Header, E2SM-CC Control Message의 예가 서술된다. 한편, 이러한 제어 메시지의 포맷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E2SM-CC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 시그널링이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다른 시그널링 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다.
하기 table은 E2SM-CC Control Header에 실리는 E2SM-CC Control Header Format 1을 도시하였다.
상기 table의 E2SM-CC Control Header Format 1은 하기 table의 Information을 실어서 전달한다.
Global E2 Node ID는 O-RAN 규격에서 정의한 Information Element로 특정 O-DU를 지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Cell Global ID는 PLMN ID를 포함한 Cell ID로 서 사업자 망의 Cell을 unique 하게 지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Slice ID는 S-NSSAI 값이다. Control Action ID는 optional 한 값으로 특정 cell의 특정 slice의 CAC 동작에서 다른 CAC 동작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기 table은 E2SM-CC Control Message Format1을 도시하였다.
E2SM-CC Control Message Format 1은 하기 IE를 전달한다. Slice CAC Weight는 앞서 설명한 Slice CAC의 DRB의 Portion을 제어하는 parameter이고 Slice CAC는 Slice CAC의 Weight 가 O-DU에서 적용되는 시간이다. Timer 기간 동안에 RIC로부터 추가로 제어 메시지르 수신하지 못하면, O-DU CAC의 초기 설정 값으로 원복한다.
도 12b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셀 제어를 위한 E2 서비스 모델의 예를 도시한다. E2 노드(예: O-DU)에 셀 자원(cell configuration) 구성 메시지는 E2 제어 메시지로 정의될 수 있다.
동작(1250)에서, Near-RT RIC는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O-DU에게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셀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E2 노드 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DU 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셀 식별 정보(예: global cell ID)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해당 셀에서의 슬라이스 정보(예: S-NSSAI)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일 예로, E2 Control Request Messag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부 실시 예들에서, Near-RT RIC는 DU로부터 E2 Control Ack Message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동작(1260)에서, DU는 Near-RT RIC로부터의 제어 메시지에 기반하여 RAN 파라미터들을 제어할 수 있다. RAN 파라미터들은 무선 자원 할당(radio resource control)과 관련된 셀/슬라이스를 위한 파라미터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b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부 실시 예들에서, DU는 Near-RT RIC에게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보고에는, 슬라이스 CAC의 실패 수, 현재 운용중인 DRB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1270)에서, DU는 제어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메시지는 셀의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한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의 시스템 정보(예: SIB)의 방송 메시지 혹은 RCC 메시지(예: RRC reconfiguration)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동작(1260)에 따른 RAN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c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셀 제어 기반의 자원 구성(resource configuration)의 예를 도시한다. 슬라이스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슬라이스 CAC(call admission control)가 이용될 수 있다. SLA 보장(assurance)은, 폐루프(closed loop) 제어 메커니즘이 슬라이스 SLA를 보장하도록 하고, 가능한(possible) 위반(violations)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셀 레벨(cell level)마다 S-NSSAI에서의 SLA 보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c를 참고하면, DU는 Near-RT RIC에게 E2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E2 보고는 슬라이스별 자원 사용량(utiliza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2 보고는 슬라이스 별 처리량(throughpu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처리량은 평균(average)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DU는 Near-RT RIC로부터 E2 제어/정책(Control/policy)를 수신할 수 있다. E2 제어 메시지 혹은 정책 설정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2 제어 메시지 혹은 정책 설정 메시지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UL/DL PRB 구성(예: 할당 크기, 할당 위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셀의 각 슬라이스의 트래픽(traffic)에 기반하여, 동적으로(dynamically) UL/DL PRB 구성 및 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동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스에 대한 트래픽 수요가 높을 때, Near-RT RIC는 해당 슬라이스에 대한 UL/DL PRB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슬라이스에 대한 트래픽 수요가 낮을 때, Near-RT RIC는 해당 슬라이스에 대한 UL/DL PRB 부분을 줄일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식별자의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13a는 본 개시에서 Call Admission Control의 주체가 되는 슬라이스 식별자는 3GPP에서 정의한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의 format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S-NSSAI(1200)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 슬라이스/서비스 유형(slice/service type, SST)(1210)
- 여러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구분하기 위해 슬라이스/서비스 유형을 보완하는 선택적(optional) 정보인 슬라이스 구분자(slice differentiator, SD) (1220)
여기서, SST(Slice/Service Type)(1210)는 필수적인(Mandatory) 정보로서 8bits이고 Service Differentiator (SD)(1220)는 선택적인(Optional) 정보로서, 24bits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코어망 및 E2 노드에서, PDU(protocol data unit) 세션(Session)DRB(data radio bearer), QoS(quality of service) 플로우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b 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UE가 5GC에 등록(Registration)해서, O-DU와 복수의 DRB들을 특정 Cell에서 set up 요청했을 경우, S-NSSAI 별로 Call Admission Control 수행하는 O-DU의 CAC 기능이 도시된다.
도 13b를 참고하면, S-NSSAI는 하나 이상의 PDU Session들과 매핑될 수 있다. S-NSSAI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칭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나누어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PDU session 당 S-NSSAI가 한 개이고, 동일한 S-NSSAI는 복수 개의 PDU session들과 연관될 수 있다. PDU session은 하나 이상의 QoS flow들과 연관될 수 있으며, PDU session은 하나 이상의 DRB들과 연관될 수 있다. DRB는 하나 이상의 QoS flow들과 매핑될 수 있으며, DRB 당 S-NSSAI 값은 1개 존재할 수 있다.
각 DRB는 DRB ID 마다 S-NSSAI를 포함할 수 있다.
S-NSSAI가 동일한 DRB들끼리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내 DRB들은 동일한 PDU session일 수 있다. UE 당 S-NSSAI는 최대 8개까지 가능하며, S-NSSAI 별로 대응하는 DRB 개수들, DRB ID 리스트들이 정의될 수 있다. 슬라이스 인덱스와 DRB 그룹(즉, PDU session)는 PLMN, S-NSSAI를 통해 매핑될 수 있다
UE는 5GC에 호 설정을 요청하면 AMF는 특정 PDU 세션당 S-NSSAI를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S-NSSAI는 복수의 DRB/QoS Flow와 매핑(mapping)될 수 있다. S-NSSAI와 연관된 제1 PDU session은 하나의 QoS Flow를 포함하고, S-NSSAI와 연관된 제2 PDU session은 두 개의 QoS Flow를 포함할 수 있다. O-DU는 F1 UE Context Set up Request message로 받은 S-NSSAI 당 DRB 수를 O-DU가 지원 가능한 DRB Capacity 만큼 CAC(Call Admission control)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의 도입으로 인해 자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슬라이스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슬라이스 별 가용 자원을 차별화하고, 슬라이스 별 할당된 자원 이내에서 사용하도록 요구되며, 슬라이스 별 수용 가능한 PRB 사용량(usage)이 설정될 수 있다. 슬라이스 별 가용 자원 이내에서 QoS(quality of service)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Slice 자원 제어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O-RAN의 near-RT RIC에 기초한 슬라이스 무선(radio) 자원 할당 및 QoS 제어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도 14통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RIC(즉, E2SM-CC 혹은 Cell/E2 Node 제어를 위한 RIC)의 제어 메시지들의 예가 서술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에서는 Non-RT RIC와 Near-RT RIC, 그리고 O-DU가 제공하는 Slice 자원 제어를 위한 전체 동작들의 예가 서술된다.
도 1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Non-RT RIC는 SMO와 연관될 수 있다. SMO는 RAN 도메인 management와 orchestration 기능을 담당한다. O-RAN에서 RAN 지원을 제공하는 SMO의 주요 기능은 O-RAN NF에 대한 FCAPS(Fault, Configuration, Alarms, Performance and Security) 인터페이스, RAN 최적화를 위한 Non-RT RIC (Non-Real Time RAN Intelligent Controller) 프레임워크, O-Cloud 관리(management),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및 워크플로우 관리(workflow management) 기능을 포함한다. Non-RT RIC는 Near-RT RIC (Near-Real Time RAN Intelligent Controller)에 A1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O-RAN 아키텍처의 SMO 내부 기능이다. Non-RT RIC의 주요 목표는 RAN이 특정 조건에서 RRM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정책 기반 가이드(policy-based guidance), ML 모델 관리(model management) 및 강화 정보(enrichment information)을 Near-RT RIC에 제공하여 지능형 RAN 최적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Non-RT RIC은 데이터 분석, AI(Artificial Intelligence)/ML(machine learning) 트레이닝(training) 및 추론(inference)를 사용함으로써, 비 실시간 (예: 1초 이상) 간격으로 RAN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MO와 E2 노드 간 인터페이스 혹은 SMO와 Near-RT RIC 간 인터페이스는 O1 인터페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에에 따라, Near-RT RIC와 O-DU의 초기값 또는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구성(configuration) 정보는 O-RAN 규격에서 정의한 O1 관리(management) 인터페이스의 O1 구성(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해서 설정이 가능하다.
Non-RT RIC는 A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서 SLA 정책(policy)을 Near-RT RIC에게 전송할 수 있다. SLA 정책은 품질 관련 목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Non-RT RIC는 A1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서 Cell 별 혹은 Slice 별 목표 값을 Near-RT RIC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목표 전달 값은 PLMN 별 QoS 값 또는 정량화된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목표 전달 값은 셀 별 QoS 값 또는 정량화된 무선 자원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목표 전달 값은 슬라이스 별 QoS 값 또는 정량화된 무선 자원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목표 전달 값은 PLMN 별, Cell 별, Slice 별 QoS 값 또는 정량화된 무선 자원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Near-RT RIC는 O-DU로부터 RIC 지시(indic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RIC 지시는, 보고를 위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KPI 정보는 셀 레벨(혹은 슬라이슬 레벨)의 모니터링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대상은 PRB 사용량, 가능한 PRB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대상은 평균 딜레이 측정(예: RLC SDU delay, 에어 인터페이스 딜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니터링 대상은 지연 위반률(delay violation 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KPI 정보는 UE 레벨 모니터링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PI 정보는 UE 레벨 평균 딜레이 혹은 DRB 레벨 평균 딜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Near-RT RIC는, A1의 목표 값을 맞추기 위해서 O-DU로부터 PLMN 별, Cell 별, Slice 별 PRB Usage, delay measurement, Delay violation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Near-RT RIC는 부가 정보로 UE level, DRB level delay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Near-RT RIC는 O-DU에게 RIC 제어 요청(RIC control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 Near-RT RIC는 O-DU에 대한 셀 레벨 제어 혹은 슬라이스 레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Near-RT RIC는 PRB 부분의 크기, QoS(GBR(guaranteed bit rate), non-GBR, 패킷 딜레이 budget)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Near-RT RIC는 O-DU 로부터 수신된 PLMN 별, Cell 별, Slice 별 정보를 기반으로 RIC CONTROL Request 메시지로 Cell/Slice level PRB/Slice Portion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Near-RT RIC는 O-DU 로부터 수신된 UE 별, DRB 별 정보를 기반으로 UE/DRB level GBR Priority, Packet Delay Budget을 조정해서 UE level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부분(slice portion)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여러 슬라이스들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슬라이스 부분은 할당된 자원을 공유하는 슬라이스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슬라이스 집합은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스 집합 내의 슬라이스들은 무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이?? 실시 예들은 자원 공유의 대상이 되는 슬라이스 집합을 슬라이스 부분으로 지칭하여 서술되나, 슬라이스 부분과 동일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 용어(예: 슬라이스 할당 부분, 슬라이스 셋, 슬라이스 공유 그룹)가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원 공유에 대한 방법 및 파라미터는 후술하는 도 1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서술된다.
슬라이스 부분은 PLMN 또는 S-NSSAI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될 수 있다. 각 슬라이스 부분은 슬라이스 부분 ID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스 부분(portion index #1)은 4개의 슬라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슬라이스들 간 동일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제2 슬라이스 부분(portion index #2)은 2개의 슬라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슬라이스들 간 동일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제3 슬라이스 부분(portion index #3)은 하나의 슬라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PLMN, S-NSSAI로 mapping 된 다수의 슬라이스 간의 Slice Portion ID로 구분된 슬라이스 부분(Slice Portion)으로 셀(예: Cell #1)의 무선(radio 자원)의 공유가 가능하다.
도 15에서는 하나의 셀을 기준으로 슬라이스 부분, PLMN, S-NSSAI가 예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셀들 간에도 슬라이스 부분에 기반한 자원 공유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부분 기반 자원 제어를 위한 자원 카테고리의 예들을 도시한다. 자원 카테고리들은 공유 자원(shared resources), 우선순위 자원(prioritized resources), 전용 자원(dedicated re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 공유 자원, 우선 자원, 전용 자원은 3GPP TS 28.541의 정의된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는 TS 28.541의 정의된 무선 자원(Radio Resource) 자원 공유 개념을 적용하여, 무선 자원 공유를 위한 Near-RT RIC 및 DU 간 동작을 정의한다. 다수의 슬라이스들 간의 Slice Portion ID로 구분된,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자원 카테고리는 Dedicated resource, Prioritized resources, Shared resource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각 자원 카테고리에 대한 정의가 서술된다.
- 공유 자원(shared resource): 다른 rRMPolicyMemberList(s)(즉, 동일한 ManagedEntity에 포함된 RRMPolicyRatio(s) 이름에 정의된 rRMPolicyMemberList(s))와 공유되는 자원을 의미한다. 연결된 rRMpolicyMemberList에서 공유 자원의 사용은 보장되지 않는다. 공유 자원 할당량은 [rRMPolicyMaxRatio-rRMPolicyMinRatio]로 표시된다.
- 우선순위 자원(prioritized resource): 연관된 RRMPolicyMemberList에서 자원을 우선적으로 사용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원은 필요한 경우 연결된 RRMPolicyMemberList에서 사용하도록 보장된다. 사용되지 않을 때 이러한 자원은 다른 rRMPolicyMemberList(s)(즉, 동일한 ManagedEntity에 포함된 RRMPolicyRatio(s) 이름에 정의된 rRMPolicyMemberList(s))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우선순위 자원의 할당량은 [rRMPolicyMinRatio-rRMPolicyDedicatedRatio]로 표시된다.
- 전용 자원(dedicated resource): 해당 자원은 연관된 RRMPolicyMemberList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용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원은 연결된 RRMPolicyMember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공유되지 않는다. 전용 자원 할당량은 [rRMPolicyDedicatedRatio]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Near-RT RIC는 Slice Portion간에 자원 분리에 최소 단위로 제어가 필요시에는 Dedicated resource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Near-RT RIC는 다른 slice portion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resource에 대한 제어는 Dedicated resource 와 Prioritized resource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Near-RT RIC는 가능한 최대 자원의 제어는 Dedicated resource 와 Prioritized resource 그리고 공용 자원인 Shared Resource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SMO(service management orchestrator)의 O1 설정(configuration)의 예를 도시한다. 도 17에서는 O-RAN 망 설정 시(예: 최초 power on시)에 Near-RT RIC와 O-DU의 초기값 설정이 도시된다.
도 17을 참고하면, SMO는 시스템 셋업 과정에서 Near-RT RIC와 E2 노드를 설정할 수 있다. SMO는 Near-RT RIC에게 O1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O1 설정은 Near-RT RIC에 대한 초기값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SMO는 E2 노드에게 O1 인터페이스를 통해 O1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O1 설정은 E2 노드에 대한 초기값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E2 노드는 DU를 포함할 수 있다. Near-RT RIC와 O-DU의 초기값, OAM 구성(Configuration) 정보는 O-RAN 규격에서 정의한 O1 Management I/F의 O1 Configuration 메시지를 이용해서 설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O1 설정에서 슬라이스 설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8에서는 도 17에서 서술된 O-DU의 초기값, OAM Configuration 정보 중에서 슬라이스 및 슬라이스 부분의 정보의 구조가 예시된다. O1 O-DU의 초기값, OAM Configuration 정보에는 계층적 구조의 gNB와 PLMN, Cell, Slice 와 Slice Portion간의 mapping 정보가 기술된다. 기술되는 방법은 O-RAN/3GPP 기술 방법 별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O1 설정 절차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에서는 O-RAN O1 Architecture 규격에서 정의된 O1 DU configuration의 call flow가 도시된다.
도 19를 참고하면, 사용자 개인(personnel)은 O-DU의 전원(power)를 on할 수 있다. O-DU는 SMO와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SMO내부의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기능은 O-DU에게 O-RAN에서 정의된 O1 I/F 메시지로 Slice/PLMN/Slice Portion간의 매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 정보는 도 15에서 정의된 슬라이스 부분, PLMN, 슬라이스들 간의 관계를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매핑 정보는 portion index 별로, 적어도 하나의 S-NSSAI 또는 적어도 하나의 PLMN I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스 부분에 따른 무선 자원 공유를 효과적으로 제어를 위해서는 Near-RT RIC도 매핑 정보를 알 것이 요구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Near-RT RIC로의 O1 설정의 전달을 위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도 20에서는, 도 19에서 언급된, O-DU에 설정된 Slice/PLMN/Slice Portion간의 매핑 정보를 Near-RT RIC로 전달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들이 도시된다.
도 20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O-DU는 Near-RT RIC에게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E2 설정 요청 메시지를 Near-RT RIC에게 전송할 수 있다. O-DU는 O-RAN 규격에서 정의된 E2 SETUP REQUEST 메시지에 다른 I/F 정보 (F1, NG, X2, XN 등)와 같이 O1 설정 정보도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O1 설정 정보는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2 SETUP REQUEST 메시지는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Range 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9.2.3   YES reject
Transaction ID M   9.2.33 . YES reject
Global E2 Node ID M   9.2.6   YES reject
RAN Functions Added List   1   List of RAN functions in E2 node YES reject
>RAN Function item   1.. <maxofRANfunctionID>        
>>RAN Function ID M   9.2.8 Id of the declared Function -  
>>RAN Function Definition M   9.2.23 Definition of Function -  
>>RAN Function Revision M   9.2.24 Revision counter -  
>>RAN Function OID M   9.2.31 Object identifier of corresponding E2SM -  
E2 Node Component Configuration Addition List   1   List of E2 Node compon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YES reject
>E2 Node Component Configuration Addition Item   1.. <maxofE2nodeComponents>     EACH reject
>>E2 Node Component Interface Type M   9.2.26 E2 Node component interface type -  
>>E2 Node Component ID O   9.2.32 E2 Node Component Identifier -  
>>E2 Node Component Configuration M   9.2.27 Contents depends on component interface type -  
표 6에서 E2 노드의 인터페이스(E2 Node Component Interface Type) 유형은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Range 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
E2 node component interface type M   ENUMERATED (ng, xn, e1, f1, w1, s1, x2, O1 ...)  
설정 정보를 포함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는 O1 인터페이스를 가리킬 수 있다.
표 8에서 E2 노드 설정(E2 Node Component ID, E2 Node Component Configuration)은 하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Component Addition list Component Update list
E2 Node component message content Request part Response part Request part Response part
gNB case        
>NG 
(AMF Name)
NG SETUP REQUEST,
3GPP 38.413 [19] clause 9.2.6.1
NG SETUP RESPONSE,
3GPP 38.413 [19] clause 9.2.6.2
RAN CONFIGURATION UPDATE,
3GPP 38.413 [19] clause 9.2.6.4
 
Or
 
AMF CONFIGURATION UPDATE,
3GPP 38.413 [19] clause 9.2.6.7
RAN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8.413 [19] clause 9.2.6.5
Or
 
AMF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8.413 [19] clause 9.2.6.8
>Xn  
(Neighbour Global NG-RAN Node ID )
 
XN SETUP REQUEST,
3GPP 38.423 [20] clause 9.1.3.1
XN SETUP RESPONSE,
3GPP 38.423 [20] clause 9.1.3.2
NG-RAN NODE CONFIGURATION UPDATE,
3GPP 38.423 [20] clause 9.1.3.4
NG-RAN NODE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8.423 [20] clause 9.1.3.5
>E1  
(gNB-CU-UP ID)
GNB-CU-UP E1 SETUP REQUEST,
3GPP 38.463 [21] clause 9.2.1.4
Or
 
GNB-CU-CP E1 SETUP REQUEST,
3GPP 38.463 [21] clause 9.2.1.7
GNB-CU-UP E1 SETUP RESPONSE,
3GPP 38.463 [21] clause 9.2.1.5
 
Or
 
GNB-CU-CP E1 SETUP RESPONSE,
3GPP 38.463 [21] clause 9.2.1.8
GNB-CU-UP CONFIGRATION UPDATE,
3GPP 38.463 [21] clause 9.2.1.10
 
Or
 
GNB-CU-CP CONFIGURATION UPDATE,
3GPP 38.463 [21] clause 9.2.1.13
GNB-CU-UP CONFIG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8.463 [21] clause 9.2.1.11
Or
 
GNB-CU-CP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8.463 [21] clause 9.2.1.14
>F1  
(gNB-DU ID)
F1 SETUP REQUEST,
3GPP 38.473 [22] clause 9.2.1.4
F1 SETUP RESPONSE,
3GPP 38.473 [22] clause 9.2.1.5
GNB-DU CONFIGRATION UPDATE,
3GPP 38.473 [22] clause 9.2.1.7
  
Or
 
GNB-CU CONFIGURATION UPDATE,
3GPP 38.473 [22] clause 9.2.1.10
GNB-DU CONFIG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8.473 [22] clause 9.2.1.8
 
Or
 
GNB-CU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8.473 [22] clause 9.2.1.11
>X2  
(Neighbour Global eNB ID)
EN-DC X2 SETUP REQUEST,
3GPP 36.423 [25] clause 9.1.2.31
EN-DC X2 SETUP RESPONSE,
3GPP 36.423 [25] clause 9.1.2.32
EN-DC CONFIGURATION UPDATE,
3GPP 36.423 [25] clause 9.1.2.34
EN-DC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3GPP 36.423 [25] clause 9.1.2.35
>O1 O1 DU Configuration msg N/A O1 DU Configuration msg N/A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O-DU는 Near-RT RIC에게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E2 보고 메시지를 Near-RT RIC에게 전송할 수 있다. E2 보고 서비스를 통해, O-DU는 O-DU의 O1 Slice/PLMN/Slice Portion간의 mapping 정보를 Near-RT RIC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2 보고 E2 REPORT 서비스는 RAN Function에서 정의될 수 있다. RAN Function은 하기의 표 9와 같이 RIC service style 중에서 E2 Node Information에 대응할 수 있다.
RIC Style Type Style Name Style Description
1 Message copy This style is used to report a copy of complete Network Interface or RRC message.
2 Call Process Outcome This style is used to report the outcome of an ongoing call process.
3 E2 Node Information This style is used to report E2 Node information, Serving Cell Configuration and Neighbour Relation related information.
4 UE Information This style is used to report the UE related information like PDCP, RLC, MAC UE state variables and RRC UE State.
5 On Demand Report This style is used to report snapshot of UE related information and Cell related information upon request from Near-RT RIC.
표 9의 RIC service style을 통해 O1 구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Range 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
O1 Configuration message  M    Refer to O1 I/F spec for O-DU configuration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슬라이스 부분 기반 자원 공유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도 21에서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슬라이스 부분 별 제어에 요구되는 전체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S2101에서, SMO는 O-DU에에게 O1 설정을 전송할 수 있다. O1 설정은 O-DU의 초기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O-SMO의 내부의 EMS 기능은 O-DU에 Slice/PLMN/Slice Portion간의 매핑 정보를 O1 인터페이스 메시지로 O-DU에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 정보는 도 15에서 정의된 슬라이스 부분, PLMN, 슬라이스들 간의 관계를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매핑 정보는 portion index 별로, 적어도 하나의 S-NSSAI 또는 적어도 하나의 PLMN I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스 부분에 따른 무선 자원 공유를 효과적으로 제어를 위해서는 Near-RT RIC도 매핑 정보를 알 것이 요구된다.
S2102에서 O-DU는 Near-RT RIC에게 E2 설정(SETU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2103에서 Near-RT RIC는 O-DU에게 E2 설정(SETUP)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O-DU는 Near-RT RIC와 E2 I/F를 setup 한다. E2 I/F setup request 메시지는 O-DU가 가지고 있는 F1 I/F와 앞서 설명한 O1 I/F의 설정 정보를 Near-RT RIC에게 전달한다. E2 Setup 메시지를 받은 Near-RT RIC는 E2 I/F를 설정할 수 있다. Near-RT RIC는 E2 Setup Request 메시지에서 수신된 Cell/Slice/Slice Portion 간의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O1 configuration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LA/RAN Slicing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S2107 및 S2109의 가입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S2107에서, Near-RT RIC는 O-DU에게 RIC 가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2109에서 O-DU는 Near-RT RIC에게 RIC 가입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RIC 가입 요청 메시지는 RAN Slicing을 지원하기 위한 주기적 Slice usage report에 대한 event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O-DU는 RIC 가입 요청에 포함된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Cell/Slice/Slice Portion 에서의 Radio Resource usage 정보의 주기적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S2111에서, Near-RT RIC는 O-DU에게 E2 Control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Near-RT RIC는 S2109 단계에서 수집된 O-DU의 Slice Portion별 PRB usage 정보 기반으로, E2 Control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Slice Portion에 PR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Near-RT RIC는 S2109 단계에서 수집된 O-DU의 Slice Portion별 PRB usage 정보 기반으로, 추가로 슬라이스 별로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하기 표는 E2 Control message Format 2를 도시한다.
상기에서 RIC Style Type는 O-RAN 규격에서 명시된 무선 자원 할당 제어(Radio Resource allocation control)에 사용되는 RIC Style 2가 정의된다.
그리고 Control Action ID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Control Action ID 6번이 이용되거나, 7번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메시지 전송을 위해, E2SM-RC Control Header 포맷 2가 이용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Range 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
RIC Style Type M   9.3.3  
Control Action ID M   9.3.6 Refer to Section 7.6
RIC Control decision O   ENUMERATED (accept, reject, ...) Used only when a CONTROL action is sent as a response to an Insert Indication
일 예로, 제어 메시지 전송을 위해, E2SM-RC Control Message 포맷 1이 이용될 수 있다.
IE/Group Name Presence Range IE type and reference Semantics description
List of RAN parameters   0..<maxnoofAssociatedRANParameters>    
>RAN Parameter ID M   9.3.8 Refer to table in Section 8.4
>RAN Parameter Value Type M   9.3.11 Refer to table in Section 8.4
일 실시 예에 따라, Slice Portion 제어를 위한 필요 parameter는 하기 표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Slice Portion 제어를 위해, 3GPP 규격(예: 3GPP TS 28.541)에서 정의된 파라미터들이 참조될 수 있다. 표 16에 정의된 IE들은 RIC Control Request message내에 포함될 수 있다. 표 16의 포맷을 통해 파라미터들은 Near-RT RIC로부터 E2 노드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E2SM 서비스에 따른 방식으로, Slice Portion 제어를 위한 필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전달될 수 있다. 표 15의 E2SM-RC Control Message 포맷 1의 RAN parameter ID 및 RAN parameter value type을 참조하여, 상술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Near-RT RIC로부터 E2 노드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각 파라미터에 대한 RAN parameter ID 및 RAN parameter value type는 하기의 표 16-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6-1>
상기 표에서 Cell Global ID는 제어에 대상이 되는 특정 cell을 가리킨다. 특정 cell 들의 자원은 Slice Portion으로 관리 제어된다. 각각의 슬라이스 부분(slice portion) oration)은 Slice Portion Index로 지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axPRBPolicyRatio_DL는 해당 슬라이스 부분에서 가질 수 있는 하향링크 PRB의 최대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3GPP TS 28.541의 rRMPolicyMaxRatio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최대 비율은 전용 자원, 우선순위 자원, 및 공유 자원을 포함하는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inPRBPolicyRatio_DL는 해당 슬라이스 부분에서 가질 수 있는 하향링크 PRB의 최소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3GPP TS 28.541의 rRMPolicyMinRatio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최대 비율은 전용 자원, 및 우선순위 자원을 포함하는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dedicatedPRBPolicyRatio_DL는 해당 슬라이스 부분에서 가질 수 있는 하향링크 PRB의 고정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3GPP TS 28.541의 rRMPolicydedicatedRatio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최대 비율은 전용 자원 만을포함하는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axPRBPolicyRatio_UL는 해당 슬라이스 부분에서 가질 수 있는 상향링크 PRB의 최대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3GPP TS 28.541의 rRMPolicyMaxRatio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최대 비율은 전용 자원, 우선순위 자원, 및 공유 자원을 포함하는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inPRBPolicyRatio_UL는 해당 슬라이스 부분에서 가질 수 있는 상향링크 PRB의 최소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3GPP TS 28.541의 rRMPolicyMinRatio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최대 비율은 전용 자원, 및 우선순위 자원을 포함하는 비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dedicatedPRBPolicyRatio_UL는 해당 슬라이스 부분에서 가질 수 있는 상향링크 PRB의 고정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3GPP TS 28.541의 rRMPolicydedicatedRatio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 최대 비율은 전용 자원 만을포함하는 비율일 수 있다.
각 파라미터에서 비율은 전체 할당 가능한 자원(예: 해당 셀의 전송 대역폭에서 할당 가능한 PRB 수)를 기준으로 해당 자원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 대상인 Slice Portion의 자원은 3GPP TS 28.541의 정의된 자원 관리의 정의에 따라서, dedicated, min, max 자원을 UL/DL 구분해서, Near-RT RIC는 각 파라미터를 정수값 1~100 사이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셀 내 자원들 중에서 슬라이스들 간 공유되는 자원, 즉,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자원이 관리될 수 있다.
이후는, O1 설정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반복되는 절차가 서술된다.
S2113에서, SMO는 S2101과 같이 다시 O1ear-RT RIC는 O-DU에게 E2 Control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언급한 셀, 슬라이스 부분, PLMN, 및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 또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SMO는 O1 설정을 업데이트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SMO는 O-DU에에게 업데이트된 O1 설정을 전송할 수 있다.
S2115에서, O-DU는 Near-RT RIC에게 E2 Node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E2 Node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O1 설정을 ?l마할 수 있다. S2117에서, Near-RT RIC는 O-DU에게 E2 Node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Near-RT RIC는 업데이트된 O1 설정에 기초하여, 슬라이스 부분에 대한 자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본 방법은 Uplink/Downlink PRB의 Maximum/Minimum Portion 값, Uplink/Downlink PF Weight adjustment, GBR scheduling priority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메시지는 해당 S-NSSAI지원하는 특정 UE별 DRB ID당 UL/DL GBR Priority에 대한 제어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Near-RT RIC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별 또는 UE 별 PRB, QoS할당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DU(distributed unit)에게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DU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할당 가능한 PRB, QoS 자원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특정 Slice의 QoS 제어를 위한 필요 parameter를 하기 표와 같이 정의하였다.특정 Slice의 QoS 제어를 위해, 표 17의 파라미터들이 참조될 수 있다. 표 17에 정의된 IE들은 RIC Control Request message내에 포함될 수 있다. 표 17의 포맷을 통해 파라미터들은 Near-RT RIC로부터 E2 노드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E2SM 서비스에 따른 방식으로, Slice Portion 제어를 위한 필요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전달될 수 있다. 표 15의 E2SM-RC Control Message 포맷 1의 RAN parameter ID 및 RAN parameter value type을 참조하여, 상술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Near-RT RIC로부터 E2 노드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각 파라미터에 대한 RAN parameter ID 및 RAN parameter value type는 하기의 표 17-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7-1>
상기 표에서 Cell Global ID는 제어에 대상이 되는 특정 cell을 나타낸다., 특정 cell 들의 자원은 Slice 로 QoS 제어될 수 있다. 상기 5QI 값과 UL/DL GBR Scheduling priority는 3GPP TS 23.501 규격에서 정의한 정수 0~255 값을 가지고 제어한다.
5QI는 5G QoS 특성에 대한 참조로 사용되는 스칼라 값이다. 즉, QoS 흐름에 대한 QoS 전달 처리를 제어하는 액세스 노드 별 매개변수를 의미한다(예: 스케줄링 가중치(scheduling weights), 승인 임계값(admission thresholds), 대기열 관리 임계값(queue management thresholds), 링크 계층 프로토콜 구성(link layer protocol configuration) 등).
표 17 및 표 17-1에서는, 하향링크의 GBR 스케줄링 우선순위(즉, DL GBR Scheduling priority)와 상향링크의 GBR 스케줄링 우선순위(즉, UL GBR Scheduling priority)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었다. 한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IE로 GBR 스케줄링 우선순위가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GBR 스케줄링 우선순위는, 5G QoS 특성과 관련된 우선순위 레벨을 의미한다. 우선순위 레벨은 QoS Flow 중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가장 낮은 우선 순위 값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에 해당할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은 동일한 UE의 QoS Flow를 구별하는데 사용되어야 하고, 또한 다른 UE의 QoS 플로우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혼잡의 경우 하나 이상의 QoS 플로우에 대해 모든 QoS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 우선 순위 수준은 우선 순위 수준 값이 N인 QoS 플로우가 우선 순위가 지정되도록 QoS 요구 사항에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QoS 플로우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 값(즉, N+1, N+2 등)을 갖는 QoS 플로우. 정체가 없는 경우 우선순위 레벨을 사용하여 QoS 플로우 간의 자원 분배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러는 애플리케이션 성능 및 네트워크 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른 매개변수(예: 리소스 유형, 무선 조건)를 기반으로 QoS 플로우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모든 표준화된(standardized) 5QI는 QoS 특정 표(3GPP TS 23.501의 표 5.7.4.1)에 정의된 지정된 우선순위 레벨의 기본 값과 연관될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은 표준화된(standardized) 5QI와 함께 RAN에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수신되면 기본값(default value)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도 미리 구성된(pre-configured) 5QI와 함께 (R)AN에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값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표 17, 표 17-1, 표 18, 및 표 19에 기초하여, Near-RT RIC는 E2 노드에게 슬라이스 별 QoS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Near-RT RIC는 E2 Control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PDU 세션은 PLMN 당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대응한다. 하나의 PDU 세션에 대응하는 QoS 플로우들은 하나 이상의 DRB들과 매핑된다. 즉, DRB는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연관된다. DRB를 제어하기 위하여, Near-RT RIC는 슬라이스 ID를 제어 메시지(예: E2 Control Request)에 포함시킬 수 있다. Near-RT RIC는 제어 메시지에 슬라이스 ID 별 Qo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QoS 정보는 5QI와 같은 QoS 식별자 및 우선순위 레벨(예: 0 내지 255 중 하나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distributed unit)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DU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Near-RT(real time)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Near-RT(real time) RIC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Near-RT RIC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Near-RT RIC에게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Near-RT RIC에게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Near-RT(real time)-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DU(distributed unit)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DU(distributed unit)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DU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DU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DU로부터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DU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DU(distributed unit)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DU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Near-RT(real time)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게 전송하고,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Near-RT(real time) RIC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Near-RT RIC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Near-RT RIC에게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Near-RT RIC에게 전송되는 장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를 때, Near-RT(real time)-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DU(distributed unit)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DU(distributed unit)에게 전송하고,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DU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DU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DU로부터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DU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0)

  1. DU(distributed unit)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DU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Near-RT(real time)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Near-RT(real time) RIC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ear-RT RIC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Near-RT RIC에게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Near-RT RIC에게 전송되는 방법.
  6. Near-RT(real time)-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DU(distributed unit)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DU(distributed unit)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DU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U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DU로부터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DU로부터 수신되는 방법.
  11. DU(distributed unit)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DU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Near-RT(real time) 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에게 전송하고,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Near-RT(real time) RIC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들에 대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Near-RT RIC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Near-RT RIC에게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장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Near-RT RIC에게 전송되는 장치.
  16. Near-RT(real time)-RIC(RAN(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DU(distributed unit)의 O1 인터페이스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E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DU(distributed unit)에게 전송하고, 상기 O1 인터페이스 설정은 셀, 슬라이스 부분,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간 매핑 정보를 포함하고,
    슬라이스 부분 별 자원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슬라이스 부분의 식별자 및 상기 슬라이스 부분의 자원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DU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전용 자원의 비율,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공유 자원의 비율, 또는 상기 슬라이스 부분을 위한 추가 자원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셀의 슬라이스 부분 별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간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셀의 글로벌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DU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DU로부터 자원 사용량(usage)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가입 절차, 상기 자원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E2 셋업 절차의 E2 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E2 SM의 보고(report) 서비스를 통해 상기 DU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KR1020220026277A 2022-02-08 2022-02-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제어 및 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20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1865 WO2023153809A1 (ko) 2022-02-08 2023-02-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제어 및 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8/310,783 US20230337268A1 (en) 2022-02-08 2023-05-02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control and cell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6555 2022-02-08
KR1020220016555 2022-02-08
KR20220023198 2022-02-22
KR1020220023198 2022-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049A true KR20230120049A (ko) 2023-08-16

Family

ID=8784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77A KR20230120049A (ko) 2022-02-08 2022-02-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제어 및 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0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52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subscription through e2 interface in radio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EP40447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subscription, using e2 interfa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300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79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operator-specific servi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EP4040871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service registration event via e2 interfa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43474A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e2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 가입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22551708A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e2インタフェースを介するサービス加入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2302764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e2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995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395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2 node control and cell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325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laying service registration event via e2 interface in wireless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372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lice control and cell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200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제어 및 셀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424704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2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213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2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330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2 n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5836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2 노드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351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2 노드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6438815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e2节点的装置和方法
KR202300085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111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식별자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7204012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e2节点的设备和方法
KR2022011776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2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4698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2 노드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40034056A (ko) 가입 절차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