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0045A -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 Google Patents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0045A
KR20230120045A KR1020220016556A KR20220016556A KR20230120045A KR 20230120045 A KR20230120045 A KR 20230120045A KR 1020220016556 A KR1020220016556 A KR 1020220016556A KR 20220016556 A KR20220016556 A KR 20220016556A KR 20230120045 A KR20230120045 A KR 2023012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creen
setting
coll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수아
Original Assignee
조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아 filed Critical 조수아
Priority to KR102022001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0045A/en
Publication of KR2023012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04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Abstract

사용 환경 정보, 사용자의 눈 건강 정보, 사용자의 설정 선호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사용 시 주변의 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환경 감지 센서; 화면 설정 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평가를 수집하는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 사용자의 화면 설정 방향성의 선호를 수집하는 설정 선호 정보군; 의사 또는 안경사를 포함하는 관련 분야 전문가의 소견, 진단, 조언, 도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전문가 정보군;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체적으로 반영하여 화면 설정값을 계산하는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 및 상기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에서 계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 설정을 조절 및 표시하는 화면 설정 표시 모듈;으로 구성됨으로써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개별 최적화된 화면 설정 조절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눈 건강을 위해 눈이 덜 피로한 화면 설정 조절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설정 방향성의 선호를 반영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함은 물론, 눈 관련 장애, 질병, 질환 또는 증상 등을 가진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는 화면 설정 조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user information such as use environment information, user eye heal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A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us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user's reac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screen setting change; a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a user's preference for a screen setting direction; An expert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opinions, diagnoses, advice, and help from experts in related fields, including doctors or opticians; a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screen setting value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s a whole; and a screen setting display module that adjusts and displays the screen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calculated by the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thereby automatically providing individually optimized screen setting control without the need for manual setting, and providing user's eye health. Adjust screen settings to reduce eye fatigue, as well as adjust screen settings to reflect the user's preference for setting direction, as well as reduce discomfort for users with eye-related disorders, diseases, conditions or symptom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Description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A system that analyzes user information and adjusts screen settings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환경, 눈 건강 정보, 설정 선호 등의 사용자 정보와 분석하여 디스플레이의 적녹청 비율, 밝기, 대비, 감마, 화이트밸런스, 블랙밸런스, 색온도, 최대 밝기 등의 화면 설정을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environment, eye health information, setting preference, etc. A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such as white balance, black balance, color temperature, and maximum brightness.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해야 했다.In general, when using a display, which is a visual display device of an electronic device, it is necessary to manually adjust the screen setting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이런 경우, 사용 환경이 급변하거나,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할 때, 수동으로 여러 번 화면 설정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ase, when the use environment changes rapidly, periodically or irregularly,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because screen settings must be manually manipulated several time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10-1234413(2013.02.12)에는 센서를 통해 감지한 주변 밝기 변화에 따라 화면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4413 (2013.02.12)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creen brightness of a display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screen brightness according to a change in ambient brightness detected through a sensor.

상술한 한국 특허의 경우, 밝기를 제외한 화면 설정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화면 설정 조절에 고려되는 변인이 센서의 정보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there is a problem that screen settings other than brightness cannot be adjusted, and variables considered for screen setting adjustment are limited to sensor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와 눈 건강 위해 사용자에게 개별 최적화된 화면 설정의 조절을 제공하고 종래보다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반영하며, 보다 다양하게 화면 설정을 조절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r with individually optimized screen setting control for the user's convenience and eye health, and to provide more user information than b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to provide users with the possibility of adjusting screen settings in a variety of way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눈 건강 정보와 색각 이상, 광과민성 증후군 등의 장애, 질병, 질환 또는 증상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눈 건강 저하를 예방하고,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flect the user's eye health information and disorders, diseases, diseases, or symptoms such as color blindness and photosensitivity syndrome to prevent the user's eye health from deteriorating and to reduce the user's discomfort. It is to provide a system that analyzes and adjusts screen settings.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 환경 정보, 사용자의 눈 건강 정보, 사용자의 설정 선호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사용 시 주변의 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환경 감지 센서; 화면 설정 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평가를 수집하는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 사용자의 화면 설정 방향성의 선호를 수집하는 설정 선호 정보군; 의사 또는 안경사를 포함하는 관련 분야 전문가의 소견, 진단, 조언, 도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전문가 정보군;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체적으로 반영하여 화면 설정값을 계산하는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 및 상기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에서 계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 설정을 조절 및 표시하는 화면 설정 표시 모듈;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user information such as use environment information, user eye heal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A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us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user's reac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screen setting change; a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a user's preference for a screen setting direction; An expert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opinions, diagnoses, advice, and help from experts in related fields, including doctors or opticians; a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screen setting value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s a whole; and a screen setting display module for adjusting and displaying screen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calculated by the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은 상기 주변 환경 감지 센서, 상기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 상기 설정 선호 정보군, 상기 전문가 정보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may includ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th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the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and the expert information grou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에 의하면,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개별 최적화된 화면 설정 조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automatically individually optimized screen setting controls without the need for manual setting.

또한, 사용자의 눈 건강을 위해 눈이 덜 피로한 화면 설정 조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screen setting adjustment that is less tiring to the eyes for the user's eye health.

또한, 사용자의 설정 방향성의 선호를 반영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adjusting the screen setting by reflecting the user's preference for the setting direction.

또한, 눈 관련 장애, 질병, 질환 또는 증상 등을 가진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는 화면 설정 조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screen setting adjustment to reduce discomfort of a user having an eye-related disorder, disease, disease or sympt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의 순서를 강조하여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by emphasizing the sequence of a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figures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사용자 정보” 는 사용자의 사용 환경 정보, 눈 건강 정보, 설정 선호 정보로서 자연인인 사용자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하고 사용 전반에 걸쳐 중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화면 설정”은 디스플레이 표시에 대한 설정으로서 디스플레이의 적녹청 비율, 밝기, 대비, 감마, 화이트밸런스, 블랙밸런스, 색온도, 최대 밝기 등이 포함되고, 이는 이를 설명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information” means user environment information, eye health information, and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which is important information throughout use, not limited to natural users. In addition, “screen settings” are settings for display display, and include red-green-blue ratio, brightness, contrast, gamma, white balance, black balance, color temperature, and maximum brightness of the display, but are not limited to how they ar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은 사용 환경 정보, 사용자의 눈 건강 정보, 사용자의 설정 선호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 사용 시 주변의 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환경 감지 센서(11), 화면 설정 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평가를 수집하는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12), 사용자의 화면 설정 방향성의 선호를 수집하는 설정 선호 정보군(13) 의사 또는 안경사를 포함하는 관련 분야 전문가의 소견, 진단, 조언, 도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전문가 정보군(14),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체적으로 반영하여 화면 설정값을 계산하는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20), 상기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20)에서 계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 설정을 조절 및 표시하는 화면 설정 표시 모듈(3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user information such as usage environment information, user eye heal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10), a sensor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11)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use, an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12) that collects the user's reac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creen setting change, and the direction of the user's screen setting A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13 for collecting preferences, an expert information group 14 for collecting information such as opinions, diagnoses, advice, and help from experts in related fields including doctors or opticians, and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A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20 that calculates a screen setting value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creen as a whole, and a screen setting display module that adjusts and displays the screen setting based on the result calculated by the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20 It consists of (30).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은 주변 환경 감지 센서(11),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12), 설정 선호 정보군(13), 전문가 정보군(14)에서 수집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20)에 전달한다.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11, th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12, the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13, and the expert information group 14, and sets the screen. Pass it to the value calculation module 20.

상기 주변 환경 감지 센서(11)는 주변 밝기, 사용자의 행동 등 사용 시 주변의 환경의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상기 주변 환경 감지 센서(11)는 일반적인 밝기 센서와 인체 감지 센서와 동일한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11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use, such as ambient brightness and user's behavior. Since the ambient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11 is the same as a general brightness sensor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12)은 화면 설정 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평가를 수집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화면 설정에 판별성을 가지는 특정 이미지를 보여준 후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화면 설정을 조절할 것을 정보로 수집한다.Th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12 collects the user's reac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creen setting change. At this time, after showing the user a specific image having discriminatory screen settings, it is collected as information to adjust the screen settings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상기 설정 선호 정보군(13)은 선명한 화질 선호, 다크모드 선호, 눈에 덜 필요한 설정 선호, 절전 선호, 색감 선호 등 사용자의 화면 설정 방향성의 선호 정보를 수집한다.The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13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creen setting direction preference, such as clear picture quality preference, dark mode preference, setting preference less necessary for the eyes, power saving preference, and color preference.

상기 전문가 정보군(14)은 의사 또는 안경사를 포함하는 관련 분야 전문가의 소견, 진단, 조언, 도움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의 눈 건강 정보와 색각 이상, 광과민성 증후군 등의 장애, 질병, 질환 또는 증상에 대한 정보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The expert information group 14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opinions, diagnoses, advice, and help of experts in related fields including doctors or optician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ye health and disorders such as color blindness and photosensitivity syndrome, diseases, conditions, or symptoms may also be included therein.

상기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20)은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10)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체적으로 반영하여 화면 설정값을 계산한다. 이때, 각 정보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서, 상기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12), 상기 설정 선호 정보군(13), 상기 전문가 정보군(14)에서 수집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을 통해 전달받고, 그 정보를 토대로 각 정보에 대한 중요도를 계산할 수 있다.The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20 calculates the screen setting value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0 as a whol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12, the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13, and the expert information group 14 regarding the importance of each information is delivered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nd, based on that information, the importance of each piece of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화면 설정 표시 모듈(30)은 상기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20)에서 계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 설정을 조절 및 표시한다. 이때, 조절 및 표시하는 화면 설정에는 디스플레이의 적녹청 비율, 밝기, 대비, 감마, 화이트밸런스, 블랙밸런스, 색온도, 최대 밝기 등이 포함된다.The screen setting display module 30 adjusts and displays the screen setting based on the result calculated by the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20 . At this time, the screen settings to be adjusted and displayed include red, green and blue ratio, brightness, contrast, gamma, white balance, black balance, color temperature, and maximum brightness of the display.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only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11 - 주변 환경 감지 센서
12 -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
13 - 설정 선호 정보군
14 - 전문가 정보군
20 -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
30 - 화면 설정 표시 모듈
10 -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1 - Ambient sensor
12 - Interactive Calibration Information Suite
13 - set preference information
14 - Expert intelligence group
20 - screen set value calculation module
30 - screen setting display module

Claims (2)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 환경 정보, 사용자의 눈 건강 정보, 사용자의 설정 선호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
사용 시 주변의 환경의 정보를 수집하는 주변 환경 감지 센서;
화면 설정 변경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평가를 수집하는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
사용자의 화면 설정 방향성의 선호 정보를 수집하는 설정 선호 정보군;
의사 또는 안경사를 포함하는 관련 분야 전문가의 소견, 진단, 조언, 도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전문가 정보군;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체적으로 반영하여 화면 설정값을 계산하는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 및
상기 화면 설정값 계산 모듈에서 계산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면 설정을 조절 및 표시하는 화면 설정 표시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adjusting screen settings by analyzing user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user information such as use environment information, user eye health information, and user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A sensor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us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user's reac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screen setting change;
a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for collecting preference information of a user's screen setting direction;
An expert information group that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opinions, diagnoses, advice, and help from experts in related fields, including doctors or opticians;
a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a screen setting value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s a whole; and
a screen setting display module for adjusting and displaying screen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calculated by the screen setting value calculation module; second
A system that analyzes user information and adjusts screen setting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 모듈은 상기 주변 환경 감지 센서, 상기 상호작용식 보정 정보군, 상기 설정 선호 정보군, 상기 전문가 정보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을 분석하여 화면 설정을 조절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analyzes user information compri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the interactive correction information group, the setting preference information group, and the expert information group to set the screen. system to regulate
KR1020220016556A 2022-02-08 2022-02-08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KR202301200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56A KR20230120045A (en) 2022-02-08 2022-02-08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56A KR20230120045A (en) 2022-02-08 2022-02-08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045A true KR20230120045A (en) 2023-08-16

Family

ID=8784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556A KR20230120045A (en) 2022-02-08 2022-02-08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004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74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ing sight
JP37156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mmon voltage setting method of the device
CN100448280C (en) Self adaptive image display method for environment light
CN104916259B (en) Control the method, apparatus and medical display of the brightness of display screen of medical display
US9167193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7295248B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storage medium
CN101136181B (en) Back light source brightness regulating mechanism,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4751807B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backlight brightnes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ubbard et al. Brightness, contrast, and color balance of digital versus film retinal images in the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2
CN10156717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backlight of 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
US2014028551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7100500B2 (en) Visual function test and optical characteristic calculation system
CN109147681A (en) The eyeshield mode regulat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of display device
CN115171024A (en) Face multi-feature fusion fatigu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deo sequence
US20020051086A1 (en) Luminance correction system used in a vision system
US20110170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examination of the eye
JP2001251641A (en) Color television receiver and eyeglass for television watching
KR20230120045A (en) Display Setting System Regrading User Information
JP492400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US10895749B2 (en) Electronic glasses and method operating them
JP2006040055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923743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1868816B (en) Display optimiz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1510699A (en) Method for adjusting image of display, display and storage medium
RU2077292C1 (en) Myopia prevention method for computer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