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676A - 클래스 ii 심부전 환자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클래스 ii 심부전 환자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676A
KR20230119676A KR1020237023192A KR20237023192A KR20230119676A KR 20230119676 A KR20230119676 A KR 20230119676A KR 1020237023192 A KR1020237023192 A KR 1020237023192A KR 20237023192 A KR20237023192 A KR 20237023192A KR 20230119676 A KR20230119676 A KR 2023011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cells
heart failure
composition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실비우 이떼스쿠
케네스 보로우
잭 헤이즈
Original Assignee
메조블라스트 인터내셔널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2090467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20904675A0/en
Application filed by 메조블라스트 인터내셔널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메조블라스트 인터내셔널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23011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8Albumins
    • A61K38/385Serum alb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2Cardiovascular disorders
    • G01N2800/325Heart failure or cardiac arrest, e.g. cardiomyopathy, congestive heart fail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심부전의 초기 단계를 갖는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NYHA(New York Heart Association) 분류 척도에 따라 클래스 II 심부전 대상체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클래스 II 심부전 환자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방법
본 명세서는 심부전의 초기 단계를 갖는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Class II heart failure) 대상체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심근경색증(MI)은 여전히 선진국에서 사망율(mortality) 및 이환율(morbidity)에 기여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US Medicare 기록의 업데이트가 발표되었는데, 발병 후 살아서 퇴원한 >65세 환자의 350,509건의 급성 MI 입원과 관련된 데이터를 평가한 US Medicare 기록의 업데이트가 발표되었다(Schuster et al. (2004) Physiol Heart Circa Physiol., 287(2):525-32). 인덱스 이벤트(index event) 후 첫 해에 심근경색증 환자의 25.9%가 사망했고 50.5%가 재입원했다. 심근경색증 발생 후 한 달 동안 일반 메디케어 연령(Medicare-age)의 인구보다 사망 가능성이 21배, 입원 가능성이 12배 더 높았다.
지난 10년 동안, 진행성 심부전(heart failure; HF)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약물 요법을 평가하는 수많은 임상 시험이 수행되었다. 심부전 환자의 이환율(morbidity)과 사망률(mortality)을 줄이는 데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진행성 질환을 가진 환자는 빈번한 입원과 조기 사망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 과정을 계속해서 경험한다.
분명히,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또는 예방할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세포 요법이 진행성 심부전의 초기 단계를 가진 대상체에서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일 예에서, 본 발명은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I 미만의 심부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 심장 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심부전의 진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개체에게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 심장 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에서 심장사(cardiac death)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세포 요법으로 치료하기 위한 심부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i) 뉴욕 심장 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라 심부전을 평가하는 단계, 및 ii) NYHA에 따라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동맥신생(arteriogenesis)을 촉진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위험에 처한 심근(myocardium)을 보호하는 인자를 분비한다. 따라서, 일 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대상체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고, 상기 세포는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하고/하거나 위험에 처한 심근을 보호하는 인자를 분비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mesenchymal lineage precursor or stem cells; MLPSCs)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MLPSC는 STRO-1+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MLPSC는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MLPSC는 동종이계(allogeneic)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배양 확장(culture expanded)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배양 확장되기 전, 상기 세포는 TNAP+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동결 보존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i)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ii)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NYHA 클래스 III 진행성 심부전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말단 프로-B형 나트륨 이뇨 펩티드(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수준은 2200pg/ml 미만이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는 세포를 투여하기 전에 2000pg/ml 미만이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세포를 투여하기 전에 1000pg/ml에서 2000pg/ml 사이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세포 요법이,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수준이 상승한, 초기 단계의 진행성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에서 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이 상승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1mg/L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1.5mg/L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2mg/L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2mg/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1.5 내지 5mg/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반응성 단백질(CRP) 수준은 < 5 mg/L, 바람직하게는 < 4 mg/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1 내지 5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1.5 내지 5mg/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지난 9개월 동안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경험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좌심실 체결분출계수(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는 약 45%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이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지속적인 좌심실 기능 장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에서, 상기 대상체의 심부전은 허혈성 사건으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심부전은 비허혈성 사건으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치료 후 심장사에 대한 감소된 위험(reduced risk)을 나타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감소된 위험은 NYHA 클래스 III(NYHA class III) 진행성 심부전을 가진 대상체의 심장사 위험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치료 후 허혈성 MACE(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에 대한 감소된 위험을 나타냈다(MACE는 주요 심장 부작용 사건(major adverse cardiac events)의 약어임).
일 예에서, 클래스 III 심부전 대상체는 허혈성 MACE(비치명적 MI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에 대한 감소된 위험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클래스 III 심부전 대상체는 치료 후 심장사에 대한 감소된 위험을 갖는다. 다른 예에서, 클래스 III 심부전 대상체는 치료 후 허혈성 MACE 및 심장 사망에 대한 감소된 위험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클래스 III 심부전 대상체의 CRP 수준은 ≥2 mg/L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경심막내(transendocardially) 및/또는 정맥내로(intravenously) 투여된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경심막내(transendocardially)로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세포 요법이 심근병증(cardiomyopathy)이 있는 대상체에서 허혈성 사건(ischemic event)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 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에서 허혈성 사건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심근병증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뇌혈관 또는 심장 폐색의 형성이다. 일 예에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뇌졸중 또는 심근 경색증이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비허혈성 심근병증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심장내막을 통해 투여된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을 갖는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활성 염증(active inflammation)을 갖는다. 놀랍게도, 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통하여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환자와 같이, 더 넓은 범위의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 예에서, 본 발명은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대상체는 NYHA(New York Heart Association)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활동성 염증을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심부전의 진행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대상체는 NYHA(New York Heart Association)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활동성 염증을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 활동성 염증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에서 심장사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은 세포 요법으로 치료하기 위한, 심부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i)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CRP 수준 및 심부전을 평가하는 단계, 및 ii)NYHA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활동성 염증을 갖는 대상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활성 염증은 피험자의 CRP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클래스 II 심부전 및 "활성 염증"을 갖는다. 일 예에서, 활성 염증은 CRP >1.5 mg/L의 수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에서, 활성 염증은 CRP >2 mg/L의 수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세포는 상기 및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논의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동맥신생을 촉진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위험에 처한 심근을 보호하는 인자를 분비한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MLPSC이다. 일 예에서, 상기 MLPSC는 STRO-1+이다. 일 예에서, 상기 MLPSC는 중간엽 줄기세포(MSC)이다. 일 예에서, MLPSC는 동종이계(allogeneic)이다. 일 예에서, 세포는 배양 확장(culture expanded)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배양 확장 전에, 상기 세포는 TNAP+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세포는 동결 보존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말단 프로-B형 나트륨 이뇨 펩티드(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수준은 세포를 투여하기 전에 1000pg/ml 내지 2000pg/m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반응성 단백질(CRP) 수준은 상승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CRP 수준은 ≥1 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2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2~5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3~5mg/L일 수 있다.
상기 예의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1 x 107 내지 2 x 108개의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투여되는 상기 조성물은 플라스마-라이트 A(Plasma-Lyte A),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인간 혈청 알부민(HSA)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투여되는 상기 조성물은 플라즈마-라이트 A(70%), DMSO(10%), HSA(25%) 용액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HSA 용액은 5% HSA 및 15% 완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r상기 조성물은 6.68x106개 이상의 생존 세포/mL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STRO-3 항체를 갖는 골 단핵 세포로부터 단리되고, 생체외 확장되고, 동결보존된 인간 골수 유래 동종이계(allogeneic) 중간엽 전구체 세포(mesenchymal precursor cells; MPC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심근경색, 뇌졸중 또는 심장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3-점 주요 심장 부작용 사건(3-point MACE)의 위험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증가된 CRP 수준이 증가된 심장 사망 위험,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과 연관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 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심장사,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 중 하나 이상의 상승된 위험(elevated risk)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로부터 얻은 샘플에서 CRP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승된 CRP는 심장사,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의 상승된 위험을 의미한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진행성 심부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심부전은 NYHA 클래스 II 심부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1mg/L의 CRP 수준은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1.5mg/L의 CRP 수준은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 ≥2mg/L의 CRP 수준은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 예에서, 상기 방법은 심장사의 상승된 위험(elevated risk of cardiac death)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허혈성(Ischemic) MACE(MI, 뇌졸중)의 감소된 발생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허혈성 MACE(MI, 뇌졸중)의 감소된 발생률을 나타낸 것이다; NYHA 클래스 II 및 클래스 III.
도 3은 허혈성 MACE(MI, 뇌졸중)의 감소된 발생률을 나타낸 것이다; 허혈성 및 비허혈성.
도 4는 모든 치료를 받은(all treated) 환자(n=537); 클래스 II 환자(n=206); 클래스 III 환자(n=331)의 심장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NYHA 클래스 II 환자의 심장사를 나타낸 것이다; 허혈성 및 비허혈성.
도 6은 시험 환자(trial patients)의 심장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각각 A) TTFE 합성물 IMM MACE; B) 비율 정규화 복합 IMM MACE; C) 기준선 CRP ≥2mg/L 대 CRP ≤2mg/ml인 모든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한 곡선
도 8은 각각 A) TTFE 비가역적 이환율(morbidity); B) 정규화된 비가역 이환율; 및 C) 모든 치료를 받은 환자(n=537); 클래스 II 환자(n=206); 클래스 III 환자(n=331)에 관하여 비가역 이환율 TTFE MACE(비치명적 MI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에 대한 곡선을 나타낸다.
도 9는 복합 심장사(composite cardiac death) 또는 허혈성 MACE(MI, 뇌졸중)에 대한 감소된 발병률을 나타낸다; 모든 치료를 받은 환자(n=537); 클래스 II 환자(n=206); 클래스 III 환자(n=331).
도 10은 NYHA 클래스 II 환자의 심장사에 대한 다년간의 추적 조사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기준선(baseline) hsCRP 수준이 ≥2 mg/L인 NYHA 클래스 II 환자의 경우, 심장사로의 진행 위험이 상당히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기준선(baseline) hsCRP 수준이 ≥2 mg/L인 NYHA 클래스 II 환자의 경우, 3점 MACE(심장사/MI/뇌졸중)의 위험이 상당히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반 기술 및 정의
달리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세포 배양, 분자 생물학, 줄기세포 배양, 면역학, 임상 시험, 의학 및 생화학 분야).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세포 배양 기술 및 분석(assay)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 절차이다. 이러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출처의 문헌 전반에 걸쳐 기술 및 설명되어 있다: J. Perbal, A Practical Guide to Molecular Cloning, John Wiley and Sons (1984), J.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ur Laboratory Press (1989), T.A. Brown (editor), Essential Molecular Biology: A Practical Approach, Volumes 1 and 2, IRL Press (1991), D.M. Glover and B.D. Hames (editors), and F.M. Ausubel et al. (editors),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Greene Pub. Associates and Wiley-Interscience (1988, including all updates until present), Ed Harlow and David Lane (editors)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ur Laboratory, (1988), and J.E. Coligan et al. (editors)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John Wiley & Sons(현재까지의 모든 업데이트를 포함함).
용어 "및/또는(and/or)", 예를 들어 "X 및/또는 Y"는, "X 및 Y" 또는 "X 또는 Y"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두 의미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의미에 대한 명시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about)"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지정된 값의 +/-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 5%를 의미한다.
"수준(level)" 및 "양(amount)"이라는 용어는 대상체로부터의 또는 세포 배양 배지(또는 그로부터의 샘플)에서 특정 물질의 양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정 농도, 중량, 백분율(예: v/v%) 또는 비율을 사용하여 샘플에서 특정 물질의 수준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수준은 배양 조건(culture conditions)에서, 본 개시내용의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특정 마커의 양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발현은 세포 표면 발현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수준은 배양 조건 하, 본원에 기술된 세포로부터 얼마나 많은 특정 마커가 방출되는지에 관해 표현될 수 있다. 예에서, 상기 샘플은 환자 또는 대상체로부터 얻어지고(예: 혈액 샘플), 샘플 내 물질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샘플에서 물질의 수준이 측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수준은 pg/ml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T-proBNP의 수준은 pg/ml로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수준은 mg/L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RP 수준은 mg/L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수준은 pg/106세포(pg per 106 cells)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세포 배양 배지에서 특정 마커의 수준은 배양 조건 하에서 결정될 수 있다. 용어, "배양 조건(culture conditions)"은 배양에서 성장하는 세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예에서, 배양 조건은 활발하게 분열하는 세포 집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는 예를 들어, 지수 성장기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마커의 수준은 세포 배양 배지의 샘플을 채취하고 샘플의 마커 수준을 측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특정 마커의 수준은 세포 샘플을 채취하고 세포 용해물에서 마커의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분비된 마커는 배양 배지를 샘플링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고 세포 표면 상에 발현된 마커는 세포 용해물의 샘플을 평가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샘플은 세포가 지수 성장 단계에 있을 때 채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샘플은 배양에서 최소 2일 후에 채취될 수 있다.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세포를 증식시키는 배양(Culture expanding cells)은 극저온 동결된 세포를 해동하고, 세포의 성장에 적합한 조건 하에서 시험관내 배양을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특정 마커의 "수준" 또는 "양"은 세포가 동결 보존된 후 배양물에 다시 접종(seed)된 후에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준은 세포의 첫 번째 동결 보존 후에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수준은 세포의 두 번째 동결 보존 후에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는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확장된 배양물일 수 있고, 특정 마커의 수준이 배양 조건 하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배양물에 재접종되기 전에 두 번째로 동결보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treating)", "치료하다(treat)", "치료(treatment)", "진행을 감소시키는(reducing progression)"은 중간엽 계통 줄기 또는 전구세포 및/또는 그의 자손 및/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용성 인자 및/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세포외 소포체의 집단을 투여하여 진행성 심부전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을 감소 또는 제거하거나, 진행을 감소시키는 맥락에서 그 발달을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상체(subject)"는 인간 대상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는 성인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어린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청소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상"은 인간 대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상은 성인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주제는 어린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상은 청소년일 수 있다. "대상체(subject)", "환자(patient)" 또는 "개인(individual)"과 같은 용어는 문맥상 본 개시내용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어이다.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는 이미 진행성 심부전이 있는 대상체와 진행성 심부전이 예방, 지연 또는 중단되어야 하는 대상체가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유전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유전적으로 변형되지 않은(genetically unmodified)"이라는 용어는 핵산으로의 형질감염에 의해 변형되지 않은 세포를 의미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으로 형질감염된 줄기세포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샘플"는 CRP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대상체로부터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샘플"에는 샘플의 추출물 및/또는 파생물 및/또는 분획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샘플로는 대상체로부터 채취하여 대상체의 CRP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생물학적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샘플은 혈액 샘플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NYHA 클래스 II 심부전이 있는 대상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포함하다(comprise)"라는 용어, 또는 "포함하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과 같은 변형은 언급된 요소(element), 정수(integer) 또는 단계, 또는 요소, 정수 또는 단계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나, 다른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 정수 또는 단계의 그룹의 배제를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거나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단일 단계, 물질의 구성, 단계의 그룹 또는 물질의 구성 그룹에 대한 언급은 이러한 단계, 물질의 구성, 단계의 그룹 또는 물질의 구성 그룹 중 하나 및 복수(즉, 하나 이상)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개시 내용이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 이외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individually) 또는 집합적으로(collectively) 언급되거나 지시된 모든 단계, 특징, 구성 및 화합물, 및 상기 단계 또는 특징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 또는 임의의 2개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순히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적으로 등가인 제품, 조성물 및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명백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예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예에 준용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진행성 심부전(Progressive heart failure)
심근병증(Cardiomyopathy)은 심장이 신체의 나머지 부분으로 혈액을 펌핑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심장 근육의 질병이다. 심장이 신체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혈류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펌핑할 수 없을 때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심근병증은 허혈성(ischemic) 또는 비허혈성(non-ischemic) 사건 후에 발생할 수 있다. 허혈성 심부전의 원인 중 하나는 심근 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예: 심장마비)에 따른 수축기 기능 장애이다. MI는 혈액이 심장의 일부로 제대로 흐르지 않을 때 발생한다. 혈액 공급 부족은 경색(infarct) 또는 경색(infarction)이라고 하는 국소적인 심근 괴사 영역을 초래한다. 경색된 심장은 여러 가지 병태생리학적 반응과 궁극적으로 심부전으로 이어지는 신체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혈류를 유지할 만큼 충분히 펌핑할 수 없다. 비허혈성 심근병증은 알려진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이 없다. 하나의 예시로, 심장의 주요 펌핑 챔버인 좌심실이 확장되고 약해지기 때문에 혈액을 펌핑하는 심장의 능력이 감소하는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DCM)이 있다.
일단 심장이 신체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혈류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펌핑할 수 없으면, 일련의 보상 메커니즘이 시작되어 심박출량의 감소를 완충하고 중요한 장기에 관류(perfuse )할 수 있는 충분한 혈압을 유지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결과적으로 심부전 환자는 장기간 심부전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보상 메커니즘은 결국 손상된 심장을 보상하지 못하여 "진행성 심부전(progressive heart failure)"이라고 하는 심박출량의 점진적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만성 심부전(chronic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cardiac failure), 수축기 기능 장애(systolic dysfunction) 및 진행성 심부전(advanced heart failure)은 "진행성 심부전(progressive heart failure)"과 동일한 의미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진행성 심부전을 가진 일부 환자들(subset of patients)에게 효과적이다. 하나의 예에서, 이러한 대상체들은 뉴욕 심장 협회(NYHA) 분류 척도를 기반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진행성 심부전은 III급 미만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II급 심부전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NYHA 분류는 대상의 증상을 기준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 표 1을 기반으로 NYHA 분류가 할당될 수 있다:
클래스 환자 증상
I 신체 활동의 제한이 없음. 일상적인 신체 활동으로는 과도한 피로, 심계항진(palpitation), 호흡곤란(숨가쁨)을 유발하지 않음.
II 신체 활동에 약간의 제한 있음. 휴식중에는 편안함. 일상적인 신체 활동은 피로, 심계항진, 호흡곤란(숨가쁨)을 초래함.
III 신체 활동에 현저한 제한 있음. 휴식중에는 편안함. 일상적인 활동보다 적은 활동이 피로, 심계항진, 호흡곤란(숨가쁨)을 초래함.
IV 불편함 없이 신체 활동을 수행할 수 없음. 휴식중에도 심부전 증상있음. 신체활동을 하면 불편함이 증가함.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심부전은 허혈성 사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심부전은 심근경색(MI)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MI 대상체일 수 있다. 용어 "심근경색(MI) 대상체"는 심근경색이 있는 대상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심부전은 비허혈성 심근병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MI 대상체의 특정 집단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는 이미 진행성 심부전이 있는 환자와 진행성 심부전이 예방, 지연 또는 중단되어야 하는 환자가 포함된다. 이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NYHA에 기반한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진행성 심부전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는 클래스 II 진행성 심부전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치료하는 대상체는 상승된 C-반응성 단백질 수준에 의해 정의되는 "활성 염증(active inflammation)"을 갖는다. 예를 들어, 활동성 염증은 CRP 수치가 2 mg/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또는 "CRP"는 급성 염증 재발 조건 하에서 수준이 상승되고 일단 염증이 가라앉으면 빠르게 정상화되는 염증 매개체이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치료되는 대상체는 심장사의 상승된 위험을 가질 수 있다. 심장사란 심장 기능 상실로 인한 사망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치료된 대상체는 상승된 CRP(elevated CRP)를 가질 수 있다. 용어 "상승된 CRP"는 기준선 CRP 수준에 비해 증가된 CRP 수준을 지칭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mg/L 이상의 CRP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1.5mg/L 이상의 CRP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2 mg/L이상의 CRP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치료된 대상체는 초기 CRP 수준이 ≥2 mg/L이다. 예를 들어, 대상은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초기 CRP 수준 ≥2 mg/L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피험자는 클래스 II 심부전 및 초기 CRP 수준 ≥2 mg/L을 가질 수 있다.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치료된 대상체는 초기 CRP 수준이 < 5 mg/L이다. 또 다른 예에서, 피험자는 초기 CRP 수준이 4 mg/L 미만이다. 또 다른 예에서, 대상체는 2 내지 6mg/L 사이의 초기 CRP 수준을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대상체는 3 내지 6mg/L 사이의 초기 CRP 수준을 갖는다. 또 다른 예에서, 대상체는 4 내지 5mg/L 사이의 초기 CRP 수준을 갖는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치료된 대상체는 초기 CRP 수준이 ≥2 mg/L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초기 CRP 수준 ≥2 mg/L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클래스 II 심부전 및 초기 CRP 수준 ≥2 mg/L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라 치료된 대상체는 초기 CRP 수준이 < 5 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초기 CRP 수준이 4 mg/L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2 내지 6mg/L 사이의 초기 CRP 수준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3 내지 6mg/L 사이의 초기 CRP 수준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4 내지 5mg/L 사이의 초기 CRP 수준을 가질 수 있다.
항체 기반 면역분석법과 같은 CRP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다양한 분석법이 있다. 예를 들어, ELISA 분석(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사용하여 혈액 샘플에서 CRP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샘플은 환자로부터 얻은 다음 항-CRP 항체와 접촉하기 전에 정제될 수 있다. 항체 결합 정도는 혈액 샘플의 CRP 수준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예: mg/L). 하나의 예에서, CRP는 혈장 고감도 CRP(high sensitivity CRP; hsCRP) ELISA 분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B형 나트륨이뇨펩티드(B-type natriuretic peptide; BNP)는 심장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이다. N-말단(NT)프로 호르몬 BNP(NT-proBNP)는 BNP를 생성하는 동일한 분자에서 방출되는 비활성 프로호르몬이다. BNP와 NT-proBNP는 모두 심장 내부의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방출된다. 이러한 변화는 심부전 및 기타 심장 문제와 관련될 수 있다. 심부전이 발생하거나 악화되면 수치가 올라가고 심부전이 안정되면 수치가 내려간다. 따라서 BNP는 심부전 진행의 효과적인 마커이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2200pg/ml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2100pg/ml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2000pg/ml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1900pg/ml 미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2200pg/ml 내지 1000pg/m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2200pg/ml 내지 1100pg/m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2100pg/ml 내지 1200pg/m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T-proBNP 수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2000pg/ml 내지 1500pg/m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LISA 분석과 같은 항체 기반 면역 분석과 같은 NT-proBNP 수준을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이 있다. 예를 들어, 환자로부터 혈액 샘플을 얻은 다음 항-NT-proBNP 항체와 접촉하기 전에 정제할 수 있다. 항체 결합 정도는 혈액 샘플에서 NT-proBNP의 수준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예: pg/L).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투여 이전 12개월에 걸쳐 심부전 입원 사건을 겪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투여 이전 9개월에 걸쳐 심부전 입원 사건을 겪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본 발명에 개시된 조성물의 투여 이전 6개월 내지 12개월에 걸쳐 심부전 입원 사건을 겪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심부전 입원 사건은 심부전의 징후와 증상을 악화시키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심부전 입원 사건은 허혈성 사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심부전 입원 사건은 비허혈성 사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6분 내에 적어도 320미터를 걸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6분 내에 적어도 330미터를 걸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6분 내에 적어도 340미터를 걸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기 전에 6분 내에 적어도 350미터를 걸을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지속적인 좌심실 기능 장애를 가질 수 있다. 좌심실 기능 장애는 심근 수축력의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좌심실 내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면 좌심실 박출률(LVEF)이 감소한다. 따라서 LVEF는 좌심실 기능 장애를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LVEF 및 LVESV는 심초음파(echocardiogram), SPECT(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또는 cMRI(cardio magnetic resonance imaging)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45% 미만의 LVEF를 갖는 대상체는 좌심실 기능 장애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약 44%, 43%, 42%, 41% 미만의 LVEF를 갖는 대상체는 좌심실 기능장애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약 40% 미만의 LVEF를 갖는 대상체는 좌심실 기능부전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약 39%, 38%, 37%, 36%, 35%, 34%, 33%, 32%, 31%, 30% 미만의 LVEF를 갖는 대상체는 좌심실 기능부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지속적인 좌심실 기능 장애(persistent left ventricular dysfunction)"라는 용어는 일정 기간 또는 일련의 측정에 걸쳐 지속되는 좌심실 기능 장애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좌심실 기능 장애"는 약 1 내지 약 14일 또는 그 이상 동안 지속되는 좌심실 기능 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45% 미만의 LVEF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40% 미만의 LVEF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상체는 39%, 38%, 37%, 36%, 35%, 34%, 33%, 32%, 31%, 30% 미만의 LVEF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진행성 심부전의 특징인 심박출량의 진행성 감소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치료하다(treat)" 및 "치료(treatment)"는 치료적 처치 및 예방적 또는 예방적 조치 모두를 지칭한다.
하나의 예에서,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진행성 심부전의 진행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는 상기 대상체의 NYHA 클래스 III 진행성 심부전으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치료는 심장사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감소된 심장사의 위험은 NYHA 클래스 III 진행성 심부전이 있는 대상체의 심장사의 위험과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치료 후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5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55%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6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65%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7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적어도 50% 내지 70%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3점 MACE(심장사/MI/뇌졸중)의 위험은 치료 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3점 MACE(3-point MACE)"는 심혈관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및 비치명적 뇌졸중(심장사/MI/뇌졸중)의 복합으로서 정의되는 것으로 사용된다. 하나의 예에서, 3점 MACE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3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3점 MACE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4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3점 MACE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45%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3점 MACE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5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3점 MACE의 위험은 기준선에 비해 적어도 30% 내지 50% 감소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치료는 환자 생존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치료는 치료 개시 후 적어도 1000일 동안 대상체가 생존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치료는 치료 개시 후 적어도 2000일 동안 개체가 생존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증가된 확률은 개시내용의 조성물로 치료되지 않은 대상체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증가된 확률은 클래스 III 심부전이 있는 대상체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치료는 심장 관련 사망 또는 소생된 심장사의 복합물로서 정의되는 심부전 관련 주요 심장 이상 사건(heart failure-related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HF-MACE), 또는 비치명적 비대상성 심부전 사건의 기회 또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하나의 예에서, HF-MACE의 기회 또는 위험은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투여 후 적어도 6개월, 적어도 12개월, 적어도 24개월, 적어도 36개월에 걸쳐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의 기회 또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허혈성 사건(ischemic event)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 특히 심근병증이 있는 대상체에서 허혈성 사건의 위험 또는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심근병증 및 상승된 CRP를 갖는 대상체에서 허혈성 사건의 위험 또는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위험 또는 발생률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받지 않은 대상체에 비해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되지 않은 대상체에 비해 위험 또는 발생률이 감소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폐색(occlusion)의 형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폐색은 동맥 폐색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뇌혈관 폐색의 형성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심장 폐색의 형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상 동맥에서 폐색이 형성될 수 있다.
폐색의 형성에 의해 유발되는 허혈성 사건의 예는 심근 경색 및 뇌졸중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심근병증이 있는 대상체에서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 또는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근병증이 있는 피험자에서 허혈 사건의 위험 또는 발생률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은 세포 요법(cell therapy)을 투여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비허혈성 심근병증을 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의 심근병증은 좌심실 비대(확장성 심근병증)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심근병증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 심장 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라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을 앓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N-말단 프로-B형 나트륨 이뇨 펩티드(NT-proBNP) 수준은 세포를 투여하기 전에 1000pg/ml 내지 2000pg/m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반응성 단백질(CRP)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1.5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2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치는 1~5mg/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3~5mg/L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세포는 심장내막을 통해(transendocardially)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감소된 위험은 3년의 위험 감소(reduced 3 year risk)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감소된 위험은 5년의 위험 감소(reduced 5 year risk)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허혈성 사건의 위험은 정의된 기간 동안 감소할 수 있다.
중간엽 계통 전구체 세포(Mesenchymal lineage precursor cells)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MLPSC)"는 다분화능을 유지하면서 자가 재생하는 능력 및 중간엽 기원의 다수의 세포 유형, 예를 들어 골아세포, 연골세포, 지방세포, 기질 세포, 섬유아세포 및 힘줄, 또는 비-중배엽 기원, 예를 들어 간세포, 신경 세포 및 상피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는 미분화된 다능성 세포를 지칭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세포"는 뼈, 연골, 근육 및 지방 세포, 섬유 결합 조직과 같은 중간엽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용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부모 세포 및 이들의 미분화 자손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용어는 또한 중간엽 전구체 세포, 다능 기질 세포(multipotent stromal cells),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 혈관주위 중간엽 전구체 세포(perivascular mesenchymal precursor cells) 및 이들의 미분화 자손을 포함한다.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자가(autologous), 동종이계(allogeneic), 이종(xenogenic), 동계(syngenic) 또는 동종(isogenic)일 수 있다. 자가 세포는 재이식될 동일한 개인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동종이계 세포는 동일한 종의 공여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종 세포는 다른 종의 공여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동계 또는 동종 세포는 쌍둥이, 클론 또는 고도로 근친교배된 연구 동물 모델과 같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유기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에서,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동종이계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동종이계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배양 확장되고 동결보존될 수 있다.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주로 골수에 존재하지만, 예를 들어 제대혈(cord blood) 및 탯줄, 성인 말초 혈액(adult peripheral blood), 지방 조직(adipose tissue), 해면골(trabecular bone) 및 치수(dental pulp)를 포함하는 다양한 숙주 조직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또한 피부, 비장, 췌장, 뇌, 신장, 간, 심장, 망막, 뇌, 모낭, 장, 폐, 림프절, 흉선, 인대, 힘줄, 골격근, 진피 및 골막에서 발견되고; 중배엽 및/또는 내배엽 및/또는 외배엽과 같은 생식계열로 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지방(adipose), 골(osseous), 연골(cartilaginous), 탄성(elastic), 근육(muscular) 및 섬유(fibrous) 결합 조직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농축된(enriched)", "농축(enrichment)" 또는 이들의 변형은 하나의 특정 세포 유형의 비율 또는 다수의 특정 세포 유형의 비율이 처리되지 않은 세포 집단과 비교할 때 증가된 세포(예: 고유(native) 환경의 세포) 집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가 농축한 집단은 적어도 약 0.1% 또는 0.5% 또는 1% 또는 2% 또는 5% 또는 10% 또는 15% 또는 20% 또는 25% 또는 30% 또는 50% 또는 75%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가 농축된 세포 집단"이라는 용어는 "X%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집단"이라는 용어에 대한 명시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X%는 본 명세서에 인용된 백분율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클론형성 콜로니(clonogenic colonies)를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CFU-F(섬유아세포) 또는 이의 서브셋(예: 50% 또는 60% 또는 70% 또는 70% 또는 90% 또는 95%)는 이러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에서,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MSC)일 수 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균질한 조성이거나 중간엽 줄기세포가 농축된 혼합 세포 집단일 수 있다. 균질한 MSC 조성물은 부착성 골수 또는 골막 세포를 배양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MSC는 고유한 단일클론 항체로 식별되는 특정 세포 표면 마커로 식별할 수 있다. MSC가 농축된 세포 집단을 얻는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5,486,359에 설명되어 있다. MSC의 대체 공급원에는 혈액, 피부, 제대혈, 근육, 지방, 뼈 및 연골막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MSC는 동종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MSC는 동결 보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MSC는 배양 확장 및 동결 보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CD29+, CD54+, CD73+, CD90+, CD102+, CD105+, CD106+, CD166+, MHC1+ MSC일 수 있다.
분리되거나 농축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배양에 의해 시험관 내에서 확장될 수 있다. 분리되거나 농축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동결 보존, 해동 및 이후 배양에 의해 시험관 내에서(in vitro)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단리되거나 농축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배양 배지(무혈청 또는 혈청 보충됨), 예를 들어 5%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글루타민이 보충된 알파 최소 필수 배지(alpha minimum essential media; αMEM)에 50,000개의 생존 세포/cm2로 접종되고, 37℃, 20% O2에서 밤새 배양 용기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후 배양 배지를 필요에 따라 교체 및/또는 변경하고 세포를 37℃, 5% O2에서 추가로 68~72시간 동안 배양한다.
당업자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이, 배양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생체내 세포와 표현형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한 실시양태에서 이는 하기 마커, CD44, NG2, DC146 및 CD140b 중 하나 이상을 발현할 수 있다. 배양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또한 생물학적으로 생체 내 세포와 다르며, 생체 내에서 대체로 비순환(정지(quiescent)) 세포에 비해 더 높은 증식률을 가진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세포 집단은 선택 가능한 형태의 STRO-1+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제제로부터 농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선택 가능한 형태(selectable form)"는 세포가 STRO-1+ 세포의 선택을 허용하는 마커(예를 들어, 세포 표면 마커)를 발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STRO-1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 및/또는 예시된 바와 같이, STRO-2 및/또는 STRO-3(TNAP) 및/또는 STRO-4 및/또는 VCAM-1 및/또는 CD146 및/또는 3G5를 발현하는 세포(예: 중간엽 전구체 세포)는 또한 STRO-1(및 STRO-1bright일 수 있음)을 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가 STRO-1+라는 표시는 세포가 STRO-1 발현에 의해서만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세포는 적어도 STRO-3 발현에 기초하여 선택되며, 예를 들어 이는 STRO-3+(TNAP+)일 수 있다.
세포 또는 이의 집단의 선택에 대한 언급은 특정 조직 공급원으로부터의 선택을 반드시 요구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STRO-1+ 세포는 매우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분리되거나, 농축될 수 있다. 즉, 일부 예에서, 이들 용어는 STRO-1+ 세포(예를 들어, 중간엽 전구체 세포)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직 또는 혈관화 조직 또는 혈관주위세포(예를 들어, STRO-1+ 주혈구(pericytes))를 포함하는 조직 또는 본원에 인용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조직으로부터의 선택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사용된 세포는 TNAP+, VCAM-1+, THY-1+, STRO-2+, STRO-4+(HSP-90β), CD45+, CD146+, 3G5+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마커를 발현할 수 있다.
"개별적으로"는 개시내용이 인용된 마커 또는 마커 그룹을 별도로 포함하고, 이러한 개별 마커 또는 마커 그룹이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나열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첨부된 청구범위가 그러한 마커 또는 마커 그룹을 서로 개별적으로 그리고 분할 가능하게 정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집합적으로"는 개시내용이 인용된 마커 또는 마커 그룹의 임의의 수 또는 조합을 포함하고, 마커 또는 마커 그룹의 그러한 수 또는 조합이 본원에 구체적으로 나열되지 않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첨부된 청구범위가 임의의 다른 마커 조합 또는 마커 그룹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러한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을 정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TNAP"는 조직 비특이적 알칼리성 포스파타제(tissue non-specific alkaline phosphatase)의 모든 이소폼(isoform)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이 용어는 간 이소폼(liver isoform; LAP), 뼈 이소폼(bone isoform; BAP) 및 신장 이소폼(kidney isoform; KAP)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TNAP는 BAP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명세서의 TNAP는 기탁 수탁 번호 PTA-7282 하에 부다페스트 조약의 규정에 따라 2005년 12월 19일에 ATCC에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성된 STRO-3 항체에 결합할 수 있는 분자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상기 STRO-1+ 세포는 클론원성 CFU-F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당한 비율의 STRO-1+ 세포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생식계열로 분화할 수 있다. 상기 STRO-1+ 세포가 속할 수 있는 계통의 비제한적 예에는 뼈 전구 세포; 담관 상피 세포(bile duct epithelial cell) 및 간세포(hepatocytes)에 대해 다능성인 간세포 전구체(hepatocyte progenitors);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s) 및 성상세포(astrocytes)로 진행하는 신경아교세포 전구체(glial cell precursors)를 생성할 수 있는 신경 제한 세포(neural restricted cells); 뉴런으로 진행하는 뉴런 전구체; 심장 근육 및 심근 세포의 전구체, 포도당 반응성 인슐린 분비 췌장 베타 세포주가 있다. 다른 계통에는 치아 모세포(odontoblasts), 상아질 생성 세포(dentin-producing cells) 및 연골 세포(chondrocytes) 및 다음의 전구세포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망막 색소 상피 세포(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섬유아세포(fibroblasts),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와 같은 피부 세포,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 모낭 세포(hair follicle cells), 신관 상피 세포(renal duct epithelial cells), 평활근 및 골격근 세포, 고환 전구체(testicular progenitors), 혈관 내피 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s), 힘줄, 인대, 연골, 지방세포(adipocyte), 섬유아세포(fibroblast), 골수 간질(marrow stroma), 심장 근육(cardiac muscle), 평활근, 골격근, 혈관주위세포(pericyte), 혈관(vascular), 상피(epithelial), 아교세포(glial), 신경세포(neuronal), 성상세포(astrocyte) 및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 cells).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단일 공여체, 또는 공여자 샘플 또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가 후속적으로 풀링(subsequently pooled)된 후 배양 확장된 다중 공여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 포함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대상체에 투여되기 전에 동결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배양 확대되고 대상체에 투여되기 전에 동결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와 그 자손, 그로부터 유래한 용해인자,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세포외 소포체(vesicle)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본 개시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와 그로부터 분리한 세포외 소포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를 세포 배양 매질로부터 세포외 소포체를 분비할 수 있는 기간과 조건하에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분비된 세포외 소포체는 이후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배양 배지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세포외 소포체"라는 용어는 세포로부터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지질 입자를 지칭하며, 크기는 약 30 nm에서 10 마이크론까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200 nm 미만의 크기를 가진다. 세포외 소포체는 방출된 세포(예: 중간 줄기세포; STRO-1+ 세포)의 단백질, 핵산, 지질, 대사물질 또는 세포 기관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엑소좀(exosomes)"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약 30nm에서 약 150nm까지 크기를 가지며 포유동물 세포의 엔도솜 구획에서 기원한 후 세포막으로 이동되어 방출되는 유형의 세포외 소포체를 나타낸다. 이는 핵산(예: RNA, microRNAs), 단백질, 지질 및 대사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한 세포에서 분비되고 다른 세포에 흡수되어 그의 화물을 전달함으로써 세포 간 통신의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의 조성물은 대상 조직에서 신규 혈관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조직은 심장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이들 세포는 위험에 처한 또는 손상된 심근을 보호하기 위한 인자를 분비할 수 있다. 상기 위험에 처한 또는 손상된 심근은 허혈 사건으로 인해 혈류 부족을 겪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심근세포에서의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는 인자를 분비할 수 있다.
세포의 배양 확장(Culture expansion of the cells)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배양 확장될 수 있다. "배양 확장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되고 이식(passaged), 즉, 계대배양된다는 점에서 방금(freshly) 분리된 세포와 구별된다.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적어도 6, 적어도 7, 적어도 8, 적어도 9, 적어도 10 계대 동안(passage)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내지 10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내지 8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내지 7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10 계대 초과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7계대 초과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줄기세포는 중간 동결보존된 MLPSC 집단을 제공하기 위해, 동결 보존되기 전에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중간 동결보존된 MLPSC 집단, 또는 다른 방식으로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확장된 배양물인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배양 확장된 상기 세포은 적어도 5, 적어도 6, 적어도 7, 적어도 8, 적어도 9, 적어도 10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내지 10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내지 8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5 내지 7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10계대 초과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7계대 초과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배양 확장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동물성 단백질이 없는 배지에서 배양 확장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배양 확장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이종이 없는 배지(xeno-free medium)에서 배양 확장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확장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소태아혈청이 없는 배지(fetal bovine serum free medium)에서 배양 확장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단일 공여체로부터, 또는 공여체 샘플 또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가 후속적으로 풀링된 후 배양 확장된 다중 공여체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배양 확장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 계대 확장(passage expansion)에 의해 생존 세포의 수를 확장하여 적어도 약 10억 개의 생존 세포 제제(preparation)를 제공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계대 확장은 분리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의 1차 배양을 확립(establish)하고 이전 배양으로부터 분리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의 제1 비-1차(P1) 배양을 연속적으로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함;
ii. 상기 분리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의 P1 배양물을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의 제2 비-일차(P2) 배양물로 계대 확장에 의해 확장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의 P2 배양물로부터 수득되는 공정 중 중간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제제(in-process intermediate mesenchymal lineage precursor or stem cells preparaion)를 제조 및 동결보존하는 단계; 및,
iv. 상기 동결보존된 공정 중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제제를 해동하고, 상기 공정 중 중간 중간 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제제를 계대 확장에 의해 확장하는 단계.
하나의 예에서, 상기 확장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제제는 다음을 포함하는 항원 프로파일 및 활성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 약 0.75% 미만의 CD45+ 세포;
ii. 적어도 약 95% CD105+ 세포;
iii. 적어도 약 95% CD166+ 세포.
하나의 예에서, 상기 확장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제제는 CD3/CD28-활성화된 PBMC에 의한 IL2-Rα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적어도 약 30% 억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배양 확장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약 4-10계대 동안 배양 확장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추가 배양 확장되기 전, 적어도 2 또는 3 계대 후 동결보존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배양되기 전; 적어도 1, 적어도 2, 적어도 3, 적어도 4, 적어도 5 계대 동안 배양 확장되고, 동결보존된 후, 적어도 1, 적어도 2, 적어도 3, 적어도 4, 적어도 5 계대 동안 추가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단리 및 생체외(ex vivo) 확장의 과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장비 및 세포 취급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배양 확장의 실시양태는 세포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단계, 예를 들어 접종(seeding), 공급, 부착 배양물의 해리 또는 세척 단계를 사용할 수 있다. 세포를 조작하는 모든 단계는 세포를 손상(insult)시킬 가능성이 있다.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일반적으로 제조 중 일정량의 손상을 견딜 수 있지만, 세포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주어진 단계(들)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절차 및/또는 장비를 취급함으로써 세포를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나의 예에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세포 공급원 백, 세척액 백, 재순환 세척 백, 입구 및 출구 포트가 있는 회전 막 필터, 여과액 백, 혼합 구역, 세척된 세포용 최종 제품 백 및 예시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US 6,251,295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적절한 튜브 적절한 튜브를 포함하는 장치에서 세척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배양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조성물은 CD105 양성 및 CD166 양성 및 CD45 음성에 대해 95% 균질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균질성은 생체 외 확장; 즉, 다중 개체수 배가(multiple population doublings)를 통해 지속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3D 배양에서 배양 확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생물반응기에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3D 배양으로 추가로 확장되기 전에 2D 배양을 통해 초기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마스터 세포 은행(master cell bank)으로부터 배양 확장될 수 있다.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3D 배양에 접종되기 전, 2D 배양에 있어서 마스터 세포 은행으로부터 초기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생물반응기에서 3D 배양에 접종되기 전, 적어도 3일 동안 2D 배양에 있어서 마스터 세포 은행으로부터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생물반응기에서 3D 배양에 접종되기 전, 적어도 4일 동안 2D 배양에 있어서 마스터 세포 은행으로부터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생물반응기에서 3D 배양에 접종되기 전, 3일 내지 5일 동안 2D 배양에 있어서 마스터 세포 은행으로부터 배양 확장될 수 있다. 이 예에서 2D 배양은 세포 공장(cell factory)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세포 공장 제품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예: Thermofisher, Sigma).
세포 배양 배지(Cell Culture Medium)
본 명세서에 개시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다양한 적합한 성장 배지에서 배양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지" 또는 "배지"는 세포를 둘러싸는 환경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배지는 세포 성장에 적합한 조건에 기여 및/또는 제공한다. 배지는 고체, 액체, 기체 또는 상과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배지는 액체 성장 배지뿐만 아니라 세포 성장을 지속하지 않는 액체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지에는 한천, 아가로스, 젤라틴 및 콜라겐 매트릭스와 같은 젤라틴 배지도 포함될 수 있다. 기체 배지는 예시적으로 페트리 접시 또는 다른 고체 또는 반고체 지지체에서 성장하는 세포가 노출되는 기체상을 포함한다.
배양 확장에 사용되는 세포 배양 배지는 모든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비필수 아미노산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Thr, Met, Val, Leu, Ile, Phe, Trp, Lys, His)과 비필수아미노산(Gly, Ala, Ser, Cys, Gln, Asn, Asp, Tyr, Arg, Pro)으로 분류된다.
당업자는 최적의 결과를 위해서는 기본 배지가 관심 세포주에 적합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 에너지원이 고갈되어 성장을 제한하는 것으로 밝혀지면 기본 배지에서 포도당(또는 다른 에너지원) 수준을 높이거나 배양 과정 동안 포도당(또는 다른 에너지원)을 추가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존 산소(DO) 수준 역시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세포 배양 배지는 인간 유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혈청 및 인간 혈소판 세포 용해물을 상기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사이 세포 배양 배지는 인간 유래 첨가제만을 함유한다. 따라서, 하나의 예에서 세포 배양 배지는 이종이 없는(xeno-free) 배지일 수 있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이러한 예에서 상기 배양 배지는 동물성 단백질이 없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세포 배양 배지는 동물 성분이 없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배양 배지는 혈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배양 배지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성장 인자를 포함하는 소태아혈청이 없는(fetal bovine serum free) 배양 배지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배지는 무혈청 줄기세포 배양 배지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세포 배양 배지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배지(basal medium);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2(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2).
하나의 예에서, 상기 배양 배지는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PDGF) 및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2(FGF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FGF2의 수준은 약 6ng/ml 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FGF2 수준은 약 5ng/ml 미만, 약 4ng/ml 미만, 약 3ng/ml 미만, 약 2ng/ml 미만, 약 1ng/ml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FGF2 수준은 약 0.9ng/ml 미만, 약 0.8ng/ml 미만, 약 0.7ng/ml 미만, 약 0.6ng/ml 미만, 약 0.5ng/ml 미만, 약 0.4ng/ml 미만, 약 0.3ng/ml 미만, 약 0.2ng/ml 미만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FGF2의 수준은 약 1pg/ml 내지 100p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FGF2의 수준은 약 5pg/ml 내지 80pg/ml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PDGF는 PDGF-BB일 수 있다.하나의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약 1ng/ml 내지 15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약 7.5ng/ml 내지 12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약 15ng/ml 내지 6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1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15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1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2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3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4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B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5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는 PDGF-AB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약 1ng/ml 내지 15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약 7.5ng/ml 내지 12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약 15ng/ml 내지 6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1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15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0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1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2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3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4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PDGF-AB의 수준은 적어도 약 25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추가적인 인자가 상기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배양 배지는 EGF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EGF는 수용체 EGFR에 결합하여 세포 증식을 자극하는 성장 인자이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EGF를 추가로 포함하는 태아소혈청이 없는 세포 배양 배지에서 줄기세포 집단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GF의 수준은 약 0.1에서 7ng/ml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5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약 0.2ng/ml 내지 3.2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약 0.4ng/ml 내지 1.6ng/ml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약 0.2ng/ml 사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0.3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0.4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0.5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0.6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0.7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0.8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0.9ng/ml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EGF의 수준은 적어도 약 1.0ng/ml일 수 있다.
상기 예에서, Alpha MEM 또는 StemSpan™과 같은 기본 배지(basal medium)가 기준량의 성장 인자로 보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배양 배지는 32ng/ml PDGF-BB, 0.8ng/ml EGF 및 0.02ng/ml FGF가 보충된 Alpha MEM 또는 StemSpanTM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추가적인 인자가 상기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포 배양 배지는 표피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 lα,25-디하이드록시비타민 D3(1,25D), 종양 괴사 인자 α(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인터루킨-lβ(IL-lβ) 및 간질 유래 인자 Iα(stromal derived factor lα; SDF-l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극 인자로 보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포는 또한 세포의 성장을 지원하기에 적절한 양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토카인의 존재 하에 배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세포는 헤파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존재 하에 배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포 배양 배지는 약 50ng/ml의 헤파린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세포 배양 배지는 약 60ng/ml의 헤파린, 약 70ng/ml의 헤파린, 약 80ng/ml의 헤파린, 약 90ng/ml의 헤파린, 약 100ng/ml의 헤파린, 약 110ng/ml의 헤파린, 약 110ng/ml의 헤파린, 약 120ng/ml의 헤파린, 약 130ng/ml의 헤파린, 약 140ng/ml의 헤파린, 약 150ng/ml의 헤파린 또는 이의 유도체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파린 유도체는 황산염(sulphate)일 수 있다. 헤파린 설페이트 2(heparin sulphate 2; HS2)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헤파린 설페이트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HS2는 예를 들어 수컷 및/또는 암컷 포유동물의 간을 비롯한 다양한 공급원에서 유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헤파린 설페이트에는 남성 간 헤파린 설페이트(male liver heparin sulphate; MML HS) 및 여성 간 헤파린 설페이트(female liver heparin sulphate; FML HS)가 포함된다.
또 다른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상기 세포 배양 배지는 줄기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줄기세포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 줄기세포는 특정 분화 계통에 투입되지 않은 경우, 미분화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줄기세포는 분화된 세포와 구별되는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미분화 줄기세포는 분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마커로 사용될 수 있는 유전자를 발현한다. 또한, 폴리펩티드 생성물도 분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일반적인 형태학적, 유전학적 및/또는 단백질체학적 분석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이 줄기세포를 미분화 상태로 유지하는지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세포의 변형(Modification of the cell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투여시 세포의 용해가 억제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항원의 변형은 면역학적 무반응성 또는 내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써 궁극적으로 정상적인 면역 반응에서 외래 세포의 거부에 영향을 주는, 면역 반응의 이펙터 단계(effector phases, 예시로, 세포독성 T 세포 생성, 항체 생산 등)의 유도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는 항원으로는, 예를 들어 MHC 클래스 I 항원, MHC 클래스 II 항원, LFA-3 및 ICAM-1이 포함된다.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또한 줄무늬 골격근 세포의 분화 및/또는 유지에 중요한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시적인 단백질은 성장 인자(TGF-β,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insulin-like growth factor 1; IGF-1), FGF), 미오제닌 인자(예를 들어, myoD, 미오제닌(myogenin), 미오제닌 인자 5(myogenic factor 5; Myf5), 미오제닌 조절 인자(myogenic regulatory factor; MRF)), 전사 인자(예: GATA-4), 사이토카인(예: 카디오트로핀-1(cardiotropin-1)), 뉴레굴린 계열 구성원(예: 뉴레굴린 1, 2 및 3) 및 호메오박스 유전자(예: Csx, tinman 및 NKx 계열)를 포함한다.
조성물(Compositions)
본원에 개시된 중간엽 계통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하나의 치료 용량을 함유하는 제제를 생성하기 위해 동결보존된 중간체로부터 배양 확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10 x 106 세포 내지 35 x 106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20 x 106 셀과 30 x 106 셀 사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100 x 106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성물은 50 x 106 셀과 500 x 106 셀 사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억 5천만 개의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담체" 및 "부형제"는 활성 화합물의 저장, 투여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조성물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 Mac Publishing Company(1980) 참조). 담체는 또한 활성 화합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예를 들어 안정하고, 예를 들어 담체 내의 다른 성분과 반응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담체는 치료를 위해 사용된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상당한 국소적 또는 전신적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적합한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식염수, 수성 덱스트로스, 락토스, 링거 용액, 완충 용액, 히알루로난 및 글리콜과 같은, 용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예시적인 액체 담체(등장성인 경우)를 포함한다. 적합한 약제학적 담체 및 부형제는 전분, 셀룰로오스, 글루코스, 락토스, 수크로스, 젤라틴, 맥아, 쌀, 밀가루, 백악(chalk), 실리카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나트륨,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염화나트륨,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및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담체는 예를 들어 세포가 성장하거나 현탁되는 배지 조성물이다. 그러한 배지 조성물은 투여되는 대상체에서 어떠한 역효과도 유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담체 및 부형제는 세포의 생존력 및/또는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세포의 능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담체 또는 부형제는 세포 및/또는 용해성 인자를 적절한 pH로 유지하기 위한 완충 활성을 제공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일 수 있음). PBS는 세포 및 인자와 최소한으로 상호 작용하고 세포 및 인자의 신속한 방출을 허용하기 때문에 매력적인 담체 또는 부형제의 후보로 생각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주사에 의해 혈류에 또는 조직 또는 조직을 둘러싸거나 조직에 인접한 영역에 직접 적용하기 위한 액체로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결보존될 수 있다.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의 동결 보존은 당업계에 공지된 저속 냉각 방법 또는 '빠른' 동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보존 방법은 동결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동결 보존된 세포의 유사한 표현형, 세포 표면 마커 및 성장 속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결 보존된 조성물은 동결보존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결보존액의 pH는 통상적으로 6.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7.4일 수 있다.
상기 동결보존액은 예를 들어 PlasmaLyte ATM과 같은 멸균, 비발열성(non-pyrogenic) 등장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PlasmaLyte ATM 100mL에는 526mg의 염화나트륨, USP(NaCl); 502mg의 글루콘산나트륨(C6H11NaO7); 368mg의 아세트산나트륨 삼수화물, USP(C2H3NaO2·3H2O); 염화칼륨, USP(KCl) 37mg; 및 30mg의 염화마그네슘, USP(MgCl2·6H2O)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항균제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pH는 수산화나트륨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pH는 7.4(6.5~8.0)이다.
동결보존액은 Profreez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결보존액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배양배지, 예를 들어 αMEM을 포함할 수 있다.
동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와 같은 동결 방지제가 동결보존액에 일반적으로 첨가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동결 보호제는 세포 및 환자에 대해 무독성이어야 하고, 비항원성이며,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해동 후 높은 생존율을 제공하며, 세척 없이 이식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결 보호제인 DMSO는 약간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다. 하이드록시에틸 전분(hydroxylethyl starch; HES)은 동결보존액의 세포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DMSO와 함께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동결보존액은 하나 이상의 DMSO,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인간 혈청 성분 및 기타 단백질 증량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동결보존액은 Plasma-Lyte A(70%), DMSO(10%), HSA(25%)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HSA 용액은 5% HSA 및 15% 완충액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동결보존액은 메틸셀룰로오스(methycellulose),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PVP) 및 트레할로스(trehalose)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결보존된 조성물은 해동되어 대상체에게 직접 투여되거나 예를 들어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또 다른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결보존된 조성물은 해동될 수 있고,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투여 전에 대체 담체에 재현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세포와의 혼합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상기 세포는 투여 직전 또는 직전에 개시내용의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거나, 투여 전 일정 기간 동안 함께 공동-배양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량 또는 치료적 또는 예방적 유효량의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 및/또는 이의 자손 및/또는 이로부터 유도된 가용성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약 1x105 줄기세포 내지 약 1x109 줄기세포 또는 약 1.25x103 줄기세포 내지 약 1.25x107 줄기세포/kg(80 kg의 대상체)을 포함할 수 있다. 투여될 세포의 정확한 양은 피험자의 연령, 체중, 성별, 치료되는 장애의 범위 및 중증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조성물에 제공된 상기 세포의 수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예에서, 50 x 106 내지 200 x 107 세포가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60 x 106 내지 200 x 106 세포 또는 75 x 106 내지 150 x 106 세포가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5 x 106 세포가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150 x 106 세포가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5.00x106개 이상의 생존 세포/mL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5.50x106개 이상의 생존 세포/mL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6.00x106개 이상의 생존 세포/mL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6.50x106개 이상의 생존 세포/mL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6.68x106개 이상의 생존 세포/mL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는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55%,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65%, 적어도 약 70%, 적어도 약 75%,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적어도 약 99%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임의로 원하는 목적을 위한 서면 지침과 함께 적합한 용기에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맥내 투여와 같이 전신(systemically)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심장내막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심장사,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 위험(Risk of cardiac death, myocardial infarction or stroke)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대상체의 CRP 수준에 기초하여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 중 하나 이상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대상체에서 CRP의 수준에 기초하여 심장사의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 중 하나 이상의 상승된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대상으로부터 얻은 샘플에서 CRP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상승된 CRP는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상승된 위험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는 진행성 심부전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는 NYHA 클래스 II 진행성 심부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예에서, 상기 샘플은 NYHA 클래스 II 진행성 심부전을 가진 대상체로부터 얻을 수 ㅇ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샘플은 혈액 샘플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CRP >1 mg/L의 수준은 심장사,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CRP >1.5mg/L의 수준은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CRP ≥2 mg/L 수준은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2~5mg/L 사이의 CRP 수준은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CRP 수준은 허혈 사건 후에 측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심근경색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심장사,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i)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 및 상승된 CRP 수준에 따른 II급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ii) 피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체의 CRP 수치는 ≥2 mg/ml일 수 있다.
당업자는 광범위하게 기술된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형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제한적이지 않다.
본 출원은 2020년 12월 15일에 출원된 AU2020904675, 2021년 1월 12일에 출원된 2021900059, 2021년 9월 10일에 출원된 AU2021902941 및 2021년 10월 20일에 출원된 AU2021903365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의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 및/또는 참조된 모든 간행물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문서, 행위, 재료, 장치, 계약 등에 대한 모든 논의는 오로지 본 발명의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본 출원의 각 청구항의 우선일 이전에 존재했기 때문에 선행 기술 기반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일반적인 일반 지식이라고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
조성물
조성물은 항-STRO-3 항체를 갖는 골 단핵 세포로부터 단리된 인간 골수-유래 동종이계 MPC로 구성되고, 생체외에서 확장되고, 동결보존된 것이다.
환자
기준선 데이터
1차 및 2차 결과(outcome) 측정은 다음과 같았다:
1) 비치명적 주요 심장 부작용 사건(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심부전 MACE(재발성 비대상 심부전 사건 또는 고등급 부정맥(high-grade arrhythmias));
허혈성 MACE(심장마비 또는 뇌졸중)
2) 심장병에 의한 사망
세포 요법은 예상외로, 허혈성 MACE(MI, 뇌졸중)의 발생률을 대조군(N = 537명의 환자; p=0.002; 도 1)에 비해 60% 감소시켰다. 도 2는 NYHA 클래스 II 및 III의 대조군에 비해 관찰된 허혈성 MACE(MI, 뇌졸중) 발생률이 상당히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데이터는 세포 요법이 심근병증 환자의 허혈성 사건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도 3은 허혈성 및 비허혈성 환자 모두에서 허혈성 MACE(MI, 뇌졸중) 발생률이 크게 감소했음을 보여준다. 심근병증 환자는 이러한 환자에서 진행 중인 염증 과정으로 인해 폐색 플라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있는(problematic) 과정은 허혈성 및 비허혈성 심근병증 환자 모두에서 관찰되는 허혈성 MACE의 일반적인 감소의 관점에서 세포 요법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데이터는 심근병증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허혈 사건(들)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세포 요법이 투여될 수 있다는 일반적인 개념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놀랍게도, 세포 요법은 NYHA 클래스 II 환자의 심장사를 감소시켰지만 NYHA 클래스 III 환자의 심장사를 감소시키지는 못했다(도 4 및 6). 이 결과는 세포 요법으로 심장사를 줄이기 위해 생존 가능한 심근의 역치 수준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놀라운 결과이다. 즉, III급 심부전 환자는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포 치료가 질병 연속체(disease continuum)를 따라 너무 많이 진행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세포 치료가 NYHA Class II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하는 투여된 세포의 능력을 고려할 때, 본 발명자들의 발견은 세포 요법을 투여함으로써 NYHA 클래스 III보다 낮은 등급의 환자에서 심장사를 감소시키는 일반적인 개념을 제안한다. 이 개념에 대한 추가 설명으로서, 발명자들은 NYHA 클래스 II 환자에 대해 관찰된 심장사의 감소가 심근병증의 원인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었고, 심장사의 감소는 허혈성 및 비-허혈성 NYHA 클래스 II 환자에서 관찰되었다는 점에 주목했다(도 5).
3) 개선된 결과(Improved outcomes)
3점 MACE(3 Point MACE)
후속 분석은 세포 요법의 단일 주사가 모든 537명의 치료된 환자에 걸쳐 대조군과 비교하여 3점 돌이킬 수 없는 이환율 또는 사망률 MACE(3-point Irreversible Morbidity or Mortality MACE)의 복합 결과의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는 것을 밝혔다. 감소된 위험은 CRP ≥2 mg/ml인 대상체에서 훨씬 더 분명했다. 3점 MACE의 위험은 최초 사건까지의 시간을 분석하여 확인한 결과 33% 감소했으며[HR 0.667; 95% CI(0.472, 0.941); P=0.021; 도 7A], 후속 조치(즉, 100명의 환자-년당 사건)의 시간에 대해 정규화된 재발률 분석에서는 35% 감소했다[HR 0.646; 95% CI (0.466, 0.895); P=0.009; 도 7B]. 후속 분석은 세포 요법의 단일 주사가 모든 537명의 치료된 환자에 걸쳐 대조군과 비교하여 3점 돌이킬 수 없는 이환율 또는 사망률 MACE의 복합 결과의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는 것을 밝혔다. 혈장 hsCRP 수준 >2 mg/L 또는 < 2 mg/L인 환자에서 이 복합 결과에 대한 Kaplan-Meier 곡선은 도 7C에 묘사되어 있다. 도 7C에서 볼 수 있듯이 CRP >2mg/L로 치료받은 모든 환자에서 세포 요법은 다음의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비치명적 MI 및 치명적이지 않은 뇌졸중(도 7C1); 및,
복합 심장사 또는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도 7C2).
허혈성 MACE(Ischemic MACE)
모든 537명의 치료된 환자에 걸쳐, 세포 요법의 단일 주사는 최초 사건 분석까지의 시간(time to first event analysis; TTFE)을 사용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돌이킬 수 없는 이환율(비치명적 MI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의 발생 위험을 65% 감소시키고[HR 0.346; 95% CI(0.180, 0.664); P=0.001; 도 8A], 재발성 이벤트율 정규화를 사용하여 69% 감소시켰다[HR 0.306; 95% CI(0.162, 0.579); P<0.001; 도 8B].
치료 시점에 염증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모든 치료된 환자에 대해 미리 지정된 하위군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증(CRP >2 mg/L)이 있는 301명의 환자에게 세포 요법을 한 번 주사한 결과 비치명적 심근경색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의 위험은 TTFE를 사용하여 79%[HR 0.206; 95% CI(0.070, 0.611); P=0.004; 도 8A], 재발률 정규화를 사용하여 83%[HR 0.170; 95% CI(0.059, 0.492); P=0.001; 도 8B] 감소했다. 위에서 참조한 3점-MACE 분석과 함께 이러한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CRP >2 mg/L로 정의되는 활성 염증 환자 심부전을 선택하고 치료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한다.
세포 요법은 모든 환자에서 심장사 또는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의 복합(composite)을 33%까지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9). 환자 그룹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 세포 요법은 대조군에 비해 NYHA 클래스 II 환자에서 심장사 또는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 복합(composite)을 60% 감소시켰으며, 이는 NYHA 클래스 II 심부전 환자를 선택하고 치료하는 근거를 추가로 뒷받침한다(도 9). 또한 세포 요법이 수년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NYHA 클래스 II 환자에서 심장사의 진행을 예방했다는 사실이 주목되었다(도 10).
세포 요법은 또한 상승된 CRP 수준, 특히 CRP 수준이 ≥2 mg/L인 NYHA 클래스 II 환자에서 심장사(도 11) 및 3점 MACE(심장사/MI/뇌졸중; 도 12)의 위험을 예기치 않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유익한 효과는 기준선 CRP <2 mg/인 환자에서는 분명하지 않았으며, 이는 활성 염증이 있는 경우 세포 요법이 특히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 데이터 분석은 CRP가 심장사의 중요한 마커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CRP 수치가 높은(≥2 mg/L) 환자는 심장사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히 환자가 CRP 수치가 상승한 경우(예: CRP ≥2 mg/L) 세포 요법으로 NYHA 클래스 II 환자의 치료를 뒷받침한다. 이 데이터는 또한 CRP 수준이 지표로서의 유용성 또는 심장사의 위험이 있는 환자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60)

  1. 대상체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대상체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심부전(heart failure) 진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이 있는 대상체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심장사(cardiac death)를 감소시키는 방법.
  4.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치료를 위한 심부전 환자의 선별 방법:
    i)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라 심부전을 평가하는 단계; 및
    ii) NYHA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를 선택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 이전에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2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 바람직하게는 동맥신생을 촉진; 및/또는
    위험에 처한 심근(myocardium)을 보호하는 인자를 분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 NYHA(New York Heart Association)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ii)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는 대상체의 NYHA 클래스 III 진행성 심부전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N-말단 프로-B형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수준은:
    세포를 투여하기 전에 2200pg/ml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0pg/ml 미만; 또는,
    세포를 투여하기 전에 1000pg/ml 내지 2000p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수준은 < 5 mg/L, 바람직하게는 < 4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1.5 내지 5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지난 9개월 동안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경험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약 45%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의 LVEF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지속적인 좌심실 기능 장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심부전은 허혈성 사건 또는 비-허혈성 사건으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치료 후 심장사에 대한 감소된 위험(reduced risk)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위험은 NYHA 클래스 III 진행성 심부전을 갖는 대상체에서의 심장사에 대한 위험과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치료 후 허혈성 MACE(MI 또는 뇌졸중)에 대한 감소된 위험(reduced risk)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심내막(transendocardially) 및/또는 정맥내(intravenously)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mesenchymal lineage precursor or stem cells; MLPSC)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MLPSC는 STRO-1+인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MLPSC는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인 방법.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MLPSC는 동종이계(allogene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배양 확장(culture expanded)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배양 확장되기 전에 TN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동결보존된 것인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x 107내지 2 x 108개의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플라즈마-라이트 A(Plasma-Lyte A),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인간 혈청 알부민(HSA)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플라즈마-라이트 A(70%), DMSO(10%), HSA(25%) 용액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HSA 용액은 5% HSA 및 15% 완충액을 포함하는 방법.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mL 당 6.68x106개 초과의 생존 세포(greater than 6.68x106 viable cells/mL)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1항 내지 제25항 또는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STRO-3 항체를 갖는 골 단핵 세포로부터 분리되고, 생체 외(ex vivo) 확장되며, 및 동결 보존된 인간 골수 유래 동종이계 중간엽 전구 세포(MPC)를 포함하는 방법.
  33. 대상체에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허혈성 사건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CRP 수준은 ≥2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동맥 폐색(arterial occlusion)의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뇌혈관 또는 심장 폐색(cerebrovascular or cardiac occlusion)의 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사건은 뇌졸중(stroke) 또는 심근 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3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비-허혈성 심근병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심장내막을 통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3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표적 조직에서 새로운 혈관 형성을 유도, 바람직하게는 동맥신생을 촉진; 및/또는
    위험에 처한 심근(myocardium)을 보호하는 인자를 분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33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중간엽 계통 전구체 또는 줄기세포(MLPSC)인 방법.
  43. 제33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N-말단 프로B형 나트륨 이뇨 펩티드(NT-proBNP) 수준은 세포 투여 전, 1000 pg/ml 내지 2000 p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33항 또는 제35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C-반응성 단백질(CRP) 수준은 1.5 내지 5 mg/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MLPSC는 STRO-1+, 동종이계(allogeneic), 배양 확장(culture expanded) 및 동결 보존 대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배양 확장된(culture expanded) 것이고, 배양 확장되기 전에 TNAP+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3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x 107내지 2 x 108개의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8. 제3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플라즈마-라이트 A(70%), DMSO(10%), HSA(25%) 용액을 포함하고, 상기 HSA 용액은 5% HSA 및 15% 완충액을 포함하는 방법.
  49. 제33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STRO-3 항체를 갖는 골 단핵 세포로부터 분리, 생체 외 확장, 및 동결 보존된 인간 골수 유래 동종이계 중간엽 전구 세포(MPC)를 포함하는 방법.
  50. 대상체로부터 얻은 샘플에서 CRP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심장사,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 중 하나 이상의 상승된 위험(elevated risk)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상승된 CRP는 심장사,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의 상승된 위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진행성 심부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클래스 II 진행성 심부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0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mg/L의 CRP 수준은 심장사, 심근 경색 또는 뇌졸중의 증가된 위험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54. 제50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장사의 상승된 위험을 결정하는 방법.
  55.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진행성 심부전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활성 염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체에서 심부전의 진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대상체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활성 염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활성 염증이 있는 대상체에서 심장사를 감소시키는 방법.
  58.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요법으로 치료하기 위한 심부전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
    i) 뉴욕심장협회(NYHA) 분류 척도에 따른 CRP 수준 및 심부전을 평가하는 단계, 및
    ii) NYHA에 따른 클래스 II 또는 클래스 III 심부전 및 활성 염증을 갖는 대상체를 선택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중간엽 전구체 계통 또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함.
  59.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염증은 대상체의 CRP 수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염증은 ≥2 mg/L의 CRP 수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7023192A 2020-12-15 2021-12-15 클래스 ii 심부전 환자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방법 KR20230119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0904675 2020-12-15
AU2020904675A AU2020904675A0 (en) 2020-12-15 Method of treating progressive heart failure in subjects with Class II heart failure
AU2021900059A AU2021900059A0 (en) 2021-01-12 Method of treating progressive heart failure in subjects with Class II heart failure
AU2021900059 2021-01-12
AU2021902941A AU2021902941A0 (en) 2021-09-10 Method of treating progressive heart failure in subjects with Class II heart failure
AU2021902941 2021-09-10
AU2021903365 2021-10-20
AU2021903365A AU2021903365A0 (en) 2021-10-20 Method of treating progressive heart failure in subjects with Class II heart failure
US202163289868P 2021-12-15 2021-12-15
PCT/US2021/063645 WO2022132986A2 (en) 2020-12-15 2021-12-15 Method of treating progressive heart failure in subjects with class ii heart failure
US63/289,868 2021-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676A true KR20230119676A (ko) 2023-08-16

Family

ID=7968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192A KR20230119676A (ko) 2020-12-15 2021-12-15 클래스 ii 심부전 환자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1934A1 (ko)
JP (1) JP2024500698A (ko)
KR (1) KR20230119676A (ko)
AU (1) AU2021403025A1 (ko)
CA (1) CA3202153A1 (ko)
WO (1) WO2022132986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359A (en) 1990-11-16 1996-01-23 Osiris Therapeutics, Inc.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US6251295B1 (en) 1998-01-08 2001-06-26 Nexell Therapeutics Inc. Method for recirculation washing of blood cells
KR20240056789A (ko) * 2014-12-23 2024-04-30 메조블라스트 인터내셔널 에스에이알엘 진행성 심부전증의 예방
US20190224240A1 (en) * 2016-01-11 2019-07-25 Cardiocell, Llc Cel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non-ischemic heart fail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0698A (ja) 2024-01-10
CA3202153A1 (en) 2022-06-23
AU2021403025A1 (en) 2023-07-20
US20240041934A1 (en) 2024-02-08
WO2022132986A3 (en) 2022-07-28
WO2022132986A2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663B1 (ko) 개선된 줄기 세포 조성물
US20230165904A1 (en) Method for treating hyperinflammation using mesenchymal lineage precursor or stem cells
CN116057173A (zh) 包括间充质前体细胞或干细胞的组合物及其用途
US20230293589A1 (en) Method for treating inflammatory lung diseases using mesenchymal lineage precursor or stem cells
KR20230119676A (ko) 클래스 ii 심부전 환자의 진행성 심부전 치료 방법
KR20220143092A (ko) 만성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의 치료 방법
JP2014040485A (ja) 筋肉誘導前駆体組成物を利用した骨格筋の強化およびその処置
WO2023092043A1 (en) Method of treating progressive heart failure in subjects at high risk of poor outcomes
EP4264275A2 (en) Method of treating progressive heart failure in subjects with class ii heart failure
CN116829162A (zh) 治疗患有ii级心力衰竭的受试者的进行性心力衰竭的方法
CA3216129A1 (en) Method for treatin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n specific patients using mesenchymal lineage precursor or stem cells
WO2023119239A1 (en) Method of treating severe graft versus host disease
CN117715649A (zh) 使用间充质谱系前体细胞或干细胞治疗特定患者的急性呼吸窘迫综合征(ards)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