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540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540A
KR20230119540A KR1020220015815A KR20220015815A KR20230119540A KR 20230119540 A KR20230119540 A KR 20230119540A KR 1020220015815 A KR1020220015815 A KR 1020220015815A KR 20220015815 A KR20220015815 A KR 20220015815A KR 20230119540 A KR20230119540 A KR 2023011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reconstruction
prognosis
surgery
start time
compl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태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20015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540A/en
Publication of KR2023011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54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2Monitoring progression or stage of a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61B2034/104Modelling the effect of the tool, e.g. the effect of an implanted prosthesis or for predicting the effect of ablation or bur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방법 및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또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유방 전절제술과 함께 2단계 유방 재건술 중에서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행이 예정되거나 이미 시행된 피험자의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작 시간에 따라 합병증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준비할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은 수술 시작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a breast reconstruction prognosis and a system for predicting a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r syste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ssue expander insertion of a subject who is scheduled to perform tissue expander insertion among two-stage breast reconstruction along with total mastectomy is scheduled or has already been performed. Depending on the start time, complications can be predicted,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prepared, a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select a surgery start time with a low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Description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본 발명은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유방암은 여성에 있어 가장 흔한 암이며,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이다. 2001년 유방암의 유병률은 미국에서 100,000 명당 90-100 명이었으며, 유럽에서는 100,000 명당 50-70 명이었다. 이 질환의 발병은 세계적으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유방암의 위험 인자는 인종, 나이 및 암 억제 유전자 BRCA-1, BRCA-2 및 p53에서의 돌연변이 등을 포함한다. 알코올 섭취, 고지방 식이, 운동 부족, 외인성 폐경 후 호르몬 및 이온화 방사선 또한 유방암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유방암(각각 "ER-" 및 "PR-"), 큰 종양 크기, 높은 등급의 세포진단결과, 및 35세 이하인 경우 그 예후가 나쁘다(Goldhirsch et al. (2001). J. Clin. Oncol. 19: 3817-27).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in women and the second most fatal cancer. In 2001, the prevalence of breast cancer was 90-100 per 100,000 in the United States and 50-70 per 100,000 in Europe. The incidence of this disease is on the rise worldwid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include race, age, and mutations in the cancer suppressor genes BRCA-1, BRCA-2 and p53. Alcohol intake, high-fat diet, lack of exercise, exogenous postmenopausal hormones and ionizing radiation also increase the risk of breast cancer. Estrogen receptor- and progesterone receptor-negative breast cancer ("ER-" and "PR-", respectively), large tumor size, high-grade cytology, and poor prognosis in those under the age of 35 (Goldhirsch et al. (2001). J Clin. Oncol. 19: 3817-27).

유방암에서 가장 필수적인 치료법은 종양을 제거하는 외과적 수술이다. 유방암 수술은 암이 국소적으로 존재할 경우 암과 암 주위 정상 조직의 일부만을 제거하여 유방을 보존할 수 있으며, 암이 림프절이나 다른 조직까지 침범한 경우 유방을 완전히 제거한 후 유방 복원을 위한 유방 재건술이 시행될 수 있다. The most essential treatment for breast cancer is surgery to remove the tumor. Breast cancer surgery can preserve the breast by removing only the cancer and a part of the normal tissue around the cancer if the cancer exists locally. can be implemented

유방 절제술 후 재건술로는 보형물이나 조직 확장기 및 보형물을 삽입하는 삽입술과 등이나 배의 피부, 근육, 지방 등 자가조직을 이용한 피판술이 있다. 이러한 재건술의 시행시기 및 방법은 환자의 상태, 유방 절제술 방법, 유방암의 병기, 전이 여부, 보조 요법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유방 절제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는 신체의 외형적 변화뿐만 아니라 여성성 상실로 인한 자존감 저하, 우울증 등 정신적 부작용을 경험하게 된다.Reconstructive surgery after mastectomy includes insertion of implants, tissue expanders, and implants, and flaps using autologous tissues such as skin, muscle, and fat of the back or abdomen. The timing and method of such reconstruction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condition, mastectomy method, breast cancer stage, metastasis, and adjuvant therapy.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mastectomy experience not only physical changes but also psychological side effects such as low self-esteem and depression due to loss of femininity.

유방 재건술은 재건하는 시기에 따라 유방 절제술과 동시에 시행하는 즉시 재건술과 수술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 시행하게 되는 지연 재건술로 나뉘며, 유방 절제술과 동시에 유방을 복원하는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치료 후 심리적 측면과 전반적인 삶의 질 모두에서 환자에게 상당한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 즉시 재건술이 선호된다. 현재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는 환자의 경우 대개 1단계 수술(조직 확장기 삽입)과 2단계 수술(조직 확장기 제거 및 보형물로 교체)을 받게 된다. Breast reconstruction is divided into immediate reconstruction, which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mastectomy, and delayed reconstruction, which is performed after sufficient time has elapsed, depending on the reconstruction period. Immediate reconstruction is preferred, as it has been shown to provide significant benefits to patients in both aspect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Patients who undergo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most frequently, usually undergo a first-step operation (tissue expander insertion) and a second-step operation (tissue expander removal and replacement with an implant).

한편, 수술을 집도하는 외과 의사는 환자의 안전을 향상시키면서 수술 합병증을 최소화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수술 결과에 관한 국제 보고에 따르면 약 5천만명이 수술 전후에 합병증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150만명 이상이 사망한다. 수술로 인한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환자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On the other hand, surgeons who perform surgeries have a duty to minimize surgical complications while improving patient safety. According to international reports on surgical outcomes, approximately 50 million people suffer from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more than 1.5 million di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potential risk factors posed by surgery and to improve patient safety.

야간 수술은 보통 다음날 정규 시간까지 처치를 미룰 수 없는 응급 상황에서 시행되지만, 최근 대형 병원에서는 정규 시간의 수술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주말에 시행되는 수술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야간 수술이 시행되는 경우도 있다. 수술 후 합병증과 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야간 수술은 정규 수술에 비하여 이환율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술 시작 시간과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의 연관성에 대하여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수술 시작 시간이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수술 시작 시간과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관계에 대하여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또한, 유방 절제술 후 시행된 유방 재건을 위한 1단계 수술(조직 확장기 삽입술)이 수술 시작 시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없었다.Night surgery is usually performed in emergency situations where treatment cannot be delayed until the next regular time. there is. As the awarenes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atient safety increases, nighttime surgery is recognized as having a higher morbidity rate than regular surgery. There is also a study showing that the start time does not affect the postoperative outcome, 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t time of surgery and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as not been clarified. In addition, no study has been conducted on whether the prognosis of the first-stage surgery (tissue expander insertion) for breast reconstruction performed after mastectomy can vary depending on the start time of surger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6545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96545

본 발명은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ho have undergone breast re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ho have undergone breast re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llecting clinical data; calculating a pattern including the same result by classifying the clinical data on the basis of a surgery start time and a treatment result; and predicting the subject's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by applying the surgery start time among the subject's clinical data to the calculated pattern.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방 재건술"은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해 유방을 제거한 후 유방의 모양 복원을 위해 시행하는 수술을 의미하며, 상기 즉시 재건술은 유방 절제술 후 즉시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시행(1단계 수술)하고, 일정 기간 동안 조직 확장기의 팽창이 완료한 후에 조직 확장기 제거술 및 보형물 교체술(2단계 수술)을 시행하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이다.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reast reconstruction" refers to surgery performed to restore the shape of the breast after removing the breast to treat breast cancer, and the immediate reconstruction is performed by inserting a tissue expander immediately after mastectomy (1st stage surgery) It is a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in which tissue expander removal and implant replacement (two-step surgery) are performed after the expansion of the tissue expander is comple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에 사용된 "예후"는 아직 진단되지 않거나 진단을 받은 개체를 대상으로 치료 전/후 개체의 재발, 전이, 합병증, 약물 반응성, 내성 등과 같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방 재건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을지 여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을 의미한다."Prognos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determining whether or not recurrence, metastasis, complications, drug reactivity, resistance, etc. of the subject before/after treatment for subjects who have not yet been diagnosed or have been diagn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predi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after breast reconstruction using clinical data of a patient who has undergone breast re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방 재건술은 2단계 유방 재건술 중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1단계 수술일 수 있다. 상기 2단계 유방 재건술은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1단계 수술 및 조직 확장기를 보형물로 교체하는 2단계 수술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may be a first-step operation in which a tissue expander is inserted among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The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means that it includes a first step of inserting a tissue expander and a second step of replacing the tissue expander with an implant.

상기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절제술 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연령, 체질량지수(BMI), 동반 질환 유무(당뇨병, 고혈압 유무, 이상지질혈증 유무, 간 질환 유무, 갑상선 질환 유무, 뇌졸중 이력 유무, 허혈성 심장 질환 유무 등), 흡연 여부, ASA(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분류, 수술 전 화학요법 여부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Collecting the clinical data is a process of obtain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gnosis prediction. The clinical data is information related to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including age, body mass index (BMI), presence or absence of comorbidities (diabetes, hypertension, dyslipidemia, liver disease, thyroid disease, stroke history). , ischemic heart disease, etc.), smoking status, ASA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classification, preoperative chemotherapy,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과 관련된 정보는 유방 절제술의 유형, 절제한 검체의 무게, 조직 확장기의 크기, 조직 확장기의 하외부(inferolateral aspect)를 덮기 위한 인조진피 (acellular dermal matrix, ADM)의 사용 여부, 총 수술 소요 시간 및 성형 외과 의사의 경력(5년 이상 또는 미만)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related to surgery includes the type of mastectomy, the weight of the resected specimen, the size of the tissue expander, and the artificial dermal matrix (ADM) for covering the inferolateral aspect of the tissue expander. ) may be used, the total operation time, and the plastic surgeon's career (more than or less than 5 years).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수술 시작 시간은 8시부터 18시 사이, 18시부터 20시 사이, 및 20시부터 8시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술 시작 시간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rt time may be any one operation start ti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ween 8:00 and 18:00, between 18:00 and 20:00, and between 20:00 and 8:00.

수술은 보통 정규 시간(보통 8시부터 18시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정규 시간 외에 시작되는 수술의 경우에는 의료진의 피로, 수면부족 등의 이유로 수술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수술 시작 시간이 수술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Most surgeries usually start at regular time (usually between 8:00 and 18:00), but in the case of surgery that starts outside of regular time, the prognosis of surgery may be affected due to reasons such as fatigue of medical staff and lack of sleep. The onset time may affect the prognosis of surgery.

상기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는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을 위하여 수집된 임상 데이터에서 수술 시작 시간과 치료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수술 시작 시간에 따른 치료 결과에 상응하는 패턴, 즉 예후 예측 모델을 산출하는 과정이다.The step of classifying the clinical data based on the surgery start time and treatment result and calculating a pattern including the same result is based on the surgery start time and treatment result in the clinical data collected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It is the process of calculat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outcome over time, that is, a prognostic prediction model.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 결과는 상처 문제, 장액종, 혈종, 감염,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result includes any one compli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ound problems, seroma, hematoma, infection,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early removal of a tissue expander. it may be

상기 상처 문제(wound problem)은 상처의 맞물린 부분이 열리거나 찢어져 상처가 벌어지는 창상 열개를 포함하여 수술 부위에 발생한 문제를 말한다. 상기 장액종(seroma)은 주변 상처에서 나온 조직액이 흡수되지 않고 고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혈종(hematoma)은 장기나 조직 속에서 출혈이 일어나 한 곳에 혈액이 고인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감염(infection)은 삽입된 조직 확장기와 관련된 국소 또는 전신 염증의 징후가 있는 것으로, 항생제 치료나 외과적 수술로 처치한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은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인하여 유방 재건술 이전에 계획했던 2단계 수술(조직 확장기 제거 및 보형물 교체술)이 아닌 다른 수술이 필요한 경우를 포함한다.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은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인하여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를 포함한다. 이에는 수술 부위 감염으로 인한 항생제 치료 및 상처 부위 세척을 위한 입원이 포함된다. 상기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는 수술 부위의 감염이나 기타 문제로 인하여 조직 확장기의 유지 또는 팽창을 중단하고 조직 확장기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wound problem refers to a problem occurring at a surgical site, including wound dehiscence in which a wound is opened or torn by an interlocking portion of the wound. The seroma refers to accumulation of tissue fluid from a surrounding wound without being absorbed. The hematoma refers to a state in which blood is collected in one place due to bleeding in an organ or tissue. The infection is a sign of local or systemic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an inserted tissue expander, and includes a case of antibiotic treatment or surgical treatment. The unplanned revision surgery includes a case in which a surgery other than the two-step surgery (tissue expander removal and implant replacement) that was planned prior to breast reconstruction is required due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Unplanned readmission includes cases requiring hospitalization due t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is includes antibiotic treatment for surgical site infections and hospitalization for wound irrigation.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includes stopping maintenance or expansion of the tissue expander and removing the tissue expander due to infection or other problems at the surgical site.

상기 패턴은 수술 시작 시간과 치료 결과를 분류하고 통계 분석함으로써 각 수술 시작 시간에 대응되는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하여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The pattern can predict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omplication rate corresponding to each operation start time by classifying and statistically analyzing the operation start time and treatment results.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예후 예측이 필요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predicting the subject's possibility of complication by applying the surgery start time among the subject's clinical data to the calculated pattern includes the calculated pattern using information about the surgery start time among the clinical data for a subject whose prognosis needs to be predicted. It is a step of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 of the subject by comparing with.

상기 피험자는 유방 절제술 후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일 수 있다.The subject may be a breast cancer patient who has undergone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은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licatio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피험자의 수술 시작 시간이 20시부터 8시 사이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may be to predict that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is high when the subject's surgery start time is between 20:00 and 8: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피험자의 조직 확장기 삽입술이 20시부터 8시 사이에 시작한 경우에는 전체 합병증 발생률이 17.7%로, 8시부터 18시 사이에 시작한 경우(10.1%)와 8시부터 20시 사이에 시작한 경우(10.3%)에 비해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으며, 특히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의 발생률은 20시부터 8시 사이에 시작한 경우 13.1%로, 8시부터 18시 사이에 시작한 경우(5.8%)와 18시부터 20시 사이에 시작한 경우(6.1%)에 비해 합병증 발생 비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issue expander insertion in subjects who underwent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started between 20:00 and 8:00, the total complication rate was 17.7%, and when started between 8:00 and 18:00 (10.1 %) and 8:00 to 20:00 (10.3%),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is higher than that of 20:00 to 8:00.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e of complica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starting at 13.1%, compared to cases starting between 8:00 and 18:00 (5.8%) and cases starting between 18:00 and 20:00 (6.1%).

이러한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은 유방 전절제술과 함께 2단계 유방 재건술 중에서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행이 예정되거나 이미 시행된 피험자의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작 시간에 따라 합병증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준비할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은 수술 시작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is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start time of tissue expander insertion in subjects who are scheduled to undergo tissue expander insertion or have already performed tissue expander insertion among two-stage breast reconstruction along with total mastectomy.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prepared for this, a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select a surgery start time with a low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이상에서 설명된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은 컴퓨터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 using a computer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 시스템(100)은 임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상기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전처리부(120);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분석부(13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 the syste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clinical data; a pre-processing unit 120 which classifies the clinical data based on a surgery start time and a treatment result and calculates a pattern including the same result; and an analysis unit 130 that predicts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of the subject by applying the surgery start time among the subject's clinical data to the calculated pattern.

여기서 전술한 내용과 공통되는 설명은 과도한 복잡성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Descriptions common to the foregoing here are omitted in order to avoid excessive complexity.

상기 입력부(110)는 진료기록 서버 등으로부터 임상 데이터 및 진료기록을 수신한다.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절제술 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시작 시간 및 조직 확장기 삽입술 후 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한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clinical data and medical records from a medical record server or the like. The clinical data may include diagnosi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start time of a patient undergoing breast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and whether complications occur after tissue expander insertion.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방 재건술은 2단계 유방 재건술 중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1단계 수술일 수 있다. 상기 2단계 유방 재건술은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1단계 수술 및 조직 확장기를 보형물로 교체하는 2단계 수술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may be a first-step operation in which a tissue expander is inserted among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The two-step breast reconstruction means that it includes a first step of inserting a tissue expander and a second step of replacing the tissue expander with an implant.

상기 전처리부(120)는 상기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 즉 예후 예측 모델을 산출한다.The pre-processing unit 120 classifies the clinical data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time and treatment result, and calculates a pattern including the same result, that is, a prognosis prediction model.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수술 시작 시간은 8시부터 18시 사이, 18시부터 20시 사이, 및 20시부터 8시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술 시작 시간인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rt time may be any one operation start ti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8:00 to 18:00, 18:00 to 20:00, and 20:00 to 8:00. .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 결과는 상처 문제, 장액종, 혈종, 감염,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tment result includes any one compli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ound problems, seroma, hematoma, infection,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early removal of a tissue expander. it may be

본 발명에서는 패턴을 산출하기 위해 다양한 수술 시작 시간과 치료 결과를 분류하여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omplication rate by classifying various operation start times and treatment results in order to calculate a pattern.

상기 분석부(130)는 전처리부(120)에서 산출된 패턴과 입력부(110)에 입력된 수술 시작 시간을 분석하여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작 시간에 따라 유방 재건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한다.The analyzer 130 analyzes the pattern calculated by the preprocessor 120 and the operation start time input to the input unit 110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after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ccording to the start time of tissue expander insertion.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은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licatio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피험자의 수술 시작 시간이 20시부터 8시 사이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may be to predict that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is high when the subject's surgery start time is between 20:00 and 8:00.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분석부에서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result of predicting the subject's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in the analysis unit.

상기 표시부(14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으며 예후 예측 시스템(100)이 저장된 기존의 컴퓨터 장치 내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may be a separate display screen or may be a certain space in an existing computer device in which the prognosis prediction system 100 is stored.

도 3을 참조하면,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는 시스템(100)은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수술 시작 시간이 입력되고, 입력된 수술 시작 시간에 따라 유방 재건술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ystem 100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inputs the surgery start time of a subject to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ccording to the input surgery start time. can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기록매체 등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서버 등의 장치로 구축될 수 있다. The syste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rive one or more programs and store them in a recording medium, etc.,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server.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서버의 프로세서가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하고 있는 함수 등의 코드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gram may include codes coded in various computer languages that can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server. The codes may include codes such as functions defining functions necessary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nd control codes capable of controlling them.

또한,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는 컴퓨터나 서버에 의해 판독이 가능한 매체로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디스크, USB 메모리, SD 카드, 마이크로 SD 카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stored is a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erver, for exampl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USB memory, SD card, micro SD card, etc.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기존 하드웨어 장치에 수용되는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로 다운로드 및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single hardware device, but may be implemented as an embedded device accommodated in an existing hardware device, if necessary, or as an application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softwar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또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유방 전절제술과 함께 2단계 유방 재건술 중에서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행이 예정되거나 이미 시행된 피험자의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작 시간에 따라 합병증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준비할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은 수술 시작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By us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r syste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ssue expander insertion of a subject who is scheduled to perform tissue expander insertion among two-stage breast reconstruction along with total mastectomy is scheduled or has already been performed. Depending on the start time, complications can be predicted,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prepared, a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select a surgery start time with a low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술 시작 시간에 따라 유방 재건술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수술 시작 시간에 따라 분류한 1, 2 및 3 그룹에서 진통제(케토롤락 및 데메롤) 투여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a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a system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redicting a prognosis of a breast reconstruction patient according to a surgery start time using a breast reconstruction prognosis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doses of analgesics (ketorolac and demerol) in groups 1, 2, and 3,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rt time.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one or more specific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one or more specific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 예측을 위한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Hereinafter, a process fo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after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One. 연구 준비preparation for study

1-1.1-1. 연구 모집단study population

2014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 사이에 상급종합병원에서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후 즉시 유방 재건을 위해 유방 일측에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유방 양측 재건술을 받은 환자, 지연형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 보형물을 직접 삽입한 즉시 재건술을 받은 환자, 조직 확장기를 흉근 위 공간(prepectoral space)에 삽입한 환자는 연구 모집단의 동질성을 위하여 제외하였다. 모든 수술은 유방외과 전문의가 유방 전절제술을 먼저 시행하였고 이후에 성형외과 전문의가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시행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Data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or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mastectomy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between January 1, 2014 and December 31, 2019, and then underwent tissue expander insertion into one side of the breast for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breast reconstruction, patients who underwent delayed-type breast reconstruction, patients who underwent immediate reconstruction with direct implant implantation, and patients who had a tissue expander inserted into the prepectoral space were excluded for the homogeneity of the study population. All surgeries were performed by a breast surgeon who performed total mastectomy first, followed by a plastic surgeon who performed tissue expander insertion.

연구 집단은 삼성서울병원의 정규 근무 시간을 고려하여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3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1 그룹은 대부분의 의료진의 정규 근무 시간인 8시에서 18시 사이에 시작된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받은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2 그룹은 주간 근무를 하는 일부 의료진이 연장 근무 형태로 근무하는 18시부터 20시 사이에 시작된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받은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3 그룹은 주간 근무를 하는 의료진의 대부분이 퇴근을 하여 제한된 수의 의료진이 야간 근무하는 20시에서 8시 사이에 시작된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받은 환자들이 포함되었다.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 start time of the tissue expander inse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gular working hours of Samsung Medical Center. Group 1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tissue expander implantation, initiated between 8:00 and 18:00, the regular working hours of most medical staff. Group 2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tissue expander implantation, initiated between 18:00 and 20:00 hours, when some medical staff on a day shift worked as an overtime form. Group 3 in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tissue expander implantation initiated between 20:00 and 8:00, when most of the day shift staff were off work and a limited number of staff were on night duty.

1-2.1-2. 기초 정보 수집Gather basic information

환자 및 수술 관련 데이터는 환자의 의료 차트에서 후향적으로 수집하였다. 환자와 관련하여 연령, 체질량지수(BMI), 동반 질환(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저하증, 간경변, 뇌졸중, 허혈성 심장 질환) 유무, 미국 마취과학회(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의 신체 상태 분류, 수술 시작 시간, 총 수술 소요 시간, 외과 의사의 경력(5년 이상 또는 미만), 입원 기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 및 입원 기간 동안 투여된 진통제의 양에 대한 정보도 수집하였다. 이 연구는 삼성서울병원 기관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Patient and surgery-related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patients' medical charts. Regarding the patient, age, body mass index (BMI), presence or absence of comorbidities (diabetes, hypertension, dyslipidemia, hyperthyroidism or hypothyroidism, liver cirrhosis, stroke, ischemic heart diseas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We collected information on physical condition classification, operation start time, total operation time, surgeon's experience (more or less than 5 years), and length of stay in hospital. Information on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amount of analgesics administered during hospitalization was also collected.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Seoul Samsung Hospital.

6년의 기간 중에서 총 13,983명의 유방암 환자가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이 중 5,040명의 환자가 즉시형 유방 재건술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유방 전절제술을 받았다. 따라서 유방 보존술 또는 유방 전절제술을 포함한 유방 절제술은 하루에 한 수술실에서 4건 이상 시행되어야 했다. 이로 인하여 주간 및 야간의 수술 과밀 현상이 발생하였다. 수술 순서는 주로 고연령자나 동반 질환을 가지고 있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환자의 수술을 더 일찍 배정하는 것을 고려한, 선착순 방식으로 결정하였다. 즉시형 재건술의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받기로 예정된 환자는 성형 외과 의사의 가능한 수술 일정에 따라 배정되었다. 유방 외과 의사와 성형 외과 의사 배정에 있어서 특별한 연관성은 없었다. 연구 기간 중 9명의 성형 외과 의사가 조직 확장기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조직 확장기 삽입술은 통상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유방 전절제술이 시행된 후, 조직 확장기를 흉근 하 공간(subpectoral space)에 삽입하였다. 삽입할 조직 확장기의 크기는 절제한 유방 검체의 무게와 수술 전 유방의 너비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During the six-year period, a total of 13,983 breast cancer patients were treated at Samsung Seoul Hospital. Of these, 5040 patients underwent total mastectomy with or without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Thus, mastectomy, including mastectomy or total mastectomy, had to be performed at least four times in one operating room per day. As a result, overcrowding occurred during day and night operations. The order of surgery was determined on a first-come, first-served basis, taking into account the earlier allocation of surgery for older patients or relatively vulnerable patients with comorbidities. Patients scheduled to undergo immediate reconstructive tissue expander implantation were assigned according to the plastic surgeon's possible surgical schedule.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allocation of breast surgeons and plastic surgeons. During the study period, 9 plastic surgeons performed tissue expander implantation. Tissue expander insertion was performed in a conventional manner. Briefly, after total mastectomy was performed, a tissue expander was inserted into the subpectoral space. The size of the tissue expander to be inserted was determined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resected breast specimen and the width of the breast before surgery.

조직 확장기는 주치의의 선호도에 따라 인조 진피(acellular dermal matrix, ADM) 또는 전거근(serratus anterior muscle fascia)으로 측면이 덮인 채 흉근 하 공간(subpectoral space)에 삽입되었다. 2개의 폐쇄형 흡인 배액관을 삽입하였으며, 이틀 연속으로 하루 배액량이 40cc 미만일 때 제거하였다. 국민 건강 보험의 재정적 지원으로 대부분의 환자는 흡인 배액관을 제거할 때까지 입원하였다. 입원 기간 동안, 환자들은 주로 진통제 투약을 스스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술 후 통증을 관리하였으며, 이것으로 조절되지 않는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 케토롤락(ketorolac), 및/또는 데메롤(demerol) 등의 아편유사제(opioid)를 포함한 다른 진통제를 투여 간격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투여(pro re nata, PRN)하였다.The tissue expander was inserted into the subpectoral space, covered on the sides with acellular dermal matrix (ADM) or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fascia, depending on the preference of the attending physician. Two closed suction drainage tubes were inserted and removed when the daily drainage volume was less than 40 cc for two consecutive days.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most patients were hospitalized until the suction drainage tube was removed.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patients managed their postoperative pain primarily by self-regulating analgesic administration and, in the case of uncontrolled pai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ketorolac, and/or Other analgesics, including opioids such as demerol, were administered as needed (pro re nata, PRN) considering the administration interval.

1-3.1-3. 합병증에 대한 정보 수집Gather information about complications

치료 결과로, 수술 후 2개월 이내에 발생한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에는 감염, 장액종, 혈종, 상처 문제(wound problem), 합병증으로 인한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가 포함되었다. 재수술 및/또는 재입원을 필요로 하는 합병증과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가 주요 합병증으로 분류되었다. 수술 후 2개월 이후에 발생한 합병증은 방사선 요법 및 화학 요법을 포함한 보조 치료의 영향일 수 있으므로 분석하지 않았다. 또한, 입원 기간 및 케토롤락, 데메롤을 포함한 추가 진통제의 투여량에 대한 정보도 수집하였다. As a result of treatment, information 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at occurred within 2 months after surgery was collected. These included infection, seroma, hematoma, wound problem, unscheduled reoperation due to complications, unscheduled readmission and premature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Complications requiring reoperation and/or readmission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were classified as major complications. Complications that occurred after 2 months after surgery could be affected by adjuvant treatment including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and were not analyzed.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the dose of additional analgesics including ketorolac and demerol were also collected.

1-4.1-4. 통계분석statistical analysis

세 그룹의 환자 관련 특성 및 수술 관련 특성을 비교하였다. 세 그룹의 합병증 프로파일도 비교하였다.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를 분석하는 데는 Pearson의 카이 제곱 검정(Chi square test)이 사용되었고 연속형 변수(continuous variable)를 비교하는 데는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이 사용되었다. 각 변수와 결과 사이의 독립적인 연관성을 식별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변량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위해 후진 선택 모델(backward selection model)을 사용하였다. 전반적인 합병증의 발생에 대해 통계적 검정력 분석(statistical powe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로 설정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IBM SPSS 버전 20.0(IBM Corporation, 미국)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The patient-related and surgery-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Complication profiles of the three groups were also compared. Pearson's Chi square test was used to analyze categorical variable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ompare continuous variable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z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independent associations between each variable and outcome. for multivariate analysis A backward selection model was used. Statistical powe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incidence of overall complicat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Al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version 20.0 (IBM Corporation, USA).

2.2. 연구 결과Results

2-1.2-1. 기초 정보 수집 결과Results of basic information collection

전술한 선택 기준에 따라 조직 확장기를 삽입한 즉시형 유방 재건술을 받은 1,4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평균 연령은 44.2세(범위: 18세 내지 71세)이며 평균 BMI는 22.5 kg/m2 (범위: 15.3 내지 39.8 kg/m2)이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ASA 분류 Class I (81.3%) 또는 Class II (18.4%)에 해당하여 신체 상태가 양호했다. We studied 1,458 patients who underwent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with a tissue expand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election criteria. The mean age was 44.2 years (range: 18 to 71 years) and the mean BMI was 22.5 kg/m 2 (range: 15.3 to 39.8 kg/m 2 ). Most of the patients were in good physical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ASA classification Class I (81.3%) or Class II (18.4%).

1,458건의 조직 확장기 삽입술 중에서, 950건은 8시부터 18시 사이에 수술이 시작하여 1 그룹으로, 358건은 18시부터 20시 사이에 수술이 시작하여 2 그룹으로, 그리고 나머지 130건은 20시부터 8시 사이에 수술이 시작하여 3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세 그룹의 기초 정보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세 그룹의 환자 관련 정보와 수술 관련 정보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동반 질환의 수반 비율과 ASA 분류의 분포도 세 그룹간 큰 차이가 없었다. 집도의의 경력(5년 미만 또는 5년 이상) 분포도 세 그룹간 큰 차이가 없었다(p = 0.683). 다만, 1 그룹이 2 그룹 및 3 그룹보다 연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룹간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Of the 1,458 tissue expander implantation procedures, 950 cases were operated between 8:00 and 18:00 in group 1, 358 cases were operated between 18:00 and 20:00 in group 2, and the remaining 130 cases were operated at 20:00. The surgery started between 8:00 and was classified into 3 group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three groups is shown in Table 1 below. The patient-related information and surgery-related information of the three groups were generally simil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comorbidity rates and the distribution of ASA classific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distribution of surgeon's experience (less than 5 years or more than 5 years) (p = 0.683). However, group 1 was found to be older than groups 2 and 3,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합계Sum 1 그룹1 group 2 그룹2 groups 3 그룹3 groups p 값p value 환자 수number of patients 1,4581,458 970970 358358 130130 환자 관련 변수patient-related variables 연령age 44.2
(± 7.6)
44.2
(± 7.6)
44.6
(± 7.6)
44.6
(± 7.6)
43.1
(± 7.1)
43.1
(± 7.1)
43.8
(± 8.2)
43.8
(± 8.2)
0.0060.006
BMI (kg/m2)*BMI (kg/m 2 )* 22.5
(± 3.0)
22.5
(± 3.0)
22.5
(± 3.1)
22.5
(± 3.1)
22.4
(± 2.9)
22.4
(± 2.9)
22.4
(± 2.8)
22.4
(± 2.8)
0.9640.964
저체중underweight 77 (5.3%)77 (5.3%) 48 (4.9%)48 (4.9%) 20 (5.6%)20 (5.6%) 9 (6.9%)9 (6.9%) 0.9380.938 정상 체중normal weight 1,126 (77.2%)1,126 (77.2%) 749 (77.2%)749 (77.2%) 277 (77.4%)277 (77.4%) 100 (76.9%)100 (76.9%) 과체중overweight 232 (15.9%)232 (15.9%) 156 (16.1%)156 (16.1%) 56 (15.6%)56 (15.6%) 20 (15.4%)20 (15.4%) 비만obesity 23 (1.6%)23 (1.6%) 17 (1.8%)17 (1.8%) 5 (1.4%)5 (1.4%) 1 (0.8%)1 (0.8%) 동반 질환comorbidities 당뇨병diabetes 19 (1.3%)19 (1.3%) 15 (1.6%)15 (1.6%) 3 (0.8%)3 (0.8%) 1 (0.8%)1 (0.8%) 0.5130.513 고혈압High blood pressure 61 (4.2%)61 (4.2%) 44 (4.5%)44 (4.5%) 13 (3.6%)13 (3.6%) 4 (3.1%)4 (3.1%) 0.6160.616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22 (1.5%)22 (1.5%) 13 (1.3%)13 (1.3%) 7 (2.0%)7 (2.0%) 2 (1.5%)2 (1.5%) 0.7170.717 갑상선 질환thyroid disease 33 (2.3%)33 (2.3%) 21 (2.2%)21 (2.2%) 7 (2.0%)7 (2.0%) 5 (3.8%)5 (3.8%) 0.4340.434 간 질환liver disease 6 (0.4%)6 (0.4%) 5 (0.5%)5 (0.5%) 1 (0.3%)1 (0.3%) 00 0.6230.623 뇌졸중 이력stroke history 4 (0.3%)4 (0.3%) 4 (0.4%)4 (0.4%) 00 00 0.3650.365 허혈성 심장 질환ischemic heart disease 2 (0.1%)2 (0.1%) 2 (0.2%)2 (0.2%) 00 00 0.6040.604 기타etc 9 (0.6%)9 (0.6%) 6 (0.6%)6 (0.6%) 1 (0.3%)1 (0.3%) 2 (1.5%)2 (1.5%) 0.2920.292 흡연자smoker 15 (1.0%)15 (1.0%) 8 (0.8%)8 (0.8%) 4 (1.1%)4 (1.1%) 3 (2.3%)3 (2.3%) 0.2850.285 ASA 분류 ASA classification 0.8340.834 Class IClass I 1,185 (81.3%)1,185 (81.3%) 784 (80.8%)784 (80.8%) 297 (83.0%)297 (83.0%) 104 (80.0%)104 (80.0%) Class IIClass II 269 (18.4%)269 (18.4%) 182 (18.8%)182 (18.8%) 61 (17.0%)61 (17.0%) 26 (20.0%)26 (20.0%) Class IIIClass III 3 (0.2%)3 (0.2%) 3 (0.3%)3 (0.3%) 00 00 Class IVClass IV 1 (0.1%)1 (0.1%) 1 (0.1%)1 (0.1%) 00 00 선행 화학 요법upfront chemotherapy 100 (6.9%)100 (6.9%) 61 (6.3%)61 (6.3%) 30 (8.4%)30 (8.4%) 9 (6.9%)9 (6.9%) 0.4080.408 수술 관련 변수surgery-related variables 유방 절제술의 종류Types of Mastectomy 0.7390.739 피부 보존술skin preservation 1,133 (77.7%)1,133 (77.7%) 748 (77.1%)748 (77.1%) 282 (78.8%)282 (78.8%) 103 (79.2%)103 (79.2%) 유두 보존술nipple preservation 325 (22.3%)325 (22.3%) 222 (22.9%)222 (22.9%) 76 (21.2%)76 (21.2%) 27 (20.8%)27 (20.8%) 검체 무게sample weight 393.6
(± 197.5)
393.6
(± 197.5)
389.3
(± 193.9)
389.3
(± 193.9)
403.1
(± 201.3)
403.1
(± 201.3)
391.9
(± 208.9)
391.9
(± 208.9)
0.5130.513
조직 확장기의 크기size of tissue expander 411.0 (± 106.9)411.0 (± 106.9) 409.6
(± 105.9)
409.6
(± 105.9)
415.6
(± 111.2)
415.6
(± 111.2)
410.2
(± 104.3)
410.2
(± 104.3)
0.7800.780
인공 진피 사용 여부Whether artificial dermis is used 880 (60.4%)880 (60.4%) 580 (59.8%)580 (59.8%) 225 (62.8%)225 (62.8%) 75 (57.7%)75 (57.7%) 0.4860.486 수술 소요 시간(분)*Surgery duration (minutes)* 97.7(± 27.3)97.7 (± 27.3) 98.4
(± 28.8)
98.4
(± 28.8)
95.9
(± 24.3)
95.9
(± 24.3)
98.2
(± 23.1)
98.2
(± 23.1)
0.5710.571
성형 외과 의사의 경력Plastic surgeon career 0.6830.683 5년 이상more than 5 years 660 (45.3%)
660 (45.3%)
446 (46.0%)
446 (46.0%)
159 (44.4%)
159 (44.4%)
55 (42.3%)55 (42.3%)
5년 미만less than 5 years 798 (54.7%)798 (54.7%) 524 (54.0%)524 (54.0%) 199 (55.6%)199 (55.6%) 75 (57.7%)75 (57.7%) BMI: Body Mass Index,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

2-2. 합병증에 대한 정보 수집 결과2-2. Results of information collection on complications

158명의 환자(10.8%)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합병증의 가장 큰 유형은 상처 문제(wound problem)(96건, 6.6%)였으며, 그 다음으로 장액종, 감염, 혈종이었다. 주요 합병증은 95명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아래의 표 2를 참조하면, 1 그룹(10.1%) 및 2 그룹(10.3%) 보다 3 그룹(17.7%)에서 높은 비율로 합병증이 발생하여, 합병증의 발생 비율은 세 그룹간에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재입원(p = 0.026), 조직 확장기 조기 제거(p = 0.031) 및 주요 합병증(p = 0.006)의 발생 비율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입원 기간도 3 그룹에서 나머지 두 그룹(p = 0.010)보다 현저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합병증에 대한 사후 검정력 분석에서는 해당 검정력이 0.48인 것으로 나타났다. Complications occurred in 158 patients (10.8%). The most common type of complication was wound problem (96 cases, 6.6%), followed by seroma, infection, and hematoma. Major complications were present in 95 patients. Referring to Table 2 below, complications occurred at a higher rate in group 3 (17.7%) than in groups 1 (10.1%) and 2 (10.3%), an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 Specifically, similar results were confirmed in the rates of readmission (p = 0.026),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p = 0.031), and major complications (p = 0.006).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also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 3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p = 0.010). Post-hoc power analysis for all complications showed that the power was 0.48.

합병증 종류type of complication 1 그룹 1 group 2 그룹 2 groups 3 그룹3 groups p 값 p value 합병증 전체 all complications 98 (10.1%)98 (10.1%) 37 (10.3%)37 (10.3%) 23 (17.7%)23 (17.7%) 0.0310.031 감염infection 15 (1.5%)15 (1.5%) 7 (2.0%)7 (2.0%) 6 (4.6%)6 (4.6%) 0.0570.057 장액종Seroma 24 (2.5%)24 (2.5%) 7 (2.0%)7 (2.0%) 5 (3.8%)5 (3.8%) 0.4930.493 혈종hematoma 15 (1.5%)15 (1.5%) 6 (1.7%)6 (1.7%) 2 (1.5%)2 (1.5%) 0.9850.985 상처 문제wound problem 60 (6.2%)60 (6.2%) 22 (6.1%)22 (6.1%) 14 (10.8%)14 (10.8%) 0.1310.131 재수술revision surgery 48 (4.9%)48 (4.9%) 20 (5.6%)20 (5.6%) 14 (10.8%)14 (10.8%) 0.0260.026 재입원readmission 16 (1.6%)16 (1.6%) 8 (2.2%)8 (2.2%) 6 (4.6%)6 (4.6%) 0.0790.079 조직 확장기 조기 제거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8 (0.8%)8 (0.8%) 2 (0.6%)2 (0.6%) 4 (3.1%)4 (3.1%) 0.0310.031 주요 합병증major complications 56 (5.8%)56 (5.8%) 22 (6.1%)22 (6.1%) 17 (13.1%)17 (13.1%) 0.0060.006 입원기간
(일수, 중앙값)
Hospitalization period
(number of days, median)
9.09.0 9.09.0 10.010.0 0.0100.010

2-3. 진통제 사용에 대한 정보 수집 결과2-3. Results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analgesic use

수술 후 진통제 사용을 분석한 결과, 3 그룹이 나머지 두 그룹보다 케토롤락과 데메롤의 투여량이 많았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4). 단변량 분석에서, 3 그룹은 1 그룹에 비하여 전체 합병증의 발생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다변량 분석에서도 유지되어 3 그룹의 합병증 발생 비율이 1 그룹보다 약 2배로 나타났다. 1 그룹과 2 그룹에서는 합병증의 발생 비율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 of analgesics after surgery, group 3 had higher doses of ketorolac and demerol than the other two groups, and these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G. 4).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 3r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complication rate than the 1st group. This difference was also maintained in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ing that the complication rate in group 3 was about twice that of group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complications between groups 1 and 2.

2-4.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2-4.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omplications

아래의 표 3을 참조하면, 연령, 고혈압 유무, ASA 분류 단계, 유방 절제술의 유형, 인조 진피 사용 여부 또한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합병증의 발생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Referring to Table 3 below, age, presence of hypertension, ASA classification stage, type of mastectomy, and use of artificial dermis were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analysis of the occurrence of major complications.

변수variable 단변량 분석Univariate analysis 다변량 분석multivariate analysis 비조정 p 값Unadjusted p-value OR (95% CI)OR (95% CI) 조정 p 값adjusted p-value OR (95% CI)OR (95% CI) 연령age 0.0030.003 1.034 (1.011 - 1.057)1.034 (1.011 - 1.057) 0.0470.047 1.023
(1.000 - 1.047)
1.023
(1.000 - 1.047)
BMIBMI 정상normal RefRef 저체중 underweight 0.5860.586 0.788 (0.335 - 1.857)0.788 (0.335 - 1.857) 과체중 overweight 0.0050.005 1.770 (1.183 - 2.649)1.770 (1.183 - 2.649) 비만obesity 0.0140.014 3.293 (1.272 - 8.527)3.293 (1.272 - 8.527) 동반 질환comorbidities 당뇨병 diabetes 0.9650.965 0.968 (0.221 - 4.227)0.968 (0.221 - 4.227) 고혈압 High blood pressure 0.0090.009 2.339 (1.237 - 4.419)2.339 (1.237 - 4.419) 0.0030.003 2.659
(1.397 - 5.061)
2.659
(1.397 - 5.061)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 0.7910.791 0.821 (0.190 - 3.544)0.821 (0.190 - 3.544) 갑상선 질환 thyroid disease 0.4230.423 1.485 (0.565 - 3.902)1.485 (0.565 - 3.902) 기타 질환* Other diseases* 0.8460.846 0.864 (0.199 - 3.746)0.864 (0.199 - 3.746) 흡연자smoker 0.9990.999 0 (0 - )0 (0 - ) ASA 분류ASA classification Class IClass I RefRef Class IIClass II < 0.001<0.001 2.300 (1.595 - 3.316)2.300 (1.595 - 3.316) 0.0040.004 1.797 (1.212 - 2.664)1.797 (1.212 - 2.664) Class IIIClass III 0.1880.188 5.037 (0.453 - 56.011)5.037 (0.453 - 56.011) 0.2320.232 4.613 (0.376 - 56.529)4.613 (0.376 - 56.529) Class IVClass IV 0.9990.999 0 (0 - )0 (0 - ) 0.9990.999 0 (0 - )0 (0 - ) 선행 화학 요법upfront chemotherapy 0.7800.780 0.908 (0.462 - 1.785)0.908 (0.462 - 1.785) 유방 절제술의 종류Types of Mastectomy 피부 보존술skin preservation RefRef RefRef 유두 보존술nipple preservation < 0.001<0.001 2.037 (1.430 - 2.901)2.037 (1.430 - 2.901) < 0.001<0.001 2.184 (1.503 - 3.173)2.184 (1.503 - 3.173) 검체 무게sample weight < 0.001<0.001 1.002 (1.001 - 1.002)1.002 (1.001 - 1.002) < 0.001<0.001 1.002 (1.001 - 1.002)1.002 (1.001 - 1.002) 조직 확장기 크기tissue expander size < 0.001<0.001 1.003 (1.002 - 1.005)1.003 (1.002 - 1.005) 조직 확장기 유형Tissue expander type Siltex-texturedSiltex-textured RefRef RefRef Biocell-texturedBiocell-textured 0.1240.124 0.700 (0.444 - 1.102)0.700 (0.444 - 1.102) 0.0920.092 0.662
(0.410 - 1.069)
0.662
(0.410 - 1.069)
인공 진피 사용 여부Whether artificial dermis is used < 0.001<0.001 1.938 (1.339 - 2.805)1.938 (1.339 - 2.805) 0.0060.006 1.716 (1.171 - 2.514)1.716 (1.171 - 2.514) 수술 시작 시간surgery start time 1 그룹1 group RefRef RefRef 2 그룹2 groups 0.9010.901 1.026 (0.688 - 1.529)1.026 (0.688 - 1.529) 0.6890.689 1.087 (0.721 - 1.640)1.087 (0.721 - 1.640) 3 그룹3 groups 0.0100.010 1.913 (1.164 - 3.142)1.913 (1.164 - 3.142) 0.0080.008 2.006
(1.196 - 3.367)
2.006
(1.196 - 3.367)
OR; odds ratio, 교차비, CI; confidence interval,신뢰 구간, Ref; reference
*간 질환, 뇌졸중 이력, 허혈성 심장 질환 등 기타 질환 포함
OR; odds ratio,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confidence interval, Ref; reference
*Includes other conditions such as liver disease, history of stroke, and ischemic heart disease

아래의 표 4를 참조하면, 다른 변수들을 조정한 후, 3 그룹이 1 그룹에 비해 주요 합병증의 발생률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ferring to Table 4 below, after adjusting for other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in group 3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group 1.

변수variable 단변량 분석Univariate analysis 다변량 분석multivariate analysis 비조정 p 값Unadjusted p-value OR (95% CI)OR (95% CI) 조정 p 값 adjusted p-value OR (95% CI)OR (95% CI) 연령age 0.0030.003 1.042 (1.014 - 1.071)1.042 (1.014 - 1.071) 0.0630.063 1.027
(0.999 - 1.057)
1.027
(0.999 - 1.057)
BMIBMI 정상normal RefRef 저체중 underweight 0.1360.136 0.219 (0.030 - 1.611)0.219 (0.030 - 1.611) 과체중 overweight 0.3530.353 1.292 (0.753 - 2.217)1.292 (0.753 - 2.217) 비만obesity 0.0120.012 1.892 (1.148 - 3.118)1.892 (1.148 - 3.118) 동반 질환comorbidity 당뇨병 diabetes 0.1140.114 2.745 (0.786 - 9.592)2.745 (0.786 - 9.592) 고혈압 High blood pressure 0.0380.038 2.273 (1.048 - 4.931)2.273 (1.048 - 4.931)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 0.6240.624 1.444 (0.332 - 6.272)1.444 (0.332 - 6.272) 갑상선 질환 thyroid disease 0.1960.196 2.022 (0.696 - 5.876)2.022 (0.696 - 5.876) 기타 질환 other diseases 0.5760.576 1.521 (0.349 - 6.630)1.521 (0.349 - 6.630) 흡연 여부smoking or not 0.9990.999 0 (0 - )0 (0 - ) ASA 분류ASA classification Class IClass I RefRef RefRef Class IIClass II < 0.001<0.001 2.577 (1.649 - 4.025)2.577 (1.649 - 4.025) 0.0070.007 1.944 (1.198 - 3.152)1.944 (1.198 - 3.152) Class IIIClass III 0.0710.071 9.213 (0.824 - 103.015)9.213 (0.824 - 103.015) 0.0980.098 8.119 (0.652 - 101.076)8.119 (0.652 - 101.076) Class IVClass IV 0.9990.999 0 (0 - )0 (0 - ) 0.9990.999 0 (0 - )0 (0 - ) 선행 화학 요법upfront chemotherapy 0.8290.829 0.910 (0.388 - 2.135)0.910 (0.388 - 2.135) 유방 절제술의 종류Types of Mastectomy 피부 보존술skin preservation RefRef RefRef 유두 보존술nipple preservation 0.0060.006 1.855 (1.189 - 2.894)1.855 (1.189 - 2.894) 0.0040.004 1.989 (1.244 - 3.181)1.989 (1.244 - 3.181) 검체 무게sample weight < 0.001<0.001 1.002 (1.001 - 1.003)1.002 (1.001 - 1.003) 0.0010.001 1.002 (1.001 - 1.003)1.002 (1.001 - 1.003) 조직 확장기 크기tissue expander size < 0.001< 0.001 1.004 (1.002 - 1.006)1.004 (1.002 - 1.006) 조직 확장기 유형Tissue expander type Siltex-texturedSiltex-textured RefRef Biocell-texturedBiocell-textured 0.2010.201 0.684 (0.382 - 1.224)0.684 (0.382 - 1.224) 인공 진피 사용 여부Whether artificial dermis is used < 0.001<0.001 2.599 (1.569 - 4.307)2.599 (1.569 - 4.307) 0.0010.001 2.449 (1.461 - 4.106)2.449 (1.461 - 4.106) 수술 시작 시간surgery start time 1 그룹1 group RefRef RefRef 2 그룹2 groups 0.7980.798 1.069 (0.643 - 1.777)1.069 (0.643 - 1.777) 0.5450.545 1.175 (0.697 - 1.982)1.175 (0.697 - 1.982) 3 그룹3 groups 0.0020.002 2.455 (1.379 - 4.372)2.455 (1.379 - 4.372) 0.0010.001 2.733
(1.497 - 4.990)
2.733
(1.497 - 4.990)

아래의 표 5를 참조하면, 감염, 재수술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 있어서도 3 그룹이 1 그룹 또는 2 에 비해 발생 비율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Referring to Table 5 below,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infection, revision surgery,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the incidence rate of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1 or 2, showing consistent results.

합병증 종류type of complication 그룹group Adjusted p-valueAdjusted p-value OR (95% CI)OR (95% CI) 감염infection 1 그룹1 group RefRef 2 그룹2 groups 0.4400.440 1.443 (0.569 - 3.663)1.443 (0.569 - 3.663) 3 그룹3 groups 0.0140.014 3.503 (1.290 - 9.513)3.503 (1.290 - 9.513) 재수술revision surgery 1 그룹1 group RefRef 2 그룹2 groups 0.4520.452 1.237 (0.711 - 2.151)1.237 (0.711 - 2.151) 3 그룹3 groups 0.0090.009 2.383 (1.237 - 4.591)2.383 (1.237 - 4.591) 재건실패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
reconstruction failure
(Early Removal of Tissue Expanders)
1 그룹1 group RefRef
2 그룹2 groups 0.6720.672 0.709 (0.145 - 3.475)0.709 (0.145 - 3.475) 3 그룹3 groups 0.0310.031 3.994 (1.134 - 14.071)3.994 (1.134 - 14.071)

2-5. 1 그룹 및 2와 3 그룹의 합병증 발생 비교 분석 결과2-5.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ications in group 1 and groups 2 and 3

1 그룹과 2를 결합한 집단(이하, '결합군'이라고 함.)과 3 그룹의 합병증 발생 비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 BMI 및 동반질환 유무를 포함하여 기초 정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 프로파일에 있어서, 3 그룹의 합병증 발생 비율이 전체 합병증(p = 0.008), 감염(p = 0.019), 상처 문제(p = 0.044), 재수술(p = 0.008), 재입원(p = 0.031), 주요 합병증(p = 0.001)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p = 0.010)로 나타나, 결합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3 그룹에서 결합군보다 현저하게 많은 데메롤이 투여되었다(p = 0.026). An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mplication rate between the group 1 and 2 combin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bined group') and the 3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ge, BMI, and presence or absence of comorbidities. In the complication profile, the complication rate of the 3 groups was total complication (p = 0.008), infection (p = 0.019), wound problem (p = 0.044), reoperation (p = 0.008), readmission (p = 0.031), Major complications (p = 0.001)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p = 0.01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bination group. Significantly more demerol was administered in the 3 groups than in the combined group (p = 0.026).

다변량 분석에서, 위의 분석과 유사하게 3 그룹은 전체 합병증(OR; 2.032, adjusted p-value = 0.006), 감염(OR; 3.051, adjusted p-value = 0.021), 상처 문제. (OR; 1.983, adjusted p-value = 0.030), 재수술(OR; 2.326, adjusted p-value = 0.008), 주요 합병증(OR, 2.667, adjusted p-value = 0.001)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OR, 4.527, adjusted p-value = 0.015)의 발생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In multivariate analysis, similar to the above analysis, 3 groups were divided into overall complications (OR; 2.032, adjusted p-value = 0.006), infections (OR; 3.051, adjusted p-value = 0.021), and wound problems. (OR; 1.983, adjusted p-value = 0.030), reoperation (OR; 2.326, adjusted p-value = 0.008), major complication (OR, 2.667, adjusted p-value = 0.001),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OR, 4.527, adjusted p-value = 0.015)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종합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출된 판단 기준에 따라, 2단계 유방 재건술 중 1단계에 해당하는 조직 확장기 삽입술의 수술 시작 시간에 따라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summary, information and a system fo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surgery start time of the tissue expander inse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age of the two-stage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riteria derived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respect to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예측 시스템
110: 입력부
120: 전처리부
130: 분석부
140: 표시부
100: prediction system
110: input unit
120: pre-processing unit
130: analysis unit
140: display unit

Claims (13)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collecting clinical data;
calculating a pattern including the same result by classifying the clinical data on the basis of a surgery start time and a treatment result; and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of the subject by applying the surgery start time among the subject's clinical data to the calculated pattern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방 재건술은,
2단계 유방 재건술 중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1단계 수술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The breast reconstruction according to claim 1,
Stage 1 surgery to insert a tissue expander during stage 2 breast reconstruction,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술 시작 시간은,
8시부터 18시 사이, 18시부터 20시 사이, 및 20시부터 8시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술 시작 시간인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tart time,
Any one operation start ti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ween 8:00 and 18:00, between 18:00 and 20:00, and between 20:00 and 8:00,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료 결과는 상처 문제, 장액종, 혈종, 감염,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eatment result includes any one compli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ound problems, seroma, hematoma, infection,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premature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lication includes any one compli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피험자의 수술 시작 시간이 20시부터 8시 사이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is predicting that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is high when the subject's surgery start time is between 20:00 and 8:00.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임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수술 시작 시간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 시스템.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linical data;
a pre-processing unit that classifies the clinical data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time and treatment result and calculates a pattern including the same result; and
An analysis unit fo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of the subject by applying the surgery start time among the subject's clinical data to the calculated pattern
A prognosis prediction system for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방 재건술은,
2단계 유방 재건술 중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1단계 수술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breast reconstruction,
Stage 1 surgery to insert a tissue expander during stage 2 breast reconstruction,
A prognosis prediction system for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술 시작 시간은,
8시부터 18시 사이, 18시부터 20시 사이, 및 20시부터 8시 사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술 시작 시간인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operation start time,
Any one operation start ti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ween 8:00 and 18:00, between 18:00 and 20:00, and between 20:00 and 8:00,
A prognosis prediction system for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치료 결과는 상처 문제, 장액종, 혈종, 감염,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eatment result includes any one compli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ound problems, seroma, hematoma, infection,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premature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
A prognosis prediction system for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계획하지 않은 재수술, 계획하지 않은 재입원 및 조직 확장기의 조기 제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mplications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planned reoperation, unplanned readmission and early removal of the tissue expander,
A prognosis prediction system for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피험자의 수술 시작 시간이 20시부터 8시사이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nalysis unit predicts that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is high when the subject's surgery start time is between 20:00 and 8:00.
A prognosis prediction system for breast reconstru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분석부에서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의 예후 예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ystem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outputting a result of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of the subject in the analysis unit,
A prognosis prediction system for breast reconstruction.

KR1020220015815A 2022-02-07 2022-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KR202301195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815A KR20230119540A (en) 2022-02-07 2022-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815A KR20230119540A (en) 2022-02-07 2022-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540A true KR20230119540A (en) 2023-08-16

Family

ID=8784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815A KR20230119540A (en) 2022-02-07 2022-02-07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54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545B1 (en) 2016-11-25 2018-09-07 주식회사 젠큐릭스 Methods for predicting risk of recurrence of breast cancer pati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545B1 (en) 2016-11-25 2018-09-07 주식회사 젠큐릭스 Methods for predicting risk of recurrence of breast cancer pati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aziani et al. Resective surgical approach shows a high performance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cases of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a retrospective survey of 347 cases
Bonvalot et al. Spontaneous regression of primary abdominal wall desmoid tumors: more common than previously thought
Desch et al. A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comparison of breast reconstruction, mastectomy, and conservative surgery
Henriksen et al. Incidence and severity of short-term complications after breast augmentation: results from a nationwide breast implant registry
Höiness et al. Soft tissue problems in ankle fractures treated surgically: a prospective study of 154 consecutive closed ankle fractures
Muller-Sloof et al. The effect of postoperative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therapy on the incidence of donor site wound dehiscence in breast reconstruction patients: DEhiscence PREvention Study (DEPRES),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ee et al. Immediate versus delayed treatment of mandibular fractures: a stratified analysis of complications
Fitzpatrick et al. Pilonidal disease in a military population: how far have we really come?
Seifert et al. Orbital floor fractures: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1594 reconstructions
Hvilsom et al. Delayed breast implant reconstruction: a 10-year prospective study
Mainwaring et al. Stereotactic radiosurgery versus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a propensity score analysis and predictors of care for patients with brain metastases from breast cancer
Rogers et al. Management of anaemia and blood in patients having neck dissections or free flaps for head and neck cancer
Hanken et al. Analysis of outcome for elderly patients after microvascular flap surgery: a monocentric retrospective cohort study
Di Rienzo et al. Timing of cranial reconstruction after cranioplasty infections: are we ready for a re-thin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delayed versus immediate cranioplasty after debridement in a series of 48 patients
Saheb-Al-Zamani et al.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rom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a closer examination of timing and technique of breast reconstruction
Preisser et al. Physician and patient predictors of health maintenance visits
Chawla et al. Surgical management of hidradenitis suppurativa: a narrative review
KR2023011954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breast reconstruction
Henriksen et al. Reconstructive breast implantation after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Clinical outcomes in a nationwide prospective cohort study
Olsen et al.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ostdischarge antibiotic use following mastectomy
Sue et al. Practical applications of delayed-immediate autologous breast reconstruction: a flexible and safe operative strategy
US20230290508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ing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prognosis
Shibahashi et al. Emergency trepanation as an initial treatment for acute subdural hemorrhage: a multicenter retrospective cohort study
Choi et al. Complications after therapeutic trauma laparotomy
Goedemans et al. Skin augmentation as a last-resort operative technique during decompressive craniect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