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501A -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501A
KR20230119501A KR1020220015716A KR20220015716A KR20230119501A KR 20230119501 A KR20230119501 A KR 20230119501A KR 1020220015716 A KR1020220015716 A KR 1020220015716A KR 20220015716 A KR20220015716 A KR 20220015716A KR 20230119501 A KR20230119501 A KR 2023011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or
liner
flange portion
coupled
screw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샘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501A/ko
Publication of KR2023011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0Mounting or supporting of plant; Accommodating heat expansion or cre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6Starting; Ignition
    • F02C7/264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60Support structures; Attaching or 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는, 연소기를 연소기 케이싱에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루 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라이너 결합부; 및 상기 라이너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대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터 박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Flange apparatus for assembling combuster and Combuster and Method for assembling combus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 장치에 라이너를 결합하고 이동시켜 체결한 다음 노즐 케이싱을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결합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빈이란 증기, 가스와 같은 압축성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충동력 또는 반동력으로 회전력을 얻는 기계장치로, 증기를 이용하는 증기터빈 및 고온의 연소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 터빈 등이 있다.
이 중, 가스 터빈은 크게 압축기와 연소기와 터빈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는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도입구가 구비되고, 압축기 하우징 내에 복수의 압축기 베인과, 압축기 블레이드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연소기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하고 버너로 점화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가 생성된다.
터빈은 터빈 하우징 내에 복수의 터빈 베인과, 터빈 블레이드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와 연소기와 터빈 및 배기실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로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는 양단부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에 복수의 디스크가 고정되어, 각각의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동시에, 배기실측의 단부에 발전기 등의 구동축이 연결된다.
이러한 가스 터빈은 4행정 기관의 피스톤과 같은 왕복운동 기구가 없기 때문에 피스톤-실린더와 같은 상호 마찰부분이 없어 윤활유의 소비가 극히 적으며 왕복운동기계의 특징인 진폭이 대폭 감소되고, 고속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가스 터빈의 작동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가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가 만들어지고, 이렇게 만들어진 연소 가스는 터빈측으로 분사된다. 분사된 연소 가스가 상기 터빈 베인 및 터빈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회전력을 생성하고, 이에 상기 로터가 회전하게 된다.
연소기를 조립할 때, 연소기 케이싱의 외부에 조립되는 노즐 케이싱의 플랜지보다 트랜지션피스와 같이 연소기 케이싱의 내부에 조립되는 부품이 더 큰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노즐 케이싱의 플랜지 사이즈를 키우거나 연소기 케이싱의 캔 홀 플랜지에 추가적인 가공을 해야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37715호
본 발명은 플랜지 장치에 라이너를 결합하고 이동시켜 체결한 다음 노즐 케이싱을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결합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는, 연소기를 연소기 케이싱에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루 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라이너 결합부; 및 상기 라이너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대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터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 베이스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체결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하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결합부는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기어 결합되고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체결된 후에,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분리한 후, 상기 연소기의 노즐 케이싱을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연소기는, 연료 노즐 모듈이 장착된 노즐 케이싱과, 상기 노즐 케이싱에 연결되고 내부에 연소실을 형성하며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에 장착되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에 연결되는 트랜지션피스와, 상기 연소실 내부의 연료 공기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를 포함하는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는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루 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라이너 결합부; 및 상기 라이너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대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터 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 베이스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체결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하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결합부는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기어 결합되고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체결된 후에,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분리한 후, 상기 연소기의 노즐 케이싱을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랜지 장치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은, 라이너 결합부가 결합된 복수의 모터 박스가 결합된 복수의 스크루 바를 장착 베이스에 결합하여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조립하는 단계; 조립된 플랜지 장치를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플랜지 장치의 라이너 결합부에 연소기의 라이너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를 작동시켜 상기 라이너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라이너를 상기 플랜지 장치의 내측 플랜지부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소기의 노즐 케이싱을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 베이스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가 결합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하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이동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기어 결합되고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를 따라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에 의하면, 플랜지 장치에 라이너를 결합하고 이동시켜 체결한 다음 노즐 케이싱을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결합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스 터빈에서 연소기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연소기 케이싱의 캔 홀 플랜지부에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에 라이너를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에 결합된 라이너를 내부로 이동시킨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라이너를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의 내측 플랜지부에 결합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노즐 케이싱을 체결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1000)은 압축기(1100), 연소기(1200), 터빈(1300)을 포함한다. 압축기(1100)는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블레이드(1110)를 구비한다. 압축기(1100)는 블레이드(1110)를 회전시키며, 블레이드(1110)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면서 이동한다. 블레이드(1110)의 크기 및 설치 각도는 설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1100)는 터빈(13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터빈(1300)에서 발생되는 동력의 일부를 전달받아 블레이드(1110)의 회전에 이용할 수 있다.
압축기(1100)에서 압축된 공기는 연소기(1200)로 이동한다. 연소기(1200)는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소 챔버(1210)와 연료 노즐 모듈(122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1000)은 하우징(1010)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1010)의 후측에는 터빈을 통과한 연소 가스가 배출되는 디퓨져(140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디퓨져(1400)의 앞쪽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연소기(1200)가 배치된다.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10)의 상류측에 압축기 섹션(1100)이 위치하고, 하류 측에 터빈 섹션(13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압축기 섹션(1100)과 터빈 섹션(1300)의 사이에는 터빈 섹션(1300)에서 발생된 회전토크를 압축기 섹션(1100)으로 전달하는 토크 전달부재로서의 토크튜브 유닛(150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 섹션(1100)에는 복수(예를 들어 14매)의 압축기 로터 디스크(1120)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압축기 로터 디스크(1120)들은 타이로드(1600)에 의해서 축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체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압축기 로터 디스크(1120)는 회전축을 구성하는 타이로드(1600)가 대략 중앙을 관통한 상태로 서로 축 방향을 따라서 정렬되어 있다. 여기서, 이웃한 각각의 압축기 로터 디스크(1120)는 대향하는 면이 상기 타이로드(1600)에 의해 압착되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압축기 로터 디스크(112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110)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1110)는 도브테일부(1112)를 구비하여 상기 압축기 로터 디스크(1120)에 체결된다.
상기 각각의 로터 디스크(1120)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베인(미도시)이 위치한다. 상기 베인은 상기 로터 디스크와는 달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며, 압축기 로터 디스크의 블레이드를 통과한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정렬하여 하류측에 위치하는 로터 디스크의 블레이드로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도브테일부(1112)의 체결방식은 탄젠셜 타입(tangential type)과 액셜 타입(axial type)이 있다. 이는 상용되는 가스 터빈의 필요 구조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도브테일 또는 전나무 형태(Fir-tree)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형태 외의 다른 체결장치, 예를 들어 키이 또는 볼트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로터 디스크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타이로드(1600)는 상기 복수 개의 압축기 로터 디스크(1120) 및 터빈 로터 디스크(1320)들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로드(16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타이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로드(1600)의 일측 단부는 최상류측에 위치한 압축기 로터 디스크 내에 체결되고, 상기 타이로드(1600)의 타측 단부는 고정 너트(145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타이로드(1600)의 형태는 가스 터빈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뤄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도 2에 제시된 형태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타이로드가 로터 디스크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타이로드가 원주상으로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들의 혼용도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스 터빈의 압축기에는 유체의 압력을 높이고 난 후 연소기 입구로 들어가는 유체의 유동각을 설계 유동각으로 맞추기 위하여 디퓨져(diffuser)의 다음 위치에 안내깃 역할을 하는 베인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디스윌러(deswirler)라고 한다.
상기 연소기(1200)에서는 유입된 압축공기를 연료와 혼합, 연소시켜 높은 에너지의 고온, 고압 연소 가스를 만들어 내며, 등압연소과정으로 연소기 및 터빈 부품이 견딜 수 있는 내열한도까지 연소 가스 온도를 높이게 된다.
가스 터빈의 연소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소기는 셀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다수가 배열될 수 있으며, 연료분사노즐 등을 포함하는 버너(Burner)와, 연소실을 형성하는 연소기 라이너(Combuster Liner), 그리고 연소기와 터빈의 연결부가 되는 트랜지션 피스(Transition Piec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이너는 연료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가 압축기의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라이너는, 공기와 혼합된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화염통과, 화염통을 감싸면서 환형공간을 형성하는 플로우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의 전단에는 연료노즐이 결합되며, 측벽에는 점화플러그가 결합된다.
한편 라이너의 후단에는, 점화플러그에 의해 연소되는 연소 가스를 터빈 측으로 보낼 수 있도록 트랜지션피스가 연결된다. 이러한 트랜지션피스는, 연소 가스의 높은 온도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외벽부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랜지션피스에는 공기를 내부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냉각을 위한 홀들이 마련되며, 압축공기는 홀들을 통해 내부에 있는 본체를 냉각시킨 후 라이너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라이너의 환형공간에는 전술한 트랜지션피스를 냉각시킨 냉각공기가 유동되며, 라이너의 외벽에는 플로우 슬리브의 외부에서 압축공기가 플로우 슬리브에 마련되는 냉각 홀들을 통해 냉각공기로 제공되어 충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기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는 상술한 터빈(1300)으로 공급된다. 공급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가 팽창하면서 터빈의 회전날개에 충돌하여, 반동력을 주어 회전 토크가 야기되고, 이렇게 얻어진 회전 토크는 상술한 토크튜브를 거쳐 압축기으로 전달되고, 압축기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초과하는 동력은 발전기 등을 구동하는데 쓰이게 된다.
상기 터빈(1300)은 기본적으로는 압축기의 구조와 유사하다. 즉, 상기 터빈(1300)에도 압축기의 압축기 로터 디스크와 유사한 복수의 터빈 로터 디스크(13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터빈 로터 디스크(1320) 역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빈 블레이드(1340)를 포함한다. 터빈 블레이드(1340) 역시 도브테일 등의 방식으로 터빈 로터 디스크(132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터빈 로터 디스크(1320)의 블레이드(1340)의 사이에도 하우징에 고정되는 터빈 베인(1330)이 구비되어, 블레이드를 통과한 연소 가스의 흐름 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터빈 로터 디스크(1320)는 대략 원판 형태를 가지고 있고, 그 외주부에는 복수 개의 결합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슬롯은 전나무(fir-tree) 형태의 굴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 슬롯에 터빈 블레이드(1340)가 체결된다. 터빈 블레이드(1340)는 대략 중앙부에 평판 형태의 플랫폼부를 가질 수 있다. 플랫폼부는 이웃한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부와 그 측면이 서로 접하여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랫폼부의 저면에는 루트부가 형성된다. 루트부는 상술한 로터 디스크(1320)의 결합 슬롯에 로터 디스크(1320)의 축방향을 따라서 삽입되는, 액셜 타입(axial-type)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루트부는 대략 전나무 형태의 굴곡부를 가지며, 이는 결합 슬롯에 형성된 굴곡부의 형태와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루트부의 결합구조는 반드시 전나무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고, 도브테일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부의 상부면에는 블레이드부가 형성된다. 블레이드부는 가스 터빈의 사양에 따라 최적화된 익형을 갖도록 형성되고, 연소 가스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되는 리딩 엣지와 하류측에 배치되는 트레일링 엣지를 갖는다.
여기서, 압축기의 블레이드와는 달리, 터빈의 블레이드는 고온고압의 연소 가스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연소 가스의 온도는 1700℃에 달할 정도의 고온이기 때문에 냉각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압축기의 일부 개소에서 압축된 공기를 추기하여 터빈측 블레이드로 공급하는 냉각 유로를 갖게 된다.
상기 냉각 유로는 하우징 외부에서 연장되거나(외부 유로), 로터 디스크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내부 유로), 외부 및 내부 유로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의 표면에는 다수의 필름 쿨링홀이 형성되는데, 필름 쿨링홀들은 블레이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쿨링 유로(미도시)와 연통되어 냉각 공기를 블레이드부의 표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터빈의 블레이드부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블레이드부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부의 끝단과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을 통해 연소 가스가 누설될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한 실링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터빈 베인과 터빈 블레이드는 공히 에어포일 형태로서, 리딩 에지, 트레일링 에지, 흡입면, 압력면으로 구성된다. 터빈 베인과 터빈 블레이드의 내부는 냉각 시스템을 형성하는 복잡한 미로 구조를 포함한다. 베인과 블레이드 내의 냉각 회로는 터빈 엔진의 압축기로부터의 냉각 유체, 예를 들어 공기를 수용하며, 베인과 블레이드 캐리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베인과 블레이드의 단부를 통해 유체가 통과한다. 냉각 회로는 통상 비교적 균일한 온도에서 터빈 베인과 블레이드의 모든 면들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수의 유동 경로를 포함하며, 이들 냉각 회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적어도 일부는 베인의 리딩 에지, 트레일링 에지, 흡입면, 압력면의 개구들을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1000)은 압축기(1100), 연소기(1200), 터빈(1300)이 각각 외면에 케이싱을 구비한다. 복수의 케이싱은 서로 볼트, 나사 등의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가스 터빈에서 연소기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1은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기 케이싱의 캔 홀 플랜지부에 연소기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1200)의 연료 노즐 모듈(1220)을 구비하는 연소 챔버(1210)는 연소기 케이싱(1230)에 복수개가 환형으로 배열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연소기(1200)에는 점화장치(1240)가 연소기 케이싱(12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연소기(1200)의 외형을 살펴보면, 내부에 연료 노즐 모듈(1220)이 구비되어 연소기 케이싱(1230)에 장착되는 노즐 케이싱(1250)과, 노즐 케이싱(1250)에 결합되는 라이너(1260)와, 라이너(1260)에 결합되는 트랜지션피스(1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100)는 연소기(1200)를 연소기 케이싱(1230)에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 장치이다. 플랜지 장치(100)는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110), 장착 베이스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루 바(140), 복수의 스크루 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라이너 결합부(150), 및 라이너 결합부에 결합되어 복수의 스크루 바에 대해 라이너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터 박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베이스(110)는 대략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장착 베이스(110)의 상단부가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베이스(110)는 그 상단부에 구비되어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체결되는 외측 플랜지부(120)와, 하단부에 구비되어 연소기(1200)의 라이너(1260)가 체결되는 내측 플랜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130)와 체결되는 라이너(1260)의 직경에 따라, 내측 플랜지부(130)의 폭이 선택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루 바(140)는 장착 베이스(110), 특히 내측 플랜지부(130)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서 4개의 스크루 바(140)가 내측 플랜지부(130)에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스크루 바(140)는 3~6개가 결합될 수 있다. 스크루 바(140)는 원형 단면을 가진 바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리드 스크루처럼 라이너 결합부(15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라이너 결합부(150)는 복수의 스크루 바(14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라이너 결합부(150)는 원형 디스크 밴드 형태를 가지고, 중심을 지나는 복수의 보강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라이너 결합부(150)에는 복수의 스크루 바(140)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이너 결합부(150)의 후면에 라이너(1260)의 상단 플랜지부가 복수의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라이너 결합부(150)에 라이너(1260)가 체결된 상태에서 복수의 스크루 바(1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모터 박스(160)는 각 스크루 바(140)를 감싸도록 장착되되 라이너 결합부(150)에 결합되어 복수의 스크루 바(140)에 대해 라이너 결합부(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각 모터 박스(160) 내부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전기 모터와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 등의 기어들이 장착될 수 있다.
외측 플랜지부(120)는 장착 베이스(110)의 상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1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플랜지부(120)는 복수의 체결공(122)을 통해 복수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장착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130)는 장착 베이스(110)의 하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1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130)에는 복수의 체결공(132)을 통해 복수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라이너(1260)의 상단 플랜지부가 장착될 수 있다.
라이너 결합부(150)는 연소기(1200)의 라이너(1260)가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복수의 스크루 바(140)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라이너 결합부(150)는 복수의 스크루 바(140)의 상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라이너 결합부(150)에 라이너(1260)가 결합될 수 있다. 라이너(1260)는 라이너 결합부(150)에 일시적으로 결합되고, 복수의 모터 박스(160)의 작동에 의해 장착 베이스(110) 내측으로 이동된 후, 라이너(1260)의 상단 플랜지부가 내측 플랜지부(130)에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모터 박스(160)는 복수의 스크루 바(140)에 기어 결합되어 있으며 동시에 작동되어 라이너 결합부(150)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연소기(1200)의 라이너(1260)가 내측 플랜지부(130)에 체결된 후에, 복수의 스크루 바(140)와 라이너 결합부(150)를 분리한 후, 연소기(1200)의 노즐 케이싱(1250)을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체결할 수 있다.
라이너(1260)를 내측 플랜지부(130)에 체결한 후에, 라이너(1260)의 상단 플랜지부를 라이너 결합부(150)에서 분리하고, 복수의 스크루 바(140)도 내측 플랜지부(1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루 바(140)를 분리할 때에는, 복수의 모터 박스(16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라이너 결합부(150)를 복수의 스크루 바(140)의 상단부로 이동시킨 다음 복수의 스크루 바(140)를 내측 플랜지부(1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런 후에, 장착 베이스(110)의 외측 플랜지부(120)가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장착되고, 내측 플랜지부(130)에 라이너(12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연소기(1200)의 노즐 케이싱(1250)을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노즐 케이싱(1250)의 후단부는 라이너(1260)의 상단 플랜지부와 결합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130)와 라이너(1260)가 체결되는 면에는, 실링을 위하여 가스켓(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기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랜지 장치(100)를 이용한 연소기(1200) 조립방법은, 라이너 결합부(150)가 결합된 복수의 모터 박스(160)가 결합된 복수의 스크루 바(140)를 장착 베이스(110)에 결합하여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100)를 조립하는 단계, 조립된 플랜지 장치(100)를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장착하는 단계, 플랜지 장치(100)의 라이너 결합부(150)에 연소기(1200)의 라이너(1260)를 결합하는 단계, 복수의 모터 박스(160)를 작동시켜 라이너(1260)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라이너(1260)를 플랜지 장치(100)의 내측 플랜지부(130)에 체결하는 단계, 복수의 스크루 바(140)와 라이너 결합부(150)를 분리하는 단계, 및 연소기(1200)의 노즐 케이싱(1250)을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 케이싱(1230)에는 복수의 연소기(1200)를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연소기 캔 홀 외측면 테두리에 플랜지부(12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35)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100)를 조립한 다음, 조립된 플랜지 장치(100)의 외측 플랜지부(120)를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복수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장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장치(100)의 라이너 결합부(150)에 연소기(1200)의 라이너(1260)를 내측에서 결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모터 박스(160)를 동시에 작동시켜 라이너(1260)를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1260)를 플랜지 장치(100)의 내측 플랜지부(130)에 체결한 다음, 복수의 스크루 바(140)와 라이너 결합부(150)를 분리하고, 복수의 스크루 바(140)도 분리한다. 그러면, 플랜지 장치(100)의 외측 플랜지부(120)는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장착되어 있고, 라이너(1260)는 플랜지 장치(100)의 내측 플랜지부(12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1200)의 노즐 케이싱(1250)을 연소기 케이싱(1230)의 플랜지부(1235)에 체결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1235)에는 플랜지 장치(100)의 외측 플랜지부(120)가 장착되어 있고, 외측 플랜지부(120) 상에 노즐 케이싱(1250)의 플랜지부를 통해 복수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연소기(12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가스터빈 1010: 하우징
1100: 압축기 1110: 압축기 블레이드
1112: 도브테일부 1120: 압축기 로터 디스크
1200: 연소기
1210: 연소 챔버 1220: 연료 노즐 모듈
1230: 연소기 케이싱 1235: 케이싱 플랜지부
1240: 점화기 1250: 노즐 케이싱
1260: 라이너 1270: 트랜지션피스
1300: 터빈 1320: 터빈 로터 디스크
1330: 터빈 베인 1340: 터빈 블레이드
1400: 디퓨져 1450: 고정너트
1500: 토크튜브 유닛 1600: 타이로드
100: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110: 장착 베이스 120: 외측 플랜지부
122: 체결공 130: 내측 플랜지부
132: 체결공 140: 스크루 바
150: 라이너 결합부 160: 모터 박스

Claims (18)

  1. 연소기를 연소기 케이싱에 조립하기 위한 플랜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루 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라이너 결합부; 및
    상기 라이너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대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터 박스를 포함하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베이스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체결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하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결합부는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기어 결합되고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체결된 후에,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분리한 후,
    상기 연소기의 노즐 케이싱을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
  8. 연료 노즐 모듈이 장착된 노즐 케이싱과, 상기 노즐 케이싱에 연결되고 내부에 연소실을 형성하며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에 장착되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에 연결되는 트랜지션피스와, 상기 연소실 내부의 연료 공기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를 포함하는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는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장착되는 장착 베이스;
    상기 장착 베이스에 결합되는 복수의 스크루 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라이너 결합부; 및
    상기 라이너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대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터 박스를 포함하는 연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베이스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체결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하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는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결합부는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일시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기어 결합되고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상기 내측 플랜지부에 체결된 후에,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분리한 후,
    상기 연소기의 노즐 케이싱을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15. 라이너 결합부가 결합된 복수의 모터 박스가 결합된 복수의 스크루 바를 장착 베이스에 결합하여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를 조립하는 단계;
    조립된 플랜지 장치를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플랜지 장치의 라이너 결합부에 연소기의 라이너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를 작동시켜 상기 라이너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라이너를 상기 플랜지 장치의 내측 플랜지부에 체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소기의 노즐 케이싱을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랜지 장치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베이스는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외측 플랜지부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가 결합되는 내측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장치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상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소기 케이싱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며,
    상기 내측 플랜지부는 상기 장착 베이스의 하단 모서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와 상기 연소기의 라이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장치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 이동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모터 박스는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에 기어 결합되고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복수의 스크루 바를 따라 상기 라이너 결합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장치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KR1020220015716A 2022-02-07 2022-02-07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KR20230119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716A KR20230119501A (ko) 2022-02-07 2022-02-07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716A KR20230119501A (ko) 2022-02-07 2022-02-07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501A true KR20230119501A (ko) 2023-08-16

Family

ID=8784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716A KR20230119501A (ko) 2022-02-07 2022-02-07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5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715B1 (ko) 2012-11-07 2017-05-18 지멘스 에너지, 인크. 산업용 가스 터빈을 위한 모듈형 드롭인 연소기 조립체 및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715B1 (ko) 2012-11-07 2017-05-18 지멘스 에너지, 인크. 산업용 가스 터빈을 위한 모듈형 드롭인 연소기 조립체 및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882B1 (ko) 노즐 어셈블리,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US11028699B2 (en) Gas turbine
US11313561B2 (en) Combustor with axial fuel staging system and gas turbine having the same
KR102291801B1 (ko) 링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2400013B1 (ko) 터빈 블레이드의 씰 조립구조와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및 터빈 블레이드의 씰 조립방법
US11149557B2 (en) Turbine vane, ring segment, and gas turbine including the same
KR102027199B1 (ko) 가변 베인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1965505B1 (ko) 터빈 블레이드 링 세그멘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및 가스터빈
KR102319765B1 (ko) 가스 터빈
US11624297B2 (en) Turbine exhaust unit supporting device, turbine including same, and gas turbine including same
KR20230119501A (ko) 연소기 조립용 플랜지 장치와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KR101958110B1 (ko) 터빈 스테이터, 터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KR102187958B1 (ko)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 및 가스터빈, 블레이드 성형 보수 방법
KR20230126348A (ko) 케이싱의 버티컬 조인트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230126094A (ko) 케이싱 결합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230119502A (ko) 연소기의 점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와 가스 터빈
KR102566947B1 (ko) 씰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KR102566946B1 (ko) 씰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KR102498836B1 (ko) 터빈 블레이드의 팁 클리어런스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307578B1 (ko) 터빈 베인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베인 어셈블리
KR102655156B1 (ko) 터보머신용 스테이터
KR102440257B1 (ko) 씰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US1129329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urbine blade tip clearance and gas turbine including the same
KR102655158B1 (ko) 씰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KR102440256B1 (ko) 씰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