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9328A -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 Google Patents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9328A
KR20230119328A KR1020220015321A KR20220015321A KR20230119328A KR 20230119328 A KR20230119328 A KR 20230119328A KR 1020220015321 A KR1020220015321 A KR 1020220015321A KR 20220015321 A KR20220015321 A KR 20220015321A KR 20230119328 A KR20230119328 A KR 2023011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body
tunnel
escape device
touch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진영
Original Assignee
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영 filed Critical 서진영
Priority to KR102022001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9328A/en
Publication of KR2023011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Abstract

화재발생 시에 사용자가 건물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탈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탈출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되는 터널 몸체; 상기 터널 몸체의 입구에 설치되는 고정 모듈; 상기 터널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터널 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링 형태의 지지체; 및 상기 터널 몸체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isclosed is a fire escape device that allows users to quickly and safely escape from a building in case of fire.
A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nel body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ed modul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installed on the tunnel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and an exit module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tunnel body,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tunnel body has a different distance between supporters on the upper side and between supporters on the lower side.

Description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에 사용자가 건물에서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scape device that allows users to quickly escape from a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완강기 및 튜브터널의 단점을 보완하여 화재발생시 사용자가 건물 고층에서 보다 쉽고 보다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scape device that compensates for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descending devices and tube tunnels so that users can more easily and safely escape from high-rise buildings in the event of a fire.

화재 사고 발생시 화상에 의한 희생자뿐만 아니라 유독가스와 연기, 매연으로 인한 질식에 의한 희생자도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건물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탈출할 필요가 있다. In the event of a fire accident, not only victims of burns but also victims of suffocation due to toxic gases, smoke, and fumes occur.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necessary to evacuate the building as quickly as possible.

화염, 유독가스, 연기 등의 문제로 인해 출입구를 통한 탈출이 불가능할 경우 창문을 통해 탈출하여야 한다. 1층이나 2층의 저층에 있는 사람들의 경우 창문을 통해 뛰어내리는 것이 가능하지만, 3층 이상의 고층에 있는 사람들의 경우 창문을 통해 건물 밖으로 뛰어내리는 것이 쉽지 않다. If it is impossible to escape through the doorway due to problems such as flame, toxic gas, smoke, etc., escape through the window. For people on the lower floors of the first or second floor, it is possible to jump through a window, but for people on the third or higher floor, it is not easy to jump out of a building through a window.

화재발생시 고층에 있는 사람들의 신속한 탈출을 위해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는 완강기가 구비되어 있다. In order to quickly escape people on high floors in the event of a fire, high-rise building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descending devices.

그러나, 완강기의 경우 숙달되기 전까지는 착용 및 작동이 쉽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완강기의 경우 하강속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건물의 각 층마다 하나의 완강기만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고층에 여러 사람이 있다면 모든 사람이 탈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른바 골든타임을 놓쳐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descending device, it is not easy to wear and operate until it is maste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escend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descending speed cannot be easily adjusted. In addition, since it is common that only one descending elevator is provided for each floor of a building, if there are several people on a high floor, it takes a lot of time for everyone to escape,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called golden time can be missed.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튜브터널식 화재 탈출 장치가 제안되었다(특허문헌 2). 상기 튜브터널식 화재 탈출 장치는 난연 처리된 매우 얇고 강한 섬유 천으로 긴 튜브터널로 구성된다. 평상시는 돌돌 말아서 보관되며, 화재시 튜브터널 입구를 배란다 난간대나 창문틀에 묶어 결합하고 튜브터널을 지상으로 늘어뜨려 지상에서 보조자가 경사지게 추가 전개하고 지지하면, 사용자는 튜브 터널 입구 속으로 들어가서 서서히 내려와 지상에 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의 경우 지상의 보조자가 있어야만 경사지게 전개가 가능하며, 그렇지 않다면 탈출자가 거의 자유낙하로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위험이 있다.To improve this, a tube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2). The tube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is composed of a long tube tunnel made of very thin and strong fiber fabric treated with flame retardancy. Normally, it is stored rolled up, and in case of fire, the entrance of the tube tunnel is tied to the balcony railing or window frame and combined, and the tube tunnel is suspended to the ground, and when an assistant additionally deploys and supports it at an angle on the ground, the user enters the entrance of the tube tunnel and gradually descends can land on the ground. However, in this method, an inclined deployment is possible only with an assistant on the ground.

등록특허공보 제10-2303988호 (2021.09.27.0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303988 (2021.09.27.0 notice)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4872호 (2017.10.16. 공개)Publication No. 10-2017-0114872 (published on October 16, 20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물 고층에서 화재발생시 사용자가 보다 쉽고 보다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scape device that allows users to more easily and more safely escape out of the building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되는 터널 몸체; 상기 터널 몸체의 입구에 설치되는 고정 모듈; 상기 터널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터널 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링 형태의 지지체; 및 상기 터널 몸체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nel body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fixed modul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installed on the tunnel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and an exit module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tunnel body,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tunnel body has a different distance between supporters on the upper side and between supporters on the lower side.

상기 터널 몸체의 출구에 인접한 부분에서, 지면에서 먼 터널 몸체의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지면에서 가까운 터널 몸체의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At a portion adjacent to the exit of the tunnel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of the tunnel body far from the groun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of the tunnel body close to the ground.

상기 터널 몸체의 특정한 부분에서 출구쪽으로 향함에 따라,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As one moves toward the exit from a specific part of the tunnel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can be gradually shortened.

상기 터널 몸체는 접힌 상태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부분이 교대로 반복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직경이 제1 직경으로 확장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체는 상기 제1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tunnel body, in a folded state, a first part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part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re alternately repeated, and in a unfolded state,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 is the first diameter. , and the plurality of supports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part.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터널 몸체 입구의 양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module may include at least two rod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unnel body entrance.

상기 봉 부재는 길이 가변형이며, 하단이 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The rod member has a variable length, and a lower e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상기 출구 모듈은 출구를 커버하여 탈출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탄성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it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covering the exit to prevent escape of the escapee.

상기 출구 모듈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에어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let module may include an air mat disposed on a floor surface.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터널 몸체에 배치된 매트 몸체와, 충격 센서와, 압축 기체를 저장하며 상기 충격 센서에 응답하여 기체를 상기 매트 몸체로 제공하는 압축 기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mat may include a mat body disposed on the tunnel body, an impact sensor, and a compressed gas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compressed gas and provide gas to the mat body in response to the impact sensor.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터널 몸체에 배치된 매트 몸체와, 격발기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격발기에 의해 개방되어 가스를 상기 매트 몸체로 제공하는 압축가스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mat may include a mat body disposed on the tunnel body, an inflator including a percussion unit, and a compressed gas cartridge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opened by the percussion unit to supply gas to the mat body.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터널 몸체에 배치된 매트 몸체와, 상기 매트 몸체에 배치된 충전재와, 상기 매트 몸체 외부와 상기 매트 몸체 내부 간의 공기 이동을 규제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mat may include a mat body disposed on the tunnel body, a filler disposed on the mat body, and a stopper for regulating air movement between the outside of the mat body and the inside of the mat body.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고정 모듈을 터널 몸체 입구의 양측에 결합하여 창문 주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터널 몸체를 창문 밖으로 투척하기만 하면 터널 몸체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지면까지 터널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vent of a fire, simply throw the tunnel body out of the window in a state where the fixing modul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unnel body entrance and installed around the window, automatically by the load of the tunnel body As a result, a tunnel can be formed to the groun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에 의하면, 터널 몸체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상이하게 구성됨으로써 터널 몸체가 자동으로 경사지게 전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upper side of the tunnel bod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lower side are configured differently, so that the tunnel body can be automatically developed inclined. Through this, the user can escape saf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에 의하면, 출구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터널 몸체로부터 튕겨져 나가거나 찰과상, 골절 등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thrown out of the tunnel body by the exit module or from being injured such as abrasions or fractur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도 1은 평상시 보관중인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건물 외부로 전개된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창문을 통해 건물 외부로 전개된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창문을 통해 건물 외부로 전개된 상태의 터널 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고정 모듈을 이용하여 터널 몸체가 창문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터널 몸체에 링 형상의 복수의 지지체들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터널 몸체에 링 형상의 복수의 지지체들이 일체형 구조로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터널 몸체에 링 형상의 복수의 지지체들 뿐만 아니라 와이어 형상의 제2 지지체들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보관 상태와 전개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터널 몸체 출구에 탄성 밴드가 설치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터널 몸체 출구쪽에 에어매트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탈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고정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of normal storage.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deploy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3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of being deploy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through a window.
4 shows another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of being deploy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through a window.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unnel body is installed on a window using a fixing module.
6A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are installed in the tunnel body.
6B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are install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in a tunnel body.
6C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as well as wire-shaped second supports are installed in the tunnel body.
7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ored state and a deployed state.
Figure 8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n elastic band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tunnel body.
9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air mat is installed at the exit side of the tunnel body.
10 to 16 show other examples of fixing modules that can be used in th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요소 또는 층이 "위" 또는 "상"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요소가 "직접 위"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both a case where another layer or other element is intervening as well as directly on another element or layer.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indicates that no intervening element or layer is intervening.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intervening",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 "하부", "위", "상부"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요소의 "아래"로 기술된 요소는 다른 요소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lower", "above", "upper", etc. facilitate correlation between one element or component and another element or component as shown in the drawings. can be used to describe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term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erefo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ing”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n which the stated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are present. .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는 크게는 터널 몸체와, 이 터널 몸체의 입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모듈로 구성된다. 고정 모듈의 전부 또는 주요 부분들은 창문의 내측과 같이 건물 내부에 배치되며, 터널 몸체의 입구는 고정 모듈에 고정된다. A tunnel-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tunnel body and a fixing module for fixing an entrance of the tunnel body. All or major parts of the fixed module are placed inside the building, such as inside a window,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is fixed to the fixed module.

도 1은 평상시 보관중인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건물 외부로 전개된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of normal storage.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deploy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는 화재 발생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터널 몸체(110)를 포함한다.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use in case of fire and includes a tunnel body 110.

또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는 터널 몸체(1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모듈(120, 도 5)과, 터널 몸체(1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복수의 지지체(130, 도 2), 이용자가 터널 몸체(11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출구 모듈(150, 도 2)을 포함한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hape of the fixing module 120 (FIG. 5) and the tunnel body 110 for fixing the tunnel body 110. It includes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130, FIG. 2) and an exit module (150, FIG. 2) that allows users to get out of the tunnel body (110).

터널 몸체(110)는 입구(112)와 출구(115)를 포함하여, 전개시 터널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터널 몸체(110)는 접힘 상태에서 전개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개시 터널을 형성한다. 터널 몸체(110)는 천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터널 몸체(110)는 내부 및 외부 표면이 방염 처리된 것일 수 있다. The tunnel body 110 includes an inlet 112 and an outlet 115, and is a part that forms a tunnel when deployed. The tunnel body 1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deployment in a folded state, and forms a tunnel when deployed. Tunnel body 110 may be a cloth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Preferably,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unnel body 110 may be flame retardant.

터널 몸체(110)는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포장된 상태, 예를 들어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고, 화재 발생에 의해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지면으로 전개된다. The tunnel body 110 is usually stored in a packed state, for example,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and deployed to the ground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when used by a fire.

터널 몸체(110)의 단면 형상은 도 1의 (a)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으며, 도 1의 (b)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다. 고정 모듈(120)과의 결합 길이를 길게 하여 화재 탈출 장치가 고정 모듈(120)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는 측면에서 터널 몸체(110)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터널 몸체의 전개시, 터널 몸체(110)의 단면 형상은 후술하는 복수의 링 형태의 지지체(13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인접한 링 형태의 지지체들(130)은 터널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체(132)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터널 몸체의 일부가 훼손되더라도 터널 몸체의 단면 형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nnel body 110 may be a rectangle as shown in FIG. 1 (a), or may be circular as shown in FIG. 1 (b). It may be more advantageous for the tunnel body 110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erms of maximal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fire escape device escaping from the fixed module 120 by lengthening the coupling length with the fixed module 120. When the tunnel body is develop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nnel body 110 may be maintained by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130 to be described later. Adjacent ring-shaped supports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second support 13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110 . Therefore, even if a part of the tunnel body is damaged in an unexpected situa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nnel body can b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mproving user safety.

도 3은 창문을 통해 건물 외부로 전개된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창문을 통해 건물 외부로 전개된 상태의 터널 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3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of being deploy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through a window. 4 shows another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ate of being deploy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through a window.

터널 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은 형태,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건물의 창문(101)으로부터 전개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널 몸체의 상부측과 하부측의 지지체간 간격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만, 어떤 형태이든 출구 모듈(150)은 지면에 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unnel body 110 may be deployed from the window 101 of the building in a form such as the example shown in FIG. 3, a form such as the example shown in FIG. 4, and various other forms, which, as described later, the tunnel body It can be achieved by making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ody different. However, in any form, it is preferable that the exit module 150 touches the ground.

고정 모듈(120)은 터널 몸체(110)의 입구(112)에 설치되어, 터널 모듈의 입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xing module 12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112 of the tunnel body 110 and serves to fix the entrance of the tunnel module.

도 5는 고정 모듈을 이용하여 터널 몸체가 창문(101)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unnel body is installed on the window 101 using a fixing module.

고정 모듈(120)은 터널 몸체 입구의 양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봉 부재와 터널 몸체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The fixing module 120 may include at least two rod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unnel body entrance. In this case, the rod member and the tunnel body may be directly coupled.

봉 부재와 터널 몸체의 직접적인 결합을 위하여, 터널 몸체(110)의 입구(112)의 양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터널 몸체 입구 양 측면의 결합부는 마치 들것(stretcher)의 결합부와 같이 봉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터널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For direct coupling between the rod member and the tunnel body, coupling part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112 of the tunnel body 110. Coupl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may be in the form of a tunnel so that the bar member can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like the connecting part of a stretcher.

다른 예로 고정 모듈의 고리 형태의 부재에 배치되는 복수의 걸이나 링에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터널 몸체 입구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링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조에 대하여는 도 10 내지 도 1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As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rings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so as to be respectively fastened to a plurality of hooks or rings disposed on the ring-shaped member of the fixing module.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6 .

봉 부재는 길이 가변형으로서 예를 들어 2단 내지 3단의 봉(120a, 120b, 120c)이며, 사용시, 하단이 바닥(102)에 밀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단은 천정(103)에 밀착될 수 있다. 바닥 및 천정의 밀착을 위해 고무 덮개(125)가 봉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봉 부재는 예를 들어 스탠드 옷걸이의 천장-바닥 밀착형 측면 지지봉과 같은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The rod member is a length-variable type, for example, 2- to 3-step rods 120a, 120b, and 120c, and when in use, the lower e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102. Furthermore, the upper e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103 . A rubber cover 125 may be coupl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rod for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ceiling. As the rod member, for example, a ceiling-floor contact type side support rod of a hanger stand may be used.

봉 부재의 고정력을 보다 높이기 위해, 창문(101) 주위의 벽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 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bar member, a fixing means such as a bracket pre-installed on the wall around the window 101 may be added.

다른 예로, 창문 주위에 고정 모듈로서, 복수의 걸이나 링이 결합되어 있는 링 형태의 부재가 사전에 또는 사용시 고정되고, 여기에 대응하여 터널 몸체 입구 가장자리에 복수의 링이 배치되어, 사용시 고정 모듈과 터널 몸체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a fixing module around a window, a ring-shaped member to which a plurality of hooks or rings are coupled is fixed in advance or during use, and a plurality of rings ar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in response to this, fixing the module during use A coupling between the and the tunnel body may be made.

평상시에는 터널 몸체(110)와 고정 모듈을 분리해서 보관하고, 화재 발생시에 예를 들어 터널 몸체(110)의 입구 양측면에 봉 부재를 끼워 결합하고, 봉 부재를 창문 주위 벽, 그리고 천정과 바닥에 고정시킨 후, 터널 몸체(110)을 건물 밖으로 던지기만 하면 화재탈출장치가 완성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완강기에 비해 조작이 간단하여 누구나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층에서 지면을 직접 볼 수 없을 것이므로 사용자의 두려움도 감소시킬 수 있다. Normally, the tunnel body 110 and the fixing module are stored separately, and in the event of a fire, for example, rod members ar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110 and combined, and the rod members are attached to the wall around the window, and to the ceiling and floor. After fixing, since the fire escape device can be completed by simply throwing the tunnel body 110 out of the building, it is simpler to operate than the conventional descending machine, so anyone can install it quickly, and users cannot directly see the ground from high floors. can also reduce the fear of

링 형태의 복수의 지지체(130)는 터널 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터널 몸체(110)에 설치된다.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130 are installed on the tunnel body 1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110 .

도 6a는 터널 몸체에 링 형상의 복수의 지지체들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터널 몸체에 링 형상의 복수의 지지체들이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터널 몸체에 링 형상의 복수의 지지체들 뿐만 아니라 와이어 형상의 제2 지지체들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6A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are installed in the tunnel body. 6B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are installed in the tunnel body. 6C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as well as wire-shaped second supports are installed in the tunnel body.

터널 몸체(110)가 천이나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터널 몸체(110)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터널 몸체(110)에 링 형태의 복수의 지지체(130)가 보강되면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터널 몸체(110)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터널 몸체(1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Since the tunnel body 110 is made of cloth or plasti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unnel body 110 may be damaged by the user's weight. However, when the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130 are reinforced in the tunnel body 110, the rigidity can be increased, so that damage to the tunnel body 110 can be prevented and the shape of the tunnel body 110 can be maintained.

복수의 지지체(130)는 스틸, 니켈-크롬 합금과 같은 금속 재질이나 탄소 섬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supports 1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or a nickel-chromium alloy, or a material such as carbon fiber or engineering plastic.

복수의 지지체(130)의 형상은 터널 몸체(11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몸체(110)가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면, 복수의 지지체(130)는 사각링 형상일 수 있다.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30 may b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nnel body 110. For example, if the tunnel body 11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plurality of supports 130 may have a rectangular ring shape.

복수의 링 형상의 지지체(130)는 도 6a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링 형상의 지지체(130)는 도 6b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일체형 구조로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터널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 또는 코일형 구조로 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13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A.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130 may have an integral structur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B, and in this case, may have a spiral or coil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110.

한편, 도 6c를 참조하면, 인접한 링 형태의 지지체들(130)은 터널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체(132)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터널 몸체의 일부가 훼손되더라도 터널 몸체의 단면 형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6c, adjacent ring-shaped supporters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supporter 13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110). Therefore, even if a part of the tunnel body is damaged in an unexpected situa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unnel body can b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mproving user safety.

도 7은 보관 상태와 전개 상태의 터널 몸체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7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body in a stored state and a deployed state.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터널 몸체는 접힌 상태에서 제1 직경(d1)을 갖는 제1 부분(710)과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갖는 제2 부분(720)이 교대로 반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터널 몸체는 전개된 상태에서 제2 부분(720)의 직경이 제1 직경(d1)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체(120)는 제1 부분(710)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 the tunnel body has a first portion 710 having a first diameter d1 in a folded state and a second diameter d2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The second part 720 may have an alternately repeated structure. Also, when the tunnel body is deployed, the diameter of the second portion 720 may expand to the first diameter d1. A plurality of supports 12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portion 710 .

출구 모듈(150)은 터널 몸체의 출구에 설치된다. 출구 모듈(150)은 사용자의 안전을 높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exit module 150 is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tunnel body. The exit module 150 may be to increase user safety.

일실시예로, 출구 모듈(150)은 터널 몸체(110)에서 미끌어져 내려오는 사용자의 속도에 기인하여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터널 몸체(110)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구(115)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밴드(도 8의 810)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xit module 150 has an exit ( 1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810 in FIG. 8) disposed to cover the elastic bands.

도 8은 터널 몸체 출구에 탄성 밴드가 설치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8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n elastic band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tunnel body.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터널 몸체(110)의 출구(115)까지 미끌어져 내려온다고 하더라도 탄성 밴드들(810)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는 터널 몸체 밖으로 튕겨져 나가지 않게 된다. Even if the user slides down to the exit 115 of the tunnel body 110 at high speed, the user does not bounce out of the tunnel body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s 810 .

한편, 사용자는 탄성 밴드들(810) 사이를 벌려서 터널 몸체(110)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다른 예로, 출구(115) 부근에 지퍼(미도시)를 배치하고, 사용자가 이 지퍼를 개방하여 터널 몸체(110)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출구가 복수의 탄성 밴드가 아닌 에어매트로 되어 있을 때 효과적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get out of the tunnel body 110 by spreading between the elastic bands 810 . As another example, a zipper (not shown) is placed near the exit 115, and the user can open the zipper to get out of the tunnel body 110, which means that the exit will be made of an air mat rather than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effective when

다른 실시예로, 출구 모듈(150)은 터널 몸체(110)에서 미끌어져 내려온 사용자가 지면과의 마찰이나 충격에 의해 찰과상, 골절 등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구 쪽에 에어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매트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측면이나 상부면에도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exit module 150 may include an air mat on the exit side to prevent a user who has slipped down from the tunnel body 110 from being injured such as abrasions or fractures due to friction or impact with the ground. there is. The air mat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nd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r top surface.

도 9는 터널 몸체 출구쪽에 에어매트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air mat is installed at the exit side of the tunnel body.

에어매트(910)를 구성하는 매트 몸체는 평상시에는 터널 몸체 내부나 외부에 최소의 부피로 유지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건물 고층에서 터널 몸체를 낙하시키면, 터널 몸체의 하중에 의해 지면에 출구가 부딪히게 된다. 이때, 충격 센서가 충격을 감지하고, 폭발이나 운동에 의해 압축 기체 저장부의 입구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압축 기체가 매트 몸체에 공급되어 에어매트가 만들어진다.The mat body constituting the air mat 910 is normally maintained in a minimum volume inside or outside the tunnel body. However, when a user drops the tunnel body from a high-rise building, the exit is hit on the ground by the weight of the tunnel body. At this time, the shock sensor detects the impact, and the inlet of the compressed gas storage unit is opened by explosion or movement, and accordingly, the compressed gas is supplied to the mat body to make an air mat.

에어매트(910)는 팽창식 구명조끼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될 수 있으며, 팽창식 구명 조끼의 공지된 작동 원리를 그대로 또는 약간 수정하여 본 발명의 출구 모듈의 에어매트에 적용할 수 있다. The air mat 910 can operate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inflatable life jacket, and the known operating principle of the inflatable life jacket can be applied to the air mat of the exi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or with slight modifications.

예를 들어, 에어매트(910)는 터널 몸체에 배치된 매트 몸체와, 격발기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며 격발기의 격발에 의해 개방되어 가스를 상기 매트 몸체로 제공하는 압축가스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ir mat 910 includes a mat body disposed in a tunnel body, an inflator including a trigger, and a compressed gas cartridge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opened by the trigger of the trigger to provide gas to the mat body. can include

격발은 격발기로서 와이어와 로프를 이용한 이른바 로프 당김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로프 당김 방식이란 터널 몸체가 하강하면서 출구 모듈에 배치되는 와이어가 벌어지는데,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 가는 로프를 연결해 두었다가 와이어들이 벌어지면서 로프를 당겨서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Percussion may be carried out in a so-called rope pulling method using a wire and a rope as a percussion device. In the rope pulling method, as the tunnel body descends, the wire disposed in the exit module is spread, and a thin rope is connected between the wires, and then the wires are opened and the rope is pulled to operate.

또 다른 예로, 에어매트는 터널 몸체에 배치된 매트 몸체와, 매트 몸체에 배치된 충전재와, 매트 몸체 외부와 상기 매트 몸체 내부 간의 공기 이동을 규제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른바 자동충전 매트, 침구류 등을 위한 진공압축팩 등의 원리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매트 내부에 배치된 스펀지와 같은 충전재가 압축된 상태로 있고, 사용시 매트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면서 충전재가 부풀어 오른 상태가 될 수 있다. 마개를 개방하여 매트 몸체 내부의 공기를 뽑아낸 후 다시 마개를 닫으면, 매트 내부의 충진재가 압축된 상태로 된다. 다시 마개를 개방하면, 매트 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그에 따라 충전재가 부풀어 올라 에머매트에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air mat may include a mat body disposed in the tunnel body, a filler disposed in the mat body, and a stopper for regulating air movement between the outside of the mat body and the inside of the mat body. This can be operated on a principle similar to the principle of a so-called automatic filling mat, vacuum compression pack for bedding, etc. In normal times, a filling material such as a sponge disposed inside the mat is in a compressed state, and when used, the filling material may be inflated as air is charged inside the mat. When the stopper is opened, the air inside the mat body is drawn out, and the stopper is closed again, the filling material inside the mat is compressed. When the cap is opened again,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t body and the filling material is inflated accordingly to provide a cushion to the emma mat.

본 발명의 경우, 터널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이 상이하다. 여기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은 어느 하나의 지지체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지지체들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지지체들이 터널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들은 터널 몸체(110))의 길이를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고,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 역시 터널 몸체(110))의 길이를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t least a part of the tunnel body 110, the distance L1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and the distance L2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are different. Here, the distance L1 between the supporters on the upper side and the distance L2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mean the distance between one supporter and another adjacent supporter. Since the supports do not have to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the intervals L1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of the tunnel body 110), and the The spacing L2 between the supports may als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length of the tunnel body 110).

예를 들어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면 지면을 기준으로 터널 몸체(110)가 일정한 경사로 전개될 것이다. 반면,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면 터널 몸체(110)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완만해지는 형태로 전개될 것이다. 또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면 터널 몸체(110)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가 커지는 형태로 전개될 것이다. 터널 몸체(110)의 경사가 완만해진다는 것은 탈출자의 속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터널 몸체(110)의 경사가 커진다는 것은 탈출자의 속도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For example, if the distance L1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the tunnel body 110 will be developed at a constant inclination relative to the ground. On the other h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the tunnel body 110 will be developed in a form with a gentle slope relative to the ground. In addi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the tunnel body 110 will be developed in a form with an increased inclination relative to the ground. When the slope of the tunnel body 110 becomes gentle, it means that the speed of the escapee decreases, and when the slope of the tunnel body 110 increases, it means that the speed of the escapee increases.

특히 터널 몸체(110)의 출구(115)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탈출자의 안전을 위해 속도가 감소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터널 몸체(110)의 출구(115)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경사를 완만하게 하기 위해,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터널 몸체(110)의 특정한 부분까지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과 동일한 구간(A)과,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보다 더 짧은 구간(B)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exit 115 of the tunnel body 110,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peed for the safety of the escapee. To this end, in order to make the slope gentle a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let 115 of the tunnel body 110, the distance L1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should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can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 section (A) in which the interval (L1)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upper side is the same as the interval (L2)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lower side until a specific part of the tunnel body 110 And, the interval (L1)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may be composed of a shorter section (B) than the interval (L2)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보다 더 짧은 제1 구간(A),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구간(B), 그리고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긴 구간(C)이 있는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upper side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lower side (A),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upper si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re is a section (B)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and a section (C) in which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ers on the upper side is long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can also be considered.

또한, 터널 몸체(110)의 특정한 부분(예를 들어, 입구로부터 2/3 지점)에서 출구쪽으로 향함에 따라,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이 점진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널 몸체(110)의 출구(115)에 가까워질수록 탈출자의 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tunnel body 110 is directed toward the exit from a specific portion (eg, 2/3 point from the inlet), the distance L1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may be gradually shortened. Through this, as the exit 115 of the tunnel body 110 is approached, the speed of the escapee gradually decreases, so that it can escape safely.

터널 몸체(110)에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1)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L2)의 차이는 예를 들어 5~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가 될 수 있다.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의 차이가 너무 크면 감속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으나, 마찰력 증가에 따라 사용자가 터널 몸체 중간에서 정지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의 차이가 너무 작으면 감속 효과가 너무 작아질 수 있다. In the tunnel body 110,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and the distance L2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is, for example, 5 to 20%, more preferably 5 to 10%. ca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and the support on the lower side is too large, the deceler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but the user may stop in the middle of the tunnel body due to the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Conversely,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is too small, the deceleration effect may be too small.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하는 방법으로는, 지지체와 지지체 사이의 터널 몸체 일부를 겹쳐서 재봉(도 7의 730)하거나 접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사용자에 이동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측면에서 재봉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a method of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a method of overlapping and sewing (730 in FIG. 7) or bonding a part of the tunnel body between the supports may be used, among which, to prevent damage to the user during movement. In terms of the sewing method is more preferred.

또한, 터널 몸체의 상부측과 하부측이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입구쪽에 상부측과 하부측을 구별할 수 있는 마킹이나 표시가 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trance side may be marked or marked to distinguis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so th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tunnel body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이상과 같은 구조를 통하여, 화재 발생시, 고정 모듈을 터널 몸체 입구의 양측에 결합하여 창문 주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터널 몸체를 창문 밖으로 투척하기만 하면 터널 몸체의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지면까지 터널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에 의하면, 터널 몸체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상이하게 구성됨으로써 터널 몸체가 자동으로 경사지게 전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터널 몸체를 통해 건물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tructure, in the event of a fire, simply throw the tunnel body out of the window in the state where the fixing modul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unnel body entrance and installed around the window, and the tunnel is automatically formed to the ground by the load of the tunnel body It can b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upper side of the tunnel bod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lower side are configured differently, so that the tunnel body can be automatically developed inclinedly, Users can safe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tunnel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에 의하면, 출구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터널 몸체로부터 튕겨져 나가거나 찰과상, 골절 등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thrown out of the tunnel body by the exit module or from being injured such as abrasions or fractures.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탈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고정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10 to 16 show other examples of fixing modules that can be used in the fire esca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 따른 고정 모듈은 봉 부재(1110), 링 형태의 부재(1120) 및 복수의 걸이/링(1130)을 포함한다. 10 to 16 , the fixing module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example includes a rod member 1110, a ring-shaped member 1120, and a plurality of hangers/rings 1130.

봉 부재(1110)는 길이 가변형으로서 예를 들어 2단 내지 3단의 봉(1110a, 1110b, 1110c)이며, 사용시, 하단이 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봉 부재(1110)는 길이 조절은 예를 들어 핀/홀 결합(1115)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핀은 외부 핀이 이용되거나, 스프링이 포함된 봉 부재 내장형 핀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링 형태의 부재(1120)의 결합력 증가를 위해, 그리고 봉 부재(1110) 자체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해, 봉 부재(1110)의 일부분(예를 들어 도 10의 1110a)은 봉 부재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rod member 1110 is a length-variable type, for example, two to three-stage rods 1110a, 1110b, and 1110c, and when in use, the lower e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For example, a pin/hole combination 1115 may be us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od member 1110, and an external pin may be used as the pin or a built-in rod member pin including a spring may be use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ring-shaped member 1120 and to suppress shaking of the rod member 1110 itself, a portion of the rod member 1110 (eg, 1110a in FIG. It may be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connected.

링 형태의 부재(1120)는 일체형으로 또는 접합을 통해 봉 부재의 일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The ring-shaped member 1120 may be coupled integrally or with a portion of the rod member through bonding.

복수의 걸이/링(1130)은 일체형으로 또는 접합을 통해 링 형태의 부재(1120)에 결합된다. 복수의 걸이/링(1130)은 터널 몸체와 체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복수의 걸이/링(1130)과 터널 몸체의 체결을 위해, 터널 몸체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링이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hangers/rings 1130 are integrally or bonded to the ring-shaped member 1120. The plurality of hooks/rings 1130 are parts for fastening with the tunnel body, and in order to fasten the plurality of hooks/rings 1130 and the tunnel body, a plurality of rings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모듈에는 발판부(114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발판부(1140)는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은 상태로 터널 몸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발판부(1140)는 예를 들어 창문의 높이가 약 1m 이상으로 높을 때, 사용자의 탈출 용이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발판부는 힌지를 통해 접힘/펴짐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시 발판부의 실질적인 면적 증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핀/홀 결합 등을 통해 발판부(1140)의 높이 역시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 a scaffolding unit 114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fixing module. The scaffolding portion 1140 allows the user to enter the tunnel body while stepping on the scaffolding portion. The footrest unit 1140 serves to increase the user's ease of escape,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window is as high as about 1 m or more. Folding/unfolding of the scaffolding portion can be controlled through a hinge, and through this, an effect of substantially increasing the area of the scaffolding portion can be brought about during use.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caffolding portion 1140 may also be adjusted through a pin/hole combination or the like.

또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 모듈에는 접철식 고정 장치(1210, 122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접철식 고정 장치(1210, 1220)는 사용시 고정 모듈을 창 틀이나 건물 벽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고정 장치의 하나의 부재(1220)는 위치 가변될 수 있으며, 사용시 삽입 홀(도 16의 1215)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 회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14 to 16 , the fix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foldable fixing devices 1210 and 1220 . The foldable fixing devices 1210 and 1220 are used to tightly fix the fixing module to a window frame or a wall of a building when in use. One member 1220 of the fixing device may have a variable position, and a rotational position may be fixed by a pin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 1215 in FIG. 16 ) during us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10 : 터널 몸체
112 : 터널 입구
115 : 터널 출구듈
120 : 고정 모듈
130 : 지지체
150 : 출구 모듈
110: tunnel body
112: tunnel entrance
115: tunnel exit module
120: fixed module
130: support
150: exit module

Claims (10)

길이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되는 터널 몸체;
상기 터널 몸체의 입구에 설치되는 고정 모듈;
상기 터널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터널 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링 형태의 지지체; 및
상기 터널 몸체의 출구에 설치되는 출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과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 tunnel body extending and contr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ed modul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a plurality of ring-shaped supports installed on the tunnel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nnel body; and
Including an exit module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tunnel body,
In at least a part of the tunnel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upper 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lower side are different, characterized in that,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몸체의 출구에 인접한 부분에서, 지면에서 먼 터널 몸체의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지면에서 가까운 터널 몸체의 하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exit of the tunnel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upper side of the tunnel body far from the ground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s on the lower side of the tunnel body close to the ground.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몸체의 특정한 부분에서 출구쪽으로 향함에 따라, 상부측의 지지체들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ies on the upper side is gradually shortened as the specific part of the tunnel body goes toward the ex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몸체는 접힌 상태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부분이 교대로 반복되고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직경이 제1 직경으로 확장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체는 상기 제1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unnel body, in a folded state, a first part having a first diameter and a second part having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are alternately repeated, and in a unfolded state,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 is reduced to the first diameter. It is extended, and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firs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은 상기 터널 몸체 입구의 양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odule comprises at least two rod member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unnel body entr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몸체 입구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링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모듈은 적어도 2개의 봉 부재와, 상기 2개의 봉 부재에 결합된 링 형상의 부재와, 상기 링 형상의 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걸이 또는 링을 포함하고,
사용시 상기 터널 몸체의 복수의 링 부재와 상기 고정 모듈의 링 형성 부재에 마련된 복수의 걸이 또는 링이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ring members ar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entrance of the tunnel body,
The fixing module includes at least two rod members, a ring-shaped member coupled to the two rod members, and a plurality of hooks or rings provided on the ring-shaped member,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n use, a plurality of ring members of the tunnel body and a plurality of hooks or rings provided on the ring forming member of the fixing module are fastened, respectively.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 부재는 길이 가변형이며, 하단이 바닥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rod member is a variable length,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모듈은 출구를 커버하여 탈출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탄성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it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that cover the exit to prevent escape of the escap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모듈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에어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xit module is a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mat disposed on the floor surfa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터널 몸체에 배치된 매트 몸체와, 격발기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격발기의 격발에 의해 개방되어 가스를 상기 매트 몸체로 제공하는 압축가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터널형 화재 탈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air mat includes a mat body disposed on the tunnel body, an inflator including a percussion, and a compressed gas cartridge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opened by the percussion of the percussion to supply gas to the mat body. Characterized by a one-touch tunnel type fire escape device.
KR1020220015321A 2022-02-07 2022-02-07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KR202301193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21A KR20230119328A (en) 2022-02-07 2022-02-07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21A KR20230119328A (en) 2022-02-07 2022-02-07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28A true KR20230119328A (en) 2023-08-16

Family

ID=8784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321A KR20230119328A (en) 2022-02-07 2022-02-07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932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872A (en) 2016-04-06 2017-10-16 조효석 Textile tube tunnel type fire escaper for high building
KR102303988B1 (en)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descending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used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872A (en) 2016-04-06 2017-10-16 조효석 Textile tube tunnel type fire escaper for high building
KR102303988B1 (en) 2021-02-01 2021-09-27 (주)이룸이앤씨 descending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used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9596A (en) Escape device
US3973644A (en) Rescue apparatus
US4398621A (en) Fire escape
US20080060872A1 (en) Fall Arrest Lanyard
JP2010516422A (en) Lifesaving parachute
KR100923639B1 (en)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US4582166A (en) Fire escape having guide wire mechanism
KR101035081B1 (en) Fire escape apparatus
KR20190131296A (en) Strong fire fighting and Disaster escaper devices
US6892857B2 (en) Fire escape
US4339019A (en) Safety chute
KR20230119328A (en) One-touch tunnel type escape device from a fire
RU2707894C1 (en) Device for independent evacuation of passengers with limited capabilities from railway cars
WO2001062138A1 (en) Rescue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US4580659A (en) Combination fire escape tube and rescue vehicle
KR100751288B1 (en) Lifesaving parachute for taking refuge with slow descent
US6098747A (en) Rescue chute
KR101913093B1 (en) Apparatus For Emergency Escape For Building
WO2005012086A2 (en) Rescue parachute device
JP2005506890A (en) A device to rescue people from buildings such as buildings, boring platforms, ships etc.
KR20100007575U (en) Emergency ladder equipment
CN109865211B (en) Free falling body type high-rise escape device
US10029129B2 (en) High-rise building escape apparatus
JP5148105B2 (en) Evacuation device
KR100873784B1 (en) Knapsack for descend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