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75A - 프레스 핏 롤러 칼라 - Google Patents

프레스 핏 롤러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675A
KR20230118675A KR1020237024279A KR20237024279A KR20230118675A KR 20230118675 A KR20230118675 A KR 20230118675A KR 1020237024279 A KR1020237024279 A KR 1020237024279A KR 20237024279 A KR20237024279 A KR 20237024279A KR 20230118675 A KR20230118675 A KR 2023011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end
track roller
rotation
disposed
radially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비. 움바흐
젠나로 수안노
로저 엘. 레커
다니엘 이. 마티엔
데일 티. 콜 주니어
조던 엠. 헤이즈
스콧 에이치. 매그너
Original Assignee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1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6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92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lubr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62D55/15Mounting devices, e.g. bushings, axles, bearings,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4/00Metallic materials; Alloys
    • F16C2204/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40Shaping by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 F16C2220/46Shaping by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fo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60Shaping by removing material, e.g. mach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 F16C2350/26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echanical Seal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트랙 롤러 샤프트(300)는 회전축(204), 방사 방향(208), 및 회전축(204)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206)을 정의하는 회전 표면(revolved surface)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또한 회전축(204)을 따라 배치된 근위축 단부(310), 근위축 단부(310)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방사상 연장 홀(306), 및 방사상 연장 홀(306)보다 근위축 단부(310)로부터 축방향으로 더 멀리 배치된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304)을 정의한다.

Description

프레스 핏 롤러 칼라
본 개시 내용은 무한 트랙 드라이브(endless track drives)를 사용하는 중장비의 하부주행체(undercarriage)에 사용되는 트랙 롤러(track roller)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내용은 보다 견고한 트랙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프레스 핏 롤러 칼라(press fit roller collar)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응용 분야에서, 트랙 롤러는 토공업, 건설업 및 광산업 등에서 무한 트랙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장비와 같은 중장비의 무게를 지탱한다. 종종, 윤활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트랙 롤러 어셈블리의 일부로서 O-링 또는 다른 밀봉제가 제공된다. 트랙 롤러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O-링 또는 다른 밀봉제는 열화될 수 있다.
결국, 트랙 롤러 어셈블리에서 윤활유가 누출되기 시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기기는 종종 마모가 발생하는 트랙 롤러 어셈블리의 다양한 부품들을 교체하거나 및/또는 밀봉제(들)을 교체하거나, 또는 그 기기의 하부주행체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를 중단한다. 이로 인해 기기를 사용하는 경제적 노력에 대한 원하지 않는 비용 증가와 생산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U.S.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7/0050687 A1호는 트랙 롤러의 고정 샤프트에 부착될 수 있는 홀(hole)을 포함하는 트랙 롤러 어셈블리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형 칼라(stationary collar)를 개시한다. 고정형 칼라는 고정형 칼라의 제1 부분이 고정형 칼라의 제2 부분과 다른 독특한 비대칭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이 비대칭 설계는 이물질이 트랙 롤러 어셈블리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비대칭 설계는 트랙 롤러가 작동 중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허 출원 공개 제2017/0050687 A1호는 높은 하중 등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윤활유 누출은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응용 분야에서는 윤활유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견고한 설계가 보장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 롤러 어셈블리는 회전축, 회전축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 회전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방사 방향,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제1 축방향 말단(first axial extremity) 및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제2 축방향 말단(second axial extremity)을 정의하는 회전체(a body of revolution)를 포함하는 트랙 롤러 쉘(track roller shel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림 부분은 제1 축방향 말단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림 부분은 제2 축방향 말단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thru-hole)은 회전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샤프트는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스 핏 칼라는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핏 부분을 한정하는 샤프트 수용 구멍을 정의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 롤러 샤프트는, 회전축, 방사 방향, 및 회전축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을 정의하는 회전 표면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또한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근위축 단부(310), 근위축 단부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방사상 연장 홀, 및 방사상 연장 홀보다 근위축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더 멀리 배치된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을 정의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 롤러 샤프트는, 회전축, 방사 방향, 및 회전축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을 정의하는 오목한 회전 표면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제1 축방향 단부 및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제2 축방향 단부뿐만 아니라 제2 축방향 단부를 향해 제1 축방향 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회전 표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한정할 수 있다. 오목한 회전 표면은 프레스 핏 직경을 정의하는 프레스 핏 부분 및 프레스 핏 직경보다 큰 슬립 핏 직경(slip fit diameter)을 정의하는 슬립 핏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 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롤러 칼라를 사용하는 트랙형 기계(예를 들어, 유압 굴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핏 롤러 칼라를 가진 트랙 롤러 어셈블리를 갖는 도 1의 하부주행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주행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된 트랙 롤러 어셈블리, 아이들러 및 트랙 체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캐리어 대신에 상단 롤러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3의 하부주행체로부터 취해진 프레스 핏 롤러 칼라를 갖는 트랙 롤러 어셈블리의 각진(angled) 단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부재 및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이 롤러 샤프트 내에 도시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와 유사한 프레스 핏 롤러 칼라를 갖는 트랙 롤러 어셈블리의 각진 단면도이다.
도 6은 롤러 샤프트가 제거되고, 맞춤핀이 제거되고, 어셈블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되어 롤러 칼라의 축방향 연장 가이드 부재 수용 슬롯을 드러내는 도 5의 트랙 롤러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이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참조할 것이며, 그 예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가능하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을 지칭하기 위해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본 명세서에는 참조 번호가 표시되며, 도면은 참조 번호 뒤에 문자, 예를 들어, 100a, 100b 또는 프라임, 예를 들어, 100', 100'' 등을 나타낼 것이다. 참조 번호 바로 뒤에 문자 또는 소수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피쳐가 유사한 모양이며 대칭 평면에 대해 기하학이 미러링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경우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문자 및 소수는 종종 본 명세서에 포함되지 않지만 본 명세서 내에서 논의된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 또는 기하학을 갖는 피쳐의 복제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랙 롤러 어셈블리, 트랙 롤러 칼라 및 트랙 롤러 샤프트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랙 롤러 쉘은 고체 본체(예를 들어, 단일 구조를 가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트랙 롤러 쉘은 함께 조립되어 트랙 롤러 쉘 등을 형성하는 2개 이상의 트랙 롤러 부재로 분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랙형 작업 기계의 롤러용 프레스 핏 칼라가 개시된다. 프레스 핏 칼라는 롤러 핀의 컷아웃 부분(홀; hole)과 정렬되는 두 개의 축방향 컷아웃 부분을 포함한다. 칼라 및 롤러 핀의 컷아웃 부분은 맞춤 핀을 수용하여 롤러 핀(일명, 롤러 샤프트)의 유지/엔드 플레이 제어를 돕는다. 프레스 핏 칼라는 롤러 핀의 안내 슬롯과 맞물리는 가이딩 블록을 더 포함한다. 가이딩 블록은 롤러를 롤러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도록 볼트 홀의 올바른 방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 이외의 트랙 롤러 어셈블리, 트랙 롤러 샤프트 및 트랙 롤러 칼라에 대한 다른 구성이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트랙 롤러 어셈블리(200)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굴착기 형태의 추적식 기계(2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용도 중에서, 굴착기는 작업장에서 버킷을 사용하여 재료를 제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트랙 어셈블리(24)를 갖는 하부주행 시스템(22)을 포함하는 기계(20)를 예시한다. 기계(20)가 유압식 굴삭기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계(20)는 추적식 하부주행 시스템(22)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기계"라는 용어는 토공업, 건설업, 조경업, 임업, 광업, 농업 등과 같은 특정 산업과 관련된 물리적 움직임을 수반하는 구동 작업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계를 의미한다.
장치(arrangement)는 굴착기와 관련하여 예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는 휠과는 반대로 일반적으로 트랙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양한 다른 유형의 기계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기계"라는 용어는 광업, 토공 또는 건설과 같은 산업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산업과 관련된 일부 유형의 동작을 수행하는 임의의 기계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는 유압 채굴 셔블, 휠 로더, 케이블 셔블, 트랙형 트랙터, 도저 또는 드래그라인 등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도구(implement)는 기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는, 예를 들어, 들어올리기(lifting) 및 적재(loading)를 포함하는 다양한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하부주행 시스템(22)은 기계(20)를 지지하고 기계(20)를 지면, 도로 및 다른 유형의 지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주행 시스템(22)의 트랙 어셈블리(24)는 트랙 롤러 프레임(26), 트랙 롤러 프레임(26)에 연결된 다양한 가이딩 부품, 및 가이딩 부품과 맞물리는 무한 트랙(28)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딩 부품은 트랙(28)을 가이드할 수 있고, 구동 스프로킷(30), 아이들러(32), 롤러(200), 트랙 가이드(36) 및 캐리어(38)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부품이 사용될 수도 있다.
트랙(28)은 복수의 슈(42)가 고정된 링크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40)는 트랙(28)의 유연한 백본을 형성할 수 있고, 슈(42)는 다양한 유형의 지형에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링크 어셈블리(40)는 구동 스프로킷(30), 기계의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는 롤러(34), 아이들러(32) 및 캐리어(38) 주위에 무한 체인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슈(42)는 링크 어셈블리(40)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슈(42)가 측면으로 이격된 각 쌍의 링크(44)에 부착될 수 있다. 트랙 슈(42)는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용접, 도 3 등에 도시된 체결)을 통해 링크(4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제 도 4 및 도 5로 돌아와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트랙 롤러 어셈블리(200)가 이제 논의될 것이다. 트랙 롤러 어셈블리(200)는 회전체(트랙 롤러 쉘이 CAD(computer aided drafting)로 모델링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체의 기하학적 구조를 (예를 들어, 선반 등을 사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림)를 포함하는 트랙 롤러 쉘(2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회전축(204), 회전축(204)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206), 회전축(204)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208), 회전축(204)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축방향 말단(209), 및 회전축(204)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축방향 말단(210)(도 3에서 가장 잘 관찰됨)을 정의한다. 제1 림 부분(212)은 제1 축방향 말단(209)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림 부분(214)은 제2 축방향 말단(210)(도 3에서 가장 잘 관찰됨)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여전히 참조하면, 관통-홀(216)은 트랙 롤러 쉘(202)의 회전체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이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롤러 샤프트(300)는 관통-홀(216)에 배치될 수 있고, 프레스 핏 칼라(400)는 강건한 방식으로 샤프트(300)를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핏 부분(404)(또한, 도 6 참조)을 정의하는 샤프트 수용 개구(402)를 정의한다. 샤프트(300)는 트랙 롤러 쉘(202)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의도된 반면, 칼라(400)는 트랙 롤러 어셈블리(200)를 하부주행체에 부착하도록 의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샤프트(300)는 원통형 직경(302)을 정의하는 원통형 본체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칼라(400)의 샤프트 수용 개구(402)의 프레스 핏 부분(404)은 원통형 직경(302)보다 작거나 동일한(따라서, 억지 끼워 맞춤이 생성될 수 있음) 내부 직경(406)(도 6 참조)을 정의할 수 있다. 샤프트는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단차가 있는 원통형 본체, 원추형 본체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트랙 롤러 쉘(202)의 회전체는 제1 림 부분(212)으로부터 방사상 내향으로 배치되는 제1 면 밀봉 수용 캐비티(218)를 정의할 수 있는 반면, 프레스 핏 칼라(400)는 제1 면 밀봉 수용 캐비티(218)와 연통하는 제2 면 밀봉 수용 캐비티(410)를 정의하는 L자형 플랜지(408)를 포함할 수 있다. 면 밀봉부(220)(예를 들어, 금속 대 금속 면 밀봉, 듀오 콘 면 밀봉 등)은 제1 면 밀봉 수용 캐비티(218) 및 제2 면 밀봉 수용 캐비티(4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트랙 롤러 샤프트(300) 및 칼라(400)가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트랙 롤러 쉘(202)이 회전하도록 허용하여, 트랙 롤러 쉘(202)의 저마찰 회전을 돕기 위해 윤활유를 밀봉한다.
추가로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베어링 부재(222)는 트랙 롤러 쉘(202)과 샤프트(300) 사이에 방사상으로(방사상 베어링 부분(222a) 참조) 그리고 프레스 핏 칼라(400)와 트랙 롤러 쉘(202) 사이에 축방향으로(스러스트(thrust) 링 부분(222b) 참조)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프레스 핏 칼라(400)의 샤프트 수용 개구(402)의 프레스 핏 부분(404)은 베어링 부재(222)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샤프트 수용 개구(402)는 방사상으로 확대되어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나중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샤프트의 축방향 단부를 향하여) 프레스 핏 부분(40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연장되는 슬립 핏 부분(4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핏 칼라(400)는 샤프트 수용 개구(402)의 슬립 핏 부분(412)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관통-보어(414)뿐만 아니라, 프레스 핏 칼라(400)의 샤프트 수용 개구(402)의 프레스 핏 부분(404)과 연통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416)(슬롯의 대부분의 치수가 축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림)을 정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샤프트(300)는 프레스 핏 칼라(400)의 축방향 연장 슬롯(416)과 연통하는 가이드 부재 수용 캐비티(304)를 정의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24)는 축방향 연장 슬롯(416) 및 가이드 부재 수용 캐비티(30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300)는 또한 프레스 칼라(400)의 관통-보어(414)와 방사상으로 그리고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크로스-보어(306)를 정의할 수 있다. 맞춤 핀(226)은 크로스-보어(306) 및 관통-보어(414)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하는 동안, 가이드 부재가 축방향 연장 슬롯과 정렬된 상태로 샤프트가 칼라에 삽입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는 열쇠처럼 작용하고 슬롯은 키홈처럼 작용한다. 이렇게 하면 샤프트가 칼라로 프레스됨에 따라 샤프트의 크로스-보어가 칼라의 관통-보어와 정렬될 것이며, 이는 맞춤핀을 삽입하여 고하중에서 어셈블리를 함께 고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사용 중인 O-링 또는 다른 밀봉부가 손상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러한 정렬 피쳐는, 트랙 롤러 어셈블리가 롤러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볼트 홀이 수직으로 향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음으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교체 부품으로서 또는 방금 언급된 트랙 롤러 어셈블리(200)의 일부로서 공급될 수 있는 트랙 롤러 샤프트(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서, 트랙 롤러 샤프트(300)는 회전 표면(308)(회전체, 예를 들어, 원초형 표면, 원통형 표면 등에 대해 본원에서 앞서 제공된 동일한 이유로 이렇게 불림)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회전축(204와 일치할 수 있음), 방사 방향(206과 일치할 수 있음), 및 회전축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208과 일치할 수 있음)을 정의한다. 본체는 회전축을 따라 배치된 근위 축방향 단부(310), 및 근위 축방향 단부(310)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방사상 연장 홀(306a)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예를 들어, 304 참조)은 방사상 연장 홀(306a)보다 근위 축방향 단부(310)로부터 축방향으로 더 멀리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예를 들어, 304)은 제1 방사상 연장벽(312), 제1 방사상 연장벽(31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방사상 연장벽(314), 및 제1 방사상 연장벽(312)과 제2 방사상 연장벽(31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벽(316)을 포함한다. 제1 블렌드(318)(예를 들어, 반경)는 제1 방사상 연장벽(312)을 바닥벽(316)에 연결할 수 있고, 제2 블렌드(320)는 바닥벽(316)을 제2 방사상 연장벽(314)에 연결할 수 있다.
도 5에서 관찰되고 도 6에서 추론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은 회전 표면(308)의 접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직사각형 주변부(322)(가이드 부재(224)에 상호 보완적으로 형상화됨)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바닥벽(316)은 평평할 수 있고, 제1 방사상 연장벽(312) 또는 제2 방사상 연장벽(314)의 표면적보다 더 큰 바닥벽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 표면(308)은 안내 부재 수용 포켓(예를 들어, 304)으로부터 근위 축방향 단부(310)까지 일정한 직경(예를 들어, 302)을 정의할 수 있다.
이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교체 부품으로서 또는 트랙 롤러 어셈블리(200)의 일부로서 공급될 수 있는 트랙 롤러 칼라(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서, 트랙 롤러 칼라는 회전축(420), 방사 방향(422), 및 회전축(420)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424)을 정의하는 오목한 회전 표면(418)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또한 회전축(420)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축방향 단부(426) 및 회전축(420)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축방향 단부(428)를 가질 수 있다. 개구(예를 들어, 402 참조)는 제1 축방향 단부(426)를 통해 제2 축방향 단부(428)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회전 표면(41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한 회전 표면(418)은 프레스 핏 직경(예를 들어, 406 참조)을 정의하는 프레스 핏 부분(404) 및 프레스 핏 직경(예를 들어, 406)보다 더 큰 슬립 핏 직경(430)을 정의하는 슬립 핏 부분(41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한 회전 표면(418)의 슬립 핏 부분(412)은 프레스 핏 부분(404)으로부터 제2 축방향 단부(428)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트랙 롤러 칼라(400)의 본체는 제1 축방향 단부(426)로부터 제2 축방향 단부(428)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 수용 슬롯(예를 들어, 416 참조)을 정의할 수 있다.
더욱이, 크로스-보어(예를 들어, 414 참조)는 본체를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크로스-보어는 오목한 회전 표면(418)의 프레스 핏 부분(404)과 슬립 핏 부분(412)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원주 경계부(432)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 수용 슬롯(예를 들어, 416)은 크로스-보어(예를 들어, 414)와 연통하는 원주 경계부(432)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 수용 슬롯(예를 들어, 416)은 오목한 회전 표면(418)에 접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제1 평면(434) 및 제1 평면(434)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제2 평면(43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L자형 플랜지(408)는 제1 축방향 단부(426)와 원주 경계부(432)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본체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축방향 단부(426)를 향해 축방향으로 향하는 자유 단부(438)에서 종단된다. 이 플랜지는 오목한 회전 표면(418)과 L자형 플랜지(408)의 자유 단부(438)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면 밀봉 수용 캐비티(예를 들어, 4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관사 "a" 및 "an"은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시키고자 하는 의도이며, "하나 이상"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항목만 의도되는 경우, "하나"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가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has", "have", "having", "with" 등은 제한이 없는 용어를 의미한다. 또한, "~를 기반으로 하는(based on)"이란 문구는, 분명히 명확하게 그렇지 않은 겻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를 기반으로 하는"을 의미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전술한 특징 중 임의의 특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에서, 트랙 롤러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는 철, 회주철, 강철 또는 기타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주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만들기 위해 다른 재료와 기계 가공, 단조 등과 같은 다른 제조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임의의 특징의 구성뿐만 아니라 그 치수 및/또는 치수의 비율은 의도된 적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 롤러 어셈블리, 트랙 롤러 칼라 및 트랙 롤러 샤프트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또는 애프터 마켓 콘텍스트에서 판매, 구매, 제조 또는 획득될 수 있다.
트랙 롤러 어셈블리, 트랙 롤러 칼라 또는 트랙 롤러 샤프트의 다양한 실시예는 밀봉 손상 가능성 및 관련된 윤활유 손실을 감소시키는 보다 견고한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어셈블리 또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마모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는 유지보수 빈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하면서, 본원에 설명된 기계를 사용하여 경제적 노력의 이익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들)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어셈블리의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명세서 및 실행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장비 중 일부는 본원에 설명된 것과 다르게 구성 및 기능할 수 있고 임의의 방법의 특정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일부 경우 동시에 또는 하위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의 특정 양상 또는 특징에 대한 변형 또는 수정이 추가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 및 양상이 추가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의 다른 특징 또는 양상에 추가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간주되며, 본 발명(들)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다음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0)

  1. 트랙 롤러 칼라(400)로서:
    회전축(420), 방사 방향(422), 및 상기 회전축(420)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424)을 정의하는 오목한 회전 표면(418)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축(420)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축방향 단부(426) 및 상기 회전축(420)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축방향 단부(428); 및
    상기 제1 축방향 단부(426)를 통해 상기 제2 축방향 단부(428)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회전 표면(418)에 의해 형성된 개구(402)를 정의하고;
    상기 오목한 회전 표면(418)은 프레스 핏 직경(406)을 정의하는 프레스 핏 부분(404), 및 상기 프레스 핏 직경(406)보다 더 큰 슬립 핏 직경(430)을 정의하는 슬립 핏 부분(412)을 포함하는, 트랙 롤러 칼라(4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회전 표면(418)의 상기 슬립 핏 부분(412)은 상기 프레스 핏 부분(404)으로부터 상기 제2 축방향 단부(428)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트랙 롤러 칼라(4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축방향 단부(426)로부터 상기 제2 축방향 단부(428)를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 수용 슬롯(416)을 정의하는, 트랙 롤러 칼라(4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크로스-보어(414)를 정의하고, 상기 크로스-보어(414)는 오목한 회전 표면(418)의 상기 프레스 핏 부분(404)과 상기 슬립 핏 부분(412)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원주 경계부(432)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 수용 슬롯(416)은 상기 크로스 보어(414)와 연통하는 상기 원주 경계부(432)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트랙 롤러 칼라(4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수용 슬롯(416)은 상기 개구(402)의 상기 오목한 회전 표면(418)에 접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제1 평면(434) 및 상기 제1 평면(434)에 수직으로 이어지는 제2 평면(436)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축방향 단부(426)와 상기 원주 경계부(424)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축방향 단부(426)를 향해 축방향으로 향하는 자유 단부(438)에서 종단하며, 상기 오목한 회전 표면(418)과 L자형 플랜지(408)의 자유 단부(438)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면 밀봉 수용 캐비티(4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L자형 플랜지(408)를 더 포함하는, 트랙 롤러 칼라(400).
  6. 트랙 롤러 샤프트(300)로서:
    회전축(204), 방사 방향(206), 및 상기 회전축(204) 주위에 배치된 원주 방향(208)을 정의하는 회전 표면(308)을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축(204)을 따라 배치된 근위 축방향 단부(310);
    상기 근위 축방향 단부(310)에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방사상 연장 홀(306a), 및
    상기 방사상 연장 홀(306a)보다 근위 축방향 단부(310)로부터 축방향으로 더 멀리 배치된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304)을 정의하는, 트랙 롤러 샤프트(3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304)은 제1 방사상 연장벽(312), 상기 제1 방사상 연장벽(31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방사상 연장벽(314), 및 상기 제1 방사상 연장벽(312)과 상기 제2 방사상 연장벽(31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벽(316)을 포함하는, 트랙 롤러 샤프트(3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304)은, 상기 제1 방사상 연장벽(312)을 상기 바닥벽(316)에 연결하는 제1 블렌드(318), 및 상기 바닥벽(316)을 상기 제2 방사상 연장벽(314)에 연결하는 제2 블렌드(320)를 더 정의하는, 트랙 롤러 샤프트(3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 수용 포켓(304)은 상기 회전 표면(308)의 접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직사각형 둘레(322)를 정의하고, 상기 바닥벽(316)은 평평하고 상기 제1 방사상 연장 벽(312)의 표면적보다 더 큰 바닥벽 표면적을 정의하는, 트랙 롤러 샤프트(3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표면(308)은 상기 부재 수용 포켓(예를 들어, 304)으로부터 상기 근위 축방향 단부(310)까지 일정한 직경(302)을 정의하는, 트랙 롤러 샤프트(300).
KR1020237024279A 2020-12-22 2021-12-08 프레스 핏 롤러 칼라 KR202301186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30,248 US20220194497A1 (en) 2020-12-22 2020-12-22 Press fit roller collar
US17/130,248 2020-12-22
PCT/US2021/062309 WO2022140058A1 (en) 2020-12-22 2021-12-08 Press fit roller coll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675A true KR20230118675A (ko) 2023-08-11

Family

ID=7917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4279A KR20230118675A (ko) 2020-12-22 2021-12-08 프레스 핏 롤러 칼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94497A1 (ko)
JP (1) JP2024502249A (ko)
KR (1) KR20230118675A (ko)
CN (1) CN116635293A (ko)
AU (1) AU2021409146A1 (ko)
CA (1) CA3203054A1 (ko)
WO (1) WO20221400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5346A (en) * 1956-05-09 1959-12-01 Ralph F Stallman Roller bearing assembly for track layer rollers
US3869179A (en) * 1973-09-17 1975-03-04 Caterpillar Tractor Co Bracket and bolt-retaining means for tractor roller assemblies
US4141598A (en) * 1978-02-21 1979-02-27 Caterpillar Tractor Co. Track roller assembly
US4288172A (en) * 1978-03-24 1981-09-08 Caterpillar Tractor Co. Keeper assembly
DE19528837A1 (de) * 1995-08-05 1997-02-06 Intertractor Ag Laufrolle für Raupenketten
US8231184B2 (en) * 2009-11-24 2012-07-31 Deere & Company Crawler track roller with internal spherical spacers
US9694862B2 (en) * 2015-02-25 2017-07-04 Komatsu Ltd. Work vehicle
US20170050687A1 (en) 2015-08-20 2017-02-23 Caterpillar Inc. Track Roller Stationary Collar
US20170190367A1 (en) * 2016-01-06 2017-07-06 Caterpillar Inc. Track-Type Machine
KR20180107251A (ko) * 2016-06-20 2018-10-0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트랙 벨트식 주행 차량의 하측 롤러
US10023251B2 (en) * 2016-06-24 2018-07-17 Caterpillar Inc. Track roller assembly and method
US11524732B2 (en) * 2018-12-11 2022-12-13 Caterpillar Inc. Machine system having machinery roller assembly with static sealing clamping coll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2249A (ja) 2024-01-18
CN116635293A (zh) 2023-08-22
US20220194497A1 (en) 2022-06-23
WO2022140058A1 (en) 2022-06-30
CA3203054A1 (en) 2022-06-30
AU2021409146A1 (en)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257B2 (en) Machine track roller assembly
US9745005B2 (en) Roller assembly for a track-type machine
KR102629734B1 (ko) 트랙용의 시일링 시스템
KR20230118675A (ko) 프레스 핏 롤러 칼라
JP2023501486A (ja) 剛性を低減したトラックローラー
US11919584B2 (en) Flip-flop track rollers
US20210009216A1 (en) Winged sprocket segments with notches
US11613316B2 (en) Flip-flop track idlers
US11958551B2 (en) Single press ring groove for a cartridge pin assembly
US11572113B2 (en) Fabricated track roller rim assembly
KR20240036615A (ko) 후방 굽힘 방지 아이들러
CN116783111A (zh) 用于利用密封接头的采矿履带的碎屑路径
CN116635294A (zh) 栓接平坦惰轮区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