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424A - 추간 유합 기기 - Google Patents

추간 유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424A
KR20230118424A KR1020220015043A KR20220015043A KR20230118424A KR 20230118424 A KR20230118424 A KR 20230118424A KR 1020220015043 A KR1020220015043 A KR 1020220015043A KR 20220015043 A KR20220015043 A KR 20220015043A KR 20230118424 A KR20230118424 A KR 20230118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device
upper plate
lower plate
intervertebral fu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철
유태욱
윤광민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이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8424A/ko
Publication of KR2023011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4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61F2002/30069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elastome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83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aterally inserting a protrusion, e.g. a rib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groove
    • A61F2002/30387Dovetai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a position by translation along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6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 A61F2002/30879Ri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 A61F2002/30891Plurality of protrusions
    • A61F2002/30892Plurality of protrusions parall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부 플레이트(plate);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조절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이동할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하로만 움직이도록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제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조절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간 유합 기기{INTERVERTEBRAL FUSION DEVICE}
본 발명은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선천성, 퇴행성 혹은 사고 같은 기타 여러 이유로 안정적인 배열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척추체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등 구조학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는 척추기형, 척추골절, 추간판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후관절 비대증 등이 있다. 이러한 척추질환은 증상이 악화되어 보존적 치료가 어려워지면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수술적 치료 방법 중 척추 유합술(fusion)은, 척추질환이 발생한 추간판을 제거한 후, 척추체 사이에 추간체 유합 기기(spinal cage)를 삽입하여 유합을 위해 뼈가 성장되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여 주고, 척추체 사이에 간격을 높여주어 통증을 경감시켜주며, 척추의 굴곡(lordosis)을 복원하여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시켜 주는 시술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유합술에 사용되는 추간체 유합 기기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본칩(bone chip)이 삽입되고, 본칩이 재생됨에 따라 상위척추체와 하위척추체 사이에 골 유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추간체 유합 기기는 시술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인체에 이식 가능하면서도 척추의 생체 역학적 안정성 복원을 위한 형상의 개발도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추간체 유합 기기는 척추체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인체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성질 및 생체적합성을 가진 생체적합성 재료로 주로 형성된다. 추간체 유합 기기는 골 유합이 일어나 안정화되기 전까지 이식부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위척추체와 하위척추체를 고정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 추간체 유합 기기는 단순히 척추체 사이에 삽입만 되어 있으므로 피시술자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추간체 유합 기기가 시술 부위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migration)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장 유합율이 좋은 것으로 보고된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기기에서도 후방 이동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척추의 기형화, 신경학적 약화, 비 유합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추간체 유합 기기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톱니치를 형성하여 고정력을 높인 형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 변경 역시 피시술자의 체격이나 자세, 척추체의 마모 등에 따라 척추체 사이의 간격이 달라져 결합력이 느슨해질 수 있고, 추간체 유합 기기가 여전히 이탈(migration)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추간체 유합 기기를 더욱 빡빡하게 삽입을 하기에는 뼈의 해부학적 구조 상 무리가 가게 되고, 추간체 유합 기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523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팽창형 유합 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 추간체 유합 기기는 처음부터 고정적인 특정 크기의 기기를 척추체 사이에 삽입하기 때문에 시술 시 삽입의 어려움이 있으며, 고정력이 충분치 못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축/팽창 상태로의 변형이 용이하고, 팽창 상태에서 고정력이 뛰어난 추간 유합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52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팽창형 유합 기기는 척추체 사이에 낮은 높이의 크기를 삽입 후 환자에 맞는 특정 높이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척추체 사이의 추간체 유합 기기를 유격이 없이 고정할 수 있는 추간 유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부 플레이트(plate);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조절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이동할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하로만 움직이도록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제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조절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intervertebral fusion device)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어;를 더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은 상기 기어의 톱니 사이에 맞물리는(engage)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pawl)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방 이동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아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은 상기 조절부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아치 형태로 구현된 탄성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외부면은 상부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면과 상기 탄성 보조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 공간, 및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상기 탄성 보조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링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은 상기 조절부의 전부를 감싸도록 링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부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보조부와 상기 외부면의 일부를 비접촉 상태로 감싸도록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 보조부와 상기 외부면 사이에 마련된 탄성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방 이동부로부터, 상기 조절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C 형태의 링;을 더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방 이동부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 이동부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가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도브테일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과 결합하는 부분은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과 결합하는 부분은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조절부 각각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절부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방 이동부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 이동부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가 서로 멀어지고,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에 의하면, 수축/팽창 상태로의 변형이 용이하여 추간 유합 기기의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에 의하면, 척추체 사이에 낮은 높이의 크기를 삽입 후 환자에 맞는 특정 높이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척추체 사이의 추간체 유합 기기를 유격이 없이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추간 유합 기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를 반대 일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를 반대 일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 내부 결합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 내부 결합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제1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제1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와 고정부가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제2 단면도이다.
도 1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제2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 고정부 및 C 형태의 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제3 단면도이다.
도 1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의 내부 결합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내부 결합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내부 결합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부 플레이트;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조절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이동할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하로만 움직이도록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제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조절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중첩된다"고 할 때, 이는 단면상에서 상하 중첩되거나, 또는 평면상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상부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 전방 이동부(130), 후방 이동부(140), 조절부(150), 제어부(160) 및 고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부, 전방 및 후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추간 유합 기기(100)의 구현예에 따라 각 구성요소에서 사용된 용어와 다른 형태로 존재 및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수축 상태 및 팽창 상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가까운 상태를 의미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서로 멀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a는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100)의 사시도, 도 2b는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2c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3a는 팽창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100)의 사시도, 도 3b는 일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c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때, 도 2b 및 도 3b는 좌측면도, 도 2c 및 도 3c는 우측면도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일 경우, 상부 플레이트(110)는 상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수축 상태일 경우, 상부 플레이트(110)는 하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향인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는 생체적합한 재료이면서 척추체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티타늄 합금 또는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 표면에는 척추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외부면에 형성된 요철을 구비할 수 있다. 요철의 패턴 형상은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척추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다른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와 각각 결합되고,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전방 즉, 제3 방향 및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때, 추간 유합 기기(100)가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방 이동부(130)는 신체의 원위 말단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후방 이동부(130)는 신체의 근위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 각각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되고, 또한,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 각각은 하부 플레이트(120)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150)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를 고정 및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조절부(150)가 일 방향,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 이동부(130)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 이동부(140)가 제4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가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이때,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플레이트(1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서로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수축 상태'를 의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조절부(150)가 다른 방향, 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 이동부(130)가 제4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 이동부(140)가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가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때,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플레이트(12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서로 멀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가 '팽창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조절부(150)를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를 수축 상태 또는 팽창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부(150)를 회전시키는 양을 조절함에 따라,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와 결합되고,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이동할 때,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를 지지하여 각각의 플레이트가 제1 방향 및/또는 제2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는 전방 이동부(1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부(150)의 회전을 제어하여 조절부(150)를 고정한다. 도 1은 고정부(170)가 전방 이동부(130)에 구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방 이동부(140)과도 결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의 내부 결합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각 부품들을 결합함에 따라,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추간 유합 기기(100)를 구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4a는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를 도시하였고, 도 4b는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를 도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의 좌상부분의 내부를 도시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내부 부품들 각각 및 이들의 결합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110)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 각각은 순서대로 상부 플레이트(110)의 평면도, 상면 사시도 및 하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나,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플레이트로서, 도 5a 내지 도 5c들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110)를 상하방향으로 180° 뒤집은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상부 플레이트(110)를 상하방향으로 180° 뒤집은 형태로 변형하여 하부 플레이트(1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110)는 4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서는 전방 이동부(130)와 결합하는 두개의 경사면들 중 좌측면에 위치한 제1 경사면(111) 및 후방 이동부(140)와 결합하는 두개의 경사면들 중 좌측면에 위치한 제2 경사면(112)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1 경사면(111) 및 제2 경사면(112)에 관한 설명은 다른 경사면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경사면(111) 및 제2 경사면(112) 각각은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1 경사면(111) 및 제2 경사면(112) 각각의 경사도는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와 맞닿은 상태로 이동가능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경사면(111) 및 제2 경사면(112)이 적절한 경사도를 가짐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는,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미세한 높이 조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어부용 개구부(113)는 제어부(160)가 결합되기 위한 공간으로, 제어부(160)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는 유합용 개구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유합용 개구부(114)는 골 유합재료를 수용할 수 있으며, 자가적으로 뼈가 재생할 수 있는 구멍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와 척추체 사이의 골 결합(bone interation)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견고한 안정력을 얻을 수 있다. 골 유합재료는, 예를 들어, 자가 골 (autologous bone), 동종 골 (allograft bone), 골 대체물, 골유도성 제재, 및/또는 골 시멘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용 개구부(113) 좌측에 위치한 개구부를 유합용 개구부(114)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합용 개구부(114)는 제어부용 개구부(113) 우측에 위치한 개구부이거나, 또는 제어부용 개구부(113)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개구부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 각각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 각각은 4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서는 전방 이동부(130)의 제3 경사면(131) 및 후방 이동부(140)의 제4 경사면(141)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3 경사면(131) 및 제4 경사면(141)에 관한 설명은 다른 경사면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방 이동부(130)의 제3 경사면(131)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결합하는 두개의 경사면들 중 좌측상면에 위치하고 있고, 후방 이동부(140)의 제4 경사면(141)은 상부 플레이트(110)와 결합하는 두개의 경사면들 중 좌측상면에 위치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110), 도 6a에 도시된 전방 이동부(130) 및 도 6b에 도시된 후방 이동부(14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부 플레이트(110)의 제1 경사면(111)은 전방 이동부(130)의 제3 경사면(131)과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10)의 제2 경사면(112)은 후방 이동부(140)의 제4 경사면(142)과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경사면(111) 및 제3 경사면(131)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이동가능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고, 제2 경사면(112) 및 제4 경사면(142)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이동가능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 각각은 조절부(150)가 결합되기 위한 조절부용 개구부(133 및 143)를 포함한다. 조절부(150)는 후방 이동부(140)의 조절부용 개구부(143) 및 전방 이동부(130)의 조절부용 개구부(133)를 상하 방향에 수직하는 좌우 방향 즉, 제1 방향 및/또는 제2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이동부(140)는 유합용 개구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합용 개구부(144)는 골 유합재료를 수용할 수 있으며, 자가적으로 뼈가 재생할 수 있는 구멍이 될 수 있다. 골 유합재료는 상기 구술한 유합용 개구부(114)에 쓰이는 재료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방 이동부(140)에 유합용 개구부(144)가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합용 개구부(144)는 전방 이동부(130)에 존재하거나, 또는 전방 이동부(130)와 후방 이동부(140)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부분(161) 및 제2 부분(162)을 포함하고, 하부 플레이트(120)와의 결합을 위한 제3 부분(163) 및 제4 부분(164)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조절부(150)가 관통하기 위한 조절부용 개구부(166)를 더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110) 및 도 7에 도시된 제어부(16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상부 플레이트(1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제어부(160)의 제1 내지 제2 부분(161, 162)이 상부 플레이트(110)의 제어부용 개구부(113) 부분에 결합될 수 있고, 제어부(160)의 제3 부분(163) 및 제4 부분(164)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제어부용 개구부(미도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은 제어부(160)가 상부 플레이트(110)에 구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플레이트(120)와도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상하 방향,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방향 및 거리를 제한한다. 이하에서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단면도를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와 제어부(160)의 결합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의 제1 단면도이며, 도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인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제1 단면도로써, 제어부(160)와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제어부(160)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어부(16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방향 및/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이탈하거나, 뒤틀림 및/또는 휘어짐 없이, 정확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의 제1 부분 내지 제4 부분(161 내지 164)에 의하여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가 지지대(160)에 고정되기에, 제어부(160)의 높이를 이용하여,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가 최대로 멀어질 수 있는 길이 H를 조절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의 최대 확장 높이도 제어할 수 있다.
도 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50a)의 사시도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50b)의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조절부(150a)의 정면도이다. 조절부(150a 및 150b)는 회전을 통하여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이동부(130) 및 후방 이동부(140)가 제 3방향 및 제4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50)는 조절부(150)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어(152a 및 15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어(152a 및 152b)의 형태는 고정부(170)와 결합 및 역회전 방지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152a 및 152b)는 래쳇(ratchet) 기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9a 및 도 9b는 조절부(150a 및 150b)에 기어(152a 및 152b)가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로 분리하여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150)는 유합용 개구부(156a 및 156b)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합용 개구부(156a 및 156b)는 골 유합재료를 수용할 수 있으며, 자가적으로 뼈가 재생할 수 있는 구멍이 될 수 있다. 골 유합재료는 상기 구술한 유합용 개구부(114)에 쓰이는 재료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a)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a)는 전방 이동부(130) 또는 후방 이동부(14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조절부(150)의 회전을 제어하여 조절부(150)를 고정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70a)가 전방 이동부(130)와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방 이동부(140)와도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고정부(170a)는 조절부(150)에 결합된 기어(152a 및 152b)를 이용하여, 조절부(150)의 역회전을 제어함에 따라, 조절부(15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는 조절부(150)가 후방 이동부(140)로부터 빠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a)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고정부(170a)는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현되거나, 또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티놀, 스테인리스 스틸 304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의료용 소재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부(170a)가 탄성을 가지는 형태로 구현되어, 고정부(170a)가 조절부(150)를 고정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a)는 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부(170a)는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포함하는 외부면 및 하면 방향의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면은 아치 형태로 구현된 탄성 보조부(17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보조부(171a)는 조절부(150)의 좌측면 및 우측면의 어느 한쪽은 일체형인, 일부만을 감싸도록 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보조부(171a)는 고정부(170a)의 외부면과 접촉되지 않기에, 탄성 보조부(171a)와 고정부(170a)의 외부면 사이에는 빈 공간(empty space)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상부면과 탄성 보조부(171a) 사이에 탄성 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우측면과 탄성 보조부(171a) 사이에 탄성 공간(173a)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공간(173a)은 좌측면과 탄성 보조부(171a)에 의하여 존재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공간(173a)이 존재함에 따라, 조절부(150a)가 회전하여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의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조절부(150a)의 좌측일면에는 돌출부(175a)가 있어, 조절부의 정방향 및/또는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정방향의 회전은 돌출부(175a)를 누르지 않아도 탄성에 의해 조절부(150)의 회전이 가능하지만, 래쳇 기어 구조상 조절부(150)의 역방향의 회전은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돌출부(175a)를 눌러 고정부(170a)가 탄성에 의해 누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절부(150)와 결합되어 있는 기어의 결합이 풀려 조절부(150)의 회전, 특히 정방향의 회전은 수월해지고, 역방향의 회전은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의 내부면은 조절부(150a)와 결합된 기어(152)의 톱니 사이에 맞물리는(engage)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pawl)(172a)를 가진다. 이에 따라, 고정부(170)가 조절부(150)와 결합하는 경우, 고정부(170)의 멈춤쇠(172a) 및 조절부(150)의 기어(152)를 이용하여, 조절부(150)가 역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추간 유합 기기(100)가 사용자에게 필요한만큼 팽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50)와 고정부(170)가 결합된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b) 및 도 1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제2 단면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조절부(150)는 고정부(170)와 결합되고, 이때, 조절부(150)와 고정부(170)의 사이에는 기어(15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1(b) 내지 도 11(c)는 조절부(150), 고정부(170), 상부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 및 후방 이동부(14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고정부(170)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가 수축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1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가 팽창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b)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70)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 이동부(130)와 결합됨에 따라, 고정부(170)가 추간 유합 기기(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b)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고정부(170b)는 도 10에 도시된 고정부(170a)와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고정부(170a)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에, 전술한 고정부(170a)의 상세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b)는 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부(170b)는 외부면(173b) 및 내부면(174b)을 포함한다. 이때, 내부면(174b)은 조절부(150)의 전체를 감싸도록 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면(173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보조부(171b)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보조부(171b)는 외부면(173b)의 일부를 비접촉 상태로 감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보조부(171b)와 외부면(173b) 사이에 탄성 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공간이 존재함에 따라, 조절부(150)가 회전하여 상부 플레이트(110) 및 하부 플레이트(120)의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b)의 내부면(174b)은 조절부(150)와 결합된 기어(152)의 톱니 사이에 맞물리는(engage)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pawl)(172b)를 가진다. 이에 따라, 고정부(170)가 조절부(150)와 결합하는 경우, 고정부(170)의 멈춤쇠(172b) 및 조절부(150)의 기어(152)를 이용하여, 조절부(150)가 역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추간 유합 기기(100)가 사용자에게 필요한만큼 팽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70b)는 도 10에 도시된 고정부(170a)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돌출부(175b)를 포함하고 있어, 조절부(150)의 회전, 특히 정방향의 회전을 수월하게 하고, 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어한다. 이는 전술한 고정부(170a)의 상세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50b), 고정부(170b) 및 C 형태의 링(180)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C 형태의 링(180)은 고정부(170b)의 뒤에 위치하여, 전방 이동부(130)로부터 조절부(15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9b의 조절부(150b) 및 링 형태의 고정부(170b)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9a의 조절부(150a) 및 아치 형태의 고정부(170a)에도 C 형태의 링(18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의 제3 단면도이고, 도 1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의 내부 결합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a는 조절부(150), 고정부(170), 상부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 및 전방 이동부(13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고정부(170)가 결합되는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추간 유합 기기(100)의 좌상부분의 내부를 도시한 것을 나타낸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이동부(130), 조절부(150), 고정부(170) 및 C 형태의 링(180) 각각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축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의 추간 유합 기기(100)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6a 및 도 17a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사시도, 도 16b 및 도 17b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내부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c 및 도 17c는 추간 유합 기기(100)의 좌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c에 도시된 추간 유합 기기(100)는 고정부(170b)가 링 형태이고, C 형태의 링(180)이 더 추가된 것 외에는,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추간 유합 기기(100)와 동일하기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유합 기기(100)는 상기 구술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골 유합재료가 충분히 삽입될만한 공간을 내부에 가지며, 변형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이 뛰어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100: 추간 유합 기기 110: 상부 플레이트
111: 제1 경사면 112: 제2 경사면
113: 제어부용 개구부 114: 유합용 개구부
120: 하부 플레이트 130: 전방 이동부
131: 제3 경사면 133: 조절부용 개구부
140: 후방 이동부 141: 제4 경사면
143: 조절부용 개구부 144: 유합용 개구부
150: 조절부 152: 조절부의 기어
160: 제어부 161: 제어부의 제1부분
162: 제어부의 제2부분 163: 제어부의 제3부분
164: 제어부의 제4부분 170: 고정부
171: 탄성 보조부 172: 멈춤쇠
173: 고정부의 외부면 174: 고정부의 내부면
175: 돌출부 180: C형태의 링

Claims (14)

  1.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부 플레이트(plate);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후방 이동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조절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이동할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하로만 움직이도록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제한하는 제어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조절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어;를 더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은 상기 기어의 톱니 사이에 맞물리는(engage)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pawl)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방 이동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아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은 상기 조절부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아치 형태로 구현된 탄성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외부면은 상부면, 제1 측면 및 제2 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면과 상기 탄성 보조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 공간, 및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상기 탄성 보조부 사이에 마련된 탄성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링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은 상기 조절부의 전부를 감싸도록 링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의 외부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보조부와 상기 외부면의 일부를 비접촉 상태로 감싸도록 구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 보조부와 상기 외부면 사이에 마련된 탄성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동부로부터, 상기 조절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C 형태의 링;을 더 포함하는, 추간 유합 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방 이동부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 이동부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가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도브테일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과 결합하는 부분은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 각각과 결합하는 부분은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조절부 각각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전방 이동부가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후방 이동부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가 서로 멀어지고,
    상기 전방 이동부 및 상기 후방 이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 유합 기기.
KR1020220015043A 2022-02-04 2022-02-04 추간 유합 기기 KR20230118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043A KR20230118424A (ko) 2022-02-04 2022-02-04 추간 유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043A KR20230118424A (ko) 2022-02-04 2022-02-04 추간 유합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424A true KR20230118424A (ko) 2023-08-11

Family

ID=8756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043A KR20230118424A (ko) 2022-02-04 2022-02-04 추간 유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84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37B1 (ko) 2019-09-11 2020-12-28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237B1 (ko) 2019-09-11 2020-12-28 (주)엘앤케이바이오메드 높이조절이 가능한 척추 유합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1411B2 (ja) 統合された拡張及び角度調節機構を有する椎間ケージ
CN109640889B (zh) 可扩张的角度可调节式关节运动椎间保持架
US11896493B2 (en) Expandable intervertebral spacer
US11337824B2 (en) Stabilizing vertebrae with articulating implants
US9101488B2 (en) Apparatus for use in spinal surgery
US9554918B2 (en) Articulating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US7137997B2 (en) Spinal fusion implant
US7550008B2 (en) Intervertebral spacer having a flexible wire mesh vertebral body contact element
WO2017106389A1 (en) Stabilized intervertebral spacer
WO2007098324A2 (en) Spinal implant with elliptical articulatory interface
KR20230118424A (ko) 추간 유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