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328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328A
KR20230118328A KR1020220014769A KR20220014769A KR20230118328A KR 20230118328 A KR20230118328 A KR 20230118328A KR 1020220014769 A KR1020220014769 A KR 1020220014769A KR 20220014769 A KR20220014769 A KR 20220014769A KR 20230118328 A KR20230118328 A KR 20230118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wall
corner
node
route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7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윤용
김선호
이호원
채윤재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8328A/en
Publication of KR2023011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3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3Indoor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실내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은, 실내의 벽, 빈 공간 및 벽 뒤를 나타내는 복수의 셀이 2차원으로 배열된 실내 맵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벽의 셀 중에서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연결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실내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ndoor route search device and method are disclosed. The indoor route search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ndoor map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representing an indoor wall, empty space, and the back of the wall are two-dimensionally arranged,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corner nodes among the cells of the wall from the input indoor map data. Step , generating an indoor topology map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generated corner nodes, and using the generated indoor topology map, searching for a route according to set starting and ending points.

Description

실내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Indoor route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본 발명은 실내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route search device and method.

일반적으로, 지도 데이터는 도로를 중심으로 도로 주변의 POI(Point of Interest) 및 교통안내 표지판 등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생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는 내비게이션은 차량이 도로를 주행할 때,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으나, 건축 구조물 또는 지하 공간 등의 실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이 곤란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map data is generated so that points of interest (POIs) and traffic guide signs around roads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Navigation using such map data can output related information along with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the screen when the vehicle drives on the road, but when entering a building structure or indoor space such as an underground space, GPS Positioning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signal.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건축물의 CAD 도면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 실내 지도 데이터에 기반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내비게이션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으로 실내 지도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설계와 관련된 CAD 도면 등의 자료를 이용해야 하므로, CAD 도면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건축물에 대한 실내 지도 생성은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CAD 도면은 건축물 구조의 세부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주가 외부에는 쉽게 공개하지 않는다는 제한이 있어서, 현실적으로 실내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서 해당 건축물의 CAD 도면을 활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였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2D or 3D navigation screen based on indoor map data constructed using a CAD drawing of a building has been provided to the user. However, in order to build indoor map data in this way, data such as CAD drawings related to the design of the building must be used, so it is difficult to create an indoor map for a building that does not have a CAD drawing. Moreover, since the CAD drawings contain details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building owner does not easily disclose them to the outside, so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utilize the CAD drawings of the building to create an indoor map in reality.

이에 따라, 최근에는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탑재한 장치를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실내를 스캔하여 실내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technology in which a person directly scans an indoor area using a device equipped with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to create an indoor map has been used.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빛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1930년대 기상 관측을 위해 처음 개발되었다가 레이저 기술이 등장한 1960년대 이르러서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주로 항공분야와 위성에 적용되었으나, 이후 영역을 넓히며 지구환경, 탐사, 자동차, 로봇 등에 적용되었다. 라이다는 레이더와 비슷한 원리를 가지고 있다.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발사해 재수신되는 전자기파로 거리, 방향 등을 확인한다. 반면에, 라이다는 펄스 레이저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라이다는 파장이 짧은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정밀도 및 해상도를 높이고 사물에 따라 입체적인 파악도 가능한 특징이 있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is a sensor that uses light to measure distance and detect objects. It was first developed for weather observation in the 1930s, and began to be used in earnest in the 1960s when laser technology appeared. At that time, it was mainly applied to aviation and satellites, but later it was applied to the earth environment, exploration, automobiles, and robots by expanding its scope. LIDAR has a similar principle to radar. Radar emits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outside and checks distance and direction with electromagnetic waves that are re-received. On the other hand, lidar has a difference in that it uses a pulsed laser. By using a laser with a short wavelength, LIDAR has a feature that increases precision and resolution and enables three-dimensional identification according to objects.

이와 같은 라이다를 이용하여 실내 지도를 작성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이용되고는 있으나, 작성된 실내 지도 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술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Although various technologies for creating indoor maps using lidar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he technology for utilizing the created indoor map data is still at an insignificant level.

따라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 indoor navigation service using indoor map data.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3785호(2019.05.2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83785 (2019.05.23)

본 발명은 2차원 실내 맵 데이터에서 코너노드를 생성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실내경로를 탐색해 주며, 실내 위치 식별을 위한 실내위치정보 노드를 생성하는 실내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 indoor topology map by generating a corner node from 2D indoor map data, searches an indoor route using the generated topology map, and searches an indoor route that creates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for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내 경로 탐색 장치가 수행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performed by an indoor route search device is discl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은, 실내의 벽, 빈 공간 및 벽 뒤를 나타내는 복수의 셀이 2차원으로 배열된 실내 맵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상기 벽의 셀 중에서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연결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실내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ndoor map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representing an indoor wall, an empty space, and the back of a wall are two-dimensionally arranged; Generating a plurality of corner nodes among the cells, generating an indoor topology map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and determining a route according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point using the generated indoor topology map. It includes an exploration step.

상기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하나의 셀에 상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벽의 임의의 셀에 시작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생성된 포인터를 상기 시작지점부터 셀 단위로 상기 벽을 따라 진행시키는 단계, 다음 셀이 상기 벽, 상기 빈 공간 또는 상기 벽 뒤인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다음 셀이 상기 빈 공간인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현재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벽쪽으로 포인터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step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corner nodes, a pointer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one cell is created in the input indoor map data, a starting point is set in an arbitrary cell of the wall, and the generated advancing the pointer along the wall in units of cells from the starting point, searching whether the next cell is the wall, the empty space, or behind the wall; if the next cell is the empty space, the pointer A step of setting the current cell located as a corner node and a step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er toward a wall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상기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셀이 상기 벽 뒤인 경우, 코너노드를 생성하지 않고 벽쪽으로 상기 포인터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셀이 상기 벽인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상기 벽을 따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generating of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may include, when the next cell is behind the wall, switch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er toward the wall without creating a corner node; and when the next cell is the wall, the pointer Further comprising advancing along the wall.

상기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진행방향의 다음 셀이 벽 뒤이고,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벽이 대각선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각선 형태의 벽이 시작되는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를 상기 대각선 형태의 벽을 따라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각선 형태의 벽이 끝나는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enerating of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wall has a diagonal shape when the next cell in the forward direction is behind the wall and the empty space exists on the left or right side, and the diagonal wall is Setting a starting cell as a corner node, moving the pointer along the diagonal wall, and setting a cell where the diagonal wall ends as a corner node.

상기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 중에서 임의의 코너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코너노드와 다른 코너노드의 연결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코너노드와 연결가능한 다른 코너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선택된 코너노드와 다른 코너노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enerating of the indoor topology map may include selecting an arbitrary corner nod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generated corner nodes, checking whether or not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other corner nodes are connectable, an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connecting the corner node to another connectable corner node, 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another corner node.

상기 연결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코너노드간 연결 중간에 벽 뒤가 존재하는 경우 및 코너노드간 연결 중간에 복수의 빈 공간 및 복수의 벽이 존재하는 경우의 연결불가 상황을 확인한다.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connection is possible, when there is a back wall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corner nodes and when a plurality of empty spaces and a plurality of walls exist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corner nodes, a connection failure situation is checked.

상기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은,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식별을 위한 실내위치정보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indoor route search method further includes generating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for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us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genera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실내 경로 탐색 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oor route search device is disclo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실내의 벽, 빈 공간 및 벽 뒤를 나타내는 복수의 셀이 2차원으로 배열된 실내 맵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상기 벽의 셀 중에서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연결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실내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을 수행한다.An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commands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commands, wherein the commands are used to 2-dimensionally display a plurality of cells representing an indoor wall, an empty space, and the back of a wall. Receiving arrayed indoor map data, generating a plurality of corner nodes among the cells of the wall from the input indoor map data, generating an indoor topology map by connect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corner nodes, and Using the generated indoor topology map,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a route according to the set starting and ending points is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은, 2차원 실내 맵 데이터에서 코너노드를 생성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실내경로를 탐색하며, 실내 위치 식별을 위한 실내위치정보 노드를 생성함으로써, 머신러닝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실내경로 탐색 기능을 제공하고,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가속이 필요없으며, 비교적 낮은 컴퓨팅 파워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An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n indoor topology map by generating a corner node from 2D indoor map data, searches an indoor route using the generated topology map, and performs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By creating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for indoor location information, it provides an indoor route search function easily without using machine learning, does not require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cceleration, and can be used even with relatively low computing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장치가 수행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도 1의 S100 단계의 세부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3 내지 도 9는 도 1의 S100 단계의 세부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S200 단계의 세부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의 S200 단계의 세부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S400 단계의 세부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의 S400 단계의 세부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performed by an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detailed steps of step S100 of Figure 1;
3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step S100 of FIG. 1;
10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ed steps of step S200 of FIG. 1;
11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step S200 of FIG. 1;
15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ed steps of step S400.
16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step S400 of FIG. 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included,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장치가 수행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의 S100 단계의 세부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도 1의 S100 단계의 세부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S200 단계의 세부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의 S200 단계의 세부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S400 단계의 세부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의 S400 단계의 세부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을 설명하되, 도 2 내지 도 18을 참조하기로 한다.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performed by an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ed steps of step S100 in FIG. 1, and FIGS.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step S100 in FIG. 1,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ed steps of step S200 in FIG. 1, and FIGS. 11 to 14 are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step S200 in FIG.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detailed steps of step S400, and FIGS. 16 to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etailed steps of step S400 of FIG. 1. Hereinafter,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ut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2 to 18.

S10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복수의 셀이 2차원으로 배열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한다.In step S100,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generates a plurality of corner nodes from indoor map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arranged in two dimensions.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S100 단계의 세부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detailed steps of step S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S11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복수의 셀이 2차원으로 배열된 실내 맵데이터를 입력받는다.In step S110,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receives indoor map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are arranged in two dimensions.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차원 실내 맵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 맵데이터는 벽, 빈 공간 및 벽 뒤를 나타내는 복수의 셀이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벽은 끊김없이 연결된 폐루프(closed loop) 형태를 가진다.That is, 2D indoor map data as shown in FIG. 3 may be input. Referring to FIG. 3 , indoor map data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ells indicating a wall, an empty space, and a wall behind. And, the wall has a closed loop shape that is seamlessly connected.

S12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하나의 셀에 상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포인터를 생성하고, 벽의 임의의 셀에 시작지점을 설정하고, 생성된 포인터를 시작지점부터 셀 단위로 벽을 따라 진행시킨다. 여기서, 포인터의 진행방향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120,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generates a pointer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one cell in the input indoor map data, sets a starting point in a cell of the wall, and sets the pointer as the starting point. proceed along the wall cell by cell. Her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may be arbitrarily set.

즉,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를 생성하여 시작점부터 벽을 따라 진행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may create a pointer and move it along the wall from a starting point.

S13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포인터가 진행할 다음 셀이 빈 공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130,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next cell to which the pointer proceeds is an empty space.

S14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판단 결과, 다음 셀이 빈 공간인 경우, 포인터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현재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하여 코너노드를 생성한다.In step S140, the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sets the current cell where the pointer is currently located as a corner node when the next cell is an empty spa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creates a corner node.

즉,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셀이 빈 공간인 경우, 현재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may set the current cell as a corner node when the next cell is an empty space.

S15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다음 셀이 빈 공간임에 따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벽쪽으로 포인터의 진행방향을 전환한다.In step S150,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switch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toward the wall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pty space in the next cell.

S16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S130 단계에서 판단결과, 다음 셀이 빈 공간이 아닌 경우, 다음 셀이 벽 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160, the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next cell is behind a wall when the next cell is not an empty spa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30.

판단 결과, 다음 셀이 벽 뒤인 경우, S150 단계로 진입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next cell is behind the wall, step S150 is entered.

즉,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노드 생성 후 우측에 위치하는 벽으로 포인터의 진행방향으르 전환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셀이 벽 뒤인 경우, 코너노드를 생성하지 않고 벽쪽으로 포인터의 진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indoor path search device can swit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to the wall located on the right after the corner node is created, 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next cell is behind the wall, You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ointer toward the wall without creating a corner node.

한편, 벽 및 빈 공간의 형태가 대각선일 경우,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대각선 형태의 벽이 시작되는 셀 및 끝나는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한다.Meanwhile, when the wall and the empty space have diagonal shapes,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sets the starting cell and the ending cell of the diagonal wall as corner nodes.

즉,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진행방향의 다음 셀이 벽 뒤이고, 좌측 또는 우측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벽이 대각선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대각선 형태의 벽을 발견하면, 진행방향을 탐색방향 사이로 설정하여 포인터가 대각방향으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즉, 탐색한 다음 셀 및 빈공간인 좌측 셀의 사이로 진행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셀 탐색 결과, 다시 대각방향이 아닌 연속적인 형태의 벽을 만나면, 현재 셀이 대각선 형태가 끝이라고 판단하고 현재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may determine that the wall has a diagonal shape when the next cell in the forward direction is behind the wall and there is an empty space on the left or right side, If you find a wall of the shape, you can set the direction of travel to be between the search directions so that the pointer travels diagonally. That is, the forwarding direction may be set between the searched next cell and the left cell, which is an empty space. Then,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next cell, if a non-diagonal continuous wall is met agai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cell has a diagonal shape and the current cell can be set as a corner node.

S16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진행 중인 포인터가 시작지점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160,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pointer in progress has reached the starting point.

판단 결과, 포인터가 시작지점에 도달하는 경우,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pointer reaches the starting point, it ends.

즉,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를 시작지점부터 셀 단위로 진행하면서 진행할 다음 셀을 탐색하여 대상 셀에 코너노드를 설정하고, 포인터가 시작지점의 셀과 만나면 종료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indoor path search device searches for the next cell to proceed while moving the pointer cell by cell from the starting point, sets a corner node in the target cell, and ends when the pointer meets the cell at the starting point. .

S20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실내 맵데이터에 생성된 코너노드를 연결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한다.In step S200, the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creates an indoor topology map by connecting the generated corner node to the indoor map data.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S200 단계의 세부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detailed steps of step S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S21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 중에서 임의의 코너노드를 선택한다.In step S210,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selects a random corner nod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generated.

S22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선택된 코너노드와 다른 코너노드의 연결가능 여부를 확인한다.In step S220,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checks whether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other corner nodes are connectable.

S23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확인 결과, 선택된 코너노드와 연결가능한 다른 코너노드를 연결하고, 선택된 코너노드와 다른 코너노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In step S230,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connects the selected corner node with other connectable corner nodes as a result of the check, and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the other corner nodes.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선택된 1번 코너노드와 2 내지 5번 코너노드는 모두 연결가능하여 모두 연결되고 거리값이 계산될 수 있다. 거리값은 유클리디안 거리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거리값 및 코너노드간 연결정보는 코너노드별로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 , the selected corner node No. 1 and corner nodes No. 2 to 5 are both connectable, so that they are all connected and a distance value can be calculated. The distance valu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Euclidean distance formula.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 and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corner nodes may be stored for each corner node.

다음으로, 선택된 2번 코너노드와 5번 코너노드를 연결하면, 연결선이 벽을 넘어 벽 뒤를 지나가므로, 선택된 2번 코너노드와 5번 코너노드는 연결되지 않는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a)와 같이 코너노드간 연결 중간에 벽 뒤가 존재하는 경우 및 도 12의 (b)와 같이 코너노드간 연결 중간에 복수의 빈 공간 및 복수의 벽이 존재하는 경우, 코너노드 사이를 연결할 수 없다.Next, when connecting the selected corner node 2 and corner node 5, the connection line goes beyond the wall and passes behind the wall, so the selected corner node 2 and corner node 5 are not connected. That is, referring to FIG. 12, when there is a back wall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corner nodes as shown in FIG. 12 (a) and a plurality of empty spaces and a plurality of walls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corner nodes as shown in FIG. If exists, it is not possible to connect between corner nodes.

S24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생성된 모든 코너노드에 대해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240,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cess has been performed for all corner nodes that have been created.

판단 결과, 생성된 모든 코너노드에 대한 수행이 완료되면, 종료하고,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다시 S210 단계로 진입하여 선택되지 않았던 코너노드 중에서 임의로 코너노드를 선택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execution of all the generated corner nodes is completed, it is terminated. If not, the step S210 is entered again and a corner node is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the corner nodes that have not been selected.

이때, 모든 코너노드에 대한 수행이 완료됨에 따라 실내 토폴로지맵이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door topology map may be generated as the execution of all corner nodes is completed.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1번 코너노드부터 5번 코너노드까지 하나씩 선택하여 선택된 코너노드와 다른 코너노드 사이를 연결하면서 거리값을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the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may select a corner node 1 to corner node 5 one by one and calculate a distance value while connecting the selected corner node to another corner node.

S30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생성된 실내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따라 경로를 탐색한다.In step S300,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searches for a route according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point set by using the generated indoor topology map.

즉,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0 단계를 통해 생성된 실내 토폴로지맵에서 출발지점에서 도차지점까지의 최단거리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may search for the shortest path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arriving point in the indoor topology map generated in step S200.

예를 들어, 최단거리 계산을 위하여 A*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으며, A* 알고리즘은 주어진 출발 꼭지점에서 목표 꼭지점까지 가는 최단경로를 찾아내는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이다.For example, an A* algorithm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 A* algorithm is a graph search algorithm that finds the shortest path from a given starting vertex to a target vertex.

S40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식별을 위한 실내위치정보 노드를 생성한다.In step S400,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creates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for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us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corner nodes.

이하, 도 15을 참조하여 S400 단계의 세부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detailed steps of step S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

S41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 중에서 임의의 코너노드를 선택한다.In step S410,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selects a random corner nod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generated.

S42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선택된 코너노드에서 빈 공간쪽으로 셀 단위로 벽이나 다른 코너노드가 닿을 때까지 탐색하고, 탐색된 다른 코너노드를 선택하여 벽을 탐색하고, 선택된 코너노드, 탐색된 다른 코너노드, 선택된 코너노드로부터 탐색된 벽의 셀 및 탐색된 다른 코너노드로부터 탐색된 벽의 셀을 포함하는 영역을 생성한다.In step S420, the indoor path search device searches the empty space from the selected corner node in cell units until a wall or other corner node is reached, selects another searched corner node, searches the wall, selects the corner node, and searches the selected corner node. Creates an area that includes the other corner node, the wall cell searched from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the wall cell searched from the other searched corner node.

S43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생성된 영역의 중앙의 셀을 실내위치정보 노드로 설정하여 실내위치정보 노드를 생성한다. 즉, 생성된 영역의 중앙에서, 선택된 코너노드와 탐색된 코너노드에 인접한 빈 공간의 셀이 실내위치정보 노드로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430, the indoor route search apparatus creates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by setting a cell in the center of the created area as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That is, in the center of the generated area, a cell of an empty space adjacent to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the searched corner node may be set as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1번 코너노드로부터 4번 코너노드가 탐색되고, 1번 코너노드 및 4번 코너노드로부터 각각 벽의 셀이 탐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탐색된 1번 코너노드, 4번 코너노드, 1번 코너노드로부터 탐색된 벽의 셀 및 4번 코너노드로부터 탐색된 벽의 셀을 포함하는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6 , the 4th corner node may be searched from the 1st corner node, and the wall cells may be searched from the 1st corner node and the 4th corner node, respectively. A region including the first corner node, the fourth corner node, the wall cell discovered from the first corner node, and the wall cell found from the fourth corner node can be created.

S440 단계에서,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생성된 모든 코너노드에 대해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440,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ocess has been performed for all generated corner nodes.

판단 결과, 생성된 모든 코너노드에 대한 수행이 완료되면, 종료하고,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다시 S410 단계로 진입하여 선택되지 않았던 코너노드 중에서 임의로 코너노드를 선택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execution of all the generated corner nodes is completed, it is terminated. If not, the step S410 is entered again and a corner node is randomly selected from among the corner nodes that have not been selected.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모든 코너노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실내위치정보 노드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7 , the indoor path search apparatus may sequentially select all corner nodes to generate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s.

이와 같이 생성되는 실내위치정보 노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과 같이 실내 재난 상황에서 실내에서 재난 발생 구역 표시 및 대피경로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소방인원 투입 및 피난민의 안전한 대피가 가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the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generated in this way can be used to display a disaster area and create an evacuation route indoors in an indoor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ire. Through this, effective firefighting personnel input and safe evacuation of refugees may be possible.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route sear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장치는 프로세서(10), 메모리(20), 통신부(30) 및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9 , an indoor path sear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10, a memory 20, a communication unit 30, and an interface unit 40.

프로세서(1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The processor 10 may be a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20 .

메모리(2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0)는 ROM,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mory 2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memory 20 may include ROM, RAM, and the like.

예를 들어, 메모리(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mory 20 may stor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n indoor path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부(3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communication unit 30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other devic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인터페이스부(4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40 may include a network interface and a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 network.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grasped from a process point of view. That is, each component can be identified as each process. In addition, the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grasped from the viewpoint of components of the device.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프로세서
20: 메모리
30: 통신부
40: 인터페이스부
10: Processor
20: memory
30: Ministry of Communications
40: interface unit

Claims (8)

실내 경로 탐색 장치가 수행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에 있어서,
실내의 벽, 빈 공간 및 벽 뒤를 나타내는 복수의 셀이 2차원으로 배열된 실내 맵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상기 벽의 셀 중에서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연결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실내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
In the indoor route search method performed by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receiving indoor map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indicating an indoor wall, an empty space, and a back of a wall are two-dimensionally arranged;
generating a plurality of corner nodes among cells of the wall from the input indoor map data;
generating an indoor topology map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and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a route according to set starting and ending points using the generated indoor topology m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하나의 셀에 상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벽의 임의의 셀에 시작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생성된 포인터를 상기 시작지점부터 셀 단위로 상기 벽을 따라 진행시키는 단계;
다음 셀이 상기 벽, 상기 빈 공간 또는 상기 벽 뒤인지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다음 셀이 상기 빈 공간인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현재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벽쪽으로 포인터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A pointer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one cell is created in the input indoor map data, a starting point is set in an arbitrary cell of the wall, and the created pointer is moved to the wall in units of cells from the starting point. Proceeding along;
searching whether the next cell is behind the wall, the empty space, or the wall;
setting a current cell where the pointer is positioned as a corner node when the next cell is the empty space; and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inter toward a wall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based on the direction of mov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음 셀이 상기 벽 뒤인 경우, 코너노드를 생성하지 않고 벽쪽으로 상기 포인터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셀이 상기 벽인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상기 벽을 따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if the next cell is behind the wall, conver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toward the wall without creating a corner node; and
When the next cell is the wall, the indoor path search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vancing the pointer along the w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진행방향의 다음 셀이 벽 뒤이고,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벽이 대각선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각선 형태의 벽이 시작되는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를 상기 대각선 형태의 벽을 따라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각선 형태의 벽이 끝나는 셀을 코너노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determining that the wall has a diagonal shape when the next cell in the traveling direction is behind the wall and the empty space exists on the left or right side;
setting a cell where the diagonal wall starts as a corner node;
advancing the pointer along the diagonal wall; and
and setting a cell where the diagonal wall ends as a corner n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 중에서 임의의 코너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코너노드와 다른 코너노드의 연결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선택된 코너노드와 연결가능한 다른 코너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선택된 코너노드와 다른 코너노드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door topology map,
selecting an arbitrary corner nod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generated;
checking whether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other corner nodes can be connected; and
and connecting the selected corner node to another connectable corner node as a result of the check, 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elected corner node and another corner n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코너노드간 연결 중간에 벽 뒤가 존재하는 경우 및 코너노드간 연결 중간에 복수의 빈 공간 및 복수의 벽이 존재하는 경우의 연결불가 상황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connection is possible,
An indoor path search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a connection impossible situation when there is a back wall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corner nodes and when a plurality of empty spaces and a plurality of walls exist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corner n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은,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식별을 위한 실내위치정보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route search method,
The indoor route search method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n indoor location information node for indoor location identification us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실내 경로 탐색 장치에 있어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실내의 벽, 빈 공간 및 벽 뒤를 나타내는 복수의 셀이 2차원으로 배열된 실내 맵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실내 맵데이터에서 상기 벽의 셀 중에서 복수의 코너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복수의 코너노드를 연결하여 실내 토폴로지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실내 토폴로지맵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경로 탐색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경로 탐색 장치.
In the indoor route search devic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Including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instructions,
The command is
receiving indoor map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cells indicating an indoor wall, an empty space, and a back of a wall are two-dimensionally arranged;
generating a plurality of corner nodes among cells of the wall from the input indoor map data;
generating an indoor topology map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rner nodes; and
An indoor route search device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indoor route search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arching for a route according to the set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point using the generated indoor topology map.
KR1020220014769A 2022-02-04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KR202301183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69A KR20230118328A (en) 2022-02-04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769A KR20230118328A (en) 2022-02-04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328A true KR20230118328A (en) 2023-08-11

Family

ID=8756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769A KR20230118328A (en) 2022-02-04 2022-02-04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832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85B1 (en) 2012-05-02 2019-05-2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of automatic generation of indoor map utilizing the ridar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785B1 (en) 2012-05-02 2019-05-2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of automatic generation of indoor map utilizing the ridar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3004B2 (en) Map matching method and system
US20200264627A1 (en) Low Quality Pose Lane Associator
KR102226350B1 (en) Autonomous visual navigation
KR1014093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Planning of Unmanned Ground Vehicle in Dynamic Environment
KR100520708B1 (en) Method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map
KR102286005B1 (en) Cruise control system and cruise control method thereof
JP51723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ath planning
JP4866951B2 (en) Positioning combination determination system
JP7450814B2 (en) Autonomous parking using hybrid parking space search
US202300717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lane-level map by using 3D point cloud map
US11970185B2 (en) Data structure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ing to an environment of an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220097695A (en) Route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parking based on cognitive sensor
KR100956663B1 (en) Method for designing moving path of robot
Jung et al. Collision‐free local planner for unknown subterranean navigation
KR202301183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route navigation
KR102252295B1 (en) Method and autonomous mobile robot for generating indoor topology map
Ugur et al. Fast and efficient terrain-aware motion planning for exploration rovers
CN113110530B (en) Underwater robot path planning method for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KR20200080598A (en) Method for evaluating mobile robot movement
WO20220499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5993817A (en) Autonomous explora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tensor field driven hierarchical path planning
KR20220084997A (en)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BASED ON 3-Dimension CAD MODEL AND APPARATUS THEREOF
KR102197193B1 (en) A route server generates a road link temporarily using navigation to collecting unregistered road and its method of operation
KR101007016B1 (en) Navigation and Method for Creation Coordinates Guide
CN112650238A (en) Real-time path planning method using visibility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