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652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6526A
KR20230116526A KR1020220013572A KR20220013572A KR20230116526A KR 20230116526 A KR20230116526 A KR 20230116526A KR 1020220013572 A KR1020220013572 A KR 1020220013572A KR 20220013572 A KR20220013572 A KR 20220013572A KR 20230116526 A KR20230116526 A KR 2023011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text
item
indicat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범
조봉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6526A/ko
Priority to PCT/KR2023/000598 priority patent/WO2023146170A1/ko
Publication of KR2023011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고,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Pop-up) UI 및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질을 개선하는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다양한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최근에 출시되는 TV는 방송 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웹 브라우징 검색 기능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요구를 입력받기 위하여, 문자 입력 UI(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자 입력 UI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 UI 조작이 미숙한 경우에 원하는 문자 입력을 위해 수차례 재입력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더욱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UI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자음 자소가 입력된 후에 해당 자음 자소와 조합 가능한 모음 자소의 입력을 편리하게 제공하는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및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고,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Pop-up) UI 및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없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3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 및 상기 제2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문자 아이템을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자 아이템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각각은 자음 자소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대응되는 자음 자소를 입력한 후,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조합하여 모음 자소를 획득하며, 상기 자음 자소 및 상기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모음 자소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회수 이상 사용 이력이 있는 모음 자소를 상기 팝업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를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인접하며, 상기 가상 키보드에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팝업 UI가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일부 문자 아이템과 중첩되면,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4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고,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이 입력된 후에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추가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된 후에 상기 제2 인디케이터가 화면 내에서 상기 팝업 UI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및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Pop-up) UI 및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없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3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 및 상기 제2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문자 아이템을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자 아이템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각각은 자음 자소이며,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대응되는 자음 자소를 입력한 후,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조합하여 모음 자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자음 자소 및 상기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음 자소 이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 이력이 있는 모음 자소를 상기 팝업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UI를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인접하며, 상기 가상 키보드에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가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일부 문자 아이템과 중첩되면,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4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이 입력된 후에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추가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된 후에 상기 제2 인디케이터가 화면 내에서 상기 팝업 UI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음 자소의 입력이 용이하며, 모음 자소를 입력하기 위한 UI를 이탈한 경우에도 해당 UI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텍스트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텍스트 입력 시에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음 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삭제 아이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텍스트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1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Pop-up)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은 가상 키보드(10)에도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팝업 UI(20)에만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2 문자 아이템을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강’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시하였다.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키보드(10)에서 ‘ㄱ’이 선택되면, ‘ㄱ’을 입력하고,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UI(20)에서 ‘ㅣ’ 및 ‘·’이 선택되면, ‘ㄱ’, ‘ㅣ’, 및 ‘·’을 조합하여 ‘가’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중에서 제3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ㅇ’)이 선택되면, ‘가’와 ‘ㅇ’을 조합하여 ‘강’을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가 입력된 후에 사용자 의도에 따라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예를 들어, 팝업 UI(20)에서 ‘ㅣ’ 및 ‘·’이 선택된 후에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기존에 입력된 문자(예를 들어, ‘가’)와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선택된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ㅇ)을 조합하여 사용자 의도에 따른 텍스트(예를 들어, ‘강’)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예를 들어, 팝업 UI(20)에서 ‘ㅣ’이 선택된 후에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기존에 입력된 문자(예를 들어, ‘기’)와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조합하여 사용자 의도에 따른 텍스트(예를 들어, ‘강’)를 입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었을 경우에 종래 기술에 따라 팝업 UI(20)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텍스트 입력 시에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텍스트 입력 시에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ep 1>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키보드(10)에서 ‘ㄱ’이 선택되면, ‘ㄱ’을 입력하고,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키보드(10)는 복수의 문자 아이템 및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이하, 제1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디케이터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의 현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 아이템을 포커싱(또는, 강조)하는 하이라이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Step 2> 이어서,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수 있다.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경우로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이하, 제2 인디케이터)가 팝업 UI(20)를 이탈하거나, 화면 내에서 팝업 UI(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가 식별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디케이터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의 현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 아이템을 포커싱(또는, 강조)하는 하이라이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 하이라이터 등이 팝업 UI(20)를 이탈하는 경우로는, 4 방향 조작에 따라 이동 가능한 하이라이터가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가 아닌, 타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Step 3 & Step 4>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었으므로, 팝업 UI(10)를 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Step 1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을 삭제하고(Step 3),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을 재 선택할 수 있다(Step 4).
<Step 5>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UI(1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2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ㅣ’)을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즉, ‘기’ 텍스트)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팝업 UI(20)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가상 키보드(10)에서 문자 아이템을 다시 선택하여야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를 참조하면, Step 1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을 재 선택해야 하므로, 제1 문자 아이템이 복수 회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tep 3 및 Step 4와 같이 제1 문자 아이템을 삭제한 뒤에 다시 선택하는 단계를 요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Step 3 없이도,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μLED(Micro light-emitting diodes), Mini LED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가상 키보드(10) 내의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팝업 UI(20)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Step)에서, 도 2에서 설명한 단계와 중복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tep 2-1>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4 방향 조작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하이라이터 등이 팝업 UI(20)를 이탈하거나, 화면 내에서 팝업 UI(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가 식별되면,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Step 2-2>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예를 들어, 입력 명령, 터치 명령 등) 없이, Step 1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Step 2-2에서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는 경우는,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tep 2-3>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4 방향 조작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2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가리키거나, 포커싱(또는,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면, 포인터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가리키거나, 하이라이터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강조할 수 있다.
<Step 3>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2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ㅣ’)을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즉, ‘기’ 텍스트)하여 입력할 수 있다.
<Step 4 & 5>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3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ㅁ’)을 제1 문자 아이템, 제2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텍스트(예를 들어, ‘김’)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된 후에,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에 대한 선택 여부와 관계 없이,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Step 2-2 참조), 프로세서(120)는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음 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ep 2-1>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수 있다.
<Step 2-2>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예를 들어, 입력 명령, 터치 명령 등) 없이, Step 1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tep 2-3>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제2 인디케이터에 대한 4 방향 조작 명령에 따라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가리키거나, 강조할 수 있다.
<Step 3 & Step 4>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2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ㅣ’) 및 제3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을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과 조합(즉, ‘가’ 텍스트)하여 입력할 수 있다.
Step 3 & Step 4를 참조하면, 4 방향 조작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2 인디케이터가 팝업 UI(20)를 이탈하기 전까지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팝업 UI(20)가 디스플레이되기 직전 선택된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텍스트를 획득 및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각각은, 자음 자소일 수 있다. 여기서, 자음 자소는, ‘ㄱ(기억)’, ‘ㄴ(니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각각은, 아래 아(‘·’(점)), 수평선(‘ㅣ’(이)) 및 수직선(‘ㅡ’(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모음 자소는, 아래 아(‘·’(점)), 수평선(‘ㅣ’(이)) 및 수직선(‘ㅡ’(으))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자소 ‘ㅘ’는 ‘ㅗ’, ‘ㅏ’의 조합이며, ‘ㅗ’는 아래 아(‘·’(점))와 수직선(‘ㅡ’(으))의 조합이고, ‘ㅏ’는 수평선(‘ㅣ’(이))와 아래 아(‘·’(점))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면,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조합하여 다양한 모음 자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가 디스플레이되기 직전에 선택된 가상 키보드(10) 내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 즉, 자음 자소와 획득된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하나의 텍스트를 획득 및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된 텍스트는, 1 음절의 텍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모음 자소를 획득한 후에, 자음 자소와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및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문자 아이템을 순차적으로 입력 창에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2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ㅣ’)을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과 조합하여 입력(즉, 텍스트 ‘기’)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이 재 선택되면(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팝업 UI(20)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3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을 제2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ㅣ’)과 조합하여 모음 자소(예를 들어, ‘ㅏ’)를 획득하며, 획득된 모음 자소(예를 들어, ‘ㅏ’)와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을 조합하여 입력(즉, ‘가’ 텍스트)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삭제 아이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ep 3>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예를 들어, 입력 명령, 터치 명령 등) 없이, Step 1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ㄱ’)이 재 선택되면(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팝업 UI(20)는 상술한 아래 아(‘·’(점)), 수평선(‘ㅣ’(이)) 및 수직선(‘ㅡ’(으)) 각각에 대응되는 문자 아이템 외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아이템은, 스페이스 바 기능을 수행하는 스페이스 아이템(Space Item), 엔터 키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키 아이템(Enter Item), 이전 입력한 문자를 지우는 기능을 수행하는 삭제 아이템(Delete Item) 및 특수 문자 입력을 위한 특수문자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팝업 UI(20)가 아래 아(‘·’(점)), 수평선(‘ㅣ’(이)) 및 수직선(‘ㅡ’(으)) 각각에 대응되는 문자 아이템 외에 삭제 아이템(Delete Item)을 포함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시하였다.
<Step 4> 팝업 UI(20)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텍스트를 구성하는 모음 자소를 식별하고, 식별된 모음 자소를 구성하는 문자 아이템 중에서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문자 아이템을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텍스트 ‘기’가 입력된 후에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예를 들어, 입력 명령, 터치 명령 등) 없이, 자음 자소 즉, ‘ㄱ’이 재 선택되면(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ㄱ’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프로세서(120)는 ‘ㄱ’을 추가 입력하지 않고,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팝업 UI(20)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기’를 구성하는 모음 자소 ‘ㅣ’를 식별하고, 모음 자소 ‘ㅣ’에서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문자 아이템 즉, ‘ㅣ’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텍스트 ‘과’가 입력된 후에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 선택(예를 들어, 입력 명령, 터치 명령 등) 없이, 자음 자소 즉, ‘ㄱ’이 재 선택되면(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ㄱ’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프로세서(120)는 ‘ㄱ’을 추가 입력하지 않고,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팝업 UI(20)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텍스트 ‘과’를 구성하는 모음 자소 ‘ㅘ’(와)를 식별하고, 모음 자소 ‘ㅘ’에서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문자 아이템 즉, ‘·’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자음 자소 ‘ㄱ’과 ‘·’이 삭제된 모음 자소 ‘ㅚ’(외)를 조합하여 ‘괴’를 입력 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팝업 UI(20)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수차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모음 자소 ‘ㅘ’에서 ‘·’ -> ‘ㅣ’ -> ‘ㅡ’ -> ‘·’를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가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tep 1, Step 2-1, Step 2-2, Step 3> 프로세서(120)는 가상 키보드(10)에서 제1 문자 아이템 ‘ㄱ’이 선택되고, 팝업 UI(20)에서 제2 문자 아이템 ‘ㅣ’이 선택되고, 가상 키보드(10)에서 제3 문자 아이템 ㅊ’이 선택되고, 팝업 UI(20)에서 제4 문자 아이템 ‘ㅏ’가 선택되면, ‘기차’를 입력 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tep 4>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Step 1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이이템 ‘ㄱ’이 재 선택되면, ‘ㄱ’을 추가 입력한 후에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기착’ 또는 ‘기차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Step 3에서 선택된 제3 문자 이이템 ‘ㅊ’이 재 선택되면, 제3 문자 이이템 ‘ㅊ’를 추가 입력하지 않고(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제3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이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는 모음 자소 사용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모음 자소 사용 이력은 팝업 UI(20)에 포함된 아래 아(‘·’(점)), 수평선(‘ㅣ’(이)) 및 수직선(‘ㅡ’(으)) 각각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조합 및 생성된 모음 자소의 이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모음 자소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된 모음 자소(즉,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를 포함하는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팝업 UI(20’)에 추가되는 모음 자소의 개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2개 등)로 제한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회수 이상 사용된 모음 자소 모두가 팝업 UI(20’)에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 이력은, 외부 서버를 통해 수신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이력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천 모음 자소를 식별하며, 추천 모음 자소를 포함하는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ㅂ’)이 입력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문자, 단어 등에 기초하여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모음 자소를 추천 모음 자소(예를 들어, ‘ㅏ’(아), ‘ㅜ’(우) 등)로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추천 모음 자소를 포함하는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를 가상 키보드(10)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에 인접하며, 가상 키보드(10)와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가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일부 문자 아이템과 중첩되면, 팝업 UI(20)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팝업 UI(20)가 가상 키보드(10)에서 선택된 제1 문자 아이템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되면,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을 선택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팝업 UI(20)가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일부 문자 아이템과 중첩되면, 중첩된 일부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모두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팝업 UI(20)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D)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D&D 명령에 기초하여 팝업 UI(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경우로는,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하이라이터 등이 팝업 UI(20)를 이탈하거나, 화면 내에서 팝업 UI(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가 식별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터, 하이라이터 등이 팝업 UI(20)를 이탈하는 경우로는, 4 방향 조작에 따라 이동 가능한 하이라이터가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가 아닌, 타 문자 아이템(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하이라이터를 수차례(예를 들어,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의 개수를 초과하여)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이 아닌,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에 하이라이터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20)는 화면 내에서 팝업 UI(2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가 식별되면, 팝업 UI(2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국어(Korean)를 상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Korean) 외에도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등, 다양한 문자에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문자에 위 첨자 또는 아래 첨자가 추가되어 상이한 문자가 생성되는 경우, 가상 키보드(10)는 위 첨자 또는 아래 첨자가 추가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문자 아이템(이하, 기본 문자)만을 포함하며,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기본 문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위 첨자 또는 아래 첨자 각각에 대응되는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팝업 UI(20)에 포함된 위 첨자 또는 아래 첨자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첨자와 기본 문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입력 창에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기본 문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기 전에, 이전에 선택된 기본 문자가 재 선택되면(또는, 제1 인디케이터가 이전에 선택된 기본 문자에 위치하면),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하며, 위 첨자 또는 아래 첨자의 변경, 추가, 삭제 등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가상 키보드(1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가상 키보드(10)는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이템 또는 공백(blank)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백 아이템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자음 자소의 입력 없이, 팝업 UI(20)를 디스플레이하며, 팝업 UI(20)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여 ‘ㅡ’(으), ‘ㅏ’(아)와 같이, 모음 자소만을 입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으로 돌아와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데이터가 프로세서(120)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2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현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우선, 복수의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및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110).
이어서,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한다(S1120).
이어서,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Pop-up) UI 및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130).
이어서,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한다(S1140).
여기서,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없이,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3 문자 아이템을 제1 문자 아이템 및 제2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제1 인디케이터가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팝업 UI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2 문자 아이템을 삭제하고, 제1 문자 아이템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각각은 자음 자소이며, 제어 방법은, 제1 문자 아이템에 대응되는 자음 자소를 입력한 후,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조합하여 모음 자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자음 자소 및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음 자소 이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제어 방법은,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 이력이 있는 모음 자소를 팝업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방법은, 팝업 UI를 제1 문자 아이템에 인접하며, 가상 키보드에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팝업 UI가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일부 문자 아이템과 중첩되면,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4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4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는 단계 및 제4 문자 아이템이 입력된 후에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제1 문자 아이템을 추가 입력하고,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제1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제2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된 후에 제2 인디케이터가 화면 내에서 팝업 UI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거나,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팝업 UI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든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및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고,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Pop-up) UI 및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없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3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 및 상기 제2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문자 아이템을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자 아이템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각각은 자음 자소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대응되는 자음 자소를 입력한 후,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조합하여 모음 자소를 획득하며,
    상기 자음 자소 및 상기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모음 자소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회수 이상 사용 이력이 있는 모음 자소를 상기 팝업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를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인접하며, 상기 가상 키보드에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팝업 UI가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일부 문자 아이템과 중첩되면,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4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고,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이 입력된 후에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추가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된 후에 상기 제2 인디케이터가 화면 내에서 상기 팝업 UI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문자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및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1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 가능한 문자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팝업(Pop-up) UI 및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에 대한 선택 없이, 상기 제1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의 추가 입력 없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3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 및 상기 제2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제2 문자 아이템을 상기 제1 문자 아이템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위치하면 상기 팝업 UI를 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삭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문자 아이템을 삭제하고, 상기 제1 문자 아이템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아이템 각각은 자음 자소이며,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대응되는 자음 자소를 입력한 후,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문자 아이템들 중 상기 제2 인디케이터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조합하여 모음 자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자음 자소 및 상기 모음 자소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음 자소 이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사용 이력이 있는 모음 자소를 상기 팝업 UI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UI를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에 인접하며, 상기 가상 키보드에 일부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가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일부 문자 아이템과 중첩되면,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된 후에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제4 문자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을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문자 아이템이 입력된 후에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이 재 선택되면, 상기 제1 문자 아이템을 추가 입력하고, 상기 팝업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문자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1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팝업 UI에 포함된 상기 문자 아이템들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 또는 하이라이터를 상기 제2 인디케이터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UI가 디스플레이된 후에 상기 제2 인디케이터가 화면 내에서 상기 팝업 UI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팝업 UI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013572A 2022-01-28 2022-0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6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572A KR20230116526A (ko) 2022-01-28 2022-0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3/000598 WO2023146170A1 (ko) 2022-01-28 2023-01-1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572A KR20230116526A (ko) 2022-01-28 2022-0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526A true KR20230116526A (ko) 2023-08-04

Family

ID=87472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572A KR20230116526A (ko) 2022-01-28 2022-01-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6526A (ko)
WO (1) WO202314617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36B1 (ko) * 2009-01-22 2011-09-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100655A (ko) * 2011-03-04 2012-09-12 컨스핀 주식회사 동작센서와 터치센서를 이용한 가상키보드 기반의 조합형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3209A (ko) * 2011-12-23 201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모바일 디바이스
KR101370834B1 (ko) *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313353B1 (ko) * 2013-07-29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릭터 입력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170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9051B2 (en)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454702B2 (en) Tool for selecting ink and other objects in an electronic document
US20120229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esired contents on read text in portable terminal
US11694680B2 (en) Variable-speed phonetic pronunciation machine
KR102075433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816966B2 (en) Touchscreen japanese character selection through sliding input
US20140375578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5573696B (zh) 电子黑板装置及其控制方法
JP6043221B2 (ja) 情報端末、操作領域制御方法及び操作領域制御プログラム
US10684772B2 (en) Document view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70139898A1 (en) Updating hint list based on number of strokes
KR101636744B1 (ko) 전자책 디바이스, 전자책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US11599204B2 (e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 letter input user interface (UI)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16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3141B1 (ko) 프리뷰 ui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160115B2 (ja) 情報処理装置、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最適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642118A (zh) 手寫輸入識別方法、系統與電子裝置
KR2022005597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3281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ext input method for the same
KR102057797B1 (ko) 전자문서 스크롤을 제어하는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220383769A1 (en) Speech synthesizer with multimodal blending
US20180129466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system
KR102503581B1 (ko) 맞춤형 스튜디오 공간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 표시 방법
KR201500661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7810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웹문서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