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524A -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524A
KR20230115524A KR1020220012114A KR20220012114A KR20230115524A KR 20230115524 A KR20230115524 A KR 20230115524A KR 1020220012114 A KR1020220012114 A KR 1020220012114A KR 20220012114 A KR20220012114 A KR 20220012114A KR 20230115524 A KR20230115524 A KR 2023011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ation
distribution
document
semantic
aud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발트
Priority to KR1020220012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524A/ko
Priority to PCT/US2023/011627 priority patent/WO2023146966A1/en
Priority to US18/107,238 priority patent/US11880921B2/en
Publication of KR2023011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은, 실시간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배포기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 또는 영상 자료를 의미 단위로 분할하여 웹 상에서 조작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형식 변환기; 자원의 의미단위에 영상클립, 다른 배포문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배포문서를 만드는 배포문서 제작기; 온라인 프리젠테이션 방송의 음성, 판서, 몸짓영상을 녹화하여 의미단위마다 설명요소 별로 구분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데이터화하는 녹화기; 배포문서와 설명문서들을 의미단위별로 웹상에서 분리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합하여 업로드시키는 프리젠테이션 저장부; 배포문서와 설명요소들 동기화하여 청중에게 제공하되, 의미 단위 검색 및 사전 설정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설명문서를 선택적으로 배포문서의 의미단위 구분에 동기시켜 재생하는 재생기; 청중 참여정보 및 의미단위 시청 정보의 상호작용에 대응된 참여정보를 저장하여, 참여 리포트 조회 및 청중 참여 데이터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기;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A platform for on-demand presentations and live presentation sharing services}
본 발명은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프리젠테이션을 녹화하거나 실시간 프리젠테이션을 예약할 수 있고,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이 가능하며, 청중에게 손쉬운 프리젠테이션 검색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온라인 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 및 관련 산업의 발달과 맞물려 비대면 프리젠테이션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매우 높은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기존의 비대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은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에 특화되지 않은 한계가 있다. 기존의 비대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서 프리젠테이션은 일회성 이벤트로 소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프리젠테이션이 끝난 이후 발표자와 청중 간 소통의 기회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령, 온라인으로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배포하는 A 서비스는 오직 슬라이드 파일만 공유가 가능하며, 음성 설명을 첨부하지 못하고, 슬라이드 파일의 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청중과 상호작용이 어렵다.
다른 예로서, 온라인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를 공유하는 B 서비스는 콘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전문 지식 및 전문 장비가 필요하며, 네트워크 환경이 않좋은 곳에서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슬라이드 형식의 파일을 공유하기 어려우며, 청중과 상호작용도 어렵다.
또 다른 예로서,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화상회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C 서비스 또한, 앞서의 예와 유사하게 네트워크 환경이 않좋은 곳에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우며, 슬라이드 형식의 파일을 공유하기 어렵고, 청중과 상호작용이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온라인 프리젠테이션에 적합하면서도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비대면 프리젠테이션 솔루션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되, 네트워크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양호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외에 음성, 판서, 제스쳐 등 다양한 유형의 설명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발표자와 청중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배포문서와 설명문서를 의미단위로 구분하여 검색 및 재생할 수 있는 의미단위 분할 프리젠테이션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상에서 프리젠테이션을 녹화하거나 실시간 프리젠테이션을 예약할 수 있고,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이 가능하며, 청중에게 손쉬운 프리젠테이션 검색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배포기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 또는 영상 자료를 의미 단위로 분할하여 웹 상에서 조작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형식 변환기; 자원의 의미단위에 영상클립, 다른 배포문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배포문서를 만드는 배포문서 제작기; 온라인 프리젠테이션 방송의 음성, 판서, 몸짓영상을 녹화하여 의미단위마다 설명요소 별로 구분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데이터화하는 녹화기; 배포문서와 설명문서들을 의미단위별로 웹상에서 분리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합하여 업로드시키는 프리젠테이션 저장부; 배포문서와 설명요소들 동기화하여 청중에게 제공하되, 의미 단위 검색 및 사전 설정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설명문서를 선택적으로 배포문서의 의미단위 구분에 동기시켜 재생하는 재생기; 청중 참여정보 및 의미단위 시청 정보의 상호작용에 대응된 참여정보를 저장하여, 참여 리포트 조회 및 청중 참여 데이터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되, 네트워크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양호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외에 음성, 판서, 제스쳐 등 다양한 유형의 설명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발표자와 청중이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프리젠테이션을 녹화하거나 실시간 프리젠테이션을 예약하는 것이 가능하며,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이 제공되고, 청중이 원하는 프리젠테이션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것의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환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된 변환기의 다른 응용 방식을 예시적으로 부연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종단간 암호화 처리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작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배포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공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프리젠테이션 공유 시스템은 프리젠테이션을 제작 및 배포하는 서버(100)와 프리젠테이션을 수신 및 재생하는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서버(100)는 네트워크 기반 프리젠테이션 공유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과 유/무선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C(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중 어느 하나의 개별적 기기일 수 있으며, 그 외 프리젠테이션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기반 프리젠테이션 공유 시스템에서, 서버(100)는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며, 프리젠테이션 자료로서 슬라이드 외에 음성, 판서, 제스쳐 등 다양한 유형의 설명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100)가 제공하는 프리젠테이션을 수신하여 재생하며, 온라인 상에서 프리젠테이션을 녹화하거나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프린제테이션을 시청한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공유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것의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세로 점선(20)을 기준으로 왼쪽에 도시된 기능 및 동작은 서버에서 이루어지며, 오른쪽에 도시된 기능 및 동작은 사용자 단말에서 이루어진다.
먼저, 작성자가 문서 및 영상으로 구성된 자료를 업로드한다.
업로드된 자료는 변환기(110)로 입력되어 의미 단위로 분할된다. 분할된 자료는 슬라이드 페이지 또는 영상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작성자의 의미 단위를 조합하여 배포 문서를 작성한다. 이때, 음성, 판서, 또는 몸짓(제스처, gesture)가 포함된 설명 요소가 함께 녹화될 수 있다.
작성 또는 녹화된 배포 문서 및 설명 요소는 제작기(120)로 제공되고, 제작기(120)는 의미 단위 및 설명 종류를 구분하여 제공된 배포 문서와 설명 요소를 데이터화 한다. 최종적으로 제작기(120)는 배포 문서와 설명이 결합된 프리젠테이션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프리젠테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달되어 재생기(210)로 제공된다. 프리젠테이션은 배포기(130)를 통해 청중 그룹이 지정되어 배포될 수 있다. 작성자는 프리젠테이션의 배포 대상 및 배포 정책을 지정할 수 있으며, 배포기(130)는 지정된 배포 대상 및 배포 정책에 따라 프리젠테이션을 배포,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배포기(130)는 웹 링크를 통해 프리젠테이션을 배포할 수 있다.
재생기(210)는 배포, 제공된 프리젠테이션에 포함된 배포 문서와 설명을 동기화하여 청중에게 제공한다. 이때, 청중은 제한된 청중 또는 모든 청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젠테이션의 배포 정책이 전체 공개인 경우, 해당 프리젠테이션의 청중은 모든 청중일 수 있다. 반면에, 프리젠테이션의 배포 정책이 일부 공개인 경우, 해당 프리젠테이션의 청중은 프리젠테이션의 공유가 허용된 제한된 청중일 수 있다.
청중은 배포 문서와 설명을 의미 단위로 신청하고, 그에 대한 상호 작용을 표시할 수 있다. 청중의 상호 작용(이하, '참여'라 함)은 별도의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참여 데이터는 분석기(140)로 전달되어 분석될 수 있다. 분석된 결과는 참여 리포트로 가공되어 작성자가 조회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환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환기(110)는 전처리기(111), 형식 변환기(112), 및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기(111)는 사용자가 문서를 업로드하면 의미 단위인 페이지 단위로 데이터화한다.
형식 변환기(112)는 페이지를 웹에서 조작 가능한 형식인 PDF와 이미지, 예를 들어 PNG, JPG, WebP 등으로 변환한다.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113)는 작성자와 허가된 청중만 볼 수 있도록 문서와 변환된 자원을 암호화한다.
일 실시예로서, 작성자가 변환기(120)로 제공하는 자료 또는 문서의 종류는 PDF, 파워포인트, MS워드, 키노트, 아래한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된 변환기의 다른 응용 방식을 예시적으로 부연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작성자는 MP4, MOV 등 영상 데이터를 자료로서 변환기(120)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변환기(110)가 전처리기(111), 형식 변환기(112), 및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113)를 포함하는 것은 도 3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그 기능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전처리기(111)는 사용자가 영상을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의미 단위로 분할하여 데이터화한다. 이때, 영상이 문서 중심 영상이면 페이지 전환 단위가 의미 단위가 되고, 영상이 동작 중심 영상이면 장면 전환이 의미 단위가 된다.
형식 변환기(112)는 영상을 자동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결과를 작성자에게 제시하여 작성자가 분할을 최종 결정하도록 한다.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113)는 작성자와 허가된 청중만 볼 수 있도록 문서와 변환된 자원을 암호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종단간 암호화 처리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는 랜덤키를 이용한 AES(Advanced Ecryption Standard) 알고리즘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를 구성하기 위한 일 예를 제안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도 5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다른 암호화/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가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작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작기(120)는 변환기(110)를 통해 출력된 슬라이스 페이지 및 영상 클립, 또는 설명 요소를 수신할 수 있다.
제작기(120)는 배포 문서 제작기(121) 및 녹화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포 문서 제작기(121)는 변환기(110)가 의미 단위로 분할하여 만들어 낸 페이지, 영상 클립, 또는 다른 배포 문서들을 조합하여 배포 문서를 생성한다.
녹화기(122)는 배포 문서와 연관된 음성, 판서, 몸짓과 같은 설명 요소를 녹화한다. 이때, 녹화는 의미 단위 별로 분적하여 녹화될 수도 있고, 의미 단위를 앞뒤로 오가며 연속으로 녹화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녹화 결과는 의미 단위마다 설명 요소 별로 구분되어 파일로 저장되거 데이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처리된 의미 단위와 설명 요소들은 각각 다른 배포 문서를 만들때 재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웹 브라우저에서 음성이나 영상 조작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웹 어셈블리 기반 라이브러리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배포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포기(130)는 배포 그룹 관리기(131) 및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포 그룹 관리기(131)는 배포 대상 및 배포 정책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배포 그룹 관리기(131)는 배포 문서를 누구에게 배포할지 지정하고, 모든 사람이 배포 대상인 공개 배포와 제한된 청중만 배포 대상인 제한 배포를 포함한 배포 정책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배포 그룹 관리기(131)는 배포 대상의 확인을 위해 이메일, 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종단간 암호화 처리기(132)는 작성자와 허가된 청중만 볼 수 있도록 문서와 변환된 자원을 암호화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프리젠테이션 공유 시스템 및 그것의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에 따르면,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되, 네트워크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양호한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외에 음성, 판서, 제스쳐 등 다양한 유형의 설명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발표자와 청중이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프리젠테이션을 녹화하거나 실시간 프리젠테이션을 예약하는 것이 가능하며,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이 제공되고, 청중이 원하는 프리젠테이션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이 구현되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를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메모리(53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5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

  1. 사용자가 실시간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는 배포기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서 또는 영상 자료를 의미 단위로 분할하여 웹 상에서 조작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형식 변환기;
    자원의 의미단위에 영상클립, 다른 배포문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배포문서를 만드는 배포문서 제작기;
    온라인 프리젠테이션 방송의 음성, 판서, 몸짓영상을 녹화하여 의미단위마다 설명요소 별로 구분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데이터화하는 녹화기;
    배포문서와 설명문서들을 의미단위별로 웹상에서 분리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합하여 업로드시키는 프리젠테이션 저장부;
    배포문서와 설명요소들 동기화하여 청중에게 제공하되, 의미 단위 검색 및 사전 설정 또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설명문서를 선택적으로 배포문서의 의미단위 구분에 동기시켜 재생하는 재생기;
    청중 참여정보 및 의미단위 시청 정보의 상호작용에 대응된 참여정보를 저장하여, 참여 리포트 조회 및 청중 참여 데이터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기;를 포함하는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KR1020220012114A 2022-01-27 2022-01-27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KR20230115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114A KR20230115524A (ko) 2022-01-27 2022-01-27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PCT/US2023/011627 WO2023146966A1 (en) 2022-01-27 2023-01-26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presentation
US18/107,238 US11880921B2 (en) 2022-01-27 2023-02-08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presen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114A KR20230115524A (ko) 2022-01-27 2022-01-27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524A true KR20230115524A (ko) 2023-08-03

Family

ID=8756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114A KR20230115524A (ko) 2022-01-27 2022-01-27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5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757B2 (en) Organizing network-stored content items into shared groups
US20210377205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managing digital content captured using multiple content capturing devices
US8478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data in a data network
US9712835B2 (en) Video encoding system and method
US11350184B2 (en) Providing advanced playback and control functionality to video client
US9055193B2 (en) System and method of a remote conference
US9372864B2 (en) Online binders
WO2019184220A1 (zh) 电子装置、会议文件共享的方法及存储介质
US20160098602A1 (en) Method for computing a similarity measure for video segments
US20150100582A1 (en) Association of topic labels with digital content
US20230186358A1 (en) Verified-Party Content
US201702017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pplication of business rules using temporal metadata and content fingerprinting
US1033927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secur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US20170264923A1 (en) Dynamic manifest for content programming
US20140115056A1 (en) Book thinning
CN114547518A (zh) 基于互动白板的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230115524A (ko) 온디맨드 프리젠테이션 및 라이브 프리젠테이션 공유 서비스 플랫폼
KR20230115523A (ko) 배포문서와 설명문서를 의미단위로 구분하여 검색 및 재생할 수 있는 의미단위 분할 프리젠테이션 제작 시스템
KR20230115518A (ko) 네트워크 기반 프리젠테이션 공유 방법 및 시스템
Nabben Decentralized Technology in Practice: Social and technical resilience in IPFS
KR20230115519A (ko) 문서의 의미 단위별 설명문서의 구분이 가능한 프리젠테이션 콘텐츠의 제작 배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30115520A (ko)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설명문서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수신 시스템
KR20230115521A (ko) 배포문서의 의미단위로 검색수신 및 청중 참여 데이터를 제공하는 프리젠테이션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20160036949A (ko) 회의록 제공 단말 및 회의록 제공 방법
KR20230115526A (ko) 프리젠테이션의 의미단위별로 구분하여 검색 및 재생이 가능한 프리젠테이션 배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