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5124A -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5124A
KR20230115124A KR1020220011737A KR20220011737A KR20230115124A KR 20230115124 A KR20230115124 A KR 20230115124A KR 1020220011737 A KR1020220011737 A KR 1020220011737A KR 20220011737 A KR20220011737 A KR 20220011737A KR 20230115124 A KR20230115124 A KR 20230115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room
voice
module
image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그래이스 정은 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단테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그래이스 정은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단테, 김원국, 신진교, 김광래, 그래이스 정은 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단테
Priority to KR102022001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5124A/ko
Publication of KR2023011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6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수술실 출입 및/또는 퇴실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출입 인증 장치,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수술실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 관리 장치,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술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 및/또는 음성파일로 변환하는 음성 관리 장치, 음성 관리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음성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텍스트를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전자 의무 기록 장치 및 음성 관리 장치와 전자 의무 기록 장치가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술실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OPERATING ROOM}
본 발명은 의술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대리 의료 등에 대한 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수술과 시술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료사고 또한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사고 증가로 인해 의료분쟁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의료사고로 인해 제대로 보상을 받으려면 수술 전 신체 상태에 대한 증거를 요하며, 진료기록 등을 확보하여야 하고 의료행위의 과실을 개연적으로나마 입증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즉, 의료행위의 과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수술실 내에서의 의료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수술실에 CCTV를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15020호 “수술 영상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수술 영상 녹화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수술 영상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수술 영상 녹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술 영상을 녹화하고 이를 저장하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술실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115020호에서는 수술 영상 녹화 및 관리에 관한 것으로, 수술실에 촬영 카메라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수술 영상을 출력하는 것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촬영되는 영상의 음성의 저장 여부 및 개인 정보 보호 등에 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수술실에 CCTV를 설치하는 방안은 CCTV에 음성 저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료 행위에 대한 영상만을 촬영할 수 있는데, 음성 저장없이 의료 행위만으로는 명확한 의료사고 원인을 판단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CCTV를 설치하는 방안은 영상 촬영의 대상이 되는 의사, 간호사, 환자의 동의를 기반으로 운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CCTV를 설치하는 방안은 수술실 신체 노출의 정도와 수술 광경의 적나라함 및 영상의 유출 위험성이 있고, 의료진 입장에서는 의술의 자율성이 위축되어 소극적인 의료행위만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150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실 영상 촬영과 함께 수술실 내부에서의 음성 분석을 통해 수술실 내에서의 의료행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실 내부를 촬영한 영상에 대해 마스킹 처리함으로써 수술 장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고, 환자의 신체 노출을 최소화되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오남용 및 시스템을 이루는 각 장치의 로그설정, 사용내역 등을 계속적으로 감사함으로써, 영상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실을 출입하는데 있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실의 출입 또는 퇴실을 허용으로써 의료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수술실 출입 및/또는 퇴실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출입 인증 장치,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수술실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 관리 장치,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술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 및/또는 음성파일로 변환하는 음성 관리 장치, 음성 관리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음성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텍스트를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전자 의무 기록 장치 및 음성 관리 장치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가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술실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관리 장치는 수술실 내부를 촬영한 영상 및 영상 제공 이력을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수술실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모듈,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일부를 마스킹처리하는 마스킹처리모듈,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3D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처리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모듈,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스킹처리모듈에 의해 마스킹처리된 영상 및 시뮬레이션 처리모듈에 의해 시뮬레이션처리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및 영상 관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처리모듈은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일부 영역을 설정한 후, 설정된 영역의 화질 저하, 블랙스크린 처리 및 부분 가림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마스킹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출입 인증 장치는 수술실을 출입 및/또는 퇴실하려는 객체의 생태정보를 이용하여 수술실로의 출입 및/또는 퇴실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음성 관리 장치는 수술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입력모듈, 음성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음성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음성저장모듈 및 음성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한 후 텍스트 및/또는 또다른 음성으로 변환하여 수술실 내부에서 출력하는 음성변환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의무 기록 장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을 입력하고, 입력된 의무기록을 외부로 출력하는 입출력모듈, 입출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의무기록과 상기 음성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의무기록 저장모듈 및 수술실 내에 설치되고, 수술실 내에서 상기 의무기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술실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출입 인증 장치, 영상 관리 장치, 음성 관리 장치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 각각의 보안 상태, 암호화 설정 여부 및 영상 관리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오남용 패턴을 감사(監査)하는 수술실 감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술실 감사 장치는 오남용 패턴이 감지되면 경보알림 생성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 전송하고, 전자 의무 기록 장치는 경보알림 신호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수술실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고 관리하는 영상 관리 장치 및 수술실 내부의 음성을 인식하여 이를 분석하는 음성 관리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수술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의료 행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의료사고에 대해 명확한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성 관리 장치와 전자 의무 기록 장치를 연동시켜 음성 관리 장치에 의해 인식된 음성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한 후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 자동적으로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관리 장치에 의해 수술실 내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해 마스킹 처리하여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수술 장면에 대한 적나라함 및 이에 의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관리 장치에 의해 수술실 내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해 3차원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으로 환자의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보호자를 보다 안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관리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 저장된 기록 등에 대해 보안 설정 상태, 사용 이력 관리 등을 감사할 수 있는 수술실 감사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명확한 의료사고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고 개인정보 보호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출입 인증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영상 관리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마스킹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음성 관리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음성 관리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음성입력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 경보 알람의 표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수술실 제어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감사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관리 서버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관리 방법의 일 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EMR, 400),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망(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또는 원거리 통신망(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통신망(예: LAN 또는 WAN))일 수 있다.
출입 인증 장치(100)는 수술실에 출입하는 인원, 예를 들어, 의사, 간호사 등의 의료진 및 업무 관계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수술실 출입 및 퇴실을 인증할 수 있다. 출입 인증 장치(100)는 수술실을 출입하는데 있어 수술복의 형태, 장갑 착용 등으로 인해 QR 코드 또는 지문 인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생체 인식, 예를 들어, 홍체인식, 음성 인식 및 얼굴 인식 등으로 출입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출입 인증 장치(100)에서의 인증 내역 정보는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 관리 장치(200)는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수술실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관리 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을 마스킹처리하거나 3D 모델링을 통해 시뮬레이션화할 수 있다. 이에, 영상 관리 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해 인권침해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그 영상에 대한 거부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영상 관리 장치(200)의 영상에 대한 마스킹 처리 및/또는 시뮬레이션 처리 내역은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성 관리 장치(300)는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수술실 내부의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을 분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다시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음성 분석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예를 들어, 딥 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 관리 장치(300)에 의해 인식된 음성은 텍스트로 변환된 후 변환된 텍스트가 수술실 관리 서버(500)에 의해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와 연동되어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자동적으로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환자에 대한 의료 기록을 전자적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는 환자의 인적사항, 치료받고자 하는 진료항목, 진료예약 정보, 치료내역 정보, 입원 정도 등과 의사들이 환자를 진료한 후에 환자에 대하여 발생하는 오더(Order), 예를 들어 어떠한 약을 얼만큼 조제해야 하는지, 어떠한 주사를 놓아야 하는지, 어떠한 검사를 실시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들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음성 관리 장치(300)와 연동되어 음성 관리 장치(300)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파일이 자동적으로 기록되도록 하거나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저장된 파일, 예를 들어, CT, 엑스레이, MRI 자료 등과 같은 의무기록들이 음성 관리 장치(300)에 의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의무기록 등의 정보에 접근하려는 접속자, 접속 횟수 등의 관리를 위해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의 사용 내역을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수술실 감사 장치(500)의 감사 결과에 따라 수술실 감사 장치(500)로부터 경보알림 생성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알림을 외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수술실 감사 장치(500)는 촬영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의 보안 설정정도, 암호화 설정 여부, 각 장치로 수신되는 정보에 대해 감사(監査)하고, 감사 결과에 따라 경보알림 생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술실 감사 장치(500)는 수술실 내부를 촬영한 영상 정보 및 수술실 내부의 음성을 저장한 음성 정보가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오남용되는 것을 감사할 수 있다. 또한, 수술실 감사 장치(500)는 외부로 반출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의 무분별한 복제 및 재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재생횟수를 제한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장치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가 연동되도록 제어하고, 출입 인증 장치(100)의 인증 정보 확인,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의 보안상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의 오남용 발생, 영상정보와 음성정보 및 전자의무기록정보 관리 분석 및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의 진본성 평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수술실 관리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수술실 관리 플랫폼이란 통신망을 통해 웹 페이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등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수술실 관리 서버(6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및 수술실 감사 장치(500)는 수술실 관리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거나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출입 인증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출입 인증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출입 인증 장치(100)는 송수신모듈(110), 생체정보 인식모듈(120), 생체정보 저장모듈(130) 및 제어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110)은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송수신모듈(110)은 수술실을 출입하는 의료진 및 업무 관계자의 출입요청 및 생체인식정보를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고, 수술실 출입 내역, 수술실에 출입한 인적사항 및 출입 시간을 수술실 감사 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술실 감사 장치(500)로부터 출입 인증 장치(100)의 감사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부터 업데이트된 의료진 및 업무 관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생체정보 인식모듈(120)은 수술실을 출입 및/또는 퇴실하는 객체, 즉, 의료진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인식 방식은, 예를 들어, 홍체인식, 음성인식 및 얼굴인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생체정보 저장모듈(130)은 수술실을 출입할 수 있는 업무 관계자 각각에 대한 이름, 직책, 의료분야 및 생체정보 등의 의료진 각각의 개인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모듈(140)은 출입 인증 장치(100)의 세부 구성들의 각종 동작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140)은 수술실에 출입하려는 의료진 및/또는 업무 관계자로부터 출입 요청이 감지되면 생체정보 인식모듈(120)을 제어하여 의료진 및/또는 업무 관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생체정보와 생체정보 저장모듈(130)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수술실에 입장하도록 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술실에 입장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술실 입장에 대한 제어는 수술실 출입문의 개폐 제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40)은 출입 인증 장치(100)에 의해 인식된 의료진 또는 업무 관계자의 수술실 출입 정보 및 수술실 출입 내역을 송수신모듈(110)을 통해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출입 인증 장치(100)는 수술실에 출입하는 의료진 또는 업무 관계자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저장된 생체정보와 비교하여 수술실 출입 또는 퇴실을 허용함과 동시에 수술실 출입 및 퇴실 내역을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또는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수술실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영상 관리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영상 관리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마스킹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영상 관리 장치(200)는 통신모듈(210), 영상촬영모듈(220), 마스킹처리모듈(230), 영상저장모듈(240),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 영상출력모듈(260) 및 제어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210)은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부터 영상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영상촬영모듈(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스킹처리된 영상 및 시뮬레이션 처리된 영상과 함께 영상 제공 내역 및 영상 제공 일자 등을 포함하는 제공 정보를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210)은 마스킹처리모듈(230)에 의한 마스킹 처리 내역을 수술실 감사 장치(500)에 전송할 수 있다.
영상촬영모듈(220)은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수술실 내부를 촬영한다. 영상촬영모듈(220)은 일종의 카메라일 수 있으며, 영상촬영모듈(22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 영상일 수 있다.
마스킹처리모듈(230)은 영상촬영모듈(220)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마스킹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에 포함된 객체의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마스킹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4의 (a)는 마스킹 처리 전의 도면이고, (b)는 마스킹 처리 후의 도면이다. 도 4(a)의 실시예 도면과 도 4의 (b)의 실시예 도면을 비교하면 마스킹 처리될 영역(A, B)을 설정하고, 설정 영역(A, B)의 화질저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영역(A, B)의 화질 저하는 마스킹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추후 역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되어 설정 영역(A, B)의 원본 영상으로 복구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스킹 처리에 대해 화질저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블랙스크린, 부분 가림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저장모듈(240)은 영상촬영모듈(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 마스킹 처리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영상저장모듈(240)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영상 및 마스킹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처리모듈(230)에 의해 처리되어 저장된 영상은 일반 NVR 또는 onvif, rtsp를 통해 영상을 표출할 경우 마스킹된 영상이 표출됨으로 영상 내용의 확인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은 영상촬영모듈(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수술실 내부를 3D 모델링하여 처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은 영상촬영모듈(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수술실 내부의 가상신체모델 및 실제 수술 시의 촬영한 수술 데이터를 획득한 후 실제 수술 데이터에서 대상체에 대한 텍스처(texture)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텍스처 정보를 가상신체모델에 반영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상신체모델은 기존의 의료영상데이터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신체모델은 환자의 수술부위 대상인 신체 장치(즉, 대상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에 의해 시뮬레이션 처리된 영상을 환자의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환자 보호자는 실시간으로 수술 상태 확인이 가능하여 수술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술 상태 확인으로 인한 거부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에 의해 시뮬레이션 처리된 영상은 수련의를 위한 교육자료 또는 환자 및/또는 보호자를 위한 수술 시청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출력모듈(260)은 영상촬영모듈(22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스킹처리모듈(230)에 의해 마스킹처리된 영상 및/또는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에 의해 시뮬레이션 처리된 영상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출력모듈(260)은,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어모듈(270)은 영상 관리 장치(200)의 세부 구성들의 각종 동작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70)은 영상촬영모듈(220)에서 촬영된 영상이 마스킹처리모듈(230)에 의해 마스킹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부터 영상 제공 요청이 들어오면 영상촬영모듈(220)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에 의해 시뮬레이션 처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70)은 영상촬영모듈(220)에서 촬영된 영상, 마스킹처리모듈(230)에 의해 마스킹처리된 영상 등이 영상저장모듈(2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60)은 마스킹처리모듈(230)에 의해 마스킹 처리된 내역을 수술실 감사 장치(500)에 전송되도록 통신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관리 장치(200)는 수술실 내부를 촬영하되, 마스킹처리모듈(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마스킹처리함으로써 환자의 권리 및 의료행위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처리모듈(250)에 의해 수술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수술 과정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음성 관리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음성 관리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음성 관리 장치(300)는 통신모듈(310), 음성입력모듈(320), 음성저장모듈(330), 음성변환 출력모듈(340) 및 제어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310)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310)은 수술실 내에서 수술 중 발생한 음성을 인식하여 이를 변환한 텍스트를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전송하고, 음성 변환 내역, 텍스트 전송 내역 등을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310)은 수술실 감사 장치(500)로부터 음성 관리 장치(300)의 감사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음성입력모듈(320)은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거나 의료진이 착용하는 마스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입력모듈(320)은 일종의 마이크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입력모듈(320)은 수술실 내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마이크일 수 있으나,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실 내에서 착용하는 마스크 안쪽에 고정용 클립으로 부착될 수 있는 수술실 마스크 마이크(610) 형태일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객체인식과 연동될 수 있는 PTZ 마이크(620)일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영상 객체인식 기능과 연동하여 활용할 수 있는 지향성 마이크일 수도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수술실 마스크 마이크(610)는 충전 및 소독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송신 전용 마이크로 배터리 충전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PTZ 마이크(620)는 수술실 내의 의료진들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거리별 마이크 입력 감도를 자동 조정하여 사람의 음성을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저장모듈(330)은 음성입력모듈(32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음성저장모듈(330)은 음성변환 출력모듈(340)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음성저장모듈(330)은 수술실 내에서 음성입력모듈(320)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예를 들어, 딥 러닝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딥 러닝 알고리즘은 수술실 내부에서 사용되는 음성에 대해 미리 학습한 알고리즘이다.
음성변환 출력모듈(340)은 수술실 내에 입력된 음성을 텍스트 또는 또다른 음성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및 또다른 음성이 수술실 내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변환 출력모듈(340)은 수술실 내의 의료진의 음성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하고, STT(Speech To Text) 및/또는 TTS(Text To Speech) 시스템을 활용하여 텍스트 및/또는 다시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음성변환 출력모듈(340)은 수술실 내에서 투약을 하거나 어떠한 의료 행위 전 다시 한번 이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 스스로 처방이나 처치 등에서 오류를 발견할 수 있어 의료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음성변환 출력모듈(340)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부 및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영상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음성변환출력모듈(340)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의무기록에 대한 영상을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모듈(350)은 음성 관리 장치(200)의 세부 구성들의 각종 동작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50)은 음성입력모듈(320)에 의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저장모듈(330)에 저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성변환 출력모듈(340)을 통해 텍스트 또는 또다른 음성 변환한 후, 수술실 내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50)은 음성변환 출력모듈(340)에서 출력된 텍스트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로 전송되도록 통신모듈(3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성 관리 장치(300)는 수술실 내부의 음성을 녹음하고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변환된 텍스트들이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자동적으로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수술실 내의 의료 행위에 대한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성 관리 장치(300)는 수술실 내부의 음성을 녹음하고 이를 다시 음성으로 변환하여 수술실 내에 출력되도록 하고 의무기록 또한 출력되도록 하며 이를 의료진들이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이 내린 오더(order)를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어 혹여나 발생될 수 있는 의료사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 경보알림의 표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수술실 제어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통신모듈(410), 입출력모듈(420), 의무기록 저장모듈(430), 수술실 제어모듈(440) 및 컨트롤러(4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410)은 음성 관리 장치(300), 수술실 감사 장치(5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신모듈(410)은 수술실 제어모듈(440)에 의해 수술실 내에서의 의무기록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해당 의무기록을 음성 관리 장치(300)로 전송하고, 의무기록 제공 요청 수신이력을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410)은 전자 기록 의무 장치(400)의 암호 설정 상태 정보, 보안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수술실 감사 장치(500)로부터 경보알림 생성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입출력모듈(420)은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을 입력하고 입력된 의무기록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의무기록은 환자의 인적사항, 환자의 병명, 검사목록, 엑스레이, MRI, CT 촬영 등으로 인한 검사자료, 입퇴원기록, 수술기록, 수술예후, 처방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420)은 수술실 감사 장치(500)로부터 경보알림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경보알림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모듈(420)은 일종의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LCD 및 OLED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일 수 있다.
의무기록 저장모듈(430)은 입출력모듈(420)에 의해 입력된 의무기록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의무기록 저장모듈(430)은 음성 관리 장치(300)와 연동되어 음성 관리 장치(300)에 의해 수술 시 수술실 내에서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수술실 제어모듈(440)은 수술실 내에 설치되고, 수술실 내에서 의무기록 저장모듈(430)에 저장된 의무기록이 수술실 내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술실 제어모듈(4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마우스(91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술실 제어모듈(440)인 풋마우스(910)에 의해 의무기록이 수술실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고, 음성 관리 장치(300)의 영상출력부(920)에 표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450)는 전자 의무 기록 장치(200)의 세부 구성들의 각종 동작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450)는 수술실 제어모듈(440)에 의해 의무기록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의무기록 저장모듈(430)에 저장된 의무기록들이 음성 관리 장치(300)에 제공되도록 통신모듈(410)을 제어할 수 있고, 음성 관리 장치(300)로부터 수술실에서의 기록 정보인 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의무기록 저장모듈(43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음성 관리 장치(300)와 연동되어 음성 관리 장치(300)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데이터들이 의무기록 저장모듈(430)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수술실 내의 의료 행위에 대한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수술실 제어모듈(440)에 의해 의무기록 저장모듈(430)에 의해 저장된 의무기록들을 음성 관리 장치(300)로 출력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이를 음성 관리 장치(300)에 의해 수술실 내에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진 입장에서는 의료진이 행하는 의료 행위에 대한 오류 등을 발견하여 의료진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검사 장치(5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감사 장치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감사 장치(500)는 통신모듈(510), 보안수준 분석모듈(520), 암호화 설정모듈(530), 정보 감사모듈(540), 경보알림 생성모듈(550) 및 제어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510)은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신모듈(510)은 출입 인증 장치(100)로부터 수술실 출입 인증 내역을 전송받을 수 있고, 영상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술실 내 촬영된 영상에 대한 마스킹 내역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음성 관리 장치(300)로부터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전송된 데이터 내역을 전송받을 수 있고,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로부터 암호 설정 상태 데이터 및 보안 상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510)은 경보알림 생성모듈(550)에서 생성된 경보알림 생성신호를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고, 보안수준 분석모듈(520)에 의한 분석데이터, 암호화 설정모듈(530)에 의해 설정된 암호화 데이터, 영상데이터 감사모듈(540)에 의해 감사데이터를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안수준 분석모듈(520)은 출입 인증 장치(100)의 생체 인식 설정 상태, 영상 관리 장치(200)의 마스킹 처리 상태,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의 비밀번호 설정 상태 등을 분석하고, 보안에 취약성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안수준 분석모듈(520)은 설정된 비밀번호가 취약성이 있는지 비밀번호인지 분석할 수 있고, 비밀번호 변경주기가 어떻게 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으며, 암호화 여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암호화 설정모듈(530)은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각각에 대해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감사모듈(540)은 영상 관리 장치(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스킹처리된 영상 및 시뮬레이션처리된 영상에 백업, 삭제시점, 임의 백업, 포맷, 파일 전송 등을 감사할 수 있다. 여기서, 백업영상은 AVI 및 암호화(SEC)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감사모듈(540)은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오남용 패턴이 감지되는지를 감사할 수 있다. 여기서, 오남용 패턴이란 과거 영상 검색, 비인가시간에 접속되는 아이디, 대용량 파일 전송, 업무시간 외 접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감사모듈(540)은 위조 및 변조여부 또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인증 장치(100)의 생체인식 정보가 전자적으로 생성된 것인지 여부, 클라우드 저장 여부 등으로 위조 및 변조 여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감사모듈(540)은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를 목적외 사용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목적외 사용여부는 영상 관리 장치(200)를 이루는 영상촬영모듈(220)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었는지 등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감사모듈(540)은 반출영상 열람횟수, 열람가능기간 등을 제한할 수 있다.
경보알림 생성모듈(550)은 정보 감사모듈(540)에 의해 감사된 결과에 따라 경보알림 생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보알림 생성모듈(550)은 정보 감사모듈(540)에 의한 감사결과 오남용 패턴이 감지된 경우 경보알림 생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경보알림 생성신호는 통신모듈(510)을 통해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또는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등에 전송되어 관리자 또는 의료진에게 오남용 패턴이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제어모듈(560)은 수술실 감사장치(500)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들의 각종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560)은 출입 인증 장치(100)로부터 수술실 출입 인증 내역을 전송받아 생체정보가 위조 및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정보 감사모듈(540)에 의해 감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560)은 영상 관리 장치(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 마스킹처리된 영상 정보 및 시뮬레이션 처리된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백업주기, 삭제시점, 임의백업, 포맷, 파일전송 등을 분석하고 오남용 패턴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정보 감사모듈(540)에 의해 감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560)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의 비밀번호, 비밀번호 변경주기, 비밀번호 설정 상태 등 및 보안에 취약성이 있는지를 보안수준 분석모듈(520)에 의해 분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560)은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각각에 대해 암호화 설정모듈(540)에 대해 암호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술실 감사 장치(500)는 보안수준 분석모듈(520), 암호화 설정모듈(530), 정보 감사모듈(540) 및 경보알림 생성모듈(550)에 의해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보안 기능을 향상시켜 수술실 내부에서 촬영된 영상 및 녹음된 음성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관리 서버(6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1의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관리 서버의 상세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통신모듈(610), 개인정보 관리모듈(620), 로그수집 관리모듈(630), 영상제공 관리모듈(640), 사용이력 관리모듈(650), 상태정보 저장모듈(660) 및 제어모듈(67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610)은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및 수술실 감사 장치(500)와의 정보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신모듈(610)은 출입 인증 장치(100)로부터 수술실 출입/퇴실 인증 요청 및 생체인식 요청을 전송받을 수 있고, 영상 관리 장치(200)로부터 수술실 내 촬영된 영상에 대한 마스킹 내역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음성 관리 장치(300)로부터 텍스트 변환 내역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로부터 저장된 파일 검색 내역, 보안상태, 삭제, 백업 등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610)은 출입 인증 장치(100)로 생체인식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모듈(620)은 수술실을 출입할 수 있는 의료진, 환자 및 그외 업무 관계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개인정보에는 의료진 및 업무 관계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모듈(620)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미리 저장된 개인정보들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개인정보 관리모듈(620)은 개인정보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수신되거나 입력되면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미리 저장된 개인정보들을 업데이트되어 저장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로그수집 관리모듈(630)은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각각에 포함된 기기 및 장치들에 의한 실시간 로그수집, 파일단위 정보 수집 및 DB쿼리를 통한 벌크수집을 수행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영상제공 관리모듈(640)은 영상 관리 장치(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스킹된 영상 및 시뮬레이션 영상들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제공 요청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이력 관리모듈(650)은 촬영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각각에 대한 관리자,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 등을 생성하고,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저장된 파일들의 삭제, 저장, 입력 등의 기록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력 관리 모듈(650)은 촬영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및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각각에 포함된 기기, 예를 들어, 카메라,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설치 일자, 점검 일자, 사용 일자 등의 사용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상태정보 저장모듈(660)은 촬영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 및 수술실 감사 장치(500) 각각에 대한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모듈(670)은 수술실 관리 서버(600)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들의 각종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670)은 출입 인증 장치(100)로부터 수술실 출입/퇴실 인증 요청 및 생체인식 요청을 전송받으면 개인정보 관리모듈(620)를 제어하여 인증 요청에 대해 요청된 개인정보와 비교하도록 하고, 비교한 후의 확인 정보를 통신모듈(610)에 의해 출입 인증 장치(100)로 다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670)은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장치(400) 및 수술실 감사 장치(500)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대해 로그수집 관리모듈(630), 영상제공 관리모듈(640) 및 사용이력 관리모듈(650)을 제어하여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관리 장치(400) 및 수술실 감사 장치(500)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상태정보 저장모듈(6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수술실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관리 서버의 관리 방법의 일 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관리 방법에 따르면,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출입 인증 장치(100)에서 수술실 출입요청 및 생체정보가 인식되면(S101) 이를 확인한 후, 출입 인증 장치(100)는 수술실 출입요청 및 생체인식내역을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S102).
이어서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출입 인증 장치(100)로부터 수술실 출입요청 및 생체인식내역을 전송받고 이를 저장한다(S103).
이와 같은 출입 인증 장치(100)에 의해 수술실 출입 인증 요청이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되면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수술이 곧 시작될 것으로 판단하여 음성 관리 장치(300)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를 연동시킬 수 있다(S104).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관리 장치(300)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만이 연동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관리 장치(200)까지 포함하여 연동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출입 인증 장치(100) 및 수술실 감사 장치(500)를 포함하여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 인증 장치(100)에서 인증 요청이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되면 음성 관리 장치(300)와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가 연동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술 시작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연동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음성 관리 장치(300)는 수술실에서 음성이 인식되면 이를 STT 및/또는 TTS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저장한다(S105).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이때, 음성 관리 장치(300)는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로만 변환하지 않고, 또다른 음성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음성 관리 장치(300)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는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로 전송되고(S106), 전송된 텍스트 정보는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자동적으로 기록되고 저장된다(S107). 이때, 음성 관리 장치(300)는 텍스트 변환 내역을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108). 이에,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텍스트 변환 내역을 관리하고 저장할 수 있다(S109).
한편, 수술실에서 수술이 시작되면 영상 관리 장치(200)는 수술실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고(S111), 영상 관리 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해 거부감이 들지 않으면서 개인 정보가 보호되도록 영상을 마스킹 처리한다(S112).
이어서, 영상 관리 장치(200)는 환자의 보호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영상을 3차원 모델링되도록 시뮬레이션 처리할 수 있다(S113). 이렇게 영상 관리 장치(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마스킹 및 시뮬레이션 처리된 영상 및 그 정보에 대해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하고(S114),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영상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그 처리 내역을 저장한다(S115).
이어서, 음성 관리 장치(300)에 의해 의무기록 요청에 대한 음성이 인식되면(S116) 음성 관리 장치(300)는 인식된 의무기록 요청 정보를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전송하고(S117),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요청된 의무기록을 검색한 후(S118), 요청된 의무기록을 음성 관리 장치(300)로 전송한다(S119).
이어서, 음성 관리 장치(300)는 영상출력부를 통해 요청된 의무기록이 표시되도록 하여(S120) 의료진이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음성 관리 장치(300)는 수술완료에 대한 음성이 인식되면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고(S121),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로 전송한다(S122). 이때, 수술완료에 대한 음성에는 수술을 실시한 메인 의료진의 이름, 마무리를 진행하는 의료진의 이름, 이를 보조하는 간호사의 이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은 수술실에서 수술 중 수술실 내부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에 자동적으로 저장되면서 수술의 메인 의료진, 보조 의료진, 간호사 등의 이름 또한 음성으로 인식하여 자동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대리 수술과 관련된 불법 의료 행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는 음성 관리 장치(300)에서 전송된 텍스트를 기록하고 이를 저장한다(S124). 한편, 음성 관리 장치(300)는 인식된 음성이 텍스트로 변환된 내역을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S123).
이어서, 출입 인증 장치(100)에서 수술실 퇴실 요청 및 생체 정보가 인식되면(S125) 이를 확인 후, 출입 인증 장치(100)는 수술실 퇴실요청 및 생체인식내역을 수술실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S126).
이어서 수술실 관리 서버(600)는 출입 인증 장치(100)로부터 수술실 퇴실요청 및 생체인식내역을 전송받고 이를 저장하면(S127) 본 발명에 따른 수술 과정 중 수술실 관리 과정이 종료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의 수술실 관리 방법에서 수술실 감사 장치(500)에 대해 설명하지 않았으나, 수술실 감사 장치(500)는 실시간으로 출입 인증 장치(100), 영상 관리 장치(200), 음성 관리 장치(3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400)로부터 실시간으로 보안, 암호 및 개인정보에 대한 사용 내역을 계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각 장치 및 수술실 관리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로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이고, 그 등가개념에서 파생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한 형태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의술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대리 의료 등에 대한 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출입 인증 장치
200: 영상 관리 장치
300: 음성 관리 장치
400: 전자 의무 기록 장치
500: 수술실 감사 장치
600: 수술실 관리 서버

Claims (8)

  1. 수술실 출입 및/또는 퇴실하는 객체를 확인하는 출입 인증 장치;
    상기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술실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 관리 장치;
    상기 수술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술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 및/또는 음성파일로 변환하는 음성 관리 장치;
    상기 음성 관리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음성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텍스트를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전자 의무 기록 장치; 및
    상기 음성 관리 장치와 전자 의무 기록 장치가 연동되도록 제어하는 수술실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관리 장치는,
    상기 수술실 내부를 촬영한 영상 및 영상 제공 이력을 외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상기 수술실 내부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모듈;
    상기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일부를 마스킹처리하는 마스킹처리모듈;
    상기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3D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처리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모듈;
    상기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 상기 마스킹처리모듈에 의해 마스킹처리된 영상 및 상기 시뮬레이션 처리모듈에 의해 시뮬레이션처리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및
    상기 영상 관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처리모듈은,
    상기 영상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일부 영역을 설정한 후, 설정된 영역의 화질 저하, 블랙스크린 처리 및 부분 가림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마스킹처리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인증 장치는,
    상기 수술실을 출입 및/또는 퇴실하려는 객체의 생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술실로의 출입 및/또는 퇴실을 인증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관리 장치는,
    상기 수술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입력모듈;
    상기 음성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음성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음성저장모듈; 및
    상기 음성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인식한 후 텍스트 및/또는 또다른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수술실 내부에서 출력하는 음성변환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의무 기록 장치는,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을 입력하고, 입력된 의무기록을 외부로 출력하는 입출력모듈;
    상기 입출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의무기록과 상기 음성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텍스트를 저장하는 의무기록 저장모듈; 및
    상기 수술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술실 내에서 상기 의무기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술실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인증 장치, 상기 영상 관리 장치, 상기 음성 관리 장치 및 상기 전자 의무 기록 장치 각각의 보안 상태, 암호화 설정 여부 및 상기 영상 관리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오남용 패턴을 감사(監査)하는 수술실 감사 장치를 더 포함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실 감사 장치는 상기 오남용 패턴이 감지되면 경보알림 생성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의무 기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자 의무 기록 장치는 상기 경보알림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는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KR1020220011737A 2022-01-26 2022-01-26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KR20230115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737A KR20230115124A (ko) 2022-01-26 2022-01-26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737A KR20230115124A (ko) 2022-01-26 2022-01-26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124A true KR20230115124A (ko) 2023-08-02

Family

ID=8756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737A KR20230115124A (ko) 2022-01-26 2022-01-26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51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020B1 (ko) 2010-08-16 2012-03-06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수술 영상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수술 영상 녹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020B1 (ko) 2010-08-16 2012-03-06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수술 영상을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수술 영상 녹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48547A (ja) 異常行動検知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行動検知方法
JP6624340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US10037408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computer files and for securing medical records
JP5513234B2 (ja) 入場者管理装置
US20200327755A1 (en) Secure zone access control
JP2008027286A (ja) 個人認証システム
KR101754659B1 (ko) 응급구조 시의 안전한 자동권한위임 방법
KR20230115124A (ko) 수술실 운용 관리 시스템
KR20090065716A (ko) 홍채를 이용한 유비쿼터스형 보안 및 헬스케어 시스템
CN112035818B (zh) 一种基于物理加密辐射成像身份认证系统
US8442277B1 (en)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gress of an individual visiting a facility
JP5524250B2 (ja) 異常行動検知装置、監視システム、異常行動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09051A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ならびに撮影プログラム
JP2022117025A (ja) 本人確認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システム
KR101047140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무인 의료 접수 및 정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WO2023276322A1 (ja) 入退管理システム
James et al.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determine the intention to use biometric devices
WO2022180816A1 (ja) 入場判定システム、入場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5339164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EP4020432A1 (en) Personal surveillance device, system and method
Matejka et al. Biometric data and its specific legal protection
Ahmed et al. Evaluating the Efficacy of Biometric Authentication Techniques in Healthcare
Tibor et al. Reduced-parameter biometric identification capabilities to protect critical infrastructures and special objects
WO2022168587A1 (ja) 顔認証装置および顔認証方法
Kryukova et al. Proposals for the Application of Modern Biometric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Control, Surveillance and Protection of Access to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