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938A -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 Google Patents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938A
KR20230114938A KR1020220011301A KR20220011301A KR20230114938A KR 20230114938 A KR20230114938 A KR 20230114938A KR 1020220011301 A KR1020220011301 A KR 1020220011301A KR 20220011301 A KR20220011301 A KR 20220011301A KR 20230114938 A KR20230114938 A KR 2023011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munication
partition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권
Original Assignee
김창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권 filed Critical 김창권
Priority to KR102022001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938A/en
Publication of KR2023011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93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용 통신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연결가능한 제1모듈 및 제2모듈 중 적어도 제1모듈을 포함하고, 파티션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에 있어서, 제1모듈은, 파티션에 연결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통신망을 분배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랜케이블; 및 케이스 내부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마련되고,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열람되는 전원제공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which includes at least a first module among a first module and a second module connectable to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and disposed in a partition, wherein the first module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A case including a bracket for connecting; A terminal located in the case and distribu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ne or more LAN cables extending from th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power cable extending into the case and selectively browsed from the surface of the case.

Description

파티션용 통신모듈{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Com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본 발명은 파티션용 통신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일반적으로 사무공간을 구성할 때 파티션을 통해 기 결정된 공간을 구획하여 책상 및 컴퓨터 등의 착석자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파티션과 컴퓨터의 경우 필수적인 사무용품이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는 보통의 경우 파티션으로 구획된 공간에 책상이 위치되고 책상 위 또는 책상 아래에 본체가 놓여짐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는 사무공간을 상당량 차지하게 되고, 사무실의 구조변경 시에 재조립 및 설치의 번거로움이 있다.In general, when configuring an office space,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partitioned through a partition to configure a space in which occupants such as desks and computers can perform tasks. At this time, partitions and computers are essential office supplies. In general, the computer may be installed by placing a desk in a space divided by partitions and placing the main body on or under the desk. However, this arrangement occupies a considerable amount of office space, and there is a hassle of reassembly and installation when the structure of the office is changed.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설치편의성과 사무공간의 확보를 기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ans that can be expected to secure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office space 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7-0123840 호 (2017. 11. 0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7-0123840 (2017. 11. 0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C와 같은 단말기에 통신상으로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통신회선의 제공이 되고, 설치된 위치에서 파티션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통신모듈의 연속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line so that it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terminal such as a PC, and to be connected to a partition at an installed location so that a continuous connection of communication modules can be selectively made. do.

본 발명은 파티션용 통신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연결가능한 제1모듈 및 제2모듈 중 적어도 제1모듈을 포함하고, 파티션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에 있어서, 제1모듈은, 파티션에 연결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케이스;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통신망을 분배하는 단말기; 단말기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랜케이블; 및 케이스 내부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마련되고,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열람되는 전원제공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which includes at least a first module among a first module and a second module connectable to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and disposed in a partition, wherein the first module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A case including a bracket for connecting; A terminal located in the case and distribu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ne or more LAN cables extending from the terminal;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power cable extending into the case and selectively browsed from the surface of the case.

그리고, 제2모듈은 단말기로부터 접근이 허용되어,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제1모듈과 통신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module is allowed access from the terminal and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in a wired or wireless form.

또한, 제1모듈 및 제2모듈은 랜케이블과 연결되고, RJ45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통신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roviding unit connected to a LAN cable and connectable to an RJ45 cable.

또한, 제2모듈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하나의 제1모듈과 복수개의 제2모듈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modules may be provided, and one first module and a plurality of second modules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allow communication.

또한, 제1모듈 및 제2모듈은 각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처리부는 USB를 포함한 입력단자를 포함한 포트제공부를 포함하고 포트제공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와 연결가능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further includes a processing unit, and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 port providing unit including an input terminal including USB and is connectable to a display and an input device through the port providing unit.

또한, 단말기에 인터넷을 공유하는 메인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2모듈은 단말기로부터 인터넷이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sharing the Internet, and the second module can share the Internet from the terminal.

또한, 제1모듈 및 제2모듈 간의 연결은 바디 및 복수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통신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접속부가 제1모듈 및 제2모듈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is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including a body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nd the connection can be made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s to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respectively.

또한, 제1모듈은 단말기에 의해 무선으로 제2모듈에 인터넷을 공유하고, 제2모듈은 단말기로부터 공유되는 인터넷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dule may wirelessly share the Internet with the second module by the terminal, and the second module may include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hared Internet from th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C와 같은 단말기에 통신상으로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통신회선의 제공이 되고, 설치된 위치에서 파티션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통신모듈 간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이 제공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line so that it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terminal such as a PC, and is connected to a partition at an installed location so that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between communication module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이 설치된 파티션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 및 제2모듈 간 유선으로 연결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 내부터 처리부가 배티된 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통신부 및 통신모듈 간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
1 is a diagram showing a partition in which a communication modu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wired connection between a first module and a secon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m in which a processing unit is batted from within a firs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모듈(100)이 설치된 파티션(10)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partition 10 in which a communica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모듈(100)은 파티션(10)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모듈(100)이 파티션(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파티션(10)에 의해 구성된 공간 내에 설치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통해 개시된 파티션(10)에 의한 공간은 일 예시이고 파티션(10)을 통한 다양한 조합을 통한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ommunication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a partition 10 .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partition 1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partition 10. The space by the partition 10 disclosed through FIG. 1 is an example and may be provided in a space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through the partition 10.

그리고, 파티션(10)을 통해 구성된 공간에 예를 들어 사무공간이 마련되면 사무용 PC 및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들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나아가, PC 그자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테이블(40) 상에 배치된 본체(30)를 대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보다 개선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And, for example, if an office space is provided in the space configured through the partition 10, office PCs and devices may be disposed. It is provided to provide power to these equipments, and furthermore, it can replace the main body 30 disposed on the table 40 by performing the role of the PC itself, an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20 It allows us to organize a better space.

또한, 통신모듈(100)은 통신이 될 수 있도록 분배, 수신 등을 수행하는 단말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기능의 수행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통신모듈(100)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1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100) 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군집된 규모의 통신모듈(100)을 기 결정된 단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이하에서 설명할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 중 적어도 제1모듈(110)을 하나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며, 경우에 따라 하나의 제1모듈(110) 및 복수의 제2모듈(120)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제1모듈(110)이 상기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될 수 있고 제2모듈(120)은 제1모듈(110)을 통해 인터넷을 공유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may include a terminal 116 that performs distribution and reception to enable communication. The execution of such a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100 among the communication modules 100 continuously connected. He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s 100 is formed by wire or wireless, and the communication modules 100 of a predetermined cluster size can be controlled for each predetermined unit.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module 110 among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to be described below, and in some cases one first module 110 ) and a plurality of second modules 120. The first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second module 120 may share the Internet through the first module 110 .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 간 유선으로 연결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wired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파티션(10)용 통신모듈(100)은 서로 연결가능한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 중 적어도 제1모듈(110)을 포함하고, 파티션(10)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모듈(110)은, 파티션(10)에 연결시키는 브라켓(B)을 포함하는 케이스(111), 케이스(111) 내에 위치되고 통신망을 분배하는 단말기(116), 단말기(116)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랜케이블(117), 및 케이스(111) 내부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112)과 연결되어 마련되고 케이스(111)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열람되는 전원제공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for the partition 10 includes at least the first module 110 among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connectable to each other, and the partition It can be arranged connected to (10). Here, the first module 110 includes a case 111 including a bracket B connected to the partition 10, a terminal 116 located in the case 111 and distributing a communication network, and extending from the terminal 116 It may include one or more LAN cables 117, and a power supply unit 114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power cable 112 extending into the case 111 and selectively viewed from the surface of the case 111.

그리고, 제2모듈(120)은 단말기(116)로부터 접근이 허용되어,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제1모듈(110)과 통신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모듈(120)도 랜케이블(117) 및 전원케이블(112)에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 제1모듈(110)로부터 전기 및 통신 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odule 120 is allowed access from the terminal 116 and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110 in a wired or wireless form. Of course, the second module 120 also include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LAN cable 117 and the power cable 112, so it can be electrically and communicatively connected from the first module 110.

구체적으로 제1모듈(110)은 단말기(116)로부터 분배되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랜케이블(117)을 포함한다. 상기 랜케이블(117)은 단말기(116)로부터 분배되어 케이스(111)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은 통신 상으로 제2모듈(120)과 연결되기 위해 예를 들어 RJ45에 대응되는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시된 통신연결부(110a)에 의해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도시된 예와 달리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module 110 includes one or more LAN cables 117 that are distributed and extended from the terminal 116 . The LAN cable 117 may be distributed from the terminal 116 and extended toward one end of the case 111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with a port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RJ45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module 120 through communication. That is, this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llustrated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10a, and may be connected wirelessly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이러한 경우에는 제2모듈(120) 내에는 제2모듈(120)이 단말기(116)와 통신 상으로 연결되기 위한 수신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모듈(110)은 단말기(116)에 의해 무선으로 제2모듈(120)에 인터넷을 공유하고, 제2모듈(120)은 단말기(116)로부터 공유되는 인터넷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a receiver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second module 120 to the terminal 116 through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module 120 . That is, the first module 110 wirelessly shares the Internet with the second module 120 by the terminal 116, and the second module 120 includes a receiver that receives the Internet shared from the terminal 116. It can be done.

한편, 통신연결부(110a)를 통해 연결되는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은 바디(111a) 및 복수 개의 접속부(112a)를 포함하는 통신연결부(110a)에 의해 연결되고, 접속부(112a)가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디(111a)는 접속부(112a)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바디(111a)는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여 경우에 따라 케이블을 권취하는 바디(111a) 내의 공간으로부터 인출하여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 간 이격된 거리를 보상할 수 있다. 이는 파티션(10)이 소정의 형태로 구성되는 과정에서 통신모듈(100)이 보다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110a are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110a including the body 111a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12a, and the connection part (112a) can be connec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respectively. Here, the body 111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12a through a cable, and the body 111a winds the cable and, in some cases, withdraws it from the space in the body 111a where the cable is wound, and connects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body 111a.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odules 120 may be compensated for. This can allow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to be installed more freely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 partition 10 in a predetermined shape.

상기 제1모듈(110)의 케이스(111) 내부에서 연장되는 랜케이블(117)은 통신제공부(118)와 연결되어 케이스(111) 외측으로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신제공부(118)는 RJ45와 같은 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LAN cable 117 extending inside the case 111 of the first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roviding unit 118 so that the cable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1. That is, the communication providing unit 118 can function as a means to which a cable such as RJ45 can be connected.

또한, 도시된 바에 의하면 통신케이블(113)의 케이스(111) 외측에서 케이스(111) 내측으로 인입되어 전원제공부(114)와 연결되어 전원제공부(114)를 통해 콘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공부(114)는 케이스(111) 내측으로 회동되어 내장되거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the communication cable 113 is l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1 to the inside of the case 111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14 to provide an outlet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114. As shown in FIG. 3 , the power supply unit 114 may be rotat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11 and may be built in or exposed to the outs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10)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first modu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rst modu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원제공부(114)가 케이스(111) 내측에서 케이스(111) 외측으로 90도 회동을 통해 내장되거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케이스(111) 내부로 내장 또는 노출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이며, 90도 회동되는 각도는 이에 제한된 바 없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power supply unit 114 may be built in or exposed to the outside by rotating 90 degrees from the inside of the case 111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1 . Of course, this is only one example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being embedded or exposed into the case 111, and the angle rotated by 90 degrees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랜케이블(117)을 통해 각종 기기와 연결되기 위해 통신라인(115)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랜케이블(117)과 연결된 통신제공부(118)가 마련될 수 있고,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이 서로 연결되기 위해 제1모듈(110)에는 통신전달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전달부 및 통신제공부(118)는 예를 들어, RJ45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are connected by wire, a communication line 115 may be provided to connect to various devices through a LAN cable 117. To this end, a communication providing unit 118 connected to the LAN cable 117 may be provided, and in order for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module 110 has a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 119) can be provided. Here, the communication delivery unit and the communication providing unit 118 may be, for example, a configuration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n RJ45 cable.

한편, 통신모듈(100)이 파티션(10)에 연결되기 위해 브라켓(B)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고정되기 위한 탈착가능한 연결이며, 상기 브라켓(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1)의 양측에 마련되어 각각이 파티션(10)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모듈(100)은 파티션(10)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브라켓(B)은 파티션(10)의 형태에 연결가능하게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형상이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a bracket (B)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to the partition 10. Here, the connection is a detachable connection to be fixed, and the brackets (B)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se 111 and connected to the partition 10, respectively, as shown. Since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must be connected to the partition 10, the bracket B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artition 10 connectably, and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10) 내부터 처리부(200)가 배치된 형태의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rm in which the processing unit 200 is disposed from within the first modul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모듈(110) 및 제2모듈(120)은 각각 처리부(200)를 더 포함하고, 처리부(200)는 USB를 포함한 입력단자를 포함한 포트제공부(201)를 포함하고 포트제공부(201)를 통해 디스플레이(20) 및 입력장치와 연결가능하다. 또한, 처리부(20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11)의 일부에는 냉각팬(F)이 마련될 수 있다. 처리부(200)가 구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것이며 처리부(200)는 도 1에 예시로써 도시된 컴퓨터의 본체(30)를 대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100) 내부에 PC를 내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처리부(200)를 이용하기 위한 주변 장치로서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및 디스플레이(20)를 연결하기 위해 포트제공부(201)가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each of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second module 120 further includes a processing unit 200, and the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 port providing unit 201 including an input terminal including USB. and can be connected to the display 20 and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port providing unit 201. In addition, when the processing unit 200 is further included, a cooling fan F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case 111 . It is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in the course of driving the processing unit 200, and the processing unit 200 may function to replace the main body 30 of the computer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That is, it is possible to embed a PC inside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Therefore, a port providing unit 201 may be provided to connect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and the display 20 as peripheral devices for using the processing unit 20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통신부(150) 및 통신모듈(100) 간의 연결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5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16)에 인터넷을 공유하는 메인통신부(150)를 더 포함하고, 제2모듈(120)은 단말기(116)로부터 인터넷이 공유될 수 있다. 즉, 적어도 제1모듈(110)을 포함하는 통신모듈(100)이 다수개 마련되고, 각 통신모듈(100)은 메인통신부(150)로부터 인터넷을 공유받을 수 있다. 메인통신부(150)는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통신부일 수 있고, 메인통신부(15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통신모듈(100)은 제1모듈(110)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terminal 116 further includes a main communication unit 150 that shares the Internet, and the second module 120 may share the Internet from the terminal 116 . That i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100 including at least the first module 110 are provided, and each communication module 100 can share the Internet from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50 .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a communication unit providing WiFi,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the first module 110 .

상기 제1모듈(110)은 제2모듈(120)에 접속권한을 제공하여 통신 상으로 접근이 허용된 제2모듈(120)만 제1모듈(110)과 통신 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듈(110)과 통신상으로 연결되기 위해 제2모듈(120)은 기 설정된 코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거나 특정 계정을 통해 제1모듈(110)로 접근이 요구될 수 있다. 즉, 통신모듈(100)의 규모는 제1모듈(110)의 단말기(116)로부터 결정가능하며, 특정 회선의 사용은 접근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될 수도 있다. 제2모듈(120)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하나의 제1모듈(110)과 복수개의 제2모듈(120)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The first module 110 provides access authority to the second module 120 so that only the second module 120 whose access is allowed through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110 through communication. For example, in order to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110, the second module 120 must include a preset code or access to the first module 110 may be requested through a specific account. That is,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0 can be determined from the terminal 116 of the first module 110, and the use of a specific line may be permitted only when there is an access right. A plurality of second modules 120 may be provided, and one first module 110 and a plurality of second modules 120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allow communic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 : 파티션
20 : 디스플레이
30 : 본체
40 : 테이블
100 : 통신모듈
110 : 제1모듈
110a : 통신연결부
111 : 케이스
111a : 바디
111b : 개방공
112 : 전원케이블
112a : 접속부
113 : 통신케이블
114 : 전원제공부
114a : 인출공
115 : 통신라인
116 : 단말기
117 : 랜케이블
117a : 절곡부
118 : 통신제공부
118a : 개구부
119 : 통신전달부
120 : 제2모듈
150 : 메인통신부
200 : 처리부
201 : 포트제공부
B : 브라켓
F : 냉각팬
10 : Partition
20: display
30: body
40: table
100: communication module
110: first module
110a: communication connection
111: case
111a: body
111b: open hole
112: power cable
112a: connection part
113: communication cable
114: power supply unit
114a: withdrawal hole
115: communication line
116: terminal
117: LAN cable
117a: bent portion
118: communication provider
118a: opening
119: communication transmission unit
120: second module
150: main communication unit
200: processing unit
201: port provision unit
B: Bracket
F : Cooling fan

Claims (8)

서로 연결가능한 제1모듈 및 제2모듈 중 적어도 제1모듈을 포함하고, 파티션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상기 파티션에 연결시키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되고 통신망을 분배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랜케이블; 및
상기 케이스 내부로 연장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열람되는 전원제공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
In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module among a first module and a second module connectable to each other and disposed connected to the partition,
The first module,
A case including a bracket connected to the partition;
a terminal located in the case and distributing a communication network;
one or more LAN cables extending from th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comprising a;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 power cable extending into the case, and a power supply unit selectively viewed from the surface of the c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근이 허용되어,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상기 제1모듈과 통신상으로 연결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odule is allowed access from the terminal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module in a wired or wireless 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은 상기 랜케이블과 연결되고, RJ45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통신제공부를 포함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connected to the LAN cable and include a communication providing unit to which an RJ45 cable is connectab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듈은 복수개 마련될 수 있고, 하나의 제1모듈과 복수개의 상기 제2모듈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허용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module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one first module and a plurality of second modules ar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allow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은 각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USB를 포함한 입력단자를 포함한 포트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제공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및 입력장치와 연결가능한, 파티션용 통신모듈.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further includes a processing unit,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 port providing unit including an input terminal including USB and is connectable to a display and an input device through the port providing unit,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인터넷을 공유하는 메인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터넷이 공유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sharing the Internet with the terminal,
In the second module, the Internet is shared from the terminal, a communication module for a part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 간의 연결은 바디 및 복수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통신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모듈 및 상기 제2모듈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지는, 파티션용 통신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is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connection part including a body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nd the connection is made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s to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respectively.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듈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무선으로 상기 제2모듈에 인터넷을 공유하고, 상기 제2모듈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공유되는 인터넷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파티션용 통신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odule wirelessly shares the Internet with the second module by the terminal, and the second module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hared Internet from the terminal.
KR1020220011301A 2022-01-26 2022-01-26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KR202301149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01A KR20230114938A (en) 2022-01-26 2022-01-26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301A KR20230114938A (en) 2022-01-26 2022-01-26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938A true KR20230114938A (en) 2023-08-02

Family

ID=8756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301A KR20230114938A (en) 2022-01-26 2022-01-26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93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840A (en)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창인컴퍼니 Partition for game ro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840A (en)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창인컴퍼니 Partition for game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6529A1 (en) Management module, z-strip, and mini-ats systems and related components
US8743551B2 (en) Server rack system
TWI461136B (en) Rack mounted computer system and cable management mechanism thereof
US20050232159A1 (en) Scalable extensible network test architecture
US8720348B2 (en) Bilateral rotation apparatus and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US8187028B2 (en) Distribution strip and equipment cabinet
US10317972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hot-swappable modul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EP2941107B1 (en) Heat dissip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device
KR102182760B1 (en) Curved modular display
US9753671B2 (en) Wireless data storage chassis
US20190025877A1 (en) Monitor stand base with integrated outlets
US10172256B2 (en) Multi-way opening panel for an electronics rack with electronically controlled hinge
US20100205295A1 (en) Syste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oking Devices With Respective Network-Based Monitoring Devices
US9832074B2 (en) Converged infrastructure local management system
KR20230114938A (en) Comunication module for partition
US20130330961A1 (en) Homeplug having panel replacement structure
US79108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density power distribution unit with integrated cable management
US11825622B2 (en) Single-board computer cartridge
US9134774B2 (en) Sharing power between network devices
US9750157B1 (en) Rack door for mounting power distribution units
CN209132686U (en) Server
US9888594B1 (en) Devices including a cavity region to house ports
KR200353403Y1 (en) A wireless network system
KR200356327Y1 (en) Integration connecting Apparatus of surrounding equipments for computer
CN214098372U (en) Computer key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