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901A -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901A
KR20230114901A KR1020220011199A KR20220011199A KR20230114901A KR 20230114901 A KR20230114901 A KR 20230114901A KR 1020220011199 A KR1020220011199 A KR 1020220011199A KR 20220011199 A KR20220011199 A KR 20220011199A KR 20230114901 A KR20230114901 A KR 2023011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contact lens
virtu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태
Original Assignee
(주)브이피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피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브이피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01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901A/ko
Publication of KR2023011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추천 방법은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가 사용자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상기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상기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선택 콘택트렌즈를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user adaptive recommendation of contact lenses based virtual imag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콘택트렌즈를 추천하기 위한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 착용 연령층이 낮아지고 미용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세계적으로 콘택트렌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콘택트렌즈는 시력교정과 미용목적의 광학 의료기기로서, 크게 소프트콘택트렌즈와 하드콘택트렌즈 2가지로 분류된다. 그러나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콘택트렌즈는 이물감이 적고 편안안 착용감을 제공하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이다. 이러한 소프트콘택트렌즈는 크게 1) 투명한 클리어 콘택트렌즈와 2) 이 투명한 클리어 렌즈에 다양한 색상과 홍채패턴디자인(이하 "그래픽" 또는 "그래픽 정보"라 칭함)이 더 해진 컬러 콘택트렌즈,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특이점은 컬러콘택트렌즈의 시장이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급성장했다는 점이다. 이 컬러콘택트렌즈는 단순한 시력교정의 용도를 넘어 하나의 뷰티/패션 아이템으로 자리잡으면서 기존 20~30대의 사용연령층에서 10대~40이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급격한 시장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무엇보다 한국 콘택트렌즈 제조기업들의 90%이상은 컬러콘택트렌즈를 주로 생산하며 해외 수출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 태국,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 전역, 중동아랍국가지역, 중남미 지역 등지에서 컬러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한류의 영향에 따른 한국산 컬러 콘택트렌즈의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컬러 콘택트렌즈는, 구매 전 직접 착용을 해볼 수 있는 안경테, 선글라스 등의 다른 일반적인 패션 아이템들과 달리, 직접 안구에 접촉해서 착용을 하는 안전성이 중시되는 의료기기라는 품목의 특성상, 제품 구매를 하기 전 선 착용을 할 수는 없고 단순히 제품 외관디자인과 색상을 확인하고 다른 모델들이 착용한 사진, 포스터, 카탈로그 등을 통해 간접 확인 한 후 구매가 이루어고 있다. 이렇게 칼라렌즈는 선 구매한 후 착용을 직접 해보기전까지는 본인이 선호하는 안구 색상과 스타일에 가장 잘 맞는 컬러콘택트렌즈를 찾기가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현재 증강 현실 기술 및 가상 현실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컬러콘택트렌즈를 착용시 사용자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렌즈 구매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25251 (2021.03.09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택트렌즈를 사용자가 착용시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눈 정보와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콘택트렌즈를 착용시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착용시 시각적 효과가 더 뛰어난 콘택트렌즈를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은,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가 사용자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상기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선택 콘택트렌즈를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제1 촬상 이미지 및 제2 촬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눈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눈 정보와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눈 정보는 동공 정보, 홍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눈 정보 및 콘택트렌지 그래픽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눈 이미지가 형성되고, 기준이 되는 조명상태의 빛의 양과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눈 이미지와 상기 제1촬상 이미지에 대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눈 이미지는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 및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동공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외곽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복수개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과 하나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만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단독)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위 가상 눈이미지(단독)은 영역 내에서 별도 구분 없이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은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상기 가상 눈 이미지의 생성 전에 가상 눈 이 미지(실시간)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은 상기 선택 콘택트렌즈의 상기 콘택트렌즈 그 래픽 정보 및 복수의 사용자 눈 정보를 그룹핑하여 결정된 사용자 눈 그룹을 기반 으로 상기 가상 눈 이미지의 생성 전에 미리 생성된 이미지이고, 상기 사용자 눈 그룹은 상기 사용자 눈 정보에 포함되는 동공 정보, 홍채 정 보에 따라 그룹핑하여 결정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은 콘텐츠 그래픽 변화도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상기 사용자 눈 정보에 따라 콘택트렌즈 착용시 외부에서 보이는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변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콘택트렌즈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 각각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콘텐츠 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가장 외곽에 위치한 콘택트렌즈 그래픽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여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콘택트렌즈 색상, 콘택트렌즈 무늬, 콘택 트렌즈 그래픽 직경 및/또는 콘택트렌즈 그래픽 가중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1차적으로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2차 적으로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동공), 3차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 자 눈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가상 눈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는 상기 사용자 눈 그룹을 생성시 홍채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눈 그룹(홍채)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동공)는 상기 사용자 눈 그룹을 생성시 홍채 및 동공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을 기반 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을 위한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상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선택 콘택트렌즈를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제1 촬상 이미지 및 제2 촬상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눈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눈 정보와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눈 정보는 동공 정보, 홍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이미지는 가상 눈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눈 정보 및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는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 및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동공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외곽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 지이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복수개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과 하나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만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 미지(단독)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단독)은 영역 내에서 별도 구분 없이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은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콘택트렌즈의 사용자 착용시 가상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눈 정보,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와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콘택트렌즈를 착용시 가상 이미지가 제공되고, 사용자의 착용시 시각적 효과가 더 뛰어난 콘택트렌즈가 추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의 촬상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생성부의 가상 이미지 생성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실시간 처리 기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실시간 처리 기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의 콘택트렌즈 착용시 이미지를 가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콘택트렌즈 선택을 돕기 위한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가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콘택트렌즈 정보 제공부(100),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110), 가상 이미지 생성부(120), 콘택트렌즈 추천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정보 제공부(100)는 콘택트렌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정보는 콘택트렌즈 기능 정보 및 콘택트렌즈 색상 정보, 콘택트렌즈 무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기능 정보는 콘택트렌즈 베이스커브, 콘택트렌즈 직경, 콘택트렌즈 시력 도수, 콘택트렌즈 난시 강도, 콘택트렌즈 난시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색상 정보는 콘택트렌즈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콘택트렌즈는 색상을 가지고, 콘택트렌즈 색상 정보는 컬러 콘택트렌즈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무늬 정보는 콘택트렌즈의 무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색상과 콘택트렌즈 무늬는 단일 색상, 단일 무늬일 수도 있으나, 복수의 색상과 복수의 무늬가 하나의 콘택트렌즈 상에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색상과 콘택트렌즈 무늬의 조합은 콘택트렌즈 그래픽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색상과 콘택트렌즈 무늬의 조합에 대한 정보는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콘택트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콘택트렌즈는 제1 콘택트렌즈 그래픽, 제2 콘택트렌즈 그래픽, 제3 콘택트렌즈 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그래픽 각각은 콘택트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ㅇ’ 형상을 가지고, 콘택트 렌즈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제1 콘택트렌즈 그래픽, 제2 콘택트렌즈 그래픽, 제3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위치하고, 제1 콘택트렌즈 그래픽, 제2 콘택트렌즈 그래픽 및 제3 콘택트렌즈 그래픽으로 갈수록 ‘ㅇ’ 형상의 직경은 커질 수 있다.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110)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얼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택트렌즈 착용시의 가상 이미지가 제공되므로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110)에 의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의 획득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110)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의 이미지에 대한 제공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의 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촬상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사용자 눈에 대한 추가적인 촬상이 진행될 수도 있다.
가상 이미지 생성부(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택트렌즈 착용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가상 이미지 생성부(120)는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110)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택트렌즈 이미지를 결합하여 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추천부(130)는 사용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콘택트렌즈를 추천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콘택트렌즈 정보 제공부(100),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110), 가상 이미지 생성부(120), 콘택트렌즈 추천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의 촬상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의 사용자 이미지 촬상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이미지 촬상부는 제1 촬상 동작(210)과 제2 촬상 동작(220)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촬상 동작(210)은 사용자 얼굴을 촬상하는 동작이고, 제2 촬상 동작(220)은 사용자 눈을 촬상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1 촬상 동작(210)과 제2 촬상 동작(220)은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촬상 동작(210)을 위해 사용자에게 특정 촬상 각도가 요청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가상 이미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특정한 얼굴 각도가 요청되고, 요청된 얼굴 각도에 따른 촬상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촬상 동작(210)은 1회 촬영이 아니라 다양한 각도의 다수회 촬영일 수도 있다.
제2 촬상 동작(220)은 사용자 눈에 대한 촬영일 수 있다. 제2 촬상 동작(220)은 사용자 눈에 대한 객체 인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눈에 대한 인식은 기존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 인식 기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촬상 동작(220)은 사용자 눈을 촬상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접근을 요청하고 사용자 접근 후 눈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촬상 동작(210)의 결과물인 제1 촬상 이미지(215)와 제2 촬상 동작(220)의 결과물인 제2 촬상 이미지(225)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 이미지(250)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이미지 정보는 콘택트렌즈의 촬상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눈 정보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눈 정보는 눈동자 크기 정보, 동공 정보, 홍채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눈을 구성하고 콘택트렌즈 착용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용자 눈의 하위 구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생성부의 가상 이미지 생성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사용자 이미지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택트렌즈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가상 이미지 생성부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사용자 눈 정보(310)와 선택 콘택트렌즈의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320)를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350)가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눈 정보(310)와 콘택트렌즈의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320)를 기반으로 가상 눈 이미지(330)가 생성되고 가상 눈 이미지(330)와 제1 촬상 이미지(340)와 결합되어 콘택트렌즈 착용시의 가상 이미지(350)가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눈 정보(310)는 동공 정보, 홍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공 정보 및 홍채 정보 각각은 동공 및 홍채 각각의 색깔 및 모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320)는 콘택트렌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 각각의 색깔, 모양, 직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눈 이미지(330)를 생성하기 위해 눈동자의 중심이 결정될 수 있다. 눈동자의 중심은 눈동자 상에서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획득될 수 있다. 눈동자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공 영역과 홍채 영역 및 홍채 외곽 영역이 구분되고,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은 홍채 영역 및 홍채 외곽 영역 각각에서만 위치할 수도 있고, 홍채 영역 및 홍채 외곽 영역 상에서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위치는 사용자의 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1의 경우, 제1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홍채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홍채 영역에 위치하고, 제3 콘택트렌즈 그래픽은 홍채 영역과 홍채 외곽 영역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2의 경우, 제1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홍채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홍채 영역과 홍채 외곽 영역에 위치하고, 제3 콘택트렌즈 그래픽은 홍채 외곽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홍채 영역 및 홍채 외곽 영역 상에서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위치가 결정된 이후, 사용자 눈 정보(310)와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320)를 기반으로 가상 눈 이미지(330)가 생성될 수 있다.
가상 눈 이미지(330)는 복수의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의 결합일 수 있고, 복수의 하위 가상 눈 이미지(333, 336, 339)는 동공 영역과 홍채 영역 또는 홍채 외곽 영역 각각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동공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333), 홍채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336), 홍채 외곽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339)일 수 있다.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복수개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370)과 하나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만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단독)(3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위 가상 눈 이미지(단독)(360)은 영역 내에서 별도 구분 없이 사용자 눈 정보와 영역에 대응되는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370)은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자 눈 정보와 영역에 대응되는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채 외곽 영역 상에 제2 콘택트렌즈 그래픽과 제3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위치할 수 있고, 제2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위치한 영역과 제3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위치한 영역을 구분하여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370)이 생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의 색깔 및 모양과 콘택트렌즈 그래픽에 대응되는 색깔과 모양의 결합시의 모양과 색깔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하위 가상 눈 이미지가 결합되어 가상 눈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고, 가상 눈 이미지는 제1 촬상 이미지와 결합되어 콘택트렌즈 착용시의 가상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이미지 생성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가상 눈 이미지와 제1 촬상 이미지의 결합을 통해 콘택트렌즈 착용시의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눈 이미지는 일부 보정되어 제1 촬상 이미지(4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촬상 이미지(410)는 사용자의 촬영 각도, 촬영시 환경(광량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촬상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가상 눈 이미지가 결합되는 경우, 가상 이미지 상에서 왜곡된 눈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상의 왜곡을 없애기 위해서 제1 촬상 이미지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눈 이미지에 대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촬영 환경(430)을 고려하여 특정 촬영 환경에서의 제1 촬상 이미지(410)와 가상 눈 이미지에 대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눈 이미지와 상기 제1 촬상 이미지(410)는 특정 촬영 환경 상에서의 빛의 양과 색상을 고려하여 보정될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촬영시 조명상태에 따라 홍채의 색, 동공의 크기, 동공의 색 및 얼굴 피부색이 달라진다. 따라서, 미리 촬영되는 조명 상태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기준이 되는 조명상태의 빛의 양과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촬영 환경에서의 제1 촬상 이미지(410)와 가상 눈 이미지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보정된 제1 촬상 이미지(410)를 보정된 제1 촬상 이미지(411)이라 한다.
이후, 촬영 각도(420)를 고려하여 특정 촬영 각도에서의 가상 눈 이미지에 대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가상 눈 이미지가 3D(dimension) 모델로 생성되고, 3D 모델의 기준으로 사용자의 촬영 각도를 고려하여 가상 눈 이미지가 보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을 통해 가상 눈 이미지가 보다 자연스럽게 제1 촬상 이미지(410)와 결합되어 가상 이미지(440)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촬상 이미지(410)와 결합하지 않고, 가상 눈 이미지만 별도로 3D 모델링하여 플랫폼 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가상 눈 이미지에 대한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실시간 처리 기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가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눈 정보와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눈 이미지가 빠르게 제공되어야 한다.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미리 생성된 가상 눈 이미지 중 사용자 눈 정보와 가장 맞는 가상 눈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눈 정보를 그룹핑하여 미리 생성된 가상 눈 이미지는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530)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눈 정보인 동공 정보, 홍채 정보에 따라 그룹핑하여 사용자 눈 그룹(510)이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 눈 정보(그룹)(500)은 사용자 눈 그룹(510)에 대응되는 동공 정보, 홍채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530)은 사용자 눈 정보(그룹)(500)과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520)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눈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눈 정보(그룹)(500)이 결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콘택트렌즈의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530)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눈 그룹(510)과 사용자 눈 정보(그룹)(500)은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520)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520) 중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색상 및 모양에 따라 특정 동공 정보, 특정 홍채 정보에 대한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는 사용자 눈 정보에 따라 콘택트렌즈 착용시 외부에서 보이는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변화 크기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는 콘택트렌즈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 각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되, 가장 외곽에 위치한 콘택트렌즈 그래픽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는 콘택트렌즈 색상, 콘택트렌즈 무늬, 콘택트렌즈 그래픽 직경 및/또는 콘택트렌즈 그래픽 가중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색상은 홍채 색깔과 대비하여 홍채 색깔과 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무늬는 콘택트렌즈 그래픽 면적 대비 무늬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콘택트렌즈 그래픽 직경이 상대적으로 클수록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고, 복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이 포함되는 경우, 외곽에 위치한 콘택트렌즈 그래픽일수록 색상에 대한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여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제1 색상과 제1 모양인 경우, 사용자의 홍채의 색깔 변화에 따라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클 수도 있고,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제2 색상과 제2 모양인 경우, 사용자의 홍채의 색깔 변화에 따라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도 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색상과 모양을 고려하여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높은 콘택트렌즈 그래픽에 대해서는 사용자 눈 그룹이 상대적으로 많이 설정될 수 있고, 반대로,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550)가 상대적으로 낮은 콘택트렌즈 그래픽에 대해서는 사용자 눈 그룹(510)이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눈 그룹(510)의 설정을 통해 바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사용자 눈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빠르게 사용자에게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1차적으로는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을 이용하여 가상 이미지(실시간)을 제공하고, 동시에 전술한 가상 이미지 생성 과정을 거쳐 실제 사용자 눈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눈 정보를 기반으로 개별적으로 생성한 가상 눈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1차적으로는 사용자 눈 정보(그룹)(500)을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이미지(실시간)을 제공받고 다음으로 실제 본인의 사용자 눈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상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 임계 시간 미만 머무르는 경우, 가상 이미지(실시간)을 제공받고, 임계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실제 본인의 사용자 눈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상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눈 그룹(510)을 생성시 홍채에 대한 정보만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눈 그룹(홍채)와 홍채 및 동공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이 별도로 생성되어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동공)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눈 그룹(홍채)와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의 생성 방법은 후술된다.
사용자의 눈에서 가장 특징을 가지고 콘택트렌즈 착용시 변화를 가지고 올 수 있는 홍채만을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가 1차적으로 제공되고 그 이후 2차적으로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동공)이 제공되고, 마지막으로 실제 사용자의 사용자 눈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상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보다 빠른 사용자 눈 그룹(홍채)의 결정을 위해서 사용자의 접속 지역(국가)에 대한 판단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접속 지역(국가)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이 가진 사용자 눈 정보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빠르게 사용자 눈 그룹(홍채)와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사용자 눈 그룹(510) 내에서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에 따라 그룹핑된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그룹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사용자 눈 그룹(510)은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에 따라 더 세분화되어 그룹핑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에 따라 세분화된 사용자 눈 그룹(510)을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그룹이라 한다. 상기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은 앞서 설명한 보정된 제1 촬상 이미지(411)에 기반한 정보로, 특정 촬영 환경에서의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을 기준이 되는 촬영 환경에서의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으로 보정하여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이미지 실시간 처리 기술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가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눈 그룹 및 사용자 눈 정보(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눈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눈 정보에 포함되는 동공 정보, 홍채 정보를 기반으로 한 그룹핑이 수행 될 수 있다.
홍채 정보는 제1 특징 벡터로 생성되고, 제1 특징 벡터는 (홍채 색깔 피처, 홍채 모양 피처, 홍채 크기 피처)일 수 있다.
동공 정보는 제2 특징 벡터로 생성되고, 제2 특징 벡터는 (동공 색깔 피처, 동공 크기 피처)일 수 있다.
제1 특징 벡터와 제2 특징 벡터를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사용자 눈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제1 특징 벡터만을 기반으로 1차 클러스터링(610)을 통해 사용자 눈 그룹(홍채)(615)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특징 벡터를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을 위해서 클러스터의 중심은 기존에 획득된 사용자 눈 데이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빠른 클러스터링을 위해 클러스터링을 수행시 클러스터의 개수 및 클러스터 최초 중심점이 디폴트 사용자 눈 데이터의 홍채 색상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인종 및 색상에 따른 디폴트 홍채 색상이 결정되고, 디폴트 홍채 색상을 최초 클러스터 최초 중심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디폴트 홍채 색상의 개수 및 종류는 컬러콘택트렌즈의 색상 다양성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콘택트렌즈의 종류가 다양해질수록 디폴트 홍채 색상이 상대적으로 많은 수로 설정되고, 최초 중심점의 개수도 상대적으로 많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클러스터링 결과를 위해 클러스터의 개수가 조정될 수도 있고, 클러스터의 개수는 판단 대상이 되는 컬러콘택트렌즈의 색상 다양성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특징 벡터를 추가하여 제1 특징 벡터와 제2 특징 벡터를 기반으로 한 제2 클러스터링(620)을 통해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625)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625)은 2차 클러스터링(620)을 통해 제1 클러스터 내에서 생성될 수 있고, 제1 클러스터 내에서 동공 특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분류를 기반으로 한 제2 클러스터가 생성될 수 있다. 즉, 클러스터 내 클러스터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동일 유사 범위의 홍채 내에서 동공 정보를 더 고려한 보다 작은 단위의 클러스터가 생성되어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625)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특징 벡터를 추가하여 제1 특징 벡터, 제2 특징 벡터 및 제3 특징 벡터를 기반으로 한 제3 클러스터링(630)을 통해 사용자 그룹(635)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그룹(635)은 3차 클러스터링(630)을 통해 제2 클러스터 내에서 생성될 수 있고, 제2 클러스터 내에서 홍채, 동공 및 피부색 특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분류를 기반으로 한 제3 클러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클러스터 내 크러스터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동일 유사 범위의 동공 및 홍채 내에서 피부색 정보를 더 고려한 보다 작은 단위의 클러스터가 생성되어 사용자 그룹(635)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특징 벡터는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을 고려한 것으로, 동일한 눈 정보를 가진 경우라도 사용자 얼굴 피부색에 따라 어울리는 콘택트렌즈가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 정보와 피부색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콘택트렌즈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제3 특징 벡터는 기준이 되는 조명상태의 빛의 양과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촬영 환경에서의 제1 촬상 이미지(410)를 보정하여 생성된 보정된 제1 촬상 이미지(411)를 기반으로 상기 피부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은,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가 사용자 이미지를 촬상하는 단계;
    상기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선택 콘택트렌즈를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제1 촬상 이미지 및 제2 촬상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눈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눈 정보와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눈 정보는 동공 정보, 홍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눈 정보 및 콘택트렌지 그래픽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눈 이미지가 형성되고,
    기준이 되는 조명상태의 빛의 양과 색상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눈 이미지와 상기 제1촬상 이미지에 대한 보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눈 이미지는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 및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동공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외곽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복수개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과 하나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만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단독)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위 가상 눈이미지(단독)은 영역 내에서 별도 구분 없이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은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상기 가상 눈 이미지의 생성 전에 가상 눈 이 미지(실시간)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은 상기 선택 콘택트렌즈의 상기 콘택트렌즈 그 래픽 정보 및 복수의 사용자 눈 정보를 그룹핑하여 결정된 사용자 눈 그룹을 기반 으로 상기 가상 눈 이미지의 생성 전에 미리 생성된 이미지이고,
    상기 사용자 눈 그룹은 상기 사용자 눈 정보에 포함되는 동공 정보, 홍채 정 보에 따라 그룹핑하여 결정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은 콘텐츠 그래픽 변화도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상기 사용자 눈 정보에 따라 콘택트렌즈
    착용시 외부에서 보이는 콘택트렌즈 그래픽의 변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콘택트렌즈에 대응되는 복수의 콘택트렌즈 그래픽 각각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콘텐츠 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가장 외곽에 위치한 콘택트렌즈 그래픽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여 결정되고,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변화도는 콘택트렌즈 색상, 콘택트렌즈 무늬, 콘택 트렌즈 그래픽 직경 및/또는 콘택트렌즈 그래픽 가중치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1차적으로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2차 적으로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동공), 3차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 자 눈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기 가상 눈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는 상기 사용자 눈 그룹을 생성시 홍채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눈 그룹(홍채)을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실시간)(홍채, 동공)는 상기 사용자 눈 그룹을 생성시 홍채 및 동공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눈 그룹(홍채, 동공)을 기반 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5.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을 위한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는,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상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선택 콘택트렌즈를 기반으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제1 촬상 이미지 및 제2 촬상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촬상 이미지는 사용자 눈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눈 정보와 사용자 얼굴의 피부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눈 정보는 동공 정보, 홍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이미지는 가상 눈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눈 정보 및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상기 가상 눈 이미지는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 및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동공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2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지이고,
    상기 제3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홍채 외곽 영역에 대한 하위 가상 눈 이미 지이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는 복수개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과 하나의 콘택트 렌즈 그래픽만이 위치하는 하위 가상 눈 이 미지(단독)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단독)은 영역 내에서 별도 구분 없이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 고,
    상기 하위 가상 눈 이미지(복합)은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을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눈 정보와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콘택트렌즈 그래픽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을 위한 가상 이미지 기반의 콘택트렌즈 추천 장치.
KR1020220011199A 2022-01-26 2022-01-26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230114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99A KR20230114901A (ko) 2022-01-26 2022-01-26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99A KR20230114901A (ko) 2022-01-26 2022-01-26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901A true KR20230114901A (ko) 2023-08-02

Family

ID=8756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199A KR20230114901A (ko) 2022-01-26 2022-01-26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9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251A (ko) 2019-08-27 2021-03-09 (주)네오위즈랩 증강현실 포토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251A (ko) 2019-08-27 2021-03-09 (주)네오위즈랩 증강현실 포토카드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방법 및 그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Nvgaze: An anatomically-informed dataset for low-latency, near-eye gaze estimation
US11823450B2 (en) Enhanced pose determination for display device
US202102159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eyewear with multi-focal lenses
US11157985B2 (en) Recommend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based on a user's physical features
CN108537628B (zh) 用于创造定制产品的方法和系统
CN105008987B (zh) 眼镜镜片的设计系统、供给系统、设计方法及制造方法
US10013796B2 (en) Rendering glasses shadows
JP2019527410A (ja) 画像又はビデオ内の物体を隠す方法及び関連する拡張現実方法
JP7119907B2 (ja) 顔認識モデルの訓練方法及び訓練装置
US202203738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 and fabrication of customized eyewear
CN107003540B (zh) 由计算机装置实施的用于计算配戴者的眼镜眼科镜片的镜片光学系统的方法
US20220044311A1 (en) Method for enhancing a user's image while e-commerce shopping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item that is for sale
JP2023539159A (ja) バーチャルフィッティングサービス提供方法、装置およびそのシステム
CN113724302A (zh) 一种个性化眼镜定制方法及定制系统
KR102394021B1 (ko)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0269586A (zh) 用于捕获具有暗点的人的视野的设备和方法
EP2972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 and fabrication of customized eyewear
KR20230114901A (ko) 가상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콘택트렌즈 추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0892311B (zh) 用于确定个人的姿势和视觉行为的方法
CN107850791A (zh) 用于确定光学镜片的光焦度的方法
KR102580427B1 (ko) 가상 피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3724366B (zh) 3d模型生成方法、装置及设备
KR102499864B1 (ko) 사용자 맞춤용 누진렌즈 설계 장치 및 그의 누진렌즈 설계 방법
CN114895747B (zh) 一种智能显示设备、眼镜推荐方法、装置及介质
US20240135707A1 (en) Enhanced pose determination for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