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771A -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771A
KR20230114771A KR1020220009688A KR20220009688A KR20230114771A KR 20230114771 A KR20230114771 A KR 20230114771A KR 1020220009688 A KR1020220009688 A KR 1020220009688A KR 20220009688 A KR20220009688 A KR 20220009688A KR 20230114771 A KR20230114771 A KR 2023011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wireless charging
vehicles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현
양지혜
정동헌
한주원
박수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771A/ko
Publication of KR2023011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60W30/165Automatically following the path of a preceding lead vehicle, e.g. "electronic tow-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고 나아가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 간 서로 전력을 공유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은 복수 개의 자율주행 차량,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드론,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은 서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GING system for self driving cars USING DRON}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자율주행 차량은 인간의 운전 없이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자동차이다. 무인자동차는 레이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GPS, 카메라로 주위의 환경을 인식하여 목적지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자율적으로 주행한다. 이미 실용화되고 있는 무인자동차로는 이스라엘 군에서 운용되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순찰하는 무인 차량과 국외 광산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운용되고 있는 덤프 트럭 등의 무인 운행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의 첫 번째 핵심기술은 무인자동차 시스템과 Actual System이다. 실험실 내의 시뮬레이션뿐만 아니라 실제로 무인자동차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이며 구동장치인 가속기, 감속기 및 조향장치 등을 무인화 운행에 맞도록 구현하고, 무인자동차에 장착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그리고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 핵심기술은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시각정보를 입력받고 처리하는 것이다. 무인화 운행을 위한 자율 주행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영상정보를 받아들이고 이 영상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내는 기술이다. 이것은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뿐만 아니라 초음파 센서 및 레인지 필더 등의 센서를 사용하여 거리와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융합하여 분석 및 처리를 통해 장애물 회피와 돌발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세 번째 핵심기술은 통합관제 시스템과 운행감시 고장진단체계 기술이다. 이 기술은 차량의 운행을 감시하고 수시로 바뀌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명령을 내리는 운행감시체계를 구축하고, 개별적 프로세서 및 센서에서 발생되는 여러 상황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고장을 진단하여 오퍼레이터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경보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네 번째 핵심기술은 지능제어 및 지능운행 장치이다. 이 기술은 무인운행기법으로 실제 차량모델을 이용한 수학적인 해석에 근거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현재 무인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첫 번째 적용기술은 지능형 순향제어(ACC: Adaptive Cruise Control) 시스템이다. 지능형 순향제어는 레이더 가이드 기술에 기반을 두고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속도를 조절하여 앞차 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유지시켜주는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앞차와의 거리를 입력하면 자동차 전면에 부착된 장거리 레이더가 앞차의 위치를 탐지하여 일정속도를 유지하거나 감속, 가속하며 필요한 경우 완전히 정지하여 시야확보가 어려운 날씨에 유용하다.
다섯 번째 적용기술은 차선이탈방지 시스템이다. 이는 내부에 달린 카메라가 차선을 감지하여 의도하지 않은 이탈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술로 무인자동차에서는 도보와 중앙선을 구분하여 자동차가 차선을 따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섯 번째 적용기술은 주차보조 시스템이다. 이는 운전자가 어시스트 버튼을 탐색한 수 후진기어를 넣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자동차가 조향장치 조절하여 후진 일렬주차를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차량 장착형 센서뿐만 아니라 인프라를 기반으로 출발지에서 주차공간까지 차량을 자동으로 유도하여 주차 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해주어 소요비용과 환경오염을 최소화 해준다.
일곱 번째 적용기술은 자동주차 시스템이다. 이는 운전자가 주차장 앞에 차를 정지시킨 뒤 엔진을 끄고 내려서 리모콘 잠금 스위치를 2회 연속 누르면 자동차에 설치된 카메라가 차고의 반대편 벽에 미리 붙여놓은 반사경을 탐지해 적정한 접근 경로를 계산하여 스스로 주차를 하는 기술이다.
여덟 번째 적용 기술은 사각지대 정보 안내 시스템이다. 이는 자동차의 양측면에 장착된 센서가 사이드 미러로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 다른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해주는 것으로 복잡한 도로 상황에서 양측의 장애물 및 차량을 확인하여 차선을 변경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자율주행의 가장 큰 장점은 주행속도와 교통 관리 자료가 일치하기 때문에 조절장치를 더욱 고르게 하여 반복정지를 피해 연료 효율에 도움을 준다는 것과 노인, 아동, 장애인 등 운전을 할 수 없는 이들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피로를 해결해주고, 교통사고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과 도로의 교통 흐름이 빨라지고 교통 혼잡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내연기관이 전기차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의 자율주행 차량도 전기차를 이용한 사용 환경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이에 자율주행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충전 환경의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0693호(2019. 06. 21.), 발명의 명칭: 자율주행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고 나아가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 간 서로 전력을 공유하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은 복수 개의 자율주행 차량,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드론,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은 서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서버는 무선 충전 시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을 군집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율주행 차량은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 및 공급받은 전력을 다른 차량으로 이동시키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은 무선 충전이 필요한 타겟 자율주행 차량에 접속코드를 송신하고, 상기 타겟 자율주행 차량은 접속확인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서버는 무선 충전을 위해 상기 자율주행 차량과 상기 드론이 접촉하기 전에 양자의 구동을 한시적으로 함께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율주행 차량에게 드론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나아가 이러한 자율주행 차량과 군집 주행되는 다른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유하도록 하여 군집 주행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자율주행 차량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감지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출력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의 제어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의 제어서버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충전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자율주행 차량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감지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의 출력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의 제어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의 제어서버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1000)은 복수 개의 자율주행 차량(100_1, 100_2, 100_3 ?? 100_n)과 무선 충전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서버(200)와 전력을 공급하는 드론(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자율주행 차량(100)은 입력부(110), 감지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통신부(150) 및 충전부(160)로 이루어진다.
입력부(11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자율주행 차량(100)의 입력부는 조향 입력 장치(미도시), 가속 입력 장치, 브레이크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자율주행 차량의 목적지를 입력하는 역할을 하고 입력된 목적지에 따라 제어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 경로를 연속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감지부(120)는 레이더(121) 및 라이다(122)를 포함하고, 카메라(1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더(121), 라이다(122) 및 카메라(123)를 이용하여 주요 오브젝트인 타 차량의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구동 과정에서의 위법을 판단하도록 한다.
우선, 레이더(121)는 전파를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더(121)는 전자파 송신부, 전자파 수신부 및 전자파 송신부 및 전자파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121)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121)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121)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레이더(121)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라이다(122)는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122)는 광 송신부(미도시), 광 수신부(미도시) 및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12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122)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122)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자율주행 차량(100) 주변의 차량 등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122)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자율주행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122)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라이다(122)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23)는 영상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의 차량 등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23)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3)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123)는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또는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3)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3)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3)는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3)는 차량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차량에서 FOV(field of view)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3)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123)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3)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23)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3)가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23)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100)에서는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이 군집되어 무선 충전되므로 레이더(121), 라이더(122) 및 카메라(123)가 전방, 후방 및 측방의 다른 자율주행 차량과 주행 중 근접 배열을 이루기 위해 차량 간 간격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를 바탕으로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감지부(120)는 자율주행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활용해야 되므로 GPS(124)를 필수적으로 더 포함한다. GPS(124)는 자율주행 차량(10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일반적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GPS 및 DG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자율주행 차량(10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GPS(124)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및 감지부(120)의 카메라(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위치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GPS(124)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20)는 탑승자가 조향 작동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음성 등으로 보호자 이외에 탑승객도 자율주행에 개입하기 위해 마이크(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생체정보센서(126)은 탑승객의 심박, 협압, 뇌파 등을 센싱하여 위급상황에 대비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차량의 입출입 시 지문, 홍채 정보를 센싱하여 오류 탑승을 막는 기능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센서(126)를 활용하여 자율주행 차량(100)은 탑승객이 탑승하거나 하차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평상시에 자율주행 차량(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주행 관련 상황을 표시한다. 나아가 차량의 외부에 형상, 모양 및 색체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차량의 소유자 및 주위의 사람에게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130)는 충전경로표시모듈(131), 코드표시모듈(132)를 포함한다.
충전경로표시모듈(131)은 전력 소스인 드론으로부터 송신된 전력이 각 차량에 전파되는 충전경로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력소스는 드론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군집 주행되는 자율주행 차량 중 어느 하나 이거나 군집 주행되는 자율주행 차량에 새롭게 근접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별도의 차량일 수도 있다.
한편, 코드표시모듈(132)은 접촉 또는 근접이 이루어져 전력을 최우선적으로 공급받는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별도의 차량이나 드론으로부 수신한 접속코드를 확인하고 이러한 코드에 대응하는 접속확인코드를 출력한다. 이러한 접속확인코드에 의해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별도의 차량이나 드론은 근접하여 충전을 개시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40)는 메인 ECU로 구성될 수 있는데 자율주행 차량(100)의 주행 및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는 더욱 상세하게 구동제어모듈(141), 및 입출력제어모듈(142)로 이루어진다.
우선, 구동제어모듈(141)은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 샤시 구동 제어 장치, 도어/윈도우 구동 제어 장치,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 램프 구동 제어 장치 및 공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 제어 장치는 동력원 구동 제어 장치 및 변속기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 구동 제어 장치는, 조향 구동 제어 장치, 브레이크 구동 제어 장치 및 서스펜션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전 장치 구동 제어 장치는 안전 벨트 제어를 위한 안전 벨트 구동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모듈(141)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적 제어 장치(예를 들면,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한다. 특히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제어모듈(141)은 감지부(120)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파워 트레인, 조향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모듈(141)은 군집 주행 시 자체적으로 또는 군집 주행 시에 제어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군집구동신호에 의해 다른 자율주행 차량 간 군집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군집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입출력제어모듈(142)는 전술한 출력부(130)를 제어하는데 위법을 감지한 차량이 그룹핑되어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입출력제어모듈(142)는 위법 차량의 운행이 계속되는지 중단되었는지도 표시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제어모듈(142)는 전술한 출력부(130)를 제어하는데 군집되어충전되는 경우에 충전경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전력 소스인 차량 등이 송신한 접속코드에 답변하는 접속확인코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150)는 자율주행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서버, 타 차량,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C-V2X(Cellular V2X)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IEEE 802.11p PHY/MAC 계층 기술과 IEEE 1609 Network/Transport 계층 기술 기반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기술 또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표준을 기반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은 충전부(160)를 차량의 외부에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충전부(160)는 자율주행 차량의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는 군집된 자율주행 차량 중 어느 하나는 별도의 전력 소스 차량 또는 군집된 다른 자율주행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부(160)는 전력수신부(미도시)와 바이패스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전력수신부(160)는 전자기 공명에 따라 전력을 수신받는 공지의 구성을 말하고 전력바이패스는 차량 내부에 배선이 형성되어 이를 타차량에게 전송할 수 있는 선로를 의미한다.
한편, 제어서버(200)는 군집충전제어모듈(210) 및 군집구동제어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는 군집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은 서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군집충전제어모듈(210)은 군집 주행하는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 중 전력 공급이 필요한 타겟 차량을 특정하고 전력 공급 경로 또는 바이패스 경로를 설정한다. 즉, 차량과 통신하여 전력이 충분한 차량 및 공급이 필요한 차량으로 구분하고 공급이 충분한 차량은 전력의 운반수단으로만 이용하여 전력을 우선적으로 필요한 차량에 공급한다.
군집구동제어모듈(220)은 군집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각 자율주행 차량에 군집구동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군집구동제어모듈(220)은 군집 주행 시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의 배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군집구동제어모듈은 각 자율주행 차량의 목적지 및 경로를 반영하여 이탈이 예견된 차량의 위치를 변화하는 방법으로 전체 배열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군집충전제어모듈(210)은 배열의 변경에 따라 전력 공급 경로 및 바이패스 경로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또한, 군집구동제어모듈(220)은 무선 충전을 위해 자율주행 차량과 드론(300)이 접촉하기 전에 양자의 구동을 한시적으로 함께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충전을 위한 접촉 또는 근접 전에 양자의 속도 또는 운행 방향을 정확하게 서로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예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주행 중이 차량에서 무선 충전 요청이 발생되거나 제어서버가 차량과의 통신으로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전력 소스인 드론을 파견하게 되고 요청 차량에 해당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드론은 차량의 번호나 송신확인코드를 근거리 수신하여 충전받을 차량인지 여부를 재확인하게 되고 확인완료 시 접근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다른 자율주행 차량 간 전력의 공유는 충전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출코일 및 수신코일로 이루어진 충전부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고 그러한 내용은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각 차량이나 외부에서 공유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100: 자율주행 차량
110: 입력부
120: 감지부
130: 출력부
140: 제어부
150: 통신부
160: 충전부
200: 제어서버
300: 드론

Claims (5)

  1. 복수 개의 자율주행 차량;
    상기 자율주행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드론;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제어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은 서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무선 충전 시 상기 복수 개 자율주행 차량을 군집주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주행 차량은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 및 공급받은 전력을 다른 차량으로 이동시키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무선 충전이 필요한 타겟 자율주행 차량에 접속코드를 송신하고, 상기 타겟 자율주행 차량은 접속확인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무선 충전을 위해 상기 자율주행 차량과 상기 드론이 접촉하기 전에 양자의 구동을 한시적으로 함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0220009688A 2022-01-24 2022-01-24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30114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688A KR20230114771A (ko) 2022-01-24 2022-01-24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688A KR20230114771A (ko) 2022-01-24 2022-01-24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771A true KR20230114771A (ko) 2023-08-02

Family

ID=8756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688A KR20230114771A (ko) 2022-01-24 2022-01-24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771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0693호(2019. 06. 21.), 발명의 명칭: 자율주행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924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보복 운전 제어 시스템
KR20230114766A (ko) 자율주행 차량 시스템
KR20230114771A (ko) 드론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20230114770A (ko) 전력 공유에 기반한 자율주행 차량의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658908B1 (ko) 자율주행 차량의 위법 차량 신고 시스템
KR102568270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보행자 소통 시스템
KR102568294B1 (ko) 자율주행 차량의 긴급 경로 생성 시스템
KR102568288B1 (ko) 자율주행 차량 간 통신에 의한 교통 안전 시스템
KR102658906B1 (ko) 자율주행 차량의 응급 제어 시스템
KR102658910B1 (ko) 자율주행 차량을 이용한 운전 연습 시스템
KR20230114776A (ko) 자율주행 차량의 군집 주행 시스템
KR20230114782A (ko) 직관적으로 군집 주행에 합류하거나 및 군집 주행에서 탈퇴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의 군집 주행 시스템
KR20230114781A (ko) 군집 배열을 변경하는 자율주행 차량의 군집 주행 시스템
KR20230033148A (ko) 상호 소통에 기반한 자율주행 차량의 주차 및 출차 시스템
KR20230033144A (ko) 자율주행 차량의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
KR20230114764A (ko) 자율주행 차량의 응급 교통 상황 제어 시스템
KR20230033162A (ko) 자율주행 차량의 충돌 예측 시스템
KR20230114779A (ko) 자율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시스템
KR20230114780A (ko) 응급 차량을 위한 자율주행 차량의 차선 변경 시스템
KR20230114763A (ko) 자율주행 차량의 응급 경로 설정 시스템
KR20230114765A (ko) 자율주행 차량의 안전 지원 시스템
KR20230114773A (ko) 자율주행 차량의 정보 입력 시스템
KR20230114772A (ko) 자율주행 차량의 정보 출력 시스템
KR20230114778A (ko)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환경 공유 시스템
KR20230033149A (ko) 다수 사용자의 동의에 기반한 자율주행 차량의 강제 구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