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668A -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668A
KR20230114668A KR1020220055653A KR20220055653A KR20230114668A KR 20230114668 A KR20230114668 A KR 20230114668A KR 1020220055653 A KR1020220055653 A KR 1020220055653A KR 20220055653 A KR20220055653 A KR 20220055653A KR 20230114668 A KR20230114668 A KR 20230114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processor
inform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241B1 (ko
Inventor
강정돈
Original Assignee
강정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돈 filed Critical 강정돈
Publication of KR2023011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메모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입출력 모듈 및 메모리 및 입출력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일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기본 UI(User Interface) 구성을 제공하고, 기본 UI 구성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 UI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 UI 각각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고, 입력 시간, 및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인지 수준(level)을 평가하고, 인지 수준을 일 사용자에 대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Description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BASED ON INDIVIDUAL INTERFACE METHOD, AND CONTROL METHODS FOR SERVER}
본 발명은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특화된 과제가 아닌, 일반적인 스마트폰 사용시 발생하는 Interaction을 통해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방식과,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서로 다른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의 사용 여부에 따라 인지 능력 수준을 판결하는 방식을 조합하여 인지 능력을 판단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인지 능력 평가 방법으로는, 인지 능력 평가에 특화된 과제를 제시하여, 그 해결 내용을 분석하여 평가하는 방식,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 유형 정보를 요구하는 방식, 및 치매 예방 등 해당 질병에 특화되어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방식 등이 존재해 왔다.
이러한 방식은 단순하게 평가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에 대하여만 기준을 선정하여 인지 능력을 평가할 뿐, 정보에 따른 항목별 평가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객관성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존재해 왔다.
한편,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2210호, 2013.01.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순히 시간만을 측정하는 방식이 아닌 사용자가 인지해야 하는 정보량 대비 인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단위 시간당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의 능력, 즉, 인지 velocity를 정규화하는,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메모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입출력 모듈 및 메모리 및 입출력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출력 모듈을 통해, 일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기본 UI(User Interface) 구성을 제공하고, 기본 UI 구성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입출력 모듈을 통해 획득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 UI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 UI 각각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고, 입력 시간, 및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인지 수준(level)을 평가하고, 인지 수준을 일 사용자에 대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최초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제1 시점을 식별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제1 시점에 대해 최후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제2 시점을 식별하고, 제1 시점 및 제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인, 입력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선택 정보에 포함된 글자의 수인 제1 값을 산출하고, 글자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인 제1 가중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선택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의 수인 제2 값을 산출하고, 이미지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인 제2 가중치를 식별하고, 제1 값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제1 무게량을 산출하고, 제2 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제2 무게량을 산출하고, 제1 무게량 및 제2 무게량을 바탕으로 정보량을 획득하고, 입력 시간 및 정보량을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정보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정보량에 대해 기 저장된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 및 기준 UI 사용 점수를 획득하고, 단위 시간 당 정보량, 및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 및 기준 UI 사용 점수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를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인지 수준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기본 UI 구성 중, 일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UI를 식별하고, 식별된 UI의 종류 각각에 대해 사용 난이도에 비례하는 기 설정된 사용 점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 점수의 총 합을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 및 복수의 사용자 입력 별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UI의 종류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UI의 종류에 따른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UI의 종류에 따른 소요 시간을 바탕으로 전체 UI의 종류에 대한 순위를 식별하고, 전체 UI의 종류 중 기 설정된 점수가 임계치 이상인 UI의 종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 상위 순위에 포함된 경우, 일정 상위 순위에 포함된, 기 설정된 점수가 임계치 이상인 UI의 종류의 점수에 비례하는 제3 가중치를 UI 사용 점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로써, 프로세서는, 인지 수준을 바탕으로 이미지의 크기, 텍스트의 크기, 및 일부 UI에 대한 원터치 잠금 모드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전자 장치를 통해 일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기본 UI(User Interface) 구성을 제공하는 단계, 서버가, 전자 장치를 통해 기본 UI 구성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 UI를 식별하는 단계, 서버가, 식별된 사용 UI 각각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서버가, 입력 시간, 및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인지 수준(level)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지해야 하는 정보량 대비, 인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단위 시간당 정보를 인식하는 개인별 인지 능력을 정규화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UI/UX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수준 평가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및 메모리(110)와 연결된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UI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입출력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 모듈(130)은 디스플레이형 터치 패드, 디스플레이,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는 키오스크,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인공지능 스피커(AI speak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수준 평가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에 있어서, 프로세서(120)는, 일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기본 UI 구성을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제공(S310)하고, 기본 UI 구성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획득(S320)함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선택 이력을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기본 UI 구성은,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UI의 종류(Drag 동작, 터치 입력, Fling 동작,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 등)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으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UI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UI에 대한 입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본 UI 구성을 제공한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S330)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 UI를 식별(S340)함으로써, 식별된 사용 UI 각각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S350)하고, 이에 따라, 입력 시간, 및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인지 수준(level)을 평가(S360)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인지 수준을 일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써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최초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제1 시점을 식별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제1 시점에 대해 최후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제2 시점을 식별하고, 제1 시점 및 제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인, 입력 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가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Drag 동작 및 터치 입력 각각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함에 따라 일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식별되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입력에 따라 최종 선택되는 정보가 식별되기까지의 입력 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을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Drag 동작이 시작된 제1 시점 및 터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최종 선택되어, 사용자 명령이 마지막에 입력된 제2 시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1 시점 및 제2 시점 간의 시간 차를 산출함으로써 입력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선택 정보에 포함된 글자의 수인 제1 값을 산출하고, 글자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인 제1 가중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선택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의 수인 제2 값을 산출하고, 이미지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인 제2 가중치를 식별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정보는, 최종 선택된 서브젝트(ex. 메뉴)를 포함하는,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전체 서브젝트(ex. 화면상 출력된 메뉴들)에 대한 데이터이다.
예컨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서브젝트가 3개인 경우, 각각의 서브젝트에 대한 부분 정보량을 산출함에 있어, 각각의 서브젝트에 대한 제1 값, 제2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제1 값에 적용해야하는 가중치로, 텍스트에 관한 제1 가중치인 1을 식별하고, 제2 값에 이미지에 관한 가중치로, 제2 가중치인 0.6을 식별한다.
프로세서(120)는 제1 값에 제1 가중치를 적용한 제1 무게량을 산출하고, 제2 값에 제2 가중치를 적용한 제2 무게량을 산출하고, 제1 무게량 및 제2 무게량을 바탕으로 정보량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젝트에 대한 정보량은 부분 정보량이며, 선택 정보인 전체 서브젝트에 대한 정보량은 부분 정보량의 총 합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1 서브젝트(00 00000 치즈)에 대한 제1 값인 14와 제2 값인 1에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한 부분 정보량인 14.6, 제2 서브젝트(0000 버거)의 부분 정보량인 12.6, 및 제3 서브젝트(000 00 버거)의 부분 정보량인 12.6의 총 합인 39.8이 선택 정보의 정보량으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입력 시간 및 정보량을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정보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량 39.8에 대하여 입력 시간(delta time)이 0.7(s, 초)인 경우, 일 사용자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정보량(velocity)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5.68571429(/s)로 산출된다.
실시예로써, 프로세서(120)는 일 서브젝트가 선택 정보에 포함된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서브젝트에 대한 부분 정보량을 산출함에 있어서, 이미지에 대한 제2 값에 적용되는 제2 가중치에 제1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제2 가중치의 수치를 낮춤으로써, 일 사용자가 해당 서브젝트에 대한 인식률이 높아짐에 따라 해당 서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는 시간에 비례하는, 입력 시간이 짧아질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서브젝트에 대한 부분 정보량을 감소시켜 서브젝트 별 부분 정보량 대비 입력 시간에 대한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업로드된 시점이 일정 시간 이내인 서브젝트에 대하여서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에 각각 제2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증가시킴으로써, 신규 정보에 대한 일 사용자의 인식률이 낮은 것을 고려하여 서브젝트 별 부분 정보량 대비 입력 시간에 대한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정보량에 대해 기 저장된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 및 기준 UI 사용 점수를 획득하고, 단위 시간 당 정보량, 및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 및 기준 UI 사용 점수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사도를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인지 수준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량 39.8에 대한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은 7.96이고, 기준 UI 사용 점수는 10(점)일 경우, 일 사용자의 UI 사용 점수가 10(점)이고, 단위 시간 당 정보량이 5.68571429이면, 프로세서(120)는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과 단위 시간 당 정보량 간의 차값인 2.27428571의 제1 제곱값과, 기준 UI 사용 점수와 일 사용자의 UI 사용 점수의 차값인 0의 제2 제곱값간의 합값(제1 제곱값과 제2 제?欲だ? 합값)의 루트값인 2.27428571을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 및 기준 UI 사용 점수에 대한 유사도로 산출되도록 한다.
즉, 프로세서(120)는 sqrt[제1 제곱값((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단위 시간 당 정보량)2)+제2 제곱값((기준 UI 사용 점수-UI 사용 점수)2)]를 유사도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가 유사도를 기준으로 인지 수준을 레벨화 함에 있어서, 유사도가 2.5 미만인 경우, 1 레벨, 5 미만인 경우, 2 레벨, 7.5 미만인 경우, 3 레벨로 하고, 그 밖의 유사도를 4 레벨로 정의한다.
추가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기본 UI 구성 중, 일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UI를 식별하고, 식별된 UI의 종류 각각에 대해 사용 난이도에 비례하는 기 설정된 사용 점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 점수의 총 합을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의 종류는 Drag 동작, 터치 입력, Fling 동작,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을 포함하고, 터치 입력에 따른 서브젝트 선택은 필수적인 행위임으로 제외하고, 나머지 종류에 대한 난이도는 Drag 동작, Fling 동작, 음성 입력, 키보드 입력 순으로 높아진다.
이에 따라, UI의 종류에 대한 사용 점수는, Drag 동작은 4, Fling 동작은 6, 음성 입력은 9, 키보드 입력은 10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사용자가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서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에 있어서, 검색창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원하는 서브젝트를 필터링하는 키보드 입력은 10점, 원하는 서브젝트에 대한 키워드를 발음하는 음성을 입력하여 원하는 서브젝트를 필터링하는 음성 입력은 9점, 화면에 Drag 동작을 수행 하지만 fling(화면 상의 일 방향을 향해 일 지점으로부터 벡터가 발생함에 따라, 일정 간격, 일정 시간, 일정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자동으로 화면이 이동되는 현상)을 통해 물리 애니메이션이 발생하는 Fling 동작은 6점, Drag 동작만을 통해 원하는 서브젝트에 도달하는 Drag 입력은 4점으로 설정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모듈(130)에 대한 일 사용자가 활용한 UI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UI 사용 점수의 총 합을 10 이하로 제한하되, 동일한 UI의 종류를 중복 식별하면, 하나에 대하여서만 UI 사용 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실시예로써, 프로세서(120)는 UI 사용 점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복수의 UI의 종류를 식별하면, 난이도가 높은 UI의 종류에 대해 설정된 사용 점수를 일 사용자의 UI 사용 점수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 및 복수의 사용자 입력 별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UI의 종류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UI의 종류에 따른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UI의 종류에 따른 소요 시간을 바탕으로 전체 UI의 종류에 대한 순위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UI의 종류인 실제로 사용된 UI의 종류 중, 사용자가 더 능숙하게 사용하는 UI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전체 UI의 종류 중 기 설정된 점수가 임계치 이상인 UI의 종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 상위 순위에 포함된 경우, 일정 상위 순위에 포함된, 기 설정된 점수가 임계치 이상인 UI의 종류의 점수에 비례하는 제3 가중치를 UI 사용 점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실제 사용된 UI의 종류가 음성 입력(3 분) 및 Drag 동작(5 분)이고, 임계치가 9이고, 9에 대하여는 가중치가 1.01, 4에 대하여는 가중치가 1.05이고, 2순위까지 상위 순위로 식별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9에 대하여 가중치인 1.01를 적용하여 9.09를 획득함으로써 총 UI 사용 점수로써 13이 아닌 13.09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기준 UI 사용 점수가 13.1일 경우, 일 사용자에 대하여는, 유사도가 높아짐에 따라 일 사용자의 인지 수준이 UI 사용 점수가 13일 때 보다 높은 인지 수준이 저장될 수 있어, 이에 따라, UI의 종류의 난이도 뿐만 아니라, 일 UI의 종류에 대한 능숙도가 인지 수준에 반영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기준 UI 구성을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일 사용자에 대해 전체 UI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써, 프로세서(120)는 UI의 종류가 랜덤 적용되되 각각의 UI의 종류에 의해 선택되는 정보량은 동일하도록 적용한 제1 기준 UI 구성을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획득된 복수의 사용자 명령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UI의 종류를 식별하고, 전체 UI의 종류 중, 식별된 UI의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UI의 종류로만 제2 기준 UI 구성을 생성하되, 나머지 UI의 종류에 대하여도 각각에 의해 선택되는 정보량은 동일하도록 제한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함으로써 전체 UI의 종류에 따른 사용자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체 UI의 종류 각각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입력 시간이 적은 순으로 일 사용자의 UI의 종류에 따른 능숙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지 수준에 따른 UI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20)는 입력 시간이 임계치 미만인 UI의 종류가 식별된 경우, 입력 시간이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식별된 UI의 종류를 제외하고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인지 수준을 바탕으로 이미지의 크기, 텍스트의 크기, 및 일부 UI에 대한 원터치 잠금 모드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에 따라 구성된 UI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일 사용자에 대한 인지 수준(level)을 획득하고, 인지 수준을 바탕으로 이미지의 크기, 텍스트의 크기, 및 일부 UI에 대한 원터치 잠금 모드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성한다.
원터치 잠금 모드는, 사용자가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1회 터치하더라도 바로 화면이 전환되지 않고, prompt 알람을 제공하거나, 리 터치를 요청하는 알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1회 터치에 의한 화면 전환을 제한하는 모드이다.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기본 UI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UI, 및 복수의 서브 UI를 식별하고, 복수의 서브 UI 각각에 대한 기 설정된 순위를 식별하고, 인지 수준을 바탕으로 제한된 스탭 수를 산출하고, 복수의 서브 UI 각각에 대한 기 설정된 순위 중 스탭 수만큼의 상위 순위에 해당하는 서브 UI를 선택하고, 메인 UI 및 선택된 서브 UI를 포함하도록 UI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 설정된 기본 UI의 구성은 개발자에 의해 UX를 기반으로 디자인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UI 구성이고, 복수의 서브 UI 각각에 대한 기 설정된 순위는 현재 시점까지 일정 시간동안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동작된 횟수에 기반한 순위로, 동작된 횟수가 많을 수록 높은 순위에 해당한다.
메인 UI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필수 UI로, 예컨대, 로그인 버튼, 서브젝트 선택 버튼, 결제 버튼 등이 메인 UI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일 사용자의 인지 수준이 낮을 수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서브 UI의 수를 줄임으로써 일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있어서 명령을 입력해야하는 스텝 수를 감소시켜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로부터 일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 이력을 획득하고, 선택 이력을 바탕으로, 최종 선택된 대상인 제1 정보를 식별하고, 제1 정보가 선택되기 이전, 선택 취소된 이력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정보가 식별되면, 제2 정보를 제1 정보 후순위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일 사용자가 제1 정보를 선택함에 있어, 제1 정보와 혼동되는 제2 정보가 잘못 선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정보의 입출력 모듈(130) 상에서의 출력되는 위치를 제1 정보의 출력 위치를 기준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로써, 프로세서(120)는 입출력 모듈(130) 상에서의 제1 정보의 제1 출력 위치를 식별하고, 제2 정보의 제2 출력 위치를 제1 출력 위치로부터 일정 영역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일정 영역은 일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바탕으로 제한되는 페이지 당 정보량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페이지 당 정보량은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 1 페이지에 출력되는 제한된 정보량이다.
추가로, 프로세서(120)는, 제1 정보가 선택되기까지, 사용자 입력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UI를 식별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한 획득 순서에 따라, 식별된 UI의 선택 루트를 저장하고, 선택 이력에 대해, 선택 루트가 발생한 횟수가 임계치 이상이면, 선택 루트를 바탕으로 UI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전체 사용자들에 의한 선택 루트 별 발생 횟수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되 인지 능력 별 발생 횟수가 가장 높은 선택 루트를 표준 루트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사용자에 대해, 발생 횟수가 임계치 이상인 선택 루트가 미발생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일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기준으로 표준 루트를 식별하여, 식별된 표준 루트를 바탕으로 UI를 구성하여 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인지 수준을 바탕으로, 페이지 당 정보량을 제한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 정보량을 기준으로, 페이지 당 출력되는 글자의 수 및 이미지의 수의 총량을 제한하되, 페이지 당 출력되는 이미지의 수를, 인지 수준에 따라 일정 개수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사용자에게 기준 UI 구성을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의 선택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 모듈(130)을 통해 획득하면, 획득된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시나리오인 기준 UI 구성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식별하고, 식별된 인지 능력에 맞는 UI 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의 역할을 서버(200)가 수행하여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서버(20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일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기본 UI 구성을 제공하고, 기본 UI 구성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ex. 스마트폰, 태블릿 등) 및 키오스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하고,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 UI를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 UI 각각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입력 시간, 및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인지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이후,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에 따라 구성된 UI를 제공하는 서버(20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 대한 인지 수준을 획득하여, 인지 수준을 바탕으로 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UI를 구성함으로써, 구성된 UI를 전자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메모리(210), 통신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휘발성 메모리(210), 휘발성 메모리(210), 플래시메모리(210)(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2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2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는 메모리(210)에 액세스하여, 메모리(21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프로세서(23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0)에는 프로세서(2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파이썬(Python)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전자 장치
110 : 메모리
120 : 프로세서
130 : 입출력 모듈
200 : 서버
210 : 메모리
220 : 통신부
230 : 프로세서

Claims (8)

  1. 메모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입출력 모듈;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입출력 모듈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일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기본 UI(User Interface) 구성을 제공하고,
    상기 기본 UI 구성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 UI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 UI 각각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 시간, 및 상기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인지 수준(level)을 평가하고,
    상기 인지 수준을 상기 일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최초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제1 시점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 중, 상기 제1 시점에 대해 최후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제2 시점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 간의 시간 간격인, 입력 시간을 산출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선택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선택 정보에 포함된 글자의 수인 제1 값을 산출하고,
    글자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인 제1 가중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선택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의 수인 제2 값을 산출하고,
    이미지에 대해 기 설정된 가중치인 제2 가중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 값에 상기 제1 가중치를 적용한 제1 무게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2 값에 상기 제2 가중치를 적용한 제2 무게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무게량 및 상기 제2 무게량을 바탕으로 정보량을 획득하고,
    상기 입력 시간 및 상기 정보량을 바탕으로 상기 일 사용자에 대한 단위 시간 당 정보량을 산출하는,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정보량에 대해 기 저장된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 및 기준 UI 사용 점수를 획득하고,
    상기 단위 시간 당 정보량, 및 상기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상기 단위 시간 당 기준 정보량, 및 기준 UI 사용 점수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사도를 바탕으로 상기 일 사용자에 대한 인지 수준을 산출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 기본 UI 구성 중, 상기 일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UI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UI의 종류 각각에 대해 사용 난이도에 비례하는 기 설정된 사용 점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 점수의 총 합을 바탕으로 상기 일 사용자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 별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UI의 종류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제로 사용된 UI의 종류에 따른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UI의 종류에 따른 소요 시간을 바탕으로 전체 UI의 종류에 대한 순위를 식별하고,
    상기 전체 UI의 종류 중 기 설정된 점수가 임계치 이상인 UI의 종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정 상위 순위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일정 상위 순위에 포함된, 기 설정된 점수가 임계치 이상인 UI의 종류의 점수에 비례하는 제3 가중치를 상기 UI 사용 점수에 적용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지 수준을 바탕으로 이미지의 크기, 텍스트의 크기, 및 일부 UI에 대한 원터치 잠금 모드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전자 장치.
  8.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1 항의 전자 장치를 통해 일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기본 UI(User Interface) 구성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상기 기본 UI 구성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한 입력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에 대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 UI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식별된 사용 UI 각각에 대한 UI 사용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시간, 및 상기 UI 사용 점수를 바탕으로 인지 수준(level)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220055653A 2022-01-25 2022-05-04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573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1093 2022-01-25
KR1020220011093 2022-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668A true KR20230114668A (ko) 2023-08-01
KR102573241B1 KR102573241B1 (ko) 2023-09-01

Family

ID=875615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656A KR20230114669A (ko) 2022-01-25 2022-05-04 사용자 인지 능력에 따라 구성된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220055653A KR102573241B1 (ko) 2022-01-25 2022-05-04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656A KR20230114669A (ko) 2022-01-25 2022-05-04 사용자 인지 능력에 따라 구성된 ui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1466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096A (ko) * 2011-03-15 2012-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능력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27072A (ko) * 2010-11-24 2014-03-06 디지털 아티펙츠 엘엘씨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2345A (ko) * 2019-06-12 2020-12-22 브레인스포츠(주) 인지 능력 향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072A (ko) * 2010-11-24 2014-03-06 디지털 아티펙츠 엘엘씨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5096A (ko) * 2011-03-15 2012-09-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능력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222210B1 (ko) 2011-03-15 2013-0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능력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00142345A (ko) * 2019-06-12 2020-12-22 브레인스포츠(주) 인지 능력 향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669A (ko) 2023-08-01
KR102573241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41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ummarized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N108292317B (zh) 问题和答案处理方法以及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US11398223B2 (en) Electronic device for modulating user vo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44236A1 (en) Exerc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7005470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2133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23298B1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US10558740B1 (en) Serving different versions of a user interface in response to user emotional state
KR102389996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화면 제어 방법
US202400951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1566646B (zh) 用于对数据进行混淆和解码的电子装置以及用于控制该电子装置的方法
US115868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user driven adaptive object visualizations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models
KR20230169016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1003530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73241B1 (ko) 개인별 인터페이스 사용 방식 기반 인지 능력 평가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의 제어 방법
US2018013690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speech recognition
US20220058564A1 (en) Person-in-charg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ask tracker
KR102445082B1 (ko) 블록 퍼즐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20230134658A (ko) 사용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맞춤형 캐릭터 생성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04099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8586B1 (ko) 가치 의식 판단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30118934A1 (en) Dynamically personalized on-demand training platform
KR20240025158A (ko) 고객 맞춤형 의류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69026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3813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