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4605A -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4605A
KR20230114605A KR1020220010984A KR20220010984A KR20230114605A KR 20230114605 A KR20230114605 A KR 20230114605A KR 1020220010984 A KR1020220010984 A KR 1020220010984A KR 20220010984 A KR20220010984 A KR 20220010984A KR 20230114605 A KR20230114605 A KR 2023011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schedule
registration
location
announ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헌
Original Assignee
긱앤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긱앤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긱앤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4605A/ko
Publication of KR2023011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은, 구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능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능 메뉴가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연관된 경우, 지도 영역을 포함하는 스케쥴 관리 화면을 상기 구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 영역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등록 스케쥴 중 적어도 한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 및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 적어도 한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METHOD AND DEVICE FOR SCHEDULE MANAGEMENT FOR JOB SEEK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매칭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구인 공고와 구직자의 기존 스케쥴 간의 연계 기능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직자 관점에서 스케쥴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 용무나 업무 등과 같은 스케쥴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이러한 일정 관리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일정을 저장하고, 각 일정이 도래하는 시점에(혹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점에) 해당 일정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여러 유형의 사용자들 중에서도 자유로운 일정에 맞춰 다양한 일을 하는 프리랜서에게는 자신이 근무 가능한 일자리(근무처)에 대한 정보 확인의 편의성, 자신의 기존 스케쥴과 구인 정보 간의 비교 용이성 및 자신이 근무를 희망하는 일자리의 제공자(구인자)에 대한 빠른 접근성 등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스케쥴 관리 프로그램은 어디까지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관리한 스케쥴 정보의 범주 내에서만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스케쥴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일일이 구인 공고를 찾아 자신의 스케쥴과 비교하고 조율하여 수시로 일자리를 구해야 하는 프리랜서를 비롯한 구직자에게 그들의 주요 니즈(needs)를 충분히 충족시켜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래 선행기술문헌(한국등록특허 제1741953호)은 구인-구직 매칭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해당 문헌은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구인자(사용자)에게 일거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문헌은 구인 장소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실시간 구인 공고를 제공할 뿐, 구인자가 이러한 기술을 기초로 전반적인 스케쥴 관리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구인 공고를 미리 확인할 수 없어 신규 스케쥴을 계획하거나 기존 스케쥴을 조정하는 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한계점 또한 있다.
뿐만 아니라, 구직 여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팩터인 장소와 시간를 기준으로 한 비교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형태의 사용자-친화적 인터페이스 제공 서비스가 부재하고, 더욱이 구인 공고에는 보통 그 신청 마감일이 정해져 있는데, 구직자로서는 구인 공고들의 홍수 속에서 일일이 신청 마감일을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마감일이 임박한 구인 공고들 중에서도 구직자의 상황이나 희망 조건과는 동떨어진 구인 공고들이 상당수이기 때문에, 구직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구인 공고를 빈번히 놓치거나 구인 공고들을 확인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953호(공고일자: 2017년 06월 01일)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직자의 효율적인 스케쥴 관리 및 구인 공고 획득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수많은 구인 공고들 중에서 사용자의 동선, 시간을 고려한 구인 공고를 자동 선별하여 구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인-구직 매칭 가능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잦은 구직 활동을 반복을 해야 하는 프리랜서에게 효율적인 일정/계약/수입 관리 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직자 본인이 직접 자신의 기 등록된 스케쥴(예, 기 등록된 스케쥴)이나 희망 근무 조건(예, 희망 급여, 희망 근무 시간, 희망 근무 지역 등)을 활용하여 구인 공고를 확인/ 검색/선별하고 기 등록된 스케쥴과 비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도 기반 스케쥴링 서비스를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은, 구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능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능 메뉴가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연관된 경우, 지도 영역을 포함하는 스케쥴 관리 화면을 상기 구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 영역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등록 스케쥴 중 적어도 한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 및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 적어도 한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 영역은, 특정 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이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상기 특정 일자에서의 복수의 등록 스케쥴이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등록 스케쥴 간의 등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상기 복수의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복수의 스케쥴 위치 객체를 1대1 방식으로 경유하는 제1 경로 객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은, 상기 지도 영역에 표시된 어느 한 스케쥴 위치 객체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스케쥴 위치 객체에 대응하는 등록 스케쥴의 세부 정보 표시창이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쥴 관리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부 정보 표시창은, 상기 선택된 스케쥴 위치 객체에 대응하는 등록 스케쥴의 명칭, 장소, 업종, 시간 및 급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은, 상기 지도 영역에 표시되는 맵 이미지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맵 이미지가 이동, 축소, 확대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스케쥴 관리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은, 상기 구인 공고 탐색을 요청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가 상기 지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쥴 관리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구인 공고는,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에서, 상기 특정 일자와 동일자의 구인 일자 및 상기 지도 영역에 대응하는 지역 범위에 속하는 구인 장소를 가지는 구인 공고일 수 있다.
상기 구인 위치 객체는, 사이즈, 색상, 모양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케쥴 위치 객체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선택된 기능 메뉴가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구인 공고에 연관된 경우,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이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과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와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1대1 방식으로 경유하는 제2 경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구직자에 의해 입력된 구인 공고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서 검색된 구인 공고인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등록 스케쥴은, 상기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한 등록 일자, 상기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과 미중첩되는 등록 시간 및 상기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로부터 기준 거리 내의 등록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등록 스케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구직자 스케쥴 관리 디바이스는, 복수의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기능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선택된 기능 메뉴가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연관된 경우, 지도 영역을 포함하는 스케쥴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도 영역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등록 스케쥴 중 적어도 한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 및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 적어도 한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구직자로서의 사용자에게 구직자의 상황과 희망 근무 조건에 맞춰 자동 선별된 구인 정보를 제공 가능함은 물론, 더 나아가서는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접근성 개선하고, 구직자와 구인자 간의 매칭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구직자 본인이 직접 자신의 기 등록된 스케쥴이나 희망 근무 조건을 활용하여 구인 공고를 확인/ 검색/선별하고 기 등록된 스케쥴과 비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도 기반 스케쥴링 서비스를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구인 정보 확인의 편의성과 구직자의 기존 스케쥴과 구인 정보 간의 비교 용이성의 측면에서 구직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스케쥴 관리 방법에 관련된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으로부터 전환 표시되는 다양한 예시적 스케쥴 관리 화면들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10)은, 컴퓨팅 장치(100), 구직자 단말기(200) 및 구인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컴퓨팅 장치(100), 구인자 단말기(300) 및 구직자 단말기(200) 각각이 단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직자 단말기(200) 및 구인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후술될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구직자 단말기(200) 및/또는 구인자 단말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처리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 예로, 컴퓨팅 장치(100)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서버 등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물리적으로 독립된 하드웨어에 의해 별도로 구현되거나, 혹은 클라우드 시스템 등에 의해 기능적으로 독립된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설명할 동작을 실행 가능하다면, 디바이스, 서버의 물리적 형태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구인자 단말기(300)는, 컴퓨팅 장치(100)에 구인 공고를 제공(등록)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이다. 일 예로, 구인자 단말기(300)는 PC,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구인자 단말기(300)은 클라이언트 장치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인 공고가 저장된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인자가 구인자 단말기(300)을 통해 구인 공고를 입력하면, 입력된 구인 공고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팅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구인자는 1인의 자연인이거나, 법인 등과 같은 단체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인자는, 구인자 단말기(300)를 소유 또는 대여한 구인자 본인은 물론, 구인자로부터 구인-구직 매칭 방법의 구현을 위해 구인자 단말기(300)의 사용을 승인받은 타인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구인자 단말기(300)가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컴퓨팅 장치(100)와 구인자 단말기(300) 간에 사전 정의된 데이터 전송 방식에 의해 구인자 단말기(300)에 저장된 정보가 컴퓨팅 장치(100)로 정기적/비정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컴퓨팅 장치(100)가 구인자 단말기(300)에 접속하여, 구인자가 구인자 단말기(300)에 미리 입력해둔 구인 공고를 획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컴퓨팅 장치(100)는, 봇(bot) 또는 로봇(robot)이라고 명명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크롤링 방식을 이용하여, 그에 접속된 각각의 구인자 단말기(300)에 접근하여 구인 공고를 획득할 수도 있고, 구인자 단말기(300)에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형태로 구인 공고를 제공하고 이를 기초로 컴퓨팅 장치(100)에서 구인 공고를 획득하는 등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가 구인 공고를 '수집'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인자 단말기(300)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컴퓨팅 장치(100)에 구인 공고를 제공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컴퓨팅 장치(100)가 능동적으로 구인자 단말기(300)로부터 구인 공고를 획득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구체적인 기술 수단은 제한되지 아니한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인자 단말기(300)와 마찬가지로, 컴퓨팅 장치(100) 및/또는 구인자 단말기(300)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 장치이다. 또한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직자 단말기(200)의 다양한 동작을 구현하기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보아야 하며, 단 이러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물리적 수단/기록매체 등에 저장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직자는, 구직자 단말기(200)를 소유 또는 대여한 구직자 본인은 물론, 구직자로부터 구인-구직 매칭 방법의 구현을 위해 구직자 단말기(200)의 사용을 승인받은 타인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가 구직자의 스케쥴을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서 이용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를 '구직자 스케쥴 관리 디바이스'라고 칭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 정보 저장부에 기록된 정보, 통신부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되는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가지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제어부에 의해 식별 가능한 신호로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단일 하드웨어 모듈로 통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구직자의 스케쥴 관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및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며,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에는 정보 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고, 정보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10) 내의 다른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직자 단말기(200) 및 구인자 단말기(300)와 연동하여, 컴퓨팅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구인-구직 매칭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의 방법은, 컴퓨팅 장치(100)에 의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 실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구인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집한 적어도 하나의 구인 공고를 포함하는 구인 공고 리스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구인 공고는, 업종(업무), 구인 기간, 구인 시간(예, 오전 11시~오후 1시), 구인 장소(예, 명칭, 주소 등) 등과 같이, 다른 구인 공고와 구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구인 관련 항목을 포함한다. 구인 공고 리스트는, 단일의 구인자 또는 2인 이상의 구인자에 의해 등록된 구인 공고(들)의 집합이며, 구인 공고들은 소정의 기준(들)에 맞춰 정렬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집된 구직 요청을 저장한다. 구직 요청은, (i)기존 스케쥴 정보(기존 스케쥴의 시간, 장소 등)와, (ii)구직 정보(사용자가 지정한 희망 구직 사항: 구직 시간, 구직 장소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S130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구직 요청의 구직 시간을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과 비교하여 구인 공고 리스트의 구인 공고(들)을 1차로 필터링하고, 1차 필터링된 구인 공고(들) 중 구직 요청 내에 포함된 장소 정보와 구인 공고 내에 포함된 구인 장소를 비교하여 구인 공고(들)을 2차 필터링하여 구인 공고를 선별한다.
단계 S140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선별된 구인 공고를 구직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사용자(구직자)의 스케쥴 및 구직 정보에 부합하는 구인 공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구인자 단말기(300) 등으로부터 구인 공고를 수집하여 저장(S110)한다. 구인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구직자를 찾기 위해, 자신들이 필요한 서비스의 종류 및 이러한 서비스가 수행되어야 할 시간과 장소를 구인자 단말기(300)에 지정한다. 컴퓨팅 장치(100)는 이러한 내역이 포함된 구인 공고를 구인자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해 수집하여 저장한다. 서비스의 종류는 예를 들어, 축구 수업, 배드민턴 수업, 바이올린 수업, 꽃꽂이 수업, 카페 아르바이트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구인자와 구직자가 상호 합의하에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라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 때, 구인자 단말기(300)등으로부터 수집되는 구인 공고의 형식은 다양할 수 있으나, 컴퓨팅 장치(100) 내에서의 처리, 연산 및 이에 따른 원활한 스케쥴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수집된 구인 공고에서 그 제공 시간('구인 시간'이라고 칭할 수도 있음), 장소, 종류를 추출하여 별도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수집된 구인 공고의 원형)와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구인 공고 리스트의 구인 공고별로 적합한 구직자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구직 요청을 수신하여 저장한다(S120).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구직 요청에는 구직자가 지정한 구직 시간(예, 2021년 11월 1일 오후 2시 ~ 오후 4시, 또는 2021년 11월 둘째주부터 2022년 2월 마지막주의 매 수요일 오전 10시 ~ 오후 1시 등) 및 구직 시간 이전 및 이후 스케쥴의 시간 및 스케쥴이 이뤄지는 장소 정보를 포함한다. 앞서, 구인 공고와 마찬가지로 구직 요청 또한 구직 시간, 구직 시간 이전/이후 스케쥴의 시간 및 장소 정보가 구직자 단말기(200)에 대응하는 사용자(사용자는 이메일, 휴대전화 번호,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 식별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인증/식별 수단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와 매칭되어 컴퓨팅 장치(100) 내에 별도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는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원본 데이터와 링크될 수 있다. 구직 요청에 포함되는 상술한 세부 정보들은 컴퓨팅 장치(100)에서 구인자와 구직자를 매칭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구인자 단말기(300)등으로부터 수집한 구인 공고를 저장하는 단계(S110)와,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구직 요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S120)는 후술할 구인 공고를 선별하는 단계(S130) 이전에만 수행되면 충분하며, S110 단계와 S120 단계의 순서는 선/후가 존재하지 않으며 동시에 처리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컴퓨팅 장치(100)에서는 구인 공고에 포함된 구인 시간이 구직 요청에 포함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를 1차로 필터링한다. 그 다음, 1차로 필터링된 구인 공고 중, 구직 요청 내에 포함된 장소 정보와, 구인 공고 내에 포함된 구직 시간 이전 및 이후 스케쥴의 장소 정보를 비교하여 2차로 필터링을 하여 구인 공고를 선별한다(S130). 이로써, 구직자의 동선 및 구직 시간 전후 스케쥴을 고려한 구인 공고를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선별된 구인 공고는 구직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S140). 구직자는, 구직자 단말기(200)에 제공된 구인 공고의 세부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구인 공고에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공된 구인 공고 내에 구인자의 연락처 등이 포함된 경우에는 구직자가 직접 구인처에 연락하여 구인-구직 매칭을 확정지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인-구직 매칭 또한 컴퓨팅 장치(100)를 매개로 실행될 수 있다. 구직자가 구직자 단말기(200)을 통해 제공된 구인 공고 중 특정 구인 공고를 선택하여 수락하는 명령/조작을 입력하면, 구직자가 입력한 혹은 컴퓨팅 장치(100)에 기저장된 구직자의 정보 등이 수락된 구인 공고에 대응한 구인자 단말기(300) 측으로 전송되어 구인자가 최종 수락하는 경우, 구인-구직 매칭이 확정될 수 있다. 이렇게 확정된 구인-구직 매칭을 기초로 컴퓨팅 장치(100)는 구직자의 근무 스케쥴을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에 체결된 계약의 조건 등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컴퓨팅 장치(100)는 구직자의 근무 스케쥴을 조율하고 중개하는 플랫폼에서 나아가, 다양한 구인자와 구직자 간의 근로 계약을 관리하는 플랫폼으로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의 방법은, 도 2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컴퓨팅 장치(100)에 의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 실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구인 공고를 선별하는 단계(S130)는 구직 시간 이전 스케쥴의 장소 정보와 구인 공고에 포함된 장소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 1 예상 이동 시간 및 구직 시간 이후 스케쥴의 장소 정보와 구인 공고에 포함된 장소를 이용하여 계산된 제2 예상 이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고, 제1 예상 이동 시간이 구인 공고에 포함된 구인 시간 중 시작 시간과 구직 시간 이전 스케쥴의 종료 시간의 차이보다 크거나, 계산된 제2 예상 이동 시간이 구인 공고에 포함된 구인 시간 중 종료 시간과 구직 시간 이후 스케쥴의 시작 시간의 차이보다 큰 구인 공고는 필터링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구직자의 구직 시간 전 또는 후의 스케쥴을 고려하여 구직자가 물리적/시간적으로 접근 가능한 구인 공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만약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구직 요청에 구직 시간 이전 스케쥴이 포함된 경우, 이전 스케쥴 종료 후, 구인 공고의 시작 전까지 차질없이 이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구직 요청에 구직 시간 이후 스케쥴이 포함된 경우, 구인 공고에 따른 스케쥴 종료 후, 구직자의 다음 스케쥴까지 원활한 진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인 공고에 포함된 장소와 이전/이후 스케쥴의 장소 정보를 비교하여 각 스케쥴 간 이동 거리, 이동 동선, 이동 시간 등을 산출한다. 이렇게 연산된 제1 예상 이동 시간이 구인 공고 내에 포함된 시작 시간과 이전 스케쥴의 종료 시간의 차이보다 크다면, 2차 필터링 되어 구직자 단말기(200)에 제공되지 않고, 제1 예상 이동 시간이 구인 공고 내에 포함된 시작 시간과 이전 스케쥴의 종료 시간의 차이보다 작다면, 이러한 구인 공고는 구직자 단말기(200)에 제공 가능하다. 제2 이동 예상 이동 시간이 구인 공고 내에 포함된 종료 시간과 이후 스케쥴의 시작 시간의 차이보다 크다면 2차 필터링되고, 작다면 구직자 단말기(200)에 제공 가능하다.
만약, 구직자가 구인 공고 전/후 모두 스케쥴이 있다면 제1 예상 이동 시간 및 제2 예상 이동 시간이 모두 연산되지만 이전 스케쥴만 있다면 제1 예상 이동 시간만 연산되고 이후 스케쥴만 있다면 제2 예상 이동 시간만 연산될 수 있으며, 이렇게 연산된 제1, 2 예상 이동 시간만을 이용하여 구인 공고가 선별될 수 있다.
추가로, 구직 시간 이전 스케쥴 및 구직 시간 이후 스케쥴의 시간/장소 정보는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구직 요청에 포함되나, 이러한 구직 요청은 구직자가 지정한 구직 시간과 항상 함께 전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정보는 세부적으로 관리되며 별도의 송수신 절차에 따라 구직자 단말기(200)에서 컴퓨팅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구직자 단말기(200)가 컴퓨팅 장치(100)를 통해 이전에 확정한 구인-구직 매칭 정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에 구직자의 구직 시간 이전/이후 스케쥴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구직자 단말기(200)로부터 반드시 수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구직자가 구직자 단말기(200)에 직접 입력한 스케쥴이 이전 스케쥴 및 이후 스케쥴로서 저장되어 컴퓨팅 장치(100)에 전송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구직 요청은 구직자의 이동 수단 정보를 더 포함하고, 컴퓨팅 장치(100)는 이동 수단 정보를 반영하여 제1 예상 이동 시간 또는 제2 예상 이동 시간을 계산한다. 각 구직자 별로 선호하는 혹은 활용 가능한 이동 수단이 상이하므로(예, 자차, 대중 교통, 도보 등) 이를 반영하여 제1, 2 예상 이동 시간을 연산하는 경우 구직자에게 맞춤형 구인 공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인 공고 리스트는, 1회성 구인 공고와 정기성 구인 공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공하는 단계(S140)는 선별된 구인 공고 중 정기성 구인 공고를 1회성 구인 공고에 우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정기성 구인 공고는, 장래의 일정 기간 내의 다수의 근무일에 대한 구인 요청이다. 컴퓨팅 장치(100)는 구직자가 프리랜서인 경우, 선별된 복수의 구인 공고 중 정기성 구인 공고를 구직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하여 프로랜서로서 안정된 수입원을 확보할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구직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구인 공고를 선별하는 단계(S130)는, 정기성 구인 공고 내 구인 시간이 구직 요청에 포함된 구직 시간의 일부와 중첩되는 경우, 정기성 구인 공고를 1차 필터링된 구인 공고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비록 정기성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이 구직 요청에 포함된 구직 시간에 완전히 속하지 않더라도, 구직 시간과 구인 시간이 일부만이라도 중첩된다면 1차 필터링에 포함시켜 구직자 단말기(200)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구직자가 자신의 구직 시간을 조정하여 정기성 구인 공고에 지원할 수 있도록 기회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구인 공고를 선별하는 단계(S130)는, 정기성 구인 공고 내 구인 시간의 일부와, 구직자의 기존 스케쥴이 일부 중첩되는 경우, 정기성 구인 공고를 1차 필터링된 구인 공고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직자의 기존 스케쥴과 정기성 구인 공고 내 구인 시간이 일부 중첩되는 경우에는, 구직자는 자신에게 제공된 정기성 구인 공고의 요구 사항(구인 시간)에 부합하도록 기존의 스케쥴을 조정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구직자 단말기(200) 로부터, 제공된 구인 공고에 기초하여 구직이 완료되었는지를 반영한 구인-구직 매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구직자는 본인의 스케쥴을 지속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고, 확정된 스케쥴 정보는 컴퓨팅 장치(100)에서 향후에 구인 공고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데에 반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의 방법에 대해 후술된 구직자 스케쥴 관리를 위한 구직자 단말기(200)의 동작들 각각은, (i)구직자 단말기(200)가 그에 설치된 스케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자체적인 데이터 프로세싱을 통해 단독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ii)유무선 네트워트를 통해 접속된 컴퓨팅 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 및/또는 컴퓨팅 장치(100)로부터의 제어 신호(동작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구직자 단말기(200)가 A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동작은, 구직자 단말기(200)가 자체적인 판단/제어 프로세스를 통해 A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능동적 동작이거나, 컴퓨팅 장치(100)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의 명령/요청/제어에 따라 A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수동적 동작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구직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기능 메뉴를 구직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복수의 기능 메뉴는 후술될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은, 구직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스케쥴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마다 또는 구직자 단말기(200)가 컴퓨팅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 제공용 웹사이트에 접속 시마다 구직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일 수 있다.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 및 구인 공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링크 가능하다. 등록 스케쥴 리스트는, 구직자의 등록 스케쥴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등록 스케쥴은, 구직자가 구직자 단말기(100)에 직접 입력한 개인 스케쥴 또는 근무 스케쥴이거나, 전술된 컴퓨팅 장치(100)와의 협업을 통해 수행된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통해 매칭 확정된 근무 스케쥴일 수 있다. 물론, 구직자는 구직자 단말기(100) 외의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등록 스케쥴을 나타내는 정보를 컴퓨팅 장치(100)에 전달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00)는 구직자 단말기(100) 외의 다른 단말기에 입력된 구직자의 등록 스케쥴을 수집할 수도 있다. 등록 스케쥴에는, 등록 시간, 등록 장소, 등록 일자 및 등록 업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나타내는 정보가 지정되어 있다. 물론, 등록 스케쥴에는, 급여 등의 추가적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등록 시간은, 등록 스케쥴의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과 둘 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등록 장소는, 등록 스케쥴의 지리적 위치를 나타낸다. 등록 일자는, 등록 스케쥴의 해당 날짜를 나타낸다. 예컨대, "2021년 12월 22일 오후 1시~2시에 신촌역에서 친구 만나기"라는 내용의 등록 스케쥴에 있어서, '2021년 12월 22일'은 등록 일자를, '오후 1시~2시'는 등록 시간을, '신촌역'은 등록 장소를, '축구 수업'은 등록 업무에 각각 해당한다. 등록 스케쥴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 등록 스케쥴의 정보는 도 4의 방법의 개시에 앞서서 구직자 단말기(200)의 정보 저장부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고, 나머지는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등록 스케쥴 리스트의 모든 등록 스케쥴 정보는, 구직자 단말기(200)의 정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도 4의 방법이 개시됨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인 공고 리스트는 제1 구인 공고 리스트 또는 제2 구인 공고 리스트를 칭할 수 있다. 제1 구인 공고 리스트는, 단계 S410의 실행 시점까지의, 컴퓨팅 장치(100)에서 수집한 모든 가용 구인 공고들 또는 구직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모든 가용 구인 공고들 중에서, 소정의 기준(들)에 따라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가용 구인 공고를 포함한다. 가용 구인 공고는, 공고 마감 시간(예, 신청 마감일)이 도과되기 전의 구인 공고를 의미한다. 일 예로, 현 시점을 기준으로 공고 마감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이 3일 이하인 구인 공고(들)이 가용 구인 공고로서 제1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구인 공고 리스트에 복수의 가용 구인 공고가 포함된 경우, 복수의 가용 구인 공고는 공고 마감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이 짧은 순으로 선순위 정렬되고, 잔여 시간이 동일한 2 이상의 구인 공고는 해당 구인 공고가 컴퓨팅 장치(100)에 등록된 시점이 늦은 순으로 선순위 정렬될 수 있다. 제2 구인 공고 리스트는, 단계 S410의 실행 시점까지 컴퓨팅 장치(100) 또는 구직자 단말기(200)에 저장(수집)된 모든 가용 구인 공고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제1 구인 공고 리스트는 제2 구인 공고 리스트의 부분집합일 수 있다. 제2 구인 공고 리스트는 후술될 구인 공고 검색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링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는,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은, 구직자가 자신의 등록 스케쥴을 확인/변경/등록하거나 자신의 등록 스케쥴의 정보를 구인 공고들의 정보와 비교하는 데에 필요한 여러 관리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메뉴(511, 512, 513, 540)를 포함한다. 구인 공고 리스트의 모든 구인 공고(들) 중에서 소정 개수의 선순위 구인 공고들의 정보 표시창(521, 522, 523)을 포함하는 구인 공고 정렬창(520)이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에 표시될 수 있다. 기능 메뉴(511), 기능 메뉴(512) 및 기능 메뉴(513)는 서로 다른 지도 기반 스케쥴 관리 기능에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에는, 광고 배너 영역(530)이 더 표시될 수 있다. 광고 배너 영역(530)은 5(가로):2(세로)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통해 선별된 구인 공고(들)에 링크된 공고 알림 메뉴(540)가 하나의 기능 메뉴로서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에 표시될 수 있다. 공고 알림 메뉴(540)가 구직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구인-구직 매칭 방법을 통해 선별된 구인 공고(들)이 구직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구직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기능 메뉴(511, 5112, 513, 5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일 예로, 구직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복수의 기능 메뉴(511, 5112, 513) 중 어느 하나의 표시 영역에 대한 구직자의 터치 액션이 단계 S420에서의 사용자 입력으로서 감지된다. 다른 예로, 구직자 단말기(200)의 입력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커서를 조정하는 마우스인 경우, 복수의 기능 메뉴(511, 5112, 513) 중 어느 하나의 표시 영역에 대한 구직자의 클릭 액션이 단계 S420에서의 사용자 입력으로서 감지된다. 단계 S420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430으로 진행된다.
단계 S430에서, 구직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기능 메뉴가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연관된 경우, 지도 영역을 포함하는 스케쥴 관리 화면을 구직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지도 영역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등록 스케쥴 중 적어도 한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 및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 적어도 한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6은 기능 메뉴(511)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스케쥴 관리 화면(SM1)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기능 메뉴(511)에 연관된 스케쥴 관리 기능은, 구직자의 등록 스케쥴을 우선으로 한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케쥴 관리 화면(SM1)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일자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에 대응하는 스케쥴 위치 객체(들)(P11~P14)이 표시된 지도 영역(M1)을 포함한다. 스케쥴 위치 객체(들)(P11~P14) 각각은 등록 장소의 지리적 좌표에 대응하는 화면 지점에 표시되는 위치 마크를 포함하고, 해당 마크의 일측에 배치되는 간략 정보 표시창(예, 업무명, 업무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일자는, 제1 기능 객체(511)가 선택된 시각의 일자(즉, 오늘)를 디폴트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구직자에 의해 지정된 다른 일자일 수 있다. 스케쥴 관리 화면(SM1)에는 특정 일자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들)를 포함하는 일자 정보 안내창(W1)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자 정보 안내창(W1)의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구직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감지)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해당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일자로 현재의 특징 일자를 변경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특정 일자에 등록된 등록 스케쥴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기초로, 복수의 등록 스케쥴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스케쥴 위치 객체(P11~P14)의 지도 영역(M1) 내에서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지도 영역(M1)의 수직 방향 사이즈와 수평 방향 사이즈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값(예, 5:3)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특정 일자의 복수의 등록 장소 중, (i)수직 방향(예, 북남)으로 최대 이격된 두 등록 장소(예, P12, P14) 간의 직선 거리와 (ii)수평 방향(예, 동서)으로 최대 이격된 두 등록 장소(예, P11, P14) 간의 직선 거리를 기초로, 지도 영역(M1)에 맵 이미지로 표시할 관심 지역 범위가 결정되고, 관심 지역 범위 내에서의 등록 장소별 지리적 좌표에 따라 스케쥴 위치 객체들(P11~P14)의 표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두 등록 장소(예, P12, P14) 간의 직선 거리가 6km이고, 두 등록 장소(예, P11, P14) 간의 직선 거리가 5km인 경우, 기준값 5:3에 따른 6km:(18/5)km 및 (25/3)km:5km 중에서 두 직선 거리 6km:5km 이상이 되는 (25/3)km:5km를 선택하고, (25/3)km:5km에 소정의 스케일링 값(예, 1.1)을 곱한 (27.5/3)km:5.5km를 관심 지역 범위의 수직 거리와 수평 거리로서 설정할 수 있다. 특정 일자에 등록된 등록 스케쥴이 하나인 경우에는, 해당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가 중앙이 되고 소정 면적을 가지는 관심 지역 범위의 맵 이미지가 지도 영역(M1)에 표시될 수 있다. 맵 이미지는, 외부의 지도 서버나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획득되는 것이거나 구직자 단말기(200)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지도 영역(M1)에 대한 설명들 중 적어도 일부는 후술된 지도 영역(M2)과 지도 영역(M3) 중 적어도 하나에 공통될 수 있다.
특정 일자에 등록된 등록 스케쥴이 복수인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복수의 등록 스케쥴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스케쥴 위치 객체(P11~P14)를 1대1 방식으로 경유하는 제1 경로 객체(C1)를 지도 영역(M1)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제1 경로 객체(C1)는, 시간 기준으로 인접 선후 관계를 가지는 두 등록 스케쥴에 대응하는 두 위치 객체마다의 단위 연결선(예, P11와 P12를 연결하는 점선)을 포함하며, 지도 영역(M1)에 표시되는 총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위치 객체가 표시된다고 할 때, 단위 연결선은 총 M-1개일 수 있다. M-1개의 단위 연결선은, 굵기, 대시, 색상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지도 영역(M1)에는, 특정 일자의 최선행 등록 스케쥴의 장소로부터 최후행 등록 스케쥴의 장소까지의 총 경로에 대한 M-1개의 단위 연결선 각각의 이동 순서를 나타내는 기호(문자, 숫자 등)가 M-1개의 단위 연결선 각각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M개의 등록 스케쥴 간의 선후행 관계에 맞춰 소정의 그래픽 효과(예, 깜빡임)가 M-1개의 단위 연결선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각 단위 연결선이 직선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직선 형태 대신 실제 이동 경로에 대응하도록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기능 메뉴(512)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스케쥴 관리 화면(SM2)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기능 메뉴(512)에 연관된 스케쥴 관리 기능은, 구작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구인 공고를 우선으로 하는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케쥴 관리 화면(SM2)은,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구인 공고의 등록 장소에 대응하는 구인 위치 객체(P20)가 표시되는 지도 영역(M2)을 포함한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도 5에 예시된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에 표시된 구인 공고 정렬창(520) 중 기능 메뉴(512)에 연관된 구인 공고(521)를 특정 구인 공고로서 식별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의 등록 스케쥴(들)이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구인 일자와 동일자의 등록 스케쥴별 장소에 대응하는 스케쥴 위치 객체(P21, P22)를 지도 영역(M2)에 더 표시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인 위치 객체(P20)와 모든 스케쥴 위치 객체(P21, P22)를 1대1 방식으로 경유하는 1대1 방식으로 경유하는 제2 경로 객체(C2)를 지도 영역(M1)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제2 경로 객체(C2)는, 제1 경로 객체(C1)와 마찬가지로, 시간 기준으로 인접 선후 관계를 가지는 등록 스케쥴과 구인 공고에 대응하는 두 위치 객체마다의 단위 연결선(예, P21와 P20을 연결하는 점선)을 포함한다.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가 복수인 경우(즉, 특정 구인 공고가 정기성 구인 공고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인 일자 중 빠른 순으로 기준 개수까지의 구인 일자(들)에 일대일 대응하는 구인-구직 비교 객체(w21, w22, w23)가 정렬된 일자 정보 안내창(W2)이 스케쥴 관리 화면(SM2)에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구인 일자의 수가 기준 개수보다 큰 경우, 일자 정보 안내창(W2)의 일측에 스크롤바(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구인-구직 비교 객체(w21, w22, w23) 각각은,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별로, 구인 시간에 선행하는 등록 스케쥴이 있는 경우, (i)선행 등록 스케쥴의 상세 정보 및 (ii)선행 등록 스케쥴의 등록 시간 종료 후 구인 시간 시작 전까지 구인 장소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착 불가인 경우, 해당 구인 공고의 구인 위치 객체는 선행 등록 스케쥴의 스케쥴 위치 객체와는 사이즈, 색상, 모양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선행 등록 스케쥴은, 특정 구인 공고의 근무 시작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예, 5시간) 이내의 종료 시각을 가지는 등록 스케쥴일 수 있다. 또한, 일자 정보 안내창(W2)은,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별로,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에 후행하는 등록 스케쥴이 있는 경우, (i)후행 등록 스케쥴의 상세 정보 및 (ii)구인 시간 종료 후 후행 근로 스케쥴의 등록 시간 시작 전까지 후행 근로 스케쥴의 근로 장소에 도착 가능한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착 불가인 경우, 해당 구인 공고의 구인 위치 객체는 후행 등록 스케쥴의 스케쥴 위치 객체와는 사이즈, 색상, 모양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후행 등록 스케쥴은, 특정 구인 공고의 근무 종료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예, 5시간) 이내의 시작 시각을 가지는 등록 스케쥴일 수 있다. 또한, 구인-구직 비교 객체(w21, w22, w23) 각각에 있어서, 선행 등록 스케쥴의 정보란, 특정 구인 공고의 정보란, 및 후행 등록 스케쥴의 정보란이 시간 순으로 일방향(도 9에서는 좌에서 우)으로 정렬 표시될 수 있고, 선후 관계의 두 정보란 사이에는 도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표식(예, → 에 대한 ×)이 표시될 수 있다. 도착 가능 여부의 판정 절차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예상 이동 시간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0은 기능 메뉴(513)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스케쥴 관리 화면(SM3)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기능 메뉴(513)에 연관된 스케쥴 관리 기능은, 구작자에 의해 입력된 구인 공고 검색어의 연관 구인 공고를 우선으로 하는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이다. 스케쥴 관리 화면(SM3)은, 구인 공고 검색창 및 지도 영역(M3)을 포함한다. 구인 공고 검색창(S)은 구직자로부터 구인 공고 검색어를 입력받는 화면 영역이다. 지도 영역(M3)은, 가장 최근에 입력된 구인 공고 검색어에 따라, 구인 공고 리스트로부터 선별된 연관 구인 공고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P30)를 포함한다. 구인 공고 검색어는, 구직자가 구직을 희망하는, 지역(예, 주소), 구인자 명칭, 구인 업종(예, 수영 강사) 등을 지정하기 위한 숫자, 기호 및 문자의 조합일 수 있다.
스케쥴 관리 화면(SM3)이 표시된 때로부터 구인 공고 검색어에 의한 검색 요청이 입력되기 전이거나 연관 구인 공고가 없는 경우, 지도 영역(M3)에는 구직자 단말기(200)의 현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면적의 지역 범위가 표시될 수 있다. 구인 공고 검색창(S)의 일측에는 이전에 입력된 구인 공고 검색어(들)(예, '어린이', '서울 강남구 역삼로 xxx', '축구 교실')이 정렬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최근에 입력된 구인 공고 검색어(예, '어린이')는 그보다 먼저 입력된 구인 공고 검색어(예, '서울 강남구 역삼로 137')보다 상단에 표시될 수 있고, 스케쥴 관리 화면(SM3)에 표시되는 이전 구인 공고 검색어들의 최대 개수는 일정값(예, 5개) 이하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스케쥴 관리 화면(SM3)에는 이전 구인 공고 검색어별 삭제 마크(도 10의 '×')가 표시될 수 있고, 구직자에 의해 터치된 삭제 마크에 대응하는 스케쥴 관리 화면(SM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의 유효 등록 스케쥴이 포함된 경우, 유효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에 대응하는 스케쥴 위치 객체(P31)를 지도 영역(W3)에 추가할 수 있다. 유효 등록 스케쥴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 중에서, (i)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의 등록 일자, (ii)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과 미중첩되는 등록 시간 및 (iii)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로부터 기준 거리 내의 등록 장소(또는 등록 장소와 구인 장소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이동 예상 시간이 기준 시간 내일 것) 중 어느 하나, 어느 둘 또는 셋 모두를 가지는 등록 스케쥴일 수 있다. 기준 거리는, 미리 정해진 고정 거리이거나, 등록 시간의 시작 시각(또는 종료 시각)과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의 종료 시각(또는 시작 시각) 간의 시간차에 시간-거리 변환 함수(현 시점의 교통 상황에 매핑됨)를 적용함으로써, 해당 시간차를 거리로 환산한 결과값일 수 있다.
구인 공고 리스트로부터 연관 구인 공고를 선별하는 과정은, 구직자 단말기(200) 단독으로, 컴퓨팅 장치(100) 단독으로, 또는 구직자 단말기(200)와 컴퓨팅 장치(100)의 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직자 단말기(200)의 정보 저장부에 미리 기록해둔 구인 공고 리스트를 호출하거나 컴퓨팅 장치(100)로부터 구인 공고 리스트를 수집한 다음, 구인 공고 검색어에 따른 구인 정보를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구인 공고의 구인 정보와 비교하여, 연관 구인 공고를 선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인 공고 검색어를 컴퓨팅 장치(100)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그에 저장된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구인 공고의 구인 정보를 구인 공고 검색어에 따른 구인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구인 공고를 연관 구인 공고로서 선별한 다음, 선별된 연관 구인 공고를 구직자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선별 과정은, 구인 공고 검색어를 구직 요청으로서 이용하여, 연관 구인 공고를 선별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연관 구인 공고가 복수인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 또는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의 연관 구인 공고에 서열화 규칙을 적용하여, 연관 구인 공고별로 순위(또는 매칭 스코어)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공고 마감 시간까지의 잔여 시간, 구인 일자의 구인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구직자의 가용 시간, 정기성, 급여, 평가 점수(근무 이력이 있는 구직자들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 있음) 등과 같은 연관 구인 공고로부터 파악 가능한 항목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중합이 클수록 높은 순위(또는 매칭 스코어)가 부여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특정 주소(예, "서울 강남구 역삼로 xxx")가 구인 공고 검색어로서 입력됨에 따라, 연관 구인 공고는 1개 특정되고, 지도 영역(M3)에는 해당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위치 객체(P30)가 표시된다. 스케쥴 관리 화면(SM3)에는,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자에 대한 세부 정보 안내창(W3)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직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중인 스케쥴 관리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구직자 단말기(200)는 스케쥴 관리 화면(SM1)의 어느 한 스케쥴 위치 객체에 대한 구직자의 터치 액션을 단계 S440에서의 사용자 입력으로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구직자 단말기(200)는 스케쥴 관리 화면(SM2)의 일자 정보 안내창(W2)에 대한 구직자의 드래그 액션을 단계 S440에서의 사용자 입력으로서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440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450으로 진행된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구직자 단말기(200)는 스케쥴 관리 화면(SM3)의 세부 정보 표시창(W3)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 전환 마크(예, <, >)에 대한 구직자의 터치 액션을 단계 S440에서의 사용자 입력으로서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구직자 단말기(200)는, 단계 S440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스케쥴 관리 화면의 표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표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는 것은, 기존 표시 정보의 변경, 기존 표시 정보의 제거 및 신규 표시 정보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됨을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은 스케쥴 관리 화면(SM1)의 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스케쥴 관리 화면(SM1)에 표시된 어느 한 스케쥴 위치 객체(P13)가 구직자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터치된 스케쥴 위치 객체(P13)에 대응하는 등록 스케쥴의 세부 정보 표시창(p13)을 추가 표시할 수 있다. 스케쥴 위치 객체(P13)는, 터치 전후로 사이즈, 색상, 모양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스케쥴 위치 객체(P13)가 재터치되면, 세부 정보 표시창(p13)이 사라질 수 있다. 등록 스케쥴의 세부 정보 표시창(p13)은, 스케쥴 위치 객체(P13)에 대응하는 등록 스케쥴의 명칭, 장소, 업종, 시간 및 급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아이콘 등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고, 지도 영역(M1) 내에 팝업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터치된 스케쥴 위치 객체(P13)는 나머지 위치 객체(P11, P12, P14)과는 사이즈, 색상, 모양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스케쥴 관리 화면(SM1)에 표시된 구인 공고 탐색 버튼(B1, '이 위치에서 탐색')이 구직자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인 공고 탐색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식별하여, 구인 공고 리스트에 특정 일자에서의 구직자의 신규 등록 스케쥴로서 추가 가능한 구인 공고인 유효 구인 공고가 존재하는지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유효 구인 공고를 탐색하는 지역 범위는, 지도 영역(M1)에 표시되는 지역 범위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유효 구인 공고는, 구인 공고 리스트의 모든 구인 공고 중에서, 특정 일자에 속하는 구인 시간과 지도 영역(M1)에 대응하는 지역 범위에 속하는 구인 장소를 가지는 구인 공고일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유효 구인 공고가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탐색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P10)를 지도 영역(M1)에 추가 표시할 수 있다. 스케쥴 관리 화면(SM1)을 통해 안내되는 유효 구인 공고의 최대 개수는 50개 등으로 미리 제한 설정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인 위치 객체(P10)에 대응하는 유효 구인 공고의 상세 정보 표시창(p10)을 스케쥴 관리 화면(SM1) 내의 기 설정된 영역에 또는 모든 위치 객체와 중첩되지 않는 지도 영역(M1) 내의 여유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지도 영역(M1)에 표시되는 모든 위치 객체들(P10~P14) 중 적어도 둘은 사이즈, 색상, 모양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세 정보 표시창(p10)의 소정 영역(예, 아이콘 이미지 등)이 선택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인 위치 객체(P10)에 대응하는 유효 구인 공고에 링크된 구인자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 단말기(200)는, 스케쥴 관리 화면(SM1) 내의 비활성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상세 정보 표시창(p10)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비활성 영역은, 해당 영역에 대한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이 무시되도록 설정된 영역으로서, 예컨대 위치 객체들(P10~P14)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스케쥴 관리 화면(SM1)에는 기능 메뉴(512)와 동일한 스케쥴 관리 기능에 링크된 기능 메뉴(512')가 표시될 수 있다. 기능 메뉴(5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스케쥴 관리 화면(SM1)을 스케쥴 관리 화면(SM2)으로 전환할 수 있다. 스케쥴 관리 화면(SM1)에는 기능 메뉴(513)와 동일한 스케쥴 관리 기능에 링크된 기능 메뉴(513')가 표시될 수 있다. 기능 메뉴(513')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스케쥴 관리 화면(SM1)을 스케쥴 관리 화면(SM3)으로 전환할 수 있다.
지도 영역(M1)의 맵 이미지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도 영역(M1)에 표시되는 맵 이미지가 이동, 축소, 확대 또는 회전되도록 스케쥴 관리 화면(SM1)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도 영역(M1)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스와이프(swipe) 제스쳐가 감지된 경우, 스와이프 제스쳐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맵 이미지가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도 영역(M1)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핀치(pinch) 제스쳐가 감지되면 핀치 제스쳐의 크기에 따라 맵 이미지는 축소되고, 스프레드(spread) 제스쳐가 감지되면 스프레드 제스쳐의 크기에 따라 맵 이미지는 확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지도 영역(M1)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서 확대 제스쳐가 감지되면 확대 제스쳐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맵 이미지는 회전될 수 있다.
도 9를 재참조하면, 특정 구인 공고의 복수의 구인 일자가 기준 개수보다 많고, 스케쥴 관리 화면(SM2)에 표시된 일자 정보 안내창(W2)에 대한 구직자의 드래그 액션이 감지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드래그 액션의 이동량과 방향에 맞춰 일자 정보 안내창(W2)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구인 공고의 복수의 구인 일자의 수가 기준 개수보다 많아 스케쥴 관리 화면(SM2)에 표시되지 않았던 나머지 구인 일자에 대한 구인-구직 적합도 안내창이 스케쥴 관리 화면(SM2)에 표시됨과 동시에 표시 중이던 구인-구직 적합도 안내창은 스케쥴 관리 화면(SM2)으로부터 사라질 수 있다. 구인-구직 적합도 안내창들은, 구인 일자가 빠른 순으로 정렬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을 재참조하면, 연관 구인 공고가 복수인 경우, 스케쥴 관리 화면(SM3)에는, 현재 표시 중인 세부 정보 표시창에 대한 전환 마크(예, <, >)가 더 표시될 수 있다. 구직자에 의해 전환 마크가 터치되는 경우, 현재 표시 중인 세부 정보 표시창(W3)에는 다른 연관 구인 공고의 세부 정보가 전환 표시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인 공고 검색창(S)의 뒤로가기 버튼이 선택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스케쥴 관리 화면(SM3)의 표시를 중단할 수 있다.
구직자는, 전술된 스케쥴 관리 화면(SM1, SM2, SM3)을 통해 안내되는 구인 공고들 중 자신이 관심이 있는 구인 공고가 있는 경우, 해당 구인 공고를 관심 구인 공고로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구인 공고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예, 도 9의 P20)에 대한 터치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거나 특정 구인 공고와 함께 표시되는 관심 구인 공고 선택용 아이콘(예, 즐겨찾기 버튼, 찜하기 버튼)이 터치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해당 구인 공고를 구직자의 관심 구인 공고로 설정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200)는, 구직자가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관심 구인 공고를 확인 가능한 별도의 관심 구인 공고 확인 화면을 구직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구직자는, 관심 구인 공고 확인 화면을 통해 자신이 등록해둔 각 관심 구인 공고에 관한 상세 정보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직자가 해당 구인 공고를 다시 찾는 데에 필요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에서의 배너 관리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관리자(예,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의 사업자)의 요청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또는 관리자가 설정한 다른 디바이스에 배너 관리 화면(BM)을 표시할 수 있다.
배너 관리 화면(BM)은, 도 5의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의 광고 배너 영역(530)의 개수 등을 변경하거나, 광고 배너 영역(530)별로 표시되는 배너 이미지를 변경하는 데에 이용되는 객체들(예, 그래픽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는, '배너 추가' 버튼을 선택(예, 터치, 클릭)하여 광고 배너 영역(53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고, '삭제' 버튼을 선택하여 기 등록된 배너 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고, '파일 선택' 버튼을 선택하여 광고 배너 영역(530)별로 표시될 배너 이미지의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광고 배너 영역(530)별로 링크되는 웹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5의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에서 광고 배너 영역(530)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구직자 단말기(200)는 선택된 광고 배너 영역(530)에 링크된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배너 관리 화면(BM)의 '저장' 버튼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광고 배너 영역(530)에 대해 입력/변경한 내용들이 최종적으로 스케쥴 통합 관리 화면(500)에 반영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컴퓨팅 장치
200: 구직자 단말기
300: 구인자 단말기

Claims (14)

  1.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에 있어서,
    구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기능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능 메뉴가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연관된 경우, 지도 영역을 포함하는 스케쥴 관리 화면을 상기 구직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지도 영역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등록 스케쥴 중 적어도 한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 및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 적어도 한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은,
    특정 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이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일자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상기 특정 일자에서의 복수의 등록 스케쥴이 포함된 경우, 상기 복수의 등록 스케쥴 간의 등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상기 복수의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복수의 스케쥴 위치 객체를 1대1 방식으로 경유하는 제1 경로 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에 표시된 어느 한 스케쥴 위치 객체를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스케쥴 위치 객체에 대응하는 등록 스케쥴의 세부 정보 표시창이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쥴 관리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부 정보 표시창은, 상기 선택된 스케쥴 위치 객체에 대응하는 등록 스케쥴의 명칭, 장소, 업종, 시간 및 급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의 맵 이미지에 대한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맵 이미지가 이동, 축소, 확대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스케쥴 관리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 공고 탐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가 상기 지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스케쥴 관리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효 구인 공고는,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에서, 상기 특정 일자와 동일자의 구인 일자 및 상기 지도 영역에 대응하는 지역 범위에 속하는 구인 장소를 가지는 구인 공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인 위치 객체는,
    사이즈, 색상, 모양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케쥴 위치 객체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선택된 기능 메뉴가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구인 공고에 연관된 경우,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이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과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시간에 따른 순서로,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와 상기 특정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자에서의 등록 스케쥴별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1대1 방식으로 경유하는 제2 경로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구직자에 의해 입력된 구인 공고 검색어를 이용하여 상기 구인 공고 리스트에서 검색된 구인 공고인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영역은,
    상기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 등록 스케쥴은, 상기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일자와 동일한 등록 일자, 상기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시간과 미중첩되는 등록 시간 및 상기 연관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로부터 기준 거리 내의 등록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등록 스케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구직자 스케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4.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기능 메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기능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선택된 기능 메뉴가 지도 기반의 스케쥴 관리 기능에 연관된 경우, 지도 영역을 포함하는 스케쥴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지도 영역은,
    등록 스케쥴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등록 스케쥴 중 적어도 한 등록 스케쥴의 등록 장소를 나타내는 스케쥴 위치 객체 및 구인 공고 리스트에 포함된 모든 구인 공고 중 적어도 한 구인 공고의 구인 장소를 나타내는 구인 위치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직자 스케쥴 관리 디바이스.
KR1020220010984A 2022-01-25 2022-01-25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30114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984A KR20230114605A (ko) 2022-01-25 2022-01-25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984A KR20230114605A (ko) 2022-01-25 2022-01-25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605A true KR20230114605A (ko) 2023-08-01

Family

ID=8756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984A KR20230114605A (ko) 2022-01-25 2022-01-25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46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953B1 (ko) 2016-06-24 2017-06-01 천성진 위치기반 실시간 일거리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953B1 (ko) 2016-06-24 2017-06-01 천성진 위치기반 실시간 일거리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50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line scheduling in an on-demand service
US20150019642A1 (en) Calendar-event recommendation system
GB2513836A (en) Automated diary population II
EP2761549A1 (en) Managing event data in a diary
WO2013016362A1 (en) Hotel results interface
JP2012018175A (ja) ガイド情報選別システム
US20120259669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interactive digital mapping integration of travel plans
EP3905162A2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JP6733440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JP2019215679A (ja) 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0813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28798B2 (ja) ガイド情報選別システム
JP2019194860A (ja) 求人情報提供サーバ及び/又は求職情報提供サーバ並びに求人情報受領プログラム
JP6059829B1 (ja) 予約処理装置、ユーザ端末および予約処理方法
JP6649235B2 (ja) 業務支援システム、業務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09762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20230114605A (ko) 구직자를 위한 스케쥴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194392B2 (ja) 時刻表表示システムおよび時刻表表示プログラム
US201700464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9194823A (ja) 求人情報提供サーバ及び/又は求職情報提供サーバ並びに求人情報受領プログラム
JP6399104B2 (ja) 旅程表示プログラム、旅程表示方法および旅程表示装置
KR102533132B1 (ko) 룰베이스 모임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2360794B1 (ko) 스케쥴 관리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533133B1 (ko) 인공지능 기반 모임 매칭 장치 및 방법
JP6845365B1 (ja) 対話型入力支援システム、対話型入力支援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