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957A -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 Google Patents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957A
KR20230113957A KR1020220009848A KR20220009848A KR20230113957A KR 20230113957 A KR20230113957 A KR 20230113957A KR 1020220009848 A KR1020220009848 A KR 1020220009848A KR 20220009848 A KR20220009848 A KR 20220009848A KR 20230113957 A KR20230113957 A KR 2023011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edestal
light
ai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수빈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윤수빈
최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빈, 최영민 filed Critical 윤수빈
Priority to KR102022000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957A/en
Publication of KR2023011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95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방향제가 담긴 방향 용기(1)를 거치하는 받침대(11), 받침대(11)의 상향에 배치되는 제1 광원(21), 및 내부에 제1 광원(21)을 수용하고 하부가 개방된 반사갓(23)을 포함하여, 제1 광원(21)에서 방출한 제1 광(21a)을 방향 용기(1)로 안내하는 조명부(20), 받침대(11)와 반사갓(23)을 연결하는 지지대(30), 및 반사갓(23)의 내부에 배치되고, 송풍을 통해 방향제로부터 발산된 방향물질(3)을 공기 중에 확산시키는 주 송풍부(4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diffuser, and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1 for holding a fragrance container 1 containing a fragrance, and 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upward of the pedestal 11 ( 21), and a reflector 23 accommodating the first light source 21 therein and having an open bottom, and guiding the first light 21a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21 to the aroma container 1 The lighting unit 20, the support 30 connecting the pedestal 11 and the reflector 23, and the reflector 23 are disposed inside, and the fragrant material 3 emitted from the air freshener is diffused into the air through blowing. It includes a main blower 40.

Description

조명 디퓨져{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Lighting diffuser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기능과 방향물질을 확산시키는 디퓨져 기능이 겸비된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iff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having both a lighting function and a diffuser function for diffusing a fragrant substance.

발향 디퓨져는 가정이나 사무실, 화장실 등의 공간에 방향제를 공기 중에 확산시키는 기기이다. 방향제는 액체, 고체 및 젤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방향제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디퓨져가 개발되었다. 일례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방향제가 담긴 용기에 통기공을 형성시켜 방향물질을 확산시키는 디퓨져가 있다. 또한, 방향제 용기에 스틱이나 천 등과 같은 흡습성 부재를 꽂아 사용하는 형태도 있다. A fragrance diffuser is a device that diffuses a fragrance into the air in a space such as a home, office, or bathroom. Fragrance is formed in liquid, solid, and gel forms, and various types of diffuser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form of these fragrances. As an example, 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prior art document, there is a diffuser that diffuses a fragrant substance by forming a ventilation hole in a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fragrant. In addition, there is also a form in which a hygroscopic member such as a stick or cloth is inserted into the air freshener container.

그러나 이러한 종래 디퓨져는 방향제가 자연적으로 증발되면서 방향물질이 발산되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 방향물질이 확산되기 어렵고, 그 확산속도를 제어하기도 곤란한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iffuse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ffuse the fragrant material in a wide space and to control the diffusion speed because the fragrant material is emitted while the fragrant is naturally evaporated.

이에 종래 디퓨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iffuser.

KRKR 10-2021-0157256 10-2021-0157256 A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명에 의한 발열 및 송풍을 이용해 액상 방향제의 방향물질을 실내 공간 내에 확산시키는 조명 디퓨져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diffuser for diffusing fragrant substances of a liquid air freshener into an indoor space by using heat and blowing by ligh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방향제가 담긴 방향 용기를 거치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향에 배치되는 제1 광원, 및 내부에 상기 제1 광원을 수용하고 하부가 개방된 반사갓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광원에서 방출한 제1 광을 상기 방향 용기로 안내하는 조명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반사갓을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배치되고, 송풍을 통해 상기 방향제로부터 발산된 방향물질을 공기 중에 확산시키는 주 송풍부;를 포함한다.A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for holding a fragrance container containing a fragrance; a lighting unit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upward of the pedestal and a reflector accommodating the first light source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 therein to guide the firs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o the fragrance container; a support connecting the pedestal and the reflector; and a main blower disposed inside the reflector and diffusing the fragrant substances emitted from the air freshener into the air through blow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방향 용기의 하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destal may have a seating portion concavely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grance container is inserted and dispo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받침대에 내장되고, 상기 안착부를 향해 제2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built into the pedestal and radiating a second light toward the sea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내장되고, 상기 안착부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ing unit built into the pedestal and applying heat to the sea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주 송풍부는, 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송풍팬; 상기 제1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를 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고정하는 모터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lowing unit may include a first blowing fan disposed inside the reflector; a first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blowing fan to rotate the first blowing fan; and a motor fixing table for fixing the first motor to the inside of the reflec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주 송풍부는, 상기 방향물질이 상기 반사갓의 내상부로 이동되도록 송풍하고, 상기 반사갓은, 외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확산공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물질을 확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lowing unit blows air so that the fragrant material is mov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and the reflector has a plurality of diffusion holes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The aromatic substance can be diff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주 송풍부는, 상기 방향물질이 상기 반사갓의 내상부로 이동되도록 송풍하고, 상기 지지대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반사갓의 내부와 연통되며, 외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물질을 확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lowing unit blows air so that the aromatic material is mov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and the suppo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one end of the reflector. I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and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fragrant substance can be diff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와 연결된 타단에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직진부, 및 상기 직진부의 말단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직진부의 타측 방향, 및 상기 만곡부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has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a curved portion curved in one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traight part an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urved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해 송풍하는 보조 송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ary blower for blowing air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toward the one end;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송풍부는,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해 송풍하는 제2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low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blowing fan blowing air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toward the one end; and a second motor connected to the second blowing fan to rotate the second blowing fan.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에 의한 발열 및 송풍을 이용해 액상 방향제의 방향물질을 실내 공간 내에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넓은 실내 공간에 빠르게 방향물질을 확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grant substances of the liquid air freshener can be diffused into the indoor space using heat generated by lighting and blowing, the fragrant substances can be rapidly diffused in a wide indoor space.

또한, 조명 및 송풍을 제어함으로써, 방향물질의 확산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usion rate of the fragrant substanc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lighting and blowing.

나아가, 방향 기능뿐만 아니라, 조명 기능을 가지므로, 인테리어 소품 내지 조명 기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Furthermore, since it has a lighting function as well as a directional function, it can be used as an interior accessory or a lighting fix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 및 받침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받침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 및 받침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and a pedestal of a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destal of a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of a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of a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and a pedestal of a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 및 받침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and a pedestal of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방향제가 담긴 방향 용기(1)를 거치하는 받침대(11), 받침대(11)의 상향에 배치되는 제1 광원(21), 및 내부에 제1 광원(21)을 수용하고 하부가 개방된 반사갓(23)을 포함하여, 제1 광원(21)에서 방출한 제1 광(21a)을 방향 용기(1)로 안내하는 조명부(20), 받침대(11)와 반사갓(23)을 연결하는 지지대(30), 및 반사갓(23)의 내부에 배치되고, 송풍을 통해 방향제로부터 발산된 방향물질(3)을 공기 중에 확산시키는 주 송풍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destal 11 for holding a fragrance container 1 containing a fragrance, and a first disposed upwardly of the pedestal 11. A light source 21 and a reflector 23 accommodating the first light source 21 therein and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the first light 21a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21 is directed to the aroma container 1 The lighting unit 20 that guides the pedestal 11 and the reflector 23, the support 30 connecting the reflector 23, and the fragrant material 3 emitted from the air freshener are disposed inside the reflector 23 and blown into the air. It includes a main blower 40 for diffusing in the middle.

본 발명은 조명 기능과 방향물질을 확산시키는 디퓨져 기능을 겸비하는 조명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화장실 등의 공간에 방향제를 확산시키는 종래의 발향 디퓨져는 액상의 방향제가 담긴 용기에 통기공을 형성시켜 방향물질을 확산시키거나, 방향제 용기에 스틱이나 천 등과 같은 흡습성 부재를 꽂아 사용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방향제가 자연적으로 증발되면서 방향물질이 발산되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 방향물질이 확산되기 어렵고, 그 확산속도를 제어하기도 곤란한 문제가 있는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iffuser having both a lighting function and a diffuser function of diffusing a fragrant substance. Conventional fragrance diffusers that diffuse fragrance in spaces such as homes, offices, and bathrooms are used by forming ventilation holes in a container containing liquid fragrance to diffuse fragrance, or by inserting a hygroscopic member such as a stick or cloth into the fragrance container. In this form, since the fragrance material is emitted while the fragrance is naturally evapo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iffuse the fragrance material in a wide space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iffusion speed. invention was inven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받침대(11), 조명부(20), 지지대(30), 및 주 송풍부(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1, a lighting unit 20, a support 30, and a main blowing unit 40.

받침대(11)에는 방향 용기(1)가 거치된다. 여기서, 방향 용기(1)는 방향제를 담는 용기이고, 방향제는 방향물질(3)을 발산하는 소재이기만 하면 액체이거나 고체, 또는 젤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또한, 액상 방향제인 경우에 방향 용기(1)에 방향제를 흡수하는 스틱이나 천 등과 같은 흡습성 부재를 침지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방향물질(3)이 실내 공기 중에 확산될 수 있도록, 방향 용기(1)에 방향물질(3)이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aroma container 1 is mounted on the pedestal 11 . Here, the fragrance container 1 is a container for holding the fragrance, and the fragrance may be in liquid, solid, or gel form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emits fragrance 3.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iquid air freshener, a hygroscopic member such as a stick or cloth for absorbing the fragrance may be immersed in the fragrance container 1 and use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ragrant material 3 is discharged may be formed.

방향 용기(1)는 받침대(11)의 상면에 배치되는데, 보다 안정적으로 방향 용기(1)를 거치하기 위해서, 받침대(11)의 상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안착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용기(1)의 하부가 안착부(11)의 내부로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안착부(11)의 형태는 방향 용기(1)의 하부 외형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agrance container 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 In order to more stably mount the fragrance container 1, a recessed seating portion 1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 . 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fragrance container 1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11 and disposed. The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11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roma container 1 .

조명부(20)는 제1 광원(21), 및 반사갓(23)을 포함하여, 방향 용기(1)를 향해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제1 광원(21)은 제1 광(21a)을 방출하는 램프로서, 받침대(11)의 상향에 배치된다. 반사갓(23)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가 개방된 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갓(23)의 내부 수용공간에 제1 광원(21)이 배치되므로, 제1 광원(21)에서 방출한 제1 광(21a)은 직접, 또는 반사갓(23)의 내면에 반사되어 방향 용기(1)로 조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21a)은 실내 조명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방향 용기(1)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방향제로부터 방향물질(3)을 발산시킬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20 includes the first light source 21 and the reflector 23 and radiates light toward the fragrance container 1 . Here, the first light source 21 is a lamp that emits the first light 21a and is disposed upward of the pedestal 11 . The reflector 23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shad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an open bottom. Since the first light source 21 is disposed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reflector 23, the first light 21a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21 is directly reflected or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flector 23 to provide a directional container ( 1) can be investigated. Here, the first light 21a is not only used for indoor lighting, but also can dissipate the fragrant substance 3 from the fragrant more quickly by transferring heat to the fragrant container 1 .

지지대(30)는 받침대(11)와 조명부(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지지대(30)의 일단이 반사갓(23)에 연결되고, 지지대(30)의 타단이 받침대(11)에 연결됨으로써, 받침대(11)와 조명부(20)가 서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 제1 광원(21) 및 반사갓(23)이 받침대(11)에 상향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30 is a member connecting the pedestal 11 and the lighting unit 20 . One end of the support 30 is connected to the reflector 23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0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11, so that the pedestal 11 and the lighting unit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reby the first light source ( 21) and the reflector 23 may be disposed upward on the pedestal 11.

주 송풍부(40)는 실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장치로서, 반사갓(23)의 내부에 배치되어 송풍한다. 주 송풍부(40)에 의해 발생된 송풍을 통해 방향제로부터 발산된 방향물질(3)이 공기 중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주 송풍부(40)는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례로, 주 송풍부(40)는 제1 송풍팬(41), 제1 모터(43), 및 모터 고정대(45)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풍팬(41)은 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기기로서, 반사갓(23)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 모터(43)는 제1 송풍팬(41)에 연결되어 제1 송풍팬(41)을 회전시키고, 모터 고정대(45)는 제1 모터(43)를 반사갓(23)의 내부에 고정한다. 모터 고정대(45)는 바(bar) 형태이거나, 반사갓(23)의 내상하부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관통홀이 구비된 디스크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모터(43)를 고정하고, 반사갓(23)의 내상하부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한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 다른 예로, 주 송풍부(40)는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에어펌프로 구현될 수 있다.The main blower 40 is a device for flowing indoor air and is disposed inside the reflector 23 to blow air. The fragrant substances 3 emitted from the fragrant may diffuse into the air through the blowing generated by the main blower 40 . The main blowing unit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forcibly flowing air. For example, the main blowing unit 40 may be implemented with a first blowing fan 41 , a first motor 43 , and a motor holder 45 . Here, the first blowing fan 41 is a device for flowing air while its wings rotate, and is disposed inside the reflector 23 . The first motor 43 is connected to the first blowing fan 41 to rotate the first blowing fan 41, and the motor holder 45 fixes the first motor 43 inside the reflector 23. . The motor holder 45 may be in the form of a bar or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through-holes to allow air to flow to the inner and lower parts of the reflector 23. The first motor 43 is fixed and the reflector is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as long as it does not obstruct the flow of air to the inner and lower parts of (23). As another example, the main blowing unit 40 may be implemented as an air pump that sucks in air and discharges it at a high pressure.

여기서, 주 송풍부(40)는 반사갓(23)의 개방된 하부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방향 용기(1) 내지 흡습성 부재로부터 발산된 방향물질(3)이 실내 공기 중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실내 공간이 넓더라도 보다 효율적으로 방향물질(3)을 확산시킬 수 있다.Here, the main blower 40 may flow air toward the open lower part of the reflector 23, whereby the fragrant material 3 emitted from the fragrance container 1 or the hygroscopic member is diffused into the indoor air. . Therefore, even if the indoor space is wide, the fragrant material 3 can be diffused more efficiently.

다만, 주 송풍부(40)가 반드시 내상부에서 내하부를 향해 공기를 유동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고, 내하부에서부터 내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서 후술한다.However, the main blower 4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flow air from the inner upper part to the inner lower part, and may suck air from the inner lower part to the inner upper pa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do.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받침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destal of a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조명부(20)는 제2 광원(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원(25)은 제2 광(25a)을 방출하는 램프로서, 받침대(11)에 내장되고, 안착부(11)를 향해 제2 광(25a)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안착부(11)에 열이 전달되어 반향 용기가 가열되므로, 방향물질(3)의 발산 내지 확산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용기(1)가 투명 내지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제2 광(25a)이 방향 용기(1)를 투과하면서 다채로운 조명광을 만들 수 있으므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 the lighting unit 20 of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ight source 25 . Here, the second light source 25 is a lamp that emits second light 25a, is built into the pedestal 11, and radiates the second light 25a toward the seating portion 11. As a result, heat is transferred to the seating portion 11 and the reverberation container is heated, so that the divergence or diffusion of the fragrant material 3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he fragrance container 1 is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the second light 25a can transmit various lighting lights while passing through the fragrance container 1, so it can be used as an interior accessory that can create an indoor atmosphere. do.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발열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50)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기기로서, 열선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받침대(11)에 내장되어, 안착부(11)에 열을 가한다. 이러한 발열부(50)가 안착부(11)에 거치된 반응 용기를 가열하므로, 방향물질(3)의 발산 내지 확산을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50 . The heating unit 50 is a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hot wire or the like, and is embedded in the pedestal 11 to apply heat to the seating portion 11 . Since the heating unit 50 heats the reaction vessel mounted on the seating unit 11, the divergence or diffusion of the fragrant material 3 can be controlled.

전술한 제2 광원(25), 및 발열부(50)는 어느 하나만, 또는 모두가 받침대(11)에 내장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통해 방향 용기(1)에 전달되는 열을 제어함으로써, 방향물질(3)의 발산 내지 확산, 그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Any one or all of the second light source 25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50 described above may be built into the pedestal 11, and the heat transferred to the fragrance container 1 is controlled by a user's manipulation. , the divergence or diffusion of the fragrant substance 3, its speed, etc. can be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을 절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of a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주 송풍부(40)는 공기가 반사갓(23)의 내상부로 유동하도록 송풍한다. 이때,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방향물질(3)이 함께 이송되므로, 방향물질(3)도 반사갓(23)의 내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반사갓(23)은, 외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확산공(23a)을 구비한다. 이러한 확산공(23a)에 의해 반사갓(23)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므로, 반사갓(23)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방향물질(3)이 확산공(2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 중에 확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main blower 40 of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lows air so that the air flows toward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23 . At this time, since the fragrant material 3 is transported together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the fragrant material 3 also flows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23 . Here, the reflector 23 has a plurality of diffusion holes 23a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Sinc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eflector 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iffusion hole 23a, the fragrant material 3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reflector 2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ffusion hole 23a. and can be diffused into the air.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을 절단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of a lighting diffus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도, 주 송풍부(40)가 반사갓(23)의 내상부 방향으로 송풍함으로써, 방향물질(3)을 반사갓(23)의 내상부로 유동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지지대(30)를 통해, 반사갓(23)의 내상부로 유동된 방향물질(3)을 배출한다. Referring to FIG. 5 , in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lower 40 blows air toward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23, thereby dispersing the fragrant material 3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reflector 23. flow to the top. Here,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the fragrant material 3 flowing into the inner upper part of the reflector 23 through the support 30 .

이를 위해, 지지대(30)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반사갓(23)과 연결된 일단이 반사갓(23)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반사갓(23)의 내상부로 이동된 방향물질(3)이 지지대(30)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지지대(30)의 내부 중공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support 30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reflector 23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reflector 23 . Accordingly, the fragrant material 3 mov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23 flows into one end of the support 30 and flows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support 30 .

여기서, 지지대(30)는 외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30a)을 구비한다. 따라서, 지지대(30)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방향물질(3)이 그 배출공(30a)을 통해 배출되어 공기 중에 확산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3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0a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Therefore, the fragrant material 3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support 3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0a and can be diffused into the air.

한편, 지지대(30)는, 받침대(11)와 연결된 타단에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곧게 뻗은 직진부(31), 및 직진부(31)의 말단에서부터 일측 방향, 즉 반사갓(23)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만곡부(33)는 상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만곡부(33)의 말단은 반사갓(23)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공(30a)은 지지대(30)의 직진부(31), 및 만곡부(33)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30 has a straight portion 31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11 and extends straight, and is curved in one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straight portion 31, that is, in a direction toward the reflector 23 A curved portion 33 may be provided. Here, the curved portion 33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is convexly curved upward, and an end of the curved portion 33 may be connected to the reflector 23 . The discharge hole 30a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ny one or both of the straight portion 31 and the curved portion 33 of the support 30 .

이때, 배출공(30a)은 직진부(31)의 타측 방향, 즉 반사갓(23)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방향물질(3)이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공(30a)은 만곡부(33)의 상부 방향으로 방향물질(3)이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공(30a)의 방향은 반사갓(23)의 하부 주변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방향물질(3)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주 송풍부(40)에 의해 공기가 반사갓(23)의 내상부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일부의 방향물질(3)은 반사갓(23)의 하부 주변으로도 확산되므로, 상기와 같이 배출공(30a)의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넓은 공간으로 방향물질(3)을 확산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30a may be formed so that the fragrant material 3 is dischar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31,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reflector 23. 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30a may be formed to discharge the fragrant material 3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33 .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30a is to discharge the fragrant material 3 away from the lower periphery of the reflector 23 . Even if the air is mov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23 by the main blower 40, some of the fragrant material 3 is diffused to the lower periphery of the reflector 23, so the discharge hole 30a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fragrant material 3 can be diffused into a wide space.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의 반사갓 및 받침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lector and a pedestal of a light diffus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더해, 보조 송풍부(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n auxiliary blower 60 in addition to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보조 송풍부(60)는 주 송풍부(40)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송풍하는 기기이다. 여기서, 보조 송풍부(60)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는 지지대(30)의 타단으로 유입되어 지지대(30)의 일단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가 지지대(30)의 내부로 압송되게 되면, 지지대(3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배출공(30a)을 통해 배출되는 방향물질(3)을 더 멀리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이 거의 없는 넓은 실내 공간에 방향물질(3)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Like the main blower 40, the auxiliary blower 60 is a device for blowing air. Here, the air pressured by the auxiliary blower 60 is introduced in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0 and flows toward one end of the support 30 . When the air is pressurized into the support 30 in this wa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pport 30 increases, so that the fragrant substances 3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0a can be transported farther. Accordingly, the fragrant substance 3 can be diffused more effectively in a wide indoor space with little air flow.

이러한 보조 송풍부(60)는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기만 하면 특별한 한정은 없고, 일례로 제2 송풍팬(61), 및 제2 모터(63)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송풍팬(61)은 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기기로서, 지지대(30)의 타단 내부, 또는 지지대(30)의 타단과 연통되는 받침대(11)에 별도로 마련된 수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터(63)는 제2 송풍팬(61)에 연결되어 제2 송풍팬(61)을 회전시키며, 제2 송풍팬(61)이 배치되는 공간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터(63)가 지지대(30)의 타단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모터 고정대(45, 도 2 참조)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터(63)가 별도의 수납공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수납공간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송풍부(60)는 외부의 공기를 끌어와 지지대(30)의 내부로 압송하므로, 제2 송풍팬(61)이 배치되는 공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The auxiliary blower 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forcibly flowing air, and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a second blower fan 61 and a second motor 63. Here, the second blowing fan 61 is a device for flowing air while the blades rotate, and is dispos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0 or in a storage space separately provided in the pedestal 11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0. It can be. The second motor 63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wing fan 61 to rotate the second blowing fan 61, and may be disposed together in a space where the second blowing fan 61 is disposed. When the second motor 63 is dispos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0,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mber such as the aforementioned motor fixing stand 45 (see FIG. 2). In addition, when the second motor 63 is dispos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or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mb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uxiliary blower 60 draws air from the outside and pressurizes it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30,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may be provided in a space where the second blower fan 61 is disposed.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퓨져는 조명에 의한 발열 및 송풍을 이용해 액상 방향제의 방향물질을 실내 공간 내에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넓은 실내 공간에 빠르게 방향물질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및 송풍을 제어함으로써, 방향물질의 확산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방향 기능뿐만 아니라, 조명 기능을 가지므로, 인테리어 소품 내지 조명 기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Overall, the light dif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ffuse the fragrant substances of the liquid air freshener into the indoor space using heat and blowing by lighting, so that the fragrant substances can be rapidly diffused in a wide indoor space. In addition, the diffusion rate of the fragrant substanc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lighting and blowing. Furthermore, since it has a lighting function as well as a directional function, it can be used as an interior accessory or a lighting fixtur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방향 용기 3: 방향물질
10: 받침대 11: 안착부
20: 조명부 21: 제1 광원
21a: 제1 광 23: 반사갓
23a: 확산공 25: 제2 광원
25a: 제2 광 30: 지지대
30a: 배출공 31: 직진부
33: 만곡부 40: 주 송풍부
41: 제1 송풍팬 43: 제1 모터
45: 모터 고정대 50: 발열부
60: 보조 송풍부 61: 제2 송풍팬
63: 제2 모터
1: fragrance container 3: fragrance material
10: pedestal 11: seating part
20: lighting unit 21: first light source
21a: first light 23: reflector
23a: diffusion hole 25: second light source
25a: second light 30: support
30a: discharge hole 31: straight part
33: curved part 40: main blowing part
41: first blowing fan 43: first motor
45: motor holder 50: heating unit
60: auxiliary blower 61: second blower fan
63: second motor

Claims (10)

방향제가 담긴 방향 용기를 거치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향에 배치되는 제1 광원, 및 내부에 상기 제1 광원을 수용하고 하부가 개방된 반사갓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광원에서 방출한 제1 광을 상기 방향 용기로 안내하는 조명부;
상기 받침대와 상기 반사갓을 연결하는 지지대; 및
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배치되고, 송풍을 통해 상기 방향제로부터 발산된 방향물질을 공기 중에 확산시키는 주 송풍부;를 포함하는 조명 디퓨져.
A pedestal for holding the fragrance container containing the fragrance;
a lighting unit including a first light source disposed upward of the pedestal and a reflector accommodating the first light source and having a lower portion open therein to guide the firs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to the fragrance container;
a support connecting the pedestal and the reflector; and
A lighting diffuser comprising a; main blower disposed inside the reflector and diffusing the fragrant substances emitted from the air freshener into the air through blow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방향 용기의 하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안착부를 구비하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1,
The pedestal is
A lighting diffuser having a seating part recessed concavely on an upper surfac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aroma container is inserted and dispos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받침대에 내장되고, 상기 안착부를 향해 제2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을 더 포함하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ing unit,
A light diffus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ight source embedded in the pedestal and radiating a second light toward the mount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내장되고, 상기 안착부에 열을 가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2,
A light diffuser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unit built into the pedestal and applying heat to the seat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송풍부는,
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송풍팬;
상기 제1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를 상기 반사갓의 내부에 고정하는 모터 고정대;를 포함하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lower,
a first blowing fan disposed inside the reflector;
a first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blowing fan to rotate the first blowing fan; and
A lighting diffuser comprising: a motor fixing table for fixing the first motor to the inside of the refl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송풍부는, 상기 방향물질이 상기 반사갓의 내상부로 이동되도록 송풍하고,
상기 반사갓은, 외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확산공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물질을 확산시키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lower blows air so that the aromatic material is mov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The reflec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usion holes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the lighting diffuser for diffusing the aromatic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송풍부는, 상기 방향물질이 상기 반사갓의 내상부로 이동되도록 송풍하고,
상기 지지대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반사갓의 내부와 연통되며, 외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공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물질을 확산시키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lower blows air so that the aromatic material is mov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eflector,
The suppo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reflector, and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to diffuse the fragrant materi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와 연결된 타단에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직진부, 및 상기 직진부의 말단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직진부의 타측 방향, 및 상기 만곡부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includes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a curved portion curved in one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straight portion,
The discharge hole is a light diffuser form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upper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해 송풍하는 보조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7,
The light diffuser further comprising a; auxiliary blower for blowing air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toward the one en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송풍부는,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해 송풍하는 제2 송풍팬; 및
상기 제2 송풍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조명 디퓨져.
The method of claim 9,
The auxiliary blower,
a second blowing fan blowing air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toward the one end; and
and a second motor connected to the second blowing fan to rotate the second blowing fan.
KR1020220009848A 2022-01-24 2022-01-24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KR202301139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48A KR20230113957A (en) 2022-01-24 2022-01-24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48A KR20230113957A (en) 2022-01-24 2022-01-24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957A true KR20230113957A (en) 2023-08-01

Family

ID=8756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848A KR20230113957A (en) 2022-01-24 2022-01-24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95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256A (en)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이디연 Diffuser container for opens and closes the cover so that you can adjust the sm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256A (en)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이디연 Diffuser container for opens and closes the cover so that you can adjust the sm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8505B2 (en) Fragrance
JP4932868B2 (en) High performance light emitter
US8029153B2 (en) Combination aromatic nebulizing diffuser and color light set assembly
JP2007173177A (en) Lighting device
US20090200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using the fragrance of a burning candle
JP2013050296A (en) Electric fires
US6301433B1 (en) Humidifier with light
JP2017109158A (en) Air cleaner
KR20180114269A (en) Mirror with light
US20200038540A1 (en) Rotatable aromatherapy lamp
JP2022113798A (en) Light irradiation device
KR20230113957A (en) Diffuser with illuminating device
KR101767510B1 (en) Lighting device
KR102139076B1 (en) Humidifier
JPH0989282A (en) Perfume diffusion method and odor device
CN112050102A (en) Multifunctional decorative lamp
KR20170001672U (en) Vase which has a fragrance for lighting
JP6998196B2 (en) Indirect lighting structure
KR200216078Y1 (en) UV and Ozone Generator
KR102234971B1 (en) Diffuser with illumination function
KR101710596B1 (en) Lighting apparatus
CN212961049U (en) Multifunctional decorative lamp
KR20180052299A (en) Humidifier capable of discharging warm air by using bulb heat
JP2018194259A (en) Duct air conditioning and lighting integrated system
CN114963134B (en) Bathroom hea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