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633A -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한 생활 환경 내의 디스플레이들 상에의 콘텐츠 렌더링 - Google Patents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한 생활 환경 내의 디스플레이들 상에의 콘텐츠 렌더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633A
KR20230113633A KR1020237023137A KR20237023137A KR20230113633A KR 20230113633 A KR20230113633 A KR 20230113633A KR 1020237023137 A KR1020237023137 A KR 1020237023137A KR 20237023137 A KR20237023137 A KR 20237023137A KR 20230113633 A KR20230113633 A KR 20230113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pture
living environment
user
electronic devic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신타니
크리스토퍼 스캇 스자보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1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생활 환경 내부에 위치되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생활 환경의 제1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검출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머리 위치 또는 시선을 추적하고,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은 전자 디바이스와 결합되고 생활 환경 외부에 위치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제2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되고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한 생활 환경 내의 디스플레이들 상에의 콘텐츠 렌더링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참조에 의한 포함
본 출원은 2021년 1월 22일에 미국 특허청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156,060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는 국제 특허 출원이다. 위에서 언급된 출원들 각각은 이로써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기술 및 홈 오토메이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 및 홈 오토메이션의 발전들은, 가정 또는 사무실 공간과 같은,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를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 가정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많은 사용자들은 그들의 텔레비전을, 전통적인 방송 또는 콘텐츠 스트리밍으로부터 예술 및 미학으로의 변화인, 디지털 월페이퍼(digital wallpaper)로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사용자 요구들에 따라,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다른 가능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나머지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시되는 바와 같이, 설명된 시스템들을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상들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종래의 전통적인 접근 방식들의 한계들 및 단점들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청구항들에서 더 완전하게 제시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도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도시되고/되거나 그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그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부분들을 가리키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환경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외부 환경의 이미지들을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현들은 외부 환경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 및 이 전자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개시된 방법에 나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들은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텔레비전(TV))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생활 환경은 주거 공간(예컨대, 아파트 또는 주택), 상업 공간(예컨대, 사무실 공간, 호텔방 또는 콘서트홀), 주거 공간 또는 상업 공간 내의 특정 방 또는 공간 등일 수 있다.
임의의 순간에, 전자 디바이스는, 생활 환경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검출되는 얼굴 영역(facial region)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 또는 시선(eye gaze)을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이미지들은 전자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를 들어,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카메라 또는 다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생활 환경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벽걸이형(wall-mounted) 카메라일 수 있거나 전자 디바이스의 일체형 카메라 유닛일 수 있다. 추적된 머리 위치 및/또는 시선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방향을 향하고 있을 수 있거나 특정 방향을 바라보고 있을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향하는 방향(facing direction), 시야(field-of-view, FoV) 또는 가시선(line of sight)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생활 환경 외부에 있을 수 있는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를 들어, CCTV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생활 환경들에서, 그곳에 살거나 머무르는 사람들은 창문이 없을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외부 조망이 좋지 않거나 빛이 매우 밝은 경우, 창문을 열 수 없을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창문이 이용 가능하더라도, 창문이 생활 환경의 원하지 않는 측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쪽에 창문이 있을 수 있지만, 동쪽의 조망이 더 나을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함께) 외부 환경의 조망을 제공하기 위해 인공 또는 디지털 창문으로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위치 또는 시선을 추적하는 것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는 외부 환경의 조망(즉, 라이브(live) 또는 녹화된 이미지/비디오 피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동적으로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환경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경(100)의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환경(100)은 생활 환경(102) 및 외부 환경(104)을 포함한다. 생활 환경(102)에는, 전자 디바이스(106),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 및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 환경(104)에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 및 복수의 센서들(120)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은, 예를 들어,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124)가 또한 생활 환경(102) 내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6),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 및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가 별도의 디바이스들로서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 또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 기능들이 전자 디바이스(106)에 통합될 수 있다. 환경(100)에는, 통신 네트워크(128)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6) 및/또는 환경(100)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서버(126)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생활 환경(102)은 다양한 종류들의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경제적 또는 정치적 활동들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건조 환경(built environment)일 수 있다. 생활 환경(102)의 예들은 주거 공간(예컨대, 아파트 또는 주택), 상업 공간(예컨대, 사무실 공간, 호텔방 또는 콘서트홀), 또는 주거 공간 또는 상업 공간 내의 특정 방 또는 공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부 환경(102)은 생활 환경(102) 외부의 임의의 물리적 공간일 수 있다. 외부 환경(102)의 예들은 테라스, 지붕, 발코니, 정원, 공원, 도로, 숲, 하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디바이스(106)는 생활 환경(102) 외부의 조망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중에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이미지들은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와 같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6)는 생활 환경(102)의 임의의 지지 고정물 또는 지지 구조물(예를 들어, 벽, 지붕, 문, 천장 등)에 배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작동 상태에서, 전자 디바이스(106)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함께, 개구부인 것처럼 보일 수 있거나 생활 환경(102) 외부의 조망에 대한 개구부(예를 들어, 창문)의 기능을 모방할 수 있다. 비작동 상태에서 개구부인 것처럼 보이거나 기능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함께) 생활 환경(102) 내의 개구부 내부 또는 그 위에 배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투시(see-through) 디스플레이 또는 반투명(semi-transparent) 또는 반투명(translucent)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106)에 통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는, 창문, 문, 또는 천창(skylight)과 같은, 개구부의 전형적인 크기와 일치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전자 디바이스(106)의 그러한 구현의 예들은 텔레비전(TV), 디스플레이 모니터 또는 컴퓨터 모니터, 디지털 사이니지, 디지털 미러(또는 스마트 미러), 비디오 월(video wall)(하나의 큰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함께 타일링되거나 중첩된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됨)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6)는, 적합한 네트워크 또는 I/O(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통신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6)의 그러한 구현의 예들은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프로젝터, 게이밍 콘솔, 미디어 플레이어, 사운드 시스템, 셋톱 박스 또는 디지털 TV 수신기, 스마트 오디오 디바이스, 홈 시어터 시스템, 디지털 카메라, 또는 미디어 렌더링 및 공유 능력을 갖는 다른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는 생활 환경(1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코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는 캡처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102)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는 캡처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전자 디바이스(106)에게 전송할 수 있고, 전자 디바이스(106)는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은, 얼굴 검출 방법들, 객체 검출 방법들, 딥 러닝 방법들, 및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을 수 있는 다른 방법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는 생활 환경(102)에 있는 임의의 고정물 또는 지지 구조물에 배치, 장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는 전자 디바이스(106) 또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통합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의 예들은 이미지 센서, 광각 카메라, 액션 카메라,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카메라,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폰, 카메라 드론, 로봇(예를 들어, 로봇 개, 청소 로봇, 안내 로봇(attendant robot) 등)에 통합되는 카메라 유닛, 또는 (냉장고, 조명 기구, 개인용 컴퓨터 또는 실내 보안 디바이스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에 통합되는 카메라 유닛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은 전자 디바이스(106)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및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은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로부터 캡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은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외부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은 전자 디바이스(106)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예컨대, 제1 사용자(124))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각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또는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기술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여러 알려진 기술들 중 하나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각각은 투시 디스플레이, 반투명(semi-transparent) 또는 반투명(translucent) 디스플레이, 또는 가변 투명도(즉, 투명도가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를 갖는 디스플레이 중 하나일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는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는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 또는 서버와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오디오 소스로부터 (즉, 오디오에 관련된) 전기 신호들 또는 지시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전기 신호들 또는 지시들을 오디오 출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는 전자 디바이스(106)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에서,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은 전자 디바이스(106)의 내부 컴포넌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은 전자 디바이스(106)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생활 환경(10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의 예들은 통신 네트워크(128)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6)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전자 디바이스(106)에 통합될 수 있는, 특정 스피커 레이아웃(예를 들어, M개의 스피커와 N개의 서브우퍼를 갖는 M:N 레이아웃)을 갖는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외부 무선 스피커, 내부 스피커, 외부 유선 스피커, 우퍼, 서브우퍼, 트위터, 라우드스피커, 모니터 스피커, 광학 오디오 디바이스, 또는 사운드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의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106)로부터의 제어 지시들에 기초하여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지시들은 생활 환경(102) 외부의 환경(예컨대, 외부 환경(104))과 연관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에게 통신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예를 들어, 광도 정보, 온도 정보, 또는 공기 흐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복수의 센서들(1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될 수 있고 생활 환경(102)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 각각의 예들은 조명 디바이스, 선풍기, 또는 에어컨 시스템, 전기 히터, 서모스탯 디바이스, 아로마 디퓨저 디바이스, 오디오/비디오 재생 디바이스,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시스템, 또는 다른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각각은 특정 카메라 시점(camera viewpoint) 및/또는 카메라 위치로부터 외부 환경(104)의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코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의 예들은 이미지 센서, 광각 카메라, 액션 카메라, CCTV 카메라,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폰, 카메라 드론, 비행 시간(time-of-flight) 카메라(ToF 카메라), 나이트 비전(night-vision) 카메라, 및/또는 다른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은 (외부 환경(104)과 같이) 생활 환경(10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 적어도 하나는 생활 환경(102)의 일부일 수 있거나 근처에(예컨대, 대문(house gate), 경계 벽, 또는 생활 환경(102) 주위의 담장 부근에) 배치될 수 있는 지지 구조물 상의 특정 위치에 배치, 장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물이 주택의 벽 또는 지붕인 경우, 특정 위치는 외부 환경(104)을 향하는 벽 또는 지붕의 측면에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창문의 조망 또는 전망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지지 구조물(예컨대, 벽)의 동일한 부분에 배치, 장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 양쪽 모두는 지지 구조물의 동일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지만, 전자는 생활 환경(102) 내부에 있을 수 있는 반면, 후자는 생활 환경(102)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 각각은 생활 환경(102) 외부의 환경에 존재하는 제1 오디오를 캡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코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은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로부터의 캡처된 제1 오디오와 연관된 제1 오디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의 예들은 일렉트릿(electret) 마이크로폰, 다이내믹 마이크로폰, 카본 마이크로폰, 압전 마이크로폰, 파이버(fiber) 마이크로폰, MEMS(micro-electro-mechanical-systems)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센서들(120)은 생활 환경(102) 외부의 환경(예컨대, 외부 환경(104))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코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예를 들어, 광도 정보, 온도 정보, 공기 흐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120)은 환경 정보를 전자 디바이스(106)에게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120)은,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 모션 센서, 온도 센서, 초음파 센서, 공기 흐름 센서, 광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120)에 관련된 세부 사항들은, 예를 들어, 도 3a에 설명되어 있다.
서버(126)는 미디어 콘텐츠를 전자 디바이스(106)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코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버(126)는 생활 환경(102)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전자 디바이스(106)에게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126)는 웹 애플리케이션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들, HTTP 요청들, 리포지토리 동작들, 파일 전송 등을 통해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서버(126)의 예시적인 구현들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웹 서버, 미디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메인프레임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네트워크(128)는 전자 디바이스(106), 생활 환경(102), 외부 환경(104) 및 서버(126)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28)는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 중 하나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28)의 예들은 인터넷, 클라우드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환경(100) 내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128)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의 예들은 4세대 LTE(Long-Term Evolution), 5세대 NR(New Radio),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and Internet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Zig Bee, EDGE, IEEE 802.11, Li-Fi(light fidelity), 802.16, IEEE 802.11s, IEEE 802.11g, 다중 홉 통신, 무선 AP(access point), 디바이스 간 통신,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들, 및 BT(Bluetooth)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작동 중에, 전자 디바이스(106)는 생활 환경(102) 외부의 조망의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을 제어하는 워크플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워크플로의 실행은 이벤트, 스케줄, 또는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는 날씨 상황(예컨대, 눈이 내리는 경우 또는 비가 오는 경우), 사교 모임 또는 회합(예컨대, 파티 또는 저녁 식사), 또는 시간 의존적 상황들(예컨대, 일출, 일몰, 보름달, 일식)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워크플로의 실행을 특정 날짜-시간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다. 워크플로는 본 명세서에서 간략하게 설명된다.
전자 디바이스(106)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고 생활 환경(10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로부터 생활 환경(1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활 환경(102)의 그러한 이미지들은 복수의 객체들(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가구 항목들, 장식품, 또는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순간에, 전자 디바이스(106)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102)에서의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6)는, 예를 들어, 도 3a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얼굴 검출 방법, 객체 검출 방법, 딥 러닝 모델, 또는 다른 이미지 처리 방법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상이한 이미지 처리 기술들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6)는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124)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24)가 생활 환경(102)에 존재하는 동안, 제1 사용자(124)가 바라보거나 향할 수 있는 특정 위치 또는 디바이스(또는 특정 방향)를 식별하기 위해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이 추적될 수 있다. 제1 머리 위치 및/또는 제1 시선의 추적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6)는 (예를 들어, 도 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은 (외부 환경(104)과 같이) 생활 환경(10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6)는 제1 사용자(124)가 생활 환경(102)에서 바라보고 있을 수 있거나 머리를 돌렸을 수 있는 위치, 영역 또는 물리적 구조물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의 선택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생활 환경(102)에 있는 해당 위치, 해당 영역 또는 해당 물리적 구조물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그 근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해당 위치, 해당 영역 또는 해당 물리적 구조물에 대해,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의 상대 거리가 최소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24)가 우측 벽에 있는 텔레비전 스크린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 집 외부에서 텔레비전 스크린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카메라가 선택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6)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한 이미지들은 외부 환경(104)의 조망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위치 또는 시선을 추적하는 것에 의해,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106)는 외부 환경(104)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생활 환경(102)에 있는 여러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요소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6)의 블록 다이어그램(200)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 디바이스(106)는 회로(202) 및 메모리(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06)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 디스플레이 스크린(예컨대,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및/또는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디바이스(10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6)는 통신 네트워크(128)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에 의해 실행될 상이한 동작들과 연관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202)는 별도의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특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특수 처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특수 처리 유닛의 기능들을 집합적으로 수행하는 통합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 클러스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회로(202)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다수의 프로세서 기술들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회로(202)의 구현들의 예들은 X86 기반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또는 다른 제어 회로들일 수 있다.
메모리(204)는 회로(202)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생활 환경 또는 외부 환경의 이미지들 및 외부 환경에 관련된 환경 정보를 또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04)의 구현의 예들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SSD(Solid-State Drive), CPU 캐시, 및/또는 SD(Secure Digital) 카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는, 통신 네트워크(128)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106), 생활 환경(102), 외부 환경(104) 및 서버(126)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인터페이스들,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통신 네트워크(128)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알려진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는 안테나, RF(radio frequency) 트랜시버, 하나 이상의 증폭기,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덱(coder-decoder) 칩세트,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또는 로컬 버퍼 회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6)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과 같은, 네트워크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LTE, 5G NR,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예컨대,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또는 IEEE 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i-Fi(light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복수의 통신 표준들,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도 2에서의 전자 디바이스(106)가, 본 개시내용의 기능 및 동작을 기술하고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예시되는 컴포넌트들 또는 시스템들에 더하여, 다른 적합한 컴포넌트들 또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106)의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시스템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결함을 위해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생략되었다. 회로(202)의 동작들은, 예를 들어, 도 3a, 도 3b 및 도 4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도 1 및 도 2로부터의 요소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시나리오(300A)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300A)에서, 생활 환경(102) 및 외부 환경(104)의 각자의 예들일 수 있는, 방(302) 및 외부 환경(304)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예컨대,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 및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314))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조명 디바이스(322) 및 에어컨(324))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센서들(120)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는 복수의 센서들(예컨대, 온도 센서(328) 및 광 센서(326))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시나리오(300A)에서, 방(302)을 둘러싸는 벽들(316, 318, 및 320)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방(302) 내에 위치하고 벽(316)을 향하고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 부근에 서 있는 제1 사용자(330)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조명 디바이스(322)와 에어컨(324)이 예들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나리오(300A)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유형들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328)와 광 센서(326)가 예들에 불과하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시나리오(300A)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유형들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순간에,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고 방(30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로부터 방(3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는 방(302)의 이미지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캡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는, 객체 검출 결과로서, 캡처된 이미지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방(302)에 존재하는 복수의 객체들(예컨대, 가구 항목, 장식품 또는 사용자)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는 캡처된 이미지들 및 객체 검출 결과를 회로(202)에게 전송할 수 있고, 회로(202)는 방(302) 내의 복수의 객체들을 결정할 수 있다.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방(302)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330)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얼굴 검출 방법들, 객체 검출 방법들, 딥 러닝 방법들, 및 다른 이미지 처리 방법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이미지 처리 기술들에 기초하여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서 제1 사용자(330)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제1 사용자(330)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은 방(302)의 수신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에서의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추적될 수 있다. 특정 순간에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은 제1 사용자(330)가 바라보고 있거나 응시하고 있을 수 있는 방(302) 내의 위치 또는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머리 위치는 특정 요(yaw), 롤(roll) 또는 피치(pitch) 면에서의 사용자의 머리의 배향에 관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경우에, 제1 머리 위치는, 정면 얼굴 위치, 아래를 향한 위치, 위를 향한 위치, 몸의 오른쪽 또는 왼쪽 또는 어깨 위를 향한 얼굴 배향과 같은, 위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330)의 제1 주시 방향(viewing direction)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시 방향은 방(302)의 벽(예컨대, 벽들(316, 318, 및 320))을 향할 수 있고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벽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300A)에서,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는 방(302)의 벽(316)을 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330)의 주시 방향은 제1 사용자(330)와 연관된 제1 머리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시 방향이 머리 위치의 변경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제1 사용자(330)의 주시 방향은 제1 사용자(330)의 제1 시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시 방향이 제1 시선의 변경으로 인해 변경될 수 있는 반면, 제1 머리 위치는 변경되지 않은 채로 있을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순간에서, 제1 사용자(330)의 제1 머리 위치는 정면일 수 있고, 제1 시선은 벽(316)의 좌측 코너를 향할 수 있다.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는 제1 순간에서의 제1 머리 위치 및 제1 시선과 연관된 시점(viewpoint)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104)의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추적된 제1 사용자(330)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중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300A)에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은 방(302)의 벽(316)을 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이 선택될 수 있다.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예컨대,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 및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은 방(302) 외부에(예컨대, 외부 환경(304)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이 방(302)의 벽(316)을 향하는 경우, 회로(202)는 벽(316) 외부에 위치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를 선택할 수 있다.
회로(202)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이미지들은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에 의해 캡처되는 외부 환경(304)의 조망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추적된 제1 사용자(330)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방(302) 외부의 환경의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그 후에,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이벤트 정보(예컨대, 날씨 관련 이벤트들) 또는 사용자 입력/선호도에 기초하여, 여러 미리 설정된 또는 구성 가능한 테마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또는 구성 가능한 테마를 선택할 수 있다. 회로(202)는 선택된 미리 설정된 또는 구성 가능한 테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즉, 디스플레이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 상에 애니메이션 또는 그래픽 항목(graphic item)을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테마들은, 예를 들어, (창문 스타일들 또는 디자인들, 창문 구조들, 창문 형상들, 또는 창문 재료들에 대한) 그래픽들, 유리 색상 및 효과들, 애니메이션된 객체들(예컨대, 눈, 비 또는 폭죽들), 색상 효과들(예컨대, 색 온도 변화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테마들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 상에 오버레이되거나 적용될 때,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이 특정 유형의 창문이 생활 환경(102)의 벽(316)(즉, 지지 구조물)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는 전자 디바이스(106)가 사용자의 시청 경험을 유지 및/또는 향상시키고 생활 환경(102)의 전반적인 미학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은, 제1 사용자(330)의 머리 위치 및/또는 제1 시선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사용자(33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임의의 특정 위치 또는 방향으로부터의 외부 환경의 원하는 조망을 경험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b는 도 1, 도 2 및 도 3a로부터의 요소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시나리오(300B)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300B)에서, (예를 들어, 도 3a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314), 조명 디바이스(322) 및 에어컨(324)을 포함할 수 있는 방(302)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300B)에서, (예를 들어, 도 3a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 온도 센서(328) 및 광 센서(326)를 포함할 수 있는 외부 환경(304)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방(302)에 서 있을 수 있고 벽(320)을 향할 수 있는, 제1 사용자(330)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는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는 방(302) 외부에서(외부 환경(304)에서) 벽(320)에 위치될 수 있다. 회로(202)는 선택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314)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는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의 시점으로부터 캡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예컨대,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 및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은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 외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예컨대,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과 연관될 수 있다. 회로(202)는 방(302) 외부의 환경에 존재하는 제1 오디오를 캡처하도록,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와 연관된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118A))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118A)로부터의 캡처된 제1 오디오와 연관된 제1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수신된 제1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예컨대,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330)는 방(302) 외부의 환경의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이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314)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을 보는 동안 제1 사용자(330)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하루 중 현재 시간, 제1 사용자(330)의 지리적 위치, 또는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렌더링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 또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콘텐츠는, 오전 장면, 저녁 장면 또는 야간과 같은, 하루 중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렌더링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은 하루 중 현재 시간에 대응되는 장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는 그에 따라 오디오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콘텐츠는 제1 사용자(330)의 지리적 위치에 기초하여 렌더링될 수 있다. 지리적 위치는, 예를 들어, 특정 해변, 바위 지형, 산, 정글 등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미디어 콘텐츠는 방(302)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에 기초하여 렌더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202)는 방(302) 내의 복수의 객체들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복수의 객체들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을 제어할 수 있다. 검출된 객체가 방(302)에 있는 커피잔인 경우, 회로(202)는 커피잔과 연관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한 미디어 콘텐츠는, 예를 들어, 오전 장면, 카페 장면 또는 레스토랑 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회로(202)는 사람, 장식품, 식품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객체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한 객체들에 대해, 회로(202)는 파티 장면, 댄스 장면 또는 로맨틱한 장면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의 다른 예들은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이미지,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오디오 콘텐츠,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그래픽/애니메이션 콘텐츠,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1 미디어 콘텐츠, 또는 서버(예컨대, 서버(126))로부터 수신되는 제2 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는 제1 사용자(330)와 연관된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게이밍 콘솔, 미디어 플레이어, 사운드 시스템, 스마트 오디오 디바이스, 홈 시어터 시스템, 디지털 카메라, 또는 미디어 렌더링 능력을 갖는 다른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센서(예컨대, 광 센서(326) 및 온도 센서(328))로부터,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 외부의 환경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광도 정보, 온도 정보, 또는 공기 흐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202)는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방(302)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에어컨(324) 및 조명 디바이스(32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조명 디바이스, 선풍기, 에어컨 시스템, 전기 히터, 서모스탯 디바이스, 아로마 디퓨저 디바이스, 또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322)는 외부 환경에 기초하여 방(302)의 광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선풍기(도시되지 않음)는 외부 환경의 공기 흐름에 기초하여 방(302)의 공기 흐름을 조정할 수 있다. 에어컨(324)은 외부 환경(304)의 온도에 기초하여 방(302)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아로마 디퓨저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는 외부 환경(304)의 아로마와 일치하도록 방(302)에서 아로마를 방출할 수 있다. HVAC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은 방(302)에 뜨거운, 차가운 및/또는 제습된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벤트(vent)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방(302) 외부의 환경에 존재하는 광 센서(326) 또는 온도 센서(328)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하나 이상의 센서(예컨대, 광 센서(326) 또는 온도 센서(328))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광 센서(326)는 외부 환경(304)의 광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광 센서(326)는 방(302) 외부의 환경에서의 광도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광 센서(326)는 방(302) 외부의 환경의 광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회로(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회로(202)는 광 센서(326)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304)의 광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 센서(326)의 예는 포토 레지스터, 포토다이오드, 광전지(photovoltaic), 포토트랜지스터, 또는 광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온도 센서(328)는 외부 환경(304)에서의 온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적합한 로직, 회로, 및/또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온도 센서(328)는 방(302) 외부의 환경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328)는 방(302) 외부의 환경의 온도(또는 온도 값들의 시계열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회로(2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회로(202)는 온도 센서(328)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304)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202)는 온도 정보를 섭씨 22도로서 수신할 수 있고 광도 정보를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예를 들어, 어둑한 조명 또는 낮은 조명) 또는 명확한 값(예를 들어, 800 루멘)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회로(202)는 수신된 온도 정보 및 광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각기, 방의 온도를 섭씨 32도로 설정하도록 에어컨(324)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조명 디바이스(322)를 켤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제1 사용자(330)의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330)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330)의 제1 얼굴 영역은 수신된 방(3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감정 상태의 예들은 기쁜 감정, 슬픈 감정, 화난 감정, 차분한 감정, 두려움 감정, 중립적 감정, 흥분된 감정, 혼란스러운 감정, 스트레스 받은 감정, 역겨운 감정, 놀란 감정, 흥분 감정 또는 겁먹은 감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사용자(330)의 제1 얼굴 영역(예를 들어, 얼굴 구역(face area))은 제1 사용자(330)의 신원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204)는 제1 사용자(330)의 식별 정보(예컨대, 이름, 샘플 이미지 및/또는 사용자 프로필)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검출된 제1 얼굴 영역 및 저장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330)를 인식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는 인식된 제1 사용자(33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사용자(330)의 결정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후에, 회로(202)는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202)는 미디어 콘텐츠를 행복한 감정에 대해서는 "풍경 영화"로서, 슬픈 감정에 대해서는 "스탠드업 코미디(standup-comedy) 에피소드"로서, 차분한 감정에 대해서는 "해변 비디오 블로그"로서, 그리고 흥분된 감정에 대해서는 "파티 비디오"로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의 작동 모드의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선택된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12) 또는 TV 리모컨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작동 모드는, 예를 들어, TV 모드 또는 창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TV 모드 또는 창문 모드로 전환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에서의 제1 사용자(330)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검출된 제1 사용자(330)의 존재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6)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202)가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에 제1 사용자(330)가 없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의 절전 모드를 켤 수 있다. 절전 모드를 켜는 것에 의해,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106)는 생활 환경(102)에 사용자가 없을 때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점유 신호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에서의 제1 사용자(330)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202)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로부터 점유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점유 신호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6)로부터 전자 디바이스(106)에게 전송되는 전기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지칭할 수 있다. 점유 신호는 생활 환경(102)에서의 제1 사용자(330)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추적된 제1 사용자(330)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6)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회로(202)는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에서의 제1 사용자(330)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지만, 정의된 시간 기간에 걸쳐 제1 사용자(330)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의 수정이 없을 수 있다. 이것은 제1 사용자(330)가 졸았을 수 있거나 방(302)에서 자고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의 절전 모드를 켜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로부터의 요소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시나리오(400)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시나리오(400)에서, 생활 환경(102)의 예일 수 있는 방(402)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404)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06)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08))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114)의 예시적인 구현일 수 있는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예컨대, 조명 디바이스(416) 및 에어컨(418))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시나리오(400)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06) 근처에 서 있을 수 있는 제1 사용자(420)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시나리오(400)에서,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08) 근처에 서 있을 수 있는 제2 사용자(422)가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시나리오(400)에서, 생활 환경(예컨대, 방(402))을 둘러싸는 벽들(410, 412, 및 414)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조명 디바이스(416) 및 에어컨(418)이 전자 디바이스들의 예들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나리오(400)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유형들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고 방(40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404)로부터 방(4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방(402)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420)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a에서도 설명됨).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방(402)에 존재하는 제2 사용자(422)의 제2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420)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a에서도 설명됨). 유사하게, 회로(202)는 검출된 제2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422)의 제2 머리 위치 또는 제2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420)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는 것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a에서도 설명됨). 유사하게, 제2 사용자(422)의 제2 머리 위치 또는 제2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는 것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a에서도 설명됨). 유사하게, 회로(202)는 선택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후에,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406)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a에서도 설명됨). 유사하게, 회로(202)는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408)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6)는 제1 사용자(420)와 제2 사용자(422)의 각자의 시야각 또는 머리 포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의 동적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 환경에 있는 디스플레이들 상에 외부 환경의 이미지들을 렌더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1, 도 2, 도 3a, 도 3b 및 도 4로부터의 요소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로차트(500)가 도시되어 있다. 플로차트(500)의 동작들은,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디바이스(106)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동작들은 502에서 시작하여 504로 진행할 수 있다.
504에서, 생활 환경(예컨대, 생활 환경(1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가 수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예를 들어, 도 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고 생활 환경(102) 내부에 위치되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로부터 생활 환경(1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06에서, 생활 환경(102)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예컨대,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예를 들어, 도 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102)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08에서, 제1 사용자(124)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추적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예를 들어, 도 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124)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10에서,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예컨대,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가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은 생활 환경(10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512에서,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가 수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예를 들어, 도 3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14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이 제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가 종료로 넘어갈 수 있다.
플로차트(500)가, 504, 506, 508, 510, 512 및 514와 같은, 개별 동작들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내용이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특정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구현에 따라, 그러한 개별 동작들은 추가적인 동작들로 추가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동작들로 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머신 및/또는 컴퓨터(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6))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저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명령어들은 머신 및/또는 컴퓨터(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6))로 하여금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고 생활 환경(10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로부터의 생활 환경(예를 들어, 생활 환경(1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동작들은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102)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예를 들어,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들은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124)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들은, 추적된 제1 사용자(124)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은 생활 환경(10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동작들은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검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들은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들은 회로(예컨대, 회로(202))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전자 디바이스(106))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고 생활 환경(10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08))로부터 생활 환경(예컨대, 생활 환경(102))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102)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예컨대, 제1 사용자(124))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124)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124)의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결합되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예컨대,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은 생활 환경(102)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회로(202)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124)의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생활 환경(102) 외부의 환경의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124)의 제1 주시 방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시 방향은 생활 환경(예컨대, 방(302))의 벽(예컨대, 벽(318))을 향할 수 있고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308)는 벽(318)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예컨대, 방(402))에 존재하는 제2 사용자(예컨대, 제2 사용자(422))의 제2 얼굴 영역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검출된 제2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422)의 제2 머리 위치 또는 제2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사용자(422)의 추적된 제2 머리 위치 또는 제2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제1 사용자(124)의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예컨대,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110)) 중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은 생활 환경(102) 외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예컨대,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118))과 연관될 수 있다. 회로(202)는 생활 환경(102) 외부의 환경에 존재하는 제1 오디오를 캡처하도록,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와 연관된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예컨대,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118A))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118A)로부터의 캡처된 제1 오디오와 연관된 제1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제1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제1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예컨대,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122)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센서(예컨대, 복수의 센서들(120))로부터, 생활 환경(102) 외부의 환경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광도 정보, 온도 정보, 또는 공기 흐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생활 환경(102)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114)는 조명 디바이스, 선풍기, 또는 에어컨 시스템, 전기 히터, 서모스탯 디바이스, 아로마 디퓨저 디바이스, 또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하루 중 현재 시간, 제1 사용자(124)의 지리적 위치, 또는 생활 환경(102)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렌더링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 또는 전자 디바이스(106)와 연관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12)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이미지,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오디오 콘텐츠,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그래픽/애니메이션 콘텐츠,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1 미디어 콘텐츠, 또는 서버(예컨대, 서버(126))로부터 수신되는 제2 미디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제1 사용자(124)의 검출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124)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124)의 결정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116) 중에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202)는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110A)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의 작동 모드의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된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활 환경(102)에서의 제1 사용자(124)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검출된 제1 사용자(124)의 존재에 기초하여, 회로(202)는 전자 디바이스(106)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202)는 제1 사용자(124)의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106)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중앙 집중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또는 상이한 요소들이 여러 상호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걸쳐 확산되어 있을 수 있는 분산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다른 장치가 적합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은,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다른 기능들을 또한 수행하는 집적 회로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특징들을 포함하고 컴퓨터 시스템에 로딩될 때 이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임베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맥락에서, 정보 처리 능력을 갖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특정의 기능을 직접 또는 다음의: a) 다른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으로 변환하는 것; b) 상이한 자료 형태로 재현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이후에 수행하게 하도록 의도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의, 임의의 언어, 코드 또는 표기법으로 된, 임의의 표현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내용의 교시내용에 따라 특정의 상황 또는 자료를 적응시키기 위해 많은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이 개시된 특정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할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로서,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생활 환경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 내부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
    상기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은 상기 생활 환경 외부에 있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됨 -;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회로는 상기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시 방향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주시 방향은 상기 생활 환경의 벽을 향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상기 벽에 위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 내에 존재하는 제2 사용자의 제2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머리 위치 또는 제2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추적된 제2 머리 위치 또는 제2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들 중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은 상기 생활 환경 외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들과 연관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존재하는 제1 오디오를 캡처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캡처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캡처된 제1 오디오와 연관된 제1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1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환경 정보는 광도 정보, 온도 정보, 또는 공기 흐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는 조명 디바이스, 선풍기, 또는 에어컨 시스템, 전기 히터, 서모스탯 디바이스, 아로마 디퓨저 디바이스, 또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하루 중 현재 시간, 상기 제1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 또는 상기 생활 환경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렌더링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이미지,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오디오 콘텐츠, 하나 이상의 미리 저장된 그래픽/애니메이션 콘텐츠,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제1 미디어 콘텐츠,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 미디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결정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며;
    상기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 모드의 선택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에서의 상기 제1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1 사용자의 존재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방법으로서,
    전자 디바이스에서: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생활 환경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 내부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은 상기 생활 환경 외부에 있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됨 -;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주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시 방향은 상기 생활 환경의 벽을 향하고,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는 상기 벽에 위치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검출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결정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상기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과 연관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환경 정보는 광도 정보, 온도 정보, 또는 공기 흐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동작들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제1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생활 환경의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생활 환경 내부에 존재하는 제1 사용자의 제1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된 제1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적하는 동작;
    상기 추적된 제1 머리 위치 또는 제1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동작 -
    상기 복수의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은 상기 생활 환경 외부에 있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됨 -;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연관되고 상기 생활 환경 내부에 있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37023137A 2021-01-22 2022-01-21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한 생활 환경 내의 디스플레이들 상에의 콘텐츠 렌더링 KR202301136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56,060 US11470281B2 (en) 2021-01-22 2021-01-22 Rendering con pent on displays in living environment based on environment outside living environment
US17/156,060 2021-01-22
PCT/IB2022/050558 WO2022157717A1 (en) 2021-01-22 2022-01-21 Rendering content on displays in living environment based on environment outside living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633A true KR20230113633A (ko) 2023-07-31

Family

ID=8012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137A KR20230113633A (ko) 2021-01-22 2022-01-21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한 생활 환경 내의 디스플레이들 상에의 콘텐츠 렌더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70281B2 (ko)
EP (1) EP4256423A1 (ko)
JP (1) JP2024504954A (ko)
KR (1) KR20230113633A (ko)
CN (1) CN116235132A (ko)
WO (1) WO2022157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4858B1 (en) * 2022-12-09 2024-02-27 Helen Hyun-Min Song Window replacement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4511A1 (en) 2003-08-12 2005-02-24 Chiou-muh Jong Method and apparatus to simulate an outdoor window for a windowless room
US8259178B2 (en) 2008-12-23 2012-09-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synthetic environments
US20110069158A1 (en) * 2009-09-21 2011-03-24 Dekel Shiloh Virtual window system and method
US9306762B2 (en) 2014-04-24 2016-04-05 Vivint, Inc. Remote talk down to panel, camera and speaker
WO2017156412A1 (en) 2016-03-11 2017-09-14 Hyperloop Transportation Technologies, Inc. Augmented windows
US9864559B2 (en) 2016-03-29 2018-01-09 Panasonic Avionics Corporation Virtual window display system
WO2018232050A1 (en) * 2017-06-14 2018-12-20 Dpa Ventures, Inc. Artificial window system
US11726324B2 (en) * 2018-08-31 2023-08-15 Apple Inc. Display system
US10789912B2 (en) * 2018-12-20 2020-09-29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rendering of different content for different view angles of a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35132A (zh) 2023-06-06
US20220239867A1 (en) 2022-07-28
US11470281B2 (en) 2022-10-11
EP4256423A1 (en) 2023-10-11
WO2022157717A1 (en) 2022-07-28
JP2024504954A (ja)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2065B2 (en) Tile-based camera mode switching
US119026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exposure in high dynamic range video capture systems
JP6090889B2 (ja) コンテキスト認識ローカライズ、マッピング、および追跡
CN111669430B (zh) 通信方法、控制物联网设备的方法、电子设备
WO2020090458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1072009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control of a display screen based on a viewing mode
US118427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light emitted from a display
KR20230113633A (ko) 생활 환경 외부의 환경에 기초한 생활 환경 내의 디스플레이들 상에의 콘텐츠 렌더링
CN11074026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和终端设备
JP2017521584A (ja) 運転データ調節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10399915A1 (en) Selecting a destination for a sensor signal in dependence on an active light setting
WO2023169993A1 (en) Controlling lighting devices as a group when a light scene or mode is activated in another spatial area
CN111882651A (zh) 一种空间光线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