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682A -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 Google Patents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682A
KR20230112682A KR1020237021085A KR20237021085A KR20230112682A KR 20230112682 A KR20230112682 A KR 20230112682A KR 1020237021085 A KR1020237021085 A KR 1020237021085A KR 20237021085 A KR20237021085 A KR 20237021085A KR 20230112682 A KR20230112682 A KR 20230112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article
wrapp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레멘트 베쏘
프레데릭 율리스 뷸러
스테판 라우엔스테인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3011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6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0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21H19/2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9/32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12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 D21H5/14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fibrous materials of cellulose fibres only
    • D21H5/16Tobacco or cigarette 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가열 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 주위에 포장된 종이 래퍼를 포함하고 있다. 종이 래퍼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 양각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본 발명은 래퍼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하고 가열 시에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특히 적용 가능하다.
궐련과 같은 가연성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통상적으로 래퍼(wrapper)로 둘러싼 담배 각초의 원통형 로드(rod) 및 상기 포장된 담배 로드와 접경하는 말단-대-말단 관계로 축방향으로 정렬된 원통형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원통형 필터는 통상적으로 플러그 랩(plug wrap)에 의해 둘러싼 여과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포장된 담배 로드 및 상기 필터는 티핑 래퍼(tipping wrapper)의 밴드로 결합되는데, 이 티핑 래퍼는 보통 상기 필터의 전체 길이와 상기 담배 로드의 인접하는 일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종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소비자는 궐련의 일 말단에 불을 붙이고, 세절 담배 로드를 태워서 사용한다. 그런 다음, 소비자는 마우스 말단 또는 궐련의 필터쪽 말단에서 주류연(mainstream smoke)을 빨아들여서 입 안으로 받아들인다.
담배 함유 기재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연소되지 않고 가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에어로졸은 열원으로부터, 열원과 접촉하여, 열원의 내부에, 열원의 주위에 또는 열원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 또는 재료로의 열 전달에 의해 발생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사용 동안, 휘발성 화합물은 열원으로부터의 열 전달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방출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해 흡인된 공기에 연행된다. 방출된 화합물이 냉각되면서, 화합물은 응축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다수의 종래 기술 문헌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소모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기 히터 요소로부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의 열 전달에 의해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에 삽입되도록 적응된 내부 히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안되었다. 대안으로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에 배열된 서셉터 요소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WO 2015/176898호에 의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래퍼로 포장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구조적 온전함을 제공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더 두꺼운 래퍼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더 두꺼운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 및 조립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종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과하는 주류연이나 에어로졸에서 발견되는 습윤제, 물 및 다른 화합물을 흡수할 수 있다. 래퍼는 또한 래퍼를 둘러싸고 있는 습도 또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흡수된 재료는 래퍼의 얼룩 및 약화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관 및 구조적 온전함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의 래퍼 흡수 재료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의 이용 가능한 습윤제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 동안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의도된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이들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의 습윤제의 높은 수준으로 인한 이러한 문제에 특히 민감하다.
따라서, 이러한 결점이 생길 가능성이 적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그의 성능에서 높은 일관성을 갖는 기계적으로 안정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래퍼 간의 상호 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과하는 주류연 또는 에어로졸에서 발견되는 물 또는 화합물을 쉽게 흡수하지 않는 래퍼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개시는 가열 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산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종이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포장될 수 있다. 종이 래퍼는 양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양각부는 물에 저항성인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포장된 종이 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 래퍼는 물에 저항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 양각부를 포함한다.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가열되는 물품을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가열 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나타낸다.
종래의 궐련은 사용자가 불꽃을 궐련의 일 말단에 적용하고 다른 말단을 통해 공기를 흡인할 때 불이 붙는다. 화염에 의해 제공되는 국부적인 열과 궐련을 통해 흡인된 공기 중의 산소는 궐련의 말단이 점화되게 야기하고, 생성된 연소는 흡입 가능한 연기를 발생시킨다. 대조적으로,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에어로졸은 담배와 같은 향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발생된다. 공지된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예를 들어,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가연성 연료 요소 또는 열원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에어로졸 형성 재료로의 열 전달에 의해서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내에 삽입되도록 적응되는 내부 히터 블레이드를 갖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특정한 응용예를 발견한다. 이러한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종래 기술, 예를 들어 EP 0822670호에 설명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상호작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평량(basis weight)"은 gsm(grams per square meter)으로 단위 면적당 질량을 측정한 것이다. 즉, 평량은 면적 밀도의 측정치이다. 평량은 또한 평량(grammag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로드"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난형 또는 타원형 단면의 실질적으로 원형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용어 "원위", "상류", "근위", 및 "하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의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 부분들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사용 시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위해 에어로졸이 시스템을 빠져 나오는 근위 말단을 갖고, 대향하는 원위 말단을 가진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말단은 마우스 말단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사용 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근위 말단 상에서 흡인한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사용자가 근위 말단 상에서 흡인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한 에어로졸 이동 방향과 관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방향 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류 말단과 하류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주 길이방향 축에 대응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에어로졸이 사용 중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주 통해 이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 또는 요소의 일부분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한다.
사용 동안, 공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흡인된다. 용어 "가로방향"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방향을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의 "단면"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횡단면을 지칭한다.
용어 "길이"는 길이방향으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요소의 치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길이방향으로의 로드 또는 세장형 관형 요소의 치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래퍼" 또는 "종이 래퍼"는 상호교차가능하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둘러싸고, 종이 또는 다른 재료 및 선택적으로 충전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 재료를 지칭한다.
래퍼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래퍼의 표면을 설명할 때의 용어 "내부" 및 "외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래퍼의 배향을 지칭한다. 래퍼는 래퍼의 내부 표면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대면하고 외부 표면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멀리 대면하도록 포장될 수 있다.
용어 "양각(embossment)"은 래퍼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이들 돌출부는 래퍼 내에 조각되거나, 성형되거나, 스탬핑될 수 있다. 이러한 양각을 운반하는 래퍼의 일부분은 양각된다고 한다. 양각을 형성하지 않고 래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래퍼의 섹션은 본원에서 "음각(debossment)"으로 지칭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내수성"은 수분 저항 특성을 나타내는 래퍼를 지칭한다. 소수성을 결정하는 하나의 유용한 방법은 수 접촉각을 측정하는 것이다. "수 접촉각"은, 액체를 통해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액체/증기 경계면이 고체 표면과 만나는 각도이다. 수 접촉각은 액체에 의한 고체 표면의 습윤성을 영의 방정식으로 정량화한다. 소수성 또는 수 접촉각은, TAPPI T558 테스트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며, 그 결과는 계면 접촉각으로 나타나고, "도"로 보고되며, 거의 제로 내지 거의 18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위한 개선된 구성요소를 제공한다. 양각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종이 래퍼를 제공함으로써, 종이 래퍼의 내부 표면과 에어로졸 발생 물품 사이의 상호 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각부의 양각은 종이 래퍼의 내부 표면과 에어로졸 발생 물품 사이의 접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수분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종이 래퍼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는 또한 유리하게는 열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종이 래퍼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래퍼 구성은 또한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함께 사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에서 열이 전달될 수 있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서셉터 요소 및 가열 블레이드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의 열원에 의해 가열될 때,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분을 둘러싸여 있을 때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장점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상류에 있는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의 절연 특성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열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에너지 효율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양각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종이 래퍼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여전히 고속으로 제조 가능하게 하면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 주위에 더 두꺼운 종이 래퍼를 포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래퍼 내의 양각이 종래의 래퍼의 양각부와 유사한 굽힘 및 컬링 특성을 더 두꺼운 래퍼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더 두꺼운 래퍼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조적 온전함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종이 래퍼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수분 및 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해 더 저항성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사용 중에 변형될 가능성이 적다.
추가적으로, 양각부를 갖는 종이 래퍼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조적 온전함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래퍼 간의 감소된 상호작용이 사용 중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변형될 가능성을 더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종이 래퍼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로드 사이의 감소된 상호 작용은 또한 수분 및 열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로 전달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포장된 종이 래퍼를 가질 수 있다. 래퍼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종래의 래퍼보다 큰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더 높은 평량 래퍼는 래퍼의 일 표면과 래퍼의 다른 표면 사이의 개선된 장벽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더 높은 평량의 래퍼는 래퍼를 통한 수분 및 열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전달을 느리게 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래퍼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조적 온전함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종이 래퍼는 50gsm 내지 10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복수의 세그먼트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 또는 구성 요소는 길이방향으로 함께 조립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는 로드의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는 다음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류 요소, 마우스피스 요소, 지지 요소 및 에어로졸 냉각 요소. 복수의 세그먼트는 공동 및 필터 세그먼트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섬유상 여과 물질의 플러그일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는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와 같은 섬유상 여과 물질의 중공관일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포장된 종이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로드, 상류 요소, 마우스피스 요소, 지지 요소, 에어로졸 냉각 요소, 필터 세그먼트, 및 공동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또는 구성 요소 주위에 포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모든 세그먼트 주위에 포장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세그먼트의 일부 주위에만 포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2개의 세그먼트 주위에 포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로드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세그먼트 주위에 포장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 양각부를 갖는 종이 래퍼를 제공함으로써, 종이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사용자 사이에 또 다른 개선된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그의 내부 표면에서 래퍼의 양각 및 내수 특성 모두가 조합되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로드 내에 수분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수분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로 전달될 가능성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둘러싸도록 양각부를 배열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특히 높은 액체 함량을 갖는 구성 요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액체 및 겔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임의의 부분을 둘러싸도록 양각부를 배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각부는 액체 함유 캡슐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를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양각부는 겔이 로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를 둘러쌀 수 있다. 요소는 다공성 매체일 수 있다.
종이 래퍼의 내수 특성은 양각부의 내부 표면에 내수 재료를 제공하거나,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내수성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발수성일 수 있다.
종이 래퍼는 화학적으로 내수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WO 2016/063180 A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종이 래퍼의 내수 특성은 종이에 공유 결합된 소수성 기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는 지방산 할로겐화물을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을 종이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도포하고, 상기 표면을 약 120°C 내지 약 180°C의 온도에서 유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지방산 할로겐화물은 제 자리에서 종이 내의 재료의 양자성 기(protogenic group)와 반응하여 지방산 에스테르의 형성을 초래한다.
또 다른 예로서, 종이 래퍼의 내수 특성은 래퍼가 PVOH(폴리비닐 알코올) 및 실리콘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를 포함하도록 배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PVOH, 실리콘 또는 둘 모두는 표면 코팅으로서 종이 래퍼에 도포될 수 있다. PVOH, 실리콘, 또는 둘 모두는 종이 래퍼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종이 래퍼의 내부 표면 상에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종이 래퍼의 내수 특성은 금속 호일 층을 갖는 종이 래퍼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는 종이 층 및 금속 호일 층을 포함한다. 종이 래퍼는 종이 층과 금속 호일 층을 갖는 공동-적층체일 수 있다. 금속 호일 층은 종이 래퍼에 내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금속 호일 층은 증착에 의해 종이 래퍼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금속 호일 층은 알루미늄 호일 층일 수 있다. 금속 호일 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호일 층은 종이 래퍼의 내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적어도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둘러쌀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둘러싸도록 래퍼의 양각부를 배열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수분이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래퍼로 전달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양각부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만을 둘러쌀 수 있다. 양각부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 예컨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에 인접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이들 다른 부분 또는 구성 요소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상류 요소, 및 마우스피스 요소,지지 요소 및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포함하는 하류 섹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래퍼의 양각부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직접 둘러쌀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직접 둘러싸고 있는 경우, 래퍼의 양각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로드와 직접 접촉한다.
래퍼의 양각부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간접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간접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추가 층은 래퍼의 양각부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로드의 원주 주위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로드의 원주의 일부분 주위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만을 둘러쌀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가 로드의 원주의 일부분 주위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만을 둘러싸고 있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원주의 80% 이하 및 적어도 20%가 래퍼의 양각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로드의 길이의 적어도 80%를 따라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둘러쌀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로드의 길이의 적어도 90%를 따라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둘러싼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로드의 길이의 100%를 따라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둘러싼다.
래퍼의 양각부는 래퍼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래퍼의 일부분을 따라서만 연장될 수 있다. 양각부가 래퍼의 일부분을 따라서만 연장되어 있는 경우, 양각부는 래퍼의 길이의 80% 이하 및 적어도 20%가 연장될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양각된 외부 표면 및 음각된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양각된 외부 표면은 래퍼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양각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접촉하는 래퍼의 양각부의 표면적이 감소된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의 수분 및 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한 개선된 저항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음각된 내부 표면은 래퍼가 양각되지 않은 면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음각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음각은 래퍼와 동일한 평면에 있다. 내부 표면 상의 음각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음각된 표면이 양각된 표면보다 더 안정적일 수 있기 때문에 래퍼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용 종래의 래퍼보다 큰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더 두꺼운 래퍼는 래퍼를 통한 수분 및 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전달을 느리게 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조적 온전함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로부터의 수분 및 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한 래퍼의 저항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50gsm 내지 100gsm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60gsm 내지 90gsm의 평량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75gsm 내지 80gsm의 평량을 갖는다.
래퍼의 양각부는 복수의 양각을 가질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가 복수의 양각을 갖는 경우, 각각의 양각은 0.07mm 내지 0.21mm, 바람직하게는 0.10mm 내지 0.18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mm 내지 0.16mm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각 양각은 또한 0.2mm 내지 0.4mm, 바람직하게는 0.25mm 내지 0.3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75mm 내지 0.325mm의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양각은 구형 돔 형상일 수 있다. 각 양각이 구형 돔인 경우, 구형 돔에 대한 접선과 수평 랩 라인에 대한 차단 사이의 각도는 3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복수의 양각은 반복 패턴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 피치 및 프로파일을 갖는 양각의 이러한 이격된 반복 패턴은 래퍼의 양각부의 표면을 따라 균일한 내수 및 내열 특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90도에서 3cN cm(centinewton centimetres) 내지 8cN cm의 굽힘 모멘트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90도에서 4cN cm 내지 7cN cm의 굽힘 모멘트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90도에서 4cN cm 내지 6cN cm의 굽힘 모멘트를 갖는다.
래퍼의 양각부는 90도의 굽힘 후 10도 내지 40도의 각도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90도 굽힘 후 15도 내지 35도의 각도 메모리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는 90도 굽힘 후 20도 내지 30도의 각도 메모리를 갖는다.
래퍼의 굽힘 모멘트 및 각도 메모리는, 예를 들어 Frank Prufgerate Gmbh에 의해 공급되는 바와 같이, 적절한 굽힘 강도 시험 장치를 갖는 DIN 53864(1978년 8월) 표준에 따라 슈렝커(Schlenker)에 의한 굽힘 강도 시험에 따라 측정된다. 이러한 표준 DIN 53864의 의미에서의 굽힘 모멘트는 소정의 클램핑 길이(20mm)에서 소정의 각도(90도)만큼 시험 샘플(Paper Material)을 굽히는 데 필요한 토크이다. 이러한 표준 DIN 53864의 의미에서, 각도 메모리는 굽힘 모멘트 시험이 수행된 후의 시험 샘플의 잔여 각도이다. 큰 각도는 샘플이 양호한 데드-폴드(dead fold)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래퍼의 것과 유사하게, 위에서 정의된 굽힘 및 컬링 특성을 갖는 래퍼의 양각부를 가짐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여전히 고속으로 제조 가능하게 하면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로드 주위에 더 두꺼운 래퍼를 포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는 내수성 래퍼일 수 있다. 내수성 래퍼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로부터의 수분에 대한 추가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양각부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이 내수성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로부터의 수분이 래퍼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래퍼의 팽윤, 가시적인 얼룩, 물리적 약화를 감소시키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조적 온전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팽윤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것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가열 장치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안전하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유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래퍼의 내수 특성을 결정하는 하나의 유용한 방법은 수 접촉각을 측정하는 것이다. "수 접촉각"은, 액체를 통해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액체/증기 경계면이 고체 표면과 만나는 각도이다. 수 접촉각은 액체에 의한 고체 표면의 습윤성을 영의 방정식으로 정량화한다. 소수성 또는 수 접촉각은, TAPPI T558 테스트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며, 그 결과는 계면 접촉각으로 나타나고, "도"로 보고되며, 거의 제로 내지 거의 18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래퍼의 양각부의 내수성 내부 표면은 적어도 30도의 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의 내수성 내부 표면은 적어도 40도의 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래퍼의 양각부의 내수성 내부 표면은 적어도 45도의 수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겔화제, 알칼로이드 화합물과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 및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시, 에어로졸 형성제는 에어로졸에서 니코틴 및 향미제와 같이, 가열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로부터 방출된 다른 증발된 화합물을 운반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에 포함시키기 위한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롤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1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15%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2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3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4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5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6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7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8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9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중량% 내지 약 30중량%, 예컨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0중량% 내지 약 25중량%, 또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5중량% 내지 약 20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가 가열 요소를 갖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가 가열 요소를 갖는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용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경우, 에어로졸 형성제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가 에어로졸 형성제가 기재로부터 분리된 저장소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사용되도록 의도된 경우, 기재는 1% 초과 및 약 5% 미만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형성제는 가열 시에 증발되고 에어로졸 형성제의 스트림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접촉되어 에어로졸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향미를 비말동반하도록 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로드는 약 30중량% 내지 약 45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에어로졸 형성제는 275℃미만의 온도에서 가열되도록 의도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2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중량% 내지 약 50중량%의 추가 셀룰로오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셀룰로오스 에테르와 추가 셀룰로오스의 조합의 사용은 30 중량% 내지 45 중량%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 사용될 때, 에어로졸의 특히 효과적인 전달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알칼로이드 화합물, 또는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또는 알칼로이드 화합물 및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둘 모두; 에어로졸 형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겔화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겔화제는 고체 매체를 형성하고, 글리세롤은 고체 매체에 분산되며, 알칼로이드 또는 칸나비노이드는 글리세롤에 분산된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안정한 겔 상이다.
유리하게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안정한 겔 조성물은 보관 시 또는 제조에서 소비자로의 이동 시 예측 가능한 조성물 형태를 제공한다. 니코틴을 포함하는 안정한 겔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그의 형상을 유지한다. 니코틴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안정한 겔 조성물은 보관 시 또는 제조에서 소비자로의 이동 시 실질적으로 액상을 방출하지 않는다. 니코틴을 포함하는 안정한 겔 조성물은 간단한 소모품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소모품은 액체를 함유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없을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넓은 범위의 재료 및 용기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겔 조성물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조합되어 종래의 흡연 체제 흡입 또는 기류 속도 내에 있는 흡입 또는 기류 속도로 니코틴 에어로졸을 폐에 제공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겔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소비자는 복수의 흡입 또는 "퍼프"를 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퍼프"는 니코틴 에어로졸의 양을 전달한다. 겔 조성물은, 가열될 때,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인 방식으로 높은 니코틴/저 총 미립자 물질(TPM) 에어로졸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안정적인 겔 상" 또는 "안정적인 겔"이라는 어구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 노출될 때 실질적으로 겔의 형상과 질량을 유지하는 겔을 지칭한다. 안정한 겔은 약 10% 내지 약 60%의 상대 습도를 변화시키면서 표준 온도 및 압력에 노출될 때 실질적으로(땀)을 방출하거나 물을 흡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한 겔은 약 10% 내지 약 60%의 상대 습도를 변화시키면서 표준 온도 및 압력에 노출될 때 겔의 형상 및 질량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알칼로이드 화합물, 또는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또는 알칼로이드 화합물 및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둘 모두를 포함한다. 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알칼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알칼로이드 및 하나 이상의 칸나비노이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알칼로이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기 화합물 부류 중 임의의 하나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알칼로이드는 아민형 구조체에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다. 알칼로이드 화합물의 분자 내의 이러한 또는 다른 질소 원자는 산-염기 반응에서 염기로서 활성화될 수 있다. 대부분의 알칼로이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와 같은 고리형 시스템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갖는다. 사실상, 알칼로이드 화합물은 주로 식물에서 발견되며, 특정 현화 식물과에서 특히 흔하다. 그러나, 일부 알칼로이드 화합물은 동물 종 및 균류에서 발견된다. 본 개시에서, 용어 "알칼로이드 화합물"은 천연 유래 알칼로이드 화합물 및 합성 제조된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둘 다 지칭한다.
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니코틴, 아나타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니코틴을 포함한다.
용어 "니코틴"은 유리 염기 니코틴, 니코틴 염 등과 같은 니코틴 및 니코틴 파생물을 지칭한다.
용어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은 칸나비스 식물(cannabis plant) - 즉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Cannabis indica), 및 칸나비스 루데랄리스(Cannabis ruderalis) 종들의 일부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화합물 부류 중 임의의 하나를 지칭한다.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은 특히 암꽃 머리에 농축된다. 칸나비스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은 칸나비디올(CBD) 및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용어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은 천연 유래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및 합성 제조된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둘 모두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겔은 칸나비디올(CBD),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산(THCA), 칸나비디올산(CBDA), 칸나비놀(CBN), 칸나비게롤(CBG), 칸나비크로멘(CBC), 칸나비사이클롤(CBL), 칸나비바린(CBV),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바린(THCV), 칸나비디바린(CBDV), 칸나비크롬바린(CBCV), 칸나비게로바린(CBGV), 칸나비게롤 모노메틸 에테르(CBGM), 칸나비엘소인(CBE), 칸나비시트란(CB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칸나비디올(CBD), THC(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겔은 바람직하게는 칸나비디올(CBD)을 포함한다.
겔 조성물은 니코틴 및 칸나비디올(CBD)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고, 칸나비디올(CBD), 및 THC(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적으로 에어로졸 형성제는 관련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온도에서 열적 열화에 실질적으로 내성이 있다. 적합한 에어로졸 형성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 디- 또는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디메틸 도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dodecanedioate) 및 디메틸 테트라데칸디오에이트(dimethyl tetradecanedioate)와 같은, 모노-,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트리에틸렌 글리콜, 1, 3-부탄디올 및 글리세린(글리세롤 또는 프로판-1,2,3-트리올)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롤이다.
겔 조성물은 에어로졸 형성제의 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에어로졸 형성제가 겔 조성물의 대부분(중량 기준)을 형성하는, 물과 에어로졸 형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적어도 약 50 중량%의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겔 조성물의 적어도 약 6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6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70 중량%의 형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약 7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약 70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글리세롤의 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글리세롤이 겔 조성물의 대부분(중량 기준)을 형성하는, 물 및 글리세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롤은 적어도 약 50 중량%의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글리세롤은 적어도 약 60 중량% 또는 적어도 약 6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70 중량%의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글리세롤은 약 70 중량% 내지 약 80 중량%의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글리세롤은 약 70 중량% 내지 약 75 중량%의 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겔화제를 포함하고 있다.
용어 "겔화제"는 50 중량%의 물/50 중량%의 글리세롤 혼합물에 첨가될 때, 약 0.3 중량%의 양으로, 겔을 유도하는 고체 매체 또는 지지 매트릭스를 균일하게 형성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겔화제는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 및 이온성 가교 겔화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겔화제는 하나 이상의 생체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고분자는 다당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적어도 약 0.2 중량%의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2 중량%의 이온성 가교 겔화제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적어도 약 0.2 중량%의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 및 적어도 약 0.2 중량%의 이온성 가교 겔화제를 포함한다. 겔 조성물은 약 0.5 중량% 내지 약 3 중량%의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 및 약 0.5 중량% 내지 약 3 중량%의 이온성 가교 겔화제,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 및 약 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이온성 가교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 및 이온성 가교 겔화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의 겔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hydrogen-bond crosslinkinggelling agent)"는 수소 결합을 통해 비공유 가교 결합 또는 물리적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겔화제를 지칭한다. 수소 결합은 수소 원자에 공유 결합이 아닌 분자들 사이의 정전 쌍극자간 인력의 유형이다. 이는 N, O, 또는 F 원자와 같은 매우 음전성 원자 및 다른 매우 음전성 원자에 공유 결합된 수소 원자 사이의 인력으로부터 기인한다.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는 갈락토만난, 젤라틴, 아가로스, 또는 곤약 검 또는 한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한천을 포함한다.
겔 조성물은 약 0.3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를 포함한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갈락토만난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젤라틴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아가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곤약 검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한천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이온성 가교 겔화제(ionic crosslinkinggelling agent)"는 이온 결합을 통해 비공유 가교 결합 또는 물리적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겔화제를 지칭한다. 이온성 가교는 비공유 상호작용에 의한 중합체 사슬의 연결을 포함한다. 가교된 네트워크는, 반대 전하의 다가 분자가 서로 정전기적으로 당겨서 가교된 중합체 네트워크를 생성할 때 형성된다.
이온성 가교 겔화제는 저 아실 겔란, 펙틴, 카파 카라기난, 아이오타 카라기난 또는 알긴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성 가교 겔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저 아실 겔란을 포함한다.
겔 조성물은 약 0.3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이온성 가교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저 아실 겔란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펙틴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카파 카라기난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아이오타 카라기난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로 알긴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3:1 내지 약 1:3의 비율로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 및 이온성 가교 겔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점성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소-결합 가교 겔화제 및 이온성 가교 겔화제와 조합된 점성화제는 놀랍게도 고체 매체를 지지하고 겔 조성물이 높은 수준의 글리세롤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도 겔 조성물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용어 "점성화제(viscosifying agent)"는 25℃ 50 중량%의 물/50 중량%의 글리세롤 혼합물에 균일하게 첨가될 때 0.3 중량%의 양으로, 겔의 형성을 야기하지 않고 점도를 증가시키는 화합물을 지칭하며, 혼합물은 유체를 지속하거나 남긴다.
본원에서 인용된 점도값은 6 rpm의 속도로 25℃에서 디스크 타입 RV#2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Brookfield RVT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로 점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성화제는 잔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아라비아 검, 구아 검, 람다 카라기난 또는 전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점성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잔탄 검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잔탄 검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미정질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아라비아 검(gum Arabic)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구아 검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람다 카라기난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2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2가 양이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가 양이온은 용액 속의 락트산 칼슘과 같은 칼슘 이온을 포함한다. 칼슘 이온과 같은 2가 양이온은, 예를 들어 이온성 가교 겔화제와 같은 겔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겔 제형을 보조할 수 있다. 이온 효과는 겔 제형을 보조할 수 있다. 2가 양이온은 약 0.1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범위의 겔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은 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은 케톤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은 약 10개 미만의 탄소 원자, 또는 약 6개 미만의 탄소 원자, 또는 약 4개 미만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예컨대 레불린산 또는 락트산과 같은 케톤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카르복실산은 3개의 탄소 원자(예를 들어, 락트산)를 갖는다. 락트산은 놀랍게도 유사한 카르복실산보다도 겔 조성물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카르복실산은 겔 제형을 보조할 수 있다. 카르복실산은 보관 중에 겔 조성물 내에서 알칼로이드 화합물 농도, 또는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농도, 또는 알칼로이드 화합물 농도 및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농도 둘 모두를 감소시킬 수 있다. 카르복실산은 보관 중에 겔 조성물 내의 니코틴 농도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로 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락트산을 포함할 수 있다.
겔 조성물은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레불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일부 물을 포함한다. 겔 조성물은 조성물이 일부 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더욱 안정적이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약 8 중량% 내지 약 32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약 15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약 18 중량% 내지 약 22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겔 조성물은 약 20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약 150 mg 내지 약 350 mg의 겔 조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겔 조성물이 로딩된 다공성 매체를 포함한다. 겔이 로딩된 다공성 매체의 장점은 겔 조성물이 다공성 매체 내에 유지된다는 점이며, 이는 겔 조성물의 제조, 저장 또는 이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제조, 이송 또는 사용 동안, 겔 조성물의 원하는 형상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용어 "다공성"은 재료를 통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는 복수의 기공 또는 개구를 제공하는 재료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다공성 매체는 겔 조성물을 보유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다공성 물질일 수 있다. 이상적으로, 다공성 매체는 겔 조성물이 그 내부에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다공성 매체는 천연 재료, 합성 재료, 또는 반-합성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매체는 시트 재료, 발포체, 또는 섬유, 예를 들어 느슨한 섬유;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매체는 직물, 부직포, 또는 압출된 재료,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매체는 면, 종이, 비스코스, PLA,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매체는 시트 재료, 예를 들어 면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매체는 면 섬유로 만들어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매체는 권축되거나 세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매체는 권축된다. 대안적으로, 다공성 매체는 세절된 다공성 매체를 포함한다. 권축 또는 세절 공정은 겔 조성물이 로딩되기 전 또는 후일 수 있다.
시트 재료의 권축은 구조를 통한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구조를 개선하는 장점을 갖는다. 권축된 시트 재료를 통과하는 통로는 겔을 로딩하고, 겔을 유지하며, 또한 유체가 권축된 시트 재료를 통과하는 것을 보조한다. 따라서, 권축된 시트 재료를 다공성 매체로서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세절은 매체에 대한 고표면적 대 부피비를 제공하여 겔을 쉽게 흡수할 수 있다.
시트 재료는 복합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는 다공성이다. 시트 재료는 겔을 포함하는 관형 요소의 제조를 도울 수 있다. 시트 재료는 겔을 포함하는 관형 요소에 활성제를 도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시트 재료는 겔을 포함하는 관형 요소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시트 재료는 겔의 이송 또는 보관을 보조할 수 있다. 시트 재료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시트 재료의 권축에 의해 다공성 매체에 구조의 추가할 수 있거나 이를 돕는다.
다공성 매체는 스레드일 수 있다. 스레드는, 예를 들어 면, 종이 또는 아세테이트 토우를 포함할 수 있다. 스레드는 또한, 임의의 다른 다공성 매체와 같은 겔이 로딩될 수 있다. 다공성 매체로서 스레드를 사용하는 장점은 제조의 용이성을 도울 수 있다는 것이다.
스레드는 임의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겔이 로딩될 수 있다. 스레드는 겔로 간단히 코팅될 수 있거나, 스레드는 겔로 함침될 수 있다. 제조에서, 스레드는 겔로 함침되고 관형 요소의 조립체에 포함되도록 사용할 준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겔 조성물이 로딩된 다공성 매체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를 형성하는 관형 요소 내에 제공된다. 이상적으로, 관형 요소는 폭에서 보다 길이방향 길이가 더 길 수 있지만, 관형 요소의 폭보다 관형 요소의 길이방향 길이가 이상적으로 더 긴 다중 구성요소 물품의 일부분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통상적으로, 관형 요소는 원통형이지만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관형 요소는 난형,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임의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관형 요소는 바람직하게 제1 길이방향 통로를 포함한다. 관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길이방향 통로를 정의하는 래퍼로 형성된다. 래퍼는 바람직하게는 내수성 래퍼이다. 래퍼의 이러한 내수 특성은 내수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래퍼의 재료를 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래퍼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을 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내수성을 갖는 것은 구조, 강성 또는 경질성을 상실하지 않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또한, 특히 유체 구조의 겔이 사용될 때, 겔 또는 액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상류에 상류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상류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상류 말단과 접경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하류에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축방향 정렬로 배열된 하류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하류 섹션은 하나 이상의 하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의 내부 가열 블레이드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에 배열된 서셉터 요소에 의해 유도 가열 가능할 수 있다.
상류 요소의 제공은 유리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보호하고 존재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및 서셉터 요소 내의 겔 조성물과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한다. 상류 요소는 래퍼의 양각부에 의해 또한 둘러싸일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에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하류 섹션은 마우스피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마우스 말단까지의 모든 경로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 요소는 래퍼의 양각부에 의해 또한 둘러싸일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에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하류 섹션은 마우스피스 요소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사이에 중간 중공형 섹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중공형 섹션은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중공형 섹션은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는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중공형 섹션은 및 에어로졸 냉각 요소 및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에어로졸 냉각 요소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중공형 섹션은 래퍼의 양각부에 의해 또한 둘러싸일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에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중공 관형 세그먼트"는 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루멘(lumen) 또는 기류 통로를 정의하는 전반적으로 세장형 요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특히, 용어 "관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단면을 갖고 관형 요소의 상류 말단과 관형 요소의 하류 말단 사이에 방해받지 않는 유체 연통을 확립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도관을 정의하는 관형 요소를 참조하여 이하에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관형 세그먼트의 대안적인 기하학적 구조(예를 들어, 대안적인 단면 형상)가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세장형"은 요소가 그의 폭 치수 또는 그의 직경 치수보다 더 큰 길이 치수, 예를 들어 그의 폭 치수 또는 그의 직경 치수의 2배 이상의 길이 치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중공 관형 세그먼트는 무제한 유동 채널을 제공한다. 이는 중공 관형 세그먼트가 무시할 만한 수준의 흡인 저항(RTD)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동 채널은 길이방향으로의 공기의 유동을 방해할 임의의 구성 요소가 없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 채널은 실질적으로 비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하류 섹션을 따르는 위치에서 환기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따르는 위치에서 환기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의 형태일 수 있으며, 환기 구역은 에어로졸 냉각 요소의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따르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할 때 발생되고 하나의 이러한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통해 흡인된 에어로졸의 스트림의 만족스러운 냉각이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따르는 위치에 환기 구역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냉각 요소의 길이를 따라 정확하게 정의된 위치에 환기 구역을 배열하고, 미리 결정된 주변 벽 두께 또는 내부 부피를 갖는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바람직하게 이용함으로써, 물품 내로 환기 공기의 유입에 의해 야기되는 증가된 에어로졸 희석의 효과에 대응할 수 것을 발견하였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서셉터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세장형 서셉터 요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이들 요소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포함한다. 에어로졸-발생 기재는 고체 에어로졸-발생 기재일 수 있다.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내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열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서셉터 요소"는 전자기 에너지를 열로 변환할 수 있는 재료를 지칭한다. 변동 전자기장 내에 위치될 경우, 서셉터 내에 유도된 와전류는 서셉터 요소의 가열을 유발한다. 세장형 서셉터 요소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열 접촉하게 위치되므로,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서셉터 요소에 의해 가열된다.
서셉터 요소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때, 용어 "세장형"은 서셉터 요소가 그의 폭 치수 또는 그의 두께 치수보다 더 큰, 예를 들어 그의 폭 치수 또는 그의 두께 치수의 2배보다 더 큰 길이 치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서셉터 요소는 로드 내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는 세장형 서셉터 요소의 길이 치수가 로드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예를 들어 로드의 길이방향에 +/- 10도 이내로 평행하게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로드 내의 방사상 중심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로드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로드의 하류 말단까지의 모든 경로에 걸쳐 연장된다.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로드의 상류 말단까지의 모든 경로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로드의 상류 말단으로부터 로드의 하류 말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핀, 로드,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일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약 5mm 내지 약 15mm, 예를 들어 약 6mm 내지 약 12mm, 또는 약 8mm 내지 약 1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서셉터 요소의 길이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기재의 전체 길이 사이의 비율은 약 0.2 내지 약 0.3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요소의 길이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기재의 전체 길이 사이의 비율은 적어도 약 0.22,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24,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26이다. 서셉터 요소의 길이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기재의 전체 길이 사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0.34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2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미만이다.
서셉터 요소의 길이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기재의 전체 길이 사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0.22 내지 약 0.34,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4 내지 약 0.34,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6 내지 약 0.34이다. 서셉터 요소의 길이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기재의 전체 길이 사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0.22 내지 약 0.32,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4 내지 약 0.32,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6 내지 약 0.32이다. 서셉터 요소의 길이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기재의 전체 길이 사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0.22 내지 약 0.3,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4 내지 약 0.3,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6 내지 약 0.3이다.
서셉터 요소의 길이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 기재의 전체 길이 사이의 비율은 약 0.27일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약 1mm 내지 약 5mm의 폭을 갖는다.
서셉터 요소는 일반적으로 약 0.01mm 내지 약 2mm, 예를 들어 약 0.5mm 내지 약 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약 10μm 내지 약 500μ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μm 내지 약 100μm의 두께를 갖는다.
서셉터 요소가 일정한 단면,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가지면, 이는 약 1mm 내지 약 5mm의 바람직한 폭 또는 직경을 갖는다.
서셉터 요소가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를 가지면,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2mm 내지 약 8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3mm 내지 약 5mm의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예로서,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인 서셉터 요소는 약 4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서셉터 요소가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를 가지면,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 및 약 0.03mm 내지 약 0.15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5mm 내지 약 0.09mm의 두께를 갖는다. 예로서,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인 서셉터 요소는 약 0.07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약 55μm 내지 약 65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약 57μm 내지 약 63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약 58μm 내지 약 62μm의 두께를 갖는다.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약 6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데 충분한 온도까지 유도 가열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요소는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요소는 강자성 재료, 예를 들어 강자성 합금, 페라이트 철 또는 강자성 강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 요소는 알루미늄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요소는 400 시리즈 스테인리스 스틸, 예를 들어 410 등급, 또는 420 등급 또는 430 등급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재료는 유사한 값의 주파수 및 자계 강도를 갖는 전자기장 내에 위치될 경우 상이한 양의 에너지를 소실한다.
따라서, 재료 종류, 길이, 폭 및 두께와 같은 서셉터 요소의 파라미터는 전부 공지된 전자기장 내의 원하는 전력 소실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서셉터 요소는 250
Figure pct00001
를 초과하는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적합한 서셉터 요소는 비금속 코어 상에 배치된 금속층, 예를 들어 세라믹 코어 표면에 형성된 금속 트랙을 갖는 비금속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보호성 외부 층, 예를 들어 서셉터 요소를 캡슐화하는 보호성 세라믹 층 또는 보호성 유리 층을 가질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서셉터 요소 재료의 코어 상에 형성된, 유리, 세라믹, 또는 불활성 금속에 의해 형성된 보호성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열 접촉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서셉터 요소가 가열될 때,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직접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에 배열된다.
서셉터 요소는 다중 재료 서셉터 요소일 수 있고, 제1 서셉터 요소 재료 및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셉터 요소 재료는 제2 서셉터 요소 재료와 물리적으로 밀접하게 접촉하게 배치된다.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500℃보다 낮은 퀴리 온도를 갖는다. 서셉터 요소가 변동 전자기장 내에 배치될 때, 제1 서셉터 요소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서셉터 요소를 가열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임의의 적합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셉터 요소 재료는 알루미늄일 수 있거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철 재료일 수 있다.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는 서셉터 요소가 제2 서셉터 요소 재료의 퀴리 온도인 특정 온도에 도달한 때를 표시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서셉터 요소 재료의 퀴리 온도는 작동 동안에 전체 서셉터의 온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셉터 요소 재료의 퀴리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발화점 아래이어야 한다.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로 적합한 재료는 니켈 및 특정 니켈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및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를 갖는 서셉터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는 퀴리 온도를 갖고 제1 서셉터 요소 재료는 퀴리 온도를 갖지 않거나, 제1 및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는 서로 구별되는 제1 및 제2 퀴리 온도를 갖는 상태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가열 및 가열의 온도 제어가 분리될 수 있다. 제1 서셉터 요소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500℃를 초과하는 퀴리 온도를 갖는 자성 재료이다. 제1 서셉터 요소 재료의 퀴리 온도는 서셉터 요소가 가열될 수 있어야 하는 임의의 최대 온도 위에 있는 것이 가열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 퀴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0℃미만, 바람직하게는 380℃미만, 또는 360℃미만으로 선택된다. 제2 서셉터 요소 재료는 원하는 최대 가열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퀴리 온도를 갖도록 선택된 자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퀴리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서셉터 요소가 가열되어야 하는 온도와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퀴리 온도는 예를 들어, 200℃내지 400℃ 또는 250℃내지 36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서셉터 요소 재료의 제2 퀴리 온도는, 예를 들어 제2 퀴리 온도와 동일한 온도에 있는 서셉터 요소에 의해 가열될 때,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전체 평균 온도가 240℃를 초과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환기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약 5%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용어 "환기 수준(ventilation level)"은 환기 구역(환기 기류)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진입된 기류와 에어로졸 기류 및 환기 기류의 합 사이의 부피비를 나타내도록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환기 수준이 더 클수록,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 흐름의 희석이 더 높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약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약 25%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바람직하게는 약 60% 미만의 환기 수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하의 환기 수준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4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하의 환기 수준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30%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20% 내지 약 6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5%,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25% 내지 약 60%,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5%,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0%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30% 내지 약 6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45%,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40%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28% 내지 약 42%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30%의 환기 수준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화학종을 함유하는 가스 혼합물로부터 에어로졸의 형성은 증기 농도, 온도, 및 속도장의 변화를 모두 설명하면서, 핵 형성, 증발, 및 응축뿐만 아니라 유착 사이의 섬세한 상호작용에 의존한다. 소위, 고전적 핵 형성 이론은 기상 분자의 분획이 충분한 확률(예를 들어, 절반의 확률)로 긴 시간 동안 응집성을 유지하는 데 충분히 크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이들 분자는 일시적인 분자 집합체 사이에서 크리티컬 임계 분자 클러스터의 일부 종류를 나타내며, 이는 평균적으로, 더 작은 분자 클러스터가 다소 신속하게 기상으로 붕해될 가능성이 있는 반면, 더 큰 클러스터는 평균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 클러스터는 증기로부터 분자의 응축으로 인해 액적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핵 형성 코어로서 식별된다. 방금 핵 형성된 순수 액적은 특정 본래 직경으로 나타난 다음, 여러 배만큼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는 응축을 유도하는 주변 증기의 신속한 냉각에 의해 촉진되고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증발 및 응축은 하나의 동일한 메커니즘, 즉 기체-액체 질량 전달의 두 측면이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증발이 액체 액적으로부터 기상으로의 순 질량 전달에 관한 것이지만, 응축은 기상으로부터 액적 상으로의 순 질량 전달이다. 증발(또는 응축)은 액적을 수축(또는 성장)시키지만, 액적의 수는 변하지 않을 것이다.
유착 현상에 의해 더 복잡해질 수 있는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냉각 온도 및 속도는 시스템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핵 형성 공정이 통상적으로 비선형이기 때문에, 상이한 냉각 속도는 액상(액적)의 형성에 관한 것으로서 상당히 상이한 시간적 거동을 초래할 수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는 범위에서, 냉각은 액적의 수 농도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할 수 있고, 이는 이러한 성장(핵 형성 버스트)의 강하고 단기적인 증가가 뒤따를 수 있다고 가정된다. 이러한 핵 형성 버스트는 저온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보일 것이다. 또한, 더 높은 냉각 속도가 핵 형성의 조기 개시에 유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대조적으로, 냉각 속도의 감소는 에어로졸 액적이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최종 크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 특히 에어로졸 발생 기재에 포함된 (글리세롤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의 전달에 대한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는 - 에어로졸에 대한 희석 효과가 환기 수준이 전술된 범위 내에 있을 때 유리하게 최소화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25% 내지 50%,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2%의 환기 수준은 글리세린 전달의 특히 만족스러운 값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시에, 핵 형성의 정도, 및 결과적으로, 니코틴 및 에어로졸 형성제(예를 들어, 글리세롤)의 전달이 향상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물품 내로 환기 공기의 도입에 의해 유도된 급속 냉각에 의해 촉진되는 향상된 핵 형성의 유리한 효과가 덜 바람직한 희석 효과에 어떻게 상당히 대응할 수 있는지를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전달의 만족스러운 값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 일관되게 달성된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길이가 약 4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25mm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mm 미만이거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가 약 70mm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60mm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mm 미만인 것과 같은 "짧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해할 수 있듯이,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서, 에어로졸이 형성되고 에어로졸의 미립자 상이 소비자로의 전달에 이용될 수 있게 되는 시간과 공간은 거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35mm 내지 약 10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적어도 약 38mm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적어도 약 40mm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적어도 약 42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70mm 이하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60mm 이하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0mm 이하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38mm 내지 약 70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mm 내지 약 70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42mm 내지 약 70mm이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38mm 내지 약 60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mm 내지 약 60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42mm 내지 약 60mm이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38mm 내지 약 50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40mm 내지 약 50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42mm 내지 약 5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적어도 약 45mm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5mm의 외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6mm의 외경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7mm의 외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12mm 이하의 외경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10mm 이하의 외경을 갖는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8mm 이하의 외경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5mm 내지 약 12mm, 바람직하게는 약 6mm 내지 약 12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7mm 내지 약 12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5mm 내지 약 10mm, 바람직하게는 약 6mm 내지 약 10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7mm 내지 약 10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5mm 내지 약 8mm, 바람직하게는 약 6mm 내지 약 8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7mm 내지 약 8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DME)은 바람직하게는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DDE)보다 더 크다. 보다 상세하게,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05이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적어도 약 1.01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적어도 약 1.02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적어도 약 1.05이다.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바람직하게는 약 1.30 이하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약 1.25 이하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약 1.2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1.15 내지 1.10 이하이다.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약 1.01 내지 1.30, 더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3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30이다.
대안적으로,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약 1.01 내지 1.25, 더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2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5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약 1.01 내지 1.20, 더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2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0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우스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과 원위 말단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직경 사이의 비율(DME/DDE)은 약 1.01 내지 1.15, 더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15,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15일 수 있다.
예로서, 물품의 외경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적어도 약 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연장되는 물품의 원위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물품의 외경은 원위 말단으로부터 적어도 약 5mm 또는 적어도 약 10mm 연장되는 물품의 원위 부분에 걸쳐 테이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질량 중심이 하류 말단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를 따르는 경로의 적어도 약 60%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질량 중심이 하류 말단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를 따라 거리의 적어도 약 62%, 더 바람직하게는 하류 말단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를 따라 거리의 적어도 약 65%이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질량 중심은 하류 말단으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를 따라 거리의 약 70% 이하이다.
하류 말단보다 상류 말단에 더 가까운 질량 중심을 제공하는 요소의 배열을 제공하는 것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더 무거운 상류 말단에, 중량 불균형을 갖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 불균형은 유리하게는 소비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여, 적당한 말단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류 말단과 하류 말단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선형 순차 배열에서, 상류 요소, 상류 요소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지지 요소, 지지 요소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에어로졸 냉각 요소, 에어로졸 냉각 요소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마우스피스 요소, 및 상류 요소, 지지 요소, 에어로졸 냉각 요소 및 마우스피스 요소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상류 요소와 접경할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접경할 수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지지 요소와 접경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 요소는 에어로졸 냉각 요소와 접경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 및 약 7.25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류 요소는 약 5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로드는 약 12mm의 길이를 갖가질 수 있고, 지지 요소는 약 8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마우스피스 요소는 약 12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길이는 약 45mm일 수 있다.
상류 요소는 강성 플러그 랩으로 포장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플러그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내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세장형 서셉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열 접촉할 수 있다. 서셉터 요소는 스트립 또는 블레이드의 형태일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 및 약 60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요소는 중공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튜브의 형태일 수 있고 약 1.9mm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요소의 주변 벽면의 두께는 약 2.675mm일 수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더 미세한 중공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튜브의 형태일 수 있고 약 3.25mm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냉각 요소의 주변 벽면의 두께는 약 2mm일 수 있다.
마우스피스 요소는 저밀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 세그먼트의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관해 설명된 특징은 또한 다른 실시예 및 구현예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아래에 비제한적인 예의 비포괄적인 목록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예, 실시예, 또는 측면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EX1. 가열 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 주위에 포장되어 있는 종이 래퍼를 포함하되, 상기 종이 래퍼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 양각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 EX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 EX2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4. EX3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5. EX1 내지 EX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종이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30도의 수 접촉각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6. EX1 내지 EX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종이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40도의 수 접촉각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7. EX1 내지 EX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종이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45도의 수 접촉각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8. EX1 내지 EX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직접 둘러싸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9. EX1 내지 EX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그의 원주 주위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
EX10. EX1 내지 EX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양각된 외부 표면 및 음각된 내부 표면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1. EX1 내지 EX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50gsm 내지 100gsm, 바람직하게는 60gsm 내지 90gsm, 가장 바람직하게는 75gsm 내지 80gsm의 평량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2. EX1 내지 EX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복수의 양각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3. EX12에 있어서, 각각의 양각은 0.07mm 내지 0.21mm의 깊이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4. EX12 또는 EX13에 있어서, 각각의 양각은 0.2mm 내지 0.4mm의 피치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5. EX12 내지 EX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양각은 구형 돔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6. EX15에 있어서, 상기 구형 돔에 대한 접선과 상기 수평 랩 라인에 대한 차단 사이의 각도는 30도 내지 60도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7. EX12 내지 EX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양각은 이격된 반복 패턴으로 제공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8. EX1 내지 EX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90도에서 3cN cm 내지 8cN cm, 바람직하게는 4cN cm 내지 7cN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5cN cm 내지 6cN cm의 굽힘 모멘트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19. EX1 내지 EX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90도 굽힘 후 10도 내지 40도,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35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30도의 각도 메모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0. EX1 내지 EX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1. EX21에 있어서, 상기 겔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겔화제, 및 알칼로이드 화합물 및 칸나비노이드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2. EX21 또는 EX22에 있어서, 상기 겔 조성물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3. EX1 내지 EX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상기 겔 조성물이 로딩된 다공성 매체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4. EX23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매체는 권축 시트의 형태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5. EX23 또는 EX24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매체는 면 섬유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6. EX20 내지 EX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겔 조성물은 적어도 1중량%의 니코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7. EX20 내지 EX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겔 조성물은 산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8. EX20 내지 EX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겔 조성물은 1중량% 내지 6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겔화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29. EX1 내지 EX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세장형 서셉터 요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0. EX1 내지 EX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상류에 제공된 상류 요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1. EX1 내지 EX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상류에 제공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상류 말단과 접경하는 상류 섹션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2. EX1 내지 EX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의 하류에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축방향 정렬로 배열된 하류 섹션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류 섹션은 하나 이상의 하류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3. EX30 또는 EX31에 있어서, 상기 상류 요소는 섬유상 여과 물질의 플러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4. EX30 내지 EX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류 요소의 흡인 저항은 적어도 20mm H2O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5. EX32 내지 EX3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류 섹션은 섬유상 여과 물질로 형성된 마우스피스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마우스피스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6. EX35에 있어서, 상기 상류 요소의 상기 흡인 저항은 상기 마우스피스 요소의 흡인 저항의 적어도 1.5배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7. EX35 또는 EX36에 있어서, 상기 하류 섹션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와 상기 마우스피스 요소 사이에 중간 중공형 섹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중공형 섹션은 상기 마우스피스 요소의 상류 말단과 접경하는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냉각 요소는 무제한 유동 채널을 제공하는 길이방향 공동을 정의하는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EX37에 있어서, 상기 중간 중공형 섹션은 상기 에어로졸 냉각 요소와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 사이에 지지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는 무제한 유동 채널을 제공하는 길이방향 공동을 정의하는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함께 사용될 종이 래퍼의 양각부 상의 양각의 패턴의 조감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함께 사용될 종이 래퍼의 양각부 상의 양각의 패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1) 물품을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의 하류의 위치에 하류 섹션(114)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의 상류의 위치에 상류 섹션(16)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상류 또는 원위 말단(18)으로부터 하류 또는 마우스 말단(20)으로 연장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약 45 mm의 전체 길이를 갖는다.
하류 섹션(114)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관형 요소(100)를 포함하며, 관형 요소(100)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 관형 요소(100)의 상류 말단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12)의 로드(111)의 하류 말단 및 특히 로드(111)의 하류 말단과 접경한다.
로드(111)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겔 조성물이 로딩된 다공성 매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를 포함하고 있다. 적합한 겔 조성물의 예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겔 조성물
또한, 하류 섹션(114)은 관형 요소(100)의 하류 위치에 마우스피스 요소(42)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마우스피스 요소(42)는 관형 요소(100)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어 있다. 도 1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 요소(42)의 상류 말단은 관형 요소(100)의 하류 말단(40)과 접경한다.
마우스피스 요소(42)는 저밀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원통형 플러그의 형태로 제공된다. 마우스피스 요소(42)는 약 12 mm의 길이 및 약 7.25 mm의 외경을 갖는다. 마우스피스 요소(42)의 RTD는 약 12 mm H2O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관형 요소(100)를 따르는 위치에 제공된 환기 구역(60)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환기 구역은 관형 요소(100)의 하류 말단으로부터 약 4mm에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환기 수준은 약 40%이다.
로드(111)는 전술한 유형 중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는 로드(111)의 구조 및 치수를 실질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111)는 약 7.25mm의 외경 및 약 12mm의 직경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를 둘러싸고 있는 양각부(113)를 갖는 종이 래퍼(1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의 양각부(113)는 로드(111)의 원주 주위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111)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본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의 양각부(113)는 로드(11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11)를 둘러싸고 있다. 래퍼(10)의 양각부(113)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다.
본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류 말단(18)으로부터 하류 말단(20)까지 연장되어 있다. 종이 래퍼(10)는 상류 요소(46),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 관형 요소(100) 및 마우스피스(42)를 그들의 원주 주위로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종이 래퍼(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외부 표면을 정의한다.
도 1의 양각부(113)의 표현은 단지 개략적 목적이며, 따라서 양각 그 자체 또는 양각부(113) 상의 그들의 배열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은 또한 양각부(113)의 내부 표면이 내수성임을 나타내지 않는다. 양각부(113)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 내에 세장형 서셉터 요소(44)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서셉터 요소(44)는 예컨대, 로드(111)의 길이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 내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셉터 요소(44)는 로드 내의 방사상 중심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로드(111)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효과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서셉터 요소(44)는 로드(111)의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 말단까지 모든 경로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실제로, 서셉터 요소(44)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를 포함하는 로드(1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도 1의 구현예에서, 서셉터 요소(44)는 스트립의 형태로 제공되고, 약 12mm의 길이, 약 60μm의 두께, 및 약 4mm의 폭을 갖는다.
상류 섹션(16)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의 바로 상류에 위치된 상류 요소(46)를 포함하고, 상류 요소(46)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와 길이방향 정렬되어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 상류 요소(46)의 하류 말단은 로드(111)의 상류 말단 및 특히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상류 말단과 접경한다. 이는 유리하게는 서셉터 요소(4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는 소비자가 사용 후에 가열된 서셉터 요소(44)와 우발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상류 요소(46)는 강성 종이 래퍼(10)에 의해 둘러싸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원통형 플러그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상류 요소(46)는 약 5mm의 길이를 갖는다. 상류 요소(46)의 RTD는 약 30 mm H2O이다.
관형 요소(100)는, 관형 몸체(103)의 제1 말단(101)으로부터 관형 몸체(103)의 제2 말단(102)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동(106)을 정의하는 관형 몸체(103)를 포함하고 있다. 관형 요소(100)는 또한, 관형 몸체(103)의 제1 말단(101)에 제1 말단 벽면(104)을 형성하는 접힘 말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말단 벽면(104)은, 공동(106)과 관형 요소(100)의 외부 사이에 기류를 허용하는 개구부(105)의 경계를 정한다. 특히, 도 1의 구현예는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로부터 개구부(105)를 통해 공동(106) 내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형 몸체(103)의 공동(106)은 실질적으로 비어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무제한 기류는 공동(106)을 따라 가능해진다. 결과적으로, 관형 요소(100)의 RTD는 관형 요소(100)의 특정 길이방향 위치에, -즉 제1 말단 벽면(104)에- 국한될 수 있고, 제1 말단 벽면(104) 및 그의 대응하는 개구부(105)의 선택된 구성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 (본질적으로 제1 말단 벽면(104)의 RTD인) 관형 요소(100)의 RTD는 실질적으로 10mm H2O이다. 도 1의 구현예에서, 관형 요소(100)는 약 16mm의 길이, 약 7.25mm의 외경, 및 약 6.5mm의 내경(DFTS)을 갖는다. 따라서, 관형 몸체(103)의 주변 벽면의 두께는 약 0.75mm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말단 벽면(104)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길이방향 및 관형 요소(100)의 길이방향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개구부(105)는 제1 말단 벽면(104) 내의 유일한 개구부이고, 개구부(105)는 관형 요소(100)의 일반적으로 방사상 중심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말단 벽면(104)은 일반적으로 환형 형상이다.
제1 말단 벽면(104)과 그의 대응하는 개구부(105)의 조합은, 또한 공기 및 에어로졸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로부터 그리고 개구부(105)를 통해 공동(106) 내로 흐를 수 있게 하면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벽 배열을 제공한다. 개구부(105)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112)의 로드(111)의 서셉터 요소(44)의 방사상 중심 위치와 일반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는 제1 말단 벽면(105)과 서셉터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제1 말단 벽면(105)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서셉터 요소(44)에 매우 근접하여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일부분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의 직접적인 방해받지 않는 하류 흐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제1 말단 벽면(104)은 접힘 지점을 중심으로 관형 요소(100)의 말단부를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접힘 지점은 일반적으로 관형 요소(100)의 관형 몸체(103)의 제1 말단에 대응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유사성을 가지며, 적절한 경우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그러나,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관형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특히,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대조적으로,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제1 요소(100)와 마우스피스 요소(42) 사이에 관형 요소(100)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도 2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제1 요소(100)와 마우스피스 요소(42) 사이에 2개의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212)의 로드(211)의 바로 하류에 위치되고 및 이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 및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이다.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 및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는 관형 몸체(203)의 제1 상류 말단(201)으로부터 관형 몸체(203)의 제2 하류 말단(202)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동(206)을 갖는 관형 몸체(203)를 정의한다.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는 지지 요소를 정의한다.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의 제1 상류 말단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212)의 로드(211)의 하류 말단과 접경한다.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는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의 하류 말단과 접경하는 에어로졸 냉각 요소를 정의한다.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 및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에 의해 정의된 관형 몸체(203)의 내부 공동(206)은 실질적으로 비어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무제한 기류가 공동(206)을 따라 가능해진다.
전체적으로, 관형 몸체(203)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RTD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관형 몸체(203)의 RTD는 실질적으로 0mm H2O이다.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는 약 8mm의 길이, 약 7.25mm의 외경, 및 약 1.9mm의 내경(DFTS)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의 주변 벽면의 두께는 약 2.67mm이다.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는 약 8mm의 길이, 약 7.25mm의 외경, 및 약 3.25mm의 내경(DSTS)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의 주변 벽면의 두께는 약 2mm이다. 따라서,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의 내경(DFTS)과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의 내경(DSTS) 사이의 비율은 약 0.75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를 따르는 위치에 제공된 환기 구역(60)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환기 구역은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의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2mm에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0)의 환기 수준은 약 25%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212)의 로드(211)를 둘러싸고 있는 양각부(213)를 갖는 종이 래퍼(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이러한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의 양각부(213)는 로드(211)의 원주 주위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212)의 로드(211)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의 양각부(213)는 로드(211)의 길이의 일부분만을 따라 에어로졸 발생 기재(212)의 로드(211)를 둘러싸고 있다. 래퍼(10)의 양각부(213)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류 말단(18)으로부터 하류 말단(20)으로 연장되어 있다. 종이 래퍼(10)는 상류 요소(46), 에어로졸 발생 기재(212)의 로드(211),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 제2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 및 마우스피스(42)를 그들의 원주 주위로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종이 래퍼(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외부 표면을 정의한다.
도 2에서의 양각부(213)의 표현은 단지 개략적 목적이며, 따라서 양각 그 자체 또는 그의 배열을 양각부(213) 상에 도시하지 않는다. 도 2는 또한 양각부(213)의 내부 표면이 내수성임을 나타내지 않는다. 양각부(213)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을 보여주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구현예와 달리, 제3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의 로드(311)의 상류에 있는 상류 요소(46)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의 상류 또는 원위 말단(318)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의 로드(311)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의 로드(311)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 내에 위치된 서셉터 요소(44)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터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히터 블레이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의 상류 말단(318)을 통해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3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은 제2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제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8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를 갖는다. 이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는 지지 요소를 정의하고,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의 상류 말단으로부터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의 하류 말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동(306)을 갖는다.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의 공동(306)은 실질적으로 비어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무제한 기류는 공동(306)을 따라 가능해진다.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전체 RTD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중간 중공 섹션(250)의 RTD는 실질적으로 0mm H2O이다.
제3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은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의 로드(311) 및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의 상류 말단은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의 하류 말단과 접경한다.
제2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의 에어로졸 냉각 요소(중공 아세테이트 튜브(290))와 대조적으로,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는 로드를 통한 공기의 통로에 대해 낮거나 실질적으로 무효 저항을 제공하는 복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포일, 중합체 시트, 및 실질적으로 비-다공성 종이 또는 판지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비-다공성 시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는 권축되고 주름진 폴리락트산(PLA) 시트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는 약 8mm의 길이 및 약 7.25mm의 외경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의 로드(311)를 둘러싸고 있는 양각부(313)를 갖는 종이 래퍼(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본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의 양각부(313)는 로드(311)의 원주의 일부분 주위에서만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311)를 둘러싸고 있다. 본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의 양각부(313)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311)를 둘러싸고 있다. 래퍼(10)의 양각부(313)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다.
본 구현예에서, 종이 래퍼(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류 말단(18)으로부터 하류 말단(20)으로 연장되어 있다. 종이 래퍼(10)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312)의 로드(311), 중공 아세테이트 튜브(380), 에어로졸 냉각 요소(370) 및 마우스피스(42)를 그들의 원주 주위에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종이 래퍼(1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의 외부 표면을 정의한다.
도 3에서 양각부(313)의 표시는 단지 개략도를 위한 것이며, 따라서 양각 그 자체 또는 그의 배열을 양각부(313) 상에 도시하지 않는다. 도 3은 또한 양각부(313)의 내부 표면이 내수성임을 나타내지 않는다. 양각부(313)는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함께 사용될 종이 래퍼의 양각부 상의 양각의 패턴의 조감도 및 측단면도를 각각 보여주고 있다. 도 4 및 도 5 모두에 도시된 양각부(13)는 비포장 상태에 있다. 양각부(13)는 반복 패턴으로 이격된 복수의 양각(4)을 갖는다. 음각(5)은 종이 래퍼(10)가 양각되지 않은 각각의 양각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정의된다. 각 양각은 구형 돔이다. 양각부(13)는 양각(4)의 피치(6)에 의해 추가로 정의된다. 이러한 피치(6)는 2개의 인접한 양각(4)의 중심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다. 양각(4)은 또한 그의 깊이(7)에 의해 정의된다. 양각의 깊이(7)는 양각되지 않은 종이 래퍼(10)의 두께에 양각(4)의 돌출부의 높이를 더한 값과 같다. 각 양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깊이, 피치 및 프로파일을 갖는다. 양각부(13)는 조립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내부 표면(401)을 갖는다. 내부 표면(401)은 내수성이다. 음각(5)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양각(4)의 내부 표면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양각부는 또한 외부 표면(402)을 갖는다.

Claims (15)

  1. 가열 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포장된 종이 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종이 래퍼는:
    내수성인 내부 표면을 갖는 양각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30도의 수 접촉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40도의 수 접촉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래퍼의 양각부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45도의 수 접촉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직접 둘러싸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그의 원주 주위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양각된 외부 표면 및 음각된 내부 표면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50gsm 내지 100gsm, 바람직하게는 60gsm 내지 90gsm, 가장 바람직하게는 75gsm 내지 80gsm의 평량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복수의 양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90도에서 3cN cm(centinewton centimetres) 내지 8cN cm, 바람직하게는 4cN cm 내지 7cN cm, 보다 바람직하게는 5cN cm 내지 6cN cm의 굽힘 모멘트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의 양각부는 90도의 굽힘 후 10도 내지 40도,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35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30도의 각도 메모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기재의 로드는 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0237021085A 2020-11-27 2021-11-29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30112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10466.7 2020-11-27
EP20210466 2020-11-27
PCT/EP2021/083426 WO2022112575A1 (en) 2020-11-27 2021-11-29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wrap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682A true KR20230112682A (ko) 2023-07-27

Family

ID=7364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085A KR20230112682A (ko) 2020-11-27 2021-11-29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0132A1 (ko)
EP (1) EP4250969A1 (ko)
JP (1) JP2023551196A (ko)
KR (1) KR20230112682A (ko)
CN (2) CN116887706A (ko)
WO (1) WO2022112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7789A1 (en) * 2022-07-20 2024-01-2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thick wrapper and front plu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493A (en) 1996-08-02 1998-06-30 General Electric Company Sequence constructions for delay-and-correlate transmitted reference signaling
US11832369B2 (en) 2014-05-21 2023-11-2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internal susceptor
NO2768923T3 (ko) 2014-10-20 2018-05-05
DK3187057T3 (en) * 2015-12-31 2018-05-2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ITEMS INCLUDING A HEAT CONDUCTIVE ELEMENT AND A SURFACE TREATMENT
EP3758520A1 (en) * 2018-02-26 2021-01-06 Nerudia Limited A substitute smoking consumable
WO2020002165A1 (en) * 2018-06-27 2020-01-02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1196A (ja) 2023-12-07
US20240000132A1 (en) 2024-01-04
CN116685219A (zh) 2023-09-01
EP4250969A1 (en) 2023-10-04
WO2022112575A1 (en) 2022-06-02
CN116887706A (zh)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13572A (ko) 래퍼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US20230090088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including substrate with gel composition
US20230078050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improved configuration
US20230049506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including upstream element
US20230404136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tubular element
KR20220148220A (ko) 소정의 삽입 방향이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6550A (ko) 이중 중공 관형 세그먼트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8218A (ko) 유도 가열을 갖는 환기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6523A (ko) 상류 다공성 세그먼트를 갖는 환기식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30112682A (ko)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20146549A (ko) 세장형 서셉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IL301871A (en) An item for producing a spray with a tubular component with an opening
KR20220148217A (ko) 개선된 구성을 갖는 에어로졸-발생 물품
KR20230112680A (ko) 엠보싱부를 포함한 래퍼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US20240016202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tubular element and ventilation
WO2023094707A1 (en)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wrapper comprising an adhesive
WO2024105242A1 (en)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 tubular element having an opening
WO2024105238A1 (en)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a downstream tubular element
KR20220160616A (ko) 상류 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