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562A - 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having noise-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 - Google Patents

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having noise-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562A
KR20230112562A KR1020230007919A KR20230007919A KR20230112562A KR 20230112562 A KR20230112562 A KR 20230112562A KR 1020230007919 A KR1020230007919 A KR 1020230007919A KR 20230007919 A KR20230007919 A KR 20230007919A KR 20230112562 A KR20230112562 A KR 20230112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ad
contact portion
clip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샤힌 하템
브라운 카이
바그너 로타르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1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5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06Noise or vibra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 및
- 적어도 하나의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을 포함하고,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부분을 갖고, 비접촉 부분은 적어도 3 cm의 연신된 길이(L)를 갖는다.
전술한 청구항들 중 임의의 청구항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스프링이 또한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disc brake,
- Brake caliper device;
- at least one brake pad; and
- contains at least one pad spring or pad clip,
The pad spring or pad clip has at least one portion for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brake pad and brake caliper device and at least one non-contact portion not in contact with either of the brake pad and brake caliper device, the non-contact portion having an elongated length (L) of at least 3 cm.
A pad spring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is also disclosed.

Description

흡음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을 갖는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장치{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HAVING NOISE-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Brake device for vehicle disc brakes having a sound-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 {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HAVING NOISE-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 또는 트럭을 위한)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장치 및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disc brake (eg for a car or truck) and a pad spring or pad clip for such a brake device.

일반적인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 배치된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한다.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의 대향 외측에 배열된 안내 돌출부를 수용하는 안내 오목부를 갖는다. 이러한 식으로,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밀려 들어올려질 때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에 의해 안내된다.In a typical vehicle disc brake, a brake caliper device supports brake pad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brake disc. The brake caliper device has a guide recess for receiving a guide projection arranged on an opposite outer side of at least one brake pad. In this way, the brake pads are guided by the brake caliper device as they are pushed up against the brake disc.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 특히 안내 오목부와 안내 돌출부 사이에 소위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을 배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패드 스프링은 추가 스프링 기능, 특히 제동 후 브레이크 패드를 원래 위치로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 스프링 기능을 제공하는 패드 클립일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브레이크 패드가 제동 후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확실하게 들어올려져 드래그 토크(drag torque)를 방지할 수 있다.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마찰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패드의 부드러운 변위가 가능하다. 또한,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진동을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진동이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캘리퍼 장치로 완전히 전달되지 않는다.It is known to arrange a so-called pad spring or pad clip between the brake caliper device and the at least one brake pad, in particular between the guide recess and the guide protrusion. The pad spring may be a pad clip that provides an additional spring function, in particular a reset spring function to reset the brake pads to their original position after braking. In this way, the brake pad can be reliably lifted from the brake disc after braking to prevent drag torque. Pad springs or pad clips can help reduce friction, allowing smooth displacement of the brake pads. Additionally, pad springs or pad clips can help absorb vibrations so that vibrations are not completely transferred from the brake pads to the caliper device.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종종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에 클램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통상적으로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의 인접하는 부분의 외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특히, 브레이크 패드의 안내 돌출부에 접촉하는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일부는 상기 안내 돌출부에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과 캘리퍼 장치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 간의 확실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캘리퍼 장치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에 따라 형상화된다.Pad springs or pad clips are often secured to the brake caliper device. For example, a pad spring or pad clip may be clamped to the brake caliper device. Accordingly, the pad spring or pad clip usually has a shape mat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adjacent portion of the brake caliper device. In addition, in particular, a part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that contacts the guide projection of the brake pa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jection. In other words, the pad springs or pad clips are generally shaped according to the caliper devices and/or brake pads in order to ensure reliable contact between the pad springs or pad clips and the caliper devices and/or brake pads.

종래 기술에 따른 패드 클립의 일례는 KR 2014 0067202 A에서 찾을 수 있다.An example of a pad cl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be found in KR 2014 0067202 A.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이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에 확실하게 접촉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도, 기존의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공통 설계 목표는, 필요한 재료의 양 및/또는 필요한 제조 단계의 수, 예컨대, 필요한 굽힘 작업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A common design goal of existing pad springs or pad clips, in addition to ensuring that the pad springs or pad clips can contact and secure to the brake caliper device, i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limiting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and/or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required, e.g., the number of bending operations required.

기존의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허용할 수 없는 수준의 브레이크 소음이 적어도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이는 특히 통상적으로 1000 Hz 내지 16000 Hz의 주파수에서 나타나는 음조의 시끄러운 소음인 끽끽거리는 소음에 관한 것이다.In existing vehicle disc brakes, a problem remains that an unacceptable level of brake noise can occur at least intermittently. This relates in particular to squeaking noise, which is a tonal, loud noise typically occurring at frequencies between 1000 Hz and 16000 Hz.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의 후면 판의 뒷면에 접착된 강철 심(shim),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의 패드 상의 다양한 챔퍼, 디스크와 접촉하는 패드 표면 상의 슬롯,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재의 개질재, 마찰재를 후면 판에 연결하는 하부층, 및 캐리어 또는 하우징과 같은 소정의 구성요소의 추가 거대 몸체를 포함하는, 기존의 브레이크 장치의 소음, 진동, 및 거칠기(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NVH))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이 알려져 있다. 심의 주요 효과는 시스템 모드들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다. 이들 해결책은 끽끽거리는 소음 특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들 해결책은 특정 제동 조건(예를 들어, 저주파 또는 고주파, 차갑거나 따뜻한 온도)에서만 제대로 기능한다. 또한, 이들 해결책은 비용과 무게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Various solutions are known to improve the 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NVH) characteristics of existing brake devices, including steel shims glued to the back side of the back plate of the brake pad assembly, various chamfers on the pads of the brake pad assembly, slots on the pa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isc, modifiers in the friction material of the brake pad, underlayers connecting the friction material to the back plate, and additional bulky bodies of certain components such as carriers or housings. The main effect of the shim is to isolate system modes from each other. These solutions can help improve squeaking noise characteristics, but in most cases, these solutions only work well under certain braking conditions (eg, low or high frequencies, cold or warm temperatures). Also, these solutions tend to increase cost and weight.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소음 감소의 신뢰성뿐만 아니라 소음 감소 조치에 연관된 비용 및 중량의 증가와 관련하여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의 소음 감소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noise reduction capabilities of vehicle disc brakes,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of noise reduction as well as the increased cost and weight associated with noise reduction measures.

이 목적은 첨부된 독립항들에 따른 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및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subject matter according to the attached independent claims. Advantageous embodiments ar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n the dependent claims.

이에 따라,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며, 브레이크 장치는, Accordingly,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disc brake is disclosed, and the brake device includes:

- (캘리퍼 장치라고도 칭할 수 있는)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 a brake caliper device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aliper device);

- (예를 들어, 제동 동안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 및 - at least one brake pad (eg for contacting the brake disc during braking); and

- 적어도 하나의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을 포함하고, 이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브레이크 패드의 외측 에지의 섹션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 at least one pad spring or pad clip, at least part of which may extend at least along a s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brake pad,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고/않거나 자유롭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부분을 갖는다.The pad spring or pad clip has at least one portion for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brake pad and brake caliper device and at least one non-contact portion that does not contact either of the brake pad and brake caliper device and/or extends freely.

바람직하게, 비접촉 부분은 적어도 3 cm, 적어도 5 cm, 적어도 8 cm, 또는 적어도 10 cm의 연신된 길이를 갖는다.Preferably, the non-contact portion has an elongated length of at least 3 cm, at least 5 cm, at least 8 cm, or at least 10 cm.

기존의 소음 감소 대책에서 벗어나며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재료 및 제조 단계를 가능한 한 적게 유지하는 기존의 설계 목표와는 대조적으로, 개시된 본 해결책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을 수정하여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이 상당한 소음 감소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Contrary to the existing design goal of departing from existing noise reduction measures and keeping th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steps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as small as possible, the present solution disclosed modifies the pad spring or pad clip so that the pad spring or pad clip has significant noise reduction capabilities.

본원에서 브레이크 스프링을 언급할 때, 명백하지 않거나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는 별개의 스프링 기능, 특히 스프링 리셋 기능을 갖지 않는 패드 클립을 동등하게 포함할 수 있다.When referring to a brake spring herein, unless it is clear or stated otherwise, it may equally include a pad clip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spring function, in particular a spring reset function.

기존의 소음 저감 대책과는 대조적으로, 개시된 해결책은 공기 중 소음, 특히 이미 발생한 음파에 중점을 둔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해결책은 일단 소음이 이미 발생하였다면 소음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비접촉 부분은 상기 소음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 및/또는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이의 낮은 수준만이 더 넓은 주변으로 실제로 방출된다.In contrast to existing noise abatement measures, the disclosed solution focuses on airborne noise, especially sound waves that have already occurred. In other words, the present solution seeks to reduce the noise once it has already occurred. The non-contacting por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can be configured to absorb and/or attenuate at least some of the noise so that only a low level of it is actually emitted to the wider environment.

개시된 해결책의 장점은, 비접촉 부분을 제공하기 위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을 확장하는 비용이 기존의 다른 소음 감소 대책에 연관된 비용보다 적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여전히 상당한 소음 감소가 달성될 수 있는데, 특히 소음이 브레이크 장치에서 및/또는 브레이크 장치 내부에서 직접 감쇠될 수 있기 때문이다.An advantage of the disclosed solution is that the cost of extending the pad spring or pad clip to provide a non-contact portion may be less than the cost associated with other existing noise reduction measures. However, a significant noise reduction can still be achieved, in particular since the noise can be damped directly in and/or inside the brake device.

일반적으로, (현재 개시된 비접촉 부분과는 별개인)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브레이크 패드, 및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알려져 있는 해결책에 따라 서로에 대해 구성 및 배열될 수 있다.In general, the brake caliper device (separate from the presently disclosed non-contact portion), brake pads, and pad springs or pad clips can be constructed and arranged relative to each other according to known solutions.

예를 들어, 캘리퍼 장치는 메인 캘리퍼 또는 캘리퍼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브리지 부분을 갖는다. 또한, 캘리퍼 장치는 메인 캘리퍼 또는 캘리퍼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캘리퍼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캘리퍼/캘리퍼 프레임과 캘리퍼 브래킷의 각각은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를 수용할 수 있고/있거나 운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liper device may include a main caliper or a caliper frame. These have, for example, a bridge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rake disc to the other. Additionally, the caliper device may include a caliper bracket configured to slide relative to the main caliper or the caliper frame. Each of the main caliper/caliper frame and caliper bracket can accept and/or carry one brake pad.

특히,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예를 들어, 메인 캘리퍼)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의 안내 돌출부가 안내 오목부 각각에 수용되는 상기 안내 오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의 안내 오목부에도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의 적어도 일부가 안내 돌출부와 안내 오목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rake caliper device (eg, the main caliper) may include guide concavities in which guide protrusions of at least one brake pad are accommodated in each guide concave portion. A pad spring or pad cli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rake caliper device and the brake pads. This can in particular also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recess of the brake caliper device. For example, at least a part thereof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guide recess.

일례로, 브레이크 패드는 길이방향 축 및 2개의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을 갖는다. 상기 에지 부분들은 브레이크 패드의 대향 에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은 길이방향 축에 대해 각을 이루며 및/또는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의 인접한 측벽을 따라 또는 평행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안내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a brake pad has a longitudinal axis and two axially outer edge portions. The edge portions may form opposite edges of the brake pad. They may extend at an angle to the longitudinal axis and/or at least partially along or parallel to an adjacent side wall of the brake caliper device. The sidewall may include guide recesses as disclosed herein.

브레이크 패드는, 또한, 상측 및 하측 에지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측 및 하측 에지 부분들은 길이방향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보다 이에 대해 더 작은 각도(0일 수도 있음)로 연장될 수 있다. 상측 에지 부분은 캘리퍼 장치의 브리지 섹션에 더 가까울 수 있는 반면, 하측 에지 부분은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 축에 더 가까울 수 있다.The brake pad may also have upper and lower edge portions. These can connect the axially outer edge parts to one another. The upper and lower edge portions may extend along a longitudinal axis. In particular, they may extend at a smaller angle (possibly zero) with respect to this than the axially outer edge portion. The upper edge portion may be closer to the bridge section of the caliper device, while the lower edge portion may be close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brake disc braked by the brake pads.

캘리퍼 장치의 브리지 섹션은, 알려진 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의 소위 피스톤측과 핑거측을 연결한다. 이것은, 특히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서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측에서 타측로 연장될 수 있다.The bridge section of the caliper device can be constructed according to known examples and connects, for example, the so-called piston side and the finger side of the brake caliper device. It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rake disc to the other, in particular to support the brake pads on both sides of the brake disc.

브레이크 패드의 다양한 에지 부분은 코너 부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 브레이크 패드의 닫힌 원주를 정의할 수 있다. 코너 부분은, 브레이크 패드의 둘레 방향이 예를 들어 20%를 초과 또는 60%를 초과하여 변하는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The various edge portions of the brake pa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corner portions. These can preferably define the closed circumference of the brake pad. The corner portion may define a portion where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rake pad varies by, for example, more than 20% or more than 60%.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적어도 섹션은 바람직하게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들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된다. 일례로, 2개의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이 브레이크 패드의 양측(예를 들어, 좌우)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에 제공된다. 이들 스프링 또는 클립은 서로 거울 대칭으로 형성 및/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은 전방 주행시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후행 또는 선행 스프링/클립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통 판금 섹션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각각의 후행 스프링/클립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및/또는 각각의 선행 스프링/클립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At least a sec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preferably extends along one of the axially outer edge portions. In one example, two pad springs or pad clips are provided on opposite (eg, left and right) axially outer edge portions of the brake pad. These springs or clips may be formed and/or arranged mirror symmetrically to each other. These may be referred to as trailing or leading springs/clips based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brake disc during forward driving. When providing a pair of brake pads, for example, integrally formed from a common sheet metal section, each trailing spring/clip of the brake pad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or each preceding spring/clip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이에 따라, 2개의 브레이크 패드를 갖는 통상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4개의 분리된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브레이크 패드당 2개), 또는 각각 2개의 패드 스프링 또는 2개의 패드 클립을 포함하는(즉,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2개의 부재가 있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브레이크 디스크의 차량에 대면하는 내측 및 외측으로 대면하는 외측을 참조하여, 상기 부재들 중 제1 부재는 내측 후행 및 내측 선행 패드 스프링/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는 외측 후행 및 외측 선행 패드 스프링/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 typical disc brake with two brake pads, there may be four separate pad springs or pad clips (two per brake pad), or two members each containing two pad springs or two pad clips (i.e., integrally formed or joined). Referring to the vehicle-facing inner and outer-facing outer sides of the brake disc in the latter case, the first of these members may include an inner trailing and inner leading pad spring/clip. The second member may include an outside trailing and an outside leading pad spring/clip.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비접촉 부분과 떨어져 있는)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패드의 상측 또는 하측 에지 부분들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되지 않는다.Optionally, the pad spring or pad clip (eg away from the non-contact portion) does not extend along one of the upper or lower edge portions of the brake pad.

일례로, 비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브레이크 패드의 하측 에지 부분을 향하여 (예를 들어,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측 에지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하측 에지 부분에 대면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게 한다. 브레이크 장치의 일반적인 설계는 브레이크 패드의 상기 하측 에지 부분 근처, 특히 외측 에지 부분과 하측 에지 부분을 연결하는 코너 부분 근처에 자유 공간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다. 이 공간은 비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면서 비접촉 부분을 브레이크 소음의 가능한 근원에 가깝게 배치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extends toward (e.g., from an axially outer edge portion)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rake pad, in particular at least partially opposite the lower edge portion and/or at least partially facing the lower edge portion. The general design of the brake device is determined to have a free space near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rake pad, in particular near the corner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edge portion and the lower edge portion. This space can advantageously be us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and place the non-contact portion close to a possible source of the brake noise.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비접촉 부분은 안내 돌출부 및/또는 안내 오목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측, 하측, 위 또는 아래와 같은 용어에 대한 참조는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 축에 대해 정의되는 방사상 방향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의 브리지 섹션에 대한 근접성을 나타낼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non-contact portion may be located below the guide projection and/or guide recess. In general, references to terms such as above, below, above or below may relate to a radial direction define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brake disc braked by the brake device. Also, these terms can refer to the proximity to the bridge section of the brake caliper device as described above.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에 맞닿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 특히 브레이크 패드의 안내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가질 수 있다.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에 클램핑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클램핑 부분은 비접촉 부분에 비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반대쪽 단부에 위치한다.The pad spring or pad clip may have at least one section that abuts against the brake caliper device and/or at least one section that abuts against the brake pad, in particular at least part of the guide protrusion of the brake pad. The pad spring or pad clip may have at least one clamping portion configured to be clamped to the brake caliper device. In one example, the clamp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compared to the non-contact portion.

비접촉 부분을 추가 부재와 접촉하지 않고 특히 일반적으로 자유롭게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비접촉 부분은 상기 진동을 다른 부재로 전달하지 않고 음파를 더 잘 흡수하도록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감소 정도가 개선된다.By arranging the non-contact portion to extend freely in particular generally generally without contacting the additional member, the non-contact portion can vibrate freely to better absorb sound waves without transmitting said vibrations to other members. Thus, the degree of noise reduction is improved.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일부는, 이에 포함된 섹션이 인접 부재, 특히 브레이크 패드 또는 캘리퍼 장치와 접촉하지 않는다면 자유롭게 연장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제동 동안 브레이크 패드가 이동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이동 축을 따라 연장되는 폭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비접촉 부분은 상기 부분의 전체 폭 치수를 따라 형성되는 다른 부재와의 접촉이 없도록 요구할 수 있다. 유사하게, 폭 치수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길이 치수를 따라 각각의 접촉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A part of a pad spring or pad clip can be considered to extend freely if the section contained therein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an adjacent member, in particular a brake pad or caliper device. For example, a pad spring or pad clip may have a width dimension extending along the axis of travel of the brake pad along which the brake pad moves during bra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non-contact por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may require no contact with other members formed along the full width dimension of the portion. Similarly, it may be desired that no respective contact is formed along a length dimension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mension.

따라서, 예를 들어, 캘리퍼 장치 또는 브레이크 패드와의 접촉을 위해 국부적으로 돌출되는 펀치 아웃(punch-out)을 갖는 부분은 본 개시내용에 따라 비접촉 부분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이러한 부분의 넌펀치 아웃(non-punched-out) 부분이 캘리퍼 장치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를 향하여 좀 떨어진 거리로 연장될 수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펀치 아웃은 폭 치수를 따라 다른 부재에 대한 적어도 국부 접촉을 정의할 수 있다.Thus, for example, a portion having a locally protruding punch-out for contact with a caliper device or brake pad may not represent a non-contac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is may also apply if the non-punched-out part of this part can extend some distance towards the caliper device and/or the brake pads. Each punch out may define at least local contact to another member along a width dimension.

비접촉 부분은, 2개의 대향하는 단부 상에서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 또는 캘리퍼 장치와 접촉하는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부분으로 합쳐진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비접촉 부분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2개의 접촉 부분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있거나 중간 비접촉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여전히 비접촉 부분이 상당한 자유를 갖도록 하여 예를 들어 진동함으로써 소음을 감쇠할 수 있다.It may be provided that the non-contacting part is incorporated on two opposite ends into the part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which, for example, contacts the brake pad or the caliper device. That is, the non-contact portion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wo contact portions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and/or may define an intermediate non-contact portion. This still allows the non-contacting part to have considerable freedom and can attenuate noise, for example by vibrat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부분은 기껏해야 이의 일단부에서 각각의 접촉 부분으로 합쳐진다. 예를 들어, 비접촉 부분은, 예를 들어, 각각의 접촉 부분으로부터 시작할 때, 브레이크 장치 내부 또는 브레이크 장치에 인접한 개방 공간으로 및/또는 상기 접촉 부분에 대한 각을 이루며 자유롭게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on-contacting parts merge into each contacting part at most at one end thereof. For example, the non-contacting part, for example starting from the respective contacting part, can freely extend into an open space in or adjacent to the brake device and/or at an angle to the contacting part.

일례로, 비접촉 부분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단부를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이러한 단부는 전용 소음 제거 기능을 갖는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각각의 자유 단부일 수 있다. 이것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예를 들어 방사상으로) 최하단 부분을 나타낼 수 있고/있거나 브레이크 디스크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부분일 수 있다. 단부는 전술한 안내 오목부 및/또는 안내 돌출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includes or forms the end of a pad spring or pad clip. These ends may be each free end of a pad spring or pad clip with a dedicated noise canceling function. This may represent the (eg radially) lowermost por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and/or may be the por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brake disc. The end may be located below the aforementioned guide recess and/or guide protrusion.

브레이크 패드의 연신된 길이는 전개된 길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이것은 선형 또는 평면 구성을 취하는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가상) 시나리오와 관련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이 굽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생성되는 금속 스트립의 사전 굽힘 상태와 관련될 수 있다.The extended length of the brake pad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developed length. This relates to the (imaginary) scenario of a pad spring or pad clip taking a linear or planar configuration. This may relate, for example, to a pre-bending condition of the metal strip in which a pad spring or pad clip is selectively created by bending.

따라서, 연신된 길이는 비접촉 부분의 표면적 및/또는 일반적인 크기를 결정한다. 상기 표면적이 클수록, 음파와의 상호작용 범위가 커질 수 있다. 이것은 소음 감소를 증가시킬 수 있다.Thus, the stretched length determines the surface area and/or general size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The greater the surface area, the greater the range of interaction with sound waves. This can increase noise reduction.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일체형 부재일 수 있다. 이것은 금속 굽힘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패드 스프링이나 패드 클립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The pad spring or pad clip may be an integral member. This may be a metal bending part. This configuration reduces the production cost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비접촉 부분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바로 인접한 부분에 대해 (예를 들어, 적어도 20°만큼) 경사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는 개시된 종류의 정의된 비접촉 부분을 제공하는 것에 연관된 제조 노력을 제한한다.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인접한 부분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의 외면, 특히, 이의 외측 에지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특히 접촉할 수 있다.The non-contact portion may be inclined (eg, by at least 20°) with respect to an immediately adjacent por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and may be, for example, bent relative to it. This limits the manufacturing effort involved in providing a defined non-contact portion of the disclosed kind. Adjacent parts of the pad springs or pad clips may ext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rake caliper device and/or the brake pad, in particular along an outer edge portion thereof, and in particular may contact.

일반적으로, 비접촉 부분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자유롭게 돌출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비접촉 부분은, 예를 들어, 캘리퍼 장치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와 접촉하는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일부 및/또는 캘리퍼 장치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의 형상에 맞게 형상이 조절되는 패드 스프링의 일부에 대해 돌출될 수 있다.Generally, the non-contact portion may form a freely protruding por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The non-contact portion may protrude,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 part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that contacts the caliper device and/or brake pad and/or a part of the pad spring whose shape is adjusted to the shape of the caliper device and/or brake pad.

일례로, 비접촉 부분은 캘리퍼 장치의 인접 표면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의 임의의 인접 에지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된다.In one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extends at an angle to an adjacent surface of the caliper device and/or any adjacent edge of the brake pad.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비접촉 부분은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제동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따라 및/또는 일정한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non-contact portion may extend a distance and/or along the brake disc braked by the brake pad.

추가 실시예에서, 비접촉 부분은, 브레이크 패드의 외측 에지를 따라(반드시 이에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즉, 이에 대하여 가능하게 일정한 각도로)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의 중간 부분을 향해 연장된다. 브레이크 패드의 중간 부분은 브레이크 패드의 기하학적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브레이크 패드의 방사상 부분일 수 있고/있거나 브레이크 패드의 방사상 단면에 의해 포함될 수 있으며, 방사상 축은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 축에 대해 정의된다.In a further embodiment, the non-contact portion extends along (but not necessarily parallel to, ie possibly at an angle to) the outer edge of the brake pad and/or towards the middle portion of the brake pad. The middle portion of the brake pad may include the geometric center of the brake pad. This can be a radial portion of the brake pad and/or can be encompassed by a radial section of the brake pad, the radial axis being define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brake disc.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비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브레이크 패드의 하측 에지 부분에 대향 및/또는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예를 들어 3 cm 초과의 상당한 길이를 갖는 비접촉 부분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음 감소 효과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브레이크 패드의 상이한 에지를 따라,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의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 및 하측 에지 부분 모두를 따라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차폐 효과와 소음 감소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may be arranged to face and/or face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rake pad. This can in particular result in non-contacting parts having significant lengths, for example more than 3 cm, thus promoting a noise reduction effect. Further, since it can extend along different edges of the brake pad, for example, along both the axially outer edge portion and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rake pad, it can improve the shielding effect and noise reduction capability.

예를 들어, 인접한 구조에 대한 비접촉 부분의 위치, 연장, 돌출부, 및 각도에 관하여 전술한 예들 중 임의의 예는, 확실한 소음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비접촉 부분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any of the examples discussed above regarding the position, extension, protrusion, and angle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relative to adjacent structures may assist in properly positioning the non-contacting portion to achieve significant noise reduction.

추가 예에 따르면, 비접촉 부분은 다중 벽 섹션, 예를 들어, 이중 벽 또는 삼중 벽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섹션 내에서, 적어도 두 개의 벽이 서로 인접하게 거리를 두고 연장될 수 있다. 벽들은 평면형 또는 평평한 재료 섹션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휘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may comprise a multi-wall section, for example a double-wall or triple-wall section. Within these sections, at least two walls may exte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t a distance. The walls may be planar or formed by flat material sections. They may have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may be bent, for example.

벽들 사이의 (특히 직접 인접하는 각 쌍의 벽 사이의) 공간은 속이 비어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 공간은 폼(foam)과 같은 소음 흡수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Spaces between walls (especially between each pair of directly adjacent walls) may be hollow. Alternatively, the space may be at least partially filled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such as foam.

일 실시예에서, 다중 벽 섹션은 상기 다중 벽 섹션의 2개의(예를 들어, 바로 인접하는) 벽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를 포함한다. 이 캐비티는 다중 벽 섹션의 벽 재료와는 다른 재료(예를 들어, 소음 흡수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재는 벽의 재료보다 더 다공성이거나 더 부드럽거나 덜 조밀할 수 있다. 벽 재료는 일반적으로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ulti-wall section includes at least one cavity between two (eg, immediately adjacent) walls of the multi-wall section. This cavity can be filled with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wall material of the multi-wall section (eg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example, the infill may be more porous, softer, or less dense than the material of the wall. The wall material is generally or may include metal and/or plastic.

접촉 부분은 대체로 또는 완전히 평면일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be substantially or completely planar.

이는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부분은 비평면이다. 이것은 비접촉 부분의 형상을 주변에 맞게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비접촉 부분을 증가된 길이로 연장되게 형상화하지만 인접한 부재에 대하여 충분한 거리를 둠으로써 비접촉 부분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is can simplify manufacturing.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the non-contact portion is non-planar. This can help adjust the shape of the non-contact portion to the surroundings. For example, this may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by shaping the non-contacting portion to extend to an increased length but leaving a sufficient distance to adjacent members.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비평면 형상은 소음 감소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예들 중 임의의 예에 따라 비평면 형상을 형상화함으로써, 소음 감소 반사 및 특히 음파의 소멸이 향상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non-planar shapes may be selected to enhance noise reduction. For example, by shaping a non-planar shape according to any of the examples disclosed herein, noise reducing reflections and, in particular, the extinction of sound waves may be enhanced.

일례로, 비접촉 부분은 꼬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꼬임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컨대, 비접촉 부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꼬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 부분은 접히거나 급격하게 좌굴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꼬인 부분은, 비접촉 부분이 브레이크 패드로부터 멀어지거나 브레이크 패드를 향하도록, 또는 다르게 표현하면 브레이크 패드에 대해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소음 흡수 효과를 개선한다.As an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may include (or may be a twist portion) a twist por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twis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may be provided. Thus, the non-contact portion may have a folded or sharply buckled shape. The twisted par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non-contacting part is away from or towards the brake pad, or, in other words, convex or concave with respect to the brake pad. This improves the noise absorption eff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부분은 곡선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곡선 섹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분은 특히 브레이크 패드의 인접한 외측 에지 부분에 대해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휘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on-contact portion may include (or may be a curved section) a curved section. For example, the contact portion may be curved convexly or concavely,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outer edge portion of the brake pa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접촉 부분은 다중 굽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또는 다중 굽힘 섹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접촉 부분은 S자 형상을 취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on-contact portion may include (or may be) multiple bending sections. For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may be bent to assume an S shape.

비접촉 부분의 비평면 구성의 상기 예들 중 임의의 것은 상기 부분의 거시적 및/또는 전체적 형상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는 국부적 및/또는 작은 꼬임부, 곡선부 또는 굽힘부가 표면 프로파일에 다소 영향을 미치지만 반드시 비접촉 부분의 일반적인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다른 형태일 수 있다.Any of the above examples of a non-planar configuration of a non-contacting portion may relate to the macroscopic and/or global shape of the portion. It may be of other forms where localized and/or small kinks, curves or bends somewhat affect the surface profile, but do not necessarily affect the general shape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추가 양태에 따르면, 비접촉 부분은 표면 프로파일, 특히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섹션을 포함한다. 표면 프로파일은 정의된 국부적 형상 및/또는 비접촉 부분의 국부적 변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표면 프로파일은 형상 요소와 같은 프로파일 요소들이 배열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은 그리드와 같은 규칙적인 패턴일 수 있다. 표면 프로파일은 구조적 프로파일일 수 있다. 이것은 표면 구조 및 특히 거시적 비접촉 부분의 표면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the non-contacting portion comprises a section with a surface profile, in particular a macroscopic surface profile. The surface profile can arise due to defined local shapes and/or local deformations of non-contacting parts. The surface profile may include a pattern in which profile elements such as shape elements are arranged. The pattern may be a regular pattern such as a grid. A surface profile may be a structural profile. This can define the surfac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he surface shape of the macroscopic non-contact parts.

표면 프로파일은, 표면 거칠기 또는 일반적으로 비접촉 부분의 재료의 특성을 갖는 표면 프로파일과 다르다는 점에서 거시적일 수 있다. 대신, 비접촉 부분은 의도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면 프로파일에 따라 변형, 굽힘 또는 절단되어 구조화될 수 있다.The surface profile may be macroscopic in that it differs from the surface profile with surface roughness or, in gener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Instead, the non-contacting part can be intentionally processed, eg structured by deformation, bending or cutting according to the surface profile.

표면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충돌하는 음파를 산란하고 이에 따라 소멸을 촉진함으로써 소음 감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urface profile can improve noise reduction, for example, by scattering impinging sound waves and thus promoting their extinction.

일례로, 비접촉 부분은 파형 섹션(waved section)을 포함한다. 이는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의 일례일 수 있다. 파는 비접촉 부분 내의 국부적 둥근 벌지(buldge)로서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련의 파는 비접촉 부분의 (전술한 폭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길이 치수를 따라 분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일련의 파는 폭 방향을 따라 또는 폭 방향에 대해 비직교 각도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분포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includes a waved section. This may be an example of a macroscopic surface profile. Waves may be formed as or by local rounded bulges within the non-contacting portion. A series of waves may be distributed along the length dimens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aforementioned width direction)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Alternatively, the series of waves may be distribu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r along an axis extending at a non-orthogonal angle to the width direction.

일례로, 비접촉 부분은 지그재그 형상의 섹션을 포함한다. 이것은 미세한 표면 프로파일의 일례일 수 있다. 지그재그 형상은 비접촉 부분 내의 국부적 꼬임 케이스로서 또는 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꼬임은 일련의 파의 분포에 관한 위의 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분포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includes a zigzag-shaped section. This may be an example of a fine surface profile. The zigzag shape may be formed as or by a local twist case in the non-contact portion. This series of twists can be distributed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 example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a series of waves.

일례로, 비접촉 부분은 복수의 벌지를 포함한다. 이들은 하나의 공통 측면 및/또는 하나의 공통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파형 섹션(waved section)과 다를 수 있다. 벌지는 덴트(dent)로서 또는 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벌지는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의 일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벌지는 일련의 파의 분포에 관한 위의 예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분포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lges. They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one common side and/or in one common direction. This may be different from the waved section described above. Bulges can be formed as or by dents. A plurality of bulges may form an example of a macroscopic surface profile. This series of bulges can be distributed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 example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a series of waves.

추가 예에서, 비접촉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cut-out)을 포함한다. 이 슬롯은 세장형 컷 또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컷아웃은 콤팩트한(예를 들어, 둥근) 형상을 갖는 구멍 또는 개구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예들 중 임의의 예에 따라 규칙적인 패턴 및/또는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로부터 복수의 슬롯 및/또는 컷아웃이 제공될 수 있다.In a further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slot and/or at least one cut-out. This slot may be formed as an elongated cut or through hole. The cutout may be formed as a hole or opening having a compact (eg round) shape. A plurality of slots and/or cutouts may be provided from a regular pattern and/or macroscopic surface profile according to any of the examples disclosed herein.

추가 예에서, 비접촉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 또는 세장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들은 강화 구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리브 또는 세장형 돌출부는 비접촉 부분의 표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들은 비접촉 부분의 길이 또는 폭 치수를 따라 또는 평행하게 또는 이들 치수에 대해 비직교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In a further example, the non-contac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rib or elongated protrusion. These can function as reinforcing structures. Ribs or elongated protrusions may extend along the surface of the non-contact portion. They may extend along or parallel to the length or width dimensions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or at non-orthogonal angles to these dimensions.

일반적으로 비접촉 부분의 또는 본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면 프로파일의 형태 또는 형상 요소는 비접촉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들은 비접촉 부분의 베이스 부재에 바람직하게는 영구적으로 부착(예를 들어, 접착 또는 용접)되는 별도의 요소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슬롯 및 컷아웃과는 별개로, 이들은 비접촉 부분의 각각의 베이스 부재에 도포되는 코팅 또는 재료 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있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In general, the form or shape element of the non-contacting part or of the surface profile as described herein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non-contacting part. Alternatively, they may be formed as separate elements that are preferably permanently attached (eg glued or welded) to the base element of the non-contacting part.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part from the slots and cutouts, they may be formed by and/or included in a coating or material layer applied to the respective base element of the non-contact portion.

일 양태에 따르면, 연신된 길이는, 비접촉 부분의 측면 에지에 의해, 특히 상기 측면 에지의 전개된 길이에 의해 정의된다. 비접촉 부분의 측면 에지는 전체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측면 에지와 연속될 수 있다. 이것은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의 재료 두께에 대응할 수 있고/있거나 이를 정의할 수 있다. 측면 에지는 본원에 기재된 방사상 축을 포함하는 평면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의 접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stretched length is defined by the lateral edge of the non-contacting part, in particular by the developed length of said lateral edge. The side edge of the non-contact portion may be continuous with the side edge of the entire pad spring or pad clip. This may correspond to and/or define the material thickness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The side edges may extend in a plane that includes the radial axis described herein and/or in a plane that extends parallel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ke pad.

추가 예에서, 연신된 길이는 브레이크 패드의 접촉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서 측정(또는 정의)되며, 접촉면은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비접촉 부분의 측면 에지가 상기 평면에 대해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경우에는, 연신된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측면 에지의 상기 평면 내로의 돌출부가 고려될 수 있다.In a further example, the extended length is measured (or defined) in a plane extending parallel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brake pad, the contact surface being placed in contact with a brake disc of a vehicle disc brake. If the side edge of the non-contacting part extends at an angle to the plane, the protrusion of the side edge into the plane may be taken into account for determining the extended length.

또한,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양태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위한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다르게 말하면, 특히 패드 스프링으로서 구성된 패드 클립)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적어도 브레이크 패드의 외측 에지의 섹션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자유롭게 연장되고 브레이크 패드와 캘리퍼 장치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비접촉 부분은 적어도 3 cm 또는 적어도 5 cm의 연신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Also disclosed is a pad spring or pad clip (in other words, specifically a pad clip configured as a pad spring) for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y aspect disclosed herein. Specifically, the brake device may include a brake caliper device and at least one brake pad. The pad spring or pad clip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extending along a sec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brake pad. The pad spring or pad clip may have at least one portion configured to contact at least one of the brake pad and brake caliper device and at least one non-contact portion configured to extend freely and not contact either of the brake pad and caliper device. The non-contact portion may have an elongated length of at least 3 cm or at least 5 cm.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본원에 개시된 추가 예들 중 임의의 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A pad spring or pad clip may be constructed according to any of the additional examples disclosed herein.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부에 대해 도면 전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의 패드 클립을 분리하여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11는 도 3의 패드 클립의 비접촉 부분의 대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8는 도 2의 패드 클립의 비접촉 부분에 제공될 수 있는 상이한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following figures.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the same or similar functional units.
1 shows part of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 prior art example.
Fig. 2 is a view similar to Fig. 1 but showing a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pad clip of the brake device of Figure 2 is separated.
4 to 11 show alternative configurations of the non-contact portion of the pad clip of FIG. 3 .
12-18 illustrate different macroscopic surface profiles that may be provided to the non-contact portion of the pad clip of FIG. 2 .

도 1은 공지된 종래 기술의 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의 일부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장치는 축(M)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구성된다.1 shows a part of a brake device 1 according to a known prior art example. The brake device is configured mirror-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xis M.

브레이크 장치(1)는 캘리퍼 장치(20)와 브레이크 패드(4)를 포함한다. 캘리퍼 장치(20)는 도 1의 수평 절개 축(C)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다. 또한, 캘리퍼 장치(20)의 브리지 섹션(22)의 위치는 단지 점선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예시되지 않은 휠 림(wheel rim)에 대면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측에 위치할 수 있는 캘리퍼 장치(20)의 캘리퍼 브래킷을 볼 수 있다.The brake device 1 includes a caliper device 20 and brake pads 4 . The caliper device 20 is not shown entirely, as is evident from the horizontal cutting axis C in FIG. 1 . Also, the position of the bridge section 22 of the caliper device 20 is shown schematically only by dashed lines. In the example shown, one can see the caliper bracket of the caliper device 20 which can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brake disc facing the wheel rim, which is not illustrated.

브레이크 장치(1)는 브레이크 패드(4)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패드(4)는, 관찰자에 대면하는 표면에 또는 대안으로 관찰자로부터 멀어지는 표면에 배치된 마찰면을 갖는 대략 평면형 부재이다. 이러한 표면들 중 임의의 것은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 디스크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회전 축이 연장되는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기하학적 중심은 브레이크 패드(4)의 아래에 (도 1에서) 축(M)을 따라 놓여 있다. 따라서, 축(M)은 상기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축(M)은, 또한, 기하학적 중심을 통해 또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패드(4)의 중간 부분을 통해 연장된다는 점에 주목한다.The brake device 1 includes brake pads 4 . The brake pad 4 is a generally planar member having a friction surface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viewer or alternatively on a surface facing away from the viewer. Any of these surfaces extend parallel to the brake disc, not shown. The geometric center of the brake disc, from which the axis of rotation extends, lies below the brake pad 4 (in FIG. 1 ) along axis M. Thus, axis M extends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Note that the axis M also extends through the geometric center or generally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brake pad 4 .

또한, 축(M)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브레이크 패드(4)의 길이방향 축(LA)이 예시되어 있다. 이는 브레이크 패드(4)의 2개의 축방향 외측 에지 부분(24)을 연결하고, 그 중 하나만이 도 1에서 볼 수 있다. 양측 외측 에지 부분(24)에서는, 안내 돌출부(3)가 형성된다. 외측 에지 부분들(24)은 브레이크 패드(4)의 (방사상) 상측 에지 부분(28) 및 방사상 하측 에지 부분(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Also illustrated is a longitudinal axis LA of the brake pad 4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axis M. It connects the two axially outer edge portions 24 of the brake pad 4, only one of which can be seen in FIG. 1 . At both outer edge portions 24, guide projections 3 are formed. The outer edge portions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adial) upper edge portion 28 and a radial lower edge portion 30 of the brake pad 4 .

각각의 안내 돌출부(3)(즉, 안내 이어(ear))는 캘리퍼 장치(20)의 안내 오목부(34)에 수용된다. 안내 오목부(34)는 도 1의 이미지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안내 오목부는, 브레이크 패드(4)가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 디스크를 향하여 및 브레이크 디스크로부터 멀어지면서 이동하는 브레이크 패드(4)의 (도시되지 않은) 이동 축을 따라 연장된다.Each guide protrusion 3 (ie, a guide ear) is received in a guide recess 34 of the caliper device 20 . The guide recess 34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image plane of FIG. 1 . Thus, the guide recess extends along an axis of movement (not shown) of the brake pad 4 in which the brake pad 4 moves toward and away from the brake disc, which is not shown.

도시된 예에서, 브레이크 패드(4)와 캘리퍼 장치(20)는 적어도 안내 오목부(34) 내에서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미지 평면 내로 수직으로 동일하게 연장되는 패드 클립(13)이 도시된다. 패드 클립(13)은 브레이크 패드(4)와 캘리퍼 장치(20) 사이에 (길이방향 축(L)에 대해)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패드 클립은 금속 시트로부터 구부러져, 도시된 도면에서 패드 클립(13)의 측면 에지(40)만을 볼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rake pad 4 and the caliper device 20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at least within the guide recess 34 . Instead, pad clips 13 are shown extending equally vertically into the image plane. The pad clip 13 is disposed axi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L) between the brake pad 4 and the caliper device 20 . The pad clip is bent from the metal sheet so that only the side edge 40 of the pad clip 13 is visible in the drawing shown.

패드 클립(13)은 굽힘의 결과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는 다수의 섹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패드 클립(13)의 방사상 상측 클램핑부(15)는, 후크 부품(6)을 갖는 캘리퍼 장치(20)의 돌출부(12)와 계합하는 클램핑 섹션(8)을 포함한다. 또한, 패드 클립(13)은 캘리퍼 장치(20)의 오목부(11)와 계합하기 위한 계합 섹션(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드 클립(13)은,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4)의 도시되지 않은 이동 축을 따른 변위를 피하기 위해 캘리퍼(20)에 고정된다.The pad clip 13 includes a number of sections angled to each other as a result of bending. For example, as in FIG. 1 , the radially upper clamping portion 15 of the pad clip 13 includes a clamping section 8 that engages the protrusion 12 of the caliper device 20 with the hook part 6 . Also, the pad clip 13 includes an engaging section 10 for engaging with the concave portion 11 of the caliper device 20 . In this way, the pad clip 13 is fixed to the caliper 20 to avoid displacement along an unillustrated axis of movement of the brake pad 4, for example.

패드 클립(13)은 브레이크 패드 재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즉, 패드 스프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드 클립은 브레이크 패드(4)와 접촉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류의 도시되지 않은 탄성 변형가능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d clip 13 may provide a brake pad resetting function, that is, may be a pad spring. To this end, the pad clip may comprise an unillustrated elastically deformable section of a generally known kind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rake pads 4 .

상기 방사상 상측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패드 클립(13)은 일반적으로 안내 오목부(34)의 형상에 따라 형상화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패드 클립의 형상은, 안내 오목부(34)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안내 오목부(34)의 형상과 일치하게 된다. 유사하게, 형상은, 안내 돌출부(3)의 외주면 및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 돌출부(3)에 의해 포함된 외측 에지 부분(24)의 일부 또한 접촉하도록 안내 돌출부(3)의 윤곽과 일치한다.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from the radially upper portion, the pad clip 13 is generally shap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recess 34 . More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pad clip matches the shape of the guide recess 34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side whil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ecess 34 . Similarly, the shape conforms to the contour of the guide projection 3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projection 3 and specifically a part of the outer edge portion 24 included by said guide projection 3 also comes into contact.

안내 돌출부(3)의 방사상 하측 에지에서, 패드 클립(13)은 브레이크 패드(4)의 외주 및 캘리퍼 장치(20) 모두와 접촉하도록 꼬인 형상을 갖는 단부(42)를 포함한다.At the radially lower edge of the guide projection 3, the pad clip 13 includes an end 42 that is twisted to contact bo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rake pad 4 and the caliper device 20.

따라서, 패드 클립(13)은 브레이크 패드(4)의 외주 및 캘리퍼 장치(20) 모두를 따라 단단히 이들과 접촉하도록 형상화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또한, 패드 클립의 (방사상 하측) 단부(42)는, 브레이크 패드(4)에 직접 맞닿아, 제동 중에 발생하는 기계적 진동에 대해 원하는 감쇠 효과를 제공한다.Thus, it is clear that the pad clip 13 is shaped to firmly contact bo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rake pads 4 and the caliper device 20 along them. Also, the (radially lower) end 42 of the pad clip directly abuts the brake pad 4, providing a desired damping effect on mechanical vibrations occurring during brak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 클립(13)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1)를 도시한다. 캘리퍼 장치(20) 및 브레이크 패드(4)는 도 1의 예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패드 클립(13)은 크기 및 형상이 상이하다. 단순한 선택 사항으로서, 안내 오목부(34) 내에 수용되는 패드 클립(13)의 섹션 및 방사상 상측 클램핑부(15)는 도 1과 유사하게 구성된다.Figure 2 shows a brak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pad clip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iper device 20 and brake pads 4 are constructed similarly to the example of FIG. 1 . However, the pad clips 13 are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s a mere option, the section of the pad clip 13 received in the guide recess 34 and the radially upper clamping portion 15 are constructed similarly to FIG. 1 .

그러나, 도 1의 예와는 달리, 안내 돌출부(3)의 하측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패드 클립(13)의 일부는 (단순한 선택 사항으로서) 캘리퍼 장치(20)와 접촉하지 않지만, 접촉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선택적으로 여전히 브레이크 패드(4)의 외주와 접촉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example of FIG. 1 , the part of the pad clip 13 extending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protrusion 3 does not (as a mere option) contact the caliper device 20 , but may. As shown, it may optionally still contact the outer periphery of the brake pad 4 .

유리한 특징으로서, 패드 클립(13)의 단부(42)는, 이제 안내 돌출부(3)의 상기 하측 원주를 따라 연장되고 선택적으로 브레이크 패드(4)의 외주와 접촉한 후에 방사상 하향으로 계속된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패드(4)와 캘리퍼 장치(20) 모두에 좀 떨어진 거리를 두고 연장하는 비접촉 부분(44)이 제공된다. 이 비접촉 부분(44)은, 또한, 다른 어떠한 부재와도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접촉 부분은 브레이크 장치(1) 내의 자유 공간 또는 개방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연장된다. 이는, 예를 들어, 특히 브레이크 소음 음파와 상호작용하여 이를 감쇠할 때 그리고 이러한 진동을 직접 인접한 어떠한 부재에도 전달하지 않을 때 진동을 위한 공간이 있음을 의미한다.As an advantageous feature, the end 42 of the pad clip 13 now extends along said low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projection 3 and optionally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rake pad 4 and then continues radially downward. Specifically, both the brake pad 4 and the caliper device 20 are provided with non-contact portions 44 extending some distance apart. This non-contact portion 44 also does not contact any other member. Thus, the non-contact portion extends freely within the free space or open space within the brake device 1 . This means, for example, that there is room for vibrations, in particular when interacting with and damping brake noise sound waves and not transmitting these vibrations to any member directly adjacent thereto.

비접촉 부분(44)은 캘리퍼 장치(20)의 하측 부분을 가로지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의 전방에서 거리를 두고 연장된다는 점에 주목한다.Note that the non-contact portion 44 is shown cross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liper device 20, but extends a distance in front of it.

유리하게, 비접촉 부분(44)은 패드 클립의 인접 섹션(예를 들어, 안내 돌출부(3)의 하측 원주를 따라 연장되는 섹션)에 대해 경사진다. 상기 각도를 제공하기 위한 각각의 구부러지거나 꼬인 부분(46)은 비접촉 부분(44)이 기울어지고/지거나 진동할 수 있는 회전 조인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non-contact portion 44 is inclined relative to an adjacent section of the pad clip (eg the section extending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projection 3). Each bent or twisted portion 46 to provide the angle can function as a rotational joint through which the non-contact portion 44 can tilt and/or vibrate.

단지 예로서, 비접촉 부분(44)은 선택적인 구부러진 외측 에지(47)를 갖는 실질적으로 평면 부재로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예시된 선형 길이는 상기 비접촉 부분(44)의 연신된 길이(L)에 대응한다. 상기 길이(L)는 수 센티미터, 예를 들어, 3 cm 내지 5 cm 이상에 이를 수 있다.By way of example only, non-contact portion 44 is shown as a substantially planar member with an optional curved outer edge 47 . Accordingly, the linear length illustrated in FIG. 2 corresponds to the elongated length L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 The length (L) may range from several centimeters, for example from 3 cm to 5 cm or more.

도 3은 분리되어 있는 패드 클립(13)을 도시한다.3 shows the pad clip 13 being detached.

도 4 내지 도 11는 도 3의 둘러싸인 비접촉 부분(44)을 대체하기 위한 비접촉 부분(44)의 대체 구성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11의 비접촉 부분(44)의 배향은 도 3의 패드 클립(13)의 배향에 맞춰진다. 이것은 패드 클립(13)의 나머지 부분의 점선 윤곽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4 내지 도 11의 비접촉 부분(44)은,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도면의 수직 축에 대하여) 미러링될 수 있고, 여전히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갖는 패드 클립(13)에 배치된다. 도 4 내지 도 11는 다시 패드 클립(13)의 측면 에지의 도면을 도시한다.4-11 show alternative configurations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44 to replace the enclosed non-contacting portion 44 of FIG. 3 . The orienta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of FIGS. 4-11 matches the orientation of the pad clip 13 of FIG. 3 . This is indicated by the dotted outline of the remainder of the pad clip 13. However, the non-contact portion 44 of FIGS. 4-11 can also be mirrored (e.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figures) and still be placed on the pad clip 13 with the orientation shown in FIG. 3. 4 to 11 again show views of the side edges of the pad clip 13 .

도 4는 비접촉 부분(44)의 다중 벽 구성을 도시한다. 2개의 외벽(49)은 중심 베이스 부재 또는 베이스 벽(48)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외벽(49)과 베이스 벽(48) 사이에는, 세장형 캐비티(50)가 형성된다. 상기 세장형 캐비티(50)는 중공일 수 있거나 흡음재로 채워질 수 있다.4 shows a multi-wall configuration of non-contacting portion 44 . The two outer walls 49 extend parallel to the central base member or base wall 48 . Between each outer wall 49 and the base wall 48, an elongated cavity 50 is formed. The elongated cavity 50 may be hollow or may be filled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도 5 및 도 6는 비접촉 부분(44)의 선택적인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5에는, 지그재그 프로파일이 도시된다. 도 6에는, 규칙적인 일련의 덴트 또는 벌지 부분을 포함하는 표면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5 and 6 show an optional macroscopic surface profile of non-contacting portion 44 . In Fig. 5, a zigzag profile is shown. In Figure 6, a surface profile comprising a regular series of dents or bulges is shown.

도 7에는, 비접촉 부분(44)의 이중 벽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다시 중공일 수 있거나 흡음재로 채워질 수 있는 캐비티(50)를 포함한다.In FIG. 7 , a double-wall configuration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44 is shown, which again includes a cavity 50 that may be hollow or filled with sound absorbing material.

도 8는 비접촉 부분(44)의 꼬인 구성을 도시하며, 단순한 선택 사항으로서, 비접촉 부분(44) 내의 중심에 추가 선택 사항으로 위치하는 단일 꼬임부를 갖는다.8 shows a twisted configuration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44, with a single twist optionally positioned centrally within the non-contacting portion 44 as a simple option.

도 9에서, 비접촉 부분(44)은 S자 형상을 가지므로 여러 번 휘어진다. 구체적으로, 비접촉 부분의 외측 에지 부분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져 S자 형상을 정의한다.In Fig. 9, the non-contact portion 44 has an S shape and is thus bent several times. Specifically, the outer edge portions of the non-contact portion are bent in different directions to define an S-shape.

도 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비접촉 부분(44)을 도시한다. 이 각도는 비접촉 부분(44)을 흡음에 유리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4)의 외주에 더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FIG. 10 shows the non-contact portion 44 extending at a different angle than shown in FIG. 3 . This angle may place the non-contact portion 44 closer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rake pad 4, which may be advantageous for sound absorption.

도 11는 비접촉 부분(44)의 휘어진 구성을 도시한다. 비접촉 부분(44)은 브레이크 패드(4)의 대향 원주에 대해 외측으로 및/또는 볼록하게 돌출된다.11 shows a curved configura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 The non-contact portion 44 protrudes outwardly and/or convexly with respect to the opposite circumference of the brake pad 4 .

비접촉 부분(44)의 연신된 길이(L)는 도 11에 표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길이(L)는 도 11에서 LV로 표기된 수직 길이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이 길이는 비접촉 부분(44)을 직선 또는 선형 형상을 취하도록 가정적으로 전개 및/또는 연신할 때의 길이에 해당한다.The extended length L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is indicated in FIG. 11 . As can be seen, this length L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 vertical length denoted LV in FIG. 11 . Rather, in a generally known manner, this length corresponds to the length when hypothetically unfolding and/or stretching the non-contacting portion 44 to assume a straight or linear shape.

도 12 내지 도 18는 접촉 부분(44)에 의해 포함된 상이한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비접촉 부분(44)의 측면 에지 대신 비접촉 부분의 주 표면이 관찰자에 대면한다. 관찰 방향은, 비접촉 부분(44)이 도 3과 비교하여 관찰자에 대면하도록 수직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상태에서 도 3에서 화살표(V)로 표시된다.12-18 show the different macroscopic surface profiles included by contact portion 44 . In this case, the main surface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faces the viewer instead of the side edge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 The viewing direction is indicated by an arrow V in FIG. 3 with the non-contact portion 44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to face the viewer compared to FIG. 3 .

도 12는, 또한, 도 1에 대해 설명한 이동 축을 따라 연장되는 비접촉 부분(44)의 폭 치수(W)를 나타낸다. 또한, 폭 치수(W)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비접촉 부분(44)의 길이 치수(LD)가 예시되어 있다.FIG. 12 also shows the width W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extending along the moving axi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 . Also, the length dimension LD of the non-contact portion 44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the width dimension W is illustrated.

도 12 내지 도 18는 비접촉 부분(44) 내에서 표면 프로파일을 정의하는 형상 요소들을 배열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도시한다. 도 12에서, 형상 요소들은 길이 치수(LD)를 따라 배열된다. 도 13에서, 형상 요소들은 폭 치수(W)를 따라 배열된다. 도 14에서, 형상 요소들은 길이 치수(LD)와 폭 치수(W) 모두에 대해 각을 이루며 배열된다. 도 15에서, 형상 요소들은 길이가 상이하다. 또한, 그 일부는 폭 치수(W)를 따라 연장되고, 다른 일부는 길이 치수(LD)를 따라 연장된다.12 to 18 show various possibilities of arranging the form elements defining the surface profile within the non-contacting part 44 . In Fig. 12, the form elements ar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mension LD. In Fig. 13, the form elements are arranged along the width dimension W. In Fig. 14, the form elements are arranged at an angle to both the length dimension (LD) and the width dimension (W). In Fig. 15, the shape elements are of different lengths. Also, a portion thereof extends along the width dimension W and another portion extends along the length dimension LD.

도 16에서, 형상 요소들은 대각선으로 교차된다. 도 17 및 도 18에서는, 형상 요소들이 규칙적인 격자형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In Fig. 16, the shape elements are crossed diagonally. 17 and 18, the shape elements are arranged in a regular grid-like pattern.

도 12 내지 도 18에서, 형상 요소는 덴트, 리브(도 18 제외), 컷아웃, 돌출부, 또는 관통 구멍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이것과는 별개로, 표면 프로파일은 본원에서 논의된 임의의 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파일 요소 또는 형상 요소는 도 12 내지 도 18 중 임의의 것에 따라 분포된다.12-18, a form element may be any of a dent, rib (except for FIG. 18), cutout, protrusion, or through hole. Apart from this, the surface profile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any of the examples discussed herein, and the profile elements or shape element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any of FIGS. 12-18 .

또한, 도 4 내지 도 11의 비접촉 부분(44)의 구성은 도 12 내지 도 18에 따른 임의의 표면 프로파일과 조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figuration of the non-contacting portion 44 of FIGS. 4 to 11 can be combined with any surface profile according to FIGS. 12 to 18 .

1 브레이크 장치
3 안내 돌출부
4 후크 부품
6 돌출부
8 클램핑 섹션
10 계합 섹션
11 오목부
12 돌출부
13 패드 클립/패드 스프링
15 클램핑부
20 캘리퍼 장치
22 브리지 섹션
24 외측 에지 부분
28 상측 에지 부분
30 하측 에지 부분
34 안내 오목부
40 측면 에지
42 단부
44 비접촉 부분
46 꼬인 섹션
47 휘어진 외측 에지
48 베이스 벽
49 외측 벽
50 캐비티
M (거울 대칭) 축
LA 길이방향 축
C 절단 축
V 관찰 방향
LV 수직 길이
L 연신 길이
LD 길이방향 치수
W 폭 치수
1 brake unit
3 guide protrusions
4 hook parts
6 protrusion
8 clamping sections
10 engagement section
11 recess
12 projections
13 Pad Clip/Pad Spring
15 clamping part
20 caliper unit
22 bridge section
24 outer edge part
28 upper edge part
30 lower edge part
34 guide recess
40 side edge
42 end
44 non-contact parts
46 twisted sections
47 curved outer edge
48 base wall
49 outer wall
50 cavity
M (mirror symmetry) axis
LA longitudinal axis
C cutting axis
V observation direction
LV vertical length
L stretch length
LD longitudinal dimension
W width dimension

Claims (13)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장치로서,
-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 및
- 적어도 하나의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캘리퍼 장치 중 어느 것과도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비접촉 부분을 갖고,
상기 비접촉 부분은 적어도 3 cm의 연신된 길이(L)를 갖는, 브레이크 장치(1).
As a brake device for a vehicle disc brake,
- Brake caliper device;
- at least one brake pad; and
- contains at least one pad spring or pad clip,
The pad spring or pad clip has at least one portion for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brake pad and brake caliper device and at least one non-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neither of the brake pad or brake caliper device,
The brake device (1)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contact portion has an elongated length (L) of at least 3 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상기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13)의 단부분을 형성하는,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device, wherein the non-contact portion forms an end portion of the pad spring or pad clip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스프링 또는 패드 클립은 단일 부재로서, 금속 굽힘 부품인, 브레이크 장치(1).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device (1), wherein the pad spring or pad clip is a single member and is a metal bend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상기 패드 스프링의 인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경사진,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device, wherein the non-contact por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n adjacent portion of the pad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상기 브레이크 패드(4)의 인접한 에지(24) 또는 상기 캘리퍼 장치의 인접하는 면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서 연장되는,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contact portion extends at an angle with respect to an adjacent edge (24) of the brake pad (4) or an adjacent surface of the calip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외측 에지를 따라 또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중간 부분을 향하여 연장되는,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contact portion extends along an outer edge of the brake pad or toward a middle portion of the brake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하측 에지 부분의 반대측에 놓이는, 브레이크 장치(1).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device (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non-contact portion li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brake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다중 벽 섹션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1).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device (1), wherein the non-contact portion comprises multiple wall sectio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벽 섹션은 상기 다중 벽 섹션의 2개의 벽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다중 벽 섹션의 벽들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충전되는,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ulti-wall section comprises at least one cavity between two walls of the multi-wall section, the cavity being filled with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walls of the multi-wall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비평면인,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rake device, wherein the non-contact portion is non-plan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 꼬인 섹션;
- 휘어진 섹션; 및
- 여러 번 구부러진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on-contact part,
- twisted sections;
- curved sections; and
- Sections bent several times
A brak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부분은,
- 파형 섹션;
- 지그재그 형상 섹션;
- 거시적 표면 프로파일을 갖는 섹션;
- 복수의 벌지(buldge)를 갖는 섹션;
- 적어도 하나의 슬롯;
-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 및
-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 또는 세장형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on-contact part,
- waveform section;
- zigzag shaped section;
- a section with a macroscopic surface profile;
- a section with a plurality of bulges;
- at least one slot;
- at least one cutout; and
- at least one rib or elongated protrusion;
A brake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된 길이(L)는, 상기 비접촉 부분의 측면 에지에 의해 정의되거나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접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서 측정되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ded length (L) is measured in a plane defined by a side edge of the non-contact portion or extending parallel to a contact surface of the brake pad, the contact surface configured to contact a brake disc of the vehicle disc brake. Brake device.
KR1020230007919A 2022-01-20 2023-01-19 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having noise-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 KR2023011256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200646.1 2022-01-20
DE102022200646.1A DE102022200646A1 (en) 2022-01-20 2022-01-20 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with a noise-dampening pad spring or pad cl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562A true KR20230112562A (en) 2023-07-27

Family

ID=8699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919A KR20230112562A (en) 2022-01-20 2023-01-19 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having noise-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2562A (en)
DE (1) DE102022200646A1 (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9337U (en) 1981-03-17 1982-09-20
DE19610611C2 (en) 1996-03-18 1999-11-25 Lucas Ind Plc Part brake disc brake
DE19719640A1 (en) 1997-05-09 1998-11-12 Itt Mfg Enterprises Inc Brake shoe holder for partly lined disc brake especially of motor vehicle
FR2800140B1 (en) 1999-10-26 2002-01-11 Bosch Gmbh Robert FRICTION ELEMENTS GUIDING SPRING AND DISC BRAKE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SPRING
DE10331052B4 (en) 2003-07-09 2018-07-12 Volkswagen Ag Brake pad back plate for a brake pad of a vehicle disc brake
US8505699B2 (en) 2008-02-06 2013-08-13 Material Sciences Corporation Flanged shim for disc brake squeal attenuation
JP5277089B2 (en) 2009-06-30 2013-08-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Disc brake
US9568055B2 (en) 2012-01-26 2017-02-14 Kelsey-Hayes Company Clip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clip
KR20140067202A (en)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만도 Disc brake
FR3004500B1 (en) 2013-04-16 2016-02-05 Chassis Brakes Int Bv "DISC BRAKE EQUIPPED WITH MEANS OF ELASTICALLY REMOVING BRAKE SHOES AND EQUIPPED WITH RETRACTING MEANS,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WEAR SET OF SK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0646A1 (en)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695B1 (en) Noise attenuating friction assembly
JP4896967B2 (en) Bumper Beam
US20070261927A1 (en) Brake lining carrier plate for a disc brake
JP6170139B2 (en) Vehicle seat and its seat frame
JP2693371B2 (en) Casing lining
JP5436054B2 (en) Buffer elastic plate
US10247266B2 (en) Brake mounting bracket apparatus
KR20230112562A (en) Brake arrangement for a vehicle disc brake having noise-absorbing pad spring or pad clip
JP2006219123A (en) Roller guide of vehicle seat vibrating system including scissors type guide
JP6396522B2 (en) Seat frame for vehicle seat
JP2003522664A (en) Vibration damper for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KR101539202B1 (en) Automobile wheel having the noise reduction measures
JP2007131146A (en) Fitting structure of audio equipment for automobile
JP6096963B2 (en) Seat frame for vehicle seat
JP6607294B2 (en) Vehicle seat
JP6944568B2 (en) Soundproof panel and soundproof wall
JP7084839B2 (en) Car bracket and wiper motor unit
JP6820005B2 (en) Disc brake caliper pistons and disc brakes
JP2002039238A (en) Friction pad for disc brake and anti-rattle spring
JP4714234B2 (en) Cushion material
JP6353589B2 (en) Vehicle seat and its seat frame
JP2016112952A (en) Cab panel vibration control device
JP2005249006A (en) Disk brake
JP6209594B2 (en) Vehicle seat and its seat frame
JP6393607B2 (en) Seat cover and vehicle s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