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486A -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486A
KR20230112486A KR1020220008796A KR20220008796A KR20230112486A KR 20230112486 A KR20230112486 A KR 20230112486A KR 1020220008796 A KR1020220008796 A KR 1020220008796A KR 20220008796 A KR20220008796 A KR 20220008796A KR 20230112486 A KR20230112486 A KR 2023011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user device
resolution
process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호
김초희
송유선
이주희
오예림
임수혜
조윤선
Original Assignee
박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호 filed Critical 박찬호
Priority to KR102022000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486A/ko
Publication of KR2023011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SERVER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 IN METAVERSE ENVIRONMENT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타버스(Metaverse)란,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과 연동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COVID-19의 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사람들 간의 접촉과 이동이 제한되고,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5G 통신망이 확충되면서, 생활형 또는 게임형 가상 세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메타버스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메타버스 서비스는 메타버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활용하여, 물리적인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메타버스 환경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경시키거나 장식 효과를 적용시킴으로써, 재미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001)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07419호 (2011.01.24) (002) 국내등록특허 제10-2205875호 (2021.01.15)
서버가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경우,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거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높거나, 또는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이 낮을 때 사용자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원본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결정하고, 사용자 장치의 관심도에 기반하여 특정한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공간들로 구성된 메타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원본 해상도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제공 요청과 함께 상기 사용자 장치와 상기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 내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 및 상기 사용자 장치 내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는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에 의하여 전용되는 메모리임-,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해상도보다 낮은 제1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공간들이 비활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높은 제2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2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며,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상기 리소스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제3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해상도보다 높은 제3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3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3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며,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상기 리소스 가용률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3 해상도보다 높은 상기 원본 해상도를 갖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한 후에, 상기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구매 가능한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관심도를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관심도 중에서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제1 굿즈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 각각에 정규 분포 함수를 대응시키고, 상기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규 분포 함수를 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하고, 및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로부터 제1 임계 값 이상인 분포 값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에 따라 상기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치(A)와 관련하여, 상기 각 변수들은 오브젝트 N에 대한 체류 시간 (tA,N), 상기 사용자 장치(A)가 바라본 굿즈 오브젝트의 개수(LA), 상기 사용자 장치(A)의 체류 시간 표준 편차(σA)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누적하여 누적 분포 함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환산한 적응적 스코어를 산출하고, 및 상기 산출된 적응적 스코어로부터 제2 임계값 이상인 스코어에 해당하는 제2 굿즈 오브젝트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에 따라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누적하여 상기 누적 분포 함수를 산출하고, 및 Score(x) = 5*cdf(x)에 따라 상기 누적 분포 함수를 사분위(quantile) 변환하여 상기 적응적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굿즈 오브젝트에 대하여 추천 효과를 적용한 제4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3D 원본 이미지의 해상도를 동적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장치의 관심도에 따라 3D 원본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의 해상도를 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3D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네트워크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3D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가상 환경 공간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 환경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이미지 내에서 오브젝트에 대한 관심도를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웹 기반의 메타버스 환경 내에 전시회를 구현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 및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예: 스마트폰)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사용자 장치(102)로 웹 기반의 메타버스 환경 내에 전시회를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의 실행 화면들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또는 가상 현실 어플리케이션) 또는 복수의 웹 페이지(web page)들로 구성된 웹 사이트(web site)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가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의 각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소스 코드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102)는 상기 소스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3D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요청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40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공간들로 구성된 메타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원본 해상도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D 어플리케이션(또는, 가상 현실 어플리케이션) 및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어플리케이션은 360도 파노라마 뷰로 구현된 메타버스 공간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어플리케이션은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3D 공간/환경 모델링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생성(또는 렌더링)할 수 있다. 3D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장치(102)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예: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시선의 이동)에 따라 3D 환경/공간 안의 가상 카메라(또는, 렌더링 뷰포트)를 회전하거나 이동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3D 어플리케이션의 그래픽 명령을 처리하여 3D 렌더링(결과물로서, 2D 이미지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OpenGL, Direct3D 등을 포함할 수 있고, CPU 또는 GPU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환경을 구성하는 복수의 공간들은 일정한 크기(예: n*m 픽셀)를 갖는 구역 별로 구분되거나 특정한 카테고리(예: 제1 전시회장, 제2 전시회장 등)를 갖는 구역 별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3D 렌더링 방식에 따라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렌더링 방식은, 3D 그래픽 라이브러리의 이용, 2D 좌표계/데이터 및 3D 좌표계/데이터 간의 좌표/데이터 변환, 3D 공간 또는 3D 모델로의 데이터 매핑 등의 3D 그래픽과 관련된 작업/동작/연산을 필요로 하는 렌더링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3D 공간은 사용자를 360도로 둘러싸는 가상 공간의 영상 데이터(501)일 수 있고, 2차원에 해당하는 모노스코픽(monoscopic) 이미지 또는 3차원에 해당하는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공간은 광각 이미지/비디오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각 이미지/비디오는, 360도 이미지/비디오(또는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비디오), 2D(즉, 2차원) 파노라마 이미지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공간은, 미리 설정된 3D 모델(예: 구(Sphere), 큐브(Cube), 원통(Cylinder))에 광각 이미지/비디오를 텍스쳐 매핑하고, 사용자 시점(예: view port)에 대응하는 가상 카메라를 3D 모델의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의 움직임과 관련된 값(예: 움직임 속도, 움직임 거리, 기울기 각도, 기울임 속도), 사용자의 시선 움직임과 관련된 값(예: 움직임 속도, 움직임 거리), 사용자 장치(102)의 속성/특성 값, 영상/사운드의 인식/속성/특성 값, 렌더링 뷰 포트의 움직임과 관련된 값, 또는 사용자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사용자 장치(102)로 제공할 3D 공간의 일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오브젝트들 각각은 전시회 물품에 관한 정보(예: 물품명, 물품의 상세 설명, 물품 가격, 물품 구매 링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40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예: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02)로부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제공 요청과 함께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 사용자 장치(102) 내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예: 그래픽 카드용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의 온도, 및 사용자 장치(102) 내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예: 그래픽 카드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속도는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통신 속도(예: 일정 시간 동안 송수신 가능한 데이터의 양 또는 일정 양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소요된 시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는, 사용자 장치(102)에 구비된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나타낸다.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은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에 의하여 전용되는 메모리에서 사용 가능 또는 처리 가능한 리소스의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40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로서, 사용자 장치(102)에서 ping 명령어를 이용하여 측정된 일정 데이터 양의 전송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확인된 데이터 전송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 값(예: 150ms)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장치(102)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린 경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용량(또는 크기)을 최대한 줄인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407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본 해상도보다 낮은 제1 해상도를 갖고 복수의 공간들 중에서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미만인 경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원본 해상도(예: 100%)를 제1 해상도(예: 원본 해상도의 70%)로 리사이즈하고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공간들(예: 제1 전시회장, 제2 전시회장, 제3 전시회장, 제4 전시회장)이 비활성화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각각의 해상도 별로 비활성화하기 위한 공간들을 정의한 테이블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각 해상도에 대응하는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전자 장치(101)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는 각각의 해상도 별로 비활성화하기 위한 공간들을 정의한 테이블을 나타낼 수 있다.
해상도 비활성화될 공간
제1 해상도 제1, 제2, 제3, 제4 전시회장
제2 해상도 제1, 제2, 제3 전시회장
제3 해상도 제1, 제2 전시회장
409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예: 50도(섭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높은 경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작업량(또는 처리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2)는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에 내장된 온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41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해상도보다 높은 제2 해상도를 갖고 제2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 이상인 경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원본 해상도(예: 100%)를 제1 해상도(예: 원본 해상도의 70%)보다 높은 제2 해상도(예: 원본 해상도의 80%)로 리사이즈하고 제2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공간들(예: 제1 전시회장, 제2 전시회장, 제3 전시회장)이 비활성화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은, 해당 공간에 대하여 평면화 작업(예: 기본 레이어 적용)을 수행하고, 지정된 단일 색상(예: 회색)을 적용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413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제3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제3 값(예: 30%)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이 낮은 경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작업량(또는 처리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전송하기 위함이다.
415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해상도보다 높은 제3 해상도를 갖고 제3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3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고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제3 값 미만인 경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원본 해상도(예: 100%)를 제2 해상도(예: 원본 해상도의 80%)보다 높은 제3 해상도(예: 원본 해상도의 90%)로 리사이즈하고 제3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3 공간들(예: 제1 전시회장, 제2 전시회장)이 비활성화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3 영상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417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3 해상도보다 높은 원본 해상도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장치(102)와 전자 장치(101)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고 사용자 장치(102)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제3 값 이상인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제3 해상도(예: 90%)보다 높은 원본 해상도(예: 100%)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원본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별도의 영상 데이터의 처리 없이 그대로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419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제3 영상 데이터, 또는 원본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구매 가능한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사용자 장치(102)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영상 데이터, 제2 영상 데이터, 제3 영상 데이터, 또는 원본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한 후에, 상기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사용자 장치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영상 데이터(601)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611, 612, 613)에 대한 사용자 장치(102)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사용자 장치(102)의 체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치(102)의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사용자 장치(102)의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체류 시간 정보는, 사용자 장치(102)가 굿즈 오브젝트를 바라보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굿즈 오브젝트가 영상 데이터(601)의 중심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610) 내에 위치하는 동안 측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가 굿즈 오브젝트를 바라보는 시간에 기초하여, 해당 굿즈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 장치(102)의 관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 각각에 정규 분포 함수를 대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정규 분포 함수를 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사용자 장치(102)의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정규 분포 함수는 사용자 장치(102)(예: A)와 관련하여, 오브젝트 N에 대한 체류 시간 (tA,N), 사용자 장치(102)가 바라본 굿즈 오브젝트의 개수(LA), 사용자 장치(A)의 체류 시간 표준 편차(σA)일 때,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은 커널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며, 특정 함수에 합성곱하기 위한 마스크 역할을 수행하며, 가우시안(Gaussian) 또는 유니폼(uniform) 필터의 종류마다 마스크 값이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이용하여 굿즈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 장치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421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확인된 관심도 중에서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제1 굿즈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통하여 제1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사용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419 동작에서 산출된,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로부터 제1 임계 값 이상인 분포 값에 해당하는 굿즈 오브젝트를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제1 굿즈 오브젝트로 검출(또는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1 굿즈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02)에서 제1 굿즈 오브젝트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화면을 오버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모션 정보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1 굿즈 오브젝트(예: 오브젝트(612))를 검출하는 경우, 제1 굿즈 오브젝트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710)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제1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관리자에 의하여 각각의 굿즈 오브젝트 별로 프로모션 정보가 미리 매칭될 수 있고, 각각의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는 해당 굿즈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굿즈 상품의 할인 정보, 굿즈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화면을 호출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419 동작에서 산출된,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이용하여 제2 굿즈 오브젝트에 대하여 추천 효과를 적용한 제4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누적하여 누적 분포 함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산출된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환산한 적응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아래의 [수학식 3]에 따라, 상기 산출된 누적 분포 함수를 사분위(quantile) 변환하여 적응적 스코어(score(x))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Score(x) = 5*cdf(x)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적응적 스코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 별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에 대한 관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산출된 적응적 스코어로부터 제2 임계값 이상인 스코어에 해당하는 제2 굿즈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2 굿즈 오브젝트에 대하여 추천 효과를 적용한 제4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4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02)로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공통으로 관심을 갖는 굿즈 오브젝트에 대하여는 차별적인 시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굿즈 오브젝트에 대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2 굿즈 오브젝트에 대하여 추천 효과로서, 지정된 색상 적용, 하이라이트 표시, 음영 표시 등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공간들로 구성된 메타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원본 해상도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제공 요청과 함께 상기 사용자 장치와 상기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 내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 및 상기 사용자 장치 내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는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에 의하여 전용되는 메모리임-,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해상도보다 낮은 제1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공간들이 비활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높은 제2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2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며,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상기 리소스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제3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해상도보다 높은 제3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3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3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며,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상기 리소스 가용률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3 해상도보다 높은 상기 원본 해상도를 갖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한 후에, 상기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구매 가능한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관심도를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관심도 중에서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제1 굿즈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 각각에 정규 분포 함수를 대응시키고, 상기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규 분포 함수를 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하고, 및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로부터 제1 임계 값 이상인 분포 값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로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에 따라 상기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치(A)와 관련하여, 상기 각 변수들은 오브젝트 N에 대한 체류 시간 (tA,N), 상기 사용자 장치(A)가 바라본 굿즈 오브젝트의 개수(LA), 상기 사용자 장치(A)의 체류 시간 표준 편차(σA)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누적하여 누적 분포 함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환산한 적응적 스코어를 산출하고, 및 상기 산출된 적응적 스코어로부터 제2 임계값 이상인 스코어에 해당하는 제2 굿즈 오브젝트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에 따라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누적하여 상기 누적 분포 함수를 산출하고, 및 Score(x) = 5*cdf(x)에 따라 상기 누적 분포 함수를 사분위(quantile) 변환하여 상기 적응적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굿즈 오브젝트에 대하여 추천 효과를 적용한 제4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공간들로 구성된 메타버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원본 해상도를 갖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의 제공 요청과 함께 상기 사용자 장치와 상기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 상기 사용자 장치 내의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 및 상기 사용자 장치 내의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리소스 가용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는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에 의하여 전용되는 메모리임-,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해상도보다 낮은 제1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1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공간들이 비활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해상도보다 높은 제2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2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며,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상기 리소스 가용률이 미리 정해진 제3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해상도보다 높은 제3 해상도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 중 상기 제3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3 공간들이 비활성화된 제3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값 이상이고, 상기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의 온도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값 미만이며, 상기 이미지 처리용 메모리의 상기 리소스 가용률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3 해상도보다 높은 상기 원본 해상도를 갖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영상 데이터, 상기 제3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 중 하나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한 후에, 상기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구매 가능한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관심도를 확인하고, 및
    상기 확인된 관심도 중에서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제1 굿즈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서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 각각에 정규 분포 함수를 대응시키고,
    상기 복수의 체류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정규 분포 함수를 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의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하고, 및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로부터 제1 임계 값 이상인 분포 값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관심도를 갖는 상기 제1 굿즈 오브젝트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서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에 따라 상기 체류 시간 분포를 추정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치(A)와 관련하여, 상기 각 변수들은 오브젝트 N에 대한 체류 시간 (tA,N), 상기 사용자 장치(A)가 바라본 굿즈 오브젝트의 개수(LA), 상기 사용자 장치(A)의 체류 시간 표준 편차(σA)인, 서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누적하여 누적 분포 함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굿즈 오브젝트들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의 체류 시간 정보를 환산한 적응적 스코어를 산출하고, 및
    상기 산출된 적응적 스코어로부터 제2 임계값 이상인 스코어에 해당하는 제2 굿즈 오브젝트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서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에 따라 상기 추정된 체류 시간 분포를 누적하여 상기 누적 분포 함수를 산출하고, 및
    Score(x) = 5*cdf(x)에 따라 상기 누적 분포 함수를 사분위(quantile) 변환하여 상기 적응적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설정된, 서버.
KR1020220008796A 2022-01-20 2022-01-20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12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96A KR20230112486A (ko) 2022-01-20 2022-01-20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96A KR20230112486A (ko) 2022-01-20 2022-01-20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86A true KR20230112486A (ko) 2023-07-27

Family

ID=8743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96A KR20230112486A (ko) 2022-01-20 2022-01-20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24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419A (ko) 2009-07-16 2011-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205875B1 (ko) 2019-08-09 2021-01-21 주식회사 인스에듀테인먼트 증강현실 콘텐츠의 통합 실행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419A (ko) 2009-07-16 2011-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205875B1 (ko) 2019-08-09 2021-01-21 주식회사 인스에듀테인먼트 증강현실 콘텐츠의 통합 실행이 가능한 증강현실 콘텐츠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7732B (zh) 用于显示图像的方法、存储介质和电子装置
EP34660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imag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210358212A1 (en) Reinforced Differentiable Attribute for 3D Face Reconstruction
US9652115B2 (en) Vertical floor expansion on an interactive digital map
US11263457B2 (en) Virtual item display simulations
KR102625773B1 (ko) 뷰 벡터별 다른 렌더링 품질을 갖는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KR20110082636A (ko) 임의의 위치들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구성 요소들 상에 3차원 콘텐츠의 공간적으로 상호 연관된 렌더링
US2018011424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user interaction based data in a virtual environment transmitted by three dimensional assets
KR20100063793A (ko) 홀로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164500A (zh) 用于在数字地图上指示用户位置以及面对方向的系统和方法
CN110288705B (zh) 生成三维模型的方法和装置
US9269324B2 (en) Orientation aware application demonstration interface
US20170213394A1 (en) Environmentally mapped virtualization mechanism
AU202221846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digital smart objects in a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
EP3493041B1 (en) Exploration of medical visualization parameters in virtual spaces
WO202107204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olocating augmented reality consoles
CN116917842A (zh) 用于在人工现实中生成真实环境的稳定图像的系统和方法
KR20230112486A (ko) 메타버스 환경에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0262631B1 (en) Large scale highly detailed model review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284769B1 (ko) 3d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6168B1 (ko) 위치 결정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9005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and manipulating interiors of continuous meshes
EP2767973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thereof
CN116168146A (zh) 虚拟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160084146A (ko) 사용자 입력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