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246A -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246A
KR20230112246A KR1020220008275A KR20220008275A KR20230112246A KR 20230112246 A KR20230112246 A KR 20230112246A KR 1020220008275 A KR1020220008275 A KR 1020220008275A KR 20220008275 A KR20220008275 A KR 20220008275A KR 20230112246 A KR20230112246 A KR 2023011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ulp
twine
eco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035B1 (ko
Inventor
이복현
Original Assignee
이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현 filed Critical 이복현
Priority to KR102022000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03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2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12Cords, lines, or t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줄기나 가지가 기울거나 휘어져 내려앉지 않도록 지주에 묶어 사용하는 노끈의 재질을 합성수지 대신 종이성분으로 대체함으로써, 소각처리에 따른 유독가스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사용 후 자연스러운 퇴비화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가 소정의 배합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종이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상기 배합비율은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대응하는 기간동안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구성비를 설정하고, 롤에 감겨진 종이원단을 분리·절단한 테이프 형상의 종이를 꼬아서 만든 적어도 3개 이상의 노끈사(S1~S4)로 스트랜딩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끈에 의하면,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의 모종에서 최종수확까지의 생육기간에만 한시적으로 내구력과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열화현상으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거나 인장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Eco-friendly string made of paper for growing crop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줄기나 가지가 기울거나 휘어져 내려앉지 않도록 지주에 묶어 사용하는 노끈의 재질을 합성수지 대신 종이성분으로 대체함으로써, 생태계 오염원인 미세플라스틱의 발생과 소각처리에 따른 유독가스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사용 후 자연스러운 퇴비화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은 바람 등의 환경요인에 의해 줄기가 곧게 자라지 못하거나 열매 등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가지가 휘어져 수확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은 모종을 심은 후에 지주를 설치하고, 그 성장단계에 맞춘 노끈작업을 통해 그 지주에 줄기나 가지를 고정하여 정상적인 성장을 인위적으로 유인하고 있다.
이때 사용하는 노끈의 경우, 지금까지는 아크릴 나이론,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햇빛에 장시간 노출시 휘발성 물질의 증발에 의한 분해현상으로 5mm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고, 사용 후 회수하여 소각하면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노끈을 천연섬유나 종이재질로 제작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빗물이나 이슬, 안개와 같은 수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농작물 재배환경에서 천연섬유나 종이가 수분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적절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노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특허 제10-2016-0121119호(선행특허 1)에는 천연원사를 세척·건조하고 그 건조된 천연원사에 방수액을 흡착시켜 수분흡수로 인한 부식 및 강도저하를 방지하려는 천연로프의 제조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 제10-0466965호(선행특허 2)에는 전분가루,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EVA, 탄산칼슘, 연질 폴리에틸렌인 LDPE, 아나타제(TiO2)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고정끈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제10-1416116호(선행특허 3)에는 인장력이 우수하고 땅속에 매립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식물의 거름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종이나 천연섬유 재질의 씨앗 파종용 씨줄로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에 개시된 로프나 노끈은 환경오염을 줄이고 사용 후 자연분해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선행특허 1의 로프는 부가적으로 방수액을 흡착시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장기간 유지하려는 것이고, 선행특허 2의 고정끈은 기능성 화학약품을 부가하여 인위적인 자연부식을 유도하는 것이며, 선행특허 3의 씨줄로프는 땅속에 매립되어 씨앗의 발아 후에 쉽게 부식되도록 특화시킨 구조라는 점에서, 위 선행특허의 로프나 고정끈은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의 모종에서 최종수확까지의 생육기간에만 한시적으로 내구력과 인장강도가 유지되는 맞춤형 로프나 고정끈으로서의 순기능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현실적인 문제를 안고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1) 특허 제10-2016-0121119호 (선행특허문헌 2) 특허 제10-0466965호 (선행특허문헌 3) 특허 제10-141611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잘 알려진 종이생산 공정을 최대한 활용하여 친환경 노끈을 제조할 수 있고,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의 배합비율을 조절하여 빗물이나 이슬과 같은 수분에 쉽게 노출될 수밖에 없는 농작물 재배환경에서도 일정기간동안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50)은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가 소정의 배합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종이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상기 배합비율은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대응하는 기간동안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그 구성비를 채택하고, 롤에 감겨진 종이원단을 분리·절단하여 만든 테이프 형상의 종이를 꼬아서 만든 적어도 3개 이상의 노끈사(S1~S4)를 스트랜딩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노끈에서 전제하고 있는 배합비율은 목재펄프 60 내지 80 중량%, 닥펄프 15 내지 25중량% 및 대마펄프 5 내지 15 중량%의 구성비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노끈은 농작물의 최종수확을 완료한 후 가위로 잘라 땅에 방치하더라도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두께의 규격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을 제조하는 방법은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를 준비하는 단계,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를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맞추어 소정의 배합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펄프재료를 해리한 후 초지공정, 압축공정 및 건조공정을 통해 종이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그 종이원단을 롤에 감긴 채로 슬리팅 공정을 통해 분리·절단하여 테이프 형상의 종이 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종이 롤에 감긴 테이프 형상의 종이를 꼬아서 노끈사(S1~S4)를 제작하는 단계, 적어도 3개 이상의 노끈사(S1~S4)를 이용하여 스트랜딩 공정으로 최종의 노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노끈의 제조방법은 농작물의 최종수확을 완료한 후에 가위로 잘라 땅에 방치하더라도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두께로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의 모종에서 최종수확까지의 생육기간에만 한시적으로 내구력과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로프나 고정끈으로서의 순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끈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열화현상으로 생태계 오염원인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이나 인장강도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병충해 등에 의한 노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코팅재 등의 화학약품 사용을 철저히 배제한 종이원단의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미 잘 알려진 통상의 종이제조 장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b)는 일반적인 농작물 재배용 노끈을 고추와 토마토 재배에 이용한 사례를 보여주는 현장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노끈사(絲)를 구조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노끈제조에 적용되는 스트랜딩(Strand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노끈의 제조방법을 공정순서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크기와는 다를 수 있다는 점도 밝혀둔다.
도 1은 일반적인 농작물 재배용 노끈을 고추재배에 이용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추는 어린 묘목이 점차 성장함에 따라 지면에서의 줄기높이가 증가하고, 줄기에서 뻗어난 곁가지의 수가 늘어나게 되며, 그만큼 잎사귀의 수도 많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고추나무의 줄기나 가지는 자력으로 성장무게를 버티지 못하여 쓰러지거나 지면으로 내려앉는 경우가 많으며, 더욱이 비·바람에 노출되는 상황에서는 고추나무가 곧게 자라지 못하고 인접한 줄기나 가지와 무질서한 상태로 얽히게 되어, 결국에는 고추의 수확량과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한 악영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추나무 곁에 지주를 설치하고 고추나무의 성장속도에 맞춰 그 지주에 노끈으로 고추나무를 고정하여 인위적으로 곧은 성장을 유인하고, 비·바람의 영향으로부터 고추나무를 보호·지지하여 수확량 증대와 품질향상을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a), (b)은 고추와 토마토 작물재배에서 지주와 노끈의 상호관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고추나 토마토 작물의 성장에 따라 복수회의 노끈작업이 이루어진 모습이 나타나 있으며, 그 노끈작업의 횟수는 작물의 종류나 성장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주목하는 것은 농작물 재배과정에서 사용하는 노끈의 유효기능과 사용 후 폐기처리 과정에 관한 부분이다.
지금까지 종이끈은 환경문제를 고려하여 쇼핑백 손잡이, 바구니나 코사지 같은 공예품의 재료 및 등산길 표시리본 등에 제한적으로 활용되어 왔는데, 종이끈은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수분영향의 최소화를 통해 인장강도을 유지하고 사용 후에는 소각처리가 아닌 자연부식에 의해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그 재질의 선택과 기술개량이 이루어져 왔다. 특히 기존의 석유화합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등의 화학섬유 재질의 노끈은 사용 후 버려지거나 방치될 경우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화되어 먹이사슬에 따라 생태계를 위협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세계 각국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발생시키는 물질의 사용규제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최근에는 화학섬유 재질의 노끈을 천연섬유나 종이재질로 대체하려는 기술개발의 중요성과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농작물 재배에 이용하는 노끈의 경우에는 빗물이나 이슬, 안개 와 같은 수분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농작물 묘목에서 최종수확까지의 생육기간에는 적절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수확 후에는 친환경적 방법으로 폐기처리할 수 있는 노끈의 필요성은 특히 중요한 기술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발명은 그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빗물 등의 수분에 취약하여 농작물 재배용 노끈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것이라는 막연한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쇼핑백 손잡이와 같은 일상생활 속의 종이끈과 달리, 빗물 등의 수분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농작물 재배환경에서도 적정 기간동안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자연부식으로 친환경 폐기처리가 가능한 종이재질의 노끈을 제안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노끈사(絲)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노끈사(S1~S4)는 종이원단(10)을 슬리팅(Slitting) 처리하여 테이프형 롤(30)를 만들고, 그 롤(30)에 감긴 테이프형 종이를 꼬는 공정(Paper twisting Process)을 거쳐 제작하게 된다.
여기에서의 종이원단(10)은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를 적정한 배합비율로 혼합한 재료를 이용하여 공지의 종이제조 방법으로 제작하는데, 그 배합비율은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와 재배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비율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컨대, 고추작물에 적용하는 노끈인 경우에는 묘목에서 최종수확까지의 생육주기가 5개월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목재펄프 80중량%, 닥펄프15중량% 및 대마펄프 5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고, 하우스 특수작물의 유인끈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의 영향이 없고 생육주기가 좀 더 길다는 점을 반영하여 목재펄프 70중량%, 닥펄프20중량% 및 대마펄프 10중량%의 배합비율로 닥펄프와 대마펄프의 비중을 높게 선택하며, 과수 유인끈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목재펄프 60중량%, 닥펄프25중량% 및 대마펄프 15중량%의 배합비율로 닥펄프와 대마펄프의 비중을 좀더 높여 종이원단(10)을 제작한다.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 배합비율을 예시한 것일 뿐,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의 배합비율은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나 재배환경을 고려하여 이론적 배합비율을 산출한 후 현장상황에 맞게 적절히 그 비율을 조정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목재펄프에 닥펄프와 대마펄프를 혼합하는 이유는 통상의 목재펄프가 갖는 특성에 닥펄프와 대마펄프가 갖는 특성을 보강하여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노끈이 유효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그 유지기간의 확보는 배합비율의 조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대마펄프는 수분흡수와 건조속도가 빠르고 수분을 흡수하면 즉시 팽윤하여 조직이 치밀해지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그 배합비율을 이용하여 인장강도와 내구성의 유지기간을 조정할 수 있고, 닥펄프의 경우 중성일 때는 수명이 길지만, 실제로는 수분에 매우 취약하고 쉽게 산화되는 특성 때문에 혼합비율에 따라 농작물 재배환경에서의 부식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대마는 재배에서 펄프화까지 살충제나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재질로서의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노끈이 유효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테이프형 롤(30)의 넓이를 20mm로 슬리팅(Slitting)하고, 종이의 두께는 0.012mm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의 종이는 그림이나 글씨를 쓰기 위한 용도가 아니기 때문에 통상적인 종이제작 공정에 포함되는 사이징 공정(Sizing Process) 등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종이재질의 노끈은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맞춰 한시적으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조금은 거칠게 제작해도 무방하며, 그로 인해 통상의 종이제조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화학약품 처리 등의 부가공정을 과감히 배제하더라도 친환경 소재의 노끈으로서의 장점을 유지하는데는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친환경 노끈제조에 적용되는 스트랜딩(Stranding) 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노끈(50)은 4개의 노끈사(S1~S4)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는데, 그 노큰사(絲)의 개수는 4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노큰사(絲)라면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나 재배환경을 고려하여 그 개수를 조정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이때의 스트랜딩(Stranding) 공정은 별도로 철사 등의 심선을 이용하지 않고, 동일한 복수의 노큰사(絲)를 이용하기 때문에 농작물의 최종수확이 끝난 후 노끈(50)은 쉽게 가위로 잘라낼 수 있으며, 그 잘려진 노끈 조각은 그대로 땅에 방치하더라도 미세플라스틱이 발생되지 않고 자연부식되어 퇴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노끈의 회수작업과 소각 등의 폐기작업에 투입되는 시간과 노동력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친환경 노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종이제조 방법과 같이 준비단계, 해리단계, 초지(종이뜨기)단계, 압착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서 주목하는 것은 펄프를 물과 혼합하여 해리시키는 단계(Pulper 공정)이며, 나머지 초지단계나 압착 및 건조단계는 공지된 공정을 그대로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우선, 준비단계에서는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를 준비한다. 그러한 펄프들은 시중에 유통되는 펄프제품의 구매를 통해 대량생산을 전제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어서 각 펄프를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나 재배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배합비율을 세팅한다. 이때의 배합비율 세팅은 농작물별로 최적의 비율을 미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해두고 적용대상 농작물에 가장 적합한 배합비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각 펄프원료를 혼합할 때는 별도의 고해기(beater)에서 섬유재질을 알맞게 절단하거나 눌러 으깨는 방식으로 콜로이드화한 후에 혼합하거나 각 펄프원료를 먼저 혼합한 후에 하나의 고해기(beater)에서 콜로이드화 과정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서로 다른 재질의 펄프를 적절하게 혼합하는 것은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나 재배환경에 알맞는 인장강도와 내구성의 유지기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그 유지기간은 각 펄프의 혼합비율에 따라 조정될 것이다.
다음은 준비단계에서 확보된 혼합펄프를 물 속에 넣은 후에 통상의 종이제작 공정인 해리단계, 초지단계, 압착단계 및 건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종이원단(10)을 제작한다. 이때 종이원단의 길이에 대하여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농작물의 재배환경을 고려하여 200m 내외의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사용의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종이원단의 품질을 평가하여 원하는 품질의 종이원단을 얻지 못하면, 해리공정과 관련된 조건을 조정하여 품질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대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종이원단을 이용하여 친환경 노끈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각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에서는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코팅재나 표백제와 같은 화학약품의 사용을 철저히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종이원단 평가에서 품질기준을 통과한 제품이 얻어지더라도 현장의 실제적용을 통해 더 나은 품질조건을 발견한 경우에는 그에 맞는 배합비율로 DB를 업데이트하여 종이원단 품질의 지속적인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적용대상 농작물을 넝쿨식물 등으로 그 적용범위를 확대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단계는 롤에 감겨있는 종이원단(10)을 슬리팅 기계(Slitter)로 분리·절단하는 공정을 통해 테이프형 롤(30)를 만들고, 그 롤(30)에 감긴 테이프형 종이를 꼬는 공정(Paper twisting Process)을 거쳐 노끈사(S1~S4)를 제작한다. 이때 테이프형 종이는 넓이 20mm, 두께는 0.012mm로 제작하는 것이 공지의 공정장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그 다음단계에는 4개의 노끈사(S1~S4)를 이용하여 스트랜딩(Stranding) 공정을 통해 노끈(5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최종단계의 노끈(50)은 그 직경이 2mm정도의 규격을 갖도록 압착하여 제작하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열화현상으로 인장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병충해 등에 의한 노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종이재질의 노끈(50)에 의하면, 고추, 가지, 토마토와 같은 농작물의 모종에서 최종수확까지의 생육기간에만 한시적으로 내구력과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로프나 고정끈으로서의 순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끈(50)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열화현상으로 생태계 오염원인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이나 인장강도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병충해 등에 의한 노끈(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코팅재 등의 화학약품 사용을 의식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통상의 종이제조 장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고추, 가지, 토마토 등의 작물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작물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이, 수박과 같은 넝쿨식물의 유인끈까지 확대적용할 수 있고,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종이원단 30 : 테이프형 롤
50 : 노끈 S1~S4 : 노끈사(絲)

Claims (7)

  1. 농작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줄기나 가지가 기울거나 휘어져 내려앉지 않도록 지주에 묶어 사용하는 친환경 노끈(50)에 있어서,
    상기 노끈(50)은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를 소정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종이원단(10)을 이용하여 제작하되,
    상기 배합비율은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대응하는 기간동안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구성비를 설정하고,
    상기 노끈(50)은 롤에 감겨진 상기 종이원단(10)을 분리·절단한 테이프 형상의 종이를 꼬아서 만든 적어도 3개 이상의 노끈사(S1~S4)로 스트랜딩 처리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비율은 목재펄프 60 내지 80 중량%, 닥펄프 15 내지 25중량% 및 대마펄프 5 내지 15 중량%의 구성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은 고추, 하우스 특수작물 및 과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끈(50)은 농작물의 최종수확을 완료한 후 가위로 잘라 땅에 방치하더라도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두께의 규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5. 농작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줄기나 가지가 기울거나 휘어져 내려앉지 않도록 지주에 묶어 사용하는 친환경 노끈(50)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목재펄프와 닥펄프 및 대마펄프를 적용대상 농작물의 생육주기에 맞추어 소정의 배합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펄프재료를 해리한 후 초지공정, 압축공정 및 건조공정을 통해 종이원단(5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종이원단(50)을 롤에 감긴 채로 슬리팅 공정에 의해 분리·절단하여 테이프 형상의 종이 롤(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종이 롤(30)에 감긴 테이프 형상의 종이를 꼬아서 노끈사(S1~S4)를 제작하는 단계,
    적어도 3개 이상의 상기 노끈사(S1~S4)로 스트랜딩 공정을 통해 최종의 노끈(50)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비율은 목재펄프 60 내지 80 중량%, 닥펄프 15 내지 25중량% 및 대마펄프 5 내지 15 중량%의 구성비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끈(50)은 농작물의 최종수확을 완료한 후 가위로 잘라 땅에 방치하더라도 자연적으로 부식되어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의 제조방법
KR1020220008275A 2022-01-20 2022-01-20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KR10260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275A KR102608035B1 (ko) 2022-01-20 2022-01-20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275A KR102608035B1 (ko) 2022-01-20 2022-01-20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246A true KR20230112246A (ko) 2023-07-27
KR102608035B1 KR102608035B1 (ko) 2023-11-30

Family

ID=8743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275A KR102608035B1 (ko) 2022-01-20 2022-01-20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0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852A (ja) * 1998-07-17 2000-02-02 Mishima Paper Co Ltd 耐水性を有する紙紐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用支持具
KR100466965B1 (ko) 2002-05-20 2005-01-24 박태표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고정끈 제조방법 및 그 고정끈
JP2005295934A (ja) * 2004-04-14 2005-10-27 Tomoegawa Paper Co Ltd 農業用ネット
KR101013888B1 (ko) * 2010-05-28 2011-02-10 오동옥 천연섬유를 이용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1416116B1 (ko) 2014-03-18 2014-07-09 사해통상(주) 조경용 씨줄 로프
KR20160121119A (ko) 2015-04-10 2016-10-19 신은호 방수발수 기능을 갖는 천연로프 제조방법 및 방수발수 천연로프
KR20200121964A (ko) * 2019-04-16 2020-10-27 주식회사 인덕 융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인 쇼핑백 끈.
KR20210001251A (ko) * 2019-06-27 2021-01-06 오광진 종이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쇼핑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852A (ja) * 1998-07-17 2000-02-02 Mishima Paper Co Ltd 耐水性を有する紙紐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用支持具
KR100466965B1 (ko) 2002-05-20 2005-01-24 박태표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고정끈 제조방법 및 그 고정끈
JP2005295934A (ja) * 2004-04-14 2005-10-27 Tomoegawa Paper Co Ltd 農業用ネット
KR101013888B1 (ko) * 2010-05-28 2011-02-10 오동옥 천연섬유를 이용한 해조류 양식용 로프
KR101416116B1 (ko) 2014-03-18 2014-07-09 사해통상(주) 조경용 씨줄 로프
KR20160121119A (ko) 2015-04-10 2016-10-19 신은호 방수발수 기능을 갖는 천연로프 제조방법 및 방수발수 천연로프
KR20200121964A (ko) * 2019-04-16 2020-10-27 주식회사 인덕 융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인 쇼핑백 끈.
KR20210001251A (ko) * 2019-06-27 2021-01-06 오광진 종이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쇼핑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035B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0184C (en) A tube for plant cultivation preventing root twist
CN1182773C (zh) 用聚合物纤维作为土壤代替物支持植物生长的方法
Castellano et al. Plastic nets in agriculture: A general review of types and applications
KR102112804B1 (ko) 천연로프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1790928A (zh) 香樟大树快速高干压条繁殖法
Sharma et al. A substantial role of agro-textiles in agricultural applications
Marasovic Overview and perspective of nonwoven agrotextile
Chowdhury et al. Significance of agro-textiles and future prospects in Bangladesh
Restrepo-Osorio et al. Agrotextiles and crop protection textiles
KR102608035B1 (ko) 농작물 재배용 종이재질의 친환경 노끈 및 그 제조방법
DE60306284T2 (de) Netzwerkstruktur aus Papiergarn
Azam et al. Fibers for agro textiles
EP4214356A1 (de) Biologisch abbaubare aufleitschnur
KR101416116B1 (ko) 조경용 씨줄 로프
Ahokas et al. Paper based mulches as an alternative to polyethylene mulch in vegetable production
Rajiv et al. Protected Cultivation of High-Value Vegetable Crops Under Changing Climate
Kumar Textile is a boon agriculture
Buvaneswaran et al. Economics of cultivation of important trees in farmlands in Tamil Nadu
Gupta et al. Agro Shade Net: Construction and Applications
Tudora et al. Interactive, modulated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vegetable crops.
Kapila et al. Significance of Agro Textiles in Crop Production
Amsamani et al. Eco-Pots: An Alternative to Plastic Sapling Bags
KR20110005342U (ko) 완효성비료를 첨가한 코이어 화이버를 이용한 트리매트.
CN210621341U (zh) 植物纤维地膜
Khatik et al. Agro textiles: Bridge between textiles and agriculture;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