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784A -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784A
KR20230111784A KR1020220007666A KR20220007666A KR20230111784A KR 20230111784 A KR20230111784 A KR 20230111784A KR 1020220007666 A KR1020220007666 A KR 1020220007666A KR 20220007666 A KR20220007666 A KR 20220007666A KR 20230111784 A KR20230111784 A KR 20230111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lothing
functional
pattern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철
조나연
한지훈
황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Priority to KR102022000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784A/en
Publication of KR2023011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7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구비되어 근육 전기 자극 및 근육 테이핑 기능을 제공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기능성 웨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은, 의류에 구비되는 기능성 유닛으로서,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의 일면 상에 합착되는 제2 원단;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성 매체; 상기 도전성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지점에 부착되는 단자; 및 점착성과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의류를 착용할 시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능층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provided in clothing to provide muscle electrical stimulation and muscle taping functions,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unit provided in clothing, comprising: a first fabric; a second fabric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a conductive medium in which at least a partial area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riginal fabrics; A terminal attached to a poi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r ends in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and a functional layer made of an adhesive and conductive material, provided to be adhered to the wearer's skin when clothing is wor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Description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기능성 웨어{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패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에 구비되어 근육 전기 자극 및 근육 테이핑 기능을 제공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기능성 웨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attern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provided in clothing to provide muscle electrical stimulation and muscle taping functions,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전기 자극기 요법(ETS: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은 전기적 신호를 통해 인위적으로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여 치료하는 요법이다.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ETS) is a therapy that artificially induces muscle contraction through electrical signals for treatment.

ETS의 한 분야인 전기 근육 자극요법(EM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herapy)는 운동선수나 일반 사람들의 트레이닝 도구로, 신체의 일부나 전신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회복이나 2차적으로 따라오는 증상에 대한 예방수단 또는 선수들의 운동 후 회복 등에 활용된다.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Therapy (EMS), a field of ETS, is a training tool for athletes and general people. It is used for the recovery of patients who cannot move a part of their body or the whole body, as a preventive measure for secondary symptoms, or for recovery after exercise by athletes.

최근 들어, EMS는 훈련과 치료의 목적 이외에 미용 목적으로도 쓰이기 시작하고 있는데, 근육이 강해짐에 따라 체형이 보정되는 효과로 인해서 미용목적으로 트레이닝 분야에 적극 도입되고 있으며, 부수적인 효과로 칼로리 소모에서도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Recently, EMS is beginning to be used for cosmetic purposes in addition to training and treatment purposes. Due to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body shape as the muscles become stronger, it is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training field for cosmetic purposes, and as a side effect, it shows high efficiency in consuming calories.

종래에는 전기 근육 자극을 위한 기기로 주로 패치형(patch type)이 사용되고 있는데, 발진기가 큰 경우는 휴대 하기 어려워서 패치 착용 후 운동 시 장소가 제한되며, 패치 부착 부분이 많을수록 발진기와 패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많아져서 운동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patch type is mainly used as a device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but if the oscillator is large, it is difficult to carry, so the place is limited when exercising after wearing the patch, and the more patches are attached, the more wires connecting the oscillator and the patch.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10-2016 -0121727호에서, 의복의 내측에 부착되어 인체의 피부에 접촉하는 점착테이프(110)와 상기 점착테이프에 전기적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커넥터(120)를 구비하는 패턴재; 및 상기 제1 커넥터(12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240)를 구비하고, 어댑터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점착테이프로 공급하는 전원공급패드를 포함하는 전기 자극용 기능성 의복을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21727, has an adhesive tape 110 attached to the inside of clothing and in contact with the human skin, and a pattern material having a first connector 1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dhesive tape to supply power; and a power supply pad having a second connector 240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20 and supplying power applied through an adapter to an adhesive tape. Functional clothing for electrical stimulation has been proposed.

그런데, 이러한 특허출원 제10-2016-0121727호에 따른 전기 자극용 기능성 의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However, it has been recognized that functional clothing for electrical stimulation according to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21727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특허출원 제10-2016-0121727호와 같은 종래 기능성 의복은 단자 즉, 제1커넥터(120)를 도전성의 점착테이프에 직접 부착하여 전기적 연결되게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도성 실리콘의 압착 방식을 통해, 단자(즉, 제1커넥터 (120))가 점착테이프에 부착되게 구성하였다.That is, conventional functional clothing such as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21727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directly attaching a terminal, that is, the first connector 120 to a conductive adhesive tape. Specifically, the terminal (that is, the first connector 120) wa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through a compression method of conductive silicon.

그런데, 이러한 단자를 압착 방식으로 점착테이프에 바로 부착할 경우, 의복 착용자의 활동 과정에서 의복 원단의 신축성으로 인한 늘어짐과 단자의 금속재질로 인해 단자가 떨어지거나 압착된 전도성 실리콘이 손상되거나 부착력이 저하되어 단자의 전기접속상태의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se terminals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by a crimping method, the terminals fall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lothing fabric and the metal material of the terminals during the activity of the wearer, or the compressed conductive silicone is damaged or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resulting in po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terminals.

한편, 단자는 외복 외측에 부착되는 단자(이하, '외측 단자'라 칭함)와, 의복 내측에 부착되는 단자(이하, '내측 단자'라 칭함)로 구비되는데, 상기 경우 내측 단자에는 절연필름이 부착된다. 이는, 내측 단자가 피부에 직접 접촉될 경우 이로 인해 원치 않는 전기전도가 내측 단자를 통해 의복 착용자에게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erminal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gar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er terminal') and a terminal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gar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ner terminal'). In this case, an insulating film is attached to the inner terminal. This is to prevent unwanted electrical conduction from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wearer of the garment through the inner terminal when the inner termin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내측 단자는 전도성 실리콘 재질의 점착테이프 위에 직접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단자 위에 부착되는 절연필름 역시 점착테이프 위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Since the inner terminal is directly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made of conductive silicon, the insulating film attached to the second terminal also has a structure attached to the adhesive tape.

그런데, 점착테이프는 실리콘 고무 재질이기 때문에, PU 접합이 되지 않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별도의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하는 방식으로 절연필름을 부착해야만 했다.However, since the adhesive tape is made of silicone rubber, it cannot be bonded to PU, and for this reason, an insulating film had to be attached by applying and curing a separate liquid silicone.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 따르면, 기능성 의복의 제작을 위한 작업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가 증가되며, 특히 기능성 의복의 제조 및 사용 과정에서 절연필름이 손상되거나, 도포된 실리콘의 일부가 안 붙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working time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clothing increases and the types of materials used increas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nd using functional clothing, the insulating film may be damaged or some of the applied silicone may have a problem of not sticking.

한국등록특허 제10-1854305호(2018.04.26.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54305 (registered on April 26, 20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착용자의 활동에 의해 의복이 늘어나더라도 단자가 떨어지거나 전기접속 불량상태가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기능성 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that can prevent a problem of a terminal falling off or a poor electrical connection even if the clothing is stretched due to the activity of the clothing wearer,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에 보조필름(즉, 종래 절연필름)을 부착할 때 PU 접합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어 보조필름의 절연기능과 더불어 신축제한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기능성 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that can be attached by a PU bonding method when attaching an auxiliary film (i.e., a conventional insulating film) to a terminal, thereby realizing the insulation function of the auxiliary film as well as the stretch-limiting function,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은, 의류에 구비되는 기능성 유닛으로서,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의 일면 상에 합착되는 제2 원단;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성 매체; 상기 도전성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상기 제1 원단 및 상기 제2 원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지점에 부착되는 단자; 및 점착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를 착용할 시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기능층을 포함한다.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unctional unit provided in clothing, comprising: a first fabric; a second fabric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a conductive medium in which at least a partial area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riginal fabrics; A terminal attached to a poi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r ends in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and a functional layer formed of an adhesive material, adhered to the wearer's skin when the clothing is wor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and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에 의하면, 의류 착용자의 활동에 의해 의복이 늘어나거나 더 나아가 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단자가 떨어지거나 전기접속 불량상태가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lothing is stretched due to the activity of the clothing wearer or even if the clothing is subjected to vigorous exercise,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a terminal falling off or an electrical connection failur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에 의하면, 단자에 보조필름(즉, 종래 절연필름)을 부착할 때 PU 접합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조필름의 절연기능과 더불어 신축제한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종래 액상 실리콘 경화 방식에서 야기되었던 절연필름의 손상 및 실리콘 일부가 붙지 않는 문제 등을 제거할 수 있고, 기능성 의복의 제작을 위한 작업 시간 및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taching an auxiliary film (ie, a conventional insulating film) to a terminal, it can be attached by a PU bonding method.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insulating function of the auxiliary fil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elastic limiting function together,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insulating film and non-adherence of part of the silicone caused by the conventional liquid silicone c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of functional cloth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상측 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하측 방향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상측 방향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하측 방향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을 구비하는 기능성 웨어의 일례.
1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ownwar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ownward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functional wear having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는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대상 부분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n ~ or ~ on top" means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which does not necessarily mean located on the upper side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That is, "on ~ or on ~"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but also the case of being located in front of or behind the target part.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v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other part "directly on or above",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on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상측 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하측 방향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단면도이다.1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direction of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 및 도 2는 제3 원단(50) 및 기능층(60)을 미도시하였고, 도 1,2에 도시된 구성, 제3 원단(50) 및 기능층(60)이 모두 구비된 제1 실시예의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은 도 4에 도시하였다.For reference, for a clear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IGS. 1 and 2 do not show the third fabric 50 and the functional layer 60,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and 2, the third fabric 50 and the functional layer 60 are all provid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은 제1 원단(10), 제2 원단(20), 도전성 매체(30), 단자, 제3 원단(50), 및 기능층(6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보조필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bric 10, a second fabric 20, a conductive medium 30, a terminal, a third fabric 50, and a functional layer 60, and preferably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ilm 70.

제1 실시예의 제1 원단(10)은 의류/의복의 원료인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fabric 1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made of cloth that is a raw material of clothes/clothes.

제1 실시예의 제1 원단(10)은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능성 패턴 유닛이 부착되는 의류보다 작은 면적의 크기를 갖도록 재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의 제1 원단(10)은 해당 의류의 전체 면적의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재단될 수 있다.The first fabric 1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heet, and is cut to have a smaller area than clothing to which the functional patter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Specifically, the first fabric 1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ut to have a size of 1/10 or less, preferably 1/2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clothing.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예의 제1 원단(10)은 신축성이 없는 원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1 원단(10)이 신축성 있는 원단으로 형성될 경우, 의류 착용자의 활동 과정에서 원단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제1 원단(10)의 늘어짐이 발생할 시, 단자와 도전성 매체(30) 간의 전기접속 불량상태가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first fabric 10 of the first embodiment is preferably formed of a non-stretch fabric. When the first fabric 10 is formed of a stretchable fabric, when sagging of the first fabric 10 occurs due to elasticity of the fabric during a clothing wearer's activity,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ductive medium 30 is poor. This is to prevent a problem that is caused.

제1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제1 원단(10)의 일면 상에 합착되는 구성으로서, 의류 내지 의복의 원료가 되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fabric 20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10, and may be made of clothes or fabric that is a raw material of clothes.

제1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능성 패턴 유닛이 부착되는 의류보다 작은 면적의 크기를 갖도록 재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해당 의류의 전체 면적의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재단될 수 있다.The second fabric 2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heet shape, and is cut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at of clothing to which the functional patter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Specifically, the second fabric 2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ut to have a size of 1/10 or less, preferably 1/20 or less, more preferably 1/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clothing.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원단(10)과 제2 원단(2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제2 원단(20)은 제1 원단(10)보다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 원단(20)의 단축길이(도 1,2 기준 세로길이)는 제1 원단(10)의 단축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 원단(20)의 장축길이(도 1,2 기준 가로길이)는 제1 원단(10)의 장축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였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fabric 10 and the second fabric 2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econd fabric 20 is formed to have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fabric 10 . Specifically, the short axis length of the second fabric 20 (vertical length based on FIGS. 1 and 2) is formed equal to the short axis length of the first fabric 10, and the long axis length of the second fabric 20 (lateral length based on FIGS. 1 and 2) was formed longer than the long axis length of the first fabric 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열압착 방식을 통해 제1 원단(10)의 일면측에 합착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1 원단(10)과 제2 원단(20)은 이들 사이에 PU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접합필름이 구비된 상태에서 열압착함으로써 상호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fabric 2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bo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fabric 10 through a thermal compression method. In this case, the first fabric 10 and the second fabric 2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rmal compression in a state in which a PU (polyurethane) bonding film is provided therebetween.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신축성이 없는 원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제2 원단(20)이 신축성 있는 원단으로 형성될 경우, 의류 착용자의 활동 과정에서 원단의 신축성으로 인한 제2 원단(20)의 늘어짐이 발생할 시, 단자와 도전성 매체(30) 간의 전기접속 불량상태가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second fabric 20 of the first embodiment is preferably formed of a non-elastic fabric. When the second fabric 20 is formed of a stretchable fabric, when sagging of the second fabric 20 occurs due to elasticity of the fabric during the activity of the wear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ductive medium 30 is poor. This is to prevent a problem that is caused.

제1 실시예의 도전성 매체(30)는 전기전도성 소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원단(10)과 제2 원단(20)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로 구비된다.The conductive medium 3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ial area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10 and 20 .

제1 실시예의 도전성 매체(30)는 쉽게 굽혀지는 성질 즉 유연한 굽힘성이 있는 전기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매체(30)는 구리망, 솔더윅 및 전기전도성 섬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medium 30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hat is easily bendable, that is, has flexible bendabil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medium 3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pper network, a solder wick,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제1 실시예의 도전성 매체(30)는 도전성 매체(30)의 일단부(이하, '제1 접속부(K1)'라 칭함)가 제1 원단(10)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인출된 구조로 형성된다.The conductive medium 30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conductive medium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K1') is drawn out from one end of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도 2,3을 기준으로 할 때, 도전성 매체(30)는 이의 우측 단부 즉, 제1 접속부 (K1)가 제1 원단(10)의 우측 모서리부(즉, 우측 종단부)로부터 우측방향의 외부로 인출된 구조로 형성된다.2 and 3, the conductive medium 30 has its right end,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K1, from the right corner portion (ie,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to the outside in the right direction. It is formed in a structure drawn out.

즉, 도전성 매체(30)에 있어서 이의 우측 단부(즉, 제1 접속부(K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제1 원단(10)과 제2 원단(2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되고, 제1 접속부(K1)는 제1 원단(10)의 우측 종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That is, in the conductive medium 30,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its right end (i.e., the first connector K1)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10 and 2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rst connector K1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from the right end of the first fabric 10.

그리고, 도전성 매체(30)의 제1 접속부(K1)는 제2 원단(20)의 일단부의 밑에 배치되어, 제1 접속부(K1)의 상면 전체가 제2 원단(20)에 의해 가려지는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원단(20)의 일단부'란 제2 원단(20)과 합착되지 않은 부위를 지칭한다.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K1 of the conductive medium 30 is disposed under one end of the second original fabric 20, so that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K1 is covered by the second original fabric 20. Here, the 'one end of the second fabric 20' refers to a portion that is not bonded to the second fabric 20.

즉, 도 2,3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제2 원단(20)의 일단부'는 제1 원단(10)의 우측 모서리부(즉, 우측 종단부)를 기준으로 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연장되어 있는 영역에 해당한다.That is, in the case of FIGS. 2 and 3, the 'one end of the second fabric 20'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outward more than this based on the right corner (ie, the right end) of the first fabric 10. Corresponds to an area that extends.

그리고, 상기 '제2 원단(20)의 일단부의 밑'이란 전술한 '제2 원단(20)의 일단부'의 하측 영역 즉, 수직 하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의미한다.And, the 'below the one end of the second original fabric 20' means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lower area of the aforementioned 'one end of the second original fabric 20', that is, the vertical lower area.

이와 같은 제1 접속부(K1)는 제3 원단(50)에 형성된 기능층(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K1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unctional layer 60 formed on the third original fabric 50 .

제1 실시예의 단자(41)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도전성 매체(30)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기구이다.The terminal 41 of the first embodi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is a connection mechanism for transferring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nductive medium 3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41)는 제1 원단(10) 또는 제2 원단(20)의 일 지점에 부착되고, 도전성 매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는 제2 원단(20)에 있어서 도전성 매체(30)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일 지점 상에서 제2 원단(20)을 관통하여 도전성 매체(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41 is attached to one point of the first fabric 10 or the second fabric 20, a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30 by penetrating the second far end 20 on one point of the region where the conductive medium 30 is located in the second far end 2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는 도전성 매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제1 원단(10)의 일 지점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는 제1 원단(10)에 있어서 도전성 매체(30)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일 지점 상에서 제1 원단(10)을 관통하여 도전성 매체(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erminal may be attached to one point of the first fabric 10 in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3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30 by penetrating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on one point of the region where the conductive medium 30 is located in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그리고, 단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의 상단부는 제2 원단(20)의 외면 상에 노출되고, 단자의 하단부는 제1 원단(10)의 외면 상에 노출되거나 제1,2 원단 사이에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he terminal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is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aw material 20, and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is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aw material 10 or may be configured to be bur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riginal fabric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는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우,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제1 단자(41)는 적어도 일부가 제2 원단(20) 위에 배치되고, 제2 단자(42)는 적어도 일부가 제1 원단(10) 밑에 배치되며, 제1 단자(41)의 일부 영역은 핀 내지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2 원단(20), 도전성 매체(30) 및 제1 원단(10)을 관통하여 제2 단자(42)와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41 and a second terminal 42 . 2,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41 is disposed on the second fabric 2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42 is disposed below the first fabric 10, and a partial area of the first terminal 41 is formed in a pin or column shape to pass through the second fabric 20, the conductive medium 30, and the first fabric 10 to be bound with the second terminal 42.

또는, 제2 단자(42)의 일부 영역이 핀 내지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1 원단(10), 도전성 매체(30) 및 제2 원단(20)을 관통한 후 제1 단자(41)와 결속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도 있음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terminal 42 is formed in a pin or column shape to penetrate the first fabric 10, the conductive medium 30, and the second fabric 20, and then bind the first terminal 41. Of course,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한편, 단자를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로 구성할 경우, 특히 제2 단자(42)에는 보조필름(7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경우, 보조필름(70)은 제2 단자(42) 전체를 완전히 덮는 구조로 부착된다.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단자(41)에도 보조필름(70)이 동일한 구조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when the terminal is composed of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in particular, the auxiliary film 70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terminal 42. In this case, the auxiliary film 70 is attached in a structure that completely covers the entire second terminal 42 . Needless to say, the auxiliary film 70 may b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terminal 41 in the same structure as necessary.

보조필름(70)은 단자가 피부에 직접 접촉될 경우 이로 인해 원치 않는 전기전도가 단자를 통해 의복 착용자에게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의복 착용자의 활동과정에서 의류의 늘어짐으로 인해 단자의 접속상태가 불량이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auxiliary film 70 prevents unwanted electrical conduction from being directly applied to the wearer of clothing through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and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roblem of poor connection of the terminal due to sagging of clothing during the activity of the wearer.

따라서, 이러한 보조필름(70)은 절연성 및 비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필름(70)은 PU(폴리우레탄:polyurethane) 접합필름이 코팅된 신축성 없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auxiliary film 7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and non-stretchabil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film 70 may be formed of a non-stretchable fabric coated with a polyurethane (PU) bonding film.

본 발명에 따르면, 이처럼 단자에 보조필름(70)을 부착할 때 PU 접합 방식으로 부착할 수 있어 보조필름(70)의 절연기능과 더불어 신축제한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필름(70)의 절연기능과 더불어 신축제한 기능도 함께 구현할 수 있어, 종래 액상 실리콘 경화 방식에서 야기되었던 절연필름의 손상 및 실리콘 일부가 붙지 않는 문제 등을 제거할 수 있고, 기능성 의복의 제작을 위한 작업 시간 및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xiliary film 70 is attached to the terminal, it can be attached in a PU bonding method, so that the insulating function of the auxiliary film 70 and the elastic limit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together.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insulating function of the auxiliary film 7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tretch-limiting function together,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insulating film and non-adherence of part of the silicone caused by the conventional liquid silicone curing metho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ing time and types of materials use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clothing can be reduced.

제1 실시예의 제3 원단(50)은 일면 상에 기능층(6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의류/의복의 원료인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해당 의류(100)를 형성하는 원단일 수 있다. 즉, 제3 원단(50)은 본 발명의 기능성 패턴 유닛이 구비되는 의류(100)에 해당하는 원단일 수 있다.The third fabric 50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functional layer 6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may be made of fabric that is a raw material of clothes/clothes, and may be particularly a fabric for forming the corresponding clothes 100 . That is, the third fabric 50 may be a fabric corresponding to the clothing 100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patter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원단(50)은 일 지점에 접속홀(이하, '제2 접속홀(51)'이라 칭함)이 타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속홀(51)은 제3 원단(50)에 있어서 기능층(6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 내의 일 지점에 형성된다.A connection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onnection hole 51') is perforated at one point of the third original fabric 50 . 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ion hole 51 is formed at a point in the region where the functional layer 60 is formed in the third original fabric 50 .

제2 접속홀(51)의 내부는 도전성 물질(61)로 채워진다. 그리고 도전성 매체(30)의 제1 접속부(K1)는 이러한 제2 접속홀(51) 내의 도전성 물질(61)을 통해 기능층(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51 is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61 . Als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K1 of the conductive medium 30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unctional layer 60 through the conductive material 61 in the second connection hole 51 .

제2 접속홀(51) 내부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61)은 기능층(60)과 동일한 소재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전기전도성 실리콘 내지 전기전도성 페이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61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hole 51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e functional layer 6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onductive silicon or conductive paste.

한편, 제1,2 원단은 일 영역이 제3 원단(50)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2 원단은 적어도 제2 원단(20)의 일측 둘레 부위를 제3 원단(50)에 박음질하는 방식으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원단(20)의 일측 둘레 부위'는 도전성 매체(30)의 제1 접속부(K1)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원단(20) 영역의 테두리 부위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are configured such that one region is fixed on the third fabric 5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may be attached and fixed by stitching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econd fabric 20 to the third fabric 50 . Here,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second original fabric 20' may be an edge portion of the region of the second original fabric 20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K1 of the conductive medium 30.

더 나아가, 제1,2 원단의 보다 견고한 부착 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2 원단(20)의 일측 둘레 부위'는 물론, 제1,2 원단에 있어서 이들이 합착되어 있는 영역의 둘레부 중 일 부위를 제3 원단(50)에 박음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3 원단(50)에 대해 제1,2 원단의 상기 일 부위를 동시에 박음질함으로써 제1,2 원단이 제3 원단(50)에 보다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봉제할 수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ensure a more firmly attach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not only the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second fabric 20', but also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gion where they are joined in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ew to the third fabric 50. That is, by simultaneously stitching th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to the third fabric 50 ,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can be sewn to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third fabric 50 .

기능층(60)은 자기 점착력에 의해 피부에 점착되어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피부를 들어올려 근육 테이핑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전달됨으로써 해당 기능층(60)과 접촉하고 있는 근육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The functional layer 60 is adhered to the skin by self-adhesive force and lifts the ski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to provide a muscle tap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s transmitted to the functional layer 60. It functions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uscles in contact.

따라서, 기능층(60)은 자기 점착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해당 의류를 착용할 시 이러한 점착성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구비되고, 도전성 매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functional layer 6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elf-adhesiveness and conductivity, is provided to be adhered to the wearer's skin due to this adhesiveness when the corresponding clothing is worn, a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층(60)은 전기전도성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층(60)은 바인더로서 실리콘 수지에 전도성 분말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우 높은 전기전도성은 물론 제3 원단(50)과의 부착력을 구비하여 의류 원단을 문지르고 구부리고 당겼을 때에 잘 견딜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unctional layer 60 may be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silicon material. For example, the functional layer 60 may be formed by mixing a conductive powder with a silicone resin as a binder. In this case, it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s well as adhesive strength with the third fabric 50, so that it can withstand rubbing, bending, and pulling of the clothing fabric.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층(60)은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전기전도성 섬유가 혼합되고 분산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전기전도성 파우더가 더 혼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unctional layer 60 may be formed by curing liquid silicone rubber in a state in which conductive fibers are mixed and dispersed, and optionally, conductive powder may be further mix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층(60)은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구리 또는 은과 같은 전기전도성 입자가 혼합된 전기전도성 액상 실리콘 고무를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unctional layer 60 may be formed by cur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liquid silicone rubber in which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cles such as copper or silver are mixed with liquid silicone rubber.

기능층(60)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층(60)은 물결 무늬 모양으로 구성된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unctional layer 6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unctional layer 60 may be formed in a wave pattern shape.

제1 실시예의 기능층(60)은 기능층(60)은 제3 원단(5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원단(50)의 일면'이란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제3 원단(50)의 양쪽 면에 있어서 의류 착용자의 피부 쪽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In 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al layer 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fabric 50. Here, the 'one side of the third fabric 50' refers to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on both sides of the third fabric 50 based on the user wearing the clothing.

제1 실시예의 기능층(60)은 일 영역(이하, '제2 접속부'이라 칭함)이 제3 원단(50)의 제2 접속홀(51)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4를 기준으로 할 경우, 제3 원단(50)의 밑면에 기능층(60)이 형성되고, 기능층(60)의 일 영역은 제2 접속홀(51) 바로 아래(즉, 수직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firs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one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nnection part') is located on the second connection hole 51 of the third original fabric 50 . 4, the functional layer 60 is formed on the underside of the third original fabric 50, and one area of the functional layer 60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second connection hole 51 (ie, vertically below). It has a structure.

그리고, 제1 실시예의 기능층(60)의 제2 접속부는 제2 접속홀(51)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61)의 매개를 통해 도전성 매체(30)의 제1 접속부(K1)와 전기적 접속되게 구성된다.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K1 of the conductive medium 30 through the medium of the conductive material 61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hole 51.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상측 방향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하측 방향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단면도이다.5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direction of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은 제1 원단(10), 제2 원단(20), 도전성 매체(30), 단자, 및 기능층(60)을 포함한다.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bric 10, a second fabric 20, a conductive medium 30, terminals, and a functional layer 60.

제2 실시예의 제1 원단(10)은 일면 상에 기능층(60)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의류/의복의 원료인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당 의류(100)를 형성하는 원단일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제1 원단(10)은 본 발명의 기능성 패턴 유닛이 구비되는 의류(100)에 해당하는 원단일 수 있다.The first fabric 1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functional layer 60 formed on one surface, and may be made of cloth that is a raw material of clothes/clothes, and may be a fabric for forming the corresponding clothes 100 . That is, the first fabric 1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 fabric corresponding to the clothing 100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patter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의 제1 원단(10)은 일 지점에 접속홀(이하, '제1 접속홀(11)'이라 칭함)이 타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속홀(11)은 제1 원단(10)에 있어서 기능층(6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 내의 일 지점에 형성된다.In the first fabric 10 of the second embodiment, a connection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ion hole 11') is perforated at one point.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is formed at a point in the region where the functional layer 60 is formed in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

제1 접속홀(11)은 도전성 물질(63)로 채워진다. 그리고, 도전성 매체(30)는 이러한 제1 접속홀(11)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63)을 통해 기능층(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hole 11 is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63 . And, the conductive medium 30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unctional layer 60 through the conductive material 63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

제1 접속홀(11)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63)은 기능층(60)과 동일한 소재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전기전도성 실리콘 내지 전기전도성 페이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63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may be the same material as the functional layer 6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conductive silicon or conductive paste.

제2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제1 원단(10)의 일면 상에 합착되는 구성으로서, 의류 내지 의복의 원료가 되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fabric 2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10, and may be made of clothes or fabric that is a raw material of clothes.

제2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능성 패턴 유닛이 부착되는 의류보다 작은 면적의 크기를 갖도록 재단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해당 의류의 전체 면적의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재단될 수 있다.The second fabric 2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heet shape, and is cut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clothing to which the functional patter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Specifically, the second fabric 2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ut to have a size of 1/10 or less, preferably 1/2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30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clothing.

제2 실시예의 제1 원단(10)이 본 발명의 기능성 패턴 유닛이 구비되는 의류의 원단라면, 제2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제1 원단(10)보다 작은 소정 크기로 재단되어 해당 의류의 외측 일 영역에 부착되는 시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f the first fabric 1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fabric of clothing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patter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abric 2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smaller than the first fabric 10 and attached to one outer region of the cloth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실시예의 제2 원단(20)은 열압착 방식을 통해 제1 원단(10)의 일면측에 합착될 수 있다. 상기 경우, 제1 원단(10)과 제2 원단(20)은 이들 사이에 PU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접합필름이 구비된 상태에서 열압착함으로써 상호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fabric 2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bo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fabric 10 through a thermal compression method. In this case, the first fabric 10 and the second fabric 20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rmal compression in a state in which a PU (polyurethane) bonding film is provided therebetween.

제2 실시예의 도전성 매체(30)는 전기전도성 소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원단(10)과 제2 원단(20)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로 구비된다.The conductive medium 30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ial reg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and the second original fabric 20 .

제2 실시예의 도전성 매체(30)는 쉽게 굽혀지는 성질 즉 유연한 굽힘성이 있는 전기전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매체(30)는 구리망, 솔더윅 및 전기전도성 섬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medium 30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hat is easily bendable, that is, has flexible bendabil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medium 3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pper network, a solder wick,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도전성 매체(30)는 일 영역(이하, '제4 접속부'라 칭함)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원단(10)의 제1 접속홀(11) 상에(즉, 제1 접속홀(11)의 수직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원단(10)의 일면에 기능층(6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도전선 매체(30)의 제4 접속부는 제1 접속홀(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Conductive medium 30 has one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connection part') on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of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e, first connection hole 11). It is formed to be located vertically above. That i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functional layer 60 is no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ductive wire medium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It is configured.

제2 실시예의 단자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도전성 매체(30)로 전달하기 위한 접속기구이다.The terminal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connection mechanism for transferring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nductive medium 3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제2 실시예의 단자는 제1 실시예의 단자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제2 실시예의 단자는 도전성 매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제2 원단(20)의 일 지점에 부착되며, 이때 상세한 설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단자와 동일하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단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단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erminals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configured identically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terminal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ttached to one point of the second fabric 20 in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30, and at this time, the detailed installation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terminal of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first terminal 41 and a second terminal 42,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rminal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또한, 제2 실시예의 단자는 제1 실시예의 단자와 마찬가지로 보조필름(70)이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uxiliary film 70 may be attached to the terminal of the secon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terminal of the first embodiment.

제2 실시예의 기능층(6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능층(60)은 자기 점착력에 의해 피부에 점착되어 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피부를 들어올려 근육 테이핑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전달됨으로써 해당 기능층(60)과 접촉하고 있는 근육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dhered to the skin by self-adhesive force and lifts the ski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to provide a muscle tap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s transmitted to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muscles in contact with the functional layer 60.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기능층(6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기 점착성 및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해당 의류를 착용할 시 이러한 점착성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고, 도전성 매체(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물결무늬 패턴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의 형성 가능한 재질은 제1 실시예의 기능층(60)과 동일하다.Therefore, 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elf-adhesivenes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s in the first embodiment, adheres to the wearer's skin due to this adhesiveness when the corresponding clothing is wor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30,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wavy pattern, and its formable material is the same as that of 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first embodiment.

제2 실시예의 기능층(60)은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층(60)은 제1 원단(10)의 일면에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원단(10)의 일면'이란 제1 원단(10)의 양쪽 면에 있어서 도전성 매체(3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즉, 제1 원단(10)이 해당 의류를 구성하는 원단일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의류 착용자의 피부 쪽을 향하는 면을 의미한다.That is, the functional layer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fabric 10 . Here, the 'one side of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means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facing the conductive medium 30 on both sides of the first original fabric 10. That is, when the first fabric 10 is a fabric constituting the corresponding clothing, it refers to a surface facing the wearer's skin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clothing.

그리고, 제2 실시예의 기능층(60)은 일 영역(이하, '제3 접속부'이라 칭함)이 제1 접속홀(11)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제1 원단(10)의 밑면에 기능층(60)이 형성되고, 기능층(60)의 일 영역(즉, 제3 접속부)는 제1 접속홀(11) 바로 아래(즉, 수직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And, 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one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connection part') is located on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 7, the functional layer 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fabric 10, and one region (ie, the third connection part) of the functional layer 60 is directly below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ie, It has a structure disposed vertically below).

그리고, 제2 실시예의 기능층(60)의 제3 접속부는 제1 접속홀(11)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63)의 매개를 통해 도전성 매체(30)의 전술한 제4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And, the third connection part of the functional laye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forementioned fourth connection part of the conductive medium 30 through the medium of the conductive material 63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11.

도 8은 본 발명의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을 구비하는 기능성 웨어의 일례이다. 도 8의 예시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성 패턴 유닛은 예컨대 스판덱스 섬유와 같은 신축성 재질의 웨어에 구비되어 근육 테이핑 효과 및 근육 전기자극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성 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8 is an example of functional wear having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8 , the functional patter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wea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pandex fiber to configure functional wear providing a muscle taping effect and a muscle electrical stimulation function.

상기 경우, 본 발명의 기능성 웨어는 의류(100)와, 상기 의류(100)에 구비되는 전술한 기능성 패턴 유닛과, 상기 기능성 패턴 유닛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능층(6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는 벨크로 또는 스냅 단추 등과 같은 공지의 부착 수단을 통해 해당 의류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unctional 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lothing 100, the functional pattern unit provided in the clothing 100, and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erminals of the functional pattern unit to supply power to the functional layer 60. 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clothing through a known attachment means such as Velcro or a snap butt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에 의하면, 의류 착용자의 활동에 의해 의복이 늘어나거나 더 나아가 격한 운동을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단자가 떨어지거나 전기접속 불량상태가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lothing is stretched due to the activity of the clothing wearer or even if the clothing is subjected to vigorous exerci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terminal falling off or electrical connection failure as in the prior art, and thus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improved.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specific terms above, such terms are only used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nd described ter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following claims. It is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원단 11: 제1 접속홀
20: 제2 원단 30: 도전성 매체
41: 제1 단자 42: 제2 단자
50: 제3 원단 51: 제2 접속홀
60: 기능층
61: 제2 접속홀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
63: 제1 접속홀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
70: 보조필름 100: 의류
10: first far end 11: first connection hole
20: second fabric 30: conductive medium
41: first terminal 42: second terminal
50: 3rd far end 51: 2nd connection hole
60: functional layer
61: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hole
63: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70: auxiliary film 100: clothing

Claims (13)

의류에 구비되는 기능성 유닛으로서,
제1 원단;
상기 제1 원단의 일면 상에 합착되는 제2 원단;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원단과 상기 제2 원단 사이에 개재되는 도전성 매체;
상기 제1 원단 또는 상기 제2 원단의 일 지점에 부착되고, 상기 도전성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점착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의류를 착용할 시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s a functional unit provided in clothing,
a first fabric;
a second fabric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fabric;
a conductive medium in which at least a partial area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riginal fabrics;
a terminal attached to a point of the first or second far e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and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omprising a functional layer formed of an adhesive and conductive material, provided to be adhered to the wearer's skin when the clothing is wor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매체는,
상기 도전성 매체의 일단부(이하, '제1 접속부'라 칭함)가 상기 제1 원단의 일단부에서 외부로 인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기능층은,
상기 제1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medium,
One end of the conductive med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 structure drawn out from one end of the first fabric,
The functional layer,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2 원단의 일단부의 밑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면 전체가 상기 제2 원단에 의해 가려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원단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원단과 합착되지 않은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part,
It is disposed under one end of the second fabric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vered by the second fabric,
One end of the second fabric,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that is not bonded to the first fabric.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단은,
일 지점에 제1 접속홀이 타공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매체는,
일 영역(이하, '제4 접속부'라 칭함)이 상기 제1 접속홀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능층은,
상기 제1 접속홀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을 통해 상기 제4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abric,
A first connection hole is perforated at one point,
The conductive medium,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first connection hole,
The functional layer,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ion part through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를 형성하는 제3 원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층은 상기 제3 원단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원단은,
일 지점에 접속홀(이하, '제2 접속홀'이라 칭함)이 타공되어 있고,
상기 기능층은,
일 영역(이하, '제2 접속부'이라 칭함)이 상기 제2 접속홀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홀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을 통해 상기 제1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hird fabric forming the garment,
The functional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fabric,
The third fabric,
A connection ho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nnection hole') is perforated at one point,
The functional layer,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econd connection ho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through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hol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상기 제1 원단의 양쪽 면 중 상기 도전성 매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일 영역(이하, '제3 접속부'이라 칭함)이 상기 제1 접속홀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 접속부는,
상기 제1 접속홀에 형성된 도전성 물질을 통해 상기 도전성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4,
The functional layer,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facing the conductive medium of both sides of the first fabric,
An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first connection hole,
The third connection part,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dium through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1 단자와 결속되는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제2 원단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제1 원단 밑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의 일부 영역은 핀 또는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원단, 상기 도전성 매체 및 상기 제1 원단을 관통하여 제2 단자와 결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is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disposed on the second far e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under the first fabric,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in a pin or column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bound to the second terminal by penetrating the second fabric, the conductive medium, and the first fabric.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매체는 구리망, 솔더윅 및 전기전도성 섬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conductive medium is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copper net, solder wick and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전기전도성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functional layer is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silicon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전체를 완전히 덮는 구조로 부착되는 보조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필름은 절연성 및 비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ilm attached to the structure completely covering the entire terminal,
The auxiliary film is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aterial having insulating properties and non-stretchabilit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름은 PU 접합필름이 코팅된 신축성 없는 원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10,
The auxiliary film is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non-stretchable fabric coated with a PU bonding film.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단의 일측 둘레 부위는 박음질에 의해 상기 제3 원단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제2 원단의 상기 일측 둘레 부위는 상기 제1 접속부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제2 원단 영역의 테두리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According to claim 5,
One sid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abric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third fabric by stitching,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one side of the second fabric is an edge portion of the second fabric region located at a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의류;
상기 의류에 구비되는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의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 및
상기 의류용 기능성 패턴 유닛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웨어.
clothes;
a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provided on the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to supply power.
KR1020220007666A 2022-01-19 2022-01-19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KR202301117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666A KR20230111784A (en) 2022-01-19 2022-01-19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666A KR20230111784A (en) 2022-01-19 2022-01-19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784A true KR20230111784A (en) 2023-07-26

Family

ID=8742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666A KR20230111784A (en) 2022-01-19 2022-01-19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78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05B1 (en) 2016-09-22 2018-05-04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Functional wear for electrical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05B1 (en) 2016-09-22 2018-05-04 주식회사 웨이브컴퍼니 Functional wear for electrical stimu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896B1 (en) Clothes with increased exercise effect
EP1578482B1 (en) Electrode arrangement
CN105286106B (en) With for measuring the garments worn of the sensor of physiological signal
CN101687096B (en) Wear for electrically stimulating muscles
CN102727182A (en) Sensor garment
JP7446368B2 (en) Device with at least one electrode unit for data detect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or diagnostic equipment
KR101894177B1 (en) Wearing devi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and system using it
KR20230111784A (en) Functional pattern unit for clothing and functional wear having the same
CN107734831B (en) Wearable flexible conductive fabric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854305B1 (en) Functional wear for electrical stimulation
KR200353598Y1 (en) Sheet with electric conductive pad for electric stimulation
KR200490571Y1 (en) Knit band for low-frequency and therapeutic thermotherapy apparatus
KR200409147Y1 (en) The Low Frequency Suit
US11457868B2 (en) Conductive transfer
KR102013900B1 (en) Functional wear with adhesive pattern minimizing cut off of power supply
CN206924067U (en) One kind wears electrode band
TWI743236B (en) Wearable electrodes
TWM602412U (en) Functional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full textile type, wiring totem and regional protective gear
CN220491621U (en) Conducting strip and electrode assembly for wearable massage equipment
CN215995290U (en) Pulse physiotherapy structure and wearable device
CN212728815U (en) Intelligent abdomen pants
CN211532837U (en) Knitting compound circuit wiring structure of body-building clothes
CN212728835U (en) Intelligent wearable garment
US20220168561A1 (en)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CN213281543U (en) Body-building shaping tro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