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98A - Bridge type brush container - Google Patents

Bridge type brush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98A
KR20230111498A KR1020220007428A KR20220007428A KR20230111498A KR 20230111498 A KR20230111498 A KR 20230111498A KR 1020220007428 A KR1020220007428 A KR 1020220007428A KR 20220007428 A KR20220007428 A KR 20220007428A KR 20230111498 A KR20230111498 A KR 20230111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upler
type brush
container
connection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호
오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0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498A/en
Publication of KR2023011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용기의 개봉 여부 확인이 용이하고, 약액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는 수용부, 캡부 그리고 개봉 유무 표시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수용 용기의 개구를 형성하는 연결넥과, 수용 용기 및 연결넥을 연결하는 숄더를 가진다. 캡부는 연결넥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구와, 결합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캡과, 결합구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브릿지를 가진다. 개봉 유무 표시부는 결합구의 하측에서 연결넥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개봉 링과, 개봉 링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1브릿지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브릿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브릿지를 가진다. 캡부가 개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제1브릿지의 하단부는 개봉 링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2브릿지의 상단부는 결합구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캡부가 최초 개봉되도록 회전되면, 제1브릿지의 하단부는 개봉 링의 상단부에서 분리되고, 제2브릿지의 상단부는 결합구의 하단부에서 분리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that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container is opened and effectively prevent evaporation of a chemical solution. Here,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a cap portion, and an unopened display por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has a accommodating container in which the liquid medicine is accommodated, a connecting neck forming an opening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and a shoulder connecting the accommodating container and the connecting neck. The cap unit has a coupler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a cap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upler, and a plurality of first bridge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coupler. The opening indication unit has a release ring provid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upler, and a second bridg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ridge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ring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idg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cap portion is not open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r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and when the cap is rotated to open for the first time,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Description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BRIDGE TYPE BRUSH CONTAINER}Bridge type brush container {BRIDGE TYPE BRUSH CONTAINER}

본 발명은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봉 여부 확인이 용이하고, 약액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apable of easily checking whether the container is opened and effectively preventing evaporation of a chemical solution.

일반적으로 액체 형태의 약품, 즉, 약액이 수용되는 약액 용기는 유통과정에서 약액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개봉한 후 보관중에도 약액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가 기밀하게 밀봉되는 것이 중요하다.In general, it is important that the stopper of a liquid-type drug, that is, a drug solution container containing a drug solution is hermetically sealed to prevent leakage of the drug solution during distribution and to prevent the drug solution from evaporating during storage after opening.

그러나, 종래의 약액 용기는 밀봉구조가 취약하여 유통과정에서 약물이 누출되거나, 용기를 개봉한 후 보관중에 약액이 증발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conventional drug container has a weak sealing structure, so that the drug leaks during distribution or the drug solution evaporates during storage after opening the container.

또한, 약액 용기는 의약품 용기이기 때문에, 의약품 용기의 사용 유무가 확실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다, 종래의 약액 용기는 일단 캡을 개봉한 후 다시 닫게 되면, 개봉이 된 용기인지 아닌지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거리에서는 이러한 개봉 여부의 구별이 더욱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quid medicine container is a medicine container, it is important to clearly indicate whether or not the medicine container is used. Then, in the conventional liquid medicine container, once the cap is opened and closed aga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container has been open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such an opening has been opened at a long distan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40639호(2012.04.27.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40639 (published on April 27, 201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의 개봉 여부 확인이 용이하고, 약액의 증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that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container is opened and effectively prevent evapor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를 형성하는 연결넥과,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연결넥을 연결하는 숄더를 가지는 수용부; 상기 연결넥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캡과, 상기 결합구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브릿지를 가지는 캡부; 그리고 상기 결합구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넥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개봉 링과, 상기 개봉 링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브릿지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브릿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브릿지를 가지는 개봉 유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가 개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제1브릿지의 하단부는 상기 개봉 링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브릿지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구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캡부가 최초 개봉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1브릿지의 하단부는 상기 개봉 링의 상단부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브릿지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구의 하단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ommodation unit having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liquid medicine, a connection neck forming an opening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and a shoulder connecting the accommodation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neck; a cap portion having a coupler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a cap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upler, and a plurality of first bridge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coupler; and an unsealing ring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upler, and an unsealed status indicator having a second bridge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release ring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id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ovided between the first bridges, wherein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cap unit is not open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lease 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When the cap is rotated to open for the first time,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는, 상기 캡부가 개봉되도록 회전 시에 상기 제2브릿지를 하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1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idge may have a first inclined surface providing force to push the second bridge downward when the cap portion is rotated so as to be op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는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idge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lower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idge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는, 상기 캡부가 개봉되도록 회전 시에 상기 제1브릿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개봉 링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전달받는 제2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ridge may have a second inclined surface that receives a force applied by the first bridge to push the release ring downward when the cap portion rotates to be op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는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ridge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upper e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ridge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최초 개봉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브릿지가 상기 개봉 링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브릿지가 상기 결합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개봉 링은 상기 숄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숄더에 고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p part is rotated to open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ring, and the second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coupler, the release r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and fixed to the shou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숄더 및 상기 개봉 링의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더 구비되는 점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portion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houlder and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ring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숄더에 구비되는 제1자석 및 상기 개봉 링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석에 인력을 가지는 제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magnet provided on the shoulder and a second magnet provided on a lower end of the release ring and having an attractive force to the first magnet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은, 상기 연결넥의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고, 상기 개봉 링은, 상기 개봉 링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neck may have a coupling groove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ower end of the connection neck, and the release ring may have an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lease ring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은 상기 개봉 링이 상기 숄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브릿지의 하단부 및 상기 제2브릿지의 상단부 사이로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식별부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neck may have an identification part formed to a length such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ex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when the opening r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1브릿지의 돌출 높이, 상기 제2브릿지의 돌출 높이 및 상기 개봉 링의 폭의 합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part may be formed with a length greater than the sum of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bridg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second bridge, and the width of the release 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의 외주면은 상기 개봉 링의 컬러 및 상기 결합구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unit may have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sealing ring and the color of the coup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콘 헤드를 가지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콘 헤드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콘 헤드와의 사이에 제1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가압턱을 가지고,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넥과의 사이에 제2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제1가압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결합력은 상기 제1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portion having a fix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and a cone head connected to the fixture and extending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wherein the cap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so as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e head, has a pressing jaw for generating a first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e head, and press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to generate a second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ion neck and the It has one press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upling forc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coupling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밀착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캡부는, 상기 결합구 및 상기 캡을 연결하고 상기 밀착 플랜지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구가 상기 연결넥과 나사 결합 시에 상기 밀착 플랜지를 상기 숄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구를 가지며, 상기 밀착 플랜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를 가압하는 제2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portion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and has a close contact flang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onnection neck, and the cap portion connects the coupler and the cap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flange. When the coupler is screwed with the connection neck, it has a pressurizing opening for pressing the close flange in the shoulder direction, and the close flange may have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ressurizing the pressing open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캡부가 최초 개봉되도록 회전되면, 캡부와 결합되어 있던 개봉 유무 표시부가 분리되고 숄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숄더로 이동된 개봉 링은 그 자체가 캡부가 이미 개봉되었음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개봉 링이 숄더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으면 캡부가 개봉된 상태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p portion is initially rotated to be opened, the unopened indication portion coupled to the cap portion may be separated and moved in the shoulder direction. The release ring moved to the shoulder serves to indicate that the cap portion has already been opened, an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cap portion is opened when the release r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턱 및 콘 헤드 사이가 기밀되고, 제1가압돌기 및 연결넥 사이가 기밀되며, 제2가압돌기 및 가압구 사이가 기밀될 수 있기 때문에, 약액의 증발 및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pressure jaw and the cone hea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irst pressure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neck,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econd pressure protrusion and the pressure hole, evaporation and leakage of the liquid medicin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의 조립 공정에서, 홀더부의 콘 헤드가 가압턱에 먼저 결합되도록 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를 연결넥에 결합하면 캡부가 연결넥에 나사 결합될 때, 홀더부도 연결넥에 삽입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the cone head of the holder portion is first coupled to the pressure jaw, and in such a coupled state, if the cap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neck, the cap portion When screwed to the connection neck, since the holder portion can als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neck,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캡부 및 개봉 유무 표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의 개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에서 개봉 후 개봉 유무 표시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front view showing the cap part and the unopened display part in FIG. 1 as the center.
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ning operation of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an open/closed display unit from moving after opening in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캡부 및 개봉 유무 표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ap portion in FIG.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설명하며, 상 방향에 대해서는 상단/상단부/상향/상측/상부의 용어를 사용하고, 하 방향에 대해서는 하단/하단부/하향/하측/하부의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up-and-down direction is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 the terms of top / top / up / top / upper are used for the up direction, and the bottom / bottom / bottom / bottom / bottom is used for the bottom direc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는 수용부(100), 캡부(200) 그리고 개봉 유무 표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100, a cap part 200, and an unopened display part 300.

먼저, 수용부(100)는 수용 용기(110), 연결넥(120) 및 숄더(130)를 가질 수 있다.First, the accommodating part 100 may have an accommodating container 110, a connection neck 120 and a shoulder 130.

수용 용기(110)는 약액을 수용할 수 있다.The container 110 may contain the liquid medicine.

연결넥(120)은 수용 용기(11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수용 용기(110)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넥(120)은 제1나사산(121) 및 식별부(122)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neck 12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110 to form an opening of the container 110 . The connection neck 120 may have a first screw thread 121 and an identification unit 122 .

제1나사산(121)은 연결넥(12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식별부(122)는 제1나사산(121)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넥(120)의 하부를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screw thread 121 may be form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120, and the identification portion 122 may mean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neck 120 in which the first screw thread 121 is not formed.

숄더(130)는 수용 용기(1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용기(110) 및 연결넥(120)을 연결할 수 있다. The shoulder 13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10 and may connect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10 and the connection neck 120 .

그리고, 캡부(200)는 결합구(210), 캡(220) 및 제1브릿지(230)를 가질 수 있다.Also, the cap unit 200 may have a coupler 210 , a cap 220 and a first bridge 230 .

결합구(210)의 내주면에는 제1나사산(121)과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합구(210)는 연결넥(12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210)의 외주면에는 널링(212)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screw thread 211 screwed to the first screw thread 1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 210, and through this, the coupler 210 may be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120. Can be. A knurling 21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 210 .

캡(220)은 결합구(2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cap 22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upler 210 and may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제1브릿지(230)는 결합구(210)의 하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ridge 23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210, and may protrude downward.

그리고, 개봉 유무 표시부(300)는 개봉 링(310) 및 제2브릿지(320)를 가질 수 있다.Also, the unsealed indication unit 300 may have an unsealed ring 310 and a second bridge 320 .

개봉 링(310)은 결합구(210)의 하측에서 연결넥(120)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봉 링(310)은 연결넥(120)의 외측지름보다 큰 내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넥(12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release ring 31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120 at the lower side of the coupler 2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lease ring 310 may be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neck 120 and may mov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neck 120 .

제2브릿지(320)는 개봉 링(310)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1브릿지(230)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ridge 3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idge 23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unsealing ring 310, and may protrude upward.

캡부(200)가 개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제2브릿지(320)는 제1브릿지(2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브릿지(230)의 하단부(321)는 개봉 링(3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2브릿지(320)의 상단부(231)는 결합구(21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cap part 200 is not opened, the second bridge 3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ridge 230 . Also, the lower end 321 of the first bridge 2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nsealing ring 310, and the upper end 231 of the second bridge 3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210.

제1브릿지(230)는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브릿지(230)의 하단부(232) 및 개봉 링(310) 사이의 결합력은 제1브릿지(230)의 상단부(231) 및 결합구(210) 사이의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bridge 23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lower end.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end 232 of the first bridge 230 and the release ring 310 may be small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upper end 231 of the first bridge 230 and the coupler 210 .

제1브릿지(230)는 캡부(200)가 개봉되도록 회전되는 회전 방향을 향하는 제1경사면(233)과, 제1경사면(233)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반대측 면(234)을 가질 수 있다. 제1경사면(233)은 하측으로 갈수록 회전 방향의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ridge 230 may have a first inclined surface 233 facing the rotational direction in which the cap portion 200 is rotated to be opened, and an opposite surface 234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may b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rotation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side.

제1브릿지(230)의 반대측 면(234)은 제1경사면(233)에 반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브릿지(230)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브릿지(23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역 정삼각형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측 면(23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브릿지(230)가 역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opposite side surface 234 of the first bridge 230 may be inclined to be opposite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and through this, the first bridge 230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However, the first bridge 23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as shown in FIG. 3, and the opposite surface 234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bridge 2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right triangle.

그리고, 제2브릿지(320)는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브릿지(320)의 상단부(322) 및 결합구(210) 사이의 결합력은 제2브릿지(320)의 하단부(321) 및 개봉 링(310) 사이의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ridge 32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upper end.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upper end 322 of the second bridge 320 and the coupler 210 may be small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end 321 of the second bridge 320 and the release ring 310.

제2브릿지(320)는 제1경사면(233)에 대향되는 제2경사면(323)과, 제2경사면(323)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반대측 면(324)을 가질 수 있다. 제2경사면(323)은 제1경사면(233)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경사면(323)은 상측으로 갈수록 캡부(200)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1경사면(233)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ridge 320 may have a second inclined surface 323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and an opposite surface 324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3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 For exampl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3 may be inclined towar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p part 200 toward the upper side,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

제2브릿지(320)의 반대측 면(324)은 제2경사면(323)과 반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브릿지(320)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브릿지(32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삼각형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측 면(324)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브릿지(320)가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opposite side surface 324 of the second bridge 320 may be inclined opposite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3, and through this, the second bridge 320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However, the second bridge 32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n equilateral triangle as shown in FIG. 3, and the opposite side surface 324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bridge 3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ight triangle.

개봉 링(310)은 제1나사산(121)의 외측지름보다 작은 내측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부(200)가 개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캡부(200)가 최초 개봉되도록 회전되면, 캡부(200)는 회전되면서 상향 이동되는 반면, 개봉 링(310)은 제1나사산(121)에 걸려 상향 이동되지 못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작은 제1브릿지(230)의 하단부(232)는 개봉 링(310)의 상단부에서 분리되고, 제2브릿지(320)의 상단부(322)는 결합구(210)의 하단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opening ring 310 may be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irst screw thread 121 . Therefore, when the cap part 200 is rotated to be opened for the first time in an initial unopened state, the cap part 200 moves upward while being rotated, while the release ring 310 is caught by the first screw thread 121 and is not moved upward, so that the lower end 232 of the first bridge 230, which has a relatively small coupling forc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unseal ring 310, and the second bridge 320 The upper end 322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210 .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의 개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ning operation of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부(200)가 개방되는 회전방향(R)으로 회전되어 제1브릿지(230)의 하단부가 개봉 링(310)의 상단부에서 분리되고, 제2브릿지(320)의 상단부가 결합구(210)의 하단부에서 분리된 후 캡부(200)의 회전이 계속되면, 제1브릿지(230)의 제1경사면(233)은 제2브릿지(320)의 제1경사면(233)을 가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if the rotation of the cap part 200 continues after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23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ring 31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32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210 as the cap part 200 is rota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R in which the cap part 200 is open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of the first bridge 230 is the second bridge 3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of 20) may be pressed.

그러면, 회전방향의 가압력(F1)이 제1경사면(233)을 통해 제2경사면(323)으로 전달되고, 제2경사면(323)에 의해 제2브릿지(320)에는 하측방향의 분력(F2)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브릿지(320)는 하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개봉 링(310)은 낙하 이동(M) 하게 된다.Then, the pressing force F1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3 throug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33, and a downward component force F2 is generated in the second bridge 320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323. Accordingly, the second bridge 320 is pushed downward, and the release ring 310 is moved to drop (M).

도 5를 참조하면, 낙하 이동한 개봉 링(310)은 숄더(13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숄더(130)로 이동된 개봉 링(310)은 그 자체가 캡부(200)가 이미 개봉되었음을 표시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개봉 링(310)이 숄더(130)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으면 캡부(200)가 개봉된 상태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opening ring 310 that has been dropped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130 . The release ring 310 moved to the shoulder 130 serves to indicate that the cap portion 200 has already been open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cap portion 200 is opened when the release ring 31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130.

한편, 연결넥(120)의 식별부(122)는, 개봉 링(310)이 숄더(130)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1브릿지(230)의 하단부 및 제2브릿지(320)의 상단부 사이로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portion 122 of the connection neck 120 may be formed to a length such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ex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23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320 when the release ring 31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130.

즉, 식별부(122)의 길이(L)는 제1브릿지(230)의 돌출 높이(H1)와, 제2브릿지(320)의 돌출 높이(H2)와, 개봉 링(310)의 폭(W)의 합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봉 링(310)이 숄더(130) 방향으로 이동되면 식별부(122)는 결합구(210) 및 개봉 링(310)의 사이로 확실하게 노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length L of the identification unit 122 may be longer than the sum of the protruding height H1 of the first bridge 230, the protruding height H2 of the second bridge 320, and the width W of the release ring 310. Therefore, when the release ring 31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130, the identification unit 122 can be reliably exposed between the coupler 210 and the release ring 310.

식별부(122)의 노출 상태 확인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도록, 식별부(122)의 외주면은 개봉 링(310)의 컬러 및 결합구(210)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봉 링(310) 및 결합구(210)는 흰색으로 형성되고, 식별부(122)의 외주면은 적색으로 형성됨으로써, 개봉 링(310)이 결합구(210)에서 분리되었음이 직관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식별부(122)는 컬러를 가지는 소재로 성형되거나, 또는 식별부(122)에 별도의 컬러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unit 122 may have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opening ring 310 and the color of the coupler 210 so that the identification unit 122 can check the exposure state more effectively. For example, since the release ring 310 and the coupler 210 are formed in whi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unit 122 is formed in red, it can be intuitively distinguished that the release ring 310 has been separated from the coupler 210. The identification unit 1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lor, or a separate color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dentification unit 122 .

숄더(130) 방향으로 이동된 개봉 유무 표시부(300)는 숄더(13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ed/unsealed display unit 300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130 is fixed to the shoulder 130 .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에서 개봉 후 개봉 유무 표시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an open/closed display unit from moving after opening in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넥(120)은, 연결넥(120)의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123)을 가질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a) of FIG. 6, the connection neck 120 may have a coupling groove 12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neck 120.

그리고, 개봉 링(310)은, 개봉 링(31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결합홈(123)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11)를 가질 수 있다. 개봉 링(310)이 숄더(130) 방향으로 이동되고 결합돌기(311)가 결합홈(123)에 결합되면 개봉 링(310)은 고정될 수 있다.Also, the unsealing ring 310 may have an engaging protrusion 311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sealing ring 310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3 . When the release ring 31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13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11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3, the release ring 310 may be fixed.

또는,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는 점착부(140,312)를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6,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may include adhesive portions 140 and 312.

점착부(140,312)는 숄더(130) 및 개봉 링(310)의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점착부(140,312)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구비되거나,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dhesive parts 140 and 312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130 and the release ring 310 . The adhesive portions 140 and 312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partially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는,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는 제1자석(150) 및 제2자석(313)을 가질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c) of FIG. 6,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may have a first magnet 150 and a second magnet 313.

제1자석(150)은 숄더(130)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자석(313)은 개봉 링(3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자석(313)은 제1자석(150)에 인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봉 링(310)이 숄더(130)에 근접하게 되면 제1자석(150) 및 제2자석(313)이 서로 붙고, 개봉 링(310)은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 150 may be provided on the shoulder 130 and the second magnet 313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ring 310 . The second magnet 313 may have an attractive force to the first magnet 150, and accordingly, when the release ring 310 approaches the shoulder 130, the first magnet 150 and the second magnet 313 a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release ring 310 may be fix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illustration of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함께,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는 홀더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ogether with FIG. 2 ,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part 400 .

그리고, 홀더부(400)는 고정구(410) 및 콘 헤드(420)를 가질 수 있다. Also, the holder part 400 may have a fixture 410 and a cone head 420 .

고정구(410)는 연결넥(1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고정구(410)의 외주면에는 제1가압돌기(4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가압돌기(411)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fixture 4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120 . A first pressing protrusion 411 may protrude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410 , and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411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연결넥(120)의 내주면은 제1지름(D1)으로 형성되고, 고정구(410)의 외주면은 제1지름(D1)에 대응되는 제2지름(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410)가 연결넥(120)에 삽입되면, 제1가압돌기(411)는 연결넥(120)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고정구(410)와 연결넥(12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고정구(410)와 연결넥(120) 사이가 기밀되도록 하여 약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120 may be formed with a first diameter (D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410 may be formed with a second diameter (D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ameter (D1). When the fixture 4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neck 120,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411 press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120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xture 410 and the connection neck 12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xture 410 and the connection neck 120 is airtight, so that leakage of the chemical solution can be prevented.

콘 헤드(420)는 고정구(4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콘 헤드(420)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e head 420 may be connected to the fixture 410 and may extend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cone head 420 may be formed such that an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그리고, 홀더부(400)는 밀착 플랜지(430)를 가질 수 있다. 밀착 플랜지(430)는 고정구(4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410)가 연결넥(120)에 삽입되면, 밀착 플랜지(430)는 연결넥(120)의 상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Also, the holder part 400 may have a close contact flange 430 . The close contact flange 430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410 an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n the fixture 4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neck 120, the contact flange 4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neck 120.

밀착 플랜지(430)의 상면에는 제2가압돌기(4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가압돌기(431)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43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lose flange 430 , and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431 may be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한편, 캡부(200)는 가압구(240)를 가질 수 있다. 가압구(240)는 결합구(210) 및 캡(220)을 연결할 수 있다. 결합구(210)가 연결넥(120)에 결합되면 가압구(240)는 밀착 플랜지(430)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결합구(210)가 연결넥(120)과 나사 결합 시에, 가압구(240)는 밀착 플랜지(430)의 상면을 가압하여 밀착 플랜지(430)를 숄더(13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밀착 플랜지(430)의 상면에 형성된 제2가압돌기(431)는 가압구(240)를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밀착 플랜지(430)와 가압구(240) 사이가 기밀되어 약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p part 200 may have a pressing hole 240 . The pressing member 240 may connect the coupler 210 and the cap 220 . When the coupler 21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neck 120, the pressing member 2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flange 430. That is, when the coupler 210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neck 120, the pressurizing member 240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flange 430 to press the close contact flange 430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130. At this time,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43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 contact flange 430 can press the pressing port 240, and through this,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close contact flange 430 and the pressing port 240 is formed, and leakage of the chemical solu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캡부(200)는 가압턱(250)을 가질 수 있다. 가압턱(250)은 캡(22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턱(250)은 캡(220)의 내측에 단차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p portion 200 may have a pressure jaw 250 . The pressure jaw 250 may be formed inside the cap 220 . The pressure jaw 250 may be stepped on the inside of the cap 220 .

콘 헤드(420)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콘 헤드(420)의 상단부는 제3지름(D3)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턱(250)의 내측지름은 제3지름(D3)보다 큰 제4지름(D4)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e head 420 is formed such that an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and an upper end of the cone head 420 may be formed to have a third diameter D3. Also, the inner diameter of the pressure jaw 250 may be formed to be a fourth diameter D4 greater than the third diameter D3.

콘 헤드(420)가 가압턱(250)에 삽입되면, 가압턱(250)은 콘 헤드(420)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턱(250) 및 콘 헤드(420)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고 약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cone head 420 is inserted into the pressure jaw 250, the pressure jaw 250 presses the cone head 420, and the gap between the pressure jaw 250 and the cone head 420 can be airtight, and leakage of the chemical solution can be prevented.

홀더부(400)의 내측에는 브러쉬(1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러쉬(10)는 수용부(100)의 약액에 의해 적셔질 수 있고, 사용자는 브러쉬(10)를 이용하여 환부에 약액을 손쉽게 바를 수 있다.The brush 1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lder part 400 . The brush 10 may be wetted by the medicinal solu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00, and the user may easily apply the medicinal liquid to the affected area using the brush 10.

홀더부(400) 및 브러쉬(10)의 결합 구성은 다양할 수 있고 특정하게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약액의 종류 또한 특정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holder unit 400 and the brush 10 may var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lso, the type of chemical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턱(250) 및 콘 헤드(420) 사이가 기밀되고, 제1가압돌기(411) 및 연결넥(120) 사이가 기밀되며, 제2가압돌기(431) 및 가압구(240) 사이가 기밀될 수 있기 때문에, 약액의 증발 및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pressure jaw 250 and the cone head 420,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first pressure protrusion 411 and the connecting neck 120,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econd pressure protrusion 431 and the pressure port 240 can be achieved, evaporation and leakage of the chemical solu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한편, 가압턱(250) 및 콘 헤드(420) 사이의 제1결합력과, 제1가압돌기(411) 및 연결넥(120) 사이의 제2결합력을 비교하면, 제2결합력은 제1결합력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넥(120)에 나사 결합된 캡부(200)를 풀었을 때, 홀더부(400)는 캡부(200)와 함께 빠지지 않고 연결넥(12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first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ssure jaw 250 and the cone head 420 and the second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411 and the connection neck 120, the second bonding force may be greater than the first bonding force. Through this, when the cap portion 200 screwed to the connection neck 120 is unscrewed, the holder portion 400 does not fall out together with the cap portion 200 and can remain coupled to the connection neck 120 .

그리고,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의 조립 공정에서, 홀더부(400)의 콘 헤드(420)가 가압턱(250)에 먼저 결합되도록 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캡부(200)를 연결넥(120)에 결합하면 캡부(200)가 연결넥(120)에 나사 결합될 때, 홀더부(400)도 연결넥(1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And,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the cone head 420 of the holder part 400 is first coupled to the pressure jaw 250, and in this coupled state, the cap part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neck 120. When the cap part 200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neck 120, since the holder part 400 can als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neck 120, the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be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수용부
120: 연결넥
122: 식별부
130: 숄더
200: 캡부
230: 제1브릿지
240: 가압턱
300: 개봉 유무 표시부
310: 개봉 링
320: 제2브릿지
400: 홀더부
411: 제1가압돌기
431: 제2가압돌기
100: receiving part
120: connection neck
122: identification unit
130: shoulder
200: cap part
230: first bridge
240: pressure jaw
300: unopened display unit
310: opening ring
320: second bridge
400: holder part
411: first pressing protrusion
431: second pressure protrusion

Claims (16)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 용기와, 상기 수용 용기의 개구를 형성하는 연결넥과, 상기 수용 용기 및 상기 연결넥을 연결하는 숄더를 가지는 수용부;
상기 연결넥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캡과, 상기 결합구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브릿지를 가지는 캡부; 그리고
상기 결합구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넥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개봉 링과, 상기 개봉 링의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브릿지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브릿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브릿지를 가지는 개봉 유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가 개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제1브릿지의 하단부는 상기 개봉 링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브릿지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구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캡부가 최초 개봉되도록 회전되면, 상기 제1브릿지의 하단부는 상기 개봉 링의 상단부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브릿지의 상단부는 상기 결합구의 하단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n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he liquid medicine, a connection neck defining an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a shoulder connecting the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neck;
a cap portion having a coupler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a cap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upler, and a plurality of first bridge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coupler; and
An unsealing ring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upler, and an unsealed status display unit having a second bridge provided between the first bridge and protruding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brid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unsealing ring,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cap portion is not open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When the cap is rotated to open for the first time,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upler. Bridge type brush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는, 상기 캡부가 개봉되도록 회전 시에 상기 제2브릿지를 하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하는 제1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idge i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 providing a force to push the second bridge downward when rotating so that the cap portion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는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idge i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릿지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bridge i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는, 상기 캡부가 개봉되도록 회전 시에 상기 제1브릿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개봉 링을 하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전달받는 제2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ridge i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that is pressed by the first bridge when rotating to open the cap portion and receives a force that pushes the opening ring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는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ridge i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the upper e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bridge i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최초 개봉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브릿지가 상기 개봉 링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브릿지가 상기 결합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개봉 링은 상기 숄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숄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ap portion is rotated to open for the first time and the first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ring and the second bridge is separated from the coupler, the release ring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and fixed to the shoulder. Bridge 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및 상기 개봉 링의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더 구비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8,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hesive portion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houlder and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에 구비되는 제1자석 및 상기 개봉 링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석에 인력을 가지는 제2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8,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magnet provided on the shoulder and a second magnet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ring and having an attractive force to the first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은, 상기 연결넥의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을 가지고,
상기 개봉 링은, 상기 개봉 링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neck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neck,
The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ring has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lease ring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은
상기 개봉 링이 상기 숄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브릿지의 하단부 및 상기 제2브릿지의 상단부 사이로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식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neck
When the release ring is moved in the shoulder direction, the bridge 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dentification portion formed to a length that can expos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ridg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rid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1브릿지의 돌출 높이, 상기 제2브릿지의 돌출 높이 및 상기 개봉 링의 폭의 합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identification part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ength longer than the sum of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bridg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second bridge and the width of the opening r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의 외주면은 상기 개봉 링의 컬러 및 상기 결합구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2,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portion has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opening ring and the color of the coup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 용기의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콘 헤드를 가지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콘 헤드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캡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콘 헤드와의 사이에 제1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가압턱을 가지고,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넥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넥과의 사이에 제2결합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제1가압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결합력은 상기 제1결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lder having a fix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and a cone head connected to the fixture and extending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cap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e head, and has a pressing jaw to generate a first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e head and the cone hea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has a first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neck to generate a second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ion neck and the connection neck.
The second bonding force is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greater than the first bonding for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고정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넥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밀착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캡부는, 상기 결합구 및 상기 캡을 연결하고 상기 밀착 플랜지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구가 상기 연결넥과 나사 결합 시에 상기 밀착 플랜지를 상기 숄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구를 가지며,
상기 밀착 플랜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를 가압하는 제2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릿지 타입의 브러쉬 용기.
According to claim 15,
The holder part has a close-fitting flang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connection neck,
The cap unit has a pressing member connecting the coupler and the cap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lose flange to press the close flange in the direction of the shoulder when the coupler is screwed with the connection neck,
A bridge-type brush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flang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for pressing the pressing port is formed.
KR1020220007428A 2022-01-18 2022-01-18 Bridge type brush container KR202301114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28A KR20230111498A (en) 2022-01-18 2022-01-18 Bridge type brush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28A KR20230111498A (en) 2022-01-18 2022-01-18 Bridge type brush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98A true KR20230111498A (en) 2023-07-25

Family

ID=8742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28A KR20230111498A (en) 2022-01-18 2022-01-18 Bridge type brush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49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639A (en) 2010-10-19 2012-04-27 민병전 Liquid droplets contain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639A (en) 2010-10-19 2012-04-27 민병전 Liquid droplets contai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791B2 (en) Cap for a container
US8151985B2 (en) Containers for storing at least two substances for subsequent mixing
KR102332817B1 (en) Dual container
US3347410A (en) Mixing assemblies for applicators
US7695209B2 (en) Stopper for the neck of a fluid product reservoir
US8887905B2 (en) Plastic closure having a capsule for dispensing active ingredients
KR101202811B1 (en) Closure of vessel
US11730250B2 (e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US20030024947A1 (en) Flip top piercing tip cap
US5799829A (en) Membrane-sealed tube with a needle closure
JP2002154587A (en) Device for separately storing two products to be instantly mixed and for concurrently distributing them
US20060009741A1 (en) Sealed medicine dropper containing a liquid
JP2020529369A (en) Coating system
KR20230111498A (en) Bridge type brush container
US2854003A (en) Bottle closure
JP4091350B2 (en) Liquid dripping container
CN210556616U (en) Bottle and bottle cap device thereof
WO2010143617A1 (en) Mixing dual container
JP2012254802A (en) Pharmaceutical liquid container
JP2011084282A (en) Fluid push-out container
JP2002321758A (en) Inner plug of container
JP5371665B2 (en) Container with cap
JP2000226054A (en) Sealed container with virgin seal
JP4916667B2 (en) Dispensing container
KR200336104Y1 (en) Dual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