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02A - 테이프 커터 - Google Patents

테이프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02A
KR20230111402A KR1020220007204A KR20220007204A KR20230111402A KR 20230111402 A KR20230111402 A KR 20230111402A KR 1020220007204 A KR1020220007204 A KR 1020220007204A KR 20220007204 A KR20220007204 A KR 20220007204A KR 20230111402 A KR20230111402 A KR 20230111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blade
cutter
cutter bod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775B1 (ko
Inventor
주환욱
Original Assignee
주환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환욱 filed Critical 주환욱
Priority to KR102022000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775B1/ko
Priority to PCT/KR2023/000263 priority patent/WO2023140544A1/ko
Publication of KR2023011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몰식 칼날을 통해 누구든지 테이프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칼날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된 롤 형태인 테이프가 저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인출공의 전방 측 내부에 구비된 칼날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 출몰되는 커터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본체는, 칼날이 일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고 커터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커팅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커터{Tape cutter}
본 발명은 테이프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몰식 칼날을 통해 테이프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으면서 칼날을 교체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는, 한쪽면에 접착제가 발라져 무언가를 붙이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띠 형태인 테이프가 롤 형태로 감긴 상태를 이루고 있어, 사용시 적당한 길이로 끊어서 사용된다. 이러한 테이프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많이 사용하는 테이프 중 하나로 박스를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박스테이프가 있다.
제품을 택배나 우편 등으로 배송하기 전, 박스나 에어캡 등으로 포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박스테이프가 사용된다. 포장을 하면서 박스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반복적으로 끊기 위해 칼이나 가위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포장을 주업으로 하는 작업자에게는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테이프를 장착할 수 있으면서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이 구비된 테이프 커터가 등장하였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테이프 커터는, 장착된 테이프를 접착대상물에 소정의 길이로 붙인 다음, 테이프 커터에 구비된 칼날을 테이프에 대고 손목을 비틀어 커팅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커터를 이용시,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칼이나 가위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는 하나,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커팅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커터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칼날의 마모시, 칼날만을 별도로 교체할 수 없어, 새로이 테이프 커터를 구입하여야 하는바, 자원 낭비를 초래하고 비용적인 부담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0072호 '상자 포장용 수동 테이프 디스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몰식 칼날을 통해 누구든지 테이프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칼날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테이프 커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는, 내부에 수용된 롤 형태인 테이프가 저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인출공의 전방 측 내부에 구비된 칼날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 출몰되는 커터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본체는, 칼날이 일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고 커터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커팅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터본체의 내부에는, 수용된 테이프의 전방 측에 커터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축회전되는 커팅고정구가 구비되되, 상기 커팅부재는, 커팅고정구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커팅고정구의 축회전에 따라 전후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본체의 양측면에는, 칼날이 출몰되게끔 커터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출몰공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해 이동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고정구는, 축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커터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이동가이드 사이를 향해 연장형성되고 이동가이드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팅부재는, 끼움부에 삽입되는 고정핀부와, 고정핀부가 끼움부에 삽입됨에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이동가이드에 의해 감싸지며 하단 가장자리에 칼날이 구비된 칼날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고정핀부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본체의 일측면에는, 내측에 이동가이드가 형성되고 상단이 결합되어 열림이 가능한 교체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체커버는, 내측에 형성된 이동가이드가 끼움공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끔 열림이 가능하여, 상기 고정핀부가 교체커버에 형성된 이동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끼움공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칼날이 외부로 출몰하여 인출된 테이프를 절단하므로, 테이프의 절단을 위해 손목을 비틀지 않아도 되는바 누구든지 손쉽게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칼날이 마련된 커팅부재를 커터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칼날의 마모시 커팅부재나 커팅부재의 칼날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의 커터본체로부터 커팅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에 적용된 커터본체에 커팅부재를 장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에 적용된 커팅부재가 작동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출몰식 칼날을 통해 누구든지 테이프를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칼날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된 롤 형태인 테이프가 저면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인출공의 전방 측 내부에 구비된 칼날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 출몰되는 커터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본체는, 칼날이 일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고 커터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커팅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롤 형태인 테이프(10)가 외부로 인출되고 인출된 테이프(10)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210)이 구비된 커터본체(A)를 포함한다.
커터본체(A)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롤 형태인 테이프(10)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면서, 인출되어 부착대상물에 부착된 테이프(10)가 눌려질 수 있게끔 저면이 부착대상물과 맞닿는 함체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 커터본체(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를 제외한 저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수용본체(a1)와, 수용본체(a1)의 개방된 일측면을 덮는 본체커버(a2)와, 수용본체(a1)의 개방된 저면 부분을 덮으면서 수용본체(a1)의 타측면과 본체커버(a2) 사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테이프(10)가 장착되는 설치링(150)이 형성된 테이프수용체(a3)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수용체(a3)는 수용본체(a1)와 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본체(a1)의 저면의 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개방되게끔 외측으로 회동가능함에 따라, 설치링(150)에 롤 형태인 테이프(10)를 장착하거나 설치링(150)에 장착되어 사용이 완료된 테이프(10)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체커버(a2) 또는/및 수용본체(a1)의 타측면에는, 테이프수용체(a3)에 장착된 테이프(10)의 사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관찰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본체(A) 내에 수용된 테이프(10)가 인출될 수 있게끔 수용본체(a1)의 저면 전단부에는 인출공(110)이 형성될 수 있고, 인출공(110)의 전방으로 칼날(210)이 출몰하는 출몰공(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출공(110)과 출몰공(120)은 소정의 간격 이격되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터본체(A)는, 내부에 수용된 롤 형태인 테이프(10)가 인출공(11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인출공(110)의 전방 측 내부에 구비된 칼날(210)이 외부로 출몰된다.
본 발명에서 칼날(210)의 출몰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커터본체(A) 또는 후술할 파지본체에는 칼날(210) 출몰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질 스위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500)를 조작함에 따라 칼날(210)의 출몰은, 전자동으로 연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칼날(210)의 출몰이 기구적으로 연동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터본체(A)의 외부로 출몰되는 칼날(2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본체(A) 내에 구비되는 커팅부재(200)에 마련된다. 커팅부재(200)는, 칼날(210)이 일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어 칼날(210)이 출몰공(120)을 통해 외부로 출몰되도록 하며, 커터본체(A)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커팅부재(2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면서 커터본체(A)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기 위한 구체적인 일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본체(A)의 내부에는 수용된 롤 형태인 테이프(10)의 전방 측에 커터본체(A)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팅고정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커터고정구(300)는, 본체커버(a2)와 수용본체(a1)에 양단이 결합된 축에 축회전되게끔 구비될 수 있으며, 커터고정구(300)의 축회전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루어지게끔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팅부재(200)는, 커팅고정구(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커팅고정구(300)의 축회전에 따라 전후진되며, 외부를 향해 이동된 커팅부재(200)로 인해 칼날(210)은 외부로 출현되어 인출된 테이프(10)를 절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본체(A)의 양측면 중 커팅부재(200)가 구비되는 부근에는, 출몰공(120)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이동가이드(131,1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커버(a2)의 내측에 이동가이드(131)가 형성되고, 수용본체(a1)의 타측면 내측에 이동가이드(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131,132)는 커팅부재(200)의 양측 가장자리와 인접한 전방과 후방에 '11'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부재(200)는 양측 가장자리가 이동가이드(131,132)에 의해 감싸지게 커터본체(A) 내에 구비되어, 이동가이드(131,132)를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커팅고정구(3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커터본체(A)의 양측면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1,132) 사이를 향해 연장형성된 끼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310)는 이동가이드(131,132)과 엇갈리게 배치되며, 후술할 고정핀부(200a)가 삽입되는 끼움공(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팅고정구(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커팅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310)에 삽입되는 고정핀부(200a)와, 고정핀부(200a)가 끼움부(310)에 삽입됨에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이동가이드(131,132)에 의해 감싸지며 하단 가장자리에 칼날(210)이 구비된 칼날고정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부(200a)는 일 예로 수평을 이루는 바(bar) 또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공(311)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칼날고정부(200b)는 이동가이드(131,132) 내에 끼워져 이동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진 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 칼날(210)이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부(200a)와 칼날고정부(200b)는 평행하면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커팅부재(200)는 적어도 고정핀부(200a)의 일단과 칼날고정부(200b)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이음부(2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음부(200c)는 고정핀부(200a)가 끼움공(311)에 끼워질 시, 끼움부(310)의 일측편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커팅부재(200)는 종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칼날(210)이 구비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고정핀부(200a)가 끼움공(311)을 관통하게 커터본체(A) 내에 장착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부(200a)의 일단, 이음부(200c)의 일측 가장자리 및 칼날고정부(200b)의 일측 가장자리는 커터본체(A)의 일측면 내측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1)에 의해 감싸지게 되며, 고정핀부(200a)의 타단 및 칼날고정부(200b)의 타측 가장자리는 커터본체(A)의 타측면 내측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2)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재(200)가 커터본체(A)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칼날(210)을 외부로 출현시키기 위해 스위치(500)를 조작하면, 커팅고정구(300)가 축회전됨에 따라 고정핀부(200a)가 끼움공(31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커팅부재(200)가 전진하게 된다. 커팅부재(200)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고정핀부(200a)는 끼움공(311) 내에서 끼움부(310)의 전단을 향해 이동된다. 이후, 출현된 칼날(210)을 커터본체(A)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스위치(500)의 조작을 해제하거나, 스위치(500)를 다시 한번 조작하면, 커팅고정구(300)가 축회전되어 고정핀부(200a)가 끼움공(31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커팅부재(200)가 후진하게 된다. 커팅부재(200)가 후진하는 과정에서, 고정핀부(200a)는 끼움공(311) 내에서 끼움부(310)의 후단을 향해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500) 조작에 따른 커팅부재(200)의 이동을 위하여, 커터본체(A)는, 연동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커팅고정구(300)는 연동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부(320)는 커팅고정구(300)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연동모듈(400)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연동모듈(400)은 칼날(210)의 출현을 위한 스위치(500)의 조작시 연동부(320)가 상방으로 올라가 커팅부재(200)가 전진하도록 하고, 스위치(500)의 조작해제시 연동부(320)가 하방으로 내려가 커팅부재(200)가 후진하도록 하게끔, 스위치(500)와 연동부(320)를 연결하는 다양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연동모듈(400)은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본체(A)의 양측면 내측에 접하면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연동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동부재(41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커터본체(A)의 양측면 내측에는 연동부재(410)가 움직이는 이동범위를 둘러싸는 가이드턱(16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커팅부재(200)는 본체커버(a2)를 수용본체(a1)로부터 분리시켜 교체를 할 수도 있으나, 커터본체(A) 내에 마련된 다른 구성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커터본체(A)의 일측면, 즉 본체커버(a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재(200)만을 분리하여 빼낼 수 있는 교체커버(140)가 마련될 수 있다. 교체커버(140)는 일 예로 내측에 커팅부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는 이동가이드(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열림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교체커버(1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1)가 끼움공(3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끔 열림이 가능하게끔 상단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교체커버(140)는 커터본체(A)의 일측면에 대하여 90°를 이루도록 열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최대 열림 각도가 커터본체(A)의 일측면에 대하여 90°가 되도록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체커버(140)로 인해, 커팅부재(200)의 고정핀부(200a)를 끼움공(311)에 삽입하고자 할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부(200a)는 교체커버(140)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1) 내에 위치되면서 끼움공(311)을 향해 이동되므로, 끼움공(311)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는, 커터본체(A)와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본체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ㄷ'자 형태를 이루며 양단이 커터본체(A)와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본체는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팔이 지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 상태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끔 커터본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파지본체가 포함되는 경우, 칼날(210)의 출몰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스위치(500)는 파지본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본체를 파지한 상태로 커터본체(A)를 부착대상물의 상측에서 이동시키며 테이프(10)가 부착대상물에 부착되도록 한 후, 파지본체에 구비된 스위치(500)를 조작하여 칼날(210)이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테이프(10)를 절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인 테이프 커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칼날(210)이 외부로 출몰하여 인출된 테이프(10)를 절단하므로, 테이프(10)의 절단을 위해 손목을 비틀지 않아도 되는바 누구든지 손쉽게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칼날(210)이 마련된 커팅부재(200)를 커터본체(A)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칼날(210)의 마모시 커팅부재(200)나 커팅부재(200)의 칼날(210)만을 교체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 : 커터본체
a1 : 수용본체 a2 : 본체커버
a3 : 테이프수용체
10 : 테이프
110 : 인출공 120 : 출몰공
131,132 : 이동가이드 140 : 교체커버
150 : 설치링 160 : 가이드턱
200 : 커팅부재 200a : 고정핀부
200b : 칼날고정부 200c : 이음부
210 : 칼날
300 : 칼날고정구 310 : 끼움부
311 : 끼움공 320 : 연동부
400 : 연동모듈 410 : 연동부재
500 : 스위치

Claims (5)

  1. 내부에 수용된 롤 형태인 테이프(10)가 저면에 형성된 인출공(11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인출공(110)의 전방 측 내부에 구비된 칼날(210)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부로 출몰되는 커터본체(A);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본체(A)는, 칼날(210)이 일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고 커터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커팅부재(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본체(A)의 내부에는, 수용된 테이프(10)의 전방 측에 커터본체(A)의 측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축회전되는 커팅고정구(300)가 구비되되,
    상기 커팅부재(200)는, 커팅고정구(300)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며 커팅고정구(300)의 축회전에 따라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본체(A)의 양측면에는, 칼날(210)이 출몰되게끔 커터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출몰공(120)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해 이동가이드(131,132)가 형성되고,
    상기 커팅고정구(300)는, 축결합된 지점으로부터 커터본체(A)의 양측면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1,132) 사이를 향해 연장형성되고 이동가이드(131,132)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끼움부(310)를 포함하되,
    상기 커팅부재(200)는, 끼움부(310)에 삽입되는 고정핀부(200a)와, 고정핀부(200a)가 끼움부(310)에 삽입됨에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이동가이드(131,132)에 의해 감싸지며 하단 가장자리에 칼날(210)이 구비된 칼날고정부(2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10)는 고정핀부(200a)가 삽입되는 끼움공(311)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본체(A)의 일측면에는, 내측에 이동가이드(131)가 형성되고 상단이 결합되어 열림이 가능한 교체커버(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커버(140)는, 내측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1)가 끼움공(31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끔 열림이 가능하여,
    상기 고정핀부(200a)가 교체커버(140)에 형성된 이동가이드(13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끼움공(311)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커터.
KR1020220007204A 2022-01-18 2022-01-18 테이프 커터 KR102655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204A KR102655775B1 (ko) 2022-01-18 2022-01-18 테이프 커터
PCT/KR2023/000263 WO2023140544A1 (ko) 2022-01-18 2023-01-06 테이프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204A KR102655775B1 (ko) 2022-01-18 2022-01-18 테이프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02A true KR20230111402A (ko) 2023-07-25
KR102655775B1 KR102655775B1 (ko) 2024-04-09

Family

ID=8734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204A KR102655775B1 (ko) 2022-01-18 2022-01-18 테이프 커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5775B1 (ko)
WO (1) WO202314054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0773A (ja) * 1997-12-15 1999-06-29 Sakura Color Prod Corp 転写具における転写ヘッドの取付構造
KR200368647Y1 (ko) * 2004-09-06 2004-11-26 김광호 박스테이프 커터
KR20120000072U (ko) 2010-06-28 2012-01-04 한순윤 상자 포장용 수동 테이프 디스펜서
KR20130054277A (ko) * 2010-04-23 2013-05-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한손 작동을 위한 접착 테이프 분배기
KR20150017226A (ko) * 2013-08-06 2015-02-16 이학재 커팅기가 장착된 테이프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494U (ja) * 2005-09-07 2005-12-08 上海華新醫材有限公司 安全テープカッター
KR101412145B1 (ko) * 2012-08-31 2014-06-25 한순윤 롤 테이프 선단 자동 접이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
CN209143344U (zh) * 2018-11-21 2019-07-23 赵卓伟 胶带座的刀片结构及具有该刀片结构的胶带座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0773A (ja) * 1997-12-15 1999-06-29 Sakura Color Prod Corp 転写具における転写ヘッドの取付構造
KR200368647Y1 (ko) * 2004-09-06 2004-11-26 김광호 박스테이프 커터
KR20130054277A (ko) * 2010-04-23 2013-05-2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한손 작동을 위한 접착 테이프 분배기
KR20120000072U (ko) 2010-06-28 2012-01-04 한순윤 상자 포장용 수동 테이프 디스펜서
KR20150017226A (ko) * 2013-08-06 2015-02-16 이학재 커팅기가 장착된 테이프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775B1 (ko) 2024-04-09
WO2023140544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2804B1 (en) Box cutter with grip-actuated blade extension
EP2644335B1 (en) Hand tool
US6938345B2 (en) Combination utility knife
US20090151168A1 (en) Cutting tool for packaging
US20050050734A1 (en) Snap knife with improved safety and usability
US20180345516A1 (en) Rolled paper cutting device
WO2005099975A2 (en) Utility knife for glaziers
KR100835541B1 (ko) 접착테이프 선단 자동 말림 접착기능을 갖는 롤형접착테이프 컷터기
EP0137592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an openers
KR101880104B1 (ko) 다기능 커터
KR20230111402A (ko) 테이프 커터
KR101924398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커터칼
CN205555091U (zh) 一种保鲜膜包装盒
US20030079347A1 (en) Box cutter with deflectable safety shield
KR20120139904A (ko) 칼날절단장치가 일체화된 커터칼
US10137588B1 (en) Utility cutter
US11485033B1 (en) Scissors
EP2384865B1 (en) A cutting tool comprising a blade protector
KR200364723Y1 (ko) 테이프 커팅기의 프리사이즈 나이프용 안전덮개
EP0775039A1 (en) A safety knife or cutter
CN219519439U (zh) 一种挤胶枪的切胶嘴机构
KR200310673Y1 (ko) 박스 포장용 테이프 컷터기
KR20160070438A (ko) 레버 작동식 묶음용 끈 절단장치
CN218476724U (zh) 一种刀片和刀具
US11987467B2 (en) Rolled paper c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