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380A - mineral grinder - Google Patents

mineral gri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380A
KR20230111380A KR1020220007158A KR20220007158A KR20230111380A KR 20230111380 A KR20230111380 A KR 20230111380A KR 1020220007158 A KR1020220007158 A KR 1020220007158A KR 20220007158 A KR20220007158 A KR 20220007158A KR 20230111380 A KR20230111380 A KR 2023011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minerals
blade
guide plate
un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6813B1 (en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이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숙 filed Critical 이명숙
Priority to KR102022000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813B1/en
Publication of KR2023011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8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물을 미분쇄하는 건식 타입의 광물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광물을 미분쇄할 때 분쇄된 광물의 상호 충돌을 유도하여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고, 분쇄되는 분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광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type mineral grinder for finely pulverizing minerals, and more particularly, when finely pulverizing minerals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size, the pulverized minerals induce mutual collision to improve pulverization efficiency, to control the size of pulverized powder, and to a mineral pulverizer capable of improving structural safety and durability.

Description

광물 분쇄기 {mineral grinder}mineral grinder {mineral grinder}

본 발명은 광물을 미분쇄하는 건식 타입의 광물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광물을 미분쇄할 때 분쇄된 광물간 상호 충돌을 유도하여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고, 분쇄되는 분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광물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type mineral grinder for finely pulverizing miner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neral grinder that improves grinding efficiency by inducing mutual collision between the pulverized minerals when finely pulverizing minerals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size, can control the size of pulverized powder, and improves structural safety and durability.

일반적으로, 광물의 채취과정은 채석장이나 광산 등의 장소에서 다이너마이트등과 같은 폭발물을 이용하여 바위를 터뜨린 후에, 분쇄기를 이용하여 다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 과정을 갖는다.In general, a mineral extraction process includes a crushing process in which rocks are exploded using explosives such as dynamite in a quarry or mine, and then crushed again into an appropriate size required by a user using a crusher.

이때, 사용되는 분쇄기로는 비교적 큰 크기의 광물을 분쇄하는 죠 크러셔(jaw crusher)와, 1차로 분쇄된 광물을 전달받다 더 작은 크기로 광물을 분쇄시키는 콘 크러셔(cone crusher) 등이 있다. At this time, the crusher used includes a jaw crusher that crushes relatively large-sized minerals, and a cone crusher that receives primarily crushed minerals and then crushes them into smaller ones.

상기의 광물을 분쇄하기 위한 장치 중 콘 크러셔는 고정된 콘 케이브 사이에 광물을 투입하여, 편심 회전하는 멘틀과 콘 케이브 사이에 투입된 광물을 마찰 및 압력에 의해 분쇄하는 장치로, 건설 폐기물로부터 작은 크기의 순환광물을 생산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devices for crushing the minerals, the cone crusher is a device that inserts minerals between fixed cone caves and crushes the minerals injected between the eccentrically rotating mantle and the cone cave by friction and pressure. It is mainly used to produce small-sized circulating minerals from construction waste.

이러한 종래의 광물 분쇄기는 분쇄된 광물의 입자가 고르지 않아 콘 크러셔를 이용한 분쇄 공정을 여러 번 수행해야하며, 분쇄되는 광물의 입자 크기를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물을 분쇄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어 이물질 선별 등의 부가 공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하고, 광물로부터 미세한크기를 갖는 분말형태의 광물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시간과 장비가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mineral grinder has problems such as the fact that the particles of the pulverized mineral are uneven, so that the pulverization process using a cone crusher must be performed several times,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pulverized mineral cannot be arbitrarily selected. In addition, since it performs only a simple function of crushing minerals,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sorting foreign substances must be inevitably accompanied, and working time and equipment for producing minerals in the form of powder having a fine size from minerals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산업현장에서 미세한 크기를 갖는 광물 분말을 요구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광물의 분쇄시 분쇄되는 광물의 입자를 조절할 수 있으며, 광물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물 분쇄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s the number of cases requiring mineral powder having a fine size increases in the industrial fiel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ineral grind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of the mineral to be pulverized during mineral pulverization and improving the pulverization efficiency of the mineral.

1. 등록특허공보 제10-1274465호 '골재 버켓 타격 박리 장치' (등록일자 2013.06.07)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74465 'aggregate bucket hitting and peeling device' (registration date 2013.06.07) 2. 등록특허공보 제10-2341324호 '골재 분쇄용 콘크레샤 장치' (등록일자 2021.12.15)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341324 'Concressor for Grinding Aggregates' (registration date: 2021.12.1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투입되는 광물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광물이 강한 바람에 의해 이동이 유도되면서 상호 충돌하여 2차로 분쇄가 이루어져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물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rushes the input minerals to a certain size, and the crushed minerals are induced to move by strong wind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o improve the crushing efficienc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neral grinder.

본 발명의 광물 분쇄기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광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01)와 분쇄된 광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을 관통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200); 상기 구동축(200)에 체결되며, 상기 투입구(101)로 투입된 광물을 풍압으로 이동시키는 임펠라(300); 상기 구동축(200)에 체결되며, 상기 임펠라(300)에 의해 이동된 광물을 일정크기로 분쇄하는 파쇄날(400);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서 상기 파쇄날(400)에 의해 분쇄된 광물이 상호 충돌되며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미분쇄 광물로 분쇄되도록 상기 구동축(200)에 체결되어 상기 분쇄된 광물을 유동시키는 풍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충돌하며 분쇄된 미분쇄 광물을 포집하여 상기 배출구(102)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neral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space (S) formed therein, and includes a housing 100 including an inlet 101 into which minerals are input and an outlet 102 through which pulverized minerals are discharged; a drive shaft 200 that passes through the housing 100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by an external force; an impeller 300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00 and moving the mineral input through the inlet 101 by wind pressure; a crushing blade 400 fastened to the driving shaft 200 and crushing the mineral moved by the impeller 300 into a predetermined size; It is fastened to the driving shaft 200 so that the minerals pulverized by the crushing blade 400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receiving space (S) and pulverize the pulverized minerals to generate wind pressure to flow the pulverized minerals, and collects the pulverized minerals during collision and moves them to the discharge port 1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500)는 상기 파쇄날(4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200)에 결합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암(511)이 돌출 형성되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브라켓(510); 상기 지지암(511)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하며 풍압을 발생시키고, 광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레이드(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unit 5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rushing blade 400, coupled to the drive shaft 200, and at least two or more support arms 511 are protrudingly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air of brackets 5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blades 520 that are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arm 511, rotate, generate wind pressure, and induce the movement of mineral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520)는 상기 임펠라(300)가 위치한 방향으로 더 연장형성되어 상기 임펠라(200)의 풍압에 의해 이동중인 광물을 상기 파쇄날(400)이 위치한 상기 브라켓(510)의 이격된 사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lade 5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extend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impeller 300 is located, so that the mineral moving by the wind pressure of the impeller 200 is moved between the brackets 510 where the crushing blade 400 is located.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520)는 상기 지지암(511)에 안착되어 광물과 접촉되며, 풍압을 발생시키는 유도판(521); 상기 미분쇄 광물이 상기 유도판(521)의 일측면에 임시로 포집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판(521)의 끝단에 형성되는 포집판(522); 상기 유도판(5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벽(523); 상기 제1 측벽(523)과 마주보도록 상기 유도판(521)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523)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출구(102)로 미분쇄 광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2 측벽(5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ade 5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support arm 511 and contacted with a mineral, guide plate 521 generating wind pressure; a collection plate 522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plate 521 so that the unpulverized mineral can be temporarily collect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a first side wall 523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uide plate 521;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521 to face the first side wall 523,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side wall 523,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pulverized mineral to the outlet 10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side wall 524.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510)의 회전시 상기 유도판(521)에 포집된 미분쇄 광물이 상기 제2 측벽(524)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미분쇄 광물이 포집되는 상기 유도판(521)의 일측면은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racket 510 rotates, the guide plate 521 on which the unpulverized mineral is collected so that the unpulverized mineral collected on the guide plate 52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wall 52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clination.

본 발명은 광물의 분쇄되는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광물의 연속적인 투입과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어 광물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particles to be pulverized, and the pulverization efficiency of minerals can be improved because minerals can be continuously input and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을 제조하는 생산단가가 절감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ion cost of manufactur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and it can be provided to users at a low price, and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부와 임펠라 및 파쇄날의 연결관계 및 작동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내부에 블레이드부와 임펠라 및 파쇄날이 배치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의 일실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operation of the blade unit and the impeller and the crushing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blade unit, an impeller, and a crushing blade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물 분쇄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mineral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우징(100), 구동축(200), 임팔라(300), 파쇄날(400) 및 블레이드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 a drive shaft 200 , an impala 300 , a crushing blade 400 and a blade unit 500 .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00)은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이 상호 체결되면서 수용공간(S)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110)의 하단에는 하부하우징(110)을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한 바닥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has a hollow shape so that an accommodation space S is formed therein. The housing 100 may be composed of a lower housing 110 and an upper housing 120, and the lower housing 110 and the upper housing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S. And, a bottom plate for stably supporting the lower housing 110 on the bottom surface may be furthe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housing 110 .

이때, 상부하우징(120)의 일측에는 광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투입구(101)와 마주보는 상부하우징(120)의 타측에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미분쇄된 광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n inlet 101 into which minerals are inpu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housing 120, and an outlet 102 through which minerals are discharge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housing 120 facing the inlet 101.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투입구(101)로 투입되는 광물은 콘 크러셔(cone crusher)에 의해 2~3차로 분쇄되어 지름이 약 1~10mm 사이의 작은 크기를 갖는 광물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배출구(102)로 배출되는 광물은 1~0.1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분말 형태의 미분쇄 광물일 수 있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mineral introduced into the inlet 101 may correspond to a mineral having a diameter of about 1 to 10 mm in diameter by being 2 to 3 times crushed by a cone crusher, and the mineral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02 may be an unpulverized mineral having a diameter of 1 to 0.1 mm or less.

구동축(200)은 하우징(100), 바람직하게는 하부하우징(110)을 관통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이때, 구동축(200)의 양단은 하부하우징(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베어링하우징(130)에 체결되며, 구동축(200)의 일측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구동축(200)은 회전한다. The driving shaft 20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so as to pass through the housing 100, preferably the lower housing 110.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200 are fastened to bearing housings 1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110, and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one side of the drive shaft 200 so that the drive shaft 200 rotates.

구동축(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다양한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력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210)와 구동축(200)을 체인 또는 벨트방식으로 연결하여 구동모터(210)의 회전력을 구동축(200)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모터(210)는 구동축(200)이 약 1800RPM 정도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A means for rotating the driving shaft 200 may be disclosed in various ways. In one embodiment, the drive motor 210 driven by receiving power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200 in a chain or belt manner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210 to the drive shaft 200 . The drive motor 210 may rotate the drive shaft 200 to maintain a rotational speed of about 1800 RPM.

한편, 구동축(200)이 회전되는 회전속도를 조절하면, 하술하는 미분쇄 광물의 입자 크기 및 분쇄효율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at which the drive shaft 200 rotates, the particle size and grinding efficiency of the unpulverized miner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controlled.

임펠라(300)는 구동축(200)에 체결되며, 하우징(100)의 내부, 즉 투입구(101)와 인접한 수용공간(S)에 위치한다. 임펠라(300)는 구동축(200)과 일체를 이루며 회전함에 따라 소정의 풍압을 발생시키 위해 다수의 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mpeller 300 is fastened to the drive shaft 200 and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00, that is, in the receiving space S adjacent to the inlet 101. As the impeller 300 integrally rotates with the driving shaft 200, a plurality of wings may be form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wind pressure.

임펠라(30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풍압에 의해 투입구(101)로 투입된 광물은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임펠라(300)로 발생한 풍압은 상하방향으로 생성되며, 투입구(101)로 낙하하는 광물과 임펠라(300)에 의해 생성된 풍압이 서로 만나면서 광물이 상승하였다가 하강하며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Mineral introduced into the inlet 101 by wind pressur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impeller 300 may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S. That is, the wind pressure generated by the impeller 300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 the minerals falling into the inlet 101 and the wind pressure generated by the impeller 300 meet each other, the minerals rise and fall to move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S. (See FIGS. 2 and 3)

파쇄날(400)은 구동축(200)에 체결되어 구동축(200)과 일체로 회전한다. 파쇄날(400)이 회전하면서 임펠라(300)에 의해 이동된 광물을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다. 파쇄날(400)이 회전될 때 파쇄날(400)의 회전밸런스를 유지시키고, 광물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쇄날(400)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rushing blade 400 is fastened to the drive shaft 200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shaft 200. While the crushing blade 400 rotates, the mineral moved by the impeller 300 is crushed into a certain size. In order to maintain the rotational balance of the crushing blade 400 when the crushing blade 400 rotates and improve the crushing efficiency of minerals, the crushing blade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블레이드부(500)는 파쇄날(400)에 의해 분쇄된 광물을 상호 충돌시켜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미분쇄 광물로 분쇄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블레이드부(500)는 수용공간(S)의 내부에서 파쇄날(400)에 의해 분쇄된 광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풍압을 발생시킨다. The blade unit 500 has the purpose of crushing the minerals crushed by the crushing blade 400 into unpulverized minerals having a smaller size by colliding with each other. In order to do this, the blade unit 500 generates a predetermined wind pressure for flowing the mineral pulverized by the crushing blade 400 in the receiving space (S).

즉, 블레이드부(500)는 구동축(200)에 체결되어 구동축(20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풍압이 발생하고, 발생한 풍압은 수용공간(S) 내부 공기에 와류현상(渦流現像)을 일으킨다. 따라서, 파쇄날(400)에 분쇄된 광물이 수용공간(S)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호 충돌을 일으키고 충돌되면서 광물은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미분쇄 광물로 분쇄될 수 있다.That is, the blade unit 500 is fastened to the drive shaft 200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e shaft 200 to generate wind pressure, and the generated wind pressure causes a vortex phenomenon in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refore, the minerals crushed by the crushing blade 400 may collide with each other while flowing inside the receiving space S, and the minerals may be pulverized into unpulverized minerals having a smaller size.

그리고, 블레이드부(500)는 미분쇄되어 가벼운 중량을 갖는 미분쇄 광물을 포집하고 포집된 미분쇄 광물을 배출구(102)로 이동시켜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된 미분쇄 광물은 구비된 저장고로 전달되어 보관될 수 있다.Then, the blade unit 500 collects unpulverized minerals having a light weight and moves the collected unpulverized minerals to the outlet 102 to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The discharged unpulverized minerals may be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a storage facility provided.

(파쇄날(400)에 의해 분쇄된 광물을 분쇄광물이라 지칭하고, 블레이드부(500)에 의해 광물이 상호 충돌하면서 분쇄된 광물을 미분쇄 광물이라 지칭한다.)(Minerals crushed by the crushing blade 400 are referred to as crushed minerals, and minerals crushed while colliding with each other by the blade unit 500 are referred to as unpulverized minerals.)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블레이드부(500)는 브라켓(510)과 블레이드(5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blade unit 500 includes a bracket 510 and a blade 520 .

브라켓(510)은 구동축(200)에 결합되며, 파쇄날(4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브라켓(510)은 구동축(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축(200)과 일체로 회전한다. 브라켓(510)의 외주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암(511)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암(511)은 120°간격을 유지하며 3개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The bracket 51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00 and is composed of a pair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rushing blade 400, respectively. The bracket 51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ing shaft 20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driving shaft 200 .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cket 510, at least two or more support arms 511 protruding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Preferably, three support arms 511 may be formed maintaining an interval of 120° (see FIG. 4).

블레이드(520)는 한 쌍의 지지암(511)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지지암(511)이 형성되는 개수와 대응되도록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520)가 지지암(511)에 장착됨으로 인해 구동축(20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풍압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블레이드(520)로 인해 수용공간(S)의 내부에서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하면서 분쇄된 광물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At least two or more blades 520 are formed to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pair of support arms 511,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in plural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upport arms 511 formed. Since the blade 520 is mounted on the support arm 511, wind pressure is generated while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driving shaft 200. Therefore, a vortex phenomenon of air occurs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S due to the blade 520, and the movement of the pulverized minerals can be induced.

도 5 를 참조하면 블레이드(520)는 임펠라(300)가 위치한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 를 기준으로 블레이드(520)의 중심선(C1)은 한 쌍의 지지암(511)의 중심선(C2)으로부터 임펠라(300)가 위치한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지지암(511)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투입구(101)로 투입되어 임펠라(200)의 풍압에 의해 상승한 광물이 연장된 블레이드(520)의 일측면(A)에 접촉되어 안내되면서 파쇄날(400)이 위치한 브라켓(510)의 이격된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blade 520 may be formed to further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mpeller 300 is located. That is, based on FIG. 5 , the center line C1 of the blade 520 is attached to the support arm 511 so as to be eccentric from the center line C2 of the pair of support arms 511 toward the direction where the impeller 300 is located. As a result, the minerals injected into the inlet 101 and raised by the wind pressure of the impeller 200 come into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A) of the extended blade 520 and are guided to the bracket 510 where the crushing blade 400 is located. It can be moved between spaced apart intervals.

도 3 을 참조하면 블레이드(520)는 유도판(521), 포집판(522), 제1 및 제2 측벽(523,52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blade 520 includes a guide plate 521 , a collecting plate 522 , and first and second sidewalls 523 and 524 .

유도판(521)은 지지암(511)에 안착되어 지지암(511)에 고정되고, 구동축(200)이 회전함에 따라 풍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을 이룬다. The guide plate 521 is seated on and fixed to the support arm 511 and has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generate wind pressure as the driving shaft 200 rotates.

포집판(522)은 유도판(521)의 끝단에 형성되며, 미분쇄 광물이 유도판(521)의 일측면에 임시로 포집될 수 있도록 유도판(52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포집판(522)의 구성으로 인해 블레이드(520)가 회전하는 경우 유도판(521)의 일측면에 부착된 미분쇄 광물이 원심력에 의해 유도판(521)의 끝부분으로 이동하면 포집판(522)에 의해 유도판(521)의 끝부분에 소정량 포집될 수 있다. The collection plate 52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plate 521 and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plate 521 so that unpulverized minerals can be temporarily collect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 That is, when the blade 520 rotate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llecting plate 522, when the unpulverized minera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moves to the end of the guide plate 521 by centrifugal force, the collection plate 522 can collect a predetermined amount at the end of the guide plate 521.

제1 측벽(523)은 유도판(521)의 측면에 형성되며, 임펠라(300)에 의해 상승한 광물이 파쇄날(4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광물의 이동을 유도해줄 수 있다. The first sidewall 52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and can guide the movement of minerals raised by the impeller 300 so that they can move toward the crushing blade 400.

제2 측벽(524)은 제1 측벽(523)과 마주보도록 유도판(521)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며, 제1 측벽(523)보다 더 긴 길이로 제작된다. 제2 측벽(524)은 포집판(522)에 미분쇄 광물이 일정량 포집되면 포집된 미분쇄 광물이 배출구(102)로 이동될 수 있도록 미분쇄 광물의 이동을 유도해줄 수 있다.The second sidewall 5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521 to face the first sidewall 523 and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sidewall 523 . The second sidewall 524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unpulverized minerals so that the collected unpulverized minerals may be moved to the outlet 102 when a certain amount of unpulverized minerals i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plate 522 .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51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유도판(521)에 포집된 미분쇄 광물이 제2 측벽(52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미분쇄 광물이 포집되는 상기 유도판(521)의 일측면은 소정각도(θ)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bracket 510 rotates, the guide plate 521 on which the unpulverized minerals are collected so that the unpulverized minerals collected on the guide plate 521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wall 524 by centrifugal force. On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may b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inclination.

즉, 제2 측벽(524)와 인접한 유도판(521)의 두께(t1)보다 제1 측벽(523)과 인접한 유도판(521)의 두께가 더 두꺼운 두께(t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분쇄 광물은 유도판(521)에 안내되어 제2 측벽(524)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측벽(524)에 안내되어 배출구(102)로 이동하여 배출된다.That is, the guide plate 521 adjacent to the first sidewall 523 may have a thickness t2 great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guide plate 521 adjacent to the second sidewall 524 . Accordingly, the pulverized mineral is guided by the guide plate 521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wall 524, guided by the second side wall 524 to the outlet 102, and discharged.

한편, 배출구(102)에는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미분쇄 광물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흡입팬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흡입팬흡입팬의 속도 즉, 흡입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배출구(102)로 배출되는 미분쇄 광물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 suction fan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102 for the purpose of inducing smooth discharge of the pulverized minerals by sucking air inside the housing 100 . Suction fa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pulverized mineral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 by adjusting the speed of the suction fan, that is, the amount of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fa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광물 분쇄기는 블레이드부(5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분쇄되는 광물의 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광물의 투입과 배출이 진행되어 미분쇄 광물의 생산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ineral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can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ade unit 500 to control the particle size of the crushed mineral, and the continuous input and discharge of the mineral proceeds,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unpulverized mineral.

100 : 하우징 200 : 구동축
300 : 임펠라 400 : 파쇄날
500 : 블레이드부
100: housing 200: drive shaft
300: impeller 400: crushing blade
500: blade part

Claims (5)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광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01)와 분쇄된 광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2)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을 관통하며, 외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200);
상기 구동축(200)에 체결되며, 상기 투입구(101)로 투입된 광물을 풍압으로 이동시키는 임펠라(300);
상기 구동축(200)에 체결되며, 상기 임펠라(300)에 의해 이동된 광물을 일정크기로 분쇄하는 파쇄날(400);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서 상기 파쇄날(400)에 의해 분쇄된 광물이 상호 충돌되며 더 작은 크기를 갖는 미분쇄 광물로 분쇄되도록 상기 구동축(200)에 체결되어 상기 분쇄된 광물을 유동시키는 풍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충돌하며 분쇄된 미분쇄 광물을 포집하여 상기 배출구(102)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분쇄기.
A housing 100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therein, including an inlet 101 into which minerals are input and an outlet 102 through which pulverized minerals are discharged;
a drive shaft 200 that passes through the housing 100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by an external force;
an impeller 300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00 and moving the mineral input through the inlet 101 by wind pressure;
a crushing blade 400 fastened to the driving shaft 200 and crushing the mineral moved by the impeller 300 into a predetermined size;
In the receiving space (S), the minerals crushed by the crushing blade 400 collide with each other and are fastened to the driving shaft 200 so that they are crushed into unpulverized minerals having a smaller size. A blade unit 500 generating wind pressure to flow the crushed minerals, collecting the colliding and crushing unpulverized minerals and moving them to the outlet 102;
Mineral grind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500)는 상기 파쇄날(4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200)에 결합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암(511)이 돌출 형성되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브라켓(510);
상기 지지암(511)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하며 풍압을 발생시키고, 광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레이드(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분쇄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lade unit 5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rushing blade 40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00, and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which at least two or more support arms 511 protrude. A pair of brackets 510;
at least two or more blades 520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arm 511 to generate wind pressure while rotating and inducing movement of minerals;
Mineral grinder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520)는 상기 임펠라(300)가 위치한 방향으로 더 연장형성되어 상기 임펠라(200)의 풍압에 의해 이동중인 광물을 상기 파쇄날(400)이 위치한 상기 브라켓(510)의 이격된 사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분쇄기.
According to claim 2,
The blade 520 is further extended in the direction where the impeller 300 is located, and the mineral moving by the wind pressure of the impeller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bracket 510 where the crushing blade 400 is located. Mineral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mov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520)는
상기 지지암(511)에 안착되어 광물과 접촉되며, 풍압을 발생시키는 유도판(521);
상기 미분쇄 광물이 상기 유도판(521)의 일측면에 임시로 포집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판(521)의 끝단에 형성되는 포집판(522);
상기 유도판(5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벽(523);
상기 제1 측벽(523)과 마주보도록 상기 유도판(521)의 다른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523)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출구(102)로 미분쇄 광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2 측벽(5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분쇄기.
According to claim 2,
The blade 520 is
an induction plate 521 seated on the support arm 511 and contacting a mineral to generate wind pressure;
a collection plate 522 formed at an end of the guide plate 521 so that the unpulverized mineral can be temporarily collect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a first side wall 523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uide plate 521;
A second sidewall 524 tha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late 521 to face the first sidewall 523,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sidewall 523,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pulverized mineral to the outlet 102;
Mineral grinder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10)의 회전시 상기 유도판(521)에 포집된 미분쇄 광물이 상기 제2 측벽(524)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미분쇄 광물이 포집되는 상기 유도판(521)의 일측면은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분쇄기.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bracket 510 rotates, one side of the guide plate 521 on which the unpulverized mineral is collected so that the unpulverized mineral collected on the guide plate 52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wall 524. Mineral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clination.
KR1020220007158A 2022-01-18 2022-01-18 mineral grinder KR102626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58A KR102626813B1 (en) 2022-01-18 2022-01-18 mineral gr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58A KR102626813B1 (en) 2022-01-18 2022-01-18 mineral gr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80A true KR20230111380A (en) 2023-07-25
KR102626813B1 KR102626813B1 (en) 2024-01-19

Family

ID=8742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158A KR102626813B1 (en) 2022-01-18 2022-01-18 mineral gri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81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65B1 (en) 2013-03-20 2013-06-17 (주)장형기업 Aggregate bucket hitting peelign apparatus
KR102159191B1 (en) * 2019-06-04 2020-09-23 (주)성철환경개발 The improved grinder to peel the mortar attached to recycled aggregates
KR102183831B1 (en) * 2020-09-21 2020-11-27 최재호 3-stage crushed aggregate peeling device
KR102341324B1 (en) 2021-07-08 2021-12-21 최경섭 Cone crusher device for crushing aggreg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465B1 (en) 2013-03-20 2013-06-17 (주)장형기업 Aggregate bucket hitting peelign apparatus
KR102159191B1 (en) * 2019-06-04 2020-09-23 (주)성철환경개발 The improved grinder to peel the mortar attached to recycled aggregates
KR102183831B1 (en) * 2020-09-21 2020-11-27 최재호 3-stage crushed aggregate peeling device
KR102341324B1 (en) 2021-07-08 2021-12-21 최경섭 Cone crusher device for crushing aggreg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813B1 (en)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28133U (en) Multi-stage crusher
RU2628498C1 (en) Grinding device
CN201271591Y (en) Birotor pulverizer
KR101923853B1 (en) Impact Crusher with Function of Dust Removal
EP2228133A1 (en) Grinding device of vertical grinder
EP0568941A2 (en) Pulverizing apparatus
JP6308329B2 (en) Crusher
US58268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nuting of solid particles
US3123312A (en) Palyi
US422896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ellulose insulation
US20050263632A1 (en) Solids reduction processor
KR101065460B1 (en) Crusher
KR20230111380A (en) mineral grinder
CN105833969B (en) A kind of pulverizer
CN201357087Y (en) Birotor crusher
CN110152792A (en) A kind of efficient axial-flow type mineral breaker
KR100625400B1 (en) Grinding Machine Using Hammer Jet
CN209363008U (en) V-type powder concentrator and select powder system
CN210159687U (en) Double-rotor vertical shaft impact crusher
CN205518018U (en) Nanometer macromolecule natural asphalt grinds machine
KR102091099B1 (en) Separator Single Unit In-line Impact Air Classifier Mill Equipment
CN101244400B (en) Horizontal non-screen hammer piece type crushing, classifying integrated machine
KR100585253B1 (en) Sandmill that is possibly separated powder from sand
US3598326A (en) Ore grinding mechanism and method
JP7121417B2 (en) glass cru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