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372A - 정수기의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372A
KR20230111372A KR1020220007130A KR20220007130A KR20230111372A KR 20230111372 A KR20230111372 A KR 20230111372A KR 1020220007130 A KR1020220007130 A KR 1020220007130A KR 20220007130 A KR20220007130 A KR 20220007130A KR 20230111372 A KR20230111372 A KR 20230111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tank
filter member
back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휘동
임완식
정광열
Original Assignee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372A/ko
Publication of KR2023011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의 세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은,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탱크에 저장된 물을 필터부재에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필터부재를 역세척하는 단계; 및 필터부재를 세척한 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세척 방법{STERILIZATION METHOD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 탱크와,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부재 및,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탱크에 저장된 물은 취수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정수기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필터는 계속적 사용에 의해 이물질이 쌓이므로 세척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 정수기의 필터는 세척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서 미리 설정된 기간동안 사용 후에는 필터를 교환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필터의 교환은 자원이 낭비되므로 필터를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필터의 내부는 세척하기가 굉장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제20-0366505호(공고일자:2004년11월09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수된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역세척 방식으로 필터부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필터부재에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필터부재를 역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부재를 세척한 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에 연결된 배수펌프에 의해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필터부재에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선카본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은 상기 선카본 필터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카본 필터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인입관; 및 상기 필터부가 수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제1 유로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인입관에 연결되며, 역세척 방식으로 상기 필터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세척 방식으로 상기 필터부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2 유로로부터 상기 인입관으로 유입되어 상기 인입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필터부의 외측으로 이동 후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기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필터부재의 역세척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필터부재의 역세척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수된 깨끗한 물이 필터부재의 내측으로 유입되므로 필터부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정수기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서 원수가 필터부재의 선카본 필터로 유입된 후 유출되는 과정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서 탱크에 저장된 물이 필터부재의 선카본 필터로 유입된 후 유출되면서 역세척하는 과정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정수기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서 원수가 필터부재의 선카본 필터로 유입된 후 유출되는 과정에 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서 탱크에 저장된 물이 필터부재의 선카본 필터로 유입된 후 유출되면서 역세척하는 과정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정수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이 적용되는 정수기는, 필터부재(100)와, 필터부재(100)에 의해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탱크(200)를 포함한다. 탱크(200)는 필터링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 탱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 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 탱크는 다양한 필터부재(100)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냉수 탱크 또는 온수 탱크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정수 탱크로부터 냉수 탱크 또는 온수 탱크로 공급되는 물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냉수 탱크 또는 온수 탱크의 수위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며, 정수 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냉수 탱크 또는 온수 탱크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생수 탱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생수기의 경우, 전술한 정수 탱크는 생수 탱크로 대체될 수 있다.
냉수 탱크는 냉수를 저장하며, 순환 펌프와 공급유로에 의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냉수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냉수는 물 분사 노즐부의 물 분사노즐을 통해 제빙유닛의 결빙부재로 분사되며, 이에 의해 결빙부재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온수 탱크는 정수 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이 열선과 같은 통상적인 가열 부재를 통해 가열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로 승온된 후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 탱크에 저장된 온수는 취수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세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물공급원(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원수가 필터부재(100)를 거치면서 필터링되며, 필터부재(100)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탱크(200)에 저장된다(도 1의 화살표 a 참조). 여기서, 탱크(200)는 예를 들어, 정수 탱크 또는 냉수 탱크일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선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와, 후카본 필터(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필터부재(1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선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와, 후카본 필터(130)가 모두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도 1에서와 같이 선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와, 후카본 필터(130)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필터부재(100의 세척을 위해 선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와, 후카본 필터(130)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선카본 필터(110)로 공급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화살표 a를 참조하면, 물공급원(400)으로로부터 제공되어 선카본 필터(110)와, 멤브레인 필터(120)와, 후카본 필터(130)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은 탱크(200)에 저장된다. 즉, 탱크(200)에 저장된 물은 필터부재(10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상태의 물이다.
물공급원(400)으로로부터 제공되는 물은 각종 밸브,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410, 4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200)에 저장된 깨끗한 물이 도 1의 화살표 b와 같이 물이 걸러지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필터부재(100)에 공급되어 필터부재(100)가 역세척된다. 여기서, 역세척이란, 물이 필터부재(10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부재(100)를 세척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히는 후술한다.
여기서, 탱트(200)로부터 제공되는 물은 예를 들어 체크 밸브(2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탱크(200)와 필터부재(100)의 선카본 필터(110) 사이에는 배수펌프(300)가 위치하고, 배수펌프(300)는 탱크(200)와 필터부재(100)에 각각 연결되며, 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배수펌프(300)에 의해 필터부재(100)의 선카본 필터(110)에 역방향으로 공급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선카본 필터(110)는 필터부(111)와, 인입관(112)과, 케이스(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111)는 다양한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수를 여과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필터부(111)는 활성탄, UF(Ultra Filter) 또는 NF(Nano Filter)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더 다양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인입관(112)은 필터부(111)의 내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입관(112)은 필터부(111)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인입관(112)에는 원수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117)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수는 화살표 a와 같이 필터부(1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통해 인입관(112)에 형성된 구멍(117)을 통과하여 인입관(112)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인입관(112)에 연결된 제2 유로(600)를 통해 유출되어 탱크(200)로 이동한다.
케이스(113)는 필터부(111)를 수용하며 필터부(111)를 보호하도록 필터부(111)를 감싼다. 즉, 필터부(111)가 케이스(113)에 삽입되어 보호된다. 제1 유로(500)는 케이스(113)에 연결되며, 물공급원(400)으로부터의 원수가 제1 유로(500)를 지나 케이스(113) 내부로 이동 후 필터부(111)를 통과하여 인입관(112)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필터부(111)에 의해 여과된다.
물을 필터링 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유로(500)는 케이스(113)에 연결되며 원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물공급원(400)으로부터 제1 유로(500)로 유입된 원수가 케이스(113)로 이동하고 필터부(111)를 통해 인입관(112)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유로(600)는 인입관(112)에 연결되며, 필터부(111)를 통과하여 인입관(112)으로 이동하면서 여과된 정수가 제2 유로(600)를 통해 탱크(200)로 유출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원수는 제1 유로(500)로부터 케이스(113)에 유입되어 필터부(111)의 외측으로부터 필터부(111)의 내측에 위치한 인입관(112)으로 이동하여 제2 유로(600)를 통해 유출되고, 탱크(200)로 이동한다.
그리고, 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여 필터부재(100)를 세척하는 과정, 즉 역세척 과정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화살표 b와 같이 역세척은 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제2 유로(600)로부터 인입관(112)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인입관(112)에 형성된 구멍(117)을 통해 필터부(111)의 내측으로부터 필터부(111)의 외측으로 이동 후 제1 유로(500)를 거쳐 제1 유로(500)에 연결된 배수유로(114)를 통해 배출되면서 탱크(200)에 저장된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필터부재(100)의 내측을 세척한다.
배수유로(114)는 제1 유로(500)에 연결되며 필터부재(100)의 필터부(111)의 내측을 세척한 물이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배수유로(114)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15)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정수기는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필터부재(100)의 역세척을 진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필터부재(100)의 역세척을 진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하루에 한 번 탱크(200)에 저장된 모든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루에 한 번은 정수된 모든 물을 배출하고 새롭게 필터링된 물을 탱크(200)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항상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하루에 한 번 배출되는 정수된 물, 즉 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바로 배출시키기 않고 이를 이용하여 필터부재(100)를 역세척 후 배출한다면 정수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관리 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역세척은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역세척의 시간과 횟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과 횟수는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필터부재 110 : 선카본 필터
111 : 필터부 112 : 인입관
113 : 케이스 114 : 배수유로
117 : 구멍 120 : 멤브레인 필터
130 : 후카본 필터 200 : 탱크
300 : 배수펌프 400 : 물공급원
500 : 제1 유로 600 : 제2 유로
700 : 제어부

Claims (8)

  1.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물을 탱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필터부재에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필터부재를 역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부재를 세척한 물이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에 연결된 배수펌프에 의해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필터부재에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및 후카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선카본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은 상기 선카본 필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카본 필터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인입관; 및
    상기 필터부가 수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제1 유로는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인입관에 연결되며,
    역세척 방식으로 상기 필터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방식으로 상기 필터부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2 유로로부터 상기 인입관으로 유입되어 상기 인입관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필터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필터부의 외측으로 이동 후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정수기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필터부재의 역세척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필터부재의 역세척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척 방법.
KR1020220007130A 2022-01-18 2022-01-18 정수기의 세척 방법 KR20230111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30A KR20230111372A (ko) 2022-01-18 2022-01-18 정수기의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130A KR20230111372A (ko) 2022-01-18 2022-01-18 정수기의 세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72A true KR20230111372A (ko) 2023-07-25

Family

ID=8742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130A KR20230111372A (ko) 2022-01-18 2022-01-18 정수기의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3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505Y1 (ko) 2004-07-31 2004-11-09 노정인 살균장치가 장치된 정수기 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505Y1 (ko) 2004-07-31 2004-11-09 노정인 살균장치가 장치된 정수기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6265B (zh) 用于净化液体特别是压载水的装置
CN106310947B (zh) 一种正反冲洗活塞式储水器、微废水ro系统及膜冲洗方法
KR20120047141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CN104902978A (zh) 压载水处理设备和用于压载水处理设备的逆清洗方法
KR102634086B1 (ko) 수처리장치
KR101785934B1 (ko) 수처리용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230111372A (ko) 정수기의 세척 방법
JP2007245059A (ja) ろ過膜の逆洗方法と装置
CN110776120A (zh) 滤芯清洗系统、滤芯清洗方法和净水机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2213443B1 (ko) 탄산수살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JP4918512B2 (ja) 逆浸透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KR101425341B1 (ko) 압전 소자를 이용한 체인 세척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체인 세척 방법
CN114364444B (zh) 净水器和用于净水器的过滤器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6664673B1 (ja) 濾過システム
CN110316888B (zh) 一种自循环消毒的柜式纯水处理设备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20210126271A (ko) 필터 살균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647647B1 (ko)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KR101627707B1 (ko) 멀티 여과장치
KR0146835B1 (ko) 정수기
KR100718791B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101716081B1 (ko) 고처리율 막여과공정을 위한 막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961827B1 (ko) 재생기능을 갖는 필터식 여과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