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347A - 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 Google Patents

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347A
KR20230111347A KR1020220007062A KR20220007062A KR20230111347A KR 20230111347 A KR20230111347 A KR 20230111347A KR 1020220007062 A KR1020220007062 A KR 1020220007062A KR 20220007062 A KR20220007062 A KR 20220007062A KR 20230111347 A KR20230111347 A KR 2023011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ear
driving
pad
moving
dr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성효
Original Assignee
(주)트리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트리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0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1347A/en
Publication of KR2023011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34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대상체를 운송하는 초박형 이동체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시험 대상체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패드; 상기 패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휠; 및 상기 메인 휠을 지지하는 차대를 포함하는 운행부; 및 상기 패드와 상기 운행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드와 상기 운행부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이동체에 인접한 장애물에 의한 운행 장애를 제거하는 메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thin mobile body for transporting a test object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a vehicle is provided. 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base plate on which the test subject is seated; and a pad including an inclined plate formed outside the base plate. at least one main wheel provided inside the pad and moving the pad; and a driving unit including a chassis supporting the main wheel. and a main support that connects the pad and the moving unit and removes a driving obstacle caused by an obstacle adjacent to the moving body by changing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n angle between the pad and the moving unit.

Description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대상체를 운송하는 초박형 이동체{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Ultra-thin movable body transporting test objects for testing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대상체를 운송하는 초박형 이동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thin mobile body for transporting a test object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a vehicle.

완전한 자율 주행 기술은 인간이 차량의 주행에 관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 경우 안전성에 관한 의문이 존재하며, 따라서 자율 주행 기술의 안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Fully self-driving technology aims to eliminate human involvement i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n which case there are questions about safety, so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echnology to test the safety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차량은 전방에 갑작스럽게 사람이나 동물 등 장애물이 나타날 경우, 긴급 제동이나 방향 전환 등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소정 기준 이상의 긴급 제동 성능 또는 방향 전환 성능을 가져야만 안전한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에 갑작스럽게 장애물을 등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For example, an autonomous vehicle must be able to perform emergency braking or direction change when an obstacle such as a person or animal suddenly appears in front, and safe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nly when emergency braking performance or direction change performance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Therefore, in order to test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such an autonomous vehicle, a technology capable of suddenly appearing an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대상체를 운송하는 초박형 이동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thin mobile body for transporting a test object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a vehic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대상체를 운송하는 초박형 이동체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체는, 상기 시험 대상체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패드; 상기 패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휠; 및 상기 메인 휠을 지지하는 차대를 포함하는 운행부; 및 상기 패드와 상기 운행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드와 상기 운행부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이동체에 인접한 장애물에 의한 운행 장애를 제거하는 메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thin mobile body for transporting a test object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a vehicle is provided. 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base plate on which the test subject is seated; and a pad including an inclined plate formed outside the base plate. at least one main wheel provided inside the pad and moving the pad; and a driving unit including a chassis supporting the main wheel. and a main support that connects the pad and the moving unit and removes a driving obstacle caused by an obstacle adjacent to the moving body by changing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n angle between the pad and the moving unit.

또한, 상기 메인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과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기어(Cam Gear); 및 상기 캠 기어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캠 기어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일측이 제 1 상태 및 상기 1 상태보다 상측의 제 2 상태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support portion, at least one cam gear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se plate (Cam Gear); and at least one gear motor for driving the cam gear, wherein the one side of the base plate moves up and down betwee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higher than the first state by rotational driving of the cam gear.

또한, 상기 캠 기어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며, 상기 캠 기어의 일 영역이 반대 영역보다 상기 편심축으로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gear is rotationally driven around an eccentric shaft, and one area of the cam gear may protrude outward relative to the eccentric shaft relative to an opposite area.

또한, 상기 캠 기어는,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캠 기어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모터는,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제 2 캠 기어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어 모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gear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cam ge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and at least one second cam gear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the gear motor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gear motor and at least one second gear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respectively.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상기 제 2 캠 기어가 상기 제 1 상태인 노말 주행 모드;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상기 제 2 캠 기어 중 하나만이 상기 제 2 상태인 경사로 진입 모드; 및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상기 제 2 캠 기어가 상기 제 2 상태인 리프팅 주행 모드 사이에서 주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normal driving mode in which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are in the first state; a ramp entry mode in which only one of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is in the second state; and a lifting driving mode in which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are in the second state.

또한, 운행 상황 감지부; 및 상기 운행 상황 감지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노말 주행 모드, 상기 경사로 진입 모드 및 상기 리프팅 주행 모드 중 하나로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driving situation detection unit; and a controller that determines a driving mode as one of the normal driving mode, the ramp entry mode, and the lifting driving mod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riving situation sensor.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주행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주행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노말 주행 모드, 상기 경사로 진입 모드 및 상기 리프팅 주행 모드 중 하나로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driving mod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driving mode as one of the normal driving mode, the ramp entry mode, and the lifting driving mode based on the driving mode signal.

또한, 상기 메인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캠 기어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운행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드 또는 상기 메인 휠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본체부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support portion,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late;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cam gear is coupled; A shock absorber may be included that connects the main body and the moving part and absorbs the impact by moving the main body downwar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ad or the main wheel.

또한,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내측과 상기 차대를 연결하되, 상기 메인 휠의 운행을 보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이 구비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that connects the inner side of the inclined plate and the chassis and assists driving of the main wheel.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이나 자전거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시험 대상체를 운행 중인 차량의 앞으로 운송하여, 긴급 제동 성능이나 방향 전환 성능 등 자율 주행 차량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est the performance of an autonomous vehicle, such as emergency braking performance or direction change performance, by transporting a test object made in the shape of a person or a bicycle in front of a running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 주행 성능 테스트 중인 차량이 시험 대상체를 발견하지 못하고 시험 대상체에 부딪히며 지나가더라도, 차량이 이동체의 상부를 타고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과 이동체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vehicle under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test fails to find the test object and passes by while bumping into the test object, the vehicle can move on top of the moving object, and thus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moving object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와 운행부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며, 이동체에 인접한 장애물에 의한 운행 장애가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nd the angle between the pad and the moving unit is changed, and a driving obstacle caused by an obstacle adjacent to the moving body can be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휠이 구비되는 보조 지지부에 의해, 패드와 운행부의 결합 및 메인 휠에 의한 운행이 보조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of the pad and the moving part and the driving by the main wheel can be assisted by the auxiliary support provided with the auxiliary wheel.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노말 주행 모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리프팅 주행 모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경사로 진입 모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ving object in a normal dri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ving body in a lifting dri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vable body in a ramp entr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f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a method of configuring and using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described below,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대상체를 운송하는 초박형 이동체(100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자율 주행 차량은 전방에 갑작스럽게 사람이나 동물 등 장애물이 나타날 경우, 긴급 제동이나 방향 전환 등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소정 기준 이상의 긴급 제동 성능 또는 방향 전환 성능을 가져야만 안전한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동체(1000)는 사람이나 동물, 자전거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시험 대상체를 운행 중인 차량의 앞으로 운송하여, 긴급 제동 성능이나 방향 전환 성능 등 자율 주행 차량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ltra-thin mobile body 1000 for transporting a test object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a vehicle is provided. Specifically, the self-driving vehicle must be able to perform emergency braking or direction change when an obstacle such as a person or animal suddenly appears in front, and safe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only when emergency braking performance or direction change performance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movable body 1000 transports a test object made in the shape of a person, animal, or bicycle in front of a vehicle in motion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autonomous vehicle, such as emergency braking performance or direction change performance.

다만 이와 같은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이동체(1000)가 이용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uses, and the movable body 1000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 to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노말 주행 모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리프팅 주행 모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의 경사로 진입 모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body in a normal dri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ving body in a lifting driv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체(1000)는, 패드(100), 운행부(200), 메인 지지부(300) 및/또는 보조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movable body 1000 may include a pad 100 , a transport unit 200 , a main support unit 300 and/or an auxiliary support unit 400 .

패드(100)는 자율 주행 차량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시험 대상체를 상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패드(100)는 운행부(200), 메인 지지부(300) 및/또는 보조 지지부(400)를 외측에서 커버하여, 이동체(100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운행부(200), 메인 지지부(300) 및/또는 보조 지지부(400)의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100)는 지면에 대해 소정 높이 이하로 형성되어, 차량의 전방 카메라나 센서 등을 통하여 패드(100)의 상부에 안착된 시험 대상체의 위치와 형상이 용이하게 관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test object for a performance test of an autonomous vehicle may be seated on the pad 100 . At this time, the pad 100 covers the moving part 200, the main support part 300, and/or the auxiliary support part 400 from the outside,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moving body 1000, and parts of the moving part 200, the main support part 300 and/or the auxiliary support part 4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the pad 100 is formed below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test object seated on the pad 100 can be easily observed through a front camera or sensor of the vehicle.

실시예에서, 패드(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경사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부에 시험 대상체가 안착될 수 있고, 경사 플레이트(120)는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측에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 플레이트(120)의 경사에 의해 차량이 경사 플레이트(120)를 타고 패드(100)의 상부로 진입 및 이탈할 수 있다. 즉, 자율 주행 성능 테스트 중인 차량이 시험 대상체를 발견하지 못하고 시험 대상체에 부딪히며 지나가더라도, 차량이 패드(100)의 상부를 타고 이동하여 타이어의 진행이 방해되지는 않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과 이동체(1000)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ad 100 may include a base plate 110 and an inclined plate 120 . For example, the base plate 110 may be formed flat so that a test object may be seated thereon, and the inclined plate 120 may be formed outside the base plate 110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t this time,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ation plate 120, the vehicle may ride in and out of the upper part of the pad 100 while riding the inclination plate 120. That is, even if the vehicle under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test fails to find the test object and bumps into the test object, the vehicle may move on the top of the pad 100 so that the progress of the tire may not be hindered. Accordingly,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movable body 1000 can be minimized.

운행부(200)는 패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행부(200)는 패드(100)의 하부에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 결합하며 패드(1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unit 200 may move the pad 100 . Specifically, the moving unit 200 is directly/indirect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ad 100 and may move together with the pad 100 .

실시예에서, 운행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휠(210) 및 메인 휠(210)을 지지하는 차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휠(210)은 운행부(20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main wheel 210 and a chassis 220 supporting the main wheel 210 . For example, two main wheels 21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two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2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시되지는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운행부는 메인 휠(2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엔진(engine), 모터(motor) 등 메인 휠(210)을 구동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동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ain wheel 210 .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ll types of power means for driving the main wheel 210, such as an engine and a motor.

메인 지지부(300)는 패드(100)와 운행부(200)를 연결하며, 패드(100)와 운행부(200)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이동체(1000)에 인접한 장애물에 의한 운행 장애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체(1000)가 이동하는 경로에 돌, 경사면, 방지턱, 언덕 등의 장애물이 배치되는 경우, 패드(100)의 경사 플레이트(120)가 장애물에 부딪히며 이동체(1000)의 운행이 방해되게 될 수 있는데, 메인 지지부(300)에 의해 패드(100)와 운행부(200)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됨에 따라, 경사 플레이트(120)가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게 되어 운행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The main support part 300 connects the pad 100 and the moving part 200, and changes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n angle between the pad 100 and the moving part 200 to remove obstacles caused by obstacles adjacent to the moving body 1000. Specifically, when an obstacle such as a stone, a slope, a bump, or a hill is disposed on the path on which the moving body 1000 moves, the inclined plate 120 of the pad 100 collides with the obstacle and the operation of the moving body 1000 may be hindered. Driving may not be hindered.

실시예에서, 메인 지지부(300)는, 본체부(310),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320), 적어도 하나의 캠 기어(Cam Gear, 330), 적어도 하나의 기어 모터(340) 및 완충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ain support part 300 may include a main body part 310, at least one coupling part 320, at least one cam gear 330, at least one gear motor 340, and a buffer part 350.

실시예에서, 본체부(3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body portion 31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and support the base plate 110 .

실시예에서, 본체부(3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100)와 본체부(310)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패드(100)와 운행부(200)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 가능해질 있다. In an embodiment, the body portion 31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so as to be movable.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pad 100 and the main body 310 can be changed, and thus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pad 100 and the moving unit 200 can be changed.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단에는 받침판(111)이 구비되고, 받침판(111)에 수직 홀(112)이 관통 형성되며, 본체부(310)가 수직 홀(112)에 볼트 체결되어 수직 홀(11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다만, 본체부(31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승강 가능한 모든 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 base plate 11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110, a vertical hole 112 is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111, and the main body portion 310 is bolted to the vertical hole 112. It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110 while moving along the vertical hole 112. However,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base plate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coupling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may be applied.

실시예에서, 결합부(320)는 본체부(3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캠 기어(330)(특히, 편심축)가 결합되는 기어 홀(3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어 홀(32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캠 기어(330)는 기어 홀(321)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면적에 대응하여, 기어 홀(321) 내에서 캠 기어(330)의 수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3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310, and the gear hole 321 to which the cam gear 330 (in particular, the eccentric shaft) is coupled may be formed through. At this time, the gear hole 321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110, and the cam gear 330 may be bolted to the gear hole 321. Accordingly,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cam gear 330 may be changed in the gear hole 321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ase plate 110 .

실시예에서, 캠 기어(3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캠 기어(33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캠 기어(330)와 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이 제 1 상태 및 제 1 상태보다 상측인 제 2 상태 사이에서 승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상태에서 캠 기어(330)와 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높이가 최소일 수 있고, 제 2 상태는 캠 기어(330)와 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높이가 최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the cam gear 330 may come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se plate 110 .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base plate 110 in contact with the cam gear 330 may move up and down betwee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higher than the first state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cam gear 330 . 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state, the height of the base plate 110 in contact with the cam gear 330 may be minimum, and in the second state, the height of the base plate 110 in contact with the cam gear 330 may be maxim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서, 캠 기어(330)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며, 캠 기어(330)의 일 영역이 반대 영역보다 편심축으로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캠 기어(330)의 상기 일 영역이 편심축의 상단에 위치할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이 제 2 상태일 수 있고, 캠 기어(330)의 상기 반대 영역이 편심축의 상단에 위치할 경우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측이 제 1 상태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cam gear 330 is rotationally driven around an eccentric shaft, and one area of the cam gear 330 may protrude outward relative to the eccentric shaft relative to an opposite area. That is, when the one region of the cam gear 33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eccentric shaft, one side of the base plate 110 may be in the second state, and when the opposite region of the cam gear 33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eccentric shaft, one side of the base plate 110 may be in the first state.

실시예에서, 캠 기어(330)는, 메인 지지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캠 기어(331)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캠 기어(3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캠 기어(331)는 이동체(100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어 패드(100)의 전방을 승강시킬 수 있고, 제 2 캠 기어(332)는 이동체(100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어 패드(100)의 후방을 승강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캠 기어(331)와 제 2 캠 기어(332)는 이동체(10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the cam gear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cam gear 33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part 300 and at least one second cam gear 332 provided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first cam gear 331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moving body 1000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to lift the front of the pad 100, and the second cam gear 332 may be disposed at the rear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000 to lift the rear of the pad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wo first cam gears 331 and two second cam gears 332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movable body 1000, respectively,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서, 기어 모터(340)는 캠 기어(33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 모터(340)는 캠 기어(330)의 편심축에 결합하는 전동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캠 기어(330)를 구동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동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gear motor 340 may drive cam gear 330 . For example, the gear motor 340 may be an electric motor coupled to an eccentric shaft of the cam gear 3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type of power means capable of driving the cam gear 330.

실시예에서, 기어 모터(340)는, 제 1 캠 기어(331) 및 제 2 캠 기어(332)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어 모터(34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 모터(34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gear motor 34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gear motor 341 and at least one second gear motor 342 connected to the first cam gear 331 and the second cam gear 332, respectively.

실시예에서, 이동체(1000)는 노말 주행 모드, 경사로 진입 모드, 리프팅 주행 모드 사이에서 주행 모드가 전환되며 주행할 수 있다. 이때 노말 주행 모드는, 제 1 캠 기어 및 제 2 캠 기어가 제 1 상태인 주행 모드이고, 경사로 진입 모드는 제 1 캠 기어 및 제 2 캠 기어 중 하나만이 제 2 상태인 주행 모드이며, 리프팅 주행 모드는 제 1 캠 기어 및 제 2 캠 기어가 제 2 상태인 주행 모드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ovable object 1000 may drive while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between a normal driving mode, a ramp entry mode, and a lifting driving mode. At this time, the normal driving mode is a driving mode in which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are in the first state, the slope entry mode is a driving mode in which only one of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is in the second state, and the lifting driving mode may be a driving mode in which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are in the second state.

실시예에서, 완충부(350)는 본체부(310)와 운행부(200)를 연결하며, 패드(100) 또는 메인 휠(2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본체부(310)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350)에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및 완충 스프링 등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buffer unit 350 connects the body unit 310 and the driving unit 200, an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ad 100 or the main wheel 210, the body unit 310 is moved downward to absorb the impact. For example, the shock absorber 350 may include a shock absorber and a buffer sp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for absorbing shock may be applied.

보조 지지부(400)는 패드(100)와 운행부(200)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지지부(400)는 경사 플레이트(120)의 내측과 차대(22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드(100)는 메인 지지부(300)를 통해 차대(220)와 상하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보조 지지부(400)를 통해 차대(220)와 측면으로 연결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차대(2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 지지부(400)는 패드(100)의 하부를 커버하며, 바닥의 이물질이 이동체(10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 part 400 may assist in coupling the pad 100 and the moving part 200 . For example, the auxiliary support 400 may connect the inside of the inclined plate 120 and the chassis 220, and accordingly, the pad 100 is not only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hassis 220 through the main support 300, but also connected laterally to the chassis 220 through the auxiliary support 400, so that it can be more stably combined with the chassis 220. Also, for example, the auxiliary support part 400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pad 100 and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moving body 1000 .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부(400)는 완충부(350)에 의한 패드(100)의 하강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350)의 하강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경사 플레이트(120)가 하강하면, 보조 지지부(400)의 각도가 이에 대응하여 변경되는데, 이러한 각도 변경에 의해 보조 지지부(400)의 단부가 운행부(200)의 차대(220)에 접하게 되면, 보조 지지부(400)의 추가적인 각도 변경이 제한됨에 따라 경사 플레이트(120)의 하강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메인 지지부(300)의 하강 역시 제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uxiliary support part 400 may limit the degree of descent of the pad 100 by the buffer part 350 . For example, when the base plate 110 and the inclined plate 120 descend as the shock absorber 350 descends, the angle of the auxiliary support 400 is changed correspondingly. When the end of the auxiliary support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hassis 220 of the moving unit 200 due to this angle change, the additional angle change of the auxiliary support 400 is limited, thereby limit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inclined plate 120, thereby limiting the base plate 120's descent. The lowering of the plate 110 and the main support 300 may also be limited.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부(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410)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휠(410)은 메인 휠(210)의 운행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1000)가 경사로 주행 모드로 주행하며 경사로에 진입할 경우, 보조 휠(410)이 경사면에 접하며 운행을 보조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메인 휠(210)의 운행을 보조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410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support part 400 . The auxiliary wheel 410 may assist the driving of the main wheel 210 . For example, when the movable body 1000 drives in the ramp driving mode and enters the ramp, the auxiliary wheel 410 may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to assist driving, and in addition, the driving of the main wheel 210 may be assisted in various forms.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1000)는 사용자의 운전 조작 없이 자율 주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체(1000)는 운행 상황 감지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상황 감지부는 GPS 센서, 카메라, 거리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체(1000)의 운행 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oving object 1000 may be autonomously driven without a user's driv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movable body 10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condition detect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driving condition detector may include a GPS sensor, a camera, a distance senso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moving object 1000.

실시예에 따라, 이동체(1000)는 사용자의 운전 조작에 따라 수동 주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체(10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주행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는 유선 및/또는 무선 수신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는 블루투스 수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수신부, 근거리 자기장 수신부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수신부, 지그비(Zigbee) 수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수신부, WFD(Wi-Fi Direct) 수신부, UWB(ultrawideband)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또는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ovable body 1000 may be driven manually according to a user's driving operation. In this case, the moving object 100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a driving mode signal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may be a wired and/or wireless receiving unit. For example, the receiver may include a Bluetooth receiver, a Bluetooth Low Energy (BLE) receiver, a Near Field Communication (WLAN) receiver, a Zigbee receiver,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receiver, a Wi-Fi Direct (WFD) receiver, an ultrawideband (UWB) receive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ceiver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module or chip.

도시되지는 않으나, 실시예에서, 이동체(1000)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1000)가 자율 주행될 경우 제어부는 운행 상황 감지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이동체(1000)가 수동 주행될 경우 제어부는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주행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이동체(100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와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이동체(10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동체(10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an embodiment, the movable body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example, when the moving object 1000 is driven autonomously,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driving mode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the driving situation sensor, and when the moving object 1000 is driven manually,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driving mode based on the driving mod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physically connected to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movable body 1000 to control their operation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generally control components within the mobile body 1000 by executing a program stored in the mobile body 10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이동체(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movable body 1000 according to FIGS. 1 to 5 is exemplary,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S610 단계에서, 제어부는 이동체(1000)의 주행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1000)의 정지 상태에서 운행 상황 감지부가 이동체(1000) 주위의 정보(예를 들어, 이동체(1000) 주위에서 운행하는 자율 주행 테스트 차량의 존재 여부 등)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주행 개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주행 개시 신호의 생성 시 이동체(1000)의 운행부(200)를 조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가 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행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운행부(200)를 조작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step S610 , the control unit may start the driving of the movable body 1000 . For example, while the moving object 1000 is in a stopped state, the driving situation sensor may detect information around the moving object 1000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re is an autonomous driving test vehicle operating around the moving object 1000)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driving start signal through a predetermined algorithm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may operate the driving unit 200 of the moving object 1000 when the driving start signal is gene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such as operating the driving unit 200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driving star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ing unit.

이후 S620 단계에서, 제어부는 주변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상황의 판단은 운행 상황 감지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행 상황 감지부는 이동체(1000)의 운행 시 주위의 정보(예를 들어, 이동체(1000) 주위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주변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620 thereafte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may be made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driving situation sensor. Specifically, the driving situation detector may detect surrounding information (for example, obstacles around the moving object 1000) while the moving object 1000 is driving and transmit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algorithm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이후 S630 단계에서, 제어부는 이동체(1000)의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이동체(1000) 주변에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노말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결정하고, 이동체(1000)의 진행 방향에 경사로가 감지될 경우에는 경사로 진입 모드로 주행 모드를 결정하며, 이동체(1000)의 주변에 돌멩이 등의 장애물이 감지될 경우 리프팅 주행 모드로 주행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주행 모드가 결정되면 제어부는 메인 지지부(300)를 조작하여 주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In step S630 thereafter,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driving mode of the moving object 1000 . Specifically,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driving mode as normal driving mode when no obstacle is detected around the moving body 1000, determines the driving mode as ramp entry mode when a ramp is detect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1000, and determines the driving mode as lifting driving mode when an obstacle such as a stone is detected around the moving body 1000. When the driving mode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driving mode by manipulating the main support 300 .

S630 단계 이후, 제어부는 S620 단계를 재차 진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지속적으로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주행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실시간 주행 상황에 맞추어 이동체(1000)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After step S630, the controller may proceed to step S620 again. That is,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ving object 1000 according to the real-time driving situation by determining the driving mode by continuously determin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도 6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FIG. 6 is exemplary, and various method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um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r defining the meaning.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패드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받침판 112: 수직 홀
120: 경사 플레이트 200: 운행부
210: 메인 휠 220: 차대
300: 메인 지지부 310: 본체부
320: 결합부 321: 기어 홀
330: 캠 기어 331: 제 1 캠 기어
332: 제 2 캠 기어 340: 기어 모터
341: 제 1 기어 모터 342: 제 2 기어 모터
350: 완충부 400: 보조 지지부
410: 보조 휠 1000: 이동체
100: pad 110: base plate
111: support plate 112: vertical hole
120: inclined plate 200: operating unit
210: main wheel 220: chassis
300: main support part 310: body part
320: coupling part 321: gear hole
330: cam gear 331: first cam gear
332: second cam gear 340: gear motor
341: first gear motor 342: second gear motor
350: buffer part 400: auxiliary support part
410: auxiliary wheel 1000: moving body

Claims (9)

차량의 자율 주행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험 대상체를 운송하는 초박형 이동체로서,
상기 시험 대상체가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에 형성되는 경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패드;
상기 패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휠; 및 상기 메인 휠을 지지하는 차대를 포함하는 운행부; 및
상기 패드와 상기 운행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드와 상기 운행부 사이의 간격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이동체에 인접한 장애물에 의한 운행 장애를 제거하는 메인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동체.
As an ultra-thin mobile body that transports a test object for testing the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a vehicle,
a base plate on which the test subject is seated; and a pad including an inclined plate formed outside the base plate.
at least one main wheel provided inside the pad and moving the pad; and a driving unit including a chassis supporting the main wheel. and
and a main support unit connecting the pad and the moving unit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n angle between the pad and the moving unit to remove a driving obstacle caused by an obstacle adjacent to the mov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과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캠 기어(Cam Gear); 및 상기 캠 기어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캠 기어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일측이 제 1 상태 및 상기 1 상태보다 상측의 제 2 상태 사이에서 승강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support part, at least one cam gear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se plate (Cam Gear); and at least one gear motor driving the cam gear;
A moving body in which the one side of the base plate moves up and down betwee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above the first state by the rotational drive of the cam gea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는 편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며, 상기 캠 기어의 일 영역이 반대 영역보다 상기 편심축으로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2,
The cam gear is rotationally driven about an eccentric shaft, and one area of the cam gear protrudes outward relative to the eccentric shaft than an opposite are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기어는, 상기 메인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캠 기어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캠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모터는,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제 2 캠 기어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어 모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어 모터를 포함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2,
The cam gea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cam gea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and at least one second cam gear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gear motor includes at least one first gear motor and at least one second gear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respectivel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상기 제 2 캠 기어가 상기 제 1 상태인 노말 주행 모드;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상기 제 2 캠 기어 중 하나만이 상기 제 2 상태인 경사로 진입 모드; 및 상기 제 1 캠 기어 및 상기 제 2 캠 기어가 상기 제 2 상태인 리프팅 주행 모드 사이에서 주행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4,
The movable body may include a normal driving mode in which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are in the first state; a ramp entry mode in which only one of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is in the second state; and a lifting travel mode in which the first cam gear and the second cam gear are in the second state.
제 5 항에 있어서,
운행 상황 감지부; 및 상기 운행 상황 감지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노말 주행 모드, 상기 경사로 진입 모드 및 상기 리프팅 주행 모드 중 하나로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5,
driving situation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driving mode as one of the normal driving mode, the ramp entry mode, and the lifting driving mod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riving situation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주행 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주행 모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노말 주행 모드, 상기 경사로 진입 모드 및 상기 리프팅 주행 모드 중 하나로 주행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5,
a receiving unit receiving a driving mode signal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d a controller that determines a driving mode as one of the normal driving mode, the ramp entry mode, and the lifting driving mode based on the driving mode sig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캠 기어가 결합되는 결합 홀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운행부를 연결하며, 상기 패드 또는 상기 메인 휠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본체부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2,
The main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late; at least one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to which the cam gear is coupled; and a shock absorber that connects the main body and the driving part and absorbs the impact by moving the main body downwar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pad or the main whe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내측과 상기 차대를 연결하되, 상기 메인 휠의 운행을 보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휠이 구비되는 보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body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connecting an inner side of the inclined plate and the chassis,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that assists driving of the main wheel.
KR1020220007062A 2022-01-18 2022-01-18 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KR202301113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62A KR20230111347A (en) 2022-01-18 2022-01-18 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062A KR20230111347A (en) 2022-01-18 2022-01-18 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347A true KR20230111347A (en) 2023-07-25

Family

ID=8742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062A KR20230111347A (en) 2022-01-18 2022-01-18 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34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2219B (en) Mobile vehicle
US7402974B2 (en) Device for detecting lift of autonomous mobile robot
JP4224029B2 (en) Mobile robot
US11492055B2 (en) Parking robot for a transportation vehicle
CN110341832B (en) Anti-collision device and anti-collision method applied to industrial robot
CN107021148B (en) All-round all-terrain automatic guided transfer robot
US9290369B2 (en) Lifting column for lifting a load, lifting system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measuring a load
JP7364763B2 (en) Vehicle transport system
US10597273B2 (en) Carrier vehicle
JP7466109B2 (en) Mobile
US20170060127A1 (en) Device for maneuvering ground support equipment on an airport stand
US20200180572A1 (en) Parking robot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 parking robot
KR20230111347A (en) Ultra-thin mobile which transports structures for testing autonomous driving performance of vehicles
KR101099631B1 (en) Moving apparatus of welding robot for climbing over the longitudinal
JP4711116B2 (en) Overhead traveling car
JP7114536B2 (en) Conveyor
CN112596527A (en) Robot jamming detection method based on slope structure, chip and cleaning robot
ES2961662T3 (en) Browser
EP1357068A1 (en) Road regulation member recovering device
KR20130124006A (en) Movable robot
CN113492911B (en) Chassis, mobile robot and pit passing and bank passing method thereof
CN113478522B (en) Detection robo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P7409278B2 (en) Vehicles with omnidirectional wheels
US20030147733A1 (en) Road regulation member recovering device
JP3889293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and vehicle turn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