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125A -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125A
KR20230111125A KR1020220047034A KR20220047034A KR20230111125A KR 20230111125 A KR20230111125 A KR 20230111125A KR 1020220047034 A KR1020220047034 A KR 1020220047034A KR 20220047034 A KR20220047034 A KR 20220047034A KR 20230111125 A KR20230111125 A KR 2023011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region
battery
sect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다움
정해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210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36501A1/ko
Priority to EP22920829.3A priority patent/EP4376393A1/en
Priority to US18/119,695 priority patent/US20230226798A1/en
Publication of KR2023011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배터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일부는 배터리와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배터리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배터리와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접착 테이프의 일부는, 배터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배터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배터리와 대면하는 접착 테이프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갭을 형성하도록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접착 테이프의 나머지 일부는 적어도 일면에 비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전자 장치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최근 시행되는 EU 에코 디자인 규제에 따라 배터리의 수리 또는 재활용을 위하여, 전자 장치는 배터리가 전자 장치로부터 쉽고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전자 장치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기 위해서 배터리가 부착된 영역에 알코올을 투입하여 배터리를 분리하거나, 저온 챔버(chamber)에 배터리가 부착된 전자 장치를 방치한 후에 힘을 가하여 배터리를 박리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알코올을 투입하여 배터리를 분리하는 방법에서, 알코올 투입량이 과다한 경우, 알코올은 다른 전자 부품의 오동작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전자 부품에 데미지를 입힐 수 있다. 알코올 투입량이 소량인 경우, 배터리는 전자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저온 챔버에 방치하여 박리하는 방법에서, 다른 전자 부품은 배터리를 박리할 때 물리적인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숙련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는 전자 장치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지지 부재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배터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일부는 배터리와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배터리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배터리와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접착 테이프의 일부는, 배터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배터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배터리와 대면하는 접착 테이프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갭을 형성하도록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접착 테이프의 나머지 일부는 적어도 일면에 비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제1 단부, 제1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 및 접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접착부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착부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갭을 형성하도록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배터리의 고정력은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배치된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갭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배치된 배터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텍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r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또는 자이로 콤파스), 항공 전자 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또는 보일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또는 전면)(110A), 제2 면(또는 후면)(110B), 및 제1 면(110A)과 제2 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또는 측벽)(1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제1 면(110A), 제2 면(110B), 및 측면(110C)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면(110A)은 적어도 일 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21)(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를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면 플레이트(121)는 적어도 일측 단부(side edge portion)에서 제1 면(110A)으로부터 후면 플레이트(1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seamless)하게 연장된 곡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1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후면 플레이트(111)는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후면 플레이트(111)는 적어도 일측 단부에서 제2 면(110B)으로부터 전면 플레이트(12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곡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21) 및 후면 플레이트(111)와 결합하여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부재(또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벽)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측면(110C)은 전자 장치(100)의 우측(예: 도 1의 +x 방향)에 위치하고, 제1 방향(예: 도 1의 +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면(1111), 제1 측면(1111)과 평행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면(1112),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예: 도 1의 +x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측면(1111)의 일단(예: 도 1의 +y 방향의 일단)과 제2 측면(1112)의 일단(예: 도 1의 +y 방향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측면(1113), 및/또는 제3 측면(1113)과 평행하고, 제1 측면(1111)의 타단(예: 도 1의 -y 방향의 일단)과 제2 측면(1112)의 타단(예: 도 1의 -y 방향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4 측면(1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제1 광학 센서(예: 센서 모듈 및/또는 카메라 모듈)(103), 커넥터 홀(104), 또는 오디오 모듈(1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키 입력 장치(107)를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 플레이트(121)가 제공하는 영역 내에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이미지 센서, 또는 홍채 센서와 같은 센서가 디스플레이(120)에 통합되거나, 디스플레이(1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20)는 전면 플레이트(121)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디스플레이(120)의 모서리를 전면 플레이트(121)의 인접한 외곽 형상(예: 곡면)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 홀(104)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홀(104)은 USB 커넥터 또는 이어폰 잭(미도시)(또는, “이어폰 인터페이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커넥터와 이어폰 잭은 하나의 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별도의 커넥터 홀 없이도 외부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디오 모듈(105)은 마이크 홀 및 스피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시에서, 스피커 홀과 마이크 홀이 하나의 홀로 구현되거나, 스피커 홀 없이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스피커 홀은 외부 스피커 홀 및 통화용 리시버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 입력 장치(107)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10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07)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소프트 키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키 입력 장치(107)는 하우징(110)의 제2 면(110B)에 배치된 지문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광학 센서(130) 및 제3 광학 센서(106)는 전자 장치(100)의 제2 면(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 센서(130)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3 광학 센서(106)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광학 센서(103), 제2 광학 센서(130) 및 제3 광학 센서(106)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학 센서(106)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2개 이상의 렌즈들(예: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또는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내부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자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10), 제1 지지 부재(320)(예: 브라켓), 인쇄 회로 기판(330), 배터리(350), 접착 테이프(360) 및 제2 지지 부재(340)(예: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3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지지 부재(320)는, 전자 장치(3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320)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 부재(320)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1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3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3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3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50)는 접착 테이프(360)를 이용하여 제2 지지 부재(34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360)의 적어도 일부는 배터리(350)와 제2 지지 부재(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에 배치된 배터리(35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의 전자 장치(4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의 전자 장치(200),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300) 및 이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 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50)는 제2 지지 부재(34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40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는 배터리(35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접착 테이프(360)는 배터리(350)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는 배터리(350)와 제2 지지 부재(3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의 적어도 일면은 배터리(350) 및 제2 지지 부재(340)와 대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361)는 배터리(350)와 제2 지지 부재(340) 사이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의 상기 일부(361)는 배터리(350)의 일단으로부터 배터리(35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의 나머지 일부(362)는 배터리(350)와 제2 지지 부재(340)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의 나머지 일부(362)는 배터리(350)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배터리(350)와 제2 지지 부재(340)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는 연신 가능한(stretchable) 물질 또는 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는 사용자가 접착 테이프(360)를 일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길이가 늘어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접착 테이프(360)는 연신됨으로써 박리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는 적어도 하나의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착층은 접착 물질 또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4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50)는 접착 테이프(36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예를 들어, 제2 지지 부재(34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350)는 사용자가 접착 테이프(360)의 나머지 일부(362)를 당김으로써, 전자 장치(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50)는 사용자가 접착 테이프(360)의 나머지 일부(362)를 접착 테이프(360)의 길이 방향으로 당김으로써(예를 들어, 배터리(350)의 일단에서는 -y축 방향으로 당기고, 배터리(350)의 타단에서는 +y축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배터리(350)는 제2 지지 부재(3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361)는 배터리(350)와 대면하고, 나머지 일부(362)는 배터리(350)의 외부 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배터리(350)의 나머지 일부(362)를 당김으로써,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361)의 적어도 일부는 연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361) 중에서, 배터리(350)의 일단 또는 타단과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일부는 연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361) 중 적어도 일부가 연신됨으로써, 접착 테이프(360)의 접착력은 약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361)가 연신됨에 따라서, 배터리(350) 또는 제2 지지 부재(340)와 대면하는 영역(예를 들어, 점착면)의 면적은 감소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360)의 상기 점착면의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서, 접착 테이프(360)는 배터리(350)와 제2 지지 부재(340) 사이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갭을 형성하거나, 배터리(350) 또는 제2 지지 부재(3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일부가 박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의 접착력이 약화됨으로써,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400)(예를 들어, 제2 지지 부재(3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착 테이프(360)의 나머지 일부(362)를 접착 테이프(36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접착 테이프(360)의 접착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접착 테이프(360)의 나머지 일부(362)를 배터리(350)가 분리되는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접착 테이프(360)의 나머지 일부(362)가 들어올려짐으로써, 배터리(350)는 접착 테이프(360)와 함께 전자 장치(400)(예를 들어, 제2 지지 부재(3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는 배터리(35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는 배터리(35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360)의 점착면의 면적이 증가하여, 접착 테이프(36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는 접착 테이프(360)의 길이 방향으로 배터리(350)의 일단 및 타단에서 연신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360)가 양 방향으로(예를 들어, +x축 방향과 -x축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접착 테이프(360)를 연신할 수 있고, 접착 테이프(360)의 연신되는 정도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400)로부터 배터리(3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360)의 일 단이 끊어지는(또는 파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일 단으로 접착 테이프(360)를 연신함으로써, 전자 장치(400)로부터 배터리(35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36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의 접착 테이프(360)는 도 3 내지 도 4의 접착 테이프(36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 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360)는 제1 단부(362), 제1 단부(362)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361), 및 접착부(361)로부터 연장된 제2 단부(3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부(362)는 제2 단부(366)와 마주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는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362), 접착부(361) 및 제2 단부(366)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362), 제2 단부(366) 및 접착부(361)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360)가 배터리(도 4의 350)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 테이프(360)의 제1 단부(362) 또는 제2 단부(366)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터리와 제2 지지 부재(도 4의 340) 사이 영역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360)의 접착부(36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접착 테이프(360)의 접착부(361)는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도 4의 361)에 포함되고, 제1 단부(362)와 제2 단부(366)는 나머지 일부(도 4의 362)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부(361)는 제1 단부(362)로부터 제2 단부(366)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363), 및 제1 단부(362)로부터 제2 단부(366)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영역(3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63)과 제2 영역(364)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영역(364)은 제1 영역(363)과 이격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갭(gap)(365)을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갭(365)은 접착부(361)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365)은 배터리(도 4의 350)와 대면하는 접착 테이프(360)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363)은 제1 영역(363)으로부터 제2 영역(364)을 향하는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의 제1 폭(D1)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364)은 제1 영역(363)으로부터 제2 영역(364)을 향하는 방향의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폭(D1)과 제2 폭(D2)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폭(D1) 또는 제2 폭(D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20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폭(D1) 또는 제2 폭(D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이 20 mm 이하로 유지됨으로써, 접착 테이프(360)의 연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360)의 접착부(361)의 연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부(361)는 제1 구간(R1), 및 상기 제1 구간(R1)보다 제1 단부(362) 또는 제2 단부(366)에 가까운 제2 구간(R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1 구간(R1)과 제2 구간(R2)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도 5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제1 구간(R1) 또는 제2 구간(R2)의 길이는 도 5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363)으로부터 제2 영역(364)을 향하는 방향의 접착부(361)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361)의 적어도 일부의 폭은 제1 단부(362) 또는 제2 단부(366)를 향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361)의 폭은 제1 구간(R1)이 제2 구간(R2)보다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접착부(361)는 제1 구간(R1)에서 제1 폭(W1)을 가지고, 제2 구간(R2)에서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서는, 제1 폭(W1)은 제2 폭(W2)과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폭(W2)이 제1 폭(W1)보다 작음으로써, 접착 테이프(360)가 연신되는 경우, 접착 테이프(360)의 연신 영역이 받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전자 장치(도 4의 400)로부터 배터리(도 4의 3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 영역이 받는 하중이 분산됨으로써, 접착 테이프(360)가 파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363)으로부터 제2 영역(364)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365)의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365)의 적어도 일부의 폭은 제1 단부(362) 또는 제2 단부(366)를 향할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갭(365)의 폭은 제1 구간(R1)이 제2 구간(R2)보다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갭(365)은 제1 구간(R1)에서 제1 폭(W3)을 가지고, 제2 구간(R2)에서 제2 폭(W4)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W3)은 제2 폭(W4)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서는, 제1 폭(W3)은 제2 폭(W4)과 동일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갭(365)의 폭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365)의 폭을 증가시킴으로써(또는, 제1 영역(363)과 제2 영역(364)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접착 테이프(360)의 고정력은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갭(365)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또는, 제1 영역(363)과 제2 영역(364)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접착 테이프(360)의 연신 용이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660, 67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접착 테이프(660 또는 670)는 도 3 내지 도 5의 접착 테이프(36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도 6의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2의 전자 장치(100), 도 3의 전자 장치(300) 또는 도 4의 전자 장치(400) 및 구성요소들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 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660)는 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660)의 배터리(350)와 대면하는 영역(예를 들어, 도 4의 접착 테이프(360)의 일부(361))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633)과 제2 영역(664)은 적어도 일 부가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633)과 제2 영역(664)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테이프(66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633)과 제2 영역(664)은 전구간에서 평행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접착 테이프(66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660)의 적어도 하나의 갭(665)은 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665)의 폭은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670)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670)는 육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670)는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볼록하거나 오목한 외곽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670)의 적어도 하나의 갭(675)은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675)은 육각형 또는 마름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675)은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볼록하거나 오목한 외곽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670)는 제1 구간(R1)의 폭이 제2 구간(R2)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구간(R2)에서, 제1 영역(673)과 제2 영역(674) 사이의 거리는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간(R2)에서, 제1 영역(673)은 접착 테이프(670)의 길이 방향(또는 접착 테이프(670)가 당겨지는 방향)에 대하여 제1 내각(A1)을 가지고, 제2 영역(674)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내각(A2)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각(A1)과 제2 내각(A2)은 예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각(A1)은 제2 내각(A2)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구간(R1)의 제1 영역(673)은 제2 구간(R2)의 제1 영역(673)에 대하여 제3 내각(A3)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간(R1)의 제2 영역(674)은 제2 구간(R2)의 제2 영역(674)에 대하여 제4 내각(A4)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의 (b)를 참조할 때, 제3 내각(A3)과 제4 내각(A4)은 둔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내각(A3)은 제4 내각(A4)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760, 770, 780 또는 79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 테이프는 도 3 내지 도 5의 접착 테이프(360) 또는 도 6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 테이프(660 또는 67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 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접착 테이프들은 접착 테이프의 일부 형상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의 접착 테이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의 접착 테이프(760)는 제1 단부(762), 및 제1 단부(762)에서 연장된 접착부의 일부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접착 테이프(760)의 제2 단부(미도시), 및 상기 제2 단부에서 연장된 접착부도 이에 참조되어 설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는 곡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760)는 적어도 일부가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763) 또는 제2 영역(764)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테이프(76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760)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테이프(760)의 제1 단부(762) 또는 제2 단부(미도시)를 향할수록 제1 단부(762) 또는 제2 단부 쪽으로 오목하게 휘어져 심리스(seamless)하게 연장된 곡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갭은 적어도 일부가 곡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765)은 적어도 일부가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765)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갭(765)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765)의 일단은 제1 영역(763)과 제2 영역(764)에 의해 형성된 쐐기모양(cuneat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770)는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773) 또는 제2 영역(774)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테이프(77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770)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테이프(770)의 제1 단부(772) 또는 제2 단부(미도시)를 향할수록 제1 단부(772) 또는 제2 단부 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심리스(seamless)하게 연장된 곡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접착 테이프(770)의 접착부는 타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갭(775)은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775)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갭(775)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775)은 타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갭(775)은 제1 단부(772)와 접할 수도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780)는 접착 테이프(780)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는 제1 영역(783)과 제2 영역(78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대한 접착 테이프(780)는 도 5의 접착 테이프(360) 또는 도 6의 (b)의 접착 테이프(67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도 7의 (d)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790)의 적어도 하나의 갭(795)은 뭉툭한(blunt)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793)과 제2 영역(794)에 의해 형성된 갭(795)의 일단은 뭉툭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갭(795)의 적어도 하나의 일단은 화살촉 모양(sagittate) 또는 창끝 모양(hastate)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갭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의 (a)의 접착 테이프(860)와 도 8의 (b)의 접착 테이프(870)는 도 3 내지 도 5의 접착 테이프(360) 또는 도 6의 (b)의 접착 테이프(670)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 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860)의 형상에 따라, 접착 테이프(860)의 고정력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860)는 다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860)는 마름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예에서는,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870)는 육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860)의 적어도 하나의 갭(865)은 접착 테이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860)의 적어도 하나의 갭(865)은 마름모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예에서는,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870)의 적어도 하나의 갭(875)은 육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860)의 형상이 마름모 또는 육각형 형상을 포함함으로써, 접착 테이프(860)의 고정력 및/또는 외부 하중에 대한 저항력은 향상될 수 있다. (논문 "알루미늄 허니콤의 충격 에너지 흡수 특성 예측 - 김현덕, 이혁희, 황도순, 박정선 저" 참조.)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960)의 단면도이다.
도 9의 접착 테이프(960)는 도 3 내지 도 8의 접착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 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960)는 제1 점착층(960A) 및 제1 점착층(960A) 상부에 배치된 제2 점착층(96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960)는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비점착층(96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960)의 나머지 일부(962)는 적어도 일면에 비점착층(960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접착 테이프(960)의 제1 단부 또는 제2 단부(도 5의 제1 단부(362) 또는 제2 단부(366) 참조)는 적어도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비점착층(96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점착층(960C)은 사용자가 접착 테이프(960)를 연신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의 도면은 비점착층(960C)이 제2 점착층(960B)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또는 도포)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비점착층(960C)은 제1 점착층(960A)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거나, 제1 점착층(960A)의 배면과 제2 점착층(960B)의 상부면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점착층(960C)은 두께가 얇거나 및/또는 점착력이 없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점착층(960C)은 인쇄층 또는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서, 비점착층(960C)은 접착 테이프(960)의 연신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연신율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점착층(960C)은 인쇄층을 포함함으로써, 접착 테이프(960)의 제조 공정은 단순화되고, 재료비는 절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점착층(960C)의 두께가 얇음으로써, 접착 테이프(960)의 연신율 차이로 인하여, 접착 테이프(960)에 파단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비점착층(960C)은 전자 장치의 실장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점착층(960C)의 두께는 3 um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에 배치된 배터리(35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접착 테이프(1060)에 의해 배터리(350)가 부착된 제2 지지 부재(3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배터리(350)의 평면도일 수 있다.
도 10의 전자 장치(1000) 및 이의 구성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9의 전자 장치 및 이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용어 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1060)는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접착 테이프(1060)의 나머지 일부(1062)는 배터리(350)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1060)의 나머지 일부(1062)는 배터리(350)의 일단 또는 타단의 측면, 및/또는 배터리(350)의 상면과 대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1060)의 나머지 일부(1062)의 적어도 일부가 비점착층(도 9의 960C)을 포함한 경우, 상기 비점착층의 반대면은 접착 테이프(1060)의 일부(1061)와 대면하는 배터리의 일면의 반대면(또는 배터리의 상면)과 적어도 일부 대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일부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대면하는 상기 접착 테이프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적어도 일면에 비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는 연신 가능한 물질 또는 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타단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타단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내각과 상기 제2 내각은 예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구간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제3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구간의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제4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내각과 상기 제4 내각은 둔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각은 상기 제2 내각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는 곡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적어도 일부가 곡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제1 영역의 폭 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제2 영역의 폭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20 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마주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비점착층은 인쇄층 또는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상기 비점착층의 반대면이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와 대면하는 상기 배터리의 일면의 반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착 테이프는,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테이프는 연신 가능한 물질 또는 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접착부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내각과 상기 제2 내각은 예각일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배치된 상태에서, 일부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을 가로지르도록(traverse)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대면하는 상기 접착 테이프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갭(gap)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적어도 일면에 비점착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연신 가능한(stretchable) 물질 또는 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타단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큰,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과 동일한,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타단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큰,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내각과 상기 제2 내각은 예각인,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구간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제3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구간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구간의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제4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3 내각과 상기 제4 내각은 둔각인,
    전자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내각은 상기 제2 내각과 동일한,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적어도 일부의 외곽의 적어도 일부는 곡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은 적어도 일부가 곡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제1 영역의 폭 또는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제2 영역의 폭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은 20 mm 이하인,
    전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마주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기 타단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 영역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점착층은 인쇄층 또는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상기 비점착층의 반대면이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일부가 대면하는 상기 배터리의 일면의 반대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배터리의 상기 일단 또는 상기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5. 제1 단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단부와 마주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접착부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갭(gap)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연신 가능한(stretchable) 물질 또는 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갭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큰,
    접착 테이프.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제2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과 동일한,
    접착 테이프.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운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접착부의 폭은 상기 제1 구간이 상기 제2 구간보다 더 큰,
    접착 테이프.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 내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내각과 상기 제2 내각은 예각인,
    접착 테이프.
KR1020220047034A 2022-01-17 2022-04-15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11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21073 WO2023136501A1 (ko) 2022-01-17 2022-12-22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2920829.3A EP4376393A1 (en) 2022-01-17 2022-12-22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attery
US18/119,695 US20230226798A1 (en) 2022-01-17 2023-03-0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634 2022-01-17
KR20220006634 2022-01-17
KR1020220016128 2022-02-08
KR20220016128 2022-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125A true KR20230111125A (ko) 2023-07-25

Family

ID=8742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034A KR20230111125A (ko) 2022-01-17 2022-04-15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11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67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flexible display thereof
KR102502894B1 (ko) 평면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글래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윈도우 글래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66795A (ko) 디스플레이와 초음파 센서 사이에 디스플레이에서 발생된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도전성 부재가 배치된 전자 장치
US113169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structure
KR102429347B1 (ko) 전자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패키지
KR102448336B1 (ko) 방수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3483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US20160357250A1 (en) Wearable device having control panel
KR20190101600A (ko)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20519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06596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same as magnetic body
KR102524831B1 (ko)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12846B1 (en) Electronic device and housing structure used in the same
US1134835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ructure compensating for height difference between sensor and elastic member disposed on back surface of display
KR20230111125A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71178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assembly
US2022013766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ousing structure
US2023022679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US1121174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otruding portions on a central tongue plate
KR102476599B1 (ko) 쉴드 캔 구조를 구비한 전자 장치
WO2023136501A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2482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arometric sensor
US20240163356A1 (en) Folda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370769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240025300A (ko)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