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60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600A
KR20230109600A KR1020230087394A KR20230087394A KR20230109600A KR 20230109600 A KR20230109600 A KR 20230109600A KR 1020230087394 A KR1020230087394 A KR 1020230087394A KR 20230087394 A KR20230087394 A KR 20230087394A KR 20230109600 A KR20230109600 A KR 20230109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s
informa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terrup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김태형
여정호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600A/ko
Publication of KR20230109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04W72/51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for low-latency requirements, e.g. URL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송신되는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이 결정됨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하며, 탐색을 통해 검출된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레이트를 향상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커버리지 확보 또는 초저지연의 데이터 송수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5G 통신 시스템은 보다 효과적으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타겟으로 하는 시스템 성능에 따라 서비스의 종류를 세분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가 공존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서비스가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할당된 무선자원영역에 복수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인터럽션(interruption)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이 결정됨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탐색을 통해 검출된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특정될 수 있는 주파수 구간을 나타내는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특정될 수 있는 시간 구간 정보를 포함하고, 시간 구간 정보는 슬롯 또는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시스템이 TDD(time division duplex)로 동작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를 기초로 단말의 하향링크 채널 자원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식별하는 단계는, 결정된 하향링크 채널 자원 영역 및 상기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을 기초로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RNTI 정보를 포함하고,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RNTI 정보가 기 설정된 유형의 RNTI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RNTI 정보를 기초로 하향 제어 정보의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될 수 있는 자원 영역을 나타내는 송신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식별하는 단계는,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유효한 하향링크 심볼 수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각각이 지시하는 인터럽션 영역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은, 단말에 할당된 하향링크 채널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에 할당된 하향링크 채널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채널 추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한 결과, 인터럽션이 발생된 자원 영역과 채널 추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채널 추정 자원 영역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은, 인터럽션(interruption)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제 1 유형의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영역에 제 2 유형의 데이터를 할당하는 단계; 및 제 2 유형의 데이터의 할당에 의해, 자원 영역에 인터럽션이 발생됨에 따라,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수신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이 결정됨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하고, 탐색을 통해 검출된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은, 인터럽션(interruption)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 1 유형의 데이터가 기 할당된 자원 영역에 제 2 유형의 데이터를 할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송수신부는, 기 할당된 자원 영역에 인터럽션이 발생됨에 따라,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가 공존하는 경우 발생되는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제어 정보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각기 다른 유형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이종서비스간 데이터 송신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 서비스에 따르는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고, 주파수-시간 및 공간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채널이 송신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TE-A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채널이 송신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서비스인 제1 유형 데이터, 제2 유형 데이터, 제3 유형 데이터가 주파수-시간자원에서 할당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의 데이터 인터럽션 발생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한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자원 영역과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제공하는 자원 영역과의 관계 또는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되는 자원 영역과 해당 슬롯 포맷 지시자가 적용된 자원 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과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과 그 외 데이터 채널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포맷 지시자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포맷 지시자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 발생 시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자원 설정 정보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자원 영역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인터럽션 탐색 수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 결과를 기초로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5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5G 또는 NR (new radio)의 통신표준이 만들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송신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7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3e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5세대를 포함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MTC) 및 URLLC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들은 동일 시구간 동안에 동일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eMBB는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송신, mMTC는 단말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 URLLC는 고신뢰도와 저지연을 목표로 하는 서비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3가지의 서비스는 LTE 시스템 또는 LTE 이후의 5G/NR (new radio, next radio) 등의 시스템에서 주요한 시나리오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eMBB와 URLLC의 공존, 또는 mMTC와 URLLC와의 공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대해서 서술한다.
기지국은 특정 송신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서 eMBB 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어떠한 단말에게 스케줄링 하였을 때, TTI에서 URLLC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미 eMBB 데이터를 스케줄링하여 송신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 eMBB 데이터 일부를 송신하지 않고, 발생한 URLLC 데이터를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할 수 있다. eMBB를 스케줄링 받은 단말과 URLLC를 스케줄링 받은 단말은 서로 같은 단말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단말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이미 스케줄링하여 송신하고 있던 eMBB 데이터에서 송신되지 않는 적어도 일부 부분이 발생됨에 따라 eMBB 데이터가 손상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eMBB를 스케줄링을 받은 단말 또는 URLLC를 스케줄링 받은 단말에서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이 정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일부 또는 전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여 eMBB와 URLLC에 따른 정보가 동시에 스케줄링 될 때, 또는 mMTC와 URLLC에 따른 정보가 동시에 스케줄링 될 때, 또는 mMTC와 eMBB에 따른 정보가 동시에 스케줄링 될 때, 또는 eMBB와 URLLC와 mMTC에 따른 정보가 동시에 스케줄링 될 때 각 서비스에 따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이종서비스간 공존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다만, 전술한 mMTC, URLLC, eMBB는 서로 다른 서비스 유형의 일 예일 뿐, 본 실시예의 적용 대상이 되는 서비스 유형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송신하는 신호의 무선 송신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신호의 무선 송신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또는 LTE-A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terminal 또는 User Equipment, UE) 또는 Mobile Station(MS)이 기지국(gNode B, 또는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LTE 시스템은 초기 송신에서 복호 실패가 발생된 경우,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HARQ 방식이란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디코딩)하지 못한 경우, 수신기가 송신기에게 디코딩 실패를 알리는 정보(NACK; Negative Acknowledgement)를 송신하여 송신기가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게 한다. 수신기는 송신기가 재송신한 데이터를 이전에 디코딩 실패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데이터 수신성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한 경우 송신기에게 디코딩 성공을 알리는 정보(ACK; Acknowledgement)를 송신하여 송신기가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채널이 송신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자원영역의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송신단위는 OFDM 심벌로서, Nsymb 개의 OFDM 심벌(102)이 모여 하나의 슬롯(106)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5)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 이다. 그리고 라디오 프레임(11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구간이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송신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송신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개의 서브캐리어(104)로 구성된다. 다만 이와 같은 구체적인 수치는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8, Resource Block; RB 또는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연속된 Nsymb 개의 OFDM 심벌(102)과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된 NRB 개의 서브캐리어(104)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슬롯에서 하나의 RB(108)는 Nsymb x NRB 개의 RE(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주파수 영역 최소 할당단위는 상기 RB이며,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Nsymb = 7, NRB=12 이고, NBW 및 NRB 는 시스템 송신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할 수 있다. 단말에게 스케줄링 되는 RB 개수에 비례하여 데이터 레이트가 증가하게 된다.
LTE 시스템은 6개의 송신 대역폭을 정의하여 운영할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FDD 시스템의 경우, 하향링크 송신 대역폭과 상향링크 송신 대역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채널 대역폭은 시스템 송신 대역폭에 대응되는 RF 대역폭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 1은 LTE 시스템에 정의된 시스템 송신 대역폭과 채널 대역폭 (Channel bandwidth)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MHz 채널 대역폭을 갖는 LTE 시스템은 송신 대역폭이 50개의 RB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송신 대역폭과 채널 대역폭의 대응관계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 BWChannel [MHz] 1.4 3 5 10 15 20
송신 대역폭 설정(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NRB 6 15 25 50 75 100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최초 N 개의 OFDM 심벌 이내에 송신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일반적으로 N = {1, 2, 3} 이다. 따라서 현재 서브프레임에 송신해야 할 제어정보의 양에 따라 상기 N 값이 서브프레임마다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송신 되는 제어 정보는 제어정보가 OFDM 심벌 몇 개에 걸쳐 송신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채널 송신구간 지시자,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HARQ ACK/NACK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다. DCI 는 여러 가지 포맷에 따라 정의되며, 각 포멧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UL grant) 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DL grant) 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DL grant)인 DCI format 1 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자원 할당 유형 0/1 플래그(Resource allocation type 0/1 flag): 리소스 할당 방식이 유형 0 인지 유형 1 인지 지시한다. 유형 0 은 비트맵 방식을 적용하여 RBG (resource block group)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로 표현되는 RB이고, RBG 는 복수개의 RB로 구성되어 유형 0 방식에서의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가 된다. 유형 1 은 RBG 내에서 특정 RB를 할당하도록 한다.
- 자원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데이터 송신에 할당된 RB를 지시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송신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송신블록(TB, Transport Block) 의 크기를 지시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지시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송신인지 재송신인지를 지시한다.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을 지시한다.
- PUCCH를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명령(Transmit Power Control(TPC)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명령을 지시한다.
상기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또는,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는 EPDCCH (Enhanced PDCCH)(또는, 향상된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DCI는 각 단말에 대해 독립적으로 특정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또는, 단말 식별자)로 스크램블 되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추가되고, 채널 코딩 된 후, 각각 독립적인 PDCCH로 구성되어 송신된다. 시간영역에서 PDCCH는 상기 제어채널 송신구간 동안 매핑되어 송신된다. PDCCH 의 주파수영역 매핑 위치는 각 단말의 식별자(ID) 에 의해 결정되고, 전체 시스템 송신 대역에 퍼져서 송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용 물리채널인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송신 될 수 있다. PDSCH는 제어채널 송신구간 이후부터 송신될 수 있으며, 주파수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매핑 위치, 변조 방식 등의 스케줄링 정보는 PDCCH 를 통해 송신되는 DCI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DCI 를 구성하는 제어정보 중에서 MCS 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송신하고자 하는 PDSCH에 적용된 변조방식과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transport block size; TBS)를 통지한다. 실시 예에서 MCS 는 5비트 또는 그보다 더 많거나 적은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TBS 는 기지국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송신 블록 (transport block, TB)에 오류정정을 위한 채널코딩이 적용되기 이전의 크기에 해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변조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으로서, 각각의 변조오더(Modulation order) (Qm) 는 2, 4, 6 에 해당한다. 즉, QPSK 변조의 경우 심벌 당 2 비트, 16QAM 변조의 경우 심볼 당 4 비트, 64QAM 변조의 경우 심벌 당 6 비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변형에 따라 256QAM 이상의 변조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LTE-A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채널이 송신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자원영역의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송신단위는 SC-FDMA 심벌로서, NsymbUL 개의 SC-FDMA 심벌(202)이 모여 하나의 슬롯(206)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205)을 구성한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송신단위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송신 대역(transmission bandwidth)은 총 개의 서브캐리어(204)로 구성된다. 은 시스템 송신 대역에 비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 212)로서 SC-FDMA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정의할 수 있다. 리소스 블록 페어(208, Resource Block pair; RB pair)는 시간영역에서 Nsymb 개의 연속된 SC-FDMA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 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RB는 Nsymb x NRB 개의 RE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의 최소 송신단위는 RB 단위이다. PUCCH 의 경우 1 RB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매핑되어 1 서브프레임 동안 송신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용 물리채널인 PDSCH 또는 반영구적 스케줄링 해제(semi-persistent scheduling release; SPS release)를 포함하는 PDCCH/EPDDCH에 대응하는 HARQ ACK/NACK이 송신되는 상향링크 물리채널인 PUCCH 또는 PUSCH의 타이밍 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하는 LTE 시스템에서는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 PDSCH 또는 SPS release를 포함하는 PDCCH/EPDCCH에 대응하는 HARQ ACK/NACK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PUCCH 또는 PUSCH로 송신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는 데이터 재송신시점이 고정되지 않은 비동기(a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기지국이 송신한 초기송신 데이터에 대해 단말로부터 HARQ NACK을 피드백 받은 경우, 기지국은 재송신 데이터의 송신시점을 스케줄링 동작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한다. 단말은 HARQ 동작을 위해 수신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결과, 오류로 판단된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을 한 후, 다음 재송신 데이터와 컴바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PDSCH를 수신하면, 서브프레임 n+k에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HARQ ACK 또는 NACK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제어정보를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 때 상기 k는 LTE의 시스템의 FDD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와 그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F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4로 고정된다. 한편 T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서브프레임 설정과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캐리어를 통한 데이터 송신 시에 각 캐리어의 TDD 설정에 따라 k의 값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 와 달리 상향링크 HARQ는 데이터 송신시점이 고정된 동기(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용 물리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이에 선행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PDCCH, 그리고 상기 PUSCH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HARQ ACK/NACK이 송신되는 물리채널인 PHICH(Physical Hybrid Indicator Channel)의 상/하향링크 타이밍 관계가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송수신 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 n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향링크 스케줄링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PDCCH 또는 하향링크 HARQ ACK/NACK이 송신되는 PHICH를 수신하면, 서브프레임 n+k에 상기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PUSCH를 통해 송신한다. 이 때 상기 k는 LTE의 시스템의 FDD 또는 TDD(time division duplex)와 그 설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F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4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T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서브프레임 설정과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캐리어를 통한 데이터 송신 시에 각 캐리어의 TDD 설정에 따라 k의 값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서브프레임 i에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HARQ ACK/NACK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PHICH를 수신하면, 상기 PHICH는 서브프레임 i-k에 단말이 송신한 PUSCH에 대응된다. 이 때 상기 k는 LTE의 시스템의 FDD 또는 TDD와 그 설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F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4로 고정된다. 한편 TDD LTE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k가 서브프레임 설정과 서브프레임 번호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캐리어를 통한 데이터 송신 시에 각 캐리어의 TDD 설정에 따라 k의 값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C-RNTI에 의해 구성되는 PDCCH 및 PDSCH (PDCCH and PDSCH configured by C-RNTI)
송신 모드
(Transmission mode)
DCI 포맷 탐색 영역
(Search Space)
PDCCH에 대응되는 PDSCH의 송신 스킴(Transmission scheme of PDSCH corresponding to PDCCH)
모드 1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싱글-안테나 포트, 포트 0 (Single-antenna port, port 0)
DCI 포맷 1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싱글-안테나 포트, 포트 0 (Single-antenna port, port 0)
모드 2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 (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DCI 포맷 1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모드 3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 (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DCI 포맷 2A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큰 지연 CDD (Large delay CDD)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모드 4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 (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DCI 포맷 2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클로즈-루프 공간 다중화 (Closed-loop spatialmultiplexing)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모드 5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 (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DCI 포맷 1D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멀티-유저(Multi-user) MIMO
모드 6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 (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송신 다이버시티 (Transmit diversity)
DCI 포맷 1B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싱글 송신 레이어를 이용한 클로즈-루프 공간 다중화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using a single transmission layer)
모드 7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 (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PBCH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1개인 경우, 싱글 안테나 포트, 포트 0이 다른 송신 다이버시티에 이용됨(If the number of PBCH antenna ports is one, Single-antenna port, port 0 is used)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
DCI 포맷 1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싱글- 안테나 포트, 포트 5 (Single-antenna port, port 5)
모드 8 DCI 포맷 1A C-RNTI에 의한 공통 및 단말 특정 (Common and UE specific by C-RNTI) PBCH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1개인 경우, 싱글 안테나 포트, 포트 0이 다른 송신 다이버시티에 이용됨 (If the number of PBCH antenna ports is one, Single-antenna port, port 0 is used (see otherwise Transmit diversity)
DCI 포맷 2B C-RNTI에 의한 단말 특정 (UE specific by C-RNTI) 이중 레이어 송신, 프트 7 및 포트 8 또는 싱글 안테나 포트, 포트 4 또는 8
상기 표는 3GPP TS 36.213에 있는 C-RNTI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서 각 송신 모드에 따른 지원 가능한 DCI 포맷 유형을 보여준다. 단말은 기 설정된 송신 모드에 따라 제어 영역 구간에서 해당 DCI 포맷이 존재함을 가정하고 탐색 및 디코딩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이 송신모드 8을 지시 받은 경우, 단말은 공통 탐색 영역(Common search space) 및 단말-특정 탐색 영역(UE-specific search space)에서 DCI 포맷 1A를 탐색하며, 단말-특정 탐색 영역에서만 DCI 포맷 2B를 탐색한다.
전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LTE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내용은 LTE 시스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NR, 5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FDD와 대응되는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도 k 값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서비스인 제1 유형 데이터, 제2 유형 데이터, 제3 유형 데이터가 주파수-시간자원에서 할당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각 시스템에서 정보 송신을 위해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이 할당된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서는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300)에 제1 유형 데이터(301), 제2 유형 데이터(303, 305, 307) 및 제3 유형 데이터(309)가 할당될 수 있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제1 유형 데이터(301)와 제3 유형 데이터(309)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되어 송신되는 도중에 제2 유형 데이터(303, 305, 307)가 발생하여 송신이 필요한 경우, 제1 유형 데이터(301) 및 제3 유형 데이터(309)가 이미 할당된 부분을 비우거나, 할당된 부분에서의 송신을 멈추고 제2 유형 데이터를(303, 305, 307)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형 데이터(303, 305, 307)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중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이 요구되는 서비스에 해당되는 경우, 제1 유형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301)의 일부분에 제2 유형 데이터(303, 305, 307)가 할당되어 송신될 수 있다. 제1 유형 데이터(301)가 할당된 자원에서 제2 유형 데이터(303, 305, 307)가 추가로 할당되어 송신되는 경우, 중복되는 주파수-시간 자원에서는 제1 유형 데이터(301)가 송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유형 데이터(301) 송신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즉, 상기의 경우에 제2 유형 데이터(303, 305, 307) 할당으로 인해, 제1 유형 데이터 송신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유형 데이터(301)의 예로는 eMBB가, 제 2 유형 데이터(303, 305, 307)의 예로는 URLLC가, 제 3 유형 데이터(309) 예로는 mMTC가 이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각 유형의 데이터가 전술한 서비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400)으로부터 나누어진 서브밴드들(402, 404, 406) 각각을 서비스 및 데이터를 송신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밴드 설정과 관련된 정보는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브 밴드와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노드가 임의로 나누어 단말에게 별도의 서브밴드 설정 정보의 송신 없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제1 서브밴드(402)는 제1 유형 데이터의 송신, 제2 서브밴드(404)는 제2 유형 데이터의 송신, 제 3서브밴드(406)는 제3 유형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시 예 전반에서 제2 유형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길이는 제1 유형 데이터 또는 제3 유형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TTI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2 유형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응답은 제1 유형 데이터 또는 제3 유형 데이터보다 빨리 송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지연으로 정보가 송수신 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제1 유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 1 유형 서비스라 하며, 제1 유형 서비스 용 데이터를 제 1 유형 데이터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유형 서비스 또는 제 1 유형 데이터는 제1 유형 데이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고속데이터송신이 요구되거나 광대역 송신을 하는 경우에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 2 유형 서비스, 제2 유형 서비스 용 데이터를 제 2 유형 데이터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유형 서비스 또는 제 2 유형 데이터는 제2 유형 데이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저지연시간이 요구되거나 고신뢰도 송신이 필요한 경우 또는 저지연시간 및 고신뢰도가 동시에 요구되는 다른 시스템에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제3 유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 3 유형 서비스, 제3 유형 서비스 용 데이터를 제3 유형 데이터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3유형 서비스 또는 제 3 유형 데이터는 제3 유형 데이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저속도 또는 넓은 커버리지, 또는 저전력 등이 요구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할 때 제 1 유형 서비스는 제 3 유형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 1 유형 데이터의 예로는 eMBB, 제 2 유형 데이터의 예로는 URLLC, 제 3 유형 데이터의 예로는 mMTC가 될 수 있다.
전술한 3가지의 서비스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각 유형별로 사용하는 물리계층 채널의 구조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시간구간(TTI)의 길이, 주파수 자원의 할당 단위, 제어채널의 구조 및 데이터의 매핑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3가지의 서비스와 3가지의 데이터로 설명을 하였지만 더 많은 종류의 서비스와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종래의 LTE 또는 LTE-A 시스템에서의 물리채널(physical channel)과 신호(signal)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내용은 LTE 및 LTE-A 시스템이 아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은 5G 또는 NR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형 서비스, 제2 유형 서비스, 제3 유형 서비스 또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의 송수신 동작을 정의하고, 서로 다른 유형의 서비스 또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받는 단말들을 동일 시스템 내에서 함께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유형 단말, 제 2 유형 단말 및 제 3 유형 단말은 각각 제 1 유형, 제 2 유형, 제 3 유형 서비스 또는 데이터 스케줄링을 받은 단말을 나타낸다. 실시 예에서 제 1 유형 단말, 제 2 유형 단말 및 제 3 유형 단말은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고, 각기 상이한 단말일 수도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송신하는 신호 중에서, 단말로부터의 응답을 기대하는 신호이면 제 1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제 1 신호에 해당하는 단말의 응답신호가 제 2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uplink scheduling grant) 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신호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HARQ ACK/NACK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신호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 1 신호의 서비스 종류는 제1 유형 데이터, 제2 유형 데이터 및 제3 유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제2 신호의 서비스 종류 역시, 상기 유형의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내용은 FDD 및 TDD 시스템에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위 시그널링은 기지국에서 물리계층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또는 단말에서 물리계층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이며,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시그널링, 또는 MAC 제어요소(MAC control element; MAC CE)라고 언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 채널에서의 단말은 수신기, 기지국은 송신기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향 채널에서의 단말은 송신기, 기지국은 수신기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하향 제어 채널은 셀 공통 하향 제어 채널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채널 또는 단말 특정 제어 채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하향 제어 정보는 셀 공통 하향 제어 정보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정보 또는 단말 특정 제어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상위 시그널링은 셀 공통 상위 시그널링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 링크에서의 제어, 데이터 정보, 채널에서 서술된 방법은 상향 링크에서의 제어, 데이터 정보, 채널에서 충분히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의 데이터 인터럽션 발생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한 지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기지국은 제1 유형 데이터(500)를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에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제1 유형 데이터(500)가 할당된 시구간(504)은 제1 유형 데이터(500)가 송신되는 단위에 기반해 결정되며, 상기 단위는 7개(또는 14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 슬롯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유형 데이터(500)가 할당된 시구간(504)은 도 5와 같이 연속적으로 할당되거나 도 5와 달리 불연속적으로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1 유형 데이터(500)가 할당된 주파수 구간(506)은 단말이 지원 가능한 최대 주파수 대역 또는 시스템 최대 주파수 대역과 같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제1 유형 데이터(500)가 할당된 주파수 구간(506)은 도 5의 경우와 같이 연속적으로 할당되거나 이와 달리 불연속적으로 할당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유형 데이터(500)는 CSI-RS와 같은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유형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은 채널 측정을 위해 할당된 자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제1 유형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채널 측정을 위해 전달하는 기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유형 데이터(502)를 기 스케줄링된 제1 유형 데이터(500)가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영역 중 전체 또는 일부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에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펑처링(puncturing), 코럽션(corruption), 프리엠션(preemption), 및 인터럽션(interruption) 중 어느 하나로 설명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동작을 인터럽션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예에 따라, 기지국은 제2 유형 데이터(502)를 기스케줄링된 제 1 유형 데이터(500)가 할당된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을 피해서 할당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기지국은 제2 유형 데이터(502)를 기스케줄링된 2개 이상의 제1 유형 데이터(500)가 할당된 시간 및 주파수 영역들 중 전체 또는 일부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에 할당할 수도 있다.
제2 유형 데이터(502)가 할당된 시구간(508)은 제2 유형 데이터가 송신되는 단위에 기반해 결정되며, 상기 단위는 7개(또는 14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 슬롯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형 데이터(500)에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과 제2 유형 데이터(502)에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2 유형 데이터(502)가 할당된 시구간(508)은 도 5의 경우와 같이 연속적으로 할당되거나 이와 달리 불연속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제2 유형 데이터(502)가 할당된 주파수 구간(510)은 단말이 지원 가능한 최대 주파수 대역 또는 시스템 최대 주파수 대역과 같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제2 유형 데이터(502)가 할당된 주파수 구간(510)은 도 5의 경우와 같이 연속적으로 할당되거나 이와 달리 불연속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인터럽션이 발생하는 동작을 도 5를 참고해 설명하도록 한다. 시간 관점에서 제2 유형 데이터(502)를 위해 할당된 시구간(508)이 제1 유형 데이터(500)를 위해 할당된 시구간(504)의 전체 또는 일부와 중첩되고 주파수 관점에서 제2 유형 데이터(502)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구간(510)이 제1 유형 데이터(500)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구간(506)의 전체 또는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시간 및 주파수 구간에서 모두 적어도 일부 겹치는 구간이 발생될 경우 제2 유형 데이터(502)가 제1 유형 데이터(500) 전체 또는 일부를 인터럽션 하는 동작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터럽션이 발생된 경우 제1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이 제1 유형 데이터(500)를 수신 시 상기 서술한 인터럽션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별도의 지시자 정보가 없다면 단말은 자신의 데이터가 아닌 신호를 포함한 제1 유형 데이터에 대한 수신 및 복조 및/또는 복호를 시도할 것이며, 이에 따라 인터럽션에 의해 복조 및/또는 복호가 실패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유형 데이터(500)가 재송신될 경우, 인터럽션이 발생하는 지 여부를 알려주는 별도의 지시자 정보가 없다면 단말이 자신의 데이터가 아닌 신호와 수신했던 신호의 HARQ 컴바이닝(combinibg)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재송신에서도 복조 및 복호가 실패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신하기 위해 별도의 지시자 정보를 통해 인터럽션 여부를 제1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시자는 제2 유형 데이터 발생 지시자, 인터럽션 지시자, 코럽션 지시자, 프리앰션 지시자, 펑쳐링 지시자, 단말 버퍼 관리 지시자, 단말 데이터 관리 지시자, 단말 HARQ 버퍼 컴바이닝 지시자, 단말 재 디코딩 지시자 등의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시자를 인터럽션 지시자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이 유효한 송신 구간에서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같을 수 있다.
-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 복조 및/또는 복호에 실패한 경우
-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을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받은 경우
- 단말이 하향링크 기준 신호(예를 들어,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등) 측정 지시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받거나 상위 시그널링에 의해 하향링크 기준 신호 측정이 설정된 경우
- 단말이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에 대해 스케줄링을 받은 경우
- 단말이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을 할당 받은 경우
제1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통해, 제2 유형 데이터가 발생된 주파수 자원 또는 시간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주파수 자원 또는 시간 자원은 제 2 유형 데이터가 할당된 주파수 자원 또는 시간 자원과 일치하거나 또는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는 PRB 또는 PRB 그룹 단위의 비트맵 또는 LTE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을 그대로 또는 변형되어 적용하여 제2 유형 데이터가 발생된 주파수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는 셀 초기 접속을 위해 필요한 주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부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또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등이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또는 중심 주파수) 대비 오프셋을 통해 제2 유형 데이터가 발생된 주파수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는 상기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시점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 슬롯을 지시하는 값을 통해 제2 유형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는 다른 값이나 사전에 정해진 슬롯 내에서의 심볼 범위 또는 심볼 값을 통해 제2 유형 데이터가 발생된 시간 자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하는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과 같을 수 있다.
- 단말이 기 수신했던 물리 하향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 중 (시간 또는 주파수로 구성된) 전체 또는 일부분
-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물리 하향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 중 (시간 또는 주파수로 구성된) 전체 또는 일부분
- 단말이 수신 예정인 물리 하향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 중 (시간 또는 주파수로 구성된) 전체 또는 일부분
-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
- SFN 및 심볼 (또는 심볼 그룹) 수 (또는 인덱스)
- SFN 및 심볼 (또는 심볼 그룹) 수 (또는 인덱스) 및 부 주파수 대역(이는 서브 프리퀀시 밴드 또는 서브밴드와 혼용 가능할 수 있다)
-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송신 구간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 유효한 송신 구간의 값 (또는 인덱스)
-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송신 구간 기준으로 이전 (또는 이후) 유효한 송신 구간의 값 (또는 인덱스) 및 심볼 (또는 심볼 그룹) 수 (또는 인덱스) 및 부 주파수 대역
- 유효한 송신 구간의 심볼 (또는 심볼 그룹) 수 (또는 인덱스)
- 유효한 송신 구간의 부 주파수 대역
-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송신 구간 중 일부 시간 구간
->일부 시간 구간 내에서 세부 시간 구간 정보
-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송신 주파수 대역 중 일부 주파수 대역
->일부 주파수 대역 내에서 세부 주파수 대역 정보
- 캐리어 주파수 대역 중 일부 서브 대역
- 제2 유형 서비스가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중 부 주파수 대역
- SS(sync signal)이 송신되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나 또는 두 개로 구성된) 오프셋 값
- 특정 주파수 기준 값을 기준으로 한 (하나 또는 두 개로 구성된) 오프셋 값
- 특정 시간 구간 및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된 특정 자원 영역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주파수 자원 정보 또는 시간 자원 정보는 상기 서술된 예들 중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규격에 항상 정해지거나 또는 RRC, MAC CE와 같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상기 서술된 예 중 어느 유형의 정보를 사용할지 설정되거나 또는 L1 시그널링(물리 계층 시그널링)으로 상기 서술된 예 중 어느 유형의 정보를 사용할지 설정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시간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에 적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은 하나의 특정 값이 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에 적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은 단말이 수신하거나 수신 중인 제1 유형 데이터의 부반송파 간격이 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수신하거나 수신 중인 제1 유형 데이터의 부반송파 간격과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자원에 적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이 다를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자원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 기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을 제1 유형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 기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에 적용하여 제1 유형 데이터에 할당된 자원 영역 중 전체 또는 일부분이 인터럽션 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이 30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자원을 지시하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수신할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자원을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기반으로 해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유형 데이터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과 제1 유형 데이터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이 다를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자원의 주파수 및 시간 단위를 제1 유형 데이터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제1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에 인터럽션 지시자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자원의 주파수 단위 및 시간 단위를 제2 유형 데이터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제1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에 인터럽션 지시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1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자원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과 자신이 수신하거나 수신 중인 제1 유형 데이터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이 서로 다름을 인지하고 이를 적절히 변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자원의 주파수 단위 및 시간 단위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은 특정 부반송파 간격 또는 제1 유형 데이터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 또는 제2 유형 데이터에 적용된 부반송파 간격 중 하나로 규격에 정의하여 사용하거나 RRC, MAC CE와 같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하거나 L1 시그널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자원은 두 단계 또는 한 단계로 나누어 설정될 수 있다. 두 단계로 나누어 설정하는 방법의 일예로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도록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 영역 중에 서브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 영역을 먼저 지시한 이후, 해당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 영역 내에서 특정 세부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 영역을 지시해주는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단계로 나눠 설정하는 방법의 일예로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도록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주파수 시간 자원 영역 중에 특정 세부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 영역을 지시해주는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터럽션 지시자의 설정 방법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럽션 지시자의 사용 여부 또는 인터럽션 지시자의 용도 또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하는 정보 또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물리 제어 채널 등이 하기의 방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
- 공통 또는 단말 특정 L1 시그널링
- 주파수 대역과 연계된 암묵적 지시
- 부반송파 간격과 연계된 암묵적 지시
- 상기 방법의 조합
단말은 상기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인터럽션 지시자가 설정될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서 탐색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거나 특정 프리앰블 시퀀스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셀 공통 하향링크 제어 정보, 단말 공통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단말 특정 하향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셀 공통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물리 셀 공통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며, 단말 공통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물리 단말 공통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며, 단말 특정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물리 단말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다른 하향링크 제어 정보와 결합되어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구성하거나 별도의 독립적인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한 RNTI 값을 해당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CRC와 스크램블링하여 특정 단말 또는 공통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한 RNTI 값을 사전에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 받거나 사전에 규격으로 정의된 RNTI 값을 가지고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검출된 제어 정보에 포함된 CRC가 RNTI로 디스크램블링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경우, 해당 제어 정보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는 종래 LTE의 LTE의 PCFICH 또는 PHICH와 유사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설정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시퀀스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특정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여부을 통해 인터럽션의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럽션 지시자로 설정된 시퀀스 정보에는 주파수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와 관련된 특정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RNTI)로 스크램블링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할 경우 해당 제어 정보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그룹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 또는 (그룹 공통 또는 단말 특정) L1 시그널링에 의해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특정 시간(예를 들어 특정 슬롯 번호 또는 상향 링크 전용 슬롯 또는 상향 중심 슬롯)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서비스의 유형(예를 들어 제1, 2, 3 유형 서비스를 지원 여부 등)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제공될 수 있는 자원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 가능한, 6가지 유형의 인터럽션 지시자(512, 514, 516, 518, 520, 522)가 도시되어 있다. 기지국은 6개의 인터럽션 지시자(512, 514, 516, 518, 520, 522)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동시에 사용하여 인터럽션 정보를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은 각 6개의 인터럽션 지시자(512, 514, 516, 518, 520, 522)에 대한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1. 제 1 인터럽션 지시자(512)는 실제 인터럽션이 발생하기 이전에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물리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사전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1 인터럽션 지시자(512)는 해당 지시자가 송신된 시점 이후의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포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은 향후의 서비스를 위해 예약(reserved) 자원을 알려주는 지시자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2. 제 2 인터럽션 지시자(514)는 실제 인터럽션이 발생하는 동안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사전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인터럽션 지시자(514)는 제2 유형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영역 내에 포함되며 제 2 유형 데이터는 제 2 인터럽션 지시자(514)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할당된 자원 영역을 피해 할당될 수 있다. 제 2 인터럽션 지시자(514)는 해당 지시자가 송신된 시점을 포함하는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른 예에 따라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는 생략될 수도 있다.
3. 제 3 인터럽션 지시자(516)는 실제 인터럽션이 발생하는 동안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사전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3 인터럽션 지시자(516)는 제1 유형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영역 내에 포함되며 제1 유형 데이터는 제 3 인터럽션 지시자(516)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할당된 자원 영역을 피해 할당될 수 있다. 제 3 인터럽션 지시자(516)는 해당 지시자가 송신된 시점을 포함하는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른 예에 따라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는 생략될 수도 있다.
4. 제 4 인터럽션 지시자(518)는 실제 인터럽션이 발생하는 동안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사전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4 인터럽션 지시자(518)는 제1 유형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영역 외에 포함될 수 있다. 제 4 인터럽션 지시자(518)는 해당 지시자가 송신된 시점을 포함하는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른 예에 따라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5. 제 5 인터럽션 지시자(520)는 실제 인터럽션이 발생한 이후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로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사전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5 인터럽션 지시자(520)는 제1 유형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구간(504)에 포함될 수 있다. 제 5 인터럽션 지시자(520)는 해당 지시자가 송신된 시점 이전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른 예에 따라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6. 제 6 인터럽션 지시자(522)는 실제 인터럽션이 발생한 이후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제1 유형 서비스를 위한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사전에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 6 인터럽션 지시자(522)는 제1 유형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구간(504)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제 6 인터럽션 지시자(522)는 해당 지시자가 송신된 시점 이전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른 예에 따라 특정 시구간(또는 주파수 구간)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6개의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터럽션 지시자를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유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은 총 6개의 후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탐색할 수 있다.
단말의 동작은 아래와 같이 기술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유형 데이터를 수신 중 또는 수신 완료 이후 또는 수신 시작 이전에 해당 제1 유형 데이터 수신 (주파수 또는 시간) 구간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제1 유형 데이터를 수신 중 또는 수신 시작 이전에 해당 제1 유형 데이터 수신 (주파수 또는 시간) 구간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제1 유형 데이터를 스케줄링 받지 않은 경우 해당 제1 유형 데이터 수신 (주파수 또는 시간) 구간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제1 유형 데이터 복조 또는/및 복호가 실패한 이후 해당 제1 유형 데이터 수신 (주파수 또는 시간) 구간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받은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또는 채널 측정 자원) 영역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 또는 채널 측정 자원은 제1 유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받지 않는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또는 채널 측정 자원) 영역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 또는 채널 측정 자원은 제1 유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받은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또는 채널 측정 자원) 영역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유효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 또는 채널 측정 자원은 제1 유형 데이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받지 않는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또는 채널 측정 자원) 영역의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유효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탐색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자원 또는 채널 측정 자원은 제1 유형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탐색하지 않는 방법의 예로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을 수 있다.
-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 포맷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Blind decoding)를 수행하지 않는다.
-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스크램블링된 특정 RNTI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지 않는다.
-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도록 설정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 자원 영역에 대해서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말은 유효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 수신에 성공할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를 통해 지시하는 특정 슬롯 내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이 인터럽션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 중,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특정 슬롯 내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코드 블록들 또는 적어도 일부 겹치는 복호 전 데이터를 모두 단말 버퍼에서 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특정 슬롯 내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코드 블록들 또는 적어도 일부 겹치는 복호 전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 중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특정 슬롯 내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코드 블록들은 이후 재송신되는 코드 블록들과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에서,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특정 슬롯 내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코드 블록 중 복조 및/또는 복호에 실패한 코드 블록을 단말 버퍼에서 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특정 슬롯 내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코드 블록 중 복조 및/또는 복호에 실패한 코드 블록을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물리 하량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에서,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특정 슬롯 내의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과 적어도 일부 겹치는 코드 블록 중 복조 및/또는 복호에 실패한 코드 블록들은 이후 재송신되는 코드 블록들과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 영역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은 복조 및/또는 복호(또는 HARQ 컴바이닝)에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 영역에 해당하는 하향링크 기준 신호 측정값은 버리거나 하량링크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하향링크 기준 신호 측정값을 기지국에 보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례로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된 송신 구간(예를 들어 슬롯)을 기준으로 이후 송신 구간 또는 이전 송신 구간의 인터럽션 정보를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송신 구간 지시자 정보를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송신 구간 지시자로 3 비트가 사용될 경우, 총 8개의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된 송신 구간 기준으로 몇 번째 송신 구간을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지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럽션 지시자가 이전 송신 구간의 인터럽션 정보를 알려줄 경우, 000은 현재 송신 구간, 001은 직전 송신 구간, 010은 두 번째 직전 송신 구간을 지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다른 예에 따라,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에 1비트를 추가하거나 또는 기존 비트 중 1비트가 0이면 이전 송신 구간을 의미하고, 1이면 이후 송신 구간을 의미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송신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전술한 예와 반대로 비트를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암묵적으로 인터럽션 지시자가 가리키는 특정 송신 구간을 사전에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전달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주기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가리킬 수 있는 송신 구간의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주기가 매 송신 구간일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가리키는 송신 구간은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송신된 송신 구간의 직전 송신 구간이 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의 송신 주기가 2개의 송신 구간일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가리키는 송신 구간은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송신된 송신 구간의 직전 송신 구간 및 2번째 직전 송신 구간이 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된 송신 구간(예를 들어, 슬롯)을 기준으로 특정 송신 구간이 지시되거나 또는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 또는 암묵적으로 특정 송신 구간이 지시되는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에는 해당 송신 구간 내에 존재하는 주파수 또는 시간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시간 자원의 지시를 위해 송신 구간 내에 존재하는 시간 자원(예를 들어 OFDM 심볼 값 또는 수)은 비트맵 방식 또는 특정 규칙을 사용하여 특정될 수 있으며, 주파수 자원의 지시를 위해 송신 구간 내에 존재하는 주파수 자원은 PRB 인덱스 또는 중심 주파수(초기 접속에 사용되는 PSS, SSS, PBCH가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의 중심 또는 그 경계 값)을 기준으로 오프셋 값(들)을 기초로 특정될 수 있다.
일례로 기지국은 특정 송신 구간(예를 들어, 슬롯)만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 인터럽션 지시자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된 특정 송신 구간에 해당하는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을 할당 받았을 경우 복조 및/또는 복호에 실패한 코드 블록들은 버퍼에서 버리거나 데이터 채널 자원을 모두 버퍼에서 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된 특정 송신 구간에 해당하는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자원을 할당 받았을 경우, 복조 및/또는 복호에 실패한 코드 블록들을 버퍼에 저장하지 않거나데이터 채널 자원을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단말 공통 또는 단말 그룹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제어 정보를 통해 스케줄링된 하향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하향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과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단말 공통 또는 단말 그룹 공통 또는 단말 특정 하향 제어 영역이 겹칠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영역을 탐색하거나 탐색하지 않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에 의해 현재 수신 중인 하향 데이터 정보의 복조/복호가 적응적으로 지원되는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영역을 탐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이 하향 데이터 수신 중일 때에는 인터럽션 지시자 를 통해 적응적 복조/복호가 불가능함에 따라, 단말은 하향 데이터 수신 중에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영역을 탐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예로는 PBCH로 송신되는 MIB 또는 PDSCH로 송신되는 SIB가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예로는 PDSCH로 송신되는 RRC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단말 공통 L1 시그널링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예로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단말 공통 제어 정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단말 특정 L1 시그널링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예로는 단말 특정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단말 특정 제어 정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자원 영역과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제공하는 자원 영역과의 관계 또는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되는 자원 영역과 해당 슬롯 포맷 지시자가 적용된 자원 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0, 602)은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사전에 단말 공통 또는 단말 그룹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 받은 단말들은 해당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서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특정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가정하고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일부 다른 하향링크 제어 정보와 같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포맷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 정보와 같이 송신되는 CRC에 스크램블링된 RNTI를 보고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은 일정 시간 또는 주파수 간격으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특정 단말 또는 공통 단말들에 송신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인터럽션이 발생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구간(608) 및 시간 구간(6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럽션이 발생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6)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비트맵 또는 슬롯 및 심볼(그룹) 단위로 구성된 정보가 인터럽션이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자원 영역에 대한 후보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일 수 있다.
시간 구간(604)은 암묵적으로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 주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즉, 시간 구간(604)내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채널 자원이 시간 관점에서 중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른 예에 따라, 시간 구간(604)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때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시간 구간(604)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주간(608)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주파수 구간을 의미한다.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되는 인터럽션 지시자 세부 정보에 따라 주파수 구간은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 (System Bandwidth) 또는 단말 공통 주파수 대역 (Bandwidth Part) 또는 특정 부주파수 간격(서브캐리어 스패이싱, subcarrier spacing)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된 인터럽션 지시자는 인터럽션이 발생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6)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물리 채널 자원(600 또는 602)은 인터럽션이 발생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6)에 시간 및 주파수 관점에서 포함될 수 있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 그룹 또는 공통의 단말들에 인터럽션 지시자 설정 시, 인터럽션이 발생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6)을 주파수 또는 시간 관점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시간 구간(604) 내에서 실제 인터럽션 된 부분을 지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시간 구간(604) 내에서 인터럽션 된 부분을 지시하는 정보는 인터럽션 시작 심볼 (또는 슬롯 또는 그들의 조합) 인덱스와 인터럽션 종료 심볼 (또는 슬롯 또는 그들의 조합) 인덱스로 구성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시간 구간(604)에 대해서 비트맵 방식으로 인터럽션 부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시간 구간(604)에 존재하는 총 심볼 수(또는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 수)를 인터럽션 지시자의 시간 구간 정보를 위해 할당된 총 비트 수로 균등하게 나눠질 수 있다. 각각의 시구간 정보를 알려주는 비트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심볼 그룹(또는 슬롯)을 알려주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으로, 시간 구간(604) 내에서 인터럽션 된 부분의 지시를 위해, 슬롯 지시자와 지시된 슬롯 내의 심볼 비트맵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해당 방법에 따르면, 인터럽션 지시자는 2개 이상의 슬롯 구간 간격으로 송신되는 상황에서 특정 슬롯을 지시하는 필드와 지시된 슬롯 내의 인터럽션된 심볼(또는 심볼 그룹)을 지시하는 필드로 나눠질 수 있다.
네 번째 방법으로, 슬롯 지시자와 지시된 슬롯 내의 인터럽션 시작 심볼 인덱스 및 인터럽션 종료 심볼 인덱스를 통해 시간 구간(604) 내에서 인터럽션 된 부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첫 번째 방법과 유사하지만 첫 번째 방법에 비해 인터럽션 지시자가 2개 이상의 슬롯 구간 간격으로 송신되는 상황에서 특정 슬롯을 지시하는 필드가 추가될 수 있다.
도 6에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주파수 구간(608) 내에서 실제 인터럽션된 부분을 지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비트맵 방식으로 인터럽션된 부분을 알려주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인터럽션 지시자를 통해, 주파수 구간(608) 중 실제 인터럽션 된 특정 부분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설정된 총 비트 수를 균등하게 주파수 구간(608)에 대해 균등하게 나눈 다음 특정 비트 필드가 주파수 구간(608) 중 일부 주파수 구간을 알려주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주파수 구간은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k)의 배수 또는 주파수 구간 (BWP, Bandwidth Part)의 배수로 정해질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는 주파수 관점에서 인터럽션이 시작되는 PRB 인덱스와 인터럽션이 종료되는 PRB 인덱스의 조합을 통해 인터럽션된 부분을 알려주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PRB 인덱스들에는 최소한 인터럽션 지시자를 수신하는 단말들에게 공통인 PRB 인덱스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들이 구현적으로 인터럽션 영역을 각기 다르게 구분함으로써 발생되는 충돌 문제가 없을 경우, 서로 다른 PRB 인덱스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그룹 상위 시그널링으로 주파수 구간(608) 중 특정 부분 주파수 구간이 인터럽션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가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필드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에는 인터럽션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만 존재하며, 단말은 해당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수신 시, 해당 시간에 해당하는 전 주파수 대역이 인터럽션 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정보 수신 시, 해당 인터럽션 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해당하는 수신된 하향 데이터 정보를 버리고 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향 데이터 정보를 구성하는 코드 블록 중 특정 코드 블록 모두가 인터럽션된 경우에는 해당 코드블록에 대한 재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특정 코드 블록이 할당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 중 일부 임계값 이하의 코드 블록만 인터럽션 된 경우, 단말은 재디코딩을 수행하여 HARQ-ACK 보고를 수행하거나 또는 이후 재송신되는 코드 블록과 HARQ 컴바이닝을 위해, 인터럽션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해당되는 수신된 데이터 값만 버퍼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 도 6에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시간 구간(604) 및 주파수 구간(608)에서 실제 인터럽션된 자원 영역을 알려주는 방법은 1 단계 지시 방법 및 2 단계 지시 방법으로 나눠질 수 있다. 1 단계 지시 방법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주파수 구간에 대해서 한 번에 인터럽션된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을 알려주는 방법을 의미한다. 2 단계 지시 방법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 설정된 시간 구간 또는 주파수 구간에 대해서 먼저, 특정 서브 시간 구간 또는 특정 서브 주파수 구간을 지시한 다음, 지시된 상기 특정 서브 시간 구간 또는 특정 서브 주파수 구간에서 실제 인터럽션된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을 알려주는 방법을 의미한다. 즉, 시간 구간 또는 주파수 구간에 대해서 특정 서브 그룹을 지시한 다음, 해당 서브 그룹 내에 특정 값을 지시하는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1 단계 방법보다 시간 구간(604) 또는 주파수 구간(608)이 상당히 큰 경우, 또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한 비트 오버헤드가 큰 경우,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두 가지의 방법은 규격으로 사전에 설정되거나 단말 공통 또는 단말 그룹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을 지시하는 방법으로는 연속적 방식과 비 연속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연속적 방식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을 지시하기 위해,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인터럽션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또는 시작 위치 기준으로 인터럽션 구간)를 알려줌으로써 연속적으로 인터럽션된 영역을 알려주는 방법이다. 비연속적 방식은 비트맵 방식으로서 각각의 비트가 유효한 시간 영역 또는 유효한 주파수 영역에 대해서 일부 유효한 서브 시간 시간 영역 및 일부 유효한 서브 주파수 영역을 알려주는 방법이며, 비 연속으로 발생하는 인터럽션 정보를 알려주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두 가지의 방법은 규격으로 사전에 설정되거나 단말 공통 또는 단말 그룹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효한 시간 영역은 하향 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으로 설정된 시간 영역을 의미하고, 유효한 주파수 영역은 하향 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으로 설정된 주파수 영역을 의미한다.
도 6은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되는 자원 영역과 해당 슬롯 포맷 지시자가 적용된 자원 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0, 602)은 규격 또는 사전에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슬롯 포맷 지시자는 TDD로 운영되는 시스템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를 통해, 단말은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된 직후 또는 일정 시간 이후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슬롯들에 대해, 하향링크로 구성된 심볼 수와 상향링크로 구성된 심볼 수 또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 모두 헤당하지 않는 심볼 수의 조합으로 구성된 슬롯을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심볼 수 자체를 슬롯 포맷 지시자로 설정받거나, 사전에 설정된 상향링크, 하향링크 그 이외에 목적으로 사용되는 심볼 수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몇 가지의 포맷들이 사전에 규격으로 정해지고 이 중에 하나가 단말에게 슬롯 포맷 지시자로서 전달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그룹 공통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정보를 통해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그룹 공통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하향 제어 정보가 특정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을 가지고 단말에게 송신될 경우, 단말은 해당 제어 정보 포맷을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다른 하향 제어 정보와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 하향 제어 정보에 결합된 CRC에 스크램블링된 슬롯 포맷 지시자를 위한 RNTI가 스크램블링 되고, 단말은 이 RNTI를 사전에 설정받고 CRC 디스크램블링을 통해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롯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는 7개 또는 14개이며, 이는 기지국에서 사전에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하거나 규격에 하나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슬롯 포맷 지시자는 하향 제어 정보 이외에 특정 시퀀스 형태로 단말에게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특정 시퀀스 값 검출을 통해 슬롯 포맷 지시자가 지시하는 슬롯 유형이 사전에 설정된 슬롯 유형 중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LTE PCFICH와 같이 슬롯 포맷 지시자가 구성되어 단말에게 송신될 수도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슬롯들로 구성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6)들에서 어떤 슬롯 포맷이 적용되는 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는 N개의 슬롯 포맷(하향, 상향, 그 이외 목적으로 사용되는 심볼들의 조합)들 중 하나의 값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슬롯들에 공통으로 적용되거나 여러 개의 슬롯들에 대한 값을 한 번에 알려줄 경우, 각각의 슬롯들에 적용된 슬롯 포맷 정보를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특정 단말 또는 공통 단말들에 전달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606)은 주파수 구간(604) 및 시간 구간(608)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구간(604)은 시스템 주파수 대역 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부주파수 간격이 적용된 주파수 구간 대역 또는 임의의 주파수 대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PSS/SSS/PBCH가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주파수 단위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주파수 구간(604)의 주파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 구간(604)은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와 같이 하향 제어 정보에 포함된 상태로 특정 단말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들)에 송신될 수 있다.
시간 구간(608)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롯 포맷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시간 구간 내에 2개 이상의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물리 제어 채널 자원이 시간 관점에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시간 구간(608)은 암묵적으로 연속되는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되는 하향 물리 제어 채널 시간 자원들 사이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6에서 표기한 인터럽션 지시자(또는 슬롯 포맷 지시자)가 포함된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정보가 포함된 하향링크 물리채널 자원 영역과 인터럽션 지시자 (또는 슬롯 포맷 지시자)가 가리키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은 도 6과 같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도 6과 달리 다른 예에 따라,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정보가 포함된 하향링크 물리 채널 자원 영역과 인터럽션 지시자(또는 슬롯 포맷 지시자)가 가리키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은 시간 또는 주파수 관점에서 각각 또는 모두 중첩될 수 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과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과 그 외 데이터 채널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슬롯 포맷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또는 시퀀스는 하향링크 제어 물리 채널 자원(700, 704)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제 1 하향링크 제어 물리 채널 자원(700)을 통해 송신되는 제 1 슬롯 포맷 지시자는 제 1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702)의 시간 구간(712) 및 주파수 구간(710)에서의 슬롯 포맷을 지시하며, 제 2 하향링크 제어 물리 채널 자원(704)을 통해 송신되는 제 2 슬롯 포맷 지시자(704)는 제 2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708)의 시간 구간(714) 및 주파수 구간(710)에서의 슬롯 포맷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702)의 시간 구간(712)과 제 2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708)의 시간 구간(714)은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제2 슬롯 포맷 지시자가 없는 경우, 제1 슬롯 포맷 지시자에서 제 1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702) 및 제 2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708)의 두 시간 구간(712, 714)에 대한 슬롯 포맷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두 슬롯 포맷 지시자가 지시하는 특정 슬롯 포맷이 적용된 주파수 구간(710)은 도 7과 달리 각각 다른 (또는 일부는 중첩된) 주파수 구간에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시간 구간들(712, 714)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구간(710)은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 또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특정 부주파수 간격이 적용된 주파수 구간 대역 또는 임의로 기지국에서 설정된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한,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그룹 공통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물리 채널 자원(706)을 통해, 인터럽션이 발생될 수 있는 복수의 물리 채널 자원 영역(702,708)에 관한 정보를 한번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주파수 구간(710)과 슬롯 포맷 지시자(700, 704)에서 각각 지시하는 주파수 구간(710)은 도 7과 같이 같거나 도 7과 달리 일부 중첩된 형태로 달라지거나 하나의 주파수 구간이 다른 하나의 주파수 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1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인터럽션 정보가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자원 영역 및 인터렵션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자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의 예로는 RRC 또는 MAC CE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의 예로는 SIB가 해당될 수 있다.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다음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에 의해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자원 영역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자원 영역은 동시에 설정되거나 각각 따로 설정될 수 있다.
1. 주파수 정보
2. 시간 정보
3. 송신 자원 정보
4. 정보 변경 유무
5. RNTI 정보
6. 비트 수
<주파수 정보>
인터럽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에 주파수 정보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주파수 구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주파수 구간 정보의 일 예로는, 주파수 대역 구간(BWP part) 정보 또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또는 PSS/SSS/PBCH가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 중 특정 값을 기준으로 한 오프셋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값은 주파수 대역 구간 또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작은 값또는 가장 큰 값 또는 중간 값 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특정 값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오프셋 정보는. 예를 들어, 시작 PRB 위치 및 종료 PRB 위치 또는 PRB 구간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주파수 구간 정보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을 동일하게 n 등분한 결과, 생성된 주파수 부분들 중 특정 주파수 부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주파수 구간 정보는 특정 부주파수 간격이 적용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정보는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구간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불연속적인 주파수 대역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시들의 조합으로 주파수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설정 방법에 의해 지시되는 주파수 대역은 인터럽션 지시자에 의해 지시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주파수 대역은 인터렵션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으로 단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정보>
인터럽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에 시간 정보는 인터럽션 정보가 지시할 수 있는 시간 구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시간 구간 정보의 일 예로는 특정 슬롯 단위 또는 특정 심볼 단위 또는 특정 심볼(그룹) 단위로 구성된 시간 구간 정보 또는 절대 시간 구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시간 구간 정보는 오프셋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프셋 값을 통해 슬롯 시작 시점 또는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시간 정보의 시작 또는 종료 시점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주기가 암묵적으로 인터럽션 정보에서 지시할 수 있는 시간 구간 정보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정보는 연속적인 시간 구간 정보를 포함하거나 불연속적인 시간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자원 정보>
인터럽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 송신 자원 정보는 인터렵션 지시자가 송신될 수 있는 물리 자원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송신 자원 정보의 예로는 시간 및 주파수 정보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시간 정보의 예로는 슬롯 단위 또는 심볼 단위 또는 심볼(그룹) 단위로 설정된 값 또는 슬롯 경계를 기준으로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될 수 있는 위치를 심볼 단위 또는 심볼(그룹)단위로 설정된 값 또는 전술한 예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주파수 정보의 예로는 단말이 설정 받은 주파수 대역에서 최소 주파수 대역 값 또는 최대 주파수 대역 값 또는 중간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주파수 정보의 다른 예로는 PRB 단위 또는 PRB 그룹 단위로 설정된 특정 주파수 구간 정보 또는 특정 주파수 구간의 시작 지점 및 종료 지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는 하향 물리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자원 정보는 하향 물리 제어 채널 설정 정보에 의해 암묵적으로 지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송신 제어 정보는 단말 공통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물리 제어 채널에서 인터럽션 정보가 항상 또는 일부 송신되거나 또는 인터럽션이 발생될 경우에만 적응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전술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 영역 중 일부라도 인터럽션이 발생될 경우에만 인터럽션 지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정보 변경 유무>
인터럽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 정보 변경 유무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정보가 L1 시그널링 또는 다른 상위 시그널링 정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정보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이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L1 시그널링 정보 또는 다른 상위 시그널링 정보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공통 L1 시그널링으로 송신될 수 있는 슬롯 포맷 지시자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 공통 L1 시그널링 또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송신될 수 있는 하향 물리 제어 채널 영역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RNTI 정보>
인터럽션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 중 RNTI 정보는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검출을 위해 하향 제어 정보와 결합된 CRC에 스크램블링된 RNTI 정보를 알려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RNTI는 규격에 정해진 값을 사용하거나 단말 별로 설정된 특정 RNTI를 기반으로 별도 설정된 RNTI 값을 유도하여 사용하거나 인터럽션에 대한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RNTI에 대한 정보를 같이 전달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비트 수>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구성되는 비트 수 또한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는 시간 정보 또는 주파수 정보 또는 송신 자원 정보 등에 의해 암묵적으로 비트 수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비트 수 정보는 별도로 다른 특정 하향 제어 정보 설정에 의해 암묵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비트 수는 하향 제어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를 의미하거나 실제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를 위한 비트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되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영역 크기 및 시간 또는 주파수 단위 정보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하는 비트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시간 단위 정보는 슬롯, 심볼 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고, 주파수 단위 정보는 PRB 또는 PRB 그룹 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트 수는 특정 하향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및 그 이외 특정 자원 영역 정보를 가정하고 결정될 수있다. 예를 들어, 슬롯마다 송신될 수 있는 하향 제어 채널의 최대 심볼 수가 2개 일 경우, 해당 2개를 제외한 나머지 송신 심볼들만을 고려하여, 비트 수가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제어 정보 송신 구간 정보의 일 예인 단말 공통(SIB와 같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되는 슬롯 단위 송신을 위한 DMRS의 위치에 따라 비트 수가 결정될 수도 있다.
82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이 결정됨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획득된 인터럽션 설정 정보를 기초로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는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을 결정하며, 인터럽션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로는 하향 제어 정보 비트(필드) 크기 또는 하향 제어 정보 송신 주기 또는 하향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송신 자원 영역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는 인터럽션 지시자만을 포함하고 있거나 그 이외 다른 하향 제어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 제어 정보는 단말 특정 하향 제어 정보이거나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정보 일 수 있다. 단말 특정 하향 제어 정보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물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정보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물리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에 결합된 CRC에 스크램블링된 RNTI를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 받거나 또는 규격에 정해진 RNTI 정보로 가정하고 디스크램블링을 통해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으로 사전에 설정되거나 규격에 정해진 특정 RNTI(예를 들면, INT-RNTI, 인터럽션 용도의 RNTI)를 가지고 디스크램블링 하여, 하향 제어 정보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C-RNTI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전술한 810단계에서 상위 시그널링으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인터럽션 지시자 포맷을 결정하고 결정된 포맷으로 인터럽션 지시자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 가 송신되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을 항상 탐색하거나 또는 적응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적응적으로 탐색하는 것의 일례로는 다음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이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기 조건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을 만족할 경우에만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 설정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1. 특정 RNTI(예를 들어, C-RNTI 또는 해제(release)를 지시하는 SPS-RNTI 이외의 SPS-RNTI 또는 데이터 송신을 지시하는 RNTI) 로 스크램블링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에 성공하는 경우
2. 하향 제어 정보 탐색 성공 및 해당 제어 정보를 통해 지시된 하향 물리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이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인터럽션 정보가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경우
3. 특정 RNTI(예를 들어, C-RNTI 또는 해제(release)를 지시하는 SPS-RNTI 이외의 SPS-RNTI) 로 스크램블링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 수행을 설정 받은 경우
특정 RNTI로 스크램블링된 하향 제어 정보를 통해 스케줄링되는 하향 데이터 정보에는 유니 캐스트 정보 또는 멀티 캐스트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단말은 유니 캐스트 데이터 정보 스케줄링을 받는 경우 또는 멀티 캐스트 데이터 정보 스케줄링을 받는 경우 또는 브로드 캐스트 데이터 정보 스케줄링 받은 경우,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 설정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특정 RNTI로 스크램블링된 하향 제어 정보를 통해 스케줄링되는 하향 데이터 정보의 예로는 특정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예를 들면, eMBB 또는 mMTC) 또는 시스템 데이터 (SIB 또는 RRC 또는 MAC CE 또는 Paging)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단말은 eMBB 데이터 정보 스케줄링을 받은 경우 또는 시스템 데이터 이외에 정보를 스케줄링 받은 경우,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 설정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에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 탐색의 수행이 설정된 경우, C-RNTI와 같이 PDSCH를 스케줄링하는 제어 정보를 통해 스케줄링 된 PDSCH 자원 영역이 인터럽션 지시자를 통해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 가능한 자원 영역과 적어도 일부 또는 일정 임계 값 이상 중첩되는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에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 탐색 수행이 설정된 경우, C-RNTI와 같이 PDSCH를 스케줄링하는 제어 정보를 통해 스케줄링 된 PDSCH 자원 영역이 인터럽션 정보에서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 가능한 자원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에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 탐색 수행이 설정된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자원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PDSCH 자원이 C-RNTI와 같은 PDSCH 스케줄링을 지시할 수 있는 RNTI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 되는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에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 탐색 수행이 설정된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자원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PDSCH 자원을 C-RNTI와 같은 PDSCH 스케줄링을 지시할 수 있는 RNTI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통해 스케줄링 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자원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자원 영역을 특정 단말을 위하여 PDSCH 데이터 스케줄링을 할 경우,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자원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자원 영역을 특정 단말(들)을 위하여 PDSCH 데이터 스케줄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전술한 810단계에서 상위 시그널링으로 송신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적응적으로 인터럽션 정보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송신하거나 또는 항상 송신할 수 있다. 적응적으로 송신하는 것의 일례로는 실제로 인터럽션 발생이 영역이 전술한 810단계에서 상위 시그널링으로 송신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 정보와 적어도 일부 중첩될 경우에만,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를 규격에 정해지거나 상위 시그널링으로 기 설정한 RNTI로 하향 제어 정보와 결합된 CRC에 스크램블링을 한 이후에 스크램블링 된 하향 제어 정보를 기 설정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을 결정하는 첫 번째 방법으로써,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획득된 인터럽션 설정 정보에 따라 설정된 시간 구간 크기 및 주파수 구간 크기 및 시간 단위 및 주파수 단위를 기초로 제어 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비트들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시간 구간 크기가 T_d 이고, 주파수 구간 크기가 F_d 이고, 시간 최소 단위가 t_g, 주파수 최소 단위가 f_g 일 경우, 시간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총 비트 수(n_t)는 다음의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n_t = floor(T_d/t_g)
[수학식 2]
n_t = ceil(T_d/t_g)
다른 예에 따라,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 수(n_f)는 다음의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
n_f = floor(F_d/f_g)
[수학식 4]
n_f = ceil(F_d/f_g)
전술한 수학식들은 각각 비트 수, 시간 구간 크기 및 시간 단위를 포함한 세 가지 파라미터로 구성되며, 세 가지 중 2개에 대한 정보를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 받으면 단말은 나머지 하나의 정보에 대해 암묵적으로 설정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인 n_t, T_d, t_g 중 2 가지 정보를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 받은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정보는 암묵적으로 단말이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술한 3개의 파라미터가 모두 상위 시그널링으로 단말에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예와 유사하게, 단말은 주파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비트 수 결정 식인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구성하는 파라미터인 n_f, F_d, f_g 중 2 가지 정보를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 받는 경우,나머지 하나의 정보는 암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술한 3개의 파라미터가 모두 상위 시그널링으로 단말에 전달될 수도 있다.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 가능한 시간 정보는 n_t, T_d, t_g 중 2개 또는 3개 모두가 될 수 있다. 또한,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 가능한 주파수 정보는 n_f, F_d, f_g 중 2개 또는 3개 모두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전술한 시간 정보 또는 주파수 정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중 2개 이하의 파라미터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을 결정하는 두 번째 방법으로,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시간 구간 크기 및 주파수 구간 크기 및 시간 단위 및 주파수 단위를 기초로 제어 정보 포맷을 구성하는 비트들을 한 번에 결정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비트 정보가 특정 시간 구간 및 특정 주파수 대역 구간으로 구성된 자원 영역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구간 크기가 T_d 이고, 주파수 구간 크기가 F_d 이고, 시간 단위가 t_g 이며, 주파수 단위가 f_g 인 경우, 시간/주파수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총 비트 수(n)는 다음의 수학식 5 또는 수학식 6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5]
n = ceil(T_d/t_g)xceil(F_d/f_g)
[수학식 6]
n = floor(T_d/t_g)xfloor(F_d/f_g)
전술한 수학식 5 및 수학식 6에서 단말은 5개의 파라미터 중 4가지 정보를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 받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정보를 암묵적으로 설정 받을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 5 및 수학식 6에서, n, T_d, t_g, F_d, f_g 중 4가지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이 수신할 경우 나머지 하나의 정보는 암묵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전술한 5개의 정보를 모두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 가능한 시간 및 주파수 정보는 n, T_d, t_g, F_d, f_g 중 4개 또는 5개 모두가 될 수 있고, 그 이하의 개수의 정보를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주파수 구간 크기 및 주파수 단위의 일예로는 PRB 또는 PRB 그룹이 해당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주파수 구간 크기 및 주파수 단위는 특정(또는 디폴트) BWP 대역 값 또는 시스템 주파수 대역를 N 등분한 값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시간 구간 크기 및 시간 단위의 예로는 심볼 또는 심볼 그룹 또는 서브 슬롯 또는 슬롯 또는 슬롯 그룹들이 해당될 수 있다.
시간 구간 크기 이외에 시간 구간들이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 시간 그룹 구간 집합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시간 그룹 구간 집합은 하나 이상의 시간 구간으로 구성될 있으며, 시간 그룹 구간 집합 크기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에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간 구간 크기가 T_d일 경우, 시간 그룹 구간 집합의 크기는 SxT_d 이며, 시간 그룹 구간 집합 중 특정 시간 구간을 알려주는 비트 수는 S개의 비트가 설정되거나 floor(log2(S)) 또는 ceil(log2(S)) 개의 비트가 설정될 수 있다. 비트는 인터럽션 지시자 이외에 별도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비트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방법은 주파수 그룹 구간 집합 개념이 설정될 경우, 관련 비트 결정 정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주파수 구간 크기 이외에 주파수 구간들이 하나 이상으로 결합된 주파수 그룹 구간 집합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주파수 그룹 구간 집합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파수 그룹 구간 집합의 크기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에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파수 구간 크기가 F_d일 경우, 주파수 그룹 구간 집합의 크기는 WxF_d 이며, 주파수 그룹 구간 집합 중 특정 주파수 구간을 알려주는 비트 수는 W개의 비트가 설정되거나 또는 floor(log2(W)) 또는 ceil(log2(W)) 개의 비트가 설정될 수 있다. 비트는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에 별도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는 비트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된 두 가지 방법 중 규격을 통해 하나의 방법만 지원되거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가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830 단계에서, 단말은 탐색을 통해 검출된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에 대한 탐색의 수행을 통해 인터럽션 지시자를 검출하고 하향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필드 정보의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하향 제어 정보 중에 인터럽션 지시자로 할당된 비트 필드에 대해 해석 또는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FDD의 경우,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및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 내의 비트 필드 해석을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정보 송신 구간을 구성하는 최대 심볼 수를 기초로 유효한 물리 하향 데이터 채널을 위한 심볼 수가 결정됨에 따라 단말은 최대 심볼 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필드 정보 해석을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또는 예약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를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받거나 또는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L1 시그널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 포함된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필드 해석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인터럽션 지시자의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필드 해석을 알려주는 정보 값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필드를 해석할 수 있다.
TDD의 경우, FDD의 동작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지만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제어 채널로 송신될 수 있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정보에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에 따라 단말은 유효한 하향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는 심볼 수또는 유효한 하향 데이터 채널 정보를 구성하는 자원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판단된 유효 심볼 수 또는 자원 영역을 기반으로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필드의 해석 또는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전술한 비트 필드의 해석 방법 이외에 인터럽션 지시자 해석을 결정하는 정보들에 의해 인터럽션 지시자가 송신되는 제어 정보 포맷 및 제어 정보 비트 필드 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가 아래와 같이 존재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인터럽션 정보에 포함된 총 비트 수는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에서 지시하는 유효한 하향링크 심볼 수 또는 시간 및 주파수로 구성된 하향 제어 정보 영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TDD의 경우,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또는 예약 자원 영역 정보 이외에 슬롯 포맷 지시자가 함께 고려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인터럽션 지시자의 총 비트 수는 고정되어 있지만,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에서 지시하는 유효한 하향링크 심볼 수 또는 시간 및 주파수로 구성된 하향 제어 정보 영역에 따라 개별의 비트가 지시하는 인터럽션된 시간 및 주파수 구간 영역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TDD의 경우,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또는 예약 자원 영역 정보 이외에 슬롯 포맷 지시자가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으로, 인터럽션 지시자의 총 비트 수는 고정되어 있지만,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에서 지시하는 유효한 하향링크 심볼 수에 따라 개개의 비트가 지시하는 기존 시간 및 주파수 구간 영역과 비교하여 실제 유효한 시간 및 주파수 구간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TDD의 경우,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또는 예약 자원 영역 정보 이외에 슬롯 포맷 지시자가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을 통해,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또는 TDD의 경우, 슬롯 포맷 지시자)에 따라 비트 수를 조절함으로써 최적화된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를 위한 비트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에서 지시하는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심볼 수가 작을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한 비트 수도 적어지므로 효율적으로 비트 수 관리를 할 수 있다.
다만,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송신 주기와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또는 TDD의 경우, 슬롯 포맷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송신 주기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간의 오프셋이 다를 경우,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비트 수 정보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슬롯에 걸쳐 두 개의 서로 다른 슬롯 포맷 지시자가 송신되는, 반면 2개의 슬롯을 위해 하나의 인터럽션 지시자만 송신되는 상황에서, 단말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 중 하나의 정보라도 수신을 실패하거나 실제 정보와 다른 값을 지시할 경우, 단말이 판단한 인터럽션 지시자의 유효 비트 수와 실제 기지국이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해 사용하는 비트 수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와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시간 관점에서 서로 같은 주기와 오프셋 값을 가질 경우, 해당 방법이 유효할 수 있다.
한편, 첫번째 방법에 의해, 전술한 802 단계에서 결정된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이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또는 TDD의 경우, 슬롯 포맷 지시자)에 따라 실제 유효한 인터럽션 정보가 구성되는 비트 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단말이 기 설정된 물리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탐색해야 되는 제어 정보 포맷이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유효한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가능한 인터럽션 지시자의 최대 비트 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제어 정보 포맷 변경 없이 최대 비트 수를 제어 정보가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최대 비트 수 중에 실제 유효한 비트 필드만이 인터럽션 지시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첫 번째 방법과 달리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 수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단말과 기지국이 서로 다른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한 비트 수를 판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하는 인터럽션 영역의 구성이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또는 TDD의 경우, 슬롯 포맷 지시자)에서 지시했던 실제 하향링크 유효 심볼 구간(또는 유효한 시간 및 주파수로 구성된 물리 채널 데이터 자원 영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4개의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이 구성된 상황에서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7비트로 구성된 경우, 비트맵 방식으로 각 비트가 총 연속적인 2개의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 그룹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슬롯 포맷 지시자를 통해 총 7개의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이 구성된 경우, 기지국은 기 설정된 인터럽션 지시자 를 구성하는 7비트를 슬롯 포맷 지시자로 설정된 7개의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들을 위해서만 활용할 수 있다. 즉, 각 비트가 1개의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들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슬롯 포맷 지시자로 3개의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들만 존재하는 경우, 7개 비트 중 3개의 비트만 3개의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심볼들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를 각각 알려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에 나머지 4개의 비트는 인터럽션이 될 수 있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서 추가적으로 주파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용도(비트 맵 방식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 지시 방식)로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인터럽션 지시자의 총 비트 수 변화는 없지만,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정보 구성이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첫 번째 방법과 비슷하게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주기(또는 오프셋)와 슬롯 포맷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주기(또는 오프셋)가 다를 경우, 단말은 비록 인터럽션 지시자를 검출하더라도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비트가 지시하는 인터럽션 영역 정보가 기지국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방법도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제어 정보와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서로 같은 주기 및 오프셋을 가진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터럽션 지시자 가 설정된 시구간 전체에 대한 비트맵 방식으로 인터럽션 여부를 알려주는 방법 이외에 슬롯 지시자 및 해당 슬롯을 구성하는 심볼들에 대한 비트맵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예를 들어,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비트들 중 n1개의 비트들은 특정 인터럽션된 슬롯을 알려주는 지시자 그리고 n2개의 비트들은 해당 n1개의 비트로 지시된 슬롯 내의 인터럽션된 심볼들을 비트맵 방식으로 알려주는 지시자),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와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서로 같은 주기 및 오프셋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인터럽션 지시자의 총 비트 수가 변하지 않고,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 수신을 실패한 슬롯에 대해서 인터럽션 지시자가 비롯 해당 슬롯을 지시하더라도 단말이 실제로 해당 슬롯에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를 유효하게 수신한 슬롯에 대해서 인터럽션 지시자가 슬롯 지시자 및 해당 슬롯 내의 심볼 정보들을 단말에게 알려줄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로 지시된 해당 슬롯에 대한 인터럽션 지시자의 비트 구성을 충분히 기지국과 같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설명된 슬롯 포맷 지시자 대신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가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은 두 번째 방법과 유사하지만,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또는 TDD의 경우, 슬롯 포맷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유효한 하항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유효한 심볼 수(또는 유효한 시간 및 주파수로 구성된 물리 하향 데이터 자원 영역)에 상관없이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비트가 지시하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으로 구성된 인터럽션 영역 자체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인터럽션 영역에서의 유효한 인터럽션 영역이 슬롯 포맷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유효한 심볼 수로만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총 비트들 중 1 비트가 3개의 연속적인 심볼들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를 기본적으로 알려주는 상황에서 슬롯 포맷 지시자를 통해 3개의 연속적인 심볼들 중 하나만 실제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로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한 총 비트들 중 1 비트를 실제 유효한 1개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심볼을 지시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인터럽션 지시자 가 포함된 제어 정보와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가 포함된 제어 정보가 각각 다른 주기 또는 오프셋을 가진 상황에서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에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한 총 비트들 중 1개의 비트가 지시하는 영역에서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위한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비트는 어떤 인터럽션 정보도 단말들에게 알려주지 못한 채 다른 용도로 충분히 활용될 수가 없다. 전술한 예에서 설명된 슬롯 포맷 지시자 대신에 제어 정보 송신 구간(예를 들면, LTE의 CFI) 또는 예약 자원 영역(reserved resource)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 수신을 통해 기 수신한 또는 기 수신하고 있는 스케줄링된 자신의 데이터 자원 영역 중에 인터럽션된 자원 영역에 해당하는 자원들을 소프트 버퍼에서 버리거나 저장하지 않거나 또는 이 자원 영역을 제외하고 디코딩을 (재)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가 재송신 될 경우 또는 같은 데이터의 일부 데이터(예를 들면 코드 블록 또는 코드 블록 그룹)가 재송신 될 경우, 단말은 해당 인터럽션된 자원 영역 부분에 해당하는 소프트 비트들에 대해 재송신 데이터와 HARQ 컴바이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 수신을 통해 기 수신한 또는 기 수신하고 있는 스케줄링된 자신의 데이터 자원 영역 대비 인터럽션된 자원 영역이 일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 또는, 유효한 데이터 자원 영역이 일정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단말은 하향 데이터 수신에 대한 HARQ-ACK 결과 보고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 수신을 통해 기 수신한 또는 기 수신하고 있는 스케줄링된 자신의 데이터 자원 영역 대비 인터럽션된 자원 영역이 일정 임계 값 이하일 경우 또는, 유효한 데이터 자원 영역이 일정 임계 값 이하인 경우) 단말은 하향 데이터에 대한 HARQ-ACK 결과 보고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유효한 데이터 자원 영역은 하향 제어 정보로 사전에 지시된 데이터 자원 영역 중 인터럽션된 자원 영역을 제외한 데이터 영역을 의미한다. 인터럽션된 자원 영역은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통해 단말이 수신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송신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포맷 지시자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시간 구간(900)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간 구간(900)은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에 포함된 총 비트 수에 따라 거의 균일하게 부분 시간 구간(902, 904, 906)으로 나눠서 각각 부분 시간 구간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를 특정 단말 또는 그룹 단말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전술한 거의 균일한 부분 시간 구간으로 나눈다는 것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시간 구간(900)을 구성하는 특정 슬롯 내의 총 심볼 수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하는 슬롯 지시자를 위한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총 비트 수에 따라 각각의 비트 정보들이 지시하는 총 심볼 수가 같거나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각의 부분 시간 구간(902, 904, 906)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 부분 시간 구간(902) 중 특정 심볼 그룹이 포함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910)은 하향 제어 정보를 위한 물리 채널 제어 자원으로 사전에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서 909는 하나의 특정 부주파수 간격을 지원하는 하나의 OFDM 심볼 단위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 심볼 그룹 단위 또는 슬롯 단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부분 시간 구간(902)중, 제어 정보를 위한 물리 채널 자원 영역(910)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구간에서만 인터럽션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슬롯 포맷 지시자 정보를 통해 부분 시간 구간(906) 중 특정 심볼 그룹이 포함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912)이 하향링크가 아닌 상향링크 또는 그 이외에 목적을 위해 활용될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부분 시간 구간(906) 중 하향링크로 활용되지 않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912)을 제외한 나머지 유효한 시간 구간(914)에서 인터럽션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상황은 도 8에서 서술한 3가지 인터럽션 지시자 설정 방법 중 세 번째 방법에 해당된다.
도 9에서 단말은 유효한 하향 데이터 채널만을 고려하며, 이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가 가리키는 심볼 그룹에 대해서 인터럽션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유효한 하향 데이터 채널을 고려하는 방법은 다음 상황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1.하향 제어 채널로 설정된 최소 또는 최대 심볼(들)
2.PSS/SSS/PBCH로 설정된 심볼(들) 및 그 이외에 단말 공통 중요 제어 정보(SIB)가 송신되는 심볼(들)
3.하향 데이터 채널 이외에 상향 데이터 또는 그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설정된 심볼(들)
단말 별로 서로 다른 하향 제어 채널 심볼 수를 설정 받을 수 있음에 따라, 하향 제어 채널로 설정된 최소 또는 최대 심볼 수를 고려하여, 유효한 하향 데이터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모든 단말은 공통적으로 하향 제어 채널 심볼을 설정받으므로, 모든 단말의 최소 심볼의 수는 1개로 설정될 수 있고, 최대 심볼 수의 경우, 단말들 각각에 대해 3개 또는 4개 이상의 연속적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된 슬롯 포맷 지시자는 그 이외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하향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또는 시간 및 주파수로 구성된 자원 영역 또는 예약 자원 영역 등으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슬롯 포맷 지시자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터럽션 지시자는 시간 구간(1000) 및 주파수 구간(1004)에 대한 인터럽션 정보를 기설정된 특정 단말 또는 단말 그룹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로 설정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1010)과 슬롯 포맷 지시자로 설정된 하향링크 이외에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1012)을 제외한 유효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구성하는 시간 구간(1002)에 대한 인터럽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는 총 비트 수는 고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0에서 1009는 하나의 특정 부주파수 간격을 지원하는 하나의 OFDM 심볼 단위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된 심볼 그룹 단위가 될 수 있다.
일예로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시간 정보를 알려주는 데 사용되는 총 비트 수가 n개 일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1004)로 사용되는 하나의 슬롯 내의 유효한 시간 구간(1002)을 구성하는 총 심볼 수 k개에 대해서 각 비트는 순차적으로 개 또는 개의 연속적인 심볼 그룹에 대한 인터럽션 정보를 알려주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k가 n보다 작을 경우, n-k 개의 비트(들)는 추가적으로 주파수 정보(1004)를 알려주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기존에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가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n-k개의 비트는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기존에 주파수 정보를 알려주는 정보가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경우, 기존 비트에 추가적으로 n-k개의 비트를 이용하여 보다 세밀하게 주파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럽션 된 주파수 영역을 알려주는 방법으로는 인터럽션 지시자가 가리키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전체 주파수 자원 영역을 주파수를 위해 할당된 비트 수를 고려하여 비트맵 방식으로 각각의 비트가 가리키는 부분 주파수 영역을 가리키거나 또는 비트 수에서 제공할 수 있는 총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하나의 주파수 영역을 지시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를 위해 2 비트가 존재할 경우, 첫 번째 방법에 따르면, 인터럽션 지시자에서 가리킬 수 있는 인터럽션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2개로 나누고 각각의 나눠진 주파수 영역을 각각의 비트가 지시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에 따르면, 2 비트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수가 총 4개이므로 인터럽션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4개로 나누고 각각의 나눠진 주파수 영역을 4개의 비트 조합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두 번째 방법은 전체 주파수 대역 중 일부 주파수 대역에만 지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의 변형된 방법으로는 2 비트가 제공하는 정보는 총 4개 이지만 전체 인터럽션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4개가 아닌 3개로 나누며, 특정 비트 조합 값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해 인터럽션이 발생된 대역 또는 인터럽션이 발생되지 않은 대역만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전술한 슬롯 포맷 지시자는 그 이외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는 하향 제어 정보 송신 구간(또는 시간 및 주파수로 구성된 자원 영역) 또는 예약 자원 영역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110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 중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 중요 정보는 다음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구성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1.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 또는 규격에 따라 PSS/SSS/PBCH 및 페이징 등 단말 공통 제어 정보가 하향 링크로 송신되는 물리 채널 자원 영역 매핑
2. 슬롯 포맷 지시자에서 지시하는 하향 링크 또는 상향링크 또는 그 이외 목적을 위해 설정된 슬롯 구성 정보
3. 그 이외 기 설정된 고정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슬롯 (또는 심볼 또는 심볼 그룹 또는 특정 SFN)
1120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된 하향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블라인드 디코딩을 통해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된 하향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130 단계에서, 단말은 하향 데이터 할당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114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채널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특정 하향 제어 정보 포맷 탐색을 수행하지 않거나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를 위해 별도로 설정된 RNTI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RNTI를 기초로 인터럽션 지시자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이 사전에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경우,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동작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 대역 부분 구간(BWP)이 존재할 경우, 각각의 주파수 대역 부분 구간 별로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의 탐색 및 구성 정보 설정 유무를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 받을 수 있다.
1150 단계에서, 단말은 하향 제어 정보에서 지시하는 하향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전술한 1120 단계에서, 하향 데이터 할당 정보가 검출된 경우, 하향 제어 정보에서 지시하는 하향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116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특정 하향 제어 정보 포맷 탐색을 수행하거나 인터럽션를 위해 별도로 설정된 RNTI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RNTI를 가지고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기설정된 인터럽션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 또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시간 대역에 대한 비트 필드 정보의 유효성은 실제 인터럽션에 해당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을 받기 이전에 수신한 단말 중요 정보를 기초로 단말이 판단할 수 있다. 인터럽션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 또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시간 대역은 모두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이라고 판단하고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도록 비트 필드가 설정될 수 있지만, 실제 기설정된 비트 필드의 유효성은 단말 중요 정보를 기초로 판단되는 실제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에 기 설정된 비트 필드를 기반으로 실제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대해서만 인터럽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실제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는 무시하거나 인터럽션에 관련된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해당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기설정된 용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대해서 인터럽션 여부를 확인한 경우, 인터럽션에 대응하는 하향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해당하여 수신된 데이터 값은 버퍼에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단말은 인터럽션이 발생된 자원 영역을 제외하고 코드 블록 별로 재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 발생 시 채널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21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편, 1210 단계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810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이 결정됨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1220 단계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820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820 단계 이외에도,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채널 추정 자원 수신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탐색하도록 설정 받은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채널 추정 자원 수신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탐색 하는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채널 추정 자원을 설정 받은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1230 단계에서, 단말은 탐색을 통해 검출된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한편, 1230 단계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830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1240 단계에서, 단말은 식별된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채널 추정 자원 중 인터럽션이 발생된 자원을 제외한 다른 자원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 추정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인터럽션 정보 수신 및 해석을 수행한 이후, L1 시그널링 지시되거나 또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채널 추정 자원에 대해서 실제 인터럽션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채널 추정 자원에 대해서 인터럽션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해당 채널 추정 자원을 통해 하향 채널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추정 결과 값을 기 설정된 상향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채널 추정 자원서 인터럽션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기 설정된 채널 추정 자원 중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에 대한 채널 추정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기설정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에 대한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의 비율이 일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 또는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이 절대 값으로 일정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을 기준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추정 결과 획득된 채널 추정 값을 기 설정된 상향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기 설정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에 대한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의 비율이일정 임계 값 이하일 경우 또는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이 절대 값으로 일정 임계 값 이하일 경우 단말은 유효한 채널 추정 자원 영역을 기준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 설정된 상향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채널 추정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지 않거나 이전에 획득된 채널 추정 값을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자원 설정 정보에 따른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자원 영역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에 의해 인터럽션 지시자를 통해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주파수(1301) 및 시간(1300) 정보를 설정받을 수 있다. 주파수 정보(1301)는 시스템 전체 주파수 대역이거나 PRB 단위로 구성된 일부 주파수 대역이거나 특정 BWP가 해당될 수 있다. 시간 정보의 단위(1308)는 하나의 심볼 또는 심볼 그룹 또는 슬롯 또는 슬롯그룹 단위가 될 수 있다. 시간 정보 또는 주파수 정보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에 의해 인터럽션 지시자를 통해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주파수(1301) 및 시간(1300) 정보를 동시에 여러 개 설정 받을 수 있다.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에 의해 하향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또는 하향 제어 정보 송신 구간 또는 주파수 자원 영역(1301)을 설정 받을 수 있다.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에 의해 예약 자원 정보 송신 구간 또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 영역(1302)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예약 자원은 다른 목적으로 기지국이 개별 단말 또는 그룹 공통 단말 또는 공통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는 자원이며, 단말은 해당 자원 영역에서 채널 측정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에 의해 채널 추정 자원(1312)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단말이 전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 포맷 탐색을 성공할 경우, 하향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비트 필드의 해석이 실제 유효한 하향 데이터(또는 채널 추정) 시간 자원 영역(1306)과 주파수 자원 영역(1304)에 따라 적응적으로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도 13과 같이 유효한 하향 데이터 또는 채널 추정을 위한 자원 설정으로써 전체 6개의 심볼(또는 심볼 그룹) 중, 4개의 심볼(또는 심볼 그룹)만이 유효한 심볼(또는 심볼 그룹)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심볼(또는 심볼 그룹(에 맞게 비트 필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채널 추정 자원(1312)(또는 데이터 할당 자원)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된 인터럽션 지시자를 통해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주파수(1301) 및 시간(1300) 정보를 설정 받은 영역이 적어도 일부 중첩될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채널 추정 자원(또는 데이터 할당 자원) 정보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채널 추정 자원 또는 데이터 할당 자원 정보와 관련된 RNTI로 스크램블링된 CRC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를 탐색한 결과, 인터럽션 된 물리 채널 자원 영역(1314)이 기 할당된 채널 추정 자원(또는 데이터 자원) (1312)과 적어도 일부 겹칠 경우, 단말은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인터럽션 되지 않은 자원 영역에 대해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자원의 경우에 대해서는, 단말은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인터럽션 되지 않은 자원 영역에 대해서 (재)복조/(재)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인터럽션 탐색 수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제어 정보 탐색 영역(1410)을 설정 받을 수 있다. 단말은 제어 정보 탐색 영역을 통해 단말 공통 또는 단말 특정 데이터 정보가 송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 영역(1420)을 스케줄링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 탐색 여부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 받을 경우,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자원 영역(1430)을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 탐색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와 같이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재)설정 받거나 따로 설정 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럽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제어 영역(1440)은 사전에 상위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 탐색을 설정 받을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된 물리 데이터 자원 영역(1420)이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자원 영역(1430)이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단말에 스케줄링된 물리 데이터 자원 영역(1420)과 인터럽션이 가능한 자원 영역(1430)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의 탐색을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단말에 스케줄링된 물리 데이터 자원 영역(1420)과 인터럽션이 가능한 자원 영역(1430) 간에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을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자원 영역(1430)에서 시간 자원은 심볼 단위 또는 슬롯 단위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자원 영역(1430)에서 주파수 자원은 단말이 운영하는 실제 주파수 구간(BWP)이거나 시스템 전체 주파수 대역이거나 PRB 단위 또는 PRB 그룹 단위 또는 초기 접속을 위한 BWP의 단위 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인터럽션 지시자가 지시할 수 있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자원 영역(1430)과 적어도 일부 주파수 대역이 단말이 단말 특정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으로 설정 또는 지시 받은 BWP와 중첩될 경우,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 탐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 결과를 기초로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510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 중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1510 단계는,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1110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1520 단계에서, 단말은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 을 통해 하향 채널 추정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 채널 추정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1530 단계에서, 단말은 하향 채널 추정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물리 채널 자원에 대한 추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채널 추정 자원을 설정 받지 않은 경우에도 채널 추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154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채널의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특정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의 탐색을 수행하지 않거나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해 별도로 설정된 RNTI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RNTI를 가지고 인터럽션 지시자 정보 탐색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이 사전에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동작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 대역 부분 구간(BWP)이 존재할 경우, 각각의 주파수 대역 부분 구간 별로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 및 구성 정보 설정 유무를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 받을 수 있다.
1550 단계에서, 단말은 하향 채널 추정을 위한 물리 채널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자원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하향 채널 추정을 위한 물리 채널 자원을 설정 받은 경우, 상위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자원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1560 단계에서,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하향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하향 제어 채널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인터럽션 지시자가 포함된 특정 하향 제어 정보 포맷의 탐색을 수행하거나 인터럽션 지시자를 위해 별도로 설정된 RNTI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RNTI를 기초로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인터럽션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 또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시간 대역에 대한 비트 필드 정보의 유효성은 실제 인터럽션에 해당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을 받기 이전에 수신한 단말 중요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이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럽션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 또는 인터럽션이 가능한 시간 대역은 모두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이라고 판단하고 인터럽션 지시자를 구성하도록 비트 필드가 설정되지만, 실제 기설정된 비트 필드의 유효성은 단말 중요 정보에 의해 실제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실제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대해서만 인터럽션 여부를 인터럽션 지시자에 기설정된 비트 필드를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단말은 실제 하향링크 데이터 물리 채널 자원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한 인터럽션 여부는 무시하거나 인터럽션에 관련된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해당 물리 채널 자원 영역에 기설정된 용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채널 추정 자원 영역에 대해서 인터럽션 여부를 확인한 경우, 인터럽션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채널 추정 자원 영역에 해당하는 추정 값은 채널 추정 보고를 위한 값을 산출 할 때 반영하지 않거나 채널 추정 보고 자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인터럽션이 발생된 자원 영역을 제외하고 코드 블록 별로 재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610 단계에서, 기지국은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단말 특정 또는 단말 공통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인터럽션 정보가 지시할 수 있는 물리 자원 영역 및 인터렵션 정보가 송신되는 물리 자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는 주파수 정보, 시간 정보, 송신 자원 정보, 정보 변경 유무 및 RNTI 정보 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구성하는 각 정보들은 도 8의 810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대응될 수 있다.
1620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 1 유형의 데이터가 할당된 자원 영역에 제 2 유형의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우선적으로 송신되어야 하는 서비스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미 자원에 다른 데이터가 할당된 경우에도, 해당 서비스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유형의 데이터는 eMBB 서비스의 데이터 또는 mMTC의 데이터일 수 있고, 제 2 유형의 데이터는 URLLC 서비스의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제 1 유형의 데이터 및 제 2 유형의 데이터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630 단계에서, 기지국은 제 2 유형의 데이터의 할당에 의해 자원 영역에 인터럽션이 발생됨에 따라,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동일한 자원 영역에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중첩하여 할당함에 따라, 인터럽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럽션 지시자를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기지국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6개의 유형의 인터럽션 지시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인터럽션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700)의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1710), 프로세서(1720) 및 메모리(17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710)는 송신부(1712) 및 수신부(1714)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이를 송수신부(1710)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송수신부(1710)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7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72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7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20)는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20)는 인터럽션 지시자의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20)는 탐색을 통해 검출된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를 인터럽션 지시자의 포맷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메모리(1730)는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20)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1720)에서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730)는 롬(ROM) 또는/및 램(RAM) 또는/및 하드디스크 또는/및 CD-ROM 또는/및 DVD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800)의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송수신부(1810), 프로세서(1820) 및 메모리(1830) 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810)는 송신부(1812) 및 수신부(1814)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이를 송수신부(1810)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송수신부(1810)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8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8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82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8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20)는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20)는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에 따른 포맷에 따라 인터럽션 지시자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1830)는 인터럽션 설정에 관한 정보, 인터럽션 지시자에 포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820)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1820)에서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830)는 롬(ROM) 또는/및 램(RAM) 또는/및 하드디스크 또는/및 CD-ROM 또는/및 DVD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 1와 실시 예 2, 그리고 실시 예 3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들은 NR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FDD 또는 TDD LTE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달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RNTI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전달하는 상기 PDCCH 상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검출된 경우,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셋의 PRB 및 심볼들의 셋의 심볼에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의 수신에는 적용되지 않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RB들의 셋은 복수의 PRB들을 포함하는 BWP(bandwidth part) 에 대응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슬롯 포맷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UE 특정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이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지시된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제외됨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을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되는 심볼들로부터 제외한 결과로, 심볼들의 개수 K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 및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PRB 및 상기 심볼에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는 N 비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1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N 심볼 그룹들 각각은 상기 N 비트들 각각와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은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1 심볼 그룹 및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2 심볼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2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2 심볼 그룹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N 비트들은 프리엠션과 연관된 심볼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 및 프리엠션과 연관된 PRB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을 포함하는,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달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UE(user equipment)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PDCCH를 통해,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상기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셋 및 심볼들의 셋 중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 및 심볼은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의 수신에는 적용되지 않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RB들의 셋은 복수의 PRB들을 포함하는 BWP(bandwidth part) 에 대응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슬롯 포맷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UE 특정 제어 정보를 상기 UE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이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지시된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제외되고,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을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되는 심볼들로부터 제외한 결과로, 심볼들의 개수 K가 식별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상기 UE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 및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PRB 및 상기 심볼에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상기 UE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는 N 비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1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이 식별되고, 상기 N 심볼 그룹들 각각은 상기 N 비트들 각각와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은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1 심볼 그룹 및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2 심볼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2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2 심볼 그룹들이 식별되고,
    상기 N 비트들은 프리엠션과 연관된 심볼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 및 프리엠션과 연관된 PRB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을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달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획득하고,
    상기 RNTI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전달하는 상기 PDCCH 상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가 검출된 경우,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셋의 PRB 및 심볼들의 셋의 심볼에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의 수신에는 적용되지 않는, UE.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RB들의 셋은 복수의 PRB들을 포함하는 BWP(bandwidth part) 에 대응하는, UE.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슬롯 포맷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UE 특정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이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지시된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제외됨을 식별하며,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을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되는 심볼들로부터 제외한 결과로, 심볼들의 개수 K를 식별하는, UE.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 및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PRB 및 상기 심볼에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UE.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는 N 비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1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을 식별하며, 상기 N 심볼 그룹들 각각은 상기 N 비트들 각각와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은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1 심볼 그룹 및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2 심볼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2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2 심볼 그룹들을 식별하고,
    상기 N 비트들은 프리엠션과 연관된 심볼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 및 프리엠션과 연관된 PRB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을 포함하는, UE.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달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UE(user equipment)에 제공하고,
    상기 PDCCH를 통해,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상기 UE에 전송하며,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셋 및 심볼들의 셋 중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 및 심볼은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는 SS(synchronization signal) 및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의 수신에는 적용되지 않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RB들의 셋은 복수의 PRB들을 포함하는 BWP(bandwidth part) 에 대응하는,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슬롯 포맷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UE 특정 제어 정보를 상기 UE에 제공하고,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이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DCI에 의해 지시된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제외되고,
    상기 슬롯 포맷 지시 정보에 의해 업링크로 지시되는 심볼을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되는 심볼들로부터 제외한 결과로, 심볼들의 개수 K가 식별되는,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상기 UE에 제공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 및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기초로, 상기 PRB 및 상기 심볼에 상기 UE에 대한 전송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는, 기지국.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를 상기 UE에 제공하고,
    상기 프리엠션 지시 정보는 N 비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1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이 식별되고, 상기 N 심볼 그룹들 각각은 상기 N 비트들 각각와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연속된 심볼들의 N 심볼 그룹들은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1 심볼 그룹 및 개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제 2 심볼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PRB들의 셋 및 상기 심볼들의 셋에 대한 지시 정보가 제 2 값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심볼들의 셋으로부터 연속된 심볼들의 N/2 심볼 그룹들이 식별되고,
    상기 N 비트들은 프리엠션과 연관된 심볼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 및 프리엠션과 연관된 PRB 정보를 지시하는 N/2 비트들을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230087394A 2017-09-20 202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30109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394A KR20230109600A (ko) 2017-09-20 202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320A KR102554390B1 (ko) 2017-09-20 2017-09-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7394A KR20230109600A (ko) 2017-09-20 202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20A Division KR102554390B1 (ko) 2017-09-20 2017-09-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600A true KR20230109600A (ko) 2023-07-20

Family

ID=658096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20A KR102554390B1 (ko) 2017-09-20 2017-09-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30087394A KR20230109600A (ko) 2017-09-20 2023-07-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320A KR102554390B1 (ko) 2017-09-20 2017-09-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265859B2 (ko)
EP (2) EP3996317A1 (ko)
KR (2) KR102554390B1 (ko)
CN (2) CN111108716B (ko)
AU (1) AU2018334842B2 (ko)
WO (1) WO2019059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2576B2 (en) 2017-02-02 2021-09-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reempted resource information
JP7284159B2 (ja) * 2017-09-29 2023-05-30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データ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CN111226478A (zh) * 2018-01-12 2020-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装置及系统
JP7072080B2 (ja) * 2018-04-04 2022-05-19 中▲興▼通▲訊▼股▲ふぇん▼有限公司 無線通信においてアップリンク伝送リソースをプリエンプト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9198014A (ja) * 2018-05-10 2019-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213951A1 (zh) * 2018-05-11 2019-1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下行信道的接收方法和终端设备
EP3609109A1 (en) 2018-08-09 2020-02-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deband operation in an unlicensed spectrum with plural separate frequency ranges
US11917631B2 (en) * 2018-09-28 2024-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signal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WO2020069428A1 (en) * 2018-09-28 2020-04-02 Intel Corporation Sequence-based uplink (ul) transmission cancellation for new radio (nr)
WO2020034429A1 (en) * 2018-11-02 2020-02-20 Zte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ndicating uplink transmission resources related to various services
WO2020145460A1 (ko) * 2019-01-10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8580B2 (en) * 2005-08-09 2010-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 of port based authentication protocols and process to support transfer of connection information
WO2011002263A2 (ko) * 2009-07-02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EP2561717A4 (en) 2010-04-22 2015-07-15 Sharp Kk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AND BASE STATION, USER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ARRANGEMENT THEREIN
US9923659B2 (en) 2011-03-01 2018-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rol information by terminal in multinode system
ES2733945T3 (es) 2011-06-15 2019-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xtensión de señalización de control de enlace descendente físic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US9628237B2 (en) 2012-10-21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98126B (zh) * 2013-07-01 2016-04-06 重庆邮电大学 一种td-lte集群通信系统的动态信道分配方法
WO2016008537A1 (en) 2014-07-18 2016-01-21 Huawei Technologies Co.,Ltd User device,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of
WO2016024890A1 (en) * 2014-08-11 2016-02-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e-emption and resource allocation prioritization for d2d communications
US10149293B2 (en) * 2014-10-16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reemption for enhanced component carriers
US11297510B2 (en) * 2015-01-19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Medium access for shared or unlicensed spectrum
KR102316775B1 (ko) 2015-04-02 2021-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시간구간 감소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6159730A1 (ko) * 2015-04-02 2016-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시간구간 감소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6208829A1 (ko) * 2015-06-26 2016-12-29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16864B2 (en) * 2015-08-07 2020-04-07 Sharp Kabushiki Kaisha Allocating resources for wireless sidelink direct communications
KR102164967B1 (ko) * 2017-01-06 2020-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8128938A1 (en) * 2017-01-09 2018-07-12 Intel IP Corporation Bandwidth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31036A1 (ko) * 2017-06-16 2018-12-20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1102A4 (en) 2020-07-29
CN116684051A (zh) 2023-09-01
AU2018334842B2 (en) 2022-12-08
WO2019059513A1 (ko) 2019-03-28
AU2018334842A1 (en) 2020-04-02
CN111108716A (zh) 2020-05-05
KR20190032906A (ko) 2019-03-28
EP3996317A1 (en) 2022-05-11
US11265859B2 (en) 2022-03-01
US20200288441A1 (en) 2020-09-10
KR102554390B1 (ko) 2023-07-11
US20220150874A1 (en) 2022-05-12
EP3661102B1 (en) 2021-12-15
EP3661102A1 (en) 2020-06-03
US11758559B2 (en) 2023-09-12
CN111108716B (zh) 2023-06-06
US20230371036A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3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999496B (zh) 在无线通信系统中设置下行链路控制信道接收时间的方法和装置
KR102542403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설정과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7379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탐색 및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239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38487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20439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및 데이터 정보 자원 매핑 방법 및 장치
KR20180018301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EP35779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uplink signal transmission ti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3694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8327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737114B2 (en) Control channe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49602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및 데이터 정보 자원 매핑 방법 및 장치
KR1022794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3773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전송 타이밍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