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795A -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 Google Patents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795A
KR20230108795A KR1020220004090A KR20220004090A KR20230108795A KR 20230108795 A KR20230108795 A KR 20230108795A KR 1020220004090 A KR1020220004090 A KR 1020220004090A KR 20220004090 A KR20220004090 A KR 20220004090A KR 20230108795 A KR20230108795 A KR 20230108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ir
grippers
gripp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3692B1 (en
Inventor
김종택
심원현
전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메디텍
Priority to KR102022000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692B1/en
Publication of KR20230108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1Manipulators operated by drive c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4Manipulators with manual electric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14Separate linked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ergonomic, e.g. fitting in f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5Details of shaft 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8Multiple segments connected by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61B2017/2933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camm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2937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camming or guiding means with flexible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1Manipulators operated by drive cable mechanisms
    • A61B2034/715Cable tensioning mechanisms for removing s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4Manipulators with manual electric input means
    • A61B2034/742Joysticks

Abstract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리핑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그리퍼를 갖는 엔드 이펙터;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며, 복수의 관절편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는, 상기 복수의 관절편 중 상기 샤프트로부터 가장 이격되게 배치된 관절편이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그리퍼와 연결되어 상기 그리퍼의 동작을 변환하는 그리핑동작 변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호 결합되기 전에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제2 하우징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엔드 이펙터를 한층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시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조립 용이성과 부품 가공효율성 증대를 제공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 surgical instrument is disclosed. The 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an end effec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 pair of grippers capable of gripping; and a join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end effector and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pieces are continuously arranged, wherein the end effector is coupled with a joint piece disposed most spaced apart from the shaf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o which the pair of grippers are rotatably coupled; and a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to convert an operation of the grippers,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before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is form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using through sliding movemen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to move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through sliding movement, a structure that can more easily assemble the end effector is provided, resulting in assembly defects during assembly. It can greatly improve productivity by providing ease of assembly and increased part processing efficiency.

Description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와 그 조립방법{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Surgical instrument and its assembly method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부품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부품 가공성을 증대시켜 전체적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와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greatly improving overall productivity by facilitating assembly between parts and increasing part processability,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의학적으로 수술이란 피부나 점막, 기타 조직을 의료 기기를 사용하여 자르거나 째거나 조작을 가하여 병을 고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수술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여 열고 그 내부에 있는 기관 등을 치료, 성형하거나 제거하는 개복 수술 등은 출혈, 부작용, 환자의 고통, 흉터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에 소정의 구멍을 형성하여 의료 기기, 예를 들면, 복강경,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미세수술용 현미경 등만을 삽입하여 수행하는 수술 또는 로봇(robot)을 사용한 수술이 대안으로서 각광받고 있다.In medical terms, surgery refers to the treatment of diseases by cutting, cutting, or manipulating skin, mucous membranes, or other tissues using medical devices. In particular, open surgery, which incises and opens the skin at the surgical site and treats, molds, or removes internal organs, etc., causes problems such as bleeding, side effects, patient pain, and scarring. Therefore, recently, surgery perform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hole in the skin and inserting only a medical device, for example, a laparoscope, a surgical instrument, a microscope for microsurgery, or the like, or surgery using a robot has been spotlighted as an alternative.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피부에 천공된 구멍을 통과하는 샤프트의 일단에 구비된 엔드 이펙터를 소정의 구동부를 사용하여 의사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거나 로봇 암을 사용하여 조작함으로써 수술 부위를 수술하기 위한 도구이다.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 구비된 엔드 이펙터의 소정의 구조를 통한 회전 동작, 집게 동작(gripping), 절단 동작(cutting) 등을 수행한다.A surgical instrument is a tool for operating a surgical site by manually manipulating an end effector provided at one end of a shaft passing through a hole drilled in the skin by a doctor using a predetermined driving unit or by using a robot arm. A rotation operation, a gripping operation, a cutting operation, and the like are per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structure of an end effector provided in a surgical instrument.

기존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엔드 이펙터 부분이 굴곡되지 않아 수술 부위로의 접근 및 여러 수술 동작의 수행에 있어서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엔드 이펙터 부분이 샤프트에 대해 굴곡될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Existing surgical instruments have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access a surgical site and perform various surgical operations because the end effector portion is not bent. To compensate for this, surgical instruments in which an end effector portion can be bent with respect to a shaft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구체적으로, 샤프트와 엔드 이펙터 사이에 굴곡될 수 있는 굴곡 관절을 마련하고 있는데, 이러한 굴곡 관절은 굴곡 관절 전체의 내구성 증대를 위해 샤프트 단부에 bending section - rigid straight section - bending section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거나, 샤프트 단부에 rigid straight section - bending section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고 있다.Specifically, a flexion joint that can be bent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end effector, and this flexion joint has a form in which a bending section - a rigid straight section - a bending section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haft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flexion joint. or has a form in which a rigid straight section - bending section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haft.

여기서, bending section은 자유롭게 굴곡되는 구간이고, rigid straight section은 굴곡되지 않는 직선 구간을 의미하는데,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이러한 rigid straight section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고 있었다.Here, the bending section is a section that is freely bent, and the rigid straight section means a straight section that is not bent. Conventional surgical instruments have such a rigid straight section at least partially.

이러한 rigid straight section은 bending section과 구성 부품에 있어 형상 및 결합구조가 전혀 상이하게 이루어지는바, 종래에는 굴곡 관절을 형성하기 위해 bending section 구성 부품, rigid straight section 구성 부품을 별도로 설계하여 적용하고 있었다.Since this rigid straight section has a completely different shape and coupling structure in the bending section and component parts, conventionally, the bending section component parts and the rigid straight section component parts were designed and applied separately to form a flexion joint.

이에 따라, 구성 부품 개수의 증가에 따른 제조 비용 증가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조작업 현장에서 구성 부품을 관리함에 있어서도 다수의 구성 부품을 별도로 관리해야 하는바 부품 관리 효율이 저감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not only does manufacturing cost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onent parts, but al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parts management efficiency is inevitably reduced because a large number of component parts must be separately managed even when managing component parts at the manufacturing site. .

또한, 종래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사용자가 손목을 회전시켜 인스트루먼트의 관절 및 엔드 이펙터를 굴곡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시간 수술이 진행될시 사용자는 손목에 많은 피로감을 느낄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urgical instru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wrist to bend the joint and end effector of the instrument, so that the user cannot but feel fatigue in the wrist during long-term surgery. there is.

일반적으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이펙터는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어 하우징에 대해 힌지 회전하면서 그리핑 동작을 수행하는 한 쌍의 그리퍼를 포함하고 있다.In general, an end effector of a surgical instrument includes a housing connected to an end of a shaft and a pair of gripper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performing a gripping operation while hingedl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종래 엔드 이펙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경우, 샤프트와 연결되는 일측 단부 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한 쌍의 그리퍼가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복잡한 경로를 가공할 수 밖에 없었으며, 하우징 사이즈가 소형으로 적용될 수 밖에 없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특성상 하우징에 복잡한 경로를 가공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In the case of a housing constituting a conventional end effector, one end area connected to the shaft does not have a structure open to the outside, so that a pair of grippers had to be processed in a complex path to enable hinge rot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which are inevitably applied to a small housing size, it is difficult to process complex paths in the housing, and productivity is inevitably reduc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93677호(2017. 1. 10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93677 (2017. 1. 10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드 이펙터를 조립하여 구성함에 있어 관련 부품들 간에 좀 더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하우징에 복잡한 조립 경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부품 가공성 및 부품 조립성을 증대시켜 결국 제품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와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n assembling and configuring an end effector, by providing a coupling structure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related parts, particularly forming a complex assembly path in the hous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gical instrument and an assembly method thereof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product productivity by increasing part processability and part assembly ability by not having to do so.

또한, 본 발명은 엔드 이펙터의 상하, 좌우방향 굴절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작하면서 시술하는 과정에서 손목의 과도한 사용을 억제하여 손목 피로 발생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드 이펙터의 굴정방향을 조절하는 조작 스위치의 이동방향과 엔드 이펙터의 굴절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적용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엔드 이펙터의 굴절방향을 직관적으로 조절하여 시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perform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 of the end effector using only one finger, thereby suppressing excessive use of the wrist during the procedure while manually operating the user, thereby reducing wrist fatigue. In additi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that controls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nd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adjust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ced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또한, 본 발명은 관절에 직선구간과 굴곡되는 굴곡구간을 형성하는 구성 부품을 단일화하여 동일 부품으로 직선구간과 굴곡구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부품 단일화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traight section and a curved section with the same part by unifying the components forming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curved section at the join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e parts management efficiency due to unification of part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urgical instrument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 직선구간을 굴곡 구간으로 형태 변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다시 직선구간으로 형태 변환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converting a straight section into a curved section when necessary and freely performing the shape conversion back to a straight section if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리핑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그리퍼를 갖는 엔드 이펙터;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며, 복수의 관절편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는, 상기 복수의 관절편 중 상기 샤프트로부터 가장 이격되게 배치된 관절편이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그리퍼와 연결되어 상기 그리퍼의 동작을 변환하는 그리핑동작 변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호 결합되기 전에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haft; an end effec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 pair of grippers capable of gripping; and a join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end effector and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pieces are continuously arranged, wherein the end effector is coupled with a joint piece disposed most spaced apart from the shaf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o which the pair of grippers are rotatably coupled; and a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to convert an operation of the grippers,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before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A surgical instrumen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can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using through sliding movemen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가 외부에 대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that is movable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by sli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may have an open structure.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은 외부에 개방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econd housing, a pair of slides suppor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part so that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part slides recipro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A groove is provided, and one side of the pair of slide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made open to the outside.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상기 그리퍼의 그리핑 동작을 변환하도록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그리핑동작 변환바디; 및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와 상기 한 쌍의 그리퍼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의 이동에 따라 링크운동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includes a gripping motion converting body connected to a wire to convert the gripping motion of the gripper by a user's motion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slide groov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lide groove; and a pair of links connecting between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and the pair of grippers and performing a link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변환바디 본체;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벽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body may include a conversion body main body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and a pair of guide rods inserted inside the pair of slide grooves and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s, wherein the guide rods may mov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lide grooves while in rolling contact.

상기 한 쌍의 그리퍼에는 각각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에는 각각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 가능하도록 한 쌍의 삽입홀이 마련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grippers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nd each of the pair of links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guide bar may be inserted.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의 외부에 대한 개방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의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용접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In the first housing,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is provided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f the sl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integrated through welding or bonding.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의 외부에 대한 개방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의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개방구에 강제 압입될 수 있다.In the first housing,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is provided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f the sl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and the insertion projection can be forcibly press-fitted into the opening.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리핑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그리퍼를 갖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며 복수의 관절편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는, 상기 복수의 관절편 중 상기 샤프트로부터 가장 이격되게 배치된 관절편이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그리퍼와 연결되어 상기 그리퍼의 동작을 변환하는 그리핑동작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은 외부에 개방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상기 그리퍼의 그리핑 동작을 변환하도록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변환바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그리핑동작 변환바디; 및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와 상기 한 쌍의 그리퍼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의 이동에 따라 링크운동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방법으로서, (a) 상기 한 쌍의 링크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에 각각 결합한 결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결합체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 단부를 각각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하되, 상기 한 쌍의 링크의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출된 상기 한 쌍의 링크의 각각의 타단부에 상기 한 쌍의 그리퍼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 effector having a shaft and a pair of gripper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capable of a gripping operation, and a plurality of joint pieces disposed between the shaft and the end effector in succession. A first housing including a joint portion formed in a form, wherein the end effector includes a first housing to which a joint piece disposed most spaced apart from the shaf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is couple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o which the pair of grippers are rotatably coupled; and a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to convert an operation of the grippers, wherein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 pair of slide grooves are provided to suppor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so that the slide reciproc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one side of the pair of slide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is made open to the outside, and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is connected to a wire to convert the gripping motion of the gripper by a user's motion and is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slide groov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lide groove; a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including a conversion body main body to which wires are connected, and a pair of guide rods inserted inside the pair of slide grooves and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s; and a pair of links connecting between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and the pair of grippers and performing a link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wherein (a) the preparing an assembly in which one end of each pair of links is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rods of the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b) slide and insert the ends of the pair of guide rods of the assembly into the pair of slide grooves through one side opening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links 2 inserting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 connecting the pair of grippers to each other end of the pair of exposed links.

(d) 상기 한 쌍의 그리퍼를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의 개방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제1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 combining the pair of grippers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so as to be hinged rotatably, and coupling the first housing to the second housing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pening of the second housing; can includ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와 그 조립방법에 의하면,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제2 하우징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엔드 이펙터를 한층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시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조립 용이성과 부품 가공효율성 증대를 제공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종래와 같이 복잡한 부품 조립경로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부품 가공효율성 및 부품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is movable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through sliding movement, so that the end effector can be more easily assembled By providing the structure, as well as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assembly defects during assembly,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productivity by providing ease of assembly and increased part processing efficiency. That is, by not forming a complicated component assembly path i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component processing efficiency and component assembly.

또한, 엔드 이펙터의 상하, 좌우방향 굴절을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스트루먼트를 수동으로 동작하면서 시술하는 과정에서 손목의 과도한 사용을 억제하여 손목 피로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op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perform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 of the end effector using only one finger, the user can manually operate the instrument while suppressing excessive use of the wrist during the procedure, thereby reducing wrist fatigue. can be reduced

또한, 와이어 교차구간이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 스위치의 가압위치에 대응하도록 엔드 이펙터의 굴곡방향을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바, 보다 용이하면서 효율적인 시술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wire crossing section is provided, the user can intuitively control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switch, so that easier and more efficient treatment is possible.

또한, 조작 스위치에 보조 조작 스위치가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관절부에 직선부 및 굴곡부를 모두 형성시키거나, 굴곡부만을 형성시키는 동작 제어를 월등히 편한 자세로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witch, the user can form both a straight part and a curved part in the joint part or form only the curved part using only the thumb, and can perform motion control in a very comfortable posture.

또한, 직선부와 굴곡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과 굴곡유도 관절편을 서로 동일한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부품 단일화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plurality of straight induction joint pieces and flexion induction joint pieces forming a straigh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in the same form,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e parts management efficiency due to unification of parts.

또한,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과 굴곡유도 관절편이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를 연결하여 관절부를 구성함에 있어 부품의 결합 방향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바 작업자가 한층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결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joint pieces and flexure guide joint pieces are form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it is not necessary to greatly consider the coupling direction of parts in constructing the joint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so the operator can work with the coupling more easily and quickly. can be performed.

또한,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와, 직선유도 관절편과 굴곡유도 관절편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굴곡유도 와이어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필요시 와이어 견인력 부여를 통해 직선부를 형성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어 견인력 제공을 해제하여 직선부를 굴곡부로 형태 변환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parately providing a plurality of straight induction wir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raight induction joint pieces and a plurality of bending induction wires connecting the straight induction joint pieces and the flexural induction joint pieces to each other, when necessary, a straight line through wire traction force is applied. A portion can be formed, and in some cases, the wire traction force can be released to freely change the shape of the straight portion into a bent portion.

또한, 구형 형상의 제3 세그먼트부와,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 세그먼트부의 삽입홈 간의 결합을 통해 복수의 관절편이 서로 인접하게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관절편의 움직임이 한층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are connected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spherical third segment por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rresponding first segment portion,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can be realized more natural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이펙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이펙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그리핑동작 변환바디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그리퍼의 동작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엔드 이펙터, 관절부,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관절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관절부의 하나의 관절편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관절부의 하나의 관절편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관절부의 관절편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관절부에서 직선부를 구성하는 최하단 관절편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은 도 14의 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조작 스위치의 동작 위치와 엔드 이펙터의 굴절 방향이 반대로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서 보조 조작 스위치 동작에 의해 관절부가 형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에서 보조 조작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d effector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d effector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changes in the operating state of a gripper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d effector, a joint, and a shaft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a joint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joint piece of a joint part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9;
11 is a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one joint piece of a joint part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joint pieces of a joint part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1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lowermost joint piece constituting the linear part in the joint part of the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4;
1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on switch and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applied in reverse;
18 and 19 are views showing that the shape of a joint is changed by an auxiliary operation switch operation in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n auxiliary operation switch in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will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fully co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엔드 이펙터를 한층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시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조립 용이성과 부품 가공효율성 증대를 제공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easily assembling an end effector,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assembly defects during assembly and increasing productivity by providing ease of assembly and increased part processing efficiency.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엔드 이펙터의 상하, 좌우방향 굴절을 시술자(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시술자가 인스트루먼트를 수동으로 동작하면서 시술하는 과정에서 손목의 과도한 사용을 억제하여 손목 피로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an operator (user) can perform vertical and horizontal refraction of an end effector using only one finger, so that the operator manually operates the instrument while performing surger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wrist fatigue by suppressing excessive use of the wrist during the process.

또한, 시술자가 하나의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엔드 이펙터의 상하, 좌우 방향 굴절을 수행할 때, 조작 스위치의 이동방향과 엔드 이펙터의 굴절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적용되게 함으로써 시술자가 엔드 이펙터의 굴절방향을 직관적으로 조절하여 시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performs vertical and horizontal refraction of the end effector using only one finger,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and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ar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can be adjus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ced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관절부는 동일한 부품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구간을 굴곡시킬 수 있고 필요시 선택적으로 다른 일정 구간을 직선 형태의 구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직선 형태의 구간 유지를 통해 별도의 구성품이 적용되지 않고 동일한 부품으로 직선 형태의 구간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단일화를 통한 제조 원가 감소와 더불어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part of the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o that the same parts can be formed in a continuous manner so that a certain section can be bent and, if necessary, another certain section can be selectively maintained as a straight section. That is, since a straight section can be maintained with the same parts without separate components being applied through maintenance of a straight section,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parts managemen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rough unification of parts.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내지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1000)는 샤프트(10), 엔드 이펙터(20), 관절부(100), 복수의 와이어(150) 및 핸들(300)을 포함한다.1 to 3, 7 and 8, a surgical instrument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10, an end effector 20, a joint part 100, and a plurality of wires. 150 and handle 300.

샤프트(10)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엔드 이펙터(20)는 샤프트(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서로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그리핑 동작을 통해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한 쌍의 그리퍼(21)를 포함한다.The shaft 10 is made of a pipe structure having a certain length or more, and the end effector 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10 and is a pair capable of gripping an object through a gripping operation approaching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ncludes a gripper 21 of.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 이펙터(20)는 한 쌍의 그리퍼(21) 외에 제1 하우징(30), 제2 하우징(40) 및 그리핑동작 변환부(50)를 더 포함한다. 그리퍼(21), 제1 하우징(30), 제2 하우징(40), 그리핑동작 변환부(50)는 각각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합금 등의 생체 적합성 금속재질 및/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2 to 6, the end effector 20 further includes a first housing 30, a second housing 40, and a gripping motion converter 50 in addition to the pair of grippers 21. do. The gripper 21, the first housing 30, the second housing 40, and the gripping motion converter 50 are each made of a corrosion-resistant biocompatible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alloy and/or a plastic material. can be made with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그리퍼(21)에는 각각 결합돌기(22)가 마련된다.Here, as shown in FIGS. 3 and 4 , coupling protrusions 22 are provided on each pair of grippers 21 .

제1 하우징(30)은 복수의 관절편(101) 중 샤프트(10)로부터 가장 이격되게 배치된 관절편(101)이 결합된다. The first housing 30 is coupled with the joint piece 101 disposed most apart from the shaft 10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30)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 관통홀(3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후술하는 관절편(101)의 제3 세그먼트부(116)가 삽입되고 타측은 제2 하우징(40)에 연결된다. 상기 관절편(101)의 제3 세그먼트부(116)는 일정이상 자유롭게 움직임(관절부의 벤딩)이 가능한 상태로 제1 하우징(30)의 일측 관통구 측에 삽입된다.Specifically, the first housing 30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housing through-hole 3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of the joint piece 101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one side. Is inserte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40).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of the joint piece 101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hrough-hole of the first housing 30 in a state in which it can freely move (bending the joint portion) over a certain amount.

또한, 제1 하우징(30)에는 후술하는 제1 내지 제4 굴곡유도 와이어(154a,154b,154c,154d)가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1 하우징 와이어 관통홀(33)이 마련되고, 제1 하우징 와이어 관통홀(33) 주변에 제1 내지 제4 굴곡유도 와이어(154a,154b,154c,154d)에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걸림편(156)이 걸림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housing wire through-holes 33 ar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30 so that the first to fourth bend-inducing wires 154a, 154b, 154c, and 154d to be described later pass therethrough, and the first housing wire The hooking piece 156 is hooked around the through hole 33 so as to provide a traction force to the first to fourth bending guide wires 154a, 154b, 154c, and 154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30)의 제1 하우징 관통홀(31)에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그리핑동작 변환부(50)의 이동을 제공하도록, 그리핑동작 변환부(50)와 핸들(300)에 마련된 트리거(301) 사이를 연결하는 그리퍼 동작와이어(32)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through-hole 31 of the first housing 30 is provided with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50 and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50 so as to be moved by a user's motion. A gripper operating wire 32 connecting between the triggers 301 provided on the handle 300 may be inserted through.

부연하자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리거(301)를 당겨 그리퍼 동작와이어(32)를 후방으로 인출 동작하면 그리핑동작 변환부(50)의 후방 이동에 의해 한 쌍의 그리퍼(21)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트리거(301)를 당기는 동작을 해제하면 그리핑동작 변환부(50)는 전방의 초기 위치로 위치복원 이동하여 한 쌍의 그리퍼(21)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핸들(300)에는 그리퍼 동작와이어(32)에 연결되어 트리거(30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리핑동작 변환부(50)가 초기 위치로 자동 복원하도록, 즉 한 쌍의 그리퍼가 벌어진 normal 상태가 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 구체적으로 인장 스프링이 마련된다. 이외에도, 그리핑동작 변환부(50)가 초기 위치로 자동 복원하여 그리핑을 위한 대기상태를 갖도록 하는 다양한 복원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6 , when the user pulls the trigger 301 and withdraws the gripper operation wire 32 backward, the pair of grippers 21 are moved backward by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unit 50. )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Conversely, when the user releases the action of pulling the trigger 301, the gripping action conversion unit 50 moves to the front initial position for position restoration, and the pair of grippers 21 mov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is end, the handle 300 is connected to the gripper operation wire 32 so that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ting unit 50 automatically restores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rigger 301, that is, a pair of grippers. A separate elastic member (not shown), specifically a tension spring, is provid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so that it becomes a widened normal state. In addition, various restoring structures may be applied in which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50 automatically restores the original position to a standby state for gripping.

다음,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40)은 그 일측이 제1 하우징(30)의 단부에 결합되고 그 타측에는 힌지핀(23)을 통해 한 쌍의 그리퍼(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FIGS. 3, 4 and 6, the second housing 4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other side through a pair of hinge pins 23 The gripper 21 is rotatably coup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40)은 그리핑동작 변환부(50)가 제2 하우징(4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제2 하우징(40)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30)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가 외부에 대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 in the second housing 40,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50 slide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40.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30 has a structure open to the outside so as to be movable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40 through the.

덧붙이자면, 제2 하우징(40)에는, 그리핑동작 변환부(50)가 제2 하우징(40)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제2 하우징(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도록 그리핑동작 변환부(50)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41)이 마련되며, 한 쌍의 슬라이드홈(41)의 길이방향 일측은 외부에 개방되게 이루어지고 길이방향 타측은 내벽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in the second housing 40,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unit 50 performs a gripping operation so as to slide and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40 while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40. A pair of slide grooves 41 support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conversion unit 50 are provided,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pair of slide grooves 41 is made open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is closed by an inner wall. has a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40)은 제1 하우징(30)과 상호 결합되기 전에 그리핑동작 변환부(50)가 제2 하우징(40)의 외측(후방)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제2 하우징(40)의 내측으로 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second housing 40 is mutually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30,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50 slides on the outside (rear side) of the second housing 40 to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using 40.

즉, 본 발명은 그리핑동작 변환부(5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4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제2 하우징(4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2 하우징(40)에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2 하우징(40)에 대해 그리핑동작 변환부(50)를 한층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바 조립시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조립 용이성을 제공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50 slid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second housing 40 through one open side of the slide groove 41 as described above, and moves to the second housing 40. By providing a coupl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ssemble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50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40, which minimizes the occurrence of assembly defects during assembly and provides ease of assembly,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덧붙이자면, 제2 하우징(40)에 그리핑동작 변환부(50)를 결합하기 위한 복잡한 조립경로를 형성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2 하우징(40)의 부품 가공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부분간의 조립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complicated assembly path for coupling the gripping motion converter 50 to the second housing 40, the efficiency of parts processing of the second housing 40 can be increased,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assemblability between parts that are mutually coupled together.

한편, 제2 하우징(40)에 대해 그리핑동작 변환부(50)의 슬라이드 삽입이 이루어진 후, 그리핑동작 변환부(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 하우징(40)과 제1 하우징(3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은 일 예로 용접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상호간에 강제 압입을 통해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이에 관련된 추가 부연설명은 후술한다.Meanwhile, after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50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40, the second housing 40 and the first housing 3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unit 50. ) is mad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may be integrated through welding or bonding, for example. Alternatively,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integrated through mutual forced press-fitting. Additional explanation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2 하우징(4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제2 하우징(4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길이방향 일측이 외부에 개방되게 슬라이드홈(41)이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 바(42), 슬라이드홈(4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 하우징 바(42)의 일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바(44), 슬라이드홈(4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2 하우징 바(42)의 타측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바(4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second housing 40 will be further described, as long as the second housing 40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s a slide groove 41 so th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open to the outside. The first connecting bar 44 and the slide groove 41 connecting one side of the pair of second housing bars 42 and the pair of second housing bars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groove 41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bar 45 connecting the other sides of the pair of second housing bars 42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또한, 한 쌍의 제2 하우징 바(42)에는 한 쌍의 그리퍼(21)의 힌지 회전 결합을 위해 힌지핀(23)이 삽입되도록 힌지핀 삽입홀(43)이 마련되고, 한 쌍의 그리퍼(21)에도 마찬가지로 힌지핀(23)이 삽입되도록 그리퍼 힌지핀 삽입홀(24)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housing bars 42 are provided with hinge pin insertion holes 43 so that the hinge pins 23 are inserted for hinge rotation coupling of the pair of grippers 21, and the pair of grippers 21 ( 21) is similarly provided with a gripper hinge pin insertion hole 24 to insert the hinge pin 23 therein.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0)에는, 슬라이드홈(41)의 길이방향 일측의 외부에 대한 개방상태를 해제하도록 슬라이드홈(41)의 길이방향 일측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4)가 마련된다. 한편, 관련 도면에는 삽입돌기(34)의 폭이 슬라이드홈(41)의 길이방향 좌우 폭보다 일정이상 크게 형성되는바, 슬라이드홈(41)의 일측 개방구에 단차진 형태의 단차부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만 삽입돌기(34)의 사이즈 변동을 통해 이러한 단차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to 4, in the first housing 30, one side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groove 41 is released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groove 41 to the outside. An insertion protrusion 34 inserted into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drawings, the width of the insertion protrusion 34 is formed larger than a predetermined width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lide groove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epped structure is provided at one sid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41. However, this stepped portion may be omitted through size varia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34 .

다음,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핑동작 변환부(50)는 제2 하우징(40)의 내측에 마련되며, 한 쌍의 그리퍼(21)와 연결되어 그리퍼 동작와이어(32) 구동을 통해 제2 하우징(40)의 길이방향 전후방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그리퍼의 동작을 변환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2 and 6,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5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40 and is connected to a pair of grippers 21 to form a gripper operation wire 32. The operation of the gripper may be changed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40 through driving.

구체적으로, 그리핑동작 변환부(50)는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와 한 쌍의 링크(55)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50 includes a gripping motion converting body 51 and a pair of links 55 .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는 사용자 동작(트리거 당김 동작 등)에 의해 그리퍼(21)의 그리핑 동작을 변환하도록 그리퍼 동작와이어(32)가 연결되며, 슬라이드홈(41)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홈(4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The gripper operation wire 32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body 51 to convert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gripper 21 by a user's operation (trigger pulling operation, etc.), and is supported by the slide groove 41. It is made reciprocally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 41.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는 그리퍼 동작와이어(32)가 연결되는 변환바디 본체(52)와, 변환바디 본체(52)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한 쌍의 슬라이드홈(41)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41)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봉(54)을 포함한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퍼 동작와이어(32)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가이드봉(54)은 슬라이드홈(41)의 내벽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하며, 가이드봉(54)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변환바디 본체(52) 또한 제2 하우징(4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동시 이동이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to 5,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body 51 includes a conversion body body 52 to which the gripper operation wire 32 is connected, and both sides of the conversion body body 52. It protrudes from each and includes a pair of guide rods 54 that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slide grooves 41 and are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s 41 . As shown in FIGS. 3, 4 and 6, the guide rod 54 mov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lide groove 41 in rolling contact by the pulling or unwinding operation of the gripper operating wire 32, and the guide rod moves. The conversion body body 52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54 also moves simultaneous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4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퍼 동작와이어(32)는 한 쌍의 그리퍼(21) 사이에 개재되는 후술하는 풀리(25)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일부 영역은 변환바디 본체(52)에 스크루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다른 영역은 변환바디 본체(52)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트리거(301)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관련 도면에는 변환바디 본체(52)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그리퍼 동작와이어(32)의 일부 영역을 스크루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스크루 삽입고정홀(53)이 도시되어 있다. 덧붙이자면, 상기 스크루에 의해 가압된 그리퍼 동작와이어(32)의 일부 영역은 트리거(301)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시 변환바디 본체(52)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고 변환바디 본체(52)에 고정된 상태로 변환바디 본체(52)와 동일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풀리(25)는 한 쌍의 그리퍼(2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그리퍼 동작와이어(32)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gripper operating wire 32 partially covers the outer surface of a pulley 25 to be described below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grippers 21 while partially converting a portion of the area. It may be fixed to the body body 52 through screws or the like, and another region may extend toward the trigger 301 in a state of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rsion body body 52 . In the related drawings, a screw insertion fixing hole 53 for fixing a portion of the gripper operating wire 32 provided to penetrate the conversion body body 52 by inserting a screw is shown.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gripper operating wire 32 pressed by the screw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conversion body body 52 when the trigger 301 is pulled or released, and is fixed to the conversion body body 52. In the same state as the conversion body body 52, it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Here, the pulley 25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grippers 21 and is rotated by pulling or releasing the gripper operating wire 32 .

다음, 한 쌍의 링크(55)는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와 한 쌍의 그리퍼(21) 사이를 각각 연결하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의 이동에 따라 링크운동하면서 한 쌍의 그리퍼(21)가 서로 이격되거나 접근하도록 동작을 변환시킨다. Next, the pair of links 55 each connect between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51 and the pair of grippers 21, and the pair moves while the link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51. The gripper 21 converts the motion so that it is spaced apart or approaches each other.

부연하자면, 그리퍼 동작와이어(32)의 당김 또는 풀림에 의해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는 슬라이드홈(41)과 가이드봉(54) 구조에 의해 제2 하우징(40)의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이러한 왕복이동시 한 쌍의 링크(55)의 링크 운동이 발생하면서 한 쌍의 그리퍼(21)의 동작 변환이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when the gripper operation wire 32 is pulled or released,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body 51 reciprocates along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40 by the structure of the slide groove 41 and the guide bar 54. During this reciprocating motion, a link motion of the pair of links 55 occurs, and the pair of grippers 21 change their motion.

한 쌍의 링크(55)는 일정이상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 영역에는 가이드봉(54)과 더불어 한 쌍의 그리퍼(21)에 형성된 결합돌기(22)가 각각 관통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홀(56)이 형성된다. The pair of links 55 are made in the shape of a bar having a length of a certain length or more, and at both ends, guide rods 54 and coupling protrusions 22 formed on a pair of grippers 21 are inserted through each pair. The insertion hole 56 of is formed.

즉,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와 링크(55), 링크(55)와 그리퍼(21)는 각각 돌기와 홀 구조를 통해 서로간에 연결되고, 링크(55)는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와 그리퍼(21) 사이를 연결하는 배치(연결) 각도가 가변하는 링크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51 and the link 55, the link 55 and the gripper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rojection and a hole structure, respectively, and the link 55 is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51 A link movement in which an angle of arrangement (connection) connecting between the gripper 21 and the gripper 21 is varied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30)에는 슬라이드홈(41)의 길이방향 일측의 외부에 대한 개방상태를 해제하도록, 즉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가 슬라이드홈의 개방된 일측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홈(41)의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4)가 마련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4, the first housing 30 has a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body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f the slide groove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An insertion protrusion 34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41 is provided to prevent the 51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id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일 예로,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이 내부식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돌기(34)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은 용접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34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housing 40 may be integrated through welding or bonding.

다른 예로,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이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돌기(34)는 상기 개방구에 강제 압입되어 제1 하우징(30)과 제2 하우징(40)의 일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both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on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other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sertion The protrusion 34 is forcibly press-fitted into the opening so that the first housing 30 and the second housing 40 may be integrally coupled.

다음, 관절부(100)는 샤프트(10)와 엔드 이펙터(20) 사이에 마련되며, 복수의 관절편(101)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조이스틱타입 조작부(310)를 통한 와이어(150)의 견인 동작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구간을 다양한 각도로 절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선택적으로 또 다른 일정 구간을 직선형태의 구간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절부(100)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합금 등과 같이 생체 적합성 소재로 이루어진다.Next, the joint part 100 is provided between the shaft 10 and the end effector 20,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a wire through a joystick type control unit 310 to be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by the traction operation of 150, not only can a certain section be bent at various angles, but also another certain section can be selectively maintained as a straight section if necessar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t portion 100 is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alloy.

다음,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50)는 복수의 관절편(101)을 서로 연결하며, 관절부(100)를 부분적으로 굴곡시키고 부분적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하도록 관절부(100)의 형상을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절부의 가변적인 형상 변경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wire 150 connects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to each other, and partially bends the joint portion 100 and partially forms the joint portion 100 in a straight form. The shape of can be changed variably. The variable shape change of the joint p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다음, 도 1,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00)은 샤프트(10)의 타단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만을 사용해서, 덧붙이자면 엄지손가락만을 사용해서 관절부(100)의 굴곡 상태를 조절하도록 복수의 와이어(150)를 조작하기 위한 조이스틱타입 조작부(310)를 갖는다.Next, as shown in FIGS. 1, 14 and 15, the handle 30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10, and the user can use only one finger, if added, the joint portion 100 using only the thumb. ) Has a joystick-type control unit 310 for manipulating the plurality of wires 150 to adjust the bending state.

한편, 핸들(300) 조작을 통해 엔드 이펙터(20)의 한 쌍의 그리퍼의 파지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tructure for enabling the gripping operation of the pair of grippers of the end effector 20 through manipulation of the handle 300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는데, 관절부(100)와 복수의 와이어(150)와의 상관 관계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하고, 와이어(150) 조작과 관련되는 핸들(300)의 세부 구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oint portion 100 and the plurality of wires 150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 handle 300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f the wire 150 ) The description of the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와이어(150)는 다수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조이스틱타입 조작부(310)를 통해 다수의 와이어 중 일부만 견인하여 관절부(100)의 일정 구간을 굴곡시킬 수 있고, 나머지 와이어를 동일한 힘으로 견인하여 관절부(100)의 다른 일정 구간을 직선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관절부(100)의 다른 일정 구간을 직선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의 견인력을 해제함으로써, 직선 구간없이 관절부(100)의 전체 구간을 굴곡시킬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150 is made of a plurality, and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wires are pulled through a joystick-type control unit 310 to be described later to bend a certain section of the joint part 100, and the remaining wires are the sa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other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joint part 100 in a straight line by pulling with force. In addition, the entire section of the joint section 100 may be bent without a straight section by releasing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for maintaining another section of the joint section 100 in a straight form.

여기서, 관절부의 일정 구간을 굴곡시키기 위한 와이어 견인력은 후술하는 조작 스위치(31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관절부의 다른 일정구간을 직선 형태로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 견인력은 후술하는 보조 조작 스위치(3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와이어(150)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합금 등과 같이 생체 적합성 소재로 이루어진다.Here, the wire traction force for bending a certain section of the joint par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anipulation switch 311 described later, and the wire traction force for maintaining the other certain section section of the joint part in a straight line form is performed by an auxiliary manipulation switch 340 described later. can be done through Meanwhile, the wire 150 is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titanium alloy.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와이어(150)는 관절부(100)의 형상을 가변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1) 관절부의 일정구간을 굴곡시키고 다른 일정 구간을 직선형태의 구간으로 형성하는 것, 2) 직선형태의 구간 형성없이 관절부의 전체구간을 굴곡시키도록 후술하는 조작 스위치(311)와 보조 조작 스위치(340)에 의해 잡아당기는 힘이 가변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150 is used to variably change the shape of the joint part 100,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1) a certain section of the joint part is bent and another certain section is a straight section. 2) The pulling force is variably applied by the control switch 311 and the auxiliary control switch 34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bend the entire section of the joint without forming a straight sec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given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절부(100)는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102)으로 이루어지는 직선부(105), 복수의 굴곡유도 관절편(104)으로 이루어지는 굴곡부(108)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joint portion 100 includes a straight portion 105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aight guide joint pieces 102 and a plurality of flexion guide joint pieces 104. It includes a bent portion 108 made.

직선부(105)는 샤프트(1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와이어(150)의 견인력에 의해 직선 구간을 형성한다. 또한, 굴곡부(108)는 직선부(105)와 엔드 이펙터(20) 사이에 마련되며 와이어(150)의 견인력에 의해 굴곡 구간을 형성한다.The straight portion 105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haft 10 and forms a straight section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150 . In addition, the bent portion 108 is provided between the straight portion 105 and the end effector 20 and forms a bending section by the traction force of the wire 150 .

여기서,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102)과 굴곡유도 관절편(104)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직선 형태의 구간 유지를 통해 별도의 구성품이 적용되지 않고 동일한 부품으로 직선 형태의 구간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단일화를 통한 제조 원가 감소와 더불어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과 굴곡유도 관절편이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를 연결하여 관절부를 구성함에 있어 부품의 결합 방향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바 작업자가 한층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결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linear induction joint pieces 102 and flexion induction joint pieces 104 are made of the same shape and each has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Therefore, since a straight section can be maintained with the same part without a separate component being applied through maintenance of a straight section,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and parts managemen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hrough unification of parts. In addition, as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joint pieces and flexure guide joint pieces are form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it is not necessary to greatly consider the coupling direction of parts in constructing the joint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so the operator can work with the coupling more easily and quickly. can be performed.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관절편(101), 구체적으로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102)과 굴곡유도 관절편(104)은 각각, 제1 세그먼트부(109), 제2 세그먼트부(112) 및 제3 세그먼트부(11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9 to 11, a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specifically, a plurality of straight guide joint pieces 102 and flexion guide joint pieces 104, respectively, a first segment portion 109, a second It includes a 2 segment part 112 and a 3 segment part 116.

제1 세그먼트부(109)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삽입홈(110)이 마련된다.The first segment portion 109 has a substantially disc shape, and an insertion groove 110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제2 세그먼트부(112)는 제1 세그먼트부(109)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단부에 평평한 면(114)이 마련된다. 또한, 제3 세그먼트부(116)는 제2 세그먼트부(112)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egment portion 109 and has a flat surface 114 at an end thereof. In addition,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and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to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110)은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절개된 구형의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3 세그먼트부(116)는 마찬가지로 제2 세그먼트부(112)에 연결되는 일측이 절개된 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9, the insertion groove 110 has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spherical groove cut as a whole, and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similarly connected to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It consists of a spherical shape in which one side is cut.

즉, 제3 세그먼트부(116)는 제2 세그먼트부(112) 상단의 평평한 면(114)과 대응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홈(110)은 제3 세그먼트부(116)가 내측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has a spherical shape with one side cut so as to correspond to the flat surface 114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and the insertion groove 110 is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made of a shape that can rotate fre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 세그먼트부(116)는 삽입홈(110) 내면에 대해 구름접촉 가능하도록 삽입홈(110) 내측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덧붙여,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관절편(101)들이 와이어 견인동작(견인력 제어)에 의해 자유롭게 길이방향상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제3 세그먼트부(116)는 삽입홈(11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일 예로, 제3 세그먼트부(116)의 외면 곡률이 삽입홈(110) 내면의 곡률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3 세그먼트부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so as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 In addition,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free within the insertion groove 110 so that the ang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freely adjusted by wire traction operation (traction control). made rotatable. For example, by making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free movement of the third segment portion may be enabled.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세그먼트부(109,112,116)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통공(120)이 마련되며, 엔드 이펙터(20)의 동작(그리퍼 벌림과 오므림 동작) 제어를 위해 별도의 와이어(미도시) 또는 바(미도시)가 관통공(120) 내측으로 삽입된 후 엔드 이펙터(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미도시) 또는 바(미도시)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샤프트(10)의 내측을 관통하여 핸들(300)에 마련된 별도 조작부에 연결되며, 상기 별도 조작부에 의해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9,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 120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to third segment portions 109, 112, and 116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end effector 20 operates (gripper opening). A separate wire (not shown) or a bar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0 and then connected to the end effector 20 to control the clos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wire (not shown) or bar (not shown)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haft 10 having a hollow shape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handle 300, and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separate control unit.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세그먼트부(112)의 원주방향 외면과 평평한 면(114) 사이에는 40도 내지 90도의 사이각도(α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관절편(101) 들이 와이어 견인동작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 방향 중 일측으로 굴곡되도록 형태가 변형될 때, 서로 인접한 관절편(101)의 제2 세그먼트부(112) 간의 접촉에 의해 굴곡 동작이 간섭되어 원하는 각도로 굴곡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절편(101)의 굴곡을 위한 회전 각도를 최대한 자유롭게 허용하여 결국 엔드 이펙터(2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는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1 , an angle α1 of 40 degrees to 90 degrees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and the flat surface 114 . Accordingly, when the shape of the joint pieces 101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deformed to be bent in one of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wire pulling operation, the gap between the second segment portions 112 of the joint pieces 101 adjacent to each other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ability to bend at a desired angle due to interference with a bending operation due to contact. That is, the degree of freedom for inducing free movement of the end effector 20 may be improved by allowing the rotational angle for bending of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as freely as possible.

예를 들어, 상기 사이각도(α1)가 40도 미만인 경우 서로 인접한 관절편(101)의 제2 세그먼트부(112) 간의 접촉에 의해 굴곡 동작이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ngle α1 is less than 40 degrees, contact between the second segment portions 112 of the articular pieces 101 adjacent to each other may interfere with bending motion.

또한, 상기 사이각도(α1)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세그먼트부(112)의 단면적 감소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세그먼트부(112)에 와이어(150)를 관통시키기 위한 와이어 관통홀(직선유도 관통홀, 굴곡유도 관통홀)을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angle α1 exceeds 90 degrees, a wire penetration for passing the wire 150 through the second segment 112 will be described later due to a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segment 112.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 hole (a straight guide through hole or a bend guide through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세그먼트부(112)의 평평한 면(114)과 제3 세그먼트부(116) 사이에는 20도 내지 90도의 사이각도(α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150)가 제2 세그먼트부(112)에 형성되는 와이어 관통홀(직선유도 관통홀, 굴곡유도 관통홀)을 관통하여 인접한 복수의 관절편(101) 들을 서로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제3 세그먼트부(116)가 삽입홈(110)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and 11 , the angle between the flat surface 114 of the second segment 112 and the third segment 116 is between 20 degrees and 90 degrees (α2 ) is preferably formed. According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ire 150 penetrates the wire through-hole (straight guide through-hole, bend-guided through-hole) formed in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to easily connect a plurality of adjacent joint pieces 101 to each other. , and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st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 to maintain a rotatable state.

예를 들어, 상기 사이각도(α2)가 20도 미만인 경우, 평평한 면(114)의 가장자리 단부를 기준으로 구형 형상의 제3 세그먼트부(116)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 관통홀(직선유도 관통홀, 굴곡유도 관통홀)을 관통한 와이어(150)와 제3 세그먼트부(116)가 접촉하여 상호 마찰에 의해 원활한 와이어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ngle α2 is less than 20 degrees, as the area in which the spherical third segment portion 116 protrudes outward with respect to the edge end of the flat surface 114 increases, the wire penetrates A problem may occur in smooth wire control due to mutual friction between the wire 150 and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passing through the hole (straight guiding through hole or bending guiding through hole).

또한, 상기 사이각도(α2)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세그먼트부(112)의 평평한 면(114)의 단면적 대비 제3 세그먼트부(116)의 부피가 감소하여 결국 삽입홈(110)에 대해 제3 세그먼트부(116)가 삽입되는 부분이 감소하여 인접한 관절편(101) 간의 안정적인 결합상태 유지를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엔드 이펙터(2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와이어(미도시) 또는 바(미도시)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120)의 직경 감소로 인해 엔드 이펙터의 움직임 제어를 위한 구성들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ngle α2 is greater than 90 degrees, the volume of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reduced compare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at surface 114 of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resulting in insertion groove 110. The portion into which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is inserted is reduced, which may hinder the maintenance of a stable coupling state between adjacent joint pieces 101 . In addition, due to the reduced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0 through which a wire (not shown) or a bar (not shown) is insert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nd effector 20, it is easy to combine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end effector 20. There may be problems that you don't do.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면(114)과 제3 세그먼트부(116) 사이의 가장 긴 길이(L), 즉 평평한 면(114)에 대한 제3 세그먼트부(116)의 최대 높이와, 삽입홈(110)의 깊이(D)와의 비율은 1: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9, the longest length L between the flat surface 114 and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that is, the maximum height of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with respect to the flat surface 114 And, the ratio of the depth (D) of the insertion groove 110 is 1: 0.5 or less is preferable.

만약, 이러한 비율이 1: 0.5 보다 큰 경우, 예를 들어 1: 0.6, 1: 0.7, 1:0.8 등과 같이 제1 세그먼트부(109)의 바닥면으로부터 삽입홈(110)의 깊이가 점차 증가하는 경우, 인접한 관절편(101) 간의 구름접촉에 의한 회전운동시 제3 세그먼트부(116)의 외면이 삽입홈(110)의 내면에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와이어 견인동작에 의해 제3 세그먼트부(116)가 삽입홈(110)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야 하지만 삽입홈(110)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간섭으로 더이상의 회전이 불가하여 엔드 이펙터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f this ratio is greater than 1: 0.5,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110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egment portion 109, such as 1: 0.6, 1: 0.7, 1: 0.8, etc. In this case, during rotational movement due to rolling contact between adjacent joint pieces 101,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further rotation may be restricted. In addition, although the third segment part 116 should further rotate in one direction within the insertion groove 110 by the wire pulling operation, further rotation is not possible due to interference caused by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There is a problem that can inhibit the free movement of the effector.

또한,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세그먼트부(116)의 상단에는 평평한 절개면(118)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 , 11 and 12 , a flat cutting surface 118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

이에 따라, 제3 세그먼트부(116)의 외면과 삽입홈(110) 내면 사이에서 필요이상의 상호 접촉 면적이 발생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복수의 관절편(101)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때, 복수의 관절편(101)을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관절편(101) 들의 결합 위치 이탈을 한층 최소화하여 결합 공정시 한층 용이하게 서로간을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by limiting the occurrence of a mutual contact area more than necessary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egment portion 116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10, when placing a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joint pieces 101 to each other, the separation of the joint pieces 101 from their coupling positions can be further minimized so that they can be mor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during the coupling process.

다음, 도 8,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150)는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와 굴곡유도 와이어(154)를 포함한다.Next, as shown in FIGS. 8, 12 and 13, the wire 150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bent guide wires 154.

직선유도 와이어(152)는 직선유도 관절편(102)을 서로 연결하되 굴곡부(108)에 가장 인접한 직선유도 관절편(102)에 걸림되어 동일한 힘으로 잡아당겨 직선 구간을 형성 가능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의 와이어 견인력동작 제어는 후술하는 보조 조작 스위치(340)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linear guide wire 152 connects the linear guide joint pieces 102 to each other, but is hooked on the straight guide joint piece 102 closest to the bent portion 108 and pulled with the same force to form a straight section. Here, control of the wire traction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wires 152 is performed by an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 8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유도 와이어(154)는 직선유도 관절편(102)과 굴곡유도 관절편(104) 모두를 서로 연결하되 엔드 이펙터(20)에 가장 인접한 굴곡유도 관절편(104)에 걸림되어 굴곡 구간을 형성 가능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와이어 견인력동작 제어는 후술하는 조작 스위치(311)에 의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12, the flexion induction wire 154 connects both the straight induction joint piece 102 and the flexion induction joint piece 104 to each other, but is the most adjacent to the end effector 20. It is caught on the joint piece 104 and consists of a plurality to be able to form a bending section. Here, control of the wire traction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bend induction wires 154 is performed by an operation switch 311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직선유도 관절편(102)과 굴곡유도 관절편(104)은 기능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는 것일뿐, 실제 형상에 있어서는 서로 동일한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linear induction joint piece 102 and the flexion induction joint piece 104 differ only in function, and are made of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in actual shape.

직선유도 와이어(152)와 굴곡유도 와이어(154)는 모두 일반적인 견인 와이어와 견인 와이어의 단부에 봉 또는 바 형태로 연결되는 걸림편(156)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156)이 제2 세그먼트부(112)의 상면에 걸림된 상태로 와이어에 견인력이 작용하여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102)과 굴곡유도 관절편(104)의 형태 제어가 이루어진다.Both the straight guide wire 152 and the bend guide wire 154 include a general traction wire and a hooking piece 156 connected to an end of the traction wire in the form of a rod or bar, and the hooking piece 156 is a second segment. A tra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112 to control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linear guide joint pieces 102 and the flexure guide joint pieces 104.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세그먼트부(109)와 제2 세그먼트부(112)에는,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와 복수의 굴곡유도 와이어(154)가 관통하도록 복수의 직선유도 관통홀(122)과 굴곡유도 관통홀(124)이 마련된다. 9, 12 and 13, a plurality of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a plurality of bend guide wires 154 pass through the first segment portion 109 and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A plurality of straight guide through holes 122 and bend guide through holes 124 are provided to do so.

여기서, 복수의 직선유도 관통홀(122)에는 직선유도 와이어(152)가 관통하여 걸림되며, 구체적으로 직선유도 와이어(152)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편은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102) 중 굴곡부(108)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직선유도 관절편(102)의 제2 세그먼트부(112)에 걸림되는 상태를 갖는다.Here, the straight guide wire 152 penetrates and is caught in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through holes 122, and specifically, the hook piec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traight guide wire 152 is among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joint pieces 102. It has a state of being caught on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of the straight guide joint piece 102 disposed most adjacent to the bent portion 108 .

또한, 복수의 굴곡유도 관통홀(124)에는 굴곡유도 와이어(154)가 관통하여 걸림되며, 구체적으로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편은 복수의 굴곡유도 관절편(104) 중 엔드 이펙터(20)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굴곡유도 관절편(104)의 제2 세그먼트부(112)에 걸림되는 상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ending inducing through-holes 124 pass through and engage the bending inducing wire 154, and specifically, the engaging piec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ending inducing wire 154 is among the plurality of bending inducing joint pieces 104. It has a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of the flexion induction joint piece 104 disposed most adjacent to the end effector 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와 복수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견인력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는 각각 별도로 핸들(300)에 마련되며, 핸들(300)에 마련된 후술하는 보조 조작 스위치(340)를 조작하여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를 동일한 힘으로 견인하는 경우(샤프트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102)은 직선 형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보조 조작 스위치(340)의 조작을 통해 직선유도 와이어(152)에 작용하고 있는 견인력을 해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traction force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the plurality of bend guide wires 154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handl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vided on the handle 300. When pulling a plurality of straight guide wires 152 with the same force by operating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pulling in the shaft direction),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joints 102 can maintain a connected state in a straight line. there is.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raction force acting on the straight guide wire 152 may be releas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auxiliary control switch 340 .

또한, 핸들(300)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조작 스위치(311)를 조작하여 복수의 굴곡유도 와이어(154) 중 어느 하나를 상대적으로 더욱 강한 힘으로 견인하는 경우(샤프트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복수의 굴곡유도 관절편(104)은 일측방향으로 굴곡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pull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induction wires 154 with a relatively stronger force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311 provided on the handle 300 (pulling in the shaft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flexion induction joint piece 104 may have a state of being bent in one direction.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직선유도 관통홀(122)과 굴곡유도 관통홀(124)은, 제1 세그먼트부(109)와 제2 세그먼트부(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며 서로간에 이격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와 굴곡유도 와이어(154)는 서로간에 간섭없이 와이어 견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관련 도면에는 복수의 직선유도 관통홀(122)과 굴곡유도 관통홀(124)이 각각 4개로 마련되고 90도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설명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직선유도 와이어(152)와 굴곡유도 와이어(154)가 각각 4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3 ,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through holes 122 and the plurality of bend guide through holes 124 alternate with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segment portion 109 and the second segment portion 112. plac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plurality of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the bend guide wires 154 can perform a wire pulling opera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In the related drawing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traight guide through holes 122 and four bend guide through holes 124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at intervals of 90 degrees is show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a case in which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four bent guide wires 154 are provided.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를 동일한 힘으로 견인하여 복수의 직선유도 관절편(102)을 직선 형태로 유지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필요시 복수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에 견인력을 제공하지 않고 복수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에만 견인력을 제공하여 복수의 관절편(101)을 전체적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핸들(300)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보조 조작 스위치(340)는 동작시키지 않고 조작 스위치(311)만 동작함으로써 전술한 상태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엔드 이펙터(20)의 회전 각도 범위를 증대시켜 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엔드 이펙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lurality of linear guide wires 152 are pulled with the same force to maintain the plurality of linear guide joint pieces 102 in a straight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can use a plurality of It is possible to bend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101 as a whole by providing a traction force only to the plurality of bending guide wires 154 without providing a traction force to the straight guide wire 152 of the. Specifically, the user can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state change by operating only the manipulation switch 311 without operating the auxiliary manipulation switch 340 provided on the handle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end effector 20 may be increased to move the end effector within a wider range.

이하, 핸들(3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구체적으로 직선부(105)와 굴곡부(108)를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의 견인력을 제어하는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andle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to form the straight portion 105 and the bent portion 10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00)은 샤프트(10)의 타단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만을 사용해서 관절부(100)의 굴곡 상태를 조절하도록 복수의 와이어(150), 즉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와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견인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이스틱타입 조작부(310)를 갖는다.As shown in FIGS. 1, 14 to 16, the handle 30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10,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bending state of the joint 100 using only the thumb, for example. It has a joystick-type control unit 310 for controlling the traction of the wires 150, that is,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the four bend guide wires 154.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엔드 이펙터(20)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 검지 또는 중지 손가락으로 핸들(300)의 방아쇠를 당기거나 당기는 동작을 해제하여 엔드 이펙터의 한 쌍의 그리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조이스틱타입 조작부(310)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관절부(100)를 전체적으로 굴곡시키거나, 직선부(105)와 굴곡부(108)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만을 사용하여 관절부(100)의 다양한 상태 변화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한층 편한 자세로 의료시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 중 손목 부위에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d effector 20, the us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 pair of grippers of the end effector by pulling the trigger of the handle 300 or releasing the pulling operation with the index or middle finger.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joystick-type control unit 310 using only the thumb, the user can bend the joint part 100 as a whole or control the straight part 105 and the curved part 108 to be formed at the same tim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adjust various state changes of the joint part 100 using only the thumb, not only can the medical procedure be performed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but also the occurrence of strain on the wrist part during the procedure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can make it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이스틱타입 조작부(310)는 조작 스위치(311), 스위치 지지부(320), 와이어 통과조절부(330) 및 보조 조작 스위치(340)를 포함한다.15 and 16, the joystick type control unit 310 includes an operation switch 311, a switch support unit 320, a wire pass control unit 330 and an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150)는 관절부(100)를 부분적으로 굴곡시키고 부분적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하도록 관절부(100)의 형상을 가변적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조이스틱타입 조작부(310)는 관절부(100)의 형상을 가변적으로 변경하도록 복수의 와이어(150)를 잡아당기는 힘(견인력)을 가변적으로 작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wires 150 are made to variably change the shape of the joint portion 100 so as to partially bend the joint portion 100 and form a partially straight shape, and the joystick-type control unit 310 To variably change the shape of the joint portion 100, the pulling force (traction force) of the plurality of wires 150 is made to be able to variably act.

먼저, 조작 스위치(311)는 대략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접촉하여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스위치 돌기(312)가 마련된다.First, the operation switch 31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a switch protrusion 312 is provided on one sid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switch by contacting the thumb.

조작 스위치(311)는 복수의 와이어(150)의 단부, 구체적으로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게 연결된다. 사용자는 엄지손가락만을 사용하여 스위치 지지부(320)에 대해 조작 스위치(311)를 회전시키거나 일측 가장자리를 샤프트(10) 측으로 가압하여 누르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작 스위치(311)의 동작 제어를 통해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에 작용하는 와이어 견인력이 제어 가능하다.In the control switch 311, ends of the plurality of wires 150, specifically, ends of the four bend-inducing wires 154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ser can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rotating the control switch 311 with respect to the switch support 320 or pressing one edge toward the shaft 10 using only the thumb, and such an operation switch 311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ire pulling force acting on the four bending induction wires 154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즉, 본 발명에서,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단부는 조작 스위치(311)에 연결됨에 따라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개별적인 견인력 제어는 조작 스위치(31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nds of the four bend induction wires 154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switch 311, individual traction control of the four bend guide wires 154 can be performed by the control switch 311.

다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지지부(320)는 조작 스위치(311)가 360도 회전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면서 그 가장자리 단부 중 선택된 부분이 샤프트(10) 측으로 상대적으로 더욱 접근하는 일측 가장자리 가압동작, 초기 위치 복원동작 등을 포함하는 조이스틱 동작을 수행하도록 조작 스위치(311)를 지지한다. 여기서, 스위치 지지부(320)는 핸들(300)의 몸체 내측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된다.Next, as shown in FIG. 15, the switch support 320 has one edge where the control switch 311 is rotatable within a 360-degree rotation range and a selected part of the edge is relatively closer to the shaft 10 side. The control switch 311 is supported to perform a joystick operation including a pressing operation, an initial position restoration operation, and the like. Here, the switch support 320 is fixed in a buried state inside the body of the handle 300 .

덧붙이자면, 스위치 지지부(320)는 조작 스위치(311)가 조이스틱 동작(360도 회전 포함)을 실시할 수 있도록 조작 스위치(311)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311)의 일측 가장자리 단부를 샤프트(10) 측으로 가압한 후 누르는 힘을 제거할 경우 조작 스위치(311)를 초기위치로 탄성 복원시키는 구조 또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 스위치를 탄성 복원시키는 구조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 등이 채용될 수 있다.Incidentally, the switch support portion 320 has a structure to support the operation switch 311 so that the operation switch 311 can perform a joystick operation (including 360 degree rotation), and for example,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311 ) There is also a structure for elastically restoring the operation switch 311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after pressing the edge end of one side of the shaft 10 side. Here, as a structure for elastically restoring the operation switch,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or the like may be employed.

관련 도면에서는 스위치 지지부(320)에 대한 상세 구조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스위치 지지부(320)는 전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related drawing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switch support unit 320 is not shown, and the switch support unit 3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다음,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통과조절부(330)는 스위치 지지부(320)가 결합되도록 핸들(300) 몸체 내에 매립되게 고정된다. 덧붙이자면, 와이어 통과조절부(330)에는 스위치 지지부(320)가 일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마련되고, 스위치 지지부(320)는 와이어 통과조절부(330)의 상기 삽입홈에 강제 압입 고정되거나 별도 스크루를 통해 고정 결합 가능하다.Next, as shown in FIG. 15, the wire pass-through control unit 330 is fixed to be embedded in the body of the handle 300 so that the switch support unit 320 is coupled thereto. In addition, an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in the wire pass-through control unit 330 so that the switch support portion 320 is partially inserted, and the switch support portion 320 is forcibly press-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wire pass-through control unit 330 or is screwed separately. Fixed coupling is possible through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통과조절부(330)의 일측에는 조작 스위치(311)에 단부 연결된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가 개별 삽입되도록 4개의 제1 와이어 통과홀(331)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가 모두 통과하도록 하나의 제2 와이어 통과홀(332)이 마련되며, 내측에는 4개의 제1 와이어 통과홀(331)과 하나의 제2 와이어 통과홀(332)을 연결하는 4개의 와이어 경로(333)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 15, four first wire passage holes 33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ire passage control unit 330 so that the four bending induction wires 154 connected to the control switch 311 are individually inserted. And, on the other side, one second wire passage hole 332 is provided so that all four bend induction wires 154 pass through, and four first wire passage holes 331 and one second wire passage hole are provided on the inside. Four wire paths 333 connecting 332 are provided.

즉, 본 발명은 4개의 제1 와이어 통과홀(331)을 개별적으로 통과한 굴곡유도 와이어(154)의 단부를 조작 스위치(311)의 가장자리 영역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 중 어느 하나에 견인력을 제공하고자 할 때 조작 스위치(311)의 일측을 보다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충분한 와이어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때, 하나의 제2 와이어 통과홀(332)의 중심축과 조작 스위치(311)의 가장자리 단부는 서로간에 일정이상 이격되어 있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조작 스위치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더라도 굴곡유도 와이어(154)를 충분하게 견인할 수 있는 힘을 제공 가능하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nd connects the ends of the bend induction wires 154 individually passing through the four first wire passage holes 331 to the edge area of the operation switch 311,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four bend induction wires. Even if one side of the operation switch 311 is pressed with a smaller force when providing a traction force to either one, sufficient wire traction force can be applied. To elaborat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entral axis of one second wire passage hole 332 and the edge end of the control switch 3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amount or mor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use little force. Even if the edge of the operation switch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rce capable of pulling the bending guide wire 154 sufficiently.

또한, 서로간에 일정이상 이격된 4개의 제1 와이어 통과홀(331)을 통과한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가 하나의 제2 와이어 통과홀(332)로 모여진 상태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조작 스위치(3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샤프트(10) 내측으로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를 한층 용이하게 삽입(진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four bending induction wires 154 passing through the four first wire passage holes 3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amount to pass through one second wire passage hole 332 in a gathered state, the operation switch Compared to 311,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nsert (enter) the four bend guide wires 154 into the shaft 10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굴곡유도 와이어(154)는, 샤프트(10)에 대해 엔드 이펙터(20)를 상측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제1 굴곡유도 와이어(154a), 샤프트(10)에 대해 엔드 이펙터(20)를 하측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제2 굴곡유도 와이어(154b), 샤프트(10)에 대해 엔드 이펙터(20)를 좌측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제3 굴곡유도 와이어(154c), 샤프트(10)에 대해 엔드 이펙터(20)를 우측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제4 굴곡유도 와이어(154d)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4 , the four bending induction wires 154 are the first bending induction wire 154a for bending the end effector 20 upward with respect to the shaft 10 and the shaft 10 with respect to the first bending induction wire 154a. A second bending induction wire 154b for bending the end effector 20 downward, a third bending induction wire 154c for bending the end effector 20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shaft 10, and the shaft 10 and a fourth bending guide wire 154d for bending the end effector 20 to the right.

한편, 조작 스위치(311)의 가압위치에 따른 관절부(100)에 작용하는 굴곡력의 작용 방향은 서로 반대로 작용함에 따라, 도 1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311)의 상측 부분(12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하측방향(6시 방향)으로 굴곡되고, 조작 스위치의 하측 부분(6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상측방향(12시 방향)으로 굴곡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direction of the bending force acting on the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operation switch 311 acts opposit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2 (a) (b), in a state viewed from the side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part (12 o'clock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311,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are bent downward (6 o'clock direction), and the lower part (6 o'clock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When is pressed,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are bent upward (12 o'clock direction).

또한, 도 17(c)(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311)의 좌측 부분(9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우측방향(3시 방향)으로 굴곡되고, 조작 스위치의 우측 부분(3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좌측방향(9시 방향)으로 굴곡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 (c) (d), 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part (9 o'clock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311 in a state viewed from the front,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It is bent in the right direction (3 o'clock direction), and when the right part (3 o'clock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is pressed,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are bent in the left direction (9 o'clock direction).

즉, 조작 스위치(311)의 가압위치에 따른 관절부(100)에 작용하는 굴곡력의 작용 방향이 서로 반대로 작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시술현장에서 엔드 이펙터의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 조작 스위치(311)의 조작을 통해 엔드 이펙터의 굴절방향을 직관적으로 제어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That is, as the direction of the bending force acting on the joint 100 according to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switch 311 acts opposite to each other, the us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d effector in the actual operation si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control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through manipulation of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굴곡유도 와이어(154a)와 제2 굴곡유도 와이어(154b)가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관절부(100)로 연결되도록 함과 더불어 제3 굴곡유도 와이어(154c)와 제4 굴곡유도 와이어(154d)가 서로 교차하는 상태로 관절부(100)로 연결되도록 하는 와이어 교차구간(500)이 마련된다. 이러한 와이어 교차구간(500)은 핸들(300)의 몸체 내측 또는 샤프트(10)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4,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joint portion 10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end induction wire 154a and the second bend induction wire 154b cross each other, and in addition to the first A wire crossing section 500 is provided so that the three bend induction wires 154c and the fourth bend induction wire 154d are connected to the joint part 100 in a state of crossing each other. The wire crossing section 5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handle 300 or inside the shaft 10 .

이와 같이, 와이어 교차구간(500)이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조작 스위치(311)의 가압위치에 대응하도록 엔드 이펙터(20)의 굴곡방향을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바, 보다 용이하면서 효율적인 시술이 가능하다.In this way, as the wire crossing section 500 is provided, the user can intuitively control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end effector 20 to correspond to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manipulation switch 311, which makes it easier and more efficient. possible.

즉,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311)의 상측 부분(12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동일한 상측방향(12시 방향)으로 굴곡되고, 조작 스위치의 하측 부분(6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동일한 하측방향(6시 방향)으로 굴곡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311)의 좌측 부분(9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동일한 좌측방향(9시 방향)으로 굴곡되고, 조작 스위치의 우측 부분(3시 방향)을 누를 경우 관절부(100) 및 엔드 이펙터(20)는 동일한 우측방향(3시 방향)으로 굴곡된다.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part (12 o'clock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311,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are bent in the same upper direction (12 o'clock direction), and the lower part (6 direction) is pressed,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are bent in the same downward direction (6 o'clock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left part (9 o'clock direction) of the control switch 311,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are bent in the same left direction (9 o'clock direction), and the right part (3 direction) is pressed, the joint part 100 and the end effector 20 are bent in the same right direction (3 o'clock direction).

다음, 도 14,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311)의 스위치 돌기(312)에는 조작 스위치(311), 즉 스위치 돌기(312)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면서 탄성적으로 위치 복원가능하도록 보조 조작 스위치(340)가 더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S. 14, 15, 18 and 19, the switch protrusion 312 of the control switch 311 is hinged while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switch 311, that is, the switch protrusion 312. An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restored sexu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는 보조 조작 스위치(340)에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한 보조 조작 스위치(340)의 조작 여부에 따라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에 동일한 견인력이 작용하거나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and the same pulling force acts on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according to whether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is operated by the user. Or the traction force may not work.

사용자가 보조 조작 스위치(340)를 조작할 경우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에는 동일한 견인력이 작용하여 관절부(100)에 직선부(105)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보조 조작 스위치(340)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을 경우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에는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아 관절부(100)에 직선부(105)가 형성되지 않고 관절부가 전체적으로 굴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the same pulling force acts on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so that the straight part 105 can be formed at the joint part 100, and the user can press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If not separately manipulated, the traction force does not act on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so that the straight portion 105 is not formed at the joint portion 100, and the joint portion may have a shape that is bent as a whole.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는 와이어 통과조절부(330)와 스위치 지지부(32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인출된 후 보조 조작 스위치(340)의 동일한 위치에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After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pass through the wire pass-through control unit 330 and the switch support unit 320 and are drawn outward, their ends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position of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부연하자면, 와이어 통과조절부(330)에는 제1 와이어 통과홀(331), 제2 와이어 통과홀(332) 및 와이어 경로(333)와 별도로 와이어 통과공(미도시)이 마련되고, 마찬가지로 스위치 지지부(320)에도 직선유도 와이어(152)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To elaborate, a wire passage hole (not shown)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wire passage hole 331, the second wire passage hole 332, and the wire path 333 in the wire passage control unit 330, and similarly, the switch support part 320 is also provided with a space through which the straight guide wire 152 can pas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샤프트(10)를 그 길이방향을 향해 바라보았을때, 샤프트(10)의 중심축과,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가 보조 조작 스위치(340)에 연결되는 부분은 동일선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관절부에 직선부(105)가 마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311)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는 안정적으로 직선부(105)를 유지하도록 견인력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직선부(105)가 마련된 상태에서 조작 스위치(311)의 동작은 직선부(105) 유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oking at the shaft 10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10 and the portion where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are It is desirable to be on the same line.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straight portion 105 is provided at the joint portion, even if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f rotating and pressing the manipulation switch 311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stably form the straight portion ( 105) to provide a uniform traction force.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witch 311 in the state where the straight part 105 is provided does not affect the maintenance of the straight part 105 .

조작 스위치(311)에는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가 관통하여 보조 조작 스위치(340)에 연결되도록 관통공이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rough-hole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operation switch 311 so that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pass therethrough and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

또한, 도 15,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조작 스위치(340)는 조작 스위치(311)의 스위치 돌기(312)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조 조작 스위치와 조작 스위치의 힌지 연결부위에는 보조 조작 스위치(340)를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하기 위한 별도의 토션 스프링(341)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조 조작 스위치(340)를 조작(푸시)하는 경우,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에는 모두 동일한 견인력이 작용하여 관절부(100)에 직선부(105)가 형성되고, 보조 조작 스위치를 조작(푸시)하지 않을 경우 보조 조작 스위치(340)는 토션 스프링(341)에 의해 초기 위치로 탄성복원되어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에는 와이어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관절부(100)에 직선부(105)가 형성되지 않는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5, 18 and 19,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is rotatably hingedly connected to the switch protrusion 312 of the operation switch 311, and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and the hinge of the operation switch A separate torsion spring 341 for elastically restoring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to an initial position is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Therefore, when the user manipulates (pushes)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the same pulling force acts on all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to form a straight part 105 at the joint part 100, and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When not operated (pushed),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is elastically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torsion spring 341, and as the wire traction force does not act on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the joint 100 A straight portion 105 is not formed.

본 발명은 조작 스위치(311)에 보조 조작 스위치(340)가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는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하여 관절부(100)에 직선부(105) 및 굴곡부(108)를 모두 형성시키거나, 굴곡부(108)만을 형성시키는 동작 제어를 월등히 편한 자세로 실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0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switch 311, the user forms both the straight part 105 and the curved part 108 in the joint part 100 using only the thumb, or the bent part ( 108) can be performed in a very comfortable posture.

전술한 구조와 달리,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조작 스위치(350)는 조작 스위치(31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Unlik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0 ,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may be provided in a form coupled to be slidab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witch 311 .

구체적으로, 보조 조작 스위치(350)는 조작 스위치(311)에 형성된 삽입홈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 조작 스위치(350)에는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가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operation switch 311 and is slidably provided, and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 조작 스위치(350)가 조작 스위치(311)에 대해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때,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에 견인력이 작용하여 관절부(100)에는 직선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moves in the direction of being drawn outwar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witch 311, a traction force acts on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the joint part 100 has a straight part. (105) can be formed.

또한, 보조 조작 스위치(350)가 조작 스위치(311)에 대해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때, 4개의 직선유도 와이어(152)에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관절부(100)에는 직선부(105)가 형성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moves in the direction of being inserted inwardly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witch 311, the traction force does not act on the four straight guide wires 152, and accordingly, the joint part 100 has a straight part ( 105) is not formed.

보조 조작 스위치(350)는 조작 스위치(311)에 대해 별도의 탄성복원수단(미도시)을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한 별도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 스위치(311)에 대해 외측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보조 조작 스위치(350)는 사용자가 보조 조작 스위치(350)를 가압할 경우에만 조작 스위치(311) 내측으로 이동하여 와이어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has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 separate elastic restoring means (not shown) for the operation switch 311, and when a separat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by the user, the operation switch 311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drawn outward for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operation switch 311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so that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does not act.

즉, 사용자는 관절부(100)에 직선부(105)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 조작 스위치(350)를 푸시하지 않으면 되고, 직선부(105)를 형성하지 않고 관절부(100)을 전체적으로 굴곡시키고자 할 경우에만 보조 조작 스위치(350)를 푸시하면 된다.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form the straight portion 105 on the joint portion 100, the user does not have to push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and wants to bend the joint portion 100 as a whole without forming the straight portion 105. Only when the auxiliary operation switch 350 is push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며, 구체적으로 엔드 이펙터(20)를 구성하는 그리퍼(21), 제1 하우징(30), 제2 하우징(40), 그리핑동작 변환부(50) 간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in detail, the gripper 21 constituting the end effector 20, the first housing 30, the second housing 40, and the gripping A method of assembling between motion conversion units 50 will be described.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한 쌍의 링크(55)의 각각의 일단부를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의 한 쌍의 가이드봉(54)에 각각 결합한 결합체를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가이드봉(54)을 한 쌍의 링크(55)에 각각 형성된 삽입홀(56)에 삽입시키며, 이때 가이드봉(54)의 돌출 단부는 링크(55)로부터 일정이상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1, first, an assembly in which each end of the pair of links 55 is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rods 54 of the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51 is prepared. Specifically, a pair of guide rods 54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56 respectively formed in the pair of links 55, and at this time, the protruding ends of the guide rods 54 protrude beyond a certain amount from the links 55. have a state

다음, 상기 결합체의 한 쌍의 가이드봉(54) 단부를 각각 제2 하우징(40)의 일측 개방구를 통해 한 쌍의 슬라이드홈(41)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하되, 한 쌍의 링크(55)의 각각의 타단부가 제2 하우징(4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봉(54)을 슬라이드홈(41)의 최내측까지 삽입하여 링크(55)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Next, the ends of the pair of guide rods 54 of the assembly are slide-inserted into the pair of slide grooves 41 through one side opening of the second housing 40,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links 55 The other ends of each are insert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40 . Specifically, the guide rod 54 is inserted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slide groove 41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link 55 is exposed to the outside.

다음, 상기 노출된 한 쌍의 링크(55)의 각각의 타단부에 한 쌍의 그리퍼(21)를 연결한다.Next, a pair of grippers 21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exposed links 55,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그리퍼(21)에 형성된 결합돌기(22)를 어느 하나의 링크(55)의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홀(56)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어느 하나의 그리퍼(21)에 형성된 그리퍼 힌지핀 삽입홀(24)에 짧은 길이의 보조 힌지핀(26)을 삽입하고 보조 힌지핀(26)에 풀리(25)를 삽입한다. 여기서, 보조 힌지핀(26)은 후술하는 힌지핀(23) 삽입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관련 설명은 후술한다.Specifically, the coupling protrusion 22 formed on any one gripper 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6 formed at the other end of any one link 55. Subsequently, a short auxiliary hinge pin 26 is inserted into the gripper hinge pin insertion hole 24 formed in one of the grippers 21 and the pulley 25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hinge pin 26 . Here, the auxiliary hinge pin 26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serting the hinge pin 23 to be described later, and a related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 다른 하나의 그리퍼(21)에 형성된 결합돌기(22)를 다른 하나의 링크(55)의 타단부에 형성된 삽입홀(56)에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기 보조 힌지핀(26)을 다른 하나의 그리퍼(21) 측으로 좀 더 이동시켜 한 쌍의 그리퍼(21), 풀리(25)를 보조 힌지핀(26)을 이용하여 가고정 결합시킨다.Next, the coupling protrusion 22 formed on the other gripper 2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6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ther link 55. Subsequently, the auxiliary hinge pin 26 is moved to the side of the other gripper 21 to temporarily fix and couple the pair of grippers 21 and pulleys 25 using the auxiliary hinge pin 26 .

이후, 그리핑동작 변환바디(51), 링크(55), 한 쌍의 그리퍼(21) 및 풀리(25)의 결합체를 슬라이드홈(4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되, 한 쌍의 제2 하우징 바(42)에 형성된 힌지핀 삽입홀(43)과 한 쌍의 그리퍼(21)에 형성된 그리퍼 힌지핀 삽입홀(24)이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assembly of the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51, the link 55, the pair of grippers 21 and the pulley 25 is moved backward along the slide groove 41, and the pair of second housing bars The hinge pin insertion hole 43 formed in (42) and the gripper hinge pin insertion hole 24 formed in the pair of grippers 21 are moved so that they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이후, 서로간에 일직선으로 배치된 힌지핀 삽입홀(43)과 그리퍼 힌지핀 삽입홀(24) 내측으로 일정이상의 길이를 갖는 힌지핀(23)을 별도의 삽입공구를 이용하여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하우징 바(42)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핀 삽입홀(43)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 힌지핀(23)을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하며, 이때 그리퍼(21)와 풀리(25)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힌지핀(26)은 한 쌍의 힌지핀 삽입홀(43)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외측으로 통과되어 이탈된다. 이와 같이 이탈된 보조 힌지핀(26)은 다른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힌지핀(23)의 양단은 제2 하우징(40)에 용접(일 예로 스폿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그리퍼(21)는 힌지핀(23)을 통해 제2 하우징(40)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Thereafter, the hinge pin 2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is inserted into the hinge pin insertion hole 43 and the gripper hinge pin insertion hole 24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using a separate insertion tool. Specifically, the hinge pin 23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air of hinge pin insertion holes 43 formed in the pair of second housing bars 42 at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and at this time, the gripper 21 and The auxiliary hinge pin 26 connecting the pulleys 25 passes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hinge pin insertion holes 43 and is separated. The auxiliary hinge pin 26 separated in this way can be reused for assembling other surgical instruments. Both ends of the hinge pin 23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second housing 40 through welding (for example, spot welding). The hinge has a rotatable coupled stat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40 .

다음, 제2 하우징(40)의 슬라이드홈(41)의 일측 개방구의 개방 상태를 해제하도록 제2 하우징(40)에 제1 하우징(30)을 결합한다. 제1 하우징(30)은 제2 하우징(40)에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본딩, 강제 압입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Next, the first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0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41 of the second housing 40 . The first housing 3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40 through methods such as welding, bonding, and forced press fitting, as described abov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샤프트 20: 엔드 이펙터
21: 그리퍼 22: 결합돌기
23: 힌지핀 25: 풀리
26: 보조 힌지핀 30: 제1 하우징
32: 그리퍼 동작와이어 34: 삽입돌기
40: 제2 하우징 41: 슬라이드홈
42: 제2 하우징 바 50: 그리핑동작 변환부
51: 그리핑동작 변환바디 52: 변환바디 본체
53: 스크루 삽입고정홀 54: 가이드봉
55: 링크 56: 삽입홀
100: 관절부 101: 관절편
102: 직선유도 관절편 104: 굴곡유도 관절편
105: 직선부 108: 굴곡부
109: 제1 세그먼트부 112: 제2 세그먼트부
116: 제3 세그먼트부 120: 관통공
122: 직선유도 관통홀 124: 굴곡유도 관통홀
150: 와이어 152: 직선유도 와이어
154: 굴곡유도 와이어 154a: 제1 굴곡유도 와이어
154b: 제2 굴곡유도 와이어 154c: 제3 굴곡유도 와이어
154d: 제4 굴곡유도 와이어 156: 걸림편
300: 핸들 310: 조이스틱타입 조작부
311: 조작 스위치 320: 스위치 지지부
330: 와이어 통과조절부 331: 제1 와이어 통과홀
332: 제2 와이어 통과홀 333: 와이어 경로
340, 350: 보조 조작 스위치 341: 토션 스프링
500: 와이어 교차구간
10: shaft 20: end effector
21: gripper 22: coupling protrusion
23: hinge pin 25: pulley
26: auxiliary hinge pin 30: first housing
32: gripper operation wire 34: insertion protrusion
40: second housing 41: slide groove
42: second housing bar 50: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unit
51: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52: conversion body body
53: screw insertion fixing hole 54: guide rod
55: link 56: insertion hole
100: joint part 101: joint piece
102: straight induction joint piece 104: flexion induction joint piece
105: straight part 108: bent part
109: first segment portion 112: second segment portion
116: third segment portion 120: through hole
122: straight guide through hole 124: bend guide through hole
150: wire 152: straight wire
154: bend induction wire 154a: first bend induction wire
154b: second bend induction wire 154c: third bend induction wire
154d: fourth bending guide wire 156: hooking piece
300: handle 310: joystick type control unit
311: operation switch 320: switch support
330: wire passage control unit 331: first wire passage hole
332: second wire passage hole 333: wire path
340, 350: auxiliary operation switch 341: torsion spring
500: wire intersection

Claims (10)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리핑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그리퍼를 갖는 엔드 이펙터;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며, 복수의 관절편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는,
상기 복수의 관절편 중 상기 샤프트로부터 가장 이격되게 배치된 관절편이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그리퍼와 연결되어 상기 그리퍼의 동작을 변환하는 그리핑동작 변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호 결합되기 전에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shaft;
an end effec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 pair of grippers capable of gripping; and
A joint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end effector and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pieces are continuously arranged;
The end effector,
a first housing to which,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the joint pieces disposed most spaced apart from the shaft are couple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o which the pair of grippers are rotatably coupled; and
Further comprising a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to convert the motion of the grippers,
The surgical instrument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housing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can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using through a slide movemen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before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제2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가 외부에 대해 개방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ousing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that is movable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by slid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A surg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pen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은 외부에 개방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ccording to claim 2,
In the second housing,
A pair of slide grooves are provided to suppor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so that the gripping operation conversion unit slides and reciproc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One side of the pair of slide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surg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pen to the out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상기 그리퍼의 그리핑 동작을 변환하도록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그리핑동작 변환바디; 및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와 상기 한 쌍의 그리퍼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의 이동에 따라 링크운동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ccording to claim 3,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a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connected to a wire to change the gripping motion of the gripper by a user's motion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slide groov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lide groove; and
The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 pair of links connecting between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and the pair of grippers and performing a link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는,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변환바디 본체;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벽을 따라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ccording to claim 4,
The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a conversion body main body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and
It includes a pair of guide rods inserted inside the pair of slide grooves and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s,
The guide rod is a surg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moving while in rolling contact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lide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리퍼에는 각각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에는 각각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 가능하도록 한 쌍의 삽입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ccording to claim 5,
Each of the pair of gripper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A surg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insertion holes are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links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guide rod can be inse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의 외부에 대한 개방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의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용접 또는 본딩을 통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f the sl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integrated through welding or bonding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의 외부에 대한 개방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의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개방구에 강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lide groove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f the sl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The insertion protrusion is a surgical instru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cibly press-fitted into the opening.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리핑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그리퍼를 갖는 엔드 이펙터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엔드 이펙터 사이에 마련되며 복수의 관절편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이펙터는, 상기 복수의 관절편 중 상기 샤프트로부터 가장 이격되게 배치된 관절편이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그리퍼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그리퍼와 연결되어 상기 그리퍼의 동작을 변환하는 그리핑동작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의 길이방향 일측은 외부에 개방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부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상기 그리퍼의 그리핑 동작을 변환하도록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변환바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그리핑동작 변환바디; 및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와 상기 한 쌍의 그리퍼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의 이동에 따라 링크운동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방법으로서,
(a) 상기 한 쌍의 링크의 각각의 일단부를 상기 그리핑동작 변환바디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에 각각 결합한 결합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결합체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 단부를 각각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하되, 상기 한 쌍의 링크의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출된 상기 한 쌍의 링크의 각각의 타단부에 상기 한 쌍의 그리퍼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방법.
A shaft, an end effector having a pair of gripper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and capable of a gripping operation, and a joint part provided between the shaft and the end effec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joint pieces arranged in succession; ,
The end effector may include a first housing to which a joint piece disposed most spaced apart from the shaft among the plurality of joint pieces is coupled; a second housing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o which the pair of grippers are rotatably coupled; and a gripping motion conver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ers to convert motions of the grippers,
In the second housing, a pair of slides suppor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part so that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part slides recipro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A groove is provided, one side of the pair of slide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de open to the outside,
The gripping motion converting unit is connected to a wire to convert the gripping motion of the gripper by a user's motion, and is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slide groove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lide groove, and a conversion body body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a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including a pair of guide rods inserted into the pair of slide grooves and movable along the slide grooves; and a pair of links connecting between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and the pair of grippers and performing a link mov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ipping motion conversion body,
(a) preparing an assembly in which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links is coupled to the pair of guide rods of the gripping action conversion body;
(b) slide and insert the ends of the pair of guide rods of the assembly into the pair of slide grooves through one side opening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links 2 inserting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c) connecting the pair of grippers to the other ends of the exposed pairs of links.
제9항에 있어서,
(d) 상기 한 쌍의 그리퍼를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 개방구의 개방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상기 제1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조립방법.
According to claim 9,
(d) combining the pair of grippers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so as to be hinged rotatably, and coupling the first housing to the second housing to release the open state of one side opening of the second housing; A method of assembling a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KR1020220004090A 2022-01-11 2022-01-11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KR102593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090A KR102593692B1 (en) 2022-01-11 2022-01-11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090A KR102593692B1 (en) 2022-01-11 2022-01-11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795A true KR20230108795A (en) 2023-07-19
KR102593692B1 KR102593692B1 (en) 2023-10-26

Family

ID=8742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090A KR102593692B1 (en) 2022-01-11 2022-01-11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69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3146A1 (en) * 2001-02-15 2004-09-30 Endo Via Medical, Inc. Robotically controlled surgical instruments
US8568443B1 (en) * 2008-05-21 2013-10-29 Encision, Inc. Surgical grapser tool and actuation mechanism
KR101693677B1 (en) 2015-07-03 2017-01-10 전자부품연구원 Surgery apparatus
KR20190096544A (en) * 2018-02-09 2019-08-20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KR102191483B1 (en) * 2018-06-08 2020-12-15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Surgical instruments
KR20210093379A (en) * 2013-08-15 2021-07-27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Reusable surgical instrument with single-use tip and integrated tip cov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3146A1 (en) * 2001-02-15 2004-09-30 Endo Via Medical, Inc. Robotically controlled surgical instruments
US8568443B1 (en) * 2008-05-21 2013-10-29 Encision, Inc. Surgical grapser tool and actuation mechanism
KR20210093379A (en) * 2013-08-15 2021-07-27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Reusable surgical instrument with single-use tip and integrated tip cover
KR101693677B1 (en) 2015-07-03 2017-01-10 전자부품연구원 Surgery apparatus
KR20190096544A (en) * 2018-02-09 2019-08-20 한국기계연구원 Apparatus for laparoscpoic surgery
KR102191483B1 (en) * 2018-06-08 2020-12-15 주식회사 리브스메드 Surgical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692B1 (en)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319B2 (en) Surgical tool
US7708758B2 (en) Surgical instrument
JP4287354B2 (en) Surgical instruments
CN106923890B (en) Medical instrument with soft pawl and/or performance on compliant wrist mechanism
KR101509275B1 (en) Medical manipulator
JP6887997B2 (en) Handle mechanism that grants unlimited rolls
JP4681050B2 (en) Actuator handle for catheter
US20080255420A1 (en) Surgical instrument
KR102330042B1 (en) medical instrument with tension band
US20220354474A1 (en) Low-friction, small profile medical tools having easy-to-assemble components
WO1998026723A1 (en) Dual pin and groove pivot for micro-instrument
US20100004677A1 (en) Shafted surgical instruments for remote access surgical procedures
US20200397522A1 (en) Low-friction, small profile medical tools having easy-to-assemble components
KR20230108795A (en) surgical instrument and assembling methods for surgical instrument
KR102419080B1 (en) surgical instrument that can cushion the grip force
KR20230088564A (en) surgical instrument
US20200390507A1 (en) Low-friction medical tools having roller-assisted tension members
KR20230051968A (en) joint unit of surgical instrument
US20240148398A1 (en) Jaw closure transmission systems
JP2023168932A (en) End effector and manip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